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508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508B1
KR101051508B1 KR1020090026280A KR20090026280A KR101051508B1 KR 101051508 B1 KR101051508 B1 KR 101051508B1 KR 1020090026280 A KR1020090026280 A KR 1020090026280A KR 20090026280 A KR20090026280 A KR 20090026280A KR 101051508 B1 KR101051508 B1 KR 10105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dy
opening
door
closin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398A (ko
Inventor
가즈나리 시모무라
마사히로 이타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2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개구부를 통해서 피세정물을 출입시켜 수용할 수 있는 세정조와,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세정조 내에 분사하는 세정 노즐과, 개구부를 개폐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개방되는 도어체와, 하우징과 도어체 사이에 마련되어서 개구부를 수밀하게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한다. 도어체는 밀봉부가 마련되고 또한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면을 갖는다. 폐쇄면은 도어체가 폐쇄되었을 때에 개구부에 대향하고 또한 밀봉부로 둘러싸여진 대향부와, 밀봉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물 수용 홈이 형성된 주변부를 갖는다. 도어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물 수용 홈에 고인 물이 세정조로 회수된다. 이 식기 세척기에서는, 도어체의 밀봉부의 외측에 부착된 액체가 도어체를 폐쇄할 때에 외부로 새지 않는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세정수를 분사해서 식기 등의 세정을 실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0961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501)의 단면도이다. 식기 세척기(501)에서는, 하우징(101) 내에 배설한 세정조(102)의 전면에 개구부(103)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103)은 2개의 도어체(104, 105)로 개폐되며, 도어체(104, 105)는 개구부(103)에 대하여 하방으로 연동해서 개방된다. 도어체(104, 105)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어체(105)의 상방에 도어체(104)가 겹쳐지고, 바구니(106)가 세정조(102) 내로부터 도어체(104) 상으로 끌어내져서, 공기나 찻잔, 컵 등의 식기(107)를 바구니(106)에 얹어 놓는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501)에서는, 바구니(106)에 식기(107)를 엎어서 얹어 놓을 때에, 식기(107)에 남은 물이나 국물 등의 액체가 도어체(104, 105) 상으로 넘쳐 흘러서, 도어체(104, 105)의 밀봉부의 외측으로 넘쳐 흐른다. 식기(107)를 얹어 놓은 바구니(106)를 세정조(102) 내에 격납하고, 도어체(104, 105)를 폐쇄하기 위해서 하우징(101)을 향해서 회동시켰을 때에, 넘쳐 흐른 액체는 세정조(102) 내로 회수되지 않고 식기 세척기(501) 외부로 넘쳐 흘러서 하우징(101)의 하부나 싱크대 등의 설치부를 더럽힌다.
식기 세척기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개구부를 통해서 피세정물을 출입시켜 수용할 수 있는 세정조와,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세정조 내에 분사하는 세정 노즐과, 개구부를 개폐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개방되는 도어체와, 하우징과 도어체 사이에 마련되어 개구부를 수밀하게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한다. 도어체는 밀봉부가 마련되고 또한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면을 갖는다. 폐쇄면은 도어체가 폐쇄되었 때에 개구부에 대향하고 또한 밀봉부로 둘러싸여진 대향부와, 밀봉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물 수용 홈이 형성된 주변부를 갖는다. 도어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물 수용 홈에 고인 물이 세정조로 회수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에서는 도어체의 밀봉부의 외측에 부착된 액체가 도어체를 폐쇄할 때에 외부로 새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1001)의 단면도이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세정조(2)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2)의 내부에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3)을 얹어 놓는 바구니(4)가 수납되어 있다. 세정조(2)는 세정조 하부(2A)와, 세정조 하부(2A)에 결합하는 세정조 상부(2B)로 이루어진다. 세정조(2)의 전면에는 개구부(5)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5)의 상부와 하부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에 의해 각각 개폐되며,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는 개구부(5)를 개폐하는 도어체를 구성한다.
