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887B1 - 환상체, 환상체 장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환상체, 환상체 장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887B1
KR101195887B1 KR1020080111983A KR20080111983A KR101195887B1 KR 101195887 B1 KR101195887 B1 KR 101195887B1 KR 1020080111983 A KR1020080111983 A KR 1020080111983A KR 20080111983 A KR20080111983 A KR 20080111983A KR 101195887 B1 KR101195887 B1 KR 101195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arbon black
annular body
content
innerm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611A (ko
Inventor
마사히코 미야모토
노부유키 이치자와
요우스케 츠츠미
다쿠 후쿠하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2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details of the the intermediate support, e.g.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2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horizont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되는 환상체(環狀體)로서, 그 환상체가, 적어도 최외주층(最外周層)과 최내주층(最內周層)의 2층을 포함하고,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 환상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환상체와, 상기 환상체를 내면측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장가(張架; 장력이 걸린 상태로 걸침)하는 복수의 장가 부재를 포함하는 환상체 장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유지체, 대전 수단, 노광 수단, 현상 수단, 1차 전사 수단, 2차 전사 수단, 및 정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로서 상기 환상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화상 형성 장치, 환상체, 중간 전사 벨트, 카본 블랙

Description

환상체, 환상체 장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ANNULAR BODY, ANNULAR BODY STRETCH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환상체(環狀體), 환상체 장가(張架)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 감광체 등의 상유지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 잠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하여, 얻어진 토너상을 무단 벨트인 중간 전사 벨트 위에 정전기적으로 전사(1차 전사 공정)한 후, 전사지 등의 피전사 매체 위에 다시 전사(2차 전사 공정)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다른 복수색의 토너상을 겹침으로써 풀컬러 화상을 얻는 방식(탠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중간 전사 벨트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고, 특히,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중간 전사 벨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고 양호한 출력 화상을 얻기 위해서, 가요성(可撓性)이나 내절성(耐折性), 인장 파단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와 함께, 표면 저항률이나 체적 저항률 등의 전기적 특성이, 중간 전사 벨트에는 중요하다.
금속제의 1차 전사 롤을 사용하여, 표면 저항률(ρs)을 9≤ρs≤12로 제어하 여, 중간 전사 벨트의 내면 조도와 1차 전사 롤 표면 조도의 합을 1.2㎛ 이하로 제조한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6-184547호 참조).
또한, 벨트 상층의 두께를 5㎛~50㎛로, 하층(기층)의 두께를 50㎛~200㎛로 하고, 하층의 표면 저항률(ρs)에 대한 상층의 표면 저항률(ρs)의 비를 1000 이상, 또한 상층의 표면 저항률(ρs)을 13.0LogΩ/□ 이상으로 함으로써, 2층 구성의 중간 전사 벨트의 전사성을 개선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5-91789호 참조).
또한, 2층 구성의 중간 전사 벨트에 있어서, 벨트 상층의 체적 저항률(ρv)을 하층의 체적 저항률(ρv)보다 높게 제어함으로써, 토너 비산을 억제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1-45010호 참조).
그러나, 상기 환상체(중간 전사 벨트)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출력 화상 상에 토너상이 빠진 영역(미소 백점(微少 白点))이 발생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미소 백점이 발생하는 현상은, 1차 전사 수단에서 환상체의 내면측에 접하는 1차 전사 부재 및 2차 전사 수단에서 환상체의 내면측에 접하는 2차 전사 부재로부터 환상체에 유입되는 전자가 원인인 것을 알아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상체에 유입되는 전자가 환상체 내부를 흘러 외주 표면에 도달하면, 환상체 외주 표면에서 정전하와 전자가 쌍소멸하여, 환상체의 내면측으로부터 외면측으로의 방전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방전 전류가 증대한다. 이 방전 전류의 증대에 의해 미소 백점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이 방전 전류의 증대에 의한 미소 백점은, 예를 들면 프로세스 속도가 고속인 등의 이유에 의해 인가 전압이 상승할수록, 현저한 문제가 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지는 환상체, 그 환상체를 사용한 환상체 장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즉, 제1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되는 환상체 로서, 그 환상체가, 적어도 최외주층(最外周層)과 최내주층(最內周層)의 2층을 포함하고,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 환상체이다.
제2 발명은,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78~0.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제3 발명은,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80~0.9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제4 발명은,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81~0.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제5 발명은,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83~0.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제6 발명은, 하기 부등식(1)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50≤du/(du+dl)×100≤80 (1)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제7 발명은,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78~0.99인 것, 및
하기 부등식(1)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50≤du/(du+dl)×100≤80 (1)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제8 발명은, 하기 부등식(4)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55≤du/(du+dl)×100≤78 (4)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제9 발명은,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78~0.99인 것, 및
하기 부등식(4)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55≤du/(du+dl)×100≤78 (4)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제10 발명은, 하기식(5)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60≤du/(du+dl)×100≤76 (5)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제11 발명은,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78~0.99인 것, 및
하기 부등식(5)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60≤du/(du+dl)×100≤76 (5)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제12 발명은, 하기 부등식(6)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63≤du/(du+dl)×100≤73 (6)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 (㎛)를 나타낸다.
제13 발명은,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78~0.99인 것, 및
하기 부등식(6)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의 환상체이다.
63≤du/(du+dl)×100≤73 (6)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제14 발명은, 제1~제1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환상체와, 상기 환상체를 내면측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장가하는 복수의 장가 부재를 포함하는 환상체 장가 장치이다.
