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735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735B1
KR101250735B1 KR1020117021142A KR20117021142A KR101250735B1 KR 101250735 B1 KR101250735 B1 KR 101250735B1 KR 1020117021142 A KR1020117021142 A KR 1020117021142A KR 20117021142 A KR20117021142 A KR 20117021142A KR 101250735 B1 KR101250735 B1 KR 101250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diagnostic
diagnosis
uni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779A (ko
Inventor
준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3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66B5/0093Testing of safety device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브레이크 장치(7) 및 브레이크 제어부(103)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했을 때에 그 고장 진단의 내용을 서로 비교한다.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비교 결과가 서로 불일치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고장 진단 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는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브레이크 장치의 고장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제어기는 브레이크 장치의 고장을 검출하면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정지하여, 브레이크 장치를 제동 상태로 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5-126183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는 제어기에 의해서 브레이크 장치의 고장을 검출 가능하다. 그렇지만, 제어기 자체에 발생한 고장에 대해서는 검출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제어기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고장 검출을 실행하지 못하고, 브레이크 장치에 고장이 생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계속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에 그 고장 검출을 실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에 관한 브레이크 진단용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와, 운전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와, 운전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브레이크 제어부 진단용 신호를 생성 가능한 브레이크 제어부와, 신호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브레이크 진단용 신호에 기초한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고장 진단, 및 브레이크 제어부로부터의 브레이크 제어부 진단용 신호에 기초한 브레이크 제어부에 대한 고장 진단 중에, 적어도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진단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진단부 각각은, 자신의 진단 내용을 다른 진단부의 진단 내용과 비교하여, 그러한 진단 내용이 불일치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자신을 포함한 상기 복수의 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고장 진단 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진단부의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고장 진단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진단부의 브레이크 제어부에 대한 고장 진단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제1 진단부의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고장 진단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승강로에는 권상기(1)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는 모터(2) 및 시브(3)를 가지고 있다. 시브(3)는 모터(2)에 의해 회전된다. 시브(3)에는 로프(4)가 감겨져 있다. 로프(4)에는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추(6)가 매달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추(6)는 모터(2)의 구동력에 의해서, 승강로내를 승강할 수 있다.
권상기(1)에는 브레이크 장치(7)가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7)는 브레이크 휠(7a), 제동편으로서의 브레이크 슈(7b), 및 브레이크 구동부(7c)를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슈(7b) 및 브레이크 구동부(7c)는 브레이크 유니트를 구성하고 있다. 브레이크 휠(7a)은 모터(2)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휠(7a)은 모터(2)에 의해 시브(3)와 함께 회전된다.
브레이크 슈(7b)는 제동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에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동 위치란, 브레이크 슈(7b)의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휠(7a)의 제동면(예를 들면 외주면)과 접촉하는 위치이다. 개방 위치란, 브레이크 슈(7b)의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휠(7a)의 제동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진 위치이다. 즉, 개방 위치란,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휠(7a)의 제동면과 비접촉 상태가 되는 위치이다.
브레이크 슈(7b)의 변위는 브레이크 구동부(7c)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 브레이크 구동부(7c)에 의해서 브레이크 슈(7b)의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휠(7a)의 제동면에 압착됨으로써, 모터(2)의 회전이 제동된다. 브레이크 구동부(7c)는 브레이크 휠(7a)을 향하여 브레이크 슈(7b)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그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슈(7b)를 브레이크 휠(7a)로부터 떨어뜨리기 위한 여자 코일을 가지고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여자 코일이 여자되어 있을 때, 브레이크 슈(7b)가 개방 위치에 배치된다.
또, 브레이크 구동부(7c)에는 브레이크 장치(7)의 작동 상태에 관한 귀환 신호를 생성하는 귀환 신호 생성 수단이(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귀환 신호 생성 수단은 예를 들면, 브레이크 구동부(7c)의 여자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검출기, 또는 브레이크 슈(7b)의 위치(제동 위치·개방 위치)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등이다. 또한, 귀환 신호 생성 수단은 브레이크 장치(7)의 작동 상태에 관한 신호를 생성 가능한 스위치·센서이면 좋다. 또, 귀환 신호 생성 수단으로서 복수 종의 스위치·센서류를 복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에 의해서 제어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는 운전 제어부(101), 모터 제어부(102), 브레이크 제어부(103), 출력 제어부(104),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를 가지고 있다. 운전 제어부(101)는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을 총괄하여 제어한다. 또, 운전 제어부(101)는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 상황에 따라서 모터 제어부(102)에 모터 구동 지령을 보낸다. 또한, 운전 제어부(101)는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 상황에 따라서 브레이크 제어부(103)에 브레이크 구동 지령을 보낸다.
