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024B1 - 요리 매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요리 매연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024B1
KR102056024B1 KR1020190033974A KR20190033974A KR102056024B1 KR 102056024 B1 KR102056024 B1 KR 102056024B1 KR 1020190033974 A KR1020190033974 A KR 1020190033974A KR 20190033974 A KR20190033974 A KR 20190033974A KR 102056024 B1 KR102056024 B1 KR 102056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reservoir
gap
coole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102019003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024B1/ko
Priority to JP2021506602A priority patent/JP7053082B2/ja
Priority to PCT/KR2019/006153 priority patent/WO2019235763A1/ko
Priority to US16/972,173 priority patent/US20210325049A1/en
Priority to RU2020134311A priority patent/RU2762957C1/ru
Priority to CN201980025991.XA priority patent/CN112020626B/zh
Priority to EP19815591.3A priority patent/EP3805647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57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 clean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리실의 매연을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관과 연결된 배출장치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 상측에 급수마개가 구비된 물저장통, 하측 내부에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울 가지고 측면 일측에 배출관과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형성되며 상부 개구부가 물저장통과 연결되는 냉각용기, 및 냉각용기 측면 상부 테두리에 구비되어 냉각용기와 물저장통과의 사이를 밀폐하는 개스킷으로 구성된다. 냉각용기 하측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격벽이 설치되며, 유입관으로 유입된 매연은 물저장통과 냉각용기에 담긴 물 사이 및 격벽 위에 형성된 다수의 틈새를 통과 중 여러 단계에 걸처 냉각 저감되어서, 정화된 기체만 외부로 방출된다.

Description

요리 매연 배출장치{Exhaust apparatus for cooking fumes}
본 발명은 음식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는 냄새와 연기를 효율적으로 저감하기 위해 조리기기에 설치된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으로부터 발생하는 조리실의 매연을 냉각시켜 저감하는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실이 구비된 조리기기에서 음식 등 피가열물을 가열할 때 증기와 함께 여러가지 유기물이 발생한다. 가열이 진행될수록 조리실 안에 혐기적 조건이 형성되어 심한 연기와 냄새가 발생한다.
종래의 조리기기는 조리 중 발생하는 요리매연을 제거하는 기능이 없다.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매연은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불쾌감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주방에는 렌지후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렌지후드는 실제 요리가 행하여지는 장소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하여 요리매연이 주방, 거실로 확산하는 것을 막지 못한다.
오븐은 히터가 설치된 조리실에 음식을 넣어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오븐은 음식물의 표면과 내부를 동시에 가열하게 되어 부피가 큰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요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븐은 음식물이 요리되는 동안에 발생하는 요리매연을 정화하는 기능이 없다. 일부 오븐에는 조리실 벽에 축적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조리실을400oC 정도로 가열하여 열적 분해를 유발시키는 청소(cleaning)기능이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주로 음식물 없이 조리실을 가열하는 것으로써, 음식물이 조리되는 동안 발생하는 요리매연이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조리실에 산화촉매를 설치하여 요리매연을 저감시키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요리매연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서 요리매연을 300oC - 500oC로 가열된 산화촉매로 통과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런 오븐은 주로 음식을 가열하는 히터와 산화촉매를 가열하는 히터가 각각 구비되어 전기 에너지 소모가 크다. 또한 산화촉매는 그 자체로서 비쌀 뿐만 아니라 활성을 잃을 경우 교체가 필요하다.
요리매연을 제거하는 다른 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었다. 국제출원 WO 2013/187561 A1 및 유럽출원공개 EP2,860,461 Al에 따르면, 조리실에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이 개시된다. 열분해 장치는 조리실 내부에 설치된 가열수단, 가열수단을 둘러싸는 중공이 형성된 연소관, 그리고 가열수단과 연소관 사이에 형성되어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연소공간,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팬(fan), 및 연소관의 중간부분과 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다.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은 요리매연이 조리실 밖으로 확산되지 않고 가열수단에 의해700oC이상 가열된 연소공간에서 열분해된다. 가열수단은 또한 요리매연을 열분해하는 작용 이외에, 조리실에 복사열을 제공하여 음식을 가열한다.
