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022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022B1
KR101178022B1 KR1020110077570A KR20110077570A KR101178022B1 KR 101178022 B1 KR101178022 B1 KR 101178022B1 KR 1020110077570 A KR1020110077570 A KR 1020110077570A KR 20110077570 A KR20110077570 A KR 20110077570A KR 101178022 B1 KR101178022 B1 KR 101178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ing board
engagement
locking
movab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키 쿠라치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10077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과제>
하우징에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는 하에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하기 위한 계지 및 그 계지의 해제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와 계지 해제를 행하는 계합 부재(16, 17)을 구비하고, 계합 부재가,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부(21, 31)와, 이로부터 뻗는 가동 암부(22, 34)를 가지고, 가동 암부에,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의 절결 계합부(26, 35)에 계합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계지하는 계지부(27, 36)와, 가동 암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 조작이 가해질 때, 가동 암부에 계지부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계지 해제 조작부(28, 37)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FPC : Flexible Printed Circuit)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FFC : Flexible Flat Cable) 등의 배선 판상 부재가 장착된 하에서, 장착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촉 단자부에 접촉접속되는 콘택트(contact)와 장착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및 계지 해제를 행하는 계합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전자기기에 실장되는 비교적 소형인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 등의 배선 판상 부재는, 각종의 전기 부품이 장착되는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이, 당해 주배선 기판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고정되는 커넥터 장치가 이용되어 행해지는 것이 많다. 이러한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즈음하여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는,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촉 단자부에 접촉접속되는 도전성의 콘택트를 가지고 있어, 그 콘택트를 통해,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접촉 단자부를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는,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주배선 기판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절연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하우징 내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어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되고,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될 때, 이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촉 단자부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액츄에이터는,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에 계합하고, 회동시켜지게 될 때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에 있어서의 작동부를 변위시켜, 복수의 콘택트에,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촉 단자부에 각각 접촉접속된 상태, 혹은 복수의 접촉 단자부와의 접촉접속으로부터 해방된 상태를 취하게 하는 것, 또는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맞닿고, 회동시켜지게 될 때, 배선 판상 부재를 압압하여 당해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촉 단자부를 복수의 콘택트에 각각 접촉접속된 상태에 두거나, 혹은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압압을 해제하여 당해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촉 단자부를 복수의 콘택트와의 접촉접속으로부터 해방된 상태에 두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콘택트와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촉 단자부가 상호 접촉접속됨으로써, 배선 판상 부재가 주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 상태에 놓여진다.
또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 중에는, 상술과 같은 하우징(housing)을 가지고, 상술과 같은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noise)에 대한 쉴드(shield) 효과를 얻기 위해, 하우징을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덮는 것으로서 배치되어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도전성 쉘을 구비하고,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는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하우징 내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접촉 단자부에 각각 접촉접속되고, 배선 판상 부재가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적정하게 삽입되는 것만으로, 배선 판상 부재가 주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 상태에 놓여진다.
이러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것 및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는 하지만 어느 경우에도,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가, 주배선 기판에 배치된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되어, 하우징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촉 단자부에 각각 접촉접속되고, 이에 의해 배선 판상 부재가 주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 상태에 놓여지는데 즈음하여,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소망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 같은 사태가 회피되지 않으면 안 된다. 당연한 일이지만 하우징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촉 단자부에 각각 접촉접속된 상태가 적정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그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가 있고, 하우징으로부터 소망하지 않게 발탈되는 것 같은 사태를 초래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상술과 같은 하우징을 가지고,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서,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계합하여, 당해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의 저지에 관여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가 종래에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상술과 같은 하우징을 가지고, 복수의 콘택트는 구비하고 있지만,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는 구비하고 있지 않은 커넥터 장치에 속하는 것으로서,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계합하여, 당해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장치도 종래에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커넥터 장치(플렉서블(flexible) 기판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우징(2)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6)의 배열 방향의 양단 측벽(5)에 한 벌의 보강 쇠장식(20)이 각각 장착되어 있고, 각 보강 쇠장식에는, 하우징에 삽입부(개구부(3))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플렉서블 기판(30))에 맞닿아 배선 판상 부재에 그것을 밀어 올리는 방향의 압압력을 작용시키거나, 혹은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계합부(계합 구멍 또는 절결(切缺) 부분(32))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하는 계지 수단(탄성 지지편(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액츄에이터(가압 부재(12))가, 하우징에 대해서 일어난 위치로부터 하우징에 대해서 엎어진 위치로 회동될 때,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액츄에이터에 의해, 보강 쇠장식에 형성된 계지 수단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당해 계지 수단을 향해 압압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액츄에이터와 보강 쇠장식에 형성된 계지 수단에 의해 압압 협지(挾持)됨으로써 계지되고, 혹은 보강 쇠장식에 형성된 계지 수단이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계합부에 계합함으로써 계지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된다.
