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459B1 -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459B1
KR101164459B1 KR20127005084A KR20127005084A KR101164459B1 KR 101164459 B1 KR101164459 B1 KR 101164459B1 KR 20127005084 A KR20127005084 A KR 20127005084A KR 20127005084 A KR20127005084 A KR 20127005084A KR 101164459 B1 KR101164459 B1 KR 10116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dismantling
refractory
asbestos
rema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0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000A (ko
Inventor
카즈미 쿠라요시
료 카토
카츠미 모리
요시히토 도이
Original Assignee
신닛떼쯔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025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8876B2/ja
Application filed by 신닛떼쯔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닛떼쯔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94Breaking away the lining or removing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 C21B7/06Linings for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02Brick hot-blast stoves
    • C21B9/04Brick hot-blast stoves with combustion shaf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02Brick hot-blast stoves
    • C21B9/06Lin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52Repairing, converting, servicing or salv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 Y10T29/49721Repairing with dis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 Y10T29/49721Repairing with disassembling
    • Y10T29/49723Repairing with disassembling including reconditioning of part
    • Y10T29/49725Repairing with disassembling including reconditioning of part by shaping
    • Y10T29/49726Remov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 Y10T29/49721Repairing with disassembling
    • Y10T29/4973Replacing of defective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19Disassembling with conveying of work or disassembled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22Disassembling by apply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철피(61)와, 철피의 내측을 덮고 또한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함유 내화물(621,622)로 형성된 함유층(62A)과, 함유층의 내측을 덮고 또한 아스베스트를 함유하지 않는 비함유 내화물(623~625)로 다층으로 형성된 비함유층(62B)을 갖는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으로서, 함유층(62A)과 비함유층(62B) 중 함유층에 접하는 적어도 일층(623)을 잔부(62C)로서 남겨서 노심측으로부터 비함유층(62B)을 해체하는 일차 해체 공정을 행한 후, 아스베스트 대책 하에서 잔부(62C)를 해체하는 이차 해체 공정을 행한다.

Description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METHOD OF DEMOLISHING FURNACE OF MULTILAYERED-REFRACTORY STRUCTURE}
본 발명은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고, 노 내의 내벽의 일부가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내화물로 형성된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에 이용할 수 있다.
종래, 내부의 고열에 견디기 위해 철제의 외피(철피)의 내측으로 내화 벽돌 등의 내화물을 다층으로 펼친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는 용광로, 비철 용광로, 글래스 용해로, 이들의 노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로, 더욱이 박판용 연속 처리 설비에 있어서의 소둔로, 각종의 강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로서 이용되고 있다.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일례로서 용광로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열풍로에는 내연식과 외연식이 있다. 내연식의 열풍로에서는 노 내에 연소부와 축열부가 일체로 수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외연식의 열풍로에서는 연소부와 축열부가 다른 노체로 되고, 연결관에 의해 서로의 상단이 연결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특허문헌 3).
어느 형식에서도, 연소부에 있어서 버너로 고온의 연소 가스를 생성하고, 이것을 축열부에 통과시켜서 축열한다. 충분히 축열되면 축열부에 공기를 역방향으로 통과시키고, 이에 따라 열풍을 생성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열풍로의 노벽은 내부의 고열에 견디기 위해 철제의 외피(철피)의 내측에 내화 벽돌 등의 내화물을 펼쳐서 구성된다. 노벽의 내화 벽돌은 노심 방향으로 다층으로 겹쳐서 두께를 증가시키고, 부분에 따라 필요한 내열 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더욱이, 노벽의 내화물로서는 내화 벽돌과 철피 사이에 펼쳐진 단열성의 벽돌이나 보드, 철피 내면에 스프레이된 단열성의 피복 재료를 이용된다.
내연식의 열풍로에서는 이러한 노벽의 내측에 연소부와 축열부가 형성된다. 이들의 연소부 및 축열부 사이에는 내화물에 의한 파티션이 형성된다.
외연식의 열풍로에서는 연소부 및 축열부가 되는 각 노체에 있어서 전술한 내화물을 갖는 노벽이 형성된다.
내연식의 열풍로의 축열부, 또는 외연식의 축열부의 노체 내에는 축열용 내화물로서 축열 벽돌이 충전된다. 축열 벽돌은 통기 구멍이 있고 또한 열용량이 큰 것이 특징이지만, 기본적으로 내화 벽돌과 마찬가지의 내화물이며, 예를 들면 육각 주상의 지터(gitter) 벽돌이 이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열풍로는 수십년에 달하는 내구성을 갖는 것이지만, 가동에 따라 내부의 내화물이 열화하고, 그 갱신을 위해 노 내의 낡은 내화물의 해체가 필요하다. 해체해야 할 내화물로서는 노벽의 내화물 이외, 내연식의 파티션 부분의 내화물, 축열재로서의 내화물이 있고, 이들의 해체에는 중기를 이용한 대규모 작업이 필요하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특허문헌 3).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3-34812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 공개 2004-68136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 3017655호 공보 특허문헌4: 일본 특허 공개 2006-241500호 공보 특허문헌5: 일본 특허 공개 2004-315921호 공보
전술한 대로, 열풍로는 수십년 단위로 해체가 필요하다. 해체시에 일부의 열풍로에서는 내화물의 취급에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수십년전에 구축된 낡은 열풍로에서는, 특히 철피에 가까운 부분의 내화물로서, 저렴하고 단열성이 좋은 아스베스트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아스베스트는 철피의 내측에 스프레이되어 피복되거나, 보드 형상의 단열재 중에 함유되어 있거나 한다.
아스베스트(석면)는 암석을 형성하는 광물 중 사문석의 군에 속하는 섬유상의 규산염 광물, 즉 크리소타일(백석면) 및 각섬석의 군에 속하는 섬유상 규산염광물, 즉 악티노라이트, 아모사이트(다석면) 안도필라이트, 크로시돌라이트(아모사 석면), 터몰라이트(termolite) 또는, 이들의 1 또는 2이상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말한다.
최근, 아스베스트는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문제가 되고, 아스베스트를 사용한 건물 등의 해체에는 「석면 장해 예방 규칙」등에 의해 비산 방지를 포함하는 엄중한 아스베스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번째로 작업 장소의 격리ㆍ부압화, 시큐리티 존의 설치, 두번째로 습윤제를 산포하는 해체 작업, 세번째로 아스베스트 해체 잔해의 이중 봉지에 넣음, 네번째로 특별 관리 산업 폐기물로서의 운반ㆍ처분 등 엄중한 관리 하에 작업에 종사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의 해체 방법에서는, 노 내의 상방으로부터 기계 또는 수작업에 의해 2~3m씩 해체해 간다. 이 때, 노벽 및 노 내의 내화물은 아스베스트 함유 내화물도 비함유 내화물도 일괄 해체되고, 혼합한 상태로 폐기물이 된다. 이러한 폐기물은 그 전량에 대하여 아스베스트 대책이 필요하다.
