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491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491B1
KR101282491B1 KR1020120009547A KR20120009547A KR101282491B1 KR 101282491 B1 KR101282491 B1 KR 101282491B1 KR 1020120009547 A KR1020120009547 A KR 1020120009547A KR 20120009547 A KR20120009547 A KR 20120009547A KR 101282491 B1 KR101282491 B1 KR 101282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locking
wiring board
release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414A (ko
Inventor
요시노부 시마다
코스케 오제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6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전체의 소형화 및 구성 부재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는 구조를 가지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 상태 및 계지 해제 상태에 선택적으로 둘 수가 있는 것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하우징(11)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14)에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에 계합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26)와, 계지부(26)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 조작부(1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해제 조작부(15)가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의 대부분을 덮는 것으로 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 : Flexible Printed Circuit)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FFC : Flexible Flat Cable) 등의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를 솔리드(solid) 배선 기판 등으로 되는 다른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솔리드 배선 기판 등에 장착되어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이용되고,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그 이탈을 저지하기 위하여 계합하는 계지 수단 및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 접속되는 콘택트(contac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전자기기에 실장되는 비교적 소형인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 등의 배선 판상 부재는, 각종의 전기 부품이 장착되는 솔리드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이, 당해 솔리드 배선 기판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고정되는 커넥터 장치가 이용되어 행해지는 것이 많다. 이러한 배선 판상 부재의 솔리드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에 즈음하여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는,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에 접촉 접속되는 도전성의 콘택트를 가지고 있어, 그 콘택트를 통해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단자부를 솔리드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의 솔리드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는,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설치된 것으로 되어 솔리드 배선 기판에 배치되는, 예를 들면,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을 가진 것으로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고,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그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대응하는 것이 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복수의 콘택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impedance) 조정에 공헌하는 것으로서, 또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 대책을 위해, 즉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쉴드(shield)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하우징을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덮는 것으로서 배치되어 솔리드 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도전성 쉘과,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에 계합하여 설치되고, 회동시켜지게 될 때, 복수의 콘택트에,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된 상태, 혹은 복수의 접속 단자부와의 접촉 접속으로부터 해방된 상태를 취하게 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하에서, 복수의 콘택트가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된 상태에 놓여짐으로써 배선 판상 부재가 솔리드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 상태에 놓여진다.
또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배선 판상 부재의 솔리드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 중에는, 상술과 같은 하우징을 가지고, 상술과 같은 복수의 콘택트 및 도전성 쉘을 구비하고는 있지만,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하우징 내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되는 것도 있다. 이러한 것에 있어서는,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적정하게 삽입되는 것만으로 배선 판상 부재가 솔리드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 상태에 놓여진다.
이러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것 및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것의 어느 경우에도,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가, 솔리드 배선 기판에 배치된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되어, 하우징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되고, 이에 의해 배선 판상 부재가 솔리드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 상태에 놓여짐에 즈음하여,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소망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 같은 사태가 회피되지 않으면 안 된다. 당연한 일이지만 하우징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된 상태가 적정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그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가 있고, 하우징으로부터 소망하지 않게 발탈(拔脫)되는 것 같은 사태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전술과 같은 하우징(housing)을 가지고, 복수의 콘택트와 도전성 쉘과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서, 하우징 내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계합하고, 당해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가 종래에 제안되어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전술과 같은 하우징을 가지고, 복수의 콘택트와 도전성 쉘을 구비하고는 있지만,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커넥터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서, 하우징 내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계합하고, 당해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도 종래에 제안되어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쉴드 플레이트(shield plate)(11))의 일부에 시소(seesaw)와 같이 변위할 수가 있는 계지 수단(잠금부(11c))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계지 수단에는 도전성 쉘의 내측을 향해 굴곡된 계지 단부(조부(claw portion)(11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계지 수단은 하우징(하우징(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 액츄에이터(액츄에이터(9))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위한다.
이러한 하에서, 배선 판상 부재(FPC(21))가 하우징 내의 수용 공간(FPC 수용 공간(34))에 삽입된 후에, 액츄에이터의 제1의 방향으로의 회동 조작을 하면,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제1 콘택트(5), 제2 콘택트(6))가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캠(캠부(cam portion)(92, 93))에 의해 변위시켜지게 되고,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계지 수단이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캠(캠부(94))에 의해 변위시켜지게 되고, 그것에 설치된 계지 단부를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절결(切缺)(21a))에 계합시킨다. 이에 의해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계지 수단에 의해 계지되어,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진다.
그 후, 계지 수단에 설치된 계지 단부가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한 하에서, 액츄에이터의 제1의 방향과는 역의 제 2의 방향으로의 회동 조작을 하면,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캠(캠부(94))이, 계지 수단에, 그것에 설치된 계지 단부의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상태를 취하는 것을 허락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발탈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진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하우징 본체 (2))에, 그것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전성 쉘(shell)(쉘(4))이 구비되어있다. 그리고, 도전성 쉘의 일부에 판 스프링 모양의 계지 수단(족부(足部)(4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계지 수단의 선단부에 도전성 쉘의 내측을 향한 계지 돌기(계지 돌기(4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 도전성 쉘이, 그 전체가 하우징에 근접하게 되는, 하우징에 대해서 엎드린 위치를 취하는 하에서, 배선 판상 부재(FPC)가 하우징 내에 삽입부(삽입구 21)를 통해서 삽입되면,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콘택트(3)(상부 콘택트(31), 하부 콘택트(32)))가,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계지 수단에 설치된 계지 돌기가,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FPC 계지구멍(2))에 계합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계지 수단에 의해 계지되어,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진다.
그 후, 계지 수단에 설치된 계지 돌기가,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한 하에서,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 도전성 쉘이 하우징에 대해서 기상한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회동 조작되면, 도전성 쉘에 형성된 계지 수단도 도전성 쉘에 수반하여 변위하고, 그것에 설치된 계지 돌기가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발탈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진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8-52993호 공보(단락 0016, 0017, 0033~0043, 도 1, 5, 6) 일본국 특허공개 2008-192574호 공보(단락 0026, 0027, 0031~0034, 도 1~6)
상술과 같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 등의 배선 판상 부재의 솔리드 배선 기판 등의 다른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하우징 내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계지 수단이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 액츄에이터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위하는 것으로 되고, 혹은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 도전성 쉘이 구비되고, 그 도전성 쉘의 일부에 계지 수단이 형성되어있다.
