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343B1 - 벽지호부기 - Google Patents

벽지호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343B1
KR101225343B1 KR1020060109820A KR20060109820A KR101225343B1 KR 101225343 B1 KR101225343 B1 KR 101225343B1 KR 1020060109820 A KR1020060109820 A KR 1020060109820A KR 20060109820 A KR20060109820 A KR 20060109820A KR 101225343 B1 KR101225343 B1 KR 10122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ocking
locking lever
notch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968A (ko
Inventor
유수케 야하타
야수아키 마츄이
카주마사 야마모토
마사키 코로야수
Original Assignee
교구토 산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구토 산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구토 산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8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4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다리의 개폐작업이 용이하고, 나아가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에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는 벽지 호부기를 제공한다.
다리(2)의 지지점 하방에서 계지용 돌기(5)를 설치하고, 예를 들어 제1노치(6)를 갖는 제1잠금레버(8)와 제2노치(9)를 갖는 제2잠금레버(11)를 설치해서, 핸들봉(14)의 조작에 의해 제1잠금레버(8)와 제2잠금레버(11)를 연동시켜서 회동시키도록 잠금기구를 구성하고, 제1잠금레버(8)의 일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제1노치(6)가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해서 다리(2)가 개각상태로 잠겨지고(a), 제1잠금레버(8)의 타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잠금해제로 되어 다리(2)를 닫을 수 있어[(b)~(d)], 폐각상태에서의 제1잠금레버(8)의 잠김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제2노치(9)가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해서 폐각상태에서 잠김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f).
잠금레버, 계지용 돌기, 개각상태, 폐각상태, 잠금기구

Description

벽지호부기{WALLPAPER PASTING MACHINE}
도 1(a)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f)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f)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f)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a)~(f)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다리부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으로 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벽지호부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레임
2 : 다리
3 : 지지부재
3a : 계지용 돌기
4 : 지지축
5 : 계지용 돌기
6 : 제1노치
7 : 제1지점 핀(제1지점)
7a : 용수철 부재
8 : 제1잠금레버
8a : 돌기
9 : 제2노치
10 : 제2지점 핀(제2지점)
11 : 제2잠금레버
12 : 장혈
13 : 핀
14 : 핸들봉
14a : 노치
15 : 용수철
16 : 핀
17 : 핀
18 : 잠금레버
31 : 핀
32 : 용수철
[특허문헌 1] 특개평9-299845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2001-170531호 공보
본 발명은 벽지호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네 코너에 취부되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개각(開脚) 및 폐각(閉脚) 자유롭게 상단부가 축지지된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를 구비한 벽지호부기를 다리의 개폐작업이 용이하고 나아가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도록 구성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3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지호부기는 풀상자나 풀먹임 및 종이반송 등을 행하는 롤러 그룹을 구비한 호부기 본체(A)와 다리부(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다리부(B)는 호부기 본체(A)를 지지하는 프레임(1)과 프레임 네 코너의 다리(2)에 의해 구성되고, 통상 벽지호부기를 차 등으로 운반하는 때에 높이가 늘어나지 않도록 다리(2)가 접이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경우에 다리(2)를 사용하는 때에 개각상태로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놉볼트로 고정하거나 못으로 고정하도록 한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왔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방법은 안정성은 있지 만 작업이 불편하기도 하고 반대로 작업은 용이하지만 안정성이 결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개각상태에 있는 때에 다리의 회동지점부터 안쪽에 있어서 다리의 측면에 당접하고 부세수단에 의해 부세되어 다리를 개각상태로 잠그는 잠금부재를 설치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또한, 그와 같이 잠금부재가 다리의 회동지점부터 안쪽 당접하는 구조는 다리의 회동지점에서 상방(안쪽)에 잠금부재를 당접시키기 위한 연장부분을 설치함으로써 그 부분이 폐각한 상태로 회동지점에서 외측으로 밀어내는 형태가 되므로 그 만큼 호부기의 폭 치수가 커져 버린다(다리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경우)는 점에서 프레임에 설치한 지지부재에 다리의 상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고 다리의 회동지점보다 하방에 계지용 돌기를 설치하고 지지부재에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는 잠금수단을 취부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있으며 나아가 호부기의 외형치수 특히 폭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그러나, 종래의 벽지호부기는 개각상태에 있는 때에 다리의 회동지점에서 안쪽에 있어서 다리의 측면에 당접하고, 부세수단에 의해 부세되어 다리를 개각상태로 잠그는 잠금부재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의 회동지점에서 안쪽에 연장부분이 필요하고, 그 부분이 폐각상태에서 외측으로 밀어낸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다리를 회동지점보다도 안쪽에서 잠그기 때문에 측방으로부터 외력을 받은 때의 응력이 커져, 잠금상태가 안정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프레임에 설치한 지지부재에 다리의 상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고 다리의 회동지점보다 하방에 계지용 돌기를 설치하고, 지지부재에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는 잠금수단을 취부한 것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있으며 호부기의 폭방향 치수가 다리의 개폐로 커지는 일은 없지만 그렇다고 해도 더욱 해결해야할 과제가 있다.
