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772B1 - 착탈체 유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체 유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772B1
KR101234772B1 KR1020090086879A KR20090086879A KR101234772B1 KR 101234772 B1 KR101234772 B1 KR 101234772B1 KR 1020090086879 A KR1020090086879 A KR 1020090086879A KR 20090086879 A KR20090086879 A KR 20090086879A KR 101234772 B1 KR101234772 B1 KR 101234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hold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nse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587A (ko
Inventor
아츠시 후나다
히로카즈 무라세
히로아키 오쿠마
류지 하토리
준이치 하마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44616A external-priority patent/JP53266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68919A external-priority patent/JP54179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68904A external-priority patent/JP54767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68938A external-priority patent/JP5423082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46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using a handle for carrying or pulling out of the main machine, legs of ca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착탈체를 경사진 상태로 이동시킬 때에 착탈체의 급속한 경사를 방지하는 것.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 내부에 수용된 수용 위치와 바깥쪽으로 인출된 인출 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인출체(21, 22)와, 인출체(21, 22)와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착탈체(Kk)를 유지하는 회전 유지체(31)이며, 인출체(21, 22)가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를 향해서 이동가능한 삽입가능 위치와 삽입가능 위치에 대하여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경사진 경사 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상기 회전 유지체(31)와, 회전 유지체(31)의 회전축(38)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 유지체(31)가 경사 위치로 회전 이동하는 이동 속도를 억제하는 제동 부재(38)를 구비한 착탈체 유지 장치.
Figure R1020090086879
인출체, 회전 유지체, 제동 부재, 착탈체 유지 장치

Description

착탈체 유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REMOVABLE MEMBER-HOL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착탈체 유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카트리지 등의 착탈체의 유지 장치에 관계된다.
종래,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소모품의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소모품을 착탈체로서 교환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관하여, 이하의 특허 문헌 1 ~ 10에 기재된 기술이 종래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착탈체로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물건을 지시한다. 예를 들면, 감광체, 대전기, 및 클리닝 부재를 일체적으로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한 감광체 유닛과 같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능하는 기능 부품의 복수를 일체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유닛화하여 구성하는 경우도 있으며, 토너 카트리지와 같이 기능 부품을 단체로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특허 문헌 1로서의 일본국 특개2000-275946호 공보에는, 장치 본체의 스테이(44)에 안내되어, 전후(前後)로 이동가능한 받침대(34)를 구비한 레이저 복사기가 기재되어 있고, 통(筒) 형상의 토너 병(33)을 받침대(34)를 따라 눕혀서 장착하고, 받침대(34)를 뒤쪽으로 이동시키서, 토너 병(33)을 장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받침대(34)의 전단부(前端部)에 토너 병(33)의 토너 배출구(333)와 계합하는 호퍼(hopper)(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호퍼(31)의 전단(前端)에 설치된 레버(35)를 사용하여 조작자가 받침대(34)를 조작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2로서의 일본국 특개2003-66705호 공보에는, 회전 중심(Z)을 중심으로 하여, 토너 병(20)을 유지하는 병 홀더(21)를, 복사기 본체 전면(前面)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는 병 재치용 위치(A)와, 본체 내부에 수용된 토너 보급용 위치(B)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으로서의 일본국 특개평11-143190호 공보에는, 구동 장치(4)에 의해 트레이(3)가 화상 형성 장치의 기(機) 외의 소정의 위치까지, 전후(前後)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상부가 사각형 단면으로 하부가 이등변 삼각형 형상 단면의 용기 본체(10)를 갖는 토너 보급 용기(1)를, 트레이(3)의 상면에 설치된 받침부(3-b, 3-c, 3-d)에 위쪽으로부터 실어서 장착하고, 구동 장치(4)에 의해 트레이(3)를 장치 본체 내에 이동시켜서, 토너 보급 용기(1)를 장착하고 있다.
특허 문헌 4로서의 일본국 특개2003-114568호 공보에는, 토너 보급 용기를 낙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토너 보급 용기(1)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3c)가 형성되고, 전후(前後)로 연장하는 상자 형상의 가이드(2b)의 바닥면에 형성된 전후(前後)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부(4d)에 볼록부(3c)가 끼워지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고, 토너 보급 용기(1)를 취출할 때에는, 수평 방향으로 토너 보급 용기(1)를 이동시킨 후, 사용자에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지나치게 이동시켜서 토너 보급 용기(1)를 낙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 문헌 5로서의 일본국 특개2003-295591호 공보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앞쪽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받침대(400b)에 통 형상의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실음으로써, 현상제 보급 용기(1)가 교환가능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6으로서의 일본국 특개2006-78627호 공보에는, 장치 본체(10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 받침대(400b)에, 통 형상의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착탈함으로써, 현상제 보급 용기(1)를 교환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7로서의 일본국 특개평10-213959호 공보에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설치된 중력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축(64)을 중심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한 위치와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 수용된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가능한 틀(61)과, 상기 틀(61)에 착탈되는 현상제의 수용 용기(10)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8로서의 일본국 특허 제3952705호 공보 및 특허 문헌 9로서의 일본국 특개2006-215239호 공보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지지된 전후(前後)로 연장하는 고정 레일(211A)과, 고정 레일(211A)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이동 레일(211B)에 의해 구성된 슬라이드 레일(211)에 지지된 용기 받침부(21)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8, 9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용기 받침대(21)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면(前面)보다도 앞쪽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전후(前後)로 연장하는 원통 형상의 토너 용기(10)를 용기 받침부(21)에 위쪽으로부터 착탈한 후에, 용기 받침부(21)를 깊이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토너 용기(10)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하고 있다.
특허 문헌 10으로서의 일본국 특개2004-126407호 공보에는, 프린터 본체(60)에 대하여, 본체 전면(前面)으로 돌출하여 현상제 수용 용기(67)를 교환가능한 교환 위치(A)와, 교환 위치(A)로부터 모터(M3)로 본체 내부 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서, 현상제 수용 용기(67)의 현상제를 현상기(33)에 보급가능한 보급 위치(B)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현상제 세트부(66)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0-275946호 공보(「0035」 ~ 「0041」, 도 1)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2003-66705호 공보(「0026」 ~ 「0038」, 「0044」 ~ 「0045」, 도 1)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평11-143190호 공보(「0030」 ~ 「0039」, 도 7, 도 9, 도 10)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개2003-114568호 공보(「0029」 ~ 「0033」, 도 2 ~ 도 5)
[특허 문헌 5] 일본국 특개2003-295591호 공보(「0059」 ~ 「0062」, 「0090」, 도 2 ~ 도 6, 도 23)
[특허 문헌 6] 일본국 특개2006-78627호 공보(「0022」 ~ 「0025」, 도 3 ~ 도 6)
[특허 문헌 7] 일본국 특개평10-213959호 공보(「0037」 ~ 「0054」, 도 4 ~ 도 7)
[특허 문헌 8] 일본국 특허3952705호 공보(「0035」, 「0038」, 「0049」 ~ 「0050」, 도 2, 도 7, 도 8)
[특허 문헌 9] 일본국 특개2006-215239호 공보(「0014」, 「0017」, 「0036」, 도 1, 도 6)
[특허 문헌 10] 일본국 특개2004-126407호 공보(「0037」 ~ 「0040」, 「0045」 ~ 「0046」, 도 4, 도 11, 도 12)
본 발명은, 착탈체를 경사진 상태로 이동시킬 때에 착탈체의 급속한 경사를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탈체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회전 유지체의 과도한 경사를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에 수용된 수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인출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인출체와,
상기 인출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인출체와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되는 착탈체를 유지하는 회전 유지체이며, 상기 인출체가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를 향해서 이동가능한 삽입가능 위치와, 상기 삽입가능 위치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중력 방향의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경사진 경사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한 상기 회전 유지체와,
상기 회전 유지체의 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유지체가 상기 경사 위치로 회전 이동하는 이동 속도를 억제하는 제동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2) (1)에 기재된 착탈체 유지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설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한 경우에 설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과부하 보호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동 부재와,
중력에 의해 상기 회전 유지체를 회전시키는 자연 회전력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된 상기 설정 회전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3) (2)에 기재된 착탈체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 위치로부터 상기 삽입가능 위치를 향하는 회전 방향인 복귀 회전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또한,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부터 상기 경사 위치를 향하는 회전 방향인 경사 회전 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설정 회전력 이상의 경우에 상기 설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전달 차단 장치에 의해 구성된 상기 과부하 보호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4)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에 수용된 수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인출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인출체와,
상기 인출체의 이동 방향을 향해서 연장,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되는 착탈체를 유지하는 유지체 본체를 갖고, 상기 인출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유지체이며, 상기 인출체가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를 향하여 이동가능한 삽입 가능 위치와, 상기 삽입가능 위치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중력 방향의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경사진 경사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한 상기 회전 유지체와,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회전 규제부와,
상기 인출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 또한 상기 회전 유지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보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보조 회전체와,
상기 보조 회전체의 상기 보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하(下) 회전 규제부이며, 상기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회전 규제부에 계합하여 상기 회전 유지체를 상기 경사 위치에 유지하고, 또한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경사 위치로부터 더 상기 중력 방향 아래쪽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기 하 회전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5) (4)에 기재된 착탈체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지체에 대한 위치가 변경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하 회전 규제부이며, 또한, 상기 회전 규제부와의 계합시의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부터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 유지체의 경사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상기 하 회전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6) (4) 또는 (5)에 기재된 착탈체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지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보조 회전축이 근접하여 배치된 상기 보조 회전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7)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에 수용된 수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인출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지 지된 인출체와,
상기 인출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되는 착탈체를 유지하는 유지체 본체를 갖고, 상기 인출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유지체이며, 상기 인출체가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를 향하여 이동가능한 삽입가능 위치와, 상기 삽입가능 위치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중력 방향의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경사진 경사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한 상기 회전 유지체와,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회전 규제부와,
상기 인출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 또한 상기 회전 유지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보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보조 회전체와,
상기 보조 회전체의 상기 보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회전 규제부에 계합하여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부터 더 상기 중력 방향 위쪽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上) 회전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8) (4)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체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형성된 오(誤) 삽입 정지부에 접촉·이간(離間) 가능한 피(被) 정지부를 갖고, 또한 상기 회전 유지체에 연결된 연동 부재이며, 상기 회전 유지체가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피 정지부가 상기 오 삽입 정지부로부터 이간한 이간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인출체의 이동을 허가하고, 또한 상기 회전 유지체가 상기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피 정지부가 상기 오 삽입 정지부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인출체의 이동을 방해하는 상기 연동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9) (4) ~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체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회전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보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피 걸기부와,
상기 회전 유지체에 배치된 걸기부이며, 상기 회전 유지체가 상기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유지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보조 회전체의 상기 피 걸기부로부터 이간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유지체가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피 걸기부에 걸리는 상기 걸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10)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을 가시(可視) 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와,
상기 현상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제 수용 용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착탈체와,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체 유지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상기 (1),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동 부재를 갖지 않는 구성에 비 해서, 착탈체를 경사진 상태로 이동시키는 때에 착탈체의 급속한 경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중력에 의한 경사 위치로의 이동 속도에 비해서, 저속의 설정 회전력에 따른 이동 속도로 경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경사 위치로부터 삽입가능 위치로 이동시키는 때에도 설정 회전력 이상의 이동 속도가 억제되는 경우에 비해서, 경사 위치로부터 삽입가능 위치로 들어올릴 때의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4), (7),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회전 유지체의 과도한 경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경사 위치와 삽입가능 위치의 사이에서 경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회전 유지체의 경사 각도를 임의의 경사 각도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조 회전축이 회전 유지체의 회전축에 근접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회전 시에 보조 회전체와 회전 유지체의 상대 위치의 엇갈림을 적게 할 수 있고, 회전 유지체에 대하여 보조 회전체가 튀어나오는 양을 감할 수 있어, 튀어나온 부분에 접촉하는 등의 불측(不測)의 사고가 저감되어 있다. 또한, 보조 회전축 및 회전 유지체의 회전축이 설치되는 인출체의 인출 방향으로의 튀어나오는 양도 감할 수 있고, 인출 방향으로의 튀어나오는 양이 많은 구성에 비해, 튀어나온 부분에 접촉하는 등의 불측의 사고가 저감되어 있다.
