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337B1 - 고온 본딩된 세라믹 상호 접속을 구비한 sofc 스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고온 본딩된 세라믹 상호 접속을 구비한 sofc 스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337B1
KR101204337B1 KR1020087024149A KR20087024149A KR101204337B1 KR 101204337 B1 KR101204337 B1 KR 101204337B1 KR 1020087024149 A KR1020087024149 A KR 1020087024149A KR 20087024149 A KR20087024149 A KR 20087024149A KR 101204337 B1 KR101204337 B1 KR 10120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lete delete
cell
green
interconnec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474A (ko
Inventor
윌리암 2세 도나휴
오훈 권
에프. 미첼 마호니
죤 디. 피트라스
Original Assignee
생-고뱅 세라믹스 앤드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뱅 세라믹스 앤드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생-고뱅 세라믹스 앤드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1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C04B35/645Pressure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7/00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37/003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by means of an interlayer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materials selected from glass, or ceramic material with metals, metal oxides or metal salts
    • C04B37/005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by means of an interlayer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materials selected from glass, or ceramic material with metals, metal oxides or metal salts consisting of glass or ceram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82Heat treatment, e.g. drying, baking
    • H01M4/8885Sintering or f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16Oxides, hydroxides or oxygenated metallic salts
    • H01M4/9025Oxide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41Metals or alloys
    • H01M4/905Metals or alloy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 H01M4/9066Metals or alloy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of metal-ceramic composites or mixtures, e.g. cerm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5Glass; Ceramic materials
    • H01M8/0217Complex oxides, optionally doped, of the type AMO3, A being an alkaline earth metal or rare earth metal and M being a metal, e.g. perovskites
    • H01M8/0219Chromium complex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6Glass; Ceramics; Cerm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41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97Arrangements for joining electrodes, reservoir layers, heat exchange units or bipolar separators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04Processes or apparatus for grouping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2Grouping of unit cells of planar config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7/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laminates or to joining of ceramic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2237/02Aspects relating to interlayers, e.g. used to join ceramic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2237/04Ceramic interlayers
    • C04B2237/06Oxidic inter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7/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laminates or to joining of ceramic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2237/02Aspects relating to interlayers, e.g. used to join ceramic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2237/04Ceramic interlayers
    • C04B2237/06Oxidic interlayers
    • C04B2237/066Oxidic interlayers based on rare earth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7/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laminates or to joining of ceramic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2237/02Aspects relating to interlayers, e.g. used to join ceramic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2237/04Ceramic interlayers
    • C04B2237/06Oxidic interlayers
    • C04B2237/068Oxidic interlayers based on refractory oxides, e.g. zirconi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7/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laminates or to joining of ceramic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2237/50Processing aspects relating to ceramic laminates or to the joining of ceramic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2237/70Forming laminates or joined articles comprising layers of a specific, unusual thickness
    • C04B2237/708Forming laminates or joined articles comprising layers of a specific, unusual thickness of one or more of the inter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 H01M8/124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 H01M8/125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the electrolyte containing zirconium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소드층, 상기 캐소드층상에 놓인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상에 놓인 애노드층을 구비하는 제 1 전지를 포함하는 일체형 SOFC 스택에 관한 것이다. SOFC 스택은 또한 캐소드층, 상기 캐소드층상에 놓인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상에 놓인 애노드를 구비하는 제 2 전지를 포함한다. SOFC 스택은 상기 제 1 전지와 상기 제 2 전지 사이에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상기 제 1 전지와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간에 계면 영역을 따라 제 1 고온 본딩 영역, 및 상기 제 2 전지와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간에 계면 영역을 따라 제 2 고온 본딩 영역을 갖는다.
캐소드층, 전해질층, 애노드층, 제 1 전지, 제 2 전지, SOFC 스택, 상호 접속층

Description

고온 본딩된 세라믹 상호 접속을 구비한 SOFC 스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A SOFC STACK HAVING A HIGH TEMPERATURE BONDED CERAMIC INTERCONNECT AND METHOD FOR MAKING SAME}
고효율, 환경친화적 에너지 생산을 얻고자,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기술들이 종래의 터빈 및 연소기관들에 대한 잠재적 대안으로서 출현하였다. SOFC들은 일반적으로 전해질이 고체 금속 산화물(일반적으로 비다공성 혹은 한정된 다공성으로 제한된)이고 O2- 이온들이 캐소드에서 애노드로 수송되는 연료전지의 유형으로서 정의된다. 연료전지 기술들, 특히 SOFC들은 전형적으로 통상의 연소기관들보다 더 높은 효율을 가지며 더 낮은 CO 및 NOx 배출들을 갖는다. 또한, 연료전지 기술들은 조용하고 진동이 없는 경향이 있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들은 이외 다른 연료전지 변종들에 비해 잇점이 있다. 예를 들면, SOFC들은 무엇보다도 SOFC들이 충분히 높은 동작 온도들에서 동작하여 내부 연료 개질이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천연가스, 프로판, 메탄올, 케로센, 및 디젤과 같은 연료원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연소기관들 및 그외 연료전지 기술들과 경쟁할 수 있게 SOFC 시스템들의 비용을 감소시켜야 하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존재한다. 이들 문제들은 재료들의 비용을 낮추는 것과, 열화 혹은 수명 사이클을 개선하는 것과, 전류 및 파워 밀도와 같은 동작 특징들을 개선하는 것을 포함한다.
SOFC들의 제조에 있어 많은 해결할 문제들 중에서, 프리스탠딩 및 완전 일체화된 SOFC 스택 파라미터들의 형성은 특히 직렬 전기적 접속을 이용하는 SOFC 스택들, 혹은 상이한 가공에 의한 다양한 서로 다른 물질들을 이용하는 SOFC 스택들에서, 주목할만한 공학적 곤란으로 남아 있다. 이 점에 대해서, 종래 기술은 유사한 가공 파라미터들을 SOFC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 모든 성분들을 본딩하는 최종 결합공정과 결합되게 한 개개의 성분층들 혹은 복수의 층들을 가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최종 결합 공정은 일반적으로 땜납 혹은 유리 인캡슐란트를 사용하여 개개의 층들 혹은 전지들을 함께 본딩하는 것을 수반하여 복수의 소성(firing) 사이클들을 수반한다. 흔히 층들 및 전지들은 단순히 함께 클램프되어 가압하에 유지된다. 전술한 바에 비추어, 업계는 향상된 SOFC 전지들 및 SOFC 전지 스택들에 대한 필요성을 계속하여 갖는다.
본 발명은 일체형 SOFC 스택에 관한 것이다. 스택은 캐소드층, 상기 캐소드층상에 놓인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상에 놓인 애노드층을 구비하는 제 1 전지를 포함한다. 제 2 전지는 캐소드층, 상기 캐소드층상에 놓인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상에 놓인 애노드를 구비한다.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상기 제 1 전지와 상기 제 2 전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상기 제 1 전지와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간에 계면 영역을 따라 제 1 고온 본딩 영역, 및 상기 제 2 전지와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간에 계면 영역을 따라 제 2 고온 본딩 영역을 갖는다.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은 제 1 전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지 구조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상에 놓인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2 전극층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전지 구조상에 놓이는 세라믹 상호 접속층이 형성된다. 제 2 전지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지 구조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상에 놓인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2 전극층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전지 구조, 상기 상호 접속층, 및 상기 제 2 전지 구조를 일체로 본딩하여 일체화된 SOFC 전지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지 구조, 상기 상호 접속층, 및 상기 제 2 전지 구조가 함께 고온 가압된다.
