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746B1 - 빔용 선반 구축장치 - Google Patents

빔용 선반 구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746B1
KR102639746B1 KR1020220026917A KR20220026917A KR102639746B1 KR 102639746 B1 KR102639746 B1 KR 102639746B1 KR 1020220026917 A KR1020220026917 A KR 1020220026917A KR 20220026917 A KR20220026917 A KR 20220026917A KR 102639746 B1 KR102639746 B1 KR 102639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oupled
mounting
edge
mount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9817A (ko
Inventor
박영희
Original Assignee
박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희 filed Critical 박영희
Priority to KR1020220026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746B1/ko
Publication of KR20230129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없이 볼트와 너트 방식으로 빔에 견고하게 장착한 후 선반 또는 트레이를 구축할 수 있고 해체할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문제를 해결가능하면서 공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빔의 일측 에지부분과 결합할 수 있도록 리어윙과 프론트윙에 의하여 에지홈이 형성된 장치바디와; 상기 프론트윙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캔틸레버와, 상기 캔틸레버의 상측과 하측에 어퍼림과 로어림을 돌출시켜 장착공간을 형성한 장착채널과; 상기 장착채널의 전방측에는 선반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를 저면에서 받쳐주는 받침바를 결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단속홀과; 상기 장착채널의 후방측에 형성하는 체결공을 통하여 장치바디가 결합되는 빔의 다른측 에지부분을 걸어서 장치바디를 단속하는 결속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로드는, 빔의 다른측 에지부분과 결합할 수 있도록 에지홈을 형성한 훅부를 일단부에 형성한 로드바디와; 상기 훅부 대향 위치 로드바디 단부에 형성하는 나사부와; 상기 장착채널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통과하는 나사부를 단속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빔용 선반 구축장치{SHELF MOUNTING DEVICE FOR BEAM}
본 발명은 빔용 선반 구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빔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상업용 또는 산업용 건축물에 선반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철거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구축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상업용 건축물 또는 산업(공장 등)용 건축물을 구축할 때 예전에는 철근 콘크리트로 구축하였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H빔과 같은 철골구조로 구축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축된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내부에는 사용에 편리하도록 선반을 설치하거나 또는 전선 등을 배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규격과 종류의 트레이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선반을 설치하기 위한 기술이 종래에도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표적인 예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까치발의 걸쇠를 걸어 그 위에 선반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과, 수직 빔과, 상기 수직 빔의 양측 날개를 덮기 위한 덮개를 구성된 선반 설치대에 있어서,
벽에 밀착되는 가운데 면과 그 양측에 전방으로 꺾인 좌우 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운데 면에는 못이나 스크루를 관통하여 벽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 구멍이 위 아래로 등 간격에 관통되며, 상기 좌우 면에는 상기 까치발을 걸기 위한 걸이 구멍이 위 아래로 등 간격에 관통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가운데 면에 밀착된 본체와 그 양측에 상기 프레임의 좌우 면을 덮도록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 체결 구멍과 일치하는 제2 체결 구멍이 관통되며, 상기 양측 날개에는 프레임의 좌우 면을 끼우기 위한 지지 홈이 형성된 수직 빔;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특허문헌 2는, 벽에 선반을 설치하기 위한 선반 설치대에 있어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전후방 날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양측 전후방 날개 사이에는 못이나 스크루를 이용하여 벽에 박아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전후방 날개 상에는 볼트로 체결하기 위한 제2 결합구가 형성된 수직 빔; 및
상기 선반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수평판과 선반의 상부면을 밀착하여 고정하도록 고정편을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진 수직판이 일체로 절곡되면서 그 후단에는 상기 수직 빔의 전후방 날개 사이로 끼워지도록 고정판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 상에는 제2 결합구와 일치하는 제3 결합구가 형성된 까치발;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등록 제 10 - 0903966 - 0000 호 특허등록 제 10 - 0906425 - 0000 호
