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641B1 - 청소구 - Google Patents

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641B1
KR101308641B1 KR1020087008393A KR20087008393A KR101308641B1 KR 101308641 B1 KR101308641 B1 KR 101308641B1 KR 1020087008393 A KR1020087008393 A KR 1020087008393A KR 20087008393 A KR20087008393 A KR 20087008393A KR 101308641 B1 KR101308641 B1 KR 101308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air
cleaning article
holding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894A (ko
Inventor
미노루 와다
히로유키 야나기다
케이마 타카바야시
히데사토 키자키
토모히사 히라타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33Household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in the house or dishes

Abstract

피삽입부를 가지는 청소용 물품(10)과 상기 피삽입부(15)에 삽입하여 물품(10)을 장착하는 손잡이구(20)로 이루어지며, 물품(10)의 피삽입부(15)는 그 일단에 형성된 삽입용 개구부와 타단의 도중에 피삽입 맞붙임부(18)가 마련되고, 손잡이구(20)는 파지부(21)와 상기 파지부(2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22)와 물품(10)의 삽입용 개구부 근방을 유지하는 유지부(24)를 가지며, 삽입부(22)는 피맞붙임부(18)와 맞붙을 때까지 실질적으로 장해 없이 삽입되고, 상기 피맞붙임부(18)와 맞붙는 맞붙임 위치로부터 앞으로의 삽입을 규제하는 손잡이구 맞붙임부(23)를 가지며, 삽입부(22)가 피삽입부(15)에 삽입되어 있으며, 유지부(24)로 물품(10)이 유지되었을 때에,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유지부(24) 사이의 물품(10)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억제되어 있다.
청소구, 손잡이구, 삽입부, 피삽입부, 피삽입 맞붙임부, 손잡이구 맞붙임부

Description

청소구{CLEANING TOOL}
본 발명은 손잡이와 청소용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잡이구와 청소용 물품을 가지며, 손잡이구를 청소용 물품의 피삽입부 내에 삽입하여 장착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는 청소구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청소구는 손잡이구를 손으로 잡고 청소가 행해지는 것으로, 청소용 물품의 쇄모부(刷毛部) 등을 청소 대상면에 대는 힘 가감의 조절이 용이하여, 조작성이 향상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구를 잡고 청소 작업시에, 청소용 물품이 손잡이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청소용 물품의 피삽입부의 폭을 손잡이구의 삽입부보다도 좁게 한 청소구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청소구에서는, 손잡이구를 피삽입부에 넣기 어려워지며, 청소구의 사용후에 손잡이구를 피삽입부로부터 빼내기 어려워진다. 한편, 손잡이구의 삽입부의 폭보다도, 청소용 물품의 피삽입부의 폭을 넓게 하면, 손잡이구를 피삽입부에 삽입하기 쉬워지지만, 동시에 손잡이구가 피삽입부로부터 빠지기 쉬워져, 청소용 물품이 청소 작업중에 손잡이구로부터 빠져, 트러블을 일으키고 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잡이구의 삽입부의 탄성 변형을 이용 하여, 손잡이구를 청소용 물품의 피삽입부에 넣기 쉽게 되어 있는 청소구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손잡이구와 청소용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청소구로서, 손잡이구는 청소용 물품의 피삽입부에 삽입되는 합성수지제의 한쌍의 끼움판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각 끼움판의 외측부에 2개의 볼록부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청소용 물품은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피삽입부가 형성되어, 피삽입부의 길이방향의 중앙영역에 용착선(溶着線)에 의한 좁은 내폭부(內幅部)가 형성되어 있는 청소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청소구는 손잡이구에 있어서의 한쌍의 끼움판이 피삽입부에 삽입되면, 한쌍의 끼움판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볼록부가 용착선에 소면적으로 슬라이딩한 후에 2개의 볼록부 사이에 좁은 내폭부가 끼워진 상태로 손잡이구가 청소용 물품에 고정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3-26539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청소구에 의하면, 한쌍의 끼움판의 바깥 가장자리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피삽입부에는, 볼록부가 형성된 부분의 끼움판 전체의 가로폭보다도 좁은폭이 되도록 용착선을 형성한 좁은폭 영역이 있다. 이 때문에, 손잡이구의 끼움판을 피삽입부에 삽입할 때에, 볼록부가 상술의 용착선을 넘도록 하여 삽입시켜서 빠지지 않게 하기 때문에, 볼록부가 형성된 끼움판의 부분과 피삽입부의 좁은폭 영역 사이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당한 부하가 발생하여, 볼록부가 피삽입부 내에서 걸리거나, 끼움판을 휘게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피삽입부가 파손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피삽입부를 가지는 청소용 물품과, 상기 피삽입부에 삽입하여 청소용 물품을 장착하는 손잡이구로 이루어지는 청소구로서, 상기 청소용 물품의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손잡이구의 삽입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용 개구부와 타단의 도중 영역에 피삽입 맞붙임부(counter bumping portion)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구는 파지부(把持部)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청소용 물품의 상기 피삽입부에 삽입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상기 피삽입부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청소용 물품의 상기 삽입용 개구부 근방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구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청소용 물품의 상기 피삽입부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피삽입 맞붙임부와 맞붙을 때까지 실질적으로 장해 없이 삽입되고, 상기 피삽입 맞붙임부와 맞붙는 맞붙임 위치로부터 앞으로의 상기 삽입부의 그 이상의 삽입을 규제하는 손잡이구 맞붙임부(bumping portion)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가 상기 피삽입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로 상기 청소용 물품이 유지되었을 때에, 상기 손잡이구 맞붙임부와 상기 유지부 사이의 상기 청소용 물품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억제되어 있는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소구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청소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제1실시형태의 청소구에 있어서의 손잡이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제1실시형태의 청소구에 있어서의 손잡이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c는 제1실시형태의 청소구에 있어서의 손잡이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형태의 청소구의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한쌍의 피장착용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한쌍의 피장착용 시트에 손잡이가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청소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청소구의 제2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한쌍의 장착용 시트에 손잡이구가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는 제3실시형태의 청소구에 있어서의 손잡이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제3실시형태의 청소구에 있어서의 손잡이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c는 제3실시형태의 청소구에 있어서의 손잡이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손잡이구의 삽입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손잡이구가 한쌍의 장착용 시트에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나타내는 손잡이구의 삽입부를 청소용 물품의 피삽입부에 삽입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나타내는 손잡이구의 삽입부로부터 청소용 물품을 빼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청소구의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잘록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청소구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한쌍의 장착용 시트에 손잡이구가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청소구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한쌍의 장착용 시트에 손잡이구가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청소구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한쌍의 장착용 시트에 손잡이구가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청소구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손잡이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청소구의 또 하나의 다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에 있어서의 손잡이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청소구(1)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삽입부(15)를 가지는 청소용 물품(10)과, 상기 피삽입부(15)에 삽입하여 청소용 물품(10)을 장착하는 손잡이구(2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있어서, 장착용 시트(13a,13b)를 가지고 있으며, 피삽입부(1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가 서로 겹쳐져서 접합되어 형성되며, 손잡이구(20)는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21)와, 상기 파지부(2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피삽입부(15)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22)와, 삽입부(22)를 피삽입부(15)에 삽입했을 때에 청소용 물품(10)의 삽입용 개구부 근방을 유지하는 유지부(24)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구(20)의 삽입부(22)는 청소용 물품(10)의 피삽입부(15)에 삽입했을 때에, 피삽입 맞붙임부(18)와 맞붙을 때까지 실질적으로 장해 없이 삽입되고, 상기 피삽입 맞붙임부(18)와 맞붙는 맞붙임 위치로부터 앞으로의 상기 삽입부(22)의 그 이상의 삽입을 규제하는 손잡이구 맞붙임부(23)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삽입부(22)는 파지부(21)측의 기부(基部)(22a)로부터 선단부(22b)로 향하는 도중 영역에 손잡이구 맞붙임부(2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피삽입부(15)는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용 개구부와 타단의 도중 영역에 피삽입 맞붙임부(1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삽입부(22)가 피삽입부(15)에 삽입되어 있고, 유지부(24)로 청소용 물품(10)이 유지되었을 때에,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유지부(24) 사이의 청소용 물품(10)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억제되어 있다.
