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074B1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074B1
KR101786074B1 KR1020100122276A KR20100122276A KR101786074B1 KR 101786074 B1 KR101786074 B1 KR 101786074B1 KR 1020100122276 A KR1020100122276 A KR 1020100122276A KR 20100122276 A KR20100122276 A KR 20100122276A KR 101786074 B1 KR101786074 B1 KR 101786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ubstrate
connector
slit
main bod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650A (ko
Inventor
원주연
이용순
문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074B1/ko
Priority to US13/086,518 priority patent/US8408928B2/en
Publication of KR2012008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6Assembling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는 연성 기판을 수용하여 연성 기판으로부터 외부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작부, 지지부, 접촉 단자들, 및 외피부를 포함한다. 동작부는 전면에 슬릿을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양단에 위치한 피봇부를 포함한다. 슬릿은 연성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수용한다. 본체는 슬릿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피봇부는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한다. 동작부는 피봇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래의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을 대신하여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기 영동 표시 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등을 비롯한 다양한 표시 장치가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화상을 제어하는 제어부에서 나오는 화상 신호를 표시 패널이 인식할 수 있는 구동 신호로 바꿔주는 변환 장치가 필요하며, 상기 제어부와 상기 변환 장치는 커넥터를 통해 연결한다.
상기 표시 패널이 점점 대형화되고 고해상도로 바뀜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과 제어부 사이에는 고속 전송 방식으로 대용량의 신호가 전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 기판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성 기판이 커넥터에 용이하게 장착된 표시 장치를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연성 기판을 수용하여 상기 연성 기판으로부터 외부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는 동작부, 지지부, 접촉 단자들, 및 외피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부는 전면에 슬릿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에 위치한 피봇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릿은 상기 연성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수용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피봇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한다. 상기 동작부는 상기 피봇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동작부의 전면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상기 접촉 단자들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슬릿 내부로 돌출된다.
상기 동작부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연성 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서 상기 연성 기판을 고정한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접촉 단자들 각각은 상기 연성 기판에 접촉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접촉단자들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의 기저홀들이 형성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와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층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층부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기저부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기저부의 일부와 중첩한다. 상기 기저부와 상기 상층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동작부의 전면으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상기 외피부는 상기 동작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부를 감싼다.
상기 외피부는 바닥부, 제1 측벽, 제2 측벽 및 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기판 면과 평행하다.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인접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인접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 측벽으로부터 상기 기판 면에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동작부의 회전 각을 한정한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기판 면이 이루는 각도는 30°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외피부는 상기 제2 측벽에 인접하고,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동작부 방면으로 돌출된 압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히 연성 기판을 상기 커넥터에 삽입하고 상기 커넥터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상기 연성 기판과 상기 커넥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접착 공정 없이 기판과 커넥터 사이를 간단하게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동작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동작부에 연성 기판을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동작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커넥터의 실장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연성 기판과 외부 장치 사이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성 기판과 상기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성 기판은 화상 신호를 비롯한 다양한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제공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성 기판은 일반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성 기판으로서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연성 회로 기판을 예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기판은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장치 이외의 장치에 사용되는 연성을 가지는 연성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일 수 있다. 