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529B1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529B1
KR101130529B1 KR1020100015258A KR20100015258A KR101130529B1 KR 101130529 B1 KR101130529 B1 KR 101130529B1 KR 1020100015258 A KR1020100015258 A KR 1020100015258A KR 20100015258 A KR20100015258 A KR 20100015258A KR 101130529 B1 KR101130529 B1 KR 101130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printed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nductive pa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603A (ko
Inventor
나오키 나카무라
시게루 스기노
노부오 다케토미
료 가나이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05K1/0281Reinforcement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09Staggered pads, lands or terminals; Parallel conductors in different pl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27Varying width along a single conductor; Conductors or pads having different width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09Reinforced areas, e.g. for a specific part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 패턴의 크랙을 억제할 수 있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 도전 패드(47, 47) 사이에서 제1 배선 패턴(43)은 비교적 작은 제3 폭(W3)으로 연장된다. 보강층(54)은, 비교적 크랙을 발생시키기 쉬운 제1 도전 패드(42) 및 제1 배선 패턴(43)의 경계를 포함하는 보강 영역(A)을 보강한다. 이렇게 하여 보강층(54)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을 부분적으로 보강한다. 보강 영역(A)에서 응력의 생성은 억제된다. 제1 배선 패턴(43)에서 크랙의 발생은 억제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강도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전면에 걸쳐 평균화된다. 또한 보강 영역(A)의 외측에서는 제1 및 제2 도전 패드(42, 47)는 비교적 큰 제1 폭(W1) 및 제2 폭(W2)을 규정한다. 따라서, 보강 영역(A)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 도전 패드(42, 47)에 응력이 생성되어도, 크랙의 발생은 억제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FLEXIBLE PRINTED BOARD, RIGID FLEXIBLE PRINTED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기재와, 기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전 패드와, 도전 패드에 접속되는 배선 패턴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단말의 케이스에는, 예컨대 키패드의 이면에 중첩되는 돔(dome) 스위치 시트가 내장된다. 돔 스위치 시트는 예컨대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 형성된다. 돔 스위치 시트는, 마찬가지로 휴대 전화 단말에 내장되는 프린트 기판에 접속된다. 프린트 기판 위에는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접속에 있어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이용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기단은 돔 스위치 시트 내에서 연장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선단은 프린트 기판 위의 커넥터에 삽입된다. 키패드는 프린트 기판 위의 전자부품에 접속된다.
커넥터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의 정면에는 하우징의 폭 방향을 따라 삽입구가 구획된다. 삽입구 안에는 도전 단자가 상향으로 배치된다. 하우징에는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축 둘레로 요동할 수 있게 록킹 판(locking plate)이 연결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선단이 삽입구에 삽입되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도전 패드는 도전 단자에 탄성적으로 수용된다. 요동에 기초하여 록킹 판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표면에 압박된다. 이렇게 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록킹 판 및 도전 단자 사이에 끼워진다.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평6-85420호공보 특허문헌2일본특허공개평9-92949호공보 특허문헌3일본특허공개평10-117049호공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의 소형화나 박형화에 수반하여 도전 패드의 수의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공간은 증대하지 않는다. 그 결과, 도전 단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폭 방향으로 예컨대 2열로 배열된다. 전측의 도전 단자에 접속되는 배선 패턴은 후측의 도전 단자 사이에 배치된다. 그 결과, 배선 패턴의 폭은 현저히 좁혀진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삽입시, 록킹 판의 요동에 기초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는 록킹 판의 후단으로부터 압박력이 작용한다. 배선 패턴과 도전 패드의 경계에서 큰 응력이 생성되면, 크랙에 기초하여 배선 패턴에 단선이 생겨 버린다. 응력이 큰 경우에는 도전 패드도 단선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배선 패턴의 크랙을 억제할 수 있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 구체예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서 전단(前端)으로부터 가상 직선보다 전(前)측에 배치되는 후단까지 제1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상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도전 패드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서 상기 가상 직선보다 후측에 배치되는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제2폭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상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도전 패드와, 상기 제2 도전 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폭 및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제3 폭으로, 대응하는 상기 제1 도전 패드의 후단에 접속되는 전단까지 연장되는 제1 배선 패턴과, 상기 제1 도전 패드의 후단보다 전방에서 전측 가장자리를 규정하면서 상기 제2 도전 패드의 전단보다 후방에서 후측 가장자리를 규정하며 상기 제1 도전 패드 및 상기 제2 도전 패드 위에서 연장되는 보강 영역을 보강하는 보강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서는, 제2 도전 패드 사이에서 제1 배선 패턴은 비교적 작은 제3 폭으로 연장된다. 