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262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262B1
KR101121262B1 KR1020090004102A KR20090004102A KR101121262B1 KR 101121262 B1 KR101121262 B1 KR 101121262B1 KR 1020090004102 A KR1020090004102 A KR 1020090004102A KR 20090004102 A KR20090004102 A KR 20090004102A KR 101121262 B1 KR101121262 B1 KR 10112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pper door
support member
opening
low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393A (ko
Inventor
가즈나리 시모무라
마사히로 이타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2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는 도어와, 로크 기구와, 로크 해제 조작부와, 스위치와, 개폐 기구를 갖는다. 도어는 세정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동시에, 상하로 분할된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완전폐쇄 상태에서는, 상부 도어의 하단부에 하부 도어의 상단부가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는 도어의 완전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로크 해제 조작부는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을 실행한다. 스위치는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 시에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개폐 기구는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 시에, 하부 도어의 상단부가 상부 도어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하부 도어가 하부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변위할 때까지 상부 도어를 완전폐쇄 방향으로 가압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세정수를 분사하여 식기 등의 세정을 실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요점부 투시도이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에서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이 세정조(도시되지 않음)에 수납된다. 세정조에는 개구부(101)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개구부(101)를 상부 도어(102)와 하부 도어(103)로 폐쇄한 후, 세정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운전시킨다. 그러면 세정수가 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분사되어, 피세정물이 세정되고, 또한 헹궈진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04)는 상부 도어(102)를 본체(105)의 상방 공간으로 이동시켜 개구부(101)를 개방한다. 또한, 하부 도어 지지 부재(106)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04)는 연동 부재(10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하부 도어(103)가 개폐되면, 상부 도어(102)도 이에 연동하여 개폐된다. 그 때문에, 하부 도어(103)의 개폐 조작으로 개구부(101)의 전체가 개폐된다. 또한, 로크 기구(도시되지 않음)는 상부 도어(102)와 하부 도어(103)를 완전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세정 펌프는 세정 및 헴굼이 종료하면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또한, 세정 또는 헴굼중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일시정지 버튼을 누른 경우, 세정 펌프의 동작은 정지한다. 그러나, 일시정지 버튼을 누르지 않고 사용자가 로크 기구를 해제하면, 세정 펌프가 동작한 상태에서 상부 도어(102)와 하부 도어(103)가 열려 개구부(101)가 개방된다. 그 때문에,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갈 우려가 있다.
즉, 사용자가 로크 기구를 해제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누름과 동시에 상부 도어(102) 및 하부 도어(103)가 동작하여, 개구부(101)가 크게 개방된다. 로크 기구의 해제와 동시에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켰다고 하여도, 세정 펌프의 관성에 의해 세정수가 일정 시간 분사되어서 잠시 동안은 멈추지 않는다. 그 때문에, 세정수가 개방된 개구부(101)로부터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간다.
이에 대하여, 로크 기구에 연동시킨 안전 스위치를 마련하여, 도어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세정 펌프를 동작시키지 않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 펌프의 동작중에 도어의 로크 기구가 해제된 경우에는, 즉시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동작중에는 도어가 폐쇄 상태로 로크되는 기구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운전 개시 후에 식기를 추가 투입할 때에는, 그때마다 운전 정지의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하기가 나빠 불편하다. 그리고, 이 운전 정지의 조작으로는 도어의 로크도 해제되기 때문에, 운전 정지의 조작과 동시에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켰다고 하여도, 세정 펌프의 관성에 의해 세정수가 튀어 나가 는 것은 해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세정 펌프 동작중에 도어의 로크 기구가 해제된 경우라도, 세정수가 개구부로부터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 식기 세척기이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와, 세정 펌프와, 도어와, 로크 기구와, 로크 해제 조작부와, 스위치와, 개폐 기구를 갖는다. 세정조는 피세정물을 수용한다. 세정 펌프는 세정수를 가압하여 세정조 내에 분사한다. 도어는 세정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동시에, 상하로 분할된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완전폐쇄 상태에서는 상부 도어의 하단부에 하부 도어의 상단부가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는 도어의 완전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로크 해제 조작부는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을 실행한다. 