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888B1 -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888B1
KR101165888B1 KR1020090112382A KR20090112382A KR101165888B1 KR 101165888 B1 KR101165888 B1 KR 101165888B1 KR 1020090112382 A KR1020090112382 A KR 1020090112382A KR 20090112382 A KR20090112382 A KR 20090112382A KR 101165888 B1 KR101165888 B1 KR 101165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office equipment
opening
closing device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359A (ko
Inventor
카타노 코이치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07Holders for the original in copying cameras
    • G03B27/6221Transparent copy platens
    • G03B27/6228Platen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1개 족상의 취부부재로 한 것에 있어서, 원고압착판개폐장치 자체에 틀체를 열 때에 원고압착판이 함께 열리지 않도록 하고 또는 1개 족상의 취부부재가 빠지게 되지 않도록 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복합기로 칭하는 사무기기에 사용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무기기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취부되는 틀체 측에 설치된 취부공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취부되는 취부부재를 겸하는 케이스상의 각부와 상기 각부의 상부 측에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취부되는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각부의 사이에 해당 지지부재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린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하여 설치된 탄성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수단을 작용시킨 캠기구와, 상기 각부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틀체가 열릴 때에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린동작으로 향한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자동으로 방지하는 회동방지수단으로 구성한다.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 사무기기, 원고압착판개폐장치, 사무기기, 복합기,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Description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사무기기{APPARATUS FOR OPENING OR CLOSING PLATE PRESSING MANUSCRIPT AND OFFICE EQUIPMEN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복사기기와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스캐너 등의 각 기능을 겸비하여 소위 복합기라고 칭하는 사무기기에 사용되기 적합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복합기라고 칭한 사무기기기는 예를 들면, 보수, 점검 혹은 수리 때문에 장치본체와 스캐너부를 구성하는 틀체가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는 형태에 개폐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틀체에는 원고를 콘택트글라스(contact glass) 위에 압착시키기 위하여 원고압착판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끼워 개폐가능하게 취부(取付)되어 있고, 이 원고압착판에는 자동원고이송장치(일반적으로 ADF(Automatic Document Feeder))로 칭해져 있다.)가 부착된 것이 넓게 사용되고 있고 상당한 중량을 가지고 있다.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예를 들면, 복사하거나 독해하는 원고가 책보다 두꺼운 물건/원고일 경우에 대처하기 위하여 리프트 기능을 가진 것이 사용되고 있고 이 리프트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통칭 1개 족(足)힌지로 칭해진다. 취부부재가 1개 족상(足狀)으로 구성하고, 이 취부부재에 원고압착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취부하고, 또 지지부재를 원고압착판의 열린방향(開成方向)으로 힘이 작동된다. 탄성수단을 작용시킨 캠기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1개 족상의 취부부재를 틀체(혹은 장치본체)의 후부상면에 설치한 취부공(取付孔취)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취부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상술한 복합기로 칭해진 사무기기에 사용된 경우에 보수, 점검 및 수리 등을 위해서 틀체를 장치본체에 대하여 열리고 중량이 있는 원고자동이송장치부의 원고압착판이 함께 열려버리고 불안정이 되어 사무기기가 넘어져버릴 염려가 있다. 그래서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틀체가 열릴 때에 원고압착판을 열린방향으로 이동시킨 이동기구를 설치한 것이 공지이다.