열분해 장치가 부착된 오븐은 음식이 가열되는 동안 발생하는 요리매연을 열분해할 때 효과적이지만, 가열이 끝나면 더 이상 요리매연을 정화하지 못한다. 조리가 끝난 음식을 식히기 위해서는 열분해 장치의 가동을 멈추어야 한다. 그런데 열분해 장치의 가동이 멈추면 더 이상 열분해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이 완전히 식을 때까지 계속해서 발생하는 요리매연이 오븐 밖으로 확산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음식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매연을 물로 냉각하는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이 배출장치는 음식을 가열하는 동안 그리고 가열이 끝난 후에도 매연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배출장치는 그릴, 오븐, 에어프라이어 등 다양한 기기에 연결되어 매연이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허문헌0001): 10-1649682 (탈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등록특허: 10-0329500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등록특허: 10-1592245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특허문헌0004): 공개공보 JP 1991-055438 (히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특허문헌0005): JP 2010-112593 (가열조리기). (특허문헌0006): 공개공보JP 2002-263006 (가열조리기). (특허문헌0007): US 8,490,613 B2 (Oven range with gas filter). 등록실용신안: 20-0478046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 (특허문헌0009): US 8,101,894 (Cooking device with deodorization).
종래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매연이 저감되지 않고 실내에 확산되어 쾌적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물을 사용하여 매연을 냉각 저감할 수 있는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조리실의 매연을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관과 연결된 배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수직몸체로 상측에 급수마개가 구비된 물저장통;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 내부에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수직몸체를 가지며, 측면 일측에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형성되고, 상부 개구부를 통해 물저장통을 수용하며, 하측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제 1 격벽, 제 2 격벽, 제 3 격벽이 설치되고, 수용된 물저장통과의 틈을 밀폐하기 위해 격벽 위로 연장되어 제 1 측벽, 제 2 측벽, 제 3 측벽이 마주보는 두 측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된 냉각용기; 및
냉각용기의 제3측벽 위 개구부 테두리에서 시작하여 유입관이 형성된 테두리를 돌아 마주보는 제3측벽 위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개스킷; 으로 구성된 배출장치가 매연을 냉각한다.
여기서, 제 1 격벽과 물저장통 하부 사이에는 제 1 틈새가 형성되고, 제 2 격벽은 물저장통 하부와 밀폐되게 접촉하며, 제 2 측벽은 다른 두 측벽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제 2 측벽 상부에 제 2 틈새가 형성되고, 제 3 격벽과 물저장통 하부 사이에는 제 3 틈새가 형성된다.
또한, 유입관으로 유입된 매연은 물저장통과 냉각용기 사이를 통해 아래쪽으로 이동 중 냉각되고, 제1틈새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제2틈새를 향해 이동 중, 제2틈새를 통과하면서, 제3틈새를 향해 이동 중 각각 냉각되고, 제3틈새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또한, 냉각용기는 배출관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물저장통은 냉각용기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냉각용기에 수용된 물은 제1격벽, 제2격벽, 제3격벽의 개구된 공간을 통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유입관은 냉각용기에 담긴 물의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매연은 물저장통에 의해 냉각되어 그 표면에 붙고, 냉각용기의 물에 의해 냉각 침전되는 서로 다른 두 방식으로 저감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의 용기로 상측에 급수마개가 구비된 물저장통;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의 용기로, 측면 일측에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제1격벽, 제2격벽이 설치되고, 상부 개구부가 물저장통과 연결된 냉각용기; 및
냉각용기의 제1격벽, 제2격벽 및 유입관이 설치된 측면 상부 테두리에 설치된 개스킷; 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격벽과 물저장통 하부 사이에는 제1틈새가 형성되고, 제2격벽과 물저장통 하부 사이에는 제2틈새가 형성된다.
