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093Y1 -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093Y1
KR200347093Y1 KR20-2003-0040132U KR20030040132U KR200347093Y1 KR 200347093 Y1 KR200347093 Y1 KR 200347093Y1 KR 20030040132 U KR20030040132 U KR 20030040132U KR 200347093 Y1 KR200347093 Y1 KR 200347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pipe
clamp
hanger
psc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규
Original Assignee
한국스틸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스틸폼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스틸폼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40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0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SC빔 상부의 폭보다 길고, 양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PSC빔 상부에 가로로 거치되는 행거 볼트와; 스퀘어 파이프와,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양 끝단이 상기 스퀘어 파이프의 측벽에 결합되고, 일 측면에 웨지홀이 형성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세로대와; 상기 행거 볼트와 클램프를 결합하는 결합수단과; 일단에는 상기 세로대의 상부에 거치되는 앵글이 형성되는 이너빔과, 일단에는 상기 앵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이너빔이 삽입되는 아우터빔과, 상기 아우터빔과 상기 이너빔을 결합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빔과; 상기 멀티빔의 상부에 거치되는 바닥재를 포함하는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능력의 향상은 물론 가격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Mold system for slab concrete of bridge}
본 고안은 PSC빔 상부의 콘크리트 타설용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에 적용되는 강재(steel)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브 거푸집은 주로 목재가 사용되었으나, 목재 거푸집은 3번 정도 밖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경제성에서 떨어지고,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해서는 하부 비계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나 시간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강재 거푸집이 제안되고 있으나. 종래의 강재 거푸집은 시공현장에서 절단,용접, 테이핑 등의 작업을 통해 구조물에 용접 고정하여야 하므로, 높은 곳까지 전력을 공급해야 하고, 작업자가 용접 기구를 운반하여 철판 절단 및 용접을 하는 등 시공성이 떨어지고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180256호나 등록실용신안 제222611호에서는 용접에 의하지 않는 강재 거푸집을 제안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등록실용신안 제180256호의 거푸집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PSC 빔(1)의 상부 측면에 클립바(18)를 이용하여 ㄷ채널(10)을 설치한다. 상기 클립 바(18)는 PSC빔(1) 상부의 철근(16)에 고정된다. 그리고 두 개의 대향하는 ㄷ채널(10)에 거더(12)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거더(12)는 스틸파이프(12a)와 각목(12b)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목(12b)은 상부에 바닥재로 놓여지는 합판(14)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각목(12b) 위에 합판(14)이 설치된 다음에 콘크리트 타설을 실시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상기 철근(16)이 일정한 간격 및 규격으로 고정되지 않으면, 작업성이 불리하고, 또한 ㄷ채널(10)에 거치되는 스틸파이프(12a)를 고정하지 않으므로 작업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굽은 길과 같이 PSC빔(1)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설치가 곤란하고, PSC빔(1)과 바닥재인 합판(1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방법이 없어 PSC빔(1) 사이의 폭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현장에서 커팅한 합판을 실링제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2a 및 도 2b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등록실용신안 제222611호의 고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PSC빔 사이에 슬라브 거푸집이 설치된 모습이고, 도 2b는 상기 슬라브 거푸집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양단에 ㄱ자 형상의 브라켓(23,33)이 부착되고, 이너빔(22)과 아우터빔(24)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가로대(20)와, 일단은 상기 브라켓(23,33)에 볼트로 고정되고, 타단은 PSC빔(P)의 상단에 거치되어 상기 가로대(20)를 두 개의 PSC빔(P) 사이에 거치시키는 썽크 플레이트(41,42)와, 상기 브라켓(22,33)의 수평부와 상기 썽크 플레이트(41,42) 사이에 고정되는 필러 플레이트(72,71) 및 스페이서 플레이트(미도시)와, 상기 가로대(20)의 상부에 상기 가로대(20)와 직각방향으로 거치되는 다수의 세로대(80)와, 상기 세로대(80)의 상부에 거치되는 바닥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브 