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767B1 -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767B1
KR101146767B1 KR1020070033399A KR20070033399A KR101146767B1 KR 101146767 B1 KR101146767 B1 KR 101146767B1 KR 1020070033399 A KR1020070033399 A KR 1020070033399A KR 20070033399 A KR20070033399 A KR 20070033399A KR 101146767 B1 KR101146767 B1 KR 101146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weight
vibration motor
case
wir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396A (ko
Inventor
가즈히사 스즈키
노보루 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통형상의 케이스(2)와, 케이스(2)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7)와, 샤프트의 단부에 편심 고정된 무게추(8)와, 케이스(2)를 포위하는 금속제의 홀더(3)를 가지며, 홀더(3)는 리플로우 납땜에 의해 배선기판(PWB)에 표면 실장되는 진동 모터(1)에 있어서, 홀더(3)는, 배선기판(PWB)상에 배치되는 평면형의 바닥부(17)를 가지며, 바닥부(17)에는 무게추(8)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방지부(17b, 17c)가 형성되고, 전도방지부들(17b, 17c)의 사이에는 바닥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중심선(C2) 상에 절결부(17d)가 마련되고, 절결부(17d)는, 전도방지부(17b, 17c)의 전단으로부터 무게추(8)에 대향하는 위치를 넘어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진동 모터{Vibration mo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에 채용되는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에 채용되는 홀더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에 채용되는 홀더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에 채용되는 홀더의 배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IX- IX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진동 모터를 실장한 배선기판을 구비한 휴대 전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진동 모터를 실장한 배선기판을 구비한 게임 콘트롤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진동 모터 2 통형상 케이스
3 홀더 7 샤프트
8 무게추 9 스테이터
10 로터 16 연결부
16c 슬릿 17 바닥부
17b, 17c 전도방지부 17d 절결부
18, 19 측부 18a, 18b, 19a, 19b 후크부
21 정상부 21a 내벽면
A 모터 부분 C1 회전 축선
C2 중심선 PWB 인쇄배선기판
본 발명은 각종 통신기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 오락 기기 또는 맛사지기 등에 내장되어, 진동 발생원으로서 이용되는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진동 모터는 예를 들면, 샤프트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긴 대략 원통형상의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된 샤프트의 선단에 무게추가 편심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내에는 로터와 스테이터가 수용되어 있다. 로터의 코일은 정류자에 접속되고, 정류자에는 브러시가 미끄럼접촉되어 있다. 브러시에는 단자가 접속되어 있고,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단자가 인쇄배선기판상의 도체에 접촉하여 급전된다. 그러면 단자로부터 브러시 및 정류자를 통해서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로터에 회전력이 발생하여 샤프트가 회전하여, 무게추가 휘돌려지면서 진 동을 일으킨다.
인쇄배선기판에 표면 실장하는 진동 모터의 경우, 리플로우 솔더링 등으로 납땜을 하기 때문에, 케이스를 지지하는 금속제의 홀더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진동 모터로서, 예를 들면, 홀더에 인쇄배선기판에 접촉하는 바닥부를 마련하고, 이 바닥부로부터 올라오고 만곡된 좌우 한 쌍의 스프링 부재로 원통형상의 케이스를 지지하는 진동 모터(평11-234943호 공보)나, 인쇄배선기판으로부터 진동 모터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홀더의 바닥부를 샤프트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확장시킨 진동 모터(특개2005-198366호 공보)가 있다.
각종 정밀기기의 소형화에 따라서, 각종 정밀기기에 내장되는 진동 모터에 대해서도 더욱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진동 모터의 경우, 무게추의 중량을 유지한 채 소형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샤프트의 회전 축선 방향의 치수가 짧아지면, 결과적으로 진동 모터의 무게중심 위치는 케이스의 전단측(무게추측)으로 치우친다. 이 때문에, 단자가 케이스의 후단측에 마련되어 있는 일본 공개특허 평11-234943호 공보에 기재된 진동 모터에서는, 진동 모터를 배선기판상에 단순히 놓기만 하면, 무게추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단자나 홀더의 뒤쪽이 배선기판으로부터 떨어질 우려가 높아져 적절한 납땜이 어려워진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 2005-198366호 공보에 기재된 진동 모터에서는, 케이스 바닥부가 무게추측까지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 모터는 배선기판상에서 안정된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 2005-198366호 공보에 기재된 진동 모터에서는, 확장된 바닥부가 무게추의 방해가 되기 때문에, 무게추의 회전 반경이 제한되어 무게추의 소형화가 불가피했다.