일체형 SOFC 성분을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제 1 그린 전극층, 상기 제 1 그린 전극층상에 놓인 그린 전해질층, 상기 그린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2 그린 전극층을 구비하는 제 1 그린 전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그린 전극층, 상기 제 1 그린 전극층상에 놓인 그린 전해질층, 상기 그린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2 그린 전극층을 구비하는 제 2 그린 전지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그린 전지 구조와 상기 제 2 그린 전지 구조 사이에 그린 세라믹 상호 접속층이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그린 전지 구조, 상기 그린 세라믹 상호 접속층, 및 상기 제 2 그린 전지 구조를 일체로 본딩하여 일체화 및 치밀화된 SOFC 전지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그린 전지 구조, 상기 그린 세라믹 상호 접속층, 및 상기 제 그린 2 전지 구조가 함께 고온 가압된다.
일체형 SOFC 스택은 제 1 캐소드층, 상기 제 1 캐소드층상에 놓인 제 1 전해질층, 상기 제 1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1 애노드층을 구비하는 제 1 전지를 포함한다. 제 2 전지는 제 2 캐소드층, 상기 제 2 캐소드층상에 놓인 제 2 전해질층, 상기 제 2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2 애노드층을 구비한다. 상호 접속층은 상기 제 1 전지와 상기 제 2 전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상호 접속층은 상기 제 1 전지의 상기 제 1 캐소드층 혹은 제 1 애노드층에 직접 용화되고, 상기 상호 접속층은 상기 제 2 전지의 상기 제 2 캐소드층 혹은 제 2 애노드층에 직접 용화된다.
일체형 SOFC 스택은 캐소드층, 상기 캐소드층에 접속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에 접속된 애노드층을 구비하는 제 1 전지를 포함한다. 제 2 전지는 캐소드층, 상기 캐소드층에 접속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에 접속된 애노드를 구비한다. 상호 접속층은 상기 제 1 전지와 상기 제 2 전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상호 접속층은 인캡슐란트들 및 본딩제들없이 상기 제 1 전지 및 상기 제 2 전지에 본딩된다.
일체형 SOFC 스택 제조 방법은 제 1 전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지 구조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상에 놓인 제 1 전해질층, 상기 제 1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2 전극층을 포함한다.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상기 제 1 전지 구조상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제 2 전지 구조는 제 3 전극층, 상기 제 3 전극층상에 놓인 제 2 전해질층, 상기 제 2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4 전극층을 포함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지 구조, 상기 상호 접속층, 및 상기 제 2 전지 구조를 함께 고온 가압하여 상기 제 1 전지 구조를 상기 상호 접속층에, 그리고 상기 제 2 전지 구조를 상기 상호 접속층에 일체로 본딩함으로써, 일체화된 SOFC 전지 스택을 형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OFC 스택을 도시한 것이다.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들 및 잇점들은 도면들에서 동일 구성요소들에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한 첨부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보다 특정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에 맞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데에 중점을 두었다. 다른 것은 지정되지 않는한 모두 용량부 및 용적 퍼센트를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SOFC 스택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도 1에 도시된 공정 흐름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SOFC 스택은 일반적으로 캐소드, 애노드, 및 개재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SOFC 전지 구조들을 포함한다. 단계 101에서, 제 1 전지의 제 1 전극층(전극 프리커서)이 형성된다. 제 1 전극층은 애노드 혹은 캐소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전극은 세라믹 산화물 물질 혹은 이의 프리커서로 형성된 캐소드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캐소드층 물질은 란탄 및 망간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LSM(란탄 스트론튬 망간산염(manganate))이라고 하는 캐소드를 형성하는 스트론튬을 추가로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 1 전극층은 세라믹 상(phase) 및 금속 상을 갖는 물질인 서멧(cermet), 혹은 이의 프리커서와 같은 애노드 물질일 수 있다. 세라믹 상은 지르코니아를 포함할 수 있고, 금속 상은 니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애노드 물질의 세라믹 지르코니아 상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와 같은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물질이다. 니켈은 일반적으로, 열처리되는 그린 세라믹 조성물과 같은, 애노드 프리커서 물질에 포함된 니켈 산화물의 환원을 통해 생산된다.
또한, 애노드이든 캐소드이든, SOFC 전지 구조들의 최종 형성된 전극들은 일반적으로 고 용적 다공률을 갖고 있어 연료전지의 산화/환원 반응에 연료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가스 종들(species)이 수송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연료 전지 구조들에서 최종 형성된 전극들의 퍼센트 다공률은 이를테면 적어도 약 20 vol%, 약 30 vol%, 약 50 vol%와 같이, 적어도 약 15.0 vol%, 혹은 적어도 약 70 vol% 이다. 여전히, 전지 구조들의 전극들의 퍼센트 다공률은 특히 약 15 vol% 내지 70 vol% 의 범위 내이다.
일반적으로, SOFC 전지 구조들의 최종 형성된 전극들(애노드들 및 캐소드들)은 적어도 약 1.0mm의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극들의 두께는 이를테면 적어도 약 1.5mm, 혹은 적어도 약 2.0mm, 혹은 심지어는 적어도 약 5.0mm로, 더 크다. 여전히, 전극들의 두께는 제한되고 일반적으로 약 50mm 이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스가 전극들에 더 잘 전달되고 또한 이로부터 더 잘 제거될 수 있도록 채널들이 전극들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및 애노드층들 내에 채널들 혹은 통로들을 형성하기 위해 섬유들(fiber)이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가능한 물질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물질들의 선택에 관한 유일한 제한들은 물질이 소성 공정 동안 연료전지로부터 소손 혹은 탈가스될 것이라는 것과 물질이 세라믹 입자들과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이 될 것이다. 이들 두 상태들은 유기 기반 물질들에 의해 적절하게 만족된다. 이에 따라, 섬유들은 천연섬유들로서 무명, 마직물들(bast fibers), 코디지(cordage) 섬유들, 혹은 동물성 섬유들, 이를테면 울(wool)이 될 수 있고, 혹은 이들은 제조된 섬유들로서, 재생 셀룰로우스, 셀룰로우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우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폴리아크릴, 폴리비닐, 폴리올레핀 수지들, 카본 또는 그래파이트 섬유들, 또는 액정 폴리머들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섬유들은 합성고무, 열가소성물질, 혹은 폴리비닐과 같은 바인더 물질의 압출 성형된 길이들, 및 글리콜 및 프탈레이트 그룹과 같은 가소제 물질의 압출 성형된 길이들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물질은 스파게티와 같은 파스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스 채널들은 채용한 어떠한 섬유 혹은 물질도 소결 동안 소손되지 않고 그린 전극층에 형성될 수 있다. 채널들은 프레싱, 몰딩, 혹은 이외 이 기술에 공지된 적합한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최종 형성된 전극들 내 채널들의 평균 크기는 일반적으로 압력 강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약 0.5mm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채널들의 평균 크기는 이를테면 약 1.0mm보다, 혹은 심지어는 약 2.0mm 이상과 같이 약 0.7mm보다 더 크다. 전형적으로, 전극들 내 채널들의 평균 크기는 약 0.5mm 내지 약 2.0mm 사이의 범위 내이고 보다 특히 약 0.7mm 내지 약 1.5mm 범위 내에 있다.