"청소용 물품(10)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억제되어 있다"는 것은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유지부(24) 사이에 있어서의 청소용 물품(10)의 이동이 완전히 발생하지 않는 경우, 및, 상세는 후술하지만, 청소용 물품(10)의 삽입용 개구부 근방과 손잡이구(20)의 유지부(24) 사이의 여유 정도로는 청소용 물품(10)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각각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대하여, 이하에 더 설명한다. 손잡이구 맞붙임부(23)는 삽입부(22)의 파지부(21)측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하는 도중에 상기 삽입 부(22)의 폭 또는 단면적이 작아지는 영역에 의해 형성되고,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보다도 선단측은 피삽입 맞붙임부(18)에 삽통 가능하며, 피삽입 맞붙임부(18)의 폭 또는 단면적 이하로 형성되고,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보다도 파지부(21)측은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의 폭 또는 면적 이하로 형성되며, 피삽입 맞붙임부(18)보다도 큰 폭 또는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청소구(1)는 손잡이구(20)의 삽입부(22)를 피삽입부(15)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용 개구부로부터 삽입했을 때에,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피삽입 맞붙임부(18)가 맞붙어, 맞붙임 위치로부터 앞으로의 상기 삽입부(22)의 그 이상의 삽입이 규제된다. 피삽입 맞붙임부(18)는 피삽입부(15)의 내측에 마련되고,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맞붙는 부분으로서, 손잡이구 맞붙임부(23)는 피삽입 맞붙임부(18)와 맞붙어 삽입부(22)의 삽입방향 및 그 수직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삽입부(22)의 파지부(21)측인 기부(22a)로부터 선단부(22b)로 향하는 도중에 폭이나 굵기(단면적)가 작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손잡이구 맞붙임부(23)는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단차(段差)부로서,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서 선단부(22b)까지의 영역의 폭 또는 굵기가, 손잡이구 맞붙임부(23)보다 기부(22a)측의 삽입부(22)의 폭 또는 굵기보다도 작게 형성되며,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의 폭 또는 굵기는 삽입부(22)의 선단으로부터 기부까지를 삽입할 수 있는 폭 또는 굵기로 되어 있다(삽입부(22)의 최대폭 또는 최대 단면적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 큼).
피삽입부(15)는 장착용 시트(13a,13b)가 서로 겹쳐져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를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피삽입 맞붙임부(18)는 피삽입부(15)의 내부에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마련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용 개구부와 타단의 도중 영역에서 폭 또는 굵기가 작아지는 부분, 예를 들면 잘록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삽입 맞붙임부(18)는 삽입부(22)가 삽입되는 피삽입부(15)에 있어서의 삽입용 개구부의 폭 또는 면적보다 작은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삽입 맞붙임부(18)로서의 잘록부는 삽입부(22)를 피삽입부(15)에 삽입했을 때에,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맞붙어,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를 경계로 선단부(22b)측은 피삽입 맞붙임부(18)보다도 앞으로 실질적으로 장해 없이 삽입할 수 있지만, 기부(22a)측을 삽입할 수 없는 좁은 폭 또는 가늘게(작은 면적)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장해 없이 삽입한다는 것은 삽입의 도중에 삽입에 필요한 힘이 극단적으로 증가하여 힘을 가해서 삽입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대체로 같은 힘으로 삽입할 수 있거나, 또는 삽입부(22)를 휘게 하거나 변형시키거나, 장착용 시트(13a,13b)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삽입하거나, 장착용 시트(13a,13b)를 늘려서 삽입하는 과정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삽입 맞붙임부(18)의 폭 또는 단면적이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보다 선단부(22b)측의 최대폭 또는 단면적과 거의 동등하거나, 넓거나 또는 큼으로써, 삽입부(22)를 삽입하는데 실질적으로 장해가 없다. 구체적으로는,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보다 선단부(22b)측은 피삽입 맞붙임부(18)에 걸리는 요철 없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있어서의 손잡이구(20)에 대하여 더 설명하면, 삽입부(22)는 도 3a~도 3c 및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편평한 판형상을 하고 있다. 삽입부(22)는 2매의 장착용 시트(13a,13b)에 의해 형성되는 피삽입부(15)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청소구(1)는 일반 가정용으로 이용되는 경우, 손잡이구(20)에 있어서의 삽입부(22)의 치수는 길이가 120~200㎜, 폭이 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구(20)에 있어서의 삽입부(22)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기부(22a)에서 손잡이구 맞붙임부(23)까지의 범위에서 폭이 거의 일정하고,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 있어서 폭이 좁아지며,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서 선단부(22b)까지의 범위에서 폭이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삽입부(22)는 도중에 가늘게 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평면으로 본 형상이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거의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구 맞붙임부(23)로서의 한쌍의 단차부 각각의 각부(角部)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따기되어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어, 삽입부(22)를 부드럽게 피삽입부(15)로 삽입하거나 또는 빼낼 수 있다.
삽입부(22)는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 있어서 후술하는 피삽입부(15)의 피삽입 맞붙임부(18)로서의 잘록부와 맞붙어, 맞붙임 위치로부터 앞의 피삽입부(15) 내로 그 이상의 삽입이 규제된다.
손잡이구 맞붙임부(23)로서의 한쌍의 단차부의 양측부가 그보다 선단부(22b)의 영역보다도 튀어나온 폭(W1)(도 3b 참조)은 삽입부(22)의 좌우에 있어서 같다. 손잡이구 맞붙임부(23)로서의 단차부의 폭(W1)은 1~10㎜, 특히 2~7㎜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W1)이 1㎜이상인 것이 손잡이구(20)가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피삽입 맞붙임부(18)가 맞붙어, 맞붙임 위치보다 피삽입부(15) 내로 그 이상의 삽입이 확실하게 규제되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폭(W1)이 10㎜이하인 것이 손잡이구(20)를 피삽입부(15)에 삽입할 때에, 손잡이구(20)가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에 걸리지 않으면서 손잡이구(20)의 삽입부(22)의 강성(剛性)을 확보하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22)에 있어서,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서 선단부(22b)까지의 부분의 폭(W2)(도 3b 참조)이 손잡이구 맞붙임부(23)의 폭(W3)(도 3b 참조)에 대하여, 50~95%, 특히 70~90%인 것이 같은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손잡이구(20)에 대하여 더 설명하면, 손잡이구(20)에 있어서의 삽입부(22)의 기부(22a) 근방에는, 청소용 물품(10)을 유지하는 유지부(24)로서 후크부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부(24)는 삽입부(21)와 파지부(22)의 경계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유지부(24)로서의 후크부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을 파지부(21)측을 향하여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유지부(24)는 삽입부(22)를 피삽입부(15)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수단(19)으로서의 절삭홈과 걸어 맞춰짐으로써 손잡이구(20)에 청소용 물품(10)을 유지하여, 유지부와 손잡이구 맞붙임부(23) 사이의 청소용 물품(10)의 이동을 억제하고 있다.
손잡이구(20)에 있어서, 파지부(21)와 삽입부(22)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삽입부(22)가 이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 로써, 삽입부(22)에 가요성(可撓性)이 부여되어, 곡면이나 요철을 가지는 청소 대상면을 청소한 경우에 청소용 물품(10)이 청소 대상면에 추종하기 쉬워져, 먼지의 제거효율이 높아진다.
삽입부(22)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 중앙부에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삽입부(22)의 강성을 낮추고 가요성이 높아진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 중앙부에 두꺼운 부분을 형성하면, 두꺼운 부분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을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적당한 가요성을 부여하면서, 청소 대상면을 청소했을 때에 얇은 부분을 좁은 틈에 넣을 수 있다.
또한, 삽입부(22)의 선단부(22b)는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어, 삽입부(22)를 피삽입부(15)에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는 삽입부(22)의 기부(22a)와 선단부(22b) 사이의 도중 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면 되는데, 유지부(24)로부터 삽입부(22)의 선단과의 사이의 중간부, 또는, 삽입부(22)의 중앙보다 선단부(22b)쪽이며, 유지부(24)에서 손잡이구 맞붙임부(23)까지의 거리보다도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서 선단까지의 거리가 짧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치에 피삽입 맞붙임부(18)를 마련함으로써, 예를 들면, 청소용 물품(10)의 피삽입부(15)의 중앙부에 피삽입 맞붙임부(18)가 형성된 경우에는, 손잡이구 맞붙임부(23)보다도 선단측에서는, 삽입부(22)의 선단이 피삽입부(15) 내에 완전하게 숨겨진 상태가 되어, 청소시에 삽입부(22)의 선단이 직접 청소 대상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삽입부(2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피삽입부(15)의 선단부분을 유연하게 청소 대상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삽입부(22)의 피삽입 맞붙임부(18)는 도 3a~도 3c 및 도 15a에 나타내는 단차형상을 채용하는 것 외에,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중이 연속적으로 가늘어진 영역, 예를 들면 테이퍼형상을 채용해도 된다. 이 형상이어도, 가늘어진 부분의 일부가 피삽입 맞붙임부(18)가 되고, 도 15b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삽입부(22)의 양측 2점이 피삽입 맞붙임부(18)가 되어, 유지부(24)에 의한 청소용 물품(10)과의 걸어맞춤 1점을 합하여 합계 3점으로 청소용 물품(10)이 삽입부(22)에 유지된다.
