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008B1 -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008B1
KR101183008B1 KR1020090018932A KR20090018932A KR101183008B1 KR 101183008 B1 KR101183008 B1 KR 101183008B1 KR 1020090018932 A KR1020090018932 A KR 1020090018932A KR 20090018932 A KR20090018932 A KR 20090018932A KR 101183008 B1 KR101183008 B1 KR 101183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late
bare cell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913A (ko
Inventor
곽노현
장영철
서경원
하재영
고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3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22Non-printed res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507Involving several components
    • H05K2201/10515Stacked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어셀 및 베어셀 상에 위치하고 캡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차전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베어셀 및 보호회로모듈로 구성되는 코어팩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셀은 양극판, 음극판, 전해질 및 세퍼레이터로 구성되어 외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며, 충방전을 거듭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호회로모듈은 과충전 및 과전류로부터 이차전지를 보호하고 과방전으로 인한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형화되고, 용량밀도가 증대된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 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어셀 및 베어셀 상에 위치하고 캡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베어셀, 베어셀 상에 위치하는 보호회로모듈, 보호회로모듈의 상면 어느 한 단변측에 위치하는 리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플레이트는 보호회로모듈과 베어셀 상에 위치하여 보호회로모듈을 베어셀에 클램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은 보호회로모듈과 베어셀 사이에 이격공간이 없도록 보호회로기판을 베어셀 상에 면접촉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보호회로기판 상에 베어셀을 외부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충방전단자부를 표면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은 내부 소자들의 사이즈를 줄이고, 내부 소자들을 컴팩트하게 위치시켜 이차전지를 소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부피는 줄이되, 전지용량은 유지시킴으로써, 이차전지의 용량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베어셀(100), 보 호회로모듈(200), 상부케이스(620), 하부케이스(640) 및 라벨(66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셀(100) 상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이 위치하며 상호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620)는 보호회로모듈(200) 및 베어셀(100)의 상부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하부케이스(640)는 베어셀(100)의 하부를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베어셀(100)의 외면은 라벨(660)에 의해 감싸져 보호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100)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회로모듈(200)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리드플레이트(250)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베어셀(100)은 캔(110), 캔(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120), 캔(110)의 개구부(110a)를 덮는 캡조립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11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일측부가 개구된 개구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캔(110)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자체가 단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120)는 캔의 개구부(110a)를 통해 캔(110)에 삽입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120)는 제 1 전극판(121), 제 2 전극판(122) 및 제 1 전극판(121)과 제 2 전극판(122)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123)가 상호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120)는 이차전지(10)에서 충전과 방전을 거듭 하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판(121)은 제 1 전극 집전체(미도시) 및 제 1 전극 활물질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는 제 1 전극판(121)이 양극인 경우, 도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Al) 포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활물질층은 제 1 전극 집전체 상에 위치하고, 제 1 전극 활물질, 도전재료 및 바인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 활물질은 리튬코발트옥사이드(LiCoO2), 리튬망간옥사이드(LiMn2O4) 또는 리튬니켈옥사이드(LiNiO2) 등이 될 수 있다. 도전재료로는 카본블랙(carbon black)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인더로는 PVDF, SBR 또는 PTFE 등을 휘발성 용매인 NMP나 유기용제 또는 물 등으로 용해, 분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는 양 측단에 제 1 전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전극 무지부에는 제 1 전극탭(121a)이 부착되어 캔(110)의 개구부(110a)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전극탭(121a)은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전극탭(121a)이 전극조립체(120)로부터 인출되는 부분에는 캡플레이트(131) 이외의 부분과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절연테이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판(122)은 제 2 전극 집전체(미도시) 및 제 2 전극 활물질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 집전체는 제 2 전극판(122)이 음극인 경우, 도전성이 우수한 구리(Cu) 포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 활물질층은 상기 제 2 전극 집전체 상에 위치하며, 제 2 전극 활물질, 도전재료 및 바인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극 활물질은 탄소(C) 계열 물질, Si, Sn, 틴 옥사이드, 틴 합금 복합체(composite tin alloys),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 금속 나이트라이드 또는 리튬 금속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탄소(C) 계열 물질이 될 수 있다. 