그 후, 액츄에이터가, 하우징에 대해서 엎어진 위치로부터 하우징에 대해서 일어난 위치로 회동될 때,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액츄에이터에 의해 압압되지 않게 되어, 배선 판상 부재가 액츄에이터와 보강 쇠장식에 형성된 계지 수단에 의해 압압 협지된 상태, 혹은 보강 쇠장식에 형성된 계지 수단이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계합부에 계합한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발탈(拔脫)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진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난 커넥터 장치(잠금 부착 FPC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우징(절연 하우징(5))에 그에 대한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도전성 쉘(이젝트 플레이트(8))이 구비되어 있다. 이 가동 도전성 쉘(shell)은, 하우징과의 사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coil spring) 등의 탄성 부재(7)에 의해, 하우징에 대한 배선 판상 부재(FPC 기판(2))의 삽입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부세(付勢)되고 있다. 또, 하우징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트(콘택트 핀(4))의 배열 방향의 양단 부분에 한 벌의 가동 계지 수단(탄성 계지조(係止爪)(6)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각 가동 계지 수단은, 그 선단부에, 하우징에 삽입부(개구부(3))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계합부(오목부(2d))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6c)가 형성되어 있어,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잠금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가동 계지 수단에는, 가동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투공 내에 배치되는 돌기를 이루는 이젝트(eject) 계지편(係止片)(6d)이 형성되어 있어, 이 이젝트 계지편(6d)에는, 가동 도전성 쉘이 슬라이드 할 때, 당해 가동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투공에 형성된 테이퍼부(taper portion)(8a)가 계합한다.
그리고, 각 가동 계지 수단에 형성된 이젝트 계지편이 가동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투공 내에 배치되어 있어, 당해 투공에 형성된 테이퍼부가 이젝트 계지편에 계합하고 있지 않는 하에서,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에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되면, 가동 계지 수단에 형성된 계지부가,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계합부에 계합하여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된다.
그 후, 가동 도전성 쉘이, 그것을 하우징에 대한 배선 판상 부재의 삽입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는 탄성 부재의 부세력(付勢力)에 저항하여, 하우징에 대한 배선 판상 부재의 삽입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지게 될 수 있으면, 슬라이드하는 가동 도전성 쉘에 있어서의 투공에 형성된 테이퍼부가, 가동 계지 수단에 형성된 이젝트 계지편에 계합하고, 그 이젝트 계지편을 압압하고, 가동 계지 수단을 거기에 형성된 계지부의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계합부와의 계합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 계지 수단에 형성된 계지부가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계합부와의 계합으로부터 해방되어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발탈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진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3-100370호 공보(3~4페이지, 도 1~10) 일본국 특허공개 2009-231069호 공보(3~4페이지, 도 1~5)
상술과 같은 하우징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 등의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이탈의 저지에 관여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한,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는, 계지 수단의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에의 관여가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 액츄에이터의 회동 조작에 연동하여 이루어지고, 혹은 계지 수단에 의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해제가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도전성 쉘의 이동에 연동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계지 수단의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에의 관여가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 액츄에이터의 회동 조작에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종래의 커넥터 장치의 경우에는,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불가결하게 되고, 그것이 커넥터 장치의 제조비용을 커지게 하는 요인으로 된다. 또한, 이에 더해 계지 수단을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혹은 계지 해제에 관여시키는데 즈음해서는, 액츄에이터를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조작이 불가결하게 되고, 이러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소망하지 않는 스페이스(space)를 커넥터 장치의 주위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된 가동 도전성 쉘이 구비되고, 계지 수단에 의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해제가 가동 도전성 쉘의 이동에 연동하여 행해지는 종래의 커넥터 장치의 경우에는, 가동 도전성 쉘이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커넥터 장치의 주배선 기판에의 고정을 위해서 도전성 쉘을 이용하지 못하고, 별도로 커넥터 장치를 주배선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홀드다운(hold down)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그것이 커넥터 장치의 제조비용을 커지게 하는 요인으로 된다. 또한, 하우징에 대해서 가동 도전성 쉘을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게 되어, 그것이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하여 커넥터 장치의 제조비용을 더욱 더 커지게 하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이나 플렉서블 평판상 케이블 등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의 다른 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용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 혹은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가동 도전성 쉘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에 의해 구성의 간략화와 부품 점수의 감소에 의한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는 하에서,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하기 위한 계지 및 그 계지의 해제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로부터 청구항 7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이하, 본 발명이라고 함)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되어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고,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되는 상태를 취하고, 배선 판상 부재가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촉 단자부에 접촉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에 설치되고,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되었을 때,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행하는 계지 상태와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하는 계지 해제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계합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계합 부재가,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부와 그 기부로부터 뻗는 가동 암부(arm portion)를 가지고, 가동 암부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계합부에 계합하여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가동 암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 조작이 가해질 때, 가동 암부에 계지부에 의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계지 해제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특히,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계합 부재가,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그 기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뻗어 배선 기판에 설치된 도체 부분에 납땜되는 납땜부를 가지고 있다.
