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462B1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462B1
KR101184462B1 KR1020040028641A KR20040028641A KR101184462B1 KR 101184462 B1 KR101184462 B1 KR 101184462B1 KR 1020040028641 A KR1020040028641 A KR 1020040028641A KR 20040028641 A KR20040028641 A KR 20040028641A KR 101184462 B1 KR101184462 B1 KR 101184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pressing
pressing member
sewing machine
cloth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4321A (ko
Inventor
쿠보타츠구오
사카이카츠아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4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1/00Workpiece holders or hold-downs in machines for sewing leathe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주전원 차단시에 천누름 부재가 상승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천누름 부재를 자동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으며 천누름 부재의 교환작업, 바늘의 교환작업, 북의 위치맞춤 작업 등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한 천누름 부재(7)를 상시 하강방향으로 가압하는 천누름 스프링(24)과, 천누름 부재(7)를 상승시키는 밀어올리는 수단을 구비하는 재봉틀(1)에 있어서, 밀어올리는 수단은 천누름 부재(7)를 천누름 스프링(24)의 가압에 맞서 상승시켜 유지하는 밀어올리는 기구(30)와, 구동에 의해 밀어올리는 기구(30)의 유지를 해제하는 천누름 구동모터(6)를 갖는다. 또 주전원의 차단후에 천누름 구동모터(6)의 구동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전력을 유지하는 평활콘덴서(72)와, 주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천누름 부재(7)의 위치가 소정 높이 이상에 있는 경우에 평활콘덴서(72)의 전력에 의해 천누름 구동모터(6)를 구동하여 천누름 부재(7)를 하강시키는 구동부(80) 및 제어부(9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재봉틀{A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의 두부의 개략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재봉틀의 밀어올리는 기구 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 III방향에서 실제거기구를 본 경우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재봉틀에 구비되는 캠부재의 제 2캠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재봉틀의 전기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재봉틀의 주전원 차단시에 있어 제어동작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재봉틀의 주전원 차단시의 제어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재봉틀 5: 주축모터
5a: 바늘봉 5b: 바늘
6: 천누름 구동모터(전기적 구동수단)
7: 천누름 부재 24: 천누름 스프링(탄성부재)
30: 밀어올리는 기구 40: 포트인터럽터(누름높이 검출수단)
72: 평활콘덴서(전력유지수단)
80: 구동부(천누름 제어수단)
90: 제어부(천누름 제어수단, 누름높이 검출수단)
92: 주전원 절단검출회로(전원차단 검출수단)
100: 바늘위치 검출기(바늘봉 높이 검출수단)
본 발명은 피봉제물을 베드면에 밀어붙여 유지하는 천누름부재를 구비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한 천누름부재는 소정의 탄성부재나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해 천을 유지하는 하강위치와 천을 개방하는 상승위치와의 사이를 상하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예를들어 상기한 구성으로서 천누름부재에 일체로 부착된 밀어올리는 레버와, 이 밀어올리는 레버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해 연결된 밀어올리는 링크와, 이 밀어올리는 링크를 요동시킴으로써 밀어올리는 레버를 상하이동시키는 밀어올리는 캠을 구비하는 밀어올리는 기구가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특개평 10-33862호 공보).
그리고 이와같은 밀어올리는 기구의 밀어올리는 캠을, 구동원으로서의 펄스모터로 회전시켜 밀어올리는 링크를 요동시킴으로써 밀어올리는 레버 및 천누름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봉제개시전에 피봉제물인 천을 끼우기 위해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해 천누름부재를 상승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피봉제물인 천을 천누름부재와 천올려놓는 면 사이에 셋트하고 나서 소정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밀어올리는 기구의 구동원을 구동하여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하고, 천누름 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하강시킨다. 또 봉제후에 있어서는 밀어올리는 구동원을 구동하여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해 천누름부재를 상승시켜 천을 개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천누름부재의 교환작업, 바늘의 교환작업, 북의 위치맞춤작업 등을 행할 때에는 이들의 작업을 행하는 데에는 천누름부재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안전성을 고려하여 재봉틀의 주전원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것과 같이 펄스모터를 구동원으로서 이용한 밀어올리는 기구를 채용한 재봉틀에 있어서는 봉제후에 천누름부재를 상승시켜 유지한 상태에서 재봉틀의 주전원을 차단하면 천누름부재는 기계적으로 상승위치에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천누름부재를 용이하게는 하강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승한 상태에 있는 천누름부재를 하강시키는 데에는 다시 재봉틀의 주전원을 투입하여 천누름부재를 하강시키는 소정의 조작스위치 등을 조작함으로써 밀어올리는 기구의 구동원인 펄스모터를 구동하고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한 유지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있어 그 조작이 번잡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주전원 차단시에 누름부재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 천누름부재를 자동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으며 천누름부재의 교환작업, 바늘의 교환작업, 북의 위치맞춤 작업 등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예를들어 도 1, 도 2, 도 3 및 도 5와 같이,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밀어올리는 수단은 천누름부재를 탄성부재의 가압에 맞서 상승시켜 상승위치에서 유지하는 밀어올리는 기구를 갖고 있으며, 이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한 상승위치에서의 유지는 전기적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해제된다. 또한 전원차단 검출수단에 의해 주전원의 차단을 검출함과 동시에 누름높이 검출수단에 의해 천누름부재의 위치가 소정높이 이상인지를 검출한다. 또한 전력유지수단에 의해 재봉틀의 주전원을 차단한 후에 전기적 구동수단의 구동제어를 소정시간 가능하게 하는 전력을 유지한다.