도전재료로는 카본블랙(carbon black)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인더로는 PVDF, SBR 또는 PTFE 등을 휘발성 용매인 NMP나 유기용제 또는 물 등으로 용해, 분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제 2 전극판(122)의 경우 제 2 전극 활물질 자체의 도전성이 높아 도전재료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 집전체는 양 측단에 제 2 전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전극 무지부에는 제 2 전극탭(122a)이 부착되어 캔(110)의 상단개구부(110a)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 전극탭(122a)은 구리(Cu) 또는 니켈(Ni)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전극탭(122a)이 전극조립체(120)로부터 인출되는 부분에는 전극단자(134) 이외의 부분과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절연테이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 1 전극판(121)이 양극, 제 2 전극판(122)이 음극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 1 전극판(121)이 음극, 제 2 전극판(122)이 양극이 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각형 이차전지(10)에 있어서 단자 기능을 수행하는 캔(110)은 양극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극판(121)이 양극이라면 젤리롤 전극조립체(120)의 최외각 전극판은 양극인 제 1 전극판(121)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판(121)이 음극이라면 젤리롤 전극조립체(120)의 최외각 전극판은 양극인 제 2 전극판(122)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전극판(121)이 양극, 제 2 전극판(122)이 음극일 때의 실시예를 가정하여 설명을 전개해 나가기로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123)는 제 1 전극판(121)과 제 2 전극판(1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123)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의 복합필름을 사용한 다공성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퍼레이터(123)는 전극조립체(120)에서 제 1 전극판(121)과 제 2 전극판(122)과의 전자전도를 차단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23)는 제 1 전극판(121)과 제 2 전극판(122)의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 외에 외부쇼트 등으로 인한 이차전지(10)의 온도 상승시 셧다운(Shut-down) 등을 통해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판(121)과 제 2 전극판(122) 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퍼레이터(123) 외에도 세라믹 물질을 바인더와 혼합한 세라믹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120)에서는 충전시, 리튬 이온이 제 1 전극판(121)으로부터 제 2 전극판(122)으로 도프(intercalation)되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방전시에는 리튬 이온이 제 2 전극판(122)으로부터 제 1 전극판(121)으로 탈도프(deintercalation)되며 외부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캡조립체(130)는 캡플레이트(131), 절연플레이트(132), 터미널플레이트(133), 전극단자(134), 가스켓(135)을 포함할 수 있다. 캡조립체(130)는 캡조립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절연케이스(136)와 함께, 캔(110)의 개구부(110a)에서 전극조립체(120)와 결합되어 캔(110)을 밀봉할 수 있다. 절연케이스(136)에는 전해액이 전극조립체(120)로 주입될 수 있도록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플레이트(131)는 캔(110)의 개구부(110a)에 위치하고, 캔(110)의 개구부(110a)와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플레이트(131)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제 1 홀(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캡플레이트(131)의 일측에는 전해액 주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전해액 주입홀은 전해액을 캔(110)에 넣은 후 볼 등의 덮개(미도시)를 통해 밀폐될 수 있다. 제 1 홀(131a)을 중심으로 전해액 주입홀과 대응하는 캡플레이트(131)의 일면에는 안전벤트(safety bent, 131d)가 형성될 수 있다. 안전벤트(131d)는 캡플레이트(131)의 일면에 홈이 형성되어 주위 캡플레이트(131) 부분과 일정한 단차를 가진다. 안전벤트는(131d) 베어셀(100) 내부에 고압 가스가 발생시, 파열되면서 가스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캡플레이트(131)는 제 1 전극탭(121a)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캡플레이트(131)는 제 1 전극판(121)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132)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캡플레이트(13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플레이트(132)는 제 1 홀(13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홀(132a)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플레이트(132)는 가스켓(135)과 동일한 절연물질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33)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절연플레이트(13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터미널플레이트(133)는 제 2 홀(13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3 홀(133a)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플레이트(133)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단자(134)는 제 1 홀(131a), 제 2 홀(132a) 및 제 3 홀(133a)을 통해 캡플레이트(131), 절연플레이트(132) 및 터미널플레이트(133)에 삽입될 수 있다. 전극단자(134)는 제 2 전극탭(122a)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단자(134)는 제 2 전극판(122)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5)은 전극단자(134)와 캡플레이트(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스켓(135)은 전극단자(134)와 캡플레이트(131)를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은 베어셀(10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보호회로모듈(200)은 과충전 및 과전류로부터 이차전지(10)를 보호하고 과방전으로 인한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보호회로모듈(200)과 베어셀(100)의 연결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회로모듈(200)은 인쇄회로기판(210),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부(220), 보호회로소자(230), 충방전단자부(240), 제 1 리드플레이트(250) 및 제 2 리드플레이트(260)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드플레이트 및 제 2 리드플레이트는 보호회로모듈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으나, 보호회로모듈과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210)은 상기 베어셀(100)의 캡플레이트(131)에서 곡률을 가진 양측부를 제외하고, 캡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10)은 상기 캡플레이트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에서 베어셀(100)의 전극단자(134)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단자홀(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단자(134) 및 가스켓(135)은 상기 단자홀(210a)에 삽입, 관통되고,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면은 상기 베어셀(10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캡플레이트(131)의 상면과 면접촉하여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다.
