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293A - 급지유닛 - Google Patents

급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293A
KR20100041293A KR1020080100410A KR20080100410A KR20100041293A KR 20100041293 A KR20100041293 A KR 20100041293A KR 1020080100410 A KR1020080100410 A KR 1020080100410A KR 20080100410 A KR20080100410 A KR 20080100410A KR 20100041293 A KR20100041293 A KR 20100041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main body
receiving portion
pap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983B1 (ko
Inventor
양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983B1/ko
Priority to US12/511,649 priority patent/US8267395B2/en
Publication of KR2010004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compartmented to receive piles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6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65H3/68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im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65H2701/1313Edges trail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지구조가 개선된 급지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유닛은 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착탈되며, 제1용지수용부 및 제2용지수용부를 구비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의 장착상태에서 상기 제1용지수용부와 상기 제2용지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용지수용부에 적재된 용지들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가이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급지유닛{PAPER SUPPLY UNIT}
본 발명은 급지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지구조가 개선된 급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기를 이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용지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유닛을 거쳐 용지에 전사되고, 용지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용지에 고정된다. 이때, 용지는 급지유닛에 의해 공급되며, 근래에는 제1용지수용부 및 제2용지수용부를 구비하여, 제1용지수용부의 용지가 모두 소진되면 제2용지수용부의 용지를 제1용지수용부로 이송시키는 대용량 급지유닛이 개발, 생산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지구조가 개선된 급지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유닛은 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착탈되며, 제1용지수용부 및 제2용지수용부를 구비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의 장착상태에서 상기 제1용지수용부와 상기 제2용지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용지수용부에 적재된 용지들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가이드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제1용지수용부에 적재된 용지들 중 상측에 적재된 용지들의 후단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가이드홀더와, 상기 가이드홀더에 결합되는 용지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픽업롤러와 대향되는 제1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용지카세트의 장착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들의 후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1가이드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픽업롤러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1가이드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제3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상기 픽업롤러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홀더에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가이드는 가이드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픽업롤러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용지가이드를 상기 픽업롤러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홀더에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가이드는 간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용지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용지수용부로 이송되는 용지들과 상기 간섭부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용지가이드를 하측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용지수용부에 적재된 용지들을 승강하는 수직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수직이송장치에 의해 상승하는 용지들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지유닛에서는 급지구조가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유닛(2)과, 화상을 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장치(3)는 화상독취유닛(2)에서 입력되는 신호나 PC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급지유닛(4), 광주사유닛(5), 현상유닛(6), 전사유닛(7), 정착유닛(8) 및 배지유닛(9)를 구비한다.
광주사유닛(5)은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들(K, C, M, Y)에 조사하여 감광체들(K, C, M, Y)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6)은 감광체들(K, C, M, Y)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6)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블랙(K),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6K, 6C, 6M, 6Y)로 구성될 수 있다.
전사유닛(7)은 중간전사벨트(7a), 제1전사롤러(7b)들 및 제2전사롤러(7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광체들(K, C, M, Y)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7b) 들에 의해 중간전사벨트(7a)로 전사되고, 중간전사벨트(7a)의 화상은 급지유닛(4)으로부터 공급되어 제2전사롤러(7c)와 중간전사벨트(7a)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된다.
전사유닛(7)을 통과한 용지는 정착유닛(8)으로 진입한다. 정착유닛(8)은 가열롤러(8a)와 가압롤러(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용지는 가열롤러(8a)와 가압롤러(8b)의 사이를 통과하고, 이 때 열과 압력에 의해 화상이 용지에 고정된다.
정착유닛(8)을 통과한 용지는 배지유닛(9)으로 안내되고, 배지롤러(9a)에 의해 인쇄장치(3)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의 급지유닛(4)은 대용량 급지유닛(High Capacity Feeder, HCF)용 카세트(20)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지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가이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급지유닛(4)은 카세트(20), 수직이송장치(30), 수평이송장치(50) 및 용지가이드장치(100)를 포함한다.
인쇄장치(3)의 본체(10)는 카세트(20)가 입출되도록 형성된 개구(13)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급지유닛(4)은 인쇄장치(3)의 본체(10)에 마련되지만, 급지유닛(4)은 별도의 본체, 즉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물론, 상기 케이 스는 인쇄장치의 본체와 별도로 제작되거나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카세트(20)는 용지가 적재되는 제1용지수용부(21) 및 제2용지수용부(25)를 구비하며, 본체(10)의 개구(13)를 통해 본체(10)에 선택적으로 착탈된다.
