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413B1 -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413B1
KR101252413B1 KR1020127004467A KR20127004467A KR101252413B1 KR 101252413 B1 KR101252413 B1 KR 101252413B1 KR 1020127004467 A KR1020127004467 A KR 1020127004467A KR 20127004467 A KR20127004467 A KR 20127004467A KR 101252413 B1 KR101252413 B1 KR 101252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output terminal
cover
cell unit
modul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018A (ko
Inventor
류우이찌 아마가이
나오끼 아이자와
나오또 도도로끼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6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flat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복수의 편평형 전지(144A 내지 144D)가 적층된 적층체(142)를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이고, 편평형 전지와, 출력 단자와, 금속 용기와, 절연 플레이트와, 절연 커버(170)를 갖는다. 상기 편평형 전지(144A 내지 144D)는 발전 요소, 발전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외장재 및 외장재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전극 단자를 갖는다. 상기 출력 단자는 병렬 혹은 직렬로 복수의 편평형 전지(144A 내지 144D)의 전극 단자를 접속하여 출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금속 용기는 적층체를 수납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는 각 편평형 전지(144A 내지 144D)의 전극 단자를 절연하도록 끼움 지지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접속을 위해, 전극 단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창부를 갖는다. 상기 절연 커버(170)는 최외층에 위치하는 절연 플레이트(160A, 160E)의 창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172893호 공보는, 외장재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전극 단자를 갖는 편평형 전지를, 복수 적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고출력 및/또는 고용량의 전지 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편평형 전지의 전극 단자의 상하 양측은 작업용 창부를 갖는 절연 플레이트에 의해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창부는 전극 단자와 출력 단자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혹은 전극 단자끼리의 접속을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적층체를 금속 용기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최외층에 위치하는 절연 플레이트의 창부는 편평형 전지를 수납하기 위한 금속 용기의 내면에 서로 마주보고 있고, 창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전극 단자와 금속 용기의 내면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할 뿐이다. 그로 인해, 전극 단자와 금속 용기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금속 용기의 내면의 절연성을 높게 해야만 해, 제품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수반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제품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전극 단자와 금속 용기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복수의 편평형 전지가 적층된 적층체를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이고, 편평형 전지와, 출력 단자와, 금속 용기와, 절연 플레이트와, 절연 커버를 갖는다. 상기 편평형 전지는 발전 요소, 발전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외장재 및 외장재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전극 단자를 갖는다. 상기 출력 단자는 병렬 혹은 직렬로 복수의 편평형 전지의 전극 단자를 접속하여 출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금속 용기는 적층체를 수납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는 각 편평형 전지의 전극 단자를 절연하도록 끼움 지지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접속을 위해, 전극 단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창부를 갖는다. 상기 절연 커버는 최외층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창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복수의 편평형 전지가 적층된 적층체를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이다. 당해 제조 방법은 적층체 형성 스텝, 출력 단자 형성 스텝, 절연 커버 설치 스텝 및 금속 용기 수용 스텝을 갖는다. 상기 적층체 형성 스텝에 있어서는, 발전 요소, 상기 발전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전극 단자를 갖는 복수의 편평형 전지와, 상기 전극 단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창부를 갖고, 상기 각 편평형 전지의 전극 단자를 절연하도록 끼움 지지하여 배치되는 절연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상기 편평형 전지의 적층체를 형성한다. 상기 출력 단자 형성 스텝에 있어서는, 상기 창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상기 전극 단자를 접합하여, 출력 단자를 형성한다. 상기 절연 커버 설치 스텝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 커버를, 상기 적층 방향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창부를 덮고, 상기 절연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끼워 넣는다. 상기 금속 용기 수용 스텝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 커버가 끼워 넣어진 상기 적층체를 금속 용기에 수용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케이스의 내부의 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되는 절연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는 적층체의 전방면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되는 적층체의 전방면측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되는 적층체의 배후측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되는 적층체를 구성하는 편평형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되는 절연 커버의 측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되는 측벽부의 선단에 배치되는 확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Ⅸ-Ⅸ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출력 단자 형성 스텝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으로부터 이어지는 절연 커버 설치 스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6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7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절연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되는 절연 커버의 배후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되는 절연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절연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절연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절연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부스 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출력 단자 형성 스텝을 도시하고 있다.
도 27은 도 26으로부터 이어지는 절연 커버 설치 스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절연 커버의 끼워 넣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9는 부스 바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0은 부스 바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UP는 전지 모듈의 셀 유닛을 구성하는 편평형 전지의 적층 방향 상방을 나타내고, FR은 전지 모듈의 전방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100)은, 케이스(금속 용기)(120)를 갖고, 당해 케이스(120)의 내부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유닛(140) 및 전기 절연성을 구비한 절연 커버(170)를 갖는다. 전지 모듈(100)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복수의 전지 모듈(100)을 직렬화 및/또는 병렬화함으로써, 원하는 전류, 전압, 용량에 대응한 조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커버(17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셀 유닛(140)과 케이스(120)의 단락을 방지하고 있어, 그로 인해 케이스(120)의 내면의 절연성을 높게 할 필요는 없어, 제품 비용의 증가가 억제되어 있다.
