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396B1 - 현수 비계, 현수 비계용 선반 및 그 조립 시공법 - Google Patents
현수 비계, 현수 비계용 선반 및 그 조립 시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9396B1 KR101099396B1 KR1020040074488A KR20040074488A KR101099396B1 KR 101099396 B1 KR101099396 B1 KR 101099396B1 KR 1020040074488 A KR1020040074488 A KR 1020040074488A KR 20040074488 A KR20040074488 A KR 20040074488A KR 101099396 B1 KR101099396 B1 KR 1010993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spension
- shelf
- panel
- protection panel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 비계(suspended scaffold), 현수 비계용 선반(shelf) 및 그 조립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현수 비계는, 크로스 빔(6)은, 빔 본체(6a)의 내부에 가로 부재(6b)를 설치하고, 상면 중앙에 하나의 개구부(6c)가 형성된 대략 립홈 단면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장착 및 분리 가능한 현수재 걸림구(5)를 가로 부재(6b)에 장착한다. 빔 본체 측면에는 핀공(6f)을 형성하고, 이 개소에 조이스트(7)를 가설한다. 조이스트(7)는 비계 파이프(11)의 양단에 단부 금속 부재(12)를 장착하여 개구부(6c)에 걸어 장착한다. 크로스 빔(6) 및 조이스트(7)가 형성되는 격자 프레임 상에는 바닥재(8)를 탑재한다. 선반은, 복수개의 지주재(支柱材)(21)와 인접하는 지주재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방호 패널(28)을 구비하고, 방호 패널(28)의 양 측부에는, 지주재(21)에의 장착 부재가 설치되고, 지주재(21)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방호 패널(28)의 장착 부재를 받는 복수의 받이부재와 대기재의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또, 지주재(21)의 하단부에는, 현수 비계(1)의 바닥 골조재에의 연결 수단(22)이 설치되고, 지주재(21)의 각 받이부재에 방호 패널(28)의 장착 부재를 받아들이게 하여, 지주재 사이에 복수개의 방호 패널(28)을 면방향으로 거의 간극 없이 고정한다.
현수 비계, 크로스 빔, 선반, 지주재, 방호 패널.
Description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현수 비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예에 관한 격자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실시예에 관한 크로스 빔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실시예에 관한 크로스 빔 연결부의 종단도이다.
도 5는, 동 실시예에 관한 연결 볼트 수납시의 빔 본체 단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a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동 실시예에 관한 현수재 걸림구 사용시의 종단도이다.
도 8은, 동 실시예에 관한 바닥재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실시예에 관한 바닥재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현수 비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선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실시예에 관한 지주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 실시예에 관한 방호 패널을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 실시예에 관한 지주재 하단부의 고정 수단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5는, 동 실시예에 관한 고정 수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동 실시예에 관한 고정 수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은, 동 실시예에 관한 록핀의 기단부가 수납된 상태에서의 록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동 실시예에 관한 록핀의 기단부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록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동 실시예에 관한 지주재에의 방호 패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0은, 동 실시예에 관한 대기 장착용 브래킷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동 실시예에 관한 대기 장착용 브래킷의 확대도이다.
도 22는, 동 실시예에 관한 대기재의 장착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3은, 동 실시예에 관한 제2 의 브래킷을 사용하여 지주재를 가고정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동 실시예에 관한 최하단의 방호 패널 하단과 지주재 하단면을 지나는 수평면과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선반의 조립 시공법의 일례(비계 상에서의 조립)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조립 시공법의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7은, 동 실시예에 관한 선반의 조립 시공법의 일례(지상 조립)를 나타낸 선반 구성체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동 실시예에 관한 지주재에의 방호 패널의 장착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6의 장착 구조에 이용되는 스토퍼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동 스토퍼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1은, 동 스토퍼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선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3 (a)은, 도 12의 선반에 이용되는 하단 주재의 측면도이다.
도 33 (b)은, 도 12의 선반에 이용되는 하단 주재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도 12의 선반에 이용되는 상단 주재의 측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하단 주재와 상단 주재의 접속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6 (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선반의 방호 패널과 지주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36 (b)은 동 실시예에 관한 패널 가압 금속 기구의 확대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패널 가압 금속 기구의 사용 상태로서, 너트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6의 패널 가압 금속 기구의 사용 상태로서, 너트 체결 후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32의 선반에의 대기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0은, 현수 비계용 선반의 종래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고속도로 등 구조물의 구축시, 또는 보강 공사나 유지보수를 위해 메인 거더(girder) 하면에 장착된 현수 비계(懸垂飛階; suspended scaffold)와, 그 현수 비계를 구성하는, 현수 비계 본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shelf) 및 그 조립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시가지에 고가도로를 건설할 때는, 비와 낙하물을 방지하기 위해 교각, 도로 거더 등을 배치한 후, 도로 거더 하면에 방호(防護) 바닥을 매달아 그 후의 작업을 행하고 있다. 또, 공용(供用)이 끝난 고속도로 등에 대해서 보강 공사나 유지보수 공사를 행하는 경우에도 메인 거더 하면에 현수 비계를 광범위하게 설치하여, 하방의 일반도로에의 통행을 확보하면서 보강 공사 등을 행하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현수 비계는, 체인 등으로 매다는 단관(單管) 파이프를 격자형으로 조립하여 달아맨 선반을 형성하고, 이것에 목제의 현수 비계를 탑재 고정하고, 측면에 난간 또는 선반을 설치하고, 측면 및 하방에 네트 및 시트를 장착하여 전락 방지·낙하 방지를 도모하는 형식이었다. 이와 같은 현수 비계의 조립 해체 작업은 토건업자라고 하는 특수 기능자에게 의존하지 않으면 안되고, 위험하며 능률이 매우 떨어지는 작업이었다.
그래서, 지상에서 프레임을 조립하고, 이것에 바닥재나 각종 방호재를 장착 한 후, 매달아 올려 구축물에 고정하는 방식도 각종 제안되어 있지만, 자재의 유효한 활용을 고려한 관점으로부터는, 프레임에 단관 파이프 등의 일반 비계재를 가능한 한 많이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현수 비계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허 평성 8(1996)-7441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고, 이 현수 비계는 크로스 빔으로 되는 메인 빔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이것에 단관 파이프 등의 통상 비계재를 사용한 조이스트로 되는 가로 부재를 가설하는 구조였다. 이 종래의 현수 비계의 구성을 도 10에 나타낸다. 메인 빔(101)은, 그 측면에 홈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받이부재(102)를 소정 간격마다 돌출시키고, 가로 부재(103)의 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가로 부재(103)의 축심 방향의 이동도 규제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받이부재(102)는 저면(102a)으로부터 결합 돌출부(102b)를 세워형성하고, 이것을 가로 부재 단부에 형성하는 지지공(103a)에 끼워 넣고 있었다.
또, 메인 빔(101) 상면에는 소정 간격마다 현수재 걸림구(104)의 고정 수단(105)을 설치하고, 이것에 구조물로부터 수하하는 도시하지 않은 현수재를 걸리게 하고 있었다. 고정 수단(105)은, 메인 빔 상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너트 등을 장착하는 것이며, 현수재 걸림구(104)의 볼트(104a)를 나사 결합하고 있었다. 또, 메인 빔(101)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단으로서는, 메인 빔 내부에 삽입 가능한 연결 금속 기구(106)를 사용하고, 이것과 메인 빔(10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107)나 스플릿핀 등으로 고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현수 비계는, 메인 빔(101)에 받이부재(102)가 많이 돌출하 기 때문에 곤포(梱包) 작업이 번잡하고, 또 곤포 체적의 증대를 초래하고, 운반비의 상승이나 보관 장소의 증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받이부재(102)가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 종래의 현수 비계는 현수재 걸림구(104)의 볼트(104a)를 메인 빔(101)에 나사 결합하는 구성이었기 때문에, 나사부에 손상이 발생하면 현수재 걸림구(104)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또, 매달림 하중을 이 나사부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이므로, 반복 사용에 의해 나사부에 마모가 생겼을 경우에는 안전면에서도 불안하였다.
또, 메인 빔(101)의 길이 방향을 연결하기 위해 , 연결 금속 기구(106)의 구멍부와, 메인 빔(101) 상하면에 형성하는 구멍부를 일치시킨 후에 볼트(107) 등을 관통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연결 금속 기구(106)가 분리된 부재의 경우, 그 장착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연결 부재를 메인 빔 단부에 고착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돌출되는 연결 부재가 변형되면 삽입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크로스 빔의 축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한 경우 볼트나 스플릿핀의 전단력으로 이것을 지지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강도적으로 문제가 생기기 쉬웠다.
그런데, 현수 비계를 구성하는 현수 비계 본체의 측면에는,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하는 동시에 공구나 공사 부품 등이 낙하하지 않도록, 양생(養生) 네트 등에 의해 덮인 방호책(선반)이 장착되어 있다.