[특허문헌1] 특개 2008-209626호
그렇지만, 이와 같은 이동기구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가 특별히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제작비용이 비싸게 되어 더욱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비싸게 되지 않은 구성으로 틀체의 개폐시에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열린동작을 규제하여 열리지 않도록 하고, 또 각부(脚部)가 빠지게 되지 않도록 한 것이 요구되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1개 족상의 취부부재로 하는 것에 있어서 원고압착판개폐장치 자체에 틀체를 열 때에 원고압착판이 함께 열리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1개 족상의 취부부재가 빠지게 되지 않도록 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합기로 칭하는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상ㅇ기 사무기기의 측에 설치된 취부공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케이스상의 각부와, 상기 각부의 양 측에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각부의 사이에 그 지지부재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린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설치된 탄성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수단을 작용시킨 캠기구와, 상기 각부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사무기기를 기울였을 때에 상기 원고 압착판이 열리지 않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자동으로 방지하는 회동방지수단으로 구성해, 이 회동 방지 수단을, 상기 지지 부재의 양측판에 상기 각부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 장공을 관통하여 설치한 제1지지핀과 이 제1지지핀에 의해 상기 각부내에 요동가능하게 적설된 선단측에 계지부를 구비한 제1요동부재와, 상기 각부의 양측판의 안쪽에 설치되어 제1계합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사무기기를 기울였을 때에 요동하는 상기 제1요동부재의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계합부재에 계합하는 것으로 상기지지부재의 상기원고압착판의 닫친 위치에서 회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 발명은 복합기라고 칭해진 사무기기에 사용되어진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이며, 상기 사무기기의 측에 설치된 취부공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케이스상의 각부와, 상기 각부의 상부 측에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취부되는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각부의 사이에 해당 지지부재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린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하여 설치한 탄성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수단을 작용시킨 캠기구와, 상기 각부에 설치되어진 상기 틀체가 열린 때에 상기 각부의 상기 취부공에서의 빠짐을 자동으로 방지하는 빠짐방지수단으로 구성해 이 빠짐방지수단을 첨단 측에 계지부를 가져 상기 사무기기가 기울여 졌을 때 요동가능해지도록 상기 각부의 양측판에 제2지지핀에 의해서 지지를 받는 제2 요동부재가 요동하였을 때에 상기 계지부를 삽통시키기 위해서 상기 각부에 설치된 삽통공과, 상기 제2요동부재가 요동했을 때에 상기 삽통공을 개입시켜 상기 각부외에 돌출하는 상기 계지부와 계합하기 위해서 상기 취부공의 하단부측 한쪽에 형성시킨 계합철부로 구성한 것에 의해, 상기 사무기기를 기울였을 때에, 제2요동부재를 요동시켜, 상기 계지부를 상기 계합철부로 계합하는 것으로, 상기 각부가 상기 취부공에 대하여 삽입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접동하여 빠지지 않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은 복합기라고 칭한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이며, 상기 사무기기의 측에 설치된 취부공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케이스상의 각부와, 상기 각부의 상부 측에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취부된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각부의 사이에 해당 지지부재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린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수단을 작용시킨 캠기구와, 상기 각부와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사무기기를 기울였을 때에 상기 원고압착판의 닫은위치에서 열린동작으로 향한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자동적으로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과, 상기 각부와 사무기기 측의 사이에 설치되고, 같이 상기 사무기기를 기울였을 때에 상기 각부의 상기 취부공에 대하여 삽입위치에서의 빠짐을 자동으로 방지하는 빠짐방지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사무기기가 기울어졌을 때에 상기 제1요동부재를 자동적으로 요동할 때에 맞추어, 상기 제1요동부재의 회동지점을 넘은 측에 당접해 해당 제1요동부재를 회동시키는 압압부재를 상기 각부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사무기기가 기울어졌을 때에 상기 제2요동부재를 자동적으로 요동할 때에 맞추어, 상기 제2요동부재의 회동 지점을 넘은 측에 당접해 해당 제2 요동부재를 회동시키는 압압부재를 상기 각부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이용한 사무기기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에 의하면 복합기라고 칭하여진 복사기 등의 사무기기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다른 것, 예를 들면, 스캐너 등의 기기를 가진 틀체를 상하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취부한 상기 틀체에 대하여 원고자동이송장치부의 중량이 있는 원고압착판을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취부한 것에 있어서 장치본체 측의 내부기구를 보수, 점검, 수리 등을 할 때에 틀체가 열려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취부한 사무기기가 기울어져도 지지부재의 회동방지수단에 의해 원고압착판이 열려 버리기도 하고 또는 각부의 빠짐방지수단에 의해 원고압착판이 틀체에서 벗어나 버리기도 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안전하게 보수, 수리, 점검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를 두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 내지 도 2에서 지시기호 A이며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은 통칭 복합기로 칭하여진 사무기기이다. 상기 사무기기(A)는 장치본체(B)와 상기 장치본체(B)의 상면에 힌지장치(C)를 끼워 맞물리는 형태에 상하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되도록 취부된다. 예를 들면, 스캐너부에서 구성한 틀체(D)와 상기 틀체(D)의 상면에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끼워 마찬가지로 맞물리는 형태에 상하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되도록 취부된다. 자동원고이송장치부의 원고압착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면에서는 장치본체(B)와 예를 들면, 스캐너의 기능을 가진 스캐너부에서 이루어진 틀체(D)로 구성된 사무기기(A)로 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장치본체(B)에 조합된 기기로서는 다른 것에도 프린터부 및 팩시밀리부 등이 있고, 장치본체(B)는 스캐너부 이외에 이들의 프린터부나 팩시밀리부로 구성된 틀체(D)로 조합되어도 좋다.
