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029B1 - 약제 피더 및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피더 및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029B1
KR101800029B1 KR1020117021624A KR20117021624A KR101800029B1 KR 101800029 B1 KR101800029 B1 KR 101800029B1 KR 1020117021624 A KR1020117021624 A KR 1020117021624A KR 20117021624 A KR20117021624 A KR 20117021624A KR 101800029 B1 KR101800029 B1 KR 10180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gear
switching
motor
transmiss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935A (ko
Inventor
나오끼 고이께
아끼라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13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약제 피더에 있어서, 그 구동 장치에 개량을 추가함으로써, 정제의 막힘을 검지한 경우에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일 없이, 모터는 정회전을 유지하면서 로터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정제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약제 피더의 구동 장치(17)는 구동 모터, 기어 전달 장치, 출력축(31) 및 전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전달 장치는 구동 모터의 모터축(41)과 상기 출력축(31) 사이에 설치된 정회전 전달 경로(45)와 역회전 전달 경로(46)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전환 장치에 의해 상기 전달 경로(45, 46)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약제 피더 및 약제 불출 장치{DRUG FEEDER AND DRUG DELIVERY UNIT}
본 발명은 정제, 캡슐제와 그 밖의 고형 약제를 종류별로 수용하고,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수량의 약제를 1정씩 불출하는 약제 피더 및 그 복수의 약제 피더를 탑재한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형 약제(이하, 단순히 「정제」라고 함)의 불출 장치에 있어서는, 정제를 1정씩 불출하기 위한 소요수의 카세트식 약제 피더가 탑재된다. 그 약제 피더는 약제 수납부의 저부에 설치한 로터의 외주면에 다수의 포켓이 설치되고, 그 로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약제 수납부 내의 정제가 1정씩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불출된다(특허 문헌 1).
상기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불출 과정에 있어서, 정제의 형상이나 로터의 외주에 설치된 포켓으로의 진입 시의 자세 등에 기인하는 어떤 트러블에 의해 정제의 막힘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로터가 구속되어 그 회전이 저지되는 경우가 있다.
정제의 막힘의 발생을 검지한 경우에 그 막힘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으로서, 로터를 구동하는 직류 모터의 전류가 일정 이상의 과전류로 된 것을 검지하면, 이를 정제의 막힘에 의해 모터가 로크되었다고 판단하여, 로터를 일시적으로 역회전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또한, 그 밖의 방법으로서, 정제의 배출 수량을 카운트하여, 일정 시간 내의 카운트수가 소정의 수량보다 적어진 경우에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로터를 일시적으로 역회전시키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3).
상기한 어떤 경우에도 로터를 역회전시키는 방법으로서, 모터 전류의 극성을 반전시킴으로써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8950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03404호 공보 일본 특허 제3895989호 공보
그러나, 로터를 역회전시키기 위해, 모터 전류의 극성을 반전하여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상기 종래의 방법은 역회전 시에 모터에 큰 토크가 작용하므로, 이와 같은 정역 회전을 반복하면 모터에 가해지는 부담이 증대되어, 모터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약제 피더 및 이것을 탑재한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불출 카세트의 로터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에 개량을 추가함으로써, 정제의 막힘을 검지한 경우에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일 없이, 모터는 정회전의 상태로 로터만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정제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약제 피더에 관한 발명은 약제의 불출 카세트와 구동 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출 카세트는 약제를 수납하는 약제 수납부 및 그 약제 수납부의 저부에 설치된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 기어 전달 장치, 출력축 및 전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전달 장치는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 설치된 기어열에 의해 구성된 정회전 전달 경로와 역회전 전달 경로를 갖고,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전환 장치에 의해 상기 전달 경로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여 상기 불출 카세트에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약제 피더에 있어서는, 구동 장치에 의해 불출 카세트가 구동되면, 구동력이 정회전 전달 경로를 거쳐서 전달됨으로써 로터가 정회전되어, 정제의 불출이 행해진다. 또한, 정제의 막힘 등의 트러블의 발생이 검지된 경우에는, 전환 장치의 작용에 의해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역회전 전달 경로로 전환함으로써, 모터는 정회전의 상태로 로터를 역회전시켜, 정제의 막힘의 해소를 시도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발명은 소요수의 약제 피더, 제어 회로 및 표시부를 구비한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 피더는 약제의 불출 카세트와 구동 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출 카세트는 약제를 수납하는 약제 수납부 및 그 약제 수납부의 저부에 설치된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 기어 전달 장치, 출력축, 전환 장치, 정제 계수 센서, 로터 회전 검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전달 장치는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 설치된 정회전 전달 경로와 역회전 전달 경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은 상기 전환 장치에 의해 상기 전달 경로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여 상기 불출 카세트에 출력되고, 상기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로터 회전 검지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로터의 정지가 검지된 경우에 상기 로터를 일정 시간 역회전시킨 후 정회전으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약제 피더 및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는, 정제의 막힘이 발생한 경우에, 구동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일 없이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전환함으로써 로터를 역회전시켜, 정제의 막힘의 해제를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모터에 가해지는 부담이 경감되어, 장기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약제 피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약제 피더의 로터 부분의 종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X1-X1선에 있어서의 개략 횡단 평면도이다.
도 5는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X2-X2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X3-X3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정회전 전달 시의 기어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역회전 전달 시의 기어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2는 로터 회전 검지 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로터 정회전 방향 구동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로터 역회전 방향 구동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4-X4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정회전 전달 시의 기어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1은 역회전 전달 시의 기어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4의 (a)는 도 23의 클러치 부분의 확대 단면도, (b)는 도 23의 수형 스플라인 부분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25는 제4 실시 형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의 도어(12)의 내부에 다수의 약제 피더(13)(도 2 참조)가 수납된다. 또한, 상기 도어(12)의 우측 옆에는 조작 표시 패널(14)이 설치된다.
상기한 약제 피더(1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출 카세트(16)와 구동 장치(17)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불출 카세트(16)는 종래 공지의 것(특허 문헌 1 참조)이고, 정제를 수납하는 약제 수납부(18), 그 약제 수납부(18)의 저부에 설치된 로터(19) 및 상기 약제 수납부(18)의 저면에 설치된 기어 전달부(21)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동 장치(17)의 구동력은 상기한 기어 전달부(21)를 거쳐서 로터(19)로 전달되고, 그 회전에 수반하여 약제 수납부(18) 내의 정제(T)(도 3 참조)는 로터(19)의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세로 리브(20) 사이의 포켓(22)에 분배된다. 배출구(23)의 근방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24a)으로부터 포켓(22)을 횡단하도록, 빗 형상의 탄성 강모를 갖는 구획 부재(24)가 삽입되어 있고, 포켓(22) 내의 정제(T)는 그 구획 부재(24)의 하방에 1정만이 존재하도록 구획된다. 구획된 1개의 정제(T)가 배출구(23)에 합치했을 때에, 외부의 용기 등에 불출된다. 배출구(23)에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로 이루어는 광학식 정제 계수 센서(25)가 설치된다.