선반은, 일반적으로, 단관 파이프를 클램프나 조인트 등에 의해 종횡으로 조립하고, 그 표면에 네트나 시트를 치고, 하부를 비계의 선단 거더재에 클램프를 통 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선반은, 조립에 시간이 걸릴 뿐아니라 조립 작업원의 안전성도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허 평성 8(1996)-184179호 공보에 기재된 패널식의 선반이 제안되어 있다.
이 패널식의 선반은, 도 40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한 크기(예를 들면, 세로 약 900mm, 가로 약 1800mm)의 프레임 내에 벽재를 납입한 패널 P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현수 비계 본체의 측면에 방호벽을 형성한다.
상하 방향의 연결은, 프레임 일측의 세로 기둥 A의 상단으로 돌출한 세로 연결구 B를 상단의 패널의 세로 기둥 하단부에 삽입하고, 록핀을 박는 등에 의해 행해진다. 좌우 방향의 연결은, 패널의 상부 프레임 C 의 타측단에 수평으로 뻗은 가로 연결구 D에 형성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근처의 패널 P´의 세로 기둥 A´의 세로 연결구 B´를 삽입하여 행해진다.
현수 비계와의 연결은, 최하단의 패널의 수평으로 뻗은 하부 연결재 E와 현수 비계의 둘레의 환(丸)파이프 F를 자재(自在)의 클램프 G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한 패널식 선반은, 패널 하단의 하부 연결 부재를 현수 비계의 환파이프에 연결할 때, 클램프를 사용한다. 상기한 일반적인 선반과 같이 단순하게 1개의 단관 파이프를 현수 비계 둘레부의 환파이프에 클램프에 의해 연결하는 경우와는 상이하고, 패널 전체를 지지하면서 클램프에서의 연결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 문에, 번거로운 작업으로 된다.
이 패널식 선반은, 상기 연결 구조를 채용하는 결과, 상단 패널의 세로 기둥 하단이 인접하는 하단 패널의 가로 연결구를 눌러 넣게 되어, 상하로 패널을 연결한 후에는 하단의 패널의 가로에 다른 패널을 추가 연결할 수 없다. 그러므로, 미리 지상에서 패널을 예를 들면 상하 좌우로 연결하고, 이것을 현수 비계에 매달아 올려 순차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여 간다고 하는 작업 스텝을 채용하지 못하므로, 패널을 1개마다 현수 비계 상에 옮겨 현수 비계 상에서 순차 조립 시공을 행하지 않을 수 없다.
또, 가로 방향의 연결은, 가로 연결구를 가지는 방향으로만 행할 수 있고, 다른 쪽 방향으로부터의 연결이 불가능하여, 시공에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 단시간 중에 안전하고 용이하게 조립 가능한 현수 비계용 선반을 장착한, 크로스 빔의 외관이 심플하여 파손되지 않고, 곤포 작업이 용이하며, 현수재 걸림구의 장착 분리 작업이 용이하며, 보수 관리도 간단하고 용이하고, 안전면에 있어서도 불안하지 않고, 또한 크로스 빔 길이 방향의 연결 수단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며, 변형될 우려가 없는, 강도적으로도 여유를 전망할 수 있는 현수 비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또, 단시간 중에 안전하고 용이하게 조립 가능한 현수 비계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현수 비계용 선반과, 그 조립 시공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미리 지상에서 어느 정도의 면적에 조립하여, 이것을 매달아 올려 현수 비계 상에서 순차 좌우 양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현수 비계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그래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현수 비계는, 현수 비계 본체와, 상기 현수 비계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현수 비계용 선반으로 이루어지는 현수 비계로서, 상기 현수 비계는, 구조물로부터 수하하는 현수재와, 현수재 하단에 걸어맞추어지는 현수재 걸림구와, 이 현수재 걸림구에 의해 지지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크로스 빔과, 크로스 빔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조이스트와, 이들 크로스 빔 및 조이스트가 형성되는 격자 프레임에 탑재되는 바닥재와, 크로스 빔 길이 방향의 연결 수단을 가지는 현수 비계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빔은, 상면 중앙에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대략 립홈 단면의 빔 본체와, 이 빔 본체의 양 측면에 걸리어 크로스 빔 내부에 복수개 설치되는 가로 부재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조이스트는, 빔 본체 개구부에 걸어 장착하는 절곡판체를 가지고 있다.
절곡판체는 빔 본체의 개구부, 상면에 밀착되어 조이스트 단부를 지지하고, 축방향 이동을 규제한다. 빔 본체의 외관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지만, 개구부에는 보강 리브를 설치하고, 이것에 절곡판체를 걸어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로 부재는 빔 본체 측면에 형성하는 구멍부에 리벳 등의 축체(軸體)가 걸리는 것에 의해 현수재 걸림구를 장착한다. 그리고, 측면으로부터 가로 부재 단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측면에 홈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절곡판체를 부설하는 단부 금속 부재를 설치하고, 이것을 조이스트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조 이스트재로는 통상의 현수 비계재를 이용할 수 있다.
방호 패널은, 지주재(支柱材)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면, 1개의 보드라도, 틀형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수용된 벽체라도 상관없다. 또, 종횡의 사이즈도 임의이지만, 현수 비계의 구성 부재의 스팬에 대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방호 패널은, 반복 사용을 고려하여, 파손되지 않는 금속제로 하면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현수 비계는, 상기 크로스 빔은, 접속하는 길이 방향의 단부끼리가 대향하는 경사면과,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체와, 대향하는 돌기체가 끼워넣어지는 구멍부가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를 양단에 가지는 것이며, 상기 연결 수단은, 대향하는 2개의 경사면을 상부로부터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엔드 플레이트는 단차를 경사면에서 연결하는 형상으로 쌍으로 되는 면끼리를 대향시켜, 엔드 플레이트의 충합면(衝合面)에서 압축 하중을 전달한다. 이 쌍으로 되는 면의 돌기체는 서로 상대의 구멍부에 끼워넣어지는 구성이며, 위치 결정의 간이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체결 부재로서는 아래쪽 경사면의 내부에 설치하는 너트와, 이것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가 매우 적합하다. 볼트는 빔 본체의 개구부를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돌려 박으므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 크로스 빔에 작용하는 축방향 인장 하중은, 볼트의 인장력으로 전달할 수 있다. 빔 본체를 분리 해체할 때는 볼트를 분리하므로, 빔 본체 단부의 개구부에 볼트 수납 스페이스를 형성하면, 볼트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현수 비계는, 상기 현수재 걸림구는, 상기 가로 부재를 지지하는 훅과, 이 훅을 지지하면서 빔 본체의 상면에 지지되는 스탠드부와, 스탠드부 선단을 삽입 통과하여 훅 선단에 걸리는 이탈 방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탈 방지구는 박아넣음에 의해 훅 선단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가 매우 적합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현수 비계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현수 비계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크로스 빔에 직교하여 바닥재 상면에 설치하는 밴드형 부재와, 크로스 빔으로부터 세워 설치하여 이 밴드형 부재를 체결하는 볼트 너트를 부설하는 것이며, 이 볼트 너트는,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한쌍의 판체를 하방에 장착하고, 이 판체에 의해 빔 본체 개구부로부터 수하하는 리브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단의 판재는 리브를 포지(抱持)하고, 상부의 판재는 빔 본체 상면에 위치한다. 상부의 판재는 볼트축에 대해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개구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은, 복수개의 지주재와, 인접하는 지주재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방호 패널을 구비한다. 방호 패널의 양 측부에는, 지주재에의 장착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지주재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는 복수개의 받이부재와, 대기재의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지주재의 하단부 에는,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에의 연결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재의 각 받이부재에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아들이게 하여, 지주재 사이에 복수개의 방호 패널을 면방향으로 거의 간극 없이 고정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은, 청구항 5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에 있어서, 방호 패널의 하단면에 결합 돌기를, 또 상단면에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구멍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단의 방호 패널의 결합 돌기를 하단의 방호 패널의 구멍부에 결합되어 상하단의 방호 패널끼리를 연결시키고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은, 청구항 5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에 있어서,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가 양측 둘레부 배면에 고착된 고정핀이며, 지주재의 받이부재가 고정핀을 받아들이는 홀더로 하고 있다.
지주재와 방호 패널의 결합 수단인 장착 부재와 받이부재는, 방호 패널이 인접하는 지주재 사이의 공간을 필요한 높이분만큼 간극이 없이 묻는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구조이면, 이 외에, 훅과 이것을 받는 축부재 등, 각종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배치 위치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방호 패널의 양측 둘레부 배면에 고정핀을 장착하는 한편, 지주재의 양 측면(인접하는 지주재의 대향면)에 홀더를 설치하거나, 또는 방호 패널의 측면에 고정핀을 장착하는 한편, 지주재의 전면에 좌우 양쪽의 방호 패널의 고정핀을 받는 홀더를 설치함으로써, 방호 패널은 지주재 대향면 사이에 간극없이 수납된다.