보강층은, 비교적 크랙을 발생시키기 쉬운 제1 도전 패드 및 제1 배선 패턴의 경계를 포함하는 보강 영역을 보강한다. 이렇게 하여 보강층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부분적으로 보강한다. 보강 영역에서 응력의 생성은 억제된다. 제1 도전 패드 및 제1 배선 패턴의 경계에서 크랙의 발생은 억제된다. 이렇게 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강도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전(全)면에 걸쳐 평균화된다. 한편, 보강 영역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 도전 패드는 비교적 큰 제1 폭 및 제2 폭을 규정한다. 따라서, 보강 영역의 외측에서 휘어짐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도전 패드에서 응력이 생성되어도, 제1 및 제2 도전 패드에서 크랙의 발생은 가능한 한 억제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다른 구체예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서 전단으로부터 가상 직선보다 전측에 배치되는 후단까지 제1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상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도전 패드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서 상기 가상 직선보다 후측에 배치되는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제2 폭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상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도전 패드와, 상기 제2 도전 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폭 및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제3 폭으로, 대응하는 상기 제1 도전 패드의 후단에 접속되는 전단까지 연장되는 제1 배선 패턴과, 상기 제1 도전 패드의 후단보다 전방에서 전측 가장자리를 규정하면서 상기 제2 도전 패드의 후단보다 후방에서 후측 가장자리를 규정하고 상기 제1 도전 패드 및 상기 제1 배선 패턴 위에서 연장되는 보강 영역을 뒷받침하는 보강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의하면, 전술과 같은 작용 효과가 실현된다.
이상과 같이 개시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의하면, 배선 패턴의 크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기기의 일 구체예 즉, 휴대 전화 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휴대 전화 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프린트 기판 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선 6-6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선 7-7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록킹 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커넥터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커넥터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커넥터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록킹 판이 록킹 위치를 향해 요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록킹 판이 록킹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다른 구체예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일 변형예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 구체예 즉, 휴대 전화 단말(11)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휴대 전화 단말(11)은 키 조작부(12)와 화상 표시부(13)를 구비한다. 키 조작부(12)의 일단과 화상 표시부(13)의 일단은 임의의 수평축(14) 둘레로 연결된다. 화상 표시부(13)는 키 조작부(12)에 대하여 수평축(14) 둘레로 요동할 수 있다.
키 조작부(12)는 본체 케이스(15)를 구비한다. 본체 케이스(15) 안에는 후술하는 기판 모듈이 내장된다. 기판 모듈에는 예컨대 연산 처리 회로나 메모리라고 하는 처리 회로가 내장된다. 본체 케이스(15)에는 수평축(1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탄면이 규정된다. 이 평탄면에는 온 후크 버튼이나 오프 후크 버튼, 다이얼 키라고 하는 조작 버튼(16)이 매립된다. 조작 버튼(16)의 조작에 따라서 처리 회로는 여러 가지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표시부(13)는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7)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7)에는 수평축(1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탄면이 규정된다. 이 평탄면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 유닛(18)이라고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이 내장된다. 평탄면에는 디스플레이용 개구(19)가 구획된다. LCD 패널 유닛(18)의 화면은 디스플레이용 개구(19)와 마주한다. LCD 패널 유닛(18)의 화면에는 처리 회로의 처리 동작에 따라서 여러 가지 텍스트나 그래픽이 표시된다.
화상 표시부(13)의 평탄면 및 수평축(14)의 위치 관계는 키 조작부(12)의 평탄면 및 수평축(14)의 위치 관계를 반영한다. 그 결과, 화상 표시부(13)가 키 조작부(12)에 대하여 수평축(14) 둘레로 요동하면, 화상 표시부(13) 및 키 조작부(12)는 평탄면끼리로 중첩된다. 이렇게 하여 휴대 전화 단말(11)은 절첩된다. 조작 버튼(16)이나 LCD 패널 유닛(18)은 보호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5)의 수용 공간에는 메인 기판 모듈(21)이 수용된다. 메인 기판 모듈(21) 위에는 한 쌍의 서브 기판 모듈(22, 23)이 병렬로 배치된다. 메인 기판 모듈(21)은 예컨대 수지제의 프린트 기판(24)을 구비한다. 프린트 기판(24)의 표면에는 전자 부품(25)이 실장된다. 전자 부품(25)에는 연산 처리 회로나 메모리라고 하는 처리 회로가 포함된다.