그리고 재봉틀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됨과 동시에 천누름부재의 위치가 소정높이 이상이라고 검출된 경우에 천누름 제어수단이 전력유지수단의 전력에 의해 전기적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해 유지를 해제하고 천누름부재를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하강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재봉틀의 주전원을 차단했을 때 천누름부재가 상승한 상태에 있어도 천누름부재를 자동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주전원 차단시에 천누름부재를 하강시키기 위해 종래 필요하였던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천누름 부재의 교환작업, 바늘의 교환작업, 북의 위치맞춤 작업 등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예를들어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재봉틀은, 재봉틀 바늘봉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 높이 이하에 있는 지를 검출하는 바늘봉 높이 검출수단(바늘위치 검출기(100))을 구비하고, 상기 천누름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차단 검출수단에 의한 상기 주전원 차단의 검출 및 상기 바늘봉 높이 검출수단에 의한 상기 바늘봉의 상하이동 위치의 상기 소정높이 이하에 있는 것의 검출이 행해진 경우에는 상기 누름높이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천누름 부재의 상하이동위치가 상기 소정높이 이상에 있다고 검출되어도 상기 천누름 부재의 상기 하강위치로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바늘봉높이 검출수단에 의해 바늘봉의 위치가 소정높이 이하에 있는 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재봉틀의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됨과 동시에 바늘봉의 위치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천누름부재의 위치가 소정높이 이상이라고 검출된 경우에 있어서도, 천누름 제어수단이 천누름부재의 하강위치로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예를들어 천누름부재의 상승·하강동작에 연동하는 와이퍼가 재봉틀에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 바늘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재봉틀의 주전원을 차단해도 천누름부재의 하강동작을 금지함과 동시에 와이퍼의 실제거동작(또는 실제거위치로부터의 복귀동작)을 금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와이퍼가 바늘에 간섭(충돌)하지 않 기 때문에 바늘의 절손이나 구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예를들어 도 5 및 도 7과 같이,
상기 재봉틀은, 재봉틀 바늘봉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이하에 있는 지를 검출하는 바늘봉높이 검출수단(바늘위치 검출기(100))을 구비하고,
상기 전력유지수단은 상기 주전원의 차단후에 상기 전기적 구동수단 및 재봉틀 주축모터의 구동제어를 소정시간 가능하게 하는 전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천누름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차단 검출수단에 의한 상기 주전원의 차단의 검출 및 상기 바늘봉높이 검출수단에 의한 상기 바늘봉의 상하이동위치가 상기 소정높이 이하인 것의 검출 및 상기 누름높이 검출수단에 의한 상기 천누름 부재의 상하이동위치가 상기 소정높이 이상인 것의 검출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전력유지수단의 전력에 의해 상기 주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소정높이를 넘는 위치에 상기 바늘봉을 이동시킨 후 상기 전기적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한 유지를 해제하여 상기 천누름 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하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바늘봉 높이 검출수단에 의해 바늘봉의 위치가 소정높이 이하인 지를 검출한다. 또 전력유지수단에 의해 재봉틀의 주전원의 차단후에 전기적으로 구동수단 및 주축모터의 구동제어를 소정시간 가능하게 하는 전력을 유지한다.
그리고 재봉틀의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됨과 동시에 바늘봉의 위치가 소정높이 이하인 것이 검출됨과 동시에 천누름 부재의 위치가 소정높이 이상이라고 검출된 경우에 천누름 제어수단은 전력유지수단의 전력에 의해 주축모터를 구동하여 소정높이를 넘는 위치까지 바늘봉을 이동시킨다. 그 후 천누름 제어수단은 전력유지수단의 전력에 의해 전기적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한 유지를 해제하고 천누름 부재를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하강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예를들어 천누름 부재의 상승·하강 동작에 연동하는 와이퍼가 재봉틀에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 바늘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재봉틀의 주전원을 차단해도 소정 높이를 넘는 위치까지 바늘봉을 자동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늘봉을 상승시킨 후에 천누름부재를 자동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와이퍼가 바늘에 간섭(충돌)하지 않기 때문에 바늘의 절손이나 구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주전원 차단시에 천누름 부재를 하강시키기 위해 종래 필요하였던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천누름 부재의 교환작업, 바늘의 교환작업, 북의 위치맞춤 작업 등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상자내의 메모리에 기억되는 소정의 봉제패턴을 따라 재봉바늘과 보빈과의 협동에 의해 봉제를 행하고, 봉제후는 봉제패턴내에 포함되는 실절단 코멘드나 밀어올리는 코멘드를 따라 소정의 타이밍으로 실절단·밀어올림의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의 대체적인 구성에 대해 주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1)은 재봉틀베드(2)와, 재봉틀 입동부(3) 와, 재봉틀암(4)과, 주축모터(5)와, 천누름 구동모터(6)와, 천누름 부재(7)와, 재봉틀 베드(2)상에 올려놓여진 옷감에서 보빈으로 이어지는 밑실을 봉제작업 종료 직후에 절단하기 위한 실절단 기구(10)와, 천누름 구동기구(20)와, 밀어올리는 기구(30)와, 실제거 기구(50)(도 2참조)와, 봉제시에 사용하는 재봉틀 페달(도시하지 않음)과, 재봉틀(1) 전체를 통합제어하는 제어부(90) 등을 탑재한 제어상자(도시하지 않음)와, 제어상자에 대해 상용 전원의 접속·절단을 행하기 위한 전원스위치(S)(도 5참조)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재봉틀 베드(2)는 봉제작업시에 천을 올려놓기 위한 대략 수평한 바늘판(2a)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실절단기구(10)나(도시하지 않음) 보빈 등이 배치되고 있다. 또 재봉틀 베드(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X축 구동모터(8) 및 Y축 구동모터(9)에 의해 구동되는(도시하지 않음) XY이송기구가 배치되고 있다. 이 XY이송기구에 의해 천누름 구동기구(20) 전체가 바늘봉(5a)의 상하이동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천누름 부재(7)에 눌려진 옷감이 보내지고 옷감의 원하는 위치에 솔기가 형성된다.
재봉틀 입동부(3)는 재봉틀베드(2)상에 입설된 통모양 측벽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재봉틀 베드(2)의 뒤쪽(도 1의 지면 우측)에 배치되고 있다. 재봉틀 입동부(3)의 뒤쪽 측벽(후술하는 재봉틀 암(4)의 연재방향과 반대측의 측벽)(3a)의 상부에는 바늘(5b)을 구동하기 위한 주축모터(5)가 부착되고 있다. 또 이 주축모터(5)의 아래쪽에는 밀어올리는 기구(30) 등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구동수단인 천누름 구동모터(6)가 부착되고 있다.