기어 전달부(21)는 입력축(26)에 설치된 웜 기어(27), 이에 맞물린 웜륜(28) 및 그 웜륜(28)에 맞물린 로터 기어(29)로 이루어진다. 도시의 경우, 웜 기어(27)의 나선은 오른 나사이다(도 4 참조). 상기한 입력축(26)은 구동 장치(17)의 출력축(31)(도 4 참조)과 커플링(32, 33)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는 도 2의 X1-X1선으로부터 본 경우의 각 기어(27, 28, 29)의 회전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 A는 시계 방향의 회전, 즉 정회전을 나타내고, 화살표 B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 즉 역회전을 나타낸다. 도면은 로터 기어(29)가 정회전하고, 로터축(30)과 일체의 로터(19)가 정회전하는 불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입력축(26)이 역회전하면, 상기와 같이 웜 기어(27)가 오른 나사이므로, 웜륜(28)이 역회전하고, 로터 기어(29) 및 로터축(30)이 정회전하게 된다. 입력축(26)의 회전이 역회전이라고 하는 것은, 백색 화살표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측으로부터 구동원측을 본 경우의 입력축(26)의 회전 방향이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를 말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모든 회전체의 회전 방향은 부하측으로부터 구동원측을 본 경우의 시계 방향의 회전을 정회전이라고 칭하고 A로 나타내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역회전이라고 칭하고 B로 나타낸다.
불출 카세트(16)의 기어 전달부(21)는 이상과 같은 것이고, 로터(19)를 정회전시켜 정제의 불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입력축(26)에 역회전 입력을 부가하고, 반대로, 로터(19)를 역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입력축(26)에 정회전 입력을 부가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구동 장치(1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케이스(35)에 베어링 슬리브(37)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 베어링 슬리브(37)에 출력축(31)의 선단부가 삽입 관통된다. 그 출력축(31)의 선단에 커플링(32)이 설치된다. 구동 장치(17)는 덮개 케이스(35)의 측부 테두리에 설치된 4개소의 설치부(35a)를 장치(11)의 적절 부분에 나사 고정하여, 상기 출력축(31)이 전방을 향하도록 장치(11)에 고정된다.
상기한 구동 장치(17)와 조합되는 불출 카세트(16)를 장치(11)의 전방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압입하면(도 4의 화살표 a 참조), 구동 장치(17)의 출력축(31)과, 불출 카세트(16)의 입력축(26)이 커플링(32, 33)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한 구동 장치(1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 개방의 본체 케이스(34), 그 개방 단부면을 폐쇄하는 덮개 케이스(35) 및 본체 케이스(34)의 폐색 단부면을 덮는 커버 케이스(36)를 갖는다. 그 덮개 케이스(35)에 베어링 슬리브(37)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 베어링 슬리브(37)에 상기와 같이 출력축(31)의 선단부가 삽입 관통된다. 덮개 케이스(35)에 내부의 전기 부품의 리드선 삽입 관통 구멍(40)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 장치(17)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8)와 전환 모터(39)의 2종류의 직류 모터를 갖는다. 이들 모터(38, 39)는 각각 각 모터축(41, 42)(도 7 참조)이 직교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한 구동 모터(38)는 정회전하거나 정지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이고, 역회전하도록 제어되는 일은 없다. 전환 모터(39)는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구동 모터(38)는 본체 케이스(34)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한 커버 케이스(36)에 의해 커버된다. 구동 모터(38)의 모터축(41)은 본체 케이스(34)의 내부에 돌출되고, 그 돌출된 부분에 구동 기어(4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출력축(31)에 출력 기어(44)가 설치된다. 출력축(31)의 후단부는 본체 케이스(34)의 폐색 단부면을 관통하여 커버 케이스(36)의 내부에 도달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축(41)과 출력축(31) 사이에는 상기한 구동 기어(43)와 출력 기어(44)를 포함한 기어 전달 장치(60)가 설치된다. 이 기어 전달 장치(60)는 복수의 기어에 의해 정회전 전달 경로(45)(도 7, 도 8 참조)와 역회전 전달 경로(46)(도 7, 도 10 참조)의 2계통의 전달 경로를 갖는다.
상기한 구동 기어(43), 출력 기어(44) 및 전환 기어(47)를 양 전달 경로(45, 46)에 공통의 부재로 함으로써, 전달 경로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있다. 전환 기어(47)는 항상 구동 기어(43)에 맞물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환 모터(39)를 포함하는 전환 장치의 작용에 의해, 정회전 전달 경로(45)에 속하거나, 역회전 전달 경로(46)에 속하도록 전환된다.
도 6 및 도 7은 상기한 전환 기어(47)가 정회전 전달 경로(45)에 속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정회전 전달 경로(45)를 알기 쉽게 도시하기 위해, 역회전 전달 경로(46)를 생략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정회전 전달 경로(45)는 서로 맞물린 구동 기어(43), 전환 기어(47), 중간 기어(48), 출력 기어(44)에 의해 구성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기어(48)는 2단 기어로, 그 대경부(48a)와 전환 기어(47)가 맞물리고, 소경부(48b)와 출력 기어(44)가 맞물린다. 기어의 수가 짝수개(4개)이므로, 구동 모터(38)가 정회전한 경우, 출력 기어(44)는 역회전하고, 출력축(31)이 역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출력축(31)에 연결된 불출 카세트(16)측에 있어서는, 입력축(26)이 역회전함으로써 로터(19)가 정회전되므로(도 4 참조), 구동 장치(17)에 있어서 구동 모터(38)가 정회전함으로써, 정회전 전달 경로(45)를 거쳐서 로터(19)에 정회전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정제의 불출이 행해진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환 모터(39)의 작동에 의해 전환 기어(47)가 역회전 전달 경로(46)측으로 전환된 경우, 그 역회전 전달 경로(46)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린 구동 기어(34), 전환 기어(47), 제1 중간 기어(49), 제2 중간 기어(50), 출력 기어(44)의 기어열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중간 기어(49)와, 제2 중간 기어(50)는 각각 2단 기어이고, 전자의 대경부(49a)가 전환 기어(47)와 맞물리고, 소경부(49b)가 제2 중간 기어(50)의 대경부(50a)와 맞물린다. 제2 중간 기어(50)의 소경부(50b)가 출력 기어(44)와 맞물린다.