이러한, 계지 수단이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 액츄에이터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위하는 것으로 된 종래의 커넥터 장치의 경우에는, 계지 수단과 액츄에이터를 개별적으로 형성된 별도의 부재로서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그것이 커넥터 장치의 전체의 소형화에 대한 장해와 구성 부재수의 증가를 초래하여 제조비용을 커지게 하는 요인으로 된다. 이에 더하여 계지 수단에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 혹은 계지 해제 상태를 취하게 하는데 즈음해서는, 액츄에이터를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조작이 불가결하게 되고, 이러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소망하지 않는 공간을 커넥터 장치의 주위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 도전성 쉘이 구비되고, 그 도전성 쉘의 일부에 계지 수단이 형성된 종래의 커넥터 장치의 경우에는, 도전성 쉘이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므로, 커넥터 장치의 솔리드 배선 기판 등에의 고정을 위해서 도전성 쉘을 이용하지 못하고, 별도로 커넥터 장치를 솔리드 배선 기판 등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홀드다운(hold down)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그것이 커넥터 장치의 전체의 소형화에 대한 장해와 구성 부재수의 증가를 초래하여 제조비용을 커지게 하는 요인으로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 등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의 다른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에 이용되고,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되어 다른 배선 기판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구성 부재수를 저감할 수가 있는 구조를 가지고,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는 계지 상태, 및 그 계지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하우징으로부터의 의도적인 발탈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에 선택적으로 둘 수가 있고, 또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 상태로부터 해방된 상태에 두기 위한 조작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충분하게 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청구항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이하, 본 발명이라고 함)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상호 대향측 단부의 일방측에 있어서 개구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되어 배선 기판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각각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접촉부와 하우징의 상호 대향측 단부의 타방측으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도출되는 접속부를 구비하여 배열 배치되고, 배선 판상 부재가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복수의 접촉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고,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계합하여 그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 및 계지부의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해제 조작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쉘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하에서, 계지부가,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의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단부로부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으로 굴곡하여 뻗어 하우징의 내부에 이르고, 선단 부분에 그로부터 돌출하여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합 상태와 비계합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기 위해 변위시켜지게 되는 돌기부가 배치되어 형성되고, 또 해제 조작부가,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계지부를 수반하여 변위시켜지게 되는 것으로서 배치된다.
상술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접속 단자부가 설치된 배선 판상 부재가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되면, 이에 의해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접촉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도전성 쉘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계지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계합하고, 당해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한다. 계지부는,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의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단부로부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으로 굴곡하여 뻗어 하우징의 내부에 이르고, 그 선단 부분에 그로부터 돌출하여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합 상태와 비계합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기 위해 변위시켜지게 되는 돌기부가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고,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는데 즈음해서는, 그 선단 부분에 배치된 돌기부에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합 상태를 취하게 한다. 그 결과,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계지부에 의해 계지되어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지고,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이 구비하는 복수의 접촉부가, 당해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그 후, 계지부와 함께 도전성 쉘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해제 조작부에 계지부의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이 가해진다. 해제 조작부는,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계지부를 수반하여 변위시켜지게 되는 것으로서 배치되어 있어, 그것에 가해지는 계지부의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은, 예를 들면, 해제 조작부를 하우징을 향해 변위시키는 압압 조작으로 되고, 이러한 조작이 가해지면, 계지부를 수반하여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면,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이에 의해 계지부의 선단 부분에 배치된 돌기부에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비계합 상태를 취하게 한다. 그 결과, 계지부가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합 상태를 해제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배선 판상 부재를 의도적으로 발탈시킬 수가 있는 상태가 얻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각 부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계지부 및 해제 조작부가,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것과 같이, 각각이 탄성을 가진 요동 가능 부분을 이룬다. 그리고, 계지부가,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것과 같이, 그것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부에 돌기부가 배치되고, 가상 요동 지축부(支軸部)를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두는 것으로 되고, 또 해제 조작부가,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것과 같이, 가상 요동 지축부를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둔다. 또한, 계지부가 구비하는 돌기부가,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것과 같이, 계지부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으로부터 일방측을 향해 돌출한다.
이에 의해 계지부가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할 때는, 계지부가 구비하는 돌기부가,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으로부터 계합하고, 이러한 하에서, 해제 조작부에 그것을 하우징을 향해 변위시키는 압압 조작이 가해질 때는, 해제 조작부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연부(端緣部)가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을 향해 변위시켜지게 되고, 이에 수반하여 계지부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부가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을 향해 변위시켜지게 된다. 그 결과, 계지부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부에 배치된 돌기부가,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을 향해 이동하여 배선 판상 부재와의 계합을 해제한다. 그리고, 해제 조작부에 압압 조작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계지부 및 해제 조작부의 각각이 각각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 변위한다.
또, 계지부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5에 기재된 것과 같이, 그것이 구비하는 돌기부가 하우징의 상호 대향측 단부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해 올라가는 경사 단면부를 가지는 것, 혹은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6에 기재된 것과 같이, 그것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부가 하우징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의 주위 부분에 맞닿거나 혹은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해제 조작부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7에 기재된 것과 같이,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을 따라 뻗은 홈부(groove portion) 혹은 융기부가 형성되는 것,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8에 기재된 것과 같이, 그것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연부에,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으로 굴곡하여 뻗고,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과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과의 사이의 간극을 막는 굴곡 부분이 설치되는 것,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9에 기재된 것과 같이, 그것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의 단연부에,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으로 굴곡하여 뻗고, 하우징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계합하는 굴곡 계합 부분이 설치되는 것, 혹은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것과 같이,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에 형성된 돌출부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된다.
또, 도전성 쉘은,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것과 같이,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과 그것에 대향하는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에 배치된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그 연결부가, 해제 조작부의 요동에 따라 탄성변형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하우징은,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것과 같이,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계지부가 설치된 부분에 계합하여, 도전성 쉘을 계지하는 계지 조부(claw portion)를 구비하는 것, 혹은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것과 같이,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캐리어컷부(carrier cut part)로 되는 단면 부분을 덮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 등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가,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이 구비하는 복수의 접촉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되고, 이와 아울러 도전성 쉘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계지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계합하고, 당해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한다. 그 결과,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부에 의해 계지되어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둘 수가 있고,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계지부에 의해 계지된 상태에 놓여진 하에서, 계지부와 함께 도전성 쉘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해제 조작부에 계지부의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이 가해지면, 해제 조작부가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계지부를 수반하여 변위하고, 이에 의해 계지부의 선단 부분에 배치된 돌기부에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비계합 상태를 취하게 하여, 계지부의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합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해제 조작부의 조작을 가지고,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부에 의한 계지 상태로부터 해방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의도적으로 발탈할 수가 있는 상태에 둘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계지부와 해제 조작부가 도전성 쉘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구성 부재수를 저감할 수가 있어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는 계지 상태, 및 그 계지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하우징으로부터의 의도적인 발탈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선택적으로 둘 수가 있다.