본 발명은 배선기판상에서 안정적이면서, 원심 방향으로 무게추의 대형화를 가능하도록 한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터 및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단부에 편심 고정된 무게추와, 케이스를 포위하는 금속제의 홀더를 가지며, 홀더는 리플로우 납땜에 의해 배선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진동 모터에 있어서, 홀더는 배선기판상에 배치되는 평면형의 바닥부를 가지며, 바닥부의 무게추측에는 무게추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前倒)방지부가 형성되며, 전도방지부들 사이에는 샤프트의 회전 축선과 평행하면서 바닥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상에 절결부가 마련되고, 절결부는 전도방지부의 전단으로부터 무게추에 대향하는 위치를 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 모터는 소형일수록 전체의 무게중심 위치가 무게추측으로 치우치고, 실장 시에 배선기판상에서 무게추측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기 쉬워진다. 그러나, 이 진동 모터에서는 홀더에서의 바닥부의 무게추측에, 무게추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도방지부가 지주가 되어 무게추측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기 어려워지므로, 진동 모터는 실장 시에 배선기판상에 안정적으로 자리잡게 된다. 그 결과, 리플로우 납땜에 의해 배선기판에 진동 모터를 확실하게 납땜할 수 있으며, 낙하 충격 등을 받은 경우에도 납땜한 부분이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소형 진동 모터는 더욱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에 반해서 무게추의 대형화도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바닥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상에서 한 쌍의 전도방지부들 사이에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 절결부에 의해 무게추의 회전 반경을 바닥부의 판 두께만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원심 방향으로 무게추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바닥부의 판 두께가 0.5mm 미만인 것이라도, 판 두께만큼 무게추의 회전 반경을 크게 할 수 있다면, 진동 모터가 작기 때문에 무게추의 회전 반경을 약간 크게 하기만 해도, 무게추가 진동 전체에 주는 영향은 매우 커진다. 따라서, 진동 모터의 소형화를 촉진함에 있어, 본 발명은 매우 효과적이다.
홀더 바닥부에는 절결부의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로부터 바닥부의 후단까지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의 성형 상, 홀더에 슬릿이 형성되므로, 이 슬릿에 의해 홀더는 밖으로 벌어지기 쉽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배선기판상에 놓여지는 바닥부측에 슬릿을 마련함으로써, 모터의 실장 시에 슬릿을 배선기판상에 배치시킬 수 있어, 바닥부와 배선기판을 납땜함과 동시에 슬릿이 넓어지는 것을 납땜으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모터가 낙하 충격을 받은 경우라도, 홀더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홀더로부터 모터 부분이 튀어나오는 것을 적절하게 회피할 수 있다.
