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339B1 - 정제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339B1
KR101213339B1 KR1020077017210A KR20077017210A KR101213339B1 KR 101213339 B1 KR101213339 B1 KR 101213339B1 KR 1020077017210 A KR1020077017210 A KR 1020077017210A KR 20077017210 A KR20077017210 A KR 20077017210A KR 101213339 B1 KR101213339 B1 KR 101213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arm
base
feeder
potion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683A (ko
Inventor
쇼오지 유야마
나오끼 고이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10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약병을 정제 카세트로 반송하여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정제를 수취한다.
정제를 1개씩 배출 가능한 복수의 정제 피더(11)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정제 공급 유닛(3)과, 빈 물약병(9)을 반송하고, 상기 물약병(9)에 정제 공급 유닛(3)의 정제 피더(11)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충전하고, 상기 정제가 충전된 물약병(9)을 반송하는 아암 유닛(44)으로 이루어진다. 아암 유닛(44)은 정제 공급 유닛(3)의 정제 피더(11)의 배치 방향으로 마련된 수평 레일(42a, 42b)과 수직 레일(43)에 따라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직교 이동 베이스(49)와, 상기 직교 이동 베이스(49)에 수평 레일(42a, 42b)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아암 베이스(52)와, 상기 아암 베이스(52)에 물약병(9)을 파지 가능하게 마련된 아암(68)으로 구성하고 있다.
아암 유닛, 정제 공급 유닛, 물약병, 정지 피더, 아암 베이스, 수평 레일

Description

정제 충전 장치 {TABLET FILLING DEVICE}
본 발명은 물약병에 정제를 충전하는 정제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제 충전 장치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제를 종류마다 수용한 정제 카세트를 장착하는 복수의 모터 베이스를 갖는 정제 공급부와, 정제를 물약병에 충전하는 정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에 물약병을 공급하는 정제 용기 공급부로 되어 있다. 상기 정제 공급부는, 상기 모터 베이스에 내장된 용기 구동 모터에 의해 정제 공급 용기 내의 회전자를 회전시켜서 필요한 수량의 정제를 계수하여 배출시키고, 배출된 정제를 호퍼나 이동 가능한 반송 용기에 의해 상기 정제 충전부의 충전 위치까지 반송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11-70901호 공보
종래의 정제 충전 장치에서는, 정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정제를 계수하는 센서를 모든 모터 베이스에 각각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정제 카세트의 회전자에 의해 정제의 막힘이 발생되면, 구동 모터의 과부하를 검출하여 에러 표시를 나타내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복구 작업을 대기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약병을 정제 카세트로 반송하여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정제를 수취할 수 있는 정제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정제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는 정제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수단에서는,
정제를 1개씩 배출 가능한 정제 피더를 복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배치한 착탈 가능한 정제 공급 유닛과,
빈 물약병을 반송하고, 상기 물약병에 상기 정제 공급 유닛의 정제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충전하고, 상기 정제가 충전된 물약병을 반송하는 아암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 유닛은,
상기 정제 공급 유닛의 정제 피더의 배치 방향으로 마련된 수평 레일과 수직 레일에 따라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직교 이동 베이스와,
상기 직교 이동 베이스에, 상기 수평 레일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아암 베이스와,
상기 아암 베이스에 물약병을 파지 가능하게 마련된 아암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제1 수단에서는, 정제 공급 유닛의 정제 피더는, 종래와 같이 정제 카세트와 모터 베이스로 구성되어 있어 모터 베이스의 구동 모터에 의해 정제 카세트의 회전자를 구동하는 형식으로도 좋고, 모터 베이스가 없이 아암 유닛의 구동 모터에 의해 정제 카세트의 회전자를 구동하는 형식으로도 좋다. 또한, 정제 공급 유닛의 정제 피더는 아암 유닛의 수평 이동 방향에 대해 한쪽에 배치해도 좋고, 양쪽에 배치해도 좋다. 아암 유닛은 정제 공급 유닛의 정제 피더의 정제 배출측에 배치한다. 아암은 물약병의 외주를 외측으로부터 파지하는 것, 물약병의 바닥을 보유 지지하는 것, 물약병의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것, 물약병의 내주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2 수단에서는, 상기 직교 이동 베이스는 수평 레일에 따라 이동하는 수직 레일에 마련되어 있다. 이 대신에, 상기 직교 이동 베이스는 수직 레일에 따라 이동하는 수평 레일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제3 수단에서는, 상기 아암 베이스는 상기 직교 이동 베이스에 마련된 슬라이드 레일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로 마련된 회전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한 회전 베이스로 이루어진다. 이 대신에, 상기 아암 베이스는 상기 직교 이동 베이스에 마련된 회전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한 회전 베이스와, 상기 회전 베이스에 마련된 슬라이드 레일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제4 수단에서는, 상기 아암 베이스는 상기 아암에 보유 지지한 물약병의 개구부가 상기 정제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 가능하게 마련한다. 정제의 배출 방향이라 함은, 정제가 경사면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경우에는 경사면에 따른 방향을 말하며, 정제가 중력에 의해 포물선에 따라 낙하할 경우는 그 낙하의 방향을 말한다.
제5 수단에서는, 상기 정제 피더는 정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정제를 1개씩 배출하기 위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축에 고정된 회전자 기어와, 상기 회전자 기어에 맞물리는 웜 휠과, 상기 웜 휠에 맞물리는 웜과, 상기 웜의 축단부에 형성된 피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 유닛은, 상기 웜의 피연결부에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를 선단부에 갖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갖는다.
제6 수단에서는, 상기 정제 피더의 피연결부는 상기 웜의 축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된 구멍과, 상기 구멍의 주위에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 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피연결부의 구멍에 끼우는 축과, 상기 축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피연결부의 홈에 끼우는 돌기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7 수단에서는, 상기 정제 피더의 용기에 피결합부를 마련하고, 상기 구동축의 연결부의 근방에 상기 정제 피더의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마련하였다.
제8 수단에서는, 상기 정제 피더는 정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정제를 1개씩 배출하기 위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갖고,
상기 아암 유닛은 상기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갖는다.
제9 수단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가 과부하가 되면, 상기 아암 베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일단 상기 구동 기어를 상기 전달 기어로부터 이격시킨 후, 다시 상기 구동 기어를 상기 전달 기어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정제 피더에 충격을 부여한 후에 상기 구동 모터를 재시동한다.
제10 수단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가 과부하가 되면, 상기 아암 베이스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일단 상기 구동 기어를 상기 전달 기어로부터 이격시킨 후, 다시 상기 구동 기어를 상기 전달 기어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정제 피더에 충격을 부여한 후에 상기 구동 모터를 재시동한다.