또,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외면부의 일부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계지 해제 조작부의 주위에 절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배선 판상 부재가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거기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되면, 하우징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가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촉 단자부에 접촉접속됨과 아울러, 하우징에 설치된 계합 부재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고,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한다. 그리고, 계합 부재가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한 하에서, 계합 부재에 소정의 조작이 가해지면,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한 계합 부재가, 하우징 내에 있어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하여,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발탈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하에서, 계합 부재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부와 그 기부로부터 뻗는 가동 암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동 암부에는,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예를 들면, 계합 절결부 혹은 계합 구멍으로 되는 계합부에 계합하여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가동 암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 조작이 가해질 때, 가동 암부에 계지부에 의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계지 해제 조작부가 형성된다.
또한, 계합 부재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경우와 같이,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그 기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뻗어 배선 기판에 설치된 도체 부분에 납땜되는 납땜부를 가진 것으로 된다.
또, 하우징의 외면부의 일부에는, 예를 들면,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경우와 같이, 계합 부재의 가동 암부에 형성되고,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는 계지 해제 조작부의 주위에 절결 오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에 거기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해서의, 하우징에 설치된 계합 부재에 의한,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하기 위한 계지, 및 배선 판상 부재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발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계지의 해제를 행하는데 즈음하여, 예를 들면,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 혹은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가동 도전성 쉘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에 의해 구성의 간략화와 부품 점수의 감소에 의한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해서의 계지 및 계지의 해제를 행하는 계합 부재가,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부와 그 기부로부터 뻗는 가동 암부를 가지고 있어, 가동 암부에,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계합부에 계합하여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가동 암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 조작이 가해질 때, 가동 암부에 계지부에 의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계지 해제 조작부가 형성되므로, 계지부와 계지 해제 조작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간단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배선 판상 부재를 하우징에 거기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해서의 계합 부재의 계지부에 의한 계지를 행할 수가 있고, 이와 아울러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해서의 계지부에 의한 계지의 해제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계합 부재의 계지 해제 조작부에, 예를 들면, 압압 조작으로 되는 이동 조작을 가하는 것만으로 행할 수가 있으므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해서의 계합 부재에 의한 계지 및 계지의 해제를 매우 간단한 조작에 의해 행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이러한 조작을 위해서 부재의 주위에 소망하지 않는 스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특히,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계합 부재가,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가동 암부에 더하여,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뻗는 납땜부를 가지고, 그 납땜부가, 하우징이 배치되는 배선 기판에 설치된 도체 부분에 납땜된다. 이에 의해 배선 기판에 대한 그 상에 배치된 하우징의 견고한 고정에 배선 기판에 설치된 도체 부분에 납땜되는 납땜부가 공헌하게 된다.
또한,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외면부의 일부가, 계합 부재의 가동 암부에 형성되고,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는 계지 해제 조작부의 주위에 절결 오목부가 형성된 것으로 됨으로써, 예를 들면, 압압 조작으로 되는 이동 조작을 하는 계합 부재의 계지 해제 조작부의 하우징 밖으로의 돌출 길이를, 하우징에 있어서의 절결 오목부 주위의 외면부를 넘어 돌출하는 것이 없는 것으로 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절결 오목부내에 있어서의 계지 해제 조작부의 돌출 상황에 의해 하우징 내에 있어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부에 의한 계지가 확실히 이루어져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고, 이에 더하여 계지 해제 조작부에 대한 이동 조작을 행하기 쉬운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거기에 장착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의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거기에 장착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의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거기에 장착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계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V-V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VI-V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 및 거기에 장착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도 3에 있어서의 VI-VI선 단면을 포함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계합 부재가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장착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을 계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구비하는 계합 부재가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장착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대한 계지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이하에 진술되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실시예>
도 1(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및 도 3(평면도)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거기에 장착되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낸다.
도 1,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커넥터 장치(1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1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에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나듯이, 그 정면측 단면부에 판상 부재 삽입부(12)가 설치되어 있고, 판상 부재 삽입부(12)로부터 하우징(11)의 내부로 판상 부재 수용 공간이 뻗어 있다.
