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124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124B1
KR101138124B1 KR1020100050759A KR20100050759A KR101138124B1 KR 101138124 B1 KR101138124 B1 KR 101138124B1 KR 1020100050759 A KR1020100050759 A KR 1020100050759A KR 20100050759 A KR20100050759 A KR 20100050759A KR 101138124 B1 KR101138124 B1 KR 101138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ing
plate
wiring board
conductive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815A (ko
Inventor
코스케 오제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하우징에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는 것으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계지 및 그 계지의 해제를 확실히 행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설치됨과 아울러 복수의 콘택트가 배열 배치된 하우징(11)과, 하우징(11)을 덮는 도전성 쉘(14)을 구비하고, 도전성 쉘(14)에 형성된 잠금부(20)가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계지한 상태에서, 하우징(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잠금 해제부(30)의 일방의 단부(32)가 도전성 쉘(14)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될 때, 잠금 해제부(30)가 이동하여, 그 타방의 단부가 잠금부(20)에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킨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 : Flexible Print Circuit)이나 플렉서블 평판 형상 케이블(FFC : Flexible Flat Cable) 등의 배선 판상 부재가 장착되는 상태에서, 그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를 다른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하기 위해, 장착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에 접촉 접속되는 콘택트(contact) 및 장착된 배선 판상 부재를 그 이탈을 저지하기 위하여 계지하는 잠금부(Lock Portion)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전자기기에 실장되는 비교적 소형인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나 플렉서블 평판 형상 케이블 등의 배선 판상 부재는, 각종의 전기 부품이 장착되는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이, 당해 주배선 기판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고정되는 커넥터 장치가 이용되어 행해지는 것이 많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즈음하여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는,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에 접촉 접속되는 도전성의 콘택트를 가지고 있어, 그 콘택트를 통해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를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부에 있어서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는,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설치된 것으로 되어 주배선 기판에 배치되는, 예를 들면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그 하우징 내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어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되고,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될 때, 그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대응하게 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복수의 콘택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impedance) 조정에 공헌하는 것으로서, 또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 대책을 위해, 즉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쉴드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하우징을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덮는 것으로서 배치되어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도전성 쉘(conductive shell)과, 하우징에 대해 회동(rotation) 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에 계합하여, 회동하게 할 수 있을 때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에 있어서의 작동부를 변위시키고, 이에 의해 복수의 콘택트에, 복수의 신호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된 상태, 혹은 복수의 신호 접속 단자부와의 접촉 접속으로부터 해방된 상태를 취하게 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가 구비된다. 그리고, 복수의 콘택트가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된 상태에 놓여짐으로써, 배선 판상 부재가 주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 상태에 놓여진다.
또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 중에는, 상술과 같은 하우징을 가지고, 상술과 같은 복수의 콘택트와 도전성 쉘은 구비되어 있지만,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는 구비되어 있지 않고,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될 때, 자동적으로, 하우징 내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되는 것도 있다. 이러한 것에 있어서는,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적정하게 삽입되는 것만으로, 배선 판상 부재가 주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 상태에 놓여진다.
이러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가 구비된 것 및 이러한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지 않은 것의 어느 경우에도,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가, 주배선 기판에 배치된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되어,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 콘택트가,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신호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되고, 이에 의해 배선 판상 부재가 주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 상태에 놓여질 때,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소망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 같은 사태가 회피되지 않으면 안 된다. 당연한 것이지만,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된 상태가 적정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그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가 있고, 하우징으로부터 소망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 같은 사태를 초래하지 않게 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상술과 같은 하우징을 가지고, 복수의 콘택트와 도전성 쉘과,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가 구비된 커넥터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서,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계합하여, 당해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을 저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가 종래에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상술과 같은 하우징을 가지고, 복수의 콘택트와 도전성 쉘은 구비되어 있지만,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는 구비되어 있지 않은 커넥터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서,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계합하여, 당해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을 저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도 종래에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쉴드 플레이트(shield plate)(11))의 일부에 시소와 같이 변위할 수가 있는 계지 수단(잠금부(lock portion)(11c))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계지 수단에는, 도전성 쉘의 내측을 향해 굴곡된 계지 단부(조부(爪部)(11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계지 수단은, 하우징(하우징(3))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 액츄에이터(액츄에이터(9))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선 판상 부재(FPC(21))가 하우징 내의 수용 공간(FPC 수용 공간(34))에 삽입된 후에, 액츄에이터의 제1의 방향에의 회동 조작을 하면,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제1의 콘택트(5), 제2의 콘택트(6))가,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캠(캠부(cam portion)(92, 93))에 의해 변위하게 할 수 있고,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계지 수단이,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캠(캠부(94))에 의해 변위하게 할 수 있고, 거기에 설치된 계지 단부를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절결(21a))에 계합시킨다. 이에 의해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이 저지된다.
그 후, 계지 수단에 설치된 계지 단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의 제1의 방향과는 역의 제2의 방향에의 회동 조작을 하면,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캠(캠부(94))이, 계지 수단에, 거기에 설치된 계지 단부의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상태를 취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진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하우징 본체(2))에 그에 대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전성 쉘(쉘(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성 쉘의 일부에 판스프링(plate spring) 형상의 계지 수단(족부(足部)(4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계지 수단의 선단부에 도전성 쉘의 내측을 향한 계지 돌기(계지 돌기(4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 도전성 쉘이, 그 전체가 하우징에 근접하게 되는, 하우징에 대해서 엎드린 위치를 취한 상태에서, 배선 판상 부재(FPC)가 하우징에 삽입부(삽입구 21)를 통해서 삽입되면,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콘택트(3)(상부 콘택트(31), 하부 콘택트 (32)))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신호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계지 수단에 설치된 계지 돌기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FPC 계합 구멍)에 계합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이 저지된다.