홀더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단으로부터 세워지는 한 쌍의 측부와, 측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정상부에 의해 단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측부에는 케이스의 외면에 접촉하여 케이스를 정상부의 내벽면을 향해 바이어스시키는 후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는 단면 사각형상이므로,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케이스를 홀더로 포위하는 경우에, 케이스와 홀더의 접촉 면적이 적어진다. 그 결과, 홀더를 배선기판에 납땜할 때, 홀더를 통해서 케이스에 열이 전달되기 어려워져, 진동 모터에 대한 열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부에는, 케이스의 외면에 접촉하여 케이스를 정상부의 내벽면을 향해 바이어스시키는 후크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케이스는 들어올려져서, 바닥부와 케이스가 이격됨으로써, 바닥부를 배선기판에 납땜할 때 진동 모터에 대한 열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홀더의 정상부는 평면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장기의 흡착 노즐의 흡착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전도방지부는, 홀더로부터 연속하여 측부가 세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측부가 세워져 있기 때문에, 전도방지부가 평판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굽힘 강도나 충격 강도 등의 재료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나 오락 기기는, 상기에 기재된 진동 모터를 실장한 배선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는, 로터 및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단자와, 케이스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단부에 편심 고정된 무게추와, 케이스를 포위하는 금속제의 홀더를 가지며, 단자와 홀더는 리플로우 납땜에 의해 배선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진동 모터에 있어서, 홀더는 배선기판상에 배치되는 평면형의 바닥부를 가지며, 바닥부의 무게추측에는 무게추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방지부가 형성되며, 전도방지부들 사이에는, 샤프트의 회전축선과 평행하면서 바닥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상에 절결부가 마련되고, 절결부는 전도방지부의 전단으로부터 무게추에 대향하는 위치를 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 모터는 소형일수록 전체의 무게중심 위치가 무게추측으로 치우치고, 실장 시에 배선기판상에서 무게추측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기 쉬워진다. 이 진동 모터에서는 홀더에서의 바닥부의 무게추측에 무게추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도방지부가 지주가 되어, 무게추측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기 어려워지며, 진동 모터는 실장 시에 배선기판상에서 안정적으로 자리잡게 된다. 또 바닥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상에서 한 쌍의 전도방지부들 사이에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어, 이 절결부에 의해 무게추의 회전 반경을 바닥부의 판 두께만큼 크게 할 수 있다. 이는, 원심방향으로 무게추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기판상에서 안정적이면서도, 원심방향으로 무게추의 대형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모터(1)는 리플로우 납땜에 의해 인쇄배선기판(PWB)에 표면 실장되는 소형의 진동 모터이고, 직경 약 4mm, 길이 약 10mm의 통형상 케이스(2)를 갖는 모터 부분(A)과, 통형상 케이스(2)가 압입되는 통형상이면서 단면 사각형상의 홀더(3)를 가진다.
통형상 케이스(2)는 금속제이고 원통형상인 하우징부(4)와, 하우징부(4)가 개방된 후단에 압입되는 수지제의 브래킷(6)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부(4)의 전단측에는, 직경감소되어 돌출된 머리부(4a)가 형성되고, 머리부(4a)의 전단으로부터 샤프트(7)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7)의 단부에는 단면 부채꼴의 무게추(8)가 코킹 또는 압입에 의해 편심 고정되어 있다. 무게추(8)의 후단측에는 머리부(4a)의 일부가 수용되는 홈(8a)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7)는 머리부(4a)의 내측에 고정된 베어링 및 브래킷(6)에 고정된 베어링을 통해서 통형상 케이스(2)에 축 지지되어 있다.
모터 부분(A)에서, 통형상 케이스(2) 내에는, 내벽면에 접착된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진 스테이터(9)와, 스테이터(9)에 의해 포위되고 샤프트(7)에 고정된 로터(10)가 수용되어 있다. 로터(10)의 코어에는 코일이 감기고, 그 코일은 통형상의 케이스(2)의 후단측에서 샤프트(7)에 고정된 정류자에 접속되어 있다. 정류자에는 브래킷(6)에 고정된 한 쌍의 브러시가 미끄럼접촉되어 있다.
브래킷(6)은 통형상 케이스(2)에 압입되는 원기둥형상의 앞부분과, 홀더(3)로의 삽입 가능한 사각형상의 뒷부분을 가진다. 또 브래킷(6)에는 브러시의 단부에 마련된 접속 단자(12a, 12b)가 매설되어 있다. 한 쌍의 접속 단자(12a, 12b)는 브래킷(6)의 후단으로부터 노출되고, 각 외부 단자(13, 14)는 브러시의 접속 단자(12a, 12b)에 납땜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 단자(13, 14)는 구리제이고 L자형상으로 절곡된 박판이다. 외부 단자의 일단부(13a, 14a)는 브래킷(6)의 후단에 접촉하여 접속 단자(12a, 12b)에 납땜되고, 타단부(13b, 14b)는 무게추(8)측으로 향해져 샤프트(7)의 회전 축선(C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도 1 참조). 외부 단 자(13, 14)의 단부(13b, 14b)는 인쇄배선기판(PWB)상에서 리플로우 납땜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 케이스(2)가 압입되는 판 두께 0.2mm의 홀더(3)는 스테인레스제의 평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타발가공한 후, 그 평판을 단면 사각형상으로 절곡하여 단부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성형한다. 홀더(3)는 연결부(16)가 형성된 평면형의 바닥부(17)와, 바닥부(17)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세워지는 한 쌍의 측부(18, 19)와, 양 측부(18, 19)의 사이를 연결하는 평면형의 정상부(21)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의 바닥부(17)에 형성된 연결부(16)에는, 선단이 펼쳐진 사다리꼴형상의 볼록부(16a)와, 이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6a)와 오목부(16b)는, 샤프트(7)의 회전 축선(C1)(도 1 참조)과 평행하면서 바닥부(17)의 중심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중심선(C2)을 따라 번갈아 나열되어 있고, 볼록부(16a)와 오목부(16b)는 약간의 슬릿(16c)이 형성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이 슬릿(16c)은 바닥부(17)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이어져 있다. 홀더(3)의 바닥부(17)의 외벽면(17a)은 인쇄배선기판(PWB)상에 접촉하여 리플로우 납땜된다.