또한, 유입관으로 유입된 매연은 물저장통과 냉각용기에 담긴 물 사이로 이동 중 냉각되고, 제1틈새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제2틈새를 향해 이동 중 그리고 제2틈새를 통과하면서 각각 냉각되고, 제2틈새를 통과한 후 냉각용기를 빠져나오기 전까지 냉각된다.
또한, 냉각용기는 배출관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물저장통은 냉각용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냉각용기를 통과하는 도중 냉각되지 않은 기체가 유입관이 설치된 측면의 반대쪽으로 배기된다.
또한, 유입관은 냉각용기에 담긴 물의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매연은 물저장통에 의해 냉각되어 그 표면에 붙고, 냉각용기의 물에 의해 냉각 침전되는 서로 다른 두 방식으로 저감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수직몸체로 상측에 급수마개가 구비된 물저장통;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직선부와 직선부 양단에 교호로 배치되는 U자형 벤딩부로 이루어지되 전체가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기체가 순환할 수 있는 타원형 단면을 가진 튜브의 하단이 일측 상단에 설치된 사각용기 형태를 가지고, 타측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배기관이 구비되며, 내부에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물저장통 내부에 삽입된 냉각용기; 및
냉각용기의 튜브 상측 직선부와 연결되고, 물저장통의 측면 상부를 관통하며, 배출관과 끼움 연결되어 매연을 튜브 안으로 유입하는 유입관; 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기관의 상단이 물저장통 상면을 관통하며, 매연은 유입관으로 들어와 이동 중 물저장통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는 튜브와 배기관 표면에 냉각되어 달라붙고, 냉각용기에 수용된 물에 의해 냉각 침전되며, 서로 다른 두 방식으로 매연이 저감되어 정화된 기체가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유입관은 배출관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냉각용기에 수용된 물은 배기관을 통해 담거나 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장치를 가진 조리기기에 따르면, 매연이 다수의 냉각 단계를 가진 배출장치를 통과하는 도중 충분히 저감됨으로써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배출장치는 쉽게 구할 수 있는 물을 사용하여 매연을 냉각함으로써 별도의 전기 에너지 사용이 필요하지 않고 안전하다.
배출장치는 음식이 가열되는 동안은 물론 가열이 끝난 후에도 매연을 냉각 저감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수직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30)의 분해 및 조립사시도.
도 3a는 배출장치(30)의 측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3b-3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측단면도.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30')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배출장치(30')의 측단면도.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수직단면도.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30")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을 이하 실시예1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 내부에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조리실(20)이 형성되고, 본체(10) 전방에 조리실(20)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도어(12)가 설치된다. 조리실(20)의 측면에 요리매연을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관(22)이 연결된다. 배출관(22)은 조리실(20)의 매연이 다른 곳으로 새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는 유일한 통로이다.
조리실(20)에는 열을 발산하는 복수의 히터(미 도시),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컨벡션 팬(미 도시), 피가열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드럼(미 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히터, 컨벡션 팬, 회전드럼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내지 도3을 참조하면, 배출장치(30)는 조리실(20) 외부 측면에 설치된 배출관(22)과 연결되어 매연을 냉각시켜 외부로 방출한다. 배출장치는(30)는 물저장통(40), 냉각용기(50), 그리고 개스킷(60)으로 구성된다.
물저장통(4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수직몸체를 가진다. 물저장통(40) 상측에는 물을 담거나 버릴 수 있는 급수마개(42)가 설치된다. 물저장통(40)은 냉각용기(50)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되어 그 외면으로 이동하는 매연을 냉각한다. 따라서, 그 재질은 열전도가 잘되는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같은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용기(50)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측 내부에 물(80)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수직몸체를 가진다. 냉각용기(50)의 측면 일측에는 배출관(22)과 끼움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관(52)이 형성되고, 상부 개구부를 통해 그 내부로 물저장통(40)을 수용한다. 유입관(52)은 냉각용기(50)에 담긴 물(80)의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그 내경은 5 mm - 25 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용기(50)는 배출관(22)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물을 채우거나 세척이 용이하다.