상기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회전 유지체가 삽입 허가 위치로 이동하 기 전에 인출체가 수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회전 유지체를 삽입 가능 위치로 이동시키고 있는 작업자에 대하여, 삽입 가능 위치에 한 것을 피 걸기부와 걸기부에 의해 지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예(이하, 실시예로 기재함)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 전후(前後)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도시하는 방향 또는 도시하는 측을 각각, 앞쪽, 뒤쪽, 오른쪽, 왼쪽, 위쪽, 아래쪽, 또는 전측(前側), 후측(後側), 우측(右側), 좌측(左側), 상측(上側), 하측(下側)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의 중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의 이(裏)로부터 표(表)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의 중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로부터 이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당하게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全體) 설명도이다.
도 1에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는, 장치 조작부의 일례로서의 유저 인터페이스(UI), 화상 정보 입력 장치의 일례로서의 이미지 입력 장치(U1), 급지 장치(U2),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 및 용지 처리 장치(U4)를 갖고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I)는, 화상 형성 개시 버튼의 일례로서의 카피 스타트 키, 화상 형성 매수 설정 버튼의 일례로서의 카피 매수 설정 키, 숫자 입력 버튼의 일례로서의 숫자 키 등의 입력 버튼 및 표시기(UI1)를 갖고 있다.
상기 이미지 입력 장치(U1)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 및 화상 판독 장치의 일례로서의 이미지 스캐너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이미지 입력 장치(U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원고를 판독하여 화상 정보로 변환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에 입력한다.
상기 급지 장치(U2)는, 복수의 급지부의 일례로서의 급지 트레이(TR1 ~ TR4)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각 급지 트레이(TR1 ~ TR4)에는, 최종 전사체,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 용지(S)가 수용되어 있고, 기록 용지(S)는 각 급지 트레이(TR1 ~ TR4)로부터 송출되어서, 급지로(SH1) 등을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에 반송된다.
도 1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는, 상기 급지 장치(U2)로부터 반송된 기록 용지(S)에 화상 기록을 행하는 화상 기록부, 현상제 보급 장치의 일례로서의 토너 디스펜서 장치(U3a), 및 용지 반송로(SH2), 용지 배출로(SH3), 용지 반전로(SH4), 용지 순환로(SH6) 등을 갖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는, 제어부(C), 및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잠상 기입 장치 구동 회로의 일례로서의 레이저 구동 회로(D), 상기 제어 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 등을 갖고 있다. 상기 레이저 구동 회로(D)는, 상기 이미지 입력 장치(U1)로부터 입력된 G: 그린, O: 오렌지, Y: 옐로, M: 마젠타, C: 시안, K: 흑의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 구동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기, 소위 타이밍에서, 각 색의 잠상 형성 장치(ROSg, ROSo, ROSy, ROSm, ROSc, ROSk)에 출력한다.
상기 각 색의 잠상 형성 장치(ROSg ~ ROSk)의 아래쪽에는, 각 색의 상 유지체 유닛(UG, UO, UY, UM, UC, UK)과, 현상 장치의 일례로서의 각 색의 현상기(GG, GO, GY, GM, GC, GK)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흑의 상 유지체 유닛(UK)은, 상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감광체 드럼(Pk), 대전기(CCk) 및 상 유지체용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클리너(CLk)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감광체 드럼(Pk)의 오른쪽에는, 흑의 현상기(GK)의 현상 부재의 일례로서의 현상롤(R0)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각 색의 상 유지체 유닛(UG~UC)도, 감광체 드럼(Pg, Po, Py, Pm, Pc), 대전기(CCg, CCo, CCy, CCm, CCc), 클리너(CLg, CLo, CLy, CLm, CLc)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각 감광체 드럼(Pg ~ Pc)의 왼쪽에는, 각 색의 현상기(GG~GC)의 현상 부재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R0)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사용 빈도가 높아 표면의 마모가 많은 K색의 감광체 드럼(Pk)은, 다른 색의 감광체 드럼(Pg ~ Pc)에 비해서 큰 직경으로 구성되어, 고속 회전 대응 및 장기 수명화가 되어 있다.
상기 각 상 유지체 유닛(UY ~ UO)과 상기 각 현상기(GY ~ GO)에 의해 가시 상(可視像) 형성 부재((UG + GG), (UO + GO), (UY + GY), (UM + GM), (UC + GC), (UK + GK))가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감광체 드럼(Pg ~ Pk)은, 각각 대전기(CCg ~ CCk)에 의해 고르게 대전된 후, 상기 잠상 형성 장치(ROSg ~ ROSk)의 출력하는 잠상 기입 광의 일례로서의 레이저 빔(Lg, Lo, Ly, Lm, Lc, Lk)에 의해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감광체 드럼(Pg ~ Pk) 표면의 정전 잠상은, 현상기(GG ~ GK)에 의해, G: 그린, O: 오렌지, Y: 옐로, M: 마젠타, C: 시안, K: 흑의 각 색의 화상,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 상으로 현상된다.
감광체 드럼(Pg ~ Pk) 표면상의 토너 상은, 1차 전사 영역(Q3g, Q3o, Q3y, Q3m, Q3c, Q3k)에서, 1차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1차 전사 롤(T1g, T1o, T1y, T1m, T1c, T1k)에 의해, 중간 전사체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순차적으로 중복하여 전사되어,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다색 화상, 소위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B) 상에 형성된 컬러 화상은, 2차 전사 영역(Q4)에 반송된다.
또한, 흑 화상 데이터만의 경우는 흑의 감광체 드럼(Pk) 및 현상기(GK)만이 사용되어, 흑의 토너 상만이 형성된다. 또한, Y, M, C, K의 4색 인쇄나,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른 2색, 3색 인쇄 등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감광체 드럼(Pg ~ Pk) 및 현상기(GG ~ GK)가 사용된다.
1차 전사 후, 감광체 드럼(Pg ~ Pk) 표면의 잔류 토너는 감광체 드럼용의 각 클리너(CLg ~ CLk)에 의해 클리닝되어, 대전기(CCg ~ CCk)에서 재대전된다.
각 현상기(GG ~ GK)에서의 현상제의 소비에 따라, 토너 디스펜서 장치(U3a)에 장착된 착탈체의 일례이며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Kg, Ko, Ky, Km, Kc, Kk)로부터 현상제가 반송되어서, 보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벨트 모듈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1, 도 2에서, 각 감광체 드럼(Pg ~ Pk)의 아래쪽에서는, 중간 전사 장치의 일례로서의 벨트 모듈(BM)이, 상기 각 감광체 드럼(Pg ~ Pk)의 하면에 접촉하는 상승 위치와 상기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진 하강 위치의 사이에서 승강(昇降)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를 갖고 있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를 이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중간 전사체 구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구동 롤(Rd)에 의해 화살표(Ya)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장력 부여 부재의 일례로서의 텐션 롤(Rt)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어서 뻗쳐진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의 사행(蛇行)을 방지하는 사행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워킹 롤(Rw)이나, 종동(從動) 부재의 일례로서의 복수의 아이들러 롤(idler roll)(Rf)이나, 2차 전사 대향 부재의 일례로서의 백업 롤(T2a)에 의해 이면 측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G색의 1차 전사 롤(T1g)의 화살표(Ya) 방향 상류 측에는, 화살표(Ya)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인 상기 감광체 드럼(Pg)에 대하여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를 접촉·격리시키는 방향인 접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접리용 중간 전사체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1 리트랙트 롤(retract roll)(R1)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O색의 각 1차 전사 롤(T1o)의 화살표(Ya) 방향 하류 측 또한 Y색의 각 1차 전사 롤(T1y)의 화살표(Ya) 방향 상류 측에는, 상기 제 1 리트랙트 롤(R1)과 동일하게 구성된 상기 접리용 중간 전사체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2 리트랙트 롤(R2) 및 제 3 리트랙트 롤(R3)이 줄지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C색의 각 1차 전사 롤(T1c)의 화살표(Ya) 방향 하류 측 또한 K색의 각 1차 전사 롤(T1k)의 화살표(Ya) 방향 상류 측에는, 상기 제 1 리트랙트 롤(R1)과 동일하게 구성된 상기 접리용 중간 전사체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4 리트랙트 롤(R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K색의 각 1차 전사 롤(T1k)의 화살표(Ya) 방향 하류 측에는, 상기 제 1 리트랙트 롤(R1)과 동일하게 구성된 상기 접리용 중간 전사체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5 리트랙트 롤(R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1차 전사 롤(T1g ~ T1k)의 화살표(Ya) 방향 하류 측에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B) 이면의 전하를 제전(除電)하는 제전 부재의 일례로서의 평판 상의 제전 판금(J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상기 제전 판금(JB)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와는 비접촉으로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중간 전사 벨트(B)의 이면으로부터 2㎜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각 롤(Rd, Rt, Rw, Rf, T2a, R1 ~ R5)에 의해,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를 이면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중간 전사체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지지 롤(Rd, Rt, Rw, Rf, T2a, R1 ~ R5)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전사 벨트(B), 상기 벨트 지지 롤(Rd, Rt, Rw, Rf, T2a, R1 ~ R5), 상기 각 1차 전사 롤(T1g ~ T1k), 상기 제전 판금(JB) 등에 의해, 실시 예 1의 상기 벨트 모듈(BM)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백업 롤(T2a)의 아래쪽에는 2차 전사 유닛(Ut)이 배치되어 있다. 2차 전사 유닛(Ut)의 2차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 롤(T2b)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를 끼워서 백업 롤(T2a)에 이격 및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2차 전사 롤(T2b)이 중간 전사 벨트(B)와 압접하는 영역에 의해 2차 전사 영역(Q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백업 롤(T2a)에는 전압 인가용 접촉 부재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 롤(T2c)이 접촉하고 있고, 상기 각 롤(T2a ~ T2c)에 의해 최종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2차 전사기(T2)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 롤(T2c)에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로부터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동극성의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벨트 모듈(BM) 아래쪽으로는 용지 반송로(SH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급지 장치(U2)의 급지로(SH1)로부터 급지된 기록 용지(S)는, 상기 용지 반송로(SH2)에 반송되어, 급지 시기 조절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의해, 토너 상이 2차 전사 영역(Q4)에 반송되는데도 시기를 합치고, 매체 안내 부재(SGr), 전사 전(前) 매체 안내 부재(SG1)를 통하여 2차 전사 영역(Q4)에 반송된다.
또한, 상기 매체 안내 부재(SGr)는 레지스터 롤(Rr)과 함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B) 상의 토너 상은, 상기 2차 전사 영역(Q4)을 통과할 때에 상기 2차 전사기(T2)에 의해 상기 기록 용지(S)에 전사된다. 또한, 풀(full) 컬러 화상의 경우에는 중간 전사 벨트(B) 표면에 중복하여 1차 전사된 토너 상이 일괄하여 기록 용지(S)에 2차 전사된다.
2차 전사 후의 상기 중간 전사 벨트(B)는, 중간 전사체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청소, 즉 클리닝 된다. 또한, 상기 2차 전사 롤(T2b) 및 벨트 클리너(CLB)는, 중간 전사 벨트(B)와 격리 및 접촉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 상기 2차 전사기(T2), 상기 벨트 클리너(CLB) 등에 의해, 감광체 드럼(Py ~ Po) 표면의 화상을 기록 용지(S)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TS)가 구성되어 있다.
토너 상이 2차 전사된 상기 기록 용지(S)는, 전사 후 매체 안내 부재(SG2), 정착 전(前)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용지 반송 벨트(BH)를 통하여 정착 장치(F)에 반송된다. 상기 정착 장치(F)는, 가열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Fh)과, 가압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Fp)을 갖고, 가열 롤(Fh)과 가압 롤(Fp)이 압접하는 영역에 의해 정착 영역(Q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록 용지(S) 상의 토너 상은 정착 영역(Q5)을 통과할 때에 정착 장치(F)에 의해 가열 정착된다. 상기 정착 장치(F)의 하류 측에는 반송로 전환 부재(GT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송로 전환 부재(GT1)는 용지 반송로(SH2)를 반송되어서 정착 영역(Q5)에 가열 정착된 기록 용지(S)를, 용지 처리 장치(U4)의 용지 배출로(SH3) 또는 용지 반전로(SH4) 측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상기 용지 배출로(SH3)에 반송된 기록 용지(S)는, 용지 처리 장치(U4)의 용지 반송로(SH5)에 반송된다.
