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178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178B1
KR101297178B1 KR1020060088284A KR20060088284A KR101297178B1 KR 101297178 B1 KR101297178 B1 KR 101297178B1 KR 1020060088284 A KR1020060088284 A KR 1020060088284A KR 20060088284 A KR20060088284 A KR 20060088284A KR 101297178 B1 KR101297178 B1 KR 101297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mage forming
case
imag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020A (ko
Inventor
최동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178B1/ko
Priority to US11/679,473 priority patent/US20080063450A1/en
Priority to CN2007101077759A priority patent/CN101144998B/zh
Priority to EP07110858A priority patent/EP1900534B1/en
Publication of KR20080024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178B1/ko
Priority to US14/564,409 priority patent/US961889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Guides in the printing zone, e.g. guides for preventing contact of conveyed sheets with print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4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41J29/023Framework with reduced dimens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3Required space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용지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용지공급수단과, 용지공급수단의 상측에 설치되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수단과, 용지공급수단으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상기 상형성수단으로 이송하는 피드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롤러로부터 상기 상형성수단까지의 용지이송경로가 하향 경사진 용지이송부와, 상형성수단에서 형성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수단과, 화상이 정착된 용지를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수단, 및 용지공급수단, 상형성수단, 피드롤러, 정착수단 및 배지수단을 제어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60088284
피드롤러, 상형성수단, 용지이송경로, 정착수단, 하향경사, 소형화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화상형성장치를 우측에서 본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10; 케이스
111; 케이스 상면 113; 케이스 전면
120; 용지공급수단 121; 픽업롤러
130; 용지이송부 131; 용지반전경로
133; 용지이송경로 135; 피드롤러
140; 상형성수단 141; 감광매체
145; 전사롤러 150; 노광수단
160; 정착용지이송로 170; 정착수단
180; 배지수단 183; 용지 받침대
185; 배지공간 187; 배지된 용지
190; 제어부 191; 회로기판
192; 전원 스위치 200; 보조 용지공급부
201; 용지 입구 202; 입구 문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 특히,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한 장 이상의 용지를 적재하며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공급하는 용지공급수단과, 용지공급수단으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상형성수단으로 공급하는 피드롤러, 피드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에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수단, 상형성수단에 의해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수단, 및 정착수단을 통과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구성요소들의 배치에 따라 기본구조를 크게 2가지 형태, 즉 "S" 형태와 "C"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여 기서 "S" 형태는 용지가 이송되는 경로가 "S"자 형상과 유사하며, "C" 형태는 용지가 이송되는 경로가 "C"자 형상과 유사하다.
도 1은 기본구조가 "S" 형태인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0)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용지공급수단(11)이 화상형성장치(10)의 가장 아래에 설치되고, 피드롤러(13), 상형성수단(15), 정착수단(17)이 용지공급수단(11)의 상측에 일렬로 설치된다. 이때, 피드롤러(13), 상형성수단(15), 정착수단(17)은 각각에서 용지가 지나가는 곳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설치되던가, 아니면 피드롤러(13)에서 정착수단(17) 쪽으로 약간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상형성수단(15)의 상측에는 상형성수단(15)의 감광매체(15a)로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는 노광수단(16)이 설치된다. 용지공급수단(11)과 피드롤러(13)의 사이에는 용지공급수단(11)에서 픽업된 용지가 피드롤러(13)로 공급될 수 있도록 용지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이송안내부(12)가 설치된다. 봉투와 같은 특수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용지공급수단(14)은 피드롤러(13)의 일측에 마련된다. 배지수단(18)은 정착수단(17)의 상측에 설치되며, 배지수단(18)에서 배출되는 용지는 노광수단(16)의 상측에 설치된 배지 저장부(19)에 적재된다. 또한, 배지수단(18)과 정착수단(17)의 사이에는 정착수단(17)을 통과한 용지를 배지수단(18)으로 공급하기 위해 용지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배지안내부(18a)가 설치된다.