재봉틀 암(4)은 이 재봉틀 입동부(3)의 상단에 연접되어 재봉틀 베드(2)와 대향하도록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는 광체(筐體)이다. 재봉틀 암(4)의 내부에는 주축모터(5)의 회전구동력을 바늘(5b)에 전달하기 위한(도시하지 않음) 주축과, 이 주축의 회전운동을, 바늘(5b)을 지지하는 바늘봉(5a)의 연직방향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도시하지 않음)캠기구와, 후술하는 밀어올리는 기구(30)를 구성하는 누름구동링크(32)등이 배치되고 있다. 또 재봉틀 암(4)의 아래쪽에는 봉제작업중에 재봉틀 베드(2)의 바늘판(2a)상에 배치된 옷감을 누르기 위한 천누름 부재(7)가 배치되고 있다. 이 천누름 부재(7)는 천누름 구동기구(20)나 밀어올리는 기구(30)에 의해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천누름 구동기구(20) 및 밀어올리는 기구(30)의 구성에 대해 주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천누름 구동기구(20)는 천누름 부재(7)를 상시 하강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지지대(21), 천누름 구동링크(22), 천누름 스프링(24)등으로 구성된다.
지지대(21)는 재봉틀 베드(도 1참조)의 아래쪽에서 상기한 XY구동기구에 연결되고 있으며, 천누름 구동링크(22)를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천누름 구동링크(22)는 도 2와 같이 지지대(21)에 축부재(23)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있으며 그 일단부(22a)에는 봉제작업중에 옷감을 누르는 천누름부재(7)가 고정되고 있다. 또 천누름 구동링크(22)의 일부에는 위쪽 연재부(22b)가 마련되고 있다. 이 위쪽 연재부(22b)의 선단에는 접촉핀(22c)이 마련되고 있으며 이 접촉핀(22c)은 밀어올리는 기구(30)의 누름구동다리(36)의 아래쪽 근방에 배치되고 있다.
또 지지대(21)의 위쪽에 마련된 고정핀(21a)과, 천누름 구동링크(22)의 천누름 부재(7)와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된 돌부(22d)와의 사이에는 천누름 스프링(24)이 걸려 있다. 천누름 구동링크(22)의 돌부(22d)는 이 천누름 스프링(24)에 의해 상시 위쪽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때문에 천누름 구동링크(22)는 축부재(23)를 중심으로 도 3의 화살표 R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되고, 천누름 부재(7)는 상시 아래쪽으로 가압되게 된다. 즉 천누름 스프링(24)은 본 발명의 탄성부재이다.
밀어올리는 기구(30)는 봉제작업의 전후에 천누름 부재(7)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밀어올리는 링크(31), 누름구동링크(32), 누름구동팔(35), 누름구동다리(36) 등으로 구성된다.
밀어올리는 링크(31)는 거의 < 자형으로 형성되고 굴곡부(31b)에 있어서 재봉틀 입동부(3)(도 1참조)의 프레임에, 지점핀(42)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고 있다. 밀어올리는 링크(31)의 하단부(31c)에는 굴림대(43)(도 4참조)가 고정되고 이 굴림대(43)는 후술하는 캠부재(60)의 제 2캠(62)의 캠면에 닿고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밀어올리는 링크(31)에는 이면측으로 돌출시킨 소핀이 마련되고 있다. 이 소핀에는 감는스프링(44)이 걸려 있고 밀어올리는 링크(31)는 이 감는스프링(44)에 의해 굴림대(43)(도 4참조)가 제 2캠(62)의 캠면(62a)에 닿도록 늘 가압되고 있다. 밀어올리는 링크(31)의 상단면(31a)에는 누름구동링크(32)의 일단부(32a)가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있다.
누름구동링크(32)는 장척인 평봉(平棒)모양의 부재이며, 그 타단부(32b)는 연동암(33)의 하단부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접속되고 있다. 누름구동링크(32)의 일단부(32a) 근처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구부러진 차광판(41a)을 갖는 차광부재(41)가 고정되고 있다. 한편 그 차광부재(41) 근방에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포트인터럽터(40)가 재봉틀암(4)(도 1참조)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있다.
포트인터럽터(40)는 밀어올리는 기구(30)의 원점위치를 검출하여 후술하는 제어부(90)와 함께 본 발명에서의 누름높이 검출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포트인터럽터(40)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차광판(41a)이 위치하는 상태일 때 원점위치에 있다는 원점위치신호가 후술하는 제어회로(91)에 출력되도록 되어있다.
연동암(33)은 그 상단부에 있어서 재봉틀 암(4)(도 1참조)의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축부재(34)에 감싸조여서 고정되고 있다. 그리고 연동암(33)의 이측(裏側)에 있어서 가로로 길게 형성된 누름구동팔(35)이 축부재(34)에 감싸조여서 고정되어 축부재(34)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연동암(33)이 축부재(34)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면 누름구동팔(35)도, 연동암(33)의 요동에 연동하여 축부재(34)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되어있다. 이 누름구동팔(35)의 전단부(35a)에는 상하로 긴 누름구동다리(36)가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되고 있다.
누름구동다리(36)는 수평방향의 단면이 대략 ㄷ자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하 연부(36a)는 하강했을 때 천누름 구동기구(20)의 접촉핀(22c)에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누름구동다리(36)의 중간에는 가로로 긴 지지봉(37) 일단부가 회동자유롭도록 지지되고 있다. 지지봉(37)의 타단부는 재봉틀암(4)(도 1참조)의 프레임에, 핀(38)을 통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며, 누름구동다리(36) 하강시의 방향은 지지봉(37)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있다.
밀어올리는 기구(30)의 누름구동다리(36)가 하강하면 천누름 구동기구(20)의 접촉핀(22c)이 누름구동다리(36)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리고, 천누름 구동링크(22)가 축부재(23)를 중심으로 도 3의 화살표 R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며 천누름 스프링(24)의 가압에 맞서 천누름 부재(7)가 상승하게 된다.
계속해서 실제거기구(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실제거 기구(50)는 재봉바늘로부터 옷감에 이어지는 윗실을 제거하여 재봉바늘측의 실단을 옷감상으로 끌어내는 것이며, 도 3과 같이 와이퍼 연결링크(51), 와이퍼 L형링크(52), 와이퍼 연결판(56), 와이퍼(58) 등으로 구성된다.
와이퍼 연결링크(51)의 후단부(51a)는 밀어올리는 기구(30)의 연동암(33)의 중간에 접속된다(도 2참조). 또 와이퍼 연결링크(51)의 전단부(51b)에는 가로로 길게 형성된 가로구멍(51c)이 형성되고 있다. 또 와이퍼 연결링크(51)의 전단부(51b) 근방에는 재봉틀 암(4)(도 1참조)의 프레임에, 대략 L자모양으로 형성되어 굴곡부분에서 부착나사(55)를 통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와이퍼 L형링크(52)가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이 와이퍼 L형링크(52)의 상단에 고정된 결합핀(52a)은 와이퍼 연결링크(51)의 가로구멍(51c)에 삽통하고 있다.