냉각용기(50) 하측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제1격벽(54), 제2격벽(55), 제3격벽(56)이 설치되어 공간을 분리한다. 냉각용기(50)의 물(80)은 물저장통(40)과 함께 배출장치(30) 내부를 통과하는 매연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매연은 물저장통(40)에 의해 냉각되어 그 표면에 달라붙고, 냉각용기(50)에 수용된 물(80)에 의해 냉각되어 침전되는 서로 다른 두 방식으로 저감된다. 물저장통(40)은 냉각용기(50)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서로 분리하여 세척이 용이하다. 냉각용기(50)에 수용된 물(80)은 제1격벽(54), 제2격벽(55), 제3격벽(56) 사이 또는 하방에 형성된 개구된 개구된 공간을 통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냉각용기(50) 내부 길이가 긴 두 측면에는 물저장통(40)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밀폐하기 위해 격벽 위로 연장되어 제 1 측벽(54a), 제 2 측벽(55a), 제 3 측벽(56a)이 마주보는 두 측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된다.
개스킷(60)은 제3 측벽(56a) 위 개구부 테두리에서 시작하여 유입관(52)이 형성된 측면 위 테두리를 돌아 마주 보는 제3측벽(56a) 위까지 연장 설치되어 물저장통(40)과 냉각용기(50) 사이를 밀폐한다.
제 2 격벽(55)은 물저장통(40) 하부와 밀폐되게 접촉하며, 제 1 격벽(54)과 물저장통(40) 하부 사이에는 제 1 틈새(70)가 형성되고, 제 3 격벽(56)과 물저장통(40) 하부 사이에는 제 3 틈새(74)가 형성되며, 제 2 측벽(55a)은 다른 두 측벽(54a, 56a)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제 2 격벽(55) 상부에 제 2 틈새(72)가 형성된다.
물저장통(40) 하부와 제1격벽(54) 및 제3격벽(56)과의 이격된 틈새의 거리(d)는 0.5 mm - 3 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관(52)으로 유입된 매연은 물저장통(40)과 냉각용기(50) 사이를 통해 아래쪽으로 이동 중 냉각되고, 제1틈새(7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제2틈새(72)를 향해 이동 중, 제2틈새(72)를 통과하면서, 제3틈새(74)를 향해 이동 중 각각 냉각되고, 제3틈새(7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배출장치(30)를 통과하는 매연은 다수의 매연 저감 단계를 거처 충분히 저감된 후 냉각되지 않은 기체는 유입관(52)이 설치된 측면의 반대쪽으로 배기된다.
도4 및 도5에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배출장치(30')가 도시된다.
본체(10') 내부에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조리실(20')이 형성되고, 본체(10') 전방에 조리실(20')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도어(12')가 설치된다. 조리실(20') 상부에 요리매연을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관(22')이 설치된다. 배출관(22')은 조리실(20') 내부의 매연이 다른 곳으로 새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는 유일한 통로이다.
배출장치(30')는 조리실(20') 상부 외측에 설치된 배출관(22')과 연결되어 매연을 냉각시켜 외부로 방출한다. 배출장치(30')는 물저장통(40'), 냉각용기(50'), 그리고 개스킷(60')으로 구성된다.
물저장통(4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의 용기이다. 물저장통(40') 상측에는 물을 담거나 버릴 수 있는 급수마개(42')가 설치된다. 물저장통(40')은 냉각용기(50') 상부 개구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하면으로 이동하는 매연을 냉각한다. 따라서, 물저장통(40') 하면의 재질은 열전도가 잘되는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같은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용기(50')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측 내부에 물(80)'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의 용기이다. 냉각용기(50')의 측면 일측에는 배출관(22')과 끼움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관(52')이 형성되고, 상부 개구부는 물저장통(40')에 의해 덮힌다. 유입관(52')은 냉각용기(50')에 담긴 물(80')의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그 내경은 5 mm - 25 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용기(50')는 배출관(22')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물을 채우거나 세척이 용이하다.