모터 제어부(102)는 운전 제어부(101)로부터의 모터 구동 지령에 따라, 모터(2)의 구동을 제어한다. 브레이크 제어부(103)는 운전 제어부(101)로부터의 브레이크 구동 지령과,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 상황에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설정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제어부(103)는 설정한 제동력을 발휘시키기 위한 출력 지령을 출력 제어부(104)에 보낸다.
출력 제어부(104)는 브레이크 제어부(103)와 브레이크 장치(7)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출력 제어부(104)는 브레이크 제어부(103)로부터 받은 출력 지령에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7)의 여자 코일에 가해지는 전압의 크기를 결정하고, 그 결정한 크기의 전압을 여자 코일에 가한다.
제1 진단부(105)는 브레이크 장치(7) 및 브레이크 제어부(103)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제2 진단부(106)도 브레이크 장치(7) 및 브레이크 제어부(103)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서로 독립적으로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 또,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고장 진단을 수시로 실행한다.
이 진단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브레이크 구동부(7c)로부터의 귀환 신호(브레이크 진단용 신호)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장치(7)의 전원 이상, 제동력 이상 또는 기구(機構) 이상 등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브레이크 제어부(103)로부터의 귀환 신호(브레이크 제어부 진단용 신호)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제어부(103)의 출력 파형 이상 또는 동작 이상 등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이러한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 브레이크 장치(7) 또는 브레이크 제어부(103)가 고장나 있다고 판단한다.
또,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브레이크 장치(7) 및 브레이크 제어부(103)의 고장 진단을 실행했을 때에, 그 고장 진단의 내용을 서로 비교한다. 즉,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각각 자신의 진단 결과와, 각각 다른 진단부인 제2 진단부(106) 및 제1 진단부(105)의 진단 결과를 비교한다.
그리고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비교 결과가 서로 불일치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즉,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자신을 포함한 복수의 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운전 제어부(101)에 진단부 고장 신호를 보낸다(도 1의 일점 쇄선).
또한,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진단 내용에 대해서의 비교 결과가 서로 일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브레이크 장치(7) 또는 브레이크 제어부(103)가 고장나 있는 것을 확인했을 때에는, 브레이크 고장 신호 또는 브레이크 제어부 고장 신호를 운전 제어부(101)에 보낸다.
이러한 진단부 고장 신호, 브레이크 고장 신호, 또는 브레이크 제어부 고장 신호에 대해서, 운전 제어부(101)는 모터 제어부(102)를 통하여 모터(2)의 구동을 정지시켜서,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운전 제어부(101)는 엘리베이터 칸(5)이 승강장 층 사이에 있을 때 진단부 고장 신호, 브레이크 고장 신호, 또는 브레이크 제어부 고장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5)을 가장 가까운 층에서 도어 열림시키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을 정지시켜도 괜찮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RAM 및 하드 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하드웨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의 기억부는 도 2, 3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0)의 각 기능(101~106)은 서로 독립된 하드웨어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1 진단부(105)의 고장 진단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제1 진단부(105)는 귀환 신호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장치(7)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스텝 S101). 그리고 제1 진단부(105)는 제2 진단부(다른 진단부, 106)와 진단 내용을 비교하고(스텝 S102), 진단 내용이 제2 진단부(106)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03).