기존 이차전지의 보호회로모듈은 보호회로모듈과 베어셀 사이에 최소한 전극단자가 베어셀의 상부로 돌출된 만큼의 이격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베어셀 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회로모듈(200)은 인쇄회로기판(210)이 베어셀(100)의 상면과 면접촉하여 맞닿음으로써 상기 이격공간을 제거하여 보다 컴팩트한 이차전지(10)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10)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조는 베어셀(100)의 전지용량은 유지하되,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200)의 결합을 컴팩트하게 함으로써, 이차전지(10)의 용량밀도(전지용량/부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10)에는 도전성 금속(미도시)이 패터닝 되어 있고, 도전 성 금속은 PTC부(220), 보호회로소자(230), 충방전단자부(240), 제 1 리드플레이트(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210)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될 수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는 0.1 내지 0.15mm가 될 수 있다. 이는 기존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보호회로모듈과 비교하여, 더 작은 치수로서 이차전지의 사이즈를 축소시키고 이차전지의 용량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의 각 측부는 제 1 단변(211), 제 2 단변(212), 제 1 장변(213) 및 제 2 장변(2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과 베어셀(100)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210)과 캡플레이트(131)를 절연시키는 절연테이프가 더 위치할 수도 있다. 절연테이프는 양면에 접착물질이 있어, 인쇄회로기판(210)을 캡플레이트(131) 상에 접착시킬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210)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외장재의 내부에 도전성 금속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캡플레이트(131)와 접촉하더라도 절연성에는 문제가 없다. 따라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캡플레이트(131)와 마주하는 일면에는 절연물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캡플레이트(131)와 보호회로모듈(200)은 상호 단락되지 않는다.
상기 PTC부(220)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PTC부(220)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부(2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탭(221), 제 1 탭(221) 상에 위치하며, 제 1 탭(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TC 소자(222), PTC 소자(222) 상에 위치하며, 단자홀(210a)을 통해 돌출된 전극단자(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탭(223)으로 이루어진다. 제 2 탭(223)은 전극단자(134)와 용접되어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레이저 용접법 또는 저항용접법을 사용할 수 있다. PTC 소자(222)는 온도가 어느 임계치를 넘으면 전기저항이 거의 무한대에 이르는 디바이스로서, 이차전지(10)가 이상고온으로 될 때 충방전 전류를 차단시킬 수 있다. PTC 소자(222)는 가역적인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PTC 소자(222)가 동작하여 전류가 정지한다. 이후, 이차전지(10)의 온도가 내려가면 PTC 소자(222)의 저항은 다시 작아지게 되어, 이차전지(10)가 다시 작동할 수 있다. PTC부(220)는 베어셀(100)의 전극단자(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그 자체로, 음극 리드플레이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소자(230)는 인쇄회로기판(210)의 단자홀(210a)을 기준으로 단자부(215)와 반대측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회로소자(230)는 다수의 수동, 능동 소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전성 금속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호회로소자(230)는 전지의 충방전 상태, 및 전지의 전류, 전압, 온도 등의 정보를 점검하여 전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단자부(240)는 보호회로소자(230) 상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인쇄회로기판(210)에 표면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충방전단자부(240)는 도전성 금속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전자기기와의 전기적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충방전단자부(240)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250)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제 1 단변측(211)에 위 치하며, 캡플레이트(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리드플레이트(250)는 양극 리드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리드플레이트(250)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상면 제 1 단변측(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는 제 1 플레이트(251), 베어셀의 캡플레이트(131) 상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는 제 2 플레이트(252), 제 1 플레이트(251)와 제 2 플레이트(25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3 플레이트(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251)는 인쇄회로기판(210)과 솔더링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플레이트(252)와 상기 캡플레이트(131)는 용접을 통해서 더 견고히 연결될 수 있고, 레이저 용접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 3 플레이트는 제 2 플레이트로부터 제 1 플레이트를 분리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는 제 2 플레이트의 두께와 제 3 플레이트의 두께의 합이 될 수 있다.
