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965B1 - 무기 이온 전도막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기 이온 전도막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965B1
KR101226965B1 KR1020097008582A KR20097008582A KR101226965B1 KR 101226965 B1 KR101226965 B1 KR 101226965B1 KR 1020097008582 A KR1020097008582 A KR 1020097008582A KR 20097008582 A KR20097008582 A KR 20097008582A KR 101226965 B1 KR101226965 B1 KR 101226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delete delete
ion conductive
inorganic
conductiv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306A (ko
Inventor
류병훈
공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에너지
Publication of KR20100013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39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53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6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elimination of segments of the precursor, e.g. nucleation-track membranes, lithography or laser methods
    • B01D67/0065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elimination of segments of the precursor, e.g. nucleation-track membranes, lithography or laser methods by anodic 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5Support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01D69/145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containing embedded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B01D71/025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22Anodisation on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06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s used
    • C25D11/08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s used containing inorga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16Pretreatment, e.g. desm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18After-treatment, e.g. pore-sealing
    • C25D11/24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26Anodisation of refractory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30Anodisation of magnes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34Anodisation of metals or alloy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5D11/04 - C25D11/3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89Means for holding the electrolyte
    • H01M8/0293Matrices for immobilising electrolyte solu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Catalyst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산화 반응을 이용하여 무기 피막으로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무기 이온 전도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 전지에 적용함으로써, 모든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하고, 높은 성능을 보이며, 연료의 누출 등이 없는 연료 전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무기 이온 전도막, 연료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금속 및 상기 금속과 동일한 재질의 도선을 배치하고, 상기 금속에는 양극 전류, 상기 도선에는 음극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과 상기 도선에 전해액을 가하여, 상기 양극 전류가 인가된 상기 금속의 양면 중 적어도 일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무기 피막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기 이온 전도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무기 이온 전도막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INORGANIC CONDUCTIVE MEMBRANE, FUEL CELL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무기 이온 전도막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 산화 반응을 이용하여 무기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이온 전도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 전지에 적용함으로써, 모든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하고, 높은 성능을 보이며, 연료의 누출 등이 없는 연료 전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무기 이온 전도막, 연료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라 함은 수소 이온과 산소가 반응할 때 발생하는 전류를 연료로서 사용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온 전도막을 중심으로 한쪽에 수소 또는 탄화수소 등 연료를 가하고 반대쪽에 산소 혹은 공기를 가하면 연료 측에서 수소가 촉매에 의해 해리되어 양전자와 전자로 나뉘게 되는데, 해리된 양전자는 이온 전도막을 통해 산소와 반응하여 물로 생성되고, 발생한 전자는 전력으로 이용하는 장치이다.
연료 전지는 사용하는 연료와 구조, 작동 방식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 되는데 그 중 수소 연료 전지와 메탄올 연료 전지의 경우에는 상기 이온 전도막으로서 고분자 재질의 이온 전도막을 사용한다.
이러한 고분자 재질의 이온 전도막으로서 대표적인 것이 술폰화 된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계열의 고분자막(상표명: 듀폰(DuPont)의 나피온(Nafion))이다. 이는 술폰화 된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으로 구성된 고분자 백본에 술폰기로 종지된 퍼플루오르 비닐 에틸기가 붙어있는 구조이며, 여러가지 구조 모델 중 클러스터-네트워크 모델의 해석에 따르면 역전된 마이셀 구조의 이온 클러스터가 연속적으로 플루오르 카본 격자의 내부에 배치되어 마이셀 사이에 형성되며, 대략 10×10-10 m 정도의 직경을 갖는 기공을 통해 이온 전달 경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와 유사한 양전자 전도 기능을 가진 종지기를 내부에 함유하는 기공은 연료 전지의 이온 전도막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고분자 재질의 이온 전도막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온 전도막으로서 고분자 재질의 이온 전도막을 사용할 경우 연료 전지의 구동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막의 온도도 변화하게 되는데, 온도가 변화하게 되면 분자간 결합의 거리 또한 변하는 고분자의 특성에 의해 이온 전도막에 형성되는 이온 전달 경로의 직경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연료 전지 작동 시 수소 이온만 전달되지 않고 수소, 또는 탄화수소 등의 연료 또한 막을 통해 침범하게 되는 크로스오버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연료 전지 내부에서 음극과 양극 사이에 분극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연료 전지의 성능이 급감하는 결과가 생 기는 문제이다.