이때에, 제1 진단부(105)는 진단 내용이 일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자신의 진단 내용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장치(7)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04). 그리고 제1 진단부(105)는 브레이크 장치(7)가 정상인 경우에는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또, 제1 진단부(105)는 진단 내용이 제2 진단부(106)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했을 때에, 진단 내용이 불일치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스텝 S103의 NO방향),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진단부 고장 신호를 운전 제어부(101)에 송신한다(S105). 그리고 제1 진단부(105)는 리셋트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07). 이 후, 제1 진단부(105)는 리셋트되면,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제1 진단부(105)는 브레이크 장치(7)가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했을 때에, 브레이크 장치(7)가 고장나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스텝 S104의 NO방향), 브레이크 고장 신호를 운전 제어부(101)에 송신한다(스텝 S106). 그리고 제1 진단부(105)는 리셋트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07). 이 후, 제1 진단부(105)는 리셋트되면,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도 3은 도 1의 제1 진단부(105)의 브레이크 제어부(103)에 대한 고장 진단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제1 진단부(105)의 브레이크 제어부(103)에 대한 고장 진단 동작은, 고장 진단 대상이 브레이크 제어부(103)인 점과, 브레이크 제어부(103)의 고장 검출 후에 브레이크 제어부 고장 신호를 운전 제어부(101)에 보내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동작과 다르다. 그 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에 제시된 동작과 같다. 또, 제2 진단부(106)의 동작은 제1 진단부(105)의 동작과 같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브레이크 장치(7) 또는 브레이크 제어부(103)에 대한 진단 내용을 서로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가 불일치인 것을 확인했을 때에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장났다고 판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진단부(105, 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에 그 고장 검출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가,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에 대한 고장을 검출한 때에, 운전 제어부(101)에 진단부 고장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운전 제어부(101)가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즉, 운전 제어부(101)는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 중 어느 한쪽이 고장난 상태, 즉 브레이크 장치(7) 및 브레이크 제어부(103)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할 수 없는 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을 실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7) 및 브레이크 제어부(103)가 고장난 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을 사전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인 2개의 진단부를 이용하였다. 그렇지만, 진단부의 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3 이상이더라도 괜찮다. 즉, 진단부를 3개 이상으로 다중화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진단부에 동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운전 제어부(101)가 제2 진단부(106)로부터 고장 검출 신호를 받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을 정지시켰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운전 제어부(101)가 제2 진단부(106)로부터 고장 검출 신호를 받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을 정지함과 아울러, 예를 들면 발생한 고장의 정보를 원격 감시 센터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제2 진단부(106)가 고장 검출 신호를 운전 제어부(101)에 보냈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고장 검출 신호를 운전 제어부(101)에 보낼 수도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출력 제어부(104)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출력 제어부(104)에 대신하여, 브레이크 제어부(103)가 브레이크 장치(7)의 여자 코일에 가하는 전압의 크기를 결정하고, 그 결정한 크기의 전압을 여자 코일에 가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브레이크 장치(7)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7b) 및 브레이크 구동부(7c)와, 브레이크 제어부(103)와, 출력 제어부(104)가 각각 하나씩 이용되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2에서는, 이러한 것이 브레이크 슈(7b, 7d), 브레이크 구동부(7c, 7e), 브레이크 제어부(103A, 103B), 및 출력 제어부(104A, 104B)로서 각각 2개씩 이용된다. 즉, 실시 형태 2에서는 2개의 브레이크 유니트가 이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브레이크 슈(7b), 브레이크 구동부(7c), 브레이크 제어부(103A), 출력 제어부(104A) 및 제1 진단부(105)는, 제1 브레이크 계통을 구성하고 있다. 브레이크 슈(7d), 브레이크 구동부(7e), 브레이크 제어부(103B), 출력 제어부(104B) 및 제2 진단부(106)는, 제2 브레이크 계통을 구성하고 있다.
실시 형태 2의 제1 진단부(105)는 제1 브레이크 계통에 속하는 브레이크 슈(7b), 브레이크 구동부(7c), 및 브레이크 제어부(103A)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 또, 실시 형태 2의 제2 진단부(106)는 제2 브레이크 계통에 속하는 브레이크 슈(7d), 브레이크 구동부(7e), 및 브레이크 제어부(103B)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 즉, 실시 형태 2의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자신이 속하는 브레이크 계통의 브레이크 슈(7b, 7d) 및 브레이크 구동부(7c, 7e)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가 서로 다른 브레이크 계통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의 출력 제어부(104)는 브레이크 제어부(103)로부터의 출력 지령에 따라서 브레이크 구동부(여자 코일, 7c)에 대한 전압의 인가·차단을 제어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3의 출력 제어부(104)는 브레이크 제어부(103)로부터의 출력 지령, 또는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로부터의 제동 지령에 따라서 브레이크 구동부(7c)에 대한 전압의 인가·차단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실시 형태 3의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브레이크 장치(7), 브레이크 제어부(103),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고장을 검출했을 때에, 고장 검출 신호를 운전 제어부(101)에 보냄과 아울러, 출력 제어부(104)에 제동 지령을 보낸다(도 5의 파선).