이 명세서에서 말하는 간극이란, 현수 비계 상에서의 작업에 사용되는 공구나, 나사류, 그 외의 각종 부재 등이 통과 가능한 간극을 의미하고, 이들 통과시키 지 않을 정도의 약간의 간극은 허용된다.
지주재는, 각(角) 파이프 등의 파이프재 및 그 외의 로드재에 의해 구성된다. 직경과 길이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종래의 선반 및 가설 공업회의 강도 기준에 입각해서 형성된다. 지주재는, 길이 방향으로 접속 가능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은, 청구항 5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에 있어서, 지주재는, 일면에 개구홈을 가지는 단면 대략 ㄷ자형의 주재(柱材)로 이루어지고, 지주 양 측편을 관통하는 리벳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장착되고, 한편, 방호 패널은, 양 측부에 아래로 향한 훅이 배면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개구홈 내에 위치하는 리벳의 축부가 지주재의 상기 받이부재이며, 방호 패널의 훅이 방호 패널의 상기 장착 부재이며, 개구홈으로부터 침입시킨 훅을 리벳의 축부에 걸어 방호 패널이 지주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은, 청구항 8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에 있어서, 또한, 패널 가압 금속 기구를 구비하고, 패널 가압 금속 기구는, 일단에, 상기 훅이 걸린 리벳의 축부에 전방으로부터 걸리는 요부(凹部)를 가지는 걸림편을 가지고, 타단에, 나사에 의해 진퇴 이동하는 동시에 지주의 개구홈 둘레부에 걸리어 걸림편의 요부를 리벳의 축부에 걸어 이탈시키는 가압편을 가지고 있다.
지주재의 양 측편을 관통하는 리벳을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장착함으로써, 개구홈 내의 리벳의 축부가 상기 받이부재로 되고, 방호 패널 양 측부에 고착한 아래로 향한 훅이 방호 패널의 상기 장착 부재로 된다. 개구홈으로부터 침 입된 훅은, 리벳의 축부에 걸려, 방호 패널을 지주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게 된다.
상기 리벳축부와 훅에 의한 장착 구조에 있어서, 패널 가압 금속 기구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패널 가압 금속 기구는, 일단에, 상기 훅이 걸린 리벳의 축부에 전방으로부터 걸리는 요부를 가지는 걸림편을 가지고, 타단에, 나사에 의해 진퇴 이동하는 동시에 지주의 개구홈 둘레부에 걸리어 걸림편의 요부를 리벳의 축부로 이탈시키는 가압편을 가진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은, 청구항 5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에 있어서, 지주재 표면에 장착된 브래킷이며, 상기 연결 수단은,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를 상부로부터 포지하는 포지 부재와 바닥 골조재로부터 포지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록부재로 되어 있다.
록부재에는, 예를 들면, 평행하게 뻗는 기단부 및 록부와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부를 가지는 대략 ㄷ자형의 록핀을 채용할 수 있다. 록핀은, 기단부가 스프링과 함께 통형 케이싱 내에 수납되어 있다. 통형 케이싱은, 지주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록핀은, 기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통형 케이싱 내에 퇴피하여 수납되는 위치에 항상 가압된다. 또, 록핀의 록부는, 기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있을 때에 지주에 형성된 상부 통공 또는 상기 포지 부재의 좌우 양 포지편에 형성된 하부 통공의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기단부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항거하여 인출되었을때, 상기 상부 통공 또는 하부 통공 중 어느 하나의 통공에의 고정 상태로부터 이탈한다.
또, 록부재에는, 포지 부재에 형성한 구멍부 또는 홈부에 박히는 쐐기재를 사용해도 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본고정용의 대기재의 일단을 장착하는 제1 브래킷과 가고정용의 대기재의 일단을 장착하는 제2 브래킷으로 구성하면 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에 있어서, 연결 수단의 상기 록부재는, 평행하게 뻗는 기단부 및 록부와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부를 가지는 대략 ㄷ자형의 록핀이며, 록핀은, 기단부가 스프링과 함께 통형 케이싱 내에 수납되고, 통형 케이싱은, 지주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록핀은, 기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통형 케이싱 내에 퇴피하여 수납되는 위치에 항상 가압되고, 록핀의 록부는, 기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있을 때에 지주에 형성된 상부 통공 또는 상기 포지 부재의 좌우 양 포지편에 형성된 하부 통공의 어느 하나에 삽입 통과되어 고정되고, 기단부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항거하여 인출되었을때, 상부 통공 또는 하부 통공 중 어느 하나의 통공에의 고정 상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는, 포지 부재에 형성한 구멍부에 박히는 쐐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지주재가 길이 방향으로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의 조립 시공법은, 다음의 스텝을 구비한다.
지주재와 방호 패널을 현수 비계 상으로 운반하는 제1 스텝, 지주재를, 소정 간격을 두고 현수 비계 측면에 기립시키는 제2 스텝, 지주재의 브래킷에 구축물 구성재 또는 현수 비계 구성재로부터 뻗는 대기재의 단부를 고정하여 지주재를 고정하는 제3 스텝, 지주재 사이에 방호 패널을 장착하는 제4 스텝.
그리고, 제2 스텝은, 지주재 하단의 포지 부재의 포지편을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에 걸어맞추어, 록부재에 의해 록함으로써 바닥 골조재를 포지 부재에 포지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또, 제4 스텝은, 지주재의 받이부재에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아들이게 하여 방호 패널을 지주재 사이의 면방향으로 거의 간극을 두지 않고 장착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의 조립 시공법은, 다음의 스텝으로 이루어진다.
지주재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지주재의 하단에서 상부로 걸쳐 지주재 사이의 면방향으로 거의 간극을 두지 않고 지주재 사이에 방호 패널을 장착하여, 선반 본체를 지상에서 조립하는 제1 스텝, 선반 본체를 현수 비계의 소정 위치까지 매달아 올리는 제2 스텝, 지주재를 현수 비계 측면에 기립시키는 제3 스텝, 지주재 의 브래킷에 구축물 구성재 또는 현수 비계 구성재로부터 뻗는 대기재의 단부를 고정해 지주재를 고정하는 제4 스텝.
그리고, 제1 스텝은, 지주재의 받이부재에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아들이게 하여 방호 패널을 지주재 사이의 면방향으로 거의 간극을 두지 않고 장착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제3 스텝은, 지주재 하단의 포지 부재의 포지편을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에 걸어맞추어, 록부재에 의해 록함으로써 바닥 골조재를 포지 부재에 포지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의 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이하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재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 받이부재에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아들이게 하여 방호 패널을 지주재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하도록 되어 있고, 또 지주재의 하단부를 포지 부재와 록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수단에 의해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에 고정하는 한편, 지주재에 설치한 고정 부재에 대기 부재를 고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지주재의 기립 고정과 방호 패널의 장착 및 대기재의 고정을 행하는 것만으로, 단시간에 간단하게 현수 비계 측면에 선반을 구축할 수 있다.
또, 현수 비계에 있어서는, 조이스트를 지지하는 빔 본체의 구성을 상면에 하나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크로스 빔의 외관이 심플하게 되어 돌기부가 없기 때문에 파손되지 않고, 곤포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크로스 빔의 단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엔드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상부로부터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설치하였으므로, 면에서 압축 하중을 전달하여 체결 부재로 축방향 인장 하중을 지지한다. 따라서 연결 수단이 강도적으로 향상된다. 또, 엔드 플레이트에 돌기체와 대향하는 돌기체가 끼워넣어지는 구멍부를 구비하므로, 위치 결정 및 연결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현수재 걸림구로서 가로 부재를 지지하는 훅과, 스탠드부 선단을 삽입하여 훅 선단에 걸리는 이탈 방지구를 구비하므로, 현수재 걸림구의 장착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또 적하중을 훅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안전면도 향상되어, 보수 관리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바닥재를 고정하는 볼트 너트에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한쌍의 판체를 장착했으므로, 빔 본체 개구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바닥재 고정 금속 부재의 장착 분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 내지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재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 받이부재에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아들이게 하여 방호 패널을 지주재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하도록 되어 있고, 또 지주재의 하단부를 포지 부재와 록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수단에 의해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에 고정하는 한편, 지주재에 설치한 고정 부재에 대기 부재를 고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지주재의 기립 고정과 방호 패널의 장착 및 대기재의 고정을 행하는 것만으로, 단시간에 간단하게 현수 비계 측면에 선반을 구축할 수 있다.
