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661A -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661A
KR20200129661A KR1020190054404A KR20190054404A KR20200129661A KR 20200129661 A KR20200129661 A KR 20200129661A KR 1020190054404 A KR1020190054404 A KR 1020190054404A KR 20190054404 A KR20190054404 A KR 20190054404A KR 20200129661 A KR20200129661 A KR 20200129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composition
weight
glycine
thean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246B1 (ko
Inventor
김민홍
한금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이치투 바이오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이치투 바이오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이치투 바이오케미칼
Priority to KR102019005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24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2Gly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6Thean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바(GABA), 테아닌(Theanine), 글리신(Glycine), 심황색소(Circumin), 홍삼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식품성분을 최적화하여, 유효성분의 1회 섭취량을 최소화함에 불구하고, 수면 유도 효과가 뛰어나고, 섭취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바, 테아닌, 글리신, 심황색소, 홍삼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안전한 원료를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1회 1g 내외의 소량을 간편하게 섭취함에 따라 깊은 잠을 더 오래 잘 수 있는, 우수한 수면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Composition of food or pharmacy for inducing sleep of good quality}
본 발명은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을 위한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가바(GABA), 테아닌(Theanine), 글리신(Glycine), 심황색소(Circumin), 홍삼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면은 인간수명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생리현상으로, 건강유지 및 정신안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대인의 수면 시간은 점차 감소하고 있고, 특히 한국인의 수면시간은 선진국 중에서도 짧은 축에 속한다. 2017년도 한국갤럽에서 1004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잠과 꿈에 대한 조사결과, 한국인의 평균 수면시간은 6시간 24분으로 나타났다. 또한, OECD 통계에 의하면 한국인의 평균수면시간은 7시간 41분으로, 이는 OECD 평균치인 8시간 22분보다 41분이나 짧은 시간이다.
수면은 육체적이나 정신적인 활동을 멈추고 단순히 휴식을 취하는 것뿐 아니라 수면 중, 고유의 대사과정을 통하여 건강을 유지하게 한다. 수면 중 심장 박동수가 감소하는데, 이는 수면 중 심장에 부담을 줄여주는 육체적 휴식이 진행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수면 중에는 주간에 진행된 사건을 뇌에 분류·저장하는 과정이 진행되는데, 충분히 수면을 취한 그룹에서 학습효과가 더 높게 나오고, 창조적인 일을 하는데에도 충분한 수면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기와 같은 현상에 대하여, 학자들은 수면 중에 뇌세포들이 문제해결을 위한 경로를 구상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편, 수면을 뇌파로 분석해보면 렘(REM)수면과 비렘(NonREM)수면이 있는데, 후자가 더 깊은 잠을 자는 경우이다. 비렘수면기간에 면역력을 높이는 사이토카인이나 피부, 근육세포를 자라게 하는 성장호르몬이 분비된다. 하지만, 이러한 수면의 이점에 불구하고, 경쟁사회 속에서 현대인은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고, 수면장애를 겪는 사람의 숫자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고령화사회에 들어가면서 수면장애를 겪는 고연령층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욕구의 일환으로, 수면 유도 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불면을 해소하기 위한 약제에는, 처방이 필요한 약제와 처방이 필요없는 수면 유도제가 있다. 처방이 필요한 수면제는 소량으로 즉시 효과가 발생하나, 다음날에도 약효가 지속되는 문제점과 내성의 부작용이 존재한다. 반면, 처방이 필요 없는 식품성분으로 이뤄진 수면 유도제는 다량의 섭취가 필요하고, 효과가 수면제에 비해 뚜렷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방안의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14391호(2012.12.14)에는,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로 글리신의 숙면장해 개선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섭취량으로 수면을 유도하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바(GABA), 테아닌(Theanine), 글리신(Glycine), 심황색소(Circumin), 홍삼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가바(GABA) 100~300 중량부, 테아닌(Theanine) 20~100 중량부, 글리신(Glycine) 100~500 중량부, 심황색소(Circumin) 5~30 중량부, 홍삼추출분말 10~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1회 