이 경우에는 기어의 수가 홀수개(5개)이므로, 구동 모터(38)가 정회전한 경우, 출력 기어(44)도 정회전한다. 그 결과, 출력축(31)과 연결된 불출 카세트(16)측에 있어서는, 입력축(26)이 정회전함으로써 로터(19)가 역회전된다. 즉, 구동 모터(38)의 정회전 구동력이 역회전 전달 경로(46)를 거쳐서 전달됨으로써 로터(19)가 역회전되어, 정제의 막힘 해소 등의 작용이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한 정회전 전달 경로(45) 및 역회전 전달 경로(46)의 기어의 축방향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가 존재하는 축방향의 위치를 3층으로 나누고, 구동 모터(38)측으로부터 차례로 a층, b층, c층이라고 칭한다.
우선, 도 8 및 도 9에 기초하여 정회전 전달 경로(45)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기어(43)는 b층에 존재하고(도 9 참조), 그 구동 기어(43)와 항상 맞물리는 전환 기어(47)도 동일한 b층에 존재한다. 전환 기어(47)와 맞물린 중간 기어(48)는 상기와 같이 2단 기어이고, 그 대경부(48a)가 b층에 있어서 전환 기어(47)와 맞물린다. 소경부(48b)는 c층에 있다. 그 소경부(48b)는 동일한 c층에 있는 출력 기어(44)와 맞물린다.
또한, 역회전 전달 경로(46)에 대해 보면, 도 6 및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43)와 전환 기어(47)가 b층에 있는 것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제1 중간 기어(49)의 대경부(49a)가 b층에 있고 전환 기어(47)와 맞물리고, 소경부(49b)는 a층에 있다. 제2 중간 기어(50)의 대경부(50a)가 a층에 있고 제1 중간 기어(49)의 소경부(49b)와 맞물린다. 소경부(50b)는 c층까지 연장되고, c층에 있는 출력 기어(44)에 맞물린다. 제2 중간 기어(50)의 소경부(50b)는 소요의 감속비가 얻어지도록 출력 기어(44)에 비해 소경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정회전 전달 경로(45)와 역회전 전달 경로(46)를 비교하면, 전자의 중간 기어(48)는 후자의 제1 중간 기어(49)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기어이므로, 양쪽의 기어열(48, 49)의 기어의 수의 차는 1개, 즉 제2 중간 기어(50)의 유무에 있다.
역회전 전달 시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중간 기어(50)의 대경부(50a)를 전단의 제1 중간 기어(49)에 맞물리게 하고, 그 소경부(50b)를 후단의 출력 기어(44)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도 8에 도시한 정회전 전달 시에 비해, 소경부(50b)와 이것보다 대경의 출력 기어(44)의 맞물림에 의한 감속부가 1단 많아진다. 이로 인해, 정회전 전달 시에 비해 역회전 전달 시의 쪽이 큰 감속비가 얻어지고, 동시에 상대적으로 큰 역회전 토크가 얻어진다.
또한, 불출 카세트(16)의 기어 전달부(21)(도 4 참조)가, 상기한 경우보다 기어의 수가 1개만큼 많거나 또는 적은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입력축(26)에 정회전을 입력한 경우에 로터(19)가 정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그 경우에는, 구동 장치(17)의 상기 정회전 전달 경로(45)는 역회전 전달을 행하는 기어열, 즉 역회전 전달 경로로 된다. 또한, 역회전 전달 경로(46)는 정회전 전달을 행하는 기어열, 즉 정회전 전달 경로로 된다.
어떤 경우에도, 구동 장치(17)에 있어서는, 불출 카세트(16)의 기어 전달부(21)의 구성에 관계없이, 로터(19)에 정회전을 전달하는 정회전 전달 경로와, 역회전을 전달하는 역회전 전달 경로가 설치되고, 어느 한쪽의 기어열을 선택하도록 전환을 행하여, 출력축(31)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어떤 기어열로 전환할지는 불출 카세트(16)의 기어 전달부(21)의 구성에 따라서 정해진다.
다음에, 전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전환 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전환 모터(39), 그 모터축(42)에 설치된 웜 기어(51) 및 웜륜(52)에 의해 구성된다. 웜륜(52)의 회전축(53)은 상기 구동 모터(38)의 구동축(41)과는 분리되어 있지만 동축 상태로 설치된다. 웜륜(52)의 축방향의 위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c층에 있다.
상기한 웜륜(52)에는 그 중심각에서 볼 때 90도의 범위에 걸치는 절결부(54)가 형성된다(도 7 참조). 그 절결부(54)보다 작은 중심각을 가진 부채형의 스토퍼(55)가 덮개 케이스(35)의 내면에 형성되고, 그 스토퍼(55)가 절결부(54) 내에 돌출되어 있다. 절결부(54)와 스토퍼(55)의 중심각의 각도차(θ)(도 6 참조)의 범위 내에서 웜륜(52)의 회전 각도가 규제된다. 웜륜(52)은 상기 각도차(θ)의 범위 내에서 회전 범위가 규제된 회전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전환 모터(39)는 웜륜(52)이 상기한 각도차(θ)에 소요의 여유각을 더한 각도 범위를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웜륜(52)은 확실하게 스토퍼(55)에 부딪혀 정지한다. 이에 의해, 전환 기어(47)의 좌우 2개소의 정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전환 모터(39)를 스텝핑 모터에 의해 구성하면, 그 회전 각도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스토퍼(55)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한 웜륜(52)의 구동 모터(38)측의 단부면에 축(56)에 의해 상기한 전환 기어(4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전환 기어(47)의 위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에는 구동 기어(43)와 맞물리는 회전 반경을 가진 위치이다. 또한, 둘레 방향에는 웜륜(52)이 우회전(도 9의 화살표 C 참조)하여 스토퍼(55)에 부딪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중간 기어(48)와 맞물리는 위치다.
