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233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233A
KR20080066233A KR1020070003421A KR20070003421A KR20080066233A KR 20080066233 A KR20080066233 A KR 20080066233A KR 1020070003421 A KR1020070003421 A KR 1020070003421A KR 20070003421 A KR20070003421 A KR 20070003421A KR 20080066233 A KR20080066233 A KR 2008006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ain body
image forming
unit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6233A/ko
Publication of KR2008006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ice-c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laminated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인쇄동작 중에도 사용자가 추가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부로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용지적재부와, 본체에 설치되어 용지적재부를 개폐하는 적재부 커버를 구비한다. 적재부 커버는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용지적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적재부 커버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부를 가질 수 있는데, 그러면 사용자는 보다 손쉽게 용지적재부에 용지를 적재할 수 있다. 한편 용지적재부의 하부에는 픽업롤러가 설치되는데, 픽업롤러는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 중 가장 하단에 있는 용지를 픽업하여 화상형성부로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쇄 동작이 수행 중인 때에도 용지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20 : 급지유닛
21 : 용지적재부 22 : 픽업롤러
30 : 화상형성부 40 : 정착유닛
60 : 적재부 커버 61 : 슬라이딩 결합부
62 : 회동부 70 : 정착유닛 케이스
72 : 케이스 커버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인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본체(1)의 내부에는 급지유닛(2), 감광체(3), 노광유닛(4), 현상유닛(5), 전사유닛(6), 정착유닛(7) 및 배지유닛(8)이 설치된다. 이 중 급지유닛(2)은 본체(1)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매체인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2a)와, 급지카세트(2a)에 적재된 용지(S)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인쇄명령이 발생하면 급지카세트(2a)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S) 중 가장 상단에 있는 용지가 픽업롤러(2b)에 의해 픽업된 후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감광체(3)의 표면에는 노광유닛(4)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현상유닛(5)의 현상롤러(5a)는 감광체(3)의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한다. 이러한 토너화상은 전사유닛(6)의 중간전사벨트(6a)를 거쳐 용지로 전사되고,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정착유닛(7)을 통과한 후 배지유닛(8)에 의해 본체(1) 상면의 배지대(1a)로 배출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일정한 부피를 가지는 급지카세트(2a)가 본체(1)에 장착되기 때문에 급지카세트(2a)에 적재되는 용지의 양에 관계없이 본체(1)의 내부에 급지카세트(2a)의 착탈을 위한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이러한 점은 가능한 장치를 소형화하려는 현재의 추세에 있어 매우 불리하게 작용한다. 이 때 급지카세트(2a)의 부피를 최대한 줄여 장치를 소형화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러면 급지카세트(2a)에 적은 양만의 용지를 적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급지카세트(2a)에 용지를 자주 채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급지카세트(2a)가 본체(1)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급지카세트(2a)에 적재된 용지 중 최상단에 위치된 용지부터 급지되므로 인쇄동작 중에 사용자가 용지를 추가로 적재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동작 중에도 사용자가 추가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로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용지적재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적재부를 개폐하는 적재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부 커버는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용지적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 상기 적재부 커버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정착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정착유닛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유닛 케이스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면에는 인쇄 과정을 마치고 배지되는 용지가 적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로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용지적재부와, 상기 용지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 중 가장 하단에 있는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동작을 수행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본체(10)와, 인쇄매체인 용지(S)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유닛(20)과,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급지유닛(20)을 통해 공급되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30)와, 용지에 형성된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40) 및 인쇄를 마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지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지유닛(20)은 화상형성부(30)로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본체(10)의 상면에 마련된 용지적재부(21)와,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S)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용지를 화상형성부(30)의 제2전사롤러(37)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과 같이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적재부(21)를 본체(10)의 상면에 마련하면 본체(10)의 하측에 급지카세트 등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를 최대한 소형화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용지적재부(21)에 용지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치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 3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필요한 양만큼의 용지를 공간상의 제약없이 용지적재부(21)에 적재할 수 있다.
픽업롤러(22)는 용지적재부(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 중 가장 하단에 있는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한 후 이송롤러(23)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용지를 추가로 적재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에는 용지적재부(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적재부 커버(60)가 설치된다. 적재부 커버(60)는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용지적재부(21)를 폐쇄하여 용지적재부(21)나 본체(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용지적재부(21)를 개방하여 용지적재 부(21)에 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적재부 커버(6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용지적재부(21)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용지적재부(21)의 후단부에 슬라이딩 결합부(6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용지를 적재할 때 슬라이딩 결합부(61)와의 간섭없이 보다 손쉽게 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적재부 커버(60)는 슬라이딩 결합부(6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6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부(62)는 사용자가 용지적재부(21)에 용지를 적재할 때의 편의를 고려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회동부(62)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용지적재부(21)를 완전히 개방시키면 보다 용이하게 용지를 적재할 수 있다(도 3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된 부분 참조).
화상형성부(30)는 노광유닛(31)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2)와, 감광체(32)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33)와, 블랙(Black),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색상의 토너를 통해 감광체(32)에 현상된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4개의 현상기(34Y, 34M, 34C, 34K)와, 중간전사벨트(35)와, 제1전사롤러(36) 및 제2전사롤러(37)를 구비한다.