와이퍼 연결링크(51)의 이면측에는 잡아늘여진 상태의 코일스프링(53)이 배치되고 있다. 코일스프링(53)의 일단은 와이퍼 연결링크(51)의 일부에 걸리고, 타단은 와이퍼 L형링크(52)의 결합핀(52a)에 걸리며, 이 코일스프링(53)의 가압력에 의해 와이퍼 L형링크(52)는 도 3의 지면 오른쪽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단 와이퍼 L형 링크(52)의 근방에는 스토퍼핀(54)이 재봉틀 암(4)(도 1참조)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돌출하고 있다. 실제거기구(50)의 작동에 계속하여 밀어올리는 기구(30)를 작동시키기 위해 누름구동링크(32)를 다시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코일스프링(53)에 의해 와이퍼 L형링크(52)를 다시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작용시킨 경우에도 와이퍼 L형링크(52)는 스토퍼핀(54)에 닿은 곳에서 정지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밀어올리는 기구(30)가 작동하고 와이퍼 연결링크(51)가 뒤쪽으로 이동했을 때에만 코일스프링(53)은 결합핀(52a)을 통해 와이퍼 L형링크(52)를 뒤쪽으로 끌어 이동시킬 수 있다.
와이퍼 L형링크(52)의 앞측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와이퍼 연결판(56)이 회동이 자유롭도록 접속되고 있다. 이 와이퍼 연결판(56)의 하단에는 도 2의 뒤쪽으로 뻗어나오는 연출부(56a)가 형성되고 있다. 와이퍼 연결판(56)의 근방에는 재봉틀암(4)(도 1참조)의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판(57)이 고정되고 있다. 지지판(57)에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L형으로 형성된 와이퍼(58)가 그 굴곡부분에 있어서 부착나사(59)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접속되고 있다.
와이퍼(58)의 일단부(58a)는 연출부(56a)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되고 있다. 와이퍼(58)의 하단부에는 앞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실제거부(58b)가 마련 되고 이 실제거부(58b)에 의해 윗실을 제거하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밀어올리는 기구(30) 및 실제거 기구(50)는 윗실 및 밑실의 절단후에 밀어올리는 링크(31)가 지점핀(42)을 중심으로 도 2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누름구동링크(32)가 뒤쪽으로 끌린다. 이 동작에 의해 연동암(33)이 축부재(34)를 중심으로 뒤쪽으로 요동하는 것으로 누름구동팔(35)도 축부재(34)를 중심으로 도 2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누름구동팔(35)의 회동에 따라 누름구동다리(36)가 지지봉(37)에 규제되면서 하강하고 하연부(36a)가 접촉핀(22c)에 접촉함으로써 천누름부재(7)가 상승한다.
한편 연동암(33)의 뒤쪽으로의 요동에 의해 와이퍼 연결링크(51)가 뒤쪽으로 이동하므로 가로구멍(51c)안의 결합핀(52a)도 코일스프링(53)의 가압력에 의해 뒤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와이퍼 L형링크(52)는 부착나사(55)를 중심으로 도 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해 연결판(56)이 상승하고, 이 상승에 의해 와이퍼(58)의 일단부(58a)가 상승하며, 와이퍼(58a)는 부착나사(59)를 중심으로 도 3에 있어서 시계방향(화살표 W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실제거부(58b)에 의해 윗실을 제거한다. 따라서 와이퍼(58)는 천누름 부재(7)의 상하이동과 늘 연동하며 누름구동링크(32)가 뒤쪽으로 끌려 천누름 부재(7)가 상승할 때 도 3의 화살표 W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실을 제거한다. 누름구동링크(32)가 앞쪽으로 이동하여 천누름 부재(7)가 하강할 때 도 3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또한 와이퍼 L형링크(52)는 스토퍼핀(54)에 닿은 곳에서 회전을 정지한다. 와이퍼 연결링크(51)가 그 이상 뒤쪽으로 이동한 만큼은 결합핀(52a)이 가로 구멍(51c)을 따라 접동하여 와이퍼 L형 링크(52)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밀어올리는 링크(31)를 도 2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누름구동다리(36)를 상승시키면 천누름 부재(7)는 천누름 스프링(24)의 가압에 의해 하강하도록 되어있다. 또 연동암(33)이 원래로 되돌아 가는 것으로 와이퍼 연결링크(51)가 앞쪽으로 되돌아 가고 실제거기구(50) 전체는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밀어올리는 기구(30) 및 실제거기구(50)에서는 밀어올리는 링크(31)가 기점이 되어 동작을 행한다. 밀어올리는 링크(31)는 천누름 구동모터(6)의 구동력이 캠부재(60)를 통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달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하 이들 천누름 구동모터(6) 및 캠부재(60)에 대해 설명한다.
천누름 구동모터(6)는 본 발명에서의 전기적 구동수단이며, 재봉틀 입동부(3)(도 1참조)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있다. 천누름 구동모터(6)의 출력축(6a)에는 후술하는 캠부재(60)의 중앙부가 고정되고 있으며 캠부재(60)는 천누름 구동모터(6)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천누름 구동모터(6)는 제어상자내의 구동부(80) 및 제어부(90)에 의해 구동제어된다.
캠부재(60)는 도 2와 같이 외형상이 일부 직선부분을 포함하는 대략 원형의 상자체인 제 1캠(61)과, 그 정면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제 2캠(62)으로 구성된다. 제 1캠(61)은 실절단 기구(10)를 구동하기 위한 캠이다.
제 2캠(62)은 밀어올리는 기구(30) 및 실제거기구(50)를 구동하기 위한 캠으로, 제 1캠(61)에 일체로 고정되고 있다. 제 2캠(62)은 도 4와 같이 대략 오뚜기 형으로 형성되고 그 캠면(62a)에 밀어올리는 링크(31)의 굴림대(43)가 접촉하고 있다. 도 4의 Q1~Q7은 1주안의 포인트가 되는 각도위치를 편의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캠면(62a)은 Q6에서 Q1을 거쳐 Q3까지 사이는 회전중심 C1에 대한 거리가 같은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고 있다.