또한, 연료 전지에서 사용하는 이온 전도막은 그 특성상 압력의 변화 등 기계적인 충격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고분자 재질의 이온 전도막은 이와 같은 물리적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 성능이 열화되는 문제 또한 존재한다.
한편, 고분자 재질의 이온 전도막은 화학물질과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하게 되는데 고분자의 특성상 이러한 접촉은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온 전도막을 구성하는 물질을 열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고분자 재질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매우 제한적인 작동온도 범위에서 연료 전지를 동작시켜야하므로 고온에서 작동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여러가지 이점을 포기해야 하는 문제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연료 전지에 필요한 이온 전도막으로서, 상기 고분자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온 전도막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 전지의 이온 전도막을 고분자 재질이 아닌 무기 재질로 함으로써, 온도의 제한 없이 고온에서도 동작가능하며, 이에 따라 고온에서 얻을 수 있는 여러가지 이점들을 얻음과 동시에 연료 전지의 성능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 전지의 이온 전도막을 무기 재질로 함으로써,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연료의 누출 등이 없는 안정화된 연료 전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료 전지에 있어서, 연료 전지의 이온 전도막을 신축성이 없는 무기 이온 전도막으로 구성함으로써, 기존 연료 전지에서의 문제점, 즉, 신축성의 존재에 따른 신뢰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물리적 충격에 강하고, 그 활성도가 높은 연료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금속 관의 내부에 상기 금속과 동일한 재질의 도선을 배치하여 음극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금속 관에는 양극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관과 상기 도선에 전해액을 가하여, 상기 양극 전류가 인가된 상기 금속 관의 내벽과 외벽 중 적어도 일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무기 피막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기 이온 전도막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 금속 판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금속 판과 동일한 재질의 도선을 배치하여 음극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금속 판에는 양극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판과 상기 도선에 전해액을 가하여, 상기 양극 전류가 인가된 상기 금속 판의 적어도 일면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무기 피막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기 이온 전도막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b) 단계 이후에는, 상기 무기 피막 형성 후 잔류하는 상기 금속 관 또는 상기 금속 판 중 적어도 일부를 에칭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 이전에는, 상기 금속 관 또는 상기 금속 판을 염기 용액으로 에칭하여 상기 금속 관 또는 상기 금속 판에 존재하는 산화물을 제거하고, 약산성 용액으로 디스머트하여 상기 금속 관 또는 상기 금속 판에 존재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성 전해액은 황산 용액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 피막으로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무기 이온 전도막이 제공된다.
상기 기공은 10nm∼150㎛의 직경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무기 피막의 두께는 0.1∼500㎛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 금속 관의 내부에 상기 금속과 동일한 재질의 도선을 배치하여 음극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금속 관에는 양극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관과 상기 도선에 전해액을 가하여, 상기 양극 전류가 인가된 상기 금속 관의 내벽과 외벽 중 적어도 일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무기 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무기 이온 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무기 피막 형성 후 남아있는 상기 금속 관 중 적어도 일부를 에칭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무기 피막의 내벽과 외벽에 귀금속 계열의 촉매 모액을 담지시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 금속 판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금속 판과 동일한 재질의 도선을 배치하여 음극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금속 판에는 양극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판과 상기 도선에 전해액을 가하여, 상기 양극 전류가 인가된 상기 금속 판의 적어도 일면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무기 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무기 이온 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무기 피막 형성 후 남아있는 상기 금속 판 중 적어도 일부를 에칭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무기 피막의 양면에 귀금속 계열의 촉매 모액을 담지시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은, (e) 상기 촉매층에 술폰기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을 접촉시켜, 수소 이온의 전도를 가능하게 하는 술폰기를 상기 무기 피막의 기공에 정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 이후에는, 상기 무기 피막의 내부 또는 일면은 수소 또는 탄화수소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무기 피막의 외부 또는 타면은 공기 또는 산소에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무기 피막의 내벽에는 백금과 루테늄의 혼합물 촉매 용액을 담지시키고, 외벽에는 백금 용액을 담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무기 피막의 양면 중 일면에는 백금과 루테늄의 혼합물 촉매 용액을 담지시키고, 타면에는 백금 용액을 담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 피막으로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무기 이온 전도막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가 제공된다.