냉각용기(50') 하측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제1격벽(54'), 제2격벽(55')이 설치되어 공간을 분리한다. 냉각용기(50')의 물(80')은 물저장통(40')과 함께 배출장치(30') 내부를 통과하는 매연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매연은 물저장통(40')에 의해 냉각되어 그 표면에 달라붙고, 냉각용기(50')에 수용된 물(80')에 의해 냉각 침전되는 서로 다른 두 방식으로 저감된다. 물저장통(40')은 냉각용기(50')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서로 분리하여 세척이 용이하다. 냉각용기(50')에 수용된 물(80')은 제1 격벽(54'), 제2 격벽(55') 사이 또는 하방에 형성된 개구된 개구된 공간을 통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개스킷(60')은 제1격벽(54'), 제2격벽(55') 및 유입관(52')이 설치된 측면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어 물저장통(40')과 냉각용기(50') 사이를 밀폐한다.
제1 격벽(54')과 물저장통(40') 하부 사이에는 제1틈새(70')가 형성되고, 제2격벽(55')과 물저장통(40') 하부 사이에는 제2틈새(72')가 형성되어 매연이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물저장통(40') 하부와 제1격벽(54') 및 제2격벽(55')과의 이격된 틈새의 거리(d')는 0.2 mm - 2 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을 참조하면, 유입관(52')으로 유입된 매연은 물저장통(40')과 냉각용기(50')에 담긴 물(80') 사이로 이동 중 냉각되고, 제1틈새(7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며, 제2틈새(72')를 향해 이동 중 그리고 제2틈새(72')를 통과하면서 각각 냉각되고, 제2틈새(72')를 통과한 후 냉각용기(50')를 빠져나오기 전까지 냉각된다. 매연은 배출장치(30')에서 다수의 매연 저감 단계를 거처 충분히 저감된 후 냉각되지 않은 기체가 유입관(52')이 설치된 측면의 반대쪽으로 배기된다.
도7, 도8 및 도9에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배출장치(30")가 도시된다.
본체(10") 내부에 피가열물을 수용하는 조리실(20")이 형성되고, 본체(10") 전방에 조리실(20")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도어(12")가 설치된다. 조리실(20") 측면에 요리매연을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관(22")이 설치된다. 배출관(22")은 조리실(20") 내부의 매연이 다른 곳으로 새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는 유일한 통로이다.
배출장치(30")는 조리실(20") 외부 측면에 설치된 배출관(22")과 연결되어 매연을 냉각시켜 외부로 방출한다. 배출장치(30")는 물저장통(40"), 냉각용기(50"), 그리고 유입관(52")으로 구성된다.
물저장통(4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수직몸체를 가진다. 물저장통(40") 상측에는 물을 담거나 버릴 수 있는 급수마개(42")가 설치된다. 물저장통(40")은 그 내부로 냉각용기(50")를 수용하여 저온으로 유지시킨다.
냉각용기(50")는 일측 상단에 직선상의 파이프를 지그재그로 벤딩한 튜브(90)가 설치되고, 타측 상단에 수직방향의 배기관(92)이 구비된 사각용기 형태를 가진다. 냉각용기(50")는 내부에 물(80")을 수용하고, 물(80") 위로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물저장통(40") 내에 설치된다.
튜브(90)는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직선부와, 직선부 양단에 교호로 배치되는 U자형 벤딩부로 이루어지되 전체가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기체가 순환할 수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진다. 튜브(90)는 물저장통(40")의 물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며, 매연은 튜브(90)를 통과하는 도중 내부 표면에 달라붙어 저감된다.