제1용지수용부(21)에 수용되는 용지들은 전, 후 방향(카세트의 입출방향)(b)으로 가이드플레이트(22, 23)들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으로 가이드플레이트(24)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제2용지수용부(25)에 수용되는 용지들은 전, 후 방향으로 가이드플레이트(26, 27)에 의해 지지되고, 일측으로 이동부재(51)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지유닛에서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가 모두 소진되면 제2용지수용부(25)에 적재된 용지가 수평이송장치(50)에 의해 제1용지수용부(21) 측으로 이송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송장치(30)는 제1용지수용부(21)의 바닥에 마련되어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를 지지하는 승강플레이트(31)와, 제1용지수용부(2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31)를 승/하강시키는 수직이송구동부(32)를 포함한다.
수직이송구동부(32)는 제1구동부(33) 및 제2구동부(37)를 포함하고, 제1구동부(33) 및 제2구동부(37)는 각각 구동풀리(34, 38) 및 종동풀리(35, 39)를 구비하며, 각 구동풀리(34, 38)와 종동풀리(35, 39)는 타이밍벨트(36, 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각 타이밍벨트(36, 40)의 일단에는 승강플레이트(31)의 양 측단이 고정부재(43)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제1구동부(33)의 구동풀리(34)와 제2구동부(37) 의 구동풀리(38)는 제1샤프트(4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1샤프트(41)의 일단부에는 승강용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제1샤프트로 전달하는 구동기어(42)가 마련된다. 이때, 승강용구동모터는 인쇄장치(3)의 본체에 설치되며, 카세트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될 때에 상기 승강용구동모터와 구동기어(42)는 커플링장치(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승강용 구동모터(미도시)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제1샤프트(41)를 통해 제1구동부(33)의 구동풀리(34) 및 제2구동부(37)의 구동풀리(38)로 전달되고, 각 구동풀리(34, 38)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양측 타이밍벨트(36, 40)가 동일한 선속도로 회전하게 되어 승강플레이트(31)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45, 46은 승강플레이트의 양측에 마련되어 승강플레이트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며 풀리 등의 부재가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구동부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송장치(50)는, 제2용지수용부(25)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2용지수용부(25)의 바닥판(28)에 적재된 용지를 제1용지수용부(21)로 밀어 이송시키는 이동부재(51)와, 이동부재(51)를 구동시키는 수평이송구동부(52)를 포함한다.
수평이송구동부(52)는 인쇄장치(3)의 본체(10)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미도시)와, 카세트(20)의 장착 시에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풀리(53)와, 일측은 구동풀리(53)에 지지되고 타측은 종동풀리(54)에 지지되는 타이밍벨트(55)와, 상기 타이밍벨트(55)와 이동부재(51)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56)를 구비한다.
제2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은 수평이송장치(50)의 구동풀리(53)에 전달되고, 구동풀리(53)에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수평이송장치(50)의 타이밍벨트(55)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수평이송장치(50)의 타이밍벨트(55)의 일측에 고정결합된 이동부재(51)의 진퇴동작이 이루어진다.
도1,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가이드장치(100)는 카세트의 장착상태에서 제1용지수용부(21)와 제2용지수용부(25) 사이에 배치되어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들을 가이드한다. 즉, 본 실시예의 급지유닛(4)에서는,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 중 상측 일부 용지들의 후단부가 용지가이드장치(1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는 그 정렬이 유지된 상태에서 픽업롤러(11)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지가이드장치(100)는 인쇄장치(3)의 본체(10)에 고정되는 가이드홀더(110)와, 가이드홀더(110)에 힌지결합되는 용지가이드(120)를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112는 용지가이드(120)의 힌지축(125)이 삽입되도록 가이드홀더(110)에 형성된 축공을 나타낸다.
가이드홀더(110)는 본체(10)의 상부프레임(도1 참조)(12)에 고정되며, 급지유닛(4)에 적재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고정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용지가이드(120)는 제1가이드부(121), 제2가이드부(122), 제3가이드부(123) 및 지지부(124)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부(121)는 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되는 픽업롤러(11) 측을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다시말해, 제1가이드부(121)는 카세트가 장착된 상태 에서 제1용지수용부(21)를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용지카세트(20)의 장착상태에서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들의 후단부를 지지한다. 이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들은 정렬상태를 유지하며 픽업롤러(11) 측으로 가이드된다. 또한,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이 급지유닛(4)에 전해지더라도, 픽업롤러(11)에 의해 픽업될 용지들은 그 정렬상태가 유지되는 바, 급지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걸림현상(jamming)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제2가이드부(122)는 제1가이드부(1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픽업롤러(11)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들 중 일부 용지의 정렬상태가 양호하지 않더라도, 상기 정렬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용지는 제1용지수용부(21)에서 상승하는 과정에서 제2가이드부(122)와의 간섭에 의해 재정렬되어 제1가이드부(121)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진입하게 된다.