도 1로 돌아가, 케이스(120)는 셀 유닛(140)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어, 대략 직사각형의 상자 형상을 이루는 로어 케이스(122) 및 그 덮개를 이루는 어퍼 케이스(124)를 갖는다. 어퍼 케이스(124)의 테두리부는 코킹 가공에 의해, 로어 케이스(122)의 주위벽의 테두리부에 접합되어 있다. 로어 케이스(122) 및 어퍼 케이스(124)는 비교적 박육의 강판 또는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되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강도 확보하거나, 셀 유닛(140)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소정 형상이 부여되어 있다.
로어 케이스(122) 및 어퍼 케이스(124)는 관통 구멍(130)을 갖는다. 관통 구멍(130)은 로어 케이스(122) 및 어퍼 케이스(124)의 코너부의 4개소에 배치되어 있고, 전지 모듈(100)끼리를 복수 적층하여 조전지로서 보유 지지하기 위한 관통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삽입 관통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로어 케이스(122)는 전방면(123)의 측벽부에 형성된 개구부(132, 133, 134)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유닛(140)은 복수의 편평형 전지[144(144A 내지 144D)]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적층된 적층체(142) 및 전기 절연성을 갖는 복수의 스페이서(절연 플레이트)(160, 161)를 갖는다.
편평형 전지(144)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2차 전지이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 요소(145), 발전 요소(145)를 밀봉하기 위한 외장재(146) 및 외장재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탭(전극 단자)(147, 148)을 갖는다.
발전 요소(145)는 정극판, 부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순서대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정극판은, 예를 들어, LiMn2O4 등의 리튬-천이 금속 복합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정극 활물질층을 갖는다. 부극판은, 예를 들어 카본 및 리튬-천이 금속 복합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부극 활물질층을 갖는다. 세퍼레이터는, 예를 들어 전해질을 침투할 수 있는 통기성을 갖는 다공질 형상의 PE(폴리에틸렌)로 형성된다.
외장재(146)는 경량화 및 열전도성의 관점으로부터,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니켈, 구리 등의 금속(합금을 포함함)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절연체로 피복한 고분자-금속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 등의 시트재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탭(147 및 148)은 발전 요소(145)로부터 전류를 인출하기 위한 부재로, 양쪽 모두 편평형 전지(144)의 전방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전기 절연성을 갖는 복수의 스페이서(절연 플레이트)(160)는, 도 5에 그 분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60(160A 내지 160E)]는 적층체(142)의 전방면측에 배치되고, 또한 각 편평형 전지(144)의 탭(147, 148)을 끼움 지지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고, 창부(163), 관통 구멍(164) 및 전압 검출부(169)를 갖는다.
창부(163)는 편평형 전지(144)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어, 탭(147) 또는 탭(148)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있다.
관통 구멍(164)은 코너부의 2개소에 배치되어 있고, 전술한 로어 케이스(122) 및 어퍼 케이스(124)의 전방면측의 관통 구멍(130)과 위치 정렬되어 있어, 관통 볼트를 삽입 관통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압 검출부(169)는 끼움 지지한 탭(147) 또는 탭(148)의 주연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절결부로 형성되어, 편평형 전지(144)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압의 검출은 전지 모듈(100)의 충방전 관리를 위해 행해진다. 전압 검출부(169)는 로어 케이스(122)의 전방면(123)의 측벽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34)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 결정되어, 개구부(134)를 통해, 외부로 노출 가능하다. 또한, 전압 검출부(169)는 전용 단자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최상위(최외층의 한쪽)의 스페이서(160A)의 상면 및 최하위(최외층의 다른 쪽)의 스페이서(160E)의 하면에는 절연 커버(170)를 장착하기 위한 오목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160A)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스페이서(160B)는 탭(147)에 전기적으로 접합된 출력 단자(167)를 갖는다. 스페이서(160E)는 부스 바(196)를 통해 탭(147)에 전기적으로 접합된 출력 단자(166)를 갖는다. 출력 단자(166, 167)는 로어 케이스(122)의 전방면(123)의 측벽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32, 133)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147A, 196A는 탭(147) 및 부스 바(196)의 접합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전기 절연성을 갖는 복수의 스페이서(절연 플레이트)(161)는, 도 6에 그 분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61(161A 내지 161E)]는 적층체(142)의 배후측에 배치되고, 또한 편평형 전지(144)의 배후측 연장부(149)를 끼움 지지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고, 관통 구멍(165)을 갖는다. 관통 구멍(165)은 코너부의 2개소에 배치되어 있고, 로어 케이스(122) 및 어퍼 케이스(124)의 배후측의 관통 구멍(130)과 위치 정렬되어 있고, 관통 볼트를 삽입 관통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에, 절연 커버(170)를 설명한다.
절연 커버(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모듈(100)의 폭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대략 コ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전지 모듈(100)의 전방면측에 위치하는 본체 기부(172) 및 본체 기부(172)의 상하 양단부 테두리로부터 전지 모듈(100)의 배후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상하 측면부(190)를 갖고, 상하 측면부(190)에 의해 셀 유닛(140)이 끼워 넣어져 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출력 단자(166, 167)와 편평형 전지(144)의 탭(147, 148)이 스페이서(160)와 절연 커버(170)를 통해 서로 고정되기 때문에, 출력 단자(166, 167)와 탭(147, 148)은 일체적으로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전지 모듈(100)에 진동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출력 단자(166, 167)와 탭(147, 148)이 일체로 요동하게 되고, 따라서 출력 단자(166, 167)와 탭(147, 148)의 접속 부분에서의 응력 입력이 완화된다.