종래의 열풍로의 해체에 있어서, 하나의 노에서 생기는 폐기물의 양은, 예를 들면 3000~6000톤으로 올라간다. 이러한 다량의 폐기물에 대하여 아스베스트 대책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면, 열풍로의 해체에 있어서의 작업 부하가 방대한 것으로 되고, 기간 및 비용의 면에서도 큰 부담이 된다.
이상,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일례로서, 고로용의 열풍로의 해체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용도의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 예를 들면 비철 용광로용 열풍로, 글래스 용해로, 더욱이 박판용 연속 처리 설비에 있어서의 소둔로, 각종의 강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과제가 있다. 즉, 십몇년 이전에 구축된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는 모두 철피에 가까운 부분의 내화물로서 저렴하고 단열성이 우수한 아스베스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각 노의 해체에 있어서는 먼저 열풍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과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에 있어서의 해체 비용(아스베스트 처리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해체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측을 덮고 또한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함유 내화물로 형성된 함유층과, 상기 함유층의 내측을 덮고 또한 아스베스트를 함유하지 않는 비함유 내화물로 다층으로 형성된 비함유층을 갖는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으로서,
상기 비함유층의 적어도 최외측의 일층과 상기 함유층을 잔부로서 남겨서 상기 비함유층을 노심측에서 해체하는 일차 해체 공정을 행한 후, 아스베스트 대책 하에서 상기 잔부를 해체하는 이차 해체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일차 해체 공정에 의해 상기 잔부 이외의 해체가 행하여진다. 즉, 외피(일반적으로 철피)의 내측에 설치된 내화물(노벽 내화물) 중 잔부를 제외하는 부분이 해체될 수 있다. 일차 해체 공정에서는 아스베스트를 포함하는 잔부의 해체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아스베스트 대책의 필요는 없고, 아스베스트 대책을 행할 경우에 비해서 작업 부하를 대폭 저감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차 해체 공정에 있어서 잔부의 해체가 행하여진다. 이차 해체 공정에 있어서는 아스베스트 대책 하에서 잔부의 내화물을 처리하기 때문에 잔부에 포함되는 아스베스트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잔부는 충분히 적기 때문에 작업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일례로서, 아스베스트를 사용한 고로용의 열풍로에 있어서, 노 내에 사용되어 있는 내화물은 3000~6000톤에 달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아스베스트로서 해체하는 잔부의 양은 100~200톤으로 저감될 수 있다.
통상의 열풍로는 내연식에서도 외연식에서도 노벽 내화물의 내측에 축열용 내화물이 충전되어 있고, 그 양은 1000~2000톤에 달한다.
본 발명의 일차 해체 공정에 있어서는, 전술한 축열용 내화물 및 노벽 내화물(잔부를 제외하는)의 양쪽을 해체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아스베스트 대책이 필요한 잔부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단, 노벽 내화물의 해체에 앞서 축열용 내화물을 해체해 두어도 좋고, 일차 해체 공정에서는 축열용 내화물만을 해체한다고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해체를 대상으로 하는 예를 들면 열풍로에 있어서의 아스베스트 함유 내화물층의 노심측에 제공되어 있는 비함유 내화물층의 열화 정도에 의해 적당히 그 방법을 선택하면 좋다. 또한, 내연식 열풍로의 경우, 상기 축열용 내화물에는 축열 벽돌 이외에 파티션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차 해체 공정은 상기 잔부를 상기 외피에 고정하는 잔부 고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일차 해체 공정으로 잔부를 얇게 남겼을 경우에서도, 이것을 고정함으로써 그 탈피를 방지할 수 있고, 잔부를 최소한으로 해서 아스베스트 대책을 위한 작업 부하를 경감하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노 내를 종방향으로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하고, 각 구획에 있어서 상기 일차 해체 공정 및 상기 이차 해체 공정을 순차 행함과 아울러 이들의 각 공정을 각 구획에서 순차적으로 시프트해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다른 구획에서 일차 해체 또는 이차 해체를 실시하면서 선행하는 구획에 있어서 신규 내벽의 설치를 개시할 수도 있고, 일차 해체, 이차 해체, 설치를 전체로서 진행할 경우에 비해서 공정의 대기 시간을 저감하고, 전체로서의 작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차 해체 공정에서는 상기 잔부의 해체에서 해체 잔해를 노 내에서 더욱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이차 해체 공정에 있어서 해체하는 잔부가 아스베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함유 내화물과 함께 상기 비함유층의 적어도 최외측의 일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해체 잔해의 개략 지름이 100~400㎜로 크고, 아스베스트 폐기 전용 봉지로의 봉지 넣음시에 충전 효율이 낮다. 그래서, 노 내에서 보조적인 파쇄를 행함으로써 작업 효율의 향상 및 처분 체적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노 내에서의 추가적인 파쇄 및 봉지 넣음은 종래의 노 외에 설치된 기밀 설비에 있어서의 파쇄 및 봉지 넣음과 병용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열풍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열풍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돔부의 벽체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코니컬부의 벽체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직동부(直胴部)의 벽체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해체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1 구획의 일차 해체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잔부 고정에 이용되는 고정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잔부 고정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2 구획의 일차 해체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이차 해체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2 구획의 이차 해체 공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해체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열풍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냉연 강판용 연속 소둔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체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열풍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열풍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거하는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일례로서 본 발명이 적용된 열풍로(1)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에 있어서, 열풍로(1)는 기초(2) 상에 설치된 노체(3)를 갖는다. 노체(3)는 원통형 직동부(6)와, 직동부(6)의 상부에 다소 대경으로 형성된 코니컬부(5)와, 코니컬부(5)의 상면에 설치된 반구형 돔부(4)를 갖는다.
도 2는 직동부(6)의 수평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동도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직동부(6)의 내부에는 도중 좌측에 연소실(7)이 형성되고, 나머지의 부분이 축열실(8)로 되어 있다.
연소실(7)은 내화 벽돌로 형성된 단면 원호형 파티션(71)을 갖고, 그 내측에 상하로 연장되는 가스 통로(72)를 갖는다(도 2 참조). 파티션(71)의 하단에는 가스 통로(72) 내에 고온의 연소 가스를 송입하는 버너(73)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축열실(8)은 육각주상의 축열 벽돌(81)이 배열되고, 이에 따라 축열실(8)의 전체를 매립하는 축열체(82)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축열체(82)는 축열실(8)의 저부에 설치되는 지지체(8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도 1 참조).