삽입부(22)의 탄성치는 5~60㎜, 특히 20~50㎜인 것이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22)가 적당한 가요성을 가지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삽입부(22)의 탄성치를 5㎜이상으로 함으로써, 청소용 물품을 적당한 탄력으로 청소 대상면에 댈 수 있다. 한편, 삽입부(22)의 탄성율을 60㎜이하로 함으로써, 삽입부(22)를 청소 대상면에 댔을 때에 삽입부(22)를 상기 대상면에 추종하도록 적당하게 휘게 할 수 있다.
삽입부(22)의 탄성치의 측정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행할 수 있다. 삽입부(22)의 근원을 단단히 고정하고, 그보다 선단부(22b)측의 영역은 하면에 지지가 없는 상태로 하여, 하중을 가하면 휘게 된다. 그 상태로 한 후에 선단부에 200g의 추를 매달아 선단부의 휜 양을 측정하여, 그 값을 탄성치로 한다.
또한, 파지부(21)의 강성치는 10㎜이하, 특히 5㎜이하인 것이 가요성을 가지는 삽입부(22)를 청소 대상면에 확실하게 대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파지부(21)의 강성치의 측정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행할 수 있다. 파지부(21)의 삽입부(22)측의 근원을 단단히 고정하고, 그보다 선단의 영역은 하면에 지지가 없는 상태로 하여, 하중을 가하면 휘게 된다. 그 상태로 한 후에 선단부에 300g의 추를 매달아 선단부의 휜 양을 측정하여, 그 값을 강성치로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있어서의 청소용 물품(10)에 대하여 더 설명하면, 청소용 물품(1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층의 섬유층(11a,11b,11c,11d)을 구비하고 있으며, 쓰레기, 먼지 등의 포착성이 높은 것이다. 청소용 물품(10)은 섬유다발로 이루어지는 4층의 섬유층(11a~11d)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가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청소용 물품(10)은 장착용 시트(13a,13b)의 상하 각각에 2개의 섬유층을 가지고 있으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섬유층(11a~11d)에 있어서의 섬유다발이 보풀이 일어, 청소용 물품(10)의 전체의 형상이 대체로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원기둥형상의 청소용 물품(10)은 섬유다발의 섬유단이 존재하는 바깥 가장자리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고, 즉 섬유단에 의한 포락(包絡)면적이 증가하므로 그 포집효과가 높아진다. 섬유층(11a~11d)을 보풀이 일게 하려면, 예를 들면 상기 섬유층에 에어를 불어넣어 섬유다발의 보풀이 일게 한다.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의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 각각은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이며, 그 길이방향은 청소용 물품(10)의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은 피삽입부(15)를 1개 가지고 있다. 피삽입부(15)는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를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접합영역(16a,16b)으로 접합함으로써 형성되고, 2개의 접합영역(16a,16b)은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고 있다. 이 2개의 접합영역(16a,16b)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용 시트(13a,13b)의 폭방향으로 이간하여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도 4에 있어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피삽입부(15)에 있어서, 각 접합영역(16a,16b)은 복수의 접합부(17)가 상기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에, 즉, 장착용 시트(13a,13b)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는 대체로 평행한 한쌍의 가상선을 따라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접합부(17)는 그 평면으로 본 형상이 타원형상이며, 그 장축방향을 장착용 시트(13a,13b)의 길이방향과 일치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17)는 히트실 등에 의한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합수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가 열융착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부(17)를 형성하는 것이 간편하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피삽입부(15)는 손잡이구(20)의 삽입부(22)가 삽입되는 삽입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늘어선 접합부(17)에 의해, 서로 겹쳐진 장착용 시트(13a,13b)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접합영역(16a,16b)에 있어서, 접합부(17)와 인접하는 접합부(17)와의 사이의 부분에서는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접합영역(16a,16b)을 불연속적인 접합부(17)로 형성하면, 장착용 시트(13a,13b)는 그 길이방향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청소 대상면을 따라 추종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 각각에 접합되어 있는 섬유층도, 청소 대상면을 따라 추종하기 쉬워지므로, 청소용 물품(10)의 쓰레기, 먼지 등의 포착효과가 높아진다.
특히,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구(20)가 피삽입부(15)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22)의 피삽입 맞붙임부(18)보다 선단부(22b)측에서는, 각 접합영역(16a,16b)과 삽입부(22)의 옆 가장자리가 이간하고 있으므로, 피삽입 맞붙임부(18)보다 선단영역의 청소용 물품(10)은 가로방향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즉, 청소 작업시에 손잡이구(20)를 이동시킨 경우에도, 청소 대상면에 청소용 물품(10)이 유연하게 따라서 추종하므로, 청소용 물품(10)의 선단부 영역의 쓰레기, 먼지 등의 포착효과가 높아진다.
각 접합영역(16a,16b)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접합부(17)끼리의 간격은 10~30㎜, 특히 15~25㎜인 것이 상술한 효과를 얻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피삽입부(15)에 있어서, 접합영역(16a)과 접합영역(16b)은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의 폭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며, 그 폭은 삽입부(22)에 있어서의 기부(22a)로부터 손잡이구 맞붙임부(23)까지의 영역의 폭(W3)과 대체로 같거나 또는 그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다.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의 폭은 접합영역(16a)과 접합영역(16b) 사이의 길이이며, 상기 길이(W3과 거의 같음)가 삽입부(22)의 선단부(22b)의 폭(W2)에 대하여 상술한 범위 내에 있으면, 예를 들면 손잡이구(20)를 피삽입부(15)에 대하여 다소 비스듬하게 넣어도, 삽입부(22)가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에 걸리지 않고 삽입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구(20)를 피삽입부(15)에 삽입하기 쉬우면서 또한 빼기 쉽게 되어 있다.
접합부(16a,16b)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구(20)가 삽입되었을 때, 삽입부(22)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와 부분적으로 접하고, 상기 삽입부(22)가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의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규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피삽입부(1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용 물품(10)의 장착전, 즉 사용전에 있어서는,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가 겹쳐진 상태에 있지만, 상술한 손잡이구(20)를 삽입하면 장착용 시트(13a,13b)의 사이가 떨어져 편평한 통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청소용 물품(10)의 피삽입부(15)는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의 양단에 삽입용 개구부를 가지며, 어느 상기 삽입용 개구부로부터 삽입부(21)를 삽입해도 피삽입 맞붙임부(18)가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맞붙어, 손잡이구(20)에 마련된 유지부(24)로 청소용 물품(10)의 삽입용 개구부 근방을 유지 가능하다.
더 설명하면, 피삽입부(15)는 장착용 시트(13a,13b)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사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피삽입부(15)는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각각에 삽입용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며, 손잡이구(20)를 어느 삽입용 개구부로부터도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의 각각은 그 길이방향 양단부가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으로 꺾어 접혀져서 고정되어 있어, 양단부의 강성이 높아져 집기 쉽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손잡이구(20)를 청소용 물품(10)에 삽입할 때 또는 빼낼 때의 조작성이 향상하고 있다.
청소용 물품(10)의 피삽입부(15)의 피삽입 맞붙임부(18)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삽입부(15)에 있어서의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삽입 맞붙임부(18)는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는 한쌍의 맞붙임용 접합부(18a,18b)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맞붙임용 접합부(18a,18b) 각각은 그 평면으로 본 형상이 원형이며, 히트실 등에 의한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합수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가 열융착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융착에 의해 맞붙임용 접합부(18a,18b)를 형성하는 것이 간편하며 바람직하다.
각 맞붙임용 접합부(18a,18b)는 피삽입부(15)의 폭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되고, 그 간격은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서 선단부(22b)까지의 영역의 폭(W2)과 거의 같거나 또는 폭(W2)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다.
한쌍의 맞붙임용 접합부(18a,18b)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구(20)의 삽입부(22)를 피삽입부(15)에 삽입했을 때에,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맞붙을 때까지 부드럽게 삽입 가능하게 하고, 맞붙고 나서는 손잡이구 맞붙임부(23)보다 기부(22a)측의 삽입부(22)는 맞붙임용 접합부(18a,18b)보다 앞으로 삽입되지 않고, 즉, 피삽입부(15) 내로의 그 이상의 삽입을 규제한다. 손잡이구(20)를 피삽입부(15)에 삽입하여 청소용 물품(10)이 유지된 상태에서는, 삽입부(22)의 선단부(22b)는 피삽입부(15)의 손잡이구(20)를 삽입한 삽입용 개구부와는 반대측의 단부 부근에 위치하는데, 이 피삽입부(15)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 청소용 물품(10)의 삽입용 개구부 근방에는 유지부(24)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 수단(19)이 마련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 각각에 있어서의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 양단부에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구(20)의 유지부(24)로서의 후크부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 수단(19)으로서의 절삭홈이 마련되어 있다.
