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444B1 - 오염물질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 Google Patents

오염물질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444B1
KR101203444B1 KR1020120062433A KR20120062433A KR101203444B1 KR 101203444 B1 KR101203444 B1 KR 101203444B1 KR 1020120062433 A KR1020120062433 A KR 1020120062433A KR 20120062433 A KR20120062433 A KR 20120062433A KR 101203444 B1 KR101203444 B1 KR 10120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combustion
cooking chamber
blow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6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444B1/ko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PCT/KR2012/009625 priority patent/WO2013187561A1/ko
Priority to CN201280041204.9A priority patent/CN103765109B/zh
Priority to US14/348,613 priority patent/US9644849B2/en
Priority to BR112014030090A priority patent/BR112014030090A2/pt
Priority to CA2875460A priority patent/CA2875460A1/en
Priority to EP12878780.1A priority patent/EP2860461A4/en
Priority to RU2015100007A priority patent/RU2609508C2/ru
Priority to AU2012382504A priority patent/AU201238250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444B1/ko
Priority to JP2012271218A priority patent/JP5700257B2/ja
Priority to IN11267DEN2014 priority patent/IN2014DN112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4/00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 F24C14/02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pyroly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24C15/2014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with means for oxidation of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에 열을 가할 때 생성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열분해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오븐 오염물질 열분해 장치는 가열수단, 연소관, 연결관, 그리고 송풍부로 구성된다. 가열수단은 오븐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고 연소관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가열수단과 연소관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연소공간이 형성된다. 가열수단은 연소공간의 온도를 700℃ 이상 가열시킬 수 있다. 송풍부는 연결관을 통해 연소관과 연결되어 조리실내의 압력을 실내 압력보다 낮추고,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함유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한다. 송풍부는 입구와 출구를 가지며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블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관은 블로워가 발생하는 공기 압력차를 연소관에 전달하여 조리실내에 실내압력보다 낮은 압력(진공)을 발생시킨다. 오염물질은 조리실 밖으로 확산되지 않고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연소관으로 흡입되어, 700℃ 이상으로 유지되는 연소공간을 0.5 초 이상 체류하면서 산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장치는 가열수단이 음식물을 데우고 동시에 정화작용을 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다.

Description

오염물질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Oven Having A Device For Thermal Decomposition of Contaminants}
본 발명은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휘발성 화합물과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열분해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을 제공하여 요리오염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한다.
본 발명은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휘발성 화합물과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열분해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엌에서 음식물을 요리할 때 발생하는 연기 또는 냄새는 주위 사람들을 불쾌하게 할 뿐만 아니라 건강에 심각한 손상을 주는 여러가지 독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주방에는 렌지 위에 요리할 때 생기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는 렌지후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렌지후드는 실제 요리가 행하여지는 장소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위치하여, 렌지에 설치된 가열판 위에서 음식물을 요리할 때 오염물질이 주방, 거실 또는 방으로 확산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히터가 설치된 밀폐된 공간에 음식물을 수납하고 가열함으로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의 하나이다. 오븐은 음식물의 겉 표면과 내부를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부피가 큰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요리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오븐은 음식물이 요리되는 동안에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같은 오염물질 등을 정화하는 기능이 없다. 일부 오븐에는 조리실 벽에 축적된 식품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조리실을 400℃ 정도로 가열하여 열적 분해를 유발시키는 청소(cleaning)기능이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주로 음식물을 수납 공간으로부터 빼낸 다음 수납 공간을 다시 가열하는 방법으로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동안 발생하는 다량의 오염물질이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음식물이 조리될 때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공고번호: 특 1993-0001174 {조리용 오븐} 등록특허: 10-0518444 (2005-9-23){조리기기의 열분해 장치 및 그 방법} 공개특허: 10-2008-0008140 {조리기기의 탈취장치 및 탈취방법} 등록특허: 10-0555420 (2006-2-20){전기오븐의 탈취 촉매 구조} 미국특허: US 6,316,749 (2001-11-13){Self cleaning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미국특허: US 6,318,245 (2001-11-20){Cooking device with a catalyst} 미국특허: US 7,878,185 (2011-2-1){Cooking apparatus with plasma cleaning} 미국특허: US 8,101,894 (2012-1-24){Cooking device with deodorization}
본 발명은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휘발성 화합물과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열분해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실에 설치된 열선이 음식물을 데우는 기능뿐만 아니라, 정화작용도 하는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열분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을 제공하여 요리오염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조리실 벽과 도어로 둘러싸인 조리실과, 조리실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와, 조리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온도 센서, 컨벡션 챔버나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한 주요 부분을 포함하는 본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은 일반적인 오븐에 따른 구성 요소 이외에도 가열수단, 연소관, 연결관, 그리고 송풍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에는 조리실 벽으로 둘러싸이고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조리실이 구비된다. 조리실 내부에는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가 설치된다. 조리실 내부 상방으로 가열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가열수단을 둘러싸는 연소관이 구비된다. 가열수단과 연소관 사이에는 연소공간이 형성된다. 가열수단은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연소공간의 온도를 700℃ 이상 올릴 수 있다. 연소관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튜브(tube) 형태로 양쪽 말단이 개구된 구조를 갖는다.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화합물과 냄새는 700℃ 이상으로 가열되는 연소공간을 0.5초 이상 체류하면서 완전히 산화 연소된다.