출력 제어부(104)는 제1 진단부(105) 또는 제2 진단부(106)로부터의 제동 지령에 따라서 브레이크 구동부(7c)에 대한 전압을 차단한다. 즉, 출력 제어부(104)는 제1 진단부(105) 또는 제2 진단부(106)로부터의 제동 지령에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7)를 강제적으로 작동 상태로 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3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가, 브레이크 장치(7), 브레이크 제어부(103),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고장을 검출했을 때에, 출력 제어부(104)에 제동 지령을 보낸다. 이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부(103)가 고장나 있는 경우에도,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로부터의 제동 지령에 의해서, 브레이크 장치(7)를 강제적으로 제동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3에서는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의 양쪽 모두가 출력 제어부(104)에 제동 지령을 보냈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 중 어느 한쪽만이 출력 제어부(104)에 제동 지령을 보낼 수도 있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2의 출력 제어부(104A)는 브레이크 제어부(103A)로부터의 출력 지령에 따라서 브레이크 구동부(7c)에 대한 전압의 인가·차단을 제어하였다. 또, 실시 형태 2의 출력 제어부(104B)는 브레이크 제어부(103B)로부터의 출력 지령에 따라서 브레이크 구동부(7e)에 대한 전압의 인가·차단을 제어하였다. 실시 형태 4의 출력 제어부(104A, 104B)는 실시 형태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로부터의 제동 지령에 따라서 브레이크 구동부(7c, 7e)에 대한 전압의 인가·차단을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실시 형태 3의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브레이크 장치(7), 브레이크 제어부(103),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고장을 검출했을 때에, 고장 검출 신호를 운전 제어부(101)에 보냄과 아울러, 출력 제어부(104A, 104B)의 양쪽 모두에 제동 지령을 보낸다(도 6의 파선). 즉,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각각 자타 양계통의 출력 제어부(104A, 104B)에 제동 지령을 보낸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2 및 실시 형태 3과 같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4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가 서로 다른 브레이크 계통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실시 형태 3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4의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자타 양계통의 출력 제어부(104A, 104B)에 제동 지령을 보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 중 제 1 진단부(105)가 고장나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제2 진단부(106)로부터 출력 제어부(104A, 104B)에 대한 제동 지령이, 제1 진단부(105)의 고장에 따라, 지령의 발생 타이밍이나 회로 구성에 의해서는 정상적으로 전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5의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브레이크 계통의 출력 제어부(104A, 104B)에 대해서만 제동 지령을 보낸다(도 7의 파선). 즉,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자신이 속하는 브레이크 계통의 출력 제어부(104A, 104B)에 대해서 제동 지령을 보내지 않는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4와 같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5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가, 각각 다른 브레이크 계통의 출력 제어부(104A, 104B)에 대해서만 제동 지령을 보낸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진단부(105) 또는 제2 진단부(106)의 고장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브레이크 장치(7) 가운데 브레이크 슈(7b, 7d)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제동 위치로 변위시켜서, 브레이크 장치(7)를 보다 확실히 제동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 4, 5에서는 브레이크 계통이 2개인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브레이크 계통이 3개 이상이더라도 좋다.
실시 형태 6.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가, 브레이크 장치(7), 브레이크 제어부(103),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고장을 검출한 후에, 리셋트될 때까지 대기하였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6의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는, 각 기기(7, 103, 105, 106)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고장을 검출하고 각 기기에 대한 고장 검출 후에, 재차(再次)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제1 진단부(105)의 브레이크 장치(7)에 대한 고장 진단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실시 형태 6의 제1 진단부(105)의 동작은, 실시 형태 1의 제1 진단부(105)에 의한 고장 신호를 운전 제어부(101)에 송신한 후의 동작(도 2의 스텝 S105, S106 이후의 동작)이 다르며, 여기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다른 것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실시 형태 6의 제1 진단부(105)는 각 기기(7, 103, 105, 106)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고장 신호를 운전 제어부(101)에 보냄과 아울러(스텝 S105, S106), 진단 운전 요구를 운전 제어부(101)에 보낸다(스텝 S301). 여기서, 이 제1 진단부(105)로부터의 진단 운전 요구에 따라서, 운전 제어부(101)는 진단 운전을 실행한다. 이 진단 운전이란 예를 들면, 승강로의 최하층에서부터 최상층까지 엘리베이터 칸(5)을 시험적으로 승강시키는 운전이다.