본체 기부(172)는, 도 2에 도시되는 셀 유닛(140)의 전방면측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측방에 위치하는 개구부(174, 175) 및 중앙부에 위치하는 삽입구(176)를 갖는다.
개구부(174, 175)는 출력 단자(166, 167)와 위치 정렬되고, 또한 출력 단자(166, 167)가 전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74, 175)의 테두리부에는 외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184, 185)를 갖는다. 돌출부(184, 185)는, 도 1에 도시되는 로어 케이스(122)의 전방면(123)의 개구부(132, 133)로부터 돌출 가능하고, 또한 통 형상 벽부(186) 및 통 형상 벽부(186)의 선단에 배치되는 확장부(188)를 갖는다.
통 형상 벽부(18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단자(166, 167)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통 형상 벽부(186)는 단순한 구조이지만, 절연 커버(170)를 셀 유닛(140)에 장착하여 케이스(120)에 수용했을 때에, 외부로 노출되는 출력 단자(166, 167)의 주위를 둘러싸고, 출력 단자(166, 167)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단자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그로 인해, 출력 단자(166, 167)에 외력이 부여되었을 때에, 출력 단자(166, 167)의 접합부 및 스페이서(160)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 형상 벽부(186)의 단면 형상이 비원형 형상이므로, 출력 단자(166, 167)의 볼트의 체결 시에 있어서, 통 형상 벽부(186)를 회전 방지로서 이용함으로써, 출력 단자(166, 167)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하여, 출력 단자(166, 167)의 접합부 및 스페이서(160)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 형상 벽부(186)는 절연 커버(170)[본체 기부(172)]와 일체화되어 있어, 부품 개수가 감소하므로, 제품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확장부(188)는 절연 커버(170)를 셀 유닛(140)에 장착하여 케이스(120)에 수용했을 때에, 출력 단자(166, 167)의 선단[출력 단자(166, 167)의 접속 부위]을 넘은 위치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확장부(188)는 출력 단자(166, 167)의 선단과 외부에 존재하는 전기 전도체의 접촉을 방해하기 위해, 단락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삽입구(176)는 편평형 전지(144)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커넥터(전압 검출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부이고, 도 5에 도시되는 스페이서[160(160A 내지 160E)]의 전압 검출부(169)를 노출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삽입구(176)의 테두리부에는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177)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77)는 커넥터의 끼우기 빼기를 안내하기 위한 커넥터 가이드이다. 가이드 부재(177)는 절연 커버(170)[본체 기부(172)]와 일체화되어 있어, 부품 개수가 감소하므로, 제품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 형상 벽부(186)의 확장부(188)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위치하는 삽입구(176)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 결정된다. 삽입구(176)는 전압 검출 커넥터가 삽입되므로, 출력 단자(166, 167)의 커넥터용 배선은 전압 검출 커넥터용 배선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측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통 형상 벽부(186)의 확장부(188)는 출력 단자(166, 167)의 커넥터용 배선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상하 측면부(190)는 최상위의 스페이서(160A)의 상면의 오목부(162) 및 최하위의 스페이서(160E)의 하면의 오목부(162)에 각각 배치되어, 스페이서(160A, 160E)의 창부(163)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창부(163)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탭(147, 148)과 케이스(120)[로어 케이스(122) 및 어퍼 케이스(124)]의 내면 사이에는 스페이서(160A, 160E) 및 절연 커버(170)의 측면부(190)가 개재되게 되어, 탭(147, 148)과 케이스(120)의 단락이 억제된다. 그로 인해, 케이스(120)의 내면의 절연성을 높게 할 필요는 없어, 제품 비용의 증가가 억제된다.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출력 단자 형성 스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으로부터 이어지는 절연 커버 설치 스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적층체 형성 스텝, 출력 단자 형성 스텝, 절연 커버 설치 스텝 및 금속 용기 수용 스텝을 갖는다.
적층체 형성 스텝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편평형 전지(144A 내지 144D)와 스페이서(160, 161)를 적층하여, 도 4에 도시되는 적층체를 형성한다.
출력 단자 형성 스텝에 있어서는, 창부(163)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탭(147, 148)을 접합하여 출력 단자(166)를 형성한다.
접합은,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되는 초음파 접합 장치(10)가 적용된다. 초음파 접합 장치(10)는 앤빌(12) 및 혼부(14)를 갖는다. 앤빌(12)에는, 예를 들어 탭(147) 및 부스 바(196)의 접합부(147A, 196A)가 겹쳐진 상태로 세트된다. 혼부(14)는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칩(16)을 갖고, 초음파 진동한다.