그 후, 계지 수단에 설치된 계지 돌기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한 상태에서,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 도전성 쉘이, 하우징에 대해서 기상한 위치를 취하도록 회동 조작되면, 도전성 쉘에 형성된 계지 수단도 도전성 쉘에 수반하여 변위하고, 거기에 설치된 계지 돌기가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진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8-52993호 공보(단락 0016, 0017, 0033~0043, 도 1, 도 5, 6)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8-192574호 공보(단락 0026, 0027, 0031~0034, 도 1~6)
상술과 같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 등의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을 저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계지 수단이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 액츄에이터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위하는 것으로 되고, 혹은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 도전성 쉘이 구비되고, 그 도전성 쉘의 일부에 계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계지 수단이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 액츄에이터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위하게 된 종래의 커넥터 장치의 경우에는,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의해 장치의 제조비용을 커지게 하는 요인이 된다. 거기에 더하여, 계지 수단에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 혹은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하게 할 때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를 하우징에 대해 회동시키는 조작이 불가결 하게 되고, 이러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소망하지 않는 스페이스를 커넥터 장치의 주위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도전성 쉘이, 하우징의 상면(주배선 기판에 대접(對接)하는 면에 대향하는 다른 면)과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측단면만을 덮는 것으로 되어 있어, 도전성 쉘의 복수의 콘택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impedance) 조정에의 공헌이 작게 되어 버리고, 또 도전성 쉘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noise)에 대한 쉴드(shield)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 도전성 쉘이 구비되고, 그 도전성 쉘의 일부에 계지 수단이 형성된 종래의 커넥터 장치의 경우에는, 도전성 쉘이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므로, 커넥터 장치의 주배선 기판에의 고정을 위해서 도전성 쉘을 이용하지 못하고, 별도, 커넥터 장치를 주배선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홀드 다운(hold down)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의 제조비용을 커지게 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 장치에 있어도, 도전성 쉘이, 하우징의 상면(주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면에 대향하는 다른 면)과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측단면만을 덮는 것으로 되어 있어, 도전성 쉘의 복수의 콘택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impedance) 조정에의 공헌이 작게 되어 버리고, 또 도전성 쉘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쉴드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나 플렉서블 평판 형상 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판상 부재의 다른 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용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을 덮는 도전성 쉘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 등이 불필요 하게 되고, 또 도전성 쉘을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 부품 점수를 비교적 적게 하여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도전성 쉘의 복수의 콘택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 조정에의 공헌을 크게 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도전성 쉘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쉴드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계지 및 그 계지의 해제를 확실히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이하, 본 발명이라고 함)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되어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열 배치되어,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되는 상태를 취하고, 배선 판상 부재가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부분 및 그 주위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표면의 대부분을 덮는 것으로서 배치되어, 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상태를 취하고, 하우징 내로 뻗어, 하우징에 배선 판상 부재가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되었을 때, 그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잠금부가 형성된 도전성 쉘과,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하우징에 있어서의 배선 기판에 대접(對接)하는 일단면부에 대향하는 타단면부측에 있어서 도전성 쉘의 외방(外方)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타단부가 잠금부에 계합하는 잠금 해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잠금부가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고, 잠금부에 의한 배선 판상 부재의 계지가 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부의 일단부가 도전성 쉘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押壓)될 때, 잠금 해제부가 이동하여, 그 타단부가 잠금부에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특히,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잠금부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그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와, 그 계지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암부(arm portion)를 구비하고 있어, 탄성 암부에 잠금 해제부의 타단부가 계합하는 상태를 취하고, 계지부가 하우징(housing)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한 상태에서, 잠금 해제부의 일단부가 도전성 쉘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될 때, 잠금 해제부의 타단부가 잠금부의 탄성 암부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여 계지부를 변위시키고, 그 계지부가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한다.
또한,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잠금부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그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와, 그 계지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암부를 구비한 상태에 있어서, 계지부에 있어서의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부가, 하우징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상술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배선 판상 부재가 배선 기판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거기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되면, 하우징 내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도전성 쉘에 형성된 잠금부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한다. 그리고, 잠금부가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한 상태에서,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에 있어서의 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일단면부에 대향하는 타단면부측에 있어서 도전성 쉘의 외방으로 돌출하는 일단부와 잠금부에 계합하는 타단부를 가진 잠금 해제부가, 그 일단부가 도전성 쉘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되는 상태에 놓여지면, 당해 잠금 해제부가 이동하여, 그 타단부가 잠금부에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잠금부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경우와 같이,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그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와 계지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암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그 탄성 암부에 잠금 해제부의 타단부가 계합하게 된다. 잠금부를 구성하는 계지부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경우와 같이, 그것에 있어서의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부가, 하우징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될 때, 자동적으로, 잠금부의 계지부가,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그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고,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을 저지한다.