도 3은 식기 세척기(1001)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1001)의 선 4A-4A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1001)의 선 4B-4B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1001)의 선 5-5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하우징(1)의 개구부(5)의 주위에는 홈(1A)이 마련되어 있다.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8)가 개구부(5)의 주위의 홈(1A)에 끼워 넣어져서 하우징(1)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 도어체(6)는 상부 도어체(6)로 개구부(5)의 상부를 폐쇄할 때에 밀봉 부재(8)가 접촉하는 접촉부(6A)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하부 도어체(7)는 하부 도어체(7)로 개구부(5)의 하부를 폐쇄할 때에 밀봉 부재(8)가 접촉하는 접촉부(7A)를 갖는다. 밀봉 부재(8)와 접촉부(6A)는 개구부(5)를 밀봉하는 밀봉부(51A)를 구성하고, 밀봉 부재(8)와 접촉부(7A)는 개구부(5)를 밀봉하는 밀봉부(51B)를 구성하고 있다. 상부 도어체(6)에는 도어체 사이의 밀봉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도어체(7)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로 개구부(5)를 폐쇄할 때에 도어체 사이의 밀봉 부재에 접촉하는 도어체 사이의 접촉부를 갖는다. 도어체 사이의 밀봉 부재와 도어체 사이의 접촉부는 상부 도어체(6)의 하단과 하부 도어체(7)의 상단을 밀봉하는 도어체 사이의 밀봉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부 도어체(6)는 개구부(5)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폐쇄면(6C)을 갖는다. 상부 폐쇄면(6C)은 개구부(5)의 상부에 대향하는 상부 대향부(6D)와, 상부 대향부(6D)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부 주변부(6E)를 갖는다. 밀봉부(51A)의 접촉부(6A)는 상부 주변부(6E)에 마련되어 있다. 하부 도어체(7)는 개구부(5)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 폐쇄면(7C)을 갖는다. 하부 폐쇄면(7C)은 개구부(5)의 하부에 대향하는 하부 대향부(7D)와, 하부 대향부(7D)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부 주변부(7E)를 갖는다. 밀봉부(51B)의 접촉부(7A)는 하부 주변부(7E)에 마련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도어체(7)의 하부 접촉부(7A)의 내측에는 밀봉 부재(8)를 덮도록 하부 폐쇄면(7C)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부 차폐벽(7B)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 차폐벽(7B)은 하부 폐쇄면(7C)의 하부 대향부(7D)와 하부 주변부(7E)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다.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하부 차 폐벽(7B)은 세정조(2) 내에 분사된 세정수가 직접 밀봉부(51B)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폐쇄면(7C)의 하부 주변부(7E)의 하부 접촉부(7A)의 더 외측에는 하부 접촉부(7A)를 따라 하부 물 수용 홈(10)이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와 폐쇄되고 있는 도중의 식기 세척기(1001)의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피세정물(3)을 바구니(4)에 얹어 놓을 때에 피세정물(3)로부터 낙하한 물은 하부 물 수용 홈(10)에 고일 수 있다. 하부 물 수용 홈(10)에 고인 물은 하부 물 수용 홈(10)의 하단에 마련된 하부 유출부(10A)로부터 유출한다. 하부 물 수용 홈(10)의 하단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개구부(5)에 대향하고, 하부 도어체(7)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 하부 물 수용 홈(10) 내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한다. 하부 도어체(7)에 마련된 하부 유출부(10A)는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구부(5)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측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어,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 물 수용 홈(10)에 고인 물이 하부 물 수용 홈(10)의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하부 도어체(7)를 폐쇄하기 위해서 회동시킬 때에, 하부 유출부(10A)는 하부 물 수용 홈(10)에 고인 물을 안내해서 세정조 하부(2A)로 회수시킨다. 하부 도어체(7)의 하부 유출부(10A)는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된 상태에서 세정조 하부(2A)의 전연보다도 세정조(2)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체(6)의 상부 접촉부(6A)의 내측에는 밀봉 부재(8)를 덮도록 상부 폐쇄면(6C)으로부터 돌출하는 상부 차폐벽(6B)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차폐벽(6B)은 상부 폐쇄면(6C)의 상부 대향부(6D)와 상부 주변 부(6E)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다.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상부 차폐벽(6B)은 세정조(2) 내에 분사된 세정수가 직접 밀봉부(51A)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폐쇄면(6C)의 상부 주변부(6E)의 상부 접촉부(6A)의 더 외측에는 상부 접촉부(6A)를 따라 상부 물 수용 홈(11)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피세정물(3)을 바구니(4)에 얹어 놓을 때에 피세정물(3)로부터 낙하한 물은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일 수 있다.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인 물은, 상부 물 수용 홈(11)의 하단에 마련된 상부 유출부(12)로부터 유출한다. 상부 물 수용 홈(11)의 하단은 상부 도어체(6)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개구부(5)에 대향하고, 상부 도어체(6)를 폐쇄하고 있을 때에 상부 물 수용 홈(11) 내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한다. 상부 도어체(6)에 마련된 상부 유출부(12)는 상부 도어체(6)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구부(5)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측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어, 상부 도어체(6)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인 물이 상부 물 수용 홈(11)의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상부 도어체(6)를 폐쇄하기 위해서 회동시킬 때에, 상부 유출부(12)는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인 물을 안내해서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으로 유도하고, 세정조 하부(2A)로 회수시킨다.