또, 제1 진단부(105)는 운전 제어부(101)에 의한 진단 운전 중에, 각 기기(7, 105, 106)에 대한 재차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스텝 S302). 그리고 제1 진단부(105)는 이 재차 고장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전회(前回)의 진단 결과가 오진단이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03). 이때에, 제1 진단부(105)는 각 기기(7, 105, 106)에 대한 고장이 검출되지 않아, 전회의 진단 결과가 오진단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통상 운전 복귀 가능 신호를 운전 제어부(101)에 보내고(스텝 S304),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것에 대해서, 제1 진단부(105)는 재차 고장 진단에 있어서, 각 기기(7, 105, 106)에 대한 고장을 재차 검출한 경우에는, 운전 제어부(101)에 의한 진단 운전을 중지시키고, 리셋트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305). 이 후, 제1 진단부(105)는 리셋트되면,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제1 진단부(105)의 브레이크 제어부(103)에 대한 고장 진단 동작에 대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동작과 같다. 또, 제2 진단부(106)의 동작은 제1 진단부(105)의 동작과 같다. 또한,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6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운전 제어부(101)에 의한 진단 운전시에,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가 재차 고장 진단을 실행하여, 그 재차 고장 진단에서 고장이 확인되지 않으면, 최초로 검출한 고장을 일시적인 오진단이라고 판단한다. 이 결과, 오진단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5)의 운전 휴지 시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6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에 대해서, 재차 고장 진단을 실행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실시 형태 2 ~ 5의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가, 실시 형태 6의 재차 고장 진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 실시 형태 6에 있어서,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가 최초로 고장을 검출한 후에, 구출 운전(가장 가까운층에서 엘리베이터 칸(5)을 도어 열림시키는 운전)을 실행한 후에,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부(101)가 진단 운전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 6에서는,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가 브레이크 장치(7) 및 브레이크 제어부(103, 103A, 103B)의 양쪽 모두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제1 진단부(105) 및 제2 진단부(106)가 브레이크 장치(7)에만 대해서 고장 진단을 실행하고, 브레이크 제어부(103)에 대한 고장 진단을 생략할 수도 있다.
100: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101: 운전 제어부
102: 모터 제어부 103: 브레이크 제어부
104: 출력 제어부 105: 제1 진단부
106: 제2 진단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승강로 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브레이크 휠과, 상기 브레이크 휠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복수의 브레이크 유니트를 가지고,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의 동작에 관한 브레이크 진단용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와,
    상기 운전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와,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마다 다른 브레이크 계통에 속해 있고, 상기 운전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유니트의 동작을 각각 제어함과 아울러, 브레이크 제어부 진단용 신호를 생성 가능한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부와,
    각각 다른 상기 브레이크 계통에 속해 있고, 자신이 속하는 상기 브레이크 계통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브레이크 진단용 신호에 기초한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에 대한 고장 진단, 및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로부터의 브레이크 제어부 진단용 신호에 기초한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에 대한 고장 진단 중에, 적어도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진단부와,
    동일한 상기 브레이크 계통에 속하는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와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의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상기 브레이크 계통마다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에 대한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복수의 출력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진단부 각각은, 자신의 진단 내용을 다른 상기 진단부의 진단 내용과 비교하여, 그러한 진단 내용이 불일치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자신을 포함한 상기 복수의 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진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고장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복수의 출력 제어부의 모두에 대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보내고,
    상기 복수의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진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진단부로부터의 제동 지령에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에 상기 브레이크 휠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승강로 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브레이크 휠과, 상기 브레이크 휠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복수의 브레이크 유니트를 가지고,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의 동작에 관한 브레이크 진단용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운전 제어부와,
    상기 운전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와,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마다 다른 브레이크 계통에 속해 있고, 상기 운전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유니트의 동작을 각각 제어함과 아울러, 브레이크 제어부 진단용 신호를 생성 가능한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부와,
    각각 다른 상기 브레이크 계통에 속해 있고, 자신이 속하는 상기 브레이크 계통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브레이크 진단용 신호에 기초한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에 대한 고장 진단, 및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로부터의 브레이크 제어부 진단용 신호에 기초한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에 대한 고장 진단 중에, 적어도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에 대한 고장 진단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진단부와,