따라서, 용지공급수단(11)에 적재된 용지는 한 장씩 픽업되어 이송안내부(12)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피드롤러(13)로 이송되고, 피드롤러(13)는 용지를 상형성수단(15)으로 공급한다. 이때, 노광수단(16)은 상형성수단(15)의 감광매 체(15a)에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형성수단(15)은 이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상형성수단(15)의 감광매체(15a)에 형성된 화상은 피드롤러(13)에 의해 감광매체(15a)와 전사롤러(15b)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된다. 화상이 전사된 용지가 정착수단(17)을 통과하는 동안에 화상이 용지에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지안내부(18a)를 따라 배지수단(18)으로 이송되어 노광수단(16)과 상형성수단(15)의 상측에 형성된 배지 저장부(19)로 배출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S" 형태의 화상형성장치(10)는 용지가 이송 중에 2번 이송방향을 전환하여야 하므로, 그 구조상 화상형성장치(10)의 높이 및 길이를 줄이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S" 형태의 화상형성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롤러(13)와 배지 저장부(19) 사이의 공간(21)과 노광수단(16)과 정착수단(17) 사이의 공간(22)과 같은 활용이 불가능한 죽은 공간이 있기 때문에 그 크기를 작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C" 형태의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30)는 용지공급수단(31)이 가장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피드롤러(33), 상형성수단(35), 정착수단(37)은 용지공급수단(31)의 상측으로 용지공급수단(31)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봉투와 같은 특수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용지공급수단(미도시)은 용지공급수단(3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배지수단(38)은 정착수단(37)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형성수단(35)의 상측에 형성된 배지 저장부(39)로 용지를 배출한다. 상형성수단(35)의 일측으로는 감광매체(35a)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수단(36)이 설치된 다.
따라서, 용지공급수단(31)에 적재된 용지는 한 장씩 픽업되어 피드롤러(33)로 이송되고, 피드롤러(33)는 용지를 상형성수단(35)으로 공급한다. 이때, 노광수단(36)은 상형성수단(35)의 감광매체(35a)에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형성수단(35)은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상형성수단(35)의 감광매체(35a)에 형성된 화상은 피드롤러(33)에 의해 감광매체(35a)와 전사롤러(35b)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된다. 화상이 전사된 용지가 정착수단(37)을 통과하는 동안에 화상이 용지에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지수단(38)에 의해 배지 저장부(39)로 배출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C" 형태의 화상형성장치(30)는 용지가 이송 중에 한 번만 이송방향을 전환하므로 "S" 형태의 화상형성장치(10)에 비해 길이를 줄일 수는 있으나, 용지공급수단(31), 상형성수단(35), 정착수단(37), 배지수단(38)이 세로로 길게 나열되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30)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C" 형태의 화상형성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공급수단(31)과 노광수단(36) 사이의 공간(41)과 노광수단(36)과 배지 저장부(39) 사이의 공간(42)과 같은 활용할 수 없는 죽은 공간이 있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3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S", "C" 형태의 화상형성장치(10,30)는 모두 인쇄된 용지가 화상형성장치(10.30)의 상면에 마련된 배지 저장부(19,39)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지된 용지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용지 받침대(19a,39a)를 필요하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30)의 부품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쇄된 용지가 화상형성장치(10,30)의 상면으로 배출되므로, 화상형성장치(10,30)의 상면 위의 공간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보다 소형화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가 완료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일측으로 배출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상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용지공급수단; 상기 용지공급수단의 상측에 설치되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수단; 및 상기 용지공급수단의 용지를 상기 상형성수단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C자 형상에서 상기 상형성수단 쪽 부분은 용지 이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용지이송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용지공급수단과 상형성수단과 상기 용지이송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및 용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상기 용지이송부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보조 용지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용지공급수단의 상측에 설치되며, 용지를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배출하는 배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지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배지수단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용지 받침대는 용지 배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용지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용지공급수단; 상기 용지공급수단의 상측에 설치되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수단; 상기 용지공급수단으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상기 상형성수단으로 이송하는 피드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롤러로부터 상기 상형성수단까지의 용지이송경로가 하향 경사진 용지이송부; 상기 상형성수단에서 형성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수단; 화상이 정착된 