힌지장치(C)의 구성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경첩으로 칭해진 힌지를 시작, 각종의 공지구성의 힌지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림직하게는 틀체(D)를 소정의 열린각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stopper)와 틀체(D)가 급격하게 닫히지 않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E)는 도시하지 않으며 통상 적절한 간격을 주고 동일 구성의 것, 혹은 다른 구성의 것과 조합하여 한쌍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그 중의 1개의 것에 관해서 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에 있어서 지시기호 1로 나타낸 것은 취부부재를 겸하는 각부 에 있고 상기 각부(1)는 틀체(D)의 후부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평면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취부공(2)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하여 고정되어 있다.
각부(1)는 횡단면 거의 직사각형 모양을 나타낸 케이스상의 것에서 저판(1a)과 상기 저판(1a)의 양측보다 솟아있는 양측판(1b)(1b)과, 상기 양측판(1b)(1b)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캠부1c)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POM과 같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스가공품이어도 좋다. 상기 각부(1)의 고정캠부(1c)의 캠부 양측판(1d)(1d)에는 힌지핀(3)을 끼우고 지지부재(4)가 그 양측판(4a)(4a)을 회동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4)는 양측판(4a)(4a)을 그 양측부보다 수하된 상판(4b)과 상기 상판(4b)의 일단부로 수하된 개폐판(4c)에서 이루어진 예를 들면, SUS와 같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만든 케이스상의 것에서 양측판(4a)(4a)의 하단측에는 이것을 양측에 절곡하여 표지부(4d)(4d)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표지부(4d)(4d) 보다 약간 상방향으로 위치하며 양측판(4a)(4a)의 일부를 절취하여 외측에 절곡한 것에 의해 만든 취부판(4l)(4l)이 설치되어 있다. 폐색판(閉塞板)(4c)은 양측판(4a)(4a)의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보강부(4f)(4f)에 의해 내측에서 압압력이 더해져도 외측으로 열려지는 것을 방지시키고 있다. 또한 지지부재(4)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하여도 좋다.
지지부재(4)의 양측판(4a)(4a)과 상판(4b)으로 둘러싸인 케이스상의 부분에 요동가능하게 수장되어 있는 것은 일단 폐색의 통 모양을 나타낸 캠슬라이더(5)에 있고, 이 캠슬라이더(5)는 그 하부양측을 표지부(4d)(4d)에 감싸진 것에 의해 지지부재(4)의 하측으로 낙하하여 버리지 않도록 고안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부재(4)는 이것을 POM과 같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한 것도 가능하고 이경우에는 표지부(4d)(4d)의 부분을 연결하여 전체로 하고, 각통(角筒)모양의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캠슬라이더(5)와 지지부재(4)의 폐색판(4c)과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컴프레션스프링(compression spring)과 같은 탄성수단(6)이 탄설되고, 캠슬라이더(5)의 캠부(5a)를 고정캠부(1c)의 캠부(1j) 측에 요동 부세되어있다. 캠슬라이더(5)와 고정캠부(1c)는 캠기구(J)를 구성하고 탄성수단(6)에 의해 서로 캠부(5a)와 캠부(1j)가 압접되어 있다.
틀체(D)를 보수, 점검 및 수리 등 때에 맞물리는 형태에 상하방향으로 열리어 경도되는 경우, 원고압착판개폐장치(E)가 함께 열려버리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재(4)의 회동방지수단(G)은 지지부재(4)의 양측판(4a)(4a)에 제1지지핀(7)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적설(吊設)되는 제1요동부재(9)와 상기 제1요동부재(9)에 의해 틀체(D)의 열림 시에 계합되는 제1계합부재(10)로 구성되어 있고 제1계합부재(10)는 각부(1)의 양측판(1b)(1b)의 내측에 고정핀(1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취부되어 있다.