그 후, 잠금부의 계지부가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한 상태에서, 잠금 해제부의 일단부가 도전성 쉘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되면, 잠금 해제부의 타단부가,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경우와 같이, 잠금부의 탄성 암부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여 계지부를 변위시키고, 그 계지부가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잠금 해제부의 일단부가 도전성 쉘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됨으로써, 하우징 내에 있어 잠금부가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하는 상태가 취해지고,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진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에 거기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해서의, 도전성 쉘에 형성된 잠금부에 의한 계지, 및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잠금 해제부에 의한 잠금부에 의한 계지의 해제를 이룰 때, 예를 들면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 하게 되고, 거기에 더하여 도전성 쉘을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할 필요가 없고, 하우징에 대해서 고정된 도전성 쉘을 커넥터 장치의 배선 기판에의 고정을 위해서 이용할 수가 있어, 별도, 커넥터 장치를 배선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불필요 하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부품 점수를 비교적 적게 하여 제조비용의 저감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배선 판상 부재를 하우징에 거기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해서의 도전성 쉘에 형성된 잠금부에 의한 계지를 행할 수가 있고, 그것과 아울러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해서의 잠금부에 의한 계지의 해제를, 하우징에 있어서의 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일단면부에 대향하는 타단면부측에 있어서 도전성 쉘의 외방으로 돌출하는 잠금 해제부의 일단부를 도전성 쉘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만으로 행할 수가 있으므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해서의 잠금부에 의한 계지를 지극히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해제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이러한 조작에 잠금 해제부의 주위에 소망하지 않는 스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는, 잠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에 대해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도전성 쉘이, 하우징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부분 및 그 주위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표면의 대부분을 덮는 것으로서 배치되므로, 도전성 쉘의 복수의 콘택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impedance) 조정에의 공헌을 크게 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도전성 쉘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쉴드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특히,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잠금부의 탄성 암부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계지부가,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한 상태에서, 잠금 해제부의 일단부가 도전성 쉘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될 때, 잠금 해제부의 타단부가 잠금부의 탄성 암부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여 계지부를 변위시키고, 그 계지부가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하므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해서의 잠금부에 의한 계지 및 잠금부에 의한 계지의 해제를 확실히 행할 수가 있다.
또,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잠금부의 탄성 암부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계지부가,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그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배선 판상 부재에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가, 거기에 계합하고 있는 계지부에,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를 향하는 방향의 힘을 작용시킬 때, 계지부에 있어서의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부가, 그것이 근접하게 된 하우징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부분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가 거기에 계합하고 있는 계지부에 작용시키는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를 향하는 방향의 힘이, 계지부를 통해 하우징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부분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힘이 잠금부의 탄성 암부에는 전달되지 않게 되어, 그 결과 탄성 암부가 소망하지 않게 변형하여 버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도전성 쉘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VI-V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있어서의 VII-V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있어서의 거기에 구비된 잠금부 및 잠금 해제부의 상호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있어서의 IX-IX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있어서의 거기에 구비된 잠금부 및 잠금 해제부의 상호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있어서의 거기에 구비된 잠금부 및 잠금 해제부의 상호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삽입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나타내는 겉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삽입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나타내는 뒤편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대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삽입 도중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대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의 삽입이 완료되고, 당해 일례에 구비된 잠금부의 계지부에 의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계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된 잠금부의 계지부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이하에 기술되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실시예>
도 1(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및 도 3(정면도)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커넥터 장치(1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1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에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나듯이, 그 정면측 단면부에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설치되어 있고, 판상 부재 삽입부(12)로부터 하우징(11)의 내부로 판상 부재 수용 공간이 뻗어 있다.
하우징(11)은, 예를 들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주배선 기판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10)의 전체가 주배선 기판에 장착된 것으로 된다. 그 때,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정면측 단면부와 배면측 단면부에 끼워진 한 쌍의 대향 단면부 중의 일방이 주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단면부로 되고 타방이 해방된 단면부로 된다. 이하에 대해서는, 주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하우징의 일단면부를 하방 단면부라고 하고, 거기에 대향하는 하우징의 타단면부를 상방 단면부라고 한다. 그리고,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예를 들면 후술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것으로서 하우징(11)에 삽입된다.
하우징(11)에는 그 내부에 각각이 탄성 도전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콘택트(13)가 하우징(11)의 긴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콘택트(13)는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 접속되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복수의 신호 접속 단자부, 접지 접속 단자부, 혹은 전원 접속 단자부에 접촉 접속되는 신호용, 접지용, 혹은 전원용 콘택트로서 이용된다. 복수의 콘택트(13)의 각각에는, 도 2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의 배면측 단면 부분으로부터 그 외부로 도출되는 접속 단자부(13a)가 설치되어 있고, 접속 단자부(13a)는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복수의 콘택트(13)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나는 하우징(11)의 배면측 단면 부분측으로부터 하우징(11)의 내부로 압압 삽입된다.
이들의 복수의 콘택트(13)는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가 복수의 콘택트(13)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된다.
또, 커넥터 장치(10)는, 하우징(11)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설치된 부분인 정면측 단면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 즉 상방 단면부, 좌측 단면부. 하방 단면부, 우측 단면부 및 배면측 단면부의 표면의 대부분을 덮는 도전성 쉘(14)을 구비하고 있다. 이 도전성 쉘(14)은 금속판이 가공 성형되어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콘택트(13)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impedance) 조정에 공헌하기 위해, 또 커넥터 장치(1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 대책을 위해, 즉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쉴드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서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은,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정면측 단면부 및 그 주위 부분과 상방 단면부의 배면측 단면부의 경계 부분의 일부 및 배면측 단면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13)가 외부로 도출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러한 표면을 덮고 있지 않지만,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상방 단면부의 배면측 단면부의 경계 부분의 일부 이외의 부분, 좌측 단면부 및 우측 단면부에 대해서는, 그러한 표면을 대략 전체적으로 덮고 있다. 또, 도전성 쉘(14)에는, 복수의 접지 접속 단자부(14a)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접지 접속부(14a)의 각각은, 하우징(11)이 배치되는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전성 쉘(14)이,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상방 단면부의 배면측 단면부의 경계 부분의 일부 이외의 부분, 좌측 단면부 및 우측 단면부의 각각의 표면을 대략 전체적으로 덮고, 거기에 설치된 복수의 접지 접속 단자부(14a)가,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됨으로써, 도전성 쉘(14)로부터 복수의 콘택트(13)의 각각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작게 되는 대략 균등한 것으로 되어, 도전성 쉘(14)의 복수의 콘택트(13)의 특성 임피던스 조정에의 공헌이 크게 되고, 또한 도전성 쉘(14)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쉴드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도전성 쉘(14)을 커넥터 장치(10)의 주배선 기판에의 고정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콘택트(13)의 특성 임피던스 조정이라는 것은, 복수의 콘택트(13)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를, 복수의 콘택트(13)가 각각 접촉 접속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의 특성 임피던스와 정합시키기 위한 조정이다.