하우징(11)은, 예를 들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주배선 기판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10)의 전체가 주배선 기판에 장착된 것으로 된다. 이 때,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정면측 단면부와 거기에 대향하는 배면측 단면부에 끼워진 한 벌의 대향 외면부 중의 일방이 주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외면부로 되고 타방이 해방된 외면부로 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주배선 기판에 대접하는 하우징의 일외면부를 하방 외면부라고 하고, 거기에 대향하는 하우징의 타외면부를 상방 외면부라고 한다. 그리고, 정면측 단면부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것으로서 하우징(11)에 삽입된다.
하우징(11)에는, 그 내부에, 각각이 탄성 도전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콘택트(14)가, 하우징(11)의 긴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콘택트(14)는,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접촉 단자부(15)에 접촉접속되는 신호용 콘택트로서 설치되어 있지만, 다른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복수의 신호 접속 단자부 및 접지 접속부에 접촉접속되는 신호용 및 접지용 콘택트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복수의 콘택트(14)의 각각에는, 도 2에 나타나듯이, 그 일단부가, 하우징(11)의 배면측 단면부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되는 접속 단자부(14a)를 형성하고 있고, 접속 단자부(14a)는,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복수의 콘택트(14)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난 하우징(11)의 배면측 단면부측으로부터, 하우징(11)의 내부로 압압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들의 복수의 콘택트(14)는,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촉 단자부(15)에 각각 접촉접속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촉 단자부(15)가, 복수의 콘택트(14)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된다.
또, 커넥터 장치(10)는, 하우징(11)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양단부, 즉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하우징(11)의 긴 방향에 있어서 사이에 두는 한 벌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 예를 들면,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된 한 벌의 계합 부재(16, 17)를 구비하고 있다. 계합 부재(16, 17)는,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되었을 때,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를 행하는 계지 상태와 그 계지를 해제하는 계지 해제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1)에 형성된 수용 절결부(18, 19)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계합 부재(16)는, 예를 들면, 탄성 금속 판재에 타발(打拔) 굴곡 가공이 실시되어 형성되고, 도 4에 나타나듯이, 하우징에 있어서의 수용 절결부(18)에 고정되는 기부(21)와 기부(21)로부터 뻗는 가동 암부(22)를 가지고 있다. 가동 암부(22)는, 기부(21)로부터 접어 꺾은 굴곡부(23)를 통해 뻗어 있고, 기부(21)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대향하는 것으로서 배치되어 있어, 기부(21)에 근접 혹은 이격하는 요동을 행하는 요동 가능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동 암부(22)에는, 접어 꺾은 굴곡부(23)에 이어져 설치되어 하우징(11)에 접촉하는 상태를 취하는 접촉 계합부(24)와,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26)에 계합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을 계지하는 계지부(27)와, 가동 암부(22)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되고, 예를 들면, 압압 조작으로 되는 이동 조작이 가해질 때, 가동 암부(22)에 계지부(27)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계지 해제 조작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27)는, 하우징(11)으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승 경사지는 경사면(27a)를 형성하고 있고, 경사면(27a)를 형성하는 부분을,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설치된 절결 계합부(26)에 계합시킨다.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될 때, 계지부(27)가 형성하는 경사면(27a)는, 거기에 맞닿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선단부를 계지부(27)를 넘어가도록 안내한다.
또한, 계합 부재(16)는, 기부(21)로부터 뻗고,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면부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되는 납땜부(29)를 가지고 있다. 납땜부(29)는, 예를 들면, 하우징(11)의 배면측 단면부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되는 콘택트(14)의 접속 단자부(14a)가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납땜됨으로써,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도체 부분에 납땜되고, 이에 의해 주배선 기판에 대한 그 상에 배치된 하우징(11)의 견고한 고정에 공헌한다.
또, 계합 부재(17)도, 예를 들면, 탄성 금속 판재에 타발 굴곡 가공이 실시되어 형성되고, 계합 부재(16)와는 거울면 대칭을 이루는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계합 부재(17)는, 계합 부재(16)가 가지는 기부(21)와 가동 암부(22)에 각각 상당하는,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수용 절결부(19)에 고정되는 기부(31)와 기부(31)로부터 뻗는 가동 암부(3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동 암부(34)도, 기부(31)로부터 접어 꺾은 굴곡부(33)를 통해 뻗어 있고, 기부(31)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대향하는 것으로서 배치되어 있어, 기부(31)에 근접 혹은 이격하는 요동을 행하는 요동 가능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동 암부(34)에는, 계합 부재(16)가 가지는 접촉 계합부(24)와 계지부(27)와 계지 해제 조작부(28)에 각각 상당하는, 접어 꺾은 굴곡부(33)에 이어져 설치되어 하우징(11)에 접촉하는 상태를 취하는 접촉 계합부와,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35)에 계합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을 계지하는 계지부(36)와, 가동 암부(34)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되고, 예를 들면, 압압 조작으로 되는 이동 조작이 가해질 때, 가동 암부(34)에 계지부(36)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계지 해제 조작부(37)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36)는, 하우징(11)으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승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어, 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부분을,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설치된 절결 계합부(35)에 계합시킨다.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될 때, 계지부(36)가 형성하는 경사면은, 거기에 맞닿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선단부를 계지부(36)를 넘어가도록 안내한다.