스위치는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 시에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개폐 기구는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 시에, 하부 도어의 상단부가 상부 도어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하부 도어가 하부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변위될 때까지 상부 도어를 완전폐쇄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정 펌프의 동작중에 로크 기구가 해제된 경우에도,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측벽부 단면도, 도 2는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식기 세척기의 측벽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밀봉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4는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요점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어를 닫는 도중의 측벽부 단면도, 도 6은 도어의 개방 초기의 측벽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8a~도 8c는 제 2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 도 9는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요점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요점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어의 개방 초기의 요점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2)와, 세정 펌프(46)와, 상부 도어(6) 및 하부 도어(7)로 구성된 도어와, 로크 기구(21)와, 로크 해제 조작부인 누름 버튼 스위치(19)와, 스위치(48)와, 개폐 기구를 갖는다. 세정조(2)는 피세정물(3)을 수용한다. 세정 펌프(46)는 세정수를 가압하여 노즐(45)로부터 세정조(2) 내에 분사한다. 도어는 세정조(2)의 개구부(5)를 개폐한다. 완전폐쇄 상태에서는, 상부 도어(6)의 하단부에 하부 도어(7)의 상단부가 대향한다. 로크 기구(21)는 도어의 완전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로크 해제 조작부는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을 실행한다. 스위치(48)는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 시에 세정 펌프(46)의 동작을 정지한다. 개폐 기구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 연동 부재(2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폐 기구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 시에, 하부 도어(7)의 상단부가 상부 도어(6)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하부 도어(7)가 개방 방향으로 변위할 때까지 상부 도어(6)를 완전폐쇄 방향으로 가압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의 내부에는, 세정조(2)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2)의 내부에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3)을 세팅하는 식기 바구 니(4)가 수납되어 있다. 세정조(2)는 세정조 하부(2a)와 세정조 상부(2b)를 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세정조 하부(2a)에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노즐(45)과, 노즐(45)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펌프(46)와, 세정수를 저수하는 저수부(47)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2)의 전면에는 개구부(5)가 마련되어 있으며, 개구부(5)의 상부와 하부의 각각을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5)의 주위의 전면 전체 둘레에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밀봉 부재(8)가 홈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6), 하부 도어(7)에는 각각 상부 도어 밀봉 받이부(6a), 하부 도어 밀봉 받이부(7a)가 마련되어 있다. 밀봉 부재(8)는 상부 도어 밀봉 받이부(6a), 하부 도어 밀봉 받이부(7a)와 함께, 개구부(5)의 밀봉부를 구성하고 있다.
하부 도어 밀봉 받이부(7a)의 내측에는 밀봉 부재(8)를 덮도록 차폐부(7b)가 마련되어 있다. 차폐부(7b)는 세정조(2) 내에 분사된 세정수가 직접 밀봉부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도어 밀봉 받이부(7a)의 외측에는 하부 도어 밀봉 받이부(7a)를 따라 오목형의 물받이부(10)가 마련되어 있다. 물받이부(10)는 사용자가 피세정물(3)을 식기 바구니(4)에 세팅할 때에 피세정물(3)로부터 낙하한 물을 모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7)의 완전폐쇄 시에 있어서 가장 하부가 되는 물받이부(10)의 하단 위치에는 고인 물의 유출부(10a)가 마련되어 있다.
유출부(10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7)가 완전개방 상태에서 개구부(5)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물받이부(10)에 고인 물이 완전개방 상태에서 세척기 밖으로 새지 않는다. 또한, 도 1,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 상태로의 회동시에 유출부(10a)는 세정조 하부(2a)에 회수될 때의 안내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유출부(10a)는 완전폐쇄 상태에서 세정조 하부(2a)의 전방 테두리보다도 세정조(2)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밀봉 받이부(6a)의 외측에는 하부 도어(7)와 동일하게 상부 도어 밀봉 받이부(6a)를 따라 오목형의 물받이부(11)가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6)의 완전폐쇄 시에 있어서 가장 하부가 되는 물받이부(11)의 하단 위치에는 고인 물의 유출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유출부(12)는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물받이부(11)에 고인 물은 완전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회동시에 유출부(12)로부터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로 흘러내리고, 하부 도어(7)의 유출부(10a)로부터 세정조(2)에 회수된다.
