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765A -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일체화된 복합기 - Google Patents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일체화된 복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765A
KR20060005765A KR1020040054716A KR20040054716A KR20060005765A KR 20060005765 A KR20060005765 A KR 20060005765A KR 1020040054716 A KR1020040054716 A KR 1020040054716A KR 20040054716 A KR20040054716 A KR 20040054716A KR 20060005765 A KR20060005765 A KR 20060005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printing paper
image
duplex
si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5765A/ko
Publication of KR20060005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8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duplex m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스캐너가 일체화된 복합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복합기는 인쇄용지에 화상이 형성되는 인쇄용지이송경로인 심플렉스패스와, 심플렉스패스와 연결되어 인쇄용지의 이면에도 화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인쇄용지를 심플렉스패스로 이송하는 듀플렉스패스와, 듀플렉스패스 상에 설치되어 원고를 스캔하는 이미지센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 일체화된 복합기{ Multi-functional peripheral device incorporated the scanner capable of the duplex path as the scan path}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 일체된 복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인쇄용지의 일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인쇄용지의 이면에도 화상을 형성하도록 듀플렉스패스로 반송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원고를 스캔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라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 일체된 복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원고를 스캔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카세트 120...현상장치
140...전사롤러 150...정착장치
160...배지롤러 161...배지대
162...반송롤러 170...심플렉스패스
180...듀플렉스패스 181...피드롤러
182,183,184...가이드부 185...연결패스
190,191...이미지센서
본 발명은 복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의 양면을 복사하기 위한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하여 원고를 스캔하는 스캐너가 일체화된 복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기는 원고를 독취하여 화상을 입력하는 스캐닝(scanning)기능과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printing)기능 및 기타 다른 기능들을 하나의 장치 내에 통합함으로써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복합기는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부가 하측에 마련되어 있고, 원고를 스캔하는 화상입력부가 화상형성부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그리고, 토너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지되어 적재되는 배지부가 화상형성부 및 화상입력부의 사이에 마련되기도 한다.
화상입력부는 화상형성부의 상측에 마련되어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을 입력하는 것으로, 원고를 적재할 수 있는 원고적재대를 마련하여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를 적재하고 한 장씩 내부로 이송하여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미지센서를 통과하면서 화상이 스캔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복합기는 화상입력부를 화상형성부의 위쪽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복합기의 전체적인 높이가 상승하게 되며, 또한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이동하거나 설치하는데 장소적인 제약을 받는다.
한편, 배지부가 화상형성부와 화상입력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상입력부를 지지하는 부분이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양면인쇄를 하기 위한 듀플렉스패스를 원고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패스로 이용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카세트를 원고적재대로 대신 사용함으로써 한꺼번에 많은 원고를 스캔할 수 있는 복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스캐너가 일체화된 복합기는 인쇄용지에 화상이 형성되는 인쇄용지이송경로인 심플렉스패스와,
상기 심플렉스패스와 연결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이면에도 화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용지를 상기 심플렉스패스로 이송하는 듀플렉스패스와,
상기 듀플렉스패스 상에 설치되어 원고를 스캔하는 이미지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세트와 상기 듀플렉스패스를 연통시켜 상기 카세트에 적재되는 원고를 상기 듀플렉스패스로 이송되게 하는 연결패스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심플렉스패스, 듀플렉스패스 및 연결패스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인쇄용지 또는 원고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듀플렉스패스 상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인쇄용지 또는 원고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센서는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배지롤러를 지나온 원고를 스캔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 일체된 복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스캐너가 일체된 복합기(100)는 카세트(110)에 저장된 인쇄용지(S)에 화상을 형성하고 이를 배지시키는 인쇄용지이송경로인 심플렉스패스(170)와, 상기 심플렉스패스(170)와 연결되어 인쇄용지(S)의 이면에도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용지(S)를 반송하는 듀플렉스패스(180)와 본체(101)외부에 설치되어 원고를 스캔하는 이미지센서(19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1)의 하부에는 인쇄용지(S)를 적재하고 상기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도록 카세트(11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110)의 상측에는 인쇄용지(S)를 낱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1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심플렉스패스(170)상에는 인쇄용지(S)의 이송경로를 따라 차례로 현상장치(120), 전사롤러(140), 정착장치(150) 및 배지롤러(16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현상장치(120)는 레이저스캐닝유닛(LSU)과 같은 노광유닛(130)에 의하여 소정전위로 대전된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21)이 일부가 노출되어 인쇄용지(S)를 사이에 두고 전사롤러(140)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사롤러(140)는 상기 감광드럼(121)에 대면하여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121)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상기 감광드럼(121)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용지(S)에 전사시킨다.