세정조 하부(2A)에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45)과, 세정 노즐(45)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펌프(46)와, 세정수를 저수하는 저수부(47)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 펌프(46)는 하우징(1)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즉, 세정 노즐(45)은 식기 세척기(1001)의 외부의 세정 펌프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를 분사해도 좋다.
상부 도어체(6)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는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제 1 회전축(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접촉하는 제 1 스토퍼(15)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스토퍼(15)는 상부 도어체(6)의 상부 폐쇄면(6C)이 개구부(5)의 전방의 하방에서 또한 상향으로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상부 도어체(6)를 개방시킨다.
하부 도어체(7)는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는 세정조(2) 측벽의 개구부(5)의 하단부 근방에서 제 2 회전축(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2 스토퍼(18)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스토퍼(18)는 하부 도어체(7)의 하부 폐쇄면(7C)이 개구부(5)의 전방의 하방에서 또한 상향으로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하부 도어체(7)를 개방시킨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상부 도어체(6)는 하부 도어체(7)의 하부 폐쇄면(7C)의 바로 상방에 위치한다.
하부 도어체(7)에는 누름 버튼(19)과 로크부(21)가 마련되고, 세정조(2)의 측벽에는 계지부(20)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도어체(7)가 개구부(5)를 폐쇄한 상태에서, 로크부(21)는 계지부(20)에 계지되어서 하부 도어체(7)를 하우징(1)에 고정한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19)을 누르면, 누름 버튼(19)과 연동해서 계지부(20)로부터 로크부(21)를 해제하고, 하부 도어체(7)를 개방할 수 있다.
연동 부재(24)의 일단이 제 1 연결점(22)에서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와 회 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동 부재(24)의 타단이 제 2 연결점(23)에서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부 도어체(7)에는 사용자가 하부 도어체(7)를 조작해서 개방시키는 조작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25)를 조작해서 제 2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하부 도어체(7)를 회동시켜서 개방하면, 연동 부재(24)는 하부 도어체(7)의 회동에 연동해서 상부 도어체(6)를 제 1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개방시켜서,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를 개구부(5)의 전방의 하방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개방시킨다.
도 8a 내지 도 8c는 연동 부재(24)의 확대도이다. 제 2 연결점(23)은 연동 부재(24)에 마련된 연결축(23A)과,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마련된 긴 구멍(2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축(23A)은 긴 구멍(23B)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스토퍼(15)에 의해 상부 폐쇄면(6C)이 상향으로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상부 도어체(6)가 개방된 상태에서, 연결축(23A)은 긴 구멍(23B) 내를 이동할 수 있고,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유격을 형성하고 있다.
연동 부재(24)에는 가이드 구멍(26)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는, 가이드 구멍(26)에 삽입된 가이드 돌기부(27)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개방하면, 가이드 돌기부(27)는 가이드 구멍(26) 내를 이동한다. 가이드 구멍(26)은 연결축(23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을 갖는 원호부(26A)와, 원호부(26A)의 단부(26B)로부터 긴 구멍(23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구멍부(26C)를 갖는다.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부(27)는 가이드 구멍(26)의 긴 구멍부(26C) 내를 이 동할 수 있고, 제 2 연결점(23)을 이동할 수 있는 유격을 형성하고 있다. 폐쇄되어 있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쌍방과도 개방되고 있는 도중에는, 가이드 돌기부(27)는 가이드 구멍(26)의 원호부(26A) 내를 이동하고, 제 2 연결점(23)을 긴 구멍(23B) 내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한다.
