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433B1 - 원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433B1
KR101262433B1 KR1020087027708A KR20087027708A KR101262433B1 KR 101262433 B1 KR101262433 B1 KR 101262433B1 KR 1020087027708 A KR1020087027708 A KR 1020087027708A KR 20087027708 A KR20087027708 A KR 20087027708A KR 101262433 B1 KR101262433 B1 KR 101262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ver
switch
main body
contro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668A (ko
Inventor
미치토 에노모토
요시아키 미츠노
신고 하시모토
다카유키 마츠오
마사미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11402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819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52790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8194B1/ja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6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13/18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wherein the pushbutton is rectilinearly actuated by a lever pivoting on the housing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1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or l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35Hand-held 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e.g. of audio or video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Different switch sites under one actuator in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1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or lid
    • H01H3/163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or lid associated with locking or manipulating means of the clos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64Protective covers f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을 덮는 커버; 원격 제어 장치 본체 및 커버의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되고, 압박력에 의해 전환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커버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폐쇄 시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을 덮고 개방 시에 전면을 노출시키며, 커버의 일부는,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압박되어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변위되며, 이러한 변위에 의해 커버 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가 복수 개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압박하며, 커버의 다른 일부는,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압박되어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변위되며, 이러한 변위에 의해 커버 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가 복수 개의 스위치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작성이 우수하고, 청소 작업성이 우수한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커버로 덮힌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변기 장치(toilet apparatus)에 탑재된 위생 세정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와, 복수 개의 조작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화장실에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세정하기 위한 위생 세정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가 설치되고 있으며, 또한 변기에서의 배수와, 변기 덮개의 개폐 등도 전자적으로 제어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실의 벽 등에 이들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로서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에 설치된 여러 가지의 설정 및 조작을 행하기 위한 버튼 중에서, 조작 빈도가 높은 주요 버튼만을 노출시키고, 그 이외의 버튼을 커버로 덮은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변기 장치에 부착된 위생 세정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커버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前面)에, 조작 내용 등을 표시 하는 표시부 및 복수 개의 조작 버튼이 설치되고, 커버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커버를 폐쇄했을 때에 표시부 및 주요 조작 버튼이 개구부로부터 노출되고 있다. 이에 의해,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주요 조작 버튼 및 표시부를 확인할 수 있고, 커버를 개방하면 보다 정밀한 설정 등을 행할 수 있다. 개구부로부터 노출된 조작 버튼 중에는, 커버의 표면보다 돌출된 형상을 갖는 버튼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원격 제어 장치의 상부면에, 3개의 변기 시트 개폐 스위치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이들 3개의 스위치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버의 내면에서의 1개의 스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국소적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에 의해, 커버를 폐쇄 상태로 압박함으로써, 전술한 3개의 변기 시트 개폐 스위치 중에서, 조작 빈도가 가장 높은 스위치, 구체적으로는 변기 덮개만을 개방 상태로 되게 하는 스위치에 상기 돌기가 접촉하여, 이 스위치만을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0583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06-093642호 공보(1994)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한 원격 제어 장치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전면에 복수 개의 조작 버튼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조작 버튼의 선택이 어렵다. 또한,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서 비교적 작은 조작 버튼을 선택해서 눌러야 한다. 그런데, 위생 세정 장치의 조작에 있어서, 사용자는 위생 세정 장치의 변기 시트에 앉아 있는 상태로 조작 버튼을 조작하고, 원격 제어 장치는 설치 장소의 상황에 따라 우측벽과 좌측벽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주로 사용하는 손과는 반대측의 손으로 조작을 편안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를 설치한 측의 손을 다친 경우에는, 원격 제어 장치가 부착된 벽과 반대측의 손으로 원격 제어 장치의 조작 버튼을 조작해야 하므로, 조작성이 보다 더 향상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를 청소할 때에, 커버의 표면을 천 등으로 닦고자 하면, 그 천이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조작 버튼에 걸려, 청소 작업에 방해가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한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커버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스위치만을 조작할 수 있고, 다른 스위치는 조작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커버를 개방하지 않으면, 변기 시트 및 변기 덮개의 양방을 개방 상태로 하는 스위치와, 변기 시트 및 변기 덮개의 양방을 폐쇄 상태로 하는 스위치를 조작할 수 없다. 즉, 커버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목적에 따라서 선택하여 누를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성이 우수하고, 청소 작업성이 우수한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스위치를 커버로 덮힌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와, 이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을 덮는 커버와, 이 원격 제어 장치 본체와 상기 커버 중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되고, 압박력에 의해 전환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폐쇄 시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을 덮고 개방 시에 그 전면을 노출시키며,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커버의 일부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압박되어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변위되고, 이러한 변위에 의해 커버 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가 복수 개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압박하며,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커버의 다른 일부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압박되어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변위되며, 이러한 변위에 의해 커버 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가 복수 개의 스위치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1a는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b는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예시하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수직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평행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하부 패널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이 하부 패널에 형성된 리브를 예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도 17에 도시하는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각각 도 17에 도시하는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각각 도 17에 도시하는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하는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하는 선 D-D'를 따라 취한 일부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하는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하는 선 E-E'를 따라 취한 일부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1에 도시하는 선 F-F'를 따라 취한 일부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에서의 각 부분의 치수를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커버의 코너부가 압박되었을 때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커버의 변부가 압박되었을 때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0a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0b는 그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1a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1b 는 그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2는 제3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3은 제4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4는 제2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정면도로서, 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5는 제2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커버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조작 가능한 변기 장치의 외관을 예시하는 모식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a, 1b, 1c, 1d, 1e, 1f, 1g, 1h: 원격 제어 장치
2: 원격 제어 장치 본체
3, 3h: 커버
4: 힌지
5: 제어 기판
6: 스위치
7: 하부 패널
8: 상부 패널
9: 편향 수단(bias means)
10: 규제 수단
11: 돌기
12: 구멍
13: 제어 기판
14: 제어선
15, 16: 돌기
17: 수지판
18: 리브
21: 원격 제어 장치
22: 원격 제어 장치 본체
23: 커버
24: 힌지
25: 스위치
26: 표시부
26a: LED
26b: 도광판
26c: 액정 표시 패널
26d: 보호판
27: 스위치
27a: 키 톱
27b: 접점부
27c: 전면판
27d: 압박부
27e: 로킹부(locking portion)
27f: 단차
27g: 단부
28: 스위치
29: 표면 시트
30: 스위치
31: 송신부
41: 하부 패널
42: 상부 패널
43; U형부
44: 결합부
45, 45A, 45B: 개구부
46: 오목부
47: 배면판
48: 행거
49: 톱 플레이트
49a: 연장부
49b: 돌출부
50: 지지가대
51: 개구부
52: 리브
53: 구멍
54: 스프링
56: 돌출부
57: 개구부
60: 영역
61: 방향
62: 방향
63: 영역
64: 영역
71: 원격 제어 장치
73: 커버
74: 수지판
75: 개구부
76: 돌기
77: 수지판
78: 리브
79: 오목부
80: 영역
100: 위생 세정 장치
200: 변기 시트
300: 변기 덮개
310: 투과창
400: 본체부
420: 착좌 센서
440: 배기구
450: 배출구
500: 인체 검지 센서