제15 발명은, 상유지체; 그 상유지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 상기 대전된 상유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수단; 상기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서 현상화하는 현상 수단; 상기 토너상을 상유지체 위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 위에 전사하는 1차 전사 수단; 상기 중간 전사 벨트 위의 토너상을, 피전사 매체에 전사하는 2차 전사 수단; 및 상기 피전사 매체 위의 토너상을 피전사 매체 위에 정착하는 정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로서 제1~제1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환상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16 발명은, 상기 1차 전사 수단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면측에 접하는 1차 전사 부재의 표면이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5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17 발명은, 상기 2차 전사 수단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면측에 접하는 2차 전사 부재의 표면이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5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18 발명은,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면측에 접하는 1차 전사 부재의 표면 및 2차 전사 부재의 표면이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5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1 발명에 의하면, 카본 블랙의 함유량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2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카본 블랙의 함유 비율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카본 블랙의 함유 비율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카본 블랙의 함유 비율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5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카본 블랙의 함유 비율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6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 및 HT 불균일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7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카본 블랙의 함유 비율 및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 및 HT 불균일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8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 및 HT 불균일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9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카본 블랙의 함유 비율 및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 및 HT 불균일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10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 및 HT 불균일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11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카본 블랙의 함유 비율 및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 및 HT 불균일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12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 및 HT 불균일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13 발명에 의하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카본 블랙의 함유 비율 및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 및 HT 불균일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14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15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해,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16 발명에 의하면, 종래이면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이 발생하기 쉬운 태양에 있어서도,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17 발명에 의하면, 종래이면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이 발생하기 쉬운 태양에 있어서도,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제18 발명에 의하면, 종래이면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이 발생하기 쉬운 태양에 있어서도,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 양호한 출력 화상이 얻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느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소위 탠덤 방식의 장치이며, 전자 사진 감광체로 이루어지는 4개의 상유지체(101a~101d)의 주위에, 그 회전 방향에 연하여 순차, 대전 장치(102a~102d), 노광 장치(114a~114d), 현상 장치(103a~103d), 1차 전사 장치(1차 전사 롤)(105a~105d), 상유지체 클리닝 장치(104a~104d)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 화상 형성 장치는 또한, 전사 후의 상유지체(101a~101d)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잔류 전위를 제거하기 위한 제전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환상체의 한 태양인 중간 전사 벨트(107)는, 장가 부재로서 기능하는 텐션 롤(106a~106d), 드라이브 롤(111) 및 백업 롤(108)에 장가(장력이 걸린 상태로 걸침)되어, 환상체 장가 장치(벨트 장가 장치)(107b)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텐션 롤(106a~106d), 드라이브 롤(111) 및 백업 롤(108)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07)는, 각 상유지체(101a~101d)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각 상유지체(101a~101d)와 1차 전사 롤(105a~105d)의 사이를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1차 전사 롤(105a~105d)이 중간 전사 벨트(107)를 거쳐 상유지체(101a~101d)에 접촉하는 부위가 1차 전사부가 된다. 상유지체(101a~101d)와 1차 전사 롤(105a~105d)의 접촉부에는 1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2차 전사 장치(second transfer device)로서, 중간 전사 벨트(107) 및 2차 전사 벨트(116)를 거쳐 백업 롤(108)과 2차 전사 롤(109)이 대향 배치되어 있다. 종이 등의 피전사 매체(115)가 중간 전사 벨트(107)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중간 전사 벨트(107)와 2차 전사 롤(109)의 사이를 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후, 정착 장치(110)를 통과한다. 2차 전사 롤(109)이 중간 전사 벨트(107) 및 2차 전사 벨트(116)를 거쳐 백업 롤(108)에 접촉하는 부위가 2차 전사부가 된다. 2차 전사 롤(109)과 백업 롤(108)의 접촉부에는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112 및 113)가, 전사 후의 중간 전사 벨트(107)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풀컬러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상유지체(101a)가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유지체(101a)의 표면이 대전 장치(102a)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 후, 레이저광 등의 노광 장치(114a)에 의해, 상유지체(101a)의 표면 위에 제1 색째의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형성된 정전 잠상이, 제1 색(a first color)에 대응하는 토너를 수용한 현상 장치(103a)에 의해, 토너로 현상(현상화)됨으로써, 제1 색째의 토너상(a toner image having the first color)이 형성된다. 또, 현상 장치(103a~103d)에는, 각 색의 정전 잠상에 대응하는 토너(예를 들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또는 블랙)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상유지체(101a) 위에 형성된 토너상은, 1차 전사부를 통과할 때에, 1차 전사 롤(105a)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07) 위에 정전적으로 전사된다(1차 전사 공정(first transferring)). 이후, 제1 색째의 토너상을 유지한 중간 전사 벨트(107) 위에, 1차 전사 롤(105b~105d)에 의해, 제2 색째의 토너상, 제3 색째의 토너상, 및 제4 색째의 토너상이, 순차 중첩되도록 1차 전사되어, 최종적으로 풀컬러의 다중 토너상이 얻어진다.
중간 전사 벨트(107) 위에 형성된 다중 토너상은, 2차 전사부를 통과할 때에, 피전사 매체(115)에 정전적으로 일괄 전사된다. 다중 토너상이 전사된 피전사 매체(115)는, 정착 장치(110)로 반송되고, 가열 및/또는 가압에 의해 정착 처리(fusing)를 거친 후, 화상 형성 장치(100) 밖으로 배출된다.
상유지체 클리닝 장치(104a~104d)에 의해, 1차 전사 후의 상유지체(101a~101d)로부터, 잔류 토너가 제거된다. 한편,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112 및 113)에 의해, 2차 전사 후의 중간 전사 벨트(107)로부터, 잔류 토너가 제거된다. 이렇게 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는, 다음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위해 구비한 상태가 된다.
[중간 전사 벨트]
[중간 전사 벨트의 카본 블랙 함유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107)는, 적어도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2층을 갖는다.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보다 적다.
최외주층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을, 최내주층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보다도 적도록 제어함으로써, 출력 화상 상에서의 미소 백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1차 전사 수단에서 중간 전사 벨트(107)의 내면측에 접하는 1 차 전사 부재(즉 1차 전사 롤(105a~105d)), 및 2차 전사 수단에서 중간 전사 벨트(107)의 내면측에 접하는 2차 전사 부재(즉 백업 롤(108))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07)로 전자가 유입된다. 유입된 전자는 중간 전사 벨트(107)의 외주 표면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해 이 전자의 양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방전 전류의 증대가 억제되어, 미소 백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추찰된다.
이 메커니즘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찰된다. 즉, 중간 전사 벨트 내면측으로부터의 전하 이동이,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에 있어서의 카본 블랙 분산 상태의 차이에 따라 변한다. 또한 최외주층의 카본 블랙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전하 이동이 늦어져, 결과로서 외주 표면에서의 방전의 영향이 작다. 이들에 의해 방전 전류의 증대가 억제되는 것으로 추찰된다.