축열체(82)에 있어서, 축열 벽돌(81)은 각각 상하로 관통하는 통기 구멍을 갖고, 또한 각각의 통기 구멍이 서로 연속하도록 배열되어 있고(도시 생략), 축열체(82)의 상면측으로부터 지지체(83)까지 전체로서 통기가 가능하다.
노체(3)에는 연료 도입구(1A), 외기 연통구(1B), 열풍 인출구(1C)가 형성되어 있다.
연료 도입구(1A)는 직동부(6)의 연소실(7) 측의 하부에 형성되고, 버너(73)에 연통되어 있다.
외기 연통구(1B)는 직동부(6)의 축열실(8)측의 하부에 형성되고, 지지체(83) 하방의 중공 부분에 연통되어 있다.
열풍 인출구(1C)는 직동부(6)의 축열실(8) 측의 중간 높이에 형성되고, 연소실(7)의 가스 통로(72)에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열풍로(1)에 있어서는, 열풍 인출구(1C)를 폐쇄한 상태로 연료 도입구(1A)로부터 고로의 노정 가스 등의 연료를 버너(73)에 도입해서 연소시킨다. 연소 가스는 가스 통로(72)를 상승해서 돔부(4) 내에서 되돌려져 축열체(82)를 통과해서 외기 연통구(1B)로부터 배출된다. 축열체(82)에 있어서는, 통과하는 고온의 연소 가스에 의해 축열된다.
소정의 축열이 행하여지면, 버너(73)를 정지시켜 열풍 인출구(1C)를 개방해서 고로에 접속하고, 외기 연통구(1B)로부터 외기를 도입한다. 도입된 외기는 축열체(82)를 통과하는 동안에 가열되고, 고온이 되어서 돔부(4) 내에서 되돌려져 가스 통로(72) 내지 열풍 인출구(1C)로부터 열풍으로서 인출된다.
이러한 고온의 연소 가스 등에 견디기 위해 노체(3)에는 내화물에 의한 내열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노체(3)를 구성하는 돔부(4), 코니컬부(5), 직동부(6)는 노벽으로서 각각 철제의 외피인 철피(41,51,61)와, 그 내측으로 펼쳐진 단열 벽돌 및 내화 벽돌을 주체로 하는 내화물(42,52,62)을 갖는다.
코니컬부(5), 직동부(6)에 있어서, 전술한 연소실(7)의 파티션(71) 및 축열실(8)의 축열체(82)는 각각 내화물(52,62)의 내측에 설치된다.
돔부(4), 코니컬부(5), 직동부(6)에 있어서는 각각에 요구되는 내화 성능에 따라 내화물(42,52,62)의 구성이 선택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돔부(4)에 있어서는 철피(41)의 내측에는 캐스타블(421)이 스프레이됨으로써 형성되고, 그 내측에 단열 벽돌(422) 및 내화 벽돌(423)이 펼쳐져 있다.
이러한 돔부(4)에 있어서, 캐스타블(421), 단열 벽돌(422), 내화 벽돌(423)은 아스베스트를 함유하지 않는 비함유 내화물에 해당하고, 이들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함유층(42B)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돔부(4)에는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함유 내화물은 사용되고 있지 않고, 본 발명의 함유층에 해당하는 부분은 없음과 아울러 아스베스트 대책이 필요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잔부도 설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돔부(4)의 일차 해체 공정에서는, 후술하는 대로 내화 벽돌(423)로부터 캐스타블(421)까지의 비함유층(42B)이 일괄해서 해체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니컬부(5)에 있어서는, 철피(51)의 내측에는 캐스타블(521)이 스프레이에 의해 형성되고, 그 내측에 다석면을 포함하는 단열 보드(522)가 펼쳐지고, 그 내측에 단열 벽돌(523,524) 및 내화 벽돌(525)이 펼쳐져 있다.
이러한 코니컬부(5)에 있어서, 단열 보드(522)는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함유 내화물에 해당하고, 단열 보드(522) 및 그 외측의 캐스타블(521)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함유층(52A)에 해당한다. 캐스타블(521)은 아스베스트를 함유하지 않는 비함유 내화물에 해당하지만, 캐스타블(521)의 해체에는 그 내측의 단열 보드(522)의 해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들의 단열 보드(522) 및 캐스타블(521)을 겸해서 함유층(52A)으로 한다. 단열 벽돌(523,524) 및 내화 벽돌(525)은 아스베스트를 함유하지 않는 비함유 내화물에 해당하고, 이들의 단열 벽돌(523,524) 및 내화 벽돌(525)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함유층(52B)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비함유층(52B) 중 함유층(52A)에 접하는 적어도 일층인 최외측의 단열 벽돌(523)과, 함유층(52A)의 캐스타블(521) 및 단열 보드(522)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잔부(52C)가 구성된다. 후술하는 일차 해체 공정에서는 잔부(52C)를 남겨서 내화물의 해체가 행하여진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동부(6)에 있어서는 철피(61)의 내측에는 아모사 석면을 포함하는 슬래그 울(slag wool) 층(621)이 스프레이에 의해 형성되고, 그 내측에 다석면을 포함하는 단열 보드(622)가 펼쳐지고, 그 내측에 단열 벽돌(623,624) 및 내화 벽돌(625)이 펼쳐져 있다.
이러한 직동부(6)에 있어서, 슬래그 울 층(621) 및 단열 보드(622)는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함유 내화물에 해당하고, 이들의 슬래그 울 층(621) 및 단열 보드(622)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함유층(62A)에 해당한다. 단열 벽돌(623,624) 및 내화 벽돌(625)은 아스베스트를 함유하지 않는 비함유 내화물에 해당하고, 이들의 단열 벽돌(623,624) 및 내화 벽돌(625)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함유층(62B)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비함유층(62B) 중 함유층(62A)에 접하는 적어도 일층인 최외측의 단열 벽돌(623)과, 함유층(62A)의 슬래그 울 층(621) 및 단열 보드(622)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잔부(62C)가 구성된다. 후술하는 일차 해체 공정에서는 잔부(62C)를 남겨서 내화물의 해체가 행하여진다.
이러한 열풍로(1)에 대하여 노 내의 내화물의 해체 또는 신규 내화물의 설치를 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를 실행한다.
도 6에 있어서, 해체 작업의 개시시에 우선 구획 설정을 행한다(처리S11).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동부(6)의 상단 근방에 파티션 라인(3A)을 설정하고, 파티션 라인(3A)보다 위의 직동부(6), 코니컬부(5), 돔부(4)를 제 1 구획으로 하고, 파티션 라인(3A)보다 아래의 직동부(6)를 제 2 구획으로 한다.