걸어맞춤 수단(19)으로서의 절삭홈은 직선상, 구멍, 곡선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コ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유지부(24)와 걸어 맞춰짐으로써, 장착용 시트(13a,13b)의 길이방향 내측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열리도록 되어 있다. 걸어맞춤 수단(19)이 유지부(24)에 걸어 맞춰지면, 손잡이구(20)는 피삽입부(15)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움직임, 특히 피삽입부(15)가 빠지는 방향에의 움직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삽입한 손잡이구(20)에 청소용 물품(10)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유지부(24)로서의 후크부가 걸어맞춤 수단(19)으로서의 절삭홈에 걸어 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후크부(24)는 절삭홈(19)에 밀접하게 걸어 맞춰져 있거나, 또는 소정의 여유를 가지고 걸어 맞춰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부(24)와 절삭홈(19)이 밀접하게 걸어 맞춰져 있을 경우에는,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유지부(24) 사이에 있어서의 청소용 물품(10)의 이동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한 걸어맞춤 수단(19)은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삽입부(15)를 어느 면을 상측으로 해도 손잡이구(20)에 유지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는 편평하고 통형상의 손잡이 삽입부(15)를 가지는 청소용 물품(10)과, 상기 손잡이 삽입부(15)에 삽입하여 장착되는 손잡이(20)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다. 피삽입부(1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13b)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구(20)는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21)와, 상기 파지부(2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피삽입부(15) 내에 삽입되는 판형상의 삽입부(22)로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22)는 기부(22a)로부터 그 선단부(22b)로 향하는 도중에 손잡이구 맞붙임부로서의 한쌍의 단차부(23,23)를 가지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단차부(23,23)에서 상기 선단부(22b)까지의 부분의 폭은 한쌍의 상기 단차부(23,23)에 있어서의 삽입부(22)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고, 피삽입부(15)의 입구의 폭은 선단부(22b)의 폭보다도 넓으면서 한쌍의 단차부(23,23)에 있어서의 삽입부(22)의 폭과 거의 같게 되어 있으며, 피삽입부(15)는 한쌍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13a,13b)가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접합영역(16a,16b)으로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상기 접합부(16a,16b)는 손잡이(20)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고 있으며, 손잡이 삽입부(15)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단차부(23,23)에 있어서의 삽입부(22)의 좁아진 폭을 가지는 피삽입 맞붙임부로서의 잘록부(18)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20)의 삽입방향은 청소용 물품(10)의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있고, 손잡이(20)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은 청소용 물품(10)의 폭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있어서, 청소용 물품(10)을 손잡이구(20)에 유지할 때에는, 예를 들면, 삽입부(22)를 손잡이구 맞붙임부(23)가 피삽입 맞붙임부(18)에 의해 그 이상의 삽입이 규제될 때까지, 피삽입부(15) 내에 삽입하고, 이어서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측의 단부를 잡고, 이 단부를 파지부(21)의 방향 위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걸어맞춤 수단(19)으로서의 절삭홈과 유지부(24)를 걸어 맞추어, 청소용 물품(10)을 손잡이구(20)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손잡이구(20)에 유지된 청소용 물품(10)을 빼낼 때에는, 예를 들면,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측의 단부를 잡고, 이 단부를 파지부(21) 방향의 위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걸어맞춤 수단(19)으로서의 절삭홈을 유지부(24)로부터 빼내고, 이어서 손잡이구(20)를 피삽입부(15)로부터 당겨 뽑음으로써, 손잡이구(20)를 청소용 물품(10)으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에 대하여, 더 설명하면, 섬유층(11a,11b,11c,11d)은 소정의 두께로 섬유다발이 한 방향으로 배향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섬유다발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용 물품(10)의 폭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섬유층(11a,11b)과 장착용 시트(13a)는 각 섬유층(11a,11b)에 있어서의 섬유의 배향방향이 장착용 시트(13a)의 길이방향과 거의 직교하여 적층되어 있다. 또한 섬유층(11a,11b) 및 장착용 시트(13a)는 그들 폭방향 중앙부를 일치시켜서 장착용 시트(13a)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접합되어 있다. 접합은 소정 폭을 가진 직선상의 접합라인(14)을 따라 행해진다. 접합라인(14)은 섬유층(11a,11b) 및 장착용 시트(13a)의 폭방향 중앙부에 형성된다. 접합라인(14)은 예를 들면 히트실 등의 융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공지의 접합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섬유층(11a,11b) 및 장착용 시트(13a)의 어느 것이든 열융착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라인(14)을 형성하는 것이 간편하다.
마찬가지로, 섬유층(11c,11d)과 장착용 시트(13b)는 적층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끼리는 접합라인(14)에 의해 접합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섬유층(11b)과 장착용 시트(13a) 및 섬유층(11c)과 장착용 시트(13b) 각각은 접합영역(16a,16b)을 형성하는 접합부(17) 및 한쌍의 맞붙임용 접합부(18a,18b)가 융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청소용 물품(10)에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강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물품(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후, 각 섬유층이 보풀이 일어 전체가 원기둥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하여 설명하면, 각 섬유층(11a~11d)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섬유길이가 30~150㎜, 특히 50~100㎜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먼지의 엉김성(trapping capabilities)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섬유길이를 가지는 섬유를 섬유다발(토우(tow))의 상태로 이용한다. 그때에는 공지의 개섬(開纖)장치를 이용하여 섬유를 충분히 개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로서 특히 권축섬유를 이용하면, 먼지의 엉김성이 한층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권축섬유로서는, 2차원 또는 3차원 권축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권축율(JIS L0208)은 5~50%, 특히 10~30%인 것이 먼지의 엉김성의 향상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권축율은 섬유를 잡아당겨 늘렸을 때의 길이(A)와 원래 섬유의 길이(B)의 차(差)의 늘렸을 때의 길이(A)에 대한 백분율로 정의되며, 하기의 식으로부터 산출된다.
권축율=(A-B)/A×100(%)
원래 섬유의 길이(B)란 자연상태에 있어서의 섬유의 양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한 길이를 말한다. 자연상태란 섬유의 한쪽의 단부를 수평한 판에 고정하고, 섬유의 자중(自重)으로 아래쪽에 늘어뜨린 상태를 말한다. 섬유를 잡아당겨 늘렸을 때의 길이(A)란 섬유의 권축이 없어질 때까지 늘렸을 때의 최소 하중시의 길이를 말한다.
섬유의 권축율은 상술과 같으며, 권축수는 1㎝당 2~1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수의 측정방법은 JIS L1015 8.12.1에 준한다.
섬유의 굵기는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임계적이지는 않지만, 먼지의 엉김성이나, 청소 대상면에의 상처 방지성의 관점에서, 0.1~200dtex, 특히 2~3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소용 물품(10)에 있어서의 장착용 시트(13a,13b)의 형성재료로서는, 종래의 청소용 물품에 이용되고 있는 부직포 등의 섬유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에어스루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손잡이구(20)의 형성재료로서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ABS수지, 아크릴수지 등이 성형 가공성, 가요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의하면, 손잡이구(20)의 삽입부(22)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피삽입부(15)에 삽입하기 쉬우면서 빼내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삽입된 삽입부(22)는 피삽입부(15) 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으면서 걸어맞춤 수단(19)이 유지부(24)와 걸어 맞춰짐으로써, 손잡이구(20)에 청소용 물품(10)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즉, 청소구(1)는 청소 조작중에는, 청소용 물품(10)이 손잡이구(20)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청소용 물품(10)을 손잡이구(20)로부터 빼내는 조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용이하다.
또한, 손잡이구(20)를 청소용 물품(10)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어디로부터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청소 작업에 의해 청소용 물품(10)의 길이방향의 한쪽의 단부가 더러워져도, 손잡이구(20)를 다른 단부의 삽입용 개구부에 다시 삽입하여, 더러움이 적은 다른쪽의 단부를 이용하여 청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4실시형태의 청소구를 도 7~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4실시형태에 대하여,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기술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또한, 도 7~도 12에 있어서, 도 1~도 6과 같은 부재에 같은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있어서, 손잡이구(2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용 물품(10)의 피삽입부(15)에 길이방향의 한쪽으로부터만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 수단(19)으로서의 절삭홈도 손잡이구(20)를 삽입하는 삽입용 개구부측에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삽입부(15)에 있어서의 접합영역(16a)과 접합영역(16b) 사이의 폭은 한쌍의 맞붙임용 접합부(18a,18b)의 걸어맞춤 수단(19)이 마련되어 있는 삽입용 개구부측과 그 반대측이 다르다. 걸어맞춤 수단(19)이 마련되어 있는 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접합영역(16a)과 접합영역(16b)의 폭은 삽입부(22)의 기부(22a)로부터 손잡이구 맞붙임부(23)까지의 영역의 폭(W3)(도 3b 참조)과 거의 같거나 또는 폭(W3)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다.