보다 효과적으로 미소 백점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78~0.99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80~0.97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0.81~0.92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83~0.90의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율(A/B)이 0.78 이상임으로써, 1차 전사 공정 및 2차 전사 공정에 있어서, 토너가 전사될 때에, 전사 전계의 흐트러짐에 의해 토너가 소정의 위치에 전사되지 않고 주변으로 비산함에 의한 입상성(粒狀性)의 악화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비율(A/B)이 0.99 이하임으로써, 1차 전사 공정 및 2차 전사 공정에 있어서, 전사 전계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07) 외주 표면에 도달하는 전자의 양이 충분히 억제되어, 미소 백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의 최외주층과 최내주층의 막두께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107)는, 하기 부등식(1)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50≤du/(du+dl)×100≤80 (1)
상기 부등식(1)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2차 전사 공정에 있어서는, 중간 전사 벨트(107) 내면측에 접하는 2차 전사 부재(즉 백업 롤(108))로부터 유입된 전자는 최외주층에 주입된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최외주층에 있어서의 카본 블랙 함유량이 적은 경우, 중간 전사 벨트(107)의 최외주층에 전자가 국소적으로 축적되어 국소 전계가 발생한다. 이 국소 전계의 전계 강도가 역치를 초과한 지점에서 중간 전사 벨트(107)의 외주 표면으로 한번에 전하가 흘러, 2차 전사 롤(109)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방전 영역의 토너가 역극성(逆極性)으로 대전되어 피전사 매체에 전사되지 않음으로써, 출력 화상 상에 토너상이 빠진 영역(HT 불균일)이 발생한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냈다.
이에 대하여, 상기 부등식(1)을 만족시킴으로써, HT 불균일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즉, 최외주층의 막두께(du)와 최내주층의 막두께(dl)의 비를 상기와 같 이 소정 범위로 제어함으로써(du/(du+dl)×100≤80으로 제어함으로써), 최외주층 내부에 축적되는 전자의 양이 억제될 수 있어, 중간 전사 벨트(107)의 외주 표면으로 한번에 흐르는 전자의 양이 억제될 수 있고, 또한 HT 불균일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등식(1)을 만족시킴으로써, 미소 백점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즉, 최외주층의 막두께(du)와 최내주층의 막두께(dl)의 비를 상기의 범위(50≤du/(du+dl)×100)로 제어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107)로 유입된 후, 중간 전사 벨트(107)의 외주 표면에 도달하는 전자의 양이 억제될 수 있고, 방전 전류의 증대가 억제될 수 있고, 이리 하여 미소 백점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등식(1)을 만족시킴으로써, 1차 전사 공정 및 2차 전사 공정에 있어서 전사 갭에 필요 충분한 전사 전계가 형성될 수 있어, 전사 전계 부족에 의한 전사 불량(농도 저하)이 방지될 수 있고, 이리 하여 양호한 출력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최외주층의 막두께(du)와 최내주층의 막두께(dl)의 비는, 또한 55≤du/(du+dl)×100≤78(부등식4)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60≤du/(du+dl)×100≤76(부등식5)을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3≤du/(du+dl)×100≤73(부등식6)을 만족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전사 벨트(107)는, 총막두께가 50㎛~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총막두께가 50㎛ 이상이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의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보다 양호 한 출력 화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총막두께가 130㎛ 이하이면, 충분한 가요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장기간 장가된 상태에 있어서도, 중간 전사 벨트에 장가 흔적이 생기지 않아, 보다 양호한 출력 화상을 부여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107)의 재질의 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알킬렌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알킬렌프탈레이트의 블렌드 재료,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와 폴리아미드의 공중합체 등의 열경화성 수지에, 도전제를 용해 혹은 분산시킨 것이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의 중간 전사 벨트의 최외주층 및 최내주층의 어느 것에도, 도전제로서 카본 블랙이 함유된다. 그 카본 블랙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표면에 산화 처리를 실시한 카본 블랙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중간 전사 벨트(107)가 기타 중간층을 갖는 경우, 그 기타 중간층에 있어서도 도전제로서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중간 전사 벨트(107)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사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회전 도포법에 의해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07)의 길이에 대응한 외경을 갖는 원통 성형관(11)을 준비한다. 원통 성형관(11) 외주면에 연한 위치에, 도포액(16)을 원통 성형관(11) 외주면 위에 토출하기 위한 노즐(15)을 배치한다. 노즐(15)은 배관을 통하여 도포액 용기(14)에 접속되어 있다. 도포액 용기(14)는 배관을 통하여 가압 장치(1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노즐(15)의 하방에는, 토출된 도포액(16)을 원통 성형관(11) 외주면 위에서 평탄화하기 위한 블레이드(18)가 배치되어 있다.
원통 성형관(11)을, 원통 성형관 회전 방향(화살표(D))을 향해 회전하고, 노즐(15)로부터 도포액(최내주층용 도포액)(16)을 원통 성형관(11) 외주면 위에 토출하고, 토출된 도포액(16)을 블레이드(18)로 원통 성형관(11) 외주면 위에서 평탄화한다. 노즐(15)과 블레이드(18)는, 노즐 및 블레이드 이동 방향(화살표(E))의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이동하여, 도포액(16)을 원통 성형관(11) 외주면 위에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도포한다. 여기서, 도포액(16)이 가압 장치(17)에 의해 노즐(15)로부터 일정량 토출되도록, 조절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통 성형관(11) 외주면 위에 도포액(16)의 도막이 형성된다.
얻어진 도포액(16) 도막을 가열 건조시켜 최내주층을 형성한 후, 도포액(최외주층용 도포액)(16)을 사용하고 또한 도포 및 건조하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구성을 갖는 막을 얻을 수 있다. 그 후, 냉각하여 원통 성형관(11)으로부터 구성을 갖는 막을 박리하고, 소정의 폭으로 절단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107)를 얻을 수 있다.
또, 도포액(최내주층용 도포액 및 최외주층용 도포액)(16)의 수지 재료로서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통 성형관(11) 외주면 위에 도포액(16) 도막을 형성한 후, 80℃~170℃에서 건조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고(건조 공정), 또한 250℃~350℃로 가열함으로써 이미드 전화(소성 공정)시켜 폴리이미드 수지막을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최내주층의 형성 및 최외주층의 형성(도포?건조 공정의 반복) 후, 소성 공정을 거침으로써, 원하는 구성을 갖는 막을 얻을 수 있다.
3층 이상의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도, 도포 및 건조하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포액(16)의 고형분 농도는, 예를 들면 10질량%~40질량%, 점도는 1Pa?s~100Pa?s로 할 수 있다. 도포액(16)에는, 요구되는 중간 전사 벨트의 표면 저항률에 따라 소정량의 카본 블랙 등의 도전성 입자를 분산시켜 둘 수 있다. 그 도전성 입자의 분산 방법으로서는, 제트 밀, 롤 밀, 볼 밀, 진동 볼 밀, 애트라이터, 샌드 밀, 콜로이드 밀, 페이트 쉐이커 등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07)의 두께는, 도포액(16)의 토출량, 노즐(15) 및 블레이드(18)의 이동 속도, 도포액(16)의 고형분 농도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107)의 두께는, 반복 화상 출력에 있어서도 치수 정밀도 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50㎛~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유지체]
공지의 전자 사진 감광체를, 상유지체(101a~101d)로서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사진 감광체의 예로는, 감광층이 무기 재료로 구성되는 무기 감광체나, 감광층이 유기 재료로 구성되는 유기 감광체 등이 포함된다. 유기 감광체의 예로는, 노광에 의해 전하를 발생하는 전하 발생층과, 전하를 수송하는 전하 수송층을 적층하는 기능 분리형 유기 감광체나, 전하를 발생하는 기능과 전하를 수송하는 기능을 동일한 층이 감당하는 단층형 유기 감광체가 포함된다. 또한, 무기 감광체의 예로는, 감광층이 아모퍼스 실리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포함된다.
