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392B1 -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392B1
KR101210392B1 KR1020107014091A KR20107014091A KR101210392B1 KR 101210392 B1 KR101210392 B1 KR 101210392B1 KR 1020107014091 A KR1020107014091 A KR 1020107014091A KR 20107014091 A KR20107014091 A KR 20107014091A KR 101210392 B1 KR101210392 B1 KR 10121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mechanism
compressor
housing case
fuel cell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044A (ko
Inventor
고지 가타노
유스케 시모야나
마사토 소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0008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 Cell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를 제공한다.
전동 모터(80)와, 전동 모터(80)에 병설되어 전동 모터(80)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구(90)를 가지는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로서, 전동 모터(80)의 모터 수용 케이스(81)와, 압축기구(90)의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가 분할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설치 대상(9)에 고정되는 고정부(94)를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에 설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와 설치 대상(9)이 일체가 되어,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를 포함하는 압축기구(90)의 열용량이, 설치대상(9)의 것도 합친 열용량이 되어 커진다.

Description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COMPRESSOR FIX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료가스와 산화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하는 연료전지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연료전지시스템에는, 연료전지에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 공급로에, 연료전지로부터 배출된 연료 오프 가스를 연료 오프 가스 순환로를 거쳐 되돌림으로써, 연료 오프 가스에 포함되는 연료가스 성분을 유효 이용하는 것이 있고, 연료 오프 가스 순환로에는, 연료 오프 가스를 흡인하여 토출하는 연료 오프 가스 순환펌프가 설치되게 된다.
그런데,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연료전지의 캐소드측에서 발생한 수분이 전해질막을 거쳐 애노드측으로 침투하고, 그 결과, 연료 오프 가스에는 수분이 포함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연료 오프 가스 순환펌프로서, 압축기가 사용되게 된다. 이 압축기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에 병설되어 이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구를 병설한 구성의 것으로, 가공성 등의 고려로부터 전동 모터의 모터 수용 케이스에 설치된 고정부에서, 설치 대상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162671호 공보
그런데, 압축기에서는, 상기한 예와 같이, 압축하는 유체에 수분이 포함되면, 이 수분이 결로하여 동결된 경우에, 압축기구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게 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는, 전동 모터와, 해당 전동 모터에 병설되어 해당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구를 가지는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로서,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수용 케이스와, 상기 압축기구의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가 분할하여 구성되고, 설치 대상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상기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에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설치 대상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와 설치 대상이 일체가 되어,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압축기구의 열용량이, 설치 대상의 것도 합친 열용량과 유사하게 되어 커진다. 따라서, 압축기구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여, 결로(結露)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치 대상을 연료가스와 산화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하는 셀이 복수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의 셀 적층방향 끝부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로 하고, 상기 압축기를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배출되는 연료 오프 가스를 상기 연료전지로 순환시키는 연료 오프 가스 순환펌프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와 연료전지의 엔드 플레이트가 일체가 되기 때문에, 열용량이 커져 압축기구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가령 결로가 발생하여 압축기구가 동결하는 일이 있어도, 기동 시에는 연료전지의 온도 상승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로부터의 전열로, 이 동결을 조기에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저온 기동성이 향상한다.
