KR20230106299A - 터미널 구조체 - Google Patents

터미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299A
KR20230106299A KR1020220002034A KR20220002034A KR20230106299A KR 20230106299 A KR20230106299 A KR 20230106299A KR 1020220002034 A KR1020220002034 A KR 1020220002034A KR 20220002034 A KR20220002034 A KR 20220002034A KR 20230106299 A KR20230106299 A KR 20230106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erminal structure
conducting
extension
conduc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02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6299A/ko
Priority to PCT/KR2023/000075 priority patent/WO2023132600A1/ko
Publication of KR2023010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터미널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는 외부의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외부의 장치 및 복수 개의 도선 부재와 각각 통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를 지지하는 도선 부재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도선 부재 결합부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와 각각 통전되는 통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 부재 결합부는,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를 수용하는 공간 및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지지 윙(wing)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지지 윙은 연성(ductility)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수용된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를 둘러싸도록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미널 구조체{Terminal structure}
본 발명은 터미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와의 통전 상태가 용이하고 간결하게 형성될 수 있는 구조의 터미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BDU(Battery Disconnect Unit)는 친환경 자동차의 전력 제어 부품의 하나로 배터리와 부하 사이에서 전력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부품을 통칭한다. 특히, BDU는 전기 자동차 등에 구비되어 배터리와 부하 사이의 전력을 인가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된다.
BDU에는 온도, 전압 등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예비 충전 회로 등과의 통전을 위한 터미널(terminal)이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은 직류 릴레이, 퓨즈(fuse), 버스바 등 BDU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 및 센서 등을 서로 통전시킨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BDU의 경우, 각 센서 및 예비 충전 회로 등과 직류 릴레이를 통전하기 위한 도선이 각각 직류 릴레이에 결합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1000)에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1200) 및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1300)가 각각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예비 충전 회로가 모두 통전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세 개의 도선 부재(1200) 및 지지 부재(1300)가 구비되어야 한다.
즉, 도 14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1000)에는 제1 도선 부재(1210), 제2 도선 부재(1220) 및 제3 도선 부재(1230)가 각각 통전된다. 각 도선 부재(1210, 1220, 1230)는 각각 제1 지지 부재(1310), 제2 지지 부재(1320) 및 제3 지지 부재(133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각 지지 부재(1310, 1320, 1330)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1400)에 의해 직류 릴레이(1000)에 결합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1000)에는 각 고정 접촉자마다 세 개의 도선이 독립적으로 연결되므로, 배선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많은 수의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는 바, 제조 비용 및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67487호는 릴레이 장착구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단자 결합부를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원호 형상으로 디자인하여, 인쇄회로기판과 릴레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릴레이 장착구조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은 릴레이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기 위한 구조만을 개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다양한 목적으로 릴레이에 결합되는 도선 등의 배선 구조를 간명하게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313744호는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에 복수 개의 버스바를 배치하고, 각 버스바들이 복수 개의 접촉기, 외부의 전지팩 및 부하와 각각 연결된 구조의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은 회로 기판 자체에 버스바가 결합됨을 전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외부에 구비된 버스바와 직류 릴레이가 도선 부재 등에 의해 통전될 경우 적용되기 어렵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67487호 (2013.06.19.)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313744호 (2013.10.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도선 부재와의 통전 상태가 간명하게 형성될 수 있는 구조의 터미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도선 부재와의 통전 및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터미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전이 요구되는 외부의 환경에 따라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터미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장치와 직접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터미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장치와의 결합 및 통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터미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외부의 장치 및 복수 개의 도선 부재와 각각 통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를 지지하는 도선 부재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도선 부재 결합부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와 각각 통전되는 통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 부재 결합부는,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를 수용하는 공간 및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지지 윙(wing)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지지 윙은 연성(ductility)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수용된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를 둘러싸도록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게 구성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도선 부재 결합부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 윙 및 복수 개의 상기 지지 윙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1 수용 공간을 포함하여,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의 연장 방향의 일 부분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복수 개의 지지 암(arm) 및 복수 개의 상기 지지 암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여,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의 연장 방향의 다른 부분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지지 암은 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수용된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의 상기 다른 부분을 둘러싸도록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게 구성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는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각각 수용되며 연장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통전 부재와 상기 외부의 장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외부의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와 연속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외부의 장치와 결합되는 체결 부재가 관통되는 결합 개구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장치는 직류 릴레이(DC relay)인,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헤드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으로 형성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는,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연속되며, 상기 헤드부와 같은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타 단부와 연속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연속되고, 그 연장 방향의 타 단부가 상기 통전 부재와 연속되며, 상기 헤드부와 같은 평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 상기 도선 부재 결합부 및 상기 통전 부재는 일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그 일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외부의 장치와 결합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외부의 장치의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 개구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결합 개구부를 둘러싸는 상기 헤드부의 내면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 개구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부의 장치의 상기 일부의 외주를 지지하게 구성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기 내면에서 상기 결합 돌출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단부와 연속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부의 장치의 상기 일부의 상기 외주와 접촉되게 구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장치의 상기 일부는 일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 개구부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기 내면 중 상기 통전 부재를 향하는 일 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터미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와의 통전 상태가 간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먼저, 터미널 구조체에는 도선 부재 결합부가 구비된다. 도선 부재 결합부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및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지지 윙 또는 지지 암이 구비된다. 복수 개의 도선 부재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가닥(strand) 형태로 산개되지 않게 된다.
도선 부재 결합부는 통전 부재 및 몸체부와 결합된다. 복수 개의 도선 부재는 통전 부재를 통해 몸체부와 통전될 수 있다. 몸체부는 외부의 장치, 예를 들면 직류 릴레이 또는 버스바 등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도선 부재는 각각 터미널 구조체를 통해 직류 릴레이 또는 버스바와 통전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도선 부재는 단수 개의 터미널 구조체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로, 직류 릴레이 또는 버스바와 각각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도선 부재가 각각 직류 릴레이 또는 버스바와 통전되는 경우에 비해, 배선 구조가 간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와의 통전 및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선 부재 결합부는 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선 부재 결합부는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고, 변형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수용 공간에 복수 개의 도선 부재가 수용되면,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지지 윙 또는 지지 암에 외력이 인가되어 복수 개의 도선 부재를 감싸게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지지 윙 또는 지지 암은 복수 개의 도선 부재를 둘러싼 상태로 유지된다.