다음에, 돔부(4) 내벽면의 작업을 행하기 위한 발판을 구성한다(도 6의 처리S12).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43)은 축열실(8)의 축열 벽돌(81) 상에 설치된다. 연소실(7)에는 가스 통로(72)가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커버(44)로 덮는다. 또한, 커버(44)에는 후술하는 일차 해체로 생기는 폐기물을 투하하기 위한 폐기구를 개방해 둔다.
이 때, 연소실(7)의 하부에서는 버너(73)를 철거함과 아울러 연료 도입구(1A)를 삽입해서 콘베이어(74)를 설치하고, 후술하는 일차 해체시에 상방으로부터 투기되는 내화물을 받고, 덤프 트럭(75)에 반출하도록 준비해 둔다.
이들의 준비를 할 수 있으면, 제 1 구획의 일차 해체를 행한다(도 6의 처리S13).
제 1 구획의 일차 해체에서는, 발판(43)을 이용해서 돔부(4)의 노벽에 대한 일차 해체를 행하고, 발판(43)을 철거한 후, 코니컬부(5)로부터 직동부(6)로 계속되는 연소실(7)의 파티션(71)의 내화 벽돌, 및 축열실(8)의 축열 벽돌(81)을 각각의 상면으로부터 순차 해체해 간다. 병행하여, 파티션(71) 및 축열 벽돌(81)의 해체에 따라 노 내에 노출된 코니컬부(5) 및 직동부(6)의 내벽에 대한 일차 해체를 행한다.
노벽의 일차 해체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거해서 비함유층의 적어도 최외측의 일층과 함유층을 잔부로서 남겨서 비함유층을 노심측으로부터 해체한다.
돔부(4)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함유층(42B)인 캐스타블(421), 단열 벽돌(422), 내화 벽돌(423)이 일괄해서 제거된다. 돔부(4)에 있어서는 잔부로서 남기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계속되는 이차 해체 공정은 생략된다.
코니컬부(5)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 벽돌(524) 및 내화 벽돌(525)의 2층만을 해체하고, 비함유층(52B) 중 최외측의 단열 벽돌(523)과, 함유층(52A)인 캐스타블(521) 및 단열 보드(522)를 잔부(52C)로 남긴다.
직동부(6)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화 벽돌(625) 및 단열 벽돌(624)만을 해체하고, 비함유층(62B) 중 최외측의 단열 벽돌(623)과, 함유층(62A)인 슬래그 울 층(621) 및 단열 보드(622)를 잔부(62C)로 남긴다.
이들 각부의 일차 해체에 의해, 돔부(4)의 노벽은 철피(41)만이 되고, 코니컬부(5) 및 직동부(6)에 있어서는 철피(51,61) 및 그 내측에 남는 잔부(52C,62C)만이 된다. 이들의 잔부(52C,62C)는 당초의 내화물(52,62)에 비해서 얇아짐으로써 철피(51,61)로부터 박리 등이 쉽게 된다.
이 때문에, 잔부(52C,62C)와 철피(51,61)의 접합을 보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거하는 잔부 고정 공정을 실시한다. 이 잔부 고정 공정에 의해, 잔부(52C,62C)의 탈락이 방지되고, 안전하게 해체를 행할 수 있다.
잔부 고정 공정은 각 부의 일차 해체 사이에 잔부(52C,62C)를 제외하는 내화물(52,62)의 해체와 병행해서 행한다.
도 8에 있어서, 잔부 고정에는 길이가 긴 철판을 이용한 고정판(91)을 이용한다. 고정판(91)에는 소정 간격으로 고정 구멍(9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구멍(92)은 고정판(9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한다. 고정 구멍(92)을 슬릿 형상으로 함으로써 고정봉(94)에 대한 위치 차이 등에도 대응가능하다.
또한, 고정판(91)으로서는, 철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철 이외의 다른 금속, 베니어판 등의 목재, 합성 수지 재료 등 다른 재질의 것을 이용해도 좋다.
고정판(91)으로서, 전술한 철판 등 강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할 경우 고정하는 노벽 내면의 곡률에 따라 미리 만곡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판(91)으로서는, 가요성을 갖는 것,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재료 또는 금속제에서도 얇은 판재 등을 이용한 것으로서도 좋다. 가요성을 갖는 재료이면, 고정하는 노벽 내면의 곡률에 따라 현장에서 만곡시키는 것도 용이하다.
고정판(91)으로서는, 길이가 긴 판재에 한하지 않고, 시트상 또는 폭이 넓은 판재를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넓은 면적에 걸쳐 전술한 잔부를 누룰 수 있고, 예를 들면 돔부(4) 등의 하향에서 박리가 생기기 쉬운 잔부에 대하여 유효하다.
잔부 고정 공정의 구체적 순서는 아래의 대로이다.
도 9에 있어서, 예를 들면 직동부(6)에서는 일차 해체에 의해 내화 벽돌(625) 및 단열 벽돌(624)(도 5 참조)이 해체되고, 철피(61)의 내측에는 잔부(62C)(단열 벽돌(623), 단열 보드(622) 및 슬래그 울 층(621))가 남겨져 있다.
여기에서, 잔부(62C)의 내측으로부터 철피(61)의 내면까지 드릴로 구멍(93)을 개방한다. 이 때, 아스베스트 분의 비산을 피하기 위해 구멍 개방과 병행해서 구멍(93)에는 습윤제를 주입한다.
구멍(93)이 개방되면 철피(61)의 내면에 고정봉(94)의 일단을 용접한다. 이 용접에는 스터드 용접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고정봉(94)의 타단을 고정판(91)의 고정 구멍(92)에 삽입시켜 고정봉(94)에 너트(95)를 나사 결합해서 체결 고정한다. 이에 따라, 고정판(91)은 고정봉(94)을 통해서 철피(61)에 고정되고, 고정판(91)에 의해 잔부(62C)의 내면이 눌려지고, 잔부(62C)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잔부 고정 공정에 있어서, 고정판(91)을 설치하는 상하 방향의 간격은 고정하는 잔부의 강도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한다. 즉, 잔부의 두께가 얇고, 강도를 기대할 수 없을 경우에는 설치 간격을 가깝게 하고, 반대로 잔부가 두껍거나, 또는 비교적 강도가 있는 내열 보드 주체일 경우 등 간격을 멀게 해도 좋다.
잔부의 강도가 충분히 기대될 수 있을 경우 잔부 고정 공정은 생략해도 좋다.