또한, 계합 부재(17)는, 기부(31)로부터 뻗고,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면부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되는 납땜부(38)를 가지고 있다. 납땜부(38)는, 예를 들면, 하우징(11)의 배면측 단면부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되는 콘택트(14)의 접속 단자부(14a)가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납땜됨으로써,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도체 부분에 납땜되고, 이에 의해 주배선 기판에 대한 그 상에 배치된 하우징(11)의 견고한 고정에 공헌한다.
계합 부재(16)에 있어서의 계지 해제 조작부(28)의 하우징(11)의 외부로의 돌출은, 하우징(11)의 계합 부재(16)가 설치된 단부에 있어서의 상방 외면부의 한 모서리부터 계지 해제 조작부(28)의 선단부만이 뛰어나온 상태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그리고, 당해 하우징(11)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방 외면부의 한 모서리에는,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하는 계지 해제 조작부(28)의 선단부의 주위에 절결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압압 조작으로 되는 이동 조작을 하는 계지 해제 조작부(28)의 하우징(11) 밖으로의 돌출 길이를,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절결 오목부(39)의 주위의 상방 외면부를 넘어 돌출하는 것이 없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이와 아울러 절결 오목부(39) 내에 있어서의 계지 해제 조작부(28)의 돌출 상황에 의해, 하우징(11) 내에 있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부(27)에 의한 계지가 확실히 이루어져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고, 이에 더하여 계지 해제 조작부(28)에 대한 이동 조작을 행하기 쉬운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계합 부재(17)에 있어서의 계지 해제 조작부(37)의 하우징(11)의 외부로의 돌출도, 하우징(11)의 계합 부재(17)가 설치된 단부에 있어서의 상방 외면부의 한 모서리부터 계지 해제 조작부(37)의 선단부만이 뛰어나온 상태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그리고, 당해 하우징(11)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방 외면부의 한 모서리에는,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하는 계지 해제 조작부(37)의 선단부의 주위에 절결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압압 조작으로 되는 이동 조작을 하는 계지 해제 조작부(37)의 하우징(11) 밖으로의 돌출 길이를,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절결 오목부(40)의 주위의 상방 외면부를 넘어 돌출하는 것이 없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이와 아울러 절결 오목부(40) 내에 있어서의 계지 해제 조작부(37)의 돌출 상황에 의해, 하우징(11) 내에 있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부(36)에 의한 계지가 확실히 이루어져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고, 이에 더하여 계지 해제 조작부(37)에 대한 이동 조작을 행하기 쉬운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하에서, 커넥터 장치(10)의 하우징(11)이, 그 하방 외면부를 주배선 기판에 대접시켜, 주배선 기판에 장착된 하에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될 때에는, 상술의 도 1~3에 나타나듯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선단 부분이,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면부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커넥터 장치(10)의 하우징(11) 내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4)의 각각은,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의 V-V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5에 나타나듯이, 하우징(11)에 고정되는 고정부(51)와 고정부(51)로부터 뻗는 굴곡 암부(52)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51)로부터는, 접속 단자부(14a)가 하우징(11)의 외부로 뻗어 있고, 또 굴곡 암부(52)에는, 그 선단 부분에 접점부(53)가 형성되어 있다.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은, 거기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촉 단자부(15)가 커넥터 장치(10)의 하우징(11)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4)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이 때, 커넥터 장치(10)의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수용 절결부(18)가 형성된 단부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나고, 또한 도 3에 있어서의 VI-V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6 및 도 7에 상세하게 나타나듯이, 계합 부재(16)가, 그 기부(21)가 하우징(11)에 고정되고, 그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부(27)가 형성하는 경사면(27a)이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면부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에 임하고, 그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 해제 조작부(28)가 선단부를 하우징(11)의 외면부에 설치된 절결 오목부(39)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되며, 그 기부(21)로부터 납땜부(29)가 하우징(11)의 외부로 뻗은 상태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은, 거기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26)가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부(27)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마찬가지로 커넥터 장치(10)의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수용 절결부(19)가 형성된 단부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나듯이, 계합 부재(17)가, 그 기부(31)가 하우징(11)에 고정되고, 그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부(36)가 형성하는 경사면이 하우징(11)의 정면측 단면부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에 임하고, 그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 해제 조작부(37)가 선단부를 하우징(11)의 외면부에 설치된 절결 오목부(40)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되며, 그 기부(31)로부터 납땜부(38)가 하우징(11)의 외부로 뻗은 상태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은, 거기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35)가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부(36)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도 1~도 3 및 도 5~도 7에 나타나듯이 배치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은, 그 후, 커넥터 장치(10)의 하우징(11)에, 그 정면측 단면부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다. 그 때에는, 먼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선단부가, 하우징(11)에 배치된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부(27)가 형성하는 경사면(27a) 및 하우징(11)에 배치된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부(36)가 형성하는 경사면에 맞닿는다.