SOFC 스택을 형성하기 위한 한 방법과 관련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단계 103에서 전해질층 프리커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지 구조들의 전해질층을 위한 적합한 물질들은 지르코니아, 세리아, 갈리아와 같은 세라믹 산화물들, 및 이외 공지된 이온 전도체들을 포함한다. 산소이온 전도율은 이트륨, 스칸듐, 사마륨, 이테르븀 및 가돌리늄과 같은 산화물 안정제 물질들로 향상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 물질들은 TiO2, CeO2, CaO, Y2O3, MgO, Sc2O3, In2O3, 및 SnO2와 같은 산화물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해질층은 특히,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스칸디아 도핑 지르코니아, 이테비아 도핑 지르코니아, 사마륨 산화물 도핑 세리아, 가돌리늄 산화물 도핑 세리아, 혹은 캘시아 도핑 세리아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흐름도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단계 105에서 제 2 전극층을 형성함으로써 완료된다. 따라서, 제 1 전지 구조의 제 2 전극은 전극의 어떤 유형이 이전에 제 1 전극으로서 형성되었나에 따라, 캐소드 혹은 애노드를 형성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와 같으므로 제 1 전지 구조는 캐소드, 애노드 및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층을 포함한다.
도 1에 따라서, SOFC 스택의 형성은 단계 107에서, 세라믹 상호 접속층 프리커서를 형성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2개의 이웃한 전지들간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며, 병렬로 SOFC 스택 형성들과는 달리,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전지들의 직렬 접속을 할 수 있게 한다.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형성하기 위한 적합한 물질들은 크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롬함유 세라믹 물질들은 도핑된 희토류 크로마이크들과 같은 희토류 원소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란탄, 스트론튬, 칼슘, 코발트, 갈 륨, 이트리아, 티탄산염, 및 마그네슘과 같은 물질들을 포함한다. 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상호 접속층의 종들은 LaSrCrO3, LaMgCrO3, LaCaCrO3, YCrO3, LaCrO3, LaCoO3, CaCrO3, CaCoO3, LaNiO3, LaCrO3, CaNiO3, 및 CaCrO3과 같은 세라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최종 형성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일반적으로 약 100 미크론 미만의 평균두께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은 약 50 미크론 미만, 이를테면 약 20 미크론 미만, 혹은 심지어는 약 15 미크론 미만의 평균 두께를 갖도록, 보다 얇은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이용한다. 여전히, 최종 형성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의 평균 두께는 적어도 약 1.0 미크론이 되도록 제한된다.
도 1의 흐름도에 개괄된 SOFC 스택을 형성하기 위한 한 방법에 관련하여, 공정은 단계 109에서 제 2 전지 구조의 제 1 전극의 형성, 단계 111에서 전해질층의 형성, 및 단계 113에서 제 2 전지 구조의 제 2 전극의 형성을 계속한다. 제 1 전지 구조처럼, 제 2 전지 구조는 애노드, 캐소드 및 개재된 전해질층을 포함한다. 이러하므로, 제 2 전지 구조는 일반적으로 동일하지 않을지라도 제 1 전지 구조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 및 조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캐소드, 애노드, 및 전해질 물질들은 제 1 전지 구조의 성분층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들과 동일하다. 개재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구비한 복수의 전지 구조들의 형성은 반복되어, 3, 4, 5, 6 혹은 이보다 더 많은 전지 스택들을 형성할 수 있다.
개재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가진 제 1 및 제 2 전지 구조의 형성 후에, 성분층들은 제 1 전지, 세라믹 상호 접속층, 및 제 2 전지를 포함하는 일체로 본딩된 SOFC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 단계 1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고온 가압된다. 일체로 본딩되는 SOFC는 모든 층들을 합쳐 이들을 단일화함으로써 통합체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고온 가압 기술은 성분층들이 치밀화될 수 있게, 피스톤을 사용하여 단축 인가 가압을 수반한다. 일 실시예에서, SOFC 스택의 형성 동안 최대 압력은 이를테면 적어도 약 3.0 MPa, 5.0 MPa, 혹은 8.0 MPa와 같이, 적어도 약 0.5 MPa 이다. 고온 가압 동안 이용되는 피크 압력은 이를테면 약 0.5 MPa 내지 10.0 MPa, 이를테면 1.0 MPa 내지 5.0 MPa의 범위 내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동안 적용되는 온도는 층들의 치밀화를 돕는다. 고온 가압 동안 적용되는 온도는 적어도 약 1,050℃, 이를테면 적어도 약 1,000℃, 1,100℃, 혹은 1,200℃이다. 또한, 고온 가압 동안 적용되는 온도는 이를테면 약 1,700℃, 혹은 1,600℃ 이하와 같이, 약 1,800℃ 이하일 수 있고, 따라서, 고온 가압 동안 최대 온도는 약 1,100℃ 내지 약 1,70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전지들 및 복수 전지 스택들은 1℃/min 내지 100℃/min의 가열율로 고온 가압될 수 있다. 가압은 10분 내지 2시간 정도로, 이를테면 15분 내지 1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15 내지 45분 동안 고온 가압되었다.
열 처리는 환원 분위기에서, 혹은 바람직하게는 비-환원 분위기, 이를테면 산화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열 처리가 환원 분위기에서 수행된다면, 이에 이은 산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산화 단계는 채널 포머들(formers) 및 포어 포머들(pore formers)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산화는 애노드 내에 일부 니켈 혹 은 여러 전극들의 와이어 메시 내에 니켈의 산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하므로, 후속의 환원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산화 분위기에서 고온 가압은 추가의 다수의 산화 및 환원 단계들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고온 가압은 리스트레인 다이(restraining die)의 도움없이 행해질 수 있다.
전극들(애노드 및 캐소드) 및 전해질들(전해질층 및 상호 접속층)을 위한 출발 세라믹 물질들은 약 1 미크론의 평균 직경을 갖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스택 성분을 위한 물질들 각각은 가압되지 않는 동안에는 등압적으로 하소된다(부분적 소결). 하소 후에, 결과적인 하소된 블록들은 이 기술에 공지된 적합한 수단, 이를테면 볼 밀링에 의해 분쇄되어 분말들을 형성한다. 분말들은 요망되는 크기 범위들로 걸러진다. 예를 들면, 캐소드 기저층용의 하소된 분말, 이를테면 LSM은 약 75 미크론보다 크지만 적어도 약 106 미크론의 메시 크기 범위로 걸러질 수 있다. 캐소드 기능층용으로, 하소된 분말은 약 25 미크론보다 크지만 적어도 약 45 미크론의 메시 크기 범위로 걸러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캐소드 기능층을 형성하는 층간층은 현저하게 미세 입자 크기를 갖는, 크게 응집되지 않은 분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균 입자 크기는 약 0.1㎛ 내지 약 10㎛의 범위 내에 놓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비교적 미세한 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는 약 5㎛ 이하이다. 약 0.5㎛ 내지 약 5㎛ 범위 내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이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애노드 기저층 및 애노드 기능층에 대해서, 하소된 분말들, 이를테면 YSZ/니켈 산화물은 각각 적어도 약 150 미크론 및 약 45 미크론의 메시 크기 범위로 걸러질 수 있다. 기능층 및 기저층을 갖는 전극은 일반적으로 동일 물질로 형성되고 바이모드(bimodal) 그레인 크기 분포 혹은 바이모드 포어 크기 분포를 갖는다.
캐소드 기능층과 유사하게, 애노드 기능층은 대안적으로, 현저하게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갖는 크게 응집되지 않은 분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균 입자 크기는 약 0.1 ㎛ 내지 약 10㎛ 범위 내에 놓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비교적 미세한 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는 약 5㎛ 이하이다. 약 0.5㎛ 내지 약 5㎛ 범위 내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이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전극 구성들은 2006년 1월 9일에 출원된 미국특허 출원 60/757,686, 및 2007년 1월 9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11/621,447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에 교시된 바들을 참조로 여기 포함시킨다.