상유지체의 형상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상유지체는, 예를 들면, 원통 드럼상, 시트상 혹은 플레이트상 등, 공지의 형상이어도 좋다.
[대전 장치]
대전 장치(102a~102d)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도전성(여기서, 「도전성」이란, 예를 들면 체적 저항률이 107Ω?cm 미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동일하다) 또는 반도전성(여기서, 「반도전성」이란, 예를 들면 체적 저항률이 107~1013Ωcm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동일하다)의 롤러, 블러쉬, 필름, 고무 블레이드 등을 사용한 접촉형 대전기,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스코로톤 대전기나 코로톤 대전기 등, 공지의 대전기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오존의 발생이 적어, 효율적인 대전을 행할 수 있는, 접촉형 대전기가 바람직하다.
대전 장치(102a~102d)는, 상유지체(101a~101d)에 대하여, 통상, 직류 전류를 인가한다. 대전 장치(102a~102d)는, 상유지체(101a~101d)에 대하여, 교류 전류를 또한 중첩시켜 인가해도 좋다.
[노광 장치]
노광 장치(114a~114d)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상유지체(101a~101d)의 표면에, 반도체 레이저광, LED광, 액정 셔터광 등의 광원, 혹은 이들 광원으로부터 폴리곤 미러를 거쳐 원하는 상(像) 형태로 노광시킬 수 있는 광학계 기기 등, 공지의 노광 장치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현상 장치]
현상 장치(103a~103d)는,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 성분계 현상제 또는 2 성분계 현상제를 블러쉬, 롤러 등을 사용하여 접촉 혹은 비접촉시켜 현상하는 공지의 현상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사용하는 토너(현상제)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결착 수지와 착색제를 함유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착 수지의 예로는, 스티렌류, 모노올레핀류, 비닐에스테르류, α-메틸렌 지방족 모노카르복시산에스테르류, 비닐에테르류, 비닐케톤류 등의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특히 대표적인 결착 수지의 예로는,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포함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아미드, 변성 로진, 파라핀 왁스 등도 포함된다.
착색제의 예로는, 마그네타이트, 페라이트 등의 자성분, 카본 블랙, 아닐린 블루, 칼코일 블루, 크롬 옐로우, 울트라마린 블루, 듀퐁오일 레드, 퀴놀린 옐로우, 메틸렌 블루 클로리드, 프탈로시아닌 블루, 말라카이트 그린 옥살레이트, 램프 블랙, 로즈벵갈, C.I. 피그먼트 레드48:1, C.I. 피그먼트 레드122, C.I. 피그먼트 레드57:1, C.I. 피그먼트 옐로우97, C.I. 피그먼트 옐로우17, C.I. 피그먼트 블루15:1, C.I. 피그먼트 블루15:3 등이 포함된다.
토너에는, 대전 제어제, 이형제, 상기 도전성 입자 이외의 다른 입자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내첨가 처리나 외첨가 처리에 의해 첨가해도 좋다.
이형제의 예로는, 저분자 폴리에틸렌, 저분자 폴리프로필렌, 피셔-트롭쉬 왁스, 몬탄 왁스, 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칸델릴라 왁스 등이 포함된다.
대전 제어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아조계 금속 착화합물, 살리실산의 금속 착화합물, 극성기를 함유하는 레진 타입 등의 대전 제어제가 포함된다.
다른 입자로서는, 분체 유동성, 대전 제어 등의 목적에서, 평균 1차 입경이 40nm 이하의 소경(小徑) 무기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부착력 저감을 위해서, 그보다 대경(大徑)의 무기 입자 혹은 유기 입자를 병용해도 좋다. 공지의 입자를 이들 다른 입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소경 무기 입자를 표면 처리하는 것은, 입자의 분산성을 높이고, 분체 유동성을 올리는 효과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유효하다.
토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높은 형상 제어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유화 중합 응집법이나 용해 현탁법 등의 중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방법으로 얻어진 토너를 코어로 하고, 또한 응집 입자를 부착하고, 가열 융합하여, 토너에 코어-쉘 구조를 갖게 하는 제조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외첨제를 토너에 첨가하는 경우의 첨가 방법의 예로는, 토너 및 외첨제를 헨 쉘 믹서 혹은 V 블렌더 등으로 혼합함으로써 첨가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또한, 토너를 습식으로 제조하는 경우는, 습식으로 외첨제를 토너에 외첨하는 것도 가능하다.
[1차 전사 롤]
1차 전사 롤(105a~105d)은 단층 혹은 다층의 어느 구성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단층 구조의 경우는, 1차 전사 롤은, 발포 또는 무발포의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EPDM 등에 카본 블랙 등의 도전성 입자가 적량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롤이어도 좋다.
또한, 표면이 금속으로 구성된 롤도, 1차 전사 롤(105a~105d)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면이 금속으로 구성된 1차 전사 롤은, 내환경 변동성이 뛰어난 것, 경시적인 롤 저항 상승이 억제되어 있는 것, 전원 용량의 점, 및 전류지(電流地) 제어의 점에서 적합하다.
종래의 조건 하에서는, 1차 전사 롤로서 표면이 금속으로 구성된 롤의 사용은, 방전 전류의 증대에 의한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이 발생하기 쉬웠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중간 전사 벨트(107)를 적용하면, 표면이 금속으로 구성된 1차 전사 롤(105a~105d)을 사용한 경우이어도, 미소 백점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1차 전사 롤(105a~105d)의 표면을 구성하는 금속의 예로는, 스테인리스강, 철, 알루미늄 등 종래 공지의 금속이 포함된다. 특히 금속 표면에 니켈, 구리, 크롬 등의 도금 처리를 실시한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유지체 클리닝 장치]
상유지체 클리닝 장치(104a~104d)는, 1차 전사 공정 후의 상유지체(101a~101d)의 표면에 부착하는 잔존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클리닝 블레이드, 블러쉬 클리닝, 롤 클리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클리닝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의 재질로서는 우레탄 고무, 네오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2차 전사 롤]
2차 전사 롤(109)의 층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2차 전사 롤(109)이 3층 구조를 갖는 경우, 그 구조는 코어층과 중간층과 그 표면을 피복하는 코팅층을 가질 수 있다. 코어층은 도전성 입자를 분산한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EPDM 등의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고, 중간층은 이들의 무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의 재료로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퍼플루오로알콕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2차 전사 롤(109)의 체적 저항률은 107Ω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차 전사 롤(109)의 층 구조는, 중간층을 뺀 2층 구조이어도 좋다.