또, 그 분해 작업도 마찬가지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구성 부재가, 지주재와 방호 패널로 분리되어, 중량이 분산되므로, 연결이나 장착 및 고정 작업 및 분해 작업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가로 방향의 연결을, 다음의 지주재의 비계 구성재에의 연결과 방호 패널의 장착에 의해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순차 행할 수 있고, 현수 비계 상에의 초기 조립 위치가 구속되지 않아, 조립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미리 지상에서 어느 정도의 면적에 조립, 이것을 매달아 올려 현수 비계 상에서 순차 좌우 양 가로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고, 조립 시공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는 현수 비계용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의 조립 시공법에 의하면, 현수 비계 상에서 간극이 없는 방호면을 안전하고 단시간에 조립 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의 조립 시공법에 의하면, 현수 비계 상에서의 선반의 조립을 더욱 간략화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에서의 작용에 의해보다 안전하게 선반의 조립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교량 하면에 설치하는 현수 비계의 정면도이다.
이 현수 비계(1)는 교량의 메인 거더(2)에 현수 비계 지지체(3)를 장착하고, 이것에 체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현수재(4)를 걸고, 그 하단에 현수재 걸림구(5)를 걸어맞춘다. 이 현수재 걸림구(5)에 의해 지지되는 크로스 빔(6)은,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고, 각 크로스 빔 사이에는 조이스트(7)를 가로 걸쳐 놓는다.
이들 크로스 빔(6) 및 조이스트(7)가 형성되는 격자 프레임 상에는 현수 비계 또는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재(8)를 탑재하고, 단부의 크로스 빔(6)에는 난 간 지주 고정 금속 부재(9)를 장착되어 난간 지주(10)를 세워형성한다.
격자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재를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격자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크로스 빔(6)은, 빔 본체(6a)의 내부에 적당한 간격으로 가로 부재(6b)를 설치하는 구성으로서, 빔 본체(6a)는 상면 중앙에 1조(條)의 개구부(6c)를 형성하는 대략 립홈 단면이다. 또, 개구부(6c)에는 한쌍의 보강 리브(6d, 6d)를 설치하고, 가로 부재(6b)의 헤드부가 걸리는 빔 본체 측면에는 홈(6e)을 형성하고, 측면으로부터 가로 부재 헤드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가로 부재(6b)는 리벳 등의 축체로서, 이것에 현수재(4)에 지지하는 현수재 걸림구(5)를 장착한다. 또, 가로 부재(6b)를 이용하여 난간 지주 고정 금속 부재(9)나 파이프 고정 금속 부재(13)도 고정할 수 있다.
빔 본체 측면의 홈(6e)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핀공(6f)을 형성하고, 이 개소에 조이스트(7)를 가설한다. 조이스트(7)는, 단관(單管) 등의 비계 파이프(11)의 양단에 단부 금속 부재(12)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이 단부 금속 부재(12)를 개구부(6c)에 걸어 장착한다.
크로스 빔(6)은, 빔 본체(6a)의 양단에 엔드 플레이트(14)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 연결 수단을 도 3 및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크로스 빔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크로스 빔 연결부의 종단도이다. 엔드 플레이트(14)는, 단차를 구비한 2개의 수직면(14a, 14a)을 경사면(14b)에서 연결하는 형상이며, 각 수직면(14a)에는 돌기체(14c)와 구멍부(14d)를 형성한다.
또 엔드 플레이트(14)의 중앙 상단에는 절결부(14e)를 형성한다.
이 엔드 플레이트(14)는 접속하는 크로스 빔(6, 6)의 단부끼리가 충합할 수 있는 한쌍의 구조이며, 각 구멍부(14d)에는 대향하는 돌기체(14c)가 끼워넣어져 위치 결정을 원터치로 행한다. 크로스 빔(6)의 연결 수단(15)은, 대향하는 2개의 경사면(14b, 14b)를 상부로부터 관통하는 연결 볼트(15a)와 아래쪽 경사면(14b)의 내부에 고착하는 너트(15b)이며, 연결 볼트(15a)는 빔 본체(6a)의 개구부(6c)를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박아 넣으므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크로스 빔(6)에 작용하는 축방향의 압축 하중은 엔드 플레이트(14)의 충합면에서 전달하고, 인장 하중은 연결 볼트(15a)의 인장력으로 유지한다. 크로스 빔(6)을 분리 해체할 때는 연결 볼트(15a)를 분리하므로, 개구부(6c)와 절결부(14e)를 이용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한다. 연결 볼트(15a)에는 도시하지 않은 체인 등을 장착하고, 그 일단을 가로 부재(6b)에 연결하여 고정해 두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크로스 빔(6)에 걸어맞추어지는 현수재 걸림구(5) 및 조이스트(7)의 단부 금속 부재(12)의 구성·작용을 도 6 및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서의 a부를 확대한 도면, 도 7은 현수재 걸림구 사용시의 종단도이다. 조이스트(7)를 구성하는 비계 파이프(11)와 단부 금속 부재(12)는 볼트 너트(11a)에 의해 연결하므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단부 금속 부재(12)는 비계 파이프(11)에 삽입하는 통체(12a)와 그 선단에 고착하는 절곡판체(12b)를 구비하고, 빔 본체(6a)의 핀공(6f)에 대해서 끼우고 떼기 가능한 빗장식의 핀(12c)을 가진다. 절곡판체(12b)는 빔 본체(6a)의 상면 및 보 강 리브(6d)에 걸어 장착하여 조이스트 단부를 지지한다. 또, 핀(12c)을 핀공(6f)에 삽입함으로써 조이스트(7)의 축직각 방향의 이동 및 솟아오름에 의한 상방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핀공(6f)을 긴 구멍으로 함으로써 삽입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솟아오름의 방지 대책으로서는 다른 방법, 예를 들면 절곡판체와 빔 본체를 선선재(線材)에 의해 떨어지지 않도록 연결하는 방법 등도 채용 가능하다.
현수재 걸림구(5)는, 가로 부재(6b)를 지지하는 훅(5a)과, 이 훅(5a)을 유지하면서 빔 본체(6a)의 상면에 지지되는 스탠드부(5b)와, 훅 선단에 고착하는 너트(5c)와, 스탠드부 선단을 삽입하여 이 너트(5c)에 나사 결합하는 이탈 방지 볼트(5d)를 구비한다. 훅(5a)의 상부에는 환형 부재(5e)를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이것에 현수재(4)를 건다.
이 환형 부재(5e) 대신에 파이프 조인트를 고착하면 난간 지주 고정 금속 부재(9)로 되고, 또 파이프를 고정하는 금속 부재를 장착하면 파이프 고정 금속 부재(13)로 된다. 이들 현수재 걸림구(5), 난간 지주 고정 금속 부재(9) 및 파이프 고정 금속 부재(13)는, 개구부(6c)를 이용하여 임의의 가로 부재(6b)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고, 스탠드부(5b)의 존재에 의해 자립하므로 현수재(4)나 비계 파이프(11) 등의 장착이 간단하다. 또, 나사부가 적하중(吊荷重)을 지지하는 구성은 아니기 때문에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 해체시에는 이탈 방지 볼트(5d)를 느슨하게 하는 것만으로 빔 본체(6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9에 따라 바닥재의 고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바닥재 고정부의 사시도, 도 9는 동 단면도이다. 바닥재(8)는, 크로스 빔(6)에 직교하 여 바닥재 상면에 설치하는 밴드형 부재(16)와, 크로스 빔(6)으로부터 세워 설치하여 이 밴드형 부재(16)를 체결하는 바닥재 고정 금속 부재(17)에 의해 고정된다. 바닥재 고정 금속 부재(17)는, 더블 너트(17a)를 나사 결합하고, 스프링재(17b)에 의해 가압되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 판체(17c)를 구비하고, 하단에 판체(17d)를 고착하는 볼트(17e)로 이루어지고, 이 한쌍의 판체(17c, 17d)에 의해 보강 리브(6d)를 협지한다.
더블 너트(17a)의 위치를 바닥재(8)의 두께에 맞추어 조정하고, 밴드형 부재(6)를 체결한다. 또, 절곡판체(12b)에 돌기(12d)를 형성하여 바닥재(8)의 어긋남 을 고정한다. 상부 판체(17d)는 볼트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개구부(6c)의 임의의 위치에서 장착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바닥재가 패널 상태인 경우에는 밴드형 부재 대신에 직사각형 판체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하, 현수 비계용 선반에 대하여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선반의 외관 사시도, 도 12는 지주재의 사시도, 도 13은 방호 패널을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지주재 하방 지지부의 고정 수단을 나타낸 설명도, 도 17 및 도 18은 록부재의 단면도, 도 19는 지주재에의 방호 패널의 장착을 나타낸 설명도, 도 20 및 도 21은 대기 장착용 브래킷의 확대도, 도 22는 대기재의 장착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3은 제2 브래킷을 사용하여 지주재를 가고정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중 부호(1)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지주재이며, 각(角) 파이프 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방호 패널 6개분을 상하로 연결한 길이를 가진다.