또한, 전극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분말들은 구형 입자들 혹은 비-구형 입자들, 이를테면 타원, 니들-형상, 혹은 불규칙한 형상의 입자들, 혹은 구형과 비-구형 입자들의 조합을 갖는 분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비-구형 입자들에 관련하여, 이러한 입자들은 전형적으로 가장 큰 치수들을 갖는데, 본 논의의 목적상 이것은 길이라고 언급될 것이고, 따라서 이러한 비-구형 입자들의 길이는 위에 기술된 메시 크기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최종 형성된 전극들은 약 80% 이하의 가비중(volume density)을 갖는다. 특히, 전극들은 이를테면 약 75% 이하, 혹은 약 70% 이하, 혹은 심지어는 65% 이하와 같이, 적은 가비중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저 밀도들(고 다공성들)은 포어 포머들의 사용없이 달성된다. 결과적인 포어들은 원위치에 가공 중에 형성되고 평균 그레인 크기 및 이보다 작은 크기의 평균 크기를 갖는다. 포어 형상들은 구형 아니면 규칙적인 형상인 경향이 있는 포어 포머에 기반한 포어들과는 반대로 불규칙하다.
전해질 및 상호 접속 분말들은 0.5 미크론보다 크고 적어도 약 3.0 미크론의 메시 크기 범위로 걸러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종 형태에서 상호 접속은 약 95% 혹은 그 이상의 가비중을 가질 것이다. 선택된 물질들에 따라, 분말용 메시 크기는 적합한 밀도를 달성하는데 필요로되는 대로 조절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극들을 구비한 연료전지 스택은 전해질 및 상호 접속 성분들에 비해 현저하게 더 조제한(응집되거나 혹은 그렇지 않은) 입자들로 구성된다. 전극들의 치밀화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분말들은 고온 가압에 앞서 응집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물질들을 선택함에 있어, 전해질 및 상호 접속의 경우 소결 스트레인율은 유사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 애노드 및 캐소드를 위한 소결 스트레인율은 서로 유사해야 하지만, 이 비율은 전해질 및 상호 접속에 대한 소결 스트레인율과는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애노드 및 캐소드에 대한 소결 스트레인율은 서로 유사하고, 전해질 및 상호 접속에 대한 소결 스트레인율은 서로 유사하나 애노드 및 캐소드에 대한 것과는 다르다.
성공적인 고온 가압은 온도 및 압력이 적합하게 조절될 때, 고온 가압 동안 x-y 방향들로 실질적으로 어떠한 팽창 혹은 수축도 없을 때 일어난다. 이것은 스택 내 층들이 z 방향으로 단일 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압됨을 나타낸다. 오정합된 물질들간에 스트레스 발현 문제는 z 방향(단일 방향)으로 모든 치밀화를 강행함으로써 해결될 것으로 생각된다. 스택에 인가하는데 적합한 압력량은 온도의 함수로서 스트레인율을 작도함으로써 판정될 수 있다. 결과적인 플롯은 최대 압력을 인가할 온도를 포함한, 온도에 대한 적합한 압력 프로파일상에 안내를 제공한다. 고온 가압이 행해지고 있을 때, 압력을 모니터하기 위한 장치의 예는 E. Aulbach 등의 "Laser-Assisted High-Resolution Loading Dilatometer and Applications," Experimental Mechanics, Vol. 44, No. 1, p. 72 (February 2004)에 개시되어 있고, 이에 개시된 바는 참조로 여기 포함시킨다.
일체로 본딩되는 SOFC 스택을 형성하기 위한 고온 가압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열 사이클로 달성된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서, 하나의 열 사이클은 초기 온도에서 공정이 개시되고, 가공 챔버가 초기 온도로 복귀할 때 공정이 종료되는 온도 사이클을 기술한다. 전형적으로, 초기 온도는 실온과 같은 낮은 온도, 혹은 이를테면 실온 혹은 약 10-30℃ 사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75℃ 미만, 전형적으로 50℃ 미만인 온도이다. 대안적으로, 초기 온도는 하소 및 소결 온도들 미만이다. 하나의 열 사이클에 일체로 본딩되는 SOFC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 고온 가압의 적용은 프리스탠딩 및 완전 일체화된 SOFC 스택을 만든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세라믹 상호 접속이 개재된 전지 구조들을 갖는 SOFC 스택의 고온 가압 형성은 그린 세라믹 물질들의 가압에 의해 될 수 있다. 그린 세라믹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이 기술에서는 완전한 치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열처리, 전형적으로 소결을 받지 않은 세라믹 물질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하므로, 전지 구조들의 성분층들 및 개재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의 고온 가압은 이를테면 그린 세라믹 분말들과 같은 그린 세라믹 물질들에 행해질 수 있다. 고온 가압 공정의 하나의 열 사이클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포함한 SOFC 스택의 성분 층들의 완전한 치밀화, 혹은 소결은 SOFC 스택 형성의 가공 효율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공후에,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세라믹 상호 접속층의 페센트 다공률이 약 5.0 vol% 이하가 되도록 조밀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최종 세라믹 상호 접속층의 다공률은 이를테면 약 3.0 vol%, 2.0 vol%, 혹은 1.0 vol%과 같이 더 낮을 수 있다. 또한, 고온 가압을 받은 후에, 형성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100 미크론 이하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세라믹 상호 접속층의 두께는 이를테면 약 50 미크론, 40 미크론, 30 미크론, 혹은 20 미크론 이하와 같이 약 75 미크론 이하이다.
고온 가압의 단일 사이클을 통해 조밀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형성하는 것을 넘어서, 압력과 고온 처리와의 조합은 고온 본딩 영역의 형성을 돕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고온 가압 기술에 의해 형성된 SOFC 스택(200)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전지 구조(202), 제 2 전지 구조(204), 및 개재된 세라믹 상호 접속층(206)을 구비하는 SOFC 스택(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전 실시예에 따라 기술된 바와 같이, 제 1 전지 구조(202)는 제 1 전극층(208), 전해질층(210), 및 제 2 전극층(212)을 포함한다. 제 2 전지 구조(204)는 제 1 전극층(214), 전해질층(216), 및 제 2 전극층(218)을 포함한다. 특히, 도 2는 세라믹 상호 접속층(206)의 계면 영역을 따른 제 1 고온 본딩 영역(220) 및 제 1 전지 구조(202)의 제 2 전극층(212)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세라믹 상호 접속층(206)의 계면 영역을 따른 제 2 고온 본딩 영역(222) 및 제 2 전지 구조(204)의 제 2 전극층(218)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고온 본딩 영역(220) 및 제 2 고온 본딩 영역(222)은 일반적으로, 고온 가압의 압력 및 고온들하에서 두 인접한 층들의 물질 종들(species)이 서로 간에 확산하는 확산 본드들이다.
일반적으로, 세라믹 상호 접속층(206)의 계면 영역을 따른 확산 영역들을 형성하는 고온 본딩 영역들(220, 222)은 적어도 약 10 미크론의 평균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확산 영역들은 이를테면 적어도 50 미크론, 혹은 적어도 약 75 미크론, 혹은 심지어는 적어도 약 100 미크론과 같이, 적어도 약 25 미크론의 평균 두께를 갖는다. 세라믹 상호 접속층(206)의 두께에 따라, 확산 영역들은 약 300 미크론 이하의 평균 두께를 갖는다.