없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일반적인 바 타입의 프레임에 까치발을 고정하여 구축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로는 H빔이나 I빔 또는 채널과 같은 강구조물에 선반을 장착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현장에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H빔이나 I빔 또는 채널과 같은 강구조물을 이용하여 건축물 또는 구조물이 구축되는 경우에는 내부에 선반 또는 트레이를 설치하여 물품이나 제품을 안치하여 보관하는 용도 또는 전선 등을 배열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선반을 구성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H빔이나 I빔 또는 채널과 같은 강구조물(이하 빔이라 한다.)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캔틸레버(바 타입)를 고정하고, 상기 캔틸러버의 상부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브리지(판상부재 타입)를 연결하여 선반 또는 트레이를 구성(구축)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빔에 금속재질을 용접 고정하여 선반 등을 구성하게 되므로 견고한 장점은 있을 것이나 설치하는 작업과 더불어 사용이 끝난 후 철거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먼저,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상에서 높지 않은 곳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선 자세에서 용접에 필요한 도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나, 높은 곳에 설치하여야 할 경우에는 사다리, 고소작업차 등의 장비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혼자서 고소지에서 용접장비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보조 작업자 또한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소지에서 작업을 위하여 많은 장비와 인력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작업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작업준비 또는 작업 과정에서 발을 잘못디뎌 낙하하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고 이 경우에는 작업자의 신체적인 손상을 물론 용접장비 등의 손상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선반의 사용이 끝나고 철거하여야 할 경우에도 설치와 마찬가지로 설치된 고소지로 사다리 또는 고소작업차를 이용하여 작업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것은 물론 낙상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빔이 세워진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인접한 빔에 용접작업을 쉽게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빔의 간격이 몇 미터에 이르기 때문에 한 곳의 빔에서 작업한 후에는 다시 작업자가 내려온 후 다른 빔으로 이동하여 다시 올라간 후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선반이나 트레이로 사용되는 빈도에 비하여 설치와 철거 작업에 과다한 시간과 비용 및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효울성이 높지 않게 되고, 설치와 철거 시 용접기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블꽃 등에 의하여 화재와 폭발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등 여러 문제점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빔(101)의 일측 에지부분(102)과 결합할 수 있도록 리어윙(103)과 프론트윙(104)에 의하여 에지홈(105)이 형성된 장치바디(110)와;
상기 프론트윙(104)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캔틸레버(111)와, 상기 캔틸레버(111)의 상측과 하측에 어퍼림(112)과 로어림(113)을 돌출시켜 장착공간(114)을 형성한 장착채널(115)과;
상기 장착채널(115)의 전방측에는 선반(116)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17)를 저면에서 받쳐주는 받침바(118)를 결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단속홀(119)과;
상기 장착채널(115)의 후방측에 형성하는 체결공(120)을 통하여 장치바디(110)가 결합되는 빔(101)의 다른측 에지부분(121)을 걸어서 장치바디(110)를 단속하는 결속로드(130)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로드(130)는, 빔(101)의 다른측 에지부분(121)과 결합할 수 있도록 에지홈(131)을 형성한 훅부(132)를 일단부에 형성한 로드바디(133)와;
상기 훅부(132) 대향 위치 로드바디(133) 단부에 형성하는 나사부(134)와;
상기 장착채널(115)에 형성되는 체결공(120)을 통과하는 나사부(134)를 단속하는 체결너트(135)를 포함하여;
용접없이 볼트와 너트 방식으로 빔에 견고하게 장착한 후 선반 또는 트레이를 구축할 수 있고 해체할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문제를 해결가능하면서 공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빔에 선반 또는 트레이를 구축(설치)하기 위한 장치를 개선하여 한 명의 작업자가 도움 없이 신속하게 설치하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철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빔용 선반 구축장치의 설치와 철거를 스페너와 같은 도구만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면서 화재와 폭발과 같은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를 도시한 결합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를 도시한 결합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의 B - Bㅓㄴ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빔용 선반 구축장치(100)는, 빔(101)의 일측 에지부분(102)과 결합할 수 있도록 리어윙(103)과 프론트윙(104)에 의하여 에지홈(105)이 형성되도록 한 개략 "ㄷ"형상의 장치바디(110)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바디(110)를 구성하는 프론트윙(104)의 전방으로는 캔틸레버(111)를 소정의 길이로 돌출시키고, 상기 캔틸레버(111)의 상측과 하측에는 장치바디(110) 방향으로 어퍼림(112)과 로어림(113)을 돌출되게 고정하여 장착공간(114)을 가지는 장착채널(115)을 형성한다.