용지 반송로(SH5)의 도중에는, 컬(curl) 보정 장치(U4a)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용지 반송로(SH5)에는 반송로 전환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환 게이트(G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환 게이트(G4)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의 용지 배출로(SH3)로부터 반송된 기록 용지(S)를, 만곡, 소위 컬의 방향에 따라, 제 1 컬 보정 부재(h1) 또는 제 2 컬 보정 부재(h2) 중 어느 하나의 측에 반송한다. 상기 제 1 컬 보정 부재(h1) 또는 제 2 컬 보정 부재(h2)에 반송된 기록 용지(S)는, 통과시에 컬이 보정된다. 컬이 보정된 기록 용지(S)는,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Rh)로부터 용지 처리 장치(U4)의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출 트레이(TH1)에 용지의 화상 정착면이 상향하는 상태, 소위 페이스 업 상태에서 배출된다.
상기 반송로 전환 부재(GT1)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의 상기 용지 반전로(SH4) 측에 반송된 기록 용지(S)는, 탄성 박막형 부재에 의해 구성된 반송 방향 규제 부재, 소위 마일러 게이트(miler gate)(GT2)를 밀치는 형상으로 통과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의 상기 용지 반전로(SH4)에 반송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3)의 용지 반전로(SH4)의 하류 단에는, 용지 순환로(SH6) 및 용지 반전로(SH7)가 접속되어 있고, 그 접속부에도 마일러 게이트(GT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환 게이트(GT1)를 통하여 용지 반송로(SH4)에 반송된 기록 용지(S)는, 상기 마일러 게이트(GT3)를 통과하여 상기 용지 처리 장치(U4)의 용지 반전로(SH7) 측에 반송된다. 양면 인쇄를 행할 경우에는, 용지 반전로(SH4)를 반송되어 온 기록 용지(S)는, 상기 마일러 게이트(GT3)를 그대로 일단 통과하고, 용지 반전로(SH7)에 반송된 후, 역방향으로 반송, 소위 스위치 백 시켜 지면, 상기 마일러 게이트(GT3)에 의해 반송 방향이 규제되고, 스위치 백한 기록 용지(S)가 용지 순환로(SH6) 측에 반송된다. 상기 용지 순환로(SH6)에 반송된 기록 용지(S)는 상기 급지로(SH1)를 통하여 상기 전사 영역(Q4)에 재송된다.
한편, 용지 반전로(SH4)를 반송되는 기록 용지(S)를, 기록 용지(S)의 후단이 마일러 게이트(GT2)를 통과 후, 마일러 게이트(GT3)를 통과하기 전에, 스위치 백 하면, 마일러 게이트(GT2)에 의해 기록 용지(S)의 반송 방향이 규제되고, 기록 용지(S)는 표리(表裏)가 반전된 상태에서 용지 반송로(SH5)에 반송된다. 표리가 반전된 기록 용지(S)는, 컬 보정 장치(U4a)에 의해 컬이 보정된 후, 상기 용지 처리 장치(U4)의 용지 배출 트레이(TH1)에, 기록 용지(S)의 화상 정착면이 아래쪽을 향하는 상태, 소위 페이스 다운 상태에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부호(SH1 ~ SH7)로 도시된 요소에 의해 용지 반송로(SH)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호(SH, Ra, Rr, Rh, SGr, SG1, SG2, BH, GT1 ~ GT3)로 도시된 요소에 의해 용지 반송 장치(SU)가 구성되어 있다.
(토너 디스펜스 장치(U3a))
도 1에서, 실시예 1의 토너 디스펜스 장치(U3a)는, G, O, Y, M, C, K의 각 색의 토너 카트리지(Kg ~ Kk)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홀더(KHg, KHo, KHy, KHm, KHc, KHk)와, 각 카트리지(Kg ~ Kk)로부터의 현상제가 일시적으로 저장되어서 교반되는 현상제 저장 용기의 일례로서의 리저브 탱크(RTg, RTo, RTy, RTm, RTc, RTk)를 갖고, 리저브 탱크(RTg ~ RTk) 내에서 교반된 현상제는, 현상기(GG ~ GK)에서의 현상제의 소비량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반송 부재로 반송된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착탈체 유지 장치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홀더(KHg ~ KHk)의 설명을 하지만, 각 카트리지 홀더(KHg ~ KHk)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K색의 카트리지 홀더(KHk)에 관하여 설명을 행하고, 그 외의 색의 카트리지 홀더(KHg ~ KHc)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실시예 1의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며, 도 3의 (a)는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 수용된 수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의 (b)는 토너 카트리지의 유출구와,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유입구가 접속한 상태의 설명도, 도 3의 (c)는 도 3의 (b)의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회전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며, 도 3의 상태로부터 경사 홀더가 인출된 인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며, 도 4의 상태로부터 경사 홀더가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며, 도 5의 상태로부터 전단(前端) 커버가 전단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며, 도 6의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취출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본체 측 셔터는 유출구 폐쇄 위치로 이동하고 있을 것이지만, 이해의 용이를 위해, 유출구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3 ~ 도 7에서, K색의 카트리지 홀더(KHk)는, 화상 형성 장치 본 체(U3)에 고정 지지된 전단(前端) 틀의 일례로서 전(前) 측 프레임(1)과, 리저브 탱크(RTk)의 후단부에 배치된 고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홀더 베이스(2)를 갖는다. 도 3 ~ 도 7에서, 상기 전(前) 측 프레임(1)에는, 착탈되는 토너 카트리지(Kk)가 통과하는 원 구멍 형상의 개구(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 도 7에서, 홀더 베이스(2)는, 후단부에 배치된 판 형상의 후단벽(2a)과, 후단벽(2a)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하는 반 원통 형상의 통벽(2b)을 갖는다.
상기 후단벽(2a)에는, 본체 측의 오 장착 방지부의 일례로서, 원호 형상의 홈에 의해 구성된 하드 키 장착 홈(2c)이 형성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Kk)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착탈체 측의 오 장착 방지부의 일례로서의 하드 키(Kk8)가 끼워지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기(Gg ~ Gk)의 색에 대응하는 현상제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Kg ~ Kk)가 장착된 경우에는, 하드 키 장착 홈(2c)과 하드 키(Kk8)의 위치가 일치하여 끼워지지만, 색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위치가 어긋나서 끼워지지않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후단벽(2a)에는, 구동원(2d)으로부터의 구동이 전달되는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커플링(3)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3)은, 장착되는 토너 카트리지(Kk)의 후단의 피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도 5에 도시하는 커플링(CP)과 맞물려서 토너 카트리지(Kk) 내의 도시하지 않은 현상제 반송 부재에 회전을 전달한다.
상기 홀더 베이스(2)의 통벽(2b)은, 저부로부터 좌측으로 연장하는 호 형상의 내주면(4)과, 내주면(4)의 우부(右部)에 형성되고, 또한 내주면(4) 보다도 오목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후(前後)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폐 부재 통과로의 일례로서의 셔터 통과 홈(6)을 갖는다. 또한, 상기 내주면(4)의 후단부에는, 호 형상 내주면(4) 보다도 오목하게, 또한 셔터 통과 홈(6) 보다도 볼록하게 형성되고, 통벽(2b)의 주(周)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유입구 형성부(7)가 형성되어 있고, 유입구 형성부(7)와 셔터 통과 홈(6)의 경계의 단차 부분에 의해 개폐 부재 홀딩부의 일례로서의 셔터 홀딩부(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 형성부(7)에는, 아래쪽의 리저브 탱크(RTk)에 접속되는 유입구(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9)의 전후(前後) 양측에는, 통벽(2b)의 내주면(4)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차폐 부재 안내부의 일례로서의 본체 측 셔터 가이드(11)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 측 셔터 가이드(11)에는, 통벽(2b)의 내주면을 따른 원호 형상의 본체 측 셔터(12)가 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측 셔터(12)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유입구(9)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유입구(9)가 개방된 도 3의 (b)에 도시하는 유입구 개방 위치와, 유입구(9)가 폐쇄된 도 3의 (c)에 도시하는 유입구 폐쇄 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b), 도 3의 (c)에서, 상기 본체 측 셔터(12)의 유입구(9) 측에는 누출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본체 실(seal)(12a)이 지지되어 있다.
도 3, 도 4에서, 실시예 1의 홀더 베이스(2)에 장착되는 토너 카트리지(Kk)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Kk1)를 갖는다. 도 3의 (b), 도 3의 (c)에서, 용기 본체(Kk1)의 후단부에는, 용기 본체(Kk1)의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유출구 부(部)(Kk2)가 형성되어 있다. 유출구 부(Kk2)에는, 용기 본체(Kk1)의 내부의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구(Kk3)가 형성되어 있고, 유출구 부(Kk2)의 외단에는 유출구(Kk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누출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실(Kk2a)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유출구 부(Kk2)에는 용기 본체(Kk1)의 주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셔터(Kk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 베이스(2)의 셔터 통과 홈(6)의 오목한 깊이는, 유출구(Kk3)를 막은 상태의 카트리지 셔터(Kk4)가 통과가능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 형성부(7)의 오목한 깊이는, 카트리지 셔터(Kk4)의 두께보다 얕고, 또한 유출구 부(Kk2)의 용기 본체(Kk1)로부터의 돌출량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의 (c), 도 5 ~ 도 7에 도시하는 유출구 폐쇄 위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Kk1)가 삽입되면, 카트리지 셔터(Kk4)는 셔터 통과 홈(6)을 통과하여 후단까지 장착가능하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Kk)의 카트리지 셔터(Kk4)의 위치가 셔터 통과 홈(6)에 대응하지 않는 회전 위치에서 삽입되었을 경우, 홀더 베이스(2)의 전단면과 간섭하여 후단까지 삽입 불능이 된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Kk)가 후단까지 장착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Kk) 전단에 설치된 조작부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핸들(Kk6)을 이용자가 회전시키면, 카트리지 셔터(Kk4)가 셔터 홀딩부(8)에서 걸려 회전하지 않고, 또한 용기 본체(Kk1) 및 유출구 부(Kk2)가 회전하는 동시에, 유출구 부(Kk2)에 홀딩되어 본체 측 셔터(12)가 이동한다. 따라서, 유출구(Kk3)가 개방되는 동시에, 유입구(9)도 개방되어, 도 3의 (b)의 유출구 개방 위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출구(Kk3)와 유입구(9)가 접속되어서 현상제가 공급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Kk)의 전단부(前端部)에는, 용기 본체(Kk1)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압입 전달부의 일례로서의 압입 리브(Kk7)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실시예 1의 인출체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8의 (a)는 도 4의 화살표 VIII 방향으로부터 본 요부 설명도, 도 8의 (b)는 도 6의 VIIIB - VIIIB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화살표 IX 방향으로부터 본 요부 설명도이다.
