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391B1 -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391B1
KR101214391B1 KR1020057020655A KR20057020655A KR101214391B1 KR 101214391 B1 KR101214391 B1 KR 101214391B1 KR 1020057020655 A KR1020057020655 A KR 1020057020655A KR 20057020655 A KR20057020655 A KR 20057020655A KR 101214391 B1 KR101214391 B1 KR 101214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ine
food
sleep
hydrolysi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593A (ko
Inventor
도루 고우다
치카 모리시마
겐타로 이나가와
시노부 세키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7977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143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2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9/00Puddings; Cream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9/10Puddings; Dry powder pud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Neur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Confectioner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식당의 섭취량 단위의 형태를 취하는 식품으로서,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글리신 환산으로, 1식당 0.5g 이상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식품 향료, 숙면 장해 개선 식품, 변통 개선 식품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Figure R1020057020655
글리신, 아미노산, 식품 향료, 숙면 장해 개선 식품, 변통 개선 식품, 상업적 패키지

Description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Glycine-containing food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글리신은 CH2(NH2)COOH라는 가장 간단한 구조의 비필수 아미노산이다. 글리신은 식품 첨가물로서도 인정되고 있는 아미노산이며, 많은 식품에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음료에는 품질의 보존을 목적으로 첨가되어 있고, 이의 함량은 최대 50mg/100ml 정도이다. 또한, 글리신은 어묵 등의 가공 제품에도 포함되어 있다. 글리신의 공지된 기능으로서, 하루에 0.1g을 섭취함으로써 기억이나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참조: Sandra E. et. al., 「Journal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US, 1999, Vol. 19, No. 6, P. 506-512]. 또한, 식품의 변질 방지제로서 말토스와 함께 글리신을 첨가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평)2-72853호], 이 경우 글리신의 첨가량은 0.3%(W/W) 정도가 예시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종래에 없는 형태의 글리신 함유 식품을 제공하며, 글리신에 기초하는 새로운 기능을 갖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일정량 이상의 글리신의 섭취가 종래에 공지되어 있지 않은 몇개의 새로운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이하와 같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1식당(per serving)의 섭취량 단위의 형태를 취하는 식품으로서,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글리신 환산으로, 1식당 0.5g 이상 함유하는 식품.
(2) 상기 항목 (1)에 있어서,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의 함유량이,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 환산으로, 1식당 5g 이하인 식품.
(3) 상기 항목 (1) 또는 (2)에 있어서,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이 분말상 또는 과립상인 식품.
(4) 상기 항목 (1) 또는 (2)에 있어서,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이 슬러리상인 식품.
(5) 상기 항목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 형태의 식품.
(6) 상기 항목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자 형태의 식품.
(7) 상기 항목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젤리, 푸딩 또는 요구르트의 형태의 식품.
(8) 상기 항목 (1) 또는 (2)에 있어서, 식품 소재 자체가 나타내는 향기 또는 식품 가공에 의해서 부여된 향기를 차단하기 위한 식품.
(9)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숙면 장해 개선 식품.
(10)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변통 개선 식품.
(11) 식품 전체에 대하여 0.15 내지 100% 중량의 글리신을 함유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식품 소재 자체가 나타내는 향기 또는 식품 가공에 의해서 부여된 향기를 차단하는 방법.
(12)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을 섭취하는 것을 포함하는, 숙면 장해 개선 방법.
(13)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을 섭취하는 것을 포함하는, 변통 개선 방법.
(14) 숙면 장해 개선을 위한,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의 용도.
(15) 변통 개선을 위한,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의 용도.
(16) 상기 항목 (9)에 있어서, 숙면 장해 개선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는 표시를 부착한 식품.
(17) 상기 항목 (10)에 있어서, 변통 개선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는 표시를 부착한 식품.
(18)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 및 식품 소재 자체가 나타내는 향기 또는 식품 가공에 의해서 부여된 향기를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관한 설명을 기재한 기재물을 포함하는 상업적 패키지.
(19)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 및 숙면 장해 개선 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관한 설명을 기재한 기재물을 포함하는 상업적 패키지.
(20)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 및 변통 개선 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관한 설명을 기재한 기재물을 포함하는 상업적 패키지.
도 1은 피험자가 미국 동해안으로 여행하였을 때의, 글리신 섭취, 수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실험예 2).
도 2는 비글견을 사용한 실험에 있어서의, 글리신 투여 후의 경과 시간과 R-R 간격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실험예 7).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본질은 글리신의 신규 용도와 이의 용도에 적합한 식품이다. 글리신이란 상술과 같이, CH2(NH2)COOH가 되는 구조의 아미노산이다.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이란, 가수분해 반응(특히 생체내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글리신이 수득되는 물질이고, 전형적인 예로서, 글리신을 구성 단위로 갖는 단백질이나 펩타이드를 들 수 있다.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글리신이 수득되는 물질은 섭취후의 체내에서의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이 생성되어, 처음부터 글리신을 섭취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1식당의 섭취 단위량의 형태를 취하는 식품은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글리신 환산으로, 1식당 0.5g 이상 함유한다. 이러한 식품은 많은 글리신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신규 작용에 의한 효과를 향수하기 쉬운 식품이다.
