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976B1 - 고정구 및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고정구 및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976B1
KR101103976B1 KR1020100034110A KR20100034110A KR101103976B1 KR 101103976 B1 KR101103976 B1 KR 101103976B1 KR 1020100034110 A KR1020100034110 A KR 1020100034110A KR 20100034110 A KR20100034110 A KR 20100034110A KR 101103976 B1 KR101103976 B1 KR 101103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member
engagement
engaging
protrus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991A (ko
Inventor
다케후미 아다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11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수부재가 되밀렸다 하더라도 충분한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구 및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를 얻는다.
(해결수단) 고정상태에서 수부재(16)에 암부재(14)에서 빠지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 수부재(16)가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와 맞닿는 위치가 장착부(58,60)에서 맞닿음부(54,56)로 이동하게 된다. 맞닿음부(56)에는 걸어맞춤 홈(6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 홈(62)에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수부재(16)의 회전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수부재(16)를 그대로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함으로써,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걸어맞춤구멍(64)에 걸어맞춰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20)와 걸어맞춤 다리편(28)에 의해서 차체 패널(10) 및 트림 보드(12)의 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고정구 및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FIXTURE AND FIXING STRUCTURE OF INSTALLING OBJECT MEMBER}
본 발명은 차체 패널에 트림 보드 등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및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트림 보드는 암부재와 수부재로 구성된 고정구에 의해서 차체 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수부재의 머리부의 하면의 외연부측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1쌍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 수부재의 축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오목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오목부가 칸막이벽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한편, 암부재의 플랜지부에는 수부재의 머리부가 끼워지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 오목부의 상면에는 톱니형상 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니형상 캠을 구성하는 경사면에 수부재의 머리부에 형성된 돌기가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암부재의 원통형상 몸통부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부재의 칸막이벽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트림 보드 및 차체 패널에 형성된 부착구멍 내로 암부재를 삽입한 후, 암부재의 슬릿의 위치에 수부재의 칸막이벽의 위치를 맞추면서 수부재의 축부를 암부재의 원통형상 몸통부 내로 삽입한다.
여기서, 원통형상 몸통부는 슬릿에 의해서 복수의 분할편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분할편의 내면에 돌출형성된 돌조부가 수부재의 축부의 오목부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수부재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암부재에 임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수부재의 돌기가 암부재의 톱니형상 캠의 경사면의 정상부에 맞닿은 상태, 즉 수부재의 머리부가 암부재의 오목부에서 떠오른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수부재를 회전시키면, 수부재의 돌기가 톱니형상 캠의 경사면의 정상부를 타고 넘어서 톱니형상 캠의 평탄부로 안내됨으로써 수부재가 암부재의 내측으로 압입되게 된다. 이 때, 분할편의 돌조부가 수부재의 축부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과 동시에 각 분할편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암부재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와 분할편의 사이에 트림 보드 및 차체 패널을 협지(挾持)함으로써, 트림 보드를 차체 패널에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공평6-45048호 공보
그런데, 상기 고정구를 통해서 트림 보드를 차체 패널에 고정한 상태에서 수부재가 그 축부의 선단부측에 가해지는 어떤 외력에 의해서 되밀린 경우나, 조립시에 있어서의 치핑에 의한(돌 등에 맞닿아서 수부재가 되밀리는) 경우 등 이른바 수부재가 되밀린 경우에는 수부재의 돌기가 암부재의 톱니형상 캠의 경사면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즉, 분할편의 돌조부가 오목부에 걸어맞춰져서 분할편이 본래의 상태로 축소됨으로써 수부재 및 암부재가 트림 보드 및 차체 패널에서 빠짐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부재가 되밀렸다 하더라도 충분한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구 및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고정구에 있어서, 환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표면에 형성된 환형상의 오목부 내에 형성되며 둘레방향을 따라서 경사지는 경사캠과, 상기 플랜지부에서 수하(垂下)되며 중공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체와, 상기 걸어맞춤 다리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암부재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상기 중공부 내로 삽입 가능한 봉형상의 축부와, 상기 축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축부의 외형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이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경사캠에 맞닿아서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오목부 내로 상기 머리부를 안내하는 돌기부와, 상기 축부의 타단부에 당해 축부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가 상기 오목부 내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돌조부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구멍과, 상기 걸어맞춤구멍과 걸어맞춤구멍의 사이에 형성된 칸막이벽의 외면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머리부를 상기 오목부 내에 수용시키면 상기 걸어맞춤구멍에서 빠져 나온 상기 돌조부가 맞닿아서 상기 걸어맞춤 다리체를 외측으로 향해서 벌리는 장착부와, 적어도 1개의 상기 칸막이벽의 외면에 상기 축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돌조부가 걸어맞춰져서 상기 축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고정구가 암부재와 수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암부재에 형성된 환형상의 플랜지부의 표면에는 수부재의 머리부가 수용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 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경사지는 경사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캠에는 수부재의 머리부의 이면에서 돌출되는 돌기부가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돌기부를 경사캠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수부재를 암부재에 대해서 회전시키면, 경사캠의 경사면을 따라서 돌기부를 통해서 수부재가 회전하면서 그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오목부 내에 수부재의 머리부가 수용된다.