즉, 벽지호부기의 다리를 개각상태로 고정하는 수단은 상기와 같이 여러 가지 있으나 그들은 모두 개각 시의 전용으로서 다리를 접어 차량 등으로 운반하는 때에 다리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다리를 폐각상태로 고정하는 수단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폐각용 고정수단을 별도로 마련하면 개폐하는 때는 폐각용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개폐한 후, 개각용 고정수단을 고정방향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고, 폐각하는 때에는 개각용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폐각한 후 폐각용 고정수단을 고정방향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어서 차량 등으로 운반하는 때의 적재, 하차의 작업이 번잡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리의 개폐작업이 용이하고 나아가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 상태에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는 벽지호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지호부기는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네 코너에 취부되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개각 및 폐각 자유롭게 상단부가 축지지된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를 구비한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상단부 축지지 위치에서 하단부 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계지용 돌기와, 상기 다리가 개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 및 선단부의 장혈 또는 핀을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제1지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제1잠금레버와, 상기 다리가 폐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 및 선단부의 핀 또는 장혈을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제2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제2잠금레버로 이루어지는 잠금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의 선단부와 상기 제2잠금레버의 선단부를 상기 장혈 및 핀의 계합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와 상기 제2잠금레버가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다리를 개각한 때에 상기 제1잠금레버의 제1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상기 다리를 개각상태에서 잠그고, 상기 다리를 폐각한 때에 상기 제2잠금레버의 제2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상기 다리를 폐각상태에서 잠그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벌린 상태로 사용하고 운반 시 등에 높이가 늘어나지 않도록 다리를 접는(닫는) 것으로서, 다리는 상단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자유롭다. 그리고 개각 및 폐각 시의 잠금 및 잠금해제 조작은 일방의 잠금레버, 예를 들면 제1잠금레버의 회동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그 경우, 개각상태에서는 제1잠금레버를 일방향(잠금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노치를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 합시킴으로써 다리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 그리고 폐각하는 때는 제1잠금레버를 반대방향(해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그 상태에서 다리를 상단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닫히고 다리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제1잠금레버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잠금레버가 연동하여 회동하고 제2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다리가 폐각상태로 잠궈진다. 또한, 개각하는 때는 제1잠금레버를 해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잠금레버가 연동해서 회동하고, 제2로크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그 상태에서 다리를 회동시켜 열고 다리가 완전히 열린 상태로 제1잠금레버를 잠금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다리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 이와 같이 하여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고, 나아가 하나의 잠금레버의 회동조작으로 다리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벽지호부기를 차량 등으로 운반하는 때의 적재 하차 시의 개폐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이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레버를 연동하는 2개의 잠금레버로 구성함으로써 제1노치와 제2노치가 개각 및 폐각 시에 각각 계지용 돌기와 거의 직각으로 계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잠금을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지호부기는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해당 프레임의 네 코너에 취부되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개각 및 폐각 자유롭게 상단부가 축지지된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를 구비한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상단부 축지지 위치에서 하단부 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계지용 돌기 와, 상기 다리가 개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와, 상기 다리가 폐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를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잠금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를 개각한 때에 상기 제1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는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다리를 개각상태에서 잠그고, 상기 다리를 폐각한 때에 상기 제2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는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다리를 폐각상태에서 잠그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벌린 상태로 사용하고 운반 시 등에 높이가 늘어나지 않도록 다리를 접는(닫는) 것으로서, 다리는 상단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자유롭다. 그리고 개각상태에서는 잠금레버를 일방향(잠금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노치를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시킴으로써 다리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 그리고 폐각하는 때는 잠금레버를 반대방향(해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그 상태에서 다리를 상단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닫히고 다리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잠금레버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다리가 폐각상태로 잠궈진다. 또한 개각하는 때는 잠금레버를 해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그 상태에서 다리를 회동시켜 열고 다리가 완전히 열린 상태로 잠금레버를 잠금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가 다리의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다리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 이와 같이 하여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고, 나아가 하나의 잠금레버의 회동 조작으로 다리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벽지호부기를 차량 등으로 운반하는 때의 적재 하차 시의 개폐작업이 용이해진다. 이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레버가 하나이며 잠금기구의 부품수가 적어도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의 잠금을 해제하여 벽지호부기를 차에서 내리는 때에 다리가 자중으로 본의 아니게 강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벽지호부기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a)~(f)는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는 풀상자나 풀먹임 및 종이반송 등을 행하는 롤러 군을 구비한 호부기본체와 각부로 구성된다. 호부기본체는 도 13과 같이 종래부터 주지된 구성을 가진 것이다. 또한 각부는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1)과 프레임 네 코너의 다리(2)로 구성되어 다리가 접이식으로 되어 있다.