기존의 리드플레이트는 베어셀과 베어셀로부터 이격된 보호회로모듈 사이의 공간을 지지하면서 베어셀과 보호회로모듈을 연결한다. 따라서, 리드플레이트가 상기 이격공간 만큼의 높이를 가지게 되며, 이는 이차전지가 완성된 후 불필요한 공간을 남기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보호회로모듈(200)이 캡플레이트(131)의 상면과 면접촉하여 맞닿아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 1 플레이트(251)가 보호회로모듈(20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조에 따라, 제 3 플레이트(253)의 높이도 대략 인쇄회로기판(2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 1 리드플레이트(250)는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200)을 연결하게 된다. 즉, 제 1 리드플레이트는 베어셀과 보호회로모듈 상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회 로모듈을 베어셀에 클램핑(clamping)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캡플레이트(131)와 제 1 리드플레이트(250)를 연결하는 데 있어서 필요하던 이격공간을 제거하여 보다 컴팩트한 이차전지(10)의 제조가 가능하며, 이는 이차전지(10)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베어셀(100)의 전지용량은 유지하되,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200)의 결합을 컴팩트하게 함으로써, 이차전지(10)의 용량밀도(전지용량/이차전지의 부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상기 제 2 리드플레이트(260)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제 2 단변(212)측에 위치하며, 캡플레이트(13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드플레이트(260)는 캡플레이트(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리드플레이트(250)와 같이 양극 리드플레이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리드플레이트(260)는 제 1 리드플레이트(250)와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기 위한 더미 리드플레이트가 될 수도 있다. 제 2 리드플레이트(260)가 더미 리드플레이트인 경우, 제 2 리드플레이트(260)는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200)을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제 2 리드플레이트(260)가 양극 리드플레이트 또는 더미 리드플레이트에 상관없이, 제 2 리드플레이트(260)는 제 1 리드플레이트(25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 리드플레이트도 제 3 플레이트는 제 2 플레이트로부터 제 1 플레이트를 분리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는 제 2 플레이트의 두께와 제 3 플레이트의 두께의 합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2 리드플레이트(260)는 이차전지(10)에서 제거될 수 있다. 기존 제 2 리드플레이트는 베어셀과 보호회로모듈 사이에 이격공간이 있을 때, 베어셀과 보 호회로모듈 사이의 이격공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보호회로모듈(200)과 이차전지(10) 사이에 이격공간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리드플레이트(260)가 더미 리드플레이트인 경우, 이차전지(10)에서 제거하여 이차전지(10)의 구조를 심플하게 하고, 이차전지(10)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리드플레이트(260)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단자부(240)의 분해사시도 및 일반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단자부(240)는 인쇄회로기판(210) 및 보호회로소자(2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충방전단자부(240)는 구성되는 재료에 따라 하우징(241) 및 충방전단자(242)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충방전단자부(240)는 구조에 따라 베이스부(243), 제 1 지지부(244) 및 제 2 지지부(245)로 구분될 수 있다. 충방전단자부(240)는 상부케이스(620)의 충방전단자부홈(620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충방전단자부(240)를 재료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면, 충방전단자부(240)는 하우징(241)과 충방전단자(242)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우징(241)과 충방전단자(242)를 분리하여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하우징(241)은 하면의 중앙부에 일정한 폭과 길이의 홈을 가지며, 단변측으로 자른 단면이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 징(241)은 절연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방전단자(242)는 양극, ID 저항(identification resistor), 음극 역할을 하는 다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보다 상세하게는 인청동에 금을 도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방전단자(242)는 세 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방전단자(242)의 하부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제 1 장변(213)측 및 제 2 장변(214)측에 위치하는 마운트부(217)에 표면실장될 수 있다. 충방전단자(242)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도전성 금속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충방전단자부(240)를 구조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면, 충방전단자부(240)는 평평한 판형상을 가지는 베이스부(243), 베이스부(243)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제 1 지지부(244) 및 제 2 지지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41)과 충방전단자(242)는 상호 결합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제 1 지지부(244) 및 제 2 지지부(245)는 각각 인쇄회로기판(210)의 제 1 장변(213)측과 제 2 장변(214)측 상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243)를 지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지지부(244) 및 제 2 지지부(245)는 각각 인쇄회로기판(210) 상에 표면 실장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210)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243)가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243)의 일측 및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보호회로소자(230)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상면에서, 제 1 지지부(244)와 제 2 지지부(245) 사이에 위치하고, 베이스부(243)의 하면은 보호회로소자로(230)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구조하에서, 상기 충방전단자부(240)는, 베이스부(243)가 상기 보호회로소자(230) 상에 위치하고, 제 1 지지부(244) 및 제 2 지지부(245)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10)의 제 1 장변(213)측과 제 2 장변(214)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호회로소자(230)는 제 1 지지부(244)와 제 2 지지부(245)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부(243)의 하면은 상기 보호회로소자(230)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지지부(244) 및 상기 제 2 지지부(24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충방전단자부(240)는 인쇄회로기판(210)에 실장되는 면적이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보호회로소자(230) 상에 위치하게 되어, 인쇄회로기판(210) 상에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10)의 일면에 보호회로모듈(230)의 제조에 필요한 모든 소자들이 효율적인 배치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이차전지(10)의 소형화를 가져올 수 있고, 이차전지(10)의 용량밀도(전지용량/부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8에 개시된 이차전지(10)는 기존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모델의 보호회로모듈(200)을 개시하고 있고, 그에 따라 변화되는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2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인쇄회로기판(210)의 일면에 PCT부(220), 보호회로소자(230), 충방전단자부(240), 리드플레이트(250, 260)를 모두 결합시켜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조이다. 