800: 변기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1a는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b는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는, 변기 장치에 탑재된 위생 세정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서, 화장실의 벽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와, 커버(3)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3)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을 덮고, 개방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을 노출시킨다. 원격 제어 장치(1)가 부착된 벽면(도시 생략)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외형과 커버(3)의 외형은 대략 일치하고, 양쪽의 외형은 모두 예컨대 정사각형이다. 그리고, 커버(3)의 일단부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3)는, 그 일단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약 180°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고, 상부 위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를 덮고, 하부 위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를 노출시킨다. 이하에서는, 커버(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로부터 커버(3)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고, 커버(3)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한다.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의 4 코너부에는, 각각 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6)는, 압박력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스위치(6)에는, 위생 세정 장치의 조작 중에서, 국부 세정수의 토출 시작 및 토출 정지 등과 같이 사용 빈도가 높은 조작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 중앙부에는 표시부(26)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6)는, 위생 세정 장치 등의 조작 내용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는,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위생 세정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송신부(31) 가 설치된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에는, 스위치(6) 및 표시부(26) 뿐 아니라, 위생 세정 장치의 조작 중에서, 국부 세정수의 온도 설정 및 변기 시트의 온도 설정과 같이 사용 빈도가 낮은 조작이 할당된 스위치(도시 생략)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3)로 덮이지 않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상면에는, 변기 내의 배수 및 변기 덮개의 개폐 등을 제어하는 전자기기 조작용 스위치(도시 생략)와 같이 사용자가 선 상태로 조작하는 빈도가 높은 스위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26)는, 현재 시각 또는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부(26)를 빛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커버(3)는 커버(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측에 배치된 하부 패널(7)과,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반대측에 배치된 상부 패널(8)이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패널(7)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커버(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또한, 상부 패널(8)은 하부 패널(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하부 패널(7)에는, 커버(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표시부(26)를 노출시키는 개구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패널(7)에는, 상부 패널(8)을 하부 패널(7)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9)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 패널(8)이 하부 패널(7)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편향 수단(9) 및 규제 수 단(10)에 의해, 하부 패널(7)에 대한 상부 패널(8)의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예컨대 상부 패널(8)이 하부 패널(7)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지된다. 또한 하부 패널(7)의 4 코너부에는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패널(8)에는, 커버(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표시부(26)를 노출시키는 개구부(45B)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패널(7)의 개구부(45A)와 상부 패널(8)의 개구부(45B)는 서로 정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양 개구부에 의해 커버(3)의 개구부(45)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패널(8)의 4 코너부에는, 스위치 조작 수단으로서, 하부 패널(7)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6)는, 하부 패널(7)의 구멍(12)을 삽입 관통하고,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스위치(6)에 정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 조작 수단은 돌출부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커버(3)가 스위치(6)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스위치(6)에 대한 커버(3)의 접촉 부위가 스위치 조작 수단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원격 제어 장치(1)는, 통상 커버(3)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 경우에, 표시부(26)는 커버(3)의 개구부(45)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에 있어서 표시부(26) 이외의 영역은, 커버(3)로 덮여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는, 하부 패널(7)의 편향 수단(9)이 상부 패널(8)을 하부 패널(7)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즉 전방을 향해 편향시키는 한편, 규제 수단(10)은 상부 패널(8)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상부 패널(8)은 예컨대, 하부 패널(7)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지된 다. 이 경우에, 상부 패널(8)의 돌출부(56)는 하부 패널(7)의 구멍(12)을 삽입 관통하고 있지만, 스위치(6)는 압박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도시 생략)가 커버(3)의 상부 패널(8)의 코너부를 압박하면, 이 코너부가 편향 수단(9)의 편향력을 극복하여 하부 패널(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상부 패널(8)이 하부 패널(7)에 대하여 경사진다. 이에 따라, 압박된 코너부에 위치하는 돌출부(56)가, 구멍(12)을 통해 이 코너에 배치된 스위치(6)에 접촉하고, 이로써 이 스위치(6)를 압박한다. 그 결과, 이 스위치(6)가 조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커버(3)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를 향해 압박되며, 이로써 커버(3)의 적어도 일부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를 향해 변위되고, 변위된 부분에 설치된 돌출부(56)가 스위치(6)를 압박한다. 이 경우에, 압박되는 코너부 이외의 코너부에 배치된 돌출부(56)는, 대응 스위치(6)를 압박하지 않는다. 조작 내용이 송신부(31)에 전달되고, 송신부(31)가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위생 세정 장치 등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위생 세정 장치 등은 요구된 동작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 표시부(26)가 조작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부 패널(8)로부터 손을 떼면, 상부 패널(8)의 위치는 편향 수단(9)의 편향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이로써 스위치(6)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3)가 스위치(6)를 덮은 상태에서, 커버(3)의 상부 패널(8)의 일부 영역을 압박함으로써, 스위치(6)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은 푸시 버튼과 비교하여,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압박 영역이 현저하게 넓어져,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커버(3)의 개구부(45)를 통해, 표시부(26)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3)를 폐쇄한 상태로, 사용 빈도가 높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를 청소할 때에, 심지어 커버(3)의 전면(前面)을 천 등으로 닦을 경우에도, 스위치(6)가 커버(3)에 의해 덮여 있고, 커버(3)의 개구부(45)로부터 돌출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천 등이 걸리지 않게 되어, 청소 작업성이 양호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a)도, 변기 장치에 탑재된 위생 세정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서, 화장실의 벽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a)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와, 커버(3)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3)의 일단부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하단부에 설치된 힌지(4)를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3)는 그 일단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약 180°의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고, 상부 위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를 덮고, 하부 위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를 노출시킨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가 부착된 벽면(도시 생략)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예컨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외형과 커버(3)의 외형은 대략 일치하고, 양쪽 모두 예컨대 정 사각형이다. 이하에서는, 커버(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로부터 커버(3)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고, 커버(3)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한다.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내부에는 제어 기판(5)이 설치되어 있고, 제어 기판(5)의 전면 상에, 복수 개의 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6)는, 압박됨으로써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또한, 스위치(6)는 예컨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4 코너부에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6)에는, 위생 세정 장치의 조작 중에서, 국부 세정수의 토출 시작 및 토출 정지와 같이 사용 빈도가 높은 조작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는,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위생 세정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송신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에는, 위생 세정 장치의 조작 중에서, 국부 세정수의 온도 설정 및 변기 시트의 온도 설정 등과 같이 사용 빈도가 낮은 조작이 할당된 스위치(도시 생략)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3)에 의해 덮이지 않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상면에는, 변기 내의 배수 및 변기 덮개의 개폐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기기 조작용 스위치(도시 생략)와 같이 사용자가 선 상태로 조작하는 빈도가 높은 스위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시각 또는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도시 생략)가 설치될 수도 있다. 표시부를 빛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커버(3)는, 커버(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측에 배치되는 하부 패널(7)과,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반대측에 배치되 는 상부 패널(8)이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패널(7)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커버(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또한, 상부 패널(8)은 하부 패널(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커버(3)에 있어서 하부 패널(7)과 상부 패널(8) 사이에는, 하부 패널(7)과 상부 패널(8)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9)이 설치되어 있다. 편향 수단(9)은, 예컨대 스프링,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 또는 서로 반발하는 한 쌍의 자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패널(8)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일단 후방으로 휘어진 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U 형상으로 된다. 이에 의해, 상부 패널(8)이 편향 수단(9)에 의해 하부 패널(7)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향되면, 하부 패널(7)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부 패널(8)의 U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로킹된다. 즉, 하부 패널(7)의 외측 가장자리부 및 상부 패널(8)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하부 패널(7)과 상부 패널(8)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10)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편향 수단(9) 및 규제 수단(10)에 의해, 하부 패널(7)과 상부 패널(8)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상부 패널(8)의 배면상에는, 복수의 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패널(7)에서의 돌기(11)에 정합하는 위치에는,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11)는 상기 구멍(12)을 삽입 관통하고, 커버(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스위치(6)에 정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a)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원격 제어 장치(1a)는 통상, 커버(3)가 폐쇄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 경우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은 커버(3)에 의해 덮여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a)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 편향 수단(9)은 하부 패널(7) 및 상부 패널(8)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한편, 규제 수단(10)은 하부 패널(7) 및 상부 패널(8)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상부 패널(8)은 하부 패널(7)에 대하여 예컨대 평행한 위치로 유지된다. 이 경우에, 상부 패널(8)의 돌기(11)는 하부 패널(7)의 구멍(12)을 삽입 관통하고 있지만, 스위치(6)를 압박하지는 않는다.