도 7로 돌아가서, 제 1 구획의 일차 해체(도 6의 처리S13)가 완료되면 노벽의 파티션 라인(3A)보다 위의 부분은 잔부(52C)(도 5 참조)만으로 된다.
여기에서, 파티션 라인(3A) 위치에 중간 데크(30)를 설치한다(도 6의 처리S14).
도 10에 있어서, 중간 데크(30)는 철골을 구성해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철판을 펼쳐서 작업용의 바닥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중간 데크(30)의 주변은 직동부(6)의 철피(61)의 내측에 고정된다. 이 고정시에는 잔부(62C)를 관통할 필요가 있다. 이 관통시에는 전술한 고정판(91)의 설치에 준한 습윤제에 의한 국부적인 아스베스트 대책을 실시한다.
중간 데크(30)의 설치(도 6의 처리S14)가 된 후, 그 상방의 제 1 구획에 있어서 이차 해체(도 6의 처리S15)를 개시함과 아울러 하방의 제 2 구획에 있어서는 일차 해체(도 6의 처리S21)를 개시한다.
이차 해체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거해서 아스베스트 대책 하에서 잔부를 해체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낸 이차 해체 공정을 실시한다.
이차 해체 공정에서는, 전술한 잔부(전술한 잔부(52C,62C))의 해체를 행하기 위해 그 공정의 전반에 걸쳐 아스베스트 대책을 실시한다.
도 11에 있어서, 이차 해체 공정에서는 우선 아스베스트 대책을 개시한다(처리S51). 구체적으로는, 구획 내의 밀봉 및 내부 감압 등의 조건을 확인함과 아울러 폐기물 처리를 위한 밀봉 용기의 반입, 반출 경로의 오염 방지 설비의 설치 등이다.
준비가 갖추어지면, 잔부를 순차 해체해 간다(처리S52). 해체한 잔부에 대해서는 노 내의 구획 내부에서 파쇄하고(처리S53), 밀봉 용기에 넣어 반출해서 2중 밀봉을 행한다(처리S54).
이들의 처리S52~S54가 구획 내의 모든 잔부에 대하여 완료하면(처리S55), 해당 구획에 있어서의 아스베스트 대책을 종료하고(처리S56), 해당 구획의 이차 해체 공정이 완료된다.
또한, 아스베스트 대책은 실시 지역 시기에 따른 법정성령이나 자치체규칙 등에 따라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도록 적당히 설정한다.
해체한 잔부의 노 내 파쇄는 필수적이지 않고, 노 외로 반출된 뒤 파쇄해도 좋다.
제 1 구획에서의 이차 해체(도 6의 처리S15)와 병행해서 제 2 구획에서의 일차 해체(도 6의 처리S21)가 행하여진다.
제 2 구획의 일차 해체는 전술한 제 1 구획와 같이 행하여진다.
제 2 구획의 일차 해체시에는 중간 데크(30)로부터 작업용의 곤돌라(31)를 매달고, 연소실(7)의 가스 통로(72) 내를 승강시켜 해체에 따라 하강해 가는 내화물(파티션(71) 및 축열 벽돌(81))의 상면으로의 작업원의 왕래 및 자재의 보급 등을 확보한다.
이상과 같은 각 부분에 대한 노 내 내화물의 해체 및 노벽의 해체의 반복에 의해 제 2 구획에서의 일차 해체(도 6의 처리S21)가 행하여진다.
제 1 구획에 있어서는, 이차 해체(처리S15)가 완료된 후, 잔부가 없어진 철피의 내측에 새로운 내화물을 설치하고, 노벽을 재생한다(도 6의 처리S16). 이 때문에, 제 1 구획내에는 적당히 발판을 구성한다.
한편, 제 2 구획에 있어서는, 일차 해체(처리S21)에 계속해서 이차 해체(처리S22) 및 내화물 설치(처리S23)를 실시한다.
제 2 구획에 있어서의 이차 해체(처리S22) 및 내화물 설치(처리S23)는 기본적으로 제 1 구획과 같은 순서로 행한다. 이 때, 제 2 구획는 직동부(6)가 종으로 길기 때문에 중간 데크(30)로부터 매달린 작업용 곤돌라를 이용한다.
도 12에 있어서, 중간 데크(30)에는 윈치가 설치되고, 이 윈치에는 와이어를 통해서 곤돌라(32)가 매달려 있다.
곤돌라(32)는 철골을 구성해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철판을 펼쳐서 작업용의 바닥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곤돌라(32)의 외주는 잔부(62C)와의 사이에 승강시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갖는다.
이러한 작업용의 곤돌라(32)를 이용해서 잔부(62C)를 상방으로부터 저부까지 해체해 감으로써 제 2 구획에서의 이차 해체(도 6의 처리S22)가 행하여진다.
이차 해체에 의해, 노체(3) 내의 저부에는 잔부를 해체한 해체 잔해(181)를 쌓아 올린다. 해체 잔해(181)는 노체(3) 내의 저부에 설치된 콘베이어(182) 및 파쇄 장치(183)를 이용해서 더욱 작게 파쇄되고, 전용 백(180)에 채워져 노 외로 반출된다. 노체(3)의 외부에 기밀 구획(187)을 설치하고, 이 구획에 콘베이어(184) 및 파쇄 장치(185)를 설치하고, 이들의 콘베이어(184) 및 파쇄 장치(185)에 의해 해체 잔해(181)의 분쇄를 행해도 좋고, 노 내의 콘베이어(182) 및 파쇄 장치(183) 및 노 외의 콘베이어(184) 및 파쇄 장치(185)를 병용해도 좋다. 어느의 경우도, 외부로의 출입시에 시큐리티 존(186)을 설치하고, 아스베스트 성분의 유출을 방지한다.
이차 해체가 완료되면, 마찬가지로 곤돌라(32)를 이용해서 철피(61)의 내측에 대한 내화물 설치(도 6의 처리S23)를 실시한다.
제 1 구획의 내화물 설치(도 6의 처리S16) 및 제 2 구획의 내화물 설치(도 6의 처리S23)가 함께 완료되면, 중간 데크(30)를 철거하고(도 6의 처리S17), 이에 따라 노체(3)의 내화물이 갱신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해 아스베스트를 함유하지 않고 있는 내화물에 대해서는 아스베스트 처리 없음으로 해체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아스베스트 함유 내화물과 함유하지 않는 내화물을 일괄해서 해체 처리하고 있었을 때의 처리량(예를 들면 약 7000m3)에 대하여 아스베스트 처리가 필요한 내화물(아스베스트 함유 내화물과 일부의 함유하지 않는 내화물)의 양이 7분의 1(약 1000m3)로 할 수 있고, 아스베스트 처리량을 대폭 감량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노 내에 중간 데크(30)를 설치함으로써 그 상부 및 하부의 공간에 있어서 각각 해체 작업을 병행해서 행할 수 있고, 작업 기간의 중복화에 의해 전체로서의 해체 기간을 약 1개월 단축할 수 있었다.