용지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수단; 및 상기 용지공급수단, 상형성수단, 피드롤러, 정착수단 및 배지수단을 제어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상기 피드롤러의 사이에 형성된 보조 용지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 용지공급부의 용지 입구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의 끝 부분에 형성되며, 보조 용지공급부는 상기 용지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입구 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형성수단은 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는 곳의 높이가 상기 피드 롤러의 상단보다 낮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은 바닥에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높이는 최대 150mm 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수단은 상기 용지공급수단의 상측으로 상기 정착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며, 용지를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배출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배지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배지수단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용지 받침대는 용지 배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착수단은 용지가 통과하는 곳이 상기 상형성수단에서 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는 곳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지수단은 용지가 통과하는 곳이 상기 정착수단에서 용지가 통과하는 곳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지수단의 상측으로 용지가 배출되는 쪽의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가깝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 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케이스(110), 용지공급수단(120), 용지이송부(130), 상형성수단(140), 정착수단(170), 배지수단(180),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용지공급수단(120), 상형성수단(140), 용지이송부(130), 정착수단(170), 배지수단(180), 제어부(190)를 지지하며, 보호한다. 케이스(110)의 상면(111)은 바닥(117)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용지공급수단(120)은 케이스(110)의 하측에 설치되고, 일정 량의 용지를 저장하며, 저장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용지이송부(130)로 이송한다. 용지공급수단(120)은 용지를 저장하는 급지카세트(123)와 급지카세트(123)의 상측에 설치된 픽업롤러(121)를 포함한다.
상형성수단(140)은 용지공급수단(1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상형성수단(140)은 노광수단(150)으로부터 출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141)와, 감광매체(141)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롤러(143), 및 감광매체(141)와 접하도록 설치된 전사롤러(145)를 포함한다. 용지공급수단(120)으로부터 이송된 용지가 감광매체(141)와 전사롤러(145) 사이를 통과할 때, 감광매체(141)에 형성된 화상이 용지로 전사된다.
용지이송부(130)는 용지공급수단(120)과 상형성수단(140) 사이에 설치되며, 용지공급수단(120)의 픽업롤러(121)가 픽업한 용지를 상형성수단(140)으로 이송한 다. 용지이송부(130)는 대략 "C"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지반전경로(131)와 용지반전경로(131)의 선단에서 연장되며 용지 이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용지이송경로(133)를 포함한다. 용지반전경로(131)의 대략 중앙에는 픽업롤러(121)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132)가 설치된다. 용지반전경로(131)와 용지이송경로(133)가 연결되는 곳에는 상형성수단(140)으로 용지를 이송하는 피드롤러(135)가 설치된다. 피드롤러(135)부터 상형성수단(140)의 감광매체(141)까지의 용지가 이송되는 용지이송경로(133)를 용지 이송 방향으로 하향 경사 시킴으로써, 상형성수단(140)의 설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즉, 용지이송경로(133)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형성수단(140)에서 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는 곳(140a)의 높이가 피드롤러(135)의 상단보다 낮도록 상형성수단(140)이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형성수단(140)에서 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는 곳인 감광매체(141)와 전사롤러(145)의 접촉 부분(140a)이 피드롤러(135)와 피드백업롤러(136)의 접촉 부분(135a)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 상형성수단(140)의 설치 높이가 낮아지면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체 높이(H3)를 낮출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바닥(117)에서 피드롤러 상단(135a)까지의 높이(H1)를 90mm로 하였을 경우에 감광매체(141)와 전사롤러(145)의 접촉 부분(140a)까지의 높이(H2)는 대략 60mm 정도가 된다.
종래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높이(H3)를 낮추기 위해서 용지공급수단(120)에서 상형성수단(140)까지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부(130)의 높이를 낮추려는 시도를 하였다. 즉, 용지이송부(130)의 대략 C자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되는 용지반전 경로(131)의 곡률 반지름을 작게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의 높이를 낮추려 하였다. 그러나, 화상형성장치(100)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용지반전경로(131)의 곡률 반지름을 작게 하면, 이송되는 용지에 잼이 발생하기 쉽고, 이송시 용지에 의한 소음이 증대하며, 이송되는 용지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지반전경로(131)는 일정 곡률 반지름 이상의 곡선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그 높이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지반전경로(131)를 형성하는 곡선의 곡률 반지름, 즉 용지반전경로(131)의 높이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와 거의 동일하게 유지하고, 용지반전경로(131)와 연결되는 용지이송경로(133), 즉, 반전된 용지를 상형성수단(140)까지 이송하는 경로를 용지 이송 방향으로 하향 경사 시켰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상형성장치(100)의 높이(H3)를 낮출 수 있다.