스위치(6)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 하부 패널(7)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으며, 돌기(11)는 상부 패널(8)에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편향 수단(9)은 하부 패널(7) 및 상부 패널(8)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이로써 스위치(6)와 돌기(11)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또한, 규제 수단(10)은 하부 패널(7) 및 상부 패널(8)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며, 이로써 스위치(6)와 돌기(11)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 결과, 편향 수단(9) 및 규제 수단(10)에 의하여, 스위치(6)와 돌기(11)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도시 생략)가, 커버(3)의 상부 패널(8)에 있어서 돌기(11)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누르면, 이 부분이 편향 수단(9)의 편향력을 극복 하여, 대응하는 규제 수단(10)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부 패널(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며, 이로써 상부 패널(8)이 하부 패널(7)에 대하여 경사진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된 부분에 위치하는 돌기(11)가, 구멍(12)을 통해 이 영역에 배치된 스위치(6)에 접촉하여, 스위치(6)를 압박한다. 그 결과, 이 스위치(6)가 조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커버(3)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를 향해 압박됨으로써, 커버(3)의 적어도 일부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를 향해 변위되며, 이러한 변위에 의해 돌기(11)가 스위치(6)를 압박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가한 힘의 흐름은, 상부 패널(8)→돌기(11)(전달 툴)→스위치(6)로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압박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 배치된 돌기(11)는, 대응하는 스위치(6)를 압박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작 내용은 송신부(도시 생략)에 전달되고, 송신부가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위생 세정 장치 등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위생 세정 장치 등이 요구된 동작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 표시부(도시 생략)가 조작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부 패널(8)로부터 손을 떼면, 부 패널(8)의 위치는 편향 수단(9)의 편향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이로써 스위치(6)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3)가 스위치(6)를 덮은 상태에서, 커버(3)의 상부 패널(8)에서의 각 스위치(6)에 상당하는 영역을 압박함으로써, 복수 개의 스위치(6)를 구분하여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스위치(6)를 직접 압박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압박할 수 있는 영역의 면적을 매우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원격 제어 장치와 비교하여,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복수 개의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높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b)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a)(도 2 참조)와 비교하여, 스위치(6)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이 상이하다. 즉, 원격 제어 장치(1b)에 있어서는, 커버(3)의 상부 패널(8)의 배면, 즉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측의 면 상에 제어 기판(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기판(13)은 접속선(14)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 내의 제어 기판(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스위치(6)가, 제어 기판(13)의 배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6)의 조작면은 후방, 즉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측을 향하고 있다. 또한 하부 패널(7)에 있어서의 스위치(6)에 상당하는 영역에 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원격 제어 장치 본체(12)의 전면에 복수 개의 돌기(15)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5)는, 커버(3)의 폐쇄 상태에서, 스위치(6)에 정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부 패널(8)에 있어서 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원격 제어 장치 본체(12)를 향해 압박하면, 상부 패널(8)의 압박된 부분이 편향 수단(9)의 편향력을 극복하여, 대응하는 규제 수단(10)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부 패 널(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압박된 부분에 위치하는 스위치(6)가 구멍(12)을 통해 돌기(15)에 접촉하고, 돌기(15)에 의해 압박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가한 힘의 흐름은, 상부 패널(8)→스위치(6)→돌기(15)(전달 툴)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c)는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b)(도 3 참조)와 비교하여,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 상에 돌기(15)(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점이 상이하다. 이 경우에, 상부 패널(8)이 압박되었을 때에, 스위치(6)에 접촉하는 부분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의 일부가 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d)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a)(도 2 참조)와 비교하여, 스위치(6)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다. 즉, 원격 제어 장치(1d)에 있어서는, 커버(3)의 하부 패널(7)의 전면, 즉 상부 패널(8)측의 면 상에 제어 기판(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기판(13)은, 접속선(14)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 내의 제어 기판(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어 기판(13)의 전면 상에 복수 개의 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패널(8)의 배면 상의 스위치(6)에 상당하는 영역에는, 돌기(1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패널(7)과 상부 패널(8)의 사이에 편향 수단(9)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d)의 하부 패널(7)에는 구멍(12)(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돌기(16)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 패널(8)의 부분을 원격 제어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압박하면, 상부 패널(8)의 압박된 부분이 편향 수단(9)의 편향력을 극복하여, 대응하는 규제 수단(10)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부 패널(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로써, 상기 압박된 부분에 위치하는 돌기(16)가 스위치(6)에 접촉하여, 스위치(6)를 압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6), 편향 수단(9) 및 제어 기판(13)이 어느 정도 밀폐된 공간 내에 내포되어 있으므로, 이들 부재가 수분 부착에 의해 열화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고장이 적고, 신뢰성이 높은 원격 제어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e)는,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d)(도 5 참조)와 비교하여, 상부 패널(8)의 배면 상에 돌기(16)(도 5 참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점이 상이하다. 이 경우에, 상부 패널(8)이 압박되었을 때에, 스위치(6)에 접촉하는 부분은 상부 패널(8)의 일부가 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f)는,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d)(도 5 참조)와 비교하여, 스위치(6) 및 돌기(16)의 배치 위치가 반대로 되어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1f)에 있어서는, 커버(3)의 상부 패널(8)의 배면 상에 제어 기판(1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어 기판(13)의 배면 상에 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패널(7)의 전면에 있어서 스위치(6)에 상당하는 영역에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 패널(8)의 부분을 원격 제어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압박하면, 상부 패널(8)의 압박된 부분이 편향 수단(9)의 편향력을 극복하여, 대응하는 규제 수단(10)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부 패널(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압박된 부분에 위치하는 스위치(6)가 하부 패널(7)의 돌기(16)에 접촉하여, 압박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5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g)는, 전술 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f)(도 7 참조)와 비교하여, 하부 패널(7)의 전면 상에 돌기(16)(도 7 참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점이 상이하다. 이 경우에, 상부 패널(8)이 압박되었을 때에, 스위치(6)에 접촉하는 부분이 하부 패널(7)의 일부가 된다. 본 변형예에서의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제5 실시예와 동일하다.
전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스위치(6)가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즉, 제2 실시예에서는, 모든 스위치(6)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제어 기판(5)의 전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3 및 제5 실시예에서는, 모든 스위치(6)가 상부 패널(8)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4 실시예에서는, 모든 스위치(6)가 하부 패널(7)의 전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예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스위치(6)를 하나의 면 상에 배치하고, 다른 스위치(6)를 다른 면 상에 배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일부의 스위치(6)를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에 배치하여, 커버(3)가 압박되었을 때에, 커버(3)의 일부가 각각의 스위치(6)에 접촉하도록 하고, 나머지 스위치(6)를 상부 패널(8)의 배면에 배치하여, 커버(3)가 압박되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일부가 각각의 스위치(6)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h)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a)(도 2 참조)와 비교하여, 커버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원격 제어 장치(1h)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 및 커버(3h)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3h)는 주로 1개의 수지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커버(3h)에는, 예컨대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수지)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1.5 ㎜인 수지판(1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지판(17)의 배면 상에, 동일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리브(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 있어서는, 스위치(6)의 선단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전방에서 보았을 때, 리브(18)는 복수 개의 스위치(6)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h)에서의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스위치(6)에 상당하는 수지판(17)의 부분을 후방, 즉 원격 제어 장치 본체(2)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면, 수지판(17)이 도 9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휘어진다. 이 경우에, 수지판(17)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에 접촉하는 리브(18)를 지지점으로 하여 휘어진다. 그리고 수지판(17)의 휘어진 부분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에 설치된 스위치(6)에 접촉하여, 스위치(6)를 압박한다. 그 후, 사용자가 수지판(17)으로부터 손을 떼면, 수지판(17)이 그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스위치(6)로부터 격리된다.
이 경우에, 스위치(6) 사이에 리브(18)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판(17)의 후방으로의 변위는 상기 리브(18)에 의해 국소적으로 규제되고, 수지판(17)은 리브(18)를 지지점으로 하여 변형된다. 이에 의해, 수지판(17)의 변형 영역이 리 브(18)에 의해 구획되므로, 수지판(17)의 일부분의 압박에 의해, 2개 이상의 스위치(6)가 조작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 개의 스위치(6)를 커버(3h)의 위로부터 구분하여 누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커버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술한 것 이외의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6)에 접촉하는 수지판(17)의 배면의 영역에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로써, 적은 휘어짐량으로 스위치(6)를 보다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위치(6)의 선단이 반드시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될 필요는 없다. 또한, 리브(18)는 수지판(17)의 배면이 아니라, 원격 제어 장치 본체(2)의 전면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이들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1 구체예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구체예이다.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변기 내의 배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변기 덮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화장실의 난방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이하, 총칭하여 "위생 세정 장치 등"으로 지칭함)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서, 화장실의 벽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우선,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외관상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 다.