상기 연성 기판은 판상으로 제공되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성 기판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된 부분의 말단은 직각의 모서리들을 갖는 사각형 판상으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커넥터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외부 장치(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장착된다는 것을 가정하였을 때,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이 삽입될 슬릿의 개구 방향이 앞 방향 또는 제1 방향(D1), 상기 앞 방향의 반대 방향이 후 방향 또는 제2 방향(D2)으로 지칭된다. 상기 커넥터의 연장 방향 중 하나는 좌측 방향 또는 제3 방향(D3), 다른 하나는 우측 방향 또는 제4 방향(D4)로 지칭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가 장착되는 상기 외부 장치의 일면은 이하 기판 면으로 지칭한다. 상기 기판 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로의 방향은 상부 방향 또는 제5 방향(D5), 그 반대 방향이 하부 방향 또는 제6 방향(D6)으로 지칭된다. 또한, 여기서,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 요소에 있어서, 상기 각 방향들에 대응하는 면은 상기 방향들에 따라 전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및 하면으로 지칭된다. 상기 방향은 각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어를 사용하여 각 구성 요소의 방향을 나타냈다고 할지라도 상기 각 구성 요소의 실제 위치를 절대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방향은 상기 커넥터의 부착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체결하고자 하는 연성 기판을 제외하고 커넥터만을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접촉 단자들(70)접촉 단자들(70)과, 상기 접촉 단자들(70)을 지지하는 지지부(50), 연성 기판(미도시)을 수용하여 상기 접촉 단자들(70)에 접촉시키는 동작부(30), 및 상기 지지부(50)와 상기 동작부(30)의 일부를 감싸는 외피부(1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동작부(30), 지지부(50), 접촉 단자들(70), 및 외피부(10)를 도면과 함께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동작부(30)는 상기 연성 기판이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동작부(30)는 대략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기 동작부(30)는 전기적 절연재로 형성된다. 상기 동작부(30)를 이루는 물질은 절연재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질의 일 예로서 테플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프렌 등의 고분자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동작부(30)는 상기 물질을 이용하여 몰딩 등의 제조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작부(30)는 상기 길이 방향, 즉, 제3 및 제4 방향(D3, D4)으로 길게 연장된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상기 제3 및 제4 방향(D3, D4)의 단부에 제공된 피봇부(35L, 35R)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1)는 전면에 상기 제2 방향(D2)으로 깊이를 갖고 상기 제3 및 제4 방향(D3, D4)으로 연장된 슬릿(39)을 갖는다. 상기 슬릿(39)는 상기 연성 기판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다. 상기 슬릿(39)은 상기 연성 기판의 외부 형상과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성 기판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 사각 판상일 경우 상기 수용 공간 또한 상기 연성 기판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여 좌우로 긴 사각 판상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위아래 폭이 좁고 좌우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39)은 상기 제1 방향(D1)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동작부(30)는 상기 피봇부(35L, 35R)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슬릿(39)의 개구 방향은 회전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상기 슬릿(39)의 폭은 상기 본체(31)의 폭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슬릿(39)은 상기 본체(31)를 관통하는 홀이 아니라, 소정 깊이를 갖는 홈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본체(31)는 상기 슬릿(39)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슬릿(39)의 하부에 제공된 기저부(31B)와, 슬릿(39)의 상부에 제공된 상층부(31T)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저부(31B)의 상면은 편평하게 제공된다. 상기 기저부(31B)는 상기 기저부(31B)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기저 홀(31H)과 상기 기저부(31B)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교차 돌기(31P)를 포함한다. 상기 기저 홀들(31H)은 후술할 접촉 단자들(70)이 배치될 공간이다. 상기 제1 교차 돌기(31P)는 상기 동작부(30)와 상기 지지부(50)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한다.