송풍부는 조리실내의 압력을 실내 압력보다 낮추고,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함유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한다. 송풍부는 공기 압력차를 발생하여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블로워로 구성되며, 연소관과 블로워 사이에 공기 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과 연결된다. 블로워는 날개가 회전하면서 블로워 입구에서는 진공을 그리고 블로워 출구에서는 압력을 만들어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연결관은 블로워가 발생하는 공기 압력차를 연소관에 전달하여 연소공간내에 실내 압력보다 낮은 압력(진공)을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조리실내에 실내 압력보다 낮은 압력(진공)을 유지함으로서 오염물질이 조리실 밖으로 확산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부가 블로워와 연결관 사이에 설치된 벤추리관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벤추리관은 블로워 출구와 연결관 사이에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벤추리관은 중간 부분에 공기 통로가 좁아지는 노즐을 가지며 다시 넓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벤추리관의 입구는 블로워 출구와 연결되고, 블로워에서 발생한 공기 흐름이 벤추리관을 통과할 때 통로가 좁아지는 노즐에서 공기 흐름이 빨라지고 노즐 측면에 낮은 압력이 발생된다. 벤추리관의 노즐 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에 연결관을 연결하면 블로워가 작동할 때 연소관에 압력차(진공)가 발생하여 조리실 내부 공기가 연소공간을 통해 흡입구 쪽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 다른 바람직한 방법는 송풍부와 연결관 사이에 정화부를 설치하여 연소관을 빠져나오는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 좋다. 정화부는 특히 음식물의 조리가 끝난후 연소관내 가열수단으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연소공간의 온도가 700℃ 이하로 내려가 더이상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없을 때 연소관을 빠져나오는 공기를 열분해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상기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은 조리실 후측에 구비되는 컨벡션 챔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벡션 챔버는 모터가 발생하는 회전 동력을 받아 챔버안의 팬이 작동하면서 조리실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조리실 내부로 배기시킨다. 조리실 내부 온도와 연소관 주위의 온도는 600℃ 또는 그 이상 차이가 있어서, 조리실 내부 공기가 컨벡션 챔버에 의해 강제 대류되면 결과적으로 조리실 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중 하나는 가열수단이 연소공간을 700℃ 이상 가열하여 오염물질을 산화 연소시키는 작용 이외에, 조리실 중심부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 수단으로도 작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장치의 오염물질 열분해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가열수단에 전원이 공급되고, 연소공간의 온도가 상승하여 700℃ 이상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단계. 2) 연소공간이 700℃ 이상 또는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이후, 블로워를 작동시켜 오염물질의 산화 연소를 시작하는 단계. 3) 설정된 조리 시간 동안 가열수단과 블로워를 작동시켜 조리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산화 연소시키는 단계. 4) 마지막으로, 가열수단과 블로워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
상기한 열분해 과정을 조절하기 위해 가열수단과 블로워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 및 작동 모드(mode)를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절수단을 가지는 제어 패널이 본체에 더 구비된다. 오염물질을 완전히 산화 연소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을 700℃ 이상으로 유지되는 연소공간을 적어도 0.5 초 이상 체류시켜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염 물질이 연소공간을 통과하는 시간은 조절수단을 통해 블로워의 작동을 통제함으로서 충분히 제어될 수 있다.