또, 상기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는, 상기 고정부가 복수 설치되는 경우에, 이들 고정부의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면 접촉하는 고정면의 사이에,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면 접촉하는 접촉 면적 확대부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정면 사이의 접촉 면적 확대부에 의해,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와 엔드 플레이트의 접촉 면적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축기구의 온도 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 접촉 면적의 확대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의 강성을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가 높이게 되기 때문에, 가령 엔드 플레이트에 휨을 발생시키는 외력이 작용하고 있었다 하여도, 당해 휨에 대하여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가 상기 모터 수용 케이스보다 고강성이 되도록 이들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 및 모터수용 케이스의 재질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압축기는, 예를 들면 기액 2상(二相) 유체용 압축기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에 의하면,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된 연료전지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된 연료전지시스템의 연료전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모터 수용 케이스 및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에서의 엔드 플레이트에 대한 접촉범위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형태의 온도 변화 등을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형태가 연료전지에 적용된 연료전지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이 연료전지시스템은 연료전지 차량의 차량 탑재 발전 시스템이나, 차량 탑재용 연료전지시스템 이외에도, 선박, 항공기, 전차, 보행 로봇 등의 모든 이동체용의 연료전지시스템이나, 예를 들면 연료전지가 건물(주택, 빌딩 등)용의 발전설비로서 사용되는 정치용 연료전지시스템에대한 적용도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내는 연료전지시스템(1)에서, 산화가스로서의 공기는, 공기 공급로(71)를 거쳐 연료전지(20)의 공기 공급구에 공급된다. 공기 공급로(71)에는, 공기로부터 미립자를 제거하는 에어필터(A1), 공기를 가압하는 컴프레서(A3) 및 공기에 소요(所要)의 수분을 가하는 가습기(A21)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필터(A1)에는, 공기유량을 검출하는 도시 생략한 에어플로우미터(유량계)가 설치되어 있다. 컴프레서(A3)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 모터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어부(5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연료전지(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오프 가스는, 배기로(72)를 거쳐 외부로 방출된다. 배기로(72)에는, 압력조정 밸브(A4) 및 가습기(A21)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조정 밸브(A4)는, 연료전지(20)에 대한 공급 공기압을 설정하는 압력 조정(감압)기로서 기능한다. 제어부(50)는, 컴프레서(A3)를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수 및 압력조정 밸브(A4)의 개방도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연료전지(20)에 대한 공급 공기압이나 공급 공기유량을 설정한다.
연료가스로서의 수소가스는, 수소 공급원(30)으로부터 수소 공급로(74)를 거쳐 연료전지(20)의 수소 공급구에 공급된다. 수소 공급원(30)은, 예를 들면 고압수소 탱크가 해당하나, 이른바 연료 개질기나 수소흡장합금 등이어도 된다.
수소 공급로(74)에는, 수소 공급원(30)으로부터 수소를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을 정지하는 차단밸브(H100), 연료전지(20)에 대한 수소가스의 공급 압력을 감압하여 조정하는 수소 압력조정 밸브(H9), 및 연료전지(20)의 수소 공급구와 수소 공급로(74) 사이를 개폐하는 차단 밸브(H21)가 설치되어 있다. 수소 압력조정 밸브 (H9)로서는, 예를 들면 기계식의 감압을 행하는 압력조정 밸브를 사용할 수 있으나, 펄스 모터로 밸브의 개방도가 리니어 또는 연속적으로 조정되는 밸브이어도 된다.
연료전지(20)에서 소비되지 않은 수소가스는, 수소 오프 가스(연료 오프 가스)로서 수소 순환로(연료 오프 가스 순환로)(75)로 배출되고, 수소 공급로(74)의 수소 압력조정 밸브(H9) 및 차단밸브(H21)의 하류측으로 되돌아간다. 수소 순환로(75)에는, 수소 오프 가스로부터 수분을 회수하는 기액 분리장치(H42), 회수한 생성수를 수소 순환로(75) 외의 도시 생략한 탱크 등으로 회수하는 배수밸브(H41),및 수소 오프 가스를 가압하는 압축기인 수소 펌프(연료 오프 가스 순환펌프)(H50)가 설치되어 있다.
차단밸브(H21)는, 연료전지(20)의 애노드측을 폐쇄한다. 수소 펌프(H50)는, 제어부(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수소 오프 가스는, 수소 공급로(74)에서 수소가스와 합류하고, 연료전지(20)에 공급되어 재이용된다. 차단밸브(H21)는, 제어부(50)로부터의 신호로 구동된다.
수소 순환로(75)는, 배출 제어 밸브(H51)를 거쳐, 퍼지 유로(76)에 의해 가습기(A21)의 하류측의 배기로(72)에 접속되어 있다. 배출 제어 밸브(H51)는, 전자식의 차단밸브이고, 제어부(5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수소 오프 가스는 연료전지(20)로부터 배출된 공기 오프 가스와 함께 외부로 배출(퍼지)된다. 이 퍼지동작을 간헐적으로 행함으로써, 수소 가스 중의 불순물 농도가 증가함에 의한 셀 전압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연료전지(20)의 냉각수 출입구에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로(73)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로(73)에는, 냉각수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라디에이터(열교환기)(C2) 및 냉각수를 가압하여 순환시키는 펌프(C1)가 설치되어 있다. 또, 라디에이터(C2)에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냉각팬(C13)이 설치되어 있다.