그리고, 도전성 쉘(14)에는, 그 긴 방향인 좌우 방향의 양쪽 단부에 있어서 하우징(11)의 배면측 단면부의 표면을 덮는, 한 쌍의 좌측 배면부(15) 및 우측 배면부(16)를 서로 연결하는 띠모양 배면부(17)가, 하우징(11)의 상방 단면부의 표면을 덮는 상면부(18)로부터 떼어내진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4에 나타나듯이, 띠모양 배면부(17)로부터는, 복수의 접지용 콘택트(19)가, 각각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향하는 것으로 되어 하우징(11) 내로 뻗어 있다. 복수의 접지용 콘택트(19)의 각각은, 하우징(11) 내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트(13) 중의 하나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될 때, 그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지 접속부에 접촉 접속된다.
또, 도전성 쉘(14)에는, 도 5에 나타나듯이, 좌측 배면부(15)에 대향하는 부분에,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잠금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20)는, 하우징(11)의 하방 단면부의 표면을 덮는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에 있어서의 좌단부로부터, 일단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면부를 향해 뻗은 후 되접어 좌측 배면부(15)를 향해 뻗은 틀 모양체를 이루는 탄성 암부(22)와 탄성 암부(22)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계지부(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탄성 암부(22)와 계지부(23)는 도전성 쉘(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20)의 계지부(23)는, 탄성 암부(22)로부터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를 향해 일어선 돌기를 이루고 있고, 그 단면부를,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한 하우징(11)에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승 경사진 경사면(23a)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계지부(23)는, 그 경사면(23a)을 형성하는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되는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시킨다.
도 3에 있어서의 VI-V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6에 나타나듯이, 잠금부(20)의 계지부(23)는, 하우징(11) 내에 있어서, 그 경사면(23a)을 형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가장 상방부가, 하우징(11)의 일부에 근접함과 아울러, 그것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측의 단부(23b)가, 하우징(11)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설치된 부분에 근접하게 되는 위치를 취하게 된다.
또, 하우징(11)의 좌측 단면부를 덮는 도전성 쉘(14)의 좌측면부(24)에는,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면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설치된 슬릿(slit)에 삽입되는 삽입 계합 돌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1)에 대해서는, 도전성 쉘(14)에 형성된 잠금부(20)에 대응하는 부위에, 잠금 해제부(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 해제부(30)는,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되는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잠금부(20)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 해제부(30)는, 도 3에 있어서의 VII-VI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7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에 있어서의 배면측 단면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연결부(31)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1)는, 탄성을 가지게 되어, 도 7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요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잠금 해제부(30)의 전체가 그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도 7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져 있다.
이 잠금 해제부(30)는, 도 8에도 나타나듯이, 그 전체가 예를 들면 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대향 단부 중의 일방인 단부(32)가, 하우징(11) 내로부터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에 형성된 절결부(18a)를 통해서, 도전성 쉘(14)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또 한 쌍의 대향 단부 중의 타방인 단부(33)가, 하우징(11) 내에 있어서, 도전성 쉘(14)에 형성된 잠금부(20)의 암부(22)에 맞닿아 계합하고 있다. 따라서, 잠금 해제부(30)는,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인 단부(32)가,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주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하방 단면부에 대향하는 상방 단면부측, 즉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에 의해 덮인 하우징(11)의 상방 단면부측에 있어서, 도전성 쉘(14)의 외방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타단부인 단부(33)가 도전성 쉘(14)에 형성된 잠금부(20)에 계합하게 되어 있게 된다.
잠금 해제부(30)에 있어서의 단부(32)에는,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를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기(35)가,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 잠금 해제부(30)에 있어서의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의 내측으로 되는 부위에도, 한 쌍의 돌기(35)와 마찬가지인 한 쌍의 돌기(36)가 설치되어 있다(후술되는 도 10에 나타나 있음).
이러한 잠금 해제부(30)는, 그 단부(32)가 도전성 쉘(14)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되는 조작이 가해질 때, 그 전체가 단부(32)측으로부터 단부(33)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는 압압 이동을 일으키게 하여, 단부(33)가 계합하는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고, 또 그 단부(32)가 도전성 쉘(14)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되는 조작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단부(33)가 계합하는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의 복원 탄성 변형에 의해 그 전체가 단부(33)측으로부터 단부(32)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는 복원 이동을 일으킨다. 그 때, 잠금 해제부(30)의 압압 이동의 범위가 한 쌍의 돌기(35)가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에 그 외측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규제되고, 또 잠금 해제부(30)의 복원 이동의 범위가 한 쌍의 돌기(36)가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에 그 내측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
도 3에 있어서의 IX-IX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9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에 있어서는, 그 우측 배면부(16)에 대향하는 부분에도, 상술의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좌측 배면부(15)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잠금부(2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잠금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우측 배면부(16)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잠금부(20)도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에 있어서의 우단부로부터, 일단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면부를 향해 뻗은 후 되접어 우측 배면부(16)을 향해 뻗은 틀 모양체를 이루는 탄성 암부(22)와 탄성 암부(22)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계지부(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탄성 암부(22)와 계지부(23)는 도전성 쉘(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 도 9에 대해서는, 계지부(23)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는, 하우징(11)의 일부(11a)에 탄성 맞닿음 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가 하우징(11)의 일부(11a)에 탄성 맞닿음 할 수가 있게 되는 점에 관해서는,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좌측 배면부(15)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마찬가지로 도 9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에 있어서의,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우측 배면부(16)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잠금부(20)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술의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좌측 배면부(15)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잠금부(20)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된 잠금 해제부(30)와 같은 잠금 해제부(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 해제부(30)도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되는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잠금부(20)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우측 배면부(16)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잠금부(20)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된 잠금 해제부(30)도 하우징(11)에 있어서의 배면측 단면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연결부(31)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31)도 탄성을 가지게 되어, 도 9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요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잠금 해제부(30)의 전체가 그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도 9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져 있다.