유출부(12)는 상부 도어(6)의 완전개방 상태에서 개구부(5)를 향해 비스듬하게 상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물받이부(11)에 고인 물은 완전개방 상태에서 세척기 밖으로 새지 않는다. 또한, 물받이부(11)는 폐쇄 상태로의 회동시에 물받이부(10)에 물이 회수될 때의 안내의 역할을 한다.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6)의 하단부에는 받이부(6b)가 마련되고, 받이부(6b)에는 도어간 밀봉 패킹(9)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간 밀봉 패킹(9)은 하부 도어(7)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받이부(6b)의 전면측과 서로 중첩되는 제 1 가압부(7c)와 함께, 상부 도어(6)의 하단과 하부 도어(7)의 상단 사이의 밀봉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어간 밀봉 패킹(9)은 받이부(6b)와 제 1 가압부(7c)를 수밀(水密)하게 밀봉 결합한다. 도어간 밀봉 패킹(9)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신장하는 돌출편(9a)이 마련되고, 하부 도어(7)에는 완전폐쇄 시에 돌출편(9a)을 가압하는 제 2 가압부(7d)가 마련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편(9a)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돌출편(9a)의 하단이 하부 도어(7)측으로 가압한다.
다음으로, 상부 도어(6), 하부 도어(7)의 개폐 기구 및 로크 기구(2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6)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는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제 1 회전축(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접촉하는 제 1 멈춤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멈춤부(15)는 상부 도어(6)의 완전개방 시에, 상부 도어(6)의 내면이 상향으로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개구부(5)의 전방 하방으로 상부 도어(6)를 정지시킨다.
하부 도어(7)는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는 세정조(2) 측벽의 개구부(5)의 하단부 근방에서, 제 2 회전축(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완전개방 시에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와 접촉하는 제 2 멈춤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멈춤부(18)는 하부 도어(7)의 완전개방 시에, 하부 도어(7)의 내면이 상향으로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개구부(5)의 전방 하방으로 하부 도어(7)를 정지시킨다. 또한, 하부 도어(7)의 완전개방 위치는 상부 도어(6)의 완전개방 위치의 하방에 위치한다.
하부 도어(7)에는 누름 버튼 스위치(19)와, 로크 기구(21)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21)는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계지부(20)에 걸리고, 개구부(5)를 완전폐쇄한 상태로 하부 도어(7)를 고정한다. 누름 버튼 스위치(19)는 로크 해제 조작부를 구성한다. 즉, 사용자가 누름 버튼 스위치(19)를 조작하면, 계지부(20)로부터 로크 기구(21)가 해제된다. 또한, 세정조(2)의 측벽에는 로크 기구(21)와 연동하는 스위치(48)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21)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세정 펌프(46)가 정지한다. 즉,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 시에, 스위치(48)는 세정 펌프(46)의 동작을 정지한다.