연료전지(20)는, 고체 고분자형의 것으로, 수소가스와 공기의 공급을 받아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하는 단(單)셀을 소요 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스택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연료전지(20)가 발생한 전력은, 도시 생략한 파워 컨트롤 유닛에 공급된다. 파워 컨트롤 유닛은, 차량의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와, 컴프레서 모터나 수소 펌프용 모터 등의 각종 보조 기기류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와, 2차 전지 등의 축전수단에 대한 충전이나 해당 축전수단으로부터의 모터류에 대한 전력 공급을 행하는 DC-DC 컨버터 등이 구비되어 있다.
제어부(50)는, CPU, ROM, RAM, IIDD,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 등의 공지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도시 생략한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신호 등의 요구 부하나 연료전지시스템(1)의 각 부의 센서(압력센서, 온도센서, 유량센서, 출력전류계, 출력전압계 등)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취하여, 시스템 각 부의 밸브류나 모터류의 운전을 제어한다.
가습기(A21)는, 컴프레서(A3)로부터 공기 공급로(71)를 통하여 연료전지(20)에 공급되는 공기와, 연료전지(20)로부터 배기로(7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오프 가스와의 사이에서 수분 교환을 행하여 공기에 수분을 가한다. 가습기(A21)는, 가습 모듈과, 가습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전지(2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단위인 셀(2)이 복수 적층된 스택 본체(3)와, 스택 본체(3)를 지지하는 프레임(5)을 구비하고 있다. 셀(2)의 적층방향을 따르는 스택 본체(3)의 한쪽 끝에는, 터미널 플레이트(7)가 배치되고, 그 바깥쪽에 절연 플레이트(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바깥쪽에는, 프레임(5)을 구성하는 엔드 플레이트(9)가 배치되어 있다.
또, 스택 본체(3)의 다른쪽 끝에는, 터미널 플레이트(7)가 배치되고, 그 바깥쪽에 절연 플레이트(8)가 배치되며, 또한 그 바깥쪽에는 프레셔 플레이트(13)가 배치되어 있다. 각 터미널 플레이트(7)에는, 출력단자(6)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셔 플레이트(13)의 바깥 쪽에는, 프레임(5)을 구성하는 엔드 플레이트(10)가, 프레셔 플레이트(13)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고, 프레셔 플레이트(13)와 엔드 플레이트(10)의 사이에는 스프링부재(14)가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스택 본체(3)의 양측에 배치된 2매의 엔드 플레이트(9, 10)의 사이에는, 셀(2)의 적층방향을 따라 복수의 텐션 플레이트(11)가 가설되어 있다. 각 텐션 플레이트(11)는, 양쪽의 끝부를 각 엔드 플레이트(9, 10)에 볼트(12)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고, 2매의 엔드 플레이트(9, 10)와 함께 프레임(5)을 구성하고 있다.
2매의 엔드 플레이트(9, 10)가 복수의 텐션 플레이트(11)를 거쳐 연결될 때, 스프링부재(14)에는 압축력이 도입되어 있고, 스프링부재(14)는 스택 본체(3)에 대하여 셀(2)의 적층방향으로 가세력을 작용시키고 있다. 복수의 셀(2)은, 이 가세력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스프링부재(14)의 가세력에 대한 반력은 텐션 플레이트(11)가 부담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텐션 플레이트(11)에는 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연료전지(20)의 한쪽의 엔드 플레이트(9)의 바깥쪽에, 압축기인 수소 펌프(H50)가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수소 펌프(H50)의 설치 대상이 엔드플레이트(9)로 되어 있다.