도 10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커버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표면 시트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11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예시하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로서, 커버의 폐쇄 상태를 도시하고,
도 13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21)에 있어서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와 커버(23)가 설치되어 있다. 원격 제어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는 벽면(도시 생략)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예컨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외형과 커버(23)의 외형은 대략 일치하고, 양쪽 모두 예컨대 코너가 둥글게 된 정사각형이다. 그리고, 커버(23)의 일단부는 힌지(24)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23)는 힌지(24)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약 180°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다. 이 결과, 커버(23)는 상부 위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을 덮고, 하부 위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을 노출시킨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의 4코너부 각각에는 스위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25)는 압박됨으로써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스위치(25)에는, 위생 세정 장치의 조작 중에서, 국부 세정수의 토출 시작 및 토출 정지와 같이 사용 빈도가 높은 조작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의 중앙부에는 표시부(26)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6)는 위생 세정 장치 등의 조작 내용의 적어도 일부와, 현재 시각 또는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하고, 스위치(25)와, 후술하는 스위치(27) 및 스위치(28)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누르면 빛나는 것이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의 표시부(26)의 주위에는, 표시부(26)를 둘러싸도록 복수 개의 스위치(27)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27)는 압박됨으로써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예컨대 7개의 스위치(27)가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스위치가 표시부(26)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좌측, 우측 및 아래쪽에 각각 2개의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27)의 전면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그 외주측, 즉 표시부(26)로부터 먼 측의 단부 가장자리는, 그 내주측, 즉 표시부(26)측의 단부 가장자리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위치(27)의 내주측의 단부는 표시부(26)의 보호판(26d)(도 14 참조)의 단부에 올라타 있고, 스위치(27)의 전면은 표시부(26)의 전면과 대략 연속적인 면을 이루고 있다. 한편, 각 스위치(27)의 외주측의 단부 가장자리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스위치(27)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의 다른 영역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위치(27)에는, 예컨대 위생 세정 장치의 조작 중에서, 스위치(25)에 할당된 조작에 이어서 사용 빈도가 높은 조작이 할당되어 있다. 예컨대, 표시부(26)의 좌측에 배치된 2개의 스위치(27)는 국부 세정수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2 개의 스위치(27) 중 상측 스위치(27)의 전면에는 "+", 하측 스위치(27)의 전면에는 "-"라는 문자가 표기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26)의 우측에 배치된 2개의 스위치(27)는 국부 세정수의 토출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 2개의 스위치(27) 중 상측의 스위치(27)의 전면에는 기호 "▲", 하측의 스위치(27)의 전면에는 기호 "▼"가 각각 표기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27)를 조작하여 국부 세정수의 압력 및 위치를 제어할 때에, 표시부(26)의 좌측 영역에는, "수압"이라는 문자 및 국부 세정수의 압력을 나타내는 그림(drawing)이 표시되어 있고, 표시부(26)의 우측 영역에는, "세정 위치"라는 문자 및 국부 세정수의 토출 위치를 나타내는 그림이 표시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표시부(26)의 표시를 보면서, 그 표시에 인접한 스위치(27)를 조작하여, 국부 세정수의 압력 및 토출 위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6)의 상측에 배치된 1개의 스위치는, 위생 세정 장치의 건조 기능, 즉 사용자의 국부에 온풍을 분사하는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이 스위치(27)의 전면에는 "건조"라는 문자가 표기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26)의 하측에 배치된 2개의 스위치(27)는 각각 위생 세정 장치의 무브 기능 및 마사지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스위치(27)의 전면에는 각각 "무브 온/오프" 및 "마사지 온/오프"라는 문자가 표기되어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에 있어서 표시부(26) 및 스위치(27)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주위에는, 복수 개의 스위치(28)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28)도 압박됨으로써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스위치(28)에는, 비교적 사용 빈도 가 낮은 조작이 할당되어 있다. 예컨대, 스위치(28)에는, 실내 난방 기능의 조작, 위생 세정 장치의 모드 설정, 시각 설정, 그리고 국부 세정수, 건조용 온풍, 변기 시트 및 실내 난방의 온도 설정 등의 조작이 할당되어 있다. 이 영역에는 연질의 표면 시트(29)가 설치되어 있고, 스위치(28)는 표면 시트(29)에 마련된 구멍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23)에 의해 덮이지 않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상면에는, 변기 내의 배수 및 변기 덮개의 개폐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조작용의 스위치(30)와 같이 사용자가 선 상태로 조작하는 빈도가 높은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5개의 스위치(30)가 설치되어 있고, 각 스위치(30)의 상면에는,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대변용의 배수를 나타내는 문자, "대" 및 도형, 소변용의 배수를 나타내는 문자, "소" 및 도형, 변기 시트와 변기 덮개 모두를 폐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형, 변기 시트는 폐쇄하고 변기 덮개는 개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형, 그리고 변기 시트와 변기 덮개 모두를 개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형이 표기되어 있다. 스위치(30)는 표면 시트(29)의 상면측에 마련된 절결부로부터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스위치(30)의 전후 방향의 폭을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후 방향의 폭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30)의 폭을 최대한 넓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스위치(30)의 조작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상면의 좌우 양단부에는,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위생 세정 장치 등에 송신하는 송신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송신부(31)는, 예컨대 적외선을 발산하는 것이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 등에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23)는, 커버(2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측에 배치되는 하부 패널(41)과,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상부 패널(42)이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힌지(24)가 하부 패널(4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커버(23)가 폐쇄되는 때에, 하부 패널(41)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에 고정되고, 상부 패널(42)은 하부 패널(4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23)에는 커버(23)가 폐쇄되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표시부(26) 및 스위치(27)를 노출시키는 하나의 개구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개구부(45)는 커버(23)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그 형상은 예컨대 정사각형이다. 개구부(45)는, 커버(23)의 하부 패널(41) 및 상부 패널(42)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커버(23)를 폐쇄했을 때에, 표시부(26) 및 스위치(27)가 개구부(45) 내에 배치되고, 개구부(45)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커버(23)의 전면의 높이는, 표시부(26)로부터 먼 측의 단부 가장자리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27)의 내주측, 즉 표시부(26)측의 단부는 표시부(26)의 단부에 올라타 있고, 표시부(26)의 전면과 대략 연속적인 면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커버(23)의 전면, 스위치(27)의 전면 및 표시부(26)의 전면은 대략 연속적인 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커버(23)를 폐쇄하면, 원격 제어 장치(21)의 전면은 전체적으로 대략 연속적인 면이 된다.
또한, 커버(23)의 전면의 코너부에 있어서, 커버(2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스위치(25)의 전방에 상당하는 영역에는, 접시형의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46)에는, 대응하는 스위치(25)의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표기가 인쇄되어 있다. 예컨대, 좌측 상부의 오목부(46)에는, 국부 세정수의 토출 정지를 나타내는 표시, "■"가 인쇄되어 있고, 그 근방에는 "정지(STOP)"라는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우측 상부의 오목부(46)에는, 통상의 국부 세정수의 토출 시작을 나타내는 도형이 인쇄되어 있고, 그 근방에는 "엉덩이(BOTTOM)"라는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우측 하부의 오목부(46)에는, 거품형의 국부 세정수의 토출 시작을 나타내는 도형이 인쇄되어 있고, 그 근방에는 "소프트 모드(SOFT)"라는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좌측 하부의 오목부(46)에는, 비데용수의 토출 시작을 나타내는 도형이 인쇄되어 있고, 그 근방에는 "비데(BIDET)" 라는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
커버(23)의 각 압박 영역을 식별하기 위하여, 오목부(46) 대신에 볼록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요철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오목부, 볼록부 또는 요철부를 커버(23)의 압박 영역의 일부에 형성할 수도 있고, 전체 압박 영역에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배면판(47)(도 14 참조)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행거(48)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내부 구조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26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 14는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수직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쌍방에 평행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15는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하부 패널을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하부 패널에 형성된 리브를 예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17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도 17에 도시하는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며,
도 19a 및 도 19b는 각각 도 17에 도시하는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각각 도 17에 도시하는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1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하는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1에 도시하는 선 D-D'를 따라 취한 일부 확대 단면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1에 도시하는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25는 도 21에 도시하는 선 E-E'를 따라 취한 일부 확대 단면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1에 도시하는 선 F-F'를 따라 취한 일부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에 있어서, 배면 판(47)의 전면(前面) 상에는, 제어 기판을 겸한 지지가대(5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가대(50)의 전방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을 구성하는 톱 플레이트(4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가대(50) 및 톱 플레이트(49)에 의해, 스위치(25, 27 및 28) 및 표시부(26) 등을 구성하는 각 부품이 지지되어 있다.
표시부(26)에 있어서는, 광원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26a)가 설치되어 있고, LED(26a)의 출사광이 도달하는 위치에 도광판(26b)이 설치되어 있다. 도광판(26b)은 그 측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그 전면으로부터 균일한 시트 형태로 출사하는 것이다. 도광판(26b)의 전방에는 액정 표시 패널(26c)이 설치되어 있고, 액정 표시 패널(26c)의 전방에는 보호판(26d)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LED(26a)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광판(26b)의 측면에 입사되고, 도광판(26b)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시트 형태로 출사되어, 액정 표시 패널(26c)을 통과하며, 이로써 화상이 부가되고, 보호판(26d)을 투과하여, 표시부(26)로부터 전방으로 출사된다.