탭(147) 및 부스 바(196)는 앤빌(12) 상에서 칩(16)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초음파 진동이 부여된다. 초음파 진동은 탭(147) 및 부스 바(196)를 구성하는 소재의 금속 원자를 확산하고, 또한 재결정시킴으로써 탭(147) 및 부스 바(196)의 계면을 접합한다. 또한, 접합은 초음파 접합으로 한정되지 않고, 용접(예를 들어, 접촉 저항)이나 접착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절연 커버 설치 스텝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커버(170)를, 측면부(190)에 의해 적층체(142)를 끼워 넣도록 하여 설치하여, 도 2에 도시되는 셀 유닛(140)을 형성한다. 이때, 절연 커버(170)는 적층 방향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스페이서(160A, 160E)의 창부(163)를 덮고 스페이서(160A, 160E)에 고정되도록 끼워 넣어진다.
금속 용기 수용 스텝에 있어서는, 셀 유닛(140)을 케이스(120)에 수용한다(도 1 참조). 이때, 셀 유닛(140)을 로어 케이스(122) 내에 배치하여, 로어 케이스(122)를 어퍼 케이스(124)에 의해 덮개를 덮고, 어퍼 케이스(124)의 테두리부를, 코킹 가공에 의해, 로어 케이스(122)의 주위벽의 테두리부에 접합한다. 이에 의해, 최외층에 위치하는 절연 플레이트의 창부가 절연 커버에 의해 덮여 있는 전지 모듈(100)이 제조되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변형예 내지 제6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통 형상 벽부(186)의 단면 형상은 출력 단자(166, 167)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볼트의 체결 시에 있어서, 회전 방지로서 이용할 수 있는 비원형 형상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대략 직사각 형상에 추가하여, 타원 형상(도 12), 삼각 형상(도 13), 8각 형상(도 14), 십자 형상(도 15), 원의 일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형상(도 16), 원의 일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형상(도 17)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7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절연 커버(170)의 측면부(190) 상에, 예를 들어 우레탄으로부터 형성되는 완충재(192)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완충재(192)는 케이스(120)의 내면과, 절연 커버(170) 사이에 위치하므로, 케이스(120)에 충격(예를 들어, 진동)이 부여되었을 때에, 측면부(190)에 의해 끼워 넣어져 있는 셀 유닛(140)[적층체(142)]에 대한 영향을 경감시켜, 전지 모듈(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완충재(192)는 절연 커버(170)의 측면부(190)의 한쪽에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에 있어서는, 최상위 및 최하위에 위치하는 스페이서의 창부는 절연 커버에 의해 덮인다. 즉, 창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탭과 케이스의 내면 사이에는 절연 커버가 개재되게 되어, 탭과 케이스의 단락이 억제된다. 그로 인해, 케이스의 내면의 절연성을 높게 할 필요는 없어, 제품 비용의 증가가 억제된다. 따라서, 제품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탭과 케이스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최외층에 위치하는 절연 플레이트의 창부가 절연 커버에 의해 덮여 있는 상기 전지 모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품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전극 단자와 금속 용기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출력 단자가 통 형상 벽부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출력 단자에 외력이 부여되었을 때에, 출력 단자의 접합부 및 스페이서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 형상 벽부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출력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 바람직하다. 통 형상 벽부는 출력 단자의 선단을 넘어서 연장되는 확장부를 갖고 있고, 출력 단자와 외부에 존재하는 전기 전도체의 접촉을 방해하기 때문에, 단락의 발생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 형상 벽부의 단면 형상은 대략 직사각 형상(비원형 형상)이고, 볼트의 체결 시에 있어서, 통 형상 벽부를 회전 방지로서 이용함으로써, 출력 단자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켜, 출력 단자의 접합부 및 스페이서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 형상 벽부는 절연 커버와 일체화되어 있어, 부품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품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연 커버는 편평형 전지의 전압 검출 커넥터의 삽입구를 갖고, 삽입구의 테두리부에는 커넥터의 끼우기 빼기를 안내하기 위한 커넥터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고, 절연 커버와 커넥터 가이드는 일체화되어 있다. 그로 인해, 부품 개수를 감소시켜, 제품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의 내면과, 절연 커버 사이에 완충재를 배치하는 경우, 케이스에 충격(예를 들어, 진동)이 부여되었을 때에, 적층체에 대한 영향을 경감시켜, 전지 모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되는 절연 커버의 배후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1은 도 19에 도시되는 절연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는 통 형상 벽부(단자 가이드)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제1 실시 형태와 대체로 상이하고,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절연 커버(270)는 통 형상 벽부(286)가 배치된 본체 기부(272)를 갖는다. 통 형상 벽부(286)는 본체 기부(272)로부터 셀 유닛(적층체)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통 형상 벽부(286)의 기부(287)는 출력 단자[266(267)]의 선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출력 단자[266(267)]의 선단과 통 형상 벽부(286)의 기부(287)는 오목부(294)를 형성한다. 오목부(294)는 외부 부착의 부스 바(296)를 배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부 부착의 부스 바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출력 단자와 외부 부착의 부스 바의 회전 방지를, 통 형상 벽부(286)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출력 단자의 선단을 통 형상 벽부의 기부보다 외측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절연 커버로부터의 출력 단자의 돌출량이 감소하므로, 출력 단자와 외부에 존재하는 부재의 간섭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호 222 및 247은 로어 케이스 및 탭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22, 도 23 및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절연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 도 2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부스 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제3 실시 형태는 부스 바의 구성 및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고,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절연 커버(370)는 전지 모듈(100)의 전방면측에 위치하는 본체 기부(372) 및 본체 기부(372)의 상하 양단부 테두리로부터 전지 모듈(100)의 배후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면부(390)를 갖고, 본체 기부(372)에는 리브(접촉부)(380) 및 개구부(374 내지 376)가 배치되어 있다.