연동 부재(24)는 제 1 연결점(22)에서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연결점(23)에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동 부재(24)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를 개폐시에 연동시킨다. 특히, 완전개방 시에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를 개구부(5)의 전방 하방으로 서로 중첩시킨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동 부재(24)에는 가이드 구멍(26)이 마련되고,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는 가이드 구멍(26) 내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부(27)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6)은 기다란 구멍(제 1 기다란 구멍)(26a)과, 기다란 구멍(26a)에 연속하는 원호부(26b)를 갖는다. 이와 같이, 가이드 돌기부(27)와 기다란 구멍(26a)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연동 부재(24) 사이의 유격을 형성하고 있다. 이 유격에 의해, 하부 도어(7)의 상단부가 상부 도어(6)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변위할 때까지, 연동 부재(24)의 변위에 의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가 변위하지 않고 완전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 2 연결점(23)은 연동 부재(24)에 마련된 원통형의 연결축(23a)과,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마련된 기다란 구멍(제 2 기다란 구멍)(2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연결점(23)도 또한, 완전폐쇄 상태의 상부 도어(6)에 대하여, 하부 도어(7)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유격을 갖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완전폐쇄 상태로부터 완전개방 상태에 걸쳐, 가이드 구멍(26)에 가이드 돌기부(27)가 결합된 채로 가이드 구멍(26) 내를 가이드 돌기부(27)가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 구멍(26)은 상부 도어(6)가 완전폐쇄 상태에서는, 제 2 연결점(23)이 유격을 갖도록 가이드 돌기부(27)의 소정 동작 영역인 기다란 구멍(26a)을 갖는다. 가이드 구멍(26)은 개방 도중으로부터 완전개방 상태에 걸쳐서는, 제 2 연결점(23)의 유격을 없애도록, 가이드 돌기부(27)의 동작을 규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가이드 돌기부(27)가 원호부(26b)를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부 도어(6)는 완전개방된다. 이 때 연결축(23a)은 기다란 구멍(23b)의 상단에 유지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가이드 구멍(26)이 연동 부재(24)에, 가이드 돌기부(27)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각각 마련되어 있지만, 역으로도 좋다. 마찬가지로 연결축(23a)이 연동 부재(24)에, 기다란 구멍(23b)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각각 마련되어 있지만, 역으로도 좋다. 또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 와 연동 부재(24) 사이의 유격은 이들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격에 의해, 하부 도어(7)의 상단부가 상부 도어(6)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변위할 때까지, 연동 부재(24)의 변위에 의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가 변위하지 않고 완전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연동 부재(24)에, 서로 결합하는 1 세트의 톱니 바퀴를 마련하고, 연동 부재(24)에 마련된 톱니 바퀴에 톱니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만드는 것으로 유격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는 상부 도어 인입핀(33)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세정조(2)의 측벽에는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는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4)와, 상부 도어 인입 트리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4)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완전폐쇄 상태로부터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소정량 개방할 때까지, 상부 도어 인입핀(33)과 접촉한다. 상부 도어 인입 트리거부(35)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완전개방 상태로부터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를 소정량 폐쇄했을 때에, 상부 도어 인입핀(33)과 접촉한다.
또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는 역 L자 형상의 제 1 가이드 레일(31)과, 직선 형상의 제 2 가이드 레일(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1 가이드 핀(28)과 제 2 가이드 핀(29)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31)에는 제 1 가이드 핀(28)이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제 2 가이드 레일(32)에는 제 2 가이드 핀(29)이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는 제 1 유지부(36)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2 유지부(37)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유지부(36)와 제 2 유지부(37)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 1 스프링(38)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완전폐쇄 상태로부터 소정량 개방하고, 상부 도어 인입핀(33)과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4)의 접촉이 해제될 때까지,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를 상부 도어(6)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는 제 3 유지부(39)가 마련되고,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4 유지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제 3 유지부(39)와 제 4 유지부(40)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 2 스프링(41)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부 도어(6)가 폐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또한, 연동 부재(24)에는 제 5 유지부(42)가 마련되고,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6 유지부(43)가 마련되어 있다. 제 5 유지부(42)와 제 6 유지부(43)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 3 스프링(44)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완전폐쇄 상태로부터의 개방 도중(완전폐쇄 상태로부터 하부 도어(7)가 45°정도 회동)에서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연동 부재(24)가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또한, 개방 도중으로부터 완전개방 상태에 걸쳐서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연동 부재(24)가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7)의 상단에는 수동 조작 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하부 도어(7)를 개폐하면, 상부 도어(6)도 하부 도어(7)의 동작과 연동해서 개폐된다. 또한, 수동 조작부(25)는 완전폐쇄 상태에서는 상부 도어(6)의 하단부로 덮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도어를 완전개방할 때, 사용자는 누름 버튼 스위치(19)를 눌러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을 실행한다. 그러면, 계지부(20)로부터 로크 기구(21)가 해제되어, 제 3 스프링(44)에 의해 가압된 연동 부재(24)가,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개방 방향으로 동작한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7)가 화살표(A) 방향으로 소정량 회동하여 변위한다. 이 때, 세정 펌프(46)가 동작중이었을 경우, 로크 기구(21)와 연동하는 스위치(48)가 OFF 동작하기 때문에, 세정 펌프(46)의 동작은 정지한다.