또한, 도 14 및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27)에 있어서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에 노출된 키 톱(27a; key top)과, 키 톱(27a)의 후방에 배치되고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지지가대(50)에 부착된 접점부(27b)가 설치되어 있다. 키 톱(27a)에 있어서는, 스위치(27)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판(27c)과, 전면판(27c)의 외주측의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압박부(27d)와, 전면판(27c)의 외주측의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2쌍의 로킹부(27e)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박부(27d)의 선단부(후방측 부분)는 근원부(전방측 부분)보다 얇으며, 이로써 압박부(27d)의 외주측의 면에는, 단차(27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판(27c)의 내주측의 단부(27g)는, 표시부(26)의 보호판(26d)의 전면 상에 올라타 있다. 또한, 키 톱(27a)의 외주면의 전측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표시부(26)측으로 휘어져 있다.
한편, 톱 플레이트(49)에는, 각 쌍의 로킹부(27e)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위치(27)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원기둥형의 연장부(49a)와, 키 톱(27a)이 눌렸을 때에 단차(27f)가 결합하는 돌출부(49b)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키 톱(27a)은 로킹부(27e)가 톱 플레이트(49)의 연장부(49a)와 결합함으로써 안내되며, 이로써 전면판(27c)의 내주측의 단부(27g)를 회동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로킹부(27e)가 연장부(49a)에 의해 로킹됨으로써, 키 톱(27a)의 이동 영역의 전방측의 끝이 규정되고, 단차(27f)가 돌출부(49b)에 접촉함으로써, 키 톱(27a)의 이동 영역의 후방측의 끝이 규정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부 패널(42)의 외형은 하부 패널(41)의 외형보다 훨씬 크고, 상부 패널(42)의 양측 단부 가장자리 및 상단 가장자리의 양단 부근은 일단 후방으로 절곡된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U형부(43)로 된다. 전체 상부 패널(42)에 8개의 U형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U형부(43)는 하부 패널(41)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44)(도 15 참조)를 감싸며, 이로써 상부 패널(42)이 하부 패널(4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영역(60)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패널(41)의 중앙부에는, 커버(23)의 개구부(45)를 구성하는 개구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패널(41)의 상부 패널(42)측의 면에 있어서 각 변부의 중앙으로서, 개구부(51)에 근접하는 영역에는, 하부 패널(41)의 중앙으로부터 주변으로 연장되는 리브(52)가 마련되어 있다. 즉, 하부 패널(41)의 상부 패널(42)측의 면에는, 4개의 리브(52)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리브(52)는, 하부 패널(41)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상부 패널(42)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본 구체예에서는, 리브(52)를 하부 패널에 마련하고 있지만, 상부 패널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패널(41)의 4 코너부에는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패널(41)의 단부에 있어서 상부 패널(42)의 U형부(43)에 결합하는 부분에는, 결합부(44)가 마련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패널(41)에는, 상부 패널(42)을 하부 패널(41)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으로서의 스프링(5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54)은 상부 패널(42)을 하부 패널(4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전술한 U형부(43)(도 26 참조)가 결합부(44)(도 26 참조)와 결합하여 하부 패널(4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부 패널(42)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하부 패널(41)에 대한 상부 패널(42)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고, 예컨대 상부 패널(42)을 하부 패널(41)에 평행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패널(42)의 중앙부에는, 개구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57) 및 하부 패널(41)의 개구부(51)에 의하 여, 커버(23)의 개구부(45)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패널(42)의 4 코너부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56)는 하부 패널(41)의 구멍(53)을 삽입 관통하고, 커버(2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스위치(25)에 정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56)는 스프링(54) 내를 삽입 관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패널(42)의 개구부(57)의 측면의 전측부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표시부(26)측으로 휘어져 있다. 이에 의해, 개구부(57)의 측면은 키 톱(27a)의 외주면을 따라 그 외주면을 덮도록 돌출하고, 개구부(57)의 측면과 키 톱(27a)의 외주면 사이에는, 대략 균일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의 크기는, 상부 패널(42) 및 키 톱(27a)의 동작 궤적을 고려하여, 커버(23)와 키 톱(27a)이 접촉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작게 설계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2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원격 제어 장치(21)는, 통상 커버(23)가 폐쇄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 경우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중앙부에 설치된 표시부(26) 및 스위치(27)는, 커버(23)의 개구부(45)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있고,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에 있어서 그 이외의 부분은, 커버(23)에 의해 덮여 있다. 따라서, 스위치(25 및 28)는 커버(23)에 의해 은폐되어 보이지 않는 상태로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상면에 배치된 스위치(30)는, 원격 제어 장치(21)의 상면에서 노 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커버(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스위치(25), 스위치(27) 및 스위치(30)를 조작할 수 있고, 표시부(26)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커버(23)를 개방함으로써, 스위치(28)를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표시부(26)를 확인할 수 있고, 스위치(27, 28 및 30)를 조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위치(25)를 조작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커버(23)에 접촉하지 않을 때는, 커버(23)의 하부 패널(41)의 스프링(54)이 상부 패널(42)을 전방을 향해 편향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상부 패널(42)의 U형부(43)가 하부 패널(41)의 결합부(44)에 결합하여, 전방을 향한 상부 패널(42)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상부 패널(42)은 하부 패널(41)에 대하여 예컨대 평행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에, 상부 패널(42)의 돌출부(56)는, 하부 패널(41)의 구멍(53)을 삽입 관통하고 있지만, 스위치(25)를 압박하지는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23)의 상부 패널(42)의 코너부에 형성된 오목부(46) 또는 그 주변 영역을 압박하면, 상부 패널(42)의 코너부가 스프링(54)의 편향력을 극복하고 하부 패널(41)에 근접하여, 상부 패널(42)이 하부 패널(41)에 대하여 경사진다. 이에 따라, 압박된 오목부(46)의 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56)가, 하부 패널(41)의 구멍(53)을 통해, 그 후방에 배치된 스위치(25)를 압박한다. 그 결과, 이 스위치(25)가 조작된다. 이 경우에, 압박된 코너부 이외의 코너부에 배치된 돌출부(56)는 대응하는 스위치(25)를 압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23)의 폐쇄 상태에서 스위치(25)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오목부(46)로부터 손을 떼면, 상부 패널(42)의 자세가 스프링(54)의 편향력에 의해 원 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스위치(25)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커버(23)의 각 변부의 중앙 부근을 압박한 경우는, 상부 패널(42)이 하부 패널(41)의 리브(52)에 접촉하여, 상부 패널(42)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어떠한 스위치(25)도 압박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커버(23)의 각 변부의 중앙 부근을 압박했을 때에, 이 변부를 사이에 두고 있는 2개의 스위치(25)가 조작하는 것과 같은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코너부 주변의 넓은 부위를 스위치(25)를 조작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조작 가능한 압박 영역이 현저하게 넓어져서, 원격 제어 장치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하, 사용자가 커버(23)의 코너부[오목부(46)]를 압박한 경우와, 변부를 압박한 경우의 동작 차이를, 수치예를 참고로 하여 정량적으로 설명한다.