또한, SOFC 스택들의 층들은 흔히 원물질 입자 크기들에 대응하여 상당히 다양한 그레인 크기들을 갖는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러한 차이들은 크기의 정도 혹은 훨씬 더 클 수 있다. 종래에 가압하지 않는 소결 방법들에서 이러한 구조들은 층 계면들에서 균열되는 경향이 있으나, 여기 기술된 바와 같은 고온 가압은 문제들을 극복하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SOFC 스택들을 제작하기 위해 형성되었다.
고온 본딩 영역의 형성은 세라믹 글루들(glues), 인캡슐란트들 혹은 본딩제들의 사용없이 일체로 본딩되는 전지 구조들을 갖는 프리스탠딩 SOFC 스택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의 고온 본딩을 통해 일체로 본딩되는 전지 구조들을 갖는 SOFC 스택의 형성은 특히 중요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인캡슐란트들, 땜납, 혹은 이외 구조의 완전성을 위해 외부에서 적용되는 본딩제들을 요구하지 않는 확인 본딩된 구조를 생성하게 된다. 즉, 고온/고압 가공을 통해 달성되는 확산 본드들은 일반적으로, 사전에 소결된(즉, 그린이 아닌) 성분층들로 형성된 구조들을 형성하기 위해 본딩제들을 사용하는 저온 가공에 의존하는 구조들에서는 일반적으로 없다. 또한, 여기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SOFC 스택들의 형성은 이를 테면 실질적으로 곧은 에지들 및 벽들과 같은 요망되는 콘투어들 및 치수들을 갖는 형성된 스택들을 제작할 수 있게 하여, 거의 혹은 전혀 사후-처리 가공을 요하지 않는다.
위에 개시된 내용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첨부한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의 모든 이러한 수정들, 향상들, 및 그외 실시예들을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법에 의해 허용된 최대 범위로,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의 가장 넓은 허용가능한 해석에 의해 결정되고, 앞에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제약 혹은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52)

  1. 일체형 SOFC 스택에 있어서,
    캐소드층, 상기 캐소드층상에 놓인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상에 놓인 애노드층을 구비하는 제 1 전지와;
    캐소드층, 상기 캐소드층상에 놓인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상에 놓인 애노드층을 구비하는 제 2 전지; 및
    1 미크론 이상 내지 15 미크론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1 전지와 상기 제 2 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세라믹 상호 접속층으로서,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상기 제 1 전지와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 사이의 계면 영역을 따라 제 1 고온 본딩 영역을, 그리고 상기 제 2 전지와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 사이의 계면 영역을 따라 제 2 고온 본딩 영역을 갖는,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온 본딩 영역들은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과 상기 제 1 전지 사이에 확산 본드를, 그리고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과 상기 제 2 전지 사이에 확산 본드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 본드들은 10 미크론 이상 내지 300 미크론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확산 영역을 갖는, 일체형 SOFC 스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크롬을 포함하는 일체형 SOFC 스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LaSrCrO3을 포함하는 일체형 SOFC 스택.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온 본딩 영역 및 상기 제 2 고온 본딩 영역은, 고온 가압하에서 서로 확산하는 물질 종들로서 상기 각각의 제 1 전지 및 제 2 전지의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에 이웃한 두개의 층의 상기 물질 종들(species)을 포함하는 일체형 SOFC 스택.
  6. 삭제
  7.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제 1 전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전지 구조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상에 놓인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2 전극층을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전지 구조상에 놓인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전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전지 구조는 제 1 전극층, 상기 제 1 전극층상에 놓인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2 전극층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지 구조, 상기 상호 접속층, 및 상기 제 2 전지 구조를 일체로 본딩하여, 일체화된 SOFC 전지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지 구조, 상기 상호 접속층, 및 상기 제 2 전지 구조를 함께 고온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온 가압 단계는 1,200℃ 이상 내지 1,800℃ 이하의 온도와 0.5 MPa 이상 내지 10 MPa 이하의 압력에서 행해지며,
    상기 일체화된 SOFC 전지 스택의 상기 상호 접속층은 1 미크론 이상 내지 15 미크론 이하의 두께를 갖는,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압 단계는 일체로 본딩된 구조를 하나의 열 사이클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지 구조, 상기 상호 접속층, 및 상기 제 2 전지 구조를 함께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상기 제 1 전지 구조 및 상기 제 2 전지 구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고온 가압 단계는 상기 제 1 전지 구조에서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과 인접 전극층 사이에 제 1 고온 본딩 영역을, 그리고 상기 제 2 전지 구조에서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과 인접 전극층 사이에 제 2 고온 본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
  14. 삭제
  15. 일체형 SOFC 성분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그린 전극층, 상기 제 1 그린 전극층상에 놓인 그린 전해질층, 및 상기 그린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2 그린 전극층을 구비하는 제 1 그린 전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그린 전극층, 상기 제 1 그린 전극층상에 놓인 그린 전해질층, 및 상기 그린 전해질층상에 놓인 제 2 그린 전극층을 구비하는 제 2 그린 전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그린 전지 구조와 상기 제 2 그린 전지 구조 사이에 배치된 그린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그린 전지 구조, 상기 그린 세라믹 상호 접속층, 및 상기 제 2 그린 전지 구조를 일체로 본딩하여 일체화 및 치밀화된 SOFC 전지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그린 전지 구조, 상기 그린 세라믹 상호 접속층, 및 상기 제 2 그린 전지 구조를 하나의 열 사이클로 함께 고온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화 및 치밀화된 SOFC 전지 스택의 상기 상호 접속층은 1 미크론 이상 내지 15 미크론 이하의 두께를 갖고, 상기 고온 가압 단계는 1,200℃ 이상 내지 1,800℃ 이하의 온도와 0.5 MPa 이상 내지 10 MPa 이하의 압력에서 행해지는,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압 단계는 치밀화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치밀화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5.0 vol% 이하의 퍼센트 다공율을 포함하는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
  19. 삭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압 단계는 제 1 소결 전지 구조와 제 2 소결 전지 구조 사이에 배치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치밀화된 세라믹 상호 접속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5.0 vol% 이하의 페센트 다공률을 갖는 일체형 SOFC 스택.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상호 접속층은 연료 또는 산화물의 흐름을 위한 임의의 통로가 없는 일체형 SOFC 스택.