그리고, 하부 도어(7)의 상단부에 마련된 수동 조작부(25)가 상부 도어(6)의 하단부로 덮어지는 위치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변위할 때까지 상부 도어(6)는 완전폐쇄 방향으로 가압된다. 즉, 상부 도어(6)는 제 2 스프링(41)의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로의 가압력과,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의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로의 상부 도어 인입력에 의해 완전폐쇄 방향으로 가압되어, 완전폐쇄 위치 근방에 유지된다. 이렇게, 개방 초기에는 하부 도어(7)만이 개방된다. 한편, 상부 도어(6)는 완전폐쇄 위치에 머물고 있어, 도 1의 상태로부터 도 6의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세정 펌프(46)의 동작중에 로크 기구(21)가 해제된 경우라도,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의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도어(7)가 화살표(A) 방향으로 일정량 개방함으로써, 상부 도어(6)의 하단에 의해 덮여 있던 수동 조작부(25)가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로크 기구(21)의 해제 조작을 실행한 후, 하부 도어(7)가 일정량 개방할 때까지의 일정 시간, 즉, 도 1의 상태로부터 도 6의 상태로 변위할 때까지는, 사용자는 수동 조작부(25)에 손을 댈 수는 없다. 즉, 누름 버튼 스위치(19)를 조작한 후에, 하부 도어(7)를 여는 수동 조작부(25)가 노출되고 수동 조작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세정 펌프(46)가 관성으로 동작하고 있는 사이에는 사용자가 하부 도어(7)를 개방할 수 없다. 따라서 세정 펌프(46)의 관성 동작으로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어(6)의 하단부에는 받이부(6b)가 마련되고(도 10), 받이부(6b)에는 도어간 밀봉 패킹(9)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간 밀봉 패킹(9)은 하부 도어(7)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받이부(6b)의 전면측에 서로 중첩되는 제 1 가압부(7c)와 함께, 상부 도어(6)의 하단과 하부 도어(7)의 상단 사이의 밀봉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어간 밀봉 패킹(9)은 받이부(6b)와 제 1 가압부(7c)를 수밀하게 밀봉 결합한다. 이 구성에 의해 로크 해제 후, 하부 도어(7)가 소정량 변위 하고, 수동 조작부(25)가 상부 도어(6)의 하단으로부터 노출될 때까지 시간을 마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세정 펌프(46)가 관성으로 동작하고 있는 사이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수 없다. 따라서 세정 펌프(46)의 관성 동작으로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의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간 밀봉 패킹(9)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신장하는 돌출편(9a)이 마 련되고, 하부 도어(7)에는 완전폐쇄 시에 돌출편(9a)을 가압하는 제 2 가압부(7d)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도어(7)가 도 10의 완전폐쇄 위치로부터 수동 조작부(25)가 노출된 도 11에 도시하는 위치로 변위하면, 돌출편(9a)은 그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제 2 가압부(7d) 측으로 변위한다. 그 때문에, 돌출편(9a)은 하부 도어(7)와 상부 도어(6)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덮는다. 더군다나 돌출편(9a)은 세정수가 닿으면 도어간의 간극을 더 닫도록 작용한다. 그 결과, 세정수가 튀어 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스프링(41)과,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의 2개의 기구로 개방 초기에 상부 도어(6)를 완전폐쇄 위치에 머물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부 도어(6)의 중량이나, 제 2 스프링(41) 혹은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를 끼워 넣는 공간의 제약 조건에 따라서는, 어느 한쪽의 기구만으로, 상부 도어(6)를 완전폐쇄 위치에 머무르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23a)이 기다란 구멍(23b) 내의 유격 영역을 완전히 이동하면, 연결축(23a)과 기다란 구멍(23b)이 연결되어,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연동하여 동작한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개방 동작에 합쳐,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가 소정량 개방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 레일(32)의 제 2 레일 단점(32a)과 제 2 가이드 핀(29)이 접촉한다. 또한,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를 개방하면,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제 2 가이드 핀(29)을 지점으로 해서, 제 1 가이드 레일(31)의 제 1 가이드 단점(31a)과 제 1 가이드 핀(28)이 접촉할 때까지 회동한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도어 인입핀(33)과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4)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를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게 된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제 1 스프링(3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제 1 가이드 핀(28)이 제 1 가이드 레일(31)의 상면으로 돌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 위치에 머문다.