상형성수단(140)의 상측으로는 감광매체(141)에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수단(150)이 설치된다. 이때, 아래에서부터 용지공급수단(120), 상형성수단(140), 및 노광수단(150)이 차례로 수직하게 설치된 케이스(110)의 바닥(117)에서 상면(111)까지의 높이(H3)는, 바닥(117)에서 피드롤러 상단(135a)까지의 높이(H1)를 최대 90mm 정도로 하는 경우, 대략 150mm 정도로 할 수 있다.
정착수단(170)은 상형성수단(140)의 일측으로 용지공급수단(120)의 상측에 설치되며, 고온과 고압을 이용하여 상형성수단(140)을 통과할 때 용지에 전사된 화 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정착수단(170)은 용지에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롤러(172)와 고온을 발생시키는 가열롤러(171)를 포함한다. 이때, 정착수단(170)에서 용지가 통과하는 곳인 가압롤러(172)와 가열롤러(171)의 접촉 부분(170a)의 높이가 상형성수단(140)의 화상 전사 높이(140a)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정착수단(170)을 케이스(11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형성수단(140)과 정착수단(170)의 사이에서 용지가 이송되는 정착용지이송로(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러면, 피드롤러(135)로부터 상형성수단(140)까지 하향으로 이동하던 용지가 정착용지이송로(160)를 지나면서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배지수단(180)은 용지공급수단(120)의 상측으로 정착수단(17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착수단(170)을 통과하는 동안 화상이 정착된 용지를 케이스(110)의 일측면(113)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하, 용지가 배출되는 쪽의 케이스(110)의 일측면(113, 도 3에서 우측면)을 케이스(110)의 전면이라 하고, 그 반대 측면(115, 도 3에서 좌측면)을 케이스(110)의 후면이라 한다. 배지수단(180)은 복수의 배지롤러(181)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지수단(180)에서 용지가 통과하는 곳(180a)이 정착수단(170)에서 용지가 통과하는 곳(170a)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지수단(180)을 설치할 수 있으나, 배지수단(180)에서 용지가 통과하는 곳(180a)이 정착수단(17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배지수단(18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지수단(180)의 설치 위치가 높으면 배출되는 용지를 더 많이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배지수단(180)은 케이스(110)의 전면(113)에 바로 접하도록 설치하여 배출되는 용지가 바로 화상형성장치(100)의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배지수단(180)을 케이스(110)의 전면(113)에서 케이스(110)의 안쪽으로 일정 거리 들어간 곳에 설치하고, 배지수단(180)과 케이스(110)의 전면(113) 사이에는 배지수단(180)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받을 수 있는 용지 받침대(18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용지 받침대(183)의 상측으로는 배지수단(180)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소정의 배지공간(185)이 형성된다. 이 배지공간(185)은 케이스(110)의 전면(113)에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지공간(185)에 의해 용지공급수단(120)의 상측 공간의 일부를 배출된 용지(187)를 적재하는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용지 받침대(183)는 도 3과 같이 케이스(110)의 일부를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용지 받침대를 만들어 케이스(110)의 전면(113)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용지 받침대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설치된 책상과 같은 설치면(101)을 배출되는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 적재공간으로 사용하지 못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지 받침대(183)는 용지 배출 방향으로 설치면(101)을 기준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거나,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용지 받침대(183)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면, 배지수단(180)으로 배출되는 용지가 용지 받침대(183)를 따라 안정적으로 배출되므로 배출된 용지는 화상형성장치(100)가 놓인 책상(101) 위에 안정적으로 쌓이게 된다. 즉, 화상형성장치(100)가 설치된 책상과 같은 설치면(101)의 공간을 배출되는 용지의 적재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용지공급수단(120), 상형성수단(140), 피드롤러(135), 정착수단(170) 및 배지수단(180)을 제어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배지수단(180)과 용지 받침대(183)의 상측에 설치된다. 제어부(190)는 제어를 수행하는 회로기판(191), 인쇄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193, 도 4 참조), 화상형성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192), 화상형성장치(100)를 조작하는 조작버튼(195, 도 4 참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로기판(191)을 배지수단(180)과 배지공간(185)의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회로기판(191)이 케이스(110)의 전면(113) 가까이에 설치되므로, 케이스(110)의 전면(113)에 설치되는 동작표시부(193), 전원 스위치(192), 조작버튼(195)과의 거리가 매우 가깝게 된다. 따라서, 동작표시부(193), 전원 스위치(192), 조작버튼(195)을 케이스(110)에 별도로 설치한 후 전선으로 회로기판(191)과 연결할 필요 없이, 상기 부품들(193,192,195)을 회로기판(191)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회로기판(191)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동작표시부(193), 전원 스위치(192), 조작버튼(195)이 케이스(110)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동작표시부(193), 전원 스위치(192), 조작버튼(195)을 별도로 설치하기 위한 부품들(미도시)이 필요 없으므로 화상형성장치(100)의 재료비와 조립비가 절감된다.