지주재(21)는, 하단부에 현수 비계(1)의 바닥 골조재(이 실시예에서는 선단 거더재(11))에의 연결 수단(22)을 가진다. 연결 수단(22)은,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지(抱持) 부재(23)와 록부재(24)로 이루어진다. 포지 부재(23)는, 금속판을 단면 ㄷ자형으로 절곡하고, 개구를 아래로 한 상태로 지주재(21)의 하단에 고착되어 있다. 포지 부재(23)의 좌우 양 포지편은, 내면 사이가 환(丸)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선단 거더재(11)의 외경과 대략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양 포지편의 하부에는 록부재(24)의 록핀(41)의 록부(41b)를 삽입 통과하는 하부 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
록핀(41)은, 핀 부재가 대략 ㄷ자형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진다. 평행하게 뻗는 한쪽 부분은 기단부(41a)를 이루고, 스프링(43)과 함께 통형 케이싱(4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기단부(41a)는, 축주위에 스프링(43)이 감기어, 선단에 스프링(43)의 이탈 방지를 도모하는 대경의 헤드(44)가 장착되어 있다. 기단부(41a)는, 상기 스프링(43)의 가압력을 받아 항상 통형 케이싱 내에 퇴피 수납되어 있다(도 14, 도 16, 도 17 참조). 통형 케이싱(42)은, 지주(21)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기단부(41a)로부터 중간부(41c)를 거쳐 뻗는 록핀(41)의 다른 쪽의 평행 부분은, 록부(41b)를 이룬다. 록부(41b)는, 기단부(41a)가 가압되어 통형 케이싱(42) 내에 수납되어 있을 때는, 지주(21)에 형성된 상부 통공(21a) 또는 상기 양 포지편에 형성된 하부 통공(31)의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정되고(도 14, 도 16 참조), 기단부(41a)가 스프링(43)의 가압력에 항거하여 인출되었을 때는, 상기 어느 하나 의 통공(1a, 31)에의 고정 상태로부터 이탈한다(도 15, 도 18 참조).
(25)는, 지주재(21)의 양 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된 받이부재로서의 홀더이며, 통형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방호 패널(28)의 장착 부재인 고정핀(29)이 삽입된다.
홀더(25)는, 지주재(21)의 길이 방향 소정 위치에 복수개(이 실시예에서는 6개) 형성되어 있다. 홀더(25)는, 지주재 사이에 방호 패널(28)이 면방향으로 거의 간극 없이 고정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최하단의 방호 패널(28)에 대해서는, 해당 방호 패널 하측 둘레와 지주재 하단을 지나는 평면 사이에 간극이 거의 생기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바닥 골조재 중의 선단 거더재 상면보다 현수 비계 빔재(312)의 상면이 상위에 위치하는 관계상, 최하단의 방호 패널(28)은 그 하측 둘레가 현수 비계 빔재(312)의 상면과 대략 접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현수 비계(1)의 선단 거더재(311) 사이에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저 약간의 간극 d(수mm 정도)가 생기지만, 이 간극 d는, 작업 공구 등이 통과하는데는 불충분한 크기이다. 이 점, 상기한 종래의 패널식 선반은, 현수 비계(1)와의 연결을 자재(自在)의 클램프에 의해 행하기 위해, 최하단 패널의 하부 연결재 주변에 클램프가 단단히 조이는 등의 조작을 행하는 공간(손목까지의 부분이 무리없이 출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최하단 패널의 하부 연결재와 패널의 벽재 하측 둘레 사이에는, 패널의 폭 방향으로 연속하는 큰 간극이 생긴다. 이러한 간극은, 작업 공구가 낙하하는 요인으로 된다.
(26)은, 지주재(21)의 전면에 돌출된 평판형의 제1 브래킷과, 본고정용의 대기재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브래킷(26)은, 지주재(1)의 길이 방향으로 필요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브래킷에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單)클램프(61)을 통하여 대기재(62)의 선단이 고정된다. 도 20 및 도 21의 예에서는 단클램프(61)가 나사 고정되고, 이 단클램프(61)에 대기재로서의 단관 파이프(62)를 파지시키고 있다. 현수 비계 내측으로 뻗은 단관 파이프(62)는, 기단(基端)을 구축물의 형강재(形鋼材) K의 플랜지부에 클램프를 통하여 고정되고, 지주재(21) 또는 지주재(21) 및 방호 패널(28)을 소정 각도로 지지한다.
지주재(21)의 전면에는, 로드재를 ㄷ자형으로 굴곡시킨 제2 브래킷(27)이, 양단이 지주재(21)의 표면에 고착되어 장착되어 있다. 제2 브래킷(27)은, 지주재(21)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필요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2 브래킷(27)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 등의 체인형상체(71)의 선단이 이어 장착된다. 체인형상체(71)는, 후단이 구축물의 형강재 K에 이어 장착되어 지주재 하단부의 포지 부재(23)를 현수 비계(1)의 선단 거더재(312)에 걸어맞추어 기립시켰을 때, 지주재(21)를 현수 비계 내측으로 견인하여 소정 각도 위치에 가고정시킨다.
(28)은, 방호 패널이며, 상하 좌우의 프레임(81)~(84)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금속제의 평판(86)을 수납하여 이루어진다. 부호(85)는 중간 보강 프레임이다.
방호 패널(28)의 좌우 양측 프레임(83, 84)의 배면에는, 고정핀(29)이 장착되어 있다. 고정핀(29)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편(91)과 이 U자편 내면에 상단이 고착된 핀 본체(92)로 이루어진다. U자편(91)은, 양단이 측 프레임 배면에 고착되어 있고, 핀 본체(92)를, 측 프레임(83, 84)의 배면으로부터 부상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한 홀더(25)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방호 패널(28)의 하프레임(82)의 하면에는, 좌우 한쌍의 결합 돌기(87)가 돌출되고, 한편, 상프레임(81)의 상면에는, 결합 돌기(87)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8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 돌기(87)와 결합공(88)은, 상하단의 방호 패널(28)이 접합면에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상기 선반의 조립 시공법을 설명한다.
하나의 시공법은, 현수 비계(1) 상에서 지주재(21)에 방호 패널(28)을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이다(도 15, 도 16 참조).
먼저, 지주재(21)와 방호 패널(28) 등 필요한 자재를 현수 비계 상으로 옮긴다(제1 스텝).
이어서, 지주재(21)를 현수 비계 측면에 기립시킨다(제2 스텝, 도 25 참조). 구체적으로는, 지주재 하단의 포지 부재(23)의 포지편을 현수 비계(1)의 바닥 골조재, 도면의 경우, 선단 거더재(311)에 상부로부터 걸어맞춘다. 그리고, 록핀(41)의 중간부(41c)를 손으로 파지하여 인장하여, 록부(41b)를 상부 통공(1a)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록핀(41)을 그대로 하방으로 회전시켜 록부(41b)를 하부 통공(31)에 위치시키고, 인장력을 풀어 스프링(43)의 가압력에 의해 기단부(41a)를 복귀시키면, 록부(41b)는 하부 통공(31)에 삽입되어 포지 부재(23)를 선단 거더재(311)를 안은 상태로 록한다(도 14 내지 도 17 참조).
지주재(21)의 제2 브래킷(27)에 체인(71)의 일단을 이어 장착하고, 소정 각도로 되도록 지주재(21)를 견인하여 체인(71)의 타단을 형강재 K의 임의 개소에 계착한다. 이로써, 지주재(1)는 가고정된다(제3 스텝).
인접하는 지주재(21)를 소정 거리를 두고 마찬가지의 스텝으로 순차 기립시키고, 각각 제2 브래킷(27)과 체인(71)을 사용하여 가고정한다(도 23 참조). 인접하는 지주간의 간격은, 방호 패널(28)을 기준체로서 이용함으로써 적정 간격이 유지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지주 사이에 방호 패널(28)을 장착한다(제4 스텝, 도 26 참조). 구체적으로는, 지주재(21)의 최하단의 홀더(25)에 방호 패널 양측의 고정핀(29)를 삽입하여, 최하단의 방호 패널(28)을 지주재 사이에 장착한다. 고정핀(29)은, 방호 패널(28)의 측 프레임 배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홀더(25)에 삽입하면, 방호 패널(28)의 측 프레임의 일부가 지주재 전면의 일부를 덮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방호 패널(28)을 상하로 연속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지주재 사이의 공간 전면이 방호 패널(28)에 의해 전체적으로 빠짐없이 덮인다.
최하단의 방호 패널(28)의 하단면과 지주재 하단면을 지나는 수평면 사이에는, 허용되는 간극 d 밖에 생기지 않기 때문에, 공구 등이 이 간극 d로부터 낙하되지 않는다.