섭취량이 0.7~1.1g으로 포장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가바(GABA), 테아닌(Theanine), 글리신(Glycine), 심황색소(Circumin), 홍삼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제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면 유도제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면 유도제 또는 수면질 향상용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가바(GABA) 100~300 중량부, 테아닌(Theanine) 20~100 중량부, 글리신(Glycine) 100~500 중량부, 심황색소(Circumin) 5~30 중량부, 홍삼추출분말 10~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1회 섭취량이 0.7~1.1g으로 포장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식품 성분을 최적화하여, 유효 성분의 1회 섭취량을 최소화하였음에 불구하고, 수면 유도 효과가 뛰어나고, 섭취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바, 테아닌, 글리신, 심황색소, 홍삼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안전한 원료를 적절히 배합하고, 1회 1g 내외의 소량을 간편하게 섭취함에 따라, 깊은 잠을 더 오래 잘 수 있는, 우수한 수면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2의 섭취시의 용이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 조성물 섭취 전후의 수면효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2에서 파란색은 수면 전, 주황색은 수면 후의 측정값이고, 세로축의 숫자는 피츠버그 수면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한 측정 수치이다. 수치가 낮을수록 수면질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수면 유도제의 섭취는 대개 잠자기 전 30분 ~ 1시간 전에 먹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섭취할 양이 많거나, 성분이 자극적이면 위에 부담을 주어 오히려 잠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섭취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시판중인 대부분의 식품 타입의 수면 유도제는 충분한 수면효과를 위하여, 상당량의 섭취가 권고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214391호에 의하면 숙면장해 개선의 목적으로 글리신을 1회당 0.5g 이상, 더욱 바람직한 섭취량은 체중(kg) 당 0.125-1.5g으로 60kg 체중의 성인인 경우, 일일 7.5g-90g에 해당하는 많은 양의 글리신을 섭취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일본공개특허 P2008-150352A에 의하면, 수면개선제의 조성물로 글리신, 가바, 테아닌의 세 가지 성분의 조합을 제시하고 있는데, 수면 개선효과를 보기 위한 섭취량으로는 성인 60kg 기준, 글리신은 2-3g, 테아닌은 0.06-3.0g, 가바는 0.1-0.5g을 섭취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두 특허에서 알 수 있듯이, 공통적으로 1회에 섭취하는 양은 유효성분 기준으로 1.5g에서 3.0g이며 제품을 완성하기 위한 향미제, 감미제 혹은 부형제 등이 포함되는 것을 감안하면 2.0g 이상 5.0g 이하의 수준으로, 1회에 섭취하기에는 그 함량이 다소 많아 환자에게 불편을 초래한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본 발명에서는 가바(GABA), 테아닌(Theanine), 글리신(Glycine), 심황색소(Circumin), 홍삼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며, 양질의 수면을 돕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재료 중 글리신, 가바, 테아닌, 심황색소는 식품첨가물로 모두 함량이 98%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홍삼추출분말은 홍삼을 추출하여 농축 후 분말로 만든 제품으로, 진세노사이드 Rb1, Rg1, Rg3의 합이 제품 그람(g) 당 최소 2.5mg 함유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약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가바(GABA) 100~300 중량부, 테아닌(Theanine) 20~100 중량부, 글리신(Glycine) 100~500 중량부, 심황색소(Circumin) 5~30 중량부, 홍삼추출분말 10~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은데, 상기 원료의 각 함량이 상기 설정의 범위보다 작거나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수면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주성분 모두에 있어서, 하한 미만으로 섭취한 경우는 수면유도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다(미도시). 가바의 경우 상한을 초과할 경우 안전성이 확실치 않으며, 테아닌, 커큐민, 홍삼추출분말의 경우는 상한을 초과할 경우, 가격이 고가여서 사용상의 제약이 따른다. 글리신의 경우, 상한을 초과하여 섭취하면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섭취상의 불편함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약품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섭취량을 0.7~1.1g으로 포장하는 것이 좋다. 이때, 주성분인 가바(GABA), 테아닌(Theanine), 글리신(Glycine), 심황색소(Circumin), 홍삼추출분말은, 가바(GABA) 100~300 중량부, 테아닌(Theanine) 20~100 중량부, 글리신(Glycine) 100~500 중량부, 심황색소(Circumin) 5~30 중량부, 홍삼추출분말 10~100 중량부의 비율로 이들 총합이 0.7~0.9g이 되게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에 당알콜(예, 에리스리톨),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를 추가하여 0.9~1.1g 내외로 포장하는 것이 좋다.