또한, 동작표시부(193), 전원 스위치(192), 조작버튼(19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전면(113)에 오도록 배치할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와 같이 케이스(110)의 상면(111)에 앞쪽에 오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봉투, 두꺼운 용지 등과 같은 특수 용지를 인쇄할 수 있도록 특수 용지를 공급하는 보조 용지공급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용지공급부(200)는 케이스(110)의 상면(111)과 용지이송부(130)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다. 즉, 용지이송부(130)의 상단에는 피드롤러(13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조 용지공급부(200)는 케이스 상면(111)과 피드롤러(135)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보조 용지공급부(200)의 용지 입구(201)는 케이스(110)의 상면(111)의 끝 부분에 형성된다. 특수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 입구(201)가 케이스(110)의 상면(111)에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특수 용지를 위에서 아래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용지 공급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용지공급부(200)에는 보조용지센서(203)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용지센서(203)가 작동하면 제어부(190)는 피드롤러(135)를 회전시켜 보조 용지공급부(200)로 공급되는 용지를 상형성수단(140)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보조 용지공급부(200)는 용지 입구(2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입구 문(20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보조 용지공급부(200)로 용지를 공급할 때는 입구 문(202)을 열어 용지 입구(201)를 통해 용지를 공급하고, 보조 용지공급부(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입구 문(202)으로 용지 입구(201)를 닫을 수 있기 때문에, 먼지, 이물 등이 용지 입구(201)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구 문(202)은 힌지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첨 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미도시)로부터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90)는 픽업롤러(121)를 동작시켜 용지공급수단(120)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 픽업하여 피드롤러(135) 쪽으로 이송한다. 픽업된 용지에 의해 용지센서(138)가 동작하면, 제어부(190)는 이송롤러(132)와 피드롤러(135)를 동작시켜 용지를 상형성수단(140)으로 이송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90)는 노광수단(150)을 제어하여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광을 상형성수단(140)의 감광매체(141)로 주사한다. 그러면, 감광매체(141)에는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매체(141)가 회전하면, 정전잠상은 현상롤러(143)에 의해 공급되는 토너에 의해 화상으로 현상된다. 감광매체(141)에 형성된 화상은 피드롤러(135)에 의해 감광매체(141)와 전사롤러(145) 사이로 인입되는 용지로 전사된다.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계속해서 정착수단(170)으로 이송된다. 정착수단(170)으로 이송된 용지는 가압롤러(172)와 가열롤러(171)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전사된 화상은 가압롤러(172)의 고압과 가열롤러(171)의 고온에 의해 용지에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지수단(18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면(113)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지수단(180)의 앞쪽에는 용지 받침대(18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출된 용지(187)는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의 용지 받침대(183)와 책상(101) 위에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용지공급수단(120)으로부터 용지가 이송되는 용지이송부(130)의 용지반전경로(131)의 형상을 "C"자 형상으로 하고 용지이송부(130)의 피드롤러(135)에서 연장된 용지이송경로(133)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형성수단(140) 및 정착수단(170)이 피드롤러(135)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용지이송부(130), 상형성수단(140), 정착수단(170)의 배치에 의해서, 도 1 및 도 2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 30)의 내부에 존재하였던 사용 불가능한 공간(21,22,41,42)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높이(H3)를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30)의 높이보다 아주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30)에 비해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용지를 케이스(110)의 전면(113)을 통해 배출하기 때문에 케이스(110)의 상면(111)을 밀폐하여 바닥면(117)에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30)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공간인 화상형성장치(100)의 상면(111) 위의 공간을 편의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상면(111)에 작은 화병, 액자, 커피잔 등을 올려놓을 수 있다.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상면(111)에 디브이디 플레이어(DVD Player)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형성수단에서 용지가 통과하는 곳의 높이가 피드롤러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형성수단을 배치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높이를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보다 낮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보다 소형화, 슬림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가 측면으로 배출되므로, 용지공급수단의 상측의 일부 공간과 화상형성장치가 설치되는 책상의 상면과 같은 설치면을 배출되는 용지를 저장하는 적재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용지적재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케이스의 상면이 밀폐된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케이스의 윗 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봉투와 같은 특수 용지를 케이스의 상면 후단에서 아래쪽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용지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제어부의 회로기판이 케이스의 전면 부근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표시부, 전원 스위치, 조작버튼을 회로기판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표시부, 전원 스위치, 조작버튼을 별도로 설치하고, 회로기판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조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19)

  1. 용지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용지공급수단;
    상기 용지공급수단의 상측에 설치되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수단;