또, 플랜지부에는 수부재의 축부가 삽입 가능한 중공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체가 수하되어 있으며, 상기 걸어맞춤 다리체의 선단부에는 돌조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부재의 축부에는 걸어맞춤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머리부가 오목부 내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구멍에 돌조부가 걸어맞춰지게 된다. 상기 걸어맞춤구멍에 돌조부가 걸어맞춰진 상태는, 수부재가 암부재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이른바 임시 고정상태가 된다.
또, 걸어맞춤구멍과 걸어맞춤구멍의 사이에는 칸막이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벽의 외면의 연장선상에는 걸어맞춤 다리체를 외측으로 향해서 벌어지게 하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부재가 암부재에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수부재의 축부를 회전시키면, 수부재가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수부재의 머리부가 암부재의 플랜지부의 오목부 내에 수용된다.
이 때, 걸어맞춤 다리체의 돌조부와 걸어맞춰져 있던 걸어맞춤구멍의 위치가 둘레방향 및 축방향으로 어긋나게 됨에 따라서 돌조부가 걸어맞춤구멍에서 빠져 나오게 됨과 동시에 칸막이벽의 외면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장착부에 맞닿게 됨으로써, 걸어맞춤 다리체가 상기 돌조부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가 수부재가 암부재에 완전히 고정되는 이른바 고정상태가 된다.
즉, 피부착부재 및 이 피부착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 내로 암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수부재를 상기 암부재에 고정함으로써, 즉 암부재의 플랜지부와 걸어맞춤 다리체에 의해서 피부착부재 및 부착부재를 협지함으로써 피부착부재에 부착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1개의 칸막이벽의 외면에는 축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장착부의 연장선상에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게 된다. 피부착부재에 부착부재를 부착하는 작업공정에 있어서, 수부재가 암부재에 고정된 상태(피부착부재에 부착부재를 부착한 상태)에서 수부재가 그 축부의 선단부측에 가해지는 어떤 외력에 의해서 되밀린 경우, 걸어맞춤 다리체의 돌조부와 맞닿아 있던 장착부의 위치가 축방향을 따라서 어긋나게 됨으로써 돌조부가 칸막이벽과 맞닿게 된다. 칸막이벽에는 돌조부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조부가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수부재의 회전이 규제되게 된다. 즉, 돌조부가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맞춰지는 일이 없다.
그리고, 돌조부가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도 걸어맞춤 다리체가 외측으로 향해서 벌어져 있기 때문에, 수부재 및 암부재가 피부착부재 및 부착부재의 부착구멍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또, 이 상태에서는 수부재의 머리부가 암부재의 플랜지부의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부재를 압압하여 암부재의 걸어맞춤 다리체의 돌조부를 장착부에 맞닿게 함으로써, 수부재를 암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칸막이벽의 사이에 상기 돌조부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부재가 암부재에서 빠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피부착부재 및 부착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정구를 장착하여, 상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부착부재를 상기 피부착부재에 부착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기재된 효과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수부재가 되밀렸다 하더라도 충분한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고정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고정구의 임시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고정구의 임시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 단면도
도 5는 상기 고정구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상기 고정구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상기 고정구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상기 고정구의 수부재가 되밀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상기 고정구의 수부재가 되밀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10-10선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고정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패널(피부착부재)(10)에 트림 보드(부착부재)(12)를 고정하기 위해서 암부재(14)와 수부재(16)로 구성된 고정구(18)가 이용된다. 차체 패널(10) 및 트림 보드(12)에 형성된 부착구멍(10A,12A)에 상기 고정구(18)를 장착하여, 이 고정구(18)에 의해서 차체 패널(10) 및 트림 보드(12)의 부착구멍(10A,12A)의 주변부를 협지함으로써 트림 보드(12)가 차체 패널(10)에 고정된다.