한편 Q3에서 Q4 및 Q6에서 Q5까지 사이(이동구간)는 각각 Q4 및 Q5를 향해 회전중심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한 Q4에서 Q5까지 사이(유지구간)는 회전중심 C1까지의 거리가 같은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고 있다.
밀어올리는 링크(31)의 굴림대(43)는 도 4와 같이 캠부재(60)의 회전에 따라 캠면(62a)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예를들어 천누름 구동모터(6)가 회전하고, 굴림대(43)가 Q6에서 Q1을 거쳐 Q3까지 사이를 이동하고 있을 때는 굴림대(43)와 회전중심(C1)과의 거리는 변하지 않고 밀어올리는 링크(31)는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굴림대(43)가 Q3에서 Q4까지 사이(이동구간)를 이동할 때에는 서서히 회전중심 C1에서 멀어져 간다. 이에 따라 밀어올리는 링크(31)는 도 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한 것과 같이 누름구동링크(32)가 뒤쪽으로 이동하여 천누름부재(7)가 상승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밀어올리는 기구(30), 캠부재(60) 및 천누름 구동모터(6)는 본 발명에서의 밀어올리는 수단을 구성한다. 또 천누름 부재(7), 천누름 구동기구(20), 밀어올리는 기구(30), 캠부재(60) 및 천누름 구동모터(6)는 본 발명에서의 천누름 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도 5의 블록도를 이용하여 제어상자내의 구성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 에 관한 재봉틀(1)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1)의 제어상자내에는 도 5와 같이 전원부(70), 구동부(80), 제어부(90) 등이 구비되고 있다.
전원부(70)는 주전원에서 전원스위치(S)를 통해 입력된 상용전원을, 평활 직류전원(P1)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71) 및 평활콘덴서(72), 평활직류전원(P1)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각종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스위칭전원(73)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평활직류전원(P1)은 스위칭전원(73)에 의해 천누름 구동 천누름 구동모터(6)의 구동전원인 천누름 구동전원(P2)과, XY이송기구를 구동하여 옷감을 바늘의 상하이동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Y축구동모터(8)(9)의 구동전원인 천이송 구동전원(P3)과, 제어부(90)의 구동전원인 제어부 구동전원(P4)등으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평활콘덴서(72)는 주전원의 차단후에 있어서도 구동부(80) 및 제어부(90)에 의한 주축모터(5) 및 천누름 구동모터(6)의 구동제어를 소정시간(예를들어 0.5초)가능하게 하는 전력을 유지하는 데 충분한 용량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평활콘덴서(72)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주전원 차단시의 전력을 유지하는 전력유지용 콘덴서로서도 기능한다. 즉 평활콘덴서(72)는 본 발명의 전력유지수단이다.
구동부(80)는 평활직류전원(P1)을 구동원으로서 주축모터(5)를 구동하는 주축모터구동회로(81)와, 천누름 구동전원(P2)을 구동원으로서 천누름 구동모터(6)를 구동하는 천누름 구동모터 구동회로(82)와, 천이송 구동전원(P3)을 구동원으로서 X축·Y축구동모터(8)(9)를 각각 구동하는 X축·Y축 구동모터 구동회로(83)(84)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제어부(90)는 스위칭전원(73)에서 출력되는 제어부 구동전원(P4)을 전원으로 하고, 구동부(80)에 대해 주축모터(5)와, 천누름 구동모터(6)와, X축·Y축구동모터(8)(9)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91)와, 상용전원의 차단을 검출하여 전원차단신호를 제어회로(91)에 출력하는 전원차단 검출수단으로서의 주전원 절단검출회로(92)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제어회로(91)에는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cocessing Unit)이나 ROM(Read Only Memory)이 내장되고 있다. 또 제어회로(91)에는 바늘봉(5a)의 상하이동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바늘봉 높이 검출수단으로서의 바늘위치 검출기(100)와, 천누름 구동모터(6)의 원점위치를 검출하여 원점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포트인터럽터(40)가 접속되고 있다.
제어부(90)는 이들 전원차단신호 및 위치신호와, ROM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을 기초로 제어회로(91)가 구동부(80)에 대해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주축모터(5)의 기동·정지에 관한 제어, 천누름 부재(7)의 상승·하강에 관한 제어, 천이송 장치의 이동에 관한 제어 등을 실행한다. 즉 구동부(80) 및 제어부(90)는 본 발명에서의 천누름 제어수단이다.
다음에 도 6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주전원 차단후에 평활콘덴서(72)에 유지된 전력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제어부(90)의 제어회로(91)는 주전원차단 검출회로(92)에서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되었는 지를 판정하여 전원의 차단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2로 이행한다.
이어서 스텝 S2에 있어서 제어회로(91)는 포트인터럽터(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천누름부재(7)의 상하이동 위치가 소정높이 H1 이상에 있는 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포트인터럽터(40)에서 원점위치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천누름 구동모터(6)에 대해 출력한 펄스수를 제어회로(91)가 계수하고, 이 계수치가 천누름 부재(7)를 소정높이 H1에 위치시키는 소정의 펄스수가 되었는 지를 제어부(90)의 제어회로(91)가 판정됨으로써 행해진다. 즉 포트인터럽터(40) 및 제어부(90)는 본 발명에서의 누름높이 검출수단이다.
여기서 「소정높이 H1」이라 함은 천누름 부재(7)의 교환작업, 바늘(5b)의 교환작업, 북의 위치맞춤 작업 등에 지장을 초래하는 높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스텝 S2에서 천누름 부재(7)의 상하이동 위치가 소정높이 H1, 이상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2에서 천누름 부재(7)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1 이상에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특별히 제어는 행해지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회로(91)는 바늘위치 검출기(100)에서 출력되는 위치 신호를 기초로 바늘봉(5a)의 상하이동 위치가 소정높이 H2이하가 되었는 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소정높이 H2」라 함은 실제거 기구(50)의 와이퍼(58)와, 바늘봉(5a)에 지지된 바늘(5b)이 간섭하지 않는 높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스텝 S3에서 바늘봉(5a)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2이하에 있다고(Yes) 판정된 경우에는 특별히 제어는 행하지 않고(즉 천누름 부재(7)의 하강위치로의 이동을 금지한 상태에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3에서 바늘봉(5a)의 상하이동 위치가 소정높이 H2를 넘었다고(No)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로 이행한다.