이렇게,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상부 도어(6)가 밀봉 부재(8)로부터 반발력을 받고, 상부 도어(6)를 정규 위치로 완전폐쇄 시키는데에 큰 폐쇄력이 필요한 도어 완전폐쇄 근방으로부터 완전폐쇄에 걸쳐서만 도어 폐쇄력을 작용시킨다. 그 때문에, 제 2 스프링(41)과 같이 항상 완전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구성과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상부 도어(6)를 정규의 완전폐쇄 위치까지 폐쇄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어 완전폐쇄 시에는, 상부 도어 인입핀(33)이 상부 도어 인입 트리거부(35)에 접촉하여,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를 회동시키면서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34)와 상부 도어 인입 트리거부(35) 사이를 미끄럼 운동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역의 순서로 도 1의 상태로 되돌아 온다.
또한,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가 제 1 멈춤부(15)에,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가 제 2 멈춤부(18)에, 각각 접촉하는 완전개방 상태까지 개방된다. 이 때,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그 쌍방의 내면을 상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하고, 상부 도어(6)가 하부 도어(7)의 상방에 위치해서 서로 중첩되도록 완전개방 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개구부(5)의 상부에 상부 도어(6)가 덮여 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도어(6)의 세정조(2)측에 부착된 세정수가 완전개방 상태에서 적하하는 일이 없다.
또한, 수동 조작부(25)는 하부 도어(7)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어 전면에 마련된 경우와 달리, 수동 조작부(25)가 도어 완전개방 상태에서 싱크대 등의, 식기 세척기를 설치한 면과 접촉하는 일이 없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완전개방 후, 사용자는 상부 도어(6)의 내면 위로 식기 바구니(4)를 인출하여, 피세정물(3)을 세팅한다. 식기 바구니(4)는 상부 도어(6)의 내면 위로 인출되므로, 피세정물(3)로부터 떨어진 국, 물방울이 세척기 밖으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세정물(3)을 세팅할 때에 피세정물(3)로부터 낙하하여, 상부 도어 밀봉 받이부(6a)보다도 외측에 부착된 물방울은 물받이부(11)에 고인다.
또한, 상부 도어(6)는 개구부(5)로부터 하방으로 열려서 식기 바구니(4)의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개구부(5)의 상부가 상부 도어(6)로 덮이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피세정물(3)을 세팅하기 쉽고, 본체(1)의 상면을 물건을 두는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가 매우 좋다. 또한, 본체(1)의 상방에 상부 도어(6)를 이동시키기 위한 개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좁은 부엌에서도 설치하기 쉽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식기 바구니(4)를 세정조(2) 내에 수납하고, 하부 도어(7)를 폐쇄한다.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연동해서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부 도어(6)도 동시에 폐쇄된다. 제 2 스프링(41)에 의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를 거쳐서, 상부 도어(6)에는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또한, 제 3 스프링(44)에 의해 연동 부재(24)로는 폐쇄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작은 힘으로 하부 도어(7)를 폐쇄할 수 있다.
완전개방 상태에서 상부 도어(6)의 물받이부(11)에 고여 있던 물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전폐쇄까지의 회동시에 물받이부(11)를 개구부(5) 측의 유출부(12)를 향해서 하방으로 흐르고, 유출부(12)를 거쳐서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에 회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는 연동하여 개폐하므로, 상부 도어(6)의 유출부(12)와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는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물의 회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출부(12)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물받이부(10)가 수평면으로부터 각도를 갖는 경사 상태로 받음으로써, 물을 받을 때의 물방울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전개방 상태에서 상부 도어(6)를 하부 도어(7)의 상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상부 도어(6)의 하단을 세정조(2)의 개구부(5)로 가까이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식기 바구니(4)의 인출 및 격납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도어(6)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상부 도어(6)의 하단이 개구부(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할 때에, 상부 도어(6)의 상면의 개구부(5) 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진다. 그 때문에, 상부 도어(6)의 물받이부(11)에 부착된 물은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로 흘러내린다.