따라서, 기존 베어셀과 보호회로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이격공간을 제거하여 보다 슬림한 형상의 이차전지(10)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 개시된 이차전지(10)는 소자간의 배치 및 구성이 컴팩트하게 이루어져 별도의 남는 공간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이차전지(10)의 인쇄회로기판(210)으로 채용함으로써 기판이 차지하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의 이차전지(10)는 내부 소자들의 사이즈를 줄이고, 내부 소자들을 컴팩트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이차전지(10)사이즈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이는 베어셀(100)의 전지용량은 유지하되,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200)의 결합을 컴팩트하게 함으로써, 이차전지(10)의 용량밀도(전지용량/부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리드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리드플레이트(250a)는 제 1 플레이트(251a) 및 제 2 플레이트(252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251a) 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제 1 단변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252a)는 캡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251a) 와 제 2 플레이트(252a)는 전기적, 기계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251a) 는 인쇄회로기판과 솔더링되고, 제 2 플레이트(252a)는 캡플레이트와 용접을 통해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리드플레이트(250b)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는 대략 0.1 내지 0.15mm이므로 매우 얇다. 따라서 제 1 리드플레이트(250b)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단변측과 캡플레이트의 단변측을 연결할 때, 대략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지며 연결될 수 있다. 사실상 가요성 인쇄회로기판도 두께를 가지므로, 제 1 리드플레이트(250b)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과 캡플레이트를 연결할 때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만큼의 단차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는 0.1 내지 0.15mm로서 매우 작기 때문에, 제 1 리드플레이트(250b)는 대략 평평한 판 형상으로 가지며 캡플레이트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 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회로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리드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단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단자부의 일반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리드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Claims (28)

  1. 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어셀;
    상기 베어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캡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베어셀을 외부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충방전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단자부는 하우징 및 충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표면실장되며,
    상기 충방전단자부는
    평평한 판형상을 가지는 베이스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표면실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가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표면실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가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마운트부에 표면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방전단자는 다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금속판은 양극, ID 저항 및 음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호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보호회로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은 상기 보호회로소자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베어셀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베어셀의 전극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단자홀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상기 단자홀을 통해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TC부가 더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단자홀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PTC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탭;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탭; 및
    상기 제 1 탭 및 상기 제 2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TC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PTC부는 양극 리드플레이트 또는 음극 리드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 1 단변측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베어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리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제 1 단변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베어셀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제 1 단변측에 위치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베어셀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플 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 1 플레이트를 분리하는 두께를 가지는 제 3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두께와 상기 제 3 플레이트 두께의 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1. 삭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제 2 단변측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베어셀을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더미 리드플레이트가 더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제 2 단변측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베어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2 리드플레이트가 더 위치하고, 상기 제 1 리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리드플레이트는 양극 리드플레이트 또는 음극 리드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4. 삭제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PTC부는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어느 한 단변측에 위치하여 상기 베어셀과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플레이트는 상기 PTC부와 반대 극성을 가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충방전단자부 사이에는 보호회로소자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6. 베어셀;