도선 부재 결합부는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부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도선 부재는 그 연장 방향의 일 부분이 지지 윙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도선 부재는 그 연장 방향의 다른 부분이 지지 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도선 부재 결합부는 복수 개의 위치에서 복수 개의 도선 부재를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도선 부재가 수용 공간에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되어, 복수 개의 도선 부재와 터미널 구조체의 통전 및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는 통전이 요구되는 외부의 환경에 따라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의 몸체부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몸체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그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는 터미널 구조체가 결합되는 외부의 장치, 예를 들면 직류 릴레이 또는 버스바 등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의 몸체부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몸체부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의 연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몸체부에는 절곡부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그 연장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 구조체의 전체 크기가 감소될 수 있어, 설치 환경이 협소한 경우에도 터미널 구조체의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외부의 장치 또는 환경에 따라, 터미널 구조체가 다양한 형태로 구조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 구조체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는 외부의 장치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에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는 헤드부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 개구부를 둘러싸는 내면에서 결합 개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결합 개구부는 이에 삽입되는 외부의 부재, 예를 들면 고정 접점의 형상에 상응하되, 보다 큰 단면적을 갖게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돌출부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외부의 부재는 결합 돌출부를 삽입 방향을 따라 가압하여 형상 변형시키며 결합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구조체는 결합 개구부 및 결합 돌출부를 통해 외부의 장치와 직접 결합, 통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는 외부의 장치와의 결합 및 통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는 나사 등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해 외부의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외부의 장치, 예를 들면 버스바, 직류 릴레이 및 터미널 구조체에 각각 관통되어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 구조체와 외부의 장치의 결합 및 통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가 구비되는 다른 실시 예에서, 결합 돌출부는 결합 개구부에 삽입된 외부의 부재, 예를 들면 고정 접점의 외주를 가압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삽입된 외부의 부재는 별도의 외력이 인가되고, 소정의 각도를 따라서만 결합 개구부에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구조체와 외부의 장치 사이의 결합 및 통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에 의해 직류 릴레이와 버스바가 통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터미널 구조체, 직류 릴레이 및 버스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터미널 구조체에 도선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터미널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터미널 구조체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에 의해 직류 릴레이와 버스바가 통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터미널 구조체에 도선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터미널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에 의해 직류 릴레이와 버스바가 통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터미널 구조체에 도선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터미널 구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터미널 구조체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와 도선 부재의 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 20, 30)는 버스바(50)와 함께 직류 릴레이(40)에 결합되어 사용됨을 전제한다. 대안적으로, 각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 20, 30)는 외부의 다른 부재와의 통전이 요구되는 임의의 전기적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10)는 직류 릴레이(40)와 결합되어 통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직류 릴레이(40)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함(41) 및 외함(4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고정 접점(42)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 접점(42)은 좌측에 위치되는 제1 고정 접점(42a) 및 우측에 위치되는 제2 고정 접점(42b)을 포함하여 복수 개 구비된다.
고정 접점(42)에는 버스바(busbar)(50)가 결합된다. 버스바(50)는 고정 접점(42)과 외부의 장치 등을 통전한다. 버스바(50)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고정 접점(420)과 각각 결합,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버스바(50)는 제1 고정 접점(42a)과 결합, 통전되는 제1 버스바(51) 및 제2 고정 접점(42b)과 결합, 통전되는 제2 버스바(52)를 포함한다.
터미널 구조체(10)는 버스바(50)에 결합되어, 버스바(50) 및 고정 접점(42)과 각각 통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터미널 구조체(10)가 버스바(50)의 상측에 위치되어, 버스바(50)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버스바(50)와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터미널 구조체(10)는 버스바(50)와 고정 접점(4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10)는 고정 접점(42)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직류 릴레이(40), 버스바(50) 및 터미널 구조체(1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 부재(60)가 구비된다. 체결 부재(60)는 터미널 구조체(10), 버스바(50) 및 고정 접점(42)에 차례로 관통되어 이들을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직류 릴레이(40), 버스바(50) 및 고정 접점(42)이 서로 결합, 통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W)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도선 부재(W)는 단일의 터미널 구조체(10)에 의해 직류 릴레이(40)와 통전될 수 있다. 즉, 터미널 구조체(10)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W)와 직류 릴레이(40)를 동시에 통전시키게 구성된다.
직류 릴레이(40)에 연결되는 도선 부재(W)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도선 부재(W)는 제1 도선 부재(W1) 및 제2 도선 부재(W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직류 릴레이(40)와 통전되어야 하는 외부의 부재 또는 장치의 개수에 따라 도선 부재(W)는 그 이상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도선 부재(W)는 서로 다른 외부의 장치와 통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선 부재(W)는 예비 충전 회로, 전압 또는 전류 센서, 온도 센서 등과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10)는 몸체부(100), 도선 부재 결합부(200) 및 통전 부재(3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터미널 구조체(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몸체부(100)는 터미널 구조체(10)가 직류 릴레이(40) 또는 버스바(5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몸체부(1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선 부재(W) 및 도선 부재(W)와 연결된 외부의 장치 등과 직류 릴레이(40) 및 버스바(50) 등을 서로 통전하기 위함이다. 즉, 도선 부재(W)는 몸체부(100)에 의해 직류 릴레이(40)의 고정 접점(42) 또는 버스바(50)와 통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구리(Cu,) 철(Fe)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판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형으로 구비된다.
몸체부(100)는 도선 부재 결합부(200)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를 통해 도선 부재 결합부(20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의 후방의 하측 단부가 통전 부재(300)와 결합된다.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와 결합된다. 또한,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와 통전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통전 부재(300)는 도선 부재(W)와 결합, 통전된다. 따라서,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에 의해 도선 부재(W)와 결합, 통전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몸체부(100)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각 부분은 서로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직류 릴레이(40), 버스바(50) 및 통전 부재(300)와 각각 결합,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연장부(110), 헤드부(120), 결합 개구부(130) 및 절곡부(140)를 포함한다.
연장부(110)는 몸체부(100)의 부분 중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1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110)는 판 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연장부(110)의 폭 방향의 길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는 몸체부(100)의 다른 부분의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0)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각 부분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110)는 상대적으로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연장부(111) 및 제1 연장부(111)와 연속되며 상대적으로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연장부(112)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111)는 연장부(110)의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제1 연장부(111)는 제2 연장부(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연장부(111)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연장부(111)의 상기 일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헤드부(120)와 연속된다. 제1 연장부(111)의 상기 일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제2 연장부(112)와 연속된다.