또, 도전성 쉘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해제 조작부에, 계지부의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시키는데 즈음해서는,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계지부를 수반하여 변위시켜지게 되는 것으로서 배치되는 해제 조작부를 조작하여, 해제 조작부를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이 때에 있어서의 조작 해제부의 조작은 매우 간단하고, 또한 조작 해제부가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을 따라 뻗는 것으로 되어있으므로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 된다. 즉,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부에 의한 계지 상태로부터 해방된 상태에 두기 위한 조작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충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상술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부에 의한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해제 조작부에 가해진 조작, 예를 들면, 압압 조작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계지부 및 해제 조작부의 각각이 각각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 변위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상술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되고, 계지부에 의해 계지된 배선 판상 부재에, 그것을 하우징으로부터 인발(引拔)하는 방향의 소망하지 않는 외력이 가해질 때, 계지부가 구비하는 돌기부가,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으로부터 일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되어 배선 판상 부재와의 계합을 강화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상술의 청구항 5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계지부가 구비하는 돌기부가 배선 판상 부재의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한 하우징으로의 삽입을 방해하게 되는 사태가 회피되고,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상술의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되고, 계지부에 의해 계지된 배선 판상 부재에, 그것을 하우징으로부터 인발하는 방향의 소망하지 않는 외력이 가해질 때, 돌기부를 배선 판상 부재에 계합시킨 계지부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부가, 하우징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의 주위 부분에 의해 계지되어, 계지부의 변위를 방해하게 되고, 이에 수반하여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발탈되게 되는 사태가 회피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상술의 청구항 7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해제 조작부가, 그것에 설치된 홈부 혹은 융기부에 의해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어지는 것으로 됨과 아울러, 홈부 혹은 융기부가 설치됨으로써 조작에 즈음하여 손가락 걸기가 얻어져 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상술의 청구항 8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해제 조작부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연부에 설치된 굴곡 부분에 의해,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과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과의 사이의 간극이 막혀지므로, 판상 부재 삽입부에 삽입되어야 할 배선 판상 부재가 잘못되어 이러한 간극에 삽입되어 버리는 사태가 회피되고, 상술의 청구항 9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해제 조작부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의 단연부에 설치된 굴곡 계합부가 하우징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계합함으로써, 해제 조작부에 대한 그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연부를 하우징에 근접시키는 조작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해제 조작부의 변형이 방지되고, 또한 상술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해제 조작부에 대해서 그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연부를 하우징에 근접시키는 조작이 행해졌을 때,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에 형성된 돌출부가 해제 조작부에 설치된 계합부를 통해서 돌출하고, 해제 조작부가 그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연부를 하우징에 근접시켜지는 조작이 행해진 상태에 있는 것이 용이하게 검지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상술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도전성 쉘에 구비된,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과 그것에 대향하는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에 배치된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연결하고, 해제 조작부의 요동에 따라 탄성변형하는 연결부에 의해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연부가 하우징에 근접시켜지는 조작이 행해지는 해제 조작부의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상술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하우징에 구비된 계지 조부에 의해 도전성 쉘이 계지되어, 도전성 쉘의 하우징에 대한 소망하지 않는 변위가 방지되고, 또한 상술의 청구항 13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캐리어컷부로 되는 단면 부분이 하우징에 의해 덮여, 예를 들면, 해제 조작부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캐리어컷부로 되는 단면 부분에 스쳐서 상처 등을 입게 되는 사태가 회피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V-V 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VI-V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도전성 쉘을 나타내는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도전성 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의 일부분을 부분 파단함과 아울러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의 일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해제 조작부의 위치 관계의 설명에 제공되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계지 조작부의 위치 관계의 설명에 제공되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해제 조작부의 위치 관계의 설명에 제공되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해제 조작부의 위치 관계의 설명에 제공되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삽입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삽입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대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삽입 도중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대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의 삽입이 완료되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계지부에 의해 계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이하에 기술되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도 1(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평면도) 및 도 4(정면도)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도 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커넥터 장치(10)가 나타나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10)의 우측을 정면으로 하고 좌측을 배면으로 한다. 따라서, 도 4는 커넥터 장치(10)의 정면을 나타내고 있게 되고, 이하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10)의 정면을 향해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상, 하, 좌 및 우, 혹은 상방, 하방, 좌방, 우방으로 한다.
도 1~도 4에 나타나는 커넥터 장치(10)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11)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11)은 상호 대향측 단부를 이루는 정면측 단부(11a) 및 배면측 단부(11b)와 상호 대향 평판상부를 이루는 상방 판상부(11c)(후술되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나 있음) 및 하방 판상부(11d)(후술되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나 있음)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4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에는 그 정면측 단부(11a)에 있어서 개구하는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정면측 단부(11a)로부터 하우징(11)의 내부를 배면측 단부(11b)를 향해 넓어지는 것으로 되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1)은, 예를 들면, 도시되어있지 않은 배선 기판에, 도 4에 있어서의 V-V 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5 및 도 4에 있어서의 VI-V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6에 나타나는 하방 판상부(11d)를 대접(對接)시켜 배치되고,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10)의 전체가 당해 배선 기판에 장착된 것으로 된다. 그리고,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예를 들면, 후술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것으로서 하우징(11)에 삽입된다.
또, 커넥터 장치(10)는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부(11a)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개구하는 부분 및 그 주위 부분, 배면측 단부(11b)의 대부분, 좌측면부의 일부분, 좌측면부의 일부분 및 하방 판상부(11d)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을 덮는 도전성 쉘(14)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전성 쉘(14)은 하우징(11)을 부분적으로 덮이고 있는 것이고,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상방 판상부(11c),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의 각각의 대부분은 도전성 쉘(14)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도전성 쉘(14)은 탄성을 가진 금속판이 가공 성형되어 구성되어 있고, 후술되는 복수의 콘택트(13)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impedance) 조정에 공헌하기 위해, 또 커넥터 장치(1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 대책을 위해, 즉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쉴드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구비되어있다.