한편, 걸어맞춤 수단(19)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접합영역(16a)과 접합영역(16b)의 폭은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로부터 선단부(22b)까지의 영역의 최대폭인 폭(W2)(도 3b 참조)과 거의 같거나 또는 폭(W2)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피삽입부(15)에 있어서, 접합영역(16a,16b)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구(20)를 삽입하여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피삽입부(15)의 피삽입 맞붙임부(18)를 맞붙인 상태에서는, 삽입부(22)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거의 전 길이에 걸쳐 부분적으로 접하여, 삽입부(22)가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의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규제된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의하면, 피삽입부(15)에 삽입된 삽입부(22)는 피삽입부(15) 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움직임이 더욱 규제되어 있어, 청소용 물품(10)은 손잡이구(20)에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피삽입 맞붙임부(18)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맞붙임 접합부(18a,18b)에 의해 형성하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합영역(16a,16b) 사이의 폭 또는 단면적을 삽입용 개구부측의 영역에 있어서 크게, 그 반대측의 영역에 있어서 작게 형성하여, 넓은 폭(큰 단면적)에서 좁은 폭(작은 단면적)으로 변하는 경계부분에 의해 형성하고 있는데, 이들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피삽입 맞붙임부(18)는 청소용 물품(10)의 피삽입부(15)에 손잡이구(20)의 삽입부(22)를 삽입했을 때에, 손잡이구(20)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와 맞붙여서, 맞붙임 위치로부터 앞으로 삽입부(22)를 삽입시키지 않는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를 삽입부(22)의 최대폭(또는 최대 단면적)보다도 광폭(또는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고, 접합영역(16a,16b)의 사이의 폭을 삽입용 개구부측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하는 도중 영역에서부터 서서히 좁게 형성하여,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단차형상이 바람직함)에 맞붙는데, 손잡이구 맞붙임부(23)보다도 선단부(22b)측의 삽입부(22)를 삽입 가능한 폭까지 좁게 하는 테이퍼부를 형성함으로써, 삽입부(22)를 이 테이퍼부에 의해 유도하면서 피삽입 맞붙임부(18)와 손잡이구 맞붙임부(23)가 맞붙을 때까지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있어서, 삽입부(22)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판형상의 한쌍의 봉형상부(221,221)를 가지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봉형상부(221,221)는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고, 한쌍의 봉형상부(221,221)의 선단끼리(222,222)는 연결되어 있고, 한쌍의 상기 봉형상부(221,221) 각각의 기부(223) 근방의 외측에는 유지부(24)로서 한쌍의 후크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한쌍의 후크부에 있어서의 외측 끝 가장자리끼리(241,241)의 폭은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의 폭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한쌍의 봉형상부(221,221)는 그 기부끼리(223,223)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삽입부(22)는 탄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2)에 있어서, 한쌍의 봉형상부(221,221)의 기부(223)측 단부의 외측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가 마련되어 있고,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를 서로 접근하도록 밀어 누름으로써, 한쌍의 봉형상부(221,221)의 기부끼리(223,223)의 간격이 좁아진다. 한쌍의 봉형상부(221,221)는 그 선단끼리(222,22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부끼리(223,223)를 서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게 하는 변형에 대하여, 원래의 간격의 상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복원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대하여 더 설명하면, 청소용 물품의 걸어맞춤 수단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구(20)를 삽입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된 한쌍의 유지용 접합부(19,19)이다.
손잡이구(2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22)를 청소용 물품(10)의 피삽입부(15)에 삽입하고, 유지부(24)로서의 한쌍의 후크부를 한쌍의 유지용 접합부(19,19)와 걸어 맞춤으로써, 청소용 물품(10)을 유지한다.
한쌍의 유지용 접합부(19,19) 각각은 장착용 시트(13a,13b)의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유지용 접합부(19,19) 각각은 세로로 긴 직사각형형상이며, 그 길이방향이 장착용 시트(13a,13b)의 폭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유지용 접합부(19)는 히트실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공지의 접합수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가 열융착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융착에 의해 유지용 접합부(19)를 형성하는 것이 간편하며 바람직하다.
피삽입부(15)에 있어서, 한쌍의 유지용 접합부(19,19)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의 폭방향으로, 폭(W5)(도 10 참조)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폭(W5)은 삽입부(22)에 있어서의 유지부(24)로서의 한쌍의 후크부에서 손잡이구 맞붙임부(23)까지의 부분의 폭(W3)보다도, 1㎜이상, 특히 3㎜이상 큰 것이, 삽입부(22)를 피삽입부(15)에 삽입하거나 또는 빼내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손잡이구(20)에 있어서, 파지부(21)에 삽입부(22)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파지부(21)의 선단부에는, 삽입부(22)의 기부(22a)를 끼워넣기 위한 끼움부(211)가 마련되어 있다. 삽입부(22)의 기부측 단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는 기부(22a)가 끼움부(211)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부(211)의 양측부에 마련된 개구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유지부(24)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쐐기형을 하고 있어, 삽입부(22)를 피삽입부(15)에 삽입하기 쉬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유지부(24)의 기부(223)측은 약간 기부(223)측의 끝 가장자리를 향하여 경사지면서 봉형상부(221)의 옆 가장자리에 대하여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어, 유지용 접합부(19)와의 걸어맞춤이 잘 빠지지 않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삽입부(22)는 도 9에 나타내는 파지부(21)로부터 탈착된 상태에 있어서, 유지부(24)로서의 한쌍의 후크부에서 손잡이구 맞붙임부(23)까지의 부분의 폭이 거의 일정하고,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 있어서 폭이 좁아지며,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서 선단부(22b)까지의 부분의 폭이 또한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삽입부(22)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 지는 형상을 가지며, 그 평면으로 본 형상이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거의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구(20)의 전체적인 외관은 도 8a~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前) 실시형태의 손잡이와 거의 동일하다.
도 9는 파지부(21)로부터 탈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삽입부(22)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삽입부(22)의 한쌍의 봉형상부(221,221)의 기부(223,223)끼리의 간격은 파지부(21)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는, 파지부(21)의 끼움부(211)에 끼워넣어진 상태(도 8)보다도 이간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한쌍의 기부(223,223)는 끼움부(211) 내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넓어지고자 하는 복원력을 가지며, 이 힘에 의해 끼움부(211)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 각각의 내측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고정부(225)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고정부(225)에 의해 판형상의 한쌍의 봉형상부(221,221) 각각의 면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22)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2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유지부(24)로서의 한쌍의 후크부에 있어서의 외측 끝 가장자리끼리(241,241)의 폭(W4)(도 10 참조)은 한쌍의 유지용 접합부(19,19)끼리의 폭(W5)보다도, 1㎜이상, 특히 3㎜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폭(W4)이 폭(W5)보다도 1㎜이상, 특히 3㎜이상 큼으로써, 유지부(24)로서의 한쌍의 후크부가 유지용 접합부(19,19)와 확실하게 걸어 맞춰진다. 또한, 폭(W4)의 최대치는 삽입부(22) 또는 장착용 시트(13,13) 등의 치수로부터 적절히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를 서로 접근하도록 누르면, 유지부(24)(한쌍의 후크부)에 있어서의 외측 끝 가장자리끼리(241,241)의 폭(W4)은 유지용 접합부(19,19)끼리의 폭(W5)보다도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를 누르는 것을 멈추면, 삽입부(22)의 복원력에 의해 한쌍의 봉형상부(221,221)의 기부끼리(223,223)의 간격이 넓어지며, 유지부(24)(한쌍의 후크부)에 있어서의 외측 끝 가장자리끼리(241,241)의 폭(W4)은 유지용 접합부(19,19)끼리의 폭(W5)보다도 넓어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 유지부(24)로서의 한쌍의 후크부 각각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용 접합부(19,19)와 걸어 맞춰진 상태가 되고, 손잡이구(20)는 피삽입부(15)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외측에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손잡이구(20)에 삽입된 청소용 물품(10)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를 서로 접근하도록 눌러, 폭(W4)을 폭(W5)보다도 좁히는 데 요하는 하중은 0.1~5N, 특히 0.5~3N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중이 0.1N 이상인 것에 의해, 청소 작업중에, 잘못해서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가 서로 접근하도록 눌러져, 청소용 물품(10)이 손잡이구(20)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하중이 5N 이하인 것에 의해,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를 서로 접근하도록 누를 수 있어, 손잡이구(20)로부터 청소용 물품(10)의 탈착 및 장착이 용이해진다.