  2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압 단계는 리스트레인 다이(restraining die)의 도움없이 실행되는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
  2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지 구조와 상기 제 2 전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포어 포머들(pore formers)의 부가없이 실행되는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
  2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온 본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10 미크론 이상 내지 300 미크론 이하의 두께를 갖는 확산 본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SOFC 스택 형성 방법.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KR1020087024149A 2006-04-05 2007-04-04 고온 본딩된 세라믹 상호 접속을 구비한 sofc 스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04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961906P 2006-04-05 2006-04-05
US60/789,619 2006-04-05
PCT/US2007/065984 WO2007118127A2 (en) 2006-04-05 2007-04-04 A sofc stack having a high temperature bonded ceramic interconnect and method for mak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474A KR20090017474A (ko) 2009-02-18
KR101204337B1 true KR101204337B1 (ko) 2012-11-26

Family

ID=3847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149A KR101204337B1 (ko) 2006-04-05 2007-04-04 고온 본딩된 세라믹 상호 접속을 구비한 sofc 스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71901B2 (ko)
EP (1) EP2013936A2 (ko)
JP (1) JP5350218B2 (ko)
KR (1) KR101204337B1 (ko)
CN (1) CN101443947B (ko)
AU (1) AU2007234833B2 (ko)
BR (1) BRPI0710529A2 (ko)
CA (2) CA2785959C (ko)
WO (1) WO200711812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8021B2 (ja) * 2006-01-09 2014-05-21 サン−ゴバン セラミックス アンド プラス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孔質電極を有する燃料電池構成体
WO2008048445A2 (en) 2006-10-18 2008-04-24 Bloom Energy Corporation Anode with remarkable stability under conditions of extreme fuel starvation
US10615444B2 (en) 2006-10-18 2020-04-07 Bloom Energy Corporation Anode with high redox stability
WO2008143657A1 (en) * 2006-12-28 2008-11-27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Bilayer interconnnec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EP2108205A1 (en) * 2006-12-28 2009-10-14 Saint-Gobain Ceramics and Plastics, Inc. Titanate and metal interconnec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WO2008127601A1 (en) 2007-04-13 2008-10-23 Bloom Energy Corporation Heterogeneous ceramic composite sofc electrolyte
TWI405363B (zh) * 2007-11-30 2013-08-11 Iner Aec Executive Yuan 具特定孔隙率與氣體透過率之固態氧化物燃料電池之電極層製備方法
US20090166908A1 (en) * 2008-01-02 2009-07-02 Maw-Chwain Lee Innovation control process for specific porosity/gas permeability of electrode layers of SOFC-MEA through combination of sintering and pore former scheme and technology
TWI373880B (en) * 2008-10-16 2012-10-01 Iner Aec Executive Yuan Solid oxide fuel cel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1344695B1 (ko) * 2008-12-17 2013-12-26 생-고뱅 세라믹스 앤드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극 가스 채널 지지체, 및 내부 채널을 형성하는 방법
KR101381658B1 (ko) * 2008-12-18 2014-04-08 생-고뱅 세라믹스 앤드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도핑을 통한 고소결성 란타넘 스트론튬 티타네이트 연결재
KR101297070B1 (ko) * 2008-12-19 2013-08-20 생-고뱅 세라믹스 앤드 플라스틱스, 인코포레이티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를 위한 환원-산화 내성이 있는 전극
EP2380231B1 (en) * 2008-12-31 2014-10-15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Thermal shock-tolerant solid oxide fuel cell stack
JP5539391B2 (ja) * 2008-12-31 2014-07-02 サン−ゴバン セラミックス アンド プラス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Sofcカソードおよび同時焼成される電池およびスタックのための方法
JP2012531713A (ja) * 2009-06-26 2012-12-10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軽量一体構造固体酸化物燃料素子アレイ
US8617763B2 (en) 2009-08-12 2013-12-31 Bloom Energy Corporation Internal reforming anode for solid oxide fuel cells
US8580456B2 (en) 2010-01-26 2013-11-12 Bloom Energy Corporation Phase stable doped zirconia electrolyte compositions with low degradation
US20130078448A1 (en) * 2010-04-09 2013-03-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of making electrochemical device with porous metal layer
US8440362B2 (en) 2010-09-24 2013-05-14 Bloom Energy Corporation Fuel cell mechanical components
CN103703599B (zh) 2011-07-21 2016-03-1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固体氧化物燃料电池用电连接材料、固体氧化物燃料电池、固体氧化物燃料电池模块以及固体氧化物燃料电池的制造方法
JP6041362B2 (ja) * 2011-10-07 2016-12-07 サン−ゴバン セラミックス アンド プラス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固体酸化物燃料電池を形成する方法
US9406963B2 (en) * 2011-12-22 2016-08-02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Solid oxide fuel cell interconnects including a ceramic interconnect material and partially stabilized zirconia
WO2014004295A1 (en) * 2012-06-25 2014-01-03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of forming
US10340543B2 (en) * 2012-08-21 2019-07-02 Bloom Energ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chromium poisoning in fuel cells
CN110061274B (zh) 2012-11-20 2022-09-06 博隆能源股份有限公司 经掺杂氧化钪稳定的氧化锆电解质组合物
US9755263B2 (en) 2013-03-15 2017-09-05 Bloom Energy Corporation Fuel cell mechanical components
US20140295313A1 (en) * 2013-03-29 2014-10-02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Sanbornite-based glass-ceramic seal for high-temperature applications
US9680157B2 (en) 2013-09-30 2017-06-13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Bonding layer including particles having bimodal size distribution for solid oxide fuel-cells
US10079393B1 (en) 2014-01-09 2018-09-18 Bloom Energy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n interconnect for a fuel cell stack
US9559366B2 (en) 2014-03-20 2017-01-31 Versa Power System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hromium contamination of solid oxide fuel cells
US10084192B2 (en) 2014-03-20 2018-09-25 Versa Power Systems, Ltd Cathode contact layer design for preventing chromium contamination of solid oxide fuel cells
US10651496B2 (en) 2015-03-06 2020-05-12 Bloom Energy Corporation Modular pad for a fuel cell system
US11094958B2 (en) 2015-09-28 2021-08-17 Cummins Enterprise Llc Fuel cell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module
US10680251B2 (en) 2017-08-28 2020-06-09 Bloom Energy Corporation SOFC including redox-tolerant anode electrod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1766A1 (en) * 2002-10-28 2004-05-13 Yoo Young Sung Solid oxide fuel cells having gas channel
US20040247971A1 (en) * 2001-10-17 2004-12-09 Sarin Vinod K. One-step consolid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solid oxide fuel cells

Family Cites Families (1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4040A (en) * 1965-06-29 1968-10-01 Gen Electric Article comprising stabilized zirconia and a current collector embedded therein
SU365642A1 (ru) 1969-12-17 1973-01-08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ая гальваническая ячейка
US4000006A (en) * 1975-09-02 1976-12-28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Screen printing fuel cell electrolyte matrices
JPS5916831B2 (ja) * 1978-07-24 1984-04-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膜構造型酸素センサ−の製造方法
US4505992A (en) * 1983-04-11 1985-03-19 Engelhard Corporation Integral gas seal for fuel cell gas distribution assemblies and method of fabrication
US4732637A (en) * 1983-04-11 1988-03-22 Engelhard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n integral gas seal for fuel cell gas distribution assemblies
US4605602A (en) * 1984-08-27 1986-08-12 Engelhard Corporation Corrosion protected, multi-layer fuel cell interface
JPH0665046B2 (ja) 1986-08-06 1994-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
US4749632A (en) 1986-10-23 1988-06-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intering aid for lanthanum chromite refractories
US4913982A (en) * 1986-12-15 1990-04-03 Allied-Signal Inc. Fabrication of a monolithic solid oxide fuel cell
JPS63254669A (ja) * 1987-04-10 1988-10-21 Toray Ind Inc 燃料電池用電極基材