또한, 상기한 각도차(θ)는 전환 모터(39)가 역회전하여 웜 기어(51) 및 웜륜(52)이 각각 역회전한 경우(도 10의 화살표 D 참조)에, 웜륜(52)이 스토퍼(55)의 반대면에 부딪혀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전환 기어(47)가 정회전 전달 경로(45)의 중간 기어(48)로부터 벗어나, 역회전 전달 경로(46)의 제1 중간 기어(49)와 맞물리는 크기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부채형의 스토퍼(55) 대신에, 그 양측면의 위치에 규제 핀을 세운 것이라도 좋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축(31)의 커버 케이스(36)측에 관통한 단부에 로터 회전 검지 센서(58)가 설치된다. 로터 회전 검지 센서(58)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슬릿(69)이 형성된 회전판(57)과, 그 슬릿(69)을 통과하는 광을 감지하는 2개의 광학식 센서(59a, 59b)에 의해 구성되는 2상 펄스 출력형의 로터리 인코더를 사용하는 것이다. 각 센서(59a, 59b)의 배치는 도시의 경우, 회전판(57)의 직경 방향에 대향한 위치로 정하고 있지만, 이 배치로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위상차가 얻어지는 임의의 배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센서(59a, 59b)로부터 위상이 어긋난 2상의 펄스 신호가 후술하는 제어 회로(61)(도 13 참조)에 출력되고, 그 제어 회로(61)에 있어서, 회전판(57)의 정회전과 역회전, 즉 로터(19)의 정회전과 역회전이 검지된다. 또한, 어느 한쪽의 센서(59a, 59b)의 신호에 의해, 로터(19)의 회전의 유무가 검지된다.
다음에, 이상에 서술한 약제 불출 장치(11)의 제어 블록도를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어 회로(61)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RAM 및 ROM을 구비한 메모리 회로(65)가 부설된다. 그 메모리 회로(65)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하의 각종 제어가 행해진다.
즉, 제어 회로(61)로부터 구동 회로(62)를 거쳐서 상기 약제 피더(13)의 구동 모터(38)의 제어가 행해지고, 또한 구동 회로(63)를 거쳐서 전환 모터(39)의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상기 약제 피더(13)에 설치한 정제 계수 센서(25) 및 로터 회전 검지 센서(58)의 검지 신호가 제어 회로(61)에 입력된다.
막힘 에러, 결품 에러 등의 표시부(64)가 장치(11)에 설치되고, 제어 회로(6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된 입력 장치(66) 및 타이머(67)가 제어 회로(61)에 부설되어, 입력 장치(66)로부터 입력된 처방 정보 등이 상기한 메모리 회로(65)에 저장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 회로(61)의 제어 동작을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정제 불출 동작을 개시하면, 스텝(이하, 단순히 S라고 표시) 1에 있어서, 구동 모터(38), 로터 회전 검지 센서(58), 정제 계수 센서(25), 타이머(67)가 각각 기동된다. S2에 있어서, 로터(19)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예)에는 S3에 있어서 로터(19)가 회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회전하고 있을 경우(예)에는 S4에 있어서 상기한 정제 계수 센서(25)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에 기초하여, 정제가 낙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제가 낙하하고 있는 경우(예)에는 S5에 있어서 정제의 계수를 계속하고, S6에 있어서 미리 처방 정보로서 설정되어 있는 정제수를 불출할 때까지 계수한다. 설정수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예)에는 S7에 있어서 정제 불출 동작을 정지하고, 정제 불출 동작 종료의 표시를 표시부(64)에서 행하고 정제 불출 동작을 완료한다.
상기 S4에 있어서, 정제가 낙하하고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S10에 있어서 타이머 계측을 개시하고, S11에 있어서 n초간 경과하지 않은 동안(아니오)에는 S4로 복귀된다. n초간 경과한 경우(예)에는 S12에 있어서 동작을 정지하고, S13에 있어서 정제 결품에 관한 에러 표시를 행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S2에 있어서 정제가 낙하하고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S14로 이행하여 로터(19)가 회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본다. 회전하고 있는 경우(예)에는 로터(19)가 역회전하고 있는 경우이므로, S15의 서브 루틴(후술하는 도 15 참조)에 있어서 로터(19)의 정회전 방향의 구동을 행하고, S3으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S14에 있어서 로터(19)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는 기동 당초부터 정제의 막힘과 그 밖의 트러블에 의해 로터(19)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므로, S16에 있어서 타이머 계측을 개시하고, S17에 있어서 n초간 경과하고 있지 않은 동안(아니오)에는 S14로 복귀되고, 경과한 경우(예)에는 S18의 서브 루틴(후술하는 도 16 참조)에 있어서 로터(19)의 역회전 방향 구동을 행하여, 정제의 막힘의 해소를 시도한다.
상기 S18의 서브 루틴에 있어서 역회전 방향 구동을 시도한 후, S19의 서브 루틴에 있어서 로터(19)의 정회전 방향 구동을 행한다. S20에 있어서 로터(19)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예)이면, 정제의 막힘이 해소된 것으로 하여 S4로 복귀된다.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S21에 있어서 동작을 정지하고, S21에 있어서 정제의 막힘에 관한 에러 표시를 행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S3에 있어서, 로터(19)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는 로터(19)가 정회전하여 불출을 행하고 있는 도중에 정제의 막힘 등에 의해 로터(19)가 정지한 경우이므로, 상기한 S16으로 이행하고, 전술한 S17로부터 S19까지의 동작에 의해 로터(19)의 역회전, 정회전을 행하여, 정제의 막힘의 해소를 시도한다. S20에 있어서 로터(19)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예),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 이후의 동작은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15에 도시한 로터 정회전 방향 구동의 서브 루틴은 S101에 있어서 구동 모터(38)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예)에는 S102에 있어서 전환 모터(39)를 구동한다. 구동 모터(38)가 정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S103에 있어서 구동 모터(38)를 정지시킨다.
전환 모터(39)의 구동에 의해 S104에 있어서 로터(19)를 정회전 방향으로 전환하고, S105에 있어서 전환 모터(39)를 정지시키고, S106에 있어서 구동 모터(38)를 구동하고, S107에 있어서 로터(19)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한 후 복귀된다.
도 16에 도시한 로터(19)의 역회전 방향 구동의 서브 루틴은, S201에 있어서 구동 모터(38)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예)에는 S202에 있어서 전환 모터(39)를 구동한다. 구동 모터(38)가 정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S203에 있어서 구동 모터(38)를 정지시킨다.