거푸집은 설치시 PSC빔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로대(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러플레이트(71,72)를 이용하여 바닥재(90)와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의 방법에 비하면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개선된 것이라 할 수 있으나, 가로대(20)와 PSC빔을 고정시키는 썽크 플레이트(41,42)와, 필러플레이트(71,72), 스페이서 플레이트(미도시) 등 구성 부품이 많아 이를 조립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적인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도 1b는 PSC 빔에 종래 방식의 슬라브 거푸집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 도 2b는 다른 종래 방식의 슬라브 거푸집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클램프와 행거 플레이트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PSC빔 사이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멀티 빔 110 : 이너 빔
120 : 아우터 빔 122 : 너트 고정판
124 : 너트 126 : 볼트
200 : 세로대 210 : 스퀘어 파이프
220 : 고정판 300 : 행거 볼트
310 : 행거 너트 400 : 클램프
402 : 웨지홀 410 : 행거 플레이트
411 : 볼트홀 412 : 제1 수직부
413 : 단차부 414 : 제2 수직부
415 : 걸림턱 420 : 웨지핀
500 : 바닥재 520 : 보충재
522 : 못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PSC빔 상부의 폭보다 길고, 양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PSC빔 상부에 가로로 거치되는 행거 볼트(300)와; 스퀘어 파이프(210)와,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양 끝단이 상기 스퀘어 파이프(210)의 측벽에 결합되고, 일 측면에 웨지홀(402)이 형성되는 클램프(400)를 포함하는 세로대(200)와; 상기 행거 볼트(300)와 클램프(40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과; 일단에는 상기 세로대(200)의 상부에 거치되는 앵글(130)이 형성되는 이너빔(110)과, 일단에는 상기 앵글(13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이너빔(110)이 삽입되는 아우터빔(120)과, 상기 아우터빔(120)과 상기 이너빔(110)을 결합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빔(100)과; 상기 멀티빔(100)의 상부에 거치되는 바닥재(500)를 포함하는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스퀘어 파이프(210)의 상면에는 상기 스퀘어 파이프(210) 보다 큰 폭을 가지는 고정판(2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일단에는 상기 행거볼트(300)와 결합하는 볼트홀(41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걸림턱(415)이 형성되는 행거 플레이트(410)와; 상기 클램프(400) 측면의 웨지홀(40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415)에 의해 고정되는 웨지 핀(42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크게는 PSC빔의 측상부에 인접하여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세로대(200)와, 상기 세로대(2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양 끝단이 상기 세로대(200)의 상부에 거치되는 멀티빔(100)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상기 멀티빔(100)의 상부에 안치되는 바닥재(500)를 포함한다.
세로대(200)는 사각의 스퀘어 파이프(210)와 스퀘어 파이프(2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판(220)으로 구성된다. 고정판(220)과 스퀘어 파이프(210)의 결합은 나사 등 통상의 결합수단에 의한다.
고정판(220)은 상부에 안치되는 바닥재(500)나 실링을 위한 보충재(520)를 못이나 나사 등으로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판(220)의 폭은 하부의 스퀘어 파이프(200)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는 클램프(400)로 인해 스퀘어 파이프(200)가 PSC빔의 측면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고정판(220)의 측면이라도 상기 PSC빔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하여 대략적인 실링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나아가 최종 실링을 위한 보충재(520)는 PSC빔의 측면에 인접하므로 이를 못(522) 등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부에 고정판(22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세로대(200)를 PSC빔의 측상부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본 고안이 제안하고 있는 방법은 PSC빔 상면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양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행거 볼트(300)와, 행거 볼트(300)에 결합되는 행거 플레이트(410), 스퀘어 파이프(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클램프(400), 상기 클램프(400)와 행거 플레이트(410)를 연결하는 웨지핀(420)을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행거 볼트(300)는 양 끝단에 멀티빔(100), 세로대(200), 바닥재(500) 및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이 실리므로, 이러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적절한 직경과 강성을 가지는 것이어야 한다.