하기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할 경우, 본 발명 조성물의 총 중량을 1g (주성분은 0.82g, 1회 섭취량 기준)으로 하여 그 섭취량을 현저히 감소시켰음에 불구하고, 섭취 후 1시간 이내 잠이 들고, 잠을 자는 시간이 1~3시간 늘어나며, 비렘수면시간이 길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면에 관련된 중요한 인자는 첫째 잠이 들기까지의 시간을 줄이고, 둘째, 수면시간을 길게 유지하며, 셋째,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인데, 하기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깊은 잠을 더 오래 잘 수 있는, 우수한 수면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1g (주성분 기준 0.9g)을 초과하여 1회 섭취량이 조성되면, 위에 부담을 야기하여 오히려 수면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1회 섭취량은 60kg의 성인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1회 섭취량은 체중의 증감에 따라 그에 비례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여러 부형제를 첨가하여 다양한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릿, 빵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외 다양한 형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형태로도 제공되는데, 가바(GABA), 테아닌(Theanine), 글리신(Glycine), 심황색소(Circumin), 홍삼추출분말 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류가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방 및 치료제가 약제일 경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맛을 개선하기 위해서 당알코올이 첨가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 말티톨, 자일리톨 또는 에리스리톨 등인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 다양한 형태의 감미제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과립제 (GRANULES), 시럽제 (SYRUPS), 액제 (LIQUIDS FORMULATIONS), 유동엑스제 (FLUIDEXTRACTS), 유제 (EMULSIONS), 현탁제 (SUSPENSIONS), 정제 (TABLETS), 캅셀제 (CAPSULES), 환제 (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필름형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섭취 후 쉽게 용해되고 흡수된다는 측면에서 과립제 (GRANULES)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약학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성분(가바, 테아닌, 글리신, 심황색소, 홍삼추출분말)의 총 함량 기준으로 1회 0.7~0.9g/60kg (체중)으로 1일 1회 투여 가능하다. 이때, 주성분은 가바(GABA) 100~300 중량부, 테아닌(Theanine) 20~100 중량부, 글리신(Glycine) 100~500 중량부, 심황색소(Circumin) 5~30 중량부, 홍삼추출분말 10~100 중량로 조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복용자의 상태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본 발명 수면 유도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수면 유도용 조성물 2kg에 해당하는 원료성분을 계량한 후, 역회전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분말을 수득하였다. 이후, 과립분말을 건조기에 넣고 70℃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하기 원료들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홍삼추출분말은 홍삼추출물을 분말화한 것이다.
수면 유도용 조성물의 조성비(%)
성분명 실시예 1
주성분 글리신 48.0
가바 25.0
테아닌 5.0
홍삼추출분말 3.0
심황색소 1.0
에리스리톨 17.88
구연산 0.1
스테비오사이드 0.02
100
[ 비교예 1 내지 2: 수면 유도용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 1은 한국등록특허 제10-1214391호의 내용을 참조로 하고, 비교예 2는 일본특허공고 P2008-150352A의 내용을 참조로 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한 조성비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면 유도용 조성물의 조성비(%)
성분명 비교예 1 비교예 2
글리신 82.0 77.5
가바 - 2.3
테아닌 - 2.2
홍삼추출분말 - -
심황색소 - -
에리스리톨 17.88 17.88
구연산 0.1 0.1
스테비오사이드 0.02 0.02
100 100
[ 실험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이 수면 유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하기 실험에서는 하기 표 3의 섭취량을 기준으로 투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의 1회 섭취량 및 관련 지표는 각각 한국등록특허 제10-1214391호와 일본특허공고 P2008-150352A의 내용을 참조하였다.