그리고, 하우징(11)에는 각각이 탄성 도전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콘택트(13)가 하우징(11)의 긴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콘택트(13)의 각각은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 내에 배치되는 접촉부(13a)와 도 2,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의 배면측 단부(11b)로부터 그 외부로 도출되는 접속부(13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접촉부(13a)는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부에, 하우징(11)에 있어서의 하방 판상부(11d)에 대향하는 상방 판상부(11c)측으로부터 맞닿아 접촉 접속되고, 또 접속부(13b)는, 하우징(11)이 배치된 배선 기판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가 복수의 콘택트(13)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배선 기판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연결된다.
또, 도전성 쉘(14)은, 도 7(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및 도 8(부분확대 사시도)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의 대부분을 덮는 상방 부분(15),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의 일부분을 덮는 하방 부분(16), 하우징(11)의 좌측면부에 대향하는 좌측벽 부분(17), 및 하우징(11)의 우측면부에 대향하는 우측벽 부분(18)을 가지고 있고, 커넥터 장치(10)의 정면측에 배치되게 되는 정면 부분 및 커넥터 장치(10)의 배면측에 배치되게 되는 배면 부분은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하방 부분(16)에는, 도 6에도 나타나듯이, 그 배면측 단연부로부터 도전성 쉘(14)의 내측으로 굴곡하여 정면 부분측으로 뻗은 접지용 콘택트(20)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접지용 콘택트(20)의 각각은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부에 하방 부분(16)측으로부터 맞닿아 접촉 접속된다. 또, 하방 부분(16)에는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에 계합하는 복수의 계합부(21)도 설치되어 있다.
도전성 쉘(14)의 좌측벽 부분(17) 및 우측벽 부분(18)에는 기판 접속부(22, 2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기판 접속부(22, 23)의 각각은 하우징(11)이 배치되는 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부에, 예를 들면, 납땜되어 접속된다.
상술과 같은 복수의 접지용 콘택트(20) 및 기판 접속부(22, 23)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부가, 접지용 콘택트(20) 및 기판 접속부(22, 23)가 형성된 도전성 쉘(14)을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부에 연결된다. 이 때에 기판 접속부(22, 23)는 도전성 쉘(14)에 배선 기판으로부터의 접지 전위를 주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커넥터 장치(10)의 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사용된다.
도전성 쉘(14)에는, 도 7 및 도 8에 명료하게 나타나듯이,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의 대부분을 덮는 상방 부분(15)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하우징(11)의 긴 방향(좌우 방향))의 양단부 중의 일방인 좌측 단부로부터,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측으로 굴곡하여 뻗고, 하우징(11)의 내부에 이르는 것으로 되고, 그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정면측(판상 부재 삽입부(12)측)의 단부에, 그로부터 돌출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합 상태와 비계합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기 위해 변위시켜지게 되는 돌기부(25)가 배치되어 형성된 계지부(2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방 부분(15)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의 양단부 중의 타방인 우측 단부로부터,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측으로 굴곡하여 뻗고, 하우징(11)의 내부에 이르는 것으로 되고, 그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정면측의 단부에, 그로부터 돌출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합 상태와 비계합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기 위해 변위시켜지게 되는 돌기부(27)가 배치되어 형성된 계지부(28)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있다. 계지부(26, 28)의 각각은 탄성을 가진 요동 가능 부재를 이루고 있고, 계지부(26)가 도전성 쉘(14)의 상방 부분(15)에 있어서의 배면측(판상 부재 삽입부(12)측과는 반대측)의 부분(14a)에 가상 요동 지축부를 두어,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 변위하는 것으로 되고, 또 계지부(28)가 도전성 쉘(14)의 상방 부분(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b)에 가상 요동 지축부를 두어,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 변위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계지부(26)에 설치된 돌기부(25)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측으로부터 상방 판상부(11c)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해 올라가는 경사 단면부(25a)를 가지고 있다. 또, 계지부(28)에 설치된 돌기부(27)도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해 올라가는 경사 단면부(27a)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도전성 쉘(14)의 상방 부분(15)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로부터 뻗은 계지부(26) 및 도전성 쉘(14)의 상방 부분(15)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로부터 뻗은 계지부(28)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되었을 때, 계지부(26)의 돌기부(25) 및 계지부(28)의 돌기부(27)를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계합부에 계합시키고, 이에 의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계지한다.
또한, 도전성 쉘(14)에 있어서는,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의 대부분을 덮는 그 상방 부분(15)이, 계지부(26, 28)의 각각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도전성 쉘(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해제 조작부를 구성하고 있다(이하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14)의 상방 부분(15)을 필요에 따라서 해제 조작부(15)라고 함). 해제 조작부(15)는 탄성을 가진 요동 가능 부재를 이루고 있고,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 14b)의 각각에 가상 요동 지축부를 두어,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 변위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해제 조작부(15)는, 계지부(26, 28)의 각각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될 때는, 그 정면측의 단연부를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에 근접시키는 요동 변위를 일으키게 하기 위한 압압 조작이 가해지는 것으로 된다.
해제 조작부(15)에는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홈부(15a)가 형성되어있다. 이들 홈부(15a)에 의해 해제 조작부(15)의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음과 아울러, 해제 조작부(15)에 대한 조작에 즈음하여 손가락 걸기가 얻어져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 홈부(15a)는 반드시 복수일 필요는 없고, 또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으로 뻗은 융기부에 의해 대체되어도 좋다.
또, 해제 조작부(15)에는 정면측의 단연부에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측으로 굴곡하여 뻗은 굴곡 부분(15b)이, 후술되는 도 11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와 해제 조작부(15)(도전성 쉘(14)의 상방 부분(15))의 사이의 간극을 막게 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또 배면측의 단연부에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측으로 굴곡하여 뻗은 굴곡 계합 부분(15c)이, 후술되는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나듯이, 하우징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단부에 계합하게 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굴곡 부분(15b)에 의해 판상 부재 삽입부(12)에 삽입되어야 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잘못하여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와 해제 조작부(15)의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어 버리는 사태가 회피되고, 또 굴곡 계합 부분(15c)에 의해 해제 조작부(15)에 대한 정면측의 단연부를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에 근접시키는 요동 변위를 일으키게 하기 위한 압압 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압압 조작되는 해제 조작부(15)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해제 조작부(15)에는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의 외면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11e)(도 2, 도 3)에 계합하게 되는 계합 구멍(15d)이 형성되어있다. 이 계합 구멍(15d)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해제 조작부(15)에 대해서 그 정면측의 단연부를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에 근접시키는 조작이 행해졌을 때,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의 외면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11e)가 계합 구멍(15d)을 통해서 돌출하고, 해제 조작부(15)가 그 정면측의 단연부를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에 근접시켜지는 조작이 행해진 상태에 있는 것이 용이하게 검지된다.