더욱이, 아스베스트 함유 내화물의 해체 잔해를 노 내에서 파쇄함으로써 아스베스트 처리의 양을 감할 수 있고, 노 외로 처리했을 경우 약 1000m3인 것에 대해 약 700m3로 감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구체적인 각 부 구성 등은 실시시에 적당히 변형 등 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노체(3)의 내부에 제 1 구획 및 제 2 구획으로 하는 2개의 구획을 설정했지만, 이것은 3개 이상으로서도 좋다. 각 구획의 사이에는 각각 중간 데크를 설치하고, 각 구획에 있어서 각각 아스베스트 대책을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13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제 3 구획을 설정함과 아울러 각각의 사이에 중간 데크(A, B)를 설치하고, 각 구획에서 순차 일차 해체 또는 이차 해체가 행하여지도록 하고 있다.
제 1 구획에 있어서, 처리S11~S17은 도 6과 같다. 단, 처리S14,S17은 중간 데크(A)에 대한 처리가 된다.
제 2 구획에 있어서, 처리S21~S23은 도 6과 같다. 단, 처리S14,S17은 중간 데크(A)에 대한 처리가 되고, 중간 데크(B)에 대한 처리S31,S35가 추가된다.
제 3 구획에 있어서, 각 처리S31~S35는 도 6에 대하여 추가되는 것이지만, 이들은 각각 도 6에 있어서의 제 2 구획의 처리S14,S21~S23,S17에 준한 내용이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 외에, 구획을 증가시킴으로써 병행 처리의 비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서도, 번잡한 처리가 집중되는 이차 해체는 구획마다 순차 벗어나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의 공용 등의 면에서 효율적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내연식의 열풍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외연식의 열풍로에서도 같은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4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축열로 또는 연소로(100)의 전체가 축열실 또는 연소실로 되고, 그 노체는 철피(101)와 아스베스트 함유 및 비함유의 내화 벽돌 쌓기로 구성된 다층 내화물 구조(10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연식열풍로의 축열로 또는 연소로(100)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해체된 내화물의 반출을 위해, 축열로 또는 연소로(100)의 외부에 반출 전용의 슈트(110)를 설치하고 있다. 슈트(110)는 축열로 또는 연소로(100)에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직동부(111)와, 이 직동부(111)로부터 분기된 복수의 지관부(112)로 구성되고, 지관부(112)는 축열로 또는 연소로(100)의 노벽을 관통해서 노 내로 연통되고, 노 내로부터 내화물을 투하가능하다. 슈트(110)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고, 일반 내화물을 자연 낙하시켜 수집ㆍ배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용의 슈트(110)를 이용할 경우, 복수의 노의 사이에 직동부(111)를 설치하고, 복수의 노에서 같은 직동부(111) 등을 공용해도 좋다. 이러한 직동부(111) 등의 공용화에 의해 더욱 비용 및 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고로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다른 용도의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 예를 들면 비철 용광로용 열풍로, 글래스 용해로, 더욱이 박판용 연속 처리 설비에 있어서의 소둔로, 각종의 강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에도 적용할 수 있고,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5에는 냉연 강판용 연속 소둔 처리 장치(200)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장치는 냉연 강판(210)을 도입하는 측(도중 우측)으로부터 가열대(201), 균열대(202), 일차 냉각대(203), 과시효대(204), 이차 냉각대(205)를 갖는다. 각 부에는 반송 롤(211)이 설치되어 냉연 강판(210)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보내진다. 각 부에는 가열 장치(도시 생략)가 설치되고, 통과하는 냉연 강판(210)을 소정 온도로 가열 또는 보온가능하다.
도 16에는 전술한 냉연 강판용 연속 소둔 처리 장치(200) 중 가열대(201) 및 균열대(202)의 노체(220)의 구조가 나타내어져 있다. 가열대(201) 및 균열대(202)는 냉연 강판(210)에 대한 노 내에서의 가열 온도가 높기 때문에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체(220)가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철피(221)의 내측에는 내화물로서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단열 보드(222)가 2층에 펼쳐지고, 그 내측에 아스베스트를 함유하지 않는 내화 벽돌(223)이 2층으로 펼쳐져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노체(220)를 갖는 가열대(201) 및 균열대(202)를 노로서 해서 그 해체에도 적용할 수 있고,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내화물의 잔부가 탈락하지 않도록 길이가 긴 고정판(91)을 이용했지만, 이 고정판(91)을 고정하는 수단으로서는 내화물을 관통하는 고정봉(94)에 한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고정해도 좋다.
〔제 5 실시형태〕
도 17 내지 도 20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열풍로(1)의 직동부(6)에 있어서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내화물의 잔부(62C)를 철피(61)에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환상 고정판(191)을 이용함과 아울러 이들을 복수의 종부재(192)로 일괄해서 지지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피(61)의 내측에는 잔부(62C)가 남겨지고, 잔부(62C)의 내측을 따라 종부재(192)가 배치되어 있다. 종부재(192)는 직동부(6)의 연속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긴 판재이며, 직동부(6)의 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의 종부재(192)를 순차 연결하도록 복수의 고정판(191)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판(191)은 길이가 긴 판재를 원호형으로 휜 것이며, 복수의 원호형 고정판(191)을 연결함으로써 전체로서 노 내의 주방향을 따른 원환을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판(191)에 의한 원환은 더욱이 직동부(6)의 연속 방향인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고정판(191)에서 형성된 복수의 원환은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종부재(192)로 서로 연결되고, 소위 바스켓 형상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는 고정판(191)과 종부재(192)의 접속 부분이 나타내어져 있다.