서브 기판 모듈(22)은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6)을 구비한다.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6)의 표면에는 개개의 조작 버튼(16) 마다 돔 스위치(26a)가 형성된다. 조작 버튼(16)은 대응하는 돔 스위치(26a)에 관련된다. 조작 버튼(16)에 압박력이 가해지면, 대응하는 돔 스위치(26a)는 닫힌다. 서브 기판 모듈(23)은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7)을 구비한다.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7)에는 전자 부품(28)이 실장된다.
도 3을 더불어 참조하면,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6, 27)은 가요성을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을 구비한다. 서브 기판 모듈(22, 23)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으로 메인 기판 모듈(21)에 접속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기단은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6, 27) 내에서 예컨대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6, 27)의 윤곽과 동일한 윤곽으로 연장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선단은, 프린트 기판(24)의 표면에 실장되는 커넥터(31)에 접속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31)는 수지제의 하우징(32)을 구비한다. 하우징(32)은 예컨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길이 방향으로 규정되는 하우징(32)의 양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33, 33)가 구획된다. 가이드(33, 33) 사이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이 배치된다. 가이드(33)는 내측단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옆 가장자리를 수용한다. 이렇게 하여 가이드(33, 33)는 횡방향으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을 위치 결정한다. 가이드(33, 33)에는 요동축(34) 둘레로 예컨대 수지제의 록킹 판(35)이 요동할 수 있게 연결된다. 록킹 위치의 록킹 판(35)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표면에 수용된다. 요동축(34)은 하우징(32)의 길이 방향으로 규정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32)에는 복수의 제1 도전 단자(37)가 내장된다. 제1 도전 단자(37)는 하우징(32)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제1 거리에 상향의 접점(37a)을 구획한다. 도 6을 더불어 참조하면, 하우징(32)에는 복수의 제2 도전 단자(38)가 삽입된다. 제2 도전 단자(38)는 하우징(32)의 전단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에 상향의 접점(38a)을 구획한다. 제1 및 제2 도전 단자(37, 38)는 하우징(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다. 서로 인접하는 제1 및 제2 도전 단자(37, 38)는 하우징(32)의 수지 재료로 서로 절연된다. 접점(37a, 38a)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표면이 수용된다.
접점(37a, 38a) 사이에서 하우징(32)에는 삽입구(39)가 구획된다. 삽입구(39)는 하우징(32)의 상부판의 전단으로 규정된다. 상부판의 내향면(32a)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이면을 수용한다. 내향면(32a)은 평탄면으로 규정된다. 상부판의 전단에는 록킹 판(35)의 후단이 수용된다. 록킹 판(35)의 요동축(34)은 접점(37a) 및 접점(38a) 사이에 배치된다. 록킹 판(35)은 압박면(35a)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이면에 수용된다. 압박면(35a)은 평탄면으로 규정된다. 여기서는, 록킹 위치의 록킹 판(35)은 하우징(32)의 상부판의 내향면(32a)과 동일한 가상 평면을 따라 연장된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록킹 판(35)이 록킹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록킹 판(35) 후단의 경사면(35b)에는 제1 및 제2 도전 단자(37, 38)의 일단이 수용된다. 그 결과, 제1 및 제2 도전 단자(37, 38)는 위쪽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렇게 하여 제1 및 제2 도전 단자(37, 38)는 록킹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 결과, 접점(37a, 38a)은 미리 정해진 접촉압으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표면에 압박된다. 이렇게 하여 록킹 판(35)은 제1 및 제2 도전 단자(37, 38) 사이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을 끼워 넣는다. 이러한 접촉압에 기초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선단은 커넥터(31)에 삽입 제거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은 기재(基材)(41)를 구비한다. 기재(41)는 예컨대 폴리이미드 수지라고 하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기재(41)의 표면에는 제1 도전 패드(42)가 형성된다. 제1 도전 패드(42)의 후단에는 기재(4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배선 패턴(43)이 접속된다. 제1 도전 패드(42)는 제1 도전 단자(37)의 접점(37a)에 수용된다. 제1 도전 패드(42) 및 제1 배선 패턴(43)은 기재(41)의 표면에 접착제(44)로 접착되는 동박(45)과, 동박(45)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막(46)을 구비한다.