스텝 S4에 있어서 제어회로(91)는 평활콘덴서(72)에 유지된 전력에 의해 구동부(80)의 천누름 구동모터 구동회로(82)에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천누름 구동모터(6)를 소정의 펄스수만큼 구동한다. 천누름 구동모터(6)가 소정의 펄스수만큼 구동되면 그 구동력이 캠부재(60)를 통해 밀어올리는 링크(31)에 전달되어 누름구동다리(36)가 상승한다. 이 결과 천누름 부재(7)는 천누름 스프링(24)의 가압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1)에 있어서는 천누름 부재(7)를 천누름 스프링(24)의 가압에 맞서 상승시켜 상승위치에서 유지하는 밀어올리는 기구(30)를 갖고 있다. 그리고 밀어올리는 기구(30)는 천누름 구동모터(6)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상승위치에서의 유지는 천누름 구동모터(6)의 구동에 의해 해제된다.
또 주전원 절단검출회로(92)에 의해 재봉틀(1)의 주전원의 차단을 검출하고, 포트인터럽터(40)에서 출력되는 원점위치신호와, 천누름 구동모터(6)에 대해 출력한 펄스수에 의해 천누름 부재(7)의 상하이동 위치가 소정높이 H1이상인지를 검출한다. 또한 평활콘덴서(72)에 의해 재봉틀(1)의 주전원의 차단후에 천누름 구동모터(6)의 구동제어를 소정시간 가능하게 하는 전력을 유지한다.
그리고 재봉틀(1)의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되고 또한 천누름 부재(7)의 위치가 소정높이 H1이상이라고 검출된 경우에, 구동부(80) 및 제어부(90)는 평활콘덴서(72)에 유지된 전력에 의해 천누름 구동모터(6)를 구동하고, 밀어올리는 기구(30)의 누름구동다리(36)에 의한 유지를 해제하여 천누름 부재(7)를 천누름 스프링(24)의 가압에 의해 하강위치로 이동시킨다(도 6: 스텝 4).
따라서 재봉틀(1)의 주전원을 차단했을 때 천누름 부재(7)가 상승한 상태에 있어도 천누름부재(7)를 자동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주전원 차단시에 천누름 부재(7)를 하강시키기 위해 종래 필요하였던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천누름 부재(7)의 교환작업, 바늘(5b)의 교환작업, 북의 위치맞춤 작업 등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재봉틀(1)에 있어서는 바늘위치 검출기(100)에 의해 바늘봉(5a)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2이하에 있는 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재봉틀(1)의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됨과 동시에 바늘봉(5a)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2이하에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천누름 부재(7)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1이상에 있다고 검출되었다고 해도 구동부(80) 및 제어부(90)는 특별히 제어를 행하지 않고(즉 천누름 부재(7)의 하강위치로의 이동을 금지한 상태에서) 처리를 종료한다(도 6: 스텝 S3).
따라서 천누름 부재(7)의 상승·하강동작에 연동하는 와이퍼(58)가 재봉틀(1)에 구비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늘(5b)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재봉틀(1)의 주전원을 차단해도 천누름 부재(7)의 하강동작을 금지함과 동시에 와이퍼(58)의 실제거 위치에서의 복귀 동작을 금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와이퍼(58)가 바늘(5b)에 간섭(충돌)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바늘(5b)의 절손이나 구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늘봉(5a)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2 이하에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 천누름 부재(7)의 하강위치로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제어부(90)의 ROM내의 제어프로그램을 변경함으로써 바늘봉(5a)을 상승시킨 후에 천누름 부재(7)를 하강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동작에 대해 도 7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1에 있어서 제어부(90)의 제어회로(91)는 주전원 차단 검출회로(92)로부터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되었는 지를 판정하여 전원의 차단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12로 이행한다.
이어서 스텝 S12에 있어서 제어회로(91)는 포트인터럽터(40)에서 출력되는 원점위치신호와, 원점위치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천누름 구동모터(6)에 대해 출력된 펄스수를 기초로 천누름 부재(7)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1이상에 있는 지를 판 정한다. 그리고 스텝 S12에서 천누름 부재(7)의 상하이동 위치가 소정높이 H1이상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2에서 천누름 부재(7)의 상하이동위차가 소정높이 H1이상에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특별히 제어는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제어회로(91)는 바늘위치 검출기(100)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를 기초로 바늘봉(5a)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2이하에 있는 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스텝 S13에서 바늘봉(5a)의 상하이동 위치가 소정높이 H2를 넘었다고(No)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4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3에서 바늘봉(5a)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2이하에 있다고(Yes)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5로 이행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제어회로(91)는 평활콘덴서(72)에 유지된 전력에 의해 구동부(80)의 주축모터 구동회로(81)에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주축모터(5)를 구동한다. 그리고 스텝 S16에 있어서 바늘봉(5a)의 상하이동 위치가 소정높이 H2이하에 있는 지를 다시 판정한다.
스텝 S16에서 바늘봉(5a)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2를 넘었다고(No)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7로 이행하여 주축모터(5)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스텝 S14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6에 있어서 바늘봉(5a)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2이 하에 있다고(Yes) 판정된 경우에는 소정높이 H2를 넘었다고(No) 판정될 때 까지 스텝 S15 및 스텝 S16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 후 스텝 S14에 있어서 제어회로(91)는 평활콘덴서(72)에 유지된 전력에 의해 구동부(80)의 천누름 구동모터 구동회로(82)에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천누름 구동모터(6)를 소정의 펄스수만큼 구동한다. 천누름 구동모터(6)가 소정의 펄스수만큼 구동되면 그 구동력이 캠부재(60)를 통해 밀어올리는 링크(31)에 전달되어 누름구동다리(36)가 상승한다. 이 결과 천누름 부재(7)는 천누름 스프링(24)의 가압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동작에 있어서는 재봉틀(1)의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됨과 동시에 바늘봉(5a)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H2이하에 있는 것이 검출되고 또한 천누름 부재(7)의 위치가 소정높이 H1이상에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 구동부(80) 및 제어부(90)는 평활콘덴서(72)에 유지된 전력에 의해 주축모터(5)를 구동하여 소정높이 H2를 넘는 위치에 바늘봉(5a)을 이동시킨다(도 7: 스텝 S15~S17). 그 후 구동부(80) 및 제어부(90)는 평활콘덴서(72)에 유지된 전력에 의해 천누름 구동모터(6)를 구동하여 밀어올리는 기구(30)에 의한 유지를 해제하고, 천누름 부재(7)를 천누름 스프링(24)의 가압에 의해 하강위치로 이동시킨다(도 7: 스텝 S14).