또,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우측 배면부(16)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잠금부(20)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된 잠금 해제부(30)도 그 전체가 예를 들면 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대향 단부 중의 일방인 단부(32)가, 하우징(11) 내로부터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또 한 쌍의 대향 단부 중의 타방인 단부(33)가, 하우징(11) 내에 있어서, 도전성 쉘(14)에 형성된 잠금부(20)의 암부(22)에 맞닿아 계합하고 있다. 또한,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우측 배면부(16)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잠금부(20)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된 잠금 해제부(30)에 있어서의 단부(32)에는,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를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기(35)가,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잠금 해제부(30)에 있어서의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의 내측으로 되는 부위에, 한 쌍의 돌기(35)와 마찬가지인 한 쌍의 돌기(36)가 설치되어 있다(도 9에 대해서는, 하나의 돌기(35) 및 하나의 돌기(36)만이 나타나 있음).
그리고, 이러한 잠금 해제부(30)도 그 단부(32)가 도전성 쉘(14)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되는 조작이 가해질 때, 그 전체가 단부(32)측으로부터 단부(33)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는 압압 이동을 일으키게 하여, 단부(33)가 계합하는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고, 또 그 단부(32)가 도전성 쉘(14)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되는 조작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단부(33)가 계합하는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의 복원 탄성 변형에 의해 그 전체가 단부(33)측으로부터 단부(32)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는 복원 이동을 일으킨다. 그 때, 잠금 해제부(30)의 압압 이동의 범위가 한 쌍의 돌기(35)가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에 그 외측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규제되고, 또 잠금 해제부(30)의 복원 이동의 범위가 한 쌍의 돌기(36)가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에 그 내측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는, 그 하우징(11) 및 그것을 덮는 도전성 쉘(14)의 각각의 긴 방향인 좌우 방향의 양쪽 단부에 한 쌍의 잠금부(20)와 한 쌍의 잠금 해제부(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좌측 단부에 있어서의, 커넥터 장치(10)에 구비된 잠금부(20)와 잠금 해제부(30)의 상호 배치 관계를 나타낸다. 잠금 해제부(30)는, 그 단부(32)가 도전성 쉘(14)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되는 조작이 가해질 때, 그 전체가 단부(32)측으로부터 단부(33)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는 압압 이동을 일으키지만, 도 10은 잠금 해제부(30)가 압압 이동을 일으키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1은 잠금 해제부(30)가 압압 이동을 일으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대해서는, 잠금 해제부(30)의 단부(33)는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에 맞닿아 계합하고 있지만, 잠금 해제부(30)의 단부(32)에 도전성 쉘(14) 내를 향하는 방향의 압압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고,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았다. 그에 대해, 도 11에 대해서는, 잠금 해제부(30)의 단부(33)가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에 맞닿아 계합한 상태에서, 잠금 해제부(30)의 단부(32)에 도전성 쉘(14) 내를 향하는 방향의 압압력이 가해지고 있고, 이에 의해 잠금 해제부(30)의 단부(33)가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를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측으로 압압하여, 탄성 암부(22)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고 있다. 이 때,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는, 그것이 지지하는 계지부(23)를, 도 10에 나타나는 위치로부터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에 가까워진 위치로 변위시키고 있다.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의, 커넥터 장치(10)에 구비된 잠금부(20)와 잠금 해제부(30)의 상호 배치 관계에 대해서도 상술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12 및 도 13은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되는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의 일례인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앞쪽의 면에는 그 일단부에 접지 접속부(41)가 설치되어 있고, 또 도 13에 나타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뒤쪽의 면에는 그 일단부에 각각이 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42)가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앞쪽의 면 및 뒤쪽의 면을 가진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는, 뒤쪽의 면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4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 테두리부에 계합부(43) 및 계합부(44)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한 쌍의 측 테두리부의 일방에 있어서의 계합부(43)보다 선단측의 부분이 선단 평판부(45)로 됨과 아울러, 한 쌍의 측 테두리부의 타방에 있어서의 계합부(44)보다 선단측의 부분이 선단 평판부(46)로 되어 있다.
한 쌍의 계합부(43) 및 계합부(44)는, 각각이 절결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들의 절결에 대신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한 쌍의 측 테두리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계합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도 좋다. 그리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해서는, 앞쪽의 면에 배치된 접지 접속부(41), 뒤쪽의 면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42), 및 한 쌍의 계합부(43) 및 계합부(44) 또는 한 쌍의 계합 구멍이 형성된 부분을 남기고, 이들 이외의 부분이 커버 필름(cover film)(47)에 의해 덮여 있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에 있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는, 접지 접속부(41)가 설치됨과 아울러 커버 필름(47)에 의해 덮인 앞쪽의 면이 나타나 있다.
도 14에 나타나듯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될 때는, 먼저, 도 15에 나타나듯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좌측 단부에 있어서, 잠금부(20)의 계지부(23)에 있어서의 경사면(23a)을 형성하는 부분이,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계합부(43)보다 선단측의 선단 평판부(45)에,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측으로부터 맞닿는다. 그 때, 계지부(23)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선단 평판부(45)에 의해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를 향해 압압되고, 잠금부(20)에 있어서의 탄성 암부(22)의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에 가까워지는 위치로 변위하게 할 수 있다.