[백업 롤]
백업 롤(108)은, 2차 전사 롤(109)의 대향 전극을 형성한다. 백업 롤(108)의 층 구조는, 단층 혹은 다층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백업 롤(108)이 단층 구조를 갖는 경우, 그 단층 구조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EPDM 등에 카 본 블랙 등의 도전성 입자가 적량 배합된 롤로 구성될 수 있다. 백업 롤(108)이 2층 구조를 갖는 경우, 그 구조는 상기와 같은 고무 재료로 구성되는 탄성층의 외주면을 고저항층으로 피복한 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백업 롤(108)은, 표면이 금속으로 구성된 롤이어도 좋다. 표면이 금속으로 구성된 백업 롤은, 내환경 변동성이 뛰어나고, 경시적인 롤 저항 상승이 억제되고, 전원 용량 및 전류지 제어의 점에서 적합하다. 단, 종래에 있어서는, 백업 롤로서 표면이 금속으로 구성된 롤을 사용한 경우에는, 방전 전류의 증대에 의한 미소 백점의 화질 결함이 발생하기 쉽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중간 전사 벨트(107)를 적용함으로써, 표면이 금속으로 구성된 백업 롤(108)을 사용한 경우이어도, 미소 백점의 발생이 억제된다.
상기 백업 롤(108)에 있어서 표면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스테인리스강, 철, 알루미늄 등 종래 공지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금속 표면에 니켈, 구리, 크롬 등의 도금 처리를 실시한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백업 롤(108)의 샤프트와 2차 전사 롤(109)의 샤프트 사이에는, 통상 1kV~6kV의 전압이 인가된다. 백업 롤(108)의 샤프트에의 전압 인가 대신에, 백업 롤(108)에 접촉시킨 전기 양도성(良導性)의 전극 부재와 2차 전사 롤(109)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 상기 전극 부재의 예로는, 금속 롤, 도전성 고무 롤, 도전성 블러쉬, 금속 플레이트, 도전성 수지 플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정착 장치]
정착 장치(110)의 예로는, 열 롤러 정착기나 가압 롤러 정착기, 플래쉬 정착기 등 공지의 정착기가 포함된다.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112 및 113)로서는, 클리닝 블레이드 이외에, 블러쉬 클리닝, 롤 클리닝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클리닝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의 재질로서는 우레탄 고무, 네오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상유지체와 1차 전사 롤의 위치 관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경인 상유지체(101S)를 사용할 때에는, 상유지체(101S)와 1차 전사 롤(105)은 중간 전사 벨트(107)를 끼고 직접 접촉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세스 속도가 고속이 될수록, 상유지체(101L)의 직경은 대경화하여 곡률이 작아진다. 그 경우, 1차 전사 롤(105)과 (중간 전사 벨트(107)를 거쳐)직접 접촉한다. 특히 1차 전사 롤(105)의 표면이 금속제인 경우, 상유지체(101L)와 1차 전사 롤(105)의 접촉은 강체간의 접촉이 되어, 장기간에 걸친 사용에 의해, 캐리어 등의 이물이 낌으로써 상유지체(101L)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기 때문에, 출력 화상 상에 색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 본 출원인의 검토에 의해 판명되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프셋 거리(L1)(상유지체(101L)의 축과 1차 전사 롤(105)의 축의, 중간 전사 벨트(101) 구동 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난 거리)를, 중간 전사 벨트 흡착 거리(L2)(중간 전사 벨트(107)가 상유지체(101L)에 접촉하고 있는 영역의 길이)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 흡착 거리(L2)는 상유지체(101L)의 직경에 의존한다. 상유지체(101L)가 대경일수록 흡착 거리(L2)는 크게 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07)의 장력이 약할수록, 1차 전사 롤(105)의 하중이 클수록, 또한 1차 전사 롤(105)의 상유지체(101L)측으로의 진입량이 클수록, 중간 전사 벨트 흡착 거리(L2)는 크게 된다. 상기 구성과 같이 1차 전사 롤(105)을 배치함으로써, 상유지체(101L)의 직경에 의존하지 않고, 1차 전사 롤(105)은 상유지체(101L)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없어진다. 그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사용에 의해서도 상유지체(101L) 표면에서의 흠집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오프셋 거리(L1)를 크게 하는 것, 1차 전사 롤(105)의 하중을 약하게 하는 것 등에 의해, 전사 전압이 커져 방전 전류의 증대에 의한 미소 백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중간 전사 벨트(107)를 적용함으로써, 미소 백점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유지체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소위 탠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했지만, 그 화상 형성 장치는, 상유지체가 1개이고, 색수분만큼 중간 전사 벨트가 회전?작상(作像) 프로세스를 행하는 소위 복수 사이클 방식(예를 들면 4 사이클 방식 등)의 장치이어도 좋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중간 전사 벨트의 제작]
[최내주층용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제조]
우선,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시산2무수물과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믹산의 NMP 용액(이미드 전화 후의 고형분율이 18질량%)에, 폴리아믹산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상품명 : SPECIAL BLACK 4, Degussa사제)을 80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고, 제트 밀 분산기(상품명 : GEANUS PY[충돌부의 최소부 단면적 0.032mm2], 지너스사제)를 사용하여, 압력 200MPa로 분산 유닛부를 5회 통과시켜 분산?혼합을 행하여, 분산액(A)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분산액(A)에 대하여,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시산2무수물과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믹산의 NMP 용액(이미드 전화 후의 고형분율이 18질량%)을, 폴리아믹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이 22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고, 플래니터리식 믹서(상품명 : G아이코 믹서, 아이코샤세이사쿠쇼제)를 사용하여 혼합?교반함으로써, 최내주층용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제조했다.
[최외주층용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제조]
다음으로, 상기 분산액(A)에 대하여,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시산2무수물과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믹산의 NMP 용액(이미드 전화 후의 고형분율이 18질량%)을, 폴리아믹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이 16질 량부가 되도록 첨가한 이외는, 최내주층용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최외주층용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제조했다.