조리중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창문을 열고 실내를 환기하거나 공기 청정기와 같은 가전 제품을 오랜시간 작동 시켜야한다. 이 때 발생하는 냉/난방비와 에너지 비용을 고려하면, 오염물질을 오븐 안에서 발생하는 즉시 정화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은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요리오염은 실내오염의 주 원인일 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기도 한다. 일단 실내에 퍼진 요리오염은 아무리 완벽하게 제거되어도 주부나 가족들의 건강에 해를 끼친 다음이다. 본 발명은 요리오염이 발생하는 오븐내부에서 자체 정화하는 친환경 웰빙 오븐을 제공함으로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킨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10)의 전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도 1 의 2-2 를 절개한 측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3-3 를 절개한 단면도
도 4 는 오븐(10)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주요 부분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10’ )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10” )의 단면도
도 7 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10” )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주요 부분의 구성도
도 8 은 가열수단(30)과 연소관(35)의 제원을 나타내는 사시도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을 이하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10)의 전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손잡이(21)가 달린 도어(20)가 오븐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26)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도어(20)는 조리실(29)의 전면부를 밀폐하여 조리시 휘발성 화합물이나 냄새가 조리실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고, 조리실에 수납되는 선반의 입출입이 용이하고, 또한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 정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26) 전면부의 일측에는 조리실(29) 내부가 적절한 온도를 적절한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온도 및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조절수단을 가지는 제어 패널(22)이 구비된다.
도 2 는 도 1 의 2-2 를 절개한 측단면도로 조리실(29) 및 본체(26)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3 는 도 2 의 3-3 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실 벽(23)으로 둘러싸이고 전면이 개구되며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조리실(29)이 본체(26)내에 구비된다. 조리실(29) 내에는 음식물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2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29) 상부에는 가열수단(30)이 장착되고 상기 가열수단을 둘러싸는 연소관(35)이 구비된다. 가열수단(30)과 연소관(35) 사이에는 연소공간(33)이 형성된다. 가열수단(30)은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연소공간(33)의 온도를 700℃ 이상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로 올릴 수 있다. 또 가열수단(30)은 전원과 연결된 시즈(sheath) 히터, 카트리지(cartridge) 히터 또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열선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관(35)은 세라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튜브(tube) 형태로 양쪽 말단이 개구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벡션 챔버(32)는 조리실(29) 후측에 구비되며 모터가 발생하는 회전 동력을 받아 챔버안의 팬이 작동하면서 조리실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조리실(29) 내부로 배기시킨다. 조리실 내부 온도와 연소관(35) 주위의 온도는 최고 600℃ 또는 그 이상 차이가 있어서, 공기가 컨벡션 챔버(32)에 의해 연소관(35) 주위를 통과하면서 강제 대류되면 결과적으로 조리실(29)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조리실 벽(23)에 구비된 온도센서(24)는 조리실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25) 또는 컨벡션 챔버(32)로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함으로서 조리실(29)의 온도를 조절한다.
송풍부(40)는 연결관(35)과 연결되어 조리실(29)내의 압력을 실내 압력보다 낮추고, 조리실(29)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함유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한다. 송풍부(40)는 벤추리관(42)과 블로워(43)로 구성된다. 블로워(43)는 날개가 회전하면서 블로워 입구(미도시)에서는 진공을, 그리고 블로워 출구(미 도시)에서는 압력을 만들어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블로워(43)는 중간에 벤추리관(42)과 연결관(41)을 통해 연결된 연소관(35)과 공기소통이 가능하여 조리실(29)내에 실내 압력보다 낮은 압력(진공)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블로워(43)는 요리중 생기는 오염물질이 조리실(29) 밖으로 확산하는 것을 막아주고, 연소관(35)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 다음 벤추리관(42)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연결관(41)은 연소관(35) 중간 부분에 연결되어 연소공간(33)을 통과한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벤추리관(42)으로 전달한다.
벤추리관(42)은 블로워(43) 출구(미 도시)와 연결관(41) 사이에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벤추리관(42)은 중간 부분에 공기 통로가 좁아지는 노즐(45)을 가지며 다시 넓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벤추리관(42)의 입구는 블로워(43) 출구와 연결되고, 블로워에서 발생한 공기 흐름이 벤추리관을 통과할 때 통로가 좁아지는 노즐(45)에서 공기 흐름이 빨라지고, 노즐 측면에 낮은 압력이 발생된다. 벤추리관(42)의 노즐 측면에 흡입구(46)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46)에 연결관(41)을 연결하면 블로워가 작동할 때 연소관(35)에 압력차(진공)가 발생하여 조리실(29) 내부 공기가 연소공간(33)을 통해 흡입구(46) 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벤추리관(42)은 블로워(43) 출구에 연결되므로, 연소공간(33)을 빠져나오는 고온의 수증기와 공기는 블로워(43)에 접촉하지 않고 벤추리관(42) 출구를 통해 배기된다.