제1계합부재(10)는 제1요동부재(9)와 같이 SUS와 같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절곡하여 만든 것으로 각각 좌우 한쌍의 프레스부(9a)(9a)(10a)(10a)를 연결판(9b)(10b)에 의해 연결 평면 거의 コ자 형상과 U자 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되 어 있다. 제1요동부재(9)의 각 플레이트부(9a)(9a)의 하단부측에는 각각 계지부(9c)가 설치되고 제1계합부재(10)의 연결판(10b)이 동시에 계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계합부재(10)는 그 일단부를 각부(1) 내부에 형성된 단부(1e)와 계합되는 것에 의해 연결판(10b)의 측이 하측으로 늘어뜨려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고정캠부(1c)의 캠부 양측판(1d)(1d)에는 제1지지핀(7)을 놓아주기 위한 원호상의 가이드장공(1f)(1f)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 제1계합부재(10)는 각부(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틀체(D)가 보수, 점검 및 수리 등을 위해 열려 경도한 때에 원고압착판개폐장치(E)의 각부(1)가 자연히 취부공(2)에 의해 빠지게 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빠짐방지수단(H)은 각부(1)의 양측판(1b)(1b)의 하단으로 제2지지핀(12)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제2요동부재(13)와 취부공(2)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계합오목부(2a)로부터 되고, 제2요동부재(13)는 SUS와 같은 금속플레이트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 구성한 한쌍의 플레이트(13a)(13a)를 연결판(13b)에 연결한 거의 コ자 형상의 것이고 플레이트부(13a)(13a)는 각부(1)의 폐색판(1g)에 설치된 삽통공(1h)을 끼워 외측에 돌출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제2요동부재(13)는 제2지지핀(12)에 의해 중심을 옮겨놓고 취부되어 있는 것에 의해 통상시에 계지부(13c)(13c)를 각부(1) 내에 당기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E)는 상기 지지부재(4)의 취부판(4e)(4e)을 원고압착판(F)의 후단부 측에 취부하고 그 각부(1)를 틀체(D)의 후부 상면에 설치한 취부공(2)에 사무기기(A)에 맞붙인 한조가 삽입되어 완료된다. 도 11에 나타내도록 원고압착판(F)을 틀체(D)에 대하여 닫힌 상태에서 원고압착판(F)을 열고 캠슬라이더(5)의 캠부(5a)의 경사부(5b)가 볼록 모양을 나타낸 고정캠부(1c)의 캠부(1j)의 표면이 미끄러지면서 탄성수단(6)에 의해 원고압착판(F)을 열린 방향으로 슬라이더 부세되는 것에서 원고압착판(F)은 그 본래의 중량을 느끼게 되는 것 없이 열리는 것이 된다.
열린 원고압착판(F)은 거의 30°~ 40°의 열림각도에 있어서, 원고압착판(F)의 중량이 탄성수단(6)의 탄력과 도시하지 않고 한방향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탄성수단의 탄력을 합치는 것과 균형을 맞추므로 원고압착판(F)에서 손을 분리하여도 자연 낙하하지 않으며 또, 자동으로 열려지는 것이 아닌 정지보지된다.
따라서, 통상의 복사 혹은 독해할 때에는 이 열림각도에 의해 행해지고 원고를 도시하지않은 콘택트글라스 위에 재치되어 원고압착판(F)을 닫으면 탄성수단(6)이 압축된 때의 탄력에 저항하여 닫히는 것으로 이루어지므로 원고압착판(F)이 급속히 낙하하는 것은 아니다.
원고압착판(F)이 소정의 열림각도 5°위치까지 닫히게 되어 고정캠부(1c)가 캠슬라이더(5)의 캠부(5a)의 평탄부(5c)에 닫히는 것과 탄성수단(6)의 작용선이 힌지핀(3)의 축심부보다 하방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에서 자동으로 닫히게 되고, 이 닫힌상태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정지 보지되며 손을 분리하여도 원고압착판(F)의 뜨는 현상을 생기지 않도록 고안되어 있다.