제11 수단에서는, 상기 아암 유닛은 상기 정제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계수하는 계수 수단을 갖는다.
제12 수단에서는, 상기 센서는 상기 아암에 의해 파지되는 물약병의 개구부의 양쪽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3 수단에서는, 상기 아암 유닛은 상기 아암을 진동시키는 진동 부여 수단을 갖는다.
제14 수단에서는, 상기 진동 부여 수단은 압전 소자이다. 이 압전 소자는 아암과, 상기 아암에 파지되는 물약병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5 수단에서는, 상기 정제 피더의 정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커버를 마련하였다. 이 커버는 배출구의 상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커버의 하단부가 배출구로부터 떨어지도록 개방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는 자중에 의해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해도 좋고, 스프링 등의 압박 수단으로 폐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커버는 정제 피더에 직접 설치해도 좋고, 정제 피더를 설치하는 벽에 정제 피더의 배출구와 연통하는 개구를 마련하여 이 개구에 커버를 마련해도 좋다.
제16 수단에서는, 상기 아암 베이스에 돌기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아암 베이스가 슬라이드하여 상기 정제 피더에 접근하였을 때에 상기 돌기 부재가 상기 정제 피더의 배출구의 커버를 압박하여 개방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커버를 개방하는 레버를 마련하여, 이 레버를 돌기 부재가 압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 수단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아암 유닛의 아암에 물약병을 파지하여 충전해야 할 정제가 수용된 정제 피더까지 반송함으로써, 정제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물약병으로 직접 수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제 피더로부터 충전 장소까지 정제를 반송할 필요가 없어 반송 도중에 정제를 유시(流矢)할 우려가 없고, 정제 충전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면서 확실한 정제의 충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4 수단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물약병을 경사지게 하므로, 정제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확실하게 수취할 수 있다.
상기 제5 수단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정제 피더의 회전자 기어에 웜 휠을 통해 웜이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정제 피더를 이탈할 때 및 그 후에 회전자가 공회전되는 일이 없으므로, 정제 피더의 배출구에 걸려져 있던 정제가 회전자의 약간의 회전에 의해 탈락되는 일이 없다.
또한, 아암 유닛에 구동축과 구동 모터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1개의 모터로 모든 정제 피더를 구동할 수 있고, 각각의 정제 피더를 구동하기 위해 개별의 구동 모터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 인해, 정제 충전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상기 제6 수단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아암 유닛의 슬라이드 베이스를 슬라이드하여 정제 피더에 접근하였을 때에, 아암 유닛의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구동축의 연결부가 정제 피더의 웜의 피연결부와 연결되므로, 구동 모터의 동력이 확실하게 회전자에 전달되어 아암 유닛의 정제 피더의 연결 불량이 생기지 않는다.
상기 제7 수단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아암 유닛의 슬라이드 베이스를 슬라이드하여 정제 피더에 접근하였을 때에, 아암 유닛의 결합부가 정제 피더의 피결합부에 결합되고, 아암 유닛의 구동축의 연결부와 정제 피더의 웜의 피연결부가 간단하게 연결되므로, 연결 불량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8 수단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아암 유닛의 슬라이드 베이스를 슬라이드하여 정제 피더에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아암 유닛의 구동 기어가 정제 피더의 전달 기어에 나사 결합되므로, 간단하게 아암 유닛의 구동 기어와 정제 피더의 전달 기어를 연결할 수 있어 연결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아암 유닛에 구동 기어와 구동 모터를 마련하였으므로, 1개의 모터로 모든 정제 피더를 구동할 수 있고, 각각의 정제 피더를 구동하기 위해 개별의 구동 모터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 인해, 정제 충전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상기 제9, 제10 수단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정제가 회전자에 막혀 구동 모터가 과부하가 되면, 아암 베이스의 회전 또는 슬라이드에 의해 구동 기어를 전달 기어에 충돌시키므로, 그 충격에 의해 확실하게 정제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제11 및 제12의 수단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아암 유닛에 정제를 계수하는 센서를 마련하였으므로, 1개의 센서에 의해 물약병에 충전되는 정제의 수량을 계수할 수 있고, 모든 정제 공급 용기의 정제 배출 위치에 정제를 계수하기 위한 센서를 각각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 인해, 정제 충전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상기 제13 및 제14 수단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아암에 진동 부여 수단을 마련하였으므로, 정제의 배출 동작 중에 아암을 진동시킴으로써 물약병에 정제를 엄밀하게 충전하고, 거친 충전에 의한 부피의 증대나 정제의 치우침에 의해 정제가 물약병으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필요량의 정제를 물약병에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15 수단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정제 피더의 배출구에 커버를 마련하였으므로, 배출구로부터 먼지나 쓰레기가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로부터 정제가 배출될 때에, 정제가 물약병으로부터 떨어져 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6 수단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아암 베이스가 슬라이드하여 정제 피더에 접근하였을 때에 아암 베이스의 돌기 부재로 정제 피더의 배출구의 커버를 압박하여 개방하므로, 커버를 개방하기 위한 특별한 구동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해진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제 충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내부 기구의 개략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4의 (a)는 도1의 내부 기구의 개략을 도시하는 하면 단면도, 도4의 (b)는 그 부분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정제 공급 유닛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정제 공급 유닛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7은 도5의 정제 용기의 덮개 부재를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에 도시한 정제 용기의 바닥면도이다.