    상기 용지공급수단의 용지를 상기 상형성수단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C자 형상에서 상기 상형성수단 쪽 부분은 용지이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용지이송부;
    상기 용지공급수단과 상기 상형성수단과 상기 용지이송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용지공급수단의 상측에 설치되며, 용지를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배출하는 배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지수단에서 배출되는 상기 용지는 상기 상형성수단의 상측을 지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용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상기 용지이송부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보조 용지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배지수단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받침대는 용지 배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화상형성장치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용지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용지공급수단;
    상기 용지공급수단의 상측에 설치되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수단;
    상기 용지공급수단으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상기 상형성수단으로 이송하는 피드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롤러로부터 상기 상형성수단까지의 용지이송경로가 하향 경사진 용지이송부;
    상기 상형성수단에서 형성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수단;
    화상이 정착된 용지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수단; 및
    상기 용지공급수단, 상형성수단, 피드롤러, 정착수단 및 배지수단을 제어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지수단에서 배출되는 상기 용지는 상기 상형성수단의 상측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용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상기 피드롤러의 사이에 형성된 보조 용지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지공급부의 용지 입구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의 끝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지공급부는 상기 용지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입구 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성수단은 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는 곳의 높이가 상기 피드롤러의 상단보다 낮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서 상기 피드롤러 상단까지의 높이는 최대 9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은 바닥에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서 상면까지의 높이는 최대 15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수단은 상기 용지공급수단의 상측으로 상기 정착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며, 용지를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배지수단에서 배출되는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받침대는 용지 배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수단은 용지가 통과하는 곳이 상기 상형성수단에서 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는 곳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수단은 용지가 통과하는 곳이 상기 정착수단에서 용지가 통과하는 곳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지수단의 상측으로 용지가 배출되는 쪽의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가깝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88284A 2006-09-12 2006-09-12 화상형성장치 KR101297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284A KR101297178B1 (ko) 2006-09-12 2006-09-12 화상형성장치
US11/679,473 US20080063450A1 (en) 2006-09-12 2007-02-27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mpact size
CN2007101077759A CN101144998B (zh) 2006-09-12 2007-04-29 具有紧凑尺寸的成像设备
EP07110858A EP1900534B1 (en) 2006-09-12 2007-06-22 Image forming apparatus
US14/564,409 US9618894B2 (en) 2006-09-12 2014-12-09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mpact siz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284A KR101297178B1 (ko) 2006-09-12 2006-09-12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020A KR20080024020A (ko) 2008-03-17
KR101297178B1 true KR101297178B1 (ko) 2013-08-21

Family

ID=3854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284A KR101297178B1 (ko) 2006-09-12 2006-09-12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80063450A1 (ko)
EP (1) EP1900534B1 (ko)
KR (1) KR101297178B1 (ko)
CN (1) CN1011449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82B1 (ko) * 2007-04-16 2014-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8200117B2 (en) * 2007-04-16 2012-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ivotable upper body
JP2009057130A (ja) * 2007-08-30 2009-03-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7243048B2 (ja) * 2018-06-13 2023-03-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7125007B2 (ja) * 2018-09-19 2022-08-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7434924B2 (ja) 2020-01-23 2024-0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WO2023038626A1 (en) * 2021-09-09 2023-03-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s including auxiliary print media tray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92A (ja) * 1996-06-27 1998-01-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50281597A1 (en) * 2004-06-17 2005-12-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640A (en) * 1976-03-15 1977-09-16 Minolta Camera Co Ltd Static latent image transferring electrophotographic copier
US4583844A (en) * 1983-09-19 1986-04-22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Image recording apparatus with separable upper and lower sections and displaceable paper feed unit
FR2588139B1 (fr) * 1985-09-30 1994-03-04 Canon Kk Appareil de formation d'images.