또한, 도 8, 도 9 및 이후의 도면에서, 장치의 설명 및 이해의 용이를 위해서, 외측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내부에 배치된 부재를 실선으로 표시하고, 외측에 배치된 부재를 파선이나 쇄선으로 나타낸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 ~ 도 7에서, 상기 홀더 베이스(2)의 좌우 양측에는, 인출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 전후(前後) 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6)이 고정 지지되어 있다. 도 8의 (a), 도 9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6)은,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된 안내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의 레일 본체(17)를 가진다. 상기 레일 본체(1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벽부(17a)와, 측벽부(17a)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접혀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된 하측 안내부(17b)를 가진다. 상기 하측 안내부(17b)의 상면에는, 하측 회전자 안내면(17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 본체(17)의 외측면에는, 위쪽으로 연장하는 상측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상측 가이드 레일(18)이 나사(19)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상기 상측 가이드 레일(18) 은, 위쪽으로 연장하는 폐쇄부의 일례로서의 외측 커버부(18a)와, 외측 커버부(18a)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접어 구부려진 형상의 상측 안내부(18b)를 가진다. 상기 상측 안내부(18b)의 하면에는 상측 회전자 안내면(18c)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6)의 내측에는, 인출체의 일례로서의 좌우 한 쌍의 피 가이드 레일(21, 22)이 전후(前後)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 도 8의 (a), 도 9에서, 상기 피 가이드 레일(21, 2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인출체 본체(21a, 22a)와, 인출체 본체(21a, 22a)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접혀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된 상측 피 안내부(21b, 22b) 및 하측 피 안내부(21c, 22c)를 가진다. 상기 상측 피 안내부(21b, 22b)는, 하면이 상측 안내부(18b)의 상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피 가이드 레일(21, 22)이, 인출 방향인 전(前) 방향 및 압입 방향인 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인출체 본체(21a, 22a)의 후부에는, 전후(前後) 한 쌍의 피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회전자(23)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회전자(23)는 가이드 레일(16)의 하측 회전자 안내면(17c) 및 상측 회전자 안내면(18c)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 가이드 레일(21, 22)이 이동할 때에, 회전자(23)가 각 회전자 안내면(17c, 18c) 상(上)을 회전함으로써, 회전자(2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마찰 저항 등이 적고, 약한 힘으로 원활하게 전후(前後)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서, 상기 인출체 본체(21a, 22a)의 후부에는, 바깥쪽인 가이드 레 일(16)의 측벽부(17a) 측으로 돌출하는 인출 피 정지부의 일례로서의 스토퍼(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면의 관계상, 좌측의 피 가이드 레일(21)의 스토퍼(24)만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b)에서, 상기 스토퍼(24)는, 상기 레일 본체(17)와 상측 가이드 레일(18)을 고정하여, 또한 관통하여 배치된 인출 정지부의 일례로서의 상기 나사(19)의 내단(內端)에 접촉, 이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 가이드 레일(21, 22)이 앞쪽으로 인출되어서, 도 4에 도시하는 인출 위치까지 인출되면, 스토퍼(24)와 나사(19)가 접촉하고, 피 가이드 레일(21, 22)의 그 이상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피 가이드 레일(21, 22)은, 도 3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와, 도 4에 도시하는 인출 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8, 도 9에서, 우측의 피 가이드 레일(22)의 인출체 본체(22a)의 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의 피 가이드 레일(22)에는, 관통 구멍(26)의 뒤쪽의 외측면을 따라, 전후(前後)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링크(27)가 링크 회전 중심(27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링크(27)의 후단에는, 우측의 가이드 레일(16)의 전단의 오 삽입 정지부(16a)에 접촉, 이간 가능한 J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진 피 정지부(27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27)는, 피 정지부(27b)가 오 삽입 정지부(16a)로부터 이간하여 피 가이드 레일(22)이 수용 위치와 인출 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도 8에 도시하는 정지부 이간 위치와, 피 정지부(27b)가 오 삽입 정지부(16a)에 접촉하여 피 가이드 레일(22)이 인출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도 9에 도시하는 정지부 접촉 위치의 사이에서 링크 회전 중심(27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링크(27)의 전단에는, 관통 구멍(26)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전후(前後)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 형상의 연결 구멍(27c)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실시예 1의 제동 부재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10에서, 홀더 프레임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홀더 커버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3 ~ 도 9에서, 상기 피 가이드 레일(21, 22)의 전단부에는, 유지체의 일례이며 회전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경사 홀더(31)가 홀더 회전축(32, 3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경사 홀더(31)는, 틀의 일례로서의 홀더 프레임(36)을 갖는다. 도 10에서, 홀더 프레임(36)은, 토너 카트리지(Kk)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판 형상의 홀더 프레임 바닥 벽(36a)과, 홀더 프레임 바닥 벽(36a)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홀더 프레임 좌측벽(36b) 및 홀더 프레임 우측벽(36c)을 가진다. 상기 홀더 프레임 좌측벽(36b) 및 홀더 프레임 우측벽(36c)의 후단부에는, 상기 홀더 회전축(32, 33)이 연결되어 있다.
도 8, 도 9에서, 상기 홀더 프레임 우측벽(36c)에는, 우측의 폴더 회전축(33)으로부터 뒤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오른쪽으로 연장하는 연결체의 일례로서의 링크 연결핀(36d)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링크 연결핀(36d)은, 피 가이드 레일(22)의 관통 구멍(26)을 관통하여, 링크(27)의 연결 구멍(27c)에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연결 구멍(27c)은,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링크 연결핀(36d)은 연결 구멍(27c)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연결핀(36d)은, 홀더 회전축(33)에 대하여 근방에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 홀더(31)가 홀더 회전축(32, 3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 링크 연결핀(36d)에 의해 연결된 링크(27)가 연동하고, 도 8에 도시하는 정지부 이간 위치와, 도 9에 도시하는 정지부 접촉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이동한다.
도 10에서, 좌측의 홀더 회전축(32)에는, 제동 부재의 일례이며 과부하 보호 장치의 일례로서의 원 웨이 힌지(one-way hinge)(38)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원 웨이 힌지(38)는, 미리 설정된 설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했을 경우에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과부하 보호 장치, 소위 토크 리미터(toque limiter)의 기능과, 일 방향의 회전만 전달하고 또한 타방향의 회전에 대하여 공회전시키는 일 방향 회전 차단 장치, 소위 원 웨이 클러치의 기능을 갖는 시판의 장치이다. 그리고, 실시예 1의 원 웨이 힌지(38)는, 홀더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특정의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력이, 미리 설정된 설정 회전력 이상의 경우에, 설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특정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지 않고, 회전력을 전달시킨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삽입 가능 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착탈 위치의 일례로서의 경사 위치를 향하는 회전 방향인 경사 회전 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설정 회전력 이상의 경우에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어서, 경사 위치로 회전 이동하는 이 동 속도가 억제되는 동시에, 상기 경사 위치로부터 상기 삽입 가능 위치를 향하는 회전 방향인 복귀 회전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설정 회전력은, 중력에 의해 작용하는 경사 홀더(31)를 회전시키는 자연 회전력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11은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1의 (a)는 도 4의 삽입 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경사 홀더 전부(前部)의 요부 설명도,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XIB - XIB 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7의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경사 홀더 전부의 설명도이다.
도 11, 도 12에서, 홀더 프레임(36)의 전부(前部)에서, 홀더 프레임 바닥 벽(36a)에는 잘라 세워진 형상의 컷 업 부재부(39)가 좌우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의 관계상, 도 11, 도 12에는 우측의 컷 업 부재부(39)만 도시하고 있다.
도 11, 도 12에서, 상기 홀더 프레임 측벽(36b, 36c)에는, 상기 컷 업 부재부(39)에 대향하는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걸기 통과구의 일례로서의 핀 통과구(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컷 업 부재부(39)에는, 핀 통과구(41)를 통과해서 홀더 프레임 측벽(36b, 36c)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걸기 부재의 일례로서의 핀(42)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1의 (b)에서, 상기 핀(42)은, 컷 업 부재부(39)의 지지 구멍(39a)에 관통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피 지지부(42a)를 갖는다. 상기 피 지지부(42a)의 외측에는, 핀 통과구(41)를 관통하고, 또한 피 지지부(42a) 보다도 큰 직경의 핀 본체(42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핀 본체(42b)의 외단부에는, 핀 본체(42b)보다도 큰 직경의 원판 형상의 스프링 지지부(42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부(42c)에는, 스프링 지지부(42c)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 형상의 걸기부(42d)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 도 12에서, 상기 컷 업 부재부(39)와, 스프링 지지부(42c)의 사이에는, 스프링 지지부(42c)를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핀 가압 스프링(43)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더 프레임 측벽(36b, 36c)의 상기 컷 업 부재부(39) 보다도 더 앞쪽에는, 회전 규제부의 일례로서, 각 홀더 프레임 측벽(36b, 36c)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서포트 연결 스터드(44)가 지지되어 있다.
도 13은 피 가이드 레일이 인출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경사 홀더가 삽입 가능 위치에 유지된 상태의 서포트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경사 홀더가 경사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전단 커버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 형태의 서포트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8 ~ 도 14에서, 상기 홀더 프레임(36)의 각 홀더 프레임 측벽(36b, 36c)의 외측에는, 보조 회전체의 일례로서, 전후(前後)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형상의 좌측 서포트(46) 및 우측 서포트(4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46, 47)의 후단부는, 홀더 회전축(32, 33)의 전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보조 회전축의 일례로서의 서포트 회전축(48)에 의해, 피 가이드 레일(21, 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다. 도 8 ~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서포트 회전축(48)은, 홀더 회전축(32, 33)에 대하여 전측 근방에 떨어진 위치, 즉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8 ~ 도 14에서, 각 서포트(46, 47)의 전후(前後) 방향 중앙부에는, 경사 홀더(31)가 도 13에 도시하는 삽입 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상기 걸기부(42d)에 대응하고, 피 걸기부의 일례로서의 래치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래치 구멍(51)은, 경사 홀더(31)가 도 13에 도시하는 삽입 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가압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걸기부(42d)가 래치 구멍(51)에 걸린 상태, 즉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경사 홀더(31)가 도 14에 도시하는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홀더 프레임(36)의 홀더 회전축(32, 33)과, 서포트 회전축(48)이 어긋나 있고, 걸기부(42d)의 위치와 래치 구멍(51)의 위치의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기 때문에, 걸기부(42d)가 핀 가압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내측으로 이동하고, 래치 구멍(51)으로부터 이간한 상태, 즉 빠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 ~ 도 14에서, 각 서포트(46, 47)의 전부에는, 상기 서포트 연결 스터드(44)에 대응하여, 경사 정지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 도 13에서, 상기 경사 정지 홈(52)은, 서포트(46, 47)를 따라 연장하는 안내 홈부(53)와, 안내 홈부(53)의 전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회전 규제 홈부(54)를 갖고, 서포트 연결 스터드(44)가 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폭의 대략 L자 형상의 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1 ~ 도 14에서, 상기 안내 홈부(53)의 후단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삽 입 가능 위치에서 상기 서포트 연결 스터드(44)에 접촉하여, 삽입 가능 위치보다도 위쪽으로의 경사 홀더(31)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 회전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상 회전 록 면(5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 홈부(53)의 전단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경사 위치에서 상기 서포트 연결 스터드(44)에 접촉하고, 경사 위치보다도 아래쪽으로의 경사 홀더(31)의 회전을 규제하는 하 회전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하 회전 록면(53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서포트 연결 스터드(44)와, 하 회전 록면(53b)이 접촉하는 경사 홀더(31)의 회전 위치가 경사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서포트 연결 스터드(44)와 하 회전 록면(53b)의 접촉에 의해 경사 홀더(31)가 경사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하 회전 록면(53b)으로부터 위쪽으로 떨어진 위치인 상기 회전 규제 홈부(54)의 내주면에 의해, 개방 회전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회전 록면(54a)이 구성되어 있다.
도 15는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전단부의 요부 설명도이며, 경사 홀더가 삽입 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전단부의 요부 설명도이며, 경사 홀더가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전단부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전단 커버가 전단 개방 위치를 향해서 회전을 개시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전단부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7에 도시하 는 상태로부터 전단 커버가 전단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3 ~ 도 18에서, 각 서포트(46, 47)의 전단에는, 회전 피 연동부의 일례로서, 서포트(46, 47)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록 개구(5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서, 상기 록 개구(56)는, 후단 측으로부터 아래로 볼록의 호 형상으로 연장하는 안내부의 일례로서의 커버 스터드 가이드 홈(56a)과, 커버 스터드 가이드 홈(56a)의 전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또한 앞쪽으로 행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경사진 후(後) 중력 방향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내측면을 갖는 회전 규제 해제부의 일례로서의 서포트 록 해제부(56b)와, 서포트 록 해제부(56b)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또한 서포트 록 해제부(56b)의 하면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오목한 형상의 개폐 이동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커버 록부(56c)를 가진다.