세정조(2)의 측벽에는, 제 1 가이드 핀(28)과 제 2 가이드 핀(29)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는, 역 L자 형상의 제 1 가이드 레일(31)과, 직선 형상의 제 2 가이드 레일(3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레일(31)에는 제 1 가이드 핀(28)이 접동 가능하게 계합하고, 제 2 가이드 레일(32)에는 제 2 가이드 핀(29)이 접동 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는 인입 돌기부(34)와 인입 트리거(trigger)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의 폐쇄 상태로부터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소정량 개방될 때까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마련한 인입 핀(33)과 접촉하는 인입 돌기부(34)와,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의 개방 상태로부터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를 소정량 폐색했을 때에 인입 핀(33)과 접촉하는 인입 트리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 마련된 제 1 유지부(36)와,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제 2 유지부(37)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 1 스프링(38)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소정량만 개방되어서 상부 도어 인입 핀(33)이 인입 돌기부(34)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상부 도어체(6)를 폐쇄 시키는 방향으로, 제 1 스프링(38)은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를 가압한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마련된 제 3 유지부(39)와,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제 4 유지부(40)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한 제 2 스프링(41)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제 2 스프링(41)은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부 도어체(6)를 가압한다.
연동 부재(24)에 마련된 제 5 유지부(42)와, 세정조(2)의 측벽에 마련된 제 6 유지부(43)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한 제 3 스프링(44)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45도 정도 회동해서 개방되는 도중까지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제 3 스프링(44)은 연동 부재(24)를 가압한다. 하부 도어체(7)가 45도 정도 개방되고 나서 하부 폐색면(7C)이 대략 수평으로 개방될 때까지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제 3 스프링(44)은 연동 부재(24)를 가압한다.
이하에 식기 세척기(100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로크부(21)는 계지부(20)에 계지되어 있다. 사용자가 누름 버튼(19)을 누르면 계지부(20)로부터 로크부(21)가 해제된다. 그 후, 사용자가 조작부(25)를 조작해서 하부 도어체(7)를 개방하면,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제 3 스프링(44)에 의해 가압된 연동 부재(24)는 이동한다.
도 7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기 시작한 초기에서의 식기 세척기(1001)의 단면도이다. 제 2 스프링(41)이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를 가압하는 가압력과, 제 1 스프링(38)으로 가압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를 인입하는 인입력에 의해, 하부 도어체(7)를 개방하기 시작한 초기에서는 하부 도어체(7)만이 개방되고, 상부 도어체(6)는 개구부(5)의 상부를 계속해서 폐쇄하고 있다.
식기 세척기(1001)에서는, 제 2 스프링(41)과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의 2개의 기구로 개방하기 시작한 초기에 상부 도어체(6)를 폐쇄된 위치에 머물게 한다.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에서는, 상부 도어체(6)의 중량의 조건이나 제 2 스프링(41)이나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를 조립한 공간의 크기의 조건에 의해, 제 2 스프링(41)과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 중 어느 쪽인가 한쪽만으로 상부 도어체(6)를 폐쇄된 위치에 머물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어서 연동 부재(24)가 이동하는 것으로 연결축(23A)이 긴 구멍(23B) 내를 이동해서 긴 구멍(23B)의 상단에 도달하면, 상부 도어체(6)는 하부 도어체(7)와 연동하여 이동해서 개방되기 시작한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개방되면 그것에 맞춰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소정량만 개방되면 제 2 가이드 레일(32)의 제 2 레일 단부점(32A)과 제 2 가이드 핀(29)이 접촉한다. 또한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를 개방하면, 제 1 가이드 레일(31)의 제 1 가이드 단부점(31A)과 제 1 가이드 핀(28)이 접촉할 때까지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제 2 가이드 핀(29)을 지점으로 해서 회동한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 도어 인입 핀(33)이 인입 돌기부(34)로부터 분리되고,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에 의한 상부 도어체(6)로의 가압이 해제된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제 1 스프링(3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러나, 제 1 가이드 핀(28)이 제 1 가이드 레일(31)의 상면에 버티고 있으므로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가 상방에 머문다.