    동일한 상기 브레이크 계통에 속하는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와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의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상기 브레이크 계통마다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브레이크 제어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에 대한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복수의 출력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진단부 각각은, 자신의 진단 내용을 다른 상기 진단부의 진단 내용과 비교하여, 그러한 진단 내용이 불일치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자신을 포함한 상기 복수의 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진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 상기 브레이크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고장을 검출한 경우에, 자신과는 다른 상기 브레이크 계통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출력 제어부에 대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보내고,
    상기 복수의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진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진단부로부터의 제동 지령에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유니트에 상기 브레이크 휠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삭제
KR1020117021142A 2009-03-13 2009-03-13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50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4883 WO2010103655A1 (ja) 2009-03-13 2009-03-13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779A KR20110113779A (ko) 2011-10-18
KR101250735B1 true KR101250735B1 (ko) 2013-04-03

Family

ID=4272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142A KR101250735B1 (ko) 2009-03-13 2009-03-13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07410B1 (ko)
JP (1) JP5611937B2 (ko)
KR (1) KR101250735B1 (ko)
CN (1) CN102341333B (ko)
WO (1) WO2010103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106092A (fi) * 2010-10-21 2012-04-22 Kone Corp Jarrutuslaitteisto
FI122473B (fi) * 2010-12-14 2012-02-15 Kone Corp Liitäntäyksikkö, kuljetusjärjestelmä sekä menetelmä
CN104460478A (zh) * 2014-11-11 2015-03-25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抱闸监控方法及装置
CN109687768B (zh) * 2018-12-29 2020-07-10 深圳市越疆科技有限公司 一种撞针式抱闸的检测方法、装置及控制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777A (ja) 2001-04-20 2002-10-3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7084177A (ja) 2005-09-20 2007-04-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WO2008012896A1 (fr) 2006-07-27 2008-01-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ositif d'ascenseu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65247C (en) * 1995-01-20 2006-05-23 Bernhard Gerstenkor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production of shaft information data of a lift shaft
US6173814B1 (en) * 1999-03-04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levators having a dual redundant safety bus
JP4071018B2 (ja) * 2002-03-13 2008-04-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5126183A (ja) 2003-10-23 2005-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制御装置
CN101312898B (zh) * 2005-11-25 2012-03-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紧急停止系统
JP2007303925A (ja) * 2006-05-10 2007-11-22 Tokai Rika Co Ltd 非接触センサの故障検出回路
JP2008019829A (ja) * 2006-07-14 2008-01-31 Denso Corp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4685803B2 (ja) * 2007-01-10 2011-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8273280A (ja) * 2007-04-26 2008-11-13 Hitachi Ltd 4輪駆動車用加速スリップ検出装置
WO2008136114A1 (ja) * 2007-04-26 2008-11-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装置
KR101034926B1 (ko) * 2007-06-14 2011-05-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EP2022742B1 (de) * 2007-08-07 2014-06-25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777A (ja) 2001-04-20 2002-10-3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7084177A (ja) 2005-09-20 2007-04-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WO2008012896A1 (fr) 2006-07-27 2008-01-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ositif d'ascens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07410B1 (en) 2020-04-22
JPWO2010103655A1 (ja) 2012-09-10
JP5611937B2 (ja) 2014-10-22
EP2407410A4 (en) 2017-10-18
CN102341333A (zh) 2012-02-01
WO2010103655A1 (ja) 2010-09-16
EP2407410A1 (en) 2012-01-18
CN102341333B (zh) 2015-06-10
KR20110113779A (ko) 201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7745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49870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566992B2 (ja) エレベータ安全装置
JP490709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383664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0150341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0058453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154988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システム
CN109789993B (zh) 带有具有例如乘客自主撤离的选择的两个单元的电梯安全监督实体
KR10125073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4499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90057087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2188176A (ja) エレベータ制動装置
JP201113683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7014337B2 (ja) タスク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JP577416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1864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36421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9896381B (zh) 电梯设备和方法
JP2014118299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1176547A1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制御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用いるエレベーター
WO2020003356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WO2018198244A1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