도 19는 실시예 1의 경사 홀더 및 전단 커버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6에 대응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 도 11 ~ 도 14에서, 상기 홀더 프레임(36)에는, 유지체 피복 부재의 일례로서의 홀더 커버(61)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상기 홀더 커버(61)는, 홀더 프레임(36)의 바닥벽(36a)의 전측 및 좌우 양측에 배치된 상측 피복부의 일례로서의 상측 커버(62)를 가진다. 상기 상측 커버(62)는, 반 원통 형상의 상면인 착탈체 지지면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유지면(62a)을 가진다. 도 12, 도 19에서, 상기 상측 커버(62)의 전단에는, 압입 리브(Kk7)가 접촉가능한 압입 피 전달부의 일례로서의 리브 접촉부(6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서, 상기 상측 커버(62)의 전단에는, 전단벽(63)이 일체적으로 형성 되어 있다. 도 12에서, 상기 전단벽(63)의 중앙부에는, 착탈체 위치 규제부의 일례이며 조작부 통과구의 일례로서의 부채 형상의 홀더 측 핸들 회전구(63a)가 절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 측 핸들 회전구(63a)는, 토너 카트리지(Kk)가 착탈될 때에 토너 카트리지(Kk)의 핸들(Kk6)이 통과하는 핸들 통과구(63b)를 갖고, 핸들 통과구(63b)의 우단에는 하(下) 방향으로 연장하는 홀더 측 착탈 규제면(63c)이 형성되고, 핸들 통과구(63b)의 좌단에는 아래쪽으로 행함에 따라 좌(左) 방향으로 경사지는 홀더 측 회전 규제면(6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커버(62)의 좌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좌측벽(36b) 및 좌측 서포트(46)의 외측을 피복하는 좌 커버(64)가 상측 커버(6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 커버(64)의 후단부에는, 좌측 서포트(46) 및 원 웨이 힌지(38)가 외부에 노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좌측벽(36b)과 좌측의 피 가이드 레일(21)의 간격을 메우도록, 전후(前後) 방향 중앙부보다도 좌우 방향의 폭이 넓게 형성된 후단 보호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커버(62)의 우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우측벽(36c) 및 우측 서포트(47)의 외측을 피복하는 우커버(66)가 상측 커버(6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 프레임(36) 및 홀더 커버(61)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Kk)를 유지하는 유지체 본체(36 + 61)가 구성되어 있다.
도 20은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전(前) 커버가 전단 폐쇄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20의 (a)는 사시도, 도 20의 (b)는 도 20의 (a)의 XXB - XXB 선 단면도, 도 20의 (c)는 도 20의 (a)의 XXC - XXC 선 단면도이다.
도 3 ~ 도 7, 도 11 ~ 도 20에서, 상기 홀더 커버(61)의 전단부에는, 전단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前) 커버(71)가 지지되어 있다. 도 15 ~ 도 20에서, 상기 전 커버(71)는, 반 원통 형상의 전(前) 커버 통벽(72)과, 상기 전 커버 통벽(72)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기 좌 커버(64) 및 우 커버(66)를 따라 연장하는 전(前) 커버 좌벽(73) 및 전(前) 커버 우벽(74)과, 상기 전단벽(63)에 대응하여 전(前) 커버 통벽(72)의 전단에 형성된 전(前) 커버 전벽(76)을 갖는다.
상기 전 커버 좌벽(73) 및 전 커버 우벽(74)에는,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고, 또한 좌커버(64) 및 우커버(6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커버 회전축(77)을 갖는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전(前) 커버(71)는, 커버 회전축(77)을 중심으로 하여, 도 6, 도 7, 도 11, 도 13, 도 15, 도 16, 도 20에 도시하는 전단 폐쇄 위치와, 도 5, 도 12, 도 14, 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전단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 커버 좌벽(73) 및 전 커버 우벽(74)에는, 도 13, 도 15 등에 도시하는 전단 폐쇄 위치에서 커버 회전축(77)의 전측 아래쪽으로 떨어진 위치이며, 또한 상기 서포트(46, 47)의 록 개구(56)에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회전 운동부의 일례로서의 록 스터드(7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 스터드(78)는, 록 개구(56)에 걸려 있고, 전 커버(71)의 회전시나 서포트(46, 47)의 회전시에 록 개구(56) 내를 이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0에서, 상기 전 커버 전벽(76)의 중앙부에는, 착탈체 위치 규제부의 일 례이며 조작부 통과구의 일례로서의 커버 측 핸들 회전구(76a)가 부채 형으로 절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0의 전단 폐쇄 위치에서, 커버 측 핸들 회전구(76a)는, 핸들 통과구(63b)에 대향하여 형성되고, 또한 카트리지 핸들(Kk6)에 대응한 폭으로 형성된 폭협부(幅狹部)(76b)와, 폭협부(76b)의 좌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커버 측 착탈 규제면(76c)과, 폭협부(76b)의 우단으로부터 위쪽으로 행함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는 커버 측 회전 규제면(76d)을 갖는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Kk)는, 카트리지 핸들(Kk6)이 착탈 규제면(63c, 76c)에 접촉하는 도 20에 도시하는 착탈 위치와, 착탈 위치로부터 회전하여 회전 규제면(63d, 76d)에 접촉하여 현상제의 보급이 가능하게 되는 도 3에 도시하는 보급 위치의 사이의 회전 가능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홀더 커버(61)의 전단벽(63) 및 전 커버(71) 전벽(76)에 의해, 경사 홀더(31)의 경사 시에, 토너 카트리지(Kk)의 앞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탈락을 방지하는 인출 규제 부재(63 + 76)가 구성되어 있다.
도 20의 (a), 도 20의 (b)에서, 전 커버(71)가 도 20에 도시하는 전단 폐쇄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전 커버 통벽(72)의 상단부에는, 전후(前後)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안내 홈의 일례로서의 제 1 슬릿(7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0의 (a), 도 20의 (c)에서, 상기 전 커버 통벽(72)에는, 주(周) 방향을 따라 제 1 슬릿(72a)의 좌우 양측에 떨어진 위치에 제 2 안내 홈 및 제 3 안내 홈의 일례로서의 제 2 슬릿(72b) 및 제 3 슬릿(72c)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서, 상기 커버 통벽(72)의 상단부에는, 회전 정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핸들 록(81)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핸들 록(81)은, 전 커버 통벽(7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하는 호 형상 판(82)을 갖는다. 상기 호 형상 판(82)의 전단에는,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회전 정지부의 일례로서의 록부(8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부(83)는, 하단이 커버 측 핸들 회전구(76a) 내에 진입하여 있고, 도 20에 도시하는 착탈 위치로 이동한 카트리지 핸들(Kk6)을 커버 측 착탈 규제면(76c)과의 사이에서 좌우로부터 끼워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호 형상 판(82)에는, 전 커버 통벽(72)의 각 슬릿(72a ~ 72c)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72a ~ 72c)에 끼워지고 또한 슬릿(72a ~ 72c)보다도 전후(前後) 방향의 길이가 짧은 피 안내부(83, 84, 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슬릿(72a)에 끼워지는 제 1 피 안내부(83)의 하단에는, 전 커버 전 벽(76) 측으로 튀어나온 돌기(83a)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83a)와 전 커버 전 벽(76)의 사이에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록 스프링(87)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 2 슬릿(72b) 및 제 3 슬릿(72c)에 끼워지는 제 2 피 안내부(84) 및 제 3 피 안내부(85)의 하단에는, 전 커버 전 벽(76) 측으로 연장하는 발지부(拔止部)(84a, 8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 록(8l)은, 슬릿(72a ~ 72c)을 따라서 전후(前後)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1은 도 3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에서의 핸들 록과 전 측 프레임과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20에서, 상기 호 형상 판(82)의 상면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규제 해제 부의 일례로서의 피 접점부(8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1에서, 상기 피 접점부(88)는, 경사 홀더(31)가 수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개구(1a)의 가장자리 전(前) 측 프레임(1)의 전단면에 의해 구성된 접점부의 일례로서의 핸들 록 해제부(1b)에 접촉가능한 위치에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핸들 록(81)은, 경사 홀더(31)가 수용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피 접점부(88)가 전(前) 측 프레임(1)의 전단면으로부터 이간하고, 록 스프링(87)의 탄성력에 의해, 피 안내부(83 ~ 85)가 슬릿(72a ~ 72c)의 후단에 접촉하는 회전 규제 위치의 일례로서의 록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록 부(83)가 뒤쪽으로 이동하고, 유지된 토너 카트리지(Kk)의 카트리지 핸들(Kk6)이 록 부(83)와, 커버 측 착탈 규제면(76c)에 끼워져 있어서,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21에서, 경사 홀더(31)가 수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피 접점부(88)가 전(前) 측 프레임(1)의 전단면에 접촉하고, 록 스프링(87)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핸들 록(81)이 슬릿(72a ~ 72c)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한 회전 허가 위치로 이동한다. 회전 허가 위치에서는, 록 부(83)가 카트리지 핸들(Kk6)의 전단보다도 앞쪽으로 떨어진 상태가 되고, 카트리지 핸들(Kk6)을 회전시킴으로써 토너 카트리지(Kk)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 소위, 잡이 실행되어서, 상기 각 현상기(GG ~ GK)에서 현상제가 소비되면, 소비량에 따라, 토너 디스펜스 장치(U3a)가 작동하여, 각 토너 카트리 지(Kg ~ Kk)로부터 현상제가 보급된다. 토너 카트리지(Kg ~ Kk) 내의 현상제가 비게 되면, 토너 카트리지(Kg ~ Kk)가 교환된다.
(토너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작업의 설명)
도 3에서, 비게 된 토너 카트리지(Kk)를 교환할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에서, 토너 카트리지(Kk)의 카트리지 핸들(Kk6)을 조작하고, 도 3의 (b)에 도시하는 유출구 개방 위치로부터 도 3의 (c)에 도시하는 유출구 폐쇄 위치까지, 토너 카트리지(Kk)를 회전시킨다. 토너 카트리지(Kk)의 회전에 따라, 카트리지 셔터(Kk4) 및 본체 측 셔터(12)에 의해, 유출구(Kk3) 및 유입구(9)가 폐쇄된다.
상기 유출구 폐쇄 위치에서 토너 카트리지(Kk)가 회전하면, 유출구 부(Kk2)가 셔터 통과 홈(6)으로 이동하고, 토너 카트리지(Kk) 및 피 가이드 레일(21, 22), 경사 홀더(31)가 앞쪽으로 인출가능한 상태가 된다. 토너 카트리지(Kk)의 카트리지 핸들(Kk6)을 조작하여 수용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인출되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록(81)이 록 스프링(87)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규제 위치로 이동하고, 토너 카트리지(Kk)의 카트리지 핸들(Kk6)이 회전 불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인출 작업 중에 토너 카트리지(Kk)가 회전해버리는 것이 저감되어, 조작성이 향상하고 있다.
도 3, 도 4에서, 도 3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인출된 토너 카트리지(Kk)는, 피 가이드 레일(21, 22)의 스토퍼(24)가 가이드 레일(16)의 나사(19)에 접촉하는 도 4에 도시하는 인출 위치까지 인출 가능하다. 상기 인출 위치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46, 47)의 래치 구멍(51)에 걸기 부(42d)가 끼워지고, 경사 홀더(31)는, 도 4, 도 11에 도시하는 삽입 가능 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3 ~ 도 15에서, 상기 인출 위치에서는, 전 커버(71)의 록 스터드(78)가, 록 개구(56)의 커버 록 부(56c)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도 11, 도 13에 도시하는 삽입 가능 위치에서는, 전 커버(71)는, 도 13에 도시하는 전단 폐쇄 위치에 유지되어, 회전 불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 가능 위치에서 잘못하여 전 커버(71)가 전단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따라서, 전 커버(71)가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경사 홀더(31)가 회전하여 토너 카트리지(Kk)가 경사 홀더(31)로부터 앞쪽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등의 불측의 사고가 방지되어 있다.
이용자가 삽입 가능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Kk)의 전단의 카트리지 핸들(Kk6)을 아래쪽으로 내리면, 걸기부(42d)가 핀 가압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저항하고, 래치 구멍(51)으로부터 빠져서, 아래쪽의 경사 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개시한다.