도9는 도7에 도시한 정제 용기의 바닥면측에서 본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10은 제3 반송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 도시한 제3 반송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12는 도10에 도시한 제3 반송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13의 (a)는 도3에 도시한 제3 반송 부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의 (b)는 (a)로부터 아암 센서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용기 끼움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4는 아암 유닛이 정제 피더에 접근하는 상황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5는 정제 충전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16은 정제 충전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17은 정제 충전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18은 정제 피더와 아암 유닛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용기 공급 유닛
2 : 라벨링 유닛
3 : 정제 공급 유닛
4 : 캡핑 유닛
5 : 반송 부재
6 : 취출 유닛
7 : 장치 본체
8 : 버킷
9 : 물약병
10 : 지지 패널
10a : 정제 출구
10b : 커버
10c : 레버
11 : 정제 피더(정제 공급 부재)
12 : 정제 카세트(정제 용기)
13 : 회전자
13a : 원뿔면
14 : 카세트 본체
15 : 덮개 부재
15a : 축부
15b : 절결부
16 : 회전자 수용부
16a : 피결합부
17 : 정제 수용부
17a, 17b : 지지벽
18 : 제1 교체 피스
19 : 정제 배출구
20 : 슬릿
21 : 구획 부재
21a : 브러시부
22 : 중간 기어
22a : 제1 기어
22b : 제2 기어(웜 휠)
23 : 웜
24 : 스토퍼
25 : 축부
26 : 스프링
27 : 계지 수용부
28 : 구멍
29a : 가이드 홈
29b : 핀 보유 지지부
30 : 제2 교체 피스
31 : 릴리프 오목부
32 : 베어링부
33 : 회전자 기어
34 : 제1 반송 부재
34a : 롤러
34b : 둥근 벨트
35 : 반송용 벨트 컨베이어
36 : 용기 지지부
36a : 지지 부재
37 : 제2 반송 부재
38 : 보유 지지 부재
38a : 수직 레일
39 : 개폐용 프레임 부재
40 : 정지부
41 : 제3 반송 부재
42, 42b : 수평 레일
43 : 수직 레일
44 : 아암 유닛
45 : 구동 모터
46 : 구동 벨트
47 : 구동 모터
48 : 구동 벨트
49 : 직교 이동 베이스
50 : 슬라이드 베이스
51 : 회전 베이스
52 : 틸팅 베이스(아암 베이스)
53 : 슬라이드 레일
54 : 구동 모터
55 : 피니온
56 : 래크
57 : 수직축
58 : 구동 모터
59a, 59b : 기어
60 : 수평축
61 : 구동 모터
62 : 웜
63 : 웜 휠
64 : 구동 모터
65 : 롤러
66 : 벨트
67 : 볼 나사
68 : 아암
69 : 압전 소자
70 : 센서 아암
71 : 구동 아암
72 : 카운트 센서
73 : 구동 모터
74 : 구동축
74a : 계지 핀
75 : 돌출 부재
76 : 압박 부재
76a : 스프링
77 : 제4 반송 부재
77a : 아암
78 : 취출구
79 : 디스플레이
80 : 제어 장치
81 : 지지 플레이트
82 : 가이드 아암
83 : 용기 보유 지지구
84 : 종동 기어
85 : 지지축
86 : 지지 아암
87 : 구동 모터
88 : 전도 기어
89 : 구동 기어
90 : 스프링
91 : 검출 로드
92 : 스프링
93 : 센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제 충전 장치를 도시한다. 이 정제 충전 장치는 용기 공급 유닛(1), 라벨링 유닛(2), 정제 공급 유닛(3), 캡핑 유닛(4), 반송 부재(5) 및 취출 유닛(6)을 구비한다.
용기 공급 유닛(1)은 장치 본체(7)의 전방면측 하부에 병설되는 복수의 버킷(8)을 구비하고, 각 버킷(8)에는 사이즈가 다른 정제 용기[여기서는, 물약병(9)]가 수용되어 있다. 각 버킷(8)은 물약병(9)의 보충이 가능하도록, 장치 본체(7)의 전방면측에 개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버킷(8) 내에 수용된 물약병(9)은 공지의 리프터에 의해 들어올려져 제1 반송 부재(34)로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
라벨링 유닛(2)은 반송된 물약병(9)의 외주면에 라벨을 점착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98020호 공보 참조).
정제 공급 유닛(3)은 장치 본체(7)의 양쪽에 배치되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의 양쪽에 세워 설치된 지지 패널(10)의 외면에 복수의 정제 피더(1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정제 피더(11)는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는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 패널(10)에는 각 정제 피더(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정제 출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정제 출구(10a)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지지 패널(10)에는, 또한 정제 출구의 양쪽 상방에 후술하는 센서(72)가 진입되는 센서 구멍(72')이 형성되는 동시에, 구동축(74), 돌기 부재(75), 검출 로드(91)가 각각 진입되는 구동축 구멍(74'), 돌기 부재 구멍(75'), 검출 로드 구멍(9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패널(10)의 내면에는, 각 정제 출구(10a)를 폐쇄하는 커버(10b)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10b)는 상단부가 정제 출구(10a)의 상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자중에 의해 정제 출구(10a)를 폐쇄하고, 커버(10b)의 상단부에 마련한 레버(10c)가 압박되면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각 정제 피더(11)에는 종류가 다른 정제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정제 피더(11)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제 카세트(12) 내에 회전자(13)를 수용한 것이다. 회전자(13)를 회전시키면, 수용한 정제를 1정씩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정제 카세트(12)는 카세트 본체(14)에 개폐 가능한 덮개 부재(15)를 마련한 구성이다.
카세트 본체(14)는 원통형의 회전자 수용부(16)와, 그 상측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통 형상의 정제 수용부(17)로 이루어진다. 정제 수용부(17)는 회전자(13)의 상면[원뿔면(13a)]과 측벽에 의해 정제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회전자 수용부(16)는,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측의 일부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한 제1 교체 피스(18)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교체 피스(18)에는 정제 배출구(19)와 슬릿(20)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0)의 근방에는 구획 부재(21)가 고정되고, 그 브러시부(21a)가 슬릿(20)을 통해 회전자 수용부(16) 내에 돌출되어 있다. 정제 배출구(19)와 슬릿(20)을 교환 가능한 제1 교체 피스(18)로 구성함으로써, 회전자(13)의 형태의 차이 등에 대해, 제1 교체 피스(18)만을 교환하면 대응할 수 있고, 다른 부분을 공통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자 수용부(16)의 바닥면에는 중심부에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그 근방에는 중간 기어(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중간 기어(22)는 제1 기어(22a)와 제2 기어(웜 휠)(22b)를 축심 방향으로 병설 일체화한 구조이다.
또한, 회전자 수용부(16)의 바닥면에는 상기 중간 기어(22)의 제2 기어(22b)와 맞물리는 웜(23)이 설치되어 있다. 즉, 회전자 수용부(16)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지지벽(17a, 17b)이 돌출되고, 웜(2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웜(23)의 일단부측에는 스토퍼(24)가 마련되고, 거기서부터 돌출되는 축부(25)에는 스프링(26)이 외장되어 있다. 스프링(26)은 스토퍼(24)와 지지벽(17b) 사이에 위치하여 웜(23)을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지벽(17a) 측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웜(23)은 치면이 중간 기어(22)의 제2 기어(22b)의 치면에 압접 상태로 되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상기 축부(25)의 선단부에는 계지 수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수용부(27)는 선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형성한 구멍(28)과, 상기 구멍(28)과 외주벽 사이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한 2개의 가이드 홈(29a)과, 상기 가이드 홈(29a)의 종단부에 또한 주위 방향으로 절제한 핀 지지부(29b)로 되어 있다.
