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717B1 - 강화 노치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강화 노치플레이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717B1
KR100914717B1 KR1020090005263A KR20090005263A KR100914717B1 KR 100914717 B1 KR100914717 B1 KR 100914717B1 KR 1020090005263 A KR1020090005263 A KR 1020090005263A KR 20090005263 A KR20090005263 A KR 20090005263A KR 100914717 B1 KR100914717 B1 KR 100914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notch plate
clamp
notch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간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간이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간이동
Priority to KR102009000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 노치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SC 교대 상부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도록 PSC 교대와 PSC 교대 사이를 연결하는 메가빔을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에 구성되는 노치플레이트의 몸체에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 혹은 사선 방향의 힘살을 형성하여 인장력을 높이기 위한 강화 노치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강화 노치플레이트는,
전산 볼트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삽입공(110)을 형성하고 있는 헤드부(100)와;
세로 방향 혹은 길이 방향 혹은 사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힘살(210)을 형성하고 있는 중앙부(200)와;
상기 헤드부와 중앙부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형성하고 있는 절단홈(300)과;
상기 중앙부 하측에 경사면(410)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끝단부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돌기부(420)를 형성하고 있는 하단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클램프에 구성되는 노치플레이트의 몸체에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 혹은 사선 방향의 힘살을 형성하여 인장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강화 노치플레이트{strengthening notch-plate.}
본 발명은 강화 노치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SC 교대 상부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도록 PSC 교대와 PSC 교대 사이를 연결하는 메가빔을 체결하기 위한 클램프에 구성되는 노치플레이트의 몸체에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 혹은 사선 방향의 힘살을 형성하여 인장력을 높이기 위한 강화 노치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클램프는 교량 건설 현장의 여러 곳에 적용이 되나 가장 많이 적용되는 곳은 PSC교대 상판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가설자재와 PSC 교대와의 연결 공정에 적용이 되고 있었다.
종래의 장치들의 공정은 작업 현장에서 1차적으로 노치플레이트를 락핀을 이용하여 체결한 클램프를 수십 개씩 작업자가 운반하여 PSC 교대에 볼트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 장치는 운반 도중 락핀의 유동으로 인하여 체결 상태가 느슨해지거나 클램프와 락핀의 결합이 해체되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PSC 교대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이 된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주도면밀하게 최종 점검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 락핀과 클램프와의 결합력이 느슨해져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가설자재의 지지력에 문제가 발생할 뿐 아니라 현장 작업자들의 안전에 잠재적 위험 요소가 될 수 밖에 없었다.
작업자는 현장에서 클램프 위에 앵글을 장착하고 그 위에 산승각과 합판을 차례로 설치한 후에는 시각적으로 락핀의 체결 상태를 점검할 방법이 없게 되어 작업 초기에 견고하게 체결이 되어 있다할 지라도 교량 상판 거푸집 가설자재 위에서 하중이 실리는 작업이 많이 이루어지므로 락핀의 체결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았다.
락핀이 클램프에서 이탈하여 낙하하는 경우에는 교량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다시 교량 상판의 가설자재를 해체하고 조립하는 공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락핀이 클램프에서 이탈하지 않고 결합력이 약화된 경우에는 공정이 진행되어 클램프 위에 걸리는 하중이 많아졌을 때 슬라브의 처짐 현상이 생기거나 심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가설 자재 일체가 붕괴될 우려가 있다.
특히 교량 공사의 종류 중 노면의 기울기가 발생하는 현장 즉 교량 양단의 해발 고도가 틀릴 경우 종래 장치는 중력의 작용으로 인해 체결 상태가 느슨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대한민국 지형의 특성상 많은 교량 건설의 현장이 교량 양단의 높낮이가 틀리므로 종래 장치는 필연적으로 중력의 영향을 받아 체결이 약화되거나 심할 경우에 체결 상태가 해체되는 위험에 항상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0737841호인 거푸집 고정 클램프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거푸집 고정 클램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PSC빔(100)과 PSC빔(100)의 사이를 콘크리트로 슬라브 타설하기 위해 클램프에 고정되는 메가빔(500)과, 상기 메가빔(500)의 상부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각재(600)와, 상기 각재(60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바닥판(700)이 형성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게 된다.