이어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선단부는, 하우징(11)에 대한 삽입 이동에 수반하여, 계지부(27)가 형성하는 경사면(27a) 및 계지부(36)가 형성하는 경사면에 의한 안내를 받아 계지부(27) 및 계지부(36)를 넘어간다. 이 때,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 및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는, 일단, 탄성 변형을 일으켜, 계합 부재(16)의 기부(21) 및 계합 부재(17)의 기부(31)에 각각 근접하는 위치로 변위하고, 그 후, 스스로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 도 8에 나타나듯이, 계합 부재(16)에 있어서의 계지부(27)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설치된 절결 계합부(26)에 계합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을 계지함과 아울러, 계합 부재(17)에 있어서의 계지부(36)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설치된 절결 계합부(35)에 계합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을 계지하는 상태가 얻어진다.
이러한 때, 계합 부재(16)에 있어서의 가동 암부(22)가, 기부(21)로부터 접어 꺾은 굴곡부(23)를 통해 뻗고, 접어 꺾은 굴곡부(23)에 이어져 설치되어 하우징(11)에 접촉하는 상태를 취하는 접촉 계합부(24)와 계지부(27)와 계지 해제 조작부(28)가 형성된 요동 가능 부분을 형성하고, 또 계합 부재(17)에 있어서의 가동 암부(34)가, 기부(31)로부터 접어 꺾은 굴곡부(33)를 통해 뻗고, 접어 꺾은 굴곡부(33)에 이어져 설치되어 하우징(11)에 접촉하는 상태를 취하는 접촉 계합부와 계지부(36)와 계지 해제 조작부(37)가 형성된 요동 가능 부분을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즉,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될 때, 가동 암부(22)가 하우징(11)에 접촉하는 접촉 계합부(24)를 요동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고, 또 가동 암부(34)도 하우징(11)에 접촉하는 접촉 계합부를 요동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동 암부(22, 34)의 각각의 요동에 의해 생기는 탄성 복원력이, 가동 암부(22)에 접촉 계합부(24)가 형성되지 않고, 또 가동 암부(34)에 접촉 계합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크게 되는 것으로 되고, 계지부(27, 36)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26, 35)에 각각 계합할 때에 명료한 클릭(click) 느낌이 얻어짐과 아울러, 계지부(27, 36)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하우징(11)으로부터의 발탈 저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동 암부(22, 34)의 각각의 요동 지점이,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하우징(11)에 삽입되는 플렉서블(flexible) 인쇄 배선 기판(13)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계지부(27, 36)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맞닿음으로써 행해지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하우징(11)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된다.
계합 부재(16)에 있어서의 계지부(27)가 절결 계합부(26)에 계합함과 아울러 계합 부재(17)에 있어서의 계지부(36)가 절결 계합부(35)에 계합하는 상태가 얻어지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하우징(11)으로의 삽입이 완료되고,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은, 하우징(11)에 대한 정규의 삽입 위치를 취하고,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부(27) 및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부(36)에 의해 계지되어,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진다. 즉,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은,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적정하게 삽입되는 것만으로,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부(27) 및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부(36)에 의해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때,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 해제 조작부(28)가, 도 8에 나타나듯이, 그 선단부를 하우징(11)의 외면부에 형성된 절결 오목부(39)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위치를 취함과 아울러,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 해제 조작부(37)도, 그 선단부를 하우징(11)의 외면부에 형성된 절결 오목부(40)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위치를 취한다. 이에 의해 계지 해제 조작부(28)의 선단부 및 계지 해제 조작부(37)의 선단부를 눈으로 보는 것, 혹은 계지 해제 조작부(28)의 선단부 및 계지 해제 조작부(37)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하우징(11)으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의 삽입을 완료하여 정규의 삽입 위치를 취하고,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부(27) 및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부(36)에 의해 계지된 상태에 놓여진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하우징(11)으로의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의 삽입을 완료하여 정규의 삽입 위치를 취하는 하에 있어서는, 하우징(11)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4)가, 각각의 굴곡 암부(52)의 선단 부분에 형성된 접점부(53)를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촉 단자부(15)에 각각 탄성 맞닿게 하여, 복수의 접촉 단자부(15)에 각각 접촉접속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촉 단자부(15)가, 복수의 콘택트(14)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적정하게 삽입되는 것만으로 얻어진다.