다리부의 다리(2)는 상단부가 프레임(1)의 네 코너에 하방수직이 되는 배치로 부착된 지지부재(3)에 고정된 지지축(4)에 회동자재로 축지되고 프레임(1)의 길이방향[도 1(a))의 전후방향, 도 1(b)의 좌우방향]으로 개각 및 폐각자재이다.
그리고, 다리부(2)에는 그 상단부의 지지축(4)에 축지지된 위치(지점위치)에서 하단부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프레임(1)의 전후방향(도 1(a)의 좌우방향, 도 1(b)의 전후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계지용 돌기(5)가 설치되어 있다. 또 계지용 돌기(5)는 도시한 예에서는 다리(2)의 프레임(1)의 길이방향 내측면에 용접고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 벽지호부기의 각부는 다리(2)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잠그고 또한 잠금을 해제하여 개폐조작을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다리(2)가 개각상태에 있는 때에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6)를 갖고, 프레임(1)에 고정된 제1지점 핀(제1지점;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다리(2)를 개각상태로 잠그는 제1잠금레버(8)와 다리(2)가 폐각상태에 있는 때에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9)를 갖고, 프레임(1)에 고정된 제2지점 핀(제2지점;1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다리(2)를 폐각한 때에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는 위치로 회동함으로써 다리(2)를 폐각상태로 잠그는 제2잠금레버(11)를 설치하고 있다.
제1잠금레버(8)와 제2잠금레버(11)를 제1잠금레버(8)의 선단부의 장혈(12)과 제2잠금레버(11)의 선단부의 핀(13)과의 계합에 의해 연결하고 회동조작용 핸들봉(14)의 양단을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각 한 쌍의 다리(2)의 제1잠 금레버(8)에 고정하고, 이 핸들봉(14)의 조작에 의해 제1잠금레버(8)를 회동조작하고 제2잠금레버(11)를 연동시켜 회동시키도록 구성한 잠금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지점 핀(7)에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수철부재(7a)를 취부하여 그 일단을 제1잠금레버(8)에 걸고 제1잠금레버(8)를 잠금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부세하고 있다.
이 벽지호부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각상태에서는 용수철부재(7a)의 부세력에 의해 제1잠금레버(8)를 잠금방향(도 2(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노치(6)를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시킴으로써 계지용 돌기(5)는 제1노치(6)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여 계합한다.
그리고, 폐각하는 때는 핸들봉(11)을 조작하여 제1잠금레버(8)를 해제방향(도 2(b)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다리(2)를 손으로 지지축(4;상단부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닫을 수 있다[도 2(b),(c),(d)참조].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닫히면 제2잠금레버(11)의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 계합가능하게 된다[도 2(e)].
이 상태에서 용수철 부재(7a)에 의해 제1잠금레버(8)에는 항상 시계방향으로 부세력을 작용하고 있으므로 제1잠금레버(8)는 잠금방향[도 2(f)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2잠금레버(11)가 연동하여 제2지점 핀(10)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며 다리(2)가 폐각상태로 잠궈진다[도 2(f) 참조]. 그 때 도 2(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용 돌 기(5)는 제2노치(9)와 대략 직각으로 접촉하여 계합한다.
또한, 개각하는 때는 핸들봉(14)을 조작하여 제1잠금레버(8)를 해제방향[도 2의 (e)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잠금레버(11)가 연동하여 회동하고,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된다[도 2(d), (c), (b) 참조].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용수철 부재(7a)에 의해 제1잠금레버(8)가 잠금방향[도 2(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여 다리(2)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도 2(a) 참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벽지호부기의 각부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a)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b), 도 4는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a)~(f)이다.
이 변형예는 제1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다리(2)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15; 부세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 용수철(15)은 일단을 프레임(1)측에 설치한 핀(16)에 걸고 타단을 다리(2)의 계지용 돌기(5)보다도 선단측에 설치한 핀(17)에 걸은 것이다. 또한 계지용 돌기(5)를 연장하여 핀(17)을 겸용시키는 형태로 해도 좋다.