고정판(191)의 양단은 각각 절곡되어 플랜지(193, 194)로 되어 있다. 한쪽 플랜지(193)는 종부재(192)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다른 쪽 플랜지(194)는 종부재(192)에 이어지고, 다른 고정판(191)의 플랜지(193)에 대향되어 있다. 단, 고정판(191)의 플랜지(194) 측은 종부재(192)과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고정판(191)은 플랜지(193) 측만으로 종부재(192)에 고정되어 있다. 즉, 1개의 고정판(191)은 1개의 종부재(192)에만 고정되고, 1개의 종부재(192)는 복수의 도중 위치에 고정판(191)을 갖는 빗형상을 형성한다. 이 빗형상을 순차 연결함으로써 임의 주변의 바스켓 형상 구조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대향하는 플랜지(193, 194)는 볼트로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193)에는 볼트(195)가 관통되고, 그 두부는 플랜지(193)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볼트(195)의 축부는 플랜지(194)의 삽입 구멍에 통과되고, 위치 결정 너트(196) 및 체결 너트(197)에 의해 플랜지(194)에 고정되어 있다. 볼트(195)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너트(196)의 위치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플랜지(193, 194)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고정판(191)이 형성되는 원환의 주변을 잔부(62C)의 내측에 맞춰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에 의해, 고정판(191)은 종부재(192)에 접속되는 단부를 제외하고, 중간의 대부분으로 잔부(62C)에 눌려지고, 잔부(62C)의 탈락 방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종부재(192) 상하 단부에는 지지 부재(198)가 용접 등에 의해 접속되고, 지지 부재(198)는 잔부(62C)가 없는 부분에서 철피(61)의 내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들의 지지 부재(198)에 의해 종부재(192) 내지 고정판(191)의 모두가 철피(61)에 지지되고, 따라서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잔부(62C)를 관통하는 부분 등은 일체 필요가 없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노 내의 잔부(62C)를 누르기 위해 고정봉 등을 잔부(62C)에 관통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내화물의 비산의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고, 비산 방지를 위한 작업을 더욱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191)으로서는 길이가 긴 판재에 한하지 않고, 시트상 또는 폭이 넓은 판재를 이용해도 좋고, 종부재(192)와 함께 형성되는 바스켓 형상 구조를 면으로 연속한 원통형 구조로 할 수도 있고, 단순한 잔부의 누름에 한하지 않고,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잔부를 피복하는 기능도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고, 노 내의 내벽의 일부가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내화물로 형성된 열풍로의 해체에 이용할 수 있다.
1: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인 열풍로 2: 기초
3: 노체 4: 돔부
5: 코니컬부 6: 직동부
7: 연소실 8: 축열실
30: 중간 데크 31,32: 곤돌라
41,51,61: 철피 42,52,62: 내화물
52A ,62A: 함유층 42B,52B,62B: 비함유층
52C,62C: 잔부 43: 발판
44: 커버 71: 파티션
72: 가스 통로 73: 버너
81: 축열 벽돌 82: 축열체
91: 고정판 94: 고정봉
100: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인 축열로 또는 연소로
101: 외피
102: 함유 내화물 및 비함유 내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내화물 구조
191: 고정판 192: 종부재
201,202: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인 가열대 및 균열대
221: 외피 222: 함유 내화물인 단열 보드
223: 비함유 내화물인 내화 벽돌 421,521: 비함유 내화물인 캐스타블
422,523,524,623,624…비함유 내화물인 단열 벽돌
423,525,625…비함유 내화물인 내화 벽돌
522,622…함유 내화물인 단열 보드 621: 함유 내화물인 슬래그 울 층

Claims (4)

  1.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을 덮고 또한 아스베스트를 함유하는 함유 내화물로 형성된 함유층; 및 상기 함유층의 내측을 덮고 또한 아스베스트를 함유하지 않는 비함유 내화물로 다층으로 형성된 비함유층을 갖는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으로서:
    상기 비함유층 중 상기 함유층에 접하는 적어도 최외측의 일층과 상기 함유층을 잔부로서 남겨서 상기 비함유층을 노심측으로부터 해체하는 일차 해체 공정을 행한 후, 작업 장소의 격리ㆍ부압화, 시큐리티 존의 설치 및 습윤제의 산포를 포함하는 아스베스트 대책 하에서 상기 잔부를 해체하는 이차 해체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해체 공정에서는 상기 비함유층을 노심측으로부터 해체한 후 상기 잔부를 상기 외피에 고정하는 잔부 고정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노 내를 종방향으로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하고, 각 구획에 있어서 상기 일차 해체 공정 및 상기 이차 해체 공정을 순차 행함과 아울러 이들의 각 공정을 각 구획에서 순차 시프트해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해체 공정에서는 상기 잔부의 해체로 생긴 해체 잔해를 노 내에서 더욱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
KR20127005084A 2009-09-02 2010-06-25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 KR101164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02502A JP4528876B2 (ja) 2008-12-08 2009-09-02 多層耐火物構造の炉の解体方法
JPJP-P-2009-202502 2009-09-02
PCT/JP2010/060802 WO2011027610A1 (ja) 2009-09-02 2010-06-25 多層耐火物構造の炉の解体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000A KR20120029000A (ko) 2012-03-23
KR101164459B1 true KR101164459B1 (ko) 2012-07-18

Family

ID=4366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05084A KR101164459B1 (ko) 2009-09-02 2010-06-25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578582B2 (ko)
EP (1) EP2474801B1 (ko)
KR (1) KR101164459B1 (ko)
CN (1) CN102483305B (ko)
AU (1) AU2010290644B2 (ko)
BR (1) BR112012003952A2 (ko)
CA (1) CA2771911C (ko)
ES (1) ES2468800T3 (ko)
PL (1) PL2474801T3 (ko)
RU (1) RU2500963C1 (ko)
UA (1) UA99429C2 (ko)
WO (1) WO2011027610A1 (ko)
ZA (1) ZA2012011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4013B2 (en) * 2010-02-12 2015-11-24 Allied Mineral Products, Inc. Hot blast stove dome and hot blast stove
CN102888481B (zh) * 2012-10-26 2014-04-30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热风炉拱顶耐材拆除方法及装置
CN102941211B (zh) * 2012-11-22 2014-12-03 北京嘉博文生物科技有限公司 燃气型有机物生物发酵机
CN108977605A (zh) * 2018-06-29 2018-12-11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特大型热风炉炉壳的在线模块化拆除方法
CN109336627A (zh) * 2018-12-04 2019-02-15 攀枝花钢城集团有限公司 熔铝炉炉衬用浇注料及其制备和使用方法
JP7163167B2 (ja) * 2018-12-19 2022-10-31 Jfeプラントエンジ株式会社 炉体の解体方法
CN112833672A (zh) * 2021-01-05 2021-05-25 商都中建金马冶金化工有限公司 一种矿热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4392A (ja) 2002-10-24 2004-05-20 Narata:Kk 煙突解体工法