바닥부(17)에는 무게추(8)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전도방지부(17b, 17c)가 형성되고, 각 전도방지부(17b, 17c)는 중심선(C2) 방향으로 무게추(8)의 중심을 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도방지부(17b, 17c)는 각각 바닥부(17)와 동일 평면에 배치된 부분과, 측부(18, 19)와 동일 평면에 배치된 부분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평판만으로 이루어진 전도방지부에 비해, 굽힘 강도나 충격 강도 등의 재료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전도방지부(17b, 17c)는 바닥부(17)의 중심선(C2)을 사이에 두도록 대칭되고, 한 쌍의 전도방지부(17b, 17c) 사이에는 사각형상의 절결부(17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7d)는 전도방지부(17b, 17c)의 전단으로부터 무게추(8)의 후단을 넘어, 통형상 케이스(2)의 머리부(4a)의 근원까지 이른다. 그 결과, 진동 모터(1)가 낙하 등에 의한 외적인 충격을 받아 샤프트(7)가 일시적으로 휜 경우라도, 무게추(8)와 전도방지부들(17b, 17c) 사이의 여유(clearance)를 확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의 좌우 측부(18, 19)에는 통형상 케이스(2)의 외면에 접촉하는 전후 한 쌍의 후크부(18a, 18b, 19a, 19b)가 형성되고, 각 후크부(18a, 18b, 19a, 19b)는 통형상 케이스(2)를 정상부(21)의 내벽면(21a)을 향해 바이어스시킨다. 측부(18, 19)의 앞쪽에는 앞쪽의 후크부(18a, 19a)가 대향되어 마련되고, 측부(18, 19)의 후단에는 뒤쪽의 후크부(18b, 19b)가 대향되어 마련되어 있다. 사각형상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앞쪽의 후크부(18a, 19a)는 정상부(21) 측의 고정단으로부터 바닥부(17) 측의 자유단을 향해 서로 접근하도록 구부려지고, 통형상 케이스(2)의 외면에 대응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뒤쪽의 후크부(18b, 19b)도 마찬가지로 서로 접근하도록 구부려지고, 통형상 케이스(2)의 외면에 대응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 케이스(2)는 홀더(3)의 후단측에서 끼워지고, 4개의 후크부(18a, 18b, 19a, 19b)와 정상부(21)의 내벽면(21a)의 사이에 하우징부(4)가 압입된다. 그리고, 브래킷(6)이 홀더(3)의 후단에 압입됨과 아울러, 머리부(4a)가 홀더(3)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될 때까지 통형상 케이스(2)를 홀더(3)에 압입한다. 그 결과, 통형상 케이스(2)가 홀더(3)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 후, 샤프트(7)에 무게추(8)가 고정된다. 통형상 케이스(2)의 하우징부(4)는 금속제의 원통형상이고, 홀더(3)는 단면 사각형상이기 때문에, 하우징부(4)와 홀더(3)의 접촉 부분은 후크부(18a, 18b, 19a, 19b) 및 정상부(21)의 일부가 된다. 따라서, 홀더(3)의 내벽면의 전체가 통형상 케이스(2)에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접촉 면적은 매우 작아진다. 통형상 케이스(2)는 후크부(18a, 18b, 19a, 19b)에 의해 정상부(21)의 내벽면(21a)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지지되어 있고, 바닥부(17)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 결과, 무게추(8)의 회전 반경을 바닥부(17)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형상 케이스(2)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홀더(3)를 채용함으로써, 홀더(3)를 통해서 통형상 케이스(2)에, 리플로우 납땜시의 열이 전달되기 어려워져서, 진동 모터(1)에 대한 열의 영향은 감소된다. 또한, 후크부(18a, 18b, 19a, 19b)에 통형상 케이스(2)를 바닥부(17)로부터 들어올린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부(17)와 통형상 케이스(2)가 이격됨으로써, 바닥부(17)를 인쇄배선기판(PWB)에 리플로우 납땜할 때, 진동 모터(1)에 대한 열의 영향은 더 감소된다.