도전성 쉘(14)은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이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의 대부분을 덮는 상방 부분(15)과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의 일부분을 덮는 하방 부분(16)을 배면측에 있어서 연결하는 연결부(14c, 14d)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연결부(14c, 14d)의 각각은 해제 조작부(15)의 요동에 따라 탄성변형하는 것으로 되어있고, 이에 의해 정면측의 단연부를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에 근접시키는 요동 변위를 일으키게 하기 위한 압압 조작을 하는 해제 조작부(15)의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행해지게 된다.
상술과 같은 도전성 쉘(14)이 하우징(11)에 장착되어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는, 도 9 및 도 10에 명료하게 나타나듯이, 하우징(11)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의 양단부 중의 일방인 좌측 단부에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계지부(26)가 설치된 부분에 계합하여 도전성 쉘(14)을 계지하는 계지 조부(claw portion)(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1)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의 양단부 중의 타방인 우측 단부에도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계지부(28)가 설치된 부분에 계합하여 도전성 쉘(14)을 계지하는 계지 조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계지 조부(30, 31)에 의해 도전성 쉘(14)이 계지됨으로써, 예를 들면, 해제 조작부(15)에 대한 압압 조작이 행해질 때 등에 생길 우려가 있는 도전성 쉘(14)의 하우징(11)에 대한 소망하지 않는 변위가 방지된다.
또, 도 7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상방 부분(15)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13)의 배열 방향의 양단부의 정면측에는, 캐리어컷부(금속판 타발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 부착 성형품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의 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내진 부분)로 되는 단면부(15e, 15f)가 나타나지만, 하우징(11)에는 이러한 캐리어컷부(carrier cut part)로 되는 단면부(15e, 15f)를 각각 덮는 덮개부(32, 3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11)에 설치되는 덮개부(32, 33)에 의해, 예를 들면, 해제 조작부(15)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캐리어컷부로 되는 정면측 단면부(15e) 혹은 정면측 단면부(15f)에 스쳐서 상처 등을 입게 되는 사태가 회피된다.
이러한 하에서, 해제 조작부(15)는 계지부(26, 28)의 각각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압압 조작이 가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의 대부분을 그것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여 덮는 위치를 취한다. 그리고,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정면측의 단연부에 설치된 굴곡 부분(15b)이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와 해제 조작부(15)의 사이의 간극을 막는 것으로 된다. 해제 조작부(15)에 설치된 계합 구멍(15d)은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의 외면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11e)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이 때, 도 12에 나타나듯이, 계지부(26)는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5)에 경사 단면부(25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게 한다. 또, 도시는 생략되어있지만, 계지부(28)도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7)에 경사 단면부(27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게 한다.
그리고, 해제 조작부(15)는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 14b)의 각각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굴곡 부분(15b)이 형성된 정면측의 단연부를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고, 계지부(26)가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해제 조작부(15)의 요동에 수반하여 요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고, 또한 계지부(28)가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b)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해제 조작부(15)의 요동에 수반하여 요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계지부(26)가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5)에 경사 단면부(25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게 함과 아울러, 계지부(28)가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7)에 경사 단면부(27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게 하는 하에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되면, 계지부(26)에 있어서의 돌기부(25) 및 계지부(28)에 있어서의 돌기부(27)의 각각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계합부에 계합하고, 이에 의해 계지부(26) 및 계지부(28)의 각각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한다.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될 때에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있어서 계지부(26)에 있어서의 돌기부(25)의 경사 단면부(25a) 및 계지부(28)에 있어서의 돌기부(27)의 경사 단면부(27a)에 맞닿아, 돌기부(25, 27)의 각각을 하방으로 압압하고, 이에 의해 계지부(26)를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5)의 경사 단면부(25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밖에 배치되게 되도록 요동시키고, 또 계지부(28)를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7)의 경사 단면부(27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밖에 배치되게 되도록 요동시키므로, 계지부(26)에 있어서의 돌기부(25) 및 계지부(28)에 있어서의 돌기부(27)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한 하우징(11)으로의 삽입을 방해하는 사태는 생기지 않는다.
또, 해제 조작부(15)는 계지부(26, 28)의 각각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압압 조작이 가해졌을 때에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나듯이,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 14b)의 각각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하고, 굴곡 부분(15b)이 형성된 정면측의 단연부를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b)에 근접시키는 위치를 취한다. 그리고, 이러한 때에는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의 외면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11e)가 해제 조작부(15)에 설치된 계합 구멍(15d)을 통해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이에 의해 해제 조작부(15)가 그것에 압압 조작이 가해진 상태에 있는 것이 용이하게 검지된다.
이러한 해제 조작부(15)의 요동에 수반하여, 도 14에 나타나듯이, 계지부(26)가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하고,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5)를 경사 단면부(25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밖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 변위시킨다. 또, 도시는 생략되어있지만, 계지부(28)도 해제 조작부(15)의 요동에 수반하여,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b)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하고,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7)를 경사 단면부(27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밖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 변위시킨다.
따라서, 해제 조작부(15)에 압압 조작이 가해졌을 때에, 계지부(26, 28)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계지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계지부(26, 28)의 각각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 상태가 해제되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하우징(11)으로부터 의도적으로 발탈할 수가 있는 상태가 얻어진다.