또한, 완전개방 상태에서 하부 도어(7)의 물받이부(10)에 고여 있던 물, 및 상부 도어(6)의 물받이부(11)로부터 회수된 물은 물받이부(10)를 하방으로 흐르고, 유출부(10a)를 거쳐서 세정조 하부(2a)에 회수된다. 그 때문에, 물받이부(11, 10)에 고여 있던 물은 세척기 밖으로 새는 일없이 세정조(2)에 회수된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 및 싱크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개폐 기구는 세정조(2) 및 상부 도어(6)와 하부 도어(7)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정 펌프(46)가 동작중에 로크 기구(21)가 해제된 경우에도, 세정수가 세척기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식기 세척기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측벽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측벽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밀봉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요점부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도중의 측벽부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개방 초기의 측벽부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개방 시의 사시도,
도 8a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제 2 연결점의 동작 설명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하는 제 2 연결점의, 도어의 개방 초기의 동작 설명도,
도 8c는 도 8a에 도시하는 제 2 연결점의, 도어의 개방 도중의 동작 설명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요점부 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완전폐쇄 시의 요점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개방 초기의 요점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요점부 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세정조
6: 상부 도어 7: 하부 도어
10, 11: 물받이부 13: 제 1 회전축
14: 상부 도어 지지 부재 15: 제 1 멈춤부
18: 제 2 멈춤부 19: 누름 버튼 스위치

Claims (9)

  1.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세정수를 가압하여 상기 세정조 내로 분사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동시에, 상하로 분할된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로 구성되고, 완전폐쇄 상태에서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에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부가 대향하도록 마련된 도어와,
    상기 도어의 완전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와,
    상기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을 실행하는 로크 해제 조작부와,
    상기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수동 조작부와,
    상기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 시에 상기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하는 스위치와,
    상기 로크 기구의 해제 조작 시에, 상기 하부 도어가 개방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로 덮인 위치로부터,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개방될 때까지, 상기 상부 도어를 완전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동 조작부는,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부터 상기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도어가 완전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로 덮이는
    식기 세척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에 받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부에는 상기 받이부의 전면측에 중첩되는 제 1 가압부가 마련되고,
    상기 받이부와 상기 제 1 가압부 사이에는, 상기 받이부와 상기 제 1 가압부를 수밀(水密)하게 밀봉 결합하는 도어간 밀봉 패킹이 배치되며,
    상기 수동 조작부는 상기 도어의 완전폐쇄 시에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로 덮여지는
    식기 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패킹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출편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 도어에는 상기 도어의 완전폐쇄 시에 상기 돌출편을 가압하는 제 2 가압부가 마련된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세정조의 측벽에 마련된 제 1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상부 도어에 고정된 상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기 세정조의 측벽에 마련된 제 2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부 도어에 고정된 하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 및 상기 하부 도어 지지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동 부재와,
    상부 도어 인입 부재와 제 1 스프링의 세트와, 제 2 스프링 중 적어도 한쪽을 가지며,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기 연동 부재 사이에는, 상기 하부 도어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로부터 노출된 위치로 변위할 때까지, 상기 연동 부재의 변위에 의한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의 변위를 방지하는 유격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 도어 인입 부재와 상기 제 1 스프링의 세트와, 상기 제 2 스프링은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를 통해서 상기 상부 도어를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기 연동 부재 중 한쪽에는, 가이드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기 연동 부재 중 다른 쪽에는 상기 가이 드 돌기부가 결합된 기다란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부와 상기 기다란 구멍이 상기 유격을 형성하고 있는
    식기 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구멍은 가이드 구멍의 일부이며,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기다란 구멍에 연속하는 원호부를 갖고,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기 연동 부재 중 한쪽에는 제 2 기다란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기 연동 부재 중 다른 쪽에는 상기 제 2 기다란 구멍에 결합하는 연결축이 마련된
    식기 세척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에는 상부 도어 인입핀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 도어 인입 부재에는 상기 상부 도어 인입핀과 접촉하는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 도어 인입 부재는 상기 세정조의 측벽과 상기 제 1 스프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프링은 상기 상부 도어 인입핀과 상기 상부 도어 인입 돌기부의 접촉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상부 도어 인입 부재를 통해서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를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세정조의 측벽에 마련된 제 1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상부 도어에 고정된 상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기 세정조의 측벽에 마련된 제 2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부 도어에 고정된 하부 도어 지지 부재와,
    상기 상부 도어 지지 부재 및 상기 하부 도어 지지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동 부재를 가지며,
    상기 하부 도어는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개구부의 하방으로 열리고, 상기 상부 도어는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도어의 내면측을 위로 하여 상기 하부 도어의 상면에 중첩하도록 열리는
    식기 세척기.