제2 연장부(112)는 연장부(110)의 다른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형성한다. 제2 연장부(112)는 제1 연장부(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에 멀게 위치된다.
제2 연장부(112)는 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연장부(112)의 상기 타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제1 연장부(111)의 후방 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2 연장부(112)의 상기 타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통전 부재(300)와 연속된다.
제2 연장부(112)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연장부(111)와 연속된다. 즉, 제2 연장부(112)와 제1 연장부(111)가 연속되는 부분에는 절곡부(140)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헤드부(120)는 몸체부(100)가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헤드부(120)는 몸체부(100)의 부분 중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헤드부(120)는 사각 판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헤드부(120)의 길이 방향의 길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길이는 제1 연장부(111)의 같은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헤드부(120)의 폭 방향의 길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제1 연장부(111)의 같은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는, 헤드부(120)의 내부에 체결 부재(60)가 관통되기 위한 결합 개구부(130)가 관통 형성됨에 기인한다. 즉,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버스바(50) 및 체결 부재(60)와 결합될 수 있을만큼 충분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20)는 연장부(110)의 제1 연장부(111)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헤드부(120)는 그 후방 측 단부가 제1 연장부(111)의 전방 측 단부와 연속된다.
헤드부(120)는 연장부(110)와 통전된다. 통전 부재(300) 및 이에 결합된 도선 부재(W)는 연장부(110)에 의해 헤드부(120)와 통전될 수 있다.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와 통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또는 버스바(50)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또는 버스바(50)를 덮으며 이들과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120)의 내부에는 결합 개구부(130)가 관통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130)는 체결 부재(60)가 관통되는 공간이다. 결합 개구부(130)는 헤드부(120)의 내부에, 헤드부(12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130)는 체결 부재(60)가 관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1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절곡부(140)는 연장부(110)의 제1 연장부(111)와 제2 연장부(112)가 연속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111)와 제2 연장부(112)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절곡부(140)가 형성된다.
절곡부(140)는 직류 릴레이(40)의 외함(41)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10)가 결합되는 외함(41)의 상측 부분의 외면은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절곡부(140)의 형상 또한 제1 연장부(111)와 제2 연장부(112)를 수직하게 연속시키도록 90°만큼 절곡될 수 있다.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도선 부재(W)가 터미널 구조체(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W)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도선 부재 결합부(200)에는 제1 도선 부재(W1) 및 제2 도선 부재(W2)가 결합된다. 이때, 제1 도선 부재(W1) 및 제2 도선 부재(W2)는 각각 복수 개의 도선 부재(W)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두 개 이상의 도선 부재(W)와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몸체부(1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통전 부재(300)를 통해 몸체부(10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도선 부재 결합부(20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즉, 상측 단부)는 통전 부재(300)의 통전 연장부(33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즉, 하측 단부)와 결합된다.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소정의 형상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연성(ductility)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형상 변형되며 결합된 도선 부재(W)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 또는 통전 부재(300)와 임의 통전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코팅(coating)될 수 있다.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복수 개의 위치에서 도선 부재(W)와 결합되어 도선 부재(W)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상측에 위치되는 제1 결합부(210) 및 하측에 위치되는 제2 결합부(220)를 포함하여, 두 개의 위치에서 도선 부재(W)와 결합되어 도선 부재(W)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도선 부재(W)와 도선 부재 결합부(2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0)는 도선 부재 결합부(200)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제1 결합부(210)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서 도선 부재(W)와 결합되어 도선 부재(W)를 지지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결합부(210)는 제2 결합부(220)에 비해 통전 부재(300)에 보다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결합부(210)는 통전 부재(300)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210)와 통전 부재(30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는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210)의 상측 단부가 통전 부재(300)의 통전 연장부(330)의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1 결합부(210)는 제2 결합부(220)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2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는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210)의 하측 단부가 제2 결합부(220)의 상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1 결합부(210)는 도선 부재(W)와 결합되어 도선 부재(W)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210)는 제1 지지 윙(wing)(211), 제2 지지 윙(212) 및 제1 수용 공간(213)을 포함한다.
제1 지지 윙(211)은 제1 수용 공간(213)에 수용된 도선 부재(W)를 방사 방향의 일측에서 가압하여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윙(211)은 좌측 및 후방 측에서 도선 부재(W)를 가압하게 구성된다.
제1 지지 윙(211)은 제1 수용 공간(213)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윙(211)은 좌측에서 제1 수용 공간(213)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제1 지지 윙(211)은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바, 제1 지지 윙(211)은 외력에 의해 변형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지지 윙(211)에 외력이 인가되면, 제1 지지 윙(211)은 제1 수용 공간(213)의 더 많은 부분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형상 변형된 제1 지지 윙(211)은 좌측뿐만 아니라 후방 측에서도 제1 수용 공간(213)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지지 윙(211)은 통전 연장부(330)와 연속된다. 제1 지지 윙(211)은 몸체부(100)에 반대되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좌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지지 윙(211)의 연장 길이는 제1 수용 공간(213)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W)를 모두 지지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 윙(211)은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윙(211)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1 지지 윙(211)의 상기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제2 결합부(220)의 지지 암(221, 222)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윙(211)은 제1 수용 공간(213)을 사이에 두고 제2 지지 윙(212)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지지 윙(212)은 제1 수용 공간(213)에 수용된 도선 부재(W)를 방사 방향의 타측에서 가압하여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윙(212)은 우측 및 후방 측에서 도선 부재(W)를 가압하게 구성된다.
제2 지지 윙(212)은 제1 수용 공간(213)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윙(212)은 우측에서 제1 수용 공간(213)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제2 지지 윙(212)은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바, 제2 지지 윙(212)은 외력에 의해 변형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지지 윙(212)에 외력이 인가되면, 제2 지지 윙(212)은 제1 수용 공간(213)의 더 많은 부분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형상 변형된 제2 지지 윙(212)은 우측뿐만 아니라 후방 측에서도 제1 수용 공간(213)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지지 윙(212)은 통전 연장부(330)와 연속된다. 제2 지지 윙(212)은 몸체부(100)에 반대되는 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우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2 지지 윙(212)의 연장 길이는 제1 수용 공간(213)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W)를 모두 지지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 윙(212)은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윙(212)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지지 윙(212)의 상기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제1 지지 윙(211)의 연장 길이와 같되, 제2 결합부(220)의 지지 암(221, 222)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윙(212)은 제1 수용 공간(213)을 사이에 두고 제1 지지 윙(211)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지지 윙(212)은 제1 지지 윙(211)과 함께 형상 변형되어 제1 수용 공간(213)의 개방된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둘러싼다.