상기 상층부(31T)는 상기 슬릿(39)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저부(31B)와 마주본다. 상기 기저부(31B)와 상기 상층부(31T)는 슬릿(39)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층부(31T)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기저부(31B)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상기 기저부(31B)의 전면으로부터 배면까지의 폭을 제1 폭(W1)이라고 하고, 상기 상층부(31T)의 전면으로부터 배면까지의 폭을 제2 폭(W2)이라고 하면, 제1 폭(W1)은 제2 폭(W2) 보다 크다. 이에 따라,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상층부(31T)와 중첩하지 않은 상기 기저부(31B)의 일부 영역은 노출된다. 상기 제1 폭(W1)이 상기 제2 폭(W2)보다 큰 이유는 이후 연성 기판이 상기 슬릿(39)에 장착될 때 상기 기저부(31B)의 상면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층부(31T)의 하면은 굴곡진 면으로 제공된다. 상기 상층부(31T)의 하면은 기판 면(미도시)과 소정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릿(39)은 상기 제1 방향(D1) 쪽의 상하 폭이 크고 상기 제2 방향(D2) 쪽의 상하 폭이 작다. 즉, 상기 기저부(31B)와 상기 상층부(31T)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방향(D2)로 갈수록 작아진다. 상기 상층부(31T)의 전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31B)와 상기 상층부(31T) 사이의 거리를 제1 거리(d1)라 하고, 상기 상층부(31T)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부(31B)와 상기 상층부(31T) 사이의 거지를 제2 거리(d2)라고 하면, 상기 제1 거리(d1)는 상기 제2 거리(d2)보다 크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기저부(31B)와 상기 상층부(31T) 사이의 거리가 상기 슬릿(39)의 입구 부분에서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성 기판이 상기 슬릿(39)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 상층부(31T)의 상면에는 후술할 외피부(10)의 제2 덮개부(17B)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33)가 구비된다. 상기 오목부(33)는 상기 상층부(31T)의 상기 제2 덮개부(17B) 사이를 이격시켜, 이후 동작부(3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피봇부(35L, 35R)는 상기 본체(31)의 제3 방향(D3)의 단부에 제공된 제1 피봇(35L)과 상기 본체(31)의 제4 방향(D4)의 단부에 제공된 제2 피봇(35R)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피봇(35L) 및 제2 피봇(35R)은 상기 동작부(3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전체가 원통형으로 제공되거나, 일부분이 원통의 형상을 갖도록 제공된다. 상기 동작부(30)는 상기 제1 피봇(35L)과 상기 제2 피봇(35R)을 잇는 선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한다. 상기 동작부(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넥터는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다. 상기 닫힌 상태는 상기 기저부(31B)의 상면이 상기 기판 면과 평행한 상태로서, 만약 상기 연성 기판이 상기 슬릿(39)에 삽입된 상태라면 상기 연성 기판과 상기 접촉 단자들(7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열린 상태는 상기 동작부(30)가 회전하여 상기 기저부(31B)의 상면이 상기 기판 면과 평행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상기 연성 기판이 상기 슬릿(39)에 삽입되었을지라도 상기 연성 기판과 상기 체결 단자들(7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접촉 단자들(7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동작부(30)의 전면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50)는 전기적 절연재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50)을 이루는 물질은 절연재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질의 일 예로서 테플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프렌 등의 고분자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물질을 이용하여 몰딩 등의 제조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는 제3 및 제4 방향(D3, D4)으로 길게 연장된 접촉 단자 고정부(51)와, 상기 접촉 단자 고정부(51)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연장부(55)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단자 고정부(51)는 복수의 단자 홀들(51H)과 제2 교차 돌기(51P)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홀들(51H)은 상기 접촉 단자 고정부(51)의 전면과 상기 접촉 단자의 배면을 관통한다. 상기 단자 홀들(51H)에는 상기 접촉 단자들(70)이 일 대 일로 제공된다.
상기 제2 교차 돌기(51P)는 상기 접촉 단자 고정부(51)의 배면에 상기 제1 교차 돌기(31P)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접촉 단자 고정부(51)의 배면은 상기 동작부(30)의 전면과 마주 본다. 상기 제2 교차 돌기(51P)는 상기 제1 교차 돌기(31P)에 상하로 엇갈려서 마주보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1 교차 돌기(31P)와 상기 제2 교차 돌기(51P)는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일부가 서로 중첩한다. 상기 동작부(30)가 닫힌 경우에는 상기 제2 교차 돌기(51P)는 상기 제1 교차 돌기(31P)보다 상부에 제공되며, 그 결과 상기 제2 교차 돌기(51P)가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상기 동작부(30)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연장부(55)는 상기 외피부(10)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접촉 단자들(70)을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55)는 그 상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55P)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단자들(70)은 상기 연성 기판에 접촉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단자들이다. 상기 접촉 단자들(70)은 상기 기저 홀(31H)에 일 대 일 대응하여 상기 기저 홀(31H) 내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 단자들(70)은 상기 제3 및 제 4 방향(D3, D4)으로 배열된다.
각 접촉 단자(70)는 제1 접촉부(71)과, 상기 제1 접촉부(71)에 연결된 연결부(75), 및 상기 연결부(75)에 연결된 제2 접촉부(7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부(71)는 상기 기저 홀(31H)을 관통해 상기 슬릿(39) 내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1 접촉부(71)는 상기 동작부(30)가 닫혔을 때 상기 연성 기판과 접촉된다. 상기 제1 접촉부(71)는 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절곡되어 있어, 상기 제1 접촉부(71)은 상기 제6 방향(D6)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5 방향(D5)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릿(39)에 연성 기판이 삽입되고 나서 상기 동작부(30)가 닫히는 경우,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부(71)와 상기 연성 기판의 하면이 단단하게 접촉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연성 기판이 고정된다.