원고압착판(F)의 최대 열림각도는 제1지지핀(7)이 가이드장공(1f)(1f)의 상단부에 닫히는 것에 의해 규제되고 실시 예에서는 융기부(1k)에 당접(當接)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brake) 작용이 가동하여 정지하여도 자연히 닫힌방향으로 닫히는 것이 아니고 안정 정지하므로 도시하지 않은 콘택트글라스를 떼어내 틀체(D) 내부의 보수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의 원고압착판(F)의 개폐조작시에 있어서는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요동부재(9)는 제1지지핀(7)을 끼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만 그 계지부(9c)는 제1계합부재(10)의 연결판(10b)과 계합하는 것은 아니고 지지부재(4)의 회동을 허용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가 책과 같이 두꺼운 물건/원고의 경우에는 이 두꺼운 물건/원고(I)를 도시하지 않은 틀체(D)의 도시하지 않은 콘택트글라스 위에 재치하여 원고압착판(F)을 닫으면 해당 원고압착판(F)이 두꺼운 물건/원고(I)의 단부에 당접한다. 이 상태에서 더욱 원고압착판(F)을 닫힌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원고압착판(F)의 각부(1)가 취부공(2) 보다 상방향으로 빠지는 것에 의해 원고압착판(F)의 회전을 허용하므로 원고압착판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여 두꺼운 물건/원고(I)의 상면을 수평으로 덮는 것에 의해 노광을 외부에 새게하는 것을 가급적 방지하여 노광이 새게되는 것에 의해 생기는 복사 실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두꺼운 물건/원고(I)의 복사시에나 독해 때에 있어서 각부(1)는 취부공(2) 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제2요동부재(13)의 계지부(13c)는 각부(1)에 설치한 삽통공(1h) 보다 밖에 돌출하는 것이 아니므로 각부(1)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지장은 생기지 않는다.
두꺼운 물건/원고(I)의 복사가 끝나면 원고압착판(F)을 열린방향으로 열어 두꺼운 물건/원고(I)를 도시하지 않은 콘택트글라스 위에서 제거하고 원고압착판(F)의 중량에 의해 각부(1)는 취부공(2) 내에 수납된 처음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된다.
다음으로 틀체(D)를 장치본체(B)에 대하여 열어 장치본체(B)의 내부의 보수, 점검 및 수리 등을 행하는 경우의 지지부재(4)의 회동방지수단(6)과 빠짐방지수단(H)의 기능에 관해서 설명한다. 틀체(D)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B)에 대하여 맞물리는 형태로 열면 원고압착판개폐장치(E)는 틀체(D)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다. 그러면 우선 회동방지수단(G)을 구성하는 제1요동부재(9)는 각부(1)의 경사방향과 역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에 의해 제1요동부재(9)의 계지부(9c)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계합부재(10)의 연결판(9b)과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재(4)의 회동이 저지되므로 원고압착판(F)이 자연히 열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각부(1)의 빠짐방지수단(H)에 있어서 각부(1)가 틀체(D)의 열린조작에 어울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되면 제2요동부재(13)가 제2지지핀(12)을 끼워 요동하고, 그 계지부(13c)가 취부공(2) 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이 취부공(2)에 설치된 계합오목부(2a)와 계지부(13c)가 계합하는 것에 의해 각부(1)의 취부공(2)에서의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틀체(D)를 장치본체(13)의 보수, 점검 및 수리 등 때문에 열어도 중량이 있는 압착판(F)이 열려지는 것을 저지 가능하므로 장치본체(B)가 불안정하게 되어버리는 것이 아니고 장치본체(B)의 보수, 점검 및 수리 등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틀체(D)를 처음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회동방지수단(G)과 빠짐방지수단(H)의 각 제1요동부재(9)와 제2요동부재(13)가 자동으로 원위치에 되돌아가므로 원고압착판개폐장치(E)의 기능에 지장이 생기는 것이 아니고 원고압착판(F)의 개페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실시 예 2]
도 15와 도 16은 회동방지수단과 빠짐방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이 제2실시예에 나타낸 회동방지수단(K)와 빠짐방지수단(L)은 각부(15) 내에 제1요동부재(16)와 제2요동부재(7)를 해당 각부(15)의 경사에 어울려 이동하는 것에 의해 요동시키는 압압부재(18)를 설치한 점에서 앞의 제1실시예의 회동방지수단(G)과 빠짐방지수단(H)과 서로 다를 뿐이며, 다른 구성은 같은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지시기호의 같은 것은 같은 부재를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 의하면 각부(15)에는 양측판(15a)(15a)(한 방향만 표시)에 설치한 레일부(15b)(15b)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예를 들면, 금속제 둥근 봉으로 이루어진 압압부재(18)이며 각부(15)의 경동시에 어울려 레일부(15b)(15b)(한 방향만 표시)를 해당 각부(15)의 경사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요동부재(16)와 제2요동부재(17)를 강제적으로 요동시키는 것으로 보다 확실하게 제1요동부재(16)와 제2요동부재(17)를 요동시켜 지지부재(4)의 회동과 각부(15)의 빠짐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더구나, 압압부재(18)는 제2요동부재(17)의 경사단면(17a) 위에 놓여 있지만 이와 같이 반드시 실시할 필요는 없다.