제1 수용 공간(213)은 도선 부재(W)가 수용되는 일 공간이다. 제1 수용 공간(213)은 제1 지지 윙(211) 및 제2 지지 윙(212)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수용 공간(213)은 그 좌측이 제1 지지 윙(211)에, 그 우측이 제2 지지 윙(212)에 둘러싸인다.
또한, 제1 결합부(210)가 형상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몸체부(100)에 반대되는 제1 수용 공간(21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작업자는 개방 형성된 상기 일측을 통해 도선 부재(W)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1 수용 공간(213)의 부피는 가변될 수 있다. 이는 제1 지지 윙(211) 및 제2 지지 윙(212)에 외력이 인가되어, 제1 지지 윙(211) 및 제2 지지 윙(212)의 형상 변형에 의해 달성된다.
도선 부재(W)가 수용된 후 제1 지지 윙(211) 및 제2 지지 윙(212)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면, 개방 형성된 상기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제1 수용 공간(213)에 수용된 도선 부재(W)의 수평 방향, 즉 전방 측, 후방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수용 공간(213)은 제2 수용 공간(223)과 연통된다. 제1 수용 공간(213)에 수용된 도선 부재(W)는 제2 수용 공간(22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결합부(220)를 향하는 제1 수용 공간(21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된다.
통전 부재(300)를 향하는 제1 수용 공간(213)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개방 형성된다. 제1 수용 공간(213)에 수용된 도선 부재(W)는 도선 부재 통전부(320)까지 연장되어 통전 부재(3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 공간(213)은 제1 지지 윙(211) 및 제2 지지 윙(212)이 형상 변형된 이후에도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이 개방 형성된다.
제2 결합부(220)는 도선 부재 결합부(200)의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제2 결합부(220)는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서 도선 부재(W)와 결합되어 도선 부재(W)를 지지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결합부(220)는 제1 결합부(210)에 비해 통전 부재(300)와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2 결합부(220)는 통전 부재(300)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220)는 제1 결합부(210)를 통해 통전 부재(300)와 연속된다. 제2 결합부(220)와 제1 결합부(21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는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부(220)의 상측 단부가 제1 결합부(210)의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2 결합부(220)는 도선 부재(W)와 결합되어 도선 부재(W)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부(220)는 제1 지지 암(arm)(221), 제2 지지 암(222) 및 제2 수용 공간(223)을 포함한다.
제1 지지 암(221)은 제2 수용 공간(223)에 수용된 도선 부재(W)를 방사 방향의 일측에서 가압하여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암(221)은 전방 측, 좌측 및 후방 측에서 도선 부재(W)를 가압하게 구성된다. 즉, 제1 지지 암(221)은 제1 지지 윙(211)과 같은 위치에서 도선 부재(W)를 가압하게 구성된다.
제1 지지 암(221)은 제2 수용 공간(223)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암(221)은 전방 측 및 좌측에서 제2 수용 공간(223)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제1 지지 암(221)은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바, 제1 지지 암(221)은 외력에 의해 변형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지지 암(221)에 외력이 인가되면, 제1 지지 암(221)은 제2 수용 공간(223)의 더 많은 부분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형상 변형된 제1 지지 암(221)은 전방 측 및 좌측뿐만 아니라 후방 측에서도 제2 수용 공간(223)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지지 암(221)은 제2 지지 암(222)과 연속된다. 제1 지지 암(221)은 제2 지지 암(222)과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좌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지지 암(221)은 제2 지지 암(222)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지지 암(221)의 연장 길이는 제2 수용 공간(223)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W)를 모두 지지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 암(221)은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암(221)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1 지지 암(221)의 상기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제1 결합부(210)의 지지 윙(211, 212)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암(221)은 제2 수용 공간(223)을 사이에 두고 제2 지지 암(222)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지지 암(222)은 제2 수용 공간(223)에 수용된 도선 부재(W)를 방사 방향의 타측에서 가압하여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암(222)은 전방 측, 우측 및 후방 측에서 도선 부재(W)를 가압하게 구성된다. 즉, 제2 지지 암(222)은 제2 지지 윙(212)과 같은 위치에서 도선 부재(W)를 가압하게 구성된다.
제2 지지 암(222)은 제2 수용 공간(223)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암(222)은 전방 측 및 우측에서 제2 수용 공간(223)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제2 지지 암(222)은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선 부재 결합부(200)는 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바, 제2 지지 암(222)은 외력에 의해 변형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지지 암(222)에 외력이 인가되면, 제2 지지 암(222)은 제2 수용 공간(223)의 더 많은 부분을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형상 변형된 제2 지지 암(222)은 전방 측 및 우측뿐만 아니라 후방 측에서도 제2 수용 공간(223)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지지 암(222)은 제1 지지 암(221)과 연속된다. 제2 지지 암(222)은 제1 지지 암(221)과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우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지지 암(222)은 제1 지지 암(221)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지지 암(222)의 연장 길이는 제2 수용 공간(223)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W)를 모두 지지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 암(222)은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암(222)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지지 암(222)의 상기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제1 결합부(210)의 지지 윙(211, 212)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암(222)은 제2 수용 공간(223)을 사이에 두고 제1 지지 암(221)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지지 암(222)은 제1 지지 암(221)과 함께 형상 변형되어 제2 수용 공간(223)의 개방된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둘러싼다.
제2 수용 공간(223)은 도선 부재(W)가 수용되는 다른 공간이다. 제2 수용 공간(223)은 제1 지지 암(221) 및 제2 지지 암(222)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수용 공간(223)은 그 좌측이 제1 지지 암(221)에, 그 우측이 제2 지지 암(222)에 둘러싸인다.
또한, 제1 결합부(210)가 형상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몸체부(100)에 반대되는 제2 수용 공간(22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작업자는 개방 형성된 상기 일측을 통해 도선 부재(W)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2 수용 공간(223)의 부피는 가변될 수 있다. 이는 제1 지지 암(221) 및 제2 지지 암(222)에 외력이 인가되어, 제1 지지 암(221) 및 제2 지지 암(222)의 형상 변형에 의해 달성된다.