도 4 는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주요 부분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통해 조리실(29) 오염물질의 열분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가열수단(30)에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수단이 가열되어 연소공간(33)의 온도가 상승한다. 연소공간이 700℃ 이상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이후, 블로워(43)가 작동을 시작한다. 블로워(43)가 만드는 공기 압력차는 벤추리관(42)의 흡입구(46)를 통해 연결관(41)에 실내보다 낮은 압력(진공)을 형성한다. 이 진공은 연소관(35)내 연소공간(33)에 전달되어, 연소관(35) 양쪽 말단부를 통해 조리실(29)내의 오염물질을 흡입한다. 설정된 조리 시간 동안 가열수단(30)과 블로워(43)를 작동시켜 조리중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산화 연소시켜 제거한다. 그리고 가열수단(30)과 블로워(43)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마지막으로 열분해 사이클이 끝난다. 상기한 열분해 과정을 조절하기 위해 가열수단(30)과 블로워(43)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미 도시) 및 작동 모드(mode)를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절수단을 가지는 제어 패널(22)이 본체(26)에 구비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10’ )의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븐(10’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븐(10)과 송풍부(40)이외의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하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40’ )은 블로워(43)로 구성된다. 도시된 것처럼, 블로워(43) 입구(미 도시)가 연결관(41)에 연결되고, 블로워가 생성하는 진공이 연결관(41)을 통해 연소관(35)에 전달되어 연소공간(33)에 있는 고온의 공기가 블로워(43) 내부로 흡입된 후 블로워(43) 출구(미 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송풍부(40’ )는 고온의 공기에 접촉하여도 작동할 수 있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 블로워(43)를 사용하거나 또는 연결관(41)을 통과하는 고온의 공기를 냉각하여 블로워(43)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블로워(43)의 작동 범위내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10” )의 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오븐(10”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븐(10)의 연결관(41)과 송풍부(40)사이에 정화부(50)가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정화부(50)외의 모든 구성 요소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정화부(50)는 제 2 연소관(51)과 제 2 가열수단(52)으로 구성된다. 제 2 가열수단(52)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 2 연소관(51)내에 위치하여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제 2 연소관(51)내부 공간을 700℃ 이상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로 올릴 수 있다. 또 제 2 가열 수단(52)은 전원과 연결된 시즈(sheath) 히터, 카트리지(cartridge) 히터 또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열선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부(50)에는 입구(미 도시)와 출구(미 도시)가 구비되고, 입구는 연결관(41)에 출구는 벤추리관(42)의 흡입구(46)에 각각 연결된다.
도 7 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오븐(10” )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주요 부분의 구성도이다. 먼저 가열수단(30)에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수단이 가열되어 연소공간(33)의 온도가 상승한다. 연소공간이 700℃ 이상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이후, 블로워(43)가 작동을 시작한다. 블로워(43)가 만드는 공기 압력차는 벤추리관(42)의 흡입구(46)와 정화부(50)를 통해 연결관(41)에 실내보다 낮은 압력(진공)을 형성한다. 이 진공은 연소관(35)내 연소공간(33)에 전달되어, 연소관(35) 양쪽 말단부를 통해 조리실(29)내의 오염물질을 흡입한다. 설정된 조리시간 동안 가열수단(30)과 블로워(43)를 작동시켜 조리중 발생되는 오염물질은 산화 연소되어 제거된다.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정화부(50)에는 전원이 차단되어 연결관(41)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벤추리관(42)으로 통과시키는 역할만 한다. 조리가 끝나면 가열수단(30)으로 통하는 전기는 차단되고, 제 2 가열수단(52)에 전기가 공급되어 조리실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700℃ 이상 가열된 제 2 연소관(51)에서 열분해 한다. 그 다음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제 2 가열 수단(52)과 블로워(43)의 작동을 중단시켜 열분해 사이클이 끝난다. 상기한 열분해 과정은 하나의 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다양한 작동 모드(mode)를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타이머(미 도시) 및 조절수단을 가지는 제어 패널(22)이 본체(26)에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리중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완전히 산화 연소 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을 700℃ 이상으로 유지되는 연소공간(33)을 적어도 0.5 초 이상 체류시켜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연소공간(33)을 통과하는 시간(t)은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하기 수학식 1 과 도 8 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12501835458-pat00011
여기서, t 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연소공간을 통과하는 시간, L 은 연소관의 길이(m), A 는 연소관의 단면적, a 는 가열수단의 단면적, (A-a)는 연소공간의 단면적, Q 는 연소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m3/초), V 는 연소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m/초)이다.