「1식당의 섭취 단위량의 형태를 취하는 식품」이란, 1식당 섭취하는 양이 미리 정해진 형태의 식품이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경구 섭취할 수 있는 것(의약품을 제외)을 넓게 포함하는 개념이고, 소위「음식물」뿐만 아니라 음료, 건강 보조 식품, 보건 기능 식품, 보충물 등을 포함한다. 1식당의 섭취 단위량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음료, 캔디, 츄잉 껌, 젤리, 푸딩, 요구르트 등의 경우에는 팩, 포장, 병 등으로 일정량을 규정하는 형태를 들 수 있으며, 과립·분말·슬러리상의 식품인 경우에는 포장 등으로 일정량을 규정할 수 있으며, 또는 용기 등에 1식당의 섭취량이 표시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식품 중의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의 함유 량에 있어서의「글리신 환산으로」란, 글리신 그 자체를 함유하는 경우는 이의 글리신 중량에 착안하고,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전부 글리신으로 했을 때의 글리신의 중량에 착안한다는 의미이다. 식품 중에 글리신과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 모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가수분해에 의해 모두 글리신으로 했을 때의 글리신의 중량과 본래 글리신이던 것과의 총 중량을 식품 중의 함유량으로 한다.
1식당의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의 함유량은, 식품으로의 함유 양호성이나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효과의 관점에서, 글리신 환산으로 0.5g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g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g 이상이다. 한편, 기지의 지견으로부터 수득되는 식경험[참조: Evins A. E. et. al.,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US, May 2000, Vol. 157, No. 5, P. 826-828]이나 포장·섭취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상기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g 이하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식품 중에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후술하는 효과를 향수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는 것도 밝혀냈다. 따라서,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의 함유량은,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 환산으로, 1식당 5g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 중에, 기능의 발현에 필요 최저 레벨의 글리신 밖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포함되는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 및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 이외의 아 미노산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의 양이 5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글리신의 기능은 억제된다.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의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 환산으로, 1식당 50mg을 들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이란, 아미노산으로서, 상기 글리신 이외의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아미노산」이란, 아미노 그룹(-NH2)과 카복실 그룹(-COOH) 모두를 갖는 유기 화합물이다.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이란, 가수분해(특히 생체내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아미노 그룹과 카복실 그룹 모두를 갖는 유기 화합물(글리신을 제외)이 수득되는 물질로서, 전형적인 예로서,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을 구성 단위로 갖는 단백질이나 펩타이드를 들 수 있다.
식품 중의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의 함유량에 있어서의「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 환산으로」란,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의 중량과,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이 가수분해에 의해서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이 되었다고 가정한 경우의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의 중량과의 총합에 착안한다는 의미이다.
식품 중에 포함되는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의 형태는 특별히 규정하지 않으며, 분말상 또는 과립상이라도 양호하며, 슬러리 상, 정과(錠菓), 캡슐상, 용액상, 젤리상, 유액상이라도 양호하다. 이 중에서도, 휴대성이나 포장의 용이함의 이유에서 과립상이나 분말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섭취의 용이함의 이유에서, 용액상이나 젤리상, 슬러리상도 또한 바람직하다.
식품 중에 포함되는 글리신이「슬러리상이다」란, 액상의 매체 중에 고체의 글리신이 현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단, 상기 매체 중에 글리신의 일부가 용해되어 있어도 양호하다.
예를 들면, 식품이 소위 건강 식품인 경우에는, 0.5g 이상의 과립상의 글리신이 1식당의 섭취 단위량의 형태로 포장된 형태 등을 들 수 있고, 식품이 건강 드링크인 경우에는, 0.5g 이상의 글리신이 현탁 또는 용해된 드링크가 1식당 한번에 다 마실 수 있는 형태로 병 등에 들어가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식품의 형태는 특별히 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식품에 대해 응용이 가능하다. 글리신은 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고, 바람직한 단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료, 과자류, 젤리, 푸딩, 요구르트에 이용하는 것도 적당하다. 음료는 병, 캔, 종이 팩 등으로 용액 또는 현탁액 등으로서 제공되는 것 뿐만 아니라, 차나 커피, 분말 음료 등과 같이 추출, 용해하여 음용으로 제공해도 양호하다. 여기에서, 과자란 식사 이외에 먹는 단것 등의 기호품을 가리키고, 캔디나 츄잉 껌, 정과 등을 들 수 있다.
투여하는 사람 이외의 동물로서는, 가축, 가금류 등의 포유 동물 이외에, 실험 동물 등이 포함된다. 사람 이외의 동물에 대한 투여 형태로서는, 사료 중에 첨가해도 양호하다.
다음에, 글리신의 신규 용도에 따르는 발명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 용도란, 식품 향료, 중도 각성·조조 각성 억제 식품, 숙면 장해 개선 식품, 변통 개선 식품으로서의 용도이다.