<고정구>
이하, 고정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구(18)는 암부재(14)와 수부재(1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있어서의 화살표 UP로 나타내는 방향을 상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암부재)
암부재(14)는 부착구멍(10A,12A)보다도 큰 지름으로 된 환형상의 플랜지부(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20)의 표면에는 대략 환형상의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2)의 바닥부(22A)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서 오목부(22)의 개구측에서 바닥부(22A)측으로 향해서 시계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캠(24)이 90°미만의 범위 내에서 서로 대향되게 2개 형성되어 있다. 경사캠(24)의 최하부(24A)의 근방에는 경사캠(24)의 정상부(24B)와 거의 같은 높이를 가지는 벽부(26)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부(26)를 중심으로 하여 경사캠(24)의 반대측에는 평탄부(23){오목부(22)의 바닥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20)의 내주연부에서는 4개의 걸어맞춤 다리편(걸어맞춤 다리체)(28)이 수하(垂下)되어 있으며, 이들 걸어맞춤 다리편(28)에 의해서 중공부(30)(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다리편(28)은 부착구멍(10A,12A)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걸어맞춤 다리편(28)과 걸어맞춤 다리편(28)의 사이에는 슬릿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부(32)에 의해서 각 걸어맞춤 다리편(28)은 각각 독립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 다리편(28)은 평탄부(23) 및 경사캠(24)의 최하부(24A)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내면의 선단부에는 수평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는 돌조부(34)(도 10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수부재)
수부재(16)는 암부재(14)의 중공부(30) 내로 삽입 가능한 봉형상의 축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축부(36)의 일단부에는 상기 축부(36)의 외형보다도 크게 형성된 머리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38)가 암부재(14)의 오목부(22) 내에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머리부(38)의 상면에는 십자홈(40)이 형성되어 있으며, 드라이버 등을 걸어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머리부(38)의 이면에서는 돌기부(42)가 돌출되어 있으며,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2개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돌기부(42)는 머리부(38)의 이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면(42A)과, 이 수직면(42A)의 선단부에서 머리부(38)의 이면측으로 향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42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경사면(42B)이 오목부(22) 내에 형성된 경사캠(24)에 맞닿게 되며, 경사캠(24)의 표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돌기부(42)와 돌기부(42)의 사이에는 사각형상의 맞닿음 리브(44)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맞닿음 리브(44)는 돌기부(42)보다도 높이가 낮고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 리브(44)가 돌기부(42)보다도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고, 경사캠(24)의 정상부(24B)와 벽부(26)는 거의 같은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부(42)가 경사캠(24)의 정상부(24B)에 맞닿았을 경우, 맞닿음 리브(44)는 벽부(26)에 맞닿지 않게 된다.
즉, 돌기부(42)가 경사캠(24)의 정상부(24B)에 맞닿았을 경우, 경사캠(24)의 경사면을 따르는 돌기부(42)를 통해서 맞닿음 리브(44)가 벽부(26)에 맞닿을 때까지 수부재(16)가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돌기부(42)가 경사캠(24)에 맞닿기 전에 맞닿음 리브(44)가 벽부(26)에 맞닿았을 경우에는 맞닿음 리브(44)에 의해서 수부재(16)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축부(36)의 타단부{축부(36)의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부(42) 및 맞닿음 리브(44)의 하부의 위치에서 외측으로 향해서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편(46,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편(46,48)은 상기 암부재(14)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다리편(28)과 걸어맞춤 다리편(28)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부(32) 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편(46)과 가이드편(48)의 폭을 서로 다르게 하고, 슬릿부(32)의 폭을 상기 가이드편(46,48)의 폭에 맞춰서 서로 다르게 하여, 암부재(14)의 둘레방향의 소정 위치 이외에서는 축부(36)가 중공부(30) 내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 축부(36)의 선단측에는 상기 가이드편(46,48)과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또한 상기 가이드편(46,48)과 평행하게 되는 걸림편(걸림부)(50,52)이 축부(36)의 외주면에서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걸림편(50,52)을 사이에 두고서 가이드편(46,48)측을 "맞닿음부(칸막이벽)(54,56)"라 하고, 가이드편(46,48)의 반대측을 "장착부(58,60)"라 한다.