상기 장착채널(115)에는 선반(116)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17)를 저면에서 받쳐주는 받침바(118)를 결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장착채널(115)의 전방측에는 받침바(118)를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단속할 수 있는 단속홀(119)을 형성한다.
상기 장착채널(115)의 후방측에는 체결공(120)을 형성하여 장치바디(110)가 결합되는 빔(101)의 다른측 에지부분(121)을 걸어서 장치바디(110)를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결속로드(130)를 구비한다.
상기 결속로드(130)는, 빔(101)의 다른측 에지부분(121)과 결합할 수 있도록 에지홈(131)을 형성한 훅부(132)를 일단부에 형성한 바타입의 로드바디(133)를 구비하고, 상기 훅부(132) 대향 위치 로드바디(133) 단부에는 나사부(134)를 형성한다.상기 나사부(134)는 체결공(120)을 통과하여 체결너트(135)로 단속하여 결속로드(130)와 장치바디(110)가 빔(101)에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선반(116)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빔용 선반 구축장치(100)를 이용하여 선반(116)을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빔(101)의 일측 에지부분(102)에는 장치바디(110)의 에지홈(105)이 결합되도록 하고 타측의 에지부분(102)에는 결속로드(130)의 훅부(132)에 형성된 에지홈(131)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결속로드(130)의 로드바디(133) 단부에 형성한 나사부(134)를 장착채널(115)의 체결공(120)을 통과시킨 후 체결너트(135)를 결합하여 견고하게 조여주면 결속로드(130)가 긴장되면서 빔용 선반 구축장치(100)를 유동없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에는 장착채널(115)의 장착공간(114)에 받침바(118)를 결합한 후 단속홀(119)을 통하여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단속수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하고, 상기 받침바(118)의 상부에는 플레이트(117)를 안치한 상태에서 고정하여 줌으로서 선반(116) 또는 트레이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축된 선반(116)의 사용이 끝난 후 철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축의 반대로 받침바(118)를 장착패널(115)로부터 분리하고, 결속로드(130)를 해제함으로서 장치바디(110)를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철거 또는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는, 두 개의 장치바디(110)를 빔(101)의 양측 에지부분(102,121)에 대칭되게 결합한 후 훅부(132)가 없는 일자형의 결속로드(130)를 두 개의 장치바디(110)에 형성된 체결공(120)을 관통시킨 후 양단부를 체결너트(135)로 견고하게 단속하는 형태로 구성하여도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용접없이 볼트와 너트 방식으로 빔에 견고하게 장착한 후 선반 또는 트레이를 구축할 수 있고 해체할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문제를 해결가능하면서 공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빔용 선반 구축장치
101; 빔
110; 장치바디
111; 캔틸레버
115; 장착채널
120; 체결공
130; 결속로드
131; 에지홈
132; 훅부
133; 로드바디
135; 체결너트

Claims (2)

  1. 빔(101)의 일측 에지부분(102)과 결합할 수 있도록 리어윙(103)과 프론트윙(104)에 의하여 에지홈(105)이 형성된 장치바디(110)와;
    상기 프론트윙(104)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캔틸레버(111)와, 상기 캔틸레버(111)의 상측과 하측에 어퍼림(112)과 로어림(113)을 돌출시켜 장착공간(114)을 형성한 장착채널(115)과;
    상기 장착채널(115)의 전방측에는 선반(116)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17)를 저면에서 받쳐주는 받침바(118)를 결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단속홀(119)과;
    상기 장착채널(115)의 후방측에 형성하는 체결공(120)을 통하여 장치바디(110)가 결합되는 빔(101)의 다른측 에지부분(121)을 걸어서 장치바디(110)를 단속하는 결속로드(130)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로드(130)는, 빔(101)의 다른측 에지부분(121)과 결합할 수 있도록 에지홈(131)을 형성한 훅부(132)를 일단부에 형성한 로드바디(133)와;
    상기 훅부(132) 대향 위치 로드바디(133) 단부에 형성하는 나사부(134)와;
    상기 장착채널(115)에 형성되는 체결공(120)을 통과하는 나사부(134)를 단속하는 체결너트(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용 선반 구축장치.