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기재(41)의 표면에는 제2 도전 패드(47)가 형성된다. 제2 도전 패드(47)의 전단은 제1 도전 패드(42)의 전단보다 후방으로 규정된다. 제2 도전 패드(47)의 후단에는 기재(4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2 배선 패턴(48)이 접속된다. 제2 도전 패드(47)는 제2 도전 단자(38)의 접점(38a)에 수용된다. 제2 도전 패드(47) 및 제2 배선 패턴(48)은, 기재(41)의 표면에 전술한 접착제(44)로 접착되는 동박(49)과, 동박(49) 표면에 형성되는 도금막(51)을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 배선 패턴(43, 48)에는 보호층(도시 생략)이 덮인다. 보호층은 예컨대 폴리이미드수지라고 하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기재(41)의 이면에는 보강판(52)이 형성된다. 보강판(52)의 전단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선단으로 규정된다. 보강판(52)의 후단은 제2 도전 패드(47)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규정된다. 보강판(52)은 예컨대 폴리이미드수지라고 하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보강판(52)은 접착제(53)로 기재(41)의 이면에 접착된다. 보강판(52) 및 기재(41) 사이에는 보강층(54)이 끼워 넣어진다. 보강층(54)은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여기서는, 보강층(54)은 예컨대 구리의 더미 패턴으로 형성된다. 그 외, 보강층(54)은 예컨대 전원 패턴이나 그라운드 패턴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1 도전 패드(42)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폭 방향으로 규정되는 가상 직선(L)을 따라 기재(41)의 표면에 배열된다. 제1 도전 패드(42)는 가상 직선(L)보다 전측에 후단을 배치한다. 한편, 제2 도전 패드(47)는, 기재(41)의 표면에서 가상 직선(L)을 따라 배열된다. 제2 도전 패드(47)는 가상 직선(L)보다 후측에 전단을 배치한다. 이렇게 하여 제1 도전 패드(42) 및 제2 도전 패드(47)는 가상 직선(L)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배치된다. 제1 도전 패드(42, 42…)는 전측의 도전 패드군을 구성한다. 제2 도전 패드(47, 47…)는 후측의 도전 패드군을 구성한다.
제1 도전 패드(42)는 후단으로부터 전단까지 제1 폭(W1)으로 연장된다. 한편, 제2 도전 패드(47)는 전단으로 후단까지 제2 폭(W2)으로 연장된다. 여기서는 제2 폭(W2)은 제1 폭(W1)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제1 배선 패턴(43)은, 서로 인접하는 제2 도전 패드(47, 47)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배선 패턴(43)은 제1 폭(W1) 및 제2 폭(W2)보다 작은 제3 폭(W3)으로 연장된다. 여기서는, 제1 도전 패드(42) 사이나 제2 도전 패드(47) 사이는 제1 폭(W1)으로 서로 이격된다.
보강층(54)은, 제1 도전 패드(42) 및 제2 도전 패드(47) 위에서 연장되는 보강 영역(A)을 뒷받침한다. 보강 영역(A)은 제1 도전 패드(42)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전측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동시에, 보강 영역(A)은 제2 도전 패드(47)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후측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이렇게 하여 보강 영역(A)은 가상 직선(L)을 따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폭 방향으로 균일한 폭으로 연장된다. 여기서는, 보강 영역(A)은 제1 도전 패드(42)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전측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동시에, 보강 영역(A)은 제2 도전 패드(47)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후측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요동축(34)으로부터 압박면(35a)까지의 거리(D1)로 요동축(34) 둘레에 가상 원호(A)가 그려진다. 록킹 판(35)은, 가상 원호(A)로부터 내측으로 규정되는 본체(55)와, 가상 원호(A)로부터 외측으로 규정되는 후단 부재(56)를 구획한다. 요동축(34)으로부터 후단 부재(56)까지의 거리(D2)는 거리(D1)보다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요동축(34) 둘레의 록킹 판(35)의 요동시에 후단 부재(56)의 후단에서 그려지는 이동 궤적(T)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 안에 진입한다. 따라서, 요동축(34) 둘레로의 록킹 판(35)의 요동은 규제된다. 전술한 보강층(54)은 요동축(34)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즉, 보강 영역(A)은 록킹 판(35)의 후단의 이동 궤적(T)에 중첩되는 영역으로 규정된다.