정제 수용부(17)는, 도7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한 제2 교체 피스(30)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교체 피스(30)는 릴리프 오목부(31)를 구비하고, 그 양쪽부에는 베어링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 오목부(31)를 제2 교체 피스(30)에 마련한 것은, 성형 가공 상 정제 카세트(12)에 릴리프 오목부(31)를 형성하기 위한 내측으로 밀어내는 경사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다른 공정으로 성형한 제2 교체 피스(30)를 나중에 장착함으로써, 금형 비용 등의 비용을 억제하고 있다.
덮개 부재(15)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상기 베어링부(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15a)를 구비한다. 축부(25)의 내측에는 상기 릴리프 오목부(31)에 대응하여 절결부(15b)가 형성되고, 릴리프 오목부(31)와 절결부(15b)로 상방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정제 카세트(12)의 배출로와의 간섭이 회피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제 카세트(12)를 상하 방향으로 고밀도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회전자(13)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면이 중심부를 향해 돌출하는 원뿔면(13a)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자(13)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정제가 상하에 1개씩 정렬 상태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안내 홈 내의 정제는, 상기 구획 부재(21)의 브러시부(21a)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고, 하방측의 1개의 정제만이 상기 정제 배출구(19)를 통해 낙하한다. 회전자(13)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회전축이 일체화되고, 상기 회전자 수용부(16)의 바닥면에 형성한 관통 구멍을 관통하고, 그 돌출 부분에는 회전자 기어(33)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자 기어(33)는, 상기 중간 기어(22)의 제1 기어(22a)와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웜(23)을 회전시키면, 중간 기어(22)를 통해 회전자 기어(33) 및 회전자(13)가 회전한다.
캡핑 유닛(4)은, 상세하게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캡 공급부로부터 슈트를 통해 공급된 캡을 지지 아암에 의해 지지하고, 후술하는 제3 반송 부재(41)에 의해 하방측에 반송된 물약병(9)의 상방 개구부를 폐쇄하고, 캡 장착부에 의해 캡을 압박하면서 회전시킴으로써, 폐전(閉栓)하는 구성이다.
반송 부재(5)는, 제1, 제2, 제3 및 제4 반송 부재(34, 37, 41 및 77)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반송 부재(34)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롤러(34a) 사이에 2개의 둥근 벨트(34b)를 소정 간격으로 전달하고, 각 버킷(8)의 배면측에 배치한 리프터의 배후에 각각 배치한 것이다. 둥근 벨트(34b)에는, 상기 리프터에 의해 취출된 물약병(9)이 적재된다. 그리고, 롤러(34a)를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둥근 벨트(34b)에 적재된 물약병(9)을 반송하고, 또한 반송용 벨트 컨베이어(35)에 의해 취출 유닛(6) 측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제1 반송 부재(34)에 의한 반송처에는 물약병(9)을 사이즈별로, 그 입구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용기 지지부(36)가 배치되어 있다. 용기 지지부(36)는,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지지 부재(36a)를 돌출시킨 것으로, 인접하는 각 지지 부재(36a)의 간격은 사이즈가 다른 물약병(9)의 플랜지부를 각각 지지 가능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2 반송 부재(37)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지지부(36)에 지지된 물약병(9)을 보유 지지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38)를 구비한다. 보유 지지 부재(38)는 수직 레일(38a)에 따라 승강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유 지지 부재(38)는 하단부가 이격되도록 상단부를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압박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38)의 하단부측 주위에는 직사각형의 개폐용 프레임 부재(39)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용 프레임 부재(39)는 보유 지지 부재(38)의 하단부측을 스프링(26)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접근시키는 폐쇄 위치와, 개방 상태로서 물약병(9)의 내면에 압접하여 보유 지지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개폐용 프레임 부재(39)는 보유 지지 부재(38)를 상승시켜 상방측에 배치한 정지부(40)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제2 반송 부재(37)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38)가 개폐용 프레임 부재(39)에 의해 하단부측을 접근시킨 상태로 강하하고, 보유 지지 부재(38)가 물약병(9) 내에 진입한 시점에서 개폐용 프레임 부재(39)가 물약병(9)의 상방부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38)가 더 강하하면, 개폐용 프레임 부재(39)에 의한 가이드가 해제되고, 보유 지지 부재(38)는 스프링의 압박력에 따라서 확장되어 물약병(9)이 보유 지지된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38)가 물약병(9)을 보유 지지한 상태로부터 상승하면, 개폐용 프레임 부재(39)가 정지부(40)에 접촉하고, 보유 지지 부재(38)는 강제적으로 폐쇄 상태로 위치 결정되어 물약병(9)의 보유 지지 상태가 해제된다.
제3 반송 부재(41)는, 도3, 상세하게는 도10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레일(42a, 42b)과, 수직 레일(43)과, 아암 유닛(44)으로 되어 있다.
수평 레일(42a, 42b)은, 상기 2개의 정제 공급 유닛(3) 사이의 상부와 하부에 마련되고, 정제 피더(11)의 수평 방향의 배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상부의 수평 레일(42a)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45)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벨트(46)가 마련되어 있다. 수직 레일(43)은, 상, 하단부가 각각 상부 수평 레일(42a)과 하부 수평 레일(42b)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 레일(42a)의 구동 벨트(46)에 의해 수평 레일(42a, 42b)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직 레일(43)에는 구동 모터(47)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벨트(48)가 마련되어 있다.
아암 유닛(44)은 직교 이동 베이스(49)와, 슬라이드 베이스(50)와, 회전 베이스(51)와, 틸팅 베이스(52)로 되어 있다. 직교 이동 베이스(49)는 수직 레일(4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 레일(43)의 구동 벨트(48)에 의해 수직 레일(43)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직교 이동 베이스(49)에는 수평 레일(42a, 42b)과 직교하는 수평한 방향, 즉 정제 공급 유닛(3)의 지지 패널(10)에 직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 레일(53)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베이스(50)는 직교 이동 베이스(49)의 슬라이드 레일(5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 모터(54)에 의해 피니온(55)과 래크(56)를 통해, 정제 공급 유닛(3)의 정제 피더(11)에 대해 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베이스(51)는 슬라이드 베이스(50) 상에 수직축(57)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슬라이드 베이스(50)에 마련한 구동 모터(58)에 의해 기어(59a, 59b)를 통해 180°회전하게 되어 있다. 틸팅 베이스(52)는 회전 베이스(51) 상에 수평축(60)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 베이스(51)에 마련한 구동 모터(61)에 의해 웜(62)과 웜 홀(63)을 통해 수평축(60)을 회전시킴으로써,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상태로부터 하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고, 물약병(9)을 정제 출구(10a)의 경사면에 따라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정제 출구(10a)의 경사면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정제를 확실하게 수취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제가 정제 출구(10a)로부터 중력에 의해 포물선에 따라 낙하하는 경우에는, 그 낙하 방향으로 물약병(9)의 개구 부가 향하도록 틸팅 베이스(52)를 경사지게 하면 좋다.