상기 제2 접촉부(73)는 상기 지지부(5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제2 접촉부(73)는 상기 기판의 배선에 납땜 등의 방법으로 접촉된다.
상기 연결부(75)는 상기 지지부(50)의 단자 홀(51H) 내에 제공된다.
상기 외피부(10)는 상기 동작부(30)와 상기 지지부(50)의 외부에서 상기 동작부(30)와 상기 지지부(50)를 수용한다. 상기 외피부(10)는 상기 동작부(30)와 상기 지지부(5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피부(10)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피부(10)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에 연결된 측벽들(13A, 13B), 상기 측벽들(13A, 13B)에 인접하여 상기 바닥부(11)에 연결된 압입부(15), 및 상기 측벽들(13A, 13B)에 연결된 덮개부들(17A, 17B)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들(13A, 13B)은 제1 측벽(13A) 및 제2 측벽(13B)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들(17A, 17B)은 상기 제1 측벽(13A)에 연결된 제1 덮개부(17A), 상기 제2 측벽(13B)에 연결된 제2 덮개부(17B)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1)는 상기 기판 면과 평행하며, 상기 지지부(50)와 상기 동작부(30)의 하부면의 형상과 유사하게, 상기 제3 및 제4 방향(D3, D4)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상기 바닥부(11)는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측벽(13A)은 상기 동작부(30) 본체(31)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바닥부(1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상기 제1 측벽(13A)에는 상기 기판과의 접착을 위한 결합 돌기(19)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9)는 상기 기판에 납땜 등으로 접착되어 상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 상에 단단히 고정한다.
상기 제1 덮개부(17A)는 상기 제1 측벽(13A)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기판 면과 평행한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상기 제1 덮개부(17A)는 그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17H)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17H)은 상기 지지부(50)를 상기 외피부(10)에 결합할 때 상기 외피부(10)로부터 상기 지지부(5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외피부(10)에 상기 제2 방향(D2) 으로 삽입되는 바, 상기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 돌기(55P)는 상기 관통홀(17H)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돌기(55P)는 상기 지지부(50)가 상기 외피부(10)에 상기 제2 방향(D2)으로 삽입될 때는 걸림턱으로 작용하지 않고, 상기 지지부(50)가 상기 외피부(10)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탈하는 경우에는 걸림턱으로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방향(D1)으로 순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진다. 그 결과, 상기 외피부(10)로부터 상기 지지부(5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제2 측벽(13B)은 상기 동작부(30) 본체(31)의 배면에 인접하여 상기 바닥부(11)로부터 상기 제5 방향(D5)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상기 제2 덮개부(17B)는 상기 제2 측벽(13B)에 연결되며 상기 기판 면과 평행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상기 제2 덮개부(17B)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동작부(30)의 본체(31)와 일부 영역에서 중첩한다. 상기 제2 덮개부(17B)는 상기 동작부(30)의 본체(31)가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제2 덮개부(17B)는 예를 들어, 상기 동작부(30)가 상기 기판 면을 기준으로 40°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동작부(30)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2 덮개부(17B)는 상기 동작부(30)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압입부(15)는 상기 본체(31)의 배면에 대향하며 상기 바닥부(1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상기 압입부(15)는 1회 이상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돌출된다. 상기 절곡에 의해 상기 제2 방향(D2)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압입부(15)는 상기 동작부(30)를 전면 방향으로 밀어 상기 동작부(30)가 상기 외피부(10) 내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교차 돌기(31P)와 상기 제2 교차 돌기(51P)에 의해 상기 동작부(3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커넥터는 상기 동작부(30)를 닫거나 열어, 상기 연성 기판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분리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동작부(30)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동작부(30)의 위치를 제1 위치라고 하고, 상기 동작부(30)가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동작부(30)의 위치를 제2 위치로 한다.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동작부(30)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다.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기판 면과 상기 기저부(31B)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가 0°이다.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기판 면과 상기 기저부(31B)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가 0°이 아닌 소정 값을 갖는다.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위치면 어느 위치라도 상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상기 동작부(30)가 최대로 회전하였을 때의 위치를 제2 위치로 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연성 기판을 체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3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30)에 상기 연성 기판(400)을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3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로서, 상기 연성 기판(400)이 상기 커넥터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기 연성 기판(400)은 절연 필름(410)과 상기 절연 필름(410) 상에 구비된 금속층(420)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층(420)은 구현하고자 하는 회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패터닝되어 구비된다. 상기 금속층(420)은 구리, 니켈, 금, 크롬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층(420)은 상기 금속의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금속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층(420)은 상기 절연 필름(410)의 일면 또는 양면 모두에 형성이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6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일면에 금속층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절연 필름(410)은 절연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재로는 고분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필름(410)을 이루는 상기 고분자 수지로는 폴리이미드와 폴리에스테르 등이 있다. 