이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이 커넥터(31)에 접속되는 장면을 상정한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록킹 판(35)이 비록킹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삽입구(39)는 개방된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구(39)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선단이 삽입된다. 도 11을 더불어 참조하면, 록킹 판(35)이 비록킹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록킹 판(35)과 제1 및 제2 도전 단자(37, 38)와의 연동은 해제된다. 그 결과, 제1 및 제2 도전 단자(37, 38)는 하우징(32)의 바닥판에 수용된다. 제1 도전 패드(42)는 접점(37a) 위에 배치된다. 동시에, 제2 도전 패드(47)는 접점(38a) 위에 배치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은 삽입 제거 가능하게 커넥터(31)에 유지된다.
이 때, 록킹 판(35)은 요동축(34) 둘레로 록킹 위치를 향해 요동한다. 록킹 판(35)의 후단 부재(56)의 후단의 이동 궤적(T)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 안에 진입하기 때문에, 후단 부재(56)의 후단은 단자(37a) 및 단자(38a) 사이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이면에 압박되어 간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은 접점(37a) 및 접점(38a) 사이에서 하우징(32)의 바닥판을 향해 만곡하면서 휘어진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요동축(34) 바로 아래에 후단 부재(56)의 후단이 위치 결정되면, 후단 부재(56)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에 최대한 압박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은 최대한으로 휜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록킹 판(35)이 록킹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압박면(35a)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표면에 수용된다. 동시에, 록킹 판(35)의 경사면(35b)에 제1 및 제2 도전 단자(37, 38)의 일단이 수용된다. 제1 및 제2 도전 단자(37, 38)는 위쪽으로 들어 올려진다. 제1 및 제2 도전 단자(37, 38)는 록킹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 결과, 록킹 판(35)은 단자(37a, 38a) 사이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을 끼운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록킹 판(35)의 후단 부재(56)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표면에 수용되기 때문에, 록킹 판(35)의 요동은 규제된다. 이렇게 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은 커넥터(31)에 삽입 제거할 수 있게 유지된다.
이상과 같은 휴대 전화 단말(11)에서는, 예컨대 단자수의 증대에 수반하여 제1 도전 패드(42) 사이나 제2 도전 패드(47) 사이는 좁혀진다. 그 결과, 제1 배선 패턴(43)의 제3 폭(W3)은 좁혀진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에서는, 보강층(54)은 비교적으로 크랙을 발생시키기 쉬운 제1 도전 패드(42) 및 제1 배선 패턴(43)의 경계를 포함하는 보강 영역(A)을 뒷받침한다. 이렇게 하여 보강층(54)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을 부분적으로 보강한다. 보강 영역(A)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휘어짐은 가능한 한 억제된다. 보강 영역(A)에서 응력의 생성은 억제된다. 따라서, 제1 도전 패드(42) 및 제1 배선 패턴(43)의 경계에서 크랙의 발생은 억제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강도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전면에 걸쳐 평균화된다. 또한 보강 영역(A)의 외측에서는 제1 및 제2 도전 패드(42, 47)는 비교적 큰 제1 폭(W1) 및 제2 폭(W2)을 규정한다. 따라서, 보강 영역(A)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 도전 패드(42, 47)에 응력이 생성되어도, 제1 및 제2 도전 패드(42, 47)에서 크랙의 발생은 억제된다.