1회 섭취량 및 관련 지표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1회 섭취량 1.0g 2.0g 3.7g
1회 섭취량 중 주성분 함량 0.82g 1.64g 3.0g
체중 kg 당 주성분 함량 0.014g 0.027g 0.05g
1) 수면 유도용 조성물의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2의 수면 유도용 조성물을 스틱형 비닐튜브에 각각 지정된 양(1.0g, 2.0g, 3.7g)을 넣고 밀봉하여 세 종류의 관능검사용 시료를 준비하였다. 남녀 각 10명으로 구성된 패널에 세 종류의 시료를 제시하고, 맛에 대한 호감도와 섭취시의 불편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면 유도용 조성물의 관능 평가
측정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맛에 대한 호감도 4.32 ± 0.627 4.20 ± 0.577 4.32 ± 0.556
섭취시의 용이함 4.64 ± 0.489 3.92 ± 0.571 3.32 ± 0.476
관능평가 결과, 맛에 대한 호감도는 세 종류의 시료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섭취시의 용이함이 실시예 1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도 1). 이는, 1회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섭취시의 불편함이 증가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2의 섭취시의 용이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2) 쥐를 대상으로 한 수면 유도 효과 측정
동물실험을 통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의 수면 유도 효과를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였고, 실험에 사용된 방법은 펜토바비탈 유도시험법으로 (pentobarbital induced sleep test) 식품의 수면증진 기능성 클레임과 평가방법(조긍목외 식품과학과 산업 46권 P.8-22)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ICR 마우스를 각 실험군마다 10마리씩 배치하고, 각 조성물을 14mg/kg으로 경구투여를 한 후, 펜토바비탈 45mg/kg을 복강주사하였다. 이후, 수면 잠복기와 수면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수면 잠복기와 수면시간
수면잠복기, 초 수면시간, 분
대조군 320 61
실시예 1 282 92
비교예 1 315 68
실험 결과, 동일 농도 기준으로 볼 때, 실시예 1의 조성물이 수면잠복기를 감소시키고, 수면시간을 증진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조군과 비교할 때, 수면잠복기를 감소시켜 비렘수면(NonRem sleep)에 빨리 도달하게 하였으며, 동시에 수면시간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인체실험을 통한 수면 유도 효과의 측정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비교예 2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인체의 수면 유도에 미치는 효과를 피츠버그 수면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를 활용하여 특정하였다. 피츠버그 수면질 지수는 가장 보편적으로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각자 개인의 수면의 질, 불면증의 정도와 삶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조성물은 총량 1g으로 말토덱스트린을 82% 포함하고, 에리스리톨, 구연산, 스테비오사이드는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동일하게 포함하고 있으며, 1회 섭취량은 실시예 1에 기재된 함량과 동일한 양으로 하였다.
시험대상자는 수면에 어려움이 있는 남녀 동수의 36명을 1개 군으로 하여 3개 군으로 구성하였다. 시험대상자들은 일주일간 매일 취침 전 1회분의 조성물을 물과 함께 섭취하게 하고, 30분 후 바로 취침에 들어가도록 하였다.
대상자에게 시험전과 시험 후 7개 항목(수면의질, 수면잠복, 수면기간, 수면효율, 수면방해, 수면약물이용, 주간기능장애)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총 점수는 24점으로 점수가 낮을수록 수면 효과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인체실험을 통한 수면 유도 효과
대조군 실시예 1 비교예 2
인원수 32 34 33
평균 나이, 년 57.6 56.9 57.2
성별(남:여) 15:17 17:17 16:17
PSQI 시험전 12.28 ± 1.85 12.11 ± 1.38 11.72 ± 1.66
PSQI 시험후 11.84 ± 1.76 8.85 ± 1.10 8.60 ± 1.57
평균치 차이 0.437 3.264 3.121
실험 결과,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주성분 섭취량은 0.82g으로, 비교예 2의 조성물의 주성분 섭취량 3.0g보다 대폭 낮은 수준임에도 전체적으로 수면 유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사하였다 (도 2).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 조성물 섭취 전후의 수면효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2에서 파란색은 수면 전, 주황색은 수면 후의 측정값이고, 세로축의 숫자는 피츠버그 수면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한 측정 수치이다. 수치가 낮을수록 수면질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 비교예 3 내지 4: 홍삼추출분말과 심황색소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수면 유도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수면 유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3 내지 4의 수면 유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수면 유도용 조성물의 조성비(%)
성분명 비교예 3 비교예 4
글리신 - -
가바 - -
테아닌 - -
홍삼추출분말 82.0 -
심황색소 - 82.0
에리스리톨 17.88 17.88
구연산 0.1 0.1
스테비오사이드 0.02 0.02
100 100
[ 실험예 2: 홍삼추출분말과 심황색소가 수면 유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
본 실험에서는 홍삼추출분말(비교예 3)과 심황색소(비교예 4)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각 조성물의 1회 섭취량은 1.0g (1회 섭취량 중 주성분의 함량은 0.82g, 체중(kg) 당 주성분 함량은 0.014g이 되도록 설정)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였다. 수면 유도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실험예 1의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수면 잠복기 및 수면시간을 측정
수면잠복기, 초 수면시간, 분
대조군 310 58
실시예 1 271 89
비교예 1 302 63
비교예 2 317 51
실험 결과, 홍삼추출분말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교예 3이나 심황색소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교예 4는 수면 잠복기나 수면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를 통해, 홍삼추출분말 및 심황색소 단독 투여로는 수면 유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2의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홍삼추출분말 및 심황색소 단독으로는 수면 유도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나, 글리신, 가바, 테아닌과 공존시에 수면 유도 상승에 시너지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laims (6)

  1. 가바(GABA), 테아닌(Theanine), 글리신(Glycine), 심황색소(Circumin), 홍삼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가바(GABA) 100~300 중량부, 테아닌(Theanine) 20~100 중량부, 글리신(Glycine) 100~500 중량부, 심황색소(Circumin) 5~30 중량부, 홍삼추출분말 10~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회 섭취량이 0.7~1.1g으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조성물.