상기 연료 전지는, 상기 무기 이온 전도막의 양면에 형성되며, 수소 해리 반응에 활성을 가지는 촉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전지의 이온 전도막으로서, 고분자 재질이 아닌 무기 이온 전도막을 사용함으로써, 온도의 제한 없이 고온에서도 동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온에서 얻을 수 있는 여러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그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전지의 이온 전도막을 무기 이온 전도막으로 함으로써,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이온 전달 경로인 기공의 크기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연료의 누출 등이 없는 안정화된 연료 전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연료 전지의 이온 전도막을 신축성이 없는 무기 이온 전도막으로 구성함에 따라, 기존 연료 전지에서의 문제점, 즉, 신축성의 존재에 따른 신뢰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물리적 충격에 강하고, 그 활성도가 높은 연료 전지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 이온 전도막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 이온 전도막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필요한 양극 산화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기로 한다.
양극 산화
양극 산화라는 것은 양극 반응시 일어나는 산화 현상으로서, 이를 이용하면, 전해 반응을 이용하여 금속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물이나 질화물의 피막을 성장시키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양극 산화 시에는 금속 표면의 미시적인 형태 변화, 또는 결정 구조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데, 양극 산화의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산성 전해액을 통해 직류 전류를 흘리면 음극 금속에서는 수소가 발생하고 양극 금속(알루미늄(Al) 합금, 티타늄(Ti), 아연(Zn), 마그네슘(Mg), 니오븀(Nb) 등의 금속)에서는 산소가 형성되게 되는데 형성된 산소는 양극 금속과 반응하면서 금속 산화물 피막을 형성시킨다. 이 과정에서 산성 전해액은 생성된 산화물 피막을 미세하게 용해시키게 되는데, 이 때 용해 속도와 상기 산화물 피막의 형성 속도가 균형을 이루게 되면, 상기 양극 금속 표면에 10∼150 nm 의 직경을 갖는 균일한 기공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기공이 생기게 되면, 산성 전해액과 전류가 산화물 피막의 하부에 존재하는 금속 기질과 접촉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자발적인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산화물 피막보다 월등히 두꺼운 피막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피막은 그 공정 조건에 따라 여러가지 물성을 지니는데 낮은 농도의 전해액과 높은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을 이용할수록 두꺼운 피막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산화물 피막은 0.5∼150 ㎛ 범위에서 다양한 두께를 가진다. 한편, 이러한 산화물 피막은 내부식성과 내마찰성이 높고 표면에 규칙적인 세 공이 형성되어 있어 염료 등 용액이 침투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현재, 가장 널리 알려진 양극 산화 공정 규격은 MIL-A-8625 규격이며, 이에 의하면 양극 산화 공정은 세 가지의 알루미늄 양극 산화 공정으로 분류된다. 이 세가지 방식은 각각 양극 산화 공정, 황산 양극 산화 공정 및 황산 경질 양극 산화 공정이며, 각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피막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상이하다.
무기 이온 전도막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 전도막으로서, 상기 설명한 양극 산화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연료 전지용 무기 이온 전도막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 이온 전도막의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 이온 전도막은 전도성 금속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전도성 금속이라면 본 발명의 무기 이온 전도막의 기초 물질로서 이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도성 금속이 알루미늄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속이 빈 원기둥 형태의 알루미늄 관(110)을 준비하고, 준비된 알루미늄 관의 내부와 외부를 탈지한다. 탈지 방법으로는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서, 산 용액을 이용한 탈지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 후, 탈지한 알루미늄 관(110)을 에칭하여 알루미늄에 함유된 금속 산화물 들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에칭으로는 알루미늄 관(110)을 염기성 용액에 노출시키는 염기 에칭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루미늄 관(110)을 약산성 용액으로 디스머트하여 불용성 물질 또한 제거해낸다.