또,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도, 잠금부(20)의 계지부(23)에 있어서의 경사면(23a)을 형성하는 부분이,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계합부(44)보다 선단측의 선단 평판부(46)에,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측으로부터 맞닿는다. 그리고, 계지부(23)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선단 평판부(46)에 의해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를 향해 압압되고, 잠금부(20)에 있어서의 탄성 암부(22)의 탄성 변형을 수반하여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에 가까워지는 위치로 변위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한층 더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되면, 도 16에 나타나듯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좌측 단부에 있어서, 잠금부(20)의 계지부(23)에 있어서의 경사면(23a)을 형성하는 부분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선단 평판부(45)로부터 벗어나고, 잠금부(20)에 있어서의 탄성 암부(22)의 탄성 복원에 의해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원래의 위치)로 변위하게 할 수 있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계합부(43)에 계합하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계지한다.
또,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도, 잠금부(20)의 계지부(23)에 있어서의 경사면(23a)을 형성하는 부분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선단 평판부(46)로부터 벗어나고, 잠금부(20)에 있어서의 탄성 암부(22)의 탄성 복원에 의해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원래의 위치)로 변위하게 할 수 있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계합부(44)에 계합하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계지한다.
이 때,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은, 하우징(11)에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의 삽입을 완료하여, 정규의 삽입 위치를 취하고 있어, 도전성 쉘(14)에 형성된 한 쌍의 잠금부(20)에 의해 계지되어,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진다. 즉,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은,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적정하게 삽입되는 것만으로, 도전성 쉘(14)에 형성된 한 쌍의 잠금부(20)에 의해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때, 각 잠금부(20)의 계지부(23)에 있어서의 경사면(23a)을 형성하는 부분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선단 평판부(45) 및 선단 평판부(46)의 각각으로부터 벗어남에 의해 탄성 복원하는 각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는, 하우징(11)의 일부분(11a)(도 9 참조)에 탄성 맞닿아 클릭음(click sound)을 발생한다. 이러한 탄성 암부(22)가 하우징(11)의 일부분(11a)에 탄성 맞닿아 발생하는 클릭음에 의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하우징(11)에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의 삽입을 완료하여 정규의 삽입 위치를 취하고, 잠금부(20)에 의해 계지된 상태에 놓여지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하우징(11)에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의 삽입을 완료하여, 정규의 삽입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14)의 띠모양 배면부(17)로부터 하우징(11) 내로 뻗은 복수의 접지용 콘택트(19)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앞쪽의 면에 배치된 접지 접속부(41)에, 도전성 쉘(14)의 상면부(18)측으로부터 탄성 맞닿아 접촉 접속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부(41)가, 복수의 접지용 콘택트(19)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
또, 이와 아울러 하우징(11) 내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3)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뒤쪽의 면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42)에,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측으로부터 각각 탄성 맞닿아 접촉 접속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42)가, 복수의 콘택트(13)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넥터 장치(10)의 외부로부터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하우징(11)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의 힘이 가해져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설치된 계합부(43) 및 계합부(44)의 각각이, 거기에 계합하고 있는 잠금부(20)의 계지부(23)에, 하우징(11)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을 향한 방향의 힘을 작용시킬 때에 있어서는, 계지부(23)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측의 단부(23b)가, 그것이 근접하게 된 하우징(11)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설치된 부분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설치된 계합부(43) 및 계합부(44)의 각각이 거기에 계합하고 있는 계지부(23)에 작용시키는 판상 부재 삽입부(12)을 향한 방향의 힘이, 계지부(23)를 통해 하우징(11)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설치된 부분에 의해 받아들여져,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에는 전달되지 않게 되어, 그 결과 탄성 암부(22)가 소망하지 않게 변형하여 버리는 사태가 회피된다.
그 후, 도 17에 나타나듯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의 각각에 있어서, 잠금 해제부(30)의 단부(32)가, 그에 대한 조작에 의해, 도전성 쉘(14)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되면, 잠금 해제부(30)의 전체가 그것과 하우징(11)에 있어서의 배면측 단면부를 형성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31)의 요동을 수반하고, 경사진 상태를 가지고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를 향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잠금 해제부(30)의 단부(33)가,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를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를 향해 압압하여, 탄성 암부(22)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여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킨다.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켜지는 탄성 암부(22)는, 그것이 지지하는 잠금부(20)의 계지부(23)를, 도전성 쉘(14)의 하면부(21)에 가까워지는 위치로 변위시킨다. 그 결과, 계지부(23)가, 그 경사면(23a)을 형성하는 부분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계합부(43) 및 계합부(44)의 각각과의 계합을 해제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그에 대한 잠금부(20)에 의한 계지로부터 해방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하우징(11)으로부터 적정하게 이탈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진다.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한 쌍의 계합부(43) 및 계합부(44)가, 한 쌍의 노치 부분에 대신하여, 한 쌍의 계합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에도, 상술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한 잠금부(20)에 의한 계지, 및 잠금 해제부(30)를 이용한 잠금부(20)에 의한 계지의 해제를 한다.
상술과 같은 커넥터 장치(10)가 이용되어 그것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삽입되는 상태에 있어서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부(41)가, 복수의 접지용 콘택트(19)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에 연결되고, 또한 당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42)가, 복수의 콘택트(13)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됨과 아울러,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한 쌍의 잠금부(20)에 의해 적정하게 계지되는 상태가 얻어진다.
또,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하우징(11)에 거기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해서의, 도전성 쉘(14)에 형성된 한 쌍의 잠금부(20)에 의한 계지, 및 하우징(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잠금 해제부(30)를 이용한 잠금부(20)에 의한 계지의 해제를 이룰 때, 예를 들면 하우징(1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 하게 되고, 거기에 더하여 도전성 쉘(14)을 하우징(1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할 필요가 없고, 하우징(11)에 대해서 고정된 도전성 쉘(14)을 커넥터 장치(10)의 주배선 기판에의 고정을 위해서 이용할 수가 있어, 별도, 커넥터 장치(10)를 주배선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불필요 하게 된다. 그 결과, 커넥터 장치(1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부품 점수를 비교적 적게 하여 제조비용의 저감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다.