상부 도어체(6)가 개구부(5)의 상부를 폐쇄할 때에는 접촉부(6A)에서 밀봉 부재(8)로부터 반발력을 받으며, 상부 도어체(6)를 폐쇄하기 위해서 큰 폐색력을 필요로 한다.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기 직전으로부터 폐쇄될 때까지 이 큰 폐색력을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에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항상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부 도어체(6)를 가압하는 제 2 스프링(41)에 비해서, 상부 도어 인입 부재(30)는 효과적으로 상부 도어체(6)를 폐쇄할 수 있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는,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와 하부 도어 지지 부재(17)가 제 1 스토퍼(15)와 제 2 스토퍼(18)에 각각 접촉할 때까지 개방된다. 이렇게 개방할 때에는, 상부 도어체(6)의 상부 폐쇄면(6C)과 하부 도어체(7)의 하부 폐쇄면(7C)은 상향에서 대략 수평해서, 상부 도어체(6)는 하부 도어체(7)의 바로 상방에 겹쳐져 있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를 개방한 후, 상부 도어체(6)의 상부 폐쇄면(6C) 상에 바구니(4)를 인출하고, 피세정물(3)을 얹어 놓는다. 바구니(4)가 상부 폐쇄면(6C)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피세정물(3)로부터 떨어진 국물, 물방울 등의 액체가 식기 세척기(1001)의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피세정물(3)을 바구니(4)에 얹어 놓을 때에 피세정물(3)로부터 낙하해서 상부 도어체(6)의 접촉부(6A)[밀봉부(51B)]의 외측에 부착된 물은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인다.
상부 도어체(6)는 개구부(5)로부터 하방으로 개방되어서 바구니(4)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개구부(5)의 상부가 덮어지지 않고 개방되어, 바구니(4)에 피세정물(3)을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의 상방에는 아무 것도 돌출하지 않으므로, 하우징(1)의 상면에 다른 물체를 놓아 둘 수 있어서, 하우징(1)의 상방의 스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의 상방에 상부 도어체(6)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식기 세척기(1001)는 좁은 부엌에도 설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바구니(4)를 세정조(2) 내에 수납해서 하부 도어체(7)를 폐쇄한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는 연동해서 개폐하므로, 상부 도어체(6)는 하부 도어체(7)와 동시에 폐쇄된다. 상부 도어 지지 부재(14)를 통해 제 2 스프링(41)이 상부 도어체(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하부 도어체(7)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제 3 스프링(44)이 연동 부재(24)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작은 힘으로 하부 도어체(7)를 폐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식기 세척기(1001)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부 도어체(6)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상부 물 수용 홈(11)에 물이 고인다. 그 물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기 위해서 회동할 때에 상부 물 수용 홈(11)을 개구부(5)에 면하고 있는 상부 유출부(12)를 향 해서 하방으로 흐르고, 상부 유출부(12)를 통해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으로 회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는 연동해서 개폐한다. 따라서,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가 회동하고 있을 때에, 상부 도어체(6)의 상부 유출부(12)와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은 근접하고 있으므로, 상부 유출부(12)로부터 유출한 물은 하부 물 수용 홈(10)으로 빠짐없이 회수된다. 또한, 상부 도어체(6)의 상부 유출부(12)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하부 물 수용 홈(10)이 경사하고 있을 때에 수용하므로, 그 물이 하부 물 수용 홈(10)에 부딪혀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개방되어 있는 상부 도어체(6)를 하부 도어체(7)의 상단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상부 도어체(6)의 하단이 개구부(5)에 근접하므로, 개구부(5)를 통해서 바구니(4)를 인출하고 또한 격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도어체(6)가 폐쇄되기 위해서 회동하고 있을 경우에, 상부 도어체(6)의 하단이 개구부(5)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위할 때에, 상부 도어체(6)의 상부 폐쇄면(6C)이 개구부(5)를 향해서 낮아지도록 경사하므로, 상부 도어체(6)의 상부 물 수용 홈(11)에 고인 물은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에 확실하게 흘러내린다.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에 고여 있던 물과, 상부 도어체(6)의 상부 물 수용 홈(11)으로부터 회수된 물은 하부 도어체(7)의 하부 물 수용 홈(10)을 하방으로 흐르고, 하부 유출부(10A)를 거쳐서 세정조 하부(2A)로 빠짐없이 회수된다. 따라서, 물 수용 홈(10, 11)에 고여 있던 물은 식기 세척기(1001)의 기기 외부로 새는 일 없이 세정조(2)로 회수되어, 하우징(1) 및 식기 세척기(1001)가 설치된 싱크대 등의 설치 개소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를 개폐시키는 기구는 세정조(2) 및 상부 도어체(6)와 하부 도어체(7)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
도 4a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선 4A-4A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