결과적으로,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연소공간(33)을 통과하는 시간은 연소관(35)의 길이, 연소공간의 단면적, 연소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 연소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서 0.5 초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연소공간(33)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 및 속도는 블로워(43)의 가동 조건을 조절하여 충분히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10, 10’ ,10” : 오븐 20: 도어
21: 손잡이 22: 제어 패널
23: 조리실 벽 24: 온도센서
25: 히터 26: 본체
29: 조리실 30: 가열수단
32: 컨벡션 챔버 33: 연소공간
35: 연소관 40, 40’ : 송풍부
41: 연결관 42: 벤추리관
43: 블로워 45: 노즐
46: 흡입구 50: 정화부
51: 제 2 연소관 52: 제 2 가열수단

Claims (18)

  1. 조리실 벽과 도어로 둘러싸인 조리실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가열하는 오븐에 있어서,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며 열을 발산하는 가열수단; 가열수단을 둘러싸고 가열수단과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연소공간이 형성된 연소관; 조리실내의 압력을 실내 압력보다 낮추고,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함유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송풍부; 연소관과 송풍부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열수단이 연소공간을 가열하여 오염물질을 열분해 하는 작용 이외에, 조리실 중심부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 수단으로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오염물질이 700℃ 이상 가열된 상기 연소공간을 적어도 0.5 초 이상 체류하여 산화 연소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3. 제 1 항에 있어서, 조리실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배기하여 강제 대류시키는 컨벡션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이 전원과 연결된 시즈(sheath) 히터, 카트리지(cartridge) 히터 또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열선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5. 제 1 항에 있어서, 연소관이 세라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6. 제 1 항에 있어서, 연소관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튜브(tube) 형태로 양쪽 말단이 개구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7. 제 1 항에 있어서, 송풍부가 입구와 출구를 가지며 공기 압력차를 발생하여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블로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8.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관이 연소관의 중간 부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9. 제 7 항에 있어서, 송풍부가 벤추리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벤추리관이 블로워 출구와 연결관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10. 제 1 항에 있어서, 송풍부가 조리실내의 압력을 실내 압력보다 낮게 유지하여 오염물질의 조리실 밖으로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11. 조리실 벽과 도어로 둘러싸인 조리실내에 음식물을 넣고 가열하는 오븐에 있어서,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며 열을 발산하는 가열수단; 가열수단을 둘러싸고 가열수단과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연소 공간이 형성된 연소관; 연소관과 정화부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 소통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관; 연결관과 송풍부 사이에 연결되어, 연소관을 통과한 공기를 열분해 하여 정화하는 정화부; 정화부와 연결되어 조리실내의 압력을 실내 압력보다 낮추고,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함유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열수단이 연소공간을 가열하여 오염물질을 열분해 하는 작용 이외에, 조리실 중심부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 수단으로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오염물질이 700℃ 이상 가열된 상기 연소공간을 적어도 0.5 초 이상 체류하여 산화 연소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조리실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배기하여 강제 대류시키는 컨벡션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14. 제 11 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이 전원과 연결된 시즈(sheath) 히터, 카트리지(cartridge) 히터 또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열선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15. 제 11 항에 있어서, 연소관이 세라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16. 제 11 항에 있어서, 연소관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튜브(tube) 형태로 양쪽 말단이 개구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17. 제 11 항에 있어서, 송풍부가 입구와 출구를 가지며 공기 압력차를 발생하여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블로워; 블로워 출구와 정화부 사이에 설치된 벤추리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18. 삭제