유입관(52")은 냉각용기(50")의 튜브(90) 상측 직선부와 연결되고, 물저장통(40")의 측면 상부를 관통하며, 배출관(22")과 끼움 연결되어 매연을 튜브(90) 안으로 유입한다. 유입관(52")은 배출관(22')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배출장치(30")에 물을 채우거나 세척할 때 용이하다.
냉각용기(50")의 튜브(90)가 고정된 반대쪽 상단에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배기관(92)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배기관(92)의 상단은 물저장통(40") 상면을 관통하는 구조를 가져 냉각용기(50")를 빠져나오는 기체를 외부로 방출한다. 배기관(92)은 물저장통(40")의 물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며, 매연은 배기관(92)을 통과하는 도중 내부 표면에 달라붙어 저감된다. 또한, 배기관(92)을 통해 냉각용기(50")에 수용된 물(80")을 담거나 뺄 수 있다.
냉각용기(50"), 튜브(90), 그리고 배기관(92)은 열전도가 잘되는 금속, 예를 들면, 동, 알루미늄, 스텐레스 같은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연은 유입관(52")으로 들어와 이동 중 물저장통(40")의 물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는 튜브(90)와 배기관(92) 표면에 달라붙어 저감되고, 냉각용기(50")에 수용된 물(80")에 의해 냉각 침전되며, 서로 다른 두 방식으로 매연이 충분히 저감되어 정화된 기체만 배기관(9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연이 물과 직접 접촉하거나 물속을 통과하지 않고 물저장통(40, 40') 또는 튜브(90) 표면과 냉각용기(50, 50', 50")에 수용된 물 위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도록 고안된 배출장치(30, 30')는 팬과 같은 별도의 공기 이동 장치가 필요 없다.
매연은 물의 온도가 낮을수록 더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조리실(20, 20', 20")의 열기가 배출장치(30, 30', 30")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조리실(20, 20', 20")과 배출장치(30, 30', 30")를 일정 거리 이격시켜 설치하거나, 그 사이에 단열재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환기 팬으로 외부공기를 배출장치(30, 30', 30")로 불어주어 조리실(20, 20', 20")의 열기가 배출장치(30, 30', 3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10, 10', 10": 본체 12, 12', 12": 도어
20, 20', 20": 조리실 22, 22', 22": 배출관
30, 30', 30": 배출장치 40, 40', 40": 물저장통
42, 42', 42": 급수마개 50, 50', 50": 냉각용기
52, 52', 52": 유입관 54, 54': 제1격벽
54a: 제1측벽 55, 55': 제2격벽
55a: 제2측벽 56: 제3격벽
56a: 제3측벽 60, 60': 개스킷
70, 70': 제1틈새 72, 72': 제2틈새
74: 제3틈새 80, 80', 80": 물
90: 튜브 92: 배기관

Claims (15)

  1. 조리실의 매연을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관과 연결된 배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수직몸체로 상측에 급수마개가 구비된 물저장통;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 내부에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수직몸체를 가지며, 측면 일측에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형성되고, 상부 개구부를 통해 물저장통을 수용하며, 하측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제 1 격벽, 제 2 격벽, 제 3 격벽이 설치되고, 수용된 물저장통과의 틈을 밀폐하기 위해 격벽 위로 연장되어 제 1 측벽, 제 2 측벽, 제 3 측벽이 마주보는 두 측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된 냉각용기; 및
    냉각용기의 제 3 측벽 위 개구부 테두리에서 시작하여 유입관이 형성된 테두리를 돌아 마주보는 제 3 측벽 위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개스킷; 으로 구성되고,