KR1020090004102A 2008-05-19 2009-01-19 식기 세척기 KR101121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30420A JP4661903B2 (ja) 2008-05-19 2008-05-19 食器洗い機
JPJP-P-2008-130420 2008-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393A KR20090120393A (ko) 2009-11-24
KR101121262B1 true KR101121262B1 (ko) 2012-03-23

Family

ID=4136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102A KR101121262B1 (ko) 2008-05-19 2009-01-19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61903B2 (ko)
KR (1) KR101121262B1 (ko)
CN (1) CN101584568B (ko)
TW (1) TW2009483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457489T3 (pl) 2010-11-30 2014-09-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Zmywarka kompaktowa
CN105286748A (zh) * 2014-06-18 2016-02-03 芜湖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CN107019479B (zh) * 2017-04-28 2019-05-3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CN107411677A (zh) * 2017-09-08 2017-12-0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用器具壳体及具有其的洗碗机
JP7122685B2 (ja) * 2018-10-04 2022-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11202483B (zh) * 2020-03-11 2021-05-2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用电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204A (ja) * 2005-03-24 2006-10-05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食器洗浄装置
JP2007282757A (ja) * 2006-04-14 2007-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223A (ja) * 2005-01-21 2006-08-03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4561681B2 (ja) * 2006-04-14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204A (ja) * 2005-03-24 2006-10-05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食器洗浄装置
JP2007282757A (ja) * 2006-04-14 2007-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73821A (ja) 2009-11-26
CN101584568A (zh) 2009-11-25
TW200948326A (en) 2009-12-01
TWI358274B (ko) 2012-02-21
KR20090120393A (ko) 2009-11-24
JP4661903B2 (ja) 2011-03-30
CN101584568B (zh)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262B1 (ko) 식기 세척기
KR102002419B1 (ko) 식기세척기
JP2002238826A (ja) 食器洗い機
KR101051508B1 (ko) 식기 세척기
JP4893785B2 (ja) 食器洗い機
JP5170119B2 (ja) 食器洗い機
KR102491972B1 (ko) 식기 세척기
KR100377622B1 (ko) 서랍식 식기 세척기의 밀폐 구조
TWI508694B (zh) Tableware Washing Machine (2)
JP4609367B2 (ja) 食器洗い機
KR100832197B1 (ko) 식기 세척기
KR101293235B1 (ko) 식기세척기
KR100378709B1 (ko) 서랍식 식기 세척기의 밀폐 구조
JP2007282750A5 (ko)
JP2023042014A (ja) 食器洗い機
JP3505528B2 (ja) 食器洗い機
JP2013255615A (ja) 食器洗い機
JP2023042015A (ja) 食器洗い機
JP4103637B2 (ja) 食器洗い機
JP2006255277A (ja) 食器洗浄機
KR200307549Y1 (ko) 세제인출 조절장치가 설치된 수세미
JP3965963B2 (ja) 食器洗い機
JP4635946B2 (ja) 食器洗い機
JP2510608Y2 (ja) 食器洗浄機
JP3505530B2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