또, 압압부재(18)에서 제1요동부재(16)와 제2요동부재(17)의 어느 것이든 한 방향만을 압압하는 것과 같이 구성하는 것은 임의이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능을 가진 복합기라고 칭하는 사무기기에 있어서 각 기능에 따른 각 틀체를 장치본체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것으로 사용되기 적합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이다.
[도1]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 사무기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2] 도 1에 나타낸 사무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3]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 도 3에 나타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정면도이다.
[도5] 도 3에 나타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6] 도 3에 나타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7] 도 3에 나타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8] 도 3에 나타낸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저면도이다.
[도9]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무기기에 넣은 상태에서의 종단면이다.
[도10]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캠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1]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2]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3]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4]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회동방지수단과 빠짐방지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5]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회동방지수단과 빠짐방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16] 도 15에 나타낸 회동방지수단을 빠짐방지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Claims (8)

  1. 복합기라고 칭해진 사무기기에 사용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무기기의 측에 설치된 취부공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케이스상의 각부와, 상기 각부의 양 측에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취부되는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각부의 사이에 해당 지지부재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린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설치된 탄성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수단을 작용시킨 캠기구와, 상기 각부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틀체가 열린 때에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린동작으로 향한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자동적으로 방지하는 회동방지수단으로 구성해, 이 회동방지수단을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판에 상기 각부의 상부에 설치한 가이드 장공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1지지핀과 이 제 1지지핀에 의해 상기 각부내에 요동가능하게 적설된 선단측에 계지부를 설치한 제1요동부재와 상기 각부의 양측판의 안쪽에 설치되어 제1계합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사무기기를 기울였을 때에 요동하는 상기 제1요동부재의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1계합 부재와 계합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원고압착판의 닫친 위치로부터 회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2. 복합기라고 칭해진 사무기기에 사용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무기기의 측에 설치된 취부공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케이스상의 각부와, 상기 각부의 상부 측에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취부되는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각부의 사이에 해당 지지부재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린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설치된 탄성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수단을 작용시킨 캠기구와, 상기 각부에 설치되고 상기 틀체가 열린 때에 상기 각부의 상기 취부공에서의 빠짐을 자동적으로 방지하는 빠짐방지수단으로 구성해, 이 빠짐방지수단을 첨단 측에 계지부를 가져 상기 사무기기가 기울어졌을 때 요동가능해지도록 상기 각부의 양측판에 제2지지핀에 의해서 지지를 받은 제2요동부재가 요동하였을 때에 상기 계지부를 삽통시키기 위해서 상기 각부에 설치된 삽통공과, 상기 제2요동부재가 요동했을 때에 상기 삽통공을 개입시켜 상기 각부외에 돌출하는 상기 계지부와 계합하기 위해서 상기 취부공의 하단부측 한쪽에 형성시킨 계합철부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사무기기를 기울였을 때에 제2요동부재를 요동시켜 상기 계지부를 상기 계합철부와 계합 시키는 것으로 상기 각부가 상기 취부공에 대하여 삽입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접동하며 빠지지 않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3. 복합기라고 칭해진 사무기기에 사용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무기기의 측에 설치된 취부공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는 케이스상의 각부와, 상기 각부의 상부 측에 힌지핀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취부되는 원고압착판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상의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각부의 사이에 해당 지지부재를 상기 원고압착판의 열린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하여 설치된 탄성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수단을 작용시킨 캠기구와, 상기 각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사무기기를 기울였을 때에 상기 원고압착판의 닫힌 위치에서 열린동작으로 향한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자동적으로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과, 상기 각부와 사무기기 측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사무기기를 기울였을 때에 상기 각부의 상기 취부공에 대하여 삽입위치에서 빠짐을 자동으로 방지하는 빠짐방지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무기기가 기울어졌을 때에 상기 제1요동부재를 자동적으로 요동할 때에 맞추어, 상기 제1요동부재의 회동지점을 넘은 측에 당접해 해당 제1요동부재를 회동시키는 압압부재를 상기 각부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무기기가 기울어졌을 때에 상기 제2요동부재를 자동적으로 요동할 때에 맞추어, 상기 제2요동부재의 회동지점을 넘은 측에 당접해 그 제2요동부재를 회동시키는 압압부재를 상기 각부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압착판개폐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
  8. 삭제