KR1020120062433A 2012-06-12 2012-06-12 오염물질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KR101203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433A KR101203444B1 (ko) 2012-06-12 2012-06-12 오염물질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CN201280041204.9A CN103765109B (zh) 2012-06-12 2012-11-15 具有热解功能的电烤炉
US14/348,613 US9644849B2 (en) 2012-06-12 2012-11-15 Oven having pyrolysis function
BR112014030090A BR112014030090A2 (pt) 2012-06-12 2012-11-15 forno
PCT/KR2012/009625 WO2013187561A1 (ko) 2012-06-12 2012-11-15 열분해 기능을 가진 오븐
CA2875460A CA2875460A1 (en) 2012-06-12 2012-11-15 Oven having pyrolysis function
EP12878780.1A EP2860461A4 (en) 2012-06-12 2012-11-15 OVEN WITH PYROLYSIS FUNCTION
RU2015100007A RU2609508C2 (ru) 2012-06-12 2012-11-15 Духовой шкаф с функцией пиролиза
AU2012382504A AU2012382504A1 (en) 2012-06-12 2012-11-15 Oven having pyrolysis function
JP2012271218A JP5700257B2 (ja) 2012-06-12 2012-12-12 熱分解機能を持つオーブン
IN11267DEN2014 IN2014DN11267A (ko) 2012-06-12 2014-12-3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433A KR101203444B1 (ko) 2012-06-12 2012-06-12 오염물질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444B1 true KR101203444B1 (ko) 2012-11-22

Family

ID=4756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433A KR101203444B1 (ko) 2012-06-12 2012-06-12 오염물질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644849B2 (ko)
EP (1) EP2860461A4 (ko)
JP (1) JP5700257B2 (ko)
KR (1) KR101203444B1 (ko)
CN (1) CN103765109B (ko)
AU (1) AU2012382504A1 (ko)
BR (1) BR112014030090A2 (ko)
CA (1) CA2875460A1 (ko)
IN (1) IN2014DN11267A (ko)
RU (1) RU2609508C2 (ko)
WO (1) WO20131875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505A1 (ko) 2012-11-15 2014-05-22 Lee Younghee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기기
KR101431968B1 (ko) * 2013-03-20 2014-08-19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건조장치
KR101776550B1 (ko) * 2017-02-23 2017-09-19 이영희 복사열 조절 구획판을 가진 조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320B1 (ko) * 2016-04-26 2022-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오븐
JP7053082B2 (ja) 2018-06-07 2022-04-12 イ、ヨンヒ 調理煙排出装置
BE1030516B1 (de) * 2022-05-11 2023-12-11 Miele & Cie Ga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8663A (en) * 1964-01-17 1967-10-25 Simplex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ooking stoves
US3364912A (en) * 1966-09-22 1968-01-23 Gen Electric Self-cleaning gas oven
US3528399A (en) * 1967-06-23 1970-09-15 Tappan Co The Gas cooking oven
US4287870A (en) * 1978-03-24 1981-09-08 John Johnson Indoor barbeque cooking device
US4481404A (en) * 1982-12-22 1984-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Turn-off control circuit for self-cleaning ovens
JPH0355438A (ja) * 1989-07-20 1991-03-11 Sanyo Electric Co Ltd ヒータ付電子レンジ
FR2673267A1 (fr) * 1991-02-21 1992-08-28 Scholtes Ets Eugen Four de cuisson domestique.
JPH05157252A (ja) * 1991-12-10 1993-06-22 Toshiba Corp 加熱調理装置
JPH05180442A (ja) * 1991-12-28 1993-07-23 Harman Co Ltd 加熱調理器
JPH0559114U (ja) * 1992-01-10 1993-08-06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加熱調理器
JPH05231655A (ja) * 1992-02-18 1993-09-07 Sanyo Electric Co Ltd 調理器
JP2561535Y2 (ja) * 1992-04-10 1998-01-28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加熱調理器
JPH0594608U (ja) * 1992-05-22 1993-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R2714959A1 (fr) * 1994-01-12 1995-07-13 Scholtes Ets Eugen Four de cuisson domestique.