도 4b는 도 1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선 4B-4B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식기 세척기의 선 5-5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연동 부재의 확대도,
도 9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홈
2 : 세정조 3 : 피세정물
4 : 바구니 5 : 개구부
6 : 상부 도어체 6A : 상부 접촉부
6B : 상부 차폐벽 6C : 상부 폐쇄면
6D : 상부 대향부 6E : 상부 주변부
7 : 하부 도어체 7A : 하부 접촉부
7B : 하부 차폐벽 7C : 하부 폐쇄면
7D : 하부 대향부 7E : 하부 주변부
8 : 밀봉 부재 10 : 하부 물 수용 홈
10A : 하부 유출부 11 : 상부 물 수용 홈
12 : 상부 유출부 13 : 제 1 회전축
14 : 상부 도어 지지 부재 15 : 제 1 스토퍼
16 : 제 2 회전축 17 : 하부 도어 지지 부재
18 : 제 2 스토퍼 19 : 누름 버튼
20 : 계지부 21 : 로크부
24 : 연동 부재 25 : 조작부
26 : 가이드 구멍 27 : 가이드 돌기부
28 : 제 1 가이드 핀 29 : 제 2 가이드 핀
30 : 상부 도어 인입 부재 31 : 제 1 가이드 레일
32 : 제 2 가이드 레일 33 : 인입 핀
34 : 인입 돌기부 35 : 인입 트리거부
36 : 제 1 유지부 37 : 제 2 유지부
38 : 제 1 스프링 39 : 제 3 유지부
40 : 제 4 유지부 41 : 제 2 스프링
42 : 제 5 유지부 43 : 제 6 유지부
44 : 제 3 스프링 51A, 51B : 밀봉부
1001 : 식기 세척기

Claims (9)

  1.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피세정물을 출입시켜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세정조와,
    상기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상기 세정조 내에 분사하는 세정 노즐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개방되는 도어체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도어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를 수밀하게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체는 상기 밀봉부가 마련되고 또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면을 가지며,
    상기 폐쇄면은 상기 도어체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밀봉부로 둘러싸여진 대향부와, 상기 밀봉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물 수용 홈이 형성된 주변부를 가지며,
    상기 도어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물 수용 홈에 고인 물이 상기 세정조로 회수되며
    상기 도어체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를 개폐하고, 또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폐쇄면을 갖는 상부 도어체와,
    상기 개구부의 상기 상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를 개폐하고, 또한 상기 개구부의 상기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 폐쇄면을 갖는 하부 도어체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 도어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의 상기 상부를 수밀하게 밀봉하는 상부 밀봉부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부 도어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의 상기 하부를 수밀하게 밀봉하는 하부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폐쇄면은 상기 상부 도어체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상부 밀봉부로 둘러싸여진 상부 대향부와, 상기 상부 밀봉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부 물 수용 홈이 형성된 상부 주변부를 가지며,
    상기 하부 폐쇄면은 상기 하부 도어체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하부 밀봉부로 둘러싸여진 하부 대향부와, 상기 하부 밀봉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하부 물 수용 홈이 형성된 하부 주변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도어체와 상기 하부 도어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상부 물 수용 홈에 고인 물이 상기 하부 물 수용 홈을 거쳐서 상기 세정조로 회수되는
    식기 세척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체는 상기 상부 도어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상기 상부 물 수용 홈의 단부에 위치하는 상부 유출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유출부는 상기 상부 도어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하부 물 수용 홈의 바로 상방에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체와 상기 상부 도어체를 연동해서 개폐시키는 연동 부재와,
    상기 하부 도어체를 하방으로 개방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 도어체는 상기 하부 도어체가 개방될 때에 연동해서 하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하부 도어체의 상기 상부 폐쇄면의 상방에 겹치도록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체와 상기 상부 도어체를 연동해서 개폐시키는 연동 부재와,
    상기 하부 도어체를 하방으로 개방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 도어체는 상기 하부 도어체가 개방될 때에 연동해서 하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하부 도어체의 상기 상부 폐쇄면의 상방에 겹치도록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밀봉 부재와,