따라서 천누름 부재(7)의 상승·하강동작에 연동하는 와이퍼(58)가 재봉틀(1)에 구비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늘(5b)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재봉틀(1)의 주전원을 차단해도 소정높이 H2를 넘는 위치까지 바늘봉(5a)을 자동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늘봉(5a)을 상승시킨 후에 천누름 부재(7)를 자동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와이퍼(58)가 바늘(5b)에 간섭(충돌)하지 않기 때문에 바늘(5b)의 절손이나 구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주전원 차단시에 천누름 부재(7)를 하강시키기 위해 종래 필요하였던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고, 천누름 부재(7)의 교환작업, 바늘(5b)의 교환작업, 북의 위치맞춤 작업 등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천누름 구동모터(6)의 구동력을 캠부재(60)에 의해 밀어올리는 기구(30)에 전달하는 구성을 채용했지만 웜기어 등의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 천누름 구동모터(6)의 구동력을 밀어올리는 기구(30)에 전달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게 된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평활콘덴서(72)를 주전원 차단후에 주축모터(5) 및 천누름 구동모터(6)의 구동제어를 소정시간 가능하게 하는 전력을 유지하는 전력유지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있지만 이 평활콘덴서(72)와는 별도로 주전원 차단후의 전력을 유지하는 콘덴서를 마련할수 도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포트인터럽터(40)에 의해 출력되는 천누름 구동모터(6)의 원점위치신호와, 이 원점위치신호가 출력되고나서 천누름 구동모터(6)에 대해 출력된 펄스수의 계수치를 기초로 간접적으로 천누름 부재(7)의 높이를 검출하도록 구성한 누름높이 검출수단을 채용하고 있지만 천누름 부재(7)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해 독립된 센서를 마련하여 직접적으로 천누름 부재(7)의 높이를 검출하도록 구성한 누름높이 검출수단을 채용해도 된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제거 기구(50)가 밀어올리는 기구(30)와 연동하는 구성을 갖는 재봉틀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도시했지만 실제거 기구(50)와 밀어올리는 기구(30)를 따로 따로 구동제어하는 구성을 갖는 재봉틀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실제거 기구(50)를 독립적으로 구동제어가 가능한 재봉틀에 있어서는 바늘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천누름 부재(7)를 하강시켜도 와이퍼(58)가 움직이지 않도록 설정함으로써 와이퍼(58)가 바늘에 간섭(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늘봉의 상하이동 위치에 관계없이 주전원 차단시에 있어서도 늘 천누름 부재(7)를 하강시킬 수 있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재봉틀의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됨과 동시에 천누름부재의 위치가 소정높이 이상이라고 검출된 경우에 천누름 제어수단이 전력유지수단의 전력에 의해 전기적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한 유지를 해제하고 천누름부재를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하강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재봉틀의 주전원을 차단했을 때 천누름부재가 상승한 상태에 있어도 천누름부재를 자동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주전원 차단시에 천누름부재를 하강시키기 위해 종래 필요하였던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천누름 부재의 교환작업, 바늘의 교환작업, 북의 위치맞춤 작업 등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재봉틀의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됨과 동시에 바늘봉의 위치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천누름부재의 위치가 소정높이 이상이라고 검출된 경우에 있어서도 천누름 제어수단이 천누름부재의 하강위치로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예를들어 천누름부재의 상승·하강동작에 연동하는 와이퍼가 재봉틀에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 바늘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재봉틀의 주전원을 차단해도 천누름부재의 하강동작을 금지함과 동시에 와이퍼의 실제거동작(또는 실제거위치로부터의 복귀동작)을 금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와이퍼가 바늘에 간섭(충돌)하지 않기 때문에 바늘의 절손이나 구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재봉틀의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됨과 동시에 바늘봉의 위치가 소정높이 이하인 것이 검출됨과 동시에 천누름 부재의 위치가 소정높이 이상이라고 검출된 경우에 천누름 제어수단은 전력유지수단의 전력에 의해 주축모터를 구동하여 소정높이를 넘는 위치까지 바늘봉을 이동시킨다. 그 후 천누름 제어수단은 전력유지수단의 전력에 의해 전기적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한 유지를 해제하고 천누름 부재를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하강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예를들어 천누름 부재의 상승·하강 동작에 연동하는 와이퍼가 재봉틀에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 바늘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재봉틀의 주전원을 차단해 도 소정 높이를 넘는 위치까지 바늘봉을 자동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늘봉을 상승시킨 후에 천누름부재를 자동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와이퍼가 바늘에 간섭(충돌)하지 않기 때문에 바늘의 절손이나 구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주전원 차단시에 천누름 부재를 하강시키기 위해 종래 필요하였던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천누름 부재의 교환작업, 바늘의 교환작업, 북의 위치맞춤 작업 등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Claims (3)

  1. 천을 유지하는 하강위치와 천을 개방하는 상승위치와의 사이를 상하이동하는 천누름부재와,
    상기 천누름부재를 상시 하강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천누름부재를 상기 하강위치에서 상기 상승위치로 이동시키는 밀어올리는 수단을 가지는 천누름 수단과,
    바늘을 지지하는 바늘봉을 상하 이동시키는 주축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주축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바늘 봉을 상하이동시켜 상기 천누름부재에 의해 유지된 천에 솔기를 형성하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리는 수단은,
    상기 천누름부재를 상기 하강 위치에서 상기 상승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구간을 이루는 캠면과 상기 상승위치에 있어서 회전 중심에서의 거리가 같은 유지구간을 이루는 캠면을 가지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구간의 캠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천누름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맞서 상승위치로 상승시켜, 상기 유지구간의 캠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승 위치에서 유지하는 밀어올리는 기구와, 구동에 의해 상기 밀어올리는 기구의 상기 천누름부재의 상기 상승위치에서의 유지를 해제하는 전기적 구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밀어올리는 기구는, 상기 캠부재의 캠면에 접촉하는 굴림대를 가지며, 이 굴림대는 감는스프링에 의해 상기 캠면을 향하여 가압되고,
    재봉틀의 주전원의 차단을 검출하는 전원차단 검출수단과,
    상기 천누름부재의 상하이동 위치가 소정높이 이상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누름높이 검출수단과,
    재봉틀의 주전원 차단 후에, 상기 전기적 구동수단의 구동제어를 소정시간 가능하게 하는 전력을 유지하는 전력유지수단과,