맞닿음부(54,56) 및 장착부(58,60)에는 각각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돌조부(34)가 맞닿음부(54,56) 또는 장착부(58,60)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상기 걸어맞춤 다리편(28)이 외측으로 향해서 벌어진 탄성변형된 상태, 즉 차체 패널(10) 및 트림 보드(12)의 부착구멍(10A,12A)의 내경 치수보다도 크게 벌어진 상태가 된다(도 7 및 도 9 참조). 여기서, 도 7은 돌조부(34)가 장착부(58,60)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돌조부(34)가 맞닿음부(54,56)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34)가 장착부(58,60)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상기 돌조부(34)가 걸림편(50,52)에 걸림으로써 축부(36)의 상측으로의 이동{수부재(16)가 암부재(14)에서 빠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상태가 이른바 고정구(18)의 고정상태가 된다.
또, 맞닿음부(56)의 둘레방향의 중앙부에는 축부(36)의 축방향을 따라서 걸어맞춤 홈(걸어맞춤부)(62)이 형성되어 있으며,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의 선단이 걸어맞춰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0 참조). 상기 돌조부(34)가 걸어맞춤 홈(62)에 걸어맞춰진 상태는 돌조부(34)가 맞닿음부(54)에 맞닿은 상태보다도 걸어맞춤 다리편(28)의 탄성변형량이 작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 다리편(28)이 외측으로 향해서 벌어진 탄성변형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차체 패널(10) 및 트림 보드(12)의 부착구멍(10A,12A)의 내경 치수보다도 크게 벌어진 상태가 된다.
한편, 맞닿음부(54)와 맞닿음부(56)의 사이에는 걸어맞춤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구멍(64)은 대략 사각뿔대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외주연부는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걸어맞춤구멍(64)의 바닥부(64A)는 축부(36)의 축방향을 따라서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축부(36)의 선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걸어맞춤구멍(64)에는 축부(36)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걸어맞춤구멍(64)의 좌우측 외주연부에서 바닥부(64A)측으로 향하는 경사면(64B,64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축부(36)의 축방향을 따라서 걸어맞춤구멍(64)의 상측 외주연부에서 바닥부(64A)측으로 향하는 경사면(64C)이 형성되고, 걸어맞춤구멍(64)의 하측 외주연부에서 바닥부(64A)측으로 향하는 수평면(64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구멍(64)에는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걸어맞춰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걸어맞춤구멍(64)에 걸어맞춰져서 수평면(64D)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걸어맞춤 다리편(28)은 자연 상태로 되어 있다. 즉, 탄성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이른바 고정구(18)의 임시 고정상태가 된다.
<고정구의 작용, 효과>
차체 패널(10)(도 3 참조)의 부착구멍(10A)과 트림 보드(12)의 부착구멍(12A)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부착구멍(10A) 및 부착구멍(12A)에 암부재(14)의 걸어맞춤 다리편(28)을 삽입한다. 암부재(14)의 플랜지부(20)가 트림 보드(12)의 부착구멍(12A)의 주변부에 맞닿음으로써 암부재(14)의 이동이 규제된다.