[최내주층의 형성]
도 2에 나타내는 원통 성형관(11)으로서, 외경 366mm, 길이 650mm의 알루미늄제 원통체를 준비했다. 이러한 알루미늄제 원통체는, 표면을 절삭하여 외경을 366mm로 한 후, 구형 유리 입자에 의한 블라스트 처리에 의해, 표면 조도 Ra : 0.40㎛로 조면화한 것이다. 그 원통 성형관(11)의 표면에 실리콘계 이형제(상품명 : KS700, 신에츠가가쿠(주)제)를 도포하고, 300℃에서 1시간 베이크(baking) 처리를 실시하여 알루미늄제 원통체를 제작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성형관(11)을 축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화살표(D)의 방향으로 40rpm으로 회전시켰다(회전 도포 공정). 블레이드(18)는 폭 20mm, 두께 0.5mm의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탄력성을 갖고 있다.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16)으로서 상기 최내주층용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원통 성형관(11)에 블레이드(18)를 누르면서, 용기(14)로부터 구경 2mm의 노즐(15)을 통하여 압출하여 원통 성형관(11)에 도포했다.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16)이 블레이드(18)를 통과할 때, 블레이드(18)가 눌러 펴, 블레이드(18)와 원통 성형관(11) 사이에는 간극이 생겼다. 이어서, 노즐(15)과 블레이드(18)를 화살표(E)의 방향으로 120mm/분의 속도로 이동시켰다. 또, 도포시에는, 원통 성형관(11)의 양단에 20mm씩의 부(不)도포 영역을 마련했다. 다음으로, 최내주층용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이 도포된 원통 성형관(11)을 수평인 채로, 6rpm으로 회전시키면서 120℃에서 25분간 가열 건조시켜, 최내주층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건조막을 얻었다. 또, 최내주층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건조막의 막두께는, 후에 나타내는 이미드화 후의 막두께가 53㎛가 되도록, 도포시의 노즐(15)로부터의 압출액량을 조정했다.
[최외주층의 형성]
최내주층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건조막이 형성된 원통 성형관(11)의 표면에, 상기 최외주층용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최내주층의 형성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도포했다.
다음으로, 최외주층용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이 도포된 원통 성형관(11)을 수평인 채로, 6rpm으로 회전시키면서 120℃에서 25분간 가열 건조시켜, 최외주층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건조막을 얻었다. 또, 최외주층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건조막의 막두께는, 후에 나타내는 이미드화 후의 막두께가 47㎛가 되도록, 도포시의 노즐(15)로부터의 압출액량을 조정했다.
얻어진 최내주층용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건조막 위에, 최외주층용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 전구체 건조막을 적층한 원통 성형관(11)을, 200℃에서 30분간, 이어서 260℃에서 30분간, 또한 300℃에서 30분간, 마지막으로 320℃에서 20분간 가열하여, 카본 블랙 분산 폴리이미드피막을 형성했다. 그 후, 원통 성형관(11)의 온도가 실온(25℃)으로까지 냉각한 지점에서, 원통 성형관(11)으로부터 폴리이미드 수지 피막을 박리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 수지 피막을 362mm의 폭으로 절단하여, 중간 전사 벨트 구성품을 얻었다. 얻어진 중간 전사 벨트를 2매 이어 맞춰서 둘레 길이 2111mm의 중간 전사 벨트를 얻었다.
얻어진 중간 전사 벨트의 표면 저항률은 12.02LogΩ/□, 체적 저항률은 11.72LogΩ?cm이었다. 또, 표면 저항률 및 체적 저항률의 측정은, 중간 전사 벨트의 프로세스 방향 20점, 프로세스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4점의 조합 80개소에 대하여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했다.
[실시예2~40, 비교예1~6]
실시예1에 있어서의, 최외주층막 두께(du), 최내주층막 두께(dl), 최외주층 카본 블랙(CB) 함유량, 최내주층 카본 블랙(CB) 함유량을 각각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값으로 바꾼 이외는, 실시예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2~40 및 비교예1~6의 중간 전사 벨트를 제작했다. 각각의 중간 전사 벨트의 표면 저항률 및 체적 저항률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표면 저항률 ρs의 측정]
도 5에 표면 저항률 측정 장치의 단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GND에 접속된 이면 전극(23) 위에 절연 시트(24), 또한 그 위에 측정 샘플(27)을 배치한다. 측정 샘플(27) 위에 표면 전극(21)과 가드 전극(22)을 배치하고, 절연 시트(24)를 거쳐 이면 전극(23)과 표면 전극(21) 및 가드 전극(22)으로, 측정 샘플(27)을 끼운 샌드위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드 전극(22)에 접속된 직류 전원(25)에 의해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표면 전극(21)에 접속된 미소 전류계(26)에 의해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하여, 표면 저항률을 산출한다.
도 7에, 표면 저항률 측정 장치에 사용하는 전극의 평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표면 전극(21)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 환상으로 가드 전극(22)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d1~d3은, 각각 표면 전극(21)의 직경, 가드 전극(22)의 내주원의 직경, 가드 전극(22)의 외주원의 직경을 나타낸다. 이들 값은, 측정 샘플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추어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 중의 표면 저항률의 측정에는, UR 프로브(미쯔비시가가쿠사제)를 사용하고, d1~d3은 각각 하기의 값으로 했다.
d1=16mm
d2=30mm
d3=40mm
표면 저항률 ρs는 하기 등식(2)으로 산출했다.
ρs=[π(d2+d1)/(d2-d1)]×(V/I) (2)
여기서, V는 표면 전극(21)에 인가하는 전압값(V)을 나타낸다. I는 미소 전류계(26)로 검출하는 전류값(A)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 중의 표면 저항률의 측정에서는, 표면 전극(21)에 인가하는 전압은 500V로 했다. 또한, 전류값 I는 전압 V를 인가하고 나서 10s 후의 값으로 했다. 표면 저항률의 측정은 온도 20℃, 상대 습도 40%의 환경 하에서 행했다.
[체적 저항률 ρv의 측정]
도 6에 체적 저항률 측정 장치의 단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직류 전원(25)을 거쳐 GND에 접속된 이면 전극(23) 위에 측정 샘플(27)을 배치한다. 측정 샘플(27) 위에 표면 전극(21)과 가드 전극(22)을 배치하여, 이면 전극(23)과 표면 전극(21) 및 가드 전극(22)으로, 측정 샘플(27)을 끼운 샌드위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드 전극(22)은 GND에 접속되어 있다. 이면 전극(23)에 접속된 직류 전원(25)에 의해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표면 전극(21)에 접속된 미소 전류계(26)에 의해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하여, 체적 저항률을 산출한다.