도 27은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각 부분의 치수를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커버의 코너부가 압박되었을 때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으로, 도 28a는 하부 패널의 치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8b는 상부 패널이 경사져 있을 때의 각각의 위치의 변위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b는, 상부 패널을 도 28a에 도시하는 방향 61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커버의 변부가 압박되었을 때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으로, 도 29a는 하부 패널의 치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9b는 상부 패널이 경사져 있을 때의 각각의 위치의 변위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b 는, 상부 패널을 도 29a에 도시하는 방향 62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패널(42)이 스프링(54)(도 22 참조)에 의해 하부 패널(4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향되어 있을 때는, 예컨대 하부 패널(41)의 리브(52)와 상부 패널(42)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1.15 ㎜로 설정되고, 하부 패널(41)의 결합부(44)와 상부 패널(42)의 U형부(43)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1.50 ㎜로 설정된다. 또한, 도 2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에서 보았을 때, 하부 패널(41)의 중심과 구멍(53)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84.48 ㎜로 설정된다.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부 패널(42)(도 27 참조)의 코너부를 압박하면, 상부 패널(42)은 반대측에 배치된 결합부(44)(위치 p)를 지지점으로 하여, 방향 61을 따라 경사지게 된다. 이 경우에, 상부 패널(42)은 압박된 코너측의 결합부(44)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부 패널(42)에 있어서 결합부(44)에 접촉하는 위치(a)의 변위량은 1.50 ㎜이다. 이에 의해, 돌출부(56)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b)의 변위량은 1.37 ㎜로 된다. 리브(52)에 상당하는 위치(c)의 변위량은 1.00 ㎜이고, 이 위치의 클리어런스(1.15 ㎜)보다 작기 때문에, 상부 패널(42)은 리브(52)에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도 29a 및 도 2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부 패널(42)(도 27 참조)의 변부의 중앙부를 압박하면, 상부 패널(42)은, 반대측에 배치된 결합부(44)(위치 p)를 지지점으로 하여, 방향 62를 따라 경사진다. 이 경우에, 상부 패널(42)은 하부 패널(41)의 리브(52)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부 패널(42)에 있어서 리브(52)에 접촉하는 위치(c)의 변위량은 1.15 ㎜이다. 이에 의해, 돌출부(56) 가 마련되는 위치(b)의 변위량은 1.19 ㎜가 된다. 결합부(44)에 상당하는 위치(a)의 변위량은 1.31 ㎜이고, 이 위치의 클리어런스(1.50 ㎜)보다 작기 때문에, 상부 패널(42)은 결합부(44)에 접촉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패널(42)에 있어서 돌출부(56)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b)의 변위량은, 상부 패널(42)의 코너부를 압박한 경우에는 1.37 ㎜이고, 변부를 압박한 경우에는 1.19 ㎜로서, 코너부를 압박한 경우의 변위가 크다. 또한, 상부 패널(42)의 코너부를 압박한 경우가, 변부를 압박한 경우에 비하여, 전체 커버(23)의 휘어짐량이 크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상부 패널(42)의 코너부를 압박한 경우에는, 돌출부(56)가 스위치(25)를 눌러 전환시키지만, 변부를 압박한 경우에는, 스위치(25)를 전환시키지 않는다. 이에 의해, 변부를 압박한 경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치수는 일례이고, 각 부분의 치수는 전술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관계로 있으면 충분하다.
다음으로, 스위치(27)를 조작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 톱(27a)에 접촉하지 않을 때는, 압박부(27d)가 접점부(27b)의 반력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로킹부(27e)가 연장부(49a)에 의해 로킹되며, 키 톱(27a)은 이동 영역의 전방측의 끝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접점부(27b)는 압박되어 있지 않다. 한편, 사용자가 키 톱(27a)을 압박하면, 키 톱(27a)이 접점부(27b)의 반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압박부(27d)의 단차(27f)가 돌출부(49b)에 접촉함으로써, 키 톱(27a)이 이동 영역의 후방측의 끝에서 정지한다. 이 경우에, 압박부(27d)가 접점부(27b)를 하향 압박하고, 접점부(27b)의 접속 상태가 전환된다. 그 후, 사용자가 키 톱(27a)으로부터 손을 떼면, 키 톱(27a)이 접점부(27b)의 반력에 의해 전방측의 끝으로 복귀한다. 이 경우에, 표시부(26)에서 조작되고 있는 스위치(27)에 인접하는 영역에, 스위치(27)에 의한 조작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25, 27, 28 및 30)에 의한 조작 내용이 송신부(31)에 전달되고, 송신부(31)가 이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위생 세정 장치 등으로 송신한다. 이에 의해, 위생 세정 장치 등이 요구된 동작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 표시부(26)가 이 조작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구체예에 따르면, 커버(23)를 폐쇄한 상태로, 4개의 스위치(25)를 구분하여 누를 수 있다. 이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상면에 설치된 5개의 스위치(30)와 합쳐서, 총 9개의 스위치를 커버(23)의 폐쇄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격 제어 장치의 주요 조작을 커버(23)를 폐쇄한 상태로 행할 수 있어 편리하고, 커버(23)를 개방하는 빈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 및 커버(23)의 배면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체예에 따르면, 커버(23)를 폐쇄했을 때에, 커버(23)에 설치된 하나의 개구부(45)로부터 표시부(26) 및 스위치(27)가 노출되고 있고, 커버(23)를 통해 스위치(25)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23)의 폐쇄 상태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23)에 하나의 개구부만을 형성하면 충분하므로, 개구부 내에 먼지가 거의 쌓이지 않고, 개구부 내의 청소가 용이하므로, 청 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스위치(27)의 단부가 표시부(26)의 단부에 올라타 있고, 스위치(27)의 전면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표시부(26)의 전면, 스위치(27)의 전면 및 커버(23)의 전면이 대략 연속적인 면을 구성한다. 그 결과, 원격 제어 장치(21)를 닦고 청소할 때에, 걸림이 적어, 청소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그 외관이 단순하고, 의장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구체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스위치(27)를 조작할 때에, 표시부(26)가, 조작하고 있는 스위치(27)에 인접하는 영역에, 스위치(27)에 의한 조작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표시부(26)의 표시 내용을 보면서, 스위치(27)를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위치(27)의 표시부(26)측의 단부가 표시부(26) 상에 올라타 있기 때문에, 스위치(27)가 표시부(26)에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다른 부품이 스위치(27)와 표시부(26)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표시부(26)와 스위치(27) 사이에 강한 연속감을 상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표시부(26)의 표시 영역 및 스위치(27)를 일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27)의 조작성이 매우 양호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0a는 본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0b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커버(23)의 전면에 있어서, 코너부가 아니라 변부의 중앙에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23)에는 리브(52)(도 16 참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3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25)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커버(23)의 각 변부를 압박했을 때에, 그 변부를 사이에 두고 있는 2개의 코너부에 설치된 2개의 스위치(25)가 조작된다. 또한, 커버(23)의 코너부를 압박하면, 이 코너부에 배치된 1개의 스위치(25)만이 조작된다. 이에 의해, 4개의 스위치(25)에 8 가지의 조작을 할당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커버(23)의 코너부 및 변부의 쌍방에 오목부(46)를 형성하고, 각각의 오목부(46)에, 그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조작성이 보다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의 제2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1a는 본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1b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커버(23)의 전면에 있어서, 코너부가 아니라 변부의 중앙에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23)에는 리브(52)(도 16 참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3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25)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변부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본 구체예에서는, 커버(23)의 각 변부를 압박했을 때에, 이 변부에 배치된 1개의 스위치(25)가 조작된다. 또한, 커버(23)의 코너부를 압박했을 때에는, 이 코 너부를 사이에 두고 있는 2개의 변부에 배치된 2개의 스위치(25)가 조작된다. 이에 의해, 4개의 스위치(25)에 8 가지의 조작을 할당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하다.
본 변형예에서는, 커버(23)의 코너부에 리브(5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것 의해, 커버(23)의 코너부를 압박함에 의하여 2개의 스위치(25)를 조작할 수 없게 되지만, 스위치(25)의 오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의 제3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는, 본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커버(23)의 전면이, 커버(23)의 각 코너부를 포함하는 4개의 영역(63)으로 색별되어 있다. 각 영역(63)은, 압박되어 그 영역(63) 내에 배치된 돌출부(56)로 하여금 스위치(25)를 압박할 수 있게 하는 압박 영역에 상당한다. 그리고, 각 영역(63)은 커버(23)의 전면에 있어서 상기 영역(63)에 접촉하는 영역과는 상이한 색으로 색별되어 있다. 색별 방법으로는, 착색제를 이용하는 방법, 광원을 이용하는 방법, 인광 물질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 스위치(25)를 조작하고자 할 때, 커버(23)에 있어서 압박 대상 영역을 단번에 인식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 효과는, 특히 고령자 등과 같이 시력이 약한 사용자에게 유효하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하다. 또한, 도 32에 있어서는, 영역(63)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영역(63) 사이의 영역을 다른 색으로 색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의 제4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3은 본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커버(23)의 코너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이로써, 전방에서 보았을 때, 커버(23)의 전면의 압박 영역, 즉 각 돌출부(56)로 하여금 스위치(25)를 압박할 수 있게 하는 영역(64)의 일부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33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영역(64)이 영역(64) 이외의 영역과는 다른 색으로 색별되어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특정 스위치(25)를 조작하고자 할 때, 커버(23)에 있어서의 압박 대상 영역이 넓어져,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 효과는, 고령자와 같이 시력이 약한 사용자에게 유효하다. 본 변형예에서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하다.
도 33에 있어서는, 영역(64)의 형상이 삼각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역의 형상은, 예컨대 사각형이나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 각을 둥글게 한 다각형, 원 또는 타원, 또는 하트 형상과 같이 의장적으로 디자인된 형상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2 구체예는, 전술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 즉 커버가 휘어져 변위되는 타입의 원격 제어 장치의 구체예이다.
도 34는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정면도로서, 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35는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예시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커버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5에서는, 압박에 의해 휘어지는 영역을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4 및 도 35에 있어서는, 원격 제어 장치에 인쇄되어 있는 각종 문자 및 도형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71)에 있어서는, 커버(73)가 힌지(24)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구성은 전술한 제1 구체예(도 10 내지 도 29 참조)와 동일하다.