암부재(14)의 플랜지부(20)가 트림 보드(12)의 부착구멍(12A)의 주변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16)의 축부(36)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편(46,48)의 위치가 암부재(14)의 슬릿부(32)의 같은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수부재(16)의 축부(36)를 암부재(14)의 플랜지부(20)에서 중공부(30) 내로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서, 가이드편(46,48)이 슬릿부(32) 내로 삽입됨과 아울러, 축부(36)의 걸어맞춤구멍(64)이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내면과 대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부재(16)를 더 압압하면, 수부재(16)의 돌기부(42)가 암부재(14)의 경사캠(24)의 정상부(24B)측에 맞닿음과 동시에 맞닿음 리브(44)가 벽부(26)에 맞닿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편(46,48)의 위치가 암부재(14)의 슬릿부(32)의 같은 축선상의 위치로부터 약간 어긋났을 경우, 맞닿음 리브(44)가 돌기부(42)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부(42)가 경사캠(24)의 정상부(24B)에 맞닿은 경우에는, 경사캠(24)의 경사면을 따르는 돌기부(42)를 통해서 수부재(16)가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가이드편(46,48)이 슬릿부(32)와 같은 축선상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수부재(16)의 돌기부(42)가 암부재(14)의 경사캠(24)의 정상부(24B)측에 맞닿음과 동시에 맞닿음 리브(44)가 벽부(26)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걸어맞춤구멍(64)이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에 도달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34)가 걸어맞춤구멍(64)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즉, 고정구(18)의 임시 고정상태가 된다. 이 때, 걸어맞춤 다리편(28)은 거의 자연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16)의 머리부(38)가 암부재(14)의 오목부(22) 내에 수용되지 않고, 플랜지부(20)의 상면에서 떠오른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암부재(14)의 걸어맞춤 다리편(28)을 부착구멍(10A) 및 부착구멍(12A)에 삽입한 후에 수부재(16)를 암부재(14)에 걸어맞추도록 하였으나, 임시 고정상태의 고정구(18)(도 3 참조)의 걸어맞춤 다리편(28)을 부착구멍(10A) 및 부착구멍(12A)에 삽입하여도 좋다.
그리고, 고정구(18)의 임시 고정상태에서 수부재(1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맞닿음 리브(44)가 벽부(26)에서 낙하하여 평탄부(23){오목부(22)의 바닥부(22A)}에 배치됨과 동시에, 돌기부(42)가 경사캠(24)의 정상부(24B)측에서 최하부(24A)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수부재(16)가 암부재(14)의 내측으로 압입된다. 즉, 경사캠(24)에 의해서 수부재(16)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부재(16)에 축부(36)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력(軸力)을 발생시킨다.
수부재(16)의 둘레방향 및 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걸어맞춤구멍(64)의 위치가 이동하게 됨으로써 돌조부(34)와의 걸어맞춤 위치가 걸어맞춤구멍(64)의 경사면(64B)과 경사면(64C)의 경계선(P)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돌조부(34)가 걸어맞춤구멍(64)에서 빠져 나오게 됨과 동시에 걸림편(50,52)을 타고 넘게 됨으로써,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34)가 장착부(58,60){축부(36)의 외주면}에 맞닿게 된다. 이 때, 수부재(16)의 머리부(38)는 암부재(14)의 오목부(22) 내에 수용되게 된다.
즉, 이 상태가 고정구(18)의 고정상태가 되며, 걸어맞춤 다리편(28)이 외측으로 향해서 벌어진 탄성변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20)와 걸어맞춤 다리편(28)에 의해서 차체 패널(10) 및 트림 보드(12)를 협지할 수 있어, 트림 보드(12)가 차체 패널(10)에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돌기부(42)가 경사캠(24)의 최하부(24A)측으로 이동하여 그 수직면(42A)이 벽부(26)에 맞닿게 됨으로써, 수부재(16)는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이 규제된다.
여기서, 수부재(16)는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이 규제되게 되는데, 돌기부(42)가 경사캠(24)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수부재(16)는 돌기부(42)의 경사면(42B) 및 경사캠(24)을 통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분력(分力)을 받게 된다. 즉, 고정상태에서 수부재(16)를 암부재(14)의 내측으로 압입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암부재(14)에 대한 수부재(16)의 이동을 규제하여 수부재(16)와 암부재(14)의 요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 고정상태에서는 맞닿음 리브(44)가 평탄부(23)에 배치되어 있어, 맞닿음 리브(44)와 경사캠(24)의 수직벽(24C)과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부재(16)를 암부재(14)에 대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상태에서 수부재(16)에 암부재(14)에서 빠지는 방향{수부재(16)의 축부(36)에서 머리부(38)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이른바 수부재(16)가 되밀린 경우}, 수부재(16)가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와 맞닿는 위치가 장착부(58,60)에서 맞닿음부(54,56)로 이동하게 된다.