    상기 베어셀 상에 위치하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상면 어느 한 단변측에 위치하는 리드플레이트;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베어셀을 외부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충방전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플레이트는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베어셀 상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베어셀에 클램핑하고,
    상기 충방전단자부는 하우징 및 충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표면실장되며,
    상기 충방전단자부는
    평평한 판형상을 가지는 베이스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표면실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가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표면실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가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하면과 상기 베어셀의 상면은 상호 면접촉하여, 이격공간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8. 삭제
KR1020090018932A 2008-09-22 2009-03-05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83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13808P 2008-09-22 2008-09-22
US61/099,138 2008-09-22
US12/397,578 US8334063B2 (en) 2008-09-22 2009-03-04 Secondary battery
US12/397,578 2009-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913A KR20100033913A (ko) 2010-03-31
KR101183008B1 true KR101183008B1 (ko) 2012-09-18

Family

ID=4150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932A KR101183008B1 (ko) 2008-09-22 2009-03-05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334063B2 (ko)
EP (1) EP2166595B1 (ko)
JP (1) JP5564225B2 (ko)
KR (1) KR101183008B1 (ko)
CN (1) CN1016858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6221B2 (en) * 2007-01-17 2013-11-1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protective circuit board lead plates connection
KR100833745B1 (ko) * 2007-01-17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334063B2 (en) * 2008-09-22 2012-12-1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050298B1 (ko) * 2008-12-03 2011-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030915B1 (ko) * 2009-06-16 2011-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US8686689B2 (en) * 2009-11-30 2014-04-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assembly
KR101156240B1 (ko) * 2009-12-08 2012-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093861B1 (ko) * 2009-12-16 2011-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20110236727A1 (en) * 2010-03-29 2011-09-29 Young-Cheol Jang Secondary battery pack
KR101274839B1 (ko) * 2010-07-26 2013-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드 플레이트를 통해 배어셀의 열을 온도 감응 소자에 전달하는 이차 전지
US20120171556A1 (en) * 2010-12-29 2012-07-05 Jongpil Kim Secondary battery
KR101222392B1 (ko) 2011-01-04 2013-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175020B1 (ko) * 2011-02-08 2012-08-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968893B2 (en) * 2011-03-11 2015-03-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432224B1 (ko) * 2012-02-07 2014-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이차전지 팩
US20130280558A1 (en) * 2012-04-19 2013-10-2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JP5964675B2 (ja) * 2012-07-02 2016-08-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20140050946A1 (en) * 2012-08-16 2014-02-20 Samsung Sdi Co., Ltd. Protection apparatus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101985760B1 (ko) 2013-01-17 2019-06-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20140212695A1 (en) * 2013-01-30 2014-07-31 Tesla Motors,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as high voltage interconnect in battery modules
US20140302348A1 (en) * 2013-04-03 2014-10-09 The Gillette Company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KR101488874B1 (ko) 2013-05-30 2015-02-03 주식회사 이랜텍 조립 성능이 개선된 보호회로모듈
KR101490026B1 (ko) * 2013-05-31 2015-02-06 박용미 배터리 팩 및 그 생산방법
CN103811707A (zh) * 2013-11-01 2014-05-21 朱云 一种具有多个输出端口和输入端口的小电池
AT515298B1 (de) 2014-01-31 2015-08-15 Avl List Gmbh Verbindungselement zum Kontaktieren von zumindest einem Zellpol einer Batteriezelle
USD828806S1 (en) * 2015-10-26 2018-09-18 Accutronics, Ltd Battery charger
JP7097892B2 (ja) 2016-12-29 2022-07-08 ロメオ・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バッテリ構造、相互接続、検知、およびバランシ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615395B2 (en) 2017-05-10 2020-04-07 Apple Inc. Battery cap with cut-out sections
KR102188723B1 (ko) * 2017-11-07 2020-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온도 추정 장치 및 방법
JP1667632S (ko) * 2019-07-05 2020-09-07
JP1667617S (ko) * 2019-07-05 2020-09-07
JP1667633S (ko) * 2019-07-05 2020-09-07
JP1667618S (ko) * 2019-07-05 2020-09-07
KR102271284B1 (ko) * 2021-01-19 2021-06-29 이승학 Pcm기판의 쇼트발생부 절연방법 및 그 자동화장치
CN113178627A (zh) * 2021-04-12 2021-07-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池保护板及电池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672A (ja) * 1999-11-16 2001-05-25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と保護回路基板の一体化構造物、およびそれに用いる保護回路基板
KR100791551B1 (ko) * 2007-08-17 2008-01-07 주식회사 퓨처라인 보호회로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및 상기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제조 방법
KR100851963B1 (ko) * 2008-02-22 2008-08-12 주식회사 퓨처라인 피티시소자를 탑재한 보호회로모듈을 가진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0970A (en) * 1962-05-25 1964-12-15 Electric Storage Battery Co Storage battery container