이상과 같은 휴대 전화 단말(11)에서는,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록킹 판(35)의 요동축(34)은 접점(37a, 38a) 사이에서 접점(37a)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어도 좋다. 이 때,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에서는, 보강층(54)은 마찬가지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의 선단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보강층(54)은 요동축(34)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도 15를 더불어 참조하면, 보강 영역(A)은 제1 도전 패드(42)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전측 가장자리 및 후측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그 외, 전술한 내용과 균등한 구성이나 구조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쳐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강 영역(A)에서 응력의 생성은 억제된다. 제1 도전 패드(42)로 크랙의 발생은 억제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a)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a)에서, 보강 영역(A)은 제1 도전 패드(42) 및 제1 배선 패턴(43) 위에서 개별적으로 연장된다. 보강 영역(A)의 전단은 제1 도전 패드(42)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규정된다. 보강 영역(A)의 후단은 제2 도전 패드(47)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규정된다. 도 17을 더불어 참조하면, 보강 영역(A)은 기재(41)의 이면에 형성되는 보강층(54a)으로 뒷받침된다. 보강층(54a)은 이동 궤적(T)을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그 외, 전술한 내용과 균등한 구성이나 구조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쳐진다. 이러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a)에 의하면,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실현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a)에서는, 예컨대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강 영역(A)은, 제1 도전 패드(42) 및 제1 배선 패턴(43) 위에서 제2 도전 패드(47) 위나 제2 배선 패턴(48) 위까지 연장되어도 좋다. 전술한 내용과 마찬가지로, 보강층(54a)는 보강 영역(A)을 뒷받침한다. 이러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9a)에 의하면, 제1 배선 패턴(43)으로 크랙의 발생은 한층 더 억제된다.
이상과 같은 휴대 전화 단말(11)에서는, 록킹 판(35)의 요동축(34)의 위치는 전술의 위치로부터 접점(37a)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어도 좋고, 접점(38a)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어도 좋다. 바꿔 말하면, 록킹 판(35)의 후단의 이동 궤적(T)은 보강 영역(A)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고, 보강 영역(A)에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영역에 이동 궤적(T)이 배치되어도, 보강 영역(A)이 전술한 내용과 마찬가지로 규정되는 한, 전술한 내용과 같은 작용 효과가 실현된다.
29: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41: 기재
42: 제1 도전 패드 43: 제1 배선 패턴
47: 제2 도전 패드 54: 보강층 L: 가상 직선 W1: 제1 폭
W2: 제2 폭 W3: 제3 폭

Claims (4)

  1. 기재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서 전단으로부터 가상 직선보다 전(前)측에 배치되는 후단까지 제1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상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도전 패드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서 상기 가상 직선보다 후측에 배치되는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제2 폭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상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도전 패드와,
    상기 제2 도전 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폭 및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제3 폭으로, 대응하는 상기 제1 도전 패드의 후단에 접속되는 전단까지 연장되는 제1 배선 패턴과,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기재의 이면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 도전 패드의 후단의 후방까지 연장되는 보강판과,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기재와 상기 보강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도전 패드의 후단보다 전방에서 전측 가장자리를 규정하면서 상기 제2 도전 패드의 전단보다 후방에서 후측 가장자리를 규정하고 상기 제1 도전 패드 및 상기 제2 도전 패드 위에서 연장되는 보강 영역을 보강하는 보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 기재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서 전단으로부터 가상 직선보다 전측에 배치되는 후단까지 제1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상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도전 패드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서 상기 가상 직선보다 후측에 배치되는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제2 폭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상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도전 패드와,
    상기 제2 도전 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폭 및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제3 폭으로, 대응하는 상기 제1 도전 패드의 후단에 접속되는 전단까지 연장되는 제1 배선 패턴과,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기재의 이면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 도전 패드의 후단의 후방까지 연장되는 보강판과,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기재와 상기 보강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도전 패드의 후단보다 전방에서 전측 가장자리를 규정하면서 상기 제2 도전 패드의 후단보다 후방에서 후측 가장자리를 규정하며 상기 제1 도전 패드 및 상기 제1 배선 패턴 위에서 연장되는 보강 영역을 보강하는 보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4. 제3항에 기재된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00015258A 2009-02-26 2010-02-19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 KR101130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3738A JP5375182B2 (ja) 2009-02-26 2009-02-26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JP-P-2009-043738 2009-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603A KR20100097603A (ko) 2010-09-03