틸팅 베이스(52)에는, 도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64)의 구동에 의해 롤러(65), 벨트(66) 및 볼 나사(67)를 통해 개폐하는 한 쌍의 아암(68)이 마련되고, 상기 아암(68)에 의해 물약병(9)을 파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암(68)에는 인가되는 변동 전압에 의해 진동하는 압전 소자(69)가 마련되어 있다. 압전 소자(69)는 아암(68)에 의해 물약병(9)을 파지하고 있는 동안, 인가 전압에 의해 진동하여 물약병(9)에 충전된 정제를 간극 없이 고밀도의 상태로 한다.
회전 베이스(51)에는, 도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68)의 상방에 U자형의 센서 아암(70)과 구동 아암(71)이 마련되어 있다. 센서 아암(70)의 선단부에는 카운트 센서(72)가 마련되어 있다. 카운트 센서(72)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로 이루어지고, 적외 레이저광이 통과되는 정제에 의해 차광됨으로써, 정제 피더(11)로부터 배출되어 물약병(9)에 공급되는 정제를 검출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어 장치(80)에 의해 카운트 센서(72)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물약병(9)에 공급되는 정제수가 계수된다. 또한, 구동 아암(71)에는 구동 모터(73)의 구동에 의해 정역 회전 가능한 구동축(74)이 마련되어 있다. 구동축(74)의 선단부에는, 상기 정제 피더(11)에 마련한 웜(23)의 계지 수용부(27)에 결합 분리하는 계지 핀(74a)이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아암(71)에는 정제 카세트(12)의 회전자 수용부(16)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부(16a)에 결합하는 돌기 부재(75)가 돌출 설치되는 동시에, 정제 카세트(12)의 지지 패널(10)의 정제 출구(10a)를 폐쇄하는 커버(10b)의 레버(10c)를 압박하여 개방하기 위한 압박 부 재(7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74)에 평행하게 아암 유닛(44)이 올바른 위치에 없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로드(91)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 로드(91)는 아암 유닛(44)이 올바른 위치를 향해 전진하였을 때에는, 지지 패널(10)의 검출 구멍(91')에 결합한다. 그러나, 지지 패널(10)의 검출 구멍(91')에 결합하지 않고 지지 패널(10)에 충돌하였을 때에, 스프링(92)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후퇴하고, 후단부가 센서(93)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4 반송 부재(77)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약병(9)을 파지하는 아암(77a)을 갖고, 전진 및 후퇴 가능한 동시에, 대략 360도 회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제4 반송 부재(77)는 제3 반송 부재(41)로부터 교환된 물약병(9)을 파지하여 캡핑 유닛(4)으로 이동하고, 상기 캡핑 유닛(4)으로 캡이 설치된 물약병(9)을 취출 유닛(6)으로 반송하게 되어 있다.
취출 유닛(6)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취출구(78)를 구비하고, 중앙부에는 디스플레이(79)가 마련되고, 하방측에는 제어 장치(8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제3 반송 부재(41)와 제4 반송 부재(77) 사이의 교환 위치에는,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81)에 한 쌍의 가이드 아암(82)을 마련한 용기 보유 지지구(83)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이 교환 위치 근방의 대기 위치에는 동일한 구성의 용기 보유 지지구(8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어 장치(80)는,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처방 데이터(의사에 따라 처방전에 기재된 내용이나 환자에 관한 데이터 등)를 기초로 하여 용기 공급 유닛(1), 라벨링 유닛(2), 정제 공급 유닛(3), 캡핑 유닛(4), 반송 부재(5) 및 취출 유닛(6)을 구동 제어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구비한 정제 충전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15 내지 도17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처방 데이터가 입력되면(스텝 S1), 그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정제의 사이즈 및 수량을 고려하여 적합한 물약병(9)을 선정한다(스텝 S2). 그리고, 선정한 물약병(9)을 버킷(8)으로부터 반출한다(스텝 S3). 즉, 리프터를 구동하여 물약병(9)을 제1 반송 부재(34)로 반출한다.
제1 반송 부재(34)에서는 리프터에 의해 둥근 벨트(34b)에 횡방향으로 적재된 물약병(9)을 취출 유닛(6) 측으로 반송한다(스텝 S4). 그리고, 반송한 물약병(9)을 수취할 수 있게 용기 지지부(36)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준비해 둔다(스텝 S5). 이에 의해, 물약병(9)은 용기 지지부(36)로 상방에 개구하도록 종방향으로 지지한다. 계속해서, 용기 지지부(36)를 슬라이드 이동하고, 라벨링 유닛(2)에 의해 물약병(9)의 외주면에 소정의 인쇄를 실시한 라벨을 점착한다(스텝 S6). 또한, 제2 반송 부재(37)를 구동하고, 보유 지지 부재(38)에 의해 물약병(9)을 보유 지지하여 들어 올린다(스텝 S7).
여기서, 제3 반송 부재(41)를 구동하고, 제2 반송 부재(37)에 의해 들어 올린 물약병(9)을 보유 지지한다(스텝 S8). 이때, 제2 반송 부재(37)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38)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가이드 프레임 부재(68)로 강제적으로 보유 지지 부재(38)의 하단부측을 접근시킴으로써, 물약병(9)의 보유 지지 상태를 해제 한다(스텝 S9). 제3 반송 부재(41)는 보유 지지한 물약병(9)을 처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정제 피더(11)로 이송한다(스텝 S10). 그리고, 정제 피더(11)의 정제 배출구(19)로부터 낙하하는 정제를 회수 가능한 위치에 물약병(9)을 위치 결정한다(스텝 S11).