도 15 및 도 16은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되며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의 일례인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한 벌의 상호 대향면의 일방에는, 도 15에 나타나듯이, 그 일단부에 각각이 스트립(strip)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41)가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또 한 벌의 상호 대향면의 타방에는, 도 16에 나타나듯이, 평판상의 접지 접속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는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41)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측연부(側緣部)에 절결 계합부(43, 4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3)보다 선단측으로 되는 부분이 단연부(46)로 됨과 아울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4)보다 선단측으로 되는 부분이 단연부(47)로 되어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는 복수의 접속 단자부(41) 및 접지 접속부(42)가 설치된 부분과 한 벌의 절결 계합부(43, 44)가 형성된 부분과 단연부(46, 47)를 남기고, 이들 이외의 부분이 커버 필름(45)에 의해 덮여 있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커넥터 장치(10)의 하우징(11)에 대해서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한 삽입의 도중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은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부(41)가 설치된 판면이 상방으로 향해진 것, 즉 도전성 쉘(14)에 형성된 해제 조작부(15)측으로 향해진 것으로 된다. 그리고,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이러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하우징(11)으로의 삽입이 적정하게 행해질 때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41)가 배열 배치된 부분의 선단 연부가 하우징(11)의 배면측 단부(11b)와 평행하게 되도록 된다.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커넥터 장치(10)의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되는 상태가 취해지는데 즈음해서는, 커넥터 장치(10)가 그 도전성 쉘(14)에 형성된 해제 조작부(15)에 압압 조작이 가해지고 있지 않고, 도 12에 나타나듯이, 계지부(26)가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5)에 있어서의 경사 단면부(25a)가 형성된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시키고, 또 도시되어있지 않지만, 계지부(28)도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7)에 있어서의 경사 단면부(27a)가 형성된 부분을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시키는 상태에 놓여진다.
그리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복수의 접속 단자부(41)가 배열 배치된 부분의 선단 연부를 선두로 하여,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 내로 삽입되면, 도 17에 나타나듯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한 벌의 측단부의 일방에 형성된 절결 계합부(43)보다 선단측으로 되는 단연부(46)가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계지부(26)에 설치된 돌기부(25)에 있어서의 경사 단면부(25a)에 맞닿아 돌기부(25)를 하방으로 압압하고, 이에 의해 계지부(26)를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5)의 경사 단면부(25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밖에 배치되게 되도록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시킨다. 또, 도시되어있지 않지만,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한 벌의 측단부의 타방에 형성된 절결 계합부(44)보다 선단측으로 되는 단연부(47)도,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계지부(28)에 설치된 돌기부(27)에 있어서의 경사 단면부(27a)에 맞닿아 돌기부(27)를 하방으로 압압하고, 이에 의해 계지부(28)를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7)의 경사 단면부(27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밖에 배치되게 되도록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b)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시킨다.
그 후, 도 18에 나타나듯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단연부(46)가 계지부(26)에 설치된 돌기부(25)에 있어서의 경사 단면부(25a)가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여 넘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하우징(11)에 대한 삽입 완료 위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계지부(26)가 그 탄성에 의해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5)에 있어서의 경사 단면부(25a)가 형성된 부분에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게 할 수 있도록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 변위하고, 이에 의해 돌기부(25)를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3)에 계합시킨다. 그 결과, 도 18에 나타나는 것 같은 계지부(26)에 설치된 돌기부(25)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3)에 계합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계지부(26)에 의해 계지된 상태가 얻어진다.
또, 이 때에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단연부(47)도 계지부(28)에 설치된 돌기부(27)에 있어서의 경사 단면부(27a)가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여 넘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하우징(11)에 대한 삽입 완료 위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계지부(28)가 그 탄성에 의해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7)에 있어서의 경사 단면부(27a)가 형성된 부분에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게 할 수 있도록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b)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 변위하고, 이에 의해 돌기부(27)를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4)에 계합시킨다. 그 결과, 계지부(28)에 설치된 돌기부(27)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4)에 계합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계지부(28)에 의해 계지된 상태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계지부(26, 28)에 의해 계지된 상태에 놓여진 하에 있어서는, 도 18에 나타나듯이, 계지부(26)에 있어서의 정면측의 단부(26a)가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부(11a)측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의 주위 부분(11f)에 맞닿거나 혹은 근접하여 배치되고, 또 계지부(28)에 있어서의 정면측의 단부(28a)(도 7)가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부(11a)측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의 주위 부분(11f)에 맞닿거나 혹은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계지부(26, 28)에 의해 계지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그것을 하우징(11)으로부터 인발하는 방향의 소망하지 않는 외력이 가해질 때, 돌기부(25)를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계합시킨 계지부(26)에 있어서의 정면측의 단부(26a) 및 돌기부(27)를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계합시킨 계지부(28)에 있어서의 정면측의 단부(28a)가 각각 하우징(11)에 있어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의 주위 부분(11f)에 의해 계지되어, 계지부(26, 28)의 변위를 방해하게 되고, 이에 수반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하우징(11)으로부터 발탈되게 되는 사태가 회피된다.
도 18에 나타나듯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삽입된 상태가 취해진 하에 있어서는,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계지부(26, 28)가 계지부(26)에 설치된 돌기부(25)를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3)에 계합시킴과 아울러, 계지부(28)에 설치된 돌기부(27)를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4)에 계합시키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계지하고, 그 결과,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진다.
이 때에 계지부(26)가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 가능한 것으로 되고, 계지부(26)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정면측의 단부에 설치된 돌기부(25)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3)에 하방측, 즉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하방 부분측으로부터 계합하고, 또 계지부(28)가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b)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 가능한 것으로 되고, 계지부(28)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정면측의 단부에 설치된 돌기부(27)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4)에 하방측, 즉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하방 부분측으로부터 계합하므로, 계지부(26, 28)에 의해 계지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그것을 하우징(11)으로부터 인발하는 방향의 소망하지 않는 외력이 가해질 때, 계지부(26, 28)가 각각 구비하는 돌기부(25, 27)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되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3, 44)와의 계합을 강화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계지부(26, 28)에 의한 계지 상태에 놓여진 하에 있어서는, 하우징(11)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3)의 각각에 있어서의 접촉부(13a)가 하우징(11) 내에 있어서 복수의 접속 단자부(41)가 설치된 판면이 상방으로 향해져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41) 중의 대응하는 것에 상방측으로부터 맞닿아 접촉 접속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41)가 복수의 콘택트(13)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배선 기판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연결된다.
또, 이 때에 도전성 쉘(14)의 하방 부분(16)으로부터 뻗어 하우징(11)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 복수의 접지용 콘택트(20)가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부에 하방측으로부터 맞닿아 접촉 접속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부가 복수의 접지용 콘택트(20)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부에 연결된다.