이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개폐동작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지만 다리(2)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15)을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폐각상태의 다리(2)의 잠금을 해제하여 벽지호부기를 차에서 내리는 때에 다리(2)가 자중으로 본의 아니게 힘있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고, 다리(2)가 폐각상태로 잠궈진 상태[도4 (a) 참조]로부터 핸들봉(14)을 조작하여 제1잠금레버(8)를 해제방향(도4 (b)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잠금레버(11)가 연동하여 회동하고,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어[도4 (c) 참조], 이 상태에서 다리(2)를 회동시켜 열 수 있지만[도 4(c), (d), (e) 참조], 그 때 다리(2)가 자중으로 힘있게 열리려고 해도 다리(2)는 용수철(15)로 닫히는 쪽으로 부세되어 있어 용수철(15)이 뻗는 만큼 그 부세력이 커지기 때문에 다리(2)가 열림에 따라 열림속도가 늦어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용수철(15)의 부세력에 대항하듯이 다리(2)를 열게 되고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용수철 부재(7a)의 부세력으로 제1잠금레버(8)가 잠금방향(도 2(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여 다리(2)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도 4(f) 참조].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잠금레버(8)측에 핀을 설치하고 제2잠금레버(11)측에 장혈을 뚫어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폐각 시에는 이와 반대의 동작이 되지만 그 때 용수철(15)의 부세력이 폐각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손으로 다리(2)를 닫는 때의 힘이 작아도 된다.
[제2실시형태]
이상 설명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벽지호부기를 개각상태 또는 폐각상태로 잠그기 위해 제1잠금레버(8) 및 제2잠금레버(11)로 이루어지는 잠금기구를 4개의 다리(2)마다 전후좌우에 4세트 구비하고 있다.
벽지호부기가 개각상태인 때에 전후 어느 일방의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에 내측으로부터 본의 아니게 작업자의 손이 닿거나 물건이 닿으면 양 잠금레버(8, 11)가 회동하는 경우가 있다.
전측(또는 후측)의 제1잠금레버(8)의 회동에 의해 핸들봉(14)도 회동되어 후측(또는 전측)의 제1잠금레버(8)도 회동되므로 전후 양방의 제2잠금레버(11)의 노치(9)가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폐각하여 벽지호부기가 경사지거나 전도할 염려가 있다.
그래서,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를 내측에서 눌러도 핸들봉(14)을 조작하지 않는 한 양 잠금레버(8, 11)가 회동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같으므로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잠금레버(8)에 제3지점 핀(31) 및 돌기(8a)를 형성하고, 이 제3지점 핀(31)을 축으로 하여 핸들봉(14)을 축지시킨다. 핸들봉(14)에는 노치(14a) 및 돌기(14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14a)는 지지부재(3)에 설치한 계지용 돌기(3a)에 계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봉(14)을 항상 시계방향으로 부세하기 때문에 제1지점 핀(7)과 핸들봉(14)에 설치한 돌기(14b)의 사이에 용수철(32)가 걸려있다.
이 벽지호부기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각상태에서 제1잠금레버(8)의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함과 동시에 핸들봉(14)의 노치(14a)가 지지부재(3)에 설치한 계지용 돌기(3a)와 계합하고 있다.
이 개각상태에 있어서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가 내측으로부터 눌려지고 제1잠금레버(8)가 제1지점 핀(7)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려고 해도 제1잠금레버(8)는 제1지점 핀(7)에 의해 축지되고, 핸들봉(14)은 제1지점 핀(7)으로부터 떨어진 제3지점 핀(31)에 의해 축지되며, 게다가 핸들봉(14)의 노치(14a)가 계지용 돌기(3a)와 계합하고 있으므로 핸들봉(14)은 상승할 수 없다. 따라서 핸들봉(14)을 조작하여 노치(14a)와 계지용 돌기(3a)와의 계합을 해제하지 않으면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는 회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폐각하는 때에는 핸들봉(14)을 조작하여 회동시키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봉(14)의 노치(14a)가 계지용 돌기(3a)로부터 떨어지고 또 회동시키면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봉(14)의 하부가 제1잠금레버(8)의 돌기(8a)에 당접하여 제1지점 핀(7)을 축으로 하여 제1잠금레버(8)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회동에 의해 제1잠금레버(8)의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손으로 다리(2)를 지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닫을 수 있다[도 6(d)~(f) 참조].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닫혀지면 제2잠금레버(11)의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 계합하여 잠궈지고, 게다가 핸들봉(14)도 노치(14a)가 지지부재(3)에 설치한 계지용 돌기(3a)에 계합하여 잠궈지므로 제1잠금레버(8) 또 는 제2잠금레버(11)을 내측으로부터 눌러 회동할 수 없다[도 6(f) 참조].