<식품 향료>
종래, 통상의 아미노산은 고온 조건에서의 공업적인 환경이라는 특수한 조건하에서 리액션 플레이버로서 이용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글리신에 열탕을 첨가하는 등,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실시 가능한 조건에서 식품 중에 포함되는 당류와 반응하여 바람직한 플레이버를 생성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식품 중의 바람직하지 못한 플레이버의 차단에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품 향료란 향기가 거의 없는 식품 소재에 향기를 부여하거나, 식품의 제조 공정 중에 손실되는 향기를 보강하거나, 식품 소재 자체가 갖거나 또는 가공시에 생성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향기를 차단하는 물질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식품 향료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글리신을 식품에 함유시키면 양호하다. 부여해야 할 플레이버의 정도, 차단 정도에 따라 글리신의 함유량을 적절하게 설정하면 양호하지만, 1식당의 섭취량 단위의 형태를 취하는 식품이면, 글리신을 1식당,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g 함유시킨다. 또한 식품 전체에 차지하는 글리신의 중량은 용해성, 정미성의 바람직함, 플레이버나 차단 효과의 유효성의 이유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100중량%이고, 보 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98중량%이다. 이러한 용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사용 형태로서 열탕을 첨가하는 등의 가열에 의해서 당류와 반응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반응시키는 당류로서는 수크로스, 과당, 글루코스, 덱스트린, 말토스, 맥아당 등이 예시된다.
또한, 식품 전체에 대하여 0.15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98중량%의 글리신을 함유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식품 소재 자체가 나타내는 향기 또는 식품 가공에 의해서 부여된 향기를 차단하는 방법도 본 발명의 대상이다.
글리신을 식품 중의 바람직하지 못한 플레이버의 차단에 이용하는 경우의, 「바람직하지 못한 플레이버」로서는, 생약이나 한방약에 사용되는 약초 이외에, 일반적인 건강 식품에 포함되는 야콘, 두충(杜仲), 푸얼(puer) 등, 민간요법적으로 사용되는 삼백초 등의 식물 추출물, 또는 일반적으로 허브로서 식용 또는 추출하여 음용에 제공되는 허브류의 플레이버를 들 수 있다.
<숙면 장해 개선 식품>
본 발명의 별도의 형태로서, 글리신(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식품을 숙면 장해 개선 식품으로서 사용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숙면 장해」란, 기상시에 숙면에 대한 만족감이 없거나, 또는 수면 부족감을 느끼는 상태, 또는 적절한 수면에 의해서 기대되는 여러 가지 상태에 관한 만족감이 느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면, 수면이 얕은 경우, 입면후에 깊은 잠이라고 여겨지는 서파 수면으로 이행하기 어려운 경우, 수면이 중단되거나, 기대하는 시간에 기상할 수 없는 경우 및 수면 시간이 부족한 경우를 들 수 있으며, 또한 수면 환경이 부적절한 경우, 정신적 또는 신체적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 취침전에 카페인 등 각성 작용을 갖는 성분을 섭취한 경우, 과도하게 음주한 경우, 또한 불규칙한 수면 주기나 생체 리듬의 혼란이 있는 경우, 기타 시차가 있는 환경에서도 일어나기 쉬운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수면은 몸의 휴식 뿐만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신체와 정신의 피로를 풀거나, 기억을 정리하거나, 특히 깊은 수면에서는, 성장 호르몬 등의 분비에 의해 성장이나 체내의 대사 균형을 조정하는 역할이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숙면 장해에 의해서, 수면을 취하여도 신체적·정신적 상태가 개선되지 않거나, 피로가 남거나, 생활에 대한 의욕이 감퇴하거나, 다음날에 과면(過眠)이 있거나, 몸에 나른함이 있거나, 수면 시간의 부족감이 있거나, 또는 두통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개선하면(숙면 장해의 개선), 예를 들면, 피로감의 감소 또는 기상시의 깨어날 때의 느낌 등 신체적·정신적 상태의 개선, 깊은 수면이 수득되었다는 실감, 양질의 수면이 수득되었다는 실감이 수득되며, 생활 의욕이 향상되거나, 집중력이 향상되는 것 등이 기대된다. 또한, 교대 근무 등의 불규칙한 근무나 시차를 동반하는 이동 등도 숙면 장해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를 개선시킴으로써, 각성 중의 집중력을 높이거나 낮의 과면을 방지하거나, 피로감을 감소시키거나, 노동 의욕을 증진시키는 것도 기대된다. 숙면 장해 개선 식품은 상기 숙면 장해를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수면의 질적 개선에 의해 수면이라는 행위가 본래 가지고 있는 역할을 발휘시키는 것에 효과적인 식 품이다. 이와 같은 역할이란, 예를 들면, 기상시의 산뜻한 기분이나 피로감의 감소, 낮의 과면 경향 방지 등이다. 숙면 장해 개선 식품은 상기 숙면 장해를 개선시킬 수 있는 식품이다. 또한, 소위「수면 장해」나「불면증」이라고 불리는 개념도 상술의「숙면 장해」라는 개념에 포함된다.