맞닿음부(56)에는 걸어맞춤 홈(6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 홈(62)에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수부재(16)의 회전을 규제하면서 수부재(16)를 그대로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함으로써,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걸어맞춤구멍(64)에 걸어맞춰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맞닿음부(54)는 축부(36)의 외주면이기 때문에,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맞닿음부(54)와의 맞닿음에 의해서 벌어지는 확대량은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장착부(58,60)와 맞닿아 있는 상태와 같다. 한편, 맞닿음부(56)에는 걸어맞춤 홈(6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맞닿음부(56)와의 맞닿음에 의해서 벌어지는 확대량은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장착부(58,60)와 맞닿아 있는 상태보다 작지만, 차체 패널(10) 및 트림 보드(12)의 부착구멍(10A,12A)의 내경 치수보다도 크게 벌어진 상태이다.
즉,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맞닿는 위치가 장착부(58,60)에서 맞닿음부(54,56)로 이동하더라도, 플랜지부(20)와 걸어맞춤 다리편(28)에 의해서 차체 패널(10) 및 트림 보드(12)의 협지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수부재(16)의 머리부(38)가 암부재(14)의 오목부(22)에서 떠오른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구(18)가 고정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을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부재(16)의 머리부(38)를 압압하면,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가 맞닿는 위치가 맞닿음부(54,56)에서 장착부(58,60)로 이동함과 동시에 머리부(38)가 오목부(22) 내에 수용된다.
한편, 고정상태에서 수부재(16)를 암부재(14)에서 빼낼 경우에는 수부재(16)를 암부재(14)에 대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돌기부(42)가 경사캠(24)의 바닥부에서 정상부(24B)로 향해서 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수부재(16)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머리부(38)가 암부재(14)의 오목부(22) 내에서 떠오름과 동시에, 걸어맞춤구멍(64)이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와 걸어맞춰지는 위치로 이동하여 걸어맞춤구멍(64)과 돌조부(34)가 걸어맞춰짐으로써, 걸어맞춤 다리편(28)이 본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것에 의해서, 플랜지부(20)와 걸어맞춤 다리편(28)에 의해서 차체 패널(10) 및 트림 보드(12)를 협지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구(18)를 차체 패널(10) 및 트림 보드(12)에 형성된 부착구멍(10A,12A)에서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형태이며,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 외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부(56)에 걸어맞춤 홈(62)를 형성하고, 걸어맞춤 다리편(28)의 돌조부(34)의 선단이 상기 걸어맞춤 홈(62)과 걸어맞춰지도록 하였으나, 수부재(16)의 회전을 규제할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34)의 선단에 걸어맞춤 오목부(34A)를 형성하고, 맞닿음부(56)의 표면에 상기 돌조부(34)의 선단의 걸어맞춤 오목부(34A)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볼록부(56A)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부(56)에만 걸어맞춤 홈(62)을 형성하였으나, 맞닿음부(54)에도 걸어맞춤 홈(62)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수부재(16)에 돌기부(42)와 맞닿음 리브(44)를 형성하고, 암부재(14)의 오목부(22)에는 상기 돌기부(42)가 맞닿는 경사캠(24)과 상기 맞닿음 리브(44)가 맞닿는 벽부(26)를 형성하였으나, 수부재(16)의 회전력에 의해서 축력을 발생시킬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적어도 경사캠(24)과 돌기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10 - 차체 패널(피부착부재) 12 - 트림 보드(부착부재)
14 - 암부재 16 - 수부재
18 - 고정구 20 - 플랜지부
22 - 오목부 24 - 경사캠
28 - 걸어맞춤 다리편(걸어맞춤 다리체) 30 - 중공부
34 - 돌조부 36 - 축부
38 - 머리부 42 - 돌기부
50 - 걸림편(걸림부) 54 - 맞닿음부(칸막이벽)
56A - 걸어맞춤 볼록부(걸어맞춤부) 56 - 맞닿음부(칸막이벽)
58 - 장착부 62 - 걸어맞춤 홈(걸어맞춤부)
64 - 걸어맞춤구멍

Claims (3)

  1. 환형상의 플랜지부(20)와,
    상기 플랜지부(20)의 표면에 형성된 환형상의 오목부(22) 내에 형성되며, 둘레방향을 따라서 경사지는 경사캠(24)과,
    상기 플랜지부(20)에서 수하(垂下)되며, 중공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체(28)와,
    상기 걸어맞춤 다리체(28)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조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 암부재(14)와;
    상기 플랜지부(20)에서 상기 중공부(30) 내로 삽입 가능한 봉형상의 축부(36)와,
    상기 축부(36)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축부(36)의 외형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22) 내에 수용되는 머리부(38)와,