최하단의 방호 패널(28)에 이어서 2단째의 방호 패널(28)을 마찬가지로 하여 홀더(25)와 고정핀(9)을 사용하여 장착한다. 이 때, 최하단의 방호 패널(28)의 상프레임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88)에 2단째의 방호 패널(28)의 하프레임 하면에 돌 출된 결합 돌기(87)가 결합되므로, 양 방호 패널(28)의 접합면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순차, 상단의 방호 패널(28)을 마찬가지로 하여 장착함으로써, 1열의 방호면이 완성된다. 후는, 타열의 방호 패널(28)을 마찬가지의 스텝으로 장착을 행하면, 선반 전체의 방호면이 완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열의 최하단의 방호 패널을 장착하고, 그 후에 각 열의 상단의 방호 패널을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방호 패널(28)의 장착이 완료된 1열마다, 제1 브래킷(26)에 고정한 클램프(61)에 관재(管材)(62)의 단부를 체결하여, 관재(62)의 타단부를 형강재 K의 소정 위치에 장착한 클램프에 마찬가지로 고정함으로써, 1열의 방호면은 현수 비계 측면에 정확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본고정은, 선반 전체의 방호면이 완성되는 도중에 적당히 행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래킷(26)에 파이스크램프(63)를 장착함으로써,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호면을 따른 수평재(64)를 가설할 수 있고, 이 수평재(64)를 이용하여 선반 비계(65)의 구축도 가능해진다.
상기 선반은, 지상 조립를 이용하여 조립 시공할 수도 있다(제2 시공법).
이 시공법에서는, 먼저, 지주재(21)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인접하는 지주재 사이에 상기 시공법과 마찬가지로 홀더(25)에 고정핀(29)를 삽입하여 방호 패널(28)을 장착한다. 소정 크기로 지상 조립된 선반 구성체(100)는, 제2 브래킷(27)에 와이어(101)를 걸고(도 27 참조), 그대로 매달아 올려 현수 비계(1)의 선반 조립 위치로 옮겨진다. 면적이 도 27에 나타낸 것보다 크게 되는 경우 등, 제1 브래 킷(26)에 바이스 클램프를 장착하고, 이것에 단관 파이프를 고정시켜, 선반 구성체(100)의 폭 방향 전체에 단관 파이프를 통하게 함으로써, 보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현수 비계(1) 상에서는, 와이어로 견인한 상태인 채 지주재(21)의 하단부에 설치한 고정 수단(22)를 이용하여 비계의 바닥 골조재에 연결 고정한다. 바닥 골조재에의 연결은, 포지 부재(23)와 록부재(24)에 의해 행해진다.
또, 제1 브래킷(26)에는 지상 조립의 단계에서 미리 클램프를 장착하여 둔다. 이 클램프에 대기재의 단부를 장착하여 직접 본고정을 행해도 되지만, 적당한 지주재(21)의 제2 브래킷(27)을 사용하여 가고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지상 조립을 기본으로 하는 시공법에서는, 현수 비계 상에서 조립 시공을 보다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도 28은, 지주재(21)에의 방호 패널(28)의 장착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호 패널(28)의 측면에 고정핀(29)이 장착되고, 지주재(21)의 전면에 홀더(315)가 장착되어 있다. 홀더(315)는, 좌우의 방호 패널(28)의 고정핀(29)을 삽입 가능하도록 폭이 넓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홀더(315)로부터의 고정핀(29)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체(20)가 사용된다.
스토퍼체(20)는 상하에 홀더부(20a, 20b)를 가지고, 하 홀더부(20b)는 볼트(20c)에 삽입되어 아래로부터 너트(20d)로 조임으로써 상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 홀더부(20a)를 U자편으로부터 돌 출되는 고정핀(29)의 핀 본체 헤드부에 씌우고, U자편의 상단에서 상 홀더부(20a)의 하단을 지지시켜, 너트(20d)를 회동하여 하 홀더부(20b)를 이동시키면, 하 홀더부(20b)는 지주재(21)의 홀더(29)로부터 하방으로 튀어나온 핀 본체의 하부를 덮고, 상단이 동 홀더(29)의 하단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스토퍼체(20)가 고정핀(29)의 홀더(315)로부터의 위쪽으로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현수 비계용 선반의 외관 사시도, 도 33 (a), 도 33 (b)는 하부 주재의 측면도와 정면도, 도 34는 상부 주재의 측면도, 도 35는 접속부의 개략 사시도, 도 37 및 도 38은 지주재에의 방호 패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와 주요부 단면도, 도 39는 대기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에 관한 선반은, 지주재에의 방호 패널의 장착 구조와 지주재의 접속 구조에 특징이 있다.
지주재(210)는, 도 33 (b) 및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개구홈(211)을 가지는 단면 대략 ㄷ자형의 주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지주재(210)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는 동시에 양 측편을 관통하도록 하여 리벳(212)가 박아넣어져 있다. 개구홈(211)으로부터는, 리벳의 축부를 눈으로 볼 수 있다.
지주재(210)의 하단부에는, 현수 비계(1)의 선단 거더재(311)를 포지하는 포지 부재(230)가 고착되어 있다. 포지 부재(230)는, 포지편에 도시하지 않은 구멍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고, 이 구멍부 또는 홈부에 설편(楔片)(231)(도 33 (a), 도 33 (b) 참조)이 박혀 넣어지는 것에 의해 형재(311)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필요에 따라 최하단 방호 패널 하방의 간극에는, 커버를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방호 패널(280)에는, 양측 단부에 배면 방향으로 향하여 아래로 향한 훅(290)이 돌출되어 있다(도 36 (a) 참조). 훅(290)은, 개구홈 내에 침입하여 리벳(212)의 축부에 걸리는 것에 의해, 방호 패널(280)을 지주재(21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지지시킨다.
도면 중 부호(281)은, 방호 패널(280)을 가압하여 부착하기 위한 가압 금속 기구이다. 도 36 (b)에, 패널 가압 금속 기구(281)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패널 가압 금속 기구(281)는, 지주재(210)의 상기 개구홈 내에 침입 가능한 직경인 봉재(棒材)(282)의 일단에 걸림편(283)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나사가 잘린 타단에 가압편(285)이 진퇴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걸림편(283)은, 판면의 내측단에, 리벳(212)의 축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해 걸리는 요부(凹部)(284)가 절결 형성되어 있다. 가압편(285)은, 판재를 대략 ㄷ자형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다. 가압편(285)의 양 측편(286)의 선단부는 철형(凸形)으로 뚫어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부의 철형은 돌출된 부분(헤드부)(286a)이 개구홈(211)에 침입하고, 견부(肩部)(286b)가 개구홈(211)의 둘레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가압편(285)의 중간에 위치하는 연결편(287)에는, 삽입공(287a)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287a)에 상기 나사가 형성된 봉재(282)의 타단이 삽입되어 있다. 봉재의 나사부에는, 너트(288)가 나사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 구조에 있어서는, 도 37와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 호 패널(280)은, 훅(290)을 지주재(210)의 개구홈(211)으로부터 침입시켜, 리벳(212)의 축부에 훅(290)을 걸어두는 것에 의해 지주재(210)에 장착된다.
그리고, 패널 가압 금속 기구(281)의 걸림편 내단의 요부(284)를 리벳(212)의 축부에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걸리게 하여, 가압편(285)의 헤드부(286a)를 개구홈 내에 침입시키는 동시에 견부(286b)를 개구 둘레부에 걸리게 한 후, 너트(288)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훅(290)과 리벳축부와의 걸림 상태가 패널 가압 금속 기구(281)에 의해 정확하게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강한 솟아 오르는 바람에 의해서도 방호 패널(280)이 지주재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
현수 비계(1)의 일측으로부터 기립한 이 선반에는, 와이어나 관재로 이루어지는 대기재에 의해 그 기립 상태가 유지된다(도 39 참조).
상기한 실시예(도 11, 12 참조)에서는, 지주재는 1개의 주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접속 수단을 사용하여 복수개의 주재를 접속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2의 실시예에 관한 지주재(210)는, 접속 가능한 2단의 주재(210a, 210b)로 이루어진다. 하단의 주재(210a)는, 하단부에 상기한 비계 구성재에의 연결 수단(220)을 가지고, 상단부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한쌍의 접속편(221, 221)을 가진다. 접속편(221)에는 소정 위치에 통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단의 주재(210b)는 하단부에 이 접속편 사이에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편(223)을 가진다. 삽입편(223)은, 선단에 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홈(224)은, 하단 주재(210a)의 접속편(221)에 근접한 리벳(212)의 축부에 걸려진다. 또, 상단 주 재(21b)의 삽입편(223)에 근접한 본체부에는, 하단 주재(210a)의 상기 통공(222)과 대응하는 통공(224)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225)는 연결편이며, 하단 주재(210a)의 접속편 사이에 상단 주재(210b)의 삽입편(223)을 삽입하여 상하단의 주재(210a, 210b)를 접속했을 때, 그 접속 상태를 유지하여 이탈 방지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편(225b)은, 일단에 상하단의 주재(210a, 210b)의 양 통공(222, 224)에 삽입되는 연결핀(226)을 가지고, 타단에 상기 접속 상태에서의 상하단의 주재(210a, 210b)의 일측면으로부터 개구 홈측 정면을 걸쳐 타측면 측에 걸리는 유지편(227)을 가진다.