또한, 제3가이드부(123)는 제1가이드부(121)의 일측으로부터 본체(10)의 개구(13)를 향해 연장되며, 본체(10)의 개구(13)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픽업롤러(11)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카세트(20)를 급지유닛(4)의 본체(10)에 장착할 때,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의 전단부(카세트 장착 방향으로의 전단부)가 용지가이드(120)에 걸리는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용지를 가이드한다.
지지부(124)는 가이드상태에서 용지가이드(120)가 픽업롤러의 반대측으로 회 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124)는 용지가이드(120)의 상단으로부터 가이드홀더(110)를 향해 상측으로 연장되어, 가이드홀더(110)의 저면에 지지된다. 이때, 가이드상태는, 도 1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의 상승방향(a)과 용지가이드(120)의 제1가이드부(121)가 평행을 이루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지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들은 수직이송장치(30)에 의해 제1용지수용부(21)의 일측에 배치되는 픽업롤러(11) 측으로 상승되고, 상승된 제1용지수용부(21)의 용지들 중 최상측의 용지는 픽업롤러(11)에 의해 픽업되어 인쇄엔진부 측, 즉 현상유닛(6), 전사유닛(7), 정착유닛(8)이 위치하는 상측으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픽업롤러(11)에 인접하는 제1용지수용부(21)의 용지들은 용지가이드(120)의 제1가이드부(121)에 의해 후단부가 지지되므로, 외부로부터 급지유닛(4)에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지거나, 급지유닛(4)이 기울어지더라도 정렬상태가 유지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들이 모두 소진되면, 센서(미도시)는 제1용지수용부(21)의 용지소진을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는 수평이송장치(50)의 제2구동모터에 구동명령을 보낸다. 구동명령을 받은 수평이송장치(50)의 제2구동모터는 구동을 시작하고, 제2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부재(51)는 제1용지수용부(21) 측으로 이동을 시작하며, 이 에 따라 제2용지수용부(25)에 적재된 용지들이 제2용지수용부(25)의 승강플레이트(31)로 이송된다. 이때, 제2용지수용부(25)의 적재되는 용지의 양에 따라 용지가이드장치(100)의 용지가이드(120)와 용지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용지가이드(120)는 제1용지수용부(21) 측으로 회동되므로 제2용지수용부(25)에 적재된 용지들은 자연스럽게 제1용지수용부(21)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용지들이 통과한 후, 용지가이드(120)는 자중에 의해 초기상태(도 1에 도시된 용지가이드의 상태))로 복귀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지수용부(21)로 이송된 용지들은 수직이송장치(30)에 의해 최상측 용지가 픽업롤러(11)에 접촉할 때 까지 상승된다.
도 6d는 수직이송장치(30)에 의해 상승하는 용지들 중 제2용지수용부(25) 측으로 다소 이탈된 용지들이 용지가이드(120)의 제2가이드부(122)에 의해 재정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에서는 제1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지가이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용지가이드장치(200)는, 용지가이드(220) 복귀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단이 가이드홀더(210)의 단부(211)에 지지되고 타단이 용지가이드(220)의 단부(221)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230)을 더 구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지가이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용지가이드장치(300)는 가이드홀더(310)와, 가이드홀더(310)에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용지가이드(320)를 구비한다.
가이드홀더(310)에는 용지가이드(320)의 슬라이딩돌기(325)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슬라이딩공(311)이 양측에 형성된다.