그 후, 계지부(26, 28)의 각각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는 하에서, 해제 조작부(15)에 계지부(26, 28)의 각각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압압 조작이 가해지면, 해제 조작부(15)가 그것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 14b)의 각각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하고, 그 굴곡 부분(15b)이 형성된 정면측의 단연부를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d)에 근접시키는 위치를 취한다. 이에 수반하여 계지부(26)가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하고,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5)를 경사 단면부(25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밖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 변위시키고, 또 계지부(28)가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b)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하고, 그것에 설치된 돌기부(27)를 경사 단면부(27a)가 형성된 부분이 판상 부재 삽입부(12) 밖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에 의해 계지부(26)에 설치된 돌기부(25)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3)와의 계합 상태를 해제하고, 또 계지부(28)에 설치된 돌기부(27)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4)와의 계합 상태를 해제하고, 계지부(26, 28)의 각각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한 계지 상태가 해제되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하우징(11)으로부터 의도적으로 발탈할 수가 있는 상태가 얻어진다.
그 후, 해제 조작부(15)에 압압 조작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해제 조작부(15)가 그 탄성에 의해 그것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 14b)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 변위한다. 이에 수반하여 계지부(26)가 그 탄성에 의해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 변위함과 아울러, 계지부(28)가 그 탄성에 의해 해제 조작부(15)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b)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 변위한다.
상술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커넥터 장치(10)에 의하면,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11)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3)의 각각이 구비하는 복수의 접촉부(13a)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41)에 각각 접촉 접속되고, 이와 아울러 도전성 쉘(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계지부(26, 28)가 이들에 설치된 돌기부(25, 27)를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43, 44)에 각각 계합시켜, 당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한다. 그 결과,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계지부(26, 28)에 의해 계지되어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둘 수가 있고, 하우징(11)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3)가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41)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이 계지부(26, 28)에 의해 계지된 상태에 놓여진 하에서, 계지부(26, 28)와 함께 도전성 쉘(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해제 조작부(15)에 계지부(26, 28)의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이 가해지면, 해제 조작부(15)가 계지부(26, 28)를 수반하여 요동 변위하고, 이에 의해 계지부(26, 28)의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해제 조작부(15)의 조작을 가지고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계지부(26, 28)에 의한 계지 상태로부터 해방하여 하우징(11)으로부터 의도적으로 발탈할 수가 있는 상태에 둘 수가 있다.
따라서, 계지부(26, 28)와 해제 조작부(15)가 도전성 쉘(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구성 부재수를 저감할 수가 있어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는 계지 상태, 및 그 계지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하우징(11)으로부터의 의도적인 발탈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선택적으로 둘 수가 있다.
또한, 도전성 쉘(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해제 조작부(15)에 계지부(26, 28)의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에 대한 계지 상태를 해제시키는데 즈음해서는, 해제 조작부(15)를 압압 조작하여 그것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부분(14a, 14b)을 가상 요동 지축부로 하여 요동 변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이 때에 있어서의 해제 조작부(15)의 조작은 매우 간단하고, 또한 해제 조작부(15)가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c)의 대부분을 덮는 것으로 되어있으므로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 된다. 즉,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을 계지부(26, 28)에 의한 계지 상태로부터 해방된 상태에 두기 위한 조작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충분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콘택트(13)에 있어서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접속 단자부(41)와 접촉하는 접촉부(13a)가 하우징(11)의 상방 판상부(11a)측으로부터 하우징(11)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접속 단자부(41)를 상방을 향해 판상 부재 삽입부(12)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콘택트(13)에 있어서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접속 단자부(41)와 접촉하는 접촉부(13a)를 하우징(11)의 하방 판상부(11b)측으로부터 하우징(11)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 내로 돌출하도록 배치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40)의 접속 단자부(41)를 하방을 향해 판상 부재 삽입부(12)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 등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의 다른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에 이용되고,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구성 부재수를 저감할 수가 있는 구조를 가지고,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는 계지 상태, 및 그 계지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하우징으로부터의 의도적인 발탈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에 선택적으로 둘 수가 있고, 또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 상태로부터 해방된 상태에 두는데 있어서 매우 간단하게 행하기 쉬운 조작으로 충분한 것으로서 여러가지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0···커넥터 장치 11···하우징
11a···정면측 단부 11b···배면측 단부
11c···상방 판상부 11d···하방 판상부
11e···돌출부
11f···판상 부재 삽입부(12)의 주위 부분
12···판상 부재 삽입부 13···콘택트
13a···접촉부 13b···접속부
14···도전성 쉘 14c, 14d···연결부
15···해제 조작부(도전성 쉘의 상방 부분)
15a···홈부(groove portion) 15b···굴곡 부분
15c···굴곡 계합 부분 15d···계합 구멍
15e, 15f···정면측의 단면부
16···하방 부분
17···좌측벽 부분 18···우측벽 부분
20···접지용 콘택트 22, 23···기판 접속부
25, 27···돌기부 25a, 27a···경사 단면부
26, 28···계지부
26a, 28a···단부(계지부(26)또는 계지부(28)의)
30, 31···계지 조부
40···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
41···접속 단자부 42···접지 접속부
43, 44···절결 계합부 45···커버 필름
46, 47···단연부

Claims (13)

  1. 상호 대향측 단부의 일방측에 있어서 개구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되어 배선 기판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각각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상호 대향측 단부의 타방측으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도출되는 접속부를 구비하여 배열 배치되고, 배선 판상 부재가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접촉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속 단자부에 각각 접촉 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계합하여, 당해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 및 당해 계지부의 계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해제 조작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쉘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계지부가, 상기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의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으로 굴곡하여 뻗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르고, 선단 부분에 당해 선단 부분으로부터 내며 상기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합 상태와 비계합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기 위해 변위시켜지게 되는 돌기부가 배치되어 형성된 탄성을 갖는 요동가능부분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해제 조작부가, 상기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계지부를 수반하여 변위시켜지게 되는 탄성을 갖는 요동가능부분을 이루는 것을 구비하여 되고,