리브(380)는 부스 바(396)에 접촉되어 있다. 부스 바(396)는 편평형 전지(344A 내지 344D)의 탭(전극 단자)(347)에 있어서의 출력 단자(366, 367)에 대한 접속부로, 계단 형상을 나타내고, 스페이서(360E)에 고정(보유 지지)되는 고정 단부(398)와, 리브(380)와 접촉하는 자유단부(397)를 갖고,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즉, 편평형 전지(344A 내지 344D)의 탭(347)은 부스 바(396)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진동이 입력되는 경우, 부스 바(396)의 자유단부(397)는 리브(380)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진동이 억제되어, 예를 들어 탭(347)의 균열의 발생이 확실하게 배제된다. 또한, 리브(380)는 스페이서(360A 내지 360E)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탭끼리를 적층 방향으로 접합하여, 출력 단자(366, 367)를 형성할 때에, 탭(347)과 부스 바(396)를 접합하는 접합 장치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특히,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은 높이를 갖게 한 부스 바 구성이 필요해져, 부스 바의 고정 단부로부터 자유단부까지의 길이가 긴만큼, 부스 바의 진동이 커져, 탭의 균열이 보다 발생되기 쉽다. 이로 인해, 리브(380)의 설치에 의한 진동 억제 효과는, 특히 현저해진다. 또한, 리브(380)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저비용이고 또한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부스 바(396)와 스페이서(360E)의 고정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부스 바(396)에 대한 리브(380)의 접촉 방향[리브(380)의 지지 방향]은 적층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진동을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380)는 절연 커버(370)를 끼워 넣는 방향(D)으로 돌출되어 있고, 측방의 한쪽은 측면부(39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39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측방의 다른 쪽의 선단측의 코너부(381)는 모따기 가공 혹은 라운딩이 형성됨으로써 원활하게 되어 있어, 삽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따라서, 절연 커버(370)를 끼워 넣고, 최외층에 위치하는 스페이서(360E, 360A)의 창부를 덮도록 배치할 때, 리브(380)에 의한 부스 바(396)에 대한 간섭(예를 들어, 걸림)이 억제되어, 원활하게 삽입되므로, 불량품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부호 384는 통 형상 벽부 단자(가이드) 및 확장부를 갖는 돌출부이고, 도 25에 도시하는 부호 347A, 부호 396A는 탭(347) 및 부스 바(396)의 접합부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6은 출력 단자 형성 스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7은 도 26으로부터 이어지는 절연 커버 설치 스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8은 절연 커버의 끼워 넣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9 및 도 30은 부스 바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및 사시도이다.
제3 실시 형태는 출력 단자 형성 스텝 및 절연 커버 설치 스텝에 관한 것으로, 제1 실시 형태와 대체로 상이하다.
우선, 적층체 형성 스텝에 있어서는, 편평형 전지(344A 내지 344D)와 스페이서(360)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342)를 형성한다.
출력 단자 형성 스텝에 있어서는, 초음파 접합 장치(10)를 사용하여, 적층체(342)를 구성하는 편평형 전지(344A 내지 344D)의 창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탭(347)을 적층 방향으로 접합하여, 출력 단자(366, 367)를 형성한다.
이때,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접합 장치(10)의 앤빌(12)에는 탭(347) 및 부스 바(396)의 접합부(347A, 396A)가 겹쳐진 상태로 세트된다. 그리고, 초음파 접합 장치(10)의 혼부(14)가 강하하여, 혼부(14)의 하방에 배치되는 칩(16)에 의해, 탭(347) 및 부스 바(396)의 접합부(347A, 396A)가 가압된다.
혼부(14)는 이 가압 상태로 접합부(347A, 396A)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여, 탭(347) 및 부스 바(396)의 계면을 접합한다. 또한, 출력 단자 형성 스텝에 있어서는, 절연 커버(370)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절연 커버(370)의 리브(380)는 초음파 접합 장치(1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양호한 작업성을 갖는다.
절연 커버 설치 스텝에 있어서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커버(370)의 측면부(390)에 의해, 적층체(342)를 끼워 넣도록 설치되어, 셀 유닛이 형성된다. 이때, 절연 커버는 적층 방향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스페이서(360A, 360E)의 창부를 덮도록 끼워 넣어진다.