커버(73)에는, 예컨대 ABS 수지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1.5 ㎜인 수지판(7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수지판(74)의 중앙에는, 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73)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상기 개구부(75)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표시부(26) 및 스위치(27)에 정합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표시부(26) 및 스위치(27)를 노출시킨다.
또한, 수지판(74)의 배면, 즉 커버(73)를 폐쇄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측이 되는 표면 상의 4 개의 코너부에는, 돔 형상의 돌기(76)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76)는, 예컨대 수지판(74)을 형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수지로 이루어지고, 수지판(74)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76)는, 커버(73)를 폐쇄했을 때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스위치(25)에 정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지판(74)의 배면에 있어서 개구부(75)의 주변에는, 개구부(75)의 근방으로부터 수지판(74)의 외측 가장자리를 향해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3개의 리브(78)가 마련되어 있다. 3개의 리브(78) 각각은, 개구부(75) 근방으로부터 수지판(74)에 있어서 힌지(24)가 연결되어 있는 변을 제외한 3변의 중앙부를 향해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리브(78)는, 예컨대 수지판(74)을 형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수지로 이루어지며, 수지판(74)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리브(78)는 돌기(76)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커버(73)를 폐쇄했을 때에는 스위치(25)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수지판(74)의 전면의 코너부, 즉 돌기(76)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오목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본 구체예에서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1 구체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버(73)가 폐쇄되어 있고, 사용자가 커버(73)에 접촉하지 않을 때에, 커버(73)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커버(73)의 돌기(76)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스위치(25)를 누르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지판(74)에 있어서 오목부(79) 또는 오목부 근방을 후방으로 압박하면, 도 35에서 사선으로 도시하는 영역(80) 중에서, 압박된 오목부(79)를 포함하는 영역이 후방으로 휘어진다. 이 경우에, 수지판(74)의 리브(78)가 원격 제어 장치 본체(22)의 전면에 접촉하고, 수지판(74)은 리브(78)를 지지점으로 하여 변형된다. 그리고, 그와 같이 휘어진 영역(80)에 형성된 돌기(76)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대향하는 스위치(25)에 접촉하여, 스위치를 압박한다.
이 경우에, 돌기(76) 사이에는 리브(78)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판(74)에 있어서 리브(78)가 설치된 부분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수지판(74)에 있어서 힌지(24)가 연결되어 있는 변에는 리브(78)가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이 변의 중앙부는 힌지(24)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하나의 오목부(79)가 압박되었을 때에, 이 오목부(79)를 포함하는 영역(80) 이외의 영역(8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박된 오목부(79)에 대응하는 돌기(76) 이외의 돌기(76)는 스위치(25)를 압박하지 않고, 수지판(74)의 한 지점이 압박될 때, 2개 이상의 스위치(25)가 조작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사용자는 4개의 스위치(25)를 커버(73) 위로부터 구분하여 누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수지판(74)으로부터 손을 떼면, 수지판(74)이 그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되고, 돌기(76)가 스위치(25)로부터 격리된다.
본 구체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1 구체예와 비교하여, 커버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것 이외의 동작 및 효과는 전술한 제1 구체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각 실시예 또는 그 구체예 또는 변형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변기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변기 장치의 외관을 예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장치는, 서양식 좌변기(800)와, 그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본체부(400), 변기 시트(200) 및 변기 덮개(300)를 갖는다. 변기 시트(200)와 변기 덮개(300)는 본체부(40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본체부(400)에는, 위생 세정을 실현하기 위한 위생 세정 기능부가 내장되어 있다. 즉, 착좌 센서(420)에 의해 사용자가 변기 시트(200)에 앉은 것을 검지하고, 사용자가 스위치 등을 조작함에 따라 본체부(400)로부터 변기(800)의 보울(bowl) 내로 토수 노즐(도시 생략)을 진출시키고, 그 선단 부근에 설치된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기 시트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세정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은,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온수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400)의 상면에는 오목부(410)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410)에 일부가 매립되도록 인체 검지 센서(500)가 설치되어 있다. 인체 검지 센서(500)는, 변기 덮개(300)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그 베이스 부근에 설치된 투과창(310)을 통해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한다.
또한, 본체부(400)에는, "온풍 건조 유닛", "탈취 유닛", "실내 난방 유닛" 과 같은 각종 기구가 적절하게 설치되고, 그 측면에는 배기구(440) 및 배출구(450)가 적절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접근을 검지하여 변기 덮개(300)를 자동적으로 개방하고, 사용자가 없으면 변기 덮개(300)를 자동적으로 폐쇄하는 "오토 개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 변기(800)에 세정수를 흘리는 "자동 수세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다. 이는, 로우 탱크나 플러시 밸브와 같은 배수 기구를 동작시키는 구동 기구를 설치하고, 이 구동 기구를 동작 시키는 신호를 본체부(400)로부터 출력하여, 변기(800)에 세정수를 자동적으로 흘리는 기능이다.
이들 기능은, 본체부(400)에 설치된 조작부(도시 생략)를 적절하게 조작함으로써 실행 및 설정될 수도 있고, 화장실의 벽면 등에 설치된 원격 제어 장치(도시 생략)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3과 관련하여 설명한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우수한 청소성, 조작성, 디자인성 등을 얻을 수 있으며, 쾌적한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그 구체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원격 제어 장치의 외형은 코너부가 둥글게 된 정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커버에 형성된 개구부의 형상도 정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배치 위치도 커버의 중앙부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의 개폐 동작은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구체적으로 설명한) 개폐 동작으로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드에 의해 개폐를 행하는 타입의 커버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형태면 가능하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와 위생 세정 장치 등의 사이의 통신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위생 세정 장치 등으로의 일방향 통신으로 한정되지 않고, 위생 세정 장치 등으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로의 통신도 가능한 양방향 통신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예컨대 위생 세정 장치 등의 상태를 원격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원격 제어 장치와 위생 세정 장치 등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는 적외선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파장의 전자파를 이용 할 수도 있으며, 초음파를 이용할 수도 있고, 유선 시스템에 의해 전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은 내장 전지에 의해 공급될 수도 있고, 가정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
아울러, 커버의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에서 스위치(25)가 상이한 기능을 행하게 하는, 소위 "더블 기능(double function)"과 같은 기술과 조합하여, 각종의 다양한 스위치 조작을 추가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만 커버에 의해 압박되는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고, 커버의 개방 상태에서는 커버에 의해 압박되는 스위치를 무효로 하는 기술을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 구체예 및 변형예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임의로 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조합에 의해 얻어진 원격 제어 장치도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격 제어 장치가 변기 장치에 탑재된 위생 세정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용의 원격 제어 장치인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를 폐쇄한 상태에서 주요 조작 버튼 및 표시부의 확인이 가능하고, 조작성이 우수하며, 청소 작업성이 우수한 원격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로 덮힌 상태로 복수 개의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4)

  1.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前面)을 덮는 커버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설치되고, 압박력에 의해 전환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와,
    상기 커버 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압박될 때에 스위치에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스위치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과,
    상기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스위치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여, 상기 편향 수단과 함께, 상기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스위치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규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폐쇄 시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을 덮고, 개방 시에 상기 전면을 노출시키며,
    상기 커버의 일부는,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압박되어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변위되며, 이러한 변위에 의해 상기 커버 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가 복수 개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압박하며,
    상기 커버의 다른 일부는,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압박되어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변위되며, 이러한 변위에 의해 상기 커버 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가 복수 개의 스위치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커버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 상에 위치하는 하부 패널과,
    커버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상기 하부 패널에서 보아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반대측에 중첩되어 하부 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편향 수단은 상기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가 압박되었을 때에, 상기 상부 패널의 일부가 상기 스위치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상부 패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가 압박되었을 때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일부가 상기 스위치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 중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가 압박되었을 때에, 상기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중 다른 쪽의 일부가 상기 스위치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7.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前面)을 덮는 커버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설치되고, 압박력에 의해 전환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폐쇄 시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을 덮고, 개방 시에 상기 전면을 노출시키며,