계속해서, 구동 모터(54)를 구동하고, 슬라이드 베이스(50)를 전진시킨다(스텝 S12). 이에 의해, 검출 로드(91)가 전진되고, 지지 패널(10)의 검출 구멍(91')에 진입한다. 그러나, 검출 로드(91)가 지지 패널(10)의 검출 구멍(91')에 결합하지 않고 지지 패널(10)에 충돌하면, 센서(93)에 의해 검출된다. 이 센서(93)의 검출 신호에 의해, 아암 유닛(44)이 정위치에 없는 것을 판단하면, 아암 유닛(44)을 후퇴시켜 위치를 바꿔 다시 전진하여 올바른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압박 부재(76)가 전진하여 레버(10c)를 압박해 커버(10b)를 개방하고, 돌기 부재(75)가 결합부(16a)에 결합된다. 또한, 이때 구동축(74)도 전진하고, 그 계지 핀(74a)이 정제 피더(11)의 웜(23)에 형성한 계지 수용부(27)에 계지한다. 가이드 홈(28)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지 핀(74a)은 순조롭게 가이드 홈(28)에 진입하여 계지 수용부(27)에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구동축(74)을 회전하고, 웜(23), 중간 기어(22), 회전자 기어(33)를 통해 회전자(13)를 회전시킨다(스텝 S13). 이에 의해, 회전자(13)의 홈 내에서 구획 부재(21)의 브러시부(21a)에 의해 분리된 하방측에 위치하는 정제가 정제 배출구(19)를 통해 낙하한다. 낙하하는 정제는 카운트 센서(72)에 의해 검출되고(스텝 S14), 그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물약병(9) 내에 소정 수량의 정제가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7). 단, 충전 도중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카운트 센서(72)에 의한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스텝 S15), 정제 카세트(12) 내에 정제가 없어졌다(결품)고 판단하여 물약병(9)을 일시적으로 대기 위치의 용기 보유 지지구(83)에 반송한다(스텝 S16). 그리고, 스텝 S1로 복귀하여 다음 물약병(9)에 대해 상기 처리를 속행한다. 이에 의해, 정제의 충전 도중에 결품이 생긴 경우라도, 다음 물약병(9)으로의 충전 작업을 속행할 수 있어 작업이 지체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효율적인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정제 피더(11)로부터 물약병(9)으로의 정제 충전 작업 중에, 정제가 막히는 등의 문제점에 의해 회전자(13)의 회전이 정지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제에는 정제 배출구(19)의 내부 모서리와 회전자(13)의 홈 사이에 끼워져 있는 등에 의해 힘이 작용된다. 그러나, 웜(23)이 스프링(26)에 의해 압박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정제가 손상에 이르기 전에 웜(23)이 이동되고, 정제에 작용하는 힘이 완화된다. 또한, 이때 모터에 과전류가 흘러 회전자(13)의 회전이 정지된 것이 검출된다. 따라서, 이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스텝 S18), 슬라이드 베이스(50)를 이동시켜 구동축(74)을 후퇴시킴으로써, 웜(23)을 스프링(26)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킨다(스텝 S19). 이에 의해, 웜(23)의 이동분에 따라서 중간 기어(22)를 통해 회전자 기어(33) 및 회전자(13)가 역회전되어 정제의 막힘이 해소된다. 이로 인해, 회전자(13)를 정회전하고, 정제의 공급을 재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웜(23)의 이동에 의해 회전자(13)를 역회전시켜도 정지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스텝 S20), 에러를 통지하여 모터를 정지한다(스텝 S21). 또한, 회전자(13)의 정지 상태가 유지될 경우, 웜(23)의 이동에 의한 회전자(13)의 역회전은 복수회 반복하도록 해도 좋다.
교환 위치에서는 물약병(9)이 대기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다(스텝 S22). 교환 위치에 물약병(9)이 대기하고 있지 않으면, 금회의 물약병(9)을 교환 위치의 용기 보유 지지구(83)에 반송한다(스텝 S23).
교환 위치에 이미 앞서 물약병(9)이 대기하고 있을 경우, 각 대기 위치 중 비어 있는 용기 보유 지지구(83)를 검색하고(스텝 S24), 비어 있다고 판단된 용기 보유 지지구(83)로 물약병(9)을 반송한다(스텝 S25). 이 경우, 제어 장치(80)의 기억부에는 대기 위치의 좌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그 좌표 데이터에 반송하는 물약병(9)의 사이즈와, 이 물약병(9)에 수용하는 정제의 종류를 관련지어 기억시킨다(스텝 S26). 이에 의해, 캡핑 유닛(4)에서의 폐전이 가능해지면, 기억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제3 반송 부재(41)에 의해 해당하는 물약병(9)을 캡핑 유닛(4)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교환 위치 또는 대기 위치에 물약병(9)이 반송되면, 제4 반송 부재(77)를 구동하고, 아암(77a)에 의해 물약병(9)을 보유 지지하여 캡핑 유닛(4)으로 반송한다(스텝 S27). 그리고, 슈터를 통해 캡을 공급하고(스텝 S28), 이 캡이 반송된 물약병(9)의 상방 개구부를 덮도록 위치시킨다(스텝 S29). 그리고, 캡 장착부를 구동하여 물약병(9)을 폐전한다(스텝 S30). 폐전이 완료되면(스텝 S31), 제4 반송 부재(77)에 의해, 아암(77a)에 의해 보유 지지한 물약병(9)을 취출구(78)로 반출한다(스텝 S32). 취출구(78)에서는 반출된 물약병(9)에 관한 정 보(예를 들어, 수용되는 정제의 명칭 등)를 디스플레이(79)에 표시한다(스텝 S33).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한 눈으로 어느 처방 데이터에 대한 정제가 수용된 물약병(9)이 반출된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8은 정제 피더(11)와 아암 유닛(44)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정제 피더(11)에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제1 기어(22a)와 제2 기어(웜 휠)(22b)로 이루어지는 중간 기어(22)와 웜(23) 대신에 종동 기어(84)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아암 유닛(44)에는 구동 아암(71)에 지지축(8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 아암(86)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 아암(86)에는 구동 모터(87)와, 상기 구동 모터에 출력축에 고정된 전달 기어(88)와, 상기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89)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아암(86)은 구동 기어(89)가 종동 기어(84)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스프링(90)에 의해 압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아암 유닛(44)을 정제 피더(11)를 향해 슬라이드시키면, 구동 기어(89)가 정제 피더(11)의 종동 기어(84)에 맞물린다. 이때, 종동 기어(84)와 구동 기어(89)의 위상이 맞지 않고, 치부의 산과 산이 접촉되어도 구동 기어(89)가 스프링(90)에 의해 압박된 지지 아암(86)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구동 기어(89)가 후퇴되어 장치가 손상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구동 모터(87)를 구동하면, 구동 기어(89)와 종동 기어(84)가 맞물려지므로 확실하게 회전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구동 모터(87)를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정제 피더(11)의 회전자(13)가 회전하여 정제가 배출된다.