이렇게 하여, 산화물 및 불용성 물질 등이 제거된 알루미늄 관(110)이 얻어졌다면, 알루미늄 관(110)의 중심에는, 알루미늄 선(130) 또는 알루미늄 철사를 배치하여 음극 전류를 인가하고, 알루미늄 관(110)에는 양극 전류를 인가하여, 전술한 양극 산화 반응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알루미늄이 관(110)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음극 전류가 인가되는 알루미늄 선(130)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알루미늄이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알루미늄 판에 양극 전류가 인가되고, 알루미늄 판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알루미늄 선에 음극 전류가 인가될 수도 있다.
양극 산화 반응을 위해, 알루미늄 관(110)의 내부에 산성 전해액을 순환시킨다. 산성 전해액으로는 저온의 황산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산성 전해액을 순환시키게 되면, 음극 전류가 인가된 알루미늄 선(130) 주위에서는 수소가 발생하고, 양극 전류가 인가된 알루미늄 관(110)에서는 산소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산소가 상기 알루미늄 관(110)과 반응함으로써 알루미늄 관의 내벽에는 산화 알루미늄인 알루미나가 서서히 적층되게 되고, 이는 알루미나 피막으로서 형성된다.
이 때, 전술한 양극 산화의 원리에서와 같이, 산성 전해액이 상기 알루미나 피막을 미세하게 용해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용해 속도와 알루미나 피막의 성장 속도가 균형을 이루게 되면, 알루미나 피막에 기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기공은 10∼150㎛ 의 직경을 갖는 균일한 기공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즉, 양극 산화의 원리를 통해 균일한 기공이 형성된 두꺼운 알루미나 피막이 알루미늄 관(110) 내벽에 형성되게 된다. 피막의 두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약 0.1∼500㎛ 정도일 수 있다.
만족할만한 수준의 두께의 알루미나 피막이 얻어지면, 남아있는 알루미늄 관(110)을 제거한다. 알루미늄 관(110)의 제거는 에칭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형성된 알루미나 피막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시키는 기능과 함께, 집전체로서 사용하기 위해 일부분의 알루미늄 관(110)은 남겨놓을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공질의 알루미늄 피막, 즉, 무기 이온 전도막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다공질의 무기막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배기 가스 정화 등 기체 반응에 이용될 수도 있으며, 태양 전지에서의 광 흡수층 또는 전자 수용체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태양 전지는 흡수된 태양 광이 태양 전지에 포함되는 전자 수용층(p형 층)에 도달됨으로써 발생하는 자유 전자가 n형 층 쪽으로 계속적으로 끌려감에 따라 전기 에너지가 발생되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 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서는 태양 전지로 입사되는 광의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흡수된 태양 광을 이용하여 많은 자유 전자를 발생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의 무기막을 태양 전지에 적용시키면 광 흡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자유 전자의 발생이 촉진되어 전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즉, 다공질 특성으로 인해 입사되는 광의 난반사가 촉진되고 이에 따라 태양광의 흡수율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기막의 기초 물질을 광감흥성 높은 물질로 하게 되면, 태양광 흡수에 따른 자유 전자 발생이 촉진되게 되어 전지 효율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막을 태양 전지에 적용시키면 태양광의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 등의 필요 없이도 높은 광 흡수율 및 전지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무기 이온 전도막을 이용한 연료 전지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방법에 따라 얻어진 무기 이온 전도막을 이용하여 연료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알루미나 피막으로 형성된 무기 이온 전도막(210)의 내벽과 외벽에 수소 해리 반응에 활성을 가지고 있는 귀금속 계열의 촉매 모액을 담지시켜 촉매층(230)을 형성시킨다. 이 때, 무기 이온 전도막(210)의 내벽에는 백금과 루테늄의 혼합물 용액 등의 촉매 모액을 담지시키고, 외벽에는 백금 용액 등의 촉매 모액을 담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알루미늄 관 대신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는 경우, 즉, 알루미나 피막이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무기 이온 전도막의 양 면에 귀금속 계열의 촉매 모액을 담지시킴으로써 촉매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 후, 이를 공기 흐름 하에서 450℃로 12시간 동안 소성시켜 결정 구조를 성장시킨다.