전환 모터(39)의 구동에 의해, S204에 있어서 로터(19)를 역회전 방향 구동으로 전환하고, S205에 있어서 전환 모터(39)를 정지하고, S206에 있어서 구동 모터(38)를 구동한다. 그 구동 모터(38)의 구동에 의해, S207에 있어서 로터(19)의 역회전 방향 구동을 행하고, S208에 있어서 타이머 계측을 개시한다. S209에 있어서 n초간의 경과를 보고, 아니오의 경우에는 S206으로 복귀된다. 예의 경우에는 S210에 있어서 구동 모터(38)를 구동하여 복귀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1)는 이상과 같은 것으로, 그 약제 피더(13)에 있어서는, 약제의 막힘을 해제하기 위해 로터(19)를 역회전시키는 경우에, 구동 모터(38)를 일단 정지시키고, 전환 모터(39)의 구동에 의해,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역회전 전달 경로(46)로 전환한다. 그 후 구동 모터(38)를 정회전시킴으로써, 구동력이 역회전 전달 경로(46)를 거쳐서 로터(19)로 전달되어, 로터(19)를 역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 모터(38)를 역회전시키는 일 없이, 정회전시킴으로써 로터(19)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 모터(38)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어 회로(61)에 있어서, 로터 회전 검지 센서(58)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에 기초하여 로터(19)의 회전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도 14의 S3), 정제 계수 센서(25)의 신호에 기초하여 정제의 불출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도 14의 S4)을 구비하고, 이들 판단 수단에 의해 로터가 회전하고 있고, 또한 정제의 불출이 일정 시간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도 14의 S11)에, 정제의 결품에 관한 에러 표시(도 14의 S13)를 행한다. 이에 의해, 정제의 불출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 이를 정제의 막힘과 구별하여, 정제의 결품인 것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회전 전달 경로(45)에 비해 역회전 전달 경로(46)에 의한 구동력 전달의 경우에 있어서의 감속비가 커지도록 설정하고 있으므로, 로터(19)의 역회전 시에 상대적으로 큰 토크를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제의 막힘을 원활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38)의 과전류를 검지한 경우나, 정제 계수 센서(25)에 의해 정제의 불출이 행해지지 않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정제의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한 전환에 의해 로터(19)를 역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들 작용 효과는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발휘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7 내지 도 22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1)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경우(도 1 참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약제 피더(13)를 구성하는 불출 카세트(16)의 구성도 상기한 경우(도 2 내지 도 4 참조)와 동일하지만, 구동 장치(17)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17)에 있어서는, 구동 모터(38)와 전환 구동부로서의 전환 솔레노이드(71)[이하, 단순히 솔레노이드(71)라고 함)가 설치된다. 구동 모터(38)의 모터축(41)과, 솔레노이드(71)의 플런저(72)의 축은 평행하고, 또한 이들은 출력축(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한 모터축(41)에 웜 기어(73)가 설치되고, 그 웜 기어(73)에 맞물린 웜륜(74)이 케이스(7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웜륜(74)은 2단 기어이고, 그 소경부(74b)가 웜 기어(73)에 맞물린다. 또한, 대경부(74a)가 전환 기어(47)에 맞물린다. 상기한 웜 기어(73)는 왼나사이고, 구동 모터(38)가 정회전하면, 그 모터축(41)에 연결된 웜 기어(73)가 정회전하고, 이것에 맞물린 웜륜(74)은 정회전한다(도 19 참조).
상기 웜륜(74)의 지지축(76)이 케이스(75)에 지지되어(도 18 참조), 그 웜륜(74)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축(76)에 2개의 요동 아암(77, 77)의 상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요동 아암(77, 77)의 중간부에 전환 기어(47)의 지지축(78)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한쪽의 요동 아암(77)의 하단부에 이것과 직교하는 1개의 중간 링크(79)의 선단부가 핀(80)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다(도 17 참조).
상기 중간 링크(79)의 후단부는 상기 솔레노이드(71)의 플런저(72)에 핀(81)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솔레노이드(71)가 작동되어 플런저(72)가 수평 방향으로 진퇴되면, 상기 2개소의 핀(80, 81)에 있어서 굴곡되면서 요동 아암(77, 77)을 요동시키고, 전환 기어(47)를 정회전 전달 경로(45)에 속하게 하거나, 역회전 전달 경로(46)에 속하게 하는 전환 작용을 행한다.
이 경우의 정회전 전달 경로(45)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로서의 웜륜(74), 전환 기어(47), 중간 기어(48) 및 출력 기어(44)로 이루어지는 4개(짝수)의 기어에 의해 구성된다. 출력 기어(44)가 출력축(31)에 설치되는 것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전환 기어(47)는 2단 기어이고, 그 소경부(47b)가 상기 웜륜(74)의 대경부(74a)와 맞물린다. 또한, 전환 기어(47)의 대경부(47a)가 중간 기어(48)와 맞물린다.
또한, 역회전 전달 경로(46)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로서의 웜륜(74), 전환 기어(47), 제1 중간 기어(49), 제2 중간 기어(50) 및 출력 기어(44)로 이루어지는 5개(홀수)의 기어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중간 기어(49) 및 제2 중간 기어(50)는 각각 2단 기어이고, 전자의 대경부(49a)가 전환 기어(47)의 대경부(47a)와 맞물리고, 그 소경부(49b)가 제2 중간 기어(50)의 대경부(50a)와 맞물린다. 또한, 제2 중간 기어(50)의 소경부(50b)가 출력 기어(44)와 맞물린다.
이상의 각 기어의 축방향의 위치 관계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단 기어에 의해 구성되는 웜륜(74)은 그 대경부(74a)가 a층에 존재하고, 소경부(74b)가 b층과 c층에 걸쳐서 존재한다.
정회전 전달 경로(45)에 대해 보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기어(47)의 대경부(47a)가 b층에 있고, 소경부(47b)가 a층에 있다. 그 소경부(47b)가 상기한 웜륜(74)의 대경부(74a)에 맞물린다. 중간 기어(48)는 b층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어(47)의 대경부(47a)와 맞물린다. 출력 기어(44)는 b층에 있어서 중간 기어(48)와 맞물린다.