즉, PSC빔(100)과 PSC빔(100) 사이를 연결하는 메가빔(5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PSC빔(100)의 측벽에 메가빔(500)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300)를 설치한다.상기 클램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SC빔(100)의 측상부에 설치되는 행거플레이트(200)와 결합되어 락핀(4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행거(노치)플레이트(200)는 장방형으로 상부에는 PSC빔(100)의 상단으로 PSC빔(100)보다 폭이 긴 길이로 양 끝단에 나사산(111)을 형성한 행거볼트 혹은 전산볼트(110)에 삽입되어 너트(120)에 의해 고정되도록 삽입공(230)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230)의 중앙부 근처에는 절곡하여 사면(210)을 형성하고, 그 하단부에는 종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돌기부(220)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행거플레이트(200)의 사면(210) 하부의 후방에 장착되는 클램프(3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는 행거플레이트(200)의 사면(210)이 형성된 하부의 배면에 밀착되게 접촉할 수 있는 접촉면(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면(310)의 양측에는 서로 크기가 다른 대형과 소형의 락핀홀(330, 340)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형 및 소형 락핀홀(330, 340)의 일측으로는 PSC빔(100)과 PSC빔(100) 사이에 설치되는 메가빔(500)의 거리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장공(350, 360)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310)의 양단부를 서로 절곡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대(3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클램프(300)의 접촉면(310)을 행거플레이트(200)의 후방으로 삽입하여 접촉시킨 다음,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대(320)의 일측으로 천공된 대형 락핀홀(330)과 소형 락핀홀(340)에 락핀(400)을 삽입하여 클램프(300)를 행거 플레이트(200)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행거플레이트를 필요에 따라 구부리거나 변형을 실행할 경우에 인장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치 플레이트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밖에 없었으며 두께를 두껍게 하려면 제조단가가 상승하며 클램프의 간격 제한으로 인하여 두께도 원하는 만큼 형성할 수 없는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에 구성되는 노치플레이트의 몸체에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 혹은 사선 방향의 힘살을 형성하여 인장력을 높이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힘살을 적어도 한개 이상 중앙부에 형성하여 인장력을 더욱 배가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돌기부 근처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힘살을 형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강화 노치플레이트는,
전산 볼트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삽입공(110)을 형성하고 있는 헤드부(100)와;
세로 방향 혹은 길이 방향 혹은 사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힘살(210)을 형성하고 있는 중앙부(200)와;
상기 헤드부와 중앙부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형성하고 있는 절단홈(300)과;
상기 중앙부 하측에 경사면(410)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끝단부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돌기부(420)를 형성하고 있는 하단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는,
클램프에 구성되는 노치플레이트의 몸체에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 혹은 사선 방향의 힘살을 형성하여 인장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힘살을 적어도 한개 이상 중앙부에 형성하여 인장력을 더욱 배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부 근처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힘살을 형성함으로써, 돌기부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PSC빔에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클램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헤드부
110 : 삽입공
200 : 중앙부
210 : 힘살
300 : 절단홈
400 : 하단부
410 : 경사면
420 : 돌기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는,
전산 볼트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삽입공(110)을 형성하고 있는 헤드부(100)와;
세로 방향 혹은 길이 방향 혹은 사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힘살(210)을 형성하고 있는 중앙부(200)와;
상기 헤드부와 중앙부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형성하고 있는 절단홈(300)과;
상기 중앙부 하측에 경사면(410)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끝단부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돌기부(420)를 형성하고 있는 하단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는,
전산 볼트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삽입공(110)을 형성하고 있는 헤드부(100)와;
세로 방향 혹은 길이 방향 혹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힘살(210)을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하고 있는 중앙부(200)와;
상기 헤드부와 중앙부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형성하고 있는 절단홈(300)과;
상기 중앙부 하측에 경사면(410)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끝단부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돌기부(420)를 형성하고 있는 하단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단부(400)에,
돌기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돌기부 근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살(2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돌기부(420)의,
어느 일측의 높이를 타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강화 노치플레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강화 노치플레이트는,
전산 볼트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삽입공(110)을 형성하고 있는 헤드부(100)와;
세로 방향 혹은 길이 방향 혹은 사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힘살(210)을 형성하고 있는 중앙부(200)와;
상기 헤드부와 중앙부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형성하고 있는 절단홈(300)과;
상기 중앙부 하측에 경사면(410)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끝단부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돌기부(420)를 형성하고 있는 하단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에 구성된 삽입공을 통해 전산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인 노치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세로 방향 혹은 길이 방향 혹은 사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힘살(210)을 형성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의 중앙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힘살(210)을 세로 방향으로 형성하게 된다.(도면에서는 한 개로 도시함.)