  4. 가바(GABA), 테아닌(Theanine), 글리신(Glycine), 심황색소(Circumin), 홍삼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제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유도제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약학 조성물은,
    가바(GABA) 100~300 중량부, 테아닌(Theanine) 20~100 중량부, 글리신(Glycine) 100~500 중량부, 심황색소(Circumin) 5~30 중량부, 홍삼추출분말 10~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유도제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회 섭취량이 0.7~1.1g으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유도제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약학 조성물.
KR1020190054404A 2019-05-09 2019-05-09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329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404A KR102329246B1 (ko) 2019-05-09 2019-05-09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404A KR102329246B1 (ko) 2019-05-09 2019-05-09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61A true KR20200129661A (ko) 2020-11-18
KR102329246B1 KR102329246B1 (ko) 2021-11-23

Family

ID=7369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404A KR102329246B1 (ko) 2019-05-09 2019-05-09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2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0352A (ja) * 2006-12-15 2008-07-03 Mg Seiyaku Kk 睡眠改善剤組成物
KR101214391B1 (ko) 2004-01-14 2012-12-21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391B1 (ko) 2004-01-14 2012-12-21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글리신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이의 용도
JP2008150352A (ja) * 2006-12-15 2008-07-03 Mg Seiyaku Kk 睡眠改善剤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i Noorafshan et. al., Restorative effects of curcumin on sleep-deprivation induced memory impairments and structural changes of the hippocampus in a rat model. Life Sciences. 189 (2017) 63-70.* *
이선아 외 4명. 고려 홍삼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무작위 위약-대조군 연구.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7(2): 85-90, 20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246B1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3796A1 (en) Sleep disorder improvement agent and method for improving sleep disorders
US7932288B2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EP1283038B1 (en) Compositions normalizing circadian rhythm
US20180104299A1 (en) Use of saffron and/or safranal and/or crocin and/or picrocrocin and/or derivatives thereof as a satiation agen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WO1999042096A1 (fr) Composition renfermant de la theanine
EP1906980A2 (en) Method of treatment or management of stress
KR20140125264A (ko)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3226805A1 (en) Paraxanthine-based caffeine substitute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thereof in slow caffeine metabolizers
US20160310552A1 (en) Northern white kidney bean extract and ceratonia siliqua extract in combination with green tea extract in the treatment of excess weight and obesity
KR20240004452A (ko) 1-메틸크산틴-기반 생체활성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40024773A (ko) 체중 감소를 촉진하기 위한 파라잔틴-기반 조성물
KR102348044B1 (ko)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9246B1 (ko) 수면 유도 또는 수면 질 향상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536974B1 (ko)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2019054791A (ja) 疲労改善用組成物
US20070224302A1 (en) Maintaining Anabolic Hormone Profile During Weight Loss and Intense Exercise
WO2020091014A1 (ja) 心拍数低下剤
JP6698034B2 (ja) 冷え症等の全身症状改善用経口組成物
KR102489829B1 (ko) 흑하랑상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유도용 조성물
US20230039272A1 (en) Composition for improved energy, focus and clarity
KR102614356B1 (ko)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변활동 개선용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KR20120055159A (ko)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US20220296665A1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alleviation of irritable bowel syndrome
KR100544711B1 (ko) 항암효능을 갖는 비타민 k3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식품
JPH10330277A (ja) 漢方内服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