    제 1 격벽과 물저장통 하부 사이에는 제 1 틈새가 형성되고, 제 2 격벽은 물저장통 하부와 밀폐되게 접촉하며, 제 2 측벽은 다른 두 측벽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제 2 측벽 상부에 제 2 틈새가 형성되고, 제 3 격벽과 물저장통 하부 사이에는 제 3 틈새가 형성되며, 유입관으로 유입된 매연은 물저장통과 냉각용기 사이를 통해 아래쪽으로 이동 중 냉각되고, 제 1 틈새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제 2 틈새를 향해 이동 중, 제 2 틈새를 통과하면서, 제 3 틈새를 향해 이동 중 각각 냉각되고, 제 3 틈새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다수의 매연 저감 단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용기가 배출관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물저장통이 냉각용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냉각용기에 수용된 물이 제1격벽, 제2격벽, 제3격벽의 개구된 공간을 통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유입관이 냉각용기에 담긴 물의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매연이 물저장통에 의해 냉각되어 그 표면에 붙고, 냉각용기의 물에 의해 냉각 침전되는 서로 다른 두 방식으로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7. 조리실의 매연을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관과 연결된 배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의 용기로 상측에 급수마개가 구비된 물저장통;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의 용기로, 측면 일측에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매연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제1격벽, 제2격벽이 설치되고, 상부 개구부가 물저장통과 연결된 냉각용기; 및

    냉각용기의 제1격벽, 제2격벽 및 유입관이 설치된 측면 상부 테두리에 설치된 개스킷; 으로 구성되고,

    제1격벽과 물저장통 하부 사이에는 제1틈새가 형성되고, 제2격벽과 물저장통 하부 사이에는 제2틈새가 형성되며,
    유입관으로 유입된 매연은 물저장통과 냉각용기에 담긴 물 사이로 이동 중 냉각되고, 제1틈새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제2틈새를 향해 이동 중 그리고 제2틈새를 통과하면서 각각 냉각되고, 제2틈새를 통과한 후 냉각용기를 빠져나오기 전까지 냉각되는 다수의 매연 저감 단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냉각용기가 배출관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물저장통이 냉각용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냉각용기를 통과하는 도중 냉각되지 않은 기체가 유입관이 설치된 측면의 반대쪽으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유입관이 냉각용기에 담긴 물의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매연이 물저장통에 의해 냉각되어 그 표면에 붙고, 냉각용기의 물에 의해 냉각 침전되는 서로 다른 두 방식으로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13. 조리실의 매연을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관과 연결된 배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수직몸체로 상측에 급수마개가 구비된 물저장통;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직선부와 직선부 양단에 교호로 배치되는 U자형 벤딩부로 이루어지되 전체가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기체가 순환할 수 있는 타원형 단면을 가진 튜브의 하단이 일측 상단에 설치된 사각용기 형태를 가지고, 타측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배기관이 구비되며, 내부에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물저장통 내부에 삽입된 냉각용기; 및

    냉각용기의 튜브 상측 직선부와 연결되고, 물저장통의 측면 상부를 관통하며, 배출관과 끼움 연결되어 매연을 튜브 안으로 유입하는 유입관; 으로 구성되며,

    배기관의 상단이 물저장통 상면을 관통하며, 매연은 유입관으로 들어와 이동 중 물저장통에 의해 저온으로 유지되는 튜브와 배기관 표면에 냉각되어 달라붙고, 냉각용기에 수용된 물에 의해 냉각 침전되며, 서로 다른 두 방식으로 매연이 저감되어 정화된 기체가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유입관이 배출관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냉각용기에 수용된 물을 배기관을 통해 담거나 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장치.