숙면 장해 개선 식품으로서의 본 발명의 식품은,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식품이다. 이러한 용도를 위한 상기 식품의 섭취량은, 글리신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0.00625 내지 2.5g/kg/day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5 내지 1.5g/kg/day이다(체중 1kg당의 1일당 섭취량). 「글리신 환산으로」의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수치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상술한 효과를 나타내는 데 충분하지만, 섭취량을 많게 하면 섭취가 곤란해지거나, 비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술한 1식당의 섭취량 단위의 형태를 취하는 식품은 글리신의 섭취량의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상과 같은 수면에 관한 효과에 의해, 낮의 졸음 억제, 특히 제트 래그 등 시차가 있는 환경에서의 수면의 질의 향상이 기대된다. 오늘날의 생활에서는 생활 시간대의 이동이나 교대 근무 등 규칙적인 수면을 취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생활 패턴이 흐트러진 환경에서, 기상시의 숙면감의 향상이나 낮의 졸음의 경감에 의해, 생활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글리신의 효과에 관해서는 다수의 메카니즘이 관련하는 것으로 상정되지만, 특히 교감 신경·부교감 신경계에 대한 작용이 유력하다고 생각된다. 실험 동물에서 심전도를 측정한 실험에서는, 글리신의 투여에 의해 부교감 신경계가 우위에 작용하는 결과가 수득 되고 있다. 현대의 생활은,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에 의해 교감 신경 우위가 되기 쉽다고 하지만, 글리신은 이와 대조적으로 작용하는 부교감 신경을 우위에 작용시킴으로써, 서파 수면(깊은 잠)으로의 이행을 유발하거나, 수면 중의 잠의 질을 향상시키거나, 수면 중의 내장의 활동을 적절히 조절하거나, 자연스러운 잠을 조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수면에 관한 용도로 글리신을 섭취하는 경우, 취침전에 섭취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숙면 장해 개선 식품의 하위 개념으로서, 중도 각성 억제 식품, 조조 각성 억제 식품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중도 각성」이란 밤중에 잠이 깨어, 그 후 잠시 동안 잘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조조 각성」이란 아침에 의도한 것보다 일찍 잠이 깬 후에 잘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중도 각성·조조 각성 억제 식품은, 상기 중도 각성 및 조조 각성 중의 적어도 한쪽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식품이다.
중도 각성·조조 각성 억제 식품으로서의 본 발명의 식품은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식품이다. 이러한 용도를 위한 상기 식품의 바람직한 섭취량은 숙면 장해 개선 식품으로서의 바람직한 섭취량과 동일하다.
<변통 개선 식품>
본 발명의 별도의 형태로서, 글리신(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식품을 변통 개선 식품으로서 사용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변통 개선」이란, 변통 이상(소위, 변비나 설사)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식품이다.
변통 개선 식품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글리신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식품을 섭취하면 양호하다. 이러한 용도를 위한 상기 식품의 바람직한 섭취량은 숙면 장해 개선 식품으로서의 바람직한 섭취량과 동일하다.
<상업적 패키지>
본 발명의 식품과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관한 설명을 기재한 기재물을 포함하는 패키지에 있어서, 기재물로서는, 용도·효능이나 음식 방법 등에 관한 설명 사항을 기재한 소위 능서(能書)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실험 동물에 의한 시험 이외의 실험예 1 내지 6 및 8의 시험은 모두 피험자가 본인의 주체적 희망에 기초하여 식품 첨가물용의 글리신을 분말 또는 정제로 또는 일반적인 식품에 가하여 자주적으로 섭취하여 본인의 자유 의지에 의해 코멘트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또한, 실험예 9 이후의 시험은 사내 윤리 심사 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전문 의사의 지도하에 이중맹검법 플라시보 시험으로 실시한 것이다.
(실험예 1)
각각 시판 중인 표 1에 기재한 블렌드차의 티백에 분말의 글리신(실질적으로 순수한 것) 2g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준비하고, 여기에 소정량(150ml)의 열탕을 가하여 1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블렌드차를 5명의 피험자가 음용하였다. 글리신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의, 글리신을 첨가한 것의 플레이버의 감소에 관해서 피험자로부터 코멘트를 수득하였다. 플레이버의 감소를 차단 효과의 지표로 하였다(표 1). 시험한 3종류의 모든 블렌드차에 관해서, 과반수의 피험자가 차단 효과를 확인하였고, 이의 대부분이 바람직한 차단 효과이었다.
Figure 112005062394430-pct00001
(실험예 2)
피험자인 일본 주재의 일본인(남성, 44세, 체중 62kg)이 미국 동해안으로 여행하였을 때의 글리신 섭취, 수면의 모습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면에서 화살표를 붙인 일시에 글리신(부형제, 향료 이외의 것을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정과상의 글리신)을 섭취하였다. 이 중, 「6월 20일」및「6월 21일」은 1.0g을 섭취하고, 「6월 22일」 내지 「6월 26일」및「6월 29일」은 1.5g을 섭취하였다. 당해 피험자는 전회까지의 동일한 여행 중에는 수면 중에 빈번히 각성했었지만, 도 1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글리신 복용에 의해 중도 각성이 감소 또는 소실되었다.
(실험예 3)
5일간의 도미 중의 3명의 피험자(피험자 A 내지 C, 체중 64 내지 74kg)에 대하여, 수면 전에 글리신(부형제, 향료 이외의 것을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정과상의 글리신)을 1.5g 섭취한 경우와 섭취하지 않은 경우에서, 다음날 오후 1시부터 5시에 느끼는 졸음을 3단계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정리한다. 3명의 피험자 모두 글리신을 섭취한 경우에는 섭취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다음날 낮의 졸음의 정도가 경감되었다.
Figure 112005062394430-pct00002
(실험예 4)
피험자(체중 45kg)는 취침전에 직접 또는 여러 가지 식품(표 3 참조)에 첨가하여 3g의 글리신을 섭취하였다. 이러한 식품 중의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으로 될 수 있는 물질의 함유량(아미노산 환산량)은 대략 0 내지 4g이다. 글리신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취침시의 잠들기의 양호함과 다음날 아침 기상시의 숙면감을 기록하여 표 3에 정리하였다. 어느 형태로 글리신을 섭취한 경우에도, 대부분의 경우 숙면감과 잠들기가 개선되었다.