    상기 머리부(38)의 이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경사캠(24)에 맞닿아서 상기 축부(36)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오목부(22) 내로 상기 머리부(38)를 안내하는 돌기부(42)와,
    상기 축부(36)의 타단부에 당해 축부(36)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38)가 상기 오목부(22) 내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돌조부(34)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구멍(64)과,
    상기 걸어맞춤구멍(64)과 걸어맞춤구멍(64)의 사이에 형성된 칸막이벽(54,56)의 외면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머리부(38)를 상기 오목부(22) 내에 수용시키면, 상기 걸어맞춤구멍(64)에서 빠져 나온 상기 돌조부(34)가 맞닿아서 상기 걸어맞춤 다리체(28)를 외측으로 향해서 벌리는 장착부(58,60)와,
    적어도 1개의 상기 칸막이벽(56)의 외면에 상기 축부(36)의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돌조부(34)가 걸어맞춰져서 상기 축부(36)의 회전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부재(1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58,60)와 상기 칸막이벽(54,56)의 사이에 상기 돌조부(34)가 걸리는 걸림부(50,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3. 피부착부재(10) 및 부착부재(12)에 형성된 부착구멍(10A,12A)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정구를 장착하여, 상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부착부재(12)를 상기 피부착부재(10)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
KR1020100034110A 2009-04-14 2010-04-14 고정구 및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 KR101103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97982A JP5165632B2 (ja) 2009-04-14 2009-04-14 固定具及び被取付部材の固定構造
JPJP-P-2009-097982 2009-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991A KR20100113991A (ko) 2010-10-22
KR101103976B1 true KR101103976B1 (ko) 2012-01-06

Family

ID=4298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110A KR101103976B1 (ko) 2009-04-14 2010-04-14 고정구 및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62807B2 (ko)
EP (1) EP2420683A1 (ko)
JP (1) JP5165632B2 (ko)
KR (1) KR101103976B1 (ko)
CN (1) CN102395802B (ko)
WO (1) WO2010119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7053B2 (ja) * 2010-03-03 2013-10-02 株式会社ニフコ グロメット
JP2012180915A (ja) * 2011-03-02 2012-09-20 Nifco Inc クリップ
US9624957B2 (en) * 2012-07-06 2017-04-18 Nifco Inc. Clip for fixing two members
FR3001006B1 (fr) * 2013-01-17 2015-03-13 Illinois Tool Works Article a fixer en aveugle sur un support
JP6116396B2 (ja) * 2013-06-19 2017-04-19 株式会社ニフコ 取付具
FR3020099B1 (fr) * 2014-04-16 2017-08-18 Illinois Tool Works Agrafe de fixation d'un panneau sur un support, procede de mise en oeuvre et equipement automobile
US9377135B2 (en) * 2014-04-17 2016-06-28 Nmc Group, Inc. Stackable fastener
JP6342256B2 (ja) * 2014-08-04 2018-06-1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6286774B2 (ja) * 2014-12-05 2018-03-07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クリップ
CN106032129B (zh) * 2015-03-13 2018-05-04 天津市信霖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卡扣
EP3331723B1 (de) * 2015-08-03 2022-02-16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Anschlag für eine schiene eines längsverschiebbaren sitzes
US9850927B2 (en) * 2015-08-04 2017-12-26 The Boeing Company Fastener installation in composite panels with fastener insert
US10131290B2 (en) * 2017-01-26 2018-11-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movable and serviceable twist lock assembly clip for blind installation
JP6976756B2 (ja) * 2017-07-11 2021-12-08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クリップ
DE102017010602A1 (de) * 2017-11-16 2019-05-16 A. Raymond Et Cie Befestiger
CN111295269B (zh) * 2018-01-16 2023-04-21 株式会社北川铁工所 机器人用末端执行器的安装结构以及机器人用末端执行器
JP6850773B2 (ja) * 2018-08-22 2021-03-31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US11519446B2 (en) 2018-11-05 2022-12-06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feedback feature