수소 펌프(H5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80)와, 이 전동 모터(80)에 일체적으로 병설되어 전동 모터(80)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구(90)를 가지는 압축기이다. 수소 펌프(H50)로서는, 예를 들면 기액 2상 유체용(氣液二相流體用)압축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반드시 그와 같은 종류의 압축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동 모터(80)는, 그 바깥쪽 부분을 구성하는 모터 수용 케이스(81)와, 모터수용 케이스(81)의 안쪽에 고정되는 고정자(82)와, 모터 수용 케이스(81)에 베어링(83)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자(84)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베어링(83) 및 베어링(83)에 지지되는 회전자(84)의 샤프트(85)는, 강도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스테인레스강재(SUS재)로 형성되어 있고, 모터 수용 케이스(81)는, 성형성 및 비용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축기구(90)는, 그 바깥쪽 부분을 구성하는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와,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의 안쪽에 베어링(92)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임펠러(93)를 가지고 있다.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는 모터 수용 케이스(81)와는 분할되고, 모터 수용 케이스(81)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압축기구(90)는, 수소 순환로(75)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임펠러(93)가 전동 모터(80)의 회전자(84)에 연결되어, 회전자(84)와 동기하여 회전함으로써, 수소 순환로(75)를 거쳐 연료전지(20)의 에노드측으로부터 수소 오프 가스를 흡인하고, 압축하여 수소 공급로(74)에 토출한다. 여기서,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 임펠러(93) 및 베어링(92)은, 강도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동일한 스테인레스강재(SUS재)로 형성되어 있다.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에는, 그 전동 모터(80)측의 끝부에, 엔드 플레이트(9)에 고정되는 복수, 구체적으로는 2개소의 고정부(94, 9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부(94, 94)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임펠러(93)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부(95)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동일 접선 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고정부(94, 94)의 사이에, 상기 접선 상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접촉면적 확대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부(94, 94) 및 연결부(96)가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에서 엔드 플레이트(9)에 부착되는 부착 다리부(97)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한쪽의 고정부(94)의 엔드 플레이트(9)에 면 접촉하는 고정면(94a)과, 다른쪽 고정부(94)의 엔드 플레이트(9)에 면 접촉하는 고정면(94a)의 사이에, 이들 고정면(94a, 94a)과 연속하여 엔드 플레이트(9)에 면 접촉하는 연결부(96)의 접촉면(96a)이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부(94, 94)에는 볼트(100)가 삽입되고, 이들 볼트(100)에 의해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는, 엔드 플레이트(9)에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해칭의 범위(X1)가, 도 3에 나타내는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에서의 엔드 플레이트(9)에 대한 접촉범위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수용 케이스(81)에는, 그 압축기구(90)와는 반대측에, 엔드 플레이트(9)에 고정되는 고정부(86)가,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의 고정부(94, 94)보다 적은 1개소에만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부(86)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고정자(82) 및 회전자(84) 등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부(87)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겹치는 범위 내에서 축선방향을 따라 압축기구(90)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범위까지 연장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고정부(86)에도 볼트(100)가 삽입되고, 이 볼트(100)에 의해 모터 수용 케이스(81)는, 엔드 플레이트(9)에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해칭의 범위(X2)가 도 3에 나타내는 모터 수용 케이스(81)에서의 고정부(86)의 고정면(86a)의 엔드 플레이트(9)에 대한 접촉범위로 되어 있고, 이 모터 수용 케이스(81)에서의 엔드 플레이트(9)에 대한 접촉범위(X2)는,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에서의 엔드 플레이트(9)에 대한 접촉범위(X1)보다 면적이 작아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는, 그 재질이 스테인레스강재로 되어 있고, 모터 수용 케이스(81)는, 그 재질이 알루미늄합금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엔드 플레이트(9)에는, 그 길이방향의 양쪽 끝부에, 상기한 냉각로(73)의 냉각수 입구(9A) 및 냉각수 출구(9B)가 설치됨으로써, 수소 펌프(H50)는, 전체로서 냉각수 출구(9B)측에 배치되고, 또한, 압축기구(90)가 냉각수 출구(9B)에 근접하여, 전동 모터(80)가 압축기구(90)의 냉각수 출구(9B)와는 반대에 위치하는 자세로, 상기한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의 2개소의 고정부(94, 94) 및 모터 수용 케이스(81)의 1개소의 고정부(86)에 의하여 엔드 플레이트(9)에 설치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수소 펌프(H50)의 고정 구조체에 의하면, 엔드 플레이트(9)에 고정되는 고정부(94, 94)를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와 엔드 플레이트(9)가 일체가 되어,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를 포함하는 압축기구(90)의 열용량이, 엔드 플레이트(9)의 것도 합친 열용량과 유사하게 되어 커진다. 