JP3206549B2 (ja) * 1998-05-14 2001-09-10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調理器
JP2000093746A (ja) * 1998-09-21 2000-04-04 Hitachi Hometec Ltd 触媒式脱臭装置
AU1855600A (en) 1998-10-22 2000-05-08 Rational Ag Cooking device with a catalyst
US6316749B1 (en) 2000-08-29 2001-11-13 Maytag Corporation Self-cleaning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US6232584B1 (en) * 1999-12-15 2001-05-15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self cleaning oven having catalyst temperature control
DE10062827A1 (de) * 2000-12-15 2002-06-20 Miele & Cie Backofen mit Wrasenkanal
JP4660942B2 (ja) * 2001-03-07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3894825B2 (ja) * 2001-12-28 2007-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GB0214038D0 (en) * 2002-06-19 2002-07-31 Ceramaspeed Ltd Electric heating element
EP1400758A1 (en) * 2002-09-23 2004-03-24 CANDY S.p.A. Heating unit for a cooking oven
US20070006865A1 (en) * 2003-02-21 2007-01-11 Wiker John H Self-cleaning oven
KR100518444B1 (ko) 2003-07-18 2005-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의 열분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55420B1 (ko) 2003-10-14 200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오븐의 탈취 촉매 구조
KR100788810B1 (ko) * 2005-03-31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JP2007064504A (ja) * 2005-08-29 2007-03-15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2007105211A (ja) * 2005-10-13 2007-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DE102005056137B4 (de) * 2005-11-23 2007-08-23 Miele & Cie. Kg Gargerät mit einer Backmuffel
JP4577268B2 (ja) * 2006-05-17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080009615A (ko) * 2006-07-24 2008-01-29 김태형 전기오븐
KR100889132B1 (ko) * 2007-04-12 2009-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KR101412149B1 (ko) 2007-10-29 201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US20090178665A1 (en) * 2008-01-15 2009-07-16 Weber Matthew A Rotisserie with Directional Baffles
EP2093490B1 (en) * 2008-02-21 2014-01-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ooking oven comprising exhaust gas purification assembly
KR101581043B1 (ko) 2008-03-17 201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0988312B1 (ko) * 2008-07-17 2010-10-18 송악코리아 주식회사 촉매탈취기능의 음식조리기
JP5001247B2 (ja) * 2008-11-05 2012-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1142014B1 (ko) * 2010-01-25 2012-05-17 한국식품연구원 제연 및 제향 업소용 구이기
KR101691227B1 (ko) * 2010-02-01 2016-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505A1 (ko) 2012-11-15 2014-05-22 Lee Younghee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기기
EP2921780A4 (en) * 2012-11-15 2016-12-21 Younghee Lee COOKING APPARATUS HAVING A THERMAL DECOMPOSITION FUNCTION
KR101431968B1 (ko) * 2013-03-20 2014-08-19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건조장치
WO2014148807A1 (ko) * 2013-03-20 2014-09-25 Lee Younghee 열분해 기능을 가진 건조장치
KR101776550B1 (ko) * 2017-02-23 2017-09-19 이영희 복사열 조절 구획판을 가진 조리장치
WO2018155827A1 (ko) * 2017-02-23 2018-08-30 이영희 복사열 조절 구획판을 가진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65109A (zh) 2014-04-30
RU2609508C2 (ru) 2017-02-02
BR112014030090A2 (pt) 2017-06-27
EP2860461A4 (en) 2016-05-25
IN2014DN11267A (ko) 2015-10-09
US9644849B2 (en) 2017-05-09
JP2013257128A (ja) 2013-12-26
AU2012382504A1 (en) 2015-01-29
CA2875460A1 (en) 2013-12-19
EP2860461A1 (en) 2015-04-15
RU2015100007A (ru) 2016-08-20
WO2013187561A1 (ko) 2013-12-19
US20140238381A1 (en) 2014-08-28
JP5700257B2 (ja) 2015-04-15
CN103765109B (zh)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444B1 (ko) 오염물질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
KR101384483B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뚜껑
US6872919B2 (en) Multi-stage catalyst for a cooking appliance
US20060150965A1 (en) Exhausting and cooling system for cooking utensil
JP2007017033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306428B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기기
WO2015115734A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KR101261646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JP2012181008A (ja) 空気処理装置
JP2002263006A (ja) 加熱調理器
KR20130009237A (ko) 조리기기 오염 물질 배출장치
JPH11318718A (ja) 電気調理器
KR101475293B1 (ko) 조리용 팬과 연결된 탈취장치
JP2008125742A (ja) 空気清浄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228585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696323B1 (ko)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KR102056024B1 (ko) 요리 매연 배출장치
JP3756334B2 (ja) 暖房機
KR101776550B1 (ko) 복사열 조절 구획판을 가진 조리장치
JP2006029596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306480Y1 (ko) 환기장치
CA2454498C (en) Multi-stage catalyst for a cooking appliance
JP2001008835A (ja) 加熱調理器
JP2001037647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