GB2246535B (en) 1990-07-28 1994-01-26 Cmb Foodcan Plc Method of manufacturing a wall ironed can
JPH0478757U (ko) 1990-11-22 1992-07-09
US5088934A (en) 1991-02-20 1992-02-18 Chian Chyun Enterprise Co. Ltd. Electrical terminal
JP3372263B2 (ja) 1991-06-13 2003-01-27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H07220700A (ja) 1994-01-28 1995-08-18 Sanyo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を内蔵するパック電池
JP3066338B2 (ja) * 1996-03-27 2000-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 池
JP3531090B2 (ja) 1996-11-07 2004-05-2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H10208777A (ja) 1997-01-21 1998-08-07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WO1999060637A1 (en) 1998-05-18 1999-11-25 Tyco Electronics Raychem K.K. Ptc element, ptc element-mounted pcb board, secondary cell protection circuit device and secondary cell assembly
KR100409210B1 (ko) 1998-05-20 2003-12-12 오사까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비수계 2차 전지 및 그 제어방법
JP3507333B2 (ja) 1998-05-28 2004-03-15 ローム株式会社 充電池用の保護回路および充電池パック
JP2000243364A (ja) 1999-02-24 2000-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CN1180507C (zh) 1999-03-30 2004-12-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具备电池保护电路的蓄电池
JP3288329B2 (ja) 1999-04-05 2002-06-0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端子一体型保護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池パック
JP2001093497A (ja) 1999-07-19 2001-04-06 Toshiba Battery Co Ltd 扁平電池の収容ケ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EP1071147A1 (en) * 1999-07-19 2001-01-24 Toshiba Battery Co., Ltd. Battery pack
JP2001250520A (ja) 2000-03-02 2001-09-14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パックおよび電子機器
JP2001250519A (ja) 2000-03-08 2001-09-14 Rohm Co Ltd 電池パック
JP2002038512A (ja) 2000-07-28 2002-02-06 Komatsu Ltd ボス及びブラケットの溶接構造物およびその溶接方法
JP5055654B2 (ja) 2000-09-19 2012-10-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用包装材料の製造方法
EP1197699A3 (en) 2000-09-20 2003-05-21 Tokai Rubber Industries, Ltd. Hydrogen fuel hose
KR100822557B1 (ko) * 2000-10-20 2008-04-1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외장체 형성방법 및 그 장치
JP3696097B2 (ja) 2001-01-30 2005-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3068255A (ja) 2001-08-23 2003-03-07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09554A (ja) 2001-09-28 2003-04-11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電池
US6803144B2 (en) 2001-11-01 2004-10-12 Nokia Corporation Battery pack for electronic device
JP3815550B2 (ja) 2001-12-10 2006-08-30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電池パック
US6824917B2 (en) 2001-12-11 2004-11-30 Nokia Corporation Battery syste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739708B2 (ja) 2002-01-10 2006-01-25 京セラ株式会社 バッテリー
KR100861166B1 (ko) 2002-02-13 2008-09-3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팩의 제조방법
JP4440548B2 (ja) * 2002-02-13 2010-03-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3257389A (ja) 2002-03-06 2003-09-12 Sony Corp 電池装置
JP4197244B2 (ja) 2002-09-11 2008-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電池包装体
JP3836415B2 (ja) 2002-09-30 2006-10-25 京セラ株式会社 バッテリー
KR100457626B1 (ko) 2002-11-15 2004-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안전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JP2004171895A (ja) 2002-11-19 2004-06-17 Sony Corp 電池パック
JP4263989B2 (ja) * 2002-12-18 2009-05-13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502337B1 (ko) 2002-12-26 2005-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JP4601903B2 (ja) 2003-01-27 2010-1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2004303618A (ja) 2003-03-31 2004-10-28 Mitsumi Electric Co Ltd 端子構造及び二次電池保護回路
CN2631052Y (zh) 2003-06-13 2004-08-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
KR100515354B1 (ko) 2003-06-19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097582B2 (ja) 2003-09-12 2008-06-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パック電池と接続可能な電気機器、およびパック電池の種別判定方法
JP3922281B2 (ja) 2003-11-14 2007-05-30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KR100561298B1 (ko) * 2004-01-13 2006-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EP1714334B1 (en) * 2004-01-28 2017-11-08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of assemble-type structure
KR20040015314A (ko) 2004-01-28 2004-02-18 임승준 무용접 접점 방식의 배터리 팩
BRPI0507558B8 (pt) 2004-02-13 2023-01-10 Lg Chemical Ltd Pacote de bateria
BRPI0507658B8 (pt) 2004-02-18 2023-01-10 Lg Chemical Ltd “conjunto de tampa do tipo unificado que contém placa de circuito de proteção e bateria secundária que compreende a mesma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a bateria”
TWI261383B (en) 2004-03-03 2006-09-01 Antig Tech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soft-plate lamination integrating fuel cell and flexible soft-plate lamination integrating fuel cell
US7920045B2 (en) * 2004-03-15 2011-04-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PPTC device with integral weld plate
KR100537539B1 (ko) 2004-03-30 2005-1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드 플레이트가 부착된 각형 이차 전지
KR100580766B1 (ko) 2004-03-30 2006-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JP4698171B2 (ja) 2004-06-21 2011-06-08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100542677B1 (ko) * 2004-06-25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7754378B2 (en) 2004-06-25 2010-07-1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a sealing plate used to seal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in a cap plate