각각의 현상기(34Y, 34M, 34C, 34K)는 감광체(32)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하는 현상롤러(38)와, 현상롤러(38)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토너를 현상롤러(38)에 공급하는 공급롤러(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전사벨트(35)는 지지롤러들(35a)(35b)에 의해 지지되어 감광체(32)의 회 전 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주행한다. 제1전사롤러(36)는 감광체(32)와 대면되며, 감광체(32)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35)로 전사되도록 한다. 제2전사롤러(37)는 중간전사벨트(35)와 대면되도록 설치된다. 제2전사롤러(37)는 감광체(32)에서 중간전사벨트(35)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중간전사벨트(35)로부터 이격되고, 중간전사벨트(35)에 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중간전사벨트(35)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정착유닛(40)은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토너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41)을 가지는 가열롤러(42)와, 가열롤러(4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가열롤러(42)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을 유지시키는 가압롤러(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정착유닛(40)은 본체(10)의 하측에서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본체(10)의 하부에는 정착유닛(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71)을 형성하는 정착유닛 케이스(7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정착유닛(40)을 본체(10)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하면 정착유닛(40)의 열원(41)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어 열원(41)에서 발생하는 열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화상형성부(30)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정착유닛(40)을 통과하면서 인쇄 과정을 마친 용지를 최종적으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정착유닛 케이스(70)의 일면은 개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착유닛 케이스(70)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정착유닛 케이스(70)의 수용공간(71)을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72)가 구비된다. 케이스 커버(72)는 도 2와 같이 화상형성장 치를 동작시키지 않을 때에는 수용공간(71)을 폐쇄하여 외관을 보기 좋게 하는 한편 수용공간(7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케이스 커버(72)는 도 3과 같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수용공간(71)을 개방하여 인쇄 과정을 마친 용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케이스 커버(72)가 개방된 상태에서 케이스 커버(72)의 상면은 인쇄를 마친 용지가 적재되는 배지대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배지유닛(50)은 정착유닛(40)을 통과한 용지를 최종 배출하기 위한 배지롤러(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배지롤러(51)는 정착유닛(40)과 함께 정착유닛 케이스(7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71)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적재부 커버(60)는 용지적재부(21)를 폐쇄한 상태에 있게 된다. 또 케이스 커버(72)는 정착유닛 케이스(70)를 폐쇄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면 화상형성장치의 크기가 최소화된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인쇄를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적재부 커버(60)를 위쪽으로 들어 올려 용지적재부(21)를 개방한다. 이 때 회동부(62)를 위쪽으로 회동시키면 보다 용지적재부(21)가 완전히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용지를 적재할 수 있다. 용지가 적재된 상태에서 용지적재부(21)는 최상단에 위치된 용지에 안착된다. 따라서 적재된 용지의 양에 상응하는 만큼의 공간만 이 소요되며 필요 이상의 공간이 낭비되지 않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은 급지카세트의 경우에는 용지의 적재량이 적더라도 급지카세트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는 공간이 항상 소요되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용지적재량에 상응하는 만큼의 공간만이 소요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많은 양의 용지를 한꺼번에 적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사용자는 케이스 커버(72)를 아래로 회동시켜 정착유닛 케이스(70)를 개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쇄 명령이 발생하면, 픽업롤러(22)는 용지적재부(21)에 적재된 용지 중 최하단에 위치된 용지를 픽업하고, 이송롤러(23)는 위와 같이 픽업된 용지를 제2전사롤러(37)로 이송한다. 한편 화상형성부(30)에서 노광유닛(31)은 감광체(32)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각각의 현상기(34Y, 34M, 34C, 34K)는 감광체(32)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한다. 감광체(32)에 현상된 토너화상은 중간전사벨트(35)로 전사되고, 중간전사벨트(35)에 전사된 화상은 제2전사롤러(37)에 의해 용지로 전사된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 동작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된 정착유닛(40)을 통과하면서 용지에 고착되고, 정착유닛(40)를 통과한 용지는 배지롤러(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정착유닛 케이스(70)의 케이스 커버(72)는 배지된 용지가 적재되는 배지대로서 기능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용지적재부를 구성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된 용지 중 최하단에 위치된 용지부터 급지되도록 구성되므로 인쇄 동작이 수행되는 중간에 용지를 추가로 적재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착유닛을 본체의 외부에 설치하여 정착유닛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주변의 부품들이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로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용지적재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적재부를 개폐하는 적재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 커버는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용지적재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 커버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용지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정착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정착유닛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유닛 케이스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면에는 인쇄 과정을 마치고 배지되는 용지가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로 공급될 용지를 적재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용지적재부와, 상기 용지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지적재부에 적재된 용지 중 가장 하단에 있는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적재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03421A 2007-01-11 2007-01-11 화상형성장치 KR20080066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421A KR20080066233A (ko) 2007-01-11 2007-01-11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421A KR20080066233A (ko) 2007-01-11 2007-01-11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233A true KR20080066233A (ko) 2008-07-16

Family

ID=3982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421A KR20080066233A (ko) 2007-01-11 2007-01-1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62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03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operation panel provided on a facing
JP3223013B2 (ja) 画像形成装置
US821902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13537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中継ユニット
KR100813967B1 (ko)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9388013B2 (en) Sheet dis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US20150102549A1 (en) Image forming system and sheet feeding unit
US591309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0051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015315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43959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lural discharge paths
US98805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outer cover and a subsidiary cover
JP4650545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90105044A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기기
JP2015232695A (ja) 画像形成装置
JP4652384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66233A (ko) 화상형성장치
US8857811B2 (en) Sheet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ed with the same
JP619731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5512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方法
JP200023123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93496A (ja) 給紙装置
JP4240063B2 (ja) 画像形成装置
JP7347032B2 (ja) 画像形成装置
JP7289725B2 (ja) 開閉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