US4799936A (en) * 1987-06-19 1989-01-24 Combustion Engineering, Inc. Process of forming conductive oxide layers in solid oxide fuel cells
EP0378812A1 (de) * 1989-01-18 1990-07-25 Asea Brown Boveri Ag Anordnung von Brennstoffzellen auf der Basis eines Hochtemperatur-Feststoffelektrolyten aus stabilisiertem Zirkonoxyd zur Erzielung höchsmöglicher Leistung
US4997726A (en) * 1989-02-15 1991-03-05 Sanyo Electric Co., Ltd. Solid oxide electrolyte fuel cell
US5081418A (en) 1990-04-30 1992-01-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an nmr field coil
US5069987A (en) * 1990-07-06 1991-12-03 Igr Enterprises, Inc. Solid oxide fuel cell assembly
JPH07118327B2 (ja) * 1990-07-07 1995-12-18 日本碍子株式会社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及びこれに用いる多孔質電極体
IL98709A (en) 1990-09-11 1995-08-31 Allied Signal In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nolithic cell of solid oxide
US5162167A (en) * 1990-09-11 1992-11-10 Allied-Signal Inc.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 monolithic solid oxide fuel cell
EP0477397B2 (de) * 1990-09-25 1999-09-01 Dr. Johannes Heidenhain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Werkzeugbahnkonturen bei numerisch gesteuerten Maschinen
JPH04162365A (ja) * 1990-10-25 1992-06-05 Tanaka Kikinzoku Kogyo Kk 燃料電池用電極の作製法
JPH0748378B2 (ja) 1991-03-28 1995-05-24 日本碍子株式会社 固体電解質燃料電池用空気電極及びこれを有する固体電解質燃料電池
US5292599A (en) * 1991-09-27 1994-03-08 Ngk Insulators, Ltd. Cell unit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nd power generators using such cell units
JP2527876B2 (ja) 1992-01-17 1996-08-28 日本碍子株式会社 固体電解質燃料電池の製造方法
GB9211993D0 (en) * 1992-06-05 1992-07-22 British Nuclear Fuels Plc Fuel cells
JP3246678B2 (ja) 1992-07-31 2002-01-15 三井造船株式会社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の電極体の製造方法
RU2037239C1 (ru) 1992-10-08 1995-06-09 Российско-итальянское совмест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Технопарк" Топливный элемент с твердым электролитом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5273837A (en) 1992-12-23 1993-12-28 Corning Incorporated Solid electrolyte fuel cells
US5604048A (en) * 1993-02-26 1997-02-18 Kyocera Corporation Electrically conducting ceramic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JP3267034B2 (ja) * 1993-03-10 2002-03-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DE4307967C2 (de) * 1993-03-12 1995-11-30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integrierten vollkeramischen Hochtemperaturbrennstoffzelle
WO1994022178A2 (en) * 1993-03-20 1994-09-29 Keele University Solid oxide fuel cell structures
JPH06302330A (ja) 1993-04-19 1994-10-28 Mitsubishi Heavy Ind Ltd 固体電解質型電解セル
US5589285A (en) * 1993-09-09 1996-12-31 Technology Management, Inc. Electrochemical apparatus and process
GB9403198D0 (en) * 1994-02-19 1994-04-13 Rolls Royce Plc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GB9403234D0 (en) * 1994-02-19 1994-04-13 Rolls Royce Plc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nd a reactant distribution member therefor
JPH0817451A (ja) * 1994-06-29 1996-01-19 Aisin Seiki Co Ltd 燃料電池
US6316138B1 (en) * 1994-07-11 2001-11-1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Solid oxide electrolyte fuel cell
US5992486A (en) * 1994-09-13 1999-11-30 Gunze Limited Laminate gas barrier layer for pneumatic tires
US5516597A (en) * 1994-11-07 1996-05-1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Protective interlayer for high temperature solid electrolyte electrochemical cells
US5601937A (en) * 1995-01-25 1997-02-1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Hydrocarbon reformer for electrochemical cells
AUPN173595A0 (en) * 1995-03-15 1995-04-06 Ceramic Fuel Cells Limited Fuel cell interconnect device
DE69601838T2 (de) * 1995-07-28 1999-10-14 Nippon Telegraph & Telephone Brennstoffzelle mit Elektrolyten aus festem Oxid
JPH0945356A (ja) 1995-07-31 1997-02-14 Fujikura Ltd 平板型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のスタック構造
NL1002318C1 (nl) * 1995-09-11 1997-03-13 Stichting Tech Wetenschapp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lithiumbatterij.
US5993986A (en) * 1995-11-16 1999-11-30 The Dow Chemical Company Solide oxide fuel cell stack with composite electrodes and method for making
US5753385A (en) * 1995-12-12 1998-05-1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ybrid deposition of thin film solid oxide fuel cells and electrolyzers
JP3389407B2 (ja) * 1995-12-13 2003-03-24 京セラ株式会社 導電性セラミックス及び燃料電池セル
US5869201A (en) 1995-12-22 1999-02-09 George Marchetti Hydrophilic, graphite fuel cell electrode for use with an ionomer membrane
US5716664A (en) * 1995-12-22 1998-02-10 Marchetti; George A. Method of making a hydrophilic, graphite electrode membrane assembly
ATE191815T1 (de) 1996-02-02 2000-04-15 Sulzer Hexis Ag Hochtemperatur-brennstoffzelle mit einem dünnfilm-elektrolyten
US5702837A (en) * 1996-02-05 1997-12-30 Alliedsignal Inc. Bonding materials for anode to anode bonding and anode to interconnect bonding in solid oxide fuel cells
JP3215650B2 (ja) 1996-05-23 2001-10-09 日本碍子株式会社 電気化学セ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化学装置
RU2129323C1 (ru) 1996-08-08 1999-04-20 Россий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ядерный центр -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ической физики Батарея твердооксидных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JPH10189024A (ja) * 1996-12-20 1998-07-21 Toho Gas Co Ltd ハニカム一体構造の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US6790474B1 (en) * 1996-12-20 2004-09-14 Tokyo Gas Co., Ltd. Fuel electrode of solid oxide fuel cell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same
US6228520B1 (en) * 1997-04-10 2001-05-08 The Dow Chemical Company Consinterable ceramic interconnect for solid oxide fuel cells
US5922486A (en) 1997-05-29 1999-07-13 The Dow Chemical Company Cosintering of multilayer stacks of solid oxide fuel cells
US6099985A (en) * 1997-07-03 2000-08-08 Gas Research Institute SOFC anode for enhanced performance st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5902691A (en) * 1997-10-27 1999-05-11 Ut Automotive Dearborn, Inc. Fuel cell with shared space for electrode assembly
US6051329A (en) * 1998-01-15 2000-04-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lid oxide fuel cell having a catalytic anode
US6001501A (en) * 1998-02-03 1999-12-14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Connections for solid oxide fuel cells
WO1999054946A1 (fr) * 1998-04-21 1999-10-28 Toto Ltd. Pile a electrolyte solid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US6093500A (en) * 1998-07-28 2000-07-25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fuel cell system
US6117302A (en) * 1998-08-18 2000-09-12 Aluminum Company Of America Fuel cell aluminum production
JP3230156B2 (ja) 1999-01-06 2001-11-1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の電極とその製造方法
KR100341402B1 (ko) * 1999-03-09 2002-06-21 이종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단전지와 스택구조
CN1095598C (zh) * 1999-04-23 2002-12-04 吉林大学 固体氧化物燃料电池的高温封接材料和封接技术
US6399233B1 (en) * 1999-07-29 2002-06-04 Technology Management, Inc. Technique for rapid cured electrochemical apparatus component fabrication
US6605316B1 (en) * 1999-07-31 2003-08-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tructures and fabrication techniques for solid state electrochemical devices
US6682842B1 (en) * 1999-07-31 2004-01-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e electrode/electrolyte structure
KR100344936B1 (ko) * 1999-10-01 2002-07-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극 지지체식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6649296B1 (en) * 1999-10-15 2003-11-18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s, Llc Unitized cell solid oxide fuel cells
EP1252680A4 (en) * 1999-12-28 2005-10-19 Corning Inc FUEL CELL WITH WAVE ELECTRODES
US6485852B1 (en) * 2000-01-07 2002-11-26 Delphi Technologies, Inc. Integrated fuel reformation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solid oxide fuel cell systems