KR101130529B1 true KR101130529B1 (ko) 2012-03-28

Family

ID=4262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258A KR101130529B1 (ko) 2009-02-26 2010-02-19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269114B2 (ko)
JP (1) JP5375182B2 (ko)
KR (1) KR101130529B1 (ko)
CN (1) CN101820725B (ko)
TW (1) TWI4196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730B1 (ko) 2012-07-31 2018-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338882B2 (en) * 2014-05-15 2016-05-10 Intel Corporation Broadside coupled differential transmission lines having alternating wide and narrow portions
KR101727512B1 (ko) * 2014-11-04 2017-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25189B1 (ko) * 2015-02-17 2021-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576796B (zh) * 2015-11-11 2017-04-01 宏碁股份有限公司 可撓式裝置
KR102381286B1 (ko) 2017-05-18 2022-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595035A1 (en) 2018-07-10 2020-01-15 Yazaki Corporation Connector-equipped circuit body and bus bar module
JP6865722B2 (ja) * 2018-07-10 2021-04-28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路体とバスバと電子素子との接続構造
DE102019202721B4 (de) * 2019-02-28 2021-03-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3d-flexfolien-package
KR20220064117A (ko) * 2020-11-11 2022-05-18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479501B1 (ko) * 2021-02-26 2022-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R3122781B3 (fr) * 2021-05-07 2023-10-06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connexion électriqu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WO2023163424A1 (ko) * 2022-02-23 202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113219A1 (zh) * 2022-11-30 2024-06-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98A (ja) 1997-06-20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3446U (ko) * 1975-06-02 1976-12-07
JPH0750821B2 (ja) 1992-08-28 1995-05-31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のコネクタ部
JPH0846310A (ja) * 1994-08-04 1996-02-16 Canon Inc 可撓性を有する配線基板
JPH0992949A (ja) 1995-09-28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配線板
JP2940532B2 (ja) 1997-10-27 1999-08-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的接続構造及び液晶装置
JP2002151806A (ja) * 2000-11-08 2002-05-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JP3915546B2 (ja) * 2002-02-26 2007-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Cof用テープ、そ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133786B2 (ja) * 2003-12-16 2008-08-13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
JP2006237158A (ja) * 2005-02-23 2006-09-07 Seiko Instruments Inc 表示装置
JP2006269605A (ja) * 2005-03-23 2006-10-05 Shinko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2927606Y (zh) 2006-07-05 2007-07-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防撕裂柔性印刷线路板
JP2008028239A (ja) * 2006-07-24 2008-02-07 Sharp Corp 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電子機器
CN2938703Y (zh) * 2006-08-31 2007-08-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印刷线路板
JP2008235717A (ja) * 2007-03-22 2008-10-0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プリント配線基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98A (ja) 1997-06-20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69114B2 (en) 2012-09-18
TW201036501A (en) 2010-10-01
US20100212938A1 (en) 2010-08-26
US9295155B2 (en) 2016-03-22
US20120312586A1 (en) 2012-12-13
KR20100097603A (ko) 2010-09-03
TWI419619B (zh) 2013-12-11
JP2010199372A (ja) 2010-09-09
CN101820725B (zh) 2013-03-20
JP5375182B2 (ja) 2013-12-25
CN101820725A (zh)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529B1 (ko)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리지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
US8072764B2 (en) Multi-part substrate assemblies for low profil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779292B2 (en) Substrate and substrate bonding device using the same
US7402756B2 (en) Flexible circuit board
JP2014082325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製造方法、およ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板
KR20150045180A (ko) 이동 단말기
KR20010012979A (ko) 압착 접속 기판, 액정장치 및 전자기기
CN216491275U (zh) 电路板组件及电子设备
CN112991946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09206286A (ja) プリント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子機器
JP4671710B2 (ja) 電子機器
JP2002289764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060365A (ja) 携帯端末
JP2010034401A (ja) 電気的接続構造及び携帯端末
JP2009289923A (ja) 基板接続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8166378A (ja) プリント回路板及びプリント回路板を備えた電子機器
JP3653981B2 (ja) 液晶装置の実装構造及び電子機器
JP5547410B2 (ja) 回路装置及び電子機器
CN218868429U (zh) 印刷电路板和电路板组件
US20060199624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CN219780517U (zh) 电路板模块及终端设备
CN108575047B (zh) 一种用于触摸屏的fpc线路板
JP2008211033A (ja) 表示装置
JP2010034420A (ja) プリント基板及び携帯端末
JP2006128167A (ja) 電子装置およ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