Figure 112005062394430-pct00003
(실험예 5)
피험자들(체중 45 내지 80kg)은 3g의 글리신(과립 및 분말상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글리신)을 그대로, 또는 물, 쥬스, 스포츠 음료 등에 용해 또는 현탁시키거나, 또는 젤리, 푸딩 등에 첨가하여 섭취하여 수면을 취하고, 비섭취시와 비교하여 잠의 질에 관해서 자발적으로 코멘트하였다. 77명 중 58명으로부터 수면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코멘트가 있었으며, 2명으로부터 질이 저하되었고, 17명으로부터 아무런 효과도 없었다라는 코멘트가 있었다. 깨어날 때의 상쾌함이나 숙면감의 향상과 같은 기상시의 효과 이외에, 낮의 졸음 경감과 같은 섭취 다음날의 효과, 코골이의 경감과 같은 섭취후 수면중의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것 이외에도, 소수이기는 하지만 위의 통증이 경감되었고, 다음날 아침에 피로가 남지 않았으며, 수험전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경감되었고, 생리통이 경감되었고, 늦잠자지 않게 되었으며, 코막힘이 해소되었다 등의 코멘트가 있었다(표 4 참조).
Figure 112005062394430-pct00004
(실험예 6)
2명의 피험자(피험자 A(체중 52kg), B(체중 45kg))는 취침전에 글리신(부형제, 향료 이외의 것을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정과상의 글리신)을 표 5에 기재한 형태로 섭취하였다(섭취하지 않은 경우도 있음). 표 5는 그 다음날 아침의 변통의 유무를 해당하는 일수로 표시한 것이다. 취침전에 글리신을 섭취한 경우에, 다음날 아침의 변통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요구르트와 함께 섭취한 경우에도 변통은 개선되었다.
Figure 112005062394430-pct00005
(실험예 7)
글리신(분말상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글리신)을 0, 30, 300mg/kg(0mg/kg은 대조군, CTRL) 각각 투여한 비글견을 사용하여 교감 신경 활동의 지표가 되는 심전도에 있어서의 R-R 간격을 텔레메트리 시스템(telemetry system)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은 글리신 투여후의 야간에 실시하였다. 또한, 글리신 경구 투여후의 R-R 간격으로부터 고속 프리에 변환·파워 스펙트럼 해석에 의해 교감 신경 활동([저주파 성분 LF]/[고주파 성분 HF]) 및 부교감 신경 활동(고주파 성분 HF)을 조사하였다. 도 2는 투여후의 경과 시간과 R-R 간격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글리신을 투여하면, 투여 1 내지 4시간에 있어서 R-R 간격이 증대되고, 부교감 신경 활동이 우위에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로부터, 글리신은 교감 신경 항진의 상대적 억제에 의해 숙면 장해의 완화에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추찰되었다.
(실험예 8)
피험자 A(체중 45kg)는 취침전에 표 6에 기재된 양의 글리신(분말상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것)을 물에 녹여 섭취하고, 다음날 아침의 숙면감을 기록하였다. 평소보다도 숙면감이 향상된 경우는 「+」, 평소의 숙면감과 거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악화된 경우는「-」라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한다.
Figure 112005062394430-pct00006
(실험예 9)
글리신의 수면에 대한 효과의 확인을 목적으로 한 이중맹검법 크로스오버 테스트를 여성 성인 15명(20대 내지 50대, 체중 46 내지 58kg)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취침 1시간 전에 글리신(과립상, 시트르산 등을 포함)을 글리신 환산으로 3g 복용하고, 플라시보로서는 글리신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며(시트르산 등) 맛에 구별이 가지 않을 정도로 조정한 환원 맥아당을 이용하였다. 시험은 글리신과 플라시보를 각각 4일 동안 섭취하고, 그 사이에 비섭취일 3일을 끼워 넣은 2주 동안에 실시하였다.
(1) 수면의 상태를 평가하는 자기식의 조사표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32세 이상의 피험자(15명 중 6명, 체중 46 내지 58kg)에 관해서, 기상시의 신체적(몸의 상태가 양호하다, 나른하다, 머리가 무겁다 등)·정신적(기분이 산뜻하다, 기분이 나쁘다 등) 상태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나고, 피츠버그 수면 조사표(PSQI)에서 9점 이상인 수면에 관한 문제가 많은 피험자(15명 중 7명, 체중 46 내지 58kg)에 관해서, 기상시의 정신적 상태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표 7에 기재한다.