도 7에, 체적 저항률 측정 장치에 사용하는 전극의 평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표면 전극(21)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 환상으로 가드 전극(22)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d1~d3은, 각각 표면 전극(21)의 직경, 가드 전극(22)의 내주원의 직경, 가드 전극(22)의 외주원의 직경을 나타낸다. 이들 값은, 측정 샘플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추어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 중의 체적 저항률의 측정에는, UR 프로브(미쯔비시가가쿠사제)를 사용하고, d1~d3은 각각 하기의 값으로 했다.
d1=16mm
d2=30mm
d3=40mm
체적 저항률 ρv는 하기 등식(3)으로 산출했다.
ρv=[(π×d12)/4]×(V/I)×(1/t) (3)
여기서, V는 표면 전극(21)에 인가하는 전압값(V)을 나타낸다. I는 미소 전류계(26)로 검출하는 전류값(A)을 나타낸다. t는 측정 샘플의 막두께(cm)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 중의 체적 저항률의 측정에서는, 표면 전극(21)에 인가하는 전압은 500V로 했다. 또한, 전류값 I는 전압 V를 인가하고 나서 10s 후의 값으로 했다. 또한, 측정 샘플의 막두께 t의 측정에는, 마이크로 미터나 와전류식 막두께계 등 공지의 어떤 방법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 중에서는, 와전류식 막두께계(상품명 : ISOSCOPE MP30, Fischer사제)로 막두께를 측정했다. 체적 저항률의 측정은 온도 20℃, 상대 습도 40%의 환경 하에서 행했다.
[평가]
화상 평가기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각의 중간 전사 벨트를 탑재했다. 그 화상 평가기는, 도 1에 나타내는 기본 구성을 갖는 풀컬러 복합기(상품명 : DOCUCOLOR 8000 DIGITAL PRESS, 후지제롯쿠스사제)를, 2차 전사 롤을 평가기 본체 내장의 전원으로부터 차단하고, 외부 전원(상품명 : MODEL 610D, TRek사제)에 접속하여, 2차 전사 롤에 외부로부터 직접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개조하여 이루어진다. 프린트시에 2차 전사 롤에 인가되는 전사 전압을 4.0kV로 설정했다. Cyan 솔리드(농도 100%) 화상에서 미소 백점, 입상성, 전사 불량을, Cyan 하프톤(농도 30%) 화상에서 하프톤 불균일(HT 불균일)을 각각 평가했다. 또,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미소 백점의 평가 그레이드
G0 : 발생이 없음
G1 : 조금 발생이 보여짐(허용 레벨 내)
G2 : 발생이 보여짐(허용 레벨 내)
G3 : 발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허용 레벨 내)
G4 : 발생을 확인할 수 있어 허용할 수 없게 되는 레벨
G5 : 발생이 현저해져 허용 레벨을 크게 초과함
G6 : 발생수, 크기도 커져 허용 레벨을 훨씬 초과함
?입상성의 평가 그레이드
G0 : 도트의 흐림이 없음
G1 : 조금 도트의 흐림이 보여짐(허용 레벨 내)
G2 : 도트의 흐림이 보여짐(허용 레벨 내)
G3 : 도트의 흐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허용 레벨 내)
G4 : 도트의 흐림을 허용할 수 있는 한계의 레벨
G5 : 도트의 흐림이 현저해져 허용 레벨을 크게 초과함
G6 : 흐림에 의해 도트 형상을 확인할 수 없음
?전사 불량의 평가 그레이드
G0 : 농도 저하가 없음
G1 : 조금 농도의 저하가 보여짐(허용 레벨 내)
G2 : 농도 저하가 보여짐(허용 레벨 내)
G3 : 농도 저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허용 레벨 내)
G4 : 농도 저하를 허용할 수 있는 한계의 레벨
G5 : 농도 저하가 현저해져 허용 레벨을 크게 초과함
G6 : 농도 저하에 의해 도트 형상을 확인할 수 없음
?HT 불균일의 평가 그레이드
G0 : 발생이 없음
G1 : 조금 발생이 보여짐(허용 레벨 내)
G2 : 발생이 보여짐(허용 레벨 내)
G3 : 발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허용 레벨 내)
G4 : 발생을 확인할 수 있고 허용할 수 있는 한계 레벨
G5 : 발생이 현저해져 허용 레벨을 크게 초과함
G6 : 발생수, 크기도 커져 허용 레벨을 훨씬 초과함
[표 1]
Figure 112010073932975-pat00010
[표 2]
Figure 112010073932975-pat00011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적합한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벨트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원통 성형관 내주면 도포 장치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3은 종래에 있어서의 상유지체와 1차 전사 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4는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의 상유지체와 1차 전사 롤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벨트의 표면 저항률 측정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벨트의 체적 저항률 측정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중간 전사 벨트의 표면 저항률 및 체적 저항률 측정 장치에 사용하는 전극의 평면 개략도.

Claims (18)

  1.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되는 환상체(環狀體)로서, 그 환상체가,
    적어도 최외주층(最外周層)과 최내주층(最內周層)의 2층을 포함하고,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보다 적고,
    하기 부등식(1)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체:
    50≤du/(du+dl)×100≤80 (1)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78~0.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80~0.9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81~0.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83~0.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체.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하기 부등식(4)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체:
    55≤du/(du+dl)×100≤78 (4)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78~0.99인 것, 및
    하기 부등식(4)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체:
    55≤du/(du+dl)×100≤78 (4)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10. 제1항에 있어서,
    하기 부등식(5)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체:
    60≤du/(du+dl)×100≤76 (5)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78~0.99인 것, 및
    하기 부등식(5)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체:
    60≤du/(du+dl)×100≤76 (5)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1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부등식(6)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체:
    63≤du/(du+dl)×100≤73 (6)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A(질량%)와, 상기 최내주층에 있어서 단위 체적당에 함유되는 카본 블랙의 함유량B(질량%)의 비율(A/B)이 0.78~0.99인 것, 및
    하기 부등식(6)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상체:
    63≤du/(du+dl)×100≤73 (6)
    식 중, du는 최외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내고, dl은 최내주층의 막두께(㎛)를 나타낸다.
  14. 제1항 내지 제5항,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상체와, 상기 환상체를 내면측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장가(張架)하는 복수의 장가 부재를 포함하는 환상체 장가 장치.