상술한 하중의 측정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행할 수 있다. 도구의 확대축소 조작부를 압축 시험기에 세트하고, 확대축소 조작부가 가장 줄어들었을 때의 하중을 측정한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있어서, 청소용 물품(10)을 손잡이구(20)에 유지할 때에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를 서로 접근하도록 눌러, 폭(W4)을 폭(W5)보다도 좁힌 상태에서, 삽입부(22)를 손잡이구 맞붙임부(23)가 피삽입 맞붙임부(18)로서의 잘록부에 의해 그 이상의 삽입이 규제될 때까지 피삽입부(15) 내에 삽입하여,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를 누르는 것을 멈춘다. 그러면, 삽입부(22)의 복원력에 의해, 한쌍의 봉형상부(221,221)의 기부끼리(223,223)의 간격이 넓어지고, 유지부(24)로서의 한쌍의 후크부 각각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용 접합부(19,19)와 걸어 맞춰져, 청소용 물품(10)을 손잡이구(20)에 고정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손잡이구(20)에 유지된 청소용 물품(10)을 빼낼 때에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21)를 한손으로 잡고, 청소용 물품(10)을 아래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한쌍의 확대축소 조작부(224,224)를 서로 접근하도록 눌러서 폭(W4)을 폭(W5)보다도 좁히면, 청소용 물품(10)은 자중에 의해 피삽입부(15)로부터 빠져 나와, 손잡이구(20)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에 의하면, 손잡이구(20)에의 청소용 물품(10)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청소용 물품(10)의 탈착시에는, 더러워진 청소용 물품(10)을 손으로 만지지 않고, 폐기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형태의 청소구(1)는 통형상의 피삽입부(15)를 가지는 청소용 물품(10)과 피삽입부(15)에 삽입하여 장착되는 손잡이구(2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있어서, 피삽입부(15)는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구(20)는 파지부(21)와, 파지부(2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피삽입부(15)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22)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2)는 기부(22a)로부터 그 선단부(22b)로 향하는 도중에 손잡이구 맞붙임부(23)를 가지고 있으며,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서 선단부(22b)까지의 부분의 굵기는 손잡이구 맞붙임부(23)의 굵기보다도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의 크기는 선단부(22b)의 굵기보다도 크면서 손잡이구 맞붙임부(23)의 굵기와 거의 같게 되어 있다. 피삽입부(15)는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가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접합영역(16a,16b)으로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접합영역(16a,16b)은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고 있으며, 각 접합영역(16a,16b)은 접합부(17)가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피삽입부(15)에는,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로서의 단차부의 가는 부분에 상당하는 굵기를 가지는 피삽입 맞붙임부(18)로서의 잘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있어서의 손잡이구(20)에 대하여, 더 설명하면, 삽입부(22)는 가늘고 길며, 삽입부(2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형상이 원형상을 가지고 있다. 삽입부(22)는 2매의 장착용 시트(13a,13b)에 의해 형성되는 피삽입부(15) 내에 삽입된다.
삽입부(22)는 그 기부(22a)에서 손잡이구 맞붙임부(23)까지의 부분의 굵기가 거의 일정하며,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 있어서 굵기가 가늘어지고,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서 선단부(22b)까지의 부분의 굵기가 또한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삽입부(22)의 굵기는 삽입부(2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의 면적이다.
삽입부(22)는 그 기부(22a)에서 단차부(23)까지의 부분을 형성하는 원기둥형상과,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서 선단부(22b)까지의 부분을 형성하는 원기둥형상의 중심축이 일치하고 있다.
삽입부(22)에 있어서,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서 선단부(22b)까지의 부분의 굵기인 단면의 면적이 기부(22a)에서 손잡이구 맞붙임부(23)까지의 부분의 굵기인 단면의 면적에 대하여, 50~95%, 특히 70~90%인 것이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 부(23)에 있어서 피삽입 맞붙임부(18)와 맞붙어, 피삽입부(15) 내로 그 이상의 삽입이 확실하게 규제되고, 손잡이구(20)를 피삽입부(15)에 삽입할 때에, 손잡이구(20)가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에 걸리지 않으면서 손잡이구(20)의 삽입부(22)의 강성을 확보하는데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구 맞붙임부(23)로서는, 선단부(22b)측으로부터 기부(22a)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구(20)가 피삽입부(15)로 부드럽게 넣기 쉽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삽입부(22)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있어서의 청소용 물품(10)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청소용 물품(10)의 피삽입부(15)에 있어서, 피삽입 맞붙임부(18)는 피삽입부(15)에 있어서의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삽입 맞붙임부(18)는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하는 한쌍의 맞붙임용 접합부(18a,18b)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맞붙임용 접합부(18a,18b) 각각은 그 평면으로 본 형상이 원형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구(20)의 삽입부(22)가 피삽입부(15)에 삽입되면, 한쌍의 장착용 시트(13a,13b)의 사이가 떨어져, 단면이 원형상인 통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삽입부(22)는 손잡이구 맞붙임부(23)에 있어서 피삽입 맞붙임부(18)와 맞붙음으로써, 피삽입부(15) 내로 그 이상의 삽입이 규제된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구(1)에 의하면, 손잡이구(20)에 있어서의 삽입 부(22)의 강성이 높아져 있어, 청소 대상면에 단단히 부착된 쓰레기 등을 털어내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청소구(1)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청소구(1)에 있어서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합영역(16a,16b)은 접합부(17)의 불연속적인 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는데, 연속적인 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합영역(16a,16b)은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었는데,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삽입 맞붙임부(18)를 형성하는 한쌍의 맞붙임용 접합부(18a,18b) 각각은 그 평면으로 본 형상이 원형이며, 서로 인접하는 접합부(17)와는 이어져 있지 않았지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접합부(17)와 이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맞붙임용 접합부(18a,18b)는 한쌍 있을 필요는 없고, 한쪽만 형성하는 것이어도 되며, 이 경우의 삽입부(22)의 손잡이구 맞붙임부(23)도 한쪽측에 마련해도 되며, 맞붙임용 접합부(18a 또는 18b)를 형성한 측에 맞붙도록 삽입부(22)를 피삽입부(15)에 삽입한다.
또한, 삽입부(22)는 도 14a~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갈래 형상을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2갈래 형상의 삽입부(22)의 2갈래 부분을 삽입하기 위해, 피삽입부(15)는 폭방향 중앙부에 청소용 물품(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영역(16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22)가 그 기부(22a)로부터 선단부(22b)로 향하는 도중 영역, 바람직하게는 중앙부에서 2갈래로 분기하여, 선단부(22b)로 연장되는 2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이 분기부분을 손잡이구 맞붙임부(23)로 하고, 피삽입부(15)의 중앙부에 형성한 맞붙임용 접합부를 피삽입 맞붙임부(18)로 하여, 삽입부(22)의 2갈래를 구성하는 2개의 판형상부 또는 봉형상부 사이에 있어서 분기부분에 맞붙인다. 이 경우의 맞붙임용 접합부는 예를 들면 도 14c에 나타내는 접합영역(16c)과 같이 삽입부(22)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영역에만 마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2갈래 형상을 채용한 삽입부(22)의 분기부분을 손잡이구 맞붙임부(23)로 하고, 피삽입부(15)의 중앙부의 접합영역(16c)을 피삽입 맞붙임부(18)로 함으로써, 삽입부(22)의 측부에 손잡이구 맞붙임부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구 맞붙임부(23)로서의 분기부분은 피삽입부(15)의 단부(삽입용 개구부)가 아니라 피삽입부(15)의 내부에서 피삽입 맞붙임부(18)에 맞붙으므로, 피삽입부(15)가 삽입부(22)의 삽입방향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분이 걸어맞춤 수단(19)과 손잡이구 맞붙임부(23)인 분기부분으로 분산되어,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에 있어서의 꼬임, 찢어짐, 구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삽입부(15)에 있어서의 각 접합영역(16a,16b)은 접합점이 간격을 두고 직선상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었는데, 각 접합영역(16a,16b)은 접합선이 간격을 두고 직선상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청소용 물품(10)을 구성하는 섬유층(11a~11d)은 각각 섬유다발(토우)로 형성되어 있었는데, 상기 섬유다발을 대신하여, 각각 장섬유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섬유층(11a~11d) 각각에 있어서의 장섬유가 보풀이 일어, 청소용 물품(10)의 전체의 형상이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 PE나 PET/PE 등이 이용되며, 섬유길이는 바람직하게는 50~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20㎜이며, 섬유의 굵기는 바람직하게는 0.5~5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3dtex이다.