이때, 실시예 1의 경사 홀더(31)에서는, 홀더 회전축(32)에, 원 웨이 힌지(38)가 조립되어 있고, 자연 회전력보다도 작은 회전력밖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 웨이 힌지(38)가 조립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토너 카트리지(Kk)나 경사 홀더(31) 등의 자중(自重)으로 아래쪽의 경사 위치를 향해서 회전할 때의 회전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서, 급속도로 회전하는 경사 홀더(31)가 충돌하여 물품이 파손되거나 이용자가 부상하거나 하는 것이나, 급속도의 회전으로 토너 카트리 지(Kk)가 튀어나오는 등의 불측의 사고가 발생하는 우려가 있었지만, 실시예 1에서는 원 웨이 힌지(38)로 회전 속도가 저감되어 있고, 사고 등의 발생이 저감되어 있다.
상기 경사 홀더(31)가 경사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면, 서포트 연결 스터드(44)로 연결된 서포트(46, 47)는, 폴더 회전축(32)과는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서포트 회전축(4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상기 경사 홀더(31) 및 서포트(46, 47)가 회전하면, 도 13, 도 15,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32, 48)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사 홀더(31)와, 서포트(46, 47)의 회전 궤적의 차에 따라 서포트 연결 스터드(44)가 경사 정지 홈(52)의 안내 홈 부(53)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 연결 스퍼드(44)가 안내 홈 부(53)의 전단의 하(下) 회전 록 면(53b)에 접촉하면, 경사 홀더(31) 및 서포트(46, 47)의 회전이 규제되어, 그 이상의 아래쪽으로의 경사가 규제된다. 즉, 도 5, 도 16에 도시하는 경사 위치에의 경사 홀더(31)의 이동이 완료하고, 서포트(46, 47)가 하(下) 회전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경사 홀더(31) 회전 시에, 경사 홀더(31)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전 커버(71)에서는, 록 스터드(78)는, 경사 홀더(31)와 회전 궤적이 다른 서포트(46, 47)의 전단의 록 개구(5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도 15에 도시하는 커버 록 부(56c)에 끼워진 상태로부터 도 16에 도시하는 서포트 록 해제부(56b)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하는 경사 위치까지 경사 홀더(31)가 이동하면, 전 커버(71)가 커버 회전축(7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 도 9에서, 상기 경사 홀더(31)의 회전에 따라, 우측의 링크 연결 핀(36d)에 연결된 링크(27)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도 8에 도시하는 정지부 이간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하는 정지부 접촉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피 정지부(27b)가 오 삽입 정지부(16a)에 접촉하고, 피 가이드 레일(21, 22)의 수용 위치를 향해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경사 홀더(31)의 경사 중이나 토너 카트리지(Kk)의 교환 중에, 잘못하여 피 가이드 레일(21, 22)이나 경사 홀더(31) 등이 수용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사 홀더(31)에서는, 서포트(46, 47)의 서포트 회전축(48)이 홀더 회전축(32)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피 가이드 레일(21, 22)의 앞쪽으로의 튀어나온 량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피 가이드 레일(21, 22)이 앞쪽으로 튀어나오고 있을 경우에 비해서, 실시예 1의 카트리지 홀더(KHk)에서는, 튀어나온 피 가이드 레일(21, 22)에 작업자가 접촉하여 부상 등 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 회전축(48)과 홀더 회전축(32)이 근접하고 있으면, 경사 홀더(31)의 회전 궤적과, 서포트(46, 47)의 회전 궤적이 근사(近似)한다. 따라서,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경사 홀더(31)에 대하여 서포트(46, 47)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이 적고, 경사 홀더(31)의 하면으로부터의 서포트(46, 47)의 튀어나온 량이 적어지고 있다. 따라서, 튀어나온 서포트(46, 47)에 접촉하여 부상하는 등의 불측의 사고도 저감되어 있다.
상기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 커버(71)를, 도 5에 도시하는 전단 폐쇄 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하는 전단 개방 위치로 회전시키면, 록 스터드(78)가 록 개구(56)의 커버 스터드 가이드 홈(56a)을 따라 회전한다. 상기 록 스터드(78)가 서포트 록 해제부(56b)로부터 이간하여 커버 스터드 가이드 홈(56a)으로 이동하면, 서포트(46, 47)가 회전한다. 그리고, 도 14,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 연결 스터드(44)가 하(下) 회전 록 면(53b)으로부터 회전 록 면(54a)에 끼워지는 회전 규제 위치로 서포트(46, 47)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안내 홈 부(53)를 따른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 결과 서포트(46, 47)가 회전 불능한 상태, 즉, 경사 홀더(31)가 경사 위치로부터 삽입 가능 위치를 향해서 회전 불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 커버(71)가 해방된 상태에서, 잘못하여 경사 홀더(31)를 삽입 가능 위치를 향해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상기 전 커버(71)가, 도 6에 도시하는 전단 개방 위치로 이동하면, 카트리지 핸들(Kk6)로부터 커버 측 핸들 회전구(76a)가 떨어져서, 도 7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Kk)를 경사 홀더(31)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U)의 상부에 착탈되는 토너 카트리지(Kg ~ Kk)를 착탈할 때에, 전후(前後) 방향으로만 이동하고, 경사 홀더(31)와 같이 아래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지 않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신장이 낮거나, 휠체어 등을 사용하는 작업자에서도 토너 카트리지(Kg ~ Kk)를 용이하게 교환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작업의 설명)
도 7에서,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Kk)가 장착될 경우, 카트리지 핸들(Kk6)이 홀더 측 핸들 회전구(63a) 홀더 측 착탈 규제면(63c)으로 가이드되어서,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Kk)가 카트리지 유지면(62a)에 장착되어, 도 6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 커버(71)가 전단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회전 록 면(54a)과 서포트 연결 스터드(44)의 접촉에서 경사 홀더(31)가 회전 불능한 상태가 되고, 또한, 링크(27)의 피 정지부(27b)와 삽입 방지용 정지부(16a)의 접촉에서 삽입 불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 커버(71)를 닫아 잊은 상태에서 경사 홀더(31)를 회전시키거나, 삽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도 5, 도 6에서, 전 커버(71)를 전단 폐쇄 위치를 향해서 회전시키면, 도 17에 도시하는 상태를 거쳐 도 16에 도시하는 전단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전단 폐쇄 위치에서는, 서포트 연결 스터드(44)가 하 회전 록 면(53b)에 접촉한 상태로 되고, 서포트(46, 47)의 위쪽을 향해서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도, 링크(27)의 피 정지부(27b)와 삽입 방지용 정지부(16a)가 접촉하고 있어, 피 가이드 레일(21, 22)은 삽입 불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전 커버(71)가 전단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 카트리지 핸들(Kk6)이, 록 부(83)와 커버 측 착탈 규제면(76c)에 끼워져서,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핸들(Kk6)을 파지한 조작 중에, 카트리지(Kk)가 경사 홀더(31)에 대하여 회전하여, 의도한 조작과는 다른 조작이 되어버리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도 4, 도 5에서, 경사 홀더(31)를 도 5에 도시하는 경사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하는 삽입 가능 위치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때, 실시 예 1의 홀더 회전축(32)에 조립된 원 웨이 힌지(38)는, 경사 위치로부터 삽입 가능 위치를 향하는 회전 방향에 관해서는 회전력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방향의 일 방향뿐만 아니라 양방향의 회전력을 제한하는 제동 부재를 사용할 경우에 비해서, 이용자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경사 홀더(31)를 회전시킬 때에, 작업자의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을 제한하는 부하가 작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삽입 가능 위치에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삽입 가능 위치로 상승 중에 잘못하여 손이 떨어져도, 삽입 가능 위치로부터 경사 위치를 향해서의 회전은 회전력이 제한되어, 급속도에서의 낙하가 방지되고, 작업자가 부상 등의 사고가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사 홀더(31)에서는, 좌 커버(64)의 후단 보호부(64a)가 좌측 벽(36b)과 좌측의 피 가이드 레일(21)의 간격을 메우고 있고, 회전 작업 중에 잘못하여 피 가이드 레일(21)과 좌 커버(64)의 사이에 손가락을 채워버리는 등의 사고도 저감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삽입 가능 위치로 이동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46, 47)의 래치 구멍(51)에 걸기부(42d)가 끼워지고, 조작하는 작업자가 삽입 가능 위치로 이동한 것을 인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역으로, 조작자가 삽입 가능 위치로부터, 더욱 위쪽으로 회전시키려고 하여도, 도 11,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 연결 스터드(44)가 안내 홈 부(53)의 상(上) 회전 록 면(53a)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서포트(46, 47)의 위쪽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고, 경사 홀더(31)의 삽입 가능 위치보다도 위쪽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 가능 위치에서는, 전 커버(71)의 록 스터드(78)가 커버 록 부(56c)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고, 잘못하여 전 커버(71)가 전단 개방 위치에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삽입 가능 위치에서는, 링크(27)가 도 8에 도시하는 정지부 이간 위치로 이동하고 있고, 피 정지부(27b)가 오 삽입 정지부(16a)로부터 이간하여, 피 가이드 레일(21, 22)을 뒤쪽의 수용 위치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 도 4에서, 도 4에 도시하는 삽입 가능 위치로부터, 이용자가 카트리지 핸들(Kk6)을 누르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Kk)의 압입 리브(Kk7)가 상측 커버(62)의 리브 접점부(62b)에 접촉하고, 토너 카트리지(Kk)와 함께 경사 홀더(31) 및 피 가이드 레일(21, 22)이 도 3에 도시하는 뒤쪽의 수용 위치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때,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Kk)는, 카트리지 핸들(Kk6)이 록 부(83)와 커버 측 착탈 규제면(76c)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유출구 부(Kk2)가 셔터 통과 홈(6)에 대응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출구 부(Kk2)가 간섭하지 않고, 셔터 통과 홈(6)을 통과하여 수용 위치를 향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1에서, 경사 홀더(31) 등이 삽입 가능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고, 핸들 록(81)의 피 접점부(88)가 개구(1a)의 가장자리 전 측 프레임(1)의 전단면에 접촉하면, 록 스프링(87)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전 커버(7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홀더(31) 등이 수용 위치로 이동하면, 핸들 록(81)이 카트리지 핸들(Kk6)보다도 앞쪽에 튀어나온 위 치에 유지되어, 카트리지 핸들(Kk6)이 경사 홀더(31)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3에서, 수용 위치로 이동하여 핸들 록(81)에 의한 카트리지 핸들(Kk6)의 회전 규제가 해제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핸들(Kk6)을 회전하면, 도 3의 (c)에 도시하는 유출구 폐쇄 위치로부터 도 3의 (b)에 도시하는 유출구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유출구(Kk3) 및 유입구(9)가 개방되어, 접속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Kk)로부터 리저브 탱크(RTk)에 현상제가 공급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22는 실시예 2의 하(下) 회전 규제부 및 회전 규제부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 2의 회전 위치 조정 부재의 설명도이며, 도 23의 (a)는 회전 위치 조정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회전 위치 조정용 통로의 설명도, 도 23의 (b)는 천(淺) 회전 위치용 회전 위치 조정 부재의 설명도, 도 23의 (c)는 중(中) 회전 위치용 회전 위치 조정 부재의 설명도, 도 23의 (d)는 심(深) 회전 위치용 회전 위치 조정 부재의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2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위하고 있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22, 도 23에서, 실시예 2의 경사 홀더(31)에서는, 서포트(46', 47'의 전부(前部)에는, 실시예 1의 L자형 형상의 경사 정지 홈(52)으로 바꿔서, 대략 사각 형상의 경사 정지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3의 (a)에서, 실시예 2의 경사 정지 홈(52')은, 실시예 1의 안내 홈 부(53)에 대응하여, 전후(前後)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 홈 부(53')와, 상기 안내 홈 부(53')의 전단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또한 실시예 1의 회전 규제 홈 부(54)의 상하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의 폭을 갖는 사각 형상의 회전 조정구(52a')를 갖는다. 또한, 상기 회전 조정구(52a')의 앞쪽에는, 조정 부재 장착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정 부재 장착부(52b)에는, 회전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 도 23의 (b)에 도시하는 판 형상의 차 회전 조정판(91), 도 23의 (c)에 도시하는 중 회전 조정판(92), 도 23의 (d)에 도시하는 심 회전 조정판(93)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3의 (b)에서, 상기 천 회전 조정판(91)은, 회전 조정구(52a')의 전(前) 측을 가로막는 조정판 본체(91a)와, 조정판 본체(91a)의 후단부가 절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회전 조정구(52a')와의 사이의 간격에서 회전 규제용 홈 부(54)를 형성하는 천 회전 홈 형성부(9lb)를 갖는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조정판 본체(91a)에서는, 천 회전 홈 형성부(91b)의 안내 홈 부(53')의 앞쪽에 대응하는 표면에 의해 하 회전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하 회전 록 면(91d)이 구성되어 있다.