또한 개각하는 때에는 핸들봉(14)을 조작하면 핸들봉(14)의 노치(14a)가 계지용 돌기(3a)로부터 떨어지고 제1잠금레버(8)를 해제방향(도 6(e)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잠금레버(11)가 연동하여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로부터 떨어져 잠금이 해제된다[도 6(d) 참조].
이 상태에서 다리(2)를 회동시켜 열 수 있다[도 2(d), (c), (b) 참조].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핸들봉(14)의 노치(14a)가 계지용 돌기(3a)에 계합하고 제1잠금레버(8)의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여 다리(2)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도 2(a) 참조].
[제3실시형태]
이상 설명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각상태인 벽지호부기의 불필요한 폐각을 방지하기 위해 핸들봉(14)에 노치(14a)를 형성하고 지지부재(3)에 노치(14a)와 계합하는 계지용 돌기(3a)를 설치하여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의 회동을 저지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은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제2실시형태와 같이 핸들봉(14)에 노치(14a)를 설치하지 않고, 지지부재(3)에도 계지용 돌기(3a)를 설치하지 않는다. 그 대신 핸들봉(14)을 지점 핀(31)에 회동자재로 축지지하는 때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봉(14) 의 구멍(14c)을 지점 핀(31)의 직경보다 크게 뚫어 백래시를 갖게 해둔다.
이와 같이 핸들봉(14)과 제1잠금레버(8)를 백래시하게 하여 축지해 두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각상태에서 용수철(32)에 의해 핸들봉(14)이 항상 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므로 핸들봉(14)의 구멍(14c)의 좌하에 지점 핀(31)이 접촉한다.
전측(또는 후측)의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에 내측으로부터 본의아니게 작업자의 손이 닿거나 물건이 닿아 제1잠금레버(8) 또는 제2잠금레버(11)를 회동시키면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잠금레버(8)의 노치(6)가 계지용 돌기(5)로부터 떨어질 때까지 회동하여도 백래시가 존재하기 때문에 핸들봉(14)의 구멍(14c)의 좌상에 지점 핀(31)이 접촉하고나서 핸들봉(14)이 외동하기 시작하므로 핸들봉(14)이 회동하지 않거나 핸들봉(14)이 다소 회동하여도 그 회동각도는 제1잠금레버(8)의 회동각도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핸들봉(14)이 다소 회동하더라도 후측(또는 전측)의 제1잠금레버(8)를 회동시키지는 않으므로 전후 2세트의 어느 한 세트의 제1잠금레버(8)의 노치와 계지용 돌기(5)와의 계합상태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폐각하는 일은 없다.
폐각하는 때에는 핸들봉(14)을 조작하고 핸들봉(14)의 하부를 제1잠금레버(8)의 돌기(8a)에 당접시켜 제1잠금레버(8)를 해제방향(도 8의 (b)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백래시 이상으로 회동시키면 제2잠금레버(11)가 회동하고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므로 폐각할 수 있다.
[제4실시형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잠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직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a) 및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른 수직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b)이며, 도 10은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a)~(f)이다.
제4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호부기 본체와 각부로 구성되고 각부는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1)과 접이식 다리(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리(2)의 축지구조 및 동작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다리부(2)에는 그 상단부의 지지축(4)에 축지지된 위치(지점위치)에서 하단부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프레임(1)의 전후방향(도 9의 (a)의 좌우방향, 도 9(b)의 전후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계지용 돌기(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벽지호부기의 각부는 다리(2)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에 있어서 잠그고 또 잠금을 해제하여 개폐조작을 가능케 하기 위해 다리(2)가 개각상태에 잇는 때에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6)와, 다리(2)가 폐각상태에 있는 때에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9)를 갖고, 프레임(1)에 고정된 지점 핀(지점;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다리(2)를 개각한 때에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는 위치에 회동시킴으로써 다리(2)를 개각상태로 잠그고, 다리(2)를 폐각한 때에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는 위치에 회동시킴으로써 다리(2)를 폐각상태로 잠그는 잠금 레버(18)를 설치하고, 회동조작용 핸들봉(14)의 양단을 전후 각 한 쌍의 다리(2)의 잠금레버(18)에 고정하여 이 핸들봉(14)의 조작에 의해 잠금레버(18)를 회동시키도록 구성한 잠금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지점 핀(7)에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수철 부재(7a)를 취부하여 그 일단을 잠금레버(18)에 걸고 잠금레버(18)를 잠금방향(도 9(b)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부세하고 있다.
이 벽지호부기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각상태에서는 핸들봉(14)을 조작하여 잠금레버(18)를 해제방향(도 10(b)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다리(2)를 손으로 지지축(4;상단부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닫을 수 있다[도10(b), (c), (d) 참조].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닫히면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 계합가능하게 된다[도 10(e) 참조].