상하단의 주재(210a, 210b)는, 삽입편(223)을 접속편 사이에 삽입하고, 연결편(225)의 연결핀(226)을 양 통공(222, 224)에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유지편(227)을 개구측 정면에 걸어둠으로써, 측면 방향 및 정면 및 배면 방향으로 절곡되지 않고, 접속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한쌍의 지주재 사이의 최상위에 있어서, 양 지주재를 연결하는 동시에 최상단의 방호 패널의 위쪽으로의 솟아오름을 누른다, 예를 들면 가압 연결 로드를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재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 받이부재에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아들이게 하여 방호 패널을 지주재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하도록 되어 있고, 또 지주재의 하단부를 포지 부재와 록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수단에 의해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에 고정하는 한편, 지주재에 설치한 고정 부재에 대기 부재를 고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지주재의 기립 고정과 방호 패널의 장착 및 대기재의 고정을 행하는 것만으로, 단시간에 간단하게 현수 비계 측면에 선반을 구축할 수 있다.
또, 현수 비계에 있어서는, 조이스트를 지지하는 빔 본체의 구성을 상면에 하나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크로스 빔의 외관이 심플하게 되어 돌기부가 없기 때문에 파손되지 않고, 곤포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크로스 빔의 단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엔드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상부로부터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설치하였으므로, 면에서 압축 하중을 전달하여 체결 부재로 축방향 인장 하중을 지지한다. 따라서 연결 수단이 강도적으로 향상된다. 또, 엔드 플레이트에 돌기체와 대향하는 돌기체가 끼워넣어지는 구멍부를 구비하므로, 위치 결정 및 연결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현수재 걸림구로서 가로 부재를 지지하는 훅과, 스탠드부 선단을 삽입하여 훅 선단에 걸리는 이탈 방지구를 구비하므로, 현수재 걸림구의 장착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또 적하중을 훅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안전면도 향상되어, 보수 관리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바닥재를 고정하는 볼트 너트에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한쌍의 판체를 장착했으므로, 빔 본체 개구부의 임의의 위치에서 바닥재 고정 금속 부재의 장착 분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 내지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지주재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 받 이부재에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아들이게 하여 방호 패널을 지주재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하도록 되어 있고, 또 지주재의 하단부를 포지 부재와 록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 수단에 의해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에 고정하는 한편, 지주재에 설치한 고정 부재에 대기 부재를 고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지주재의 기립 고정과 방호 패널의 장착 및 대기재의 고정을 행하는 것만으로, 단시간에 간단하게 현수 비계 측면에 선반을 구축할 수 있다.
또, 그 분해 작업도 마찬가지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구성 부재가, 지주재와 방호 패널로 분리되어, 중량이 분산되므로, 연결이나 장착 및 고정 작업 및 분해 작업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가로 방향의 연결을, 다음의 지주재의 비계 구성재에의 연결과 방호 패널의 장착에 의해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순차 행할 수 있고, 현수 비계 상에의 초기 조립 위치가 구속되지 않아, 조립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미리 지상에서 어느 정도의 면적에 조립, 이것을 매달아 올려 현수 비계 상에서 순차 좌우 양 가로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고, 조립 시공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는 현수 비계용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의 조립 시공법에 의하면, 현수 비계 상에서 간극이 없는 방호면을 안전하고 단시간에 조립 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의 조립 시공법에 의하면, 현수 비계 상에서의 선반의 조립을 더욱 간략화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에서의 작용에 의해보다 안전하게 선반의 조립이 가능해진다.
Claims (16)
- 현수 비계(suspended scaffold) 본체와, 상기 현수 비계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현수 비계용 선반(shelf)을 포함하는 현수 비계로서,상기 현수 비계 본체는, 구조물로부터 수하(垂下)하는 현수재와, 현수재 하단에 걸어맞추어지는 현수재 걸림구와, 상기 현수재 걸림구에 의해 지지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크로스 빔과, 상기 크로스 빔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조이스트와, 이들 크로스 빔 및 조이스트가 형성되는 격자 프레임에 탑재되는 바닥재와, 크로스 빔 길이 방향의 연결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크로스 빔은, 상면 중앙에 1조(條)의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립홈 단면의 빔 본체와, 상기 빔 본체의 양 측면에 걸려 크로스 빔 내부에 복수 설치되는 가로 부재를 가지고,상기 조이스트는, 빔 본체 개구부에 걸어 장착되는 절곡판체를 가지며,상기 현수 비계용 선반은, 복수개의 지주재(支柱材)와, 인접하는 지주재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방호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방호 패널의 양 측부에는, 지주재로의 장착 부재가 설치되고,상기 지주재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는 복수의 받이부재와, 대기재의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또한 지주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로의 연결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재의 각 받이부재에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아들이게 하여, 지주재 사이에 복수개의 방호 패널을 면방향으로 거의 간극 없이 고정하며,상기 장착 부재가 상측으로부터 상기 받이부재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방호 패널이 상기 지주재에 지지되며, 또한,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바닥 골조재로의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크로스 빔은, 접속되는 길이 방향의 단부들이 서로 대향하는 경사면과,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체와, 대향하는 돌기체가 끼워넣어지는 구멍부가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를 양단에 가지며,상기 연결 수단은, 대향하는 2개의 경사면을 상부로부터 관통하여 체결하는 체결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현수재 걸림구는,상기 가로 부재를 지지하는 훅과,상기 훅을 지지하면서 빔 본체의 상면에 지지되는 스탠드부와,상기 스탠드부 선단을 삽입 통과하여 훅 선단에 걸리는 이탈 방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바닥재는, 상기 크로스 빔과 직교하여 바닥재 상면에 설치되는 밴드형 부재와, 상기 크로스 빔으로부터 세워 설치하여 상기 밴드형 부재를 체결하는 볼트 너트를 부설하며, 상기 볼트 너트는,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한쌍의 판체를 하방에 장착하고, 상기 판체에 의해 빔 본체 개구부로부터 수하하는 리브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
- 현수 비계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현수 비계용 선반으로서,복수개의 지주재와, 인접하는 지주재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방호 패널을 구비하고, 방호 패널의 양 측부에는, 지주재로의 장착 부재가 설치되고,상기 지주재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는 복수의 받이부재와, 대기재의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또한 상기 지주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로의 연결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재의 각 받이부재에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아들이게 하여, 상기 지주재 사이에 복수개의 방호 패널을 면방향으로 거의 간극없이 고정하고 있고,상기 장착 부재가 상측으로부터 상기 받이부재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방호 패널이 상기 지주재에 지지되고, 또한,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바닥 골조재로의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방호 패널은, 하단면에 결합 돌기가, 또한 상단면에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의 방호 패널의 결합 돌기가 하단의 방호 패널의 구멍부에 끼워맞추어져 상하단의 방호 패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가 양측 둘레부 배면에 고착된 고정핀이며, 상기 지주재의 받이부재가 고정핀을 받아들이는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지주재는, 일면에 개구홈을 가지는, 단면이 대략 ㄷ자형의 주재(柱材)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 양 측편을 관통하는 리벳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장착되며, 한편 방호 패널은, 양 측부에 아래로 향한 훅이 배면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개구홈 내에 위치하는 리벳의 축부가 지주재의 상기 받이부재이며, 상기 방호 패널의 훅이 방호 패널의 상기 장착 부재이며, 상기 개구홈으로부터 침입한 훅이 리벳의 축부에 걸려 방호 패널이 지주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