JP2004177081A (ja) 2002-11-29 2004-06-24 Shimizu Corp 焼却炉の耐火材の解体方法
JP2006220404A (ja) 2005-02-08 2006-08-24 Shinko Kk 煙突内壁表層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8647A (en) * 1968-12-13 1970-09-15 Koppers Co Inc Insulating structure for use between the steel shell and the internal refractory lining in a metallurgical furnace
US4003695A (en) 1975-06-03 1977-01-18 Gennady Petrovich Kandakov Stove of blast furnace
AU3367478A (en) * 1977-02-28 1979-09-06 Keibler Thompson Corp Removing stove linings
SE418902B (sv) * 1979-03-23 1981-06-29 Asea Ab Anordning for rivning av degelugnar
SU823801A1 (ru) * 1979-07-24 1981-04-23 Усть-Каменогорский Ордена Ленина, Орденаоктябрьской Революции Свинцово-Цинко-Вый Комбинат Им. B.И.Ленина Способ разрушени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НАСТылЕй
JPS62259827A (ja) 1986-04-09 1987-11-12 Fujitsu Ltd スプロケツトホイ−ルの製造方法
US4763584A (en) * 1987-03-02 1988-08-16 Combustion Engineering, Inc. Means of attaching refractory to a furnace wall
JPH02214584A (ja) 1989-02-15 1990-08-27 Nippon Konniyaku Kyokai アスベスト粉塵の飛散防止方法並びにその処理剤
EP0487298A3 (en) * 1990-11-21 1992-12-16 Schering Corporation Human gamma interferon antagonist/agonist screen
US5513582A (en) * 1991-07-15 1996-05-07 Association Gradient & Societe Des Techniques En Milieu Ionisant (Stmi) Incineration method, particularly for spent graphite
US5280495A (en) * 1992-02-14 1994-01-18 Ajax Magnethermic Corporation Furnace refractory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JPH07120165A (ja) * 1993-10-28 1995-05-12 Kawasaki Refract Co Ltd 窯炉耐火物解体方法
US5926933A (en) * 1995-01-17 1999-07-27 R & K Incinerator, Inc. Method of lining an animal carcass incinerator
JP3017655B2 (ja) 1995-03-27 2000-03-13 川崎製鉄株式会社 熱風炉解体方法
JP3546754B2 (ja) * 1999-04-30 2004-07-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炉の短期改修・建設方法およびリング状ブロックの上架装置
EP1067167A3 (en) * 1999-07-05 2003-02-05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of repairing coke oven and apparatus for taking-in bricks for repair
JP2002309919A (ja) * 2001-04-17 2002-10-23 Suzuki Motor Corp オイルポンプ
JP4659289B2 (ja) 2001-07-25 2011-03-30 山九株式会社 内燃式熱風炉の解体方法
PL204050B1 (pl) * 2002-01-23 2009-12-31 Ge Energy Usa Gazogenerator i sposób naprawy metalowego dna gazogeneratora
DE10223284A1 (de) 2002-05-24 2003-12-11 Specialty Minerals Michigan Verfahren zum Reparieren einer Schutzauskleidung eines Industriellen Reaktions- oder Transportgefäßes
JP2004068136A (ja) 2002-08-09 2004-03-04 Jfe Steel Kk 熱風炉
JP4015052B2 (ja) 2003-04-18 2007-11-28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熱風炉用のギッター煉瓦
JP4495011B2 (ja) 2005-03-02 2010-06-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熱風炉の制御方法
JP4584058B2 (ja) * 2005-07-08 2010-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リンダライナ及びその製造方法
JP4758717B2 (ja) * 2005-09-20 2011-08-31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高炉の残銑の撤去方法
JP3118801U (ja) * 2005-10-18 2006-02-09 有限会社一級建築士事務所エス・オー・シー アスベストの飛散防止装置
JP2007247367A (ja) 2006-03-14 2007-09-27 Yashima Kogyo Kk アスベスト除去方法
US7827689B2 (en) * 2007-01-16 2010-11-09 Vanocur Refractories, L.L.C. Coke oven re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4392A (ja) 2002-10-24 2004-05-20 Narata:Kk 煙突解体工法
JP2004177081A (ja) 2002-11-29 2004-06-24 Shimizu Corp 焼却炉の耐火材の解体方法
JP2006220404A (ja) 2005-02-08 2006-08-24 Shinko Kk 煙突内壁表層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83305A (zh) 2012-05-30
US8578582B2 (en) 2013-11-12
AU2010290644A1 (en) 2012-03-15
ZA201201140B (en) 2012-10-31
KR20120029000A (ko) 2012-03-23
WO2011027610A1 (ja) 2011-03-10
US20120144644A1 (en) 2012-06-14
CN102483305B (zh) 2014-05-28
EP2474801A1 (en) 2012-07-11
RU2500963C1 (ru) 2013-12-10
ES2468800T3 (es) 2014-06-17
EP2474801A4 (en) 2013-06-05
AU2010290644B2 (en) 2012-09-06
CA2771911C (en) 2012-11-20
BR112012003952A2 (pt) 2017-08-29
EP2474801B1 (en) 2014-04-30
UA99429C2 (ru) 2012-08-10
CA2771911A1 (en) 2011-03-10
RU2012112592A (ru) 2013-10-10
PL2474801T3 (pl) 2014-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459B1 (ko) 다층 내화물 구조의 노의 해체 방법
JP4528876B2 (ja) 多層耐火物構造の炉の解体方法
RU2274659C2 (ru) Способ смены футеровки печи и печь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рямой плавки
RU2361162C2 (ru) Отражательная печь для переплава металла
RU2446354C2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горелка
CN201269518Y (zh) 补燃式一氧化碳余热锅炉
CN102519258A (zh) 焙烧炉烧嘴及其砌筑方法
JP5172800B2 (ja) 耐熱管構造物の解体方法
EP3152506B1 (en) Charging installation of a metallurgical reactor
US4162891A (en) Scrap preheater modular roof assembly
US20080050689A1 (en) Method of stabilising a refractory inner wall of a hot blast generating device and use thereof in a hot repair method
JPH0949008A (ja) 熱風炉補修工事方法
JP3421280B2 (ja) コークス炉レンガ補修時の炉内断熱方法
RU2398165C2 (ru) Многокамерная обжиговая печь
EP3152492B1 (en) Charging installation of a metallurgical reactor
JP2000309813A (ja) 高炉炉体のクーリングステーブ取付け工法
RU20315U1 (ru) Регенеративны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колодец
JPH07120165A (ja) 窯炉耐火物解体方法
CN116772586A (zh) 一种沸腾氯化炉检修用隔热耐腐蚀人孔装置及沸腾氯化炉
JP5320942B2 (ja) コークス炉の炭化室壁補修方法
JP2008128548A (ja) 焼却炉の炉壁積みつけ方法および焼却炉
Nishikawa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FOR THE STEEL INDUSTRY BY ALL-LAYER GUNN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