    상기 커버의 일부는,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압박되어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변위되며, 이러한 변위에 의해 상기 커버 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가 복수 개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압박하며,
    상기 커버의 다른 일부는,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압박되어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변위되며, 이러한 변위에 의해 상기 커버 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가 복수 개의 스위치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압박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압박되어,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서 휘어지고, 휘어짐에 의해 변위된 부분이 상기 스위치에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압박되었을 때에 상기 스위치에 접촉하는 부분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9.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서,
    원격 제어 장치 본체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前面)을 덮는 커버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설치되고, 압박력에 의해 전환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한 상기 커버의 변위를 국소적으로 규제하는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폐쇄 시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을 덮고, 개방 시에 상기 전면을 노출시키며,
    상기 커버의 일부는,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압박되어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변위되며, 이러한 변위에 의해 상기 커버 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가 복수 개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압박하며,
    상기 커버의 다른 일부는,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압박되어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를 향해 변위되며, 이러한 변위에 의해 상기 커버 또는 원격 제어 장치 본체가 복수 개의 스위치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조작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폐쇄 시에 상기 표시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 및 상기 커버의 외측 가장자리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을 이루고 있고, 스위치 조작 수단은 다각형의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 및 상기 커버의 외측 가장자리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을 이루고 있고, 스위치 조작 수단은 다각형의 변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면을 압박하여 상기 스위치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 영역이,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본체는, 상기 표시부의 주위에 배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표시부의 단부 상에 얹혀있는 다른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상기 커버의 개구부는 상기 표시부뿐 아니라 상기 다른 스위치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KR1020087027708A 2006-04-13 2007-04-11 원격 제어 장치 KR101262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1402A JP3918193B1 (ja) 2006-04-13 2006-04-13 リモコン装置
JPJP-P-2006-111402 2006-04-13
JP2006152790A JP3918194B1 (ja) 2006-05-31 2006-05-31 リモコン装置
JPJP-P-2006-152790 2006-05-31
PCT/JP2007/058008 WO2007119758A1 (ja) 2006-04-13 2007-04-11 リモコ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668A KR20090016668A (ko) 2009-02-17
KR101262433B1 true KR101262433B1 (ko) 2013-05-08

Family

ID=3860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708A KR101262433B1 (ko) 2006-04-13 2007-04-11 원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08255B2 (ko)
EP (1) EP2007166B1 (ko)
KR (1) KR101262433B1 (ko)
TW (1) TW200801293A (ko)
WO (1) WO2007119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97037S1 (en) 2011-06-30 2014-01-07 Geberit International Ag Portion of a display panel for toilet flush tank
US20130248033A1 (en) 2012-03-07 2013-09-26 Moen Incorporated Electronic plumbing fixture fitting
JP6374205B2 (ja) * 2014-04-09 2018-08-15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電子機器
USD772821S1 (en) 2015-06-11 2016-11-29 Oculus Vr, Llc Remote control unit
US9801295B2 (en) 2015-11-05 2017-10-24 Oculus Vr, Llc Remote control unit with lanyard attachment mechanism
US9763348B2 (en) * 2015-11-06 2017-09-12 Oculus Vr, Llc Remote control unit with battery retention mechanism
US9722235B2 (en) 2015-12-11 2017-08-01 Oculus Vr, Llc Remote control unit with battery isolation tab
US20200284014A1 (en) * 2019-03-08 2020-09-10 Lixil Corporation Toilet remote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7429A (ja) 1984-02-22 1985-09-11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磁気記録媒体
JPS60177429U (ja) * 1984-05-04 1985-11-2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動ミラ−用制御スイツチ
DE3446806A1 (de) * 1984-12-21 1986-06-26 Braun Electronic GmbH, 6000 Frankfurt Fernbedienungsgeraet fuer rundfunkempfangsgeraete und dergleichen
JPH01122232A (ja) 1987-11-06 1989-05-15 Nec Corp 加入者分析データ自動生成方式
JPH01122232U (ko) * 1988-02-13 1989-08-18
JPH0681346B2 (ja) 1988-09-14 1994-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605839B2 (ja) 1988-11-07 1997-04-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02128320U (ko) * 1989-03-30 1990-10-23
JPH072158B2 (ja) 1990-06-28 1995-01-18 三洋電機株式会社 床用吸込具
JPH0458924U (ko) * 1990-09-25 1992-05-20
US5092459A (en) * 1991-01-30 1992-03-03 Daniel Uljanic Cover for remote control unit
JPH0532470A (ja) 1991-07-29 1993-02-09 Mitsubishi Materials Corp 色彩模様を有する施釉セラミツクス製品の製造方法
JPH05211693A (ja) * 1992-01-30 1993-08-20 Sony Corp 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2911313B2 (ja) 1992-09-14 1999-06-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トイレ用人体洗浄装置の操作スイッチ装置
JP2779466B2 (ja) * 1992-10-22 1998-07-2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トイレの操作装置
JPH06189383A (ja) 1992-12-16 1994-07-08 Toshiba Corp ワイヤレスリモコン
JPH07324534A (ja) * 1994-06-01 1995-12-12 Yuhshin Co Ltd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DE59601511D1 (de) * 1995-07-22 1999-04-29 Kuka Roboter Gmbh Programmiergerät
US5831555A (en) * 1996-05-10 1998-11-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eyboard encoding system actuated by opening and closing of keyboard cover
JPH09319492A (ja) 1996-05-31 1997-12-12 Toto Ltd 浴槽関連機器の操作盤
JPH1171799A (ja) 1997-06-17 1999-03-16 Tot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947252B2 (ja) * 1998-01-23 1999-09-13 東陶機器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およびリモコン装置を備えた機器
JP3291463B2 (ja) 1998-02-16 2002-06-1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携帯用電子機器
US6094156A (en) * 1998-04-24 2000-07-25 Henty; David L. Handheld remote control system with keyboard
TW386323B (en) 1998-05-26 2000-04-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device
JP2000217175A (ja) * 1999-01-20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リモ―トコントロ―ル送信器
JP2001011921A (ja) 1999-06-30 2001-01-16 Aisin Seiki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JP3858533B2 (ja) * 1999-07-01 2006-12-13 東陶機器株式会社 局部洗浄装置
JP2002025379A (ja) * 2000-07-07 2002-01-25 Toto Ltd 局部洗浄用操作装置
JP4742438B2 (ja) 2001-03-30 2011-08-10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03105832A (ja) * 2001-09-28 2003-04-09 Toto Ltd トイレのリモコン装置
JP2003223828A (ja) 2002-01-31 2003-08-08 Nippon Seiki Co Ltd 遠隔操作装置
US6902332B2 (en) * 2003-07-31 2005-06-07 Microsoft Corporation Universal remote computer keyboard
JP2005184130A (ja) 2003-12-16 2005-07-07 Alps Electric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4447904B2 (ja) 2003-12-26 2010-04-07 Toto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05217298A (ja) 2004-01-30 2005-08-11 Toshiba Corp 電子機器
JP2005277557A (ja) * 2004-03-23 2005-10-06 Inax Corp リモコン
TWI275257B (en) * 2004-07-12 2007-03-01 Sony Corp Inputting apparatus
KR100849336B1 (ko) * 2007-03-30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및장치
US7911773B2 (en) * 2008-12-17 2011-03-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with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668A (ko) 2009-02-17
US20090303670A1 (en) 2009-12-10
EP2007166A4 (en) 2011-02-16
EP2007166B1 (en) 2014-05-07
TWI337638B (ko) 2011-02-21
EP2007166A9 (en) 2009-08-05
WO2007119758A1 (ja) 2007-10-25
US8208255B2 (en) 2012-06-26
EP2007166A2 (en) 2008-12-24
TW200801293A (en) 2008-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433B1 (ko) 원격 제어 장치
EP2005872B1 (en) Sanitary cleansing apparatus
JP4509810B2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3918194B1 (ja) リモコン装置
JP2009207568A (ja) 便座装置
JP2007285115A (ja) リモコン装置
JP3918193B1 (ja) リモコン装置
US6964068B2 (en) Sanitary washing toilet seat device
JP3714001B2 (ja) 便蓋装置
JP4865392B2 (ja) リモコン装置
JP200825809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528668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8002151A (ja) 局所洗浄便座操作用リモコン
JP2007323948A (ja) 電子機器
JP2023058121A (ja) トイレ用リモコン装置およびトイレユニット
JP2023058120A (ja) トイレ用リモコン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JP2006280674A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20240058561A (ko) 비데의 조작부 입력장치
JP2000096670A (ja) 衛生洗浄装置
KR20040083523A (ko) 비데 장치
JPH10254603A (ja) 操作装置及びこの操作装置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19080642A (ja) 生体情報装置、トイレ用付帯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200199732Y1 (ko) 변기용 싸이펀제트 밸브의 자동 제어장치
JP2008075247A (ja) 操作装置と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02250069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