상기 금속층(420) 상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금속층(420)을 보호하는 보호층(4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연성 기판(400)과 상기 커넥터가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연성 기판(400)과 상기 커넥터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보호층이 구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기판(40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접촉되는 부분이 단부일 경우 상기 단부에는 보호층(430)이 없으며 금속층(420)이 외부로 노출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커넥터에 상기 연성 기판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동작부(30)에 상기 연성 기판(40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동작부(30)를 최대한 회전시켜 상기 동작부(30)를 제2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동작부(30)는 상기 제2 덮개부(17B)와 접촉할 때까지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덮개부(17B)에 의해 상기 동작부(30)의 최대 회전각이 정해진다. 상기 제2 덮개부(17B)가 없는 경우 상기 동작부(30)가 회전하는 각도가 특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연성 기판(400)을 상기 슬릿(39)에 삽입하기가 오히려 어려워진다. 상기 제2 덮개부(17B)는 상기 동작부(30)가 상기 연성 기판(400)이 삽입되기 쉬운 각도가 되도록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는 예를 들어, 약 30° 내지 40° 범위에 있을 수 있으며, 약 34°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저부(31B)의 상기 제1 교차 돌기(31P)는 상기 지지부(50)의 상기 제2 교차 돌기(51P)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슬릿(39)에 상기 연성 기판(400)이 삽입된다. 상기 슬릿(39)은 입구 부분이 넓고 상기 동작부(30)의 배면 방향으로 갈수록 내부가 좁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연성 기판(400)은 상기 슬릿(39)의 입구에 용이하게 안착되며, 상기 슬릿(39)의 입구로부터 상기 동작부(30)의 배면 방향으로 상기 슬릿(39)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이때, 상기 연성 기판(400)은 상기 커넥터의 체결시 상기 접촉 단자들(7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금속층(420)이 하부에 위치한다.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커넥터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연성 기판(400)이 삽입된 상기 동작부(30)를 상기 제6 방향(D6)으로 압력(P)을 가한다. 상기 동작부(30)는 상기 압력(P)에 의해 회전되어 제1 위치로 돌아가며,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는 닫힌 상태가 된다.
상기 커넥터가 닫히는 경우 상기 제1 교차 돌기(31P)는 상기 제2 교차 돌기(51P)보다 하부에 제공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동작부(30)는 상기 압입부(15)에 의해 전방으로 힘을 받는다. 그 결과, 상기 제1 교차 돌기(31P)와 상기 제2 교차 돌기(51P)가 맞물리게 되며, 상기 제2 교차 돌기(51P)가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상기 동작부(30)가 다시 회전하여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성 기판(400)이 상기 커넥터에 체결되면, 상기 접촉 단자(70) 각각은 상기 연성 기판(400)의 하면과 접촉한다. 상기 접촉 단자들(70)은 상기 연성 기판(400)에 의해 상기 제6 방향(D6)으로 압력을 받기 때문에 상기 제5 방향(D5)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성 기판(400)은 상기 동작부(3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 단자들(7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접착없이 기판과 커넥터 사이를 단단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OLB(outer lead bonding)과 같은 접착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기 연성 기판(400)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이 가능하다. OLB와 같은 접착 방식은 고가의 접착 장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연성 기판(400)을 인쇄 회로 기판에 접착 시 기판과 인쇄 회로 기판의 정렬 시간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단순히 삽입과 체결만으로 상기 연성 기판(400)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연결 과정이 단순함은 물론 물론 원가가 절감되고 공정 시간이 단축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는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연결기에 속하며,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곳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표시 패널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커넥터의 실장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상술한 내용 중 구별되는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이 생략되거나 요약된 부분은 상기 커넥터에 대한 설명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인쇄 회로 기판(200) 상기 표시 패널(100)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 사이에 구비된 연성 기판(400),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에 실장되어 상기 연성 기판(400)을 연결하는 커넥터(1)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500)이 제공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에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회로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패널(100)에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구동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의 접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에 납땜 등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1)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연성 기판(400)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에서 출력한 구동 신호를 상기 표시 패널(10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성 기판(400)의 일단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일측에 접착되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의 상기 커넥터(1)에 체결되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성 기판을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상기 커넥터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방식으로 결합하므로,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커넥터의 연결이 간단하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연성 기판과 인쇄 회로 기판의 연결 방법인 본딩에 비해, 본딩의 들뜸이나 크랙 등의 불량이 없고 연결 과정에 있어서의 소요 시간 및 설치 비용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 연성 기판은 상기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 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기판 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삽입하므로 연성 기판의 삽입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소요 시간 및 비용이 감소함과 동시에 생산성이 높아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 커넥터 10 : 외피부