상기 정착장치(150)는 용지(S)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전사롤러(140)에 의하여 인쇄용지(S)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S)에 융착시킨다.
상기 배지장치(160)는 상기 정착장치(150)에 의하여 토너화상이 융착된 인쇄용지(S)를 배지대(161)로 배출시킨다.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용지(S)의 이면에도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반송시키는 인쇄용지이송경로일 뿐만 아니라 원고를 스캔하기 위하여 원고를 이송하는 원고이송경로이기도 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원고를 이송하는 원고이송경로로서 상기 듀플렉스패스 (180)를 이용하는 것은 상기 심플렉스패스(170)상에는 상기 현상장치(120) 및 정착장치(150)가 마련되어 있어 원고가 이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 상기 현상장치(120)로부터는 토너가 묻을 수 있고, 상기 정착장치(150)로부터는 열 및 압력을 받아 원고의 화상이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를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듀플렉스패스(180)상에는 양방향으로 회전 즉, 인쇄용지(S)를 상기 심플렉스패스(170)로 반송시키도록 정회전(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뿐만 아니라 원고를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를 따라 이송되도록 역회전(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딩롤러(18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는 상기 카세트(110)에 적재되는 원고가 상기 듀플렉스패스(180)에 이송되도록 연결패스(185)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111)에 의하여 상기 카세트(110)로부터 픽업된 원고는 상기 연결패스(185)를 통하여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로 이송된다.
상기 연결패스(185)와 심플렉스패스(170)가 만나는 지점과, 상기 연결패스(185)와 듀플렉스패스(180)가 만나는 지점과, 상기 심플렉스패스(170)와 상기 듀플렉스패스(180)가 만나는 지점에는 가이드부(182)(183)(184)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인쇄용지(S) 및 원고를 원하는 패스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182)는 인쇄 시에는 인쇄용지(S)를 상기 심플렉스패스(170)로 안내하거나 또는 원고독취 시에는 원고를 상기 연결패스(185)로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183)는 양면인쇄 시에는 반송되는 인쇄용지(S)를 상기 심플렉 스패스(170)로 안내하거나 또는 스캔 시에는 원고를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로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184)는 일면인쇄 시에는 인쇄용지(S)를 배지되도록 안내하거나 또는 양면인쇄 시에는 인쇄용지(S)를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로 안내한다.
상기 이미지센서(190)는 상기 본체(101)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지롤러(160)를 통과한 원고의 이미지를 독취한다. 독취된 원고는 상기 배지대(161)에 배출되어 적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스캐너가 일체로 된 복합기의 3가지 동작(일면인쇄, 양면인쇄, 원고스캔)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인쇄용지의 일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용지(S)의 일면에만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픽업롤러(111)에 의하여 픽업된 인쇄용지(S)는 상기 가이드부(182)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심플렉스패스(170)로 이송된다. 인쇄용지(S)는 상기 현상장치(120)와 전사롤러(140) 사이를 통과하면서 토너화상이 전사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인쇄용지(S)는 상기 정착장치(150)를 거치면서 토너화상이 인쇄용지(S)에 융착된다.
상기 가이드부(184)는 상기 인쇄용지(S)를 상기 배지롤러(160)쪽으로 안내하고, 상기 배지롤러(160)는 인쇄용지(S)를 상기 본체(101)외부로 배출하여 배지대 (161)에 적재시킨다.
이때, 상기 이미지센서(190)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배지롤러(160)를 지나온 인쇄용지(S)를 그대로 외부로 통과시킨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인쇄용지의 이면에도 화상을 형성하도록 듀플렉스패스로 반송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용지(S)의 이면에도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에, 도 2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플렉스패스(170)를 지나면서 화상이 형성된 인쇄용지(S)의 끝단이 상기 가이드부(184)를 통과하면 상기 배지롤러(160) 및 반송롤러(162)를 역회전(반시계방향)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84)는 상기 심플렉스패스()를 막고 인쇄용지(S)를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83)는 인쇄용지(S)를 상기 심플렉스패스(170)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피드롤러(181)는 정회전(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인쇄용지(S)를 상기 심플렉스패스(170)로 이송시킨다. 상기 심플렉스패스(170)로 이송된 인쇄용지(S)는 도 2에 도시된 경로를 통과하면서 이면에도 화상이 형성되어 배지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원고를 스캔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독취하고자 하는 원고는 상기 카세트(110)에 적재시키고 상기 픽업롤러(111)에 의하여 한 장씩 픽업한다. 원고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면 이 상 방향을 향하도록 놓아야 상기 이미지센서(190)를 지날 때 화상을 독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미지센서(190)의 위치가 바뀌게 되면 상기 카세트(110)에 적재하는 원고의 면도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82)는 상기 심플렉스패스(170)를 막아 원고가 상기 연결패스(185)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83)는 원고를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피드롤러(181)는 역회전(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고를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킨다.