도 23의 (c)에서, 상기 중 회전 조정판(92)은, 회전 조정구(52a')를 가로막는 조정판 본체(92a)와, 안내 홈 부(53')의 전단에 접속되고, 또한 연장선 위에 앞 쪽으로 연장하는 홈에 의해 구성된 안내 홈 연장부(92b)와, 상기 안내 홈 연장부(92b)의 전단에 접속되고, 또한 위쪽으로 연장하는 중 회전 규제 홈 부(92c)를 갖는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조정판 본체(92a)에서는, 안내 홈 연장부(92b)와, 중 회전 규제 홈 부(92c)의 접속부에 의해 하 회전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하 회전 록 면(92d)이 구성되어 있다.
도 23d에서, 상기 심 회전 조정판(93)은, 회전 조정구(52a')를 가로막는 조정판 본체(93a)와, 안내 홈 부(53')의 전단에 접속되고, 또한 연장선 위로 회전 조정 구(52a')의 전단까지 연장하는 홈에 의해 구성된 안내 홈 연장부(93b)와, 안내 홈 연장부(93b)의 전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심 회전 규제 홈 부(93c)를 갖는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조정판 본체(93a)에서는, 안내 홈 연장부(93b)와, 심 회전 규제 홈 부(93c)의 접속부에 의해 하 회전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하 회전 록 면(93d)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는, 안내 홈 부(53')와, 안내 홈 연장부(92b, 93b)를 맞춘 홈의 길이는 천 회전 조정판(91)이 장착된 경우보다도, 중 회전 조정판(92)이 장착된 경우의 쪽이 길고, 중 회전 조정판(92)이 장착되었을 경우보다도 심 회전 조정판(93)이 장착되었을 경우 쪽이 길어져 있다.
(실시예 2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천 회전 조정판(91)이 회전 위치 조정 부재 장착부(52b)에 장착되면, 경사 홀더(31)를 경사시킨 경우에, 서포트 연결 스터드(44)가 안내 홈 부(53')의 전단인 하 회전 록 면(91d) 에 접촉하는 경사 위치에서 정지한다.
한편, 중 회전 조정판(92)이 장착된 경우, 서포트 연결 스터드(44)가 안내 홈 부(53')를 통과하여, 안내 홈 연장부(92b)의 전단의 하 회전 록 면(92d)에 접촉하는 경사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중 회전 조정판(92)이 장착된 경우의 경사 위치는, 천 회전 조정판(91)이 장착된 경우의 경사 위치에 대하여 삽입 가능 위치로부터의 회전 각도가 커진다.
마찬가지로, 심 회전 조정판(93)이 장착된 경우, 서포트 연결 스터드(44)가 안내 홈 부(53')를 통과하여, 안내 홈 연장부(93b)의 전단의 하 회전 록 면(93d)에 접촉하는 경사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심 회전 조정판(93)이 장착된 경우의 경사 위치는, 중 회전 조정판(92)이 장착된 경우의 경사 위치에 대하여 삽입 가능 위치로부터의 회전 각도가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U)에서는, 회전 조정판(91 ~ 93)을 착탈하면, 경사 홀더(31)의 경사 위치에서의 경사 각도가 변화하고, 이용자의 용도 등에 따라 경사 위치를 변경,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24는 실시예 3의 경사 홀더가 수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예 3의 경사 홀더가 인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예 3의 경사 홀더가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며, 실 시예 1의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3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위하고 있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또한, 도 24 ~ 도 26에서, 토너 카트리지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24 ~ 도 26에서, 실시예 3의 카트리지 홀더(KHk)에서는, 피 가이드 레일(21', 22')이, 실시예 1의 피 가이드 레일(21, 22)에 비해서, 전후(前後)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26에서, 실시예 3의 카트리지 홀더(KHk')에서는, 실시예 1의 서포트(46, 47)로 바꾸고, 좌측의 피 가이드 레일(21')의 전단부와, 경사 홀더(31)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서포트(101)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101)는, 일 단부의 일례로서의 기(其) 단부가 피 가이드 레일(21')에 서포트 회전축(101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타 단부의 일례로서의 선단부에는, 실시예 1의 안내 홈 부(53)에 대응하는 서포트(101)를 따라 연장하는 긴 구멍 형상의 안내 홈 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홈 부(102)의 서포트 회전축(101a) 측에는, 실시예 1의 상 회전 록 면(53a)에 대응하는 상 회전 록 면(102a)이 형성되고, 상 회전 록 면(102a)의 반대 측에는, 실시예 1의 하 회전 록 면(53b)에 대응하는 하 회전 록 면(10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101)의 안내 홈 부(102)에는, 실시예 1의 서포트 연결 스터드(44)에 대응하는 바깥쪽까지 돌출하는 서포트 연결 스터드(103)가 끼워지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의 경사 홀더(31)는, 피 가이드 레일(21', 22')에 의해, 도 25에 도시하는 삽입 허가 위치와, 도 26에 도시하는 하 회전 록 면(102b)에 서포트 연결 스터드(103)가 접촉하는 경사 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3의 경사 홀더(31)에서는, 전 커버(71)가 생략되어 있고, 홀더 커버(61')의 전단에, 앞쪽으로 연장하는 취수(取手) 형상의 홀더 핸들(104)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의 전 커버(71)의 회전과 서포트(46, 47)의 연동에 의한 경사 위치에서의 록이나, 삽입가능 위치에서의 전 커버(71)의 회전을 록 하는 기구에 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인출 규제 부재가, 홀더 커버(61)의 전단벽(63)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3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3의 카트리지 홀더(KHk')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피 가이드 레일(21', 22')이 도 24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와 도 25에 도시하는 인출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동시에, 경사 홀더(31)가 도 25에 도시하는 삽입 허가 위치와 도 26에 도시하는 경사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인출 위치보다도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 위치에서, 토너 카트리지(Kk)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각의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H01) ~ (H014))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U)는, 소위, 복합기에 의해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프린터, FAX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U)는, 6색의 토너가 사용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5색 이하나, 7색 이상의 토너를 사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G: 그린, O: 오렌지, Y: 옐로, M: 마젠타, C: 시안, K: 흑의 6색의 토너를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G: 그린, O: 오렌지의 토너로 바꿔서, 상기 6색 이외의 색의 토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 외에도, 방수, 보호를 위해 화상 표면을 코팅하는 무색 토너나, 기업이나 단체 등의 조직을 상징하는 색, 소위 코퍼레이트 컬러(corporate color)라고 하거나, 도난 방지 등을 위해, 인쇄 용지의 화상 내에 미리 설정된 형상, 배열, 예를 들면 선상의 자기 와이어를 형성하기 위한 자기 토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기 와이어로부터 발생하는 자기 펄스를 검출하는 도난 방지 장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6-256124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고, 공지되어 있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제동 부재의 일례로서 원 웨이 힌지를 사용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원 웨이 힌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정역 회 전 양방향에 제동을 하는 토크 리미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외에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부하 저항이 커지게 되는 완충 장치, 소위 댐퍼를 제동 부재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인출체의 일례로서의 레일 형상의 피 가이드 레일(21, 22, 21', 22')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소위 슬라이더 등의 종래 공지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토너 카트리지(Kg ~ Kk)는, 카트리지 셔터(Kk4)가 주면을 따라 주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인출 위치와 수용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때에 개폐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채용했을 경우, 토너 카트리지는 유지체 본체(36 + 61) 위로 회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핸들 회전구(63a, 76a)의 형상을 부채형이 아니라, 핸들(Kk6)이 통과가능한 상하 방향에 따른 홈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핸들 록(81)도 생략가능하다.
(H07) 상기 실시예에서, 링크(27)를 설치하여 경사 홀더(31)가 삽입 가능 위치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피 가이드 레일(21, 22)이 인출 위치에서 유지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지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H08) 상기 실시예에서, 걸기부(42d)와 래치 구멍(51)에 의한 걸기에서, 작업자에 삽입 가능 위치로 이동한 것을 지각시키거나, 삽입 가능 위치에서 경사 홀더(31)를 유지하는 보조를 하거나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핀(42)과 래치 구멍(51)의 조합을 채용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클로와 구멍이나, 클로와 핀으로 한 조합 등, 종래 공지의 임의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핀(42)을 홀더 프레임(36)에 설치하고, 래치 구멍(51)을 서포트(46, 47)에 설치했지만, 홀더 프레임(36)에 래치 구멍을 설치하고, 서포트에 핀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9) 상기 실시예에서, 서포트(46, 47)와, 전 커버(71)의 회전의 연동에 의해, 회전 록 면(54a)과 서포트 연결 스터드(44)가 끼워지고, 전 커버(71)를 전단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경사 홀더(31)가 회전 불능인 상태에서 록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0) 상기 실시예에서, 압입 리브(Kk7)와, 리브 접점부(62b)의 접촉에서, 카트리지 핸들(Kk6)을 조작하여 인출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까지 이동가능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압입 구성은 임의의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토너 카트리지(Kk)의 전단을 전 커버로 완전하게 덮고, 전 커버(71) 등으로 조작부를 설치하여 전 커버(71)를 압입하는 것에서 수용 위치를 향해서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1) 상기 실시예에서, 홀더 커버(61)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해서, 홀더 커버(61)의 각 부위를 홀더 프레임(36)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2) 상기 실시예에서, 록 스터드(78)와 록 개구(56)에 의해, 전 커버(71)의 회전과, 서포트(46, 47)를 연동시키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하고, 독립하여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터드(78)와, 개구(56)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연동 기구로 하는 것도 가능해서, 스터드(78)를 서포트(46, 47)에 설치하고, 통로를 전 커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3) 상기 실시예에서, 핸들 록(81)의 형상 등은, 실시예에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나 수단 등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H014) 상기 실시예에서, 토너 카트리지(Kk ~ Kg)가 핸들 통과구(63b)를 통과하여 장착될 때에, 회전 위치가 유출구 폐쇄 위치로부터 유출구 개방 위치 측에 어긋나는 가능성이 있지만,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 커버(71)를 닫을 때에, 토너 카트리지(Kk ~ Kg)를 유출구 폐쇄 위치에 회전시키는 기구를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핸들 록(81)에 토너 카트리지(Kk ~ Kg)의 전단에 접촉하여 회전시키는 캠(cam)을 설치하고, 전 커버(71)를 닫는 동작에 따라, 유출구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全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벨트 모듈의 전체(全體)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며, 도 3의 (a)는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 수용된 수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의 (b)는 토너 카트리지의 유출구와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유입구가 접속한 상태의 설명도, 도 3의 (c)는 도 3의 (b)의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회전한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실시예 1의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며, 도 3의 상태로부터 경사 홀더가 인출된 인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실시예 1의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며, 도 4의 상태로부터 경사 홀더가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의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며, 도 5의 상태로부터 전단(前端) 커버가 전단(前端)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1의 토너 디스펜서 장치의 요부 사시 설명도이며, 도 6의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취출된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의 인출체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8의 (a)는 도 4의 화살표 VIII 방향으로부터 본 요부 설명도, 도 8의 (b)는 도 6의 VIIIB - VIIIB 선 단면도.
도 9는 도 5의 화살표 IX 방향으로부터 본 요부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1의 제동 부재의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1의 (a)는 도 4의 삽입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경사 홀더 전부(前部)의 요부 설명도,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XIB - XIB 선 단면도.
도 12는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7의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경사 홀더 전부(前部)의 설명도.
도 13은 피 가이드 레일이 인출한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경사 홀더가 삽입가능 위치에 유지된 상태의 서포트의 요부 설명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경사 홀더가 경사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전단(前端) 커버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서포트의 요부 설명도.
도 15는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전단부(前端部)의 요부 설명도이며, 경사 홀더가 삽입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6은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전단부(前端部)의 요부 설명도이며, 경사 홀더가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7은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전단부(前端部)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전단(前端) 커버가 전단(前端) 개방 위치를 향해서 회전을 개시한 상태의 설명도.