역회전 전달 경로(46)에 대해 보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중간 기어(49)의 대경부(49a)는 b층에 있고[도면 중, 전환 기어(47)의 대경부(47a)의 배후에 있음], 소경부(49b)는 c층에 있다. 그 대경부(49a)는 b층에 있는 상기한 전환 기어(47)의 대경부(47a)와 맞물린다. 제2 중간 기어(50)의 대경부(50a)가 c층에 있고, 소경부(50b)가 b층에 있다. 상기 대경부(50a)가 제1 중간 기어(49)의 소경부(49b)와 맞물리고, 소경부(50b)는 b층에 있는 출력 기어(44)와 맞물린다. 제2 중간 기어(50)의 소경부(50b)는 출력 기어(44)에 비해 소요의 감속비가 얻어지는 소경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정회전 전달 경로(45)와 역회전 전달 경로(46)를 비교하면, 전환 기어(47) 이후의 기어열은, 정회전 전달 경로(45)의 경우에는 중간 기어(48)와 출력 기어(44)의 1개소의 맞물림뿐이고(도 17 참조) 감속비도 상대적으로 작다. 이에 대해, 역회전 전달 경로(46)의 경우에는 제1 중간 기어(49)의 소경부(49b)와 제2 중간 기어(50)의 대경부(50a)의 맞물림, 제2 중간 기어(50)의 소경부(50b)와 출력 기어(44)의 맞물림에 의해, 2개소의 감속 부분이 존재하므로, 상대적으로 큰 감속비가 얻어진다.
제2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며,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기어(47)를 정회전 전달 경로(45)측으로 전환하고, 구동 모터(38)를 정회전시켜 웜 기어(73)를 통해 웜륜(74)을 정회전시키면 정회전 전달 경로(45)를 거쳐서 출력축(31)이 역회전한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출 카세트(16)측에 있어서는 로터(19)가 정회전되어, 정제의 불출이 행해진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71)를 작동시켜, 그 플런저(72), 중간 링크(79) 및 요동 아암(77)을 통해 전환 기어(47)를 역회전 전달 경로(46)측으로 전환한다. 구동 모터(38)를 정회전시켜 웜륜(74)을 정회전시키면, 역회전 전달 경로(46)를 거쳐서 출력축(31)이 정회전한다. 이에 의해, 불출 카세트(16)측에 있어서는 로터(19)가 역회전되어, 정제의 막힘의 해제가 시도된다.
상기한 역회전 전달 경로(46)를 거친 역회전 전달 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회전 전달 경로(45)를 거친 정회전 전달 시에 비해 큰 감속비가 얻어지고, 동시에 상대적으로 큰 역회전 토크가 얻어진다.
그밖에, 출력축(31)에 로터 회전 검지 센서(58)(도 18 참조)를 설치하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어 블록도 및 흐름도는 상기한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것에 있어서 「전환 모터」로 되어 있는 것을 「전환 솔레노이드」로 치환한 것이다.
[제3 실시 형태]
도 23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의 약제 피더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17)는 구동 모터(38)와 전환 모터(39)를 구비한다. 이들 모터축(41, 42)의 방향은 직교 방향이고, 모터축(41)과 평행의 슬라이드축(83)이 설치된다. 슬라이드축(83)은 댐퍼(84)를 통해 출력축(31)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출력축(31)의 선단에 커플링(32)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 모터(38)의 모터축(41)과, 출력축(31) 사이에는 정회전 전달 경로(45)와 역회전 전달 경로(46)가 설치된다. 정회전 전달 경로(45)는 모터축(41)에 설치된 구동 기어(85)와 이것에 맞물린 출력 기어(86)에 의해 구성된다. 출력 기어(86)는 슬라이드축(83)과 동축 상태로 배치된다. 출력 기어(86)의 보스부의 내경면에 클러치(87)의 피결합부인 암형 스플라인(88)[도 24의 (a) 참조]이 형성되어, 슬라이드축(83)에 설치된 수형 스플라인(89)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역회전 전달 경로(46)는 상기한 구동 기어(85), 중간 기어(90) 및 출력 기어(91)에 의해 구성되고, 출력 기어(91)는 슬라이드축(83)과 동축 상태로 배치된다. 출력 기어(91)의 보스부에 클러치(87)의 피결합부인 암형 스플라인(88)[도 24의 (a) 참조]이 설치되어, 슬라이드축(83)에 설치된 상기한 수형 스플라인(89)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중간 기어(90)에 비해 출력 기어(91)는 충분한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에 있어서 정회전 전달 경로(45)에 비해 큰 감속비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축(83)의 일정 스트로크(L)의 왕복 이동 시에, 수형 스플라인(89)이 원활하게 암형 스플라인(88)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스플라인(89)의 양단부를 첨예하게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댐퍼(84)는 출력축(31)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스프링(92)이 수납된다. 상기 슬라이드축(83)의 후단부를 댐퍼(84)에 삽입하여, 상기 스프링(92)을 누르고 있다. 슬라이드축(83)의 댐퍼(84)로의 삽입 부분에는 D컷트가 실시되어, 슬라이드축(83)과 출력축(31)이 상대적인 슬라이드를 허용하면서 일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축(83)의 선단부에는 전환 모터(39)에 의해 구동되는 요동 아암(93)이 접촉되어 있고, 그 요동 아암(93)이 도면의 실선 상태로부터 일정 각도 요동하면, 슬라이드축(83)을 축방향으로 일정 스트로크(L)만큼 이동시켜, 출력 기어(86)의 암형 스플라인(88)과 결합 상태에 있던 수형 스플라인(89)을 그 암형 스플라인(88)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출력 기어(91)의 암형 스플라인(88)과 결합시킨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출력축(31)에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로터 회전 검지 센서(58)가 설치된다.
제3 실시 형태는 이상과 같은 것으로, 전환 모터(39)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요동 아암(93)이 도 23의 실선 상태로 후퇴되고 슬라이드축(83)의 수형 스플라인(89)은 출력 기어(86)의 암형 스플라인(88)과 결합하고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구동 모터(38)가 정회전하면, 정회전 전달 경로(45)를 구성하는 구동 기어(85) 및 이에 맞물린 출력 기어(86), 암수 스플라인(88, 89)에 의해 구성된 클러치(87)를 거쳐서 슬라이드축(83) 및 출력축(31)을 역회전시킨다. 커플링(32)을 통해 연결된 불출 카세트(16)(도 3 참조)에 있어서는, 역회전 토크가 입력됨으로써, 로터(19)가 정회전한다.
또한,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 중간 기어(90) 및 출력 기어(91)가 연동되지만, 그 암형 스플라인(88)은 수형 스플라인(89)과 결합하고 있지 않으므로, 슬라이드축(83)에 대해 구동력은 전달되지 않는다.