상기 가이드부(184)는 상기 심플렉스패스(170)를 막아 원고가 상기 배지롤러(160)쪽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원고는 상기 배지롤러(160)를 통과하여 상기 이미지센서(190)를 지나면서 화상이 독취된 후 상기 배지대(161)에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라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 일체된 복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원고를 스캔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와 동일하며, 단지 이미지센서(191)를 듀플렉스패스(180)상에 설치하였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110)에 적재되어 있던 원고는 픽업롤러에 의하여 픽업되면, 상기 가이드부(182)는 상기 심플렉스패스(170)를 막아 원고를 상기 연결패스(185)로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183)는 원고를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로 안내하며, 상기 피 드롤러(181)는 역회전(반시계방향)하면서 원고를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를 통과하도록 이송한다.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를 통과하는 원고는 상기 이미지센서(191)를 통과하면서 이미지가 독취된다. 이미지가 독취된 원고는 상기 가이드부(184)에 의하여 상기 배지롤러(160)쪽으로 안내되어 상기 배지롤러(160)를 거쳐 배지대(161)에 적재된다.
물론, 인쇄용지(S)의 이면에도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에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인쇄용지(S)가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를 지나 상기 이미지센서(191)를 통과하는 경우에 이미지센서(191)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듀플렉스패스(180)를 이용하여 원고를 이송하면서 원고의 이미지를 독취하는 경우에, 원고가 상기 정착장치(150)근처를 지나면서 히팅롤러로부터 열을 받아 원고의 이미지가 손상되거나 또는 변형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원고의 이미지를 독취하는 동작을 하는 경우에는 히팅롤러의 온도를 원고의 이미지가 손상되거나 또는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적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가 일체화된 복합기는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하므로 전체적인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어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카세트를 원고적재함으로 사용함으로써 다량의 원고를 독취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인쇄용지에 화상이 형성되는 인쇄용지이송경로인 심플렉스패스와,
    상기 심플렉스패스와 연결되어 상기 인쇄용지의 이면에도 화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용지를 상기 심플렉스패스로 이송하는 듀플렉스패스와,
    상기 듀플렉스패스 상에 설치되어 원고를 스캔하는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가 일체화된 복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카세트와 상기 듀플렉스패스를 연통시켜 상기 카세트에 적재되는 원고를 상기 듀플렉스패스로 이송되게 하는 연결패스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가 일체화된 복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플렉스패스, 듀플렉스패스 및 연결패스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인쇄용지 또는 원고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스캐너가 일체화된 복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패스 상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인쇄용지 또는 원고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가 일체화된 복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는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배지롤러를 지나온 원고를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가 일체화된 복합기.
KR1020040054716A 2004-07-14 2004-07-14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일체화된 복합기 KR20060005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716A KR20060005765A (ko) 2004-07-14 2004-07-14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일체화된 복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716A KR20060005765A (ko) 2004-07-14 2004-07-14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일체화된 복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765A true KR20060005765A (ko) 2006-01-18

Family

ID=3711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716A KR20060005765A (ko) 2004-07-14 2004-07-14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일체화된 복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57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0373B2 (en) 2011-12-13 201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0373B2 (en) 2011-12-13 201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7202B2 (ja) 読取機能付き画像形成装置
JP608210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スキャナー装置
JP2007049300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KR0141643B1 (ko) 화상처리시스템의 용지경로 공유장치
JP200109761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3427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16580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05765A (ko) 듀플렉스패스를 스캔패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스캐너가일체화된 복합기
JP407678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3989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15428A (ja)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12442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001825A (ja) シートトレイ,画像処理装置
JP2004279692A (ja) 画像形成装置
JP4200821B2 (ja) シート供給装置
JPH09185202A (ja) 画像読取り等複合装置
JP2009292581A (ja) 給紙トレイ、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5983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63898A (ja) 画像形成装置
JP3627950B2 (ja) 給紙装置
KR101329740B1 (ko) 복합기
JP20013419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01703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86450A (ja) 画像読取り等複合装置
JP2004345787A (ja) シートトレイ,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