도선 부재(W)가 수용된 후 제1 지지 암(221) 및 제2 지지 암(222)이 서로를 향해 가압되면, 개방 형성된 상기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제2 수용 공간(223)에 수용된 도선 부재(W)의 수평 방향, 즉 전방 측, 후방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수용 공간(223)은 제1 수용 공간(213)과 연통된다. 제2 수용 공간(223)에 수용된 도선 부재(W)는 제1 수용 공간(21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결합부(210)를 향하는 제2 수용 공간(22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개방 형성된다.
제1 결합부(210)에 반대되는 제2 수용 공간(223)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된다. 제2 수용 공간(223)에 수용된 도선 부재(W)는 터미널 구조체(10)의 외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수용 공간(223)은 제1 지지 암(221) 및 제2 지지 암(222)이 형상 변형된 이후에도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이 개방 형성된다.
통전 부재(300)는 도선 부재(W)와 결합, 통전된다. 통전 부재(300)는 몸체부(100)를 통해 직류 릴레이(40) 및 버스바(50)와 통전된다. 도선 부재(W)는 통전 부재(300)를 통해 직류 릴레이(40) 및 버스바(50)와 통전될 수 있다.
통전 부재(300)는 도선 부재(W), 직류 릴레이(40) 및 버스바(50) 사이에서 통전되는 전류의 크기 또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온도 등을 감지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통전 부재(300)는 전류 또는 전압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전 부재(300)는 몸체부(100)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 부재(300)는 몸체부(10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 부재(300)는 연장부(110)의 하측 단부, 즉 제2 연장부(112)의 일 단부와 결합된다.
통전 부재(300)는 몸체부(100)와 통전된다. 이에 따라, 통전 부재(300)에 결합된 도선 부재(W) 또한 몸체부(100)와 통전될 수 있다.
통전 부재(300)는 도선 부재 결합부(200)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 부재(300)는 도선 부재 결합부(20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 부재(300)는 제1 결합부(210)의 상측 단부와 결합된다.
통전 부재(30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통전 부재(30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몸체부(100)와 연속된다. 통전 부재(30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도선 부재 결합부(200)와 연속된다.
통전 부재(300)의 내부에는 상술한 전류 또는 전압 센서, 온도 센서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전 부재(300)는 상기 센서들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 요소 및 도선 부재(W)와 결합되기 위한 구성 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 부재(300)의 내부에는 써미스터(thermistor)가 수용되어, 외부의 장치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 부재(300)는 통전 몸체(310), 도선 부재 통전부(320) 및 통전 연장부(330)를 포함한다.
통전 몸체(310)는 통전 부재(300)의 몸체를 형성한다. 통전 몸체(3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술한 전류 또는 전압 센서, 온도 센서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통전 몸체(310)의 상기 공간은 외부와 통전된다. 이에 따라, 통전 몸체(3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류 또는 전압 센서, 온도 센서 등은 외부의 도선 부재(W) 및 몸체부(100)와 통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선 부재(W) 및 몸체부(100)는 통전 몸체(310)의 외면에 관통되어 통전 몸체(310)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통전 몸체(310)의 내부에는 도선 부재(W)와 몸체부(100)를 통전시키기 위한 임의의 부재, 예를 들면 다른 도선 부재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통전 몸체(310)는 상술한 센서들 또는 상기 임의의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 몸체(3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통전 몸체(310)는 몸체부(1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통전 몸체(31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몸체부(100)의 연장부(110), 구체적으로 제2 연장부(112)의 하측 단부와 결합된다.
통전 몸체(310)에는 도선 부재 통전부(320)가 형성된다. 이때, 도선 부재 통전부(320)는 도선 부재 결합부(200)를 향하는 통전 몸체(3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도선 부재 통전부(320)는 통전 몸체(310)의 하측에 형성된다.
도선 부재(W)는 도선 부재 통전부(320)에 결합되어, 통전 몸체(3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센서들 또는 상기 임의의 부재와 통전될 수 있다.
통전 몸체(310)는 통전 연장부(330)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통전 몸체(31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통전 연장부(330)의 상측 단부와 연속된다.
통전 몸체(310)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선 부재(W)는 도선 부재 통전부(320)를 통해 수용된 다양한 센서 및 몸체부(100)와 통전되면서도, 통전 몸체(310)의 외면과의 통전은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 구조체(10)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한 안전 사고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통전 몸체(310)는 전기 절연성 하우징으로 기능된다.
도선 부재 통전부(320)는 도선 부재(W)가 통전 부재(3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선 부재 통전부(320)는 도선 부재(W)와 결합 및 통전될 수 있다.
도선 부재 통전부(320)는 도선 부재(W)와 결합되어 통전 몸체(310)의 내부에 수용된 다양한 센서들 또는 임의의 부재와 통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선 부재 통전부(320)는 도선 부재(W)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개구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도선 부재(W)는 도선 부재 통전부(320)에 관통되어 통전 몸체(310)의 내부에 수용된 다양한 구성 요소와 결합, 통전될 수 있다.
도선 부재 통전부(320)는 통전 몸체(310)에 형성된다. 도선 부재 통전부(320)는 도선 부재 결합부(200)를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 몸체(310)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선 부재 결합부(200)에 결합된 도선 부재(W)의 단부가 도선 부재 통전부(32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통전 연장부(330)는 통전 몸체(310)와 연결되어, 통전 몸체(310)를 지지한다. 또한, 통전 연장부(330)는 통전 부재(300)가 도선 부재 결합부(2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통전 연장부(330)는 통전 몸체(310)와 같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통전 연장부(33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통전 몸체(310)의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통전 연장부(33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도선 부재 결합부(200)의 제1 결합부(210)의 상측 단부와 연속된다.
통전 연장부(330)에는 도선 부재(W)가 부분적으로 안착된다. 즉, 도선 부재(W)는 제1 결합부(210)에서 통전 연장부(330)를 가로질러 도선 부재 통전부(3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는 복수 개의 센서 또는 회로 등과 통전되기 위한 복수 개의 도선 부재(W)가 단수 개의 터미널 구조체(10)와 통전 및 결합될 수 있다. 단수 개의 터미널 구조체(10)는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 등과 결합, 통전될 수 있다.