Figure 112005062394430-pct00007
(2) 기상시의 피로도 상태를 평가하는 자기식의 조사표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기상시의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결과를 표 8에 기재한다. 표 중의 글리신 및 플라시보의 값은 SAM 피로도 체크 리스트에 있어서, 기상시의 피로도를 묻는 10문항(각각 0, 1, 2점의 3단계)에 있어서의 4일 동안의 총점에 있어서, 플라시보 섭취와 비교하여 피로도가 감소(총점의 감소) 또는 증가(총점의 증가)된 피험자수를 나타낸 것이다. 표에서는 총점에 있어서 1점 이상의 차이가 있는 것(효과 있음)과 총점에서 4점 이상의 차이가 있는 것(현저한 효과)의 피험자수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62394430-pct00008
(3) 수면의 상태를 평가하는 자기식의 조사표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32세 이상의 피험자에 관해서, 수면의 깊이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표 9에 기재한다. 표 중의 글리신 및 플라시보의 값은 수면 조사표「수면의 깊이」에 있어서, 8단계로 평가된 점의 피험자 평균을 나타내는 값이다. 수치가 클수록, 피험자가 보다 깊은 수면이었다고 답변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p값이란 통계학적인 값으로, 차이가 없다고 가정하였을 때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이다. 특히 이 값이 0.05 이하일 때에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Figure 112005062394430-pct00009
(4) 각각 1주 동안의 시험 기간 종료시에 수면의 양호함에 관해서 질문한 결과, 15명 중 6명은 글리신을 복용한 주가, 1명은 플라시보를 복용한 주가 양호하였다고 대답하였다. 나머지 8명은 어느 쪽도 동일하다고 대답하였다.
(5) 수면의 상태를 평가하는 자기식의 조사표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32세 이상의 피험자에 관해서, 특히 다음날 아침의 머리를 상쾌하게 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결과를 표 10에 정리한다.
Figure 112005062394430-pct00010
이상의 것으로부터, 글리신의 섭취에 의해 깊은 수면이 수득되는 동시에, 기상시의 피로감이나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상태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깊은 수면이 수득되기 때문에 피로가 풀리고 기상시의 상태가 개선되었다고 생각된다.
(실험예 10)
글리신의 수면에 대한 효과 확인을 목적으로 한 이중맹검법 크로스오버 테스트를 수면 중의 코골이나 무호흡 상태를 걱정하고 있는 남성 성인 14명(체중 64 내지 112.5kg, 평균 81.2kg)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취침 1시간 전에 글리신(과립상, 시트르산 등을 포함)을 글리신 환산으로 3g 복용하고, 플라시보로서는 글리신 이외의 성분(시트르산 등)을 포함하며 맛에 구별이 가지 않을 정도로 조정한 환원 맥아당을 사용하였다.
(1) 수면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밤새 수면 다원 검사(polysomnography)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소등으로부터 입면까지의 시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으며, 소등으로부터 깊은 수면이라고 여겨지는 서파 수면에 들어가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는 동시에, 입면 초기의 서파 수면의 연장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상시에 어젯밤의 수면 상태에 관해서 수면 조사표로 조사한 결과, 「잠의 깊이」의 항목에서 높은 득점이 수득되었다. 이로부터 글리신의 섭취에 의해 깊은 수면이 수득되기 쉬워졌다고 생각된다. 결과를 표 11에 정리한다. 표 중의 입면 초기의 서파 수면(%)이란 입면 초기(1시간)에 차지하는 서파 수면의 비율의 피험자 평균을 나타내는 값이다.
또한 OSA 수면 조사표에 있어서는, 4단계(0, 11, 21, 32점)로 기재된 득점의 피험자 평균을 나타내는 값을 산출하였다. 득점이 높을수록 잠이 보다 깊었다고 피험자가 답변한 것을 나타낸다. 글리신 섭취에서의 득점은 16.7점으로, 플라시보 섭취에서의 득점 12.3과 비교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글리신 섭취에 의해 잠이 깊어졌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5062394430-pct00011
(2) 기상시에 어젯밤의 수면 상태에 관해서 OSA 수면 조사표로 조사한 결과, 잠들 때까지 꾸벅꾸벅 조는 상태가 적었다는 경향이 수득되었다. 취침시의 입면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켰다고 생각된다. 결과는, OSA 수면 조사표에 있어서의 4단계(0, 11, 19, 30)로 기재된 득점의 피험자 평균치로 나타낸다. 득점이 높을수록 잠들 때까지 꾸벅꾸벅 조는 상태가 보다 적었다고 피험자가 답변한 것을 의미한다. 글리신 섭취에서의 득점은 24.9로, 플라시보 섭취에서의 득점 19.6과 비교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글리신 섭취로 잠들 때까지 꾸벅꾸벅 조는 시간이 적어졌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입면후에 깊은 잠이 수득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험예 11)
글리신(분말상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글리신)을, 0g/kg 및 2g/kg(Og/kg은 대조군) 각각 투여한 래트를 사용하여, 피질·해마에 유치(留置)시킨 전극으로부터 기록되는 자발 뇌파 및 경부근전도, 또한 적외선 모니터에 의한 자발 운동량을 측정하였다. 뇌파, 근전도 및 행동 기록(kymogram)으로부터 수면-각성 주기를 해석하고 명기 및 암기의 점유율 및 잠시(潛時) 시간(latency time)을 산출하였다. 표 12에 3시간별 수면-각성 주기 점유율, 표 13에 잠시 시간, 표 14에 투여 6시간후의 자발 운동량을 기재한다(전부 평균치±표준 오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62394430-pct00012
Figure 112005062394430-pct00013
Figure 112005062394430-pct00014
낮에 글리신을 투여한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성기의 비율이 감소되고 있었다. 수면기의 내역에 관해서 보면, 서파수면기와 속파수면기 모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암기에 관해서는 작용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표 13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각 수면기의 잠시 시간, 즉 투여후 처음으로 출현할 때까지의 시간에 관해서, 글리신 투여군에서는 서파수면기 잠시가 단축되고 있으며, 글리신에 의해서 깊은 잠이 유발되기 쉬워졌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표 14에 기재한 바와 같이, 명기의 자발 운동량은 글리신 투여군에서 감소되었지만, 암기에서는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글리신은 래트의 본래의 휴식기인 명기에 한정되며, 수면의 구성을 현저하게 변화시키지 않고 자연스러운 수면을 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식품은 바람직하지 못한 플레이버의 차단 작용, 중도 각성 억제 작용, 조조 각성 억제 작용 등과 같은 숙면 장해 개선 작용 및 변통 개선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섭취량 단위의 형태를 취하는 식품은 상기 작용에 의한 효과를 손쉽게 향수할 수 있는 식품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원 제2004-007392호 및 일본 특허원 제2004-158917호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들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i) 글리신의 중량,
    ii) 글리신을 구성단위로 갖는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모두 글리신으로 했을 때의 글리신의 중량, 또는
    iii) 글리신을 구성단위로 갖는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가수분해에 의해 모두 글리신으로 했을 때의 글리신의 중량과 본래 글리신이었던 것의 총 중량
    을 1식당(per serving) 0.5g 이상 포함하고,
    글리신을 구성단위로 갖는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의 함유량이 글리신 이외의 아미노산 환산으로 1식당 5g 이하인, 숙면 장해 개선용 식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숙면 장해 개선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는 표시를 부착한 식품.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5항의 식품 및 숙면 장해 개선 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관한 설명을 기재한 기재물을 포함하는 상업적 패키지.