행거 볼트(300)의 끝단에 행거 플레이트(410)의 일단이 결합되는데, 행거 플레이트(410)에는 상기 행거 볼트(300)가 관통하는 볼트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411)에 행거 볼트(300)를 삽입한 후에 행거 너트(310)로 고정한다. 행거 플레이트(410)와 클램프(400)를 웨지핀(420)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클램프(400)와 결합된 세로대(200)가 PSC빔의 측상부에 고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세로대(200)가 고정되면, 세로대(200)의 상부에 가로방향의 멀티빔(100)의 양단을 거치한다. 상기 멀티빔(100)은 길이조절이 가능하여야 하는데, 도면에서는 멀티빔(100)을 C형강의 아우터빔(120)과, 상기 아우터빔(120)의 일단에서 삽입되며 사각의 단면을 가지는 이너빔(11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아우터빔(120)의 형상이 C형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너빔(110)이 아우터빔(120)의 일단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은 멀티빔(1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므로, 일단 길이가 정해지면 양자를 고정하여야 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아우터빔(120)에 너트(124)를 설치하고 너트(124)가 부착된 아우터빔(120)의 측면에까지 너트홀(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너트(124)에 삽입된 볼트(126)의 끝단이 이너빔(110)의 측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너트(124)를 부착하지 아니하고, 단순히 아우터빔(120)의 측면에 너트홀(미도시)만을 형성하고, 볼트(126)를 관통시켜 이너빔(110)의 측면을 압착 고정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아우터빔(120)을 C형강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너트(124)를 부착하기 위해 너트고정판(122)를 설치하고 있으나, 사각파이프인 경우에는 너트 고정판(122)이 불필요하다.
아우터빔(120)과 이너빔(110)에서, 아우터빔(120)과 이너빔(110)이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 끝단에는 세로대(200)에 거치하기 위해,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성되는 ㄱ자 형상의 앵글(130)이 형성되는데, 수직부는 아우터빔(120) 및 이너빔(110)의 끝단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고, 수평부는 상기 세로대(200)에 거치된다. 상기 앵글(130)은 멀티빔(100)을 세로대(200)에 거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거치 가능한 수평부의 존재가 필수적이나, 수직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멀티빔(100)을 세로대(200)와 직각 방향으로 다수 거치한 다음에, 상부에 바닥재(500)를 안치하며, PSC빔 근방의 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메우기 위해서 보충재(520)를 설치한다. 바닥재(500)나 보충재(520)는 통상 합판 등의 목재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FRP재질 등의 판을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행거 플레이트(410)와 클램프(40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행거 플레이트(410)는 볼트홀(411)이 형성되는 제1 수직부(412)와, 제1 수직부(412)와의 사이에 단차부(413)를 형성하는 제2 수직부(414)와, 상기 제2 수직부(414)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415)을 포함한다.
클램프(400)는 3개의 수직판이 U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결합된 형상을 가지며, ㄷ자의 양 끝단이 스퀘어 파이프(210)의 측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고, 측면의 수직판에는 웨지핀(420)이 관통할 수 있는 웨지홀(402)이 형성되는데, 상기 웨지홀(402)은 일 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대향하는 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행거 플레이트(410)가 걸림턱(415)이 형성된 끝단부터 클램프(400)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415)이 웨지홀(402)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면, 웨지핀(420)을 상기 웨지홀(402)로 삽입한다. 이때 웨지핀(402)이 상기 걸림턱(415)에 걸리면서, 클램프(400)에 결합된 세로대(200)가 고정된다.
도 5는 2개의 PSC빔(P) 사이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거푸집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PSC빔(P)의 상부에 PSC빔(P) 상부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행거볼트(300)가 놓이고, 상기 PSC빔의 측상부에 인접하여 세로대(200)가 설치되고, 대향하는 세로대(200)에 멀티빔(100)이 거치되고, 상기 멀티빔(100)의 상부에 바닥재(500)가 안치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로서, PSC빔(P)의 상부에 거치되는 행거볼트(300)에 행거 플레이트(410)가 고정되고, 상기 행거 플레이트(410)와 스퀘어 파이프(210)의 측면에 결합하는 클램프(400)가 웨지핀(420)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퀘어 파이프(210) 위에는 고정판(220)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220)위에 멀티빔(100) 일단의 앵글(130)이 거치되어 있고, 상기 앵글(130)과 멀티빔(100)의 상부에 바닥재(500)가 거치되며, PSC빔과 바닥재(500)사이의 간극에는 실링을 위해 보충재(522)가 거치된다. 한편 바닥재(500), 보충재(522), 고정판(220)을 모두 합판 등의 목재로 형성하게 되면, 못(522)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이들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2개의 PSC빔 사이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 설치된 평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PSC빔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세로대(200)와, 양 끝단에 형성되는 앵글(130)이 상기 세로대(200)에 거치되는 다수의 멀티빔(100)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세로대(200)의 고정을 위한 행거 볼트(300)가 멀티빔(100)보다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멀티빔(100)이나 행거 볼트(300)의 설치간격은 예상되는 작업하중이나 공정조건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거푸집 시스템을 이용하여, 바닥재(500)와 보충재(520)를 모두 안치한 다음에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양생이 