고정 접점(42)이 제1 고정 접점(42a) 및 제2 고정 접점(42b)을 포함하여 복수 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10) 또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복수 개의 터미널 구조체(10)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W)와 각각 결합,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도선 부재(W)가 직류 릴레이(40), 버스바(50) 등과 통전되기 위해 요구되는 배선 구조가 간명해질 수 있다.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20)의 설명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2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20)는 몸체부(100), 도선 부재 결합부(200) 및 통전 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2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와 비교하였을 때, 몸체부(100)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상기 차이를 제외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2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와 그 구조, 기능 및 결합 구조가 동일하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몸체부(100)를 중심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2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몸체부(100)는 터미널 구조체(20)의 외형을 형성한다. 몸체부(100)는 터미널 구조체(20)가 직류 릴레이(40) 또는 버스바(5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몸체부(1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선 부재(W) 및 도선 부재(W)와 연결된 외부의 장치 등과 직류 릴레이(40) 및 버스바(50) 등을 서로 통전하기 위함이다. 즉, 도선 부재(W)는 몸체부(100)에 의해 직류 릴레이(40)의 고정 접점(42) 또는 버스바(50)와 통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구리(Cu,) 철(Fe)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판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형으로 구비된다.
몸체부(100)는 도선 부재 결합부(200)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를 통해 도선 부재 결합부(20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의 후방 측 단부가 통전 부재(300)와 결합된다.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와 결합된다. 또한,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와 통전된다. 통전 부재(300)는 도선 부재(W)와 결합, 통전되므로,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에 의해 도선 부재(W)와 결합, 통전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몸체부(100)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각 부분은 서로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직류 릴레이(40), 버스바(50) 및 통전 부재(300)와 각각 결합,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연장부(110), 헤드부(120) 및 결합 개구부(13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20)의 몸체부(100)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의 몸체부(100)에 구비되는 절곡부(140)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장부(110)는 절곡된 부분 없이 편평하게 연장된다.
연장부(110)는 몸체부(100)의 부분 중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110)는 전후 방향으로 편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110)는 판 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연장부(110)의 폭 방향의 길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는 몸체부(100)의 다른 부분의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20)는 몸체부(100)가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헤드부(120)는 몸체부(100)의 부분 중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헤드부(120)는 원판형으로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헤드부(12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의 헤드부(120)처럼 다각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버스바(50) 및 체결 부재(60)와 결합될 수 있을만큼 충분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20)는 연장부(110)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헤드부(120)는 그 후방 측 단부가 연장부(110)의 전방 측 단부와 연속된다.
헤드부(120)는 연장부(110)와 통전된다. 통전 부재(300) 및 이에 결합된 도선 부재(W)는 연장부(110)에 의해 헤드부(120)와 통전될 수 있다.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와 통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또는 버스바(50)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또는 버스바(50)를 덮으며 이들과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120)의 내부에는 결합 개구부(130)가 관통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130)는 체결 부재(60)가 관통되는 공간이다. 결합 개구부(130)는 헤드부(120)의 내부에, 헤드부(12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130)는 체결 부재(60)가 관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1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130)와 헤드부(120)는 같은 중심축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20)는 역시 복수 개의 센서 또는 회로 등과 통전되기 위한 복수 개의 도선 부재(W)가 단수 개의 터미널 구조체(10)와 통전 및 결합될 수 있다. 단수 개의 터미널 구조체(20)는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 등과 결합, 통전될 수 있다.
고정 접점(42)이 제1 고정 접점(42a) 및 제2 고정 접점(42b)을 포함하여 복수 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20) 또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복수 개의 터미널 구조체(20)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W)와 각각 결합,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도선 부재(W)가 직류 릴레이(40), 버스바(50) 등과 통전되기 위해 요구되는 배선 구조가 간명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직류 릴레이(40) 또는 버스바(50)의 구조에 기인하여 결합되는 부재가 편평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20)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에는 별도의 절곡부(140) 없이 연장부(110), 헤드부(120) 및 결합 개구부(130)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20)의 몸체부(100) 및 전체의 길이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의 몸체부(100) 및 전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20)는 터미널 구조체(20)의 설치 환경이 협소한 경우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4.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30)의 설명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3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30)는 몸체부(100), 도선 부재 결합부(200) 및 통전 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3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 20)와 비교하였을 때, 몸체부(100)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상기 차이를 제외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3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 20)와 그 구조, 기능 및 결합 구조가 동일하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30)는 몸체부(100)가 형상 변형되어, 고정 접점(42)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몸체부(100)를 중심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2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몸체부(100)는 터미널 구조체(30)의 외형을 형성한다. 몸체부(100)는 터미널 구조체(30)가 직류 릴레이(40) 또는 버스바(5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몸체부(100)는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선 부재(W) 및 도선 부재(W)와 연결된 외부의 장치 등과 직류 릴레이(40) 및 버스바(50) 등을 서로 통전하기 위함이다. 즉, 도선 부재(W)는 몸체부(100)에 의해 직류 릴레이(40)의 고정 접점(42) 또는 버스바(50)와 통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구리(Cu,) 철(Fe)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판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형으로 구비된다.
몸체부(100)는 도선 부재 결합부(200)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를 통해 도선 부재 결합부(20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의 후방의 하측 단부가 통전 부재(300)와 결합된다.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와 결합된다. 또한,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와 통전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통전 부재(300)는 도선 부재(W)와 결합, 통전된다. 따라서, 몸체부(100)는 통전 부재(300)에 의해 도선 부재(W)와 결합, 통전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몸체부(100)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각 부분은 서로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직류 릴레이(40), 버스바(50) 및 통전 부재(300)와 각각 결합,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연장부(110), 헤드부(120), 결합 개구부(130), 절곡부(140) 및 결합 돌출부(15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30)의 몸체부(100)는 고정 접점(42)과 몸체부(100)의 직접 결합을 위한 구조인 결합 돌출부(150)를 더 포함한다.
연장부(110)는 몸체부(100)의 부분 중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1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110)는 판 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연장부(110)의 폭 방향의 길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는 몸체부(100)의 다른 부분의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0)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각 부분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110)는 상대적으로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연장부(111) 및 제1 연장부(111)와 연속되며 상대적으로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연장부(112)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111)는 연장부(110)의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제1 연장부(111)는 제2 연장부(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연장부(111)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연장부(111)의 상기 일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헤드부(120)와 연속된다. 제1 연장부(111)의 상기 일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제2 연장부(112)와 연속된다.