정제 배출 중에, 정제 피더(11)의 회전자(13)로 정제의 막힘이 발생되면, 구 동 모터(87)는 과부하가 되어 정지한다. 여기서, 구동 모터(87)를 정지한 상태로, 아암 유닛(44)을 화살표 r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 기어(89)를 역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면서, 일단 구동 기어(89)를 종동 기어(84)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렇게 하여, 종동 기어(84)를 역전시켜 회전자(13)를 약간 역전시킴으로써 회전자(13)에 발생한 막힘의 대부분은 해소된다. 그리고, 아암 유닛(44)을 화살표 p 방향으로 회전시켜 정제 피더(11)에 대한 각도로 복귀하여, 다시 구동 기어(89)를 종동 기어(84)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정제 피더(11)에 충격을 가한다. 이 충격에 의해, 종동 기어(84)의 역전으로 해소되지 않은 막힘도 해소되고, 다시 구동 모터(87)를 시동하여 정제를 배출하게 된다. 그것으로도, 정제의 막힘이 해소되어 있지 않으면, 다시 구동 모터(87)가 과부하가 되므로, 또 한번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정제 충전 장치(1)는 연속하여 구동 모터(87)가 과부하가 되었을 때, 비로소 이상을 표시하여 정지한다.
또한, 도18에 있어서 아암 유닛(44)을 화살표 r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는 대신에, 아암 유닛(44)을 화살표 x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구동 기어(89)를 종동 기어(84)로부터 이격시키고, 또한 아암 유닛(44)을 화살표 y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다시 구동 기어(89)를 종동 기어(84)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정제 피더(11)에 충격을 가한다. 이 충격에 의해, 정제의 막힘을 해소할 수도 있다.

Claims (17)

  1. 정제를 1개씩 배출하는 정제 피더를 복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배치한 착탈 가능한 정제 공급 유닛과,
    빈 물약병을 반송하고, 상기 물약병에 상기 정제 공급 유닛의 정제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충전하고, 상기 정제가 충전된 물약병을 반송하는 아암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 유닛은,
    상기 정제 공급 유닛의 정제 피더의 배치 방향으로 마련된 수평 레일과 수직 레일에 따라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직교 이동 베이스와,
    상기 직교 이동 베이스에, 상기 수평 레일에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아암 베이스와,
    상기 아암 베이스에 물약병을 파지하기 위해 마련된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이동 베이스는 수평 레일에 따라 이동하는 수직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이동 베이스는 상기 수평 레일에 직각인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 베이스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마련된 회전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한 회전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베이스는, 상기 아암에 보유 지지한 물약병의 개구부가 상기 정제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피더는 정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정제를 1개씩 배출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축에 고정된 회전자 기어와, 상기 회전자 기어에 맞물리는 웜 휠과, 상기 웜 휠에 맞물리는 웜과, 상기 웜의 축단부에 형성된 피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 유닛은, 상기 피연결부에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를 선단부에 갖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연결부는, 상기 웜의 축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구멍과, 상기 구멍의 주위에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암 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피연결부의 구멍에 끼우는 축과, 상기 축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여 상기 피연결부의 홈에 끼우는 돌기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피더의 용기는 피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의 연결부의 근방에 상기 정제 피더의 피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피더는 정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정제를 1개씩 배출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갖고,
    상기 아암 유닛은, 상기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가 과부하가 되면, 상기 아암 베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일단 상기 구동 기어를 상기 전달 기어로부터 이격시킨 후, 다시 상기 구동 기어를 상기 전달 기어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정제 피더에 충격을 부여한 후에 상기 구동 모터를 재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가 과부하가 되면, 상기 아암 베이스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일단 상기 구동 기어를 상기 전달 기어로부터 이격시킨 후, 다시 상기 구동 기어를 상기 전달 기어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정제 피더에 충격을 부여한 후에 상기 구동 모터를 재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유닛은, 상기 정제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계수하는 계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수단은, 상기 아암으로 파지되는 물약병의 개구부의 양쪽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유닛은, 상기 아암을 진동시키는 진동 부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 수단은 압전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피더의 정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커버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베이스에 돌기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아암 베이스가 슬라이드하여 상기 정제 피더에 접근하였을 때에 상기 돌기 부재가 상기 정 제 피더의 배출구의 커버를 압박하여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압전 소자는 아암에 의해 물약병을 파지하고 있는 동안, 인가 전압에 의해 진동하여 물약병에 충전된 정제를 간극 없이 고밀도의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충전 장치.
KR1020077017210A 2005-02-25 2006-02-23 정제 충전 장치 KR101213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52008 2005-02-25
JP2005052008A JP2006232357A (ja) 2005-02-25 2005-02-25 錠剤充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683A KR20070107683A (ko) 2007-11-07
KR101213339B1 true KR101213339B1 (ko) 2012-12-17

Family

ID=3692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210A KR101213339B1 (ko) 2005-02-25 2006-02-23 정제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21508B2 (ko)
EP (1) EP1852351A4 (ko)
JP (1) JP2006232357A (ko)
KR (1) KR101213339B1 (ko)
CN (1) CN101128359B (ko)
WO (1) WO2006090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2262B2 (ja) * 2005-09-30 2012-08-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JP4802856B2 (ja) 2006-05-24 2011-10-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供給装置
DE102006025619A1 (de) * 2006-05-24 2007-11-29 SSI Schäfer Noell GmbH Lager- und Systemtechnik Regal-integrierte Packstation und Kommissionierverfahren
US20080093372A1 (en) * 2006-10-23 2008-04-24 Milton Monroe T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counting and packaging pharmaceutical drugs and other objects
JP4782170B2 (ja) * 2007-06-21 2011-09-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JP5564868B2 (ja) * 2008-09-19 2014-08-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EP2199209B1 (de) * 2008-12-22 2011-06-15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bfüllen pharmazeutischer Produkte in Verpackungsbehälter
KR101800029B1 (ko) * 2009-04-17 2017-11-2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피더 및 약제 불출 장치