거기에 더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해서의 한 쌍의 잠금부(20)에 의한 계지의 해제를,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상방 단면부측에 있어서 도전성 쉘(14)의 외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잠금 해제부(30)의 각각에 있어서의 단부(32)를 도전성 쉘(14)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만으로 행할 수가 있으므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해서의 한 쌍의 잠금부(20)에 의한 계지를 지극히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해제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이러한 조작에 각 잠금 해제부(30)의 주위에 소망하지 않는 스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 장치(10)에 대해서는, 한 쌍의 잠금부(20)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우징(11)에 대해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도전성 쉘(14)이, 하우징(11)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설치된 부분 및 그 주위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표면의 대부분을 덮는 것으로서 배치되므로, 도전성 쉘(14)의 복수의 콘택트(13)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impedance) 조정에의 공헌을 크게 할 수가 있고, 또한 도전성 쉘(14)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쉴드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장치(1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보면, 한 쌍의 잠금부(20)의 각각에 있어서의 탄성 암부(22)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계지부(23)가,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설치된 계합부(43) 및 계합부(44)의 각각에 계합한 상태에서, 한 쌍의 잠금 해제부(30)의 각각에 있어서의 단부(32)가 도전성 쉘(14)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될 때, 각 잠금 해제부(30)의 타단부(33)가 대응하는 잠금부(20)의 탄성 암부(22)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여 계지부(23)를 변위시키고, 그 계지부(23)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설치된 계합부(43) 및 계합부(44)의 각각과의 계합을 해제하므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해서의 한 쌍의 잠금부(20)에 의한 계지 및 한 쌍의 잠금부(20)에 의한 계지의 해제가 확실히 행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용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을 덮는 도전성 쉘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부품 점수를 비교적 적게 하여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도전성 쉘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쉴드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계지 및 그 계지의 해제를 확실히 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0 커넥터 장치 11 하우징
12 판상 부재 삽입부
13 콘택트
14 도전성 쉘(conductive shell)
15 (도전성 쉘(14)의) 좌측 배면부
16 (도전성 쉘(14)의) 우측 배면부
17 (도전성 쉘(14)의) 띠모양 배면부
18 (도전성 쉘(14)의) 상면부
19 접지용 콘택트
20 잠금부(lock portion)
21 (도전성 쉘(14)의) 하면부
22 탄성 암부
23 계지부 23a 경사면
3b (계지부(23)의) 단부
30 잠금 해제부 31 연결부
32, 33 (잠금 해제부(30)의) 단부
35, 36 돌기
40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
41 접지 접속부 42 접속 단자부
43, 44 계합부
45, 46 선단 평판부
47 커버 필름(cover film)

Claims (10)

  1.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되어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 내에 배열 배치되어, 상기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되는 상태를 취하고, 배선 판상 부재가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부분 및 그 주위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표면의 대부분을 덮는 것으로서 배치되어, 상기 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상태를 취하고, 상기 하우징 내로 뻗어 당해 하우징에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잠금부가 형성된 도전성 쉘과,
    상기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일단면부에 대향하는 타단면부측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쉘의 외측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타단부가 상기 잠금부에 계합하는 잠금 해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부가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고, 당해 잠금부에 의한 상기 배선 판상 부재의 계지가 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 해제부의 일단부가 상기 도전성 쉘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될 때, 상기 잠금 해제부가 이동하여, 당해 잠금 해제부의 타단부가 상기 잠금부에 상기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 당해 하우징에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하여 당해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와, 당해 계지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암부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 암부에 상기 잠금 해제부의 타단부가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계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 해제부의 일단부가 상기 도전성 쉘 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압될 때, 상기 잠금 해제부의 타단부가 상기 잠금부의 탄성 암부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여 상기 계지부를 변위시키고, 당해 계지부가 상기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계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할 때, 상기 잠금부의 탄성 암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계지부가, 상기 하우징에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한 배선 판상 부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승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고, 당해 경사면을 형성하는 부분을 상기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계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일단면부에 대향하는 타단면부측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쉘의 외방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상기 도전성 쉘의 외면에 맞닿는 상태를 취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일단면부에 대향하는 타단면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도전성 쉘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도전성 쉘의 내면에 맞닿는 상태를 취하는 돌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양단 부분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부가 상기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양단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쉘이, 상기 잠금부에 더하여, 상기 하우징에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부에 접촉 접속되는 접지 콘택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00050759A 2009-08-10 2010-05-31 커넥터 장치 KR101138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5601 2009-08-10
JP2009185601A JP4915879B2 (ja) 2009-08-10 2009-08-10 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815A KR20110016815A (ko) 2011-02-18
KR101138124B1 true KR101138124B1 (ko) 2012-04-23

Family

ID=4303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759A KR101138124B1 (ko) 2009-08-10 2010-05-31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50473B1 (ko)
EP (1) EP2287976B1 (ko)
JP (1) JP4915879B2 (ko)
KR (1) KR101138124B1 (ko)
CN (1) CN101997198B (ko)
TW (1) TWI3880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08B1 (ko) * 2012-06-18 2013-08-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2770B2 (ja) * 2009-12-04 2012-07-2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152221B2 (ja) * 2010-02-19 2013-02-2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195863B2 (ja) 2010-10-12 2013-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093340B2 (ja) * 2010-12-27 2012-12-1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066614B2 (ja) * 2011-01-28 2012-11-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04319B2 (ja) * 2011-02-14 2015-04-2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088426B2 (ja) * 2011-02-22 2012-12-0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207004B2 (ja) * 2011-02-22 2013-06-1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344059B2 (ja) * 2011-03-18 2013-11-2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51099B2 (ja) * 2011-03-23 2014-07-16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ロック機能付きコネクタ