  15. 상유지체;
    그 상유지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
    상기 대전된 상유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수단;
    상기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서 현상화하는 현상 수단;
    상기 토너상을 상유지체 위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 위에 전사하는 1차 전사 수단;
    상기 중간 전사 벨트 위의 토너상을, 피전사 매체에 전사하는 2차 전사 수단; 및
    상기 피전사 매체 위의 토너상을 피전사 매체 위에 정착하는 정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전사 벨트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상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전사 수단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면측에 접하는 1차 전사 부재의 표면이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사 수단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면측에 접하는 2차 전사 부재의 표면이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면측에 접하는 1차 전사 부재의 표면 및 2차 전사 부재의 표면이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111983A 2008-03-26 2008-11-12 환상체, 환상체 장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195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2019 2008-03-26
JPJP-P-2008-082019 2008-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11A KR20090102611A (ko) 2009-09-30
KR101195887B1 true KR101195887B1 (ko) 2012-10-30

Family

ID=4111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983A KR101195887B1 (ko) 2008-03-26 2008-11-12 환상체, 환상체 장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45106B2 (ko)
JP (2) JP2009258699A (ko)
KR (1) KR101195887B1 (ko)
CN (1) CN1015461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0099B2 (ja) * 2008-05-30 2014-08-13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ームレスベルト
JP2010122437A (ja) * 2008-11-19 2010-06-03 Nitto Denko Corp 半導電性ポリイミドベルト
JP5633992B2 (ja) 2010-06-11 2014-1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668976B2 (en) * 2011-01-19 2014-03-11 Xerox Corporatio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and composition
US8901257B2 (en) * 2011-02-12 2014-12-02 Xerox Corporation Endless flexible members for imaging devices
JP5867809B2 (ja) * 2011-12-15 2016-02-24 株式会社リコー 中間転写ベルト、中間転写ベルト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170053A (ja) * 2013-03-01 2014-09-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用いるベルト部材の製造方法
JP2018163226A (ja) * 2017-03-24 2018-10-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298253B2 (ja) * 2019-04-10 2023-06-2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転写ベルト、転写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871733B2 (en) * 2019-05-10 2020-12-22 Fuji Xerox Co., Ltd. Belt, intermediate transfer bel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194002A (ja) * 2019-05-24 2020-12-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ベルト、中間転写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7447452B2 (ja) 2019-12-06 2024-03-1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無端ベルト、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475A (ja) * 1999-03-17 2000-09-26 Mitsubishi Chemicals Corp 多層シームレスベルト
JP2002210803A (ja) 2001-01-15 2002-07-31 Gunze Ltd 半導電性無端管状多層フッ素樹脂フイ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JP2002273837A (ja) 2001-03-16 2002-09-25 Gunze Ltd 電気抵抗安定性多層フッ素樹脂フイ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006184786A (ja) 2004-12-28 2006-07-13 Bridgestone Corp 導電性エンドレスベル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109A (ja) 1994-07-12 1996-02-02 Ricoh Co Ltd 転写ベルト
JPH1145010A (ja) 1997-07-24 1999-02-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075371A (ja) * 1999-09-02 2001-03-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287383A (ja) * 2003-03-06 2004-10-14 Fuji Xerox Co Ltd 半導電性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396167B2 (ja) * 2003-03-10 2010-0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半導電性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5024873A (ja) * 2003-07-02 2005-01-27 Fuji Xerox Co Ltd 半導電性ベルト、及び半導電性ベルトの製造方法
JP2005062553A (ja) 2003-08-14 2005-03-1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91789A (ja) 2003-09-18 2005-04-07 Bridgestone Corp 転写ベルト
JP2005099182A (ja) * 2003-09-22 2005-04-14 Fuji Xerox Co Ltd 半導電性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76875B2 (ja) 2003-11-10 2007-02-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45375B2 (ja) * 2003-12-19 2010-04-07 株式会社リコー 中間転写体とその成膜液組成物
JP2006072247A (ja) * 2004-09-06 2006-03-16 Fuji Xerox Co Ltd 中間転写ベルト、画像形成装置、中間転写ユニット
JP2006079016A (ja) * 2004-09-13 2006-03-23 Fuji Xerox Co Ltd 半導電性ベルト、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20060072939A1 (en) * 2004-09-23 2006-04-06 Kremer Karl H Print correction for paper shrinkage
JP4649986B2 (ja) 2004-12-27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967408A (zh) * 2005-11-14 2007-05-23 株式会社普利司通 导电性环带
JP4821311B2 (ja) * 2005-12-26 2011-11-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半導電性ベルト及び該半導電性ベルト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7226165A (ja) * 2006-01-27 2007-09-06 Ricoh Co Ltd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
JP2009115965A (ja) * 2007-11-05 2009-05-28 Nitto Denko Corp 半導電性シームレスベル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475A (ja) * 1999-03-17 2000-09-26 Mitsubishi Chemicals Corp 多層シームレスベルト
JP2002210803A (ja) 2001-01-15 2002-07-31 Gunze Ltd 半導電性無端管状多層フッ素樹脂フイ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JP2002273837A (ja) 2001-03-16 2002-09-25 Gunze Ltd 電気抵抗安定性多層フッ素樹脂フイ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006184786A (ja) 2004-12-28 2006-07-13 Bridgestone Corp 導電性エンドレスベル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6164B (zh) 2012-10-17
JP2009258699A (ja) 2009-11-05
KR20090102611A (ko) 2009-09-30
JP5429419B2 (ja) 2014-02-26
US20090245893A1 (en) 2009-10-01
CN101546164A (zh) 2009-09-30
US8145106B2 (en) 2012-03-27
JP2013122618A (ja)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887B1 (ko) 환상체, 환상체 장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3195452A (ja) 画像形成装置用複層ポリイミドフィルム、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用複層ポリイ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381397B2 (ja) 環状体、環状体張架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環状体の製造方法
JP547077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60734A (ja) 画像形成装置
US7266333B2 (en) Semiconductive bel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emiconductive belt
JP2004287383A (ja) 半導電性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482054B2 (ja) 画像形成装置用の円筒状部材の製造方法
JP2004279531A (ja) 転写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8032067B2 (en) Circular body, circular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25052A (ja) 半導電性ベルト、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中間転写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71746A (ja) 半導電性ベルト及び該半導電性ベルト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1231684A (ja) 画像形成装置、中間転写体および定着用ベルト
JP200712788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58708A (ja) 環状体、環状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72147B2 (ja) 中間体転写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20142B2 (ja) 二次転写装置用の二次転写ベルト、二次転写装置、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125414A (ja) 管状体、管状体ユニット、中間転写体、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334150A (ja) 半導電性ベルト、半導電性ベルト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48280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33511A (ja) 画像形成装置
JPH102281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1588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37288A (ja) 中間転写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92795B2 (ja) 転写ベルト、転写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