제2 연장부(112)는 연장부(110)의 다른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형성한다. 제2 연장부(112)는 제1 연장부(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에 멀게 위치된다.
제2 연장부(112)는 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연장부(112)의 상기 타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제1 연장부(111)의 후방 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2 연장부(112)의 상기 타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통전 부재(300)와 연속된다.
제2 연장부(112)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연장부(111)와 연속된다. 즉, 제2 연장부(112)와 제1 연장부(111)가 연속되는 부분에는 절곡부(140)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헤드부(120)는 몸체부(100)가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헤드부(120)는 몸체부(100)의 부분 중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헤드부(120)는 원판형으로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헤드부(12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10)의 헤드부(120)처럼 다각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20)의 폭 방향의 길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제1 연장부(111)의 같은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버스바(50) 및 체결 부재(60)와 결합될 수 있을만큼 충분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20)는 연장부(110)의 제1 연장부(111)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헤드부(120)는 그 후방 측 단부가 제1 연장부(111)의 전방 측 단부와 연속된다.
헤드부(120)는 연장부(110)와 통전된다. 통전 부재(300) 및 이에 결합된 도선 부재(W)는 연장부(110)에 의해 헤드부(120)와 통전될 수 있다.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와 통전된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또는 버스바(50)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헤드부(120)는 고정 접점(42) 또는 버스바(50)를 덮으며 이들과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120)의 내부에는 결합 개구부(130)가 관통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130)는 체결 부재(60)가 관통되는 공간이다. 결합 개구부(130)는 헤드부(120)의 내부에, 헤드부(12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130)는 체결 부재(60)가 관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1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30)는 고정 접점(42)에 직접 결합되게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30)는 결합 개구부(130)에 고정 접점(42)이 삽입되는 형태로 직류 릴레이(4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130)의 단면은 고정 접점(42)의 단면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1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는 바, 그 직경이 고정 접점(42)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개구부(130)를 둘러싸는 헤드부(120)의 내주에는 결합 돌출부(150)가 구비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절곡부(140)는 연장부(110)의 제1 연장부(111)와 제2 연장부(112)가 연속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111)와 제2 연장부(112)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절곡부(140)가 형성된다.
절곡부(140)는 직류 릴레이(40)의 외함(41)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30)가 결합되는 외함(41)의 상측 부분의 외면은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절곡부(140)의 형상 또한 제1 연장부(111)와 제2 연장부(112)를 수직하게 연속시키도록 90°만큼 절곡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150)는 결합 개구부(130)에 수용된 고정 접점(42)과 접촉되어 고정 접점(42)을 지지한다. 결합 돌출부(150)에 의해, 고정 접점(42)은 기 설정된 각도로만 결합 개구부(130)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0 및 터미널 구조체(30)와 고정 접점(42)의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150)는 헤드부(12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출부(150)는 결합 개구부(130)를 둘러싸는 헤드부(120)의 내면에서 결합 개구부(13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결합 돌출부(150)는 헤드부(120)의 상기 내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출부(150)는 헤드부(120)의 상기 내면 중 연장부(110)를 향하는 일 측, 즉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42)은 지렛대의 원리(principle of lever)에 의해 결합 돌출부(150)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150)의 외측에는 슬릿(slit)이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출부(150)의 외측에는 헤드부(1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슬릿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결합 돌출부(150)는 상기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양 측면이 헤드부(120)의 상기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결합 돌출부(150)는 고정 접점(42)이 결합 개구부(130)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15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150)는 인가된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하고, 외력의 인가가 해제되면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150)는 고정 접점(42)을 지지하여 고정 접점(42)과 몸체부(100), 더 나아가 터미널 구조체(30)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결합 돌출부(150)는 고정 접점(42)이 결합 개구부(13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출부(150)는 제1 돌출부(151) 및 제2 돌출부(152)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151)는 결합 돌출부(150)가 헤드부(120)와 연속되는 부분이다. 제1 돌출부(151)는 헤드부(120)의 상기 내면, 즉 결합 개구부(130)를 둘러싸는 면에서 결합 개구부(130)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돌출부(151)는 헤드부(120)의 상기 내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돌출부(151)는 헤드부(120)의 상기 내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돌출부(151)는 연장부(110)의 제1 연장부(111)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51)의 연장 방향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제2 돌출부(152)와 연속된다. 제1 돌출부(151)와 제2 돌출부(152)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제2 돌출부(152)는 결합 돌출부(150)가 고정 접점(42)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제2 돌출부(152)는 고정 접점(42)을 지지하여, 몸체부(100)와 고정 접점(42)의 임의 분리를 방지한다. 고정 접점(42)은 제2 돌출부(152)에 지지되어 결합 개구부(130)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52)는 제1 돌출부(151)의 연장 방향의 상기 단부에서 결합 개구부(130)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2 돌출부(152)는 제1 돌출부(15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돌출부(152)는 제1 돌출부(151)와 예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부(152)는 고정 접점(42)이 결합 개구부(130)에 삽입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42)은 결합 돌출부(150)를 그 삽입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향해 가압하며 결합 개구부(1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돌출부(150)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고정 접점(42)이 결합 개구부(130)에 완전히 삽입되면, 결합 돌출부(150)는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때, 제2 돌출부(152)의 단부는 고정 접점(42)의 외주과 접촉되어 고정 접점(42)을 지지한다. 따라서, 고정 접점(42)은 결합 돌출부(150)를 가압하는 별도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고정 접점(42)은 결합 개구부(130)에서 임의 이탈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30)는 역시 복수 개의 센서 또는 회로 등과 통전되기 위한 복수 개의 도선 부재(W)가 단수 개의 터미널 구조체(10)와 통전 및 결합될 수 있다. 단수 개의 터미널 구조체(20)는 고정 접점(42) 및 버스바(50) 등과 결합, 통전될 수 있다.