또한, 무게추(8)가 고정된 진동 모터(1)는 실장기에 의해 인쇄배선기판(PWB)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실장기는 홀더(3)의 정상부(21)의 외벽면(21b)에, 흡착 노즐을 대고 흡인함으로써 진동 모터(1)를 지지하고, 그 진동 모터(1)를 인쇄배선기판(PWB)상의 소정 위치까지 반송한다. 홀더(3)의 정상부(21)의 외벽면(21b)은 평면이기 때문에, 흡착 노즐에 의한 흡착은 양호하다.
종래의 진동 모터(일본 공개특허 2005-198366호 공보 참조)는, 무게추가 무겁기 때문에 전체의 중심이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인쇄배선기판상에 놓였을 때, 무게추측이 앞쪽으로 기울어지기 쉽다. 그러나, 홀더(3)의 바닥부(17)에는 무게추(8)측에 한 쌍의 전도방지부(17b, 17c)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전도방지부(17b, 17c)가 지주가 되어 무게추(8)가 앞쪽으로 기울어지기 어렵다. 그 결과, 인쇄배선기판(PWB)상에서 진동 모터(1)는 안정되어, 리플로우 납땜에 의해 확실한 납땜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휴대 전화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나 게임 콘트롤러 등의 오락 기기에 진동 모터(1)가 내장되어 낙하 충격을 받는 등의 경우에도 납땜이 벗겨지기 어려워진다.
또 홀더(3)를 성형할 때 생기는 슬릿(16c)에 의해 홀더(3)는 밖으로 벌어지기 쉽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슬릿(16c)이 바닥부(17)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배선기판(PWB)에 진동 모터(1)를 실장할 때 슬릿(16c)을 인쇄배선기판(PWB)상에 배치할 수 있고, 바닥부(17)와 인쇄배선기판(PWB)을 납땜함으로써, 슬릿(16c)이 벌어지는 것을 납땜으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모터(1)가 낙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홀더(3)의 벌어짐을 막고, 홀더(3)로부터 모터 부분(A)이 튀어나오는 것을 적절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진동 모터(1)와 같이 소형 모터는 더욱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에 반해서 무게추(8)의 대형화도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바닥부(17)를 따라서 연장되는 중심선(C1)상에서, 한 쌍의 전도방지부(17b, 17c) 사이에 절결부(17d)를 마 련함으로써, 무게추(8)의 회전 반경을 바닥부(17)의 판 두께만큼 크게 할 수 있다. 이는, 원심 방향으로 무게추(8)의 대형화를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바닥부(17)의 판 두께가 0.5mm 미만인 것이라도, 판 두께만큼 무게추(8)의 회전 반경을 크게 할 수 있다면, 진동 모터(1)가 작기 때문에 무게추(8)의 회전 반경을 약간 크게 하기만 해도, 무게추(8)가 진동 전체에 주는 영향은 매우 커진다. 따라서, 소형화를 촉진함에 있어서 진동 모터(1)는 매우 효과적이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케이스(2)가 원통형상인 경우를 설명했으나, 단면이 타원형인 통형상 케이스를 갖는 진동 모터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범용성이 높은 것으로, 다양한 진동 경보 기기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22)의 내부에는, 진동 모터(1)를 실장한 배선기판(23)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락 기기의 일례인 게임 콘트롤러(24)의 내부에는, 진동 모터(1)를 실장한 배선기판(25)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기판상에서 안정적이면서, 원심 방향으로 무게추의 대형화를 가능하도록 한 진동 모터를 제공된다.