용지가이드(320)는 수직이송장치(30)에 의해 상승하는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들을 픽업롤러(11) 측으로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321)와, 수직이송장치(30)에 의해 상승하는 제1용지수용부(21)에 적재된 용지들 중 제2용지수용부(25) 측으로 이탈된 용지들을 제1용지수용부(21) 측으로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322)와, 카세트(20)의 장착과정에서 제2용지수용부(25) 측으로 이탈된 용지들을 제1용지수용부(21) 측으로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부(323)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1가이드부(321), 제2가이드부(322) 및 제3가이드부(323)는 제1실시예의 제1가이드부(321), 제2가이드부(322) 및 제3가이드부(323)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용지가이드(320)는 제1가이드부(321)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간섭부(324)를 더 구비한다. 간섭부(324)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픽업롤러(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용지수용부(25)로부터 상기 제1용지수용부(21)로 이송되는 용지들과 간섭부(324)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용지가이드(320)는 상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용지들은 자연스럽게 제1용지수용부(21) 측으로 이송된다.
미설명부호 330은 용지가이드를 하측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코일스프링을 나 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은 세 개의 카세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세 개의 카세트 들 중 하나의 카세트가 대용량 카세트이지만, 급지유닛에 장착되는 카세트의 개수 및 규격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지유닛은 하나의 가이드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나, 둘 이상의 가이드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지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지가이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지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지가이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지가이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20 카세트
30 수직이송장치 50 수평이송장치
100 용지가이드장치 110 가이드홀더
120 용지가이드 121 제1가이드부
122 제2가이드부 123 제3가이드부
124 지지부

Claims (13)

  1. 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착탈되며, 제1용지수용부 및 제2용지수용부를 구비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의 장착상태에서 상기 제1용지수용부와 상기 제2용지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용지수용부에 적재된 용지들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지가이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제1용지수용부에 적재된 용지들 중 상측에 적재된 용지들의 후단부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가이드홀더와, 상기 가이드홀더에 결합되는 용지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픽업롤러와 대향되는 제1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용지카세트의 장착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들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1가이드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픽업롤러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기 제1가이드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제3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개구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상기 픽업롤러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홀더에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는 가이드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픽업롤러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용지가이드를 상기 픽업롤러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홀더에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는 간섭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용지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용지수용부로 이송되는 용지들과 상기 간섭부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용지가이드는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용지가이드를 하측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지수용부에 적재된 용지들을 승강하는 수직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지가이드장치는 상기 수직이송장치에 의해 상승하는 용지들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유닛.
KR1020080100410A 2008-10-14 2008-10-14 급지유닛 KR10152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10A KR101523983B1 (ko) 2008-10-14 2008-10-14 급지유닛
US12/511,649 US8267395B2 (en) 2008-10-14 2009-07-29 Paper suppl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10A KR101523983B1 (ko) 2008-10-14 2008-10-14 급지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293A true KR20100041293A (ko) 2010-04-22
KR101523983B1 KR101523983B1 (ko) 2015-05-29

Family

ID=4209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410A KR101523983B1 (ko) 2008-10-14 2008-10-14 급지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67395B2 (ko)
KR (1) KR101523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5037B1 (en) * 2012-11-08 2013-11-19 Xerox Corporation Tandem media tray using mid-tray sensor
JP6702703B2 (ja) * 2015-12-04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577204B2 (en) * 2017-08-31 2020-03-03 Canon Finetech Nisca Inc. Stacking apparatus,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278176B2 (ja) * 2019-08-26 2023-05-19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5421A (en) * 1991-03-04 1992-02-0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Dual bin paper feed tray for an image reproduction machine such as a printer or copier
JP3314329B2 (ja) * 1996-04-25 2002-08-12 ミノルタ株式会社 自動給紙装置
JP2005200129A (ja) 2004-01-14 2005-07-28 Brother Ind Ltd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2227A1 (en) 2010-04-15
US8267395B2 (en) 2012-09-18
KR101523983B1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276B1 (ko)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7605954B2 (en) Original feeding apparatus, original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21076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US8676088B2 (en) Unit provided above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is pivotably movable through a rotation fulcrum axis
KR20120032682A (ko) 급지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8588645B2 (en) Multi-function printer
KR20100080714A (ko) 화상형성장치
JP5070003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101285177B1 (ko) 원고공급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2023153217A (ja) 画像形成装置
KR101523983B1 (ko) 급지유닛
EP2733541B1 (en) Sheet feed apparatus, and documen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796543B2 (en)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561431B1 (ko)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
JP2015009978A (ja) 後処理装置
US7241985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having supported openably upstream and downstream portion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nd forming apparatus
US73178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an open and close unit
JP2006240801A (ja) 画像形成装置
JP4124148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56035A (ko) 화상형성장치
JP2006219224A (ja) 画像形成装置
JP3686023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77742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14434A (ja) 画像読取装置、及び複合装置
JP2020117388A (ja) 給紙装置および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