JPH0255243U (ko) * 1988-10-17 1990-04-20
JP2851303B2 (ja) * 1989-05-18 1999-01-27 株式会社リコー プリンター装置
DE69219915T2 (de) * 1991-01-25 1997-11-20 Canon Kk Elektrophotographisches Bilderzeugungsgerät mit einer Montieranordnung für die Arbeitseinheit
US5347349A (en) * 1992-07-21 1994-09-13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otective gate member
US5526104A (en) * 1994-03-29 1996-06-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manual paper feed inlet
JPH0895468A (ja) * 1994-09-26 1996-04-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581479B2 (ja) * 1996-03-11 200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913095A (en) * 1997-08-25 1999-06-1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147650A (ja) * 1997-09-04 1999-06-02 Ricoh Co Ltd 記録紙スタッカ装置
JP2000335788A (ja) * 1999-05-27 2000-12-05 Canon Inc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TE301548T1 (de) * 2000-02-24 2005-08-15 Seiko Epson Corp Papierförderer und aufzeichnungsgerät derselben enthaltend
JP2004069884A (ja) * 2002-08-05 2004-03-04 Brother Ind Ltd 画像読み取り手段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0449733B1 (ko) * 2002-08-10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스-업 및 페이스-다운 배출이 가능한 프린터
US8582125B2 (en) * 2003-07-22 2013-11-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ariable support structure and media sheet separator
JP4321235B2 (ja) * 2003-11-21 2009-08-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431961B2 (ja) * 2004-03-05 2010-03-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2005292356A (ja) * 2004-03-31 2005-10-2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KR100612008B1 (ko) * 2004-04-10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06003649A (ja) * 2004-06-17 2006-01-0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7631965B2 (en) * 2005-02-28 2009-12-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recording device having movable carriage to which flexible flat cable and flexible ink supply tubes are connected
JP2006248062A (ja) * 2005-03-11 2006-09-21 Seiko Epson Corp スキャナプリンタ複合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92A (ja) * 1996-06-27 1998-01-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50281597A1 (en) * 2004-06-17 2005-12-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0534A1 (en) 2008-03-19
US20150093160A1 (en) 2015-04-02
US20080063450A1 (en) 2008-03-13
KR20080024020A (ko) 2008-03-17
CN101144998A (zh) 2008-03-19
US9618894B2 (en) 2017-04-11
CN101144998B (zh) 2013-11-27
EP1900534B1 (en)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178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241798B1 (ko) 거의 수직인 용지이송통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1356649B1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8072655B2 (en) Image reader for us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amination check method of guide film for the same
TW201304973A (zh) 成像裝置
JP3602460B2 (ja) 給紙装置
JP2010037099A (ja) 給紙装置及び画像システム
KR101245139B1 (ko) 화상형성장치
US9131091B2 (en) Document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447170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1013093A (ja) 画像形成装置
KR20100041293A (ko) 급지유닛
KR101172395B1 (ko) 인쇄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605356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9007094A (ja) 用紙供給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CN111142345A (zh) 图像形成装置
JP4299840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35250B2 (ja) 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23024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66233A (ko) 화상형성장치
KR20050046425A (ko) 복합기
JP2007197104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05765A (ko)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일체화된 복합기
JPH04335655A (ja) 画像形成装置
KR20050114151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