Claims (7)

  1. 로터 및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편심 고정된 무게추와, 상기 케이스를 포위하는 금속제의 홀더를 가지며, 상기 홀더는 리플로우 납땜에 의해 배선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배선기판상에 배치되는 평면형의 바닥부를 가지며, 상기 바닥부의 상기 무게추측에는, 상기 무게추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방지부들 사이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 축선과 평행하면서 상기 바닥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선상에 절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전도방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무게추에 대향하는 위치를 넘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는, 상기 바닥부의 양단으로부터 세워지는 한 쌍의 측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전도방지부에는, 상기 홀더로부터 연속한 상기 측부가 세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절결부의 상기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로부터 상기 바닥부의 후단까지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부와, 상기 측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정상부에 의해 단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접촉하여 상기 케이스를 상기 정상부의 내벽면을 향해 바이어스시키는 후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4. 삭제
  5. 제1항에 기재된 진동 모터를 실장한 배선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6. 제1항에 기재된 진동 모터를 실장한 배선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 기기.
  7. 로터 및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통형상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단자와, 상기 케이스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편심 고정된 무게추와, 상기 케이스를 포위하는 금속제의 홀더를 가지며, 상기 단자와 상기 홀더는 리플로우 납땜에 의해 배선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배선기판상에 배치되는 평면형의 바닥부를 가지며, 상기 바닥부의 상기 무게추측에는 상기 무게추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방지부들 사이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 축선과 평행하면서 상기 바닥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중심선상에 절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전도방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무게추에 대향하는 위치를 넘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는, 상기 바닥부의 양단으로부터 세워지는 한 쌍의 측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전도방지부에는, 상기 홀더로부터 연속한 상기 측부가 세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KR1020070033399A 2006-04-14 2007-04-04 진동 모터 KR101146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2307 2006-04-14
JP2006112307A JP4891645B2 (ja) 2006-04-14 2006-04-14 振動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396A KR20070102396A (ko) 2007-10-18
KR101146767B1 true KR101146767B1 (ko) 2012-05-17

Family

ID=3860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399A KR101146767B1 (ko) 2006-04-14 2007-04-04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19335B2 (ko)
JP (1) JP4891645B2 (ko)
KR (1) KR101146767B1 (ko)
CN (2) CN102624142B (ko)
TW (1) TWI3999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168B1 (ko) * 2000-11-29 200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라스 수납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8366A (ja) * 2003-12-26 2005-07-21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の固定構造
TW200620788A (en) * 2004-08-10 2006-06-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Surface mounting type vibration motor and mounting structure
US7705500B2 (en) * 2007-01-17 2010-04-27 Brookstone Purchasing, Inc. Vibration apparatus and motor assembly therefore
US8013486B2 (en) * 2007-05-09 2011-09-06 Minebea Motor Manufacturing Corporation Vibration motor holding structure and vibration motor
JP5060197B2 (ja) * 2007-08-06 2012-10-31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の基板実装構造
JP5060228B2 (ja) * 2007-09-20 2012-10-31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US20110241464A1 (en) * 2010-03-31 2011-10-06 Minebea Motor Manufacturing Corporation Vibration Motor Surface Mounting Structure and Vibration Motor
JP5875218B2 (ja) * 2010-05-31 2016-03-0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表面実装用モータ
JP5590968B2 (ja) * 2010-05-31 2014-09-1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表面実装用モータ
JP4929376B2 (ja) * 2010-06-18 2012-05-0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EP2655886A4 (en) 2010-12-21 2018-05-09 Pentair Filtration Solutions, LLC Diaphragm pump and motor system and method
US9590463B2 (en) 2011-09-22 2017-03-07 Minebea Co., Ltd. Vibration generator moving vibrator by magnetic field generated by coil and holder used in vibration-generator