DK174654B1 (da) * 2000-02-02 2003-08-11 Topsoe Haldor As Faststofoxid brændselscelle og anvendelser heraf
US6428920B1 (en) * 2000-05-18 2002-08-06 Corning Incorporated Roughened electrolyte interface layer for solid oxide fuel cells
US6309769B1 (en) * 2000-06-30 2001-10-30 Plug Power Inc. Carbon monoxide filter layer
JP4605885B2 (ja) * 2000-10-23 2011-01-05 東邦瓦斯株式会社 支持膜式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US6551734B1 (en) * 2000-10-27 2003-04-22 Delphi Technologies, Inc. Solid oxide fuel cell having a monolithic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aging thermal energy flow of the fuel cell
CA2424728A1 (en) * 2000-11-08 2002-05-16 Global Thermoelectric Inc. Fuel cell interconnect
RU2197039C2 (ru) 2000-11-10 2003-01-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РФ Физико-энергет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акад. А.И. Лейпунского Твердооксидный топлив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409042B1 (ko) 2001-02-24 2003-12-11 (주)퓨얼셀 파워 막전극 접합체와 그 제조 방법
US6803141B2 (en) * 2001-03-08 2004-10-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igh power density solid oxide fuel cells
US7638222B2 (en) * 2001-03-28 2009-12-29 Hexis Ag Porous, gas permeable layer substructure for a thin, gas tight layer for use as a functional component in high temperature fuel cells
US6780534B2 (en) * 2001-04-11 2004-08-24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assembly for intake air of fuel cell
US6677070B2 (en) * 2001-04-19 2004-01-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ybrid thin film/thick film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841148B2 (ja) * 2001-04-23 2006-11-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用セル板及びスタック
US20020155227A1 (en) * 2001-04-23 2002-10-24 Sulzer Markets And Technolgy Ag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functional ceramic layer
JP4811622B2 (ja) * 2001-05-01 2011-1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FR2826956B1 (fr) * 2001-07-04 2004-05-28 Air Liquide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ceramique de faible epaisseur a deux materiaux, composition obtenue, cellule electrochimique et membrane la comprenant
JP2003036863A (ja) * 2001-07-24 2003-02-07 Kyocera Corp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セル及び燃料電池
JP4840718B2 (ja) * 2001-08-14 2011-1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US6653009B2 (en) * 2001-10-19 2003-11-25 Sarnoff Corporation Solid oxide fuel cells and interconnectors
US7008709B2 (en) * 2001-10-19 2006-03-07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cell having optimized pattern of electric resistance
US6949307B2 (en) * 2001-10-19 2005-09-27 Sfco-Efs Holdings, Llc High performance ceramic fuel cell interconnect with integrated flowpath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3132906A (ja) 2001-10-24 2003-05-09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単セル及び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4010396B2 (ja) * 2001-12-28 2007-11-21 日本碍子株式会社 電気化学装置
US8114551B2 (en) 2002-03-04 2012-02-14 Sulzer Hexis Ag Porous structured body for a fuel cell anode
YU88103A (sh) * 2002-05-14 2006-08-17 H.Lundbeck A/S. Lecenje adhd
JP3996861B2 (ja) * 2002-05-29 2007-10-24 京セラ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ル及び燃料電池
US6869201B2 (en) * 2002-09-27 2005-03-22 Stephen M. Kruger Reflective flashlight holder
US6893769B2 (en) * 2002-12-18 2005-05-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el cell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04200125A (ja) 2002-12-20 2004-07-15 Hosokawa Funtai Gijutsu Kenkyusho:Kk 電極材およ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燃料極並びに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2004288541A (ja) * 2003-03-24 2004-10-14 Tot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JP4368850B2 (ja) * 2003-03-31 2009-11-18 東京瓦斯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モジュールの作製方法
US7070879B2 (en) * 2003-04-10 2006-07-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el cell or electrodes with passive support
JP4986623B2 (ja) * 2003-06-09 2012-07-25 サン−ゴバン セラミックス アンド プラス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固体酸化物型の燃料電池スタック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US20050017055A1 (en) * 2003-07-24 2005-01-27 Kurz Douglas L. Electrochemical fuel cell component materials and methods of bonding electrochemical fuel cell components
JP2005129514A (ja) * 2003-09-30 2005-05-19 Toto Ltd 筒状燃料電池集合体
US7445814B2 (en) * 2003-10-22 2008-1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of making porous cermet and ceramic films
JP4544874B2 (ja) * 2004-01-28 2010-09-15 京セラ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ル及び燃料電池
US20060024547A1 (en) * 2004-07-27 2006-02-02 David Waldbillig Anode supported sofc with an electrode multifunctional layer
CN1667859A (zh) * 2005-04-15 2005-09-1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连接体的制备方法
WO2006125177A2 (en) * 2005-05-19 2006-11-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de and catalytic materials
EP1760817B1 (en) 2005-08-31 2013-08-21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Reversible solid oxide fuell cell stack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5498021B2 (ja) * 2006-01-09 2014-05-21 サン−ゴバン セラミックス アンド プラス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孔質電極を有する燃料電池構成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7971A1 (en) * 2001-10-17 2004-12-09 Sarin Vinod K. One-step consolid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solid oxide fuel cells
US20040091766A1 (en) * 2002-10-28 2004-05-13 Yoo Young Sung Solid oxide fuel cells having gas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85959C (en) 2013-10-29
CN101443947B (zh) 2014-09-17
WO2007118127A2 (en) 2007-10-18
JP2009532849A (ja) 2009-09-10
WO2007118127A3 (en) 2007-12-06
CA2647414A1 (en) 2007-10-18
AU2007234833B2 (en) 2010-03-25
CA2647414C (en) 2012-10-30
KR20090017474A (ko) 2009-02-18
AU2007234833A1 (en) 2007-10-18
US20070237999A1 (en) 2007-10-11
JP5350218B2 (ja) 2013-11-27
US8771901B2 (en) 2014-07-08
BRPI0710529A2 (pt) 2011-08-16
CN101443947A (zh) 2009-05-27
EP2013936A2 (en) 2009-01-14
CA2785959A1 (en)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337B1 (ko) 고온 본딩된 세라믹 상호 접속을 구비한 sofc 스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U2007204758B2 (en) Fuel cell components having porous electrodes
KR100648144B1 (ko) 고성능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KR100813089B1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적층 구조물,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시스템
KR20170085049A (ko)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용 애노드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연료 전지용 전해질층-전극 접합체의 제조 방법
JP7021787B2 (ja) プロトン伝導性電解質
KR101734854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층의 분말 혼합물
US20130344415A1 (en)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of forming
EP3125347B1 (en) Cell stack device, module, and module housing device
JP3643006B2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の単電池
JP6041362B2 (ja) 固体酸化物燃料電池を形成する方法
JP2006127973A (ja) 燃料電池セル
JPWO2011001930A1 (ja) 電解質・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JP2009087539A (ja) 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セルスタック、ならびに燃料電池
KR101276690B1 (ko) 전극 반응층이 개선된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20261935A1 (ja) 燃料極-固体電解質層複合体、燃料極-固体電解質層複合部材、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の製造方法
WO2010135416A1 (en) Ion conducting composite electrolyte for solid state electrochemical devices
JP2011009174A (ja) 電解質・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JPH10275622A (ja) 円筒状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セル
JP2005135713A (ja) 燃料電池セル用支持体及び燃料電池セル並びにその製法、燃料電池
JPH07335240A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のセ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