끝난 후 상기 거푸집 시스템을 해체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에서 웨지핀(420)을 제거하게 되면, 세로대(200)는 못(522)에 의해서만 바닥재(500)와 보충재(52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쉽게 제거가 가능하며, 세로대(200)를 제거하고 나면, 멀티빔(100)은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다음에 최상층의 바닥재(500)와 보충재(520)는 별다른 고정장치 없이 콘크리트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므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행거 볼트(300)와 행거 너트(310)는 콘크리트에 파묻힌 상태에 있게 되며, 돌출되어 나온 행거 플레이트(410)는 절단해 내면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수정이나 변경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능력의 향상은 물론 가격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PSC빔 상부의 폭보다 길고, 양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PSC빔 상부에 가로로 거치되는 행거 볼트(300)와;
    스퀘어 파이프(210)와,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양 끝단이 상기 스퀘어 파이프(210)의 측벽에 결합되고, 일 측면에 웨지홀(402)이 형성되는 클램프(400)를 포함하는 세로대(200)와;
    상기 행거 볼트(300)와 클램프(40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과;
    일단에는 상기 세로대(200)의 상부에 거치되는 앵글(130)이 형성되는 이너빔(110)과, 일단에는 상기 앵글(13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이너빔(110)이 삽입되는 아우터빔(120)과, 상기 아우터빔(120)과 상기 이너빔(110)을 결합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빔(100)과;
    상기 멀티빔(100)의 상부에 거치되는 바닥재(500)
    를 포함하는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퀘어 파이프(210)의 상면에는 상기 스퀘어 파이프(210) 보다 큰 폭을 가지는 고정판(220)이 설치되는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일단에는 상기 행거볼트(300)와 결합하는 볼트홀(41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걸림턱(415)이 형성되는 행거 플레이트(410)와;
    상기 클램프(400) 측면의 웨지홀(40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415)에 의해 고정되는 웨지 핀(420)
    을 포함하는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20-2003-0040132U 2003-12-24 2003-12-24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200347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132U KR200347093Y1 (ko) 2003-12-24 2003-12-24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132U KR200347093Y1 (ko) 2003-12-24 2003-12-24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666A Division KR100433700B1 (ko) 2003-12-24 2003-12-24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093Y1 true KR200347093Y1 (ko) 2004-04-09

Family

ID=4934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132U KR200347093Y1 (ko) 2003-12-24 2003-12-24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0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717B1 (ko) * 2009-01-21 2009-08-31 주식회사 공간이동 강화 노치플레이트
KR20210022327A (ko)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누리플랜 교량 슬라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고정장치
KR102430436B1 (ko) * 2022-01-20 2022-08-08 주식회사 누리플랜 교량 슬래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717B1 (ko) * 2009-01-21 2009-08-31 주식회사 공간이동 강화 노치플레이트
KR20210022327A (ko)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누리플랜 교량 슬라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고정장치
KR102300271B1 (ko) * 2019-08-20 2021-09-09 주식회사 누리플랜 교량 슬라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고정장치
KR102430436B1 (ko) * 2022-01-20 2022-08-08 주식회사 누리플랜 교량 슬래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CN110725525A (zh) 一种装配式悬挑脚手架的支承装置及其施工方法
CA2534944C (en) Bridge overhang bracket
KR101435948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200226626Y1 (ko) 교량상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KR200397213Y1 (ko)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100433700B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200347093Y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JPH1171897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足場板支持装置
KR100946192B1 (ko)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KR200222611Y1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KR20020001480A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120003729U (ko) 시스템서포트 헤드
CN211691535U (zh) 一种组装式悬挑卸料平台
CN113652953A (zh) 一种新型装配式天桥坡道
KR100469638B1 (ko)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KR100840279B1 (ko) 슬래브거푸집 현수용 행거장치
KR20020065024A (ko) 피에스시 빔 고정방법
KR200245284Y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KR102059081B1 (ko) 강교용 가설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공법
CN217379268U (zh) 连廊支撑装置、连廊与建筑
JP2000220293A (ja) 梁型枠装置およびこの梁型枠装置の設置・解体方法
KR200285281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