촉매층(230)을 형성한 후에는, 촉매층(230)에 술폰기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을 접촉시킨다. 이는, 알루미나 피막인 무기 이온 전도막(210)의 내부 기공에 수소 이온의 전도를 가능하게 하는 술폰기를 정착시키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무기 이온 전도막(210) 및 촉매층(230)을 포함하는 구조체(200)의 외벽에 양극 단자를 형성시키고, 내벽에 음극 단자를 형성시킨 후, 내부에는 수소 또는 메탄올 등의 탄화수소를 통과시키고, 외부는 공기 또는 산소에 노출시켜 연료 전지를 완성한다.
이렇게 제조된 연료 전지는, 고분자 재질이 아닌 무기 이온 전도막을 사용함으로써, 온도의 제한 없이 고온에서도 동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온에서 얻을 수 있는 여러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그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이온 전달 경로인 기공의 크기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연료의 누출 등이 없는 안정화된 연료 전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고분자 재질이 아닌 무기 이온 전도막을 이용하므로, 물리적 충격에 강하고, 그 활성도가 높은 연료 전지를 얻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 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a) 금속 관의 내부에 상기 금속과 동일한 재질의 도선을 배치하여 음극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금속 관에는 양극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b) 상기 금속 관과 상기 도선에 전해액을 가하여, 상기 양극 전류가 인가된 상기 금속 관의 내벽과 외벽 중 적어도 일부에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무기 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무기 이온 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무기 피막 형성 후 남아있는 상기 금속 관 중 적어도 일부를 에칭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무기 피막의 내벽에는 백금과 루테늄의 혼합물 촉매 용액을 담지시키고, 외벽에는 백금 용액을 담지시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촉매층에 술폰기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을 접촉시켜, 수소 이온의 전도를 가능하게 하는 술폰기를 상기 무기 피막의 기공에 정착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무기 피막의 내벽은 수소 또는 탄화수소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무기 피막의 외벽은 공기 또는 산소에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97008582A 2008-04-29 2009-04-27 무기 이온 전도막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26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757 2008-04-29
KR20080039757 2008-04-29
PCT/KR2009/002183 WO2009134039A2 (ko) 2008-04-29 2009-04-27 무기 이온 전도막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926A Division KR101295840B1 (ko) 2008-04-29 2009-04-27 무기 이온 전도막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306A KR20100013306A (ko) 2010-02-09
KR101226965B1 true KR101226965B1 (ko) 2013-01-28

Family

ID=412555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582A KR101226965B1 (ko) 2008-04-29 2009-04-27 무기 이온 전도막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27002926A KR101295840B1 (ko) 2008-04-29 2009-04-27 무기 이온 전도막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926A KR101295840B1 (ko) 2008-04-29 2009-04-27 무기 이온 전도막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28681B2 (ko)
EP (1) EP2278651B1 (ko)
JP (1) JP2011518958A (ko)
KR (2) KR101226965B1 (ko)
CN (1) CN102017262B (ko)
WO (1) WO20091340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958A (ja) 2008-04-29 2011-06-30 イー.エム.ダブリュ.エナ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機イオン伝導膜とこれを含む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80799A (ko) * 2010-01-07 2011-07-1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에너지 양성자 전도성 막,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349076B1 (ko) * 2011-07-20 2014-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용 매니폴드 블록의 산화층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1912768B1 (ko) * 2017-03-23 2018-10-30 한국화학연구원 전이금속이 담지된 설폰화 고분자-아민계 고분자착체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파라핀 분리공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826A (ja) * 2005-09-22 2007-04-05 Nissan Motor Co Ltd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触媒層構造及びその触媒層構造を有する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173A (ja) 1995-08-31 1997-03-11 Univ Tohoku 多孔性アルミナ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3216520B2 (ja) 1996-03-12 2001-10-09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陽極酸化材の電解着色法
DE60222738T2 (de) 2002-04-15 2008-07-03 Becromal S.P.A. Herstellungsprozess für eine protonenleitende Membran mit Aluminiumoxidmatrix