US9570955B2 (en) * 2013-03-14 2017-02-14 Nike, Inc. Overmold protection for vibration motor
JP6296594B2 (ja) * 2013-09-04 2018-03-20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CN106712360A (zh) * 2015-08-03 2017-05-24 四川安和精密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微型马达及其支架
FR3051714B1 (fr) * 2016-05-31 2021-09-10 Faurecia Sieges Dautomobile Piece antivibratoi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TWM567655U (zh) * 2018-06-01 2018-10-01 正崴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馬達模組與具有馬達模組之控制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214A (ja) * 1996-04-30 1997-11-11 Kokusai Electric Co Ltd バイブレータ保持構造
JP2005295752A (ja) 2004-04-02 2005-10-20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それを搭載した携帯通信機器
WO2006016518A1 (ja) 2004-08-10 2006-02-16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671Y2 (ja) * 1989-06-05 1996-06-19 三菱樹脂株式会社 蓋付運搬用容器
US6133657A (en) * 1994-09-20 2000-10-17 Motorola, Inc. Vibrator bracket
US5889349A (en) * 1995-10-23 1999-03-30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Cylindrical coreless vibrating motor
JPH09271155A (ja) * 1996-03-29 1997-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円筒型振動発生モータの取付方法
TW351027B (en) * 1996-04-22 1999-01-21 Seiko Epson Corp Small motor and the motor drive
US5749737A (en) * 1996-07-02 1998-05-12 Molex Incorporated Motor mounting bracket for PCB
JPH10336938A (ja) * 1997-05-29 1998-12-18 Optec Dai Ichi Denko Co Ltd モータ実装用ホルダ
JPH11114496A (ja) * 1997-10-13 1999-04-27 Toyo Commun Equip Co Ltd 小型バイブレータの構造
JP3172487B2 (ja) * 1998-02-19 2001-06-04 三洋電機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2000295830A (ja) * 1999-04-06 2000-10-20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コアレスモータ
US6495939B1 (en) * 2000-06-05 2002-12-17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Coreless motor having tubular housing with end mounting portions
JP2004236458A (ja) * 2003-01-31 2004-08-19 Asahi Rubber:Kk バイブレーションモータフレーム、その製造方法及びバイブレーションモータ
JP2005198366A (ja) * 2003-12-26 2005-07-21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の固定構造
TW200524250A (en) * 2004-01-06 2005-07-16 Samsung Electro Mech Bar-type vibration motor
JP4651973B2 (ja) * 2004-06-02 2011-03-1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モータホルダ及び振動モータ組立体
TWM265089U (en) * 2004-10-07 2005-05-21 Wen-Shiung Liou Structure for hollow 3D puzzles made of cardboard
JPWO2006104003A1 (ja) * 2005-03-25 2008-09-04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214A (ja) * 1996-04-30 1997-11-11 Kokusai Electric Co Ltd バイブレータ保持構造
JP2005295752A (ja) 2004-04-02 2005-10-20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それを搭載した携帯通信機器
WO2006016518A1 (ja) 2004-08-10 2006-02-16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表面実装型振動モータ及び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168B1 (ko) * 2000-11-29 200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글라스 수납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40083A (en) 2007-10-16
KR20070102396A (ko) 2007-10-18
CN102624142B (zh) 2014-04-16
TWI399906B (zh) 2013-06-21
CN101056018A (zh) 2007-10-17
CN102624142A (zh) 2012-08-01
US7619335B2 (en) 2009-11-17
JP4891645B2 (ja) 2012-03-07
JP2007288896A (ja) 2007-11-01
CN101056018B (zh) 2012-07-25
US20070241626A1 (en)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767B1 (ko) 진동 모터
KR100533590B1 (ko) 모터와 모터 장착 휴대폰
US8421289B2 (en) Surface mount motor having holder with stopper portion for bracket
US8354764B2 (en) Surface mount motor
US9742240B2 (en) Vibrating compact motor with attached flexible circuit board for a mobile device
KR100798829B1 (ko) 모터
KR100996726B1 (ko) 진동 경보 기기, 휴대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오락 기기에 탑재되는 진동 모터 조립체
JP2006224068A (ja) 振動モータ
JP4566356B2 (ja) モータ
JP3875249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JP2002320357A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JP2001037147A (ja) モータ用端子
JP3737762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JP3737766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JP2008193791A (ja) 振動モータ
JP3737763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JP3737764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JP2003134721A (ja) 小型振動モータ
JP2000134855A (ja) 細筒型コアレスモータ
JP2004166348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