11 : 바닥부 13A : 제1 측벽
13B : 제2 측벽 15 : 압입부
17A : 제1 덮개부 17B : 제2 덮개부
30 : 동작부 31 : 본체
31B : 기저부 31P : 제1 교차 돌기
31T : 상층부 35L : 제1 피봇
35R : 제2 피봇 39 : 슬릿
50 : 지지부 51 : 접촉 단자 고정부
51H : 단자 홀 51P : 제2 교차 돌기
55 : 연장부 55P : 고정 돌기
70 : 접촉 단자 71 : 제1 접촉부
73 : 제2 접촉부 73 : 연결부
100 : 표시 패널 200 : 인쇄 회로 기판
400 : 연성 기판 410 : 절연 필름
420 : 금속층 430 : 보호층
500 : 백라이트 유닛

Claims (20)

  1. 기판 면에 장착되어 연성 기판을 수용하여 상기 연성 기판으로부터 상기 기판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전면에 상기 연성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수용하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한 피봇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동작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동작부의 전면에 인접하여 제공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슬릿 내부로 돌출된 복수의 접촉 단자들; 및
    상기 동작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부를 감싸는 외피부를 포함하며,상기 동작부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연성 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서 상기 연성 기판을 고정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접촉 단자들 각각은 상기 연성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외피부 내에서 상기 동작부가 회전하고, 상기 외피부는 상기 동작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접촉 단자들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의 기저홀들이 형성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와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층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층부의 폭은 상기 기저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와 상기 상층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동작부의 전면으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각 접촉 단자는 상기 기저홀을 통해 상기 슬릿 내부로 돌출된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와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기판 면은 상기 제2 위치에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교차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교차 돌기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교차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교차 돌기는 상기 제2 교차 돌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교차 돌기는 상기 제2 교차 돌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상기 기판 면과 평행한 바닥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인접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측벽;
    상기 본체의 배면에 인접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으로부터 상기 기판 면에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동작부의 회전 각을 한정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기판 면이 이루는 각도는 3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상기 본체의 배면에 인접하고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동작부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된 압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상기 기판 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면에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구비된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관통홀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어 체결된 연성 기판; 및
    상기 연성 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연성 기판을 통해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전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전면에 제1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연성 기판을 수용하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한 피봇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동작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동작부의 전면에 인접하여 제공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슬릿 내부로 돌출된 복수의 접촉 단자들; 및
    상기 동작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부를 감싸는 외피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부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연성 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서 상기 연성 기판을 고정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접촉 단자들 각각은 상기 연성 기판에 접촉하고,
    상기 외피부 내에서 상기 동작부가 회전하고, 상기 외피부는 상기 동작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접촉 단자들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의 기저홀들이 형성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와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층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층부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기저부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기저부의 일부와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접촉 단자들 각각이 관통하는 복수의 기저홀들이 형성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와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층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부와 상기 상층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동작부의 전면으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기판 면은 상기 제2 위치에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기판 면과 평행한 바닥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인접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측벽;