    상기 계지부가, 당해 계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부에 상기 돌기부가 배치되고, 가상 요동 지축부를 상기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둠과 아울러, 상기 해제 조작부가, 가상 요동 지축부를 상기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가 가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계지부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으로부터 일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가 가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측 단부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해 올라가는 경사 단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의 주위 부분에 맞닿거나 혹은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조작부가,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을 따라 뻗은 홈부 혹은 융기부가 형성된 것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조작부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측의 단연부에,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으로 굴곡하여 뻗고,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과 상기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과의 사이의 간극을 막는 굴곡 부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조작부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의 단연부에,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으로 굴곡하여 뻗고,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계합하는 굴곡 계합 부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조작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에 형성된 돌출부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쉘이,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일방을 덮는 부분과 당해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 평판상부의 타방측에 배치된 부분을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당해 연결부가 상기 해제 조작부의 요동에 따라 탄성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상기 계지부가 설치된 부분에 계합하고, 상기 도전성 쉘을 계지하는 계지 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캐리어컷부로 되는 단면 부분을 덮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009547A 2011-02-22 2012-01-31 커넥터 장치 KR101282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35991 2011-02-22
JP2011035991A JP5207004B2 (ja) 2011-02-22 2011-02-22 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414A KR20120096414A (ko) 2012-08-30
KR101282491B1 true KR101282491B1 (ko) 2013-07-04

Family

ID=4555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547A KR101282491B1 (ko) 2011-02-22 2012-01-31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08509B2 (ko)
EP (1) EP2493023B1 (ko)
JP (1) JP5207004B2 (ko)
KR (1) KR101282491B1 (ko)
CN (1) CN102651519B (ko)
TW (1) TWI4554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0334B2 (ja) * 2010-10-05 2012-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093340B2 (ja) * 2010-12-27 2012-12-1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704319B2 (ja) * 2011-02-14 2015-04-2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973711B2 (ja) * 2011-11-25 2016-08-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779078B2 (ja) * 2011-11-28 2015-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5549821B2 (ja) * 2012-04-17 2014-07-1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01347B2 (ja) * 2012-05-16 2014-10-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2717387B1 (en) * 2012-10-08 2018-08-01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I479745B (zh) * 2012-10-11 2015-04-01 Dai Ichi Seiko Co Ltd 電連接器
JP5814411B2 (ja) * 2014-03-20 2015-11-1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82565B2 (ja) * 2014-09-22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166707B2 (ja) * 2014-10-07 2017-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09343B1 (ja) * 2014-10-30 2015-1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7039543A1 (en) * 2015-08-31 2017-03-09 Amphenol Fci Asia Pte. Ltd. Circuit board connector
JP6689063B2 (ja) * 2015-12-09 2020-04-2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65716B2 (ja) * 2016-01-28 2019-08-28 山一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10305209B2 (en) 2016-02-26 2019-05-28 Amphenol Fci Asia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9966677B2 (en) * 2016-07-29 2018-05-08 Apple Inc. Low-profile SSD connector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741036B2 (ja) * 2018-03-29 2020-08-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729640B2 (ja) * 2018-06-28 2020-07-22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10756468B2 (en) * 2018-11-07 2020-08-25 Bellwether Electronic Corp. Plug connector assembly, flexible flat cable assembly thereof, and flexible flat cable thereof
JP6996521B2 (ja) * 2019-02-20 2022-01-17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41290B2 (ja) 2019-02-20 2021-03-10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47195B2 (ja) 2019-02-20 2021-10-13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10098521A (zh) * 2019-05-07 2019-08-06 苏州祥龙嘉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锁型摁压式fpc连接器
CN113206407A (zh) * 2021-04-13 2021-08-03 富鼎精密工业(郑州)有限公司 电连接器
DE202021101969U1 (de) * 2021-04-13 2022-07-25 Tridonic Gmbh & Co Kg Elektrischer Verbinder
CN115842255A (zh) * 2021-09-22 2023-03-24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具有按压解锁结构的易锁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905A (ja) * 2002-04-11 2003-10-31 Jst Mfg Co Ltd 平形柔軟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
US7850473B1 (en) * 2009-08-10 2010-12-14 I-Pex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211A (en) * 1985-06-24 1986-11-18 Molex Incorporated Shielded connector assembly
DE19531208A1 (de) * 1995-08-24 1997-02-27 Gore W L & Ass Gmbh Bandkabel-Steckverbindungsanordnung
JP3451393B2 (ja) * 1998-01-30 2003-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2100444A (ja) * 2000-09-22 2002-04-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522144B2 (ja) * 2004-05-21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199272B2 (ja) *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313527B (en) * 2006-11-03 2009-08-11 Ks Terminals Inc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353436B2 (ja) * 2007-02-08 2009-10-28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56339B2 (ja) * 2007-09-07 2012-06-2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7445503B1 (en) * 2007-09-12 2008-11-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ell
US8194408B2 (en) * 2008-11-15 2012-06-05 Peter Chou Sliding sleeve USB
CN201355711Y (zh) * 2008-12-23 2009-12-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68924U (en) * 2009-05-04 2009-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201103207A (en) * 2009-07-15 2011-01-16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Shielded insertion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lat cable connector
JP4618745B1 (ja) * 2009-12-04 2011-01-26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5480652B2 (ja) * 2010-02-03 2014-04-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19079B2 (ja) * 2010-03-10 2012-09-0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2012109059A (ja) * 2010-11-15 2012-06-07 Tyco Electronics Japan Kk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
KR101786074B1 (ko) * 2010-12-02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905A (ja) * 2002-04-11 2003-10-31 Jst Mfg Co Ltd 平形柔軟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
US7850473B1 (en) * 2009-08-10 2010-12-14 I-Pex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3023A2 (en) 2012-08-29
JP5207004B2 (ja) 2013-06-12
CN102651519A (zh) 2012-08-29
TW201244268A (en) 2012-11-01
JP2012174522A (ja) 2012-09-10
US20120220171A1 (en) 2012-08-30
TWI455410B (zh) 2014-10-01
KR20120096414A (ko) 2012-08-30
EP2493023B1 (en) 2015-07-08
EP2493023A3 (en) 2014-11-05
CN102651519B (zh) 2014-10-08
US8608509B2 (en)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491B1 (ko) 커넥터 장치
KR101138124B1 (ko) 커넥터 장치
KR101192903B1 (ko) 커넥터 장치
KR101211764B1 (ko) 커넥터 장치
KR101281372B1 (ko) 커넥터 장치
KR101297967B1 (ko) 커넥터 장치
JP4982770B2 (ja) コネクタ装置
JP5099387B2 (ja) コネクタ装置
JP5729553B2 (ja) コネクタ装置
JP5141923B2 (ja) コネクタ装置
JP5741828B2 (ja) コネクタ装置
US7537486B2 (en) Card connector
JP5920568B2 (ja) コネクタ装置
JP5811341B2 (ja) コネクタ装置
JP5846429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5222638A (ja) コネクタ装置
CN103001064B (zh) 连接装置
JP6380744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3045541A (ja) コネクタ装置
KR101178022B1 (ko) 커넥터 장치
TWI474565B (zh) Connector device
JP5854272B2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