또한, 섬유층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구(20)의 삽입부(22)는 그 단면형상이 원형상이었는데, 타원형상, 장원(長圓)형상,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 등의 다각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부(22)는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봉형상부(221,221)를 가지고 있고, 한쌍의 봉형상부(221,221)의 선단(222,222)끼리는 연결되어 있으며, 한쌍의 상기 봉형상부(221,221) 각각의 기부(223) 근방의 외측에는, 접합부(16a,16b)와 걸어 맞춰지는 유지부(24)로서 한쌍의 후크부가 마련되고, 한쌍의 후크부의 외측 끝 가장자리(241,241)끼리의 폭이 피삽입부(15)의 삽입용 개구부의 크기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한쌍의 봉형상부(221,221)가 그 기부(223,223)끼리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유지부(24)는 상술한 후크부 등의 외에, 면(面) 패스너(fastener), 또는, 탄성 판형상부에 슬릿을 마련하고, 피삽입부(15)의 단부를 이 슬릿으로 끼워 유지하는 등의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용 물품(10)은 손잡이구(20)의 삽입부(22)를 삽입 가능한 피삽입부(15)와, 삽입된 상기 삽입부(22)의 일부와 맞붙어 맞붙임 위치로부터 앞으로의 상기 삽입부(22)의 그 이상의 삽입을 규제하는 피삽입 맞붙임부(18)를 가지고 있으며, 피삽입부(15)는 서로 겹친 장착용 시트(13)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고, 장착용 시트(13)는 복수의 접합영역(16,16)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접합영역(16,16) 각각은 상기 장착용 시트(13)에 있어서의 손잡이구(20)의 삽입방향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는 대체로 평행한 복수의 가상선 각각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된 접합부(17,17)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피삽입 맞붙임부(18)는 서로 이웃하는 접합영역(16)끼리의 사이이며, 삽입부(22)가 삽입되는 방향의 중간영역에 위치하고 있고, 서로 겹쳐진 장착용 시트(13)가 부분적으로 접합된 접합부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생략 부분 및 한 실시형태만이 가지는 부분은 모두 적절하게 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구는 통상 건식의 상태에서, 예를 들면 테이블이나 책상, 옷장 등의 가구, 텔레비전이나 VCR,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 등의 청소에 이용된다. 또한, 방의 구석부나, 벽과 가구 사이의 좁은 틈의 청소에도 이용된다.
본 발명의 손잡이구와 청소용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청소구에 의하면, 손잡이구를 청소용 물품의 피삽입부에 넣기 쉬우면서 피삽입부로부터 빼기 쉽고, 그리고 피삽입부에 손잡이구를 삽입한 상태에서 청소용 물품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Claims (10)

  1. 피삽입부를 가지는 청소용 물품과, 상기 피삽입부에 삽입하여 청소용 물품을 장착하는 손잡이구로 이루어지는 청소구로서,
    상기 청소용 물품은 장착용 시트를 가지며,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장착용 시트가 서로 겹쳐지고, 상기 손잡이구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접합영역에 의해, 서로 겹쳐진 상기 장착용 시트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영역 각각은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늘어선 복수의 접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청소용 물품의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손잡이구의 삽입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용 개구부와 타단의 도중 영역에 피삽입 맞붙임부(counter bumping portion)가 마련되고, 상기 피삽입 맞붙임부는 상기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간되는 한쌍의 맞붙임용 접합부를 마련하여 형성된, 상기 피삽입부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용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구는 파지부(把持部)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청소용 물품의 상기 피삽입부에 삽입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상기 피삽입부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청소용 물품의 상기 삽입용 개구부 근방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구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청소용 물품의 상기 피삽입부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피삽입 맞붙임부와 맞붙을 때까지 실질적으로 장해 없이 삽입되고, 상기 피삽입 맞붙임부와 맞붙는 맞붙임 위치로부터 앞으로의 상기 삽입부의 그 이상의 삽입을 규제하는 손잡이구 맞붙임부(bumping portion)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구 맞붙임부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파지부측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하는 도중에 상기 삽입부의 폭이 작아지는 영역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손잡이구 맞붙임부보다도 상기 선단측은 상기 피삽입 맞붙임부에 삽통 가능하고, 피삽입 맞붙임부의 폭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손잡이구 맞붙임부보다도 상기 파지부측은 상기 피삽입부의 상기 삽입용 개구부의 폭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피삽입 맞붙임부보다도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과 맞붙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피삽입 맞붙임부가 상기 손잡이구 맞붙임부와 맞붙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피삽입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부로 상기 청소용 물품이 유지되었을 때에, 상기 손잡이구 맞붙임부와 상기 유지부 사이의 상기 청소용 물품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억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구의 상기 유지부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파지부의 경계 근방에 마련되며,
    상기 청소용 물품의 상기 삽입용 개구부 근방에 상기 유지부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용 물품의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손잡이구의 삽입방향의 양단에 상기 삽입용 개구부를 가지며, 어느 상기 삽입용 개구부로부터 상기 삽입부를 삽입해도 상기 피삽입 맞붙임부가 상기 손잡이구 맞붙임부와 맞붙으며, 상기 손잡이구에 마련된 상기 유지부로 상기 청소용 물품의 상기 삽입용 개구부 근방을 유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파지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연속하는 한쌍의 봉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의 상기 유지부는 한쌍의 상기 봉형상부의 상기 파지부 근방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쌍의 돌출부로서, 상기 유지부의 외측 단부끼리의 폭은 상기 피삽입부의 상기 삽입용 개구부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한쌍의 상기 봉형상부는 한쌍의 상기 돌출부끼리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5. 제4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봉형상부 각각은 상기 파지부측의 외측에 확대축소 조작부를 구비하고,
    한쌍의 상기 확대축소 조작부를 서로 접근하도록 밀어 누름으로써, 상기 유지부의 상기 외측 단부끼리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용 물품은 섬유다발 또는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층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상기 장착용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용 물품은 상기 장착용 시트의 상하에 상기 섬유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섬유층에 있어서의 섬유다발 또는 장섬유가 보풀이 일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87008393A 2005-10-19 2006-10-06 청소구 KR101308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04794 2005-10-19
JPJP-P-2005-00304794 2005-10-19
PCT/JP2006/320052 WO2007046252A1 (ja) 2005-10-19 2006-10-06 清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894A KR20080055894A (ko) 2008-06-19
KR101308641B1 true KR101308641B1 (ko) 2013-09-23

Family

ID=3796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393A KR101308641B1 (ko) 2005-10-19 2006-10-06 청소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51403B2 (ko)
EP (1) EP1938738B1 (ko)
KR (1) KR101308641B1 (ko)
CN (1) CN101291612B (ko)
AU (1) AU2006305395B2 (ko)
CA (1) CA2625482C (ko)
ES (1) ES2388746T3 (ko)
TW (1) TWI388306B (ko)
WO (1) WO2007046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2963B2 (ja) * 2007-04-27 2013-12-11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JP5052949B2 (ja) * 2007-04-27 2012-10-17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US8161594B2 (en) 2007-07-02 2012-04-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lural sided cleaning implement
JP5171348B2 (ja) * 2008-03-31 2013-03-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体
KR101585636B1 (ko) * 2008-04-16 2016-01-14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청소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EP2415381B1 (en) 2009-03-31 2018-08-08 Uni-Charm Corporation Cleaning implement and cleaning body
USD626711S1 (en) 2009-04-17 2010-11-02 Euro-Pro Operating Llc Shaggy fabric steam pocket for a steam appliance
JP5405194B2 (ja) * 2009-05-21 2014-0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ハンディモップ
JP5436042B2 (ja) * 2009-05-21 2014-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ホルダ、清掃用具
US8578564B2 (en) * 2009-11-05 2013-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e for removable cleaning implement
JP5427627B2 (ja) * 2010-02-03 2014-0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体
WO2011116295A2 (en) * 2010-03-18 2011-09-22 Ecolab Usa Inc. Cleaning tool
TWI601509B (zh) * 2011-06-29 2017-10-11 Kikuo Yamada The raising method of the raising device of the cleaning part of the cleaning part and the cleaning part of the cleaning tool
US9925647B2 (en) * 2011-11-10 2018-03-27 Labplas Inc. Device for holding a sampling sponge
ITPD20120136A1 (it) * 2012-05-04 2013-11-05 T T S S R L Tecno Trolley System Mop per pulizie
ITMI20121738A1 (it) * 2012-10-16 2014-04-17 Orlandi Spa Strumento per la pulizia di superfici
JP6080550B2 (ja) 2012-12-29 2017-0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帯状シートにシールを施す融着装置
WO2014104325A1 (ja) 2012-12-29 2014-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清掃部材を製造するシステム
US20140182767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JP6047401B2 (ja) 2012-12-29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JP6073128B2 (ja) 2012-12-29 2017-02-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切断装置及び切断装置を用いた清掃部材の製造方法
US20140187406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JP6057707B2 (ja) 2012-12-29 2017-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JP6047400B2 (ja) 2012-12-29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6103945B2 (ja) 2013-01-10 2017-03-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積み重ね装置及びウェブ部材を製造する方法
JP6141023B2 (ja) 2013-01-10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ウを含むウエブ部材の製造方法
US9386899B2 (en) * 2013-01-23 2016-07-12 Ya-Ching Yang Foldable duster
JP6239827B2 (ja) * 2013-02-07 2017-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USD747055S1 (en) * 2013-09-19 2016-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treatment pad
USD801608S1 (en) * 2015-12-31 2017-10-31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Dusting device
MA44255A (fr) 2016-02-17 2018-12-26 Ecolab Usa Inc Outil de nettoyage à chaussette amovible
USD923894S1 (en) * 2016-03-04 2021-06-29 Ricardo Gonzalez Microfiber mop cover
USD787836S1 (en) * 2016-10-26 2017-05-30 Pil Hee LEE Brush attachable dust remover
US10653288B2 (en) * 2017-04-04 2020-05-19 Black Tie Brands, LLC Tool for cleaning floors, walls and individual items
USD946370S1 (en) * 2018-10-29 2022-03-22 Lake Country Manufacturing, Inc. Abrading, buffing and finishing spherocylin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7059A (ja) * 1997-07-31 1999-02-23 Lion Corp 掃除具
JP2005237589A (ja) 2004-02-25 2005-09-08 Duskin Co Ltd 清掃具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839A (en) 1895-02-26 Feedeick nelsen
US597158A (en) 1898-01-11 John p
US333650A (en) 1886-01-05 Geqege w
US810708A (en) 1905-08-24 1906-01-23 Samuel H Brister Brush.