    상기 본체의 배면에 인접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으로부터 상기 기판 면에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동작부의 회전 각을 한정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기판 면이 이루는 각도는 3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측부에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과 평행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00122276A 2010-12-02 2010-12-02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86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76A KR101786074B1 (ko) 2010-12-02 2010-12-02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3/086,518 US8408928B2 (en) 2010-12-02 2011-04-14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76A KR101786074B1 (ko) 2010-12-02 2010-12-02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650A KR20120081650A (ko) 2012-07-20
KR101786074B1 true KR101786074B1 (ko) 2017-11-16

Family

ID=4616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276A KR101786074B1 (ko) 2010-12-02 2010-12-02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08928B2 (ko)
KR (1) KR101786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7004B2 (ja) * 2011-02-22 2013-06-1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103166052A (zh) * 2011-12-16 2013-06-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器防松脱装置
US9402303B2 (en) 2013-06-03 2016-07-26 Apple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cables with slits
KR102091160B1 (ko) * 2013-07-29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382659B2 (en) * 2016-07-05 2019-08-13 Hanwha Techwin Co., Ltd. Surveillance camera system
JP6841290B2 (ja) 2019-02-20 2021-03-10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47195B2 (ja) * 2019-02-20 2021-10-13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96521B2 (ja) 2019-02-20 2022-01-17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M608614U (zh) * 2020-11-09 2021-03-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按壓解鎖結構之易鎖連接器
TWM616284U (zh) * 2021-03-03 2021-09-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超薄型易鎖易解鎖連接器
CN113347790B (zh) * 2021-05-24 2023-08-25 荣成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路板、电子设备及电子系统
KR20230024617A (ko) * 2021-08-12 202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1071A (en) * 1971-01-18 1972-10-24 Berg Electronics Inc Hinge type circuit board connector block
US4023878A (en) * 1975-10-23 1977-05-17 Burroughs Corporation Electrical coupling means
US4718859A (en) * 1987-03-16 1988-01-12 Molex Incorporated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US4778403A (en) * 1987-07-15 1988-10-18 Elco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US5462441A (en) * 1994-05-27 1995-10-31 Renn; Robert M.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TW471718U (en) * 2000-11-10 2002-0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2175855A (ja) 2000-12-08 2002-06-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6685495B1 (en) * 2002-12-05 2004-02-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icro coaxial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US6790074B1 (en) * 2003-03-14 2004-09-14 P-Two Industries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board
US6966784B2 (en) * 2003-12-19 2005-11-2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Flexible cable interconnect assembly
TWM268761U (en) * 2004-09-06 2005-06-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KR20070021677A (ko) 2005-08-19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그 연결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80085590A (ko) 2007-03-20 2008-09-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650A (ko) 2012-07-20
US20120142222A1 (en) 2012-06-07
US8408928B2 (en)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074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7070424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printed boards
JP5326574B2 (ja) 極細同軸線ハーネス,配線板接続体,配線板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100721320B1 (ko) 집적회로소자용 접속모듈 및 그에 적합한 집적회로소자
KR100980924B1 (ko) 중계 커넥터, 중계 커넥터와 섀시의 조립 구조, 중계 커넥터와 방전관의 조립 구조
US8242374B2 (en) Flexible-circuit-board cable with positioning structure for insertion
US7361049B2 (en) Attachment part, and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nection to same attachment part
US7988465B2 (en) Circuit board based connector with raised projection section
US20100112832A1 (en) Connector
US20110195589A1 (en) Socket connector having a recess provided with a spring member on a side thereof
WO2010047141A1 (ja) メスコネクタ、それに組付けるオスコネクタ、それらを用いた電気・電子機器
US20100187005A1 (en) Flat cable fixing structure
JP2009524179A (ja) Rfコネクタ据付手段
CN113178718A (zh) 连接器以及连接装置
KR102047677B1 (ko) 플러그 커넥터
US7445462B2 (en) Method of connecting signal lines,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137134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an insulating member with a bendable section with a pair of projections
JP2007243550A (ja) 電子機器
CN113491035A (zh) 中板线缆端接组件
US8262409B2 (en) Connection terminal with a base with two upwardly extending sections with angled and oblique edges to clamp an internal conductor of a coaxial cable
JP4483258B2 (ja) コネクタ一体型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
US8525046B2 (en) Electronic apparatus
US7303431B2 (en) Connector securing apparatus
JP2012221812A (ja) コネクタ
US20110076864A1 (en)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