- 제8항에 있어서,패널 가압 금속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고,상기 패널 가압 금속 기구는, 일단에 상기 훅이 걸린 리벳의 축부에 전방으로부터 걸리는 요부를 가지는 걸림편을 가지고, 타단에 나사에 의해 진퇴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지주의 개구홈 둘레부에 걸리어 걸림편의 요부를 리벳의 축부로 이탈 시키는 가압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고정 부재는, 지주재 표면에 장착된 브래킷이며,상기 연결 수단은,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를 상부로부터 포지(抱持)하는 포지 부재와 바닥 골조재로부터 포지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록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브래킷은, 본(本)고정용의 대기재의 일단을 장착시키는 제1 브래킷과, 가(假)고정용의 대기재의 일단을 장착시키는 제2 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연결 수단의 상기 록부재는, 평행하게 뻗는 기단부 및 록부와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부를 가지는 대략 ㄷ자형의 록핀이며,상기 록핀은, 기단부가 스프링과 함께 통형 케이싱 내에 수납되고,상기 통형 케이싱은,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고정되고,상기 록핀은, 기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통형 케이싱 내에 퇴피하여 수납되는 위치에 항상 가압되고,상기 록핀의 록부는, 기단부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고 있을 때, 지주에 형성된 상부 통공 또는 상기 포지 부재의 좌우 양 포지편에 형성된 하부 통공의 어느 하나에 삽입 통과되어 고정되고, 상기 기단부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항거하여 인출되었을 때, 상부 통공 또는 하부 통공 중 어느 하나의 통공으로의 고정 상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록부재는, 상기 포지 부재에 형성된 구멍부에 박아넣어지는 쐐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지주재는 길이 방향으로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
- 제5항에 기재된 현수 비계용 선반의 조립 시공법으로서,지주재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지주재의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걸쳐 상기 지주재 사이의 면방향으로 거의 간극을 두지 않고 상기 지주재 사이에 방호 패널을 장착하여, 선반 본체를 지상에서 조립하는 제1 스텝과,상기 선반 본체를 현수 비계의 소정 위치까지 매달아 올리는 제2 스텝과,상기 지주재를 현수 비계 측면에 기립시키는 제3 스텝과,상기 지주재의 브래킷에 구축물 구성재 또는 현수 비계 구성재로부터 뻗는 대기재의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지주재를 고정하는 제4 스텝을 포함하고,상기 제1 스텝은, 상기 지주재의 받이부재에 방호 패널의 장착 부재를 받아들이게 하여 방호 패널을 상기 지주재 사이의 면방향으로 거의 간극을 두지 않고 장착하는 스텝을 포함하고,제3 스텝은, 상기 지주재 하단의 포지 부재의 포지편을 현수 비계의 바닥 골조재에 걸어맞추고, 록부재에 의해 록함으로써 바닥 골조재를 포지 부재에 포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선반의 조립 시공법.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326628A JP4159093B2 (ja) | 2003-09-18 | 2003-09-18 | 吊り足場用朝顔とその組立て施工法 |
JPJP-P-2003-00326628 | 2003-09-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8838A KR20050028838A (ko) | 2005-03-23 |
KR101099396B1 true KR101099396B1 (ko) | 2011-12-27 |
Family
ID=3461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4488A KR101099396B1 (ko) | 2003-09-18 | 2004-09-17 | 현수 비계, 현수 비계용 선반 및 그 조립 시공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159093B2 (ko) |
KR (1) | KR10109939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89117A (zh) * | 2015-07-14 | 2015-10-21 |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 预制梁安装施工的防护棚布置结构及其布置方法 |
AU2019232888B2 (en) * | 2016-12-19 | 2021-11-11 | Voideck Ipco Limited |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31667A (ja) * | 2006-07-27 | 2008-02-14 |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 朝顔装置 |
JP5591580B2 (ja) * | 2010-04-23 | 2014-09-17 | 田中産業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の懸吊具 |
CN102392532B (zh) * | 2011-10-28 | 2013-05-29 | 山东万鑫建设有限公司 | 高耸构筑物内置悬空脚手架施工方法 |
KR101457578B1 (ko) * | 2013-01-16 | 2014-11-12 | 한국남부발전(주) | 보일러용 공중 비계 및 그 조립방법 |
KR101323384B1 (ko) * | 2013-04-03 | 2013-10-29 | 주식회사백상 | 매다는 비계 및 매다는 비계의 조립 방법 |
JP6426917B2 (ja) * | 2014-06-04 | 2018-11-21 | 株式会社杉孝 | 吊り足場における側壁立設工法及び装置 |
JP6450117B2 (ja) * | 2014-09-08 | 2019-01-09 | 日綜産業株式会社 | 立設構造および振れ止め具 |
JP6639226B2 (ja) * | 2015-12-28 | 2020-02-05 | 株式会社タカミヤ | 仮設構造物用朝顔パネル |
JP6674602B2 (ja) * | 2016-04-04 | 2020-04-01 | 株式会社Osk | 足場における落下防止用のパネルによるパネル構造体およびその組立方法 |
JP7048968B2 (ja) * | 2018-06-29 | 2022-04-06 | 株式会社ジャストビギン | アサガオ装置 |
JP6912093B2 (ja) * | 2018-07-04 | 2021-07-28 | 株式会社新成工業 | 支持具 |
JP7521972B2 (ja) | 2020-08-24 | 2024-07-24 | アルインコ株式会社 | 吊り足場における側壁パネル |
CN113622647B (zh) * | 2021-09-27 | 2022-12-09 | 新疆恒瑞建安工程建设有限公司 | 一种高效拼接及可稳固作业的高空建筑吊篮 |
CN114808688A (zh) * | 2022-05-09 | 2022-07-29 | 中铁大桥局第九工程有限公司 | 一种钢箱组合梁预制模板护栏钢筋定位架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8185U (ja) * | 1991-10-28 | 1993-05-25 | 政夫 鈴木 | パイプ用接続止具の構造 |
JPH084276A (ja) * | 1994-06-24 | 1996-01-09 | Sekisui Chem Co Ltd | 建物ユニットの天井仮足場構造 |
JPH08184179A (ja) * | 1994-12-29 | 1996-07-16 | Shinsei Kogyo:Kk | 吊り足場における側面防護壁組立て工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吊り足場用側面防護パネル |
JPH11324312A (ja) * | 1998-05-12 | 1999-11-26 | Hory Corp | 吊足場 |
JP2001220846A (ja) * | 1999-12-01 | 2001-08-17 | Masao Nagaoka | パネル用継手 |
KR20020018401A (ko) * | 2000-09-01 | 2002-03-08 | 이상식 | 비계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강교 가설방법 |
KR20020097045A (ko) * | 2002-08-29 | 2002-12-31 | 이상식 | 강관비계 결속용 클램프 |
-
2003
- 2003-09-18 JP JP2003326628A patent/JP415909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9-17 KR KR1020040074488A patent/KR1010993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8185U (ja) * | 1991-10-28 | 1993-05-25 | 政夫 鈴木 | パイプ用接続止具の構造 |
JPH084276A (ja) * | 1994-06-24 | 1996-01-09 | Sekisui Chem Co Ltd | 建物ユニットの天井仮足場構造 |
JPH08184179A (ja) * | 1994-12-29 | 1996-07-16 | Shinsei Kogyo:Kk | 吊り足場における側面防護壁組立て工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吊り足場用側面防護パネル |
JPH11324312A (ja) * | 1998-05-12 | 1999-11-26 | Hory Corp | 吊足場 |
JP2001220846A (ja) * | 1999-12-01 | 2001-08-17 | Masao Nagaoka | パネル用継手 |
KR20020018401A (ko) * | 2000-09-01 | 2002-03-08 | 이상식 | 비계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강교 가설방법 |
KR20020097045A (ko) * | 2002-08-29 | 2002-12-31 | 이상식 | 강관비계 결속용 클램프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89117A (zh) * | 2015-07-14 | 2015-10-21 |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 预制梁安装施工的防护棚布置结构及其布置方法 |
AU2019232888B2 (en) * | 2016-12-19 | 2021-11-11 | Voideck Ipco Limited |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159093B2 (ja) | 2008-10-01 |
KR20050028838A (ko) | 2005-03-23 |
JP2005120572A (ja) | 2005-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9396B1 (ko) | 현수 비계, 현수 비계용 선반 및 그 조립 시공법 | |
US9861190B2 (en) |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 |
AU2019284413B2 (en) | Individual scaffolding post | |
AU2021424267B2 (en) | Arrangement of scaffolding components | |
KR101435948B1 (ko) | 철골 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 |
JP2018048450A (ja) | 吊り足場の支持構造、支持方法及び構築方法 | |
JP3181041U (ja) |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 |
JP6846098B2 (ja) |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 |
JP2021139168A (ja) | 吊り足場 | |
KR200413590Y1 (ko) |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 |
US7077237B1 (en) | Chain railing system for scaffolding | |
KR102420849B1 (ko) |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 |
KR101390990B1 (ko) | 강선사용 프리텐션 허리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허리벽체 보강방법 | |
CA2830271A1 (en) | Rescue winch support for scaffolds and method of securing a rescue winch to a scaffold using same | |
JP2889570B1 (ja) | 吊足場 | |
JP5812554B1 (ja) |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 |
JP6159557B2 (ja) | 足場構造 | |
JP3054035U (ja) | 吊足場 | |
JP2021075967A (ja) | 吊り足場 | |
JP4156991B2 (ja) | 防護ネットの設置方法 | |
JP7424694B1 (ja) | 仮設ステージ | |
KR102639746B1 (ko) | 빔용 선반 구축장치 | |
KR102553850B1 (ko) | 맞벽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 |
CN218893957U (zh) | 一种钢梁对接临时支撑固定装置 | |
JP7444751B2 (ja) | 壁材ユニット及び壁構築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