이 상태에서 용수철 부재(7a)의 부세력에 의해 잠금레버(18)가 잠금방향[도 10(f)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여 다리(2)가 폐각상태로 잠궈진다[도 10(f) 참조].
또한 개각하는 때는 핸들봉(14)을 조작하여 잠금레버(18)를 해제방향[도 10(e)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노치(9)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된다[도 10(d) 참조].
이 상태에서 다리(2)를 회동시켜 열 수 있다[도 10(d), (c), (b) 참조].
그리고 다리(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용수철 부재(7a)의 부세력에 의해 잠금레버(18)가 잠금방향[도 10(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 계합하여 다리(2)가 개각상태로 잠궈진다[도 10(a) 참조].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다리(2)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15; 부세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 용수철(15)은 일단을 프레임(1)측에 설치한 핀(16)에 걸고 타단을 다리(2)의 계지용 돌기(5)보다도 선단측에 설치한 핀(17)에 걸은 것이다.
이 벽지호부기의 다리부의 개폐동작은 기본적으로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4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지만 다리(2)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15)을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2)의 잠금을 해제하여 벽지호부기를 차에서 내리는 때에 다리(2)가 자중으로 본의아니게 힘있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수철(15)의 작용은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제5실시형태]
이상 설명한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벽지호부기를 개각상태 또는 폐각상태로 잠그기 위해 잠금레버(18)로 이루어지는 잠금기구를 4개의 다리(2)마다 전후좌우에 4세트 구비하고 있다.
벽지호부기가 개각상태인 때에 전후 어느 일방의 잠금레버(18)에 내측으로부터 본의 아니게 작업자의 손이 닿거나 물건이 닿으면 잠금레버(18)가 회동하는 경 우가 있다. 이 회동이 핸들봉(14)을 통해 반대측의 잠금레버(18)에도 전달되고 전후 양 잠금레버(18)를 회동하여 제1노치(6)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와의 계합이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어 폐각하여 벽지호부기가 경사지거나 전도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제5실시형태에서는 일방의 잠금레버(18)의 회동이 핸들봉(14)을 통해 타방의 잠금레버(18)로 전달하는 것을 경감시키기 위해 핸들봉(14)을 잠금레버(18)에 대해 백래시를 갖게 하여 취부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레버(18)에 핸들봉(14)을 취부하는 때에 잠금레버(18)에 2개의 핀(18a)을 설치하고 핸들봉(14)에 장혈(14c) 및 환혈(丸穴; 14d)을 뚫어 잠금레버(18)의 2개의 핀(18a)을 각각 끼워 잠금레버(18)에 대해 핸들봉(14)을 백래시를 갖게 하여 취부한다. 그리고 핸들봉(14)에 뚫는 구멍은 2개 모두 장공(長孔)이어도 좋다.
전후 어느 일방의 잠금레버(18)에 내측으로부터 본의 아니게 작업자의 손이 닿거나 물건이 닿아 잠금레버(18)를 회동시키고 일방의 잠금레버(18)의 노치(6)가 계지용 돌기(5)로부터 떨어지기까지 회동하더라도 핸들봉(14)과의 사이에 백래시가 존재하기 때문에 핸들봉(14)은 회동하지 않거나 핸들봉(14)이 다소 회동하더라도 그 회동각도는 잠금레버(18)의 회동각도보다 작다.
이와 같이 핸들봉(14)이 다소 회동하더라도 반대측의 잠금레버(18)를 회동시키지는 않으므로 전후 2세트의 어느 한 세트의 잠금레버(18)의 노치(6)와 계지용 돌기(5)와의 잠금이 해제되더라도 타방의 한세트의 잠금레버(18)의 노치(6)와 계지 용 돌기(5)와의 계합상태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폐각하는 일은 없다.
폐각하는 때에는 핸들봉(14)을 조작하여 잠금레버(18)를 해제방향으로 백래시 이상으로 회동시키면 양 잠금레버(18)가 회동하고 제1노치(6)가 다리(2)의 계지용 돌기(5)에서 떨어져 잠금이 해제되므로 폐각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를 도시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종 태양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레버를 연동하는 2개의 잠금레버로 구성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제1노치와 제2노치가 개각 및 폐각 시에 각각 계지용 돌기와 거의 직각으로 계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잠금을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개각상태 및 폐각상태로 각각 확실하게 잠글 수 있고, 나아가 하나의 잠금레버의 회동조작으로 다리의 잠금 혹은 잠금해제를 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벽지호부기를 차량 등으로 운반하는 때 다리의 개폐작업이 용이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벽지호부기는 다리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의 잠금을 해제하여 벽지호부기를 차에서 내리는 때에 다리가 자중으로 본의 아니게 강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Claims (6)

  1.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네 코너에 취부되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개각 및 폐각 자유롭게 상단부가 축지지된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를 구비한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상단부 축지지 위치에서 하단부 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계지용 돌기와;
    상기 다리가 개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 및 선단부의 장혈 또는 핀을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제1지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제1잠금레버와;
    상기 다리가 폐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 및 선단부의 핀 또는 장혈을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제2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제2잠금레버로 이루어지는 잠금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의 선단부와 상기 제2잠금레버의 선단부를 상기 장혈 및 핀의 계합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와 상기 제2잠금레버가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다리를 개각한 때에 상기 제1잠금레버의 제1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상기 다리를 개각상태에서 잠그고, 상기 다리를 폐각한 때에 상기 제2잠금레버의 제2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상기 다리를 폐각상태에서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호부기.