KR1020057020655A 2004-01-14 2005-10-31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 KR101214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7392 2004-01-14
JPJP-P-2004-00007392 2004-01-14
JP2004158917 2004-05-28
JPJP-P-2004-00158917 2004-05-28
PCT/JP2004/019771 WO2005067738A1 (ja) 2004-01-14 2004-12-24 グリシンを含有する食品およびその用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958A Division KR20120120423A (ko) 2004-01-14 2004-12-24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593A KR20060112593A (ko) 2006-11-01
KR101214391B1 true KR101214391B1 (ko) 2012-12-21

Family

ID=347977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958A KR20120120423A (ko) 2004-01-14 2004-12-24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
KR1020057020655A KR101214391B1 (ko) 2004-01-14 2005-10-31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958A KR20120120423A (ko) 2004-01-14 2004-12-24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61629B2 (ko)
EP (1) EP1609375B1 (ko)
JP (5) JP4913410B2 (ko)
KR (2) KR20120120423A (ko)
CN (2) CN102160650B (ko)
WO (1) WO20050677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661A (ko)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엠에이치투 바이오케미칼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2589B8 (en) * 2003-05-19 2012-10-03 Ajinomoto Co., Inc. Preventives/remedies for snore or respiratory disturbances during sleep
EP1609375B1 (en) * 2004-01-14 2016-04-13 Ajinomoto Co., Inc. Glycine-containing food and use thereof
JP2006333872A (ja) * 2004-01-14 2006-12-14 Ajinomoto Co Inc グリシンを含有する食品及びその用途
WO2007125883A1 (ja) * 2006-04-28 2007-11-08 Lion Corporation 睡眠改善用組成物
JP2008150352A (ja) * 2006-12-15 2008-07-03 Mg Seiyaku Kk 睡眠改善剤組成物
WO2015053337A1 (ja) * 2013-10-09 2015-04-16 味の素株式会社 ヒスチジンを含有する食品およびその用途
RU2566713C1 (ru) * 2014-12-09 2015-10-27 Николай Борисович Леонидов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нарушений сна
CN113350655B (zh) * 2016-02-24 2024-03-19 禾木(中国)生物工程有限公司 柔性增强的神经血管导管
KR102402639B1 (ko) 2017-11-24 2022-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EP3825314A4 (en) * 2018-07-19 2022-04-06 Medshine Discovery Inc. AZAINDOL DERIVATIVE AND ITS USE AS FGFR AND C-MET INHIBITOR
US20210369654A1 (en) * 2018-10-16 2021-12-02 Nippon Chemiphar Co., Ltd. Agent for improving quality of sleep
JP2020172459A (ja) * 2019-04-09 2020-10-22 国立大学法人 新潟大学 アミロイドβタンパク質の凝集抑制剤及びアルツハイマー病の予防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
JP6873291B1 (ja) 2020-02-05 2021-05-19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睡眠促進用組成物及び組成物を含む食品、医薬品、飼料
BR112022020334A2 (pt) 2020-04-14 2022-11-22 Nippon Chemiphar Co Melhorador da qualidade do son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52772A (en) * 1974-11-14 1979-04-17 Irving Goodman Peptides for control of intestinal motility
US4397866A (en) * 1979-05-07 1983-08-0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ocess for increasing glycine levels in the brain and spinal cord
IT1212792B (it) * 1983-11-30 1989-11-30 Egidio Aldo Moja Supplemento dietetico e alimento preconfezionato che lo contiene procedimento di preparazione e metodo di somministrazione
US4758439A (en) * 1984-06-11 1988-07-19 Godfrey Science & Design, Inc. Flavor of zinc supplements for oral use
JPH0272853A (ja) * 1988-01-07 1990-03-13 Hiroe Ogawa 食品用変質防止剤および食品の変質防止方法
US5112604A (en) * 1989-09-01 1992-05-12 Riker Laboratories, Inc. Oral suspension formulation
US4980168A (en) 1989-10-13 1990-12-25 Natrol, Inc. Dietary supplement for children
JP3246738B2 (ja) * 1990-11-30 2002-01-15 ロート製薬株式会社 サポニン及びアミノ酸含有組成物
AU1192892A (en) * 1992-01-10 1993-08-03 Natalya Mikhailovna Burbenskaya Pharmaceutical preparation of antistress, stress-preventive and nootropic action