그 후, 도 9에 나타나듯이, 선단부를 하우징(11)의 외면부에 형성된 절결 오목부(39)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시킨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 해제 조작부(28)에, 그 선단부를 하우징(11)의 내부로 밀어넣는 압압 조작으로 되는 이동 조작이 가해지면, 가동 암부(22)가,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거기에 형성된 계지부(27)를 수반하여 계합 부재(16)의 기부(21)에 근접하는 위치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계지부(27)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26)와의 계합 상태로부터 벗어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를 해제한다. 즉,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 해제 조작부(28)는, 하우징(11)의 외면부에 형성된 절결 오목부(39)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된 선단부에 대한 압압 조작으로 되는 이동 조작이 가해졌을 때, 가동 암부(22)에 거기에 형성된 계지부(27)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선단부를 하우징(11)의 외면부에 형성된 절결 오목부(40)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시킨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 해제 조작부(37)에, 그 선단부를 하우징(11)의 내부로 밀어넣는 압압 조작으로 되는 이동 조작이 가해질 때, 가동 암부(34)가,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거기에 형성된 계지부(36)를 수반하여, 계합 부재(17)의 기부(31)에 근접하는 위치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계지부(36)가,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35)와의 계합 상태로부터 벗어나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를 해제한다. 즉,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 해제 조작부(37)도, 하우징(11)의 외면부에 형성된 절결 오목부(40)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된 선단부에 대한 압압 조작으로 되는 이동 조작이 가해졌을 때, 가동 암부(34)에 거기에 형성된 계지부(36)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부(27) 및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부(36)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가 해제됨으로써,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하우징(11)으로부터 적정하게 발탈될 수 있는 상태에 놓여진다.
또한, 상술의 예에 있어서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한 벌의 절결 계합부(26, 35)가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지만,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은, 한 벌의 절결 계합부(26, 35)에 대신하여, 한 벌의 계합 구멍이 설치된 것으로 되어도 좋고, 이러한 경우에도, 상술과 같이 하여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부(27) 및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부(36)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 및 계지의 해제를 한다.
상술과 같은 커넥터 장치(10)가 이용되어 거기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배선 판상 부재를 이루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삽입되는 하에 있어서는,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을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의 하우징(11)에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촉 단자부(15)가, 복수의 콘택트(14)를 통해, 하우징(11)이 배치된 주배선 기판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이, 계합 부재(16)의 가동 암부(22)에 형성된 계지부(27) 및 계합 부재(17)의 가동 암부(34)에 형성된 계지부(36)에 의해 적정하게 계지되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저지되는 상태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장치(10)에 있어서는, 하우징(11)에 거기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해서의, 하우징(11)에 설치된 계합 부재(16, 17)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하우징(11)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하기 위한 계지, 및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의 하우징(11)으로부터의 발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계지의 해제를 행하는데 즈음하여, 예를 들면, 하우징(1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는 액츄에이터, 혹은 하우징(11)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가동 도전성 쉘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에 의해 구성의 간략화와 부품 점수의 감소에 의한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하우징(11)에 삽입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해서의 계지 및 계지의 해제를 행하는 계합 부재(16, 17)가, 하우징(11)에 고정되는 기부(21, 31)와 그 기부(21, 31)로부터 각각 뻗는 가동 암부(22, 34)를 가지고 있어, 가동 암부(22, 34)에,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있어서의 절결 계합부(26, 35)에 계합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을 계지하는 계지부(27, 36)와, 가동 암부(22, 34)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 조작이 가해질 때, 가동 암부(22, 34)에 계지부(27, 36)에 의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계지 해제 조작부(28, 37)가 형성되므로, 계지부(27, 36)와 계지 해제 조작부(28, 37)가 일체로 형성되는 간단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커넥터 장치(10)에 의하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을 하우징(11)에 거기에 설치된 판상 부재 삽입부(12)를 통해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해서의 계합 부재(16, 17)에 있어서의 계지부(27, 36)에 의한 계지를 행할 수가 있는 것에 더하여,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해서의 계지부(27, 36)에 의한 계지의 해제를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하는 계합 부재(16, 