또한, 절연 커버(370)의 리브(380)는 절연 커버(370)를 끼워 넣는 방향(D)으로 돌출되어 있고, 선단측의 코너부(381)는 모따기 가공 혹은 라운딩이 형성됨으로써 원활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커버(370)를 끼워 넣을 때, 리브(380)에 의한 부스 바(396)에 대한 간섭(예를 들어, 걸림)이 억제되어, 원활하게 삽입되므로, 불량품 발생이 방지되고, 또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금속 용기 수용 스텝에 있어서는, 셀 유닛을, 케이스에 수용하여, 최외층에 위치하는 절연 플레이트의 창부가 절연 커버에 의해 덮여 있는 전지 모듈이 제조되게 된다. 절연 커버(370)의 리브(380)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부(398)에 의해 외팔보 지지되어 있는 부스 바(396)의 자유단부(397)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진동이 입력되어도 억제된다. 또한, 부스 바(396)에 대한 리브(380)의 접촉 방향은 적층 방향에 일치하고 있으므로, 진동을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에 있어서는, 절연 커버는 부스 바의 자유단부에 접촉하는 리브를 갖는다. 그로 인해, 진동이 입력되는 경우, 부스 바와 리브의 접촉에 의해, 상기 진동이 억제된다. 또한, 리브는 스페이서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탭과 부스 바를 접합하는 접합 장치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부스 바에 대한 리브의 접촉 방향은 적층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진동을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리브의 코너부는 모따기 가공 혹은 라운딩이 형성됨으로써 원활하게 되어 있어, 삽입성이 향상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절연 커버를 끼워 넣고, 최외층에 위치하는 스페이서의 창부를 덮도록 배치할 때, 리브에 의한 부스 바에 대한 간섭(예를 들어, 걸림)을 억제하여 원활하게 삽입함으로써, 불량품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제조 방법의 출력 단자 형성 스텝에 있어서는, 절연 커버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절연 커버의 리브는 초음파 접합 장치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양호한 작업성을 갖는다. 또한, 절연 커버 설치 스텝에 있어서는, 모따기 가공 혹은 라운딩이 형성되는 코너부의 존재에 의해, 절연 커버를 끼워 넣을 때, 리브에 의한 부스 바에 대한 간섭(예를 들어, 걸림)이 억제되어 원활하게 삽입되므로, 불량품 발생이 방지되고, 또한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절연 커버의 리브는 부스 바의 자유단부 자체에 접촉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부스 바에 있어서의 자유단부와 고정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와,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편평형 전지의 탭에 있어서의 출력 단자에 대한 접속부는 스페이서에 고정되는 고정 단부를 갖는 계단 형상의 부스 바로 한정되지 않고, 외팔보 지지되고 또한 진동을 발생하는 자유단부를 갖는 구성이면,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속부는 상기 부스 바에 의해 구성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리브를 제1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편평형 전지의 탭끼리가 직접 접합되어 있고, 편평형 전지의 전극 단자에 있어서의 출력 단자에 대한 접속부는 편평형 전지에 의해 외팔보 지지되어 있는 탭이므로, 당해 탭에 접촉하도록 절연 커버의 리브를 설정하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재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그들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변형예 내지 제7 변형예를 적용한 것 등,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 상기 실시 형태를 적절하게 조합한 것,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출원은 2008년 2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049930호 및 2008년 12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322830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이들 출원의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 따르면, 최외층에 위치하는 절연 플레이트의 창부가 절연 커버에 의해 덮인다. 이에 의해, 창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전극 단자와 금속 용기의 내면 사이에, 절연 커버가 개재되게 되어, 전극 단자와 금속 용기의 단락이 억제된다. 또한, 금속 용기의 내면의 절연성을 높게 할 필요가 없어져, 제품 비용의 증가가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산업상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최외층에 위치하는 절연 플레이트의 창부가 절연 커버에 의해 덮여 있는 상기 전지 모듈을 제조하는 것, 즉 제품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전극 단자와 금속 용기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산업상 이용 가능하다.

Claims (19)

  1. 발전 요소, 상기 발전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전극 단자를 각각 갖는 복수의 편평형 전지가 적층된 적층체와, 병렬 혹은 직렬로 상기 복수의 편평형 전지의 전극 단자를 접속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자와, 상기 각 편평형 전지의 전극 단자를 절연하도록 끼움 지지하여 배치되는 절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셀 유닛과,
    상기 셀 유닛에 장착되고, 상기 출력 단자를 보유 지지하도록 상기 셀 유닛을 향해 또는 상기 셀 유닛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단자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절연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플레이트는 접속을 위해 상기 전극 단자가 노출되는 창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 커버는 최외층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창부들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가이드는 상기 출력 단자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통 형상 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벽부는 상기 출력 단자의 선단을 넘어서 연장되는 확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벽부의 단면 형상은 비원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벽부는 상기 적층체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벽부의 기부는 상기 출력 단자의 선단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출력 단자의 선단과 상기 통 형상 벽부의 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에는 외부 부착의 부스 바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벽부는 상기 셀 유닛의 전방면측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버가 장착된 상기 셀 유닛을 수용하는 금속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용기의 내면과, 상기 절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버는 상기 편평형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부에는 커넥터의 끼우기 빼기를 안내하기 위한 커넥터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절연 커버와 상기 커넥터 가이드는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버는 상기 편평형 전지의 전극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 단자에 대한 접속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접촉 방향은 적층 방향에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절연 커버를 끼워 넣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의 선단측의 코너부는 모따기 가공 혹은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5. 발전 요소, 상기 발전 요소를 밀봉하기 위한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전극 단자를 갖는 복수의 편평형 전지와, 상기 각 편평형 전지의 전극 단자를 절연하도록 끼움 지지하여 배치되는 절연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상기 편평형 전지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전극 단자들을 접합하여, 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적층체 및 상기 절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셀 유닛에, 상기 출력 단자를 보유 지지하도록 상기 셀 유닛을 향해 또는 상기 셀 유닛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단자 가이드를 구비한 절연 커버를 상기 절연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장착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플레이트는 전극 단자가 노출되는 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단자들을 접합하는 스텝에서, 상기 창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전극 단자들이 접합되고,