JP4765439B2 (ja) 2004-07-23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0601533B1 (ko) * 2004-07-28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이차보호소자
JP4837278B2 (ja) 2004-12-02 2011-1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7622219B2 (en) 2004-10-27 2009-11-24 Panasonic Corporation Battery pack
KR100579377B1 (ko) * 2004-10-28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60042819A (ko)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의 보호회로 매입형 수지물 체결장치
JP5191625B2 (ja) 2004-11-29 2013-05-08 京セラ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電子機器
US8778529B2 (en) * 2004-11-29 2014-07-15 Samsung Sdi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930476B1 (ko) 2005-01-25 2009-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어셈블리 성형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601577B1 (ko) * 2005-03-24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659849B1 (ko) 2005-04-25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캔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100670501B1 (ko) * 2005-05-04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731462B1 (ko) * 2005-05-04 2007-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7781089B2 (en) 2005-05-11 2010-08-24 Ricoh Company, Ltd.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battery package using same
KR100686841B1 (ko) 2005-05-18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100686800B1 (ko) * 2005-07-26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907940B2 (ja) 2005-09-29 2012-04-04 京セラ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バッテリーの製造装置、バッテリー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878703B1 (ko) 2005-11-28 2009-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측면 실링부에 pcm이 장착되어 있는 소형 전지팩
JP4722015B2 (ja) 2005-12-29 2011-07-13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ポリマー電池パック
KR100839785B1 (ko) 2005-12-29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형성 방법
KR100950038B1 (ko) 2006-02-20 2010-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
JP4785759B2 (ja) 2006-02-27 2011-10-05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二次電池
JP4989920B2 (ja) 2006-05-31 2012-08-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0778993B1 (ko) 2006-08-31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수지도관형 측면커버 구비 이차전지
KR20080022669A (ko) 2006-09-07 2008-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출력 특성을 가진 이차전지
KR100770106B1 (ko) * 2006-10-24 2007-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20080037869A (ko) 2006-10-27 2008-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5151115B2 (ja) 2006-11-02 2013-02-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二次電池
KR100865392B1 (ko) 2006-11-20 2008-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46956B1 (ko) 2006-11-21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 모듈을 갖는 이차전지
KR100934459B1 (ko) 2006-11-27 200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생산성과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팩
KR100833745B1 (ko) * 2007-01-17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54589B1 (ko) 2007-02-07 2010-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0870356B1 (ko) * 2007-03-15 2008-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870363B1 (ko) 2007-03-15 2008-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보호회로 기판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0824898B1 (ko) * 2007-04-19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팩 전지
KR100928120B1 (ko) * 2007-11-07 2009-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47972B1 (ko) 2007-12-14 2010-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959871B1 (ko) 2007-12-17 2010-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0965711B1 (ko) 2008-05-09 2010-06-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983200B1 (ko) 2008-06-12 2010-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334063B2 (en) * 2008-09-22 2012-12-1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672A (ja) * 1999-11-16 2001-05-25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と保護回路基板の一体化構造物、およびそれに用いる保護回路基板
KR100791551B1 (ko) * 2007-08-17 2008-01-07 주식회사 퓨처라인 보호회로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및 상기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제조 방법
KR100851963B1 (ko) * 2008-02-22 2008-08-12 주식회사 퓨처라인 피티시소자를 탑재한 보호회로모듈을 가진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6595A2 (en) 2010-03-24
EP2166595B1 (en) 2013-05-29
KR20100033913A (ko) 2010-03-31
CN101685871A (zh) 2010-03-31
US20100075205A1 (en) 2010-03-25
CN101685871B (zh) 2013-03-06
US20130071697A1 (en) 2013-03-21
JP2010073696A (ja) 2010-04-02
US8334063B2 (en) 2012-12-18
US8632900B2 (en) 2014-01-21
EP2166595A3 (en) 2011-10-19
JP5564225B2 (ja)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008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30900B1 (ko) 이차전지
KR101050298B1 (ko) 이차전지
KR101030915B1 (ko) 배터리팩
US8632910B2 (en) Protection circuit board,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KR101093949B1 (ko) 이차전지
KR101036071B1 (ko)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20040126650A1 (en) Electrode assembly for lithium ion cell and lithium cell using the same
KR100938896B1 (ko) 배터리 팩
KR20100063378A (ko) 배터리팩
KR101016849B1 (ko) 이차전지
KR20070108756A (ko) 리튬 이차전지
KR20070025680A (ko)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