EP1391235A2 (en) * 2002-04-15 2004-02-25 Becromal S.p.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orous alumina membrane for fuel cells
JP2003317741A (ja) * 2002-04-26 2003-11-07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用電極構造体
JP3932549B2 (ja) 2002-07-10 2007-06-2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解質膜
JP3837550B2 (ja) 2003-06-11 2006-10-25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高アスペクト比プローブ
JP2005149796A (ja) * 2003-11-12 2005-06-09 Canon Inc 固体高分子電解質膜およ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4445766B2 (ja) * 2004-02-10 2010-04-07 財団法人神奈川科学技術アカデミー 陽極酸化ポーラスアルミナの製造方法
WO2005092794A1 (ja) 2004-03-26 2005-10-06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多孔質アルミナ粒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6026938A (ja) 2004-07-12 2006-02-02 Furukawa Sky Kk 成形加工性に優れる水溶性潤滑樹脂被覆陽極酸化処理板
JP4421542B2 (ja) 2005-09-29 2010-02-24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システム用触媒構造体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CN1990101B (zh) * 2005-12-29 2010-05-0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用于质子交换膜燃料电池的电催化剂
EP1900418A1 (de) 2006-09-07 2008-03-19 Becromal S.p.A. Membran für eine Brennstoffzel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4814073B2 (ja) 2006-12-14 2011-11-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半導体又は液晶製造装置用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14054B1 (ko) 2007-06-20 2009-08-28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9083432A (ja) 2007-10-03 2009-04-23 Furukawa Sky Kk 防汚用プレコートアルミニウム材
JP2011518958A (ja) 2008-04-29 2011-06-30 イー.エム.ダブリュ.エナ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機イオン伝導膜とこれを含む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826A (ja) * 2005-09-22 2007-04-05 Nissan Motor Co Ltd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触媒層構造及びその触媒層構造を有する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4039A9 (ko) 2010-05-06
EP2278651A2 (en) 2011-01-26
KR20120045003A (ko) 2012-05-08
KR20100013306A (ko) 2010-02-09
CN102017262B (zh) 2013-10-09
EP2278651A4 (en) 2014-01-15
EP2278651B1 (en) 2016-12-07
CN102017262A (zh) 2011-04-13
WO2009134039A3 (ko) 2010-02-25
KR101295840B1 (ko) 2013-08-12
WO2009134039A2 (ko) 2009-11-05
US20110045379A1 (en) 2011-02-24
JP2011518958A (ja) 2011-06-30
US8728681B2 (en)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7685B2 (ja) グラフェンで覆われた電極を含む電気化学セル
CN105514465B (zh) 拒水层和燃料电池
CN101008087B (zh) 一种固体聚合物电解质水电解用膜电极的制备方法
KR101724690B1 (ko) 양극산화를 통한 철-니켈 기반 물분해 촉매전극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물 분해 촉매전극
KR20170085591A (ko) 유기 수소화물 제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수소화물의 제조 방법
US9184463B2 (en) Nitric acid regeneration fuel cell systems
KR101226965B1 (ko) 무기 이온 전도막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130514A1 (e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fuel cell
US20120138456A1 (en) Solar fuels generator
Matsushima et al. Three-phase interfacial phenomena in alkaline 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
CN111575726B (zh) 一种用于二氧化碳的电化学还原的电化学反应器
JP5115681B2 (ja) 燃料電池用電解質膜及び燃料電池用電解質膜の製造方法
JP2009218161A (ja) ガス拡散層、膜電極接合、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US20080003479A1 (en) Ionic polymer metal composite electrolyte for fuel cell
JP2002500806A (ja) ゼオライト膜を有する燃料電池のような電解反応器
CN101579632A (zh) 一种镍钯/硅微通道催化剂及应用于制备可集成直接甲醇燃料电池电极
KR20150066104A (ko) 양극산화법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 지지체 제조방법
JP4760041B2 (ja) 燃料電池用電解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59516A (ko) 양성자 교환 막 연료 전지용 가스 확산층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66986A (ko) Pem 수전해용 막-전극 어셈블리
WO2024101105A1 (ja) 電解用陽極及びその製造方法
JP4543704B2 (ja) 高分子固体電解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89962B1 (ko) 마이크로 액체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1064417A (ja) イオン伝導膜及びその製造方法
Ishida et al. Study of oxygen generation system for space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03

Effective date: 201211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