17)에 있어서의 계지 해제 조작부(28, 37)에, 예를 들면, 압압 조작으로 되는 이동 조작을 가하는 것만으로 행할 수가 있으므로,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13)에 대해서의 계합 부재(16, 17)에 의한 계지 및 계지의 해제를 매우 간단한 조작에 의해 행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이러한 조작을 위해서 부재의 주위에 소망하지 않는 스페이스(space)를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 등으로 되는 배선 판상 부재의 주배선 기판에의 부착에 이용되는,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에 설치되고, 배선 판상 부재가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 상태와 계지 해제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계합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로서, 부품 점수를 비교적 적게 하고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간단한 구성과 용이한 조작을 가지고, 하우징에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하우징으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저지하기 위한 계지 및 그 계지의 해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0 커넥터 장치 11 하우징
12 판상 부재 삽입부 13 플렉서블 인쇄 배선 기판
14 콘택트(contact) 14a 접속 단자부
15 접촉 단자부 16, 17 계합 부재
18, 19 수용 절결부 21, 31 기부
22, 34 가동 암부 23, 33 접어 꺾은 굴곡부
24 접촉 계합부 26, 35 절결 계합부
27, 36 계지부 28, 37 계지 해제 조작부
29, 38 납땜부 39, 40 절결 오목부
51 고정부 52 굴곡 암부(arm portion)
53 접점부

Claims (7)

  1. 판상 부재 삽입부가 설치되어 배선 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연결되는 상태를 취하고, 배선 판상 부재가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촉 단자부에 접촉접속되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배선 판상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삽입되었을 때, 이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행하는 계지 상태와 상기 계지를 해제하는 계지 해제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계합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뻗는 가동 암부를 가지고, 이 가동 암부에,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배선 판상 부재에 있어서의 계합부에 계합하여 상기 배선 판상 부재를 계지하는 계지부와, 상기 가동 암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 조작이 가해질 때, 상기 가동 암부에 상기 계지부에 의한 상기 배선 판상 부재에 대한 계지를 해제시키는 계지 해제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가,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뻗어 상기 배선 기판에 설치된 도체 부분에 납땜되는 납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한 벌의 대향 단면부의 일방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 단자에 납땜되고, 상기 납땜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한 벌의 대향 단면부의 타방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선 기판에 설치된 도체 부분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부의 일부에 있어서의 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계지 해제 조작부의 주위에 절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가동 암부가, 상기 기부로부터 접어 꺾은 굴곡부를 통해 뻗고, 상기 접어 꺾은 굴곡부에 이어져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는 상태를 취하는 접촉 계합 부분과 상기 계지부와 상기 계지 해제 조작부가 형성된 요동 가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암부에 있어서의 상기 계지부가, 상기 하우징으로의 상기 판상 부재 삽입부를 통한 배선 판상 부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승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고, 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부분을 상기 배선 판상 부재에 설치된 계합부에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10077570A 2011-08-04 2011-08-04 커넥터 장치 KR101178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570A KR101178022B1 (ko) 2011-08-04 2011-08-04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570A KR101178022B1 (ko) 2011-08-04 2011-08-04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022B1 true KR101178022B1 (ko) 2012-08-29

Family

ID=4688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570A KR101178022B1 (ko) 2011-08-04 2011-08-04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0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5448A (ja) 2009-03-24 2010-10-07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5448A (ja) 2009-03-24 2010-10-07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170B1 (ko) 커넥터 장치
JP5141923B2 (ja) コネクタ装置
KR101282491B1 (ko) 커넥터 장치
KR101138124B1 (ko) 커넥터 장치
KR101297967B1 (ko) 커넥터 장치
JP5741828B2 (ja) コネクタ装置
KR101192903B1 (ko) 커넥터 장치
JP5729553B2 (ja) コネクタ装置
JP5141924B2 (ja) コネクタ装置
KR20130103349A (ko) 커넥터 장치
JP5811341B2 (ja) コネクタ装置
JP5825472B2 (ja) コネクタ装置
JP6281698B2 (ja) コネクタ装置
JP4989534B2 (ja) コネクタ
KR101178022B1 (ko) 커넥터 장치
JP2014179300A (ja) コネクタ装置
JP2015011889A (ja)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TWI474565B (zh) Connector device
KR101235416B1 (ko) 커넥터 장치
JP5780396B2 (ja) コネクタ装置
JP5854272B2 (ja) コネクタ装置
JP5839196B2 (ja) コネクタ装置
JP6212776B2 (ja)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5967359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5015080A (ja)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