도 18은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전단부(前端部)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전단(前端) 커버가 전단(前端)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9는 실시예 1의 경사 홀더 및 전단(前端) 커버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6에 대응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설명도.
도 20은 실시예 1의 경사 홀더의 전(前) 커버가 전단(前端) 폐쇄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20의 (a)는 사시도, 도 20의 (b)는 도 20의 (a)의 XXB - XXB 선 단면도, 도 20의 (c)는 도 20의 (a)의 XXC - XXC 선 단면도.
도 21은 도 3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에서의 핸들 록과 전(前) 측 프레임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
도 22는 실시예 2의 하(下) 회전 규제부 및 회전 규제부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
도 23은 실시예 2의 회전 위치 조정 부재의 설명도이며, 도 23의 (a)는 회전 위치 조정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회전 위치 조정용 개구의 설명도, 도 23의 (b)는 천(淺) 회전 위치용 회전 위치 조정 부재의 설명도, 도 23의 (c)는 중(中) 회전 위치용 회전 위치 조정 부재의 설명도, 도 23의 (d)는 심(深) 회전 위치용 회전 위치 조정 부재의 설명도.
도 24는 실시예 3의 경사 홀더가 수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
도 25는 실시예 3의 경사 홀더가 인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4에 대응하는 도면.
도 26은 실시예 3의 경사 홀더가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5에 대응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a : 오 삽입 정지부
27b : 연동 부재
21, 22 : 인출체
31 : 회전 유지체
32, 33 : 회전축
36 + 61 : 유지체 본체
38 : 이동 부재, 과부하 보호 장치, 일 방향 회전 전달 차단 장치
42d : 걸기부
44, 103 : 회전 규제부
46, 46', 47, 47', 101 : 보조 회전체
48, 101a : 보조 회전축
51 : 피 걸기부
53a, 102a : 상(上) 회전 규제부
53b, 91d, 92d, 93d, 102b : 하(下) 회전 규제부
Gg ~ Gk : 현상기
Kg ~ Kk : 착탈체, 현상제 수용 용기
KHg ~ KHk : 착탈체 유지 장치
Pg ~ Pk : 상 유지체
U : 화상 형성 장치
U3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Claims (10)

  1.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에 수용된 수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바깥쪽으로 인출(引出)된 인출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인출체와,
    상기 인출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인출체와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되는 착탈체를 유지하는 회전 유지체이며, 상기 인출체가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를 향해서 이동가능한 삽입 가능 위치와, 상기 삽입 가능 위치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중력 방향의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경사진 경사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한 상기 회전 유지체와,
    상기 회전 유지체의 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유지체가 상기 경사 위치로 회전 이동하는 이동 속도를 억제하는 제동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가, 미리 설정된 설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한 경우에 설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과부하 보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 회전력이, 중력에 의해 상기 회전 유지체를 회전시키는 자연 회전력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 장치가, 상기 경사 위치로부터 상기 삽입가능 위치를 향하는 회전 방향인 복귀 회전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또한,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부터 상기 경사 위치를 향하는 회전 방향인 경사 회전 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설정 회전력 이상의 경우에 상기 설정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전달 차단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4.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에 수용된 수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인출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인출체와,
    상기 인출체의 이동 방향을 향해서 연장,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되는 착탈체를 유지하는 유지체 본체를 갖고, 상기 인출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유지체이며, 상기 인출체가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를 향하여 이동가능한 삽입 가능 위치와, 상기 삽입가능 위치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중력 방향의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경사진 경사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한 상기 회전 유지체와,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회전 규제부와,
    상기 인출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 또한 상기 회전 유지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보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보조 회전체와,
    상기 보조 회전체의 상기 보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하(下) 회전 규제부이며, 상기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회전 규제부에 계합(係合)하여 상기 회전 유지체를 상기 경사 위치에 유지하고, 또한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경사 위치로부터 더 상기 중력 방향 아래쪽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기 하 회전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 회전 규제부가 상기 회전 유지체에 대한 위치가 변경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하 회전 규제부가, 상기 회전 규제부와의 계합시의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부터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 유지체의 경사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회전체가, 상기 회전 유지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보조 회전축이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7.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에 수용된 수용 위치와,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인출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인출체와,
    상기 인출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되는 착탈체를 유지하는 유지체 본체를 갖고, 상기 인출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유지체이며, 상기 인출체가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를 향하여 이동가능한 삽입가능 위치와, 상기 삽입가능 위치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중력 방향의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경사진 경사 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한 상기 회전 유지체와,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회전 규제부와,
    상기 인출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 또한 상기 회전 유지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보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보조 회전체와,
    상기 보조 회전체의 상기 보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회전 규제부에 계합하여 상기 회전 유지체의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부터 더 상기 중력 방향 위쪽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上) 회전 규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8.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형성된 오(誤) 삽입 정지부에 접촉·이간(離間) 가능한 피(被) 정지부를 갖고, 또한 상기 회전 유지체에 연결된 연동 부재이며, 상기 회전 유지체가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피 정지부가 상기 오 삽입 정지부로부터 이간한 이간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인출체의 이동을 허가하고, 또한 상기 회전 유지체가 상기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피 정지부가 상기 오 삽입 정지부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인출체의 이동을 방해하는 상기 연동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9.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회전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보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피 걸기부와,
    상기 회전 유지체에 배치된 걸기부이며, 상기 회전 유지체가 상기 경사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유지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보조 회전체의 상기 피 걸기부로부터 이간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유지체가 상기 삽입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피 걸기부에 걸리는 상기 걸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유지 장치.
  10.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을 가시(可視) 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와,
    상기 현상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제 수용 용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착탈체와,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체 유지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0086879A 2009-02-26 2009-09-15 착탈체 유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234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4616A JP5326656B2 (ja) 2009-02-26 2009-02-26 画像形成装置
JPJP-P-2009-044616 2009-02-26
JP2009068919A JP5417924B2 (ja) 2009-03-19 2009-03-19 着脱体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9-068938 2009-03-19
JP2009068904A JP5476757B2 (ja) 2009-03-19 2009-03-19 着脱体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068938A JP5423082B2 (ja) 2009-03-19 2009-03-19 着脱体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9-068904 2009-03-19
JPJP-P-2009-068919 2009-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587A KR20100097587A (ko) 2010-09-03
KR101234772B1 true KR101234772B1 (ko) 2013-02-19

Family

ID=4263107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722A KR101287896B1 (ko) 2009-02-26 2009-09-11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0086879A KR101234772B1 (ko) 2009-02-26 2009-09-15 착탈체 유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0087432A KR101287897B1 (ko) 2009-02-26 2009-09-16 착탈체 유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722A KR101287896B1 (ko) 2009-02-26 2009-09-11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432A KR101287897B1 (ko) 2009-02-26 2009-09-16 착탈체 유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8019252B2 (ko)
KR (3) KR101287896B1 (ko)
CN (3) CN1018193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4743B2 (en) * 2009-03-27 2014-01-21 Fuji Xerox Co., Ltd. Detachable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532542B2 (en) * 2009-07-23 2013-09-10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oner container
GB2484967B (en) * 2010-10-28 2017-01-04 Fujitsu Ltd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the discovery of resources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9223288B2 (en) * 2011-08-25 2015-12-29 Ricoh Company, Ltd. Waste toner collecting container and process unit
JP5953841B2 (ja) * 2012-03-13 2016-07-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432826B2 (ja) * 2014-08-11 2018-12-0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1550182S (ko) * 2015-10-15 2016-05-30
EP3451070A1 (en) * 2017-08-28 2019-03-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7051347B2 (ja) * 2017-09-21 202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WO2019070278A1 (en) 2017-10-05 2019-04-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STATION FOR DISTRIBUTING CONSTRUCTION MATERIAL
JP7010188B2 (ja) 2018-09-28 2022-0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09342B2 (ja) * 2018-10-26 2023-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200107454A (ko) * 2019-03-08 2020-09-1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
JP2021117473A (ja) 2020-01-29 2021-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435123B2 (ja) * 2020-03-25 2024-02-2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着脱式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容器搭載装置
US20230176502A1 (en) * 2021-12-07 2023-06-08 General Plastics Industrial Co., Ltd. Powder container coupling mechanis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3686A (en) 1989-12-15 1992-12-22 Clarion Co., Ltd. Sliding accommoda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4126407A (ja) 2002-10-07 2004-04-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8175985A (ja) 2007-01-17 2008-07-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8514B2 (ja) 1992-12-30 2003-11-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補給装置
US5455662A (en) 1992-12-30 1995-10-03 Ricoh Company, Ltd. Developer replenishing device and developer container for use therewith
US5734953A (en) * 1995-02-17 1998-03-31 Ricoh Company, Ltd. Detachable toner supply and processing assembly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aving a shutter mechanism for toner flow control
US5737675A (en) * 1995-07-31 1998-04-07 Mita Industrial Co. Ltd. Toner supply device including toner cartridge and guide
KR100227914B1 (ko) 1995-10-11 1999-11-01 이토가 미찌야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보급장치, 및 그에 탑재된 토너용기
JP3535721B2 (ja) * 1997-01-10 2004-06-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JPH10213959A (ja) 1997-01-30 1998-08-11 Konica Corp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08153B2 (ja) * 1997-06-19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97065B2 (ja) * 1997-06-1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143190A (ja) 1997-11-11 1999-05-28 Canon Inc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275946A (ja) 1999-03-29 2000-10-06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JP3790083B2 (ja) * 2000-02-22 2006-06-28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EP1233311B1 (en) * 2001-02-19 2012-08-2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JP3952705B2 (ja) 2001-05-29 2007-08-0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3114568A (ja) 2001-10-05 2003-04-18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容器
JP4095875B2 (ja) * 2001-10-30 2008-06-0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307009B2 (ja) 2002-04-03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US7133629B2 (en) * 2002-04-12 2006-11-0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as easy-to-handle large capacity toner container
JP3741691B2 (ja) * 2002-04-12 2006-02-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523346B1 (ko) 2003-02-17 2005-10-24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화상 형성 장치
EP1589384B1 (en) * 2004-04-23 2020-01-08 Ricoh Company, Ltd. Developer container
JP4006426B2 (ja) 2004-09-08 2007-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RU2407049C2 (ru) * 2004-11-24 2010-12-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JP2006215239A (ja) 2005-02-03 2006-08-1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4600331B2 (ja) * 2006-03-29 2010-1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224837A (ja) * 2007-03-09 2008-09-2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5130784B2 (ja) * 2007-05-15 2013-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3686A (en) 1989-12-15 1992-12-22 Clarion Co., Ltd. Sliding accommoda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4126407A (ja) 2002-10-07 2004-04-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8175985A (ja) 2007-01-17 2008-07-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19392B (zh) 2014-06-04
US7904005B2 (en) 2011-03-08
US8406652B2 (en) 2013-03-26
KR20100097585A (ko) 2010-09-03
KR101287897B1 (ko) 2013-07-19
KR101287896B1 (ko) 2013-07-19
KR20100097587A (ko) 2010-09-03
CN101819399B (zh) 2013-10-16
US20100221045A1 (en) 2010-09-02
US20100215407A1 (en) 2010-08-26
US8019252B2 (en) 2011-09-13
CN101819399A (zh) 2010-09-01
CN101819391B (zh) 2014-07-09
KR20100097589A (ko) 2010-09-03
CN101819392A (zh) 2010-09-01
US20100215395A1 (en) 2010-08-26
CN101819391A (zh)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772B1 (ko) 착탈체 유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504814B2 (ja) 現像剤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031294B1 (ko)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4432455B2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3045980B1 (en) Image forming unit
JP5910015B2 (ja) 現像剤の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86375B2 (ja) 粉体収容器および粉体処理装置
US10527999B2 (en) Cartrid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eatures to prevent erroneous cartridge unit locking
JP2009031730A (ja) 画像形成装置
JP5423082B2 (ja) 着脱体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09780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564595B2 (en) Cartridge unit
JP5476757B2 (ja) 着脱体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17924B2 (ja) 着脱体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9078987A (ja) 現像剤収容体、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02493B2 (ja) 着脱体保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94100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JP6556309B2 (ja) 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