    상기 절연 커버를 상기 셀 유닛에 장착하는 스텝에서, 상기 절연 커버가 적층 방향에서 최외층에 위치한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창부를 덮도록 상기 절연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버가 장착되는 셀 유닛을 금속 용기 내에 수용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가이드는 상기 출력 단자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가이드는 상기 출력 단자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127004467A 2008-02-29 2009-02-25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252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9930 2008-02-29
JP2008049930 2008-02-29
JP2008322830A JP4775436B2 (ja) 2008-02-29 2008-12-18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JP-P-2008-322830 2008-12-18
PCT/JP2009/053406 WO2009107657A1 (ja) 2008-02-29 2009-02-25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042A Division KR101189430B1 (ko) 2008-02-29 2009-02-25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018A KR20120037018A (ko) 2012-04-18
KR101252413B1 true KR101252413B1 (ko) 2013-04-08

Family

ID=410160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467A KR101252413B1 (ko) 2008-02-29 2009-02-25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107019042A KR101189430B1 (ko) 2008-02-29 2009-02-25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042A KR101189430B1 (ko) 2008-02-29 2009-02-25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71863B2 (ko)
EP (2) EP2262040B1 (ko)
JP (1) JP4775436B2 (ko)
KR (2) KR101252413B1 (ko)
CN (3) CN103367681B (ko)
WO (1) WO2009107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5436B2 (ja) * 2008-02-29 2011-09-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9099713B2 (en) 2009-03-30 2015-08-04 Piolax Inc. Module terminal including interference preventive member
WO2011102016A1 (ja) * 2010-02-17 2011-08-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モジュール用端子
JP5437849B2 (ja) * 2010-02-19 2014-03-12 株式会社ニフコ 電池モジュール用電極構成体
JP5577802B2 (ja) 2010-04-07 2014-08-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US8795872B2 (en) * 2010-07-26 2014-08-05 Enerdel, Inc. Battery cell system with interconnected frames
JP2012079543A (ja) * 2010-10-01 2012-04-19 Nifco Inc 電池モジュール用セルユニットの締結構造及び締結部材
CN102479972B (zh) * 2010-11-30 2015-09-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二次电池
JP5699578B2 (ja) 2010-12-10 2015-04-15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5945904B2 (ja) 2010-12-28 2016-07-0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5920650B2 (ja) 2010-12-28 2016-05-18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US8980465B2 (en) * 2011-01-05 2015-03-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IT1403523B1 (it) * 2011-01-13 2013-10-31 Ferrari Spa Sistema di accumulo di energia elettrica per un veicolo con propulsione elettrica
JP2012164634A (ja) 2011-01-20 2012-08-30 Gs Yuasa Corp 蓄電素子
CN102655227B (zh) * 2011-03-02 2014-09-17 珠海银隆新能源有限公司 动力电池组
US8748034B2 (en) * 2011-04-14 2014-06-10 Gs Yuasa International Ltd. Battery including baffling member including one of projecting portion and recessed portion extending from lid plate
US8632912B2 (en) 2011-04-14 2014-01-21 Gs Yuasa International Ltd. Battery including baffling member and sealing material that seals auxiliary terminal to lid plate
KR101252935B1 (ko) 2011-04-21 2013-04-09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모듈
KR101520873B1 (ko) * 2011-04-28 2015-05-15 도요타 지도샤(주) 전지 어셈블리 및 차량
KR101359310B1 (ko) * 2011-07-25 2014-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US9419302B2 (en) 2011-07-28 2016-08-16 Nifco Inc. Electrode constituent member for battery module
JP6079097B2 (ja) * 2011-09-29 2017-02-15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
JP5895488B2 (ja) * 2011-12-02 2016-03-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位置決め部材および金型
KR101404712B1 (ko) * 2012-01-26 2014-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JP5836147B2 (ja) * 2012-02-08 2015-12-24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テリー体の外部接続部のカバー
WO2013124966A1 (ja) * 2012-02-21 2013-08-29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JP6017812B2 (ja) 2012-03-29 2016-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スバー取り付け装置およびバスバー取り付け方法
CN103427054B (zh) * 2012-05-14 2016-08-03 万向电动汽车有限公司 一种采用层叠电芯的平躺式电池模块
KR101898295B1 (ko) * 2012-08-20 2018-09-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N104620413B (zh) * 2012-09-25 2017-07-25 日本碍子株式会社 电力储存装置
JP6051753B2 (ja) 2012-10-10 2016-12-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6020903B2 (ja) * 2012-10-24 2016-11-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EP2940757B1 (en) * 2012-12-27 2018-03-21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JP5954585B2 (ja) 2013-04-05 2016-07-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機器用コネクタ