전환 모터(39)가 작동되어, 요동 아암(93)에 의해 슬라이드축(83)이 일정 스트로크(L)만큼 슬라이드하면, 그 수형 스플라인(89)은 출력 기어(86)의 암형 스플라인(88)과의 결합을 이탈하여, 제2 중간 기어(91)의 암형 스플라인(88)과 결합한다. 이때, 슬라이드축(83)의 이동은 댐퍼(84)에 있어서 흡수되므로, 출력축(31)의 축방향의 위치는 불변이다.
상기한 전환에 의해, 구동 모터(38)의 정회전의 구동력은 역회전 전달 경로(46)를 거쳐서 슬라이드축(83) 및 출력축(31)을 정회전시킨다. 그 정회전이 커플링(32)을 통해 불출 카세트(16)로 전달되어 로터(19)를 역회전시킨다.
이 역회전 전달 경로(46)를 거쳐서 구동력의 전달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정회전 전달 경로(45)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에 비해 큰 감속비가 얻어지므로, 로터(19)로 전달되는 역회전 토크도 상대적으로 커진다.
이상 서술한 제3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불출 카세트(16)와 조합되어 상기한 약제 피더(13)를 구성하고, 약제 불출 장치(11)에 탑재된다. 이 경우의 제어 블록도, 그 흐름도는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4 실시 형태]
도 25에 도시한 제4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17)의 기본적 구성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와 공통되지만, 전환 장치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이 경우의 전환 장치는 전환 모터(39)의 모터축(42)에 편심 캠(94)이 설치된다. 또한, 정회전 전달 경로(45)의 출력 기어(86)와 역회전 전달 경로(46)의 출력 기어(91) 사이에 있어서 슬라이드축(83)에 클러치판(95)이 설치된다.
전환 모터(39)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 캠(94)이 슬라이드축(83)에 작용하지 않고, 클러치판(95)은 출력 기어(86)의 결합 돌기(96)에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드축(83)을 거쳐서 출력축(31)을 역회전시킨다.
전환 모터(39)가 구동되면, 편심 캠(94)이 슬라이드축(83)을 일정 스트로크(L)만큼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클러치판(95)은 출력 기어(86)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출력 기어(91)측으로 이동하고, 그 결합 돌기(96)와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드축(83)을 거쳐서 출력축(31)을 정회전시킨다.
또한, 이 제4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도 출력축(31)의 로터 회전 검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불출 카세트(16)와 조합하여 상기한 약제 피더(13)를 구성하여, 약제 불출 장치(11)에 탑재된다. 이 경우의 제어 블록도, 그 흐름도는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11 : 약제 불출 장치
13 : 약제 피더
16 : 불출 카세트
17 : 구동 장치
18 : 약제 수납부
19 : 로터
25 : 정제 계수 센서
26 : 입력축
31 : 출력축
38 : 구동 모터
39 : 전환 모터
41 : 모터축
43 : 구동 기어
44 : 출력 기어
45 : 정회전 전달 경로
46 : 역회전 전달 경로
47 : 전환 기어
57 : 회전판
58 : 로터 회전 검지 센서
61 : 제어 회로
62 : 구동 회로
63 : 구동 회로
71 : 솔레노이드

Claims (8)

  1. 약제의 불출 카세트와 구동 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피더에 있어서,
    상기 불출 카세트는 약제를 수납하는 약제 수납부 및 그 약제 수납부의 저부에 설치된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 기어 전달 장치 및 전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전달 장치는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로터의 로터축 사이에 설치된 소요수의 기어에 의해 구성된 정회전 전달 경로와 역회전 전달 경로를 갖고,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정회전하는 모터축을 통하여 상기 로터축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로터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전환 장치에 의해 상기 전달 경로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여 상기 불출 카세트에 출력하고,
    상기 전달 경로 중 어느 한쪽으로의 전환은, 전환 모터를 포함하는 전환 장치의 작용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수동적인 조작 동작 없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전달 경로는 정회전 전달 경로에 비해 감속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회전 전달 경로를 구성하는 기어수와, 역회전 전달 경로를 구성하는 기어수의 차가 홀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전달 장치의 출력축에 형성된 다수의 슬릿을 갖는 회전판, 그 회전판에 부설된 한 쌍의 광학식 센서로 이루어지는 로터리 인코더에 의해 로터 회전 검지 센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전환 구동부와, 회전 범위가 규제된 회전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 부재에 전환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전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를 일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환 기어를 항상 구동 기어에 맞물리게 하면서, 그 전환 기어를 상기 어느 한쪽의 전달 경로에 속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구동부가, 전환 모터와 그 모터축에 연결된 웜 기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웜 기어에 맞물린 웜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웜륜을 상기 구동 기어와 동축 상태로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피더.
  7. 약제 피더, 제어 회로 및 표시부를 구비한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 피더는 약제의 불출 카세트와 구동 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출 카세트는 약제를 수납하는 약제 수납부 및 그 약제 수납부의 저부에 설치된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 기어 전달 장치, 전환 장치, 정제 계수 센서, 로터 회전 검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전달 장치는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로터의 로터축 사이에 설치된 정회전 전달 경로와 역회전 전달 경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은 정회전하는 모터축을 통하여 상기 로터축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로터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환 장치에 의해 상기 전달 경로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여 상기 불출 카세트에 출력되고,
    상기 전달 경로 중 어느 한쪽으로의 전환은, 전환 모터를 포함하는 전환 장치의 작용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수동적인 조작 동작 없이 행해지는 것이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로터 회전 검지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로터의 정지가 검지된 경우에 상기 로터를 일정 시간 역회전시킨 후 정회전으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로터 회전 검지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로터의 회전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검지하고, 또한 상기 정제 계수 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정제의 불출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것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표시부에 대해 정제의 결품에 관한 에러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KR1020117021624A 2009-04-17 2010-04-16 약제 피더 및 약제 불출 장치 KR101800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1289 2009-04-17
JPJP-P-2009-101289 2009-04-17
PCT/JP2010/056840 WO2010119949A1 (ja) 2009-04-17 2010-04-16 薬剤フィーダ及び薬剤払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935A KR20120013935A (ko) 2012-02-15
KR101800029B1 true KR101800029B1 (ko) 2017-11-21

Family

ID=4298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624A KR101800029B1 (ko) 2009-04-17 2010-04-16 약제 피더 및 약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67426B2 (ko)
EP (1) EP2420449A4 (ko)
JP (1) JP4574749B1 (ko)
KR (1) KR101800029B1 (ko)