JP5729553B2 (ja) * 2011-03-23 2015-06-03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741828B2 (ja) * 2011-04-13 2015-07-01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772257B2 (ja) * 2011-06-08 2015-09-0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20568B2 (ja) * 2011-06-22 2016-05-18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825472B2 (ja) * 2011-06-24 2015-12-0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102842798B (zh) * 2011-06-24 2014-11-12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器
JP5510433B2 (ja) * 2011-06-29 2014-06-0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235416B1 (ko) * 2011-08-04 2013-02-22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EP2562880A1 (en) * 2011-08-22 2013-02-27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103001064B (zh) * 2011-09-15 2015-02-11 第一精工株式会社 连接装置
TWM429189U (en) 2011-10-14 2012-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899847B2 (ja) * 2011-11-15 2016-04-0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779078B2 (ja) * 2011-11-28 2015-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29228B2 (ja) * 2012-01-24 2016-06-0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回路装置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5842677B2 (ja) * 2012-03-08 2016-01-13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949081B2 (ja) * 2012-04-17 2016-07-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49821B2 (ja) * 2012-04-17 2014-07-1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01347B2 (ja) * 2012-05-16 2014-10-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24162B2 (ja) * 2012-07-04 2016-05-25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2769233A (zh) * 2012-07-25 2012-11-07 泰强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fpc/ffc连接器
SG196703A1 (en) * 2012-08-03 2014-02-13 Fci Connectors Singapore Pte Shielded flexible circuit connector
US8851918B2 (en) 2012-08-27 2014-10-07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utomatic lock member
KR101359745B1 (ko) * 2012-08-30 2014-02-06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EP2717387B1 (en) 2012-10-08 2018-08-01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6002620B2 (ja) * 2013-04-15 2016-10-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6081308B2 (ja) * 2013-07-24 2017-02-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91335B2 (ja) * 2014-04-23 2018-03-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282565B2 (ja) * 2014-09-22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809343B1 (ja) * 2014-10-30 2015-1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5210410B3 (de) 2015-06-08 2016-05-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rührgeschützte Steckverbindung
JP6689063B2 (ja) * 2015-12-09 2020-04-2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266627B1 (ko) * 2016-03-10 2021-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WO2018225527A1 (ja) * 2017-06-06 2018-12-13 日本端子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CN206907995U (zh) * 2017-07-13 2018-01-19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器结构
CN107404023A (zh) * 2017-08-07 2017-11-28 惠州市奥罗拉科技有限公司 一种自锁式fpc连接器
CN109950727B (zh) * 2019-04-02 2024-03-15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一种插座连接器及其组件
CN111342250A (zh) * 2020-04-02 2020-06-26 苏州祥龙嘉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下沉式fpc连接器安装结构
TWM608614U (zh) * 2020-11-09 2021-03-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按壓解鎖結構之易鎖連接器
CN113206407A (zh) * 2021-04-13 2021-08-03 富鼎精密工业(郑州)有限公司 电连接器
TW202315239A (zh) * 2021-09-22 2023-04-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按壓解鎖結構之易鎖連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6659A (ja) 1996-10-09 1998-05-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JPH11512222A (ja) * 1995-08-24 1999-10-19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ーツ,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リボン・ケーブル・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3430Y2 (ja) * 1993-09-09 1999-04-12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Fpc/ffc用コネクタ
JPH09293571A (ja) * 1996-04-26 1997-11-11 Kiyousera Elco Kk Fpc/ffc用コネクタ
JP3451393B2 (ja) * 1998-01-30 2003-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US6155868A (en) * 1999-08-24 2000-12-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DE10015044C1 (de) * 2000-03-25 2001-11-08 Hoelzle Dieter Tech Projekte Steckverbinder für Flachbandleitungen
CA2420168C (en) * 2001-05-25 2007-08-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or
JP3768170B2 (ja) * 2002-05-09 2006-04-19 山一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065966B2 (ja) * 2003-06-06 2008-03-26 大宏電機株式会社 薄型コネクタ
TWM250341U (en) * 2003-09-05 2004-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028525B2 (ja) * 2004-06-25 2007-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1879259A1 (en) * 2005-04-14 2008-01-16 Taiko Denki Co, Ltd Locking structure of flexible board
JP4199272B2 (ja) *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53436B2 (ja) * 2007-02-08 2009-10-28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2222A (ja) * 1995-08-24 1999-10-19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ーツ,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リボン・ケーブル・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JPH10116659A (ja) 1996-10-09 1998-05-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08B1 (ko) * 2012-06-18 2013-08-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40246A (ja) 2011-02-24
KR20110016815A (ko) 2011-02-18
US7850473B1 (en) 2010-12-14
CN101997198B (zh) 2014-06-25
EP2287976B1 (en) 2014-09-03
EP2287976A1 (en) 2011-02-23
JP4915879B2 (ja) 2012-04-11
CN101997198A (zh) 2011-03-30
TW201117479A (en) 2011-05-16
TWI388089B (zh) 201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124B1 (ko) 커넥터 장치
KR101102170B1 (ko) 커넥터 장치
KR101297967B1 (ko) 커넥터 장치
KR101282491B1 (ko) 커넥터 장치
KR101192903B1 (ko) 커넥터 장치
JP5704319B2 (ja) コネクタ装置
JP5920568B2 (ja) コネクタ装置
JP5741828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2022848A (ja) コネクタ装置
JP2011086428A (ja) コネクタ装置
JP2011204509A (ja) コネクタ装置
JP5811341B2 (ja) コネクタ装置
JP5825472B2 (ja) コネクタ装置
JP5846429B2 (ja) コネクタ装置
JP6281698B2 (ja) コネクタ装置
JP6380744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3045541A (ja) コネクタ装置
JP2007280785A (ja) コネクタ
TWI474565B (zh) Conne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