US974922A (en) 1910-02-19 1910-11-08 James Barton Rose Brush.
US975862A (en) 1910-04-18 1910-11-15 Louis George Hatosy Jr Glass-cleaner.
US1416480A (en) 1918-01-18 1922-05-16 Pioneer Mfg Company Duster
US1375102A (en) 1920-06-26 1921-04-19 Turbine Auto Washer Company Washing and scrubbing brush
US1437145A (en) 1921-07-21 1922-11-28 Theodore G Johnson Duster
US1637595A (en) 1924-12-18 1927-08-02 Sturgis Mop Company Mop
US2062065A (en) 1934-10-19 1936-11-24 Mary M Miley Cleaning implement for pianos or the like
US2151425A (en) 1935-08-02 1939-03-21 Ella L Gregory Mop
US2172479A (en) 1935-12-07 1939-09-12 Albert C Mcmillen Duster
US2816313A (en) * 1951-03-10 1957-12-17 Personal Products Corp Disposable cleaning swab and holder therefor
US2998614A (en) * 1958-02-10 1961-09-05 Personal Products Corp Holder for a disposable cleaning swab
US3066344A (en) 1959-02-27 1962-12-04 Borras Jose Garcia Dust removers
JPS4830851A (ko) 1971-08-24 1973-04-23
FR2196142B3 (ko) 1972-08-15 1976-07-23 Johnson & Johnson
JPS5121542A (ja) 1974-08-16 1976-02-20 Kubota Ltd Kannaimenyosetsusochi
US4099289A (en) * 1977-03-07 1978-07-11 James B. Manning Tool having removable cleaning element
JPS5545980A (en) 1978-09-29 1980-03-31 Natl House Ind Co Ltd Groundsill mounting method
JPS6026537B2 (ja) 1981-03-25 1985-06-24 ユニ・チヤ−ム株式会社 衛生用品
USD294073S (en) 1985-12-20 1988-02-02 Lin C Duster or similar article
JPH01145957A (ja) 1987-11-30 1989-06-07 Mita Ind Co Ltd 自動両面画像形成装置
JPH0436790Y2 (ko) 1989-05-25 1992-08-31
JPH0610938Y2 (ja) 1989-10-05 1994-03-23 株式会社テラモト モップ取付具
USD320878S (en) 1990-02-14 1991-10-15 Maxine Linder Mop head
USD353489S (en) 1992-02-14 1994-12-20 Hurwitz Joseph B Combined brush and sponge applicator
USD350029S (en) 1992-10-19 1994-08-30 Rubbermaid Incorporated Brush handle
JPH06294167A (ja) 1993-04-06 1994-10-21 Jsp Corp 型枠兼用断熱ボード
USD353029S (en) * 1993-07-30 1994-11-29 Doskocil Manufacturing Company, Inc. Feline domicile
USD353940S (en) 1993-09-07 1995-01-03 Empire Brushes, Inc. Sponge brush
EP0646580B1 (de) 1993-09-16 2000-05-31 Ciba SC Holding AG Vinyletherverbindungen mit zusätzlichen von Vinylethergruppen verschiedenen funktionellen Gruppen und deren Verwendung zur Formulierung härtbarer Zusammensetzungen
EP0841870B1 (en) 1995-08-01 2002-03-27 Kao Corporation Cleaning cloth and cleaning apparatus
JP3208306B2 (ja) 1995-11-17 2001-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拭き取り用具
JPH10248781A (ja) 1997-03-11 1998-09-22 Yoko Sukegawa 手を挿入して作業する雑巾
JP3043196U (ja) 1997-05-08 1997-11-11 株式会社ソフト九九コーポレーション 清掃具
USD435948S1 (en) 1997-10-10 2001-01-02 Beverly Long Narrow spaces duster
JP3053594U (ja) 1998-04-27 1998-11-04 株式会社エンゼルモップ モップ
JP3943753B2 (ja) 1999-04-13 2007-07-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汚れ拭き取り用具の製造方法
JP3744768B2 (ja) 2000-03-29 2006-0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排泄物処理用の使い捨て着用物品
CN100558283C (zh) 2000-07-10 2009-11-11 尤妮佳股份有限公司 清扫物品
JP4050035B2 (ja) 2000-10-27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ハンディモップ
IL152340A (en) 2001-02-23 2007-12-03 Yoshinori Tanaka Cleaning accessory
JP4132730B2 (ja) 2001-06-14 2008-08-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製品
JP4041706B2 (ja) * 2002-07-22 2008-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保持具およびその清掃用保持具を用いた清掃物品
JP4302948B2 (ja) * 2002-07-22 2009-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保持具およびその清掃用保持具を用いた清掃物品
AU154021S (en) 2003-04-03 2003-12-12 Reckitt Benckiser Inc Brush
DE10360755B4 (de) 2003-12-23 2006-06-14 Leifheit Ag Reinigungsgerät
USD530051S1 (en) 2004-01-12 2006-10-10 Txf Products, Inc. Modular feather duster handle
US6978509B2 (en) * 2004-02-06 2005-12-27 Pai Yung Lin Cleansing device having cleansing fibers
JP2005237591A (ja) 2004-02-25 2005-09-08 Duskin Co Ltd 清掃用具
JP3940130B2 (ja) 2004-03-19 2007-07-04 山崎産業株式会社 払拭材
CN1937949A (zh) 2004-03-29 2007-03-28 山田千代惠 清扫工具以及其所使用的保持部件
US7870635B2 (en) 2004-04-01 2011-01-18 Kikuo Yamada Cleaning tool sheet and cleaning tool
BRPI0415792B1 (pt) 2004-04-01 2017-03-14 Chiyoe Yamada folha para utensílio de limpeza; folha para utensílio de limpeza empregada em utensílio de limpeza para pisos; folha para utensílio de limpeza empregada em utensílio de limpeza manual e utensílio em forma de luva
JP3842800B2 (ja) 2004-07-29 2006-1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モップ
JPWO2006011234A1 (ja) 2004-07-30 2008-05-01 山田 千代恵 清掃具及び清掃具を構成する保持部材
JP4688455B2 (ja) * 2004-09-09 2011-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掃除用具
JP4785369B2 (ja) * 2004-11-16 2011-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
US7891898B2 (en) 2005-01-28 2011-02-2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pad for wet, damp or dry cleaning
JP3683266B1 (ja) 2005-03-14 2005-08-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
US20070113365A1 (en) 2005-04-07 2007-05-24 Carstens Enterprises, Inc. Aroma duster
US20060230560A1 (en) 2005-04-19 2006-10-19 Andre Sampaio Apparatus and method for a cleaning device
JP5048375B2 (ja) * 2007-03-30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7059A (ja) * 1997-07-31 1999-02-23 Lion Corp 掃除具
JP2005237589A (ja) 2004-02-25 2005-09-08 Duskin Co Ltd 清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88306B (zh) 2013-03-11
CN101291612B (zh) 2010-09-15
CN101291612A (zh) 2008-10-22
ES2388746T3 (es) 2012-10-18
CA2625482C (en) 2014-01-21
EP1938738B1 (en) 2012-06-27
AU2006305395A1 (en) 2007-04-26
KR20080055894A (ko) 2008-06-19
WO2007046252A1 (ja) 2007-04-26
US8151403B2 (en) 2012-04-10
TW200727843A (en) 2007-08-01
EP1938738A1 (en) 2008-07-02
EP1938738A4 (en) 2010-06-02
CA2625482A1 (en) 2007-04-26
AU2006305395B2 (en) 2011-02-03
US20090255078A1 (en)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641B1 (ko) 청소구
JP4817998B2 (ja) 清掃具
US7937797B2 (en) Cleaning element and cleaning tool
US8186001B2 (en) Cleaning element and cleaning tool
JP4545086B2 (ja) 清掃用物品
US8438690B2 (en) Cleaning tool and cleaning element holder
US8359699B2 (en) Cleaning tool and cleaning element
JP2007029135A (ja) 清掃用物品
EP2433544B1 (en) Cleaner holder and cleaning tool
KR20150116820A (ko) 청소구
JP2002165742A (ja) 清掃用物品の保持具
JP6239827B2 (ja) 清掃具
WO2006011234A1 (ja) 清掃具及び清掃具を構成する保持部材
TWI620541B (zh) Sweeping tool
TWI617276B (zh) 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