CN1078359A (zh) * 1993-01-20 1993-11-17 中德联合研究院 一种益智健脑食品及其生产方法
US5480865A (en) * 1994-02-25 1996-01-02 Parkinson's Charitable Trust Nutritional composition
CN1110112A (zh) * 1994-04-11 1995-10-18 贾增申 一种氨基酸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US6461634B1 (en) * 1999-08-20 2002-10-08 Edward Marshall Food-based delivery of HGH-stimulating and other nutritional supplements
JP2001224334A (ja) * 2000-02-16 2001-08-21 Ajinomoto Co Inc アミノ酸含有美容食品
KR100373501B1 (ko) * 2000-09-20 2003-02-25 최병학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스트레스제 조성물
JP3550559B2 (ja) 2001-10-18 2004-08-04 アサヒ飲料株式会社 グリシン含有飲料
DE10221403A1 (de) * 2002-05-14 2003-12-04 Kyberg Pharma Vertriebs Gmbh & Diätetische und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RU2220712C1 (ru) * 2002-07-18 2004-01-10 ЗАО "НПО ПЦ Биофизика" Средство и набор для нормализации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нарушений, возникающих в предклимактерический и климактерический период
EP1642589B8 (en) 2003-05-19 2012-10-03 Ajinomoto Co., Inc. Preventives/remedies for snore or respiratory disturbances during sleep
ES2282880T3 (es) * 2003-05-22 2007-10-16 N.V. Nutricia Metodo para tratar o prevenir heridas cronicas y composicion nutritiv a completa comprendiendo glicina y/o leucina para usar en este.
JP2006333872A (ja) * 2004-01-14 2006-12-14 Ajinomoto Co Inc グリシンを含有する食品及びその用途
EP1609375B1 (en) * 2004-01-14 2016-04-13 Ajinomoto Co., Inc. Glycine-containing food and use thereof
JP2006169221A (ja) * 2004-12-13 2006-06-29 Crescendo Corporation おやすみサプ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661A (ko)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엠에이치투 바이오케미칼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0562B (zh) 2011-04-13
WO2005067738A1 (ja) 2005-07-28
JP6271472B2 (ja) 2018-01-31
JP2015212282A (ja) 2015-11-26
CN102160650A (zh) 2011-08-24
CN102160650B (zh) 2012-12-26
EP1609375A1 (en) 2005-12-28
EP1609375A4 (en) 2006-08-30
EP1609375B1 (en) 2016-04-13
JP5976552B2 (ja) 2016-08-23
KR20060112593A (ko) 2006-11-01
JP4913410B2 (ja) 2012-04-11
JP2013121961A (ja) 2013-06-20
JP2012211167A (ja) 2012-11-01
KR20120120423A (ko) 2012-11-01
JP2011093933A (ja) 2011-05-12
US20060003083A1 (en) 2006-01-05
JPWO2005067738A1 (ja) 2007-07-26
JP5686615B2 (ja) 2015-03-18
US10561629B2 (en) 2020-02-18
CN1780562A (zh)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391B1 (ko)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
JP6093425B2 (ja) 肥満の処置のための、サフランおよび/またはサフラナールおよび/またはピクロクロシンおよび/またはクロシンおよび/またはそれらの誘導体の使用
JP2000505308A (ja) 組成物、および食物補給物としての、または血清中の脂質を低下させるためのその使用
JP2007031371A (ja) 睡眠障害改善剤
JP7047865B2 (ja) ヒスチジンを含有する食品およびその用途
US7011857B2 (en) Weight los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ividuals who may have gastric hyperacidity
WO2007042745A1 (en) Chocolate based appetite suppressant
CN102076230B (zh) 用于重量管理的乙酸异戊酯
US20170157075A1 (en) Edi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moting Alpha Brain Waves
CN106470691B (zh) 包含肉桂醛和锌的组合物及此类组合物的使用方法
JP2006333872A (ja) グリシンを含有する食品及びその用途
JP6650852B2 (ja) ドコサヘキサエン酸を含有する睡眠の質改善剤
JPH1025245A (ja) 経口催眠剤、催眠性飲食物及び催眠性餌料
JP2019142852A (ja) 新規組成物
US20130171279A1 (en) Composition for Reducing Side- and After-Effects of Cancer Treatment
US20050214362A1 (en) Appetite suppressant
JP4435882B2 (ja) アルコール吸収抑制組成物
JP2015218119A (ja) 睡眠改善剤及びそれを用いた飲食品
JP2019182775A (ja) メラトニンの分泌開始時刻遅延促進用組成物、早期覚醒改善用組成物及び概日リズムの位相前進化の改善用組成物
D'Anci et al. Caffeine, the methylxanthines and behavior.
Chen Nutritional Considerations for Cancer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