따라서, 압축기구(90)를 식기 어렵게 하여 온도저하를 억제하여,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도 5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전지시스템(1)의 운전정지 시점(t0) 이후에, 수소펌프(H50)의 압축기구(90)가, 도 5에 나타내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엔드 플레이트(9)와 동일한 완만한 구배로 온도 저하하게 되어, 도 5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열용량이 작고 급한 구배로 온도 저하하는 수소 순환로(75)의 배관이나 기액 분리장치(H42)에 먼저 결로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의하여, 수소 펌프(H50)의 압축기구(90)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다음에, 가령 결로가 발생하여 압축기구(90)가 동결하여,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와 임펠러(93)가 고착하는 일이 있어도, 고정부(94, 94)를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시스템 기동 시에는 연료전지(20)의 온도 상승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9)로부터의 전열로, 압축기구(90)의 이 동결을 조기에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소 펌프(H50)의 저온 기동성이 향상된다.
또,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의 고정부(94, 94) 사이의 연결부(96)에 의해,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와 엔드 플레이트(9)의 접촉면적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전지시스템(1)의 운전 정지 후의 압축기구(90)의 온도 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고, 또, 저온 기동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이 접촉면적의 확대에 의하여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가 보강부재가 되어 엔드 플레이트(9)의 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양쪽 끝이 텐션 플레이트(11)에 연결됨으로써 생기는, 열응력에 의한 엔드 플레이트(9)의 휨에 대하여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91)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9 : 엔드 플레이트(설치 대상) 20 : 연료전지
80 : 전동 모터 90 : 압축기구
81 : 모터 수용 케이스 91 :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
94 : 고정부 94a : 고정면
96 : 연결부(접촉면적 확대부)
H50 : 수소 펌프(압축기, 연료 오프 가스 순환펌프)

Claims (5)

  1. 전동 모터와, 해당 전동 모터에 병설되어 해당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구를 가지는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수용 케이스와, 상기 압축기구의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가 분할하여 구성되고,
    설치 대상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상기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에 설치함과 함께,
    상기 설치 대상이, 연료가스와 산화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발전하는 셀이 복수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의 셀 적층방향 끝부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이고, 상기 압축기가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배출되는 연료 오프 가스를 상기 연료전지로 순환시키는 연료 오프 가스 순환펌프이며,
    상기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는, 상기 고정부가 복수 설치되고, 이들 고정부의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면 접촉하는 고정면의 사이에,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면 접촉하는 접촉 면적 확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
  2. 전동 모터와, 해당 전동 모터에 병설되어 해당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구를 가지는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 수용 케이스와, 상기 압축기구의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가 분할하여 구성되고,
    설치 대상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상기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에 설치함과 함께,
    상기 설치 대상이, 연료가스와 산화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발전하는 셀이 복수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의 셀 적층방향 끝부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이고, 상기 압축기가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배출되는 연료 오프 가스를 상기 연료전지로 순환시키는 연료 오프 가스 순환펌프이며,
    상기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가 상기 모터 수용 케이스보다 고강성이 되도록 이들 압축기구 수용 케이스 및 모터 수용 케이스의 재질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가 기액 2상 유체용 압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가 기액 2상 유체용 압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
  5. 삭제
KR1020107014091A 2007-12-28 2008-12-18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 KR101210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9645A JP4974875B2 (ja) 2007-12-28 2007-12-28 圧縮機の固定構造体
JPJP-P-2007-339645 200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044A KR20100087044A (ko) 2010-08-02
KR101210392B1 true KR101210392B1 (ko) 2012-12-10

Family

ID=4082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091A KR101210392B1 (ko) 2007-12-28 2008-12-18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05726B2 (ko)
JP (1) JP4974875B2 (ko)
KR (1) KR101210392B1 (ko)
CN (1) CN101918713B (ko)
DE (1) DE112008003540B4 (ko)
WO (1) WO20090844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4352A (ja) * 2011-06-17 2013-01-07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481233B1 (ko) * 2012-12-07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의 급기장치
JP6087713B2 (ja) * 2013-04-24 2017-03-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圧縮装置