US11608849B2 (en) 2019-01-04 2023-03-21 Illinois Tool Works Inc. Grommet removal assemblies and methods
USD905546S1 (en) * 2019-01-04 2020-12-22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CN112081807A (zh) * 2019-06-14 2020-12-15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紧固件
US11933337B2 (en) * 2019-09-12 2024-03-19 Nifco Inc. Clip and clip attaching structure
US20220013257A1 (en) 2020-07-10 2022-01-13 Illinois Tool Works Inc. Grommet
US11346385B2 (en) 2020-04-06 2022-05-31 Illinois Tool Works Inc. Grommet
CN113497370B (zh) * 2021-09-06 2021-11-19 常州协和光电器件有限公司 一种固定良好的线路板总成
USD990300S1 (en) 2021-12-15 2023-06-27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USD991024S1 (en) 2021-12-15 2023-07-04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236U (ko) * 1996-10-19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 부착구조
KR19980043202U (ko)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자동차용 도어의 장착구조
KR20070094278A (ko) * 2006-03-17 2007-09-20 주식회사 한성 자동차 도어 보강재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069Y2 (ja) * 1991-03-11 1998-08-06 株式会社 ニフコ グロメット
JPH0640428U (ja) * 1992-10-29 1994-05-31 株式会社ニフコ プッシュリベット
JP2555004Y2 (ja) 1992-11-30 1997-11-19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雨戸の左右引き分け開閉装置
JP3251775B2 (ja) * 1994-06-15 2002-01-28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H10252726A (ja) * 1997-03-12 1998-09-22 Nifco Inc クリップ
US5921646A (en) * 1997-07-22 1999-07-13 Kenmark Industrial, Co., Ltd. Combination of easily assemblable and movable cabinet with its engagement components
DE19921613C2 (de) * 1999-05-10 2003-10-02 Trw Carr France Ingwiller Verbindungselement
DE20116249U1 (de) * 2001-10-04 2002-01-17 Kenmark Ind Co Ltd Verbindungselement
CN100398847C (zh) * 2004-03-31 2008-07-02 百乐仕株式会社 紧固件
JP4485281B2 (ja) * 2004-08-05 2010-06-16 株式会社ニフコ 留め具
JP4535892B2 (ja) 2005-01-25 2010-09-01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クリップ
JP4436266B2 (ja) * 2005-02-16 2010-03-24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5243749B2 (ja) * 2007-08-09 2013-07-24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及び支持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236U (ko) * 1996-10-19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 부착구조
KR19980043202U (ko)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자동차용 도어의 장착구조
KR20070094278A (ko) * 2006-03-17 2007-09-20 주식회사 한성 자동차 도어 보강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0683A1 (en) 2012-02-22
JP2010249198A (ja) 2010-11-04
US8662807B2 (en) 2014-03-04
US20120087762A1 (en) 2012-04-12
KR20100113991A (ko) 2010-10-22
JP5165632B2 (ja) 2013-03-21
WO2010119900A1 (ja) 2010-10-21
CN102395802A (zh) 2012-03-28
CN102395802B (zh)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976B1 (ko) 고정구 및 피부착부재의 고정구조
KR101481360B1 (ko) 2피스 클립
JP5628932B2 (ja) プッシュインファスナー組立体
US8636454B2 (en) Fastener
US10060463B2 (en) Clip and fastening structure
WO2011136105A1 (ja) 部材締結構造及び部材締結用のクリップ
JP7187614B2 (ja) シートベルト用アンカー装置
WO2017013797A1 (ja) 留め具
WO2016006328A1 (ja) 止め具
JPWO2010052960A1 (ja) クリップと取付部材との組付構造
US20200292116A1 (en) Pipe connector
JP6396277B2 (ja) クリップ
US7614835B2 (en) Simple fastening device
JP6286774B2 (ja) クリップ
JP6083998B2 (ja) 棚板固定具
JP5210207B2 (ja) クリップと取付部材との組付構造
JP2000085291A (ja) 筆記具用部品の連結構造
WO2012137839A1 (ja) クリップ
JP2008019938A (ja) クリップ
KR102021211B1 (ko) 클립
JP6011257B2 (ja) 位置決め保持機構
KR20170019748A (ko)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JP2022107136A (ja) クリップ
WO2012124710A1 (ja) クリップ
JP2010151223A (ja) 高強度ワンプッシュ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