    상기 상부 도어체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 도어체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밀봉 부재에 접촉하는 상부 접촉부와,
    상기 하부 도어체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도어체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밀봉 부재에 접촉하는 하부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밀봉부는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상부 접촉부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밀봉부는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하부 접촉부로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체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부를 더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밀봉 부재와,
    상기 도어체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체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밀봉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식기 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부를 더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90026280A 2008-05-19 2009-03-27 식기 세척기 KR101051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30419 2008-05-19
JP2008130419A JP4544344B2 (ja) 2008-05-19 2008-05-19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398A KR20090120398A (ko) 2009-11-24
KR101051508B1 true KR101051508B1 (ko) 2011-07-22

Family

ID=4136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280A KR101051508B1 (ko) 2008-05-19 2009-03-27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44344B2 (ko)
KR (1) KR101051508B1 (ko)
CN (1) CN101584569B (ko)
TW (1) TW2009483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5615A (ja) * 2012-06-12 2013-12-26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CN105276676B (zh) * 2014-06-23 2018-07-3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室内机
JP6917546B2 (ja) * 2017-08-08 2021-08-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212307758U (zh) * 2020-04-21 2021-01-0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961A (ja) * 2000-06-28 2002-0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2006198223A (ja) * 2005-01-21 2006-08-03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1889Y2 (ja) * 1979-03-14 1983-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S5851888Y2 (ja) * 1979-03-14 1983-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S5912288B2 (ja) * 1979-03-14 1984-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3095002B2 (ja) * 1998-12-02 2000-10-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961A (ja) * 2000-06-28 2002-0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2006198223A (ja) * 2005-01-21 2006-08-03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73820A (ja) 2009-11-26
CN101584569A (zh) 2009-11-25
JP4544344B2 (ja) 2010-09-15
CN101584569B (zh) 2013-09-04
KR20090120398A (ko) 2009-11-24
TWI363609B (ko) 2012-05-11
TW200948327A (en)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508B1 (ko) 식기 세척기
KR101121262B1 (ko) 식기 세척기
KR20050105706A (ko) 워터 가이드 탈거 방지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100658845B1 (ko) 식기 세척기의 노즐 가이드 체결 구조
JP4893785B2 (ja) 食器洗い機
JP2002238826A (ja) 食器洗い機
KR20070084898A (ko) 식기세척기의 도어힌지어셈블리
JP5170119B2 (ja) 食器洗い機
TWI501746B (zh) Tableware Washing Machine (2)
JP5141697B2 (ja) 食器洗い機
KR20050110927A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JP5578135B2 (ja) 食器洗い機
KR100662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 구조
KR20070113637A (ko) 식기 세척기
KR101070104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1054113B1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KR101290357B1 (ko) 식기 세척기
KR100239518B1 (ko) 식기세척기의 소음누설 차단장치
KR101208156B1 (ko) 식기 세척기
KR20090001588U (ko) 세제투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1232508B1 (ko) 식기 세척기
KR200307549Y1 (ko) 세제인출 조절장치가 설치된 수세미
JP2013255615A (ja) 食器洗い機
KR101559397B1 (ko) 세척기기
CN111481139A (zh) 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