    상기 전원차단 검출수단에 의해 재봉틀의 주전원의 차단이 검출되는 동시에, 상기 누름높이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천누름부재의 상하이동 위치가 상기 소정높이 이상인 것의 검출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전력유지수단의 전력에 의해 상기 전기적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한 상기 캠부재의 유지구간에에서의 상기 천누름의 유지를 해제하여, 상기 천누름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하강위치로 이동시키는 천누름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틀은, 재봉틀 바늘봉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 높이 이하에 있는 지를 검출하는 바늘봉 높이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천누름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차단 검출수단에 의한 상기 주전원 차단의 검출 및 상기 바늘봉 높이 검출수단에 의한 상기 바늘봉의 상하이동 위치의 상기 소정높이 이하에 있는 것의 검출이 행해진 경우에는 상기 누름높이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천누름 부재의 상하이동위치가 상기 소정높이 이상에 있다고 검출되어도 상기 천누름 부재의 상기 하강위치로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틀은, 재봉틀 바늘봉의 상하이동위치가 소정높이 이하에 있는 지를 검출하는 바늘봉높이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력유지수단은,
    상기 주전원의 차단후에 상기 전기적 구동수단 및 재봉틀 주축모터의 구동제어를 소정시간 가능하게 하는 전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천누름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차단 검출수단에 의한 상기 주전원의 차단의 검출 및 상기 바늘봉높이 검출수단에 의한 상기 바늘봉의 상하이동위치가 상기 소정높이 이하인 것의 검출 및 상기 누름높이 검출수단에 의한 상기 천누름 부재의 상하이동위치가 상기 소정높이 이상인 것의 검출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전력유지수단의 전력에 의해 상기 주축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소정높이를 넘는 위치에 상기 바늘봉을 이동시킨 후 상기 전기적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밀어올리는 기구에 의한 유지를 해제하여 상기 천누름 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하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재봉틀.
KR1020040028641A 2003-04-30 2004-04-26 재봉틀 KR101184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25209A JP4221242B2 (ja) 2003-04-30 2003-04-30 ミシン
JPJP-P-2003-00125209 2003-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321A KR20040094321A (ko) 2004-11-09
KR101184462B1 true KR101184462B1 (ko) 2012-09-19

Family

ID=3344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641A KR101184462B1 (ko) 2003-04-30 2004-04-26 재봉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221242B2 (ko)
KR (1) KR101184462B1 (ko)
CN (1) CN1542195B (ko)
DE (1) DE102004021485B4 (ko)
TW (1) TWI3161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895B1 (ko) 2005-05-03 2011-12-26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다두 환봉 자수기 및 그 바늘대 높이 개별 제어방법
JP4576547B2 (ja) * 2005-05-11 2010-11-10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4890847B2 (ja) * 2005-12-12 2012-03-07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中押さえ装置
JP5318357B2 (ja) * 2007-03-15 2013-10-16 Juki株式会社 電動式ミシン
JP2010075459A (ja) * 2008-09-26 2010-04-08 Juki Corp ミシン
JP5410723B2 (ja) 2008-09-30 2014-02-05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5253993B2 (ja) * 2008-12-24 2013-07-31 Juki株式会社 ミシン
CN101597840B (zh) * 2009-06-29 2013-06-05 中捷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的压脚提升及倒送料装置
KR20120130562A (ko)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 썬스타 봉제틀 교환장치, 그 구동방법 및 봉제틀 교환장치를 포함한 재봉기
CN109440312B (zh) * 2019-01-10 2020-09-29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上剪线和抬压脚装置的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0070A (ja) * 1998-04-15 1999-11-02 Juki Corp ミシンの押え装置
JP2000312792A (ja) * 1999-04-30 2000-11-14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6796A (ja) * 1985-11-05 1987-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布押え昇降装置
SE509654C2 (sv) * 1995-03-17 1999-02-22 Viking Sewing Machines Ab Anordning i en symaskin
JPH1033862A (ja) * 1996-07-19 1998-02-10 Juki Corp ミシンの布押え装置
US5899157A (en) * 1997-03-25 1999-05-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esser foot device of sewing machine having a presser foot ascent detection device and a control mechanism
TW363095B (en) * 1997-05-09 1999-07-01 Barudan Co Ltd Suppresser of sew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0070A (ja) * 1998-04-15 1999-11-02 Juki Corp ミシンの押え装置
JP2000312792A (ja) * 1999-04-30 2000-11-14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21242B2 (ja) 2009-02-12
CN1542195A (zh) 2004-11-03
TWI316101B (en) 2009-10-21
CN1542195B (zh) 2010-04-28
JP2004329279A (ja) 2004-11-25
DE102004021485A1 (de) 2004-12-16
KR20040094321A (ko) 2004-11-09
DE102004021485B4 (de) 2007-01-25
TW200508445A (en) 200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387B1 (ko) 재봉기의 천두께변화 검출장치
KR101184462B1 (ko) 재봉틀
JP4095337B2 (ja) ミシン
JP3906085B2 (ja) ミシン及び自動縫いミシン
JP3939588B2 (ja) ミシン
KR101266356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JP2008080110A (ja) ミシン
JP4335248B2 (ja) ミシン
US7267063B2 (en) Embroidery presser for embroidery machine
JP4235435B2 (ja)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US6145457A (en) Sewing machine having needle bar oscillating mechanism, needle bar interrupting mechanism and thread tension releasing mechanism
US5899157A (en) Presser foot device of sewing machine having a presser foot ascent detection device and a control mechanism
JP2006149440A (ja) ミシン
CN105316875B (zh) 缝纫机
JP4418812B2 (ja) ミシン
JP2006314391A (ja) ミシン
KR100944296B1 (ko) 재봉틀
JP2841299B2 (ja) 零送り設定スタートミシン
JP2006110237A (ja) ミシン
JP3897641B2 (ja) ミシン
JP2010142536A (ja) ミシン
US8191491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executable on sewing machine
JP3948132B2 (ja) ミシンの布押え昇降装置
JP2849715B2 (ja) 送り解放ミシン
JP3425059B2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の押え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