JP6120996B2 (ja) 2013-05-15 2017-04-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新規な構造の電池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ー用ベースプレート
JP6226573B2 (ja) * 2013-06-06 2017-11-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2015167102A (ja) * 2014-03-04 2015-09-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WO2015188168A1 (en) * 2014-06-05 2015-12-10 Waterford Energy Solutions Corp. Power wafer
US9646774B2 (en) 2014-06-05 2017-05-09 Trion Energy Solutions Corp. Power wafer
US9647471B2 (en) 2014-10-17 2017-05-09 Trion Energy Solutions Corp.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6394141B2 (ja) * 2014-07-16 2018-09-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積層体のカバー装着装置
JP2016031914A (ja) * 2014-07-30 2016-03-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6274316B2 (ja) 2014-08-08 2018-02-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
KR101766014B1 (ko) 2015-06-17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우치 접촉 타입 배터리 셀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셀 유닛, 배터리 모듈, 배터리 시스템
KR102026852B1 (ko) * 2015-09-30 2019-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US9755198B2 (en) * 2015-10-07 2017-09-05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WO2017068707A1 (ja) 2015-10-22 2017-04-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5591060B (zh) * 2016-02-25 2019-09-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组装置
WO2017209423A1 (ko) * 2016-05-30 2017-12-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전지팩
JP6782136B2 (ja) 2016-09-26 2020-11-11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スペーサおよび組電池
WO2018056012A1 (ja) * 2016-09-26 2018-03-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単電池、および単電池とスペーサとの組立体
JP2018116893A (ja) * 2017-01-20 2018-07-26 株式会社東芝 電池セルおよび組電池
KR102097087B1 (ko) 2017-04-07 2020-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6299918B1 (ja) * 2017-08-17 2018-03-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KR102395228B1 (ko) * 2018-10-10 2022-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EP3890049B1 (en) * 2018-11-28 2023-08-09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module
CN111384336A (zh) * 2018-12-30 2020-07-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块、电池包及车辆
WO2021199548A1 (ja) * 2020-03-31 2021-10-0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WO2023227939A1 (ja) * 2022-05-25 2023-1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0312A (ja) * 2004-10-26 2006-08-10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JP2007172893A (ja) * 2005-12-19 2007-07-05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32260D0 (en) * 1984-12-20 1985-01-30 Lucas Ind Plc Electric storage battery
US5487958A (en) * 1993-12-06 1996-01-30 Tura; Drew Interlocking frame system for lithium-polymer battery construction
KR100556101B1 (ko) * 2003-12-16 2006-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CN2874782Y (zh) * 2004-10-26 2007-02-28 日产自动车株式会社 组合电池
KR100796097B1 (ko) * 2004-10-26 2008-01-2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모듈
JP4379467B2 (ja) * 2006-12-11 2009-1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4775436B2 (ja) * 2008-02-29 2011-09-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0312A (ja) * 2004-10-26 2006-08-10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JP2007172893A (ja) * 2005-12-19 2007-07-05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307A (ko) 2010-10-14
CN103367681A (zh) 2013-10-23
EP2712008B1 (en) 2015-09-30
EP2712008A2 (en) 2014-03-26
CN104752670B (zh) 2017-09-29
EP2712008A3 (en) 2014-11-19
CN104752670A (zh) 2015-07-01
JP4775436B2 (ja) 2011-09-21
US20110014512A1 (en) 2011-01-20
EP2262040B1 (en) 2014-08-27
EP2262040A1 (en) 2010-12-15
JP2009231267A (ja) 2009-10-08
EP2262040A4 (en) 2012-11-21
CN101960647A (zh) 2011-01-26
KR20120037018A (ko) 2012-04-18
KR101189430B1 (ko) 2012-10-10
US8771863B2 (en) 2014-07-08
WO2009107657A1 (ja) 2009-09-03
CN103367681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413B1 (ko)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CN106711367B (zh) 可再充电电池模块
JP5743356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と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JP7045568B2 (ja) センシングアセンブリー及びバスバーアセンブリー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1509474B1 (ko) 단일 전극단자 결합부를 가진 전지 조합체
JP7147251B2 (ja) 蓄電装置
WO2012131802A1 (ja) 電池パック
KR20210077416A (ko) 배터리 모듈
KR102255487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2008147089A (ja) 電池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KR20190051885A (ko) 에너지저장용 배터리팩
JP2020161461A (ja) 蓄電装置
JP5150075B2 (ja) シート状二次電池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20070049255A (ko) 신규한 구조의 박형 전지 및 그것으로 구성된 전지모듈
JP2023501825A (ja) 電極リードと電圧センシング部材との接続を単純化し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JP2020161460A (ja) 蓄電装置
JP2020161338A (ja) 蓄電装置
CN112042004A (zh) 包括模块壳体的电池模块
KR102543155B1 (ko) 버스바 프레임 및 이를 갖는 배터리 모듈
KR102526844B1 (ko) 버스바 프레임 및 이를 갖는 배터리 모듈
JP7116632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2021132017A (ja) 蓄電装置
KR20220094758A (ko) 배터리 모듈
JP2021132016A (ja) 蓄電装置
JP2022029055A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