US20110305545A1 (en) * 2010-06-10 2011-12-15 Craig Steven Davis System and Method for High-Volume Filling of Pharmaceutical Prescriptions
JP5389007B2 (ja) * 2010-12-24 2014-01-1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分包機
EP2756834B1 (en) * 2011-01-14 2020-08-12 Yuyama Mfg. Co., Ltd. Tablet cassette
DK2574574T3 (da) 2011-09-30 2014-04-22 Carefusion Germany 326 Gmbh Apoteksopsamlingsindretning med universelt forsynings- og styringsmodul
US9950819B2 (en) 2012-02-28 2018-04-24 Takazono Corporation Tablet packing method and tablet packing apparatus
EP2703299B1 (en) * 2012-08-31 2016-03-30 CareFusion Switzerland 317 Sarl A storage and dosing station for storage and dispensing dosed quantities of solid drug portions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US20140108027A1 (en) 2012-10-12 2014-04-17 Mckesson Automation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KR101615427B1 (ko) * 2013-04-15 2016-04-25 캐논 마케팅 저팬 가부시키가이샤 컴퓨터, 정제 공급 장치, 분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프로그램
ES2581517T3 (es) * 2013-08-21 2016-09-06 Carefusion Germany 326 Gmbh Disposición para envasar porciones de medicamentos en envases de entrega y procedimiento para rellenar un contenedor de almacenaje de una estación de almacenamiento de existencias y dosificación de un dispensador automático con porciones de medicamentos
EP3009361B1 (en) * 2014-10-15 2018-02-21 Rene Olthof Beheer B.V. Medicine packaging system
CN116409627A (zh) * 2021-06-30 2023-07-11 美蓝(杭州)医药科技有限公司 用于载置药瓶的载置机构
WO2023130186A1 (en) * 2022-01-07 2023-07-13 Chronomed Inc. Automated medication units dispens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4306A1 (en) 2001-05-02 2003-10-16 Coughlin Shane P. Vial gripping mechanism for automatic medicament dispens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4784A (en) * 1971-03-22 1973-11-27 B Glass Vehicle parking systems and material handling and storage and mechanisms relating thereto
US4005782A (en) * 1974-03-04 1977-02-01 Engineered Metal Products Company, Inc. Picker
JPS5467184U (ko) * 1977-10-19 1979-05-12
JPS5467184A (en) 1977-11-04 1979-05-30 Nissin Electric Co Ltd Control transmission lock device of remote monitor controller
US4546901A (en) * 1984-02-02 1985-10-15 Buttarazzi Patrick J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ation
JPS61171709A (ja) 1985-01-25 1986-08-02 Kyowa Gas Chem Ind Co Ltd 架橋樹脂の染色性改良方法
JPS61171709U (ko) * 1985-04-16 1986-10-24
JPS61284379A (ja) * 1985-06-06 1986-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ロボツト装置
JP2818759B2 (ja) 1989-03-29 1998-10-30 高園産業株式会社 ブリスター包装体の取り出し装置
JP2723622B2 (ja) 1989-07-07 1998-03-09 松下冷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装置
ES2020758A6 (es) * 1990-02-08 1991-09-16 Balzola Elorza Martin Msnipulador automatico para lamacenes.
US6108588A (en) * 1993-01-25 2000-08-22 Diebold, Incorporated Restocking method for medical item dispensing system
JP3163884B2 (ja) * 1994-02-18 2001-05-08 株式会社ダイフク 荷保管設備
JP4318766B2 (ja) * 1997-06-17 2009-08-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US6006946A (en) 1997-12-05 1999-12-28 Automated Prescriptions System, Inc. Pill dispensing system
US6036812A (en) * 1997-12-05 2000-03-14 Automated Prescription Systems, Inc. Pill dispensing system
US6036946A (en) * 1997-12-24 2000-03-14 Shaklee Corporation Methods for protecting skin from damaging effects of ultraviolet light
US6262863B1 (en) * 1998-07-01 2001-07-17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Automated storage library with rail mechanism providing flexible robot access
US20010046437A1 (en) * 1998-09-23 2001-11-29 Bramwell A. Mark Automated system for storing or dispensing stackable goods
EP0995555A1 (de) * 1998-10-15 2000-04-26 Tecan AG Robotarm
US6170230B1 (en) * 1998-12-04 2001-01-09 Automed Technologies, Inc. Medication collecting system
US6379096B1 (en) * 1999-02-22 2002-04-30 Scp Global Technologies, Inc. Buffer storage system
JP2001252954A (ja) * 2000-03-13 2001-09-18 Star Seiki Co Ltd 成型品取出し機及び成型品取出し方法
US6506009B1 (en) * 2000-03-16 2003-01-14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for storing and moving a cassette
US6899511B2 (en) * 2000-10-19 2005-05-31 Rapid Development Services, Inc, Mo. Corp Modular robotic device and manufacturing system
AU2001298072A1 (en) * 2000-12-21 2003-09-04 Agile Systems, Inc. Stowage and retrieval system
JP2002308444A (ja) 2001-04-12 2002-10-23 Unitec:Kk 供給装置
JP4742291B2 (ja) 2001-08-22 2011-08-10 澁谷工業株式会社 ロータリ式充填機
CN2547695Y (zh) 2002-06-17 2003-04-30 机科发展科技股份有限公司 三自由度搬运装置
US20040059463A1 (en) * 2002-06-24 2004-03-25 Scriptpro Llc Active control center for use with an automatic dispensing system for prescriptions and the like
US7303094B2 (en) 2002-08-09 2007-12-04 Kevin Hutchinson Vacuum pill dispensing cassette and counting machine
US7228198B2 (en) * 2002-08-09 2007-06-05 Mckesson Automation Systems, Inc. Prescription filling apparatus implementing a pick and place method
JP4287121B2 (ja) 2002-10-18 2009-07-0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散薬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4306A1 (en) 2001-05-02 2003-10-16 Coughlin Shane P. Vial gripping mechanism for automatic medicament dispens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21508B2 (en) 2010-05-25
JP2006232357A (ja) 2006-09-07
EP1852351A1 (en) 2007-11-07
EP1852351A4 (en) 2009-06-17
CN101128359B (zh) 2010-05-26
CN101128359A (zh) 2008-02-20
US20090050644A1 (en) 2009-02-26
WO2006090762A1 (ja) 2006-08-31
KR20070107683A (ko)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339B1 (ko) 정제 충전 장치
KR101165489B1 (ko) 정제 충전 장치
KR101213359B1 (ko) 정제 충전 장치
KR101252319B1 (ko) 정제 충전 장치
KR100744882B1 (ko) 고형 제제 충전 장치
US7726095B2 (en) Medicine dispensing/packaging apparatus
CA2690971C (en) Tablet discharging method
KR101411802B1 (ko) 정제 충전 장치
KR20010077822A (ko) 고형 제제 충전 장치
JP4638793B2 (ja) 錠剤供給装置及び錠剤供給方法
US20020154987A1 (en) Medicine feed apparatus
WO2012008393A1 (ja) 分注装置
US8468777B2 (en) Tablet filling device
JP4546710B2 (ja) 薬剤払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