  2.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네 코너에 취부되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개각 및 폐각 자유롭게 상단부가 축지지된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를 구비한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상단부 축지지 위치에서 하단부 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계지용 돌기와;
    상기 다리가 개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 및 선단부의 장혈 또는 핀을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제1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제1지점에 의한 회동중심과 상기 제1노치와의 사이에 제2핀 및 돌기를 형성한 제1잠금레버와;
    상기 다리가 폐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 및 선단부의 핀 또는 장혈을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제2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제2잠금레버와;
    상기 제1잠금레버의 상기 제2핀에 축지지되고, 프레임에 설치한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는 노치를 형성하여 하단부가 상기 제1잠금레버의 돌기와 당접하는 핸들봉과;
    상기 핸들봉과 상기 제1잠금레버의 사이에 회동력을 부여하여 상기 핸들봉의 노치를 프레임에 설치한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시키는 용수철로 이루어진 잠금기구와;
    상기 제1잠금레버의 선단부와 상기 제2잠금레버의 선단부를 상기 장혈 및 핀 의 계합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와 상기 제2잠금레버가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동해서 상기 다리를 개각한 때에 상기 제1잠금레버의 제1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상기 다리를 개각상태에서 잠그고, 상기 다리를 폐각한 때에 상기 제2잠금레버의 제2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상기 다리를 폐각상태에서 잠그고, 개각상태에 있는 상기 제1잠금레버측으로부터의 회동을 상기 핸들봉의 노치와 상기 계지용 돌기와의 계합에 의해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호부기.
  3.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네 코너에 취부되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개각 및 폐각 자유롭게 상단부가 축지지된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를 구비한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상단부 축지지 위치에서 하단부 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계지용 돌기와;
    상기 다리가 개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 및 선단부의 장혈 또는 핀을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제1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제1지점에 의한 회동중심과 상기 제1노치의 사이에 제2핀 및 돌기를 형성한 제1잠금레버와;
    상기 다리가 폐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 및 선단부의 제2핀 또는 장혈을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제2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제2잠금레버와;
    상기 제1잠금레버의 상기 제2핀에 백래시(backlash)를 갖게 하여 축지지되고, 하단부가 상기 제1잠금레버의 돌기와 당접하는 핸들봉과;
    상기 핸들봉과 상기 제1잠금레버의 사이에 회동력을 부여하여 핸들봉의 노치를 프레임에 설치한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시키는 용수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봉에 의해 연동하는 잠금기구를 호부기 본체의 전후에 구비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의 선단부와 상기 제2잠금레버의 선단부를 상기 장혈 및 핀의 계합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와 상기 제2잠금레버가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다리를 개각한 때에 상기 제1잠금레버의 제1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상기 다리를 개각상태에서 잠그고, 상기 다리를 폐각한 때에 상기 제2잠금레버의 제2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여 상기 다리를 폐각상태에서 잠그고, 핸들봉을 상기 제1잠금레버의 제2핀에 백래시(backlash)를 갖게 하여 축지지됨으로써 개각상태에 있는 전후 어느 일방의 잠금기구의 상기 제1잠금레버측 으로부터의 회동이 반대측의 제1잠금레버로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호부기.
  4.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네 코너에 취부되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개각 및 폐각 자유롭게 상단부가 축지지된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를 구비한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상단부 축지지 위치에서 하단부 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계지용 돌기와;
    상기 다리가 개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와, 상기 다리가 폐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를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잠금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를 개각한 때에 상기 제1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는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다리를 개각상태에서 잠그고, 상기 다리를 폐각한 때에 상기 제2노치가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하는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다리를 폐각상태에서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호부기.