JP6408266B2 (ja) * 2014-06-30 2018-10-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6295920B2 (ja) * 2014-10-31 2018-03-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燃料電池のエンドプレート
US10830223B2 (en) * 2016-11-30 2020-11-10 Dare Auto Inc. Pump system
JP7041611B2 (ja) * 2018-12-06 2022-03-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2948A (ja) * 2005-08-16 2007-03-01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7192158A (ja) * 2006-01-20 2007-08-02 Nissan Motor Co Ltd ポンプ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0888A (ja) * 1987-05-11 1988-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媒ポンプ
DE59510130D1 (de) * 1995-07-31 2002-05-02 Man Turbomasch Ag Ghh Borsig Kompressionsvorrichtung
JPH11148482A (ja) * 1997-11-12 1999-06-02 Seikow Chemical Engineering & Machinery Ltd マグネットカップリングの樹脂被覆インナーマグネット
JP2003021060A (ja) * 2001-07-10 2003-01-24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圧縮機のバランス取り方法及び治具
US20030022036A1 (en) * 2001-07-25 2003-01-30 Ballard Power Systems Inc. Fuel cell controller self inspection
JP4700886B2 (ja) * 2002-01-28 2011-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7255945B2 (en) * 2001-12-10 2007-08-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mpact fuel cell system with efficient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JP4152728B2 (ja) * 2002-11-15 2008-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のマウント構造
JP2004346806A (ja) * 2003-05-21 2004-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システム
JP2005002969A (ja) * 2003-06-16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ベーンロータリ型空気ポンプ
JP2005044665A (ja) 2003-07-23 2005-02-17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の空気供給装置
JP2005108813A (ja) * 2003-09-12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反応流体供給装置
JP2005220856A (ja) * 2004-02-06 2005-08-18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の取付構造
JP2006170139A (ja) * 2004-12-17 2006-06-29 Toyota Industries Corp ポンプ
JP2006210277A (ja) * 2005-01-31 2006-08-10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CN100463268C (zh) * 2005-02-01 2009-02-18 上海神力科技有限公司 一种结构紧凑的燃料电池
JP2006318819A (ja) * 2005-05-13 2006-11-24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JP4692299B2 (ja) * 2006-01-24 2011-06-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ポ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2948A (ja) * 2005-08-16 2007-03-01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7192158A (ja) * 2006-01-20 2007-08-02 Nissan Motor Co Ltd ポンプ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05726B2 (en) 2014-12-09
US20100278665A1 (en) 2010-11-04
DE112008003540B4 (de) 2017-05-04
DE112008003540T5 (de) 2010-10-21
KR20100087044A (ko) 2010-08-02
WO2009084449A1 (ja) 2009-07-09
JP2009162069A (ja) 2009-07-23
CN101918713B (zh) 2013-03-13
CN101918713A (zh) 2010-12-15
JP4974875B2 (ja)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392B1 (ko) 압축기의 고정 구조체
KR100972835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온도 조절 방법
US9070914B2 (en) Method of controlling water content of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JP486365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WO2008123113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807015B1 (ko) 연료전지용 가습기
WO2008081977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搭載移動体
US20100173210A1 (en)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ystem
WO2008081979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20070065690A1 (en) Coolant flow estimation by an electrical driven pump
KR10096636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동체
JP201002092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211384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7066625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5168530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50891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813533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008027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219066856U (zh) 燃料电池系统
JP5104290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7115480A (ja) 燃料電池、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の水分収支制御方法
JP2005129342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708773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15312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021212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