CN (1) CN102356025B (ko)
WO (1) WO20101199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0269B2 (en) * 2008-09-30 2013-04-30 Jvm Co., Ltd. Tablet cassette of automatic tablet packing apparatus
WO2011145471A1 (ja) * 2010-05-17 2011-11-2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カセット
JP5957747B2 (ja) * 2011-02-01 2016-07-27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錠剤カセッター
JP6082964B2 (ja) * 2011-09-05 2017-02-22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取出装置
JP5423823B2 (ja) * 2012-02-01 2014-02-19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供給装置、錠剤供給方法。
KR101369623B1 (ko) * 2012-02-01 2014-03-05 캐논 마케팅 저팬 가부시키가이샤 정제 공급 장치, 정제 취출 유닛, 정제 공급 방법 및 정제 공급 시스템
EP2829480B1 (en) * 2012-03-21 2021-02-24 Yuyama Mfg. Co., Ltd. Drug-supplying device and drug-counting device
ES2573684T3 (es) 2012-08-31 2016-06-09 Carefusion Switzerland 317 Sarl Estación de almacenamiento y dosificación para almacenar y dispensar cantidades dosificadas de porciones de fármaco sólido
US11246800B2 (en) * 2012-10-05 2022-02-15 Alixa Rx, Llc Locking canister for dispensing medications
CN104684529B (zh) * 2012-11-01 2018-09-11 普和希控股公司 药剂收纳盒及装配该药剂收纳盒的药剂分配装置
JP2014128070A (ja) * 2012-12-25 2014-07-07 Minebea Co Ltd モータ制御装置及び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制御方法
WO2015021445A1 (en) 2013-08-09 2015-02-12 Perceptimed, Inc. Pill feeder
CN105491989A (zh) * 2013-09-18 2016-04-13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品盒及药品包装装置
WO2015041229A1 (ja) * 2013-09-20 2015-03-26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供給ユニット及び薬剤供給装置
WO2015041228A1 (ja) * 2013-09-20 2015-03-26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供給体及び薬剤供給ユニット
JP6310932B2 (ja) * 2013-10-09 2018-04-11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充填装置
US9492357B2 (en) * 2014-04-11 2016-11-15 DoseSmart, Inc. Personal intelligent dispenser
US10730687B2 (en) * 2014-10-16 2020-08-04 RxCap Inc. Intelligent medicine dispenser
US9980463B2 (en) * 2015-02-26 2018-05-29 Petzila Inc. Device for and method of dispensing variable shaped items
US20190228852A1 (en) * 2016-03-17 2019-07-25 Itrachealth Corp. Automated Medication Adherence System
US9836583B2 (en) * 2016-03-17 2017-12-05 Silvergens Inc. Automated medication adherence system
CN106236572B (zh) * 2016-08-24 2019-01-11 合肥凌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生命体征监测功能的智能药盒
CN106236575B (zh) * 2016-08-24 2019-01-11 合肥凌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生命体征监测功能的智能药盒
WO2019026631A1 (ja) * 2017-08-04 2019-0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解促進錠剤投入装置及び電解水散布装置
CN110329667A (zh) * 2019-08-14 2019-10-15 北京美博斯智能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药片分配装置及其使用方法
US11787578B2 (en) * 2020-09-25 2023-10-17 Express Scripts Strategic Development, Inc. Cleaner assembly for an automated dispensing device
US11554050B2 (en) * 2021-01-08 2023-01-17 Moldex-Metric, Inc. Contactless earplug dispenser
CN112794442B (zh) * 2021-01-22 2023-04-07 重庆市巴南排水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生化处理工艺的碳源投加装置及投加方法
CN114013796B (zh) * 2021-11-09 2023-04-07 衢州职业技术学院 一种药盒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506A (ja) * 2004-03-31 2005-10-20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フィー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5674A (en) * 1976-01-09 1977-07-16 Tomy Kogyo Co Positively and reversely rotatable toothed wheel mechanism
US5097982A (en) * 1988-01-07 1992-03-24 Dan Kedem Programmed medication dispenser apparatus
JP3222374B2 (ja) * 1996-01-26 2001-10-2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収納取り出し装置
JP2000103404A (ja) 1998-09-29 2000-04-11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JP4206467B2 (ja) * 1999-11-01 2009-01-14 旭精工株式会社 正逆回転モータの切り換えギア装置。
KR20070088822A (ko) 2000-02-16 2007-08-2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약제 공급장치
KR100821669B1 (ko) * 2001-08-20 2008-04-1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정제피이더
TWI225836B (en) * 2002-02-20 2005-01-01 Sanyo Electric Co Medicine supply apparatus
US7080755B2 (en) * 2004-09-13 2006-07-25 Michael Handfield Smart tray for dispensing medicaments
JP2006230763A (ja) * 2005-02-25 2006-09-07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JP2006232357A (ja) * 2005-02-25 2006-09-07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JP4638793B2 (ja) * 2005-09-20 2011-02-2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供給装置及び錠剤供給方法
JP4910481B2 (ja) * 2006-05-24 2012-04-0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JP5230979B2 (ja) * 2006-08-28 2013-07-10 Ntn株式会社 駆動力正逆切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506A (ja) * 2004-03-31 2005-10-20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フィ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56025B (zh) 2015-01-21
EP2420449A1 (en) 2012-02-22
JP4574749B1 (ja) 2010-11-04
CN102356025A (zh) 2012-02-15
US20110042404A1 (en) 2011-02-24
KR20120013935A (ko) 2012-02-15
US8967426B2 (en) 2015-03-03
EP2420449A4 (en) 2016-06-29
WO2010119949A1 (ja) 2010-10-21
JPWO2010119949A1 (ja)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029B1 (ko) 약제 피더 및 약제 불출 장치
KR101052611B1 (ko) 약제불출장치
JP4298834B2 (ja) 錠剤フィーダ
JP5975035B2 (ja) 薬剤カセット及び薬剤供給装置
US7131554B2 (en) Tablet feeder
EP2037861B1 (en) A counter and a recorder for a pill dispenser
US10414576B2 (en)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US20230414455A1 (en) Technologies for medicine dispensing
KR20010032393A (ko) 약제 공급 장치
JP6310932B2 (ja) 薬剤充填装置
JP4401233B2 (ja) 薬剤フィーダ
WO2015052793A1 (ja) 薬剤充填装置
EP2722030A1 (en) Box for dispensing blister-packaged drug
JPWO2015052794A1 (ja) 薬剤充填装置
JP4401234B2 (ja) 薬剤フィーダ及び薬剤フィーダの制御方法
US10445970B2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20140049432A (ko) 블리스터 포장 약제 불출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