  5. 호부기 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네 코너에 취부되어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개각 및 폐각 자유롭게 상단부가 축지지된 다리로 이루어진 다리부를 구비한 벽지호부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상단부 축지지 위치에서 하단부 측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계지용 돌기와;
    상기 다리가 개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1노치와, 상기 다리가 폐각 상태인 때에 상기 다리의 상기 계지용 돌기와 계합가능한 제2노치를 갖고,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잠금 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레버에 결합한 핸들봉에 의해 연동하는 잠금기구를 호부기 본체의 전후에 구비하고,
    상기 잠금레버와 상기 핸들봉을 백래시(backlash)를 갖게 하여 결합함으로써 개각상태에 있는 전후 어느 일방의 잠금기구의 상기 제1잠금레버측으로부터의 회동이 반대측의 제1잠금레버로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호부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를 폐각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호부기.
KR1020060109820A 2006-01-31 2006-11-08 벽지호부기 KR101225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3954 2006-01-31
JP2006023954 2006-01-31
JPJP-P-2006-00178768 2006-06-28
JP2006178768A JP4947629B2 (ja) 2006-01-31 2006-06-28 壁紙糊付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968A KR20070078968A (ko) 2007-08-03
KR101225343B1 true KR101225343B1 (ko) 2013-01-23

Family

ID=3855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820A KR101225343B1 (ko) 2006-01-31 2006-11-08 벽지호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47629B2 (ko)
KR (1) KR101225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8104B (zh) * 2015-08-10 2017-06-23 桂林威迈壁纸有限公司 一种壁纸上浆液装置
JP7346028B2 (ja) * 2018-12-28 2023-09-19 極東産機株式会社 自動壁紙糊付機
KR102235839B1 (ko) * 2019-12-12 2021-04-02 김강석 벽지 풀도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937A (ko) * 2007-11-15 2009-05-20 교구토 산키 가부시끼가이샤 벽지 호부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379A (ja) * 1983-08-12 1985-03-01 Seitetsu Kagaku Co Ltd 転動ロス回収装置
JPH0629729Y2 (ja) * 1989-06-22 1994-08-10 麒麟麦酒株式会社 揮撥性成分検出器
JP3062872B2 (ja) * 1995-11-30 2000-07-12 ヤヨイ化学工業株式会社 壁紙糊付機
JP3791706B2 (ja) * 1996-05-10 2006-06-28 ヤヨイ化学工業株式会社 壁紙糊付機
JP4111471B2 (ja) * 1998-05-06 2008-07-02 ヤヨイ化学工業株式会社 壁紙糊付機
JP2001170531A (ja) * 1999-12-15 2001-06-26 Kyokuto Sanki Co Ltd 壁紙糊付機
JP2001224439A (ja) * 2000-02-18 2001-08-21 Hasegawa Kogyo Co Ltd 折畳み作業台
JP2003072300A (ja) * 2001-09-03 2003-03-12 Yayoi Chemical Industry Co Ltd 壁紙糊付機の支持構造
JP3648207B2 (ja) * 2002-03-05 2005-05-18 マスセット株式会社 折畳脚柱のロック構造
JP4510522B2 (ja) * 2004-06-02 2010-07-28 ヤヨイ化学工業株式会社 壁紙糊付機の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937A (ko) * 2007-11-15 2009-05-20 교구토 산키 가부시끼가이샤 벽지 호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47629B2 (ja) 2012-06-06
KR20070078968A (ko) 2007-08-03
JP2007229702A (ja)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732B2 (en) Stroller with tray fold and fold latch mechanisms
US9404292B2 (en)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deployable latch connection
WO2011090117A1 (ja)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KR20000071538A (ko) 운전실창 잠금장치
JP2009532645A (ja) セルフロック機構
CA2542029C (en) Sliding latch for fifth wheel hitch
KR101225343B1 (ko) 벽지호부기
KR20130099231A (ko) 시트의 접이식 등받이용 잠금 장치
JPH11189075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US11933088B2 (en) Sliding door structure
JP3632034B2 (ja) 車両用シート格納装置
JP4097355B2 (ja) 運転室窓ロック装置
JPH0355374A (ja) 車両の閉鎖部材用鎖錠装置
JP5196471B2 (ja) 壁紙糊付機
JP4167741B2 (ja) ラッチ錠
KR200261183Y1 (ko) 덤프트럭의테일게이트잠금장치
CN114269597B (zh) 具有卡锁组件的车辆座椅
JP3906602B2 (ja) ラッチ機構
JPH11335094A (ja) ロック機構
JP3134579B2 (ja) 自動車のドアロックノブ構造
JP2010247806A (ja) 車両用折り畳み幌のロック装置
JP5063395B2 (ja) ダンプ車輌のテールゲート落下防止装置
US6393937B1 (en) Manual dual overcenter latch mechanism and lock mechanism
KR200327132Y1 (ko) 양측 개방이 가능한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JP2544471Y2 (ja) タンブルシート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