KR1020190033974A 2018-06-07 2019-03-26 요리 매연 배출장치 KR102056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974A KR102056024B1 (ko) 2019-03-26 2019-03-26 요리 매연 배출장치
JP2021506602A JP7053082B2 (ja) 2018-06-07 2019-05-23 調理煙排出装置
PCT/KR2019/006153 WO2019235763A1 (ko) 2018-06-07 2019-05-23 요리 매연 배출장치
US16/972,173 US20210325049A1 (en) 2018-06-07 2019-05-23 Discharge device for cooking fumes
RU2020134311A RU2762957C1 (ru) 2018-06-07 2019-05-23 От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арений, выделяемых при приготовлении пищи
CN201980025991.XA CN112020626B (zh) 2018-06-07 2019-05-23 烹饪烟雾排出装置
EP19815591.3A EP3805647A4 (en) 2018-06-07 2019-05-23 COOKING SMOKE VENTIL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974A KR102056024B1 (ko) 2019-03-26 2019-03-26 요리 매연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024B1 true KR102056024B1 (ko) 2019-12-13

Family

ID=6884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974A KR102056024B1 (ko) 2018-06-07 2019-03-26 요리 매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02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438A (ja) 1989-07-20 1991-03-11 Sanyo Electric Co Ltd ヒータ付電子レンジ
KR20010019790A (ko) * 1999-08-30 2001-03-15 신이슬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JP2002263006A (ja) 2001-03-07 2002-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10112593A (ja) 2008-11-05 2010-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KR101432880B1 (ko) * 2012-02-17 2014-08-22 디제이엔지니어링(주) 커피로스터 가스 제연기
KR101449894B1 (ko) * 2014-02-03 2014-10-15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KR200478046Y1 (ko) 2014-03-14 2015-08-2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
KR101592245B1 (ko) 2014-06-24 2016-02-05 신창근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KR101649682B1 (ko) 2009-11-25 2016-08-2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탈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101681448B1 (ko) * 2016-04-25 2016-12-01 이영희 팬 탈취장치와 조리후 탈취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438A (ja) 1989-07-20 1991-03-11 Sanyo Electric Co Ltd ヒータ付電子レンジ
KR20010019790A (ko) * 1999-08-30 2001-03-15 신이슬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KR100329500B1 (ko) 1999-08-30 2002-03-23 신이슬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JP2002263006A (ja) 2001-03-07 2002-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10112593A (ja) 2008-11-05 2010-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KR101649682B1 (ko) 2009-11-25 2016-08-2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탈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101432880B1 (ko) * 2012-02-17 2014-08-22 디제이엔지니어링(주) 커피로스터 가스 제연기
KR101449894B1 (ko) * 2014-02-03 2014-10-15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KR200478046Y1 (ko) 2014-03-14 2015-08-2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
KR101592245B1 (ko) 2014-06-24 2016-02-05 신창근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KR101681448B1 (ko) * 2016-04-25 2016-12-01 이영희 팬 탈취장치와 조리후 탈취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0007): US 8,490,613 B2 (Oven range with gas filter).
(특허문헌0009): US 8,101,894 (Cooking device with deodoriz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9401B2 (ja) 加熱調理器
KR101384483B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뚜껑
EP3978813B1 (en) Oven with combustion promoting coating
RU2609508C2 (ru) Духовой шкаф с функцией пиролиза
JP4660942B2 (ja) 加熱調理器
EP2921780A1 (en) Cooking appliance having thermal decomposition function
KR102056024B1 (ko) 요리 매연 배출장치
JP2016031185A (ja) 加熱調理器
ES2962469T3 (es) Dispositivo para calentar y/o cocinar alimentos
KR101945149B1 (ko) 탈취 기능을 가진 조리기기
KR20130009237A (ko) 조리기기 오염 물질 배출장치
JP7053082B2 (ja) 調理煙排出装置
KR101751302B1 (ko) 전기 오븐의 냄새·연기 제거 장치
JP2008005955A (ja) 加熱調理器および電磁誘導調理器
JP2011098139A (ja) 加熱調理器
JP2011149564A (ja) 加熱調理器
WO2024212438A1 (zh) 烹饪设备
KR101100800B1 (ko) 원적외선 세라믹 조리장치
KR101696323B1 (ko) 열분해 장치가 구비된 전기오븐
KR980008989U (ko) 오븐렌지의 냉각장치
JP2008304110A (ja) グリル
KR20060062210A (ko) 전자레인지
JP2011033230A (ja) 加熱調理器
JP2000342460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