고정 접점(42)이 제1 고정 접점(42a) 및 제2 고정 접점(42b)을 포함하여 복수 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터미널 구조체(30) 또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복수 개의 터미널 구조체(30)는 복수 개의 도선 부재(W)와 각각 결합,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도선 부재(W)가 직류 릴레이(40), 버스바(50) 등과 통전되기 위해 요구되는 배선 구조가 간명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직류 릴레이(40) 또는 버스바(50)의 구조에 기인하여 고정 접점(42)과의 직접 결합 및 통전이 요구되는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조체(30)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접점(42)은 결합 돌출부(150)를 가압하며 결합 개구부(130)에 용이하게 삽입되되, 삽입된 이후에는 결합 돌출부(150)에 의해 그 외주가 지지된다. 이에 따라, 직류 릴레이(40)와 터미널 구조체(30)의 직접 결합이 용이하게 형성되고,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터미널 구조체 20: 터미널 구조체
30: 터미널 구조체 40: 직류 릴레이
41: 외함 42: 고정 접점
42a: 제1 고정 접점 42b: 제2 고정 접점
50: 버스바 51: 제1 버스바
52: 제2 버스바 60: 체결 부재
61: 제1 체결 부재 62: 제2 체결 부재
100: 몸체부 110: 연장부
111: 제1 연장부 112: 제2 연장부
120: 헤드부 130: 결합 개구부
140: 절곡부 150: 결합 돌출부
151: 제1 돌출부 152: 제2 돌출부
200: 도선 부재 결합부 210: 제1 결합부
211: 제1 지지 윙 212: 제2 지지 윙
213: 제1 수용 공간 220: 제2 결합부
221: 제1 지지 암 222: 제2 지지 암
223: 제2 수용 공간 300: 통전 부재
310: 통전 몸체 320: 도선 부재 통전부
321: 제1 통전부 322: 제2 통전부
330: 통전 연장부 1000: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
1100: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바 1200: 종래 기술에 따른 도선 부재
1210: 제1 도선 부재 1220: 제2 도선 부재
1230: 제3 도선 부재 1300: 종래 기술에 따른 지지 부재
1310: 제1 지지 부재 1320: 제2 지지 부재
1330: 제3 지지 부재 1400: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 부재
W: 도선 부재 W1: 제1 도선 부재
W2: 제2 도선 부재

Claims (15)

  1. 외부의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외부의 장치 및 복수 개의 도선 부재와 각각 통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를 지지하는 도선 부재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도선 부재 결합부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와 각각 통전되는 통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선 부재 결합부는,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를 수용하는 공간 및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지지 윙(wing)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지지 윙은 연성(ductility)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수용된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를 둘러싸도록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게 구성되는,
    터미널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 부재 결합부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 윙 및 복수 개의 상기 지지 윙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1 수용 공간을 포함하여,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의 연장 방향의 일 부분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복수 개의 지지 암(arm) 및 복수 개의 상기 지지 암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여,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의 연장 방향의 다른 부분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지지 암은 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수용된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의 상기 다른 부분을 둘러싸도록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게 구성되는,
    터미널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복수 개의 상기 도선 부재는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각각 수용되며 연장되는,
    터미널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통전 부재와 상기 외부의 장치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외부의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와 연속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외부의 장치와 결합되는 체결 부재가 관통되는 결합 개구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장치는 직류 릴레이(DC relay)인,
    터미널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헤드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으로 형성되는,
    터미널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연속되며, 상기 헤드부와 같은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타 단부와 연속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가 상기 헤드부와 연속되고, 그 연장 방향의 타 단부가 상기 통전 부재와 연속되며, 상기 헤드부와 같은 평면 상에서 연장 형성되는,
    터미널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상기 도선 부재 결합부 및 상기 통전 부재는 일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터미널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일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외부의 장치와 결합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외부의 장치의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 개구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결합 개구부를 둘러싸는 상기 헤드부의 내면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 개구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부의 장치의 상기 일부의 외주를 지지하게 구성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기 내면에서 상기 결합 돌출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단부와 연속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부의 장치의 상기 일부의 상기 외주와 접촉되게 구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장치의 상기 일부는 일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 개구부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터미널 구조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기 내면 중 상기 통전 부재를 향하는 일 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터미널 구조체.
KR1020220002034A 2022-01-06 2022-01-06 터미널 구조체 KR20230106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034A KR20230106299A (ko) 2022-01-06 2022-01-06 터미널 구조체
PCT/KR2023/000075 WO2023132600A1 (ko) 2022-01-06 2023-01-03 터미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034A KR20230106299A (ko) 2022-01-06 2022-01-06 터미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299A true KR20230106299A (ko) 2023-07-13

Family

ID=8707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034A KR20230106299A (ko) 2022-01-06 2022-01-06 터미널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6299A (ko)
WO (1) WO202313260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87Y1 (ko) 2008-12-18 2013-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장착구조
KR101313744B1 (ko) 2011-03-28 2013-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320B1 (ko) * 2002-05-17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링 터미널의 체결구조
KR20100118437A (ko) * 2009-04-28 2010-11-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US20160146900A1 (en) * 2014-11-24 2016-05-26 Hyundai Mobis Co., Ltd. Battery sensor assembly for vehicle
KR102522607B1 (ko) * 2016-07-07 2023-04-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센서 모듈의 결합구조
KR102105469B1 (ko) * 2018-12-03 2020-04-29 엘에스일렉트릭(주) 누전 차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87Y1 (ko) 2008-12-18 2013-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장착구조
KR101313744B1 (ko) 2011-03-28 2013-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차단 유닛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600A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6611A (en) Fuse assembly
CN110323105A (zh) 继电器
JP6183701B2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ジブルリンク
JP2017135799A (ja) 電子部品ユニット、及び電気接続箱
KR20160134773A (ko) 열적 안전 스위치
US7713070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2019003754A (ja) クランプ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
JP2002369337A (ja) 保護機能付きの電気接続箱
JP4687552B2 (ja) 一体型ヒューズ
JP2011227000A (ja) 配線材の接続構造
EP1139372B1 (en) Fuse assembly
KR20230106299A (ko) 터미널 구조체
US8231404B2 (en) Electronic connection box
JP2016018613A (ja) 端子接続構造
US10879680B2 (en) Cable extra length absorbing structure and bus bar module
US20190312391A1 (en) Plug Connector Module Having Spring Links
CN102446637A (zh) 带有插入式端子装置的低压开关
US20130087438A1 (en)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a Mechanical Position Into an Electric State
JP7160708B2 (ja) クリップ部接続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8899234B (zh) 具有熔断保护功能的直流接触器
JP4412147B2 (ja) 電気部品装置
US6383037B2 (en) Safety disconnector
CN115088052A (zh) 低剖面集成熔断器模块
JP4574117B2 (ja) プラグイン接触子及びバスダクト分岐構造
JP2000209739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回路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