KR1020090112382A 2008-12-09 2009-11-20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사무기기 KR101165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13081A JP5441097B2 (ja) 2008-12-09 2008-12-09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JP-P-2008-313081 2008-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359A KR20100066359A (ko) 2010-06-17
KR101165888B1 true KR101165888B1 (ko) 2012-07-16

Family

ID=4234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382A KR101165888B1 (ko) 2008-12-09 2009-11-20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사무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41097B2 (ko)
KR (1) KR101165888B1 (ko)
CN (1) CN101753762B (ko)
TW (1) TWI3637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690B1 (ko) 2010-07-15 2013-12-13 켐 홍콩 유한회사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0988B2 (ja) * 2010-09-06 2015-08-26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5881137B2 (ja) * 2011-01-25 2016-03-09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JP2013055437A (ja) * 2011-09-02 2013-03-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6128585B2 (ja) * 2013-02-13 2017-05-1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5873845B2 (ja) * 2013-07-10 2016-03-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ヒンジ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101481364B1 (ko) * 2014-02-24 2015-01-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사무기기의 덮개 개폐용 힌지장치
JP5994014B2 (ja) * 2015-12-02 2016-09-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ヒンジ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188835B2 (ja) * 2016-01-13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99155B2 (ja) * 2017-08-29 2022-01-1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9047A (ja) * 2004-07-23 2006-02-09 Kyocera Mita Corp 原稿読み取り装置
KR100860922B1 (ko) * 2005-12-27 2008-09-29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2008240927A (ja) * 2007-03-28 2008-10-09 Shimonishi Giken Kogyo Kk 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1422A (ja) * 1996-03-26 1997-10-03 Canon Inc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31163A (ja) * 1999-02-09 2000-08-22 Fuji Xerox Co Ltd 画像読取装置
JP2001041226A (ja) * 1999-07-28 2001-02-13 Seiko Epson Corp 蓋の結合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3644376B2 (ja) * 1999-12-24 2005-04-27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126406A (ja) * 2004-10-28 2006-05-1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2007088681A (ja) * 2005-09-21 2007-04-05 Seiko Epson Corp 連結機構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4898216B2 (ja) * 2005-12-27 2012-03-14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4832406B2 (ja) * 2007-01-25 2011-12-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429765B2 (ja) * 2007-04-19 2014-02-2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095358B2 (ja) * 2007-11-20 2012-12-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9047A (ja) * 2004-07-23 2006-02-09 Kyocera Mita Corp 原稿読み取り装置
KR100860922B1 (ko) * 2005-12-27 2008-09-29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2008240927A (ja) * 2007-03-28 2008-10-09 Shimonishi Giken Kogyo Kk 開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690B1 (ko) 2010-07-15 2013-12-13 켐 홍콩 유한회사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53762A (zh) 2010-06-23
CN101753762B (zh) 2012-08-08
TW201022047A (en) 2010-06-16
JP2010139542A (ja) 2010-06-24
JP5441097B2 (ja) 2014-03-12
TWI363700B (en) 2012-05-11
KR20100066359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888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사용한사무기기
JP5160959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US65103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lock unit for preventing a reading unit and a platen cover from being opened simultaneously
JP3644376B2 (ja) 画像形成装置
US8511818B2 (en) Multifunction peripheral hav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100860922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1285544B1 (ko)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
JP5429765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112718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5807943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6066961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227370A5 (ko)
KR101341690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4921062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0231163A (ja) 画像読取装置
JP5193993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70069020A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2006184701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4656321B2 (ja) 画像読取り装置における原稿カバーの開閉装置および画像読取り装置
JPH0224180A (ja) プリンタヘッドの圧着装置
JP2963758B2 (ja) 原稿圧着装置
JP5449584B2 (ja) 筐体開閉機構
JP2020201362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事務機器
KR100542355B1 (ko) 플랫베드 타입의 화상판독부를 갖는 사무자동화기기
JP2005077695A (ja) 原稿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