  2. 빔(101)의 양측 에지부분(102,121)과 결합할 수 있도록 리어윙(103)과 프론트윙(104)에 의하여 에지홈(105)이 형성된 장치바디(110)와;
    상기 프론트윙(104)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캔틸레버(111)와, 상기 캔틸레버(111)의 상측과 하측에 어퍼림(112)과 로어림(113)을 돌출시켜 장착공간(114)을 형성한 장착채널(115)과;
    상기 장착채널(115)의 전방측에는 선반(116)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17)를 저면에서 받쳐주는 받침바(118)를 결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단속홀(119)과;
    상기 장착채널(115)의 후방측에 형성하는 체결공(120)을 통하여 양단부가 관통되는 일자형의 결속로드(130)와;
    상기 체결공(120)을 통과하는 단속로드(130)의 양단 나사부(134)를 단속하는 체결너트(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용 선반 구축장치.
KR1020220026917A 2022-03-02 2022-03-02 빔용 선반 구축장치 KR102639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917A KR102639746B1 (ko) 2022-03-02 2022-03-02 빔용 선반 구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917A KR102639746B1 (ko) 2022-03-02 2022-03-02 빔용 선반 구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817A KR20230129817A (ko) 2023-09-11
KR102639746B1 true KR102639746B1 (ko) 2024-02-21

Family

ID=8802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917A KR102639746B1 (ko) 2022-03-02 2022-03-02 빔용 선반 구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7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5705A (ja) 2012-03-05 2013-09-19 Akio Sakamoto 怪我をしにくいパイプ足場用クランプ金具と落下防止機能のあるボルト。
KR101335478B1 (ko) 2013-06-18 2013-12-02 오충식 빔클램프
CN206016238U (zh) 2016-08-05 2017-03-15 安徽豪鼎金属制品有限公司 锻压钩式猪耳扣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7088A (en) * 1995-08-01 1999-04-27 Automatic Fire Control, Incorporated Retaining strap
KR100906425B1 (ko) 2008-07-30 2009-07-09 주식회사 우아미가구 내진용 선반 설치대
KR100903966B1 (ko) 2008-09-11 2009-06-25 주식회사 우아미가구 선반 설치대
KR101555492B1 (ko) * 2014-03-14 2015-09-24 이대훈 벽선반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5705A (ja) 2012-03-05 2013-09-19 Akio Sakamoto 怪我をしにくいパイプ足場用クランプ金具と落下防止機能のあるボルト。
KR101335478B1 (ko) 2013-06-18 2013-12-02 오충식 빔클램프
CN206016238U (zh) 2016-08-05 2017-03-15 安徽豪鼎金属制品有限公司 锻压钩式猪耳扣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817A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05145C2 (nl) Montageplaat voor een tussenwandsysteem.
US4473209A (en) Prefabricated wall form modular unit
US4133155A (en) Joist structure
KR101099396B1 (ko) 현수 비계, 현수 비계용 선반 및 그 조립 시공법
JP6846098B2 (ja)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KR102639746B1 (ko) 빔용 선반 구축장치
JPH08270207A (ja) 親綱支柱
JP3027130B2 (ja) 吊り足場の組立構造
US4356993A (en) Corner forming apparatus for a concrete wall form
JP2889570B1 (ja) 吊足場
KR100433700B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JP7320396B2 (ja) 壁繋ぎ構造
JP3168459B2 (ja) 仮設建築物の組立屋根装置
JP3239756U (ja) 親綱支柱
KR200347093Y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JP3054035U (ja) 吊足場
JP2002061116A (ja) 橋梁構造物における足場支持装置及び足場装置
JP2536802Y2 (ja) 建設用雨避盤
US9777490B2 (en) Falsework hook and fastener
JPH0635064Y2 (ja) トラス状支保梁のくさび式荷重解除装置
JPH033788B2 (ko)
JPS6322269Y2 (ko)
JP2023170049A (ja) 支保工
JPH0741785Y2 (ja) 階段用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