또한,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의 중앙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힘살을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의 중앙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힘살을 사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힘살이란 노치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인장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서, 돌출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돌출부를 힘살이라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힘살이 필요한 이유는 노치플레이트가 구부러지거나 하는 경우에 인장력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장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치플레이트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하는데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려면 제조단가가 올라가며 클램프의 간격의 제한으로 인하여 두께도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노치플레이트에 힘살을 구성하여 인장력을 보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돌기부 및 절단홈을 각각 구성함으로써 전산 볼트 혹은 행거 볼트(110)의 체결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전산 볼트 혹은 행거 볼트가 필요없게 되므로 본 발명의 노치 플레이트 하나로 두 개의 클램프에 반드시 필요로 하는 두 개의 행거 플레이트를 하나로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이에 따른 단가가 경제적인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중앙부 하측에 경사면(410)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끝단부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돌기부(420)를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돌기부는 종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게 되는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의 중앙에 종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종래와 같이 락핀에 의해 고정되며 락핀 제거시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홈을 헤드부와 중앙부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형성하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 브라켓과 락핀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출원인이 2008년 11월 20일에 출원한 특허 출원번호 115960호인 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체결형 클램프에 개시된 스프링 클램프에 본 발명의 강화 노치 플레이트가 적용될 경우에 스프링에 의해 락핀을 이격시켰을 경우에 이격 각도가 큰 부위의 노치플레이트(돌기부)의 각도(혹은 높이)를 도 3의 확대도(저면도임)에서 나타내었듯이 높게 형성하여 락핀과 접촉면을 최대한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는,
전산 볼트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삽입공(110)을 형성하고 있는 헤드부(100)와;
세로 방향 혹은 길이 방향 혹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힘살(210)을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하고 있는 중앙부(200)와;
상기 헤드부와 중앙부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형성하고 있는 절단홈(300)과;
상기 중앙부 하측에 경사면(410)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끝단부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돌기부(420)를 형성하고 있는 하단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중앙부에 형성되는 힘살을 하나의 사선 방향으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를 반대 사선방향으로 형성하여 "X"자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세로 방향으로 한 개, 가로 방향으로 한 개와 같이 복수의 힘살을 여러 방향으로 형성하여 인장력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혹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강화 노치플레이트의 하단부(400)에 돌기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돌기부 근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살(210)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의 돌기부 근처에 세로 방향으로 힘살을 구성할 수 있으며, 가로 방향 혹은 사선 방향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클램프에 구성되는 노치플레이트의 몸체에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 혹은 사선 방향의 힘살을 형성하여 인장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힘살을 적어도 한개 이상 중앙부에 형성하여 인장력을 더욱 배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부 근처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힘살을 형성함으로써, 돌기부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 노치플레이트는,
클램프에 구성되는 노치플레이트의 몸체에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 혹은 사선 방향의 힘살을 형성하여 인장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게 거푸집 지지용 클램프 분야에 널리 활용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전산 볼트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삽입공(110)을 형성하고 있는 헤드부(100)와;
    세로 방향 혹은 길이 방향 혹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힘살(210)을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하고 있는 중앙부(200)와;
    상기 헤드부와 중앙부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형성하고 있는 절단홈(300)과;
    상기 중앙부 하측에 경사면(410)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끝단부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돌기부(420)를 형성하고 있는 하단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단부(400)에,
    돌기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돌기부 근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힘살(210)을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420)의 어느 일측의 높이를 타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노치플레이트.
  3. 삭제
  4. 삭제
KR1020090005263A 2009-01-21 2009-01-21 강화 노치플레이트 KR100914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63A KR100914717B1 (ko) 2009-01-21 2009-01-21 강화 노치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63A KR100914717B1 (ko) 2009-01-21 2009-01-21 강화 노치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717B1 true KR100914717B1 (ko) 2009-08-31

Family

ID=4121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263A KR100914717B1 (ko) 2009-01-21 2009-01-21 강화 노치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025B1 (ko) * 2009-02-24 2010-01-06 주식회사 공간이동 스프링 탄성을 이용한 자동 체결형 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890B1 (ko) * 2000-09-01 2003-05-22 이상식 비계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강교 가설방법
KR200347093Y1 (ko) * 2003-12-24 2004-04-09 한국스틸폼주식회사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100737841B1 (ko) * 2007-03-13 2007-07-12 김창수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고정 클램프
KR100792031B1 (ko) * 2006-10-23 2008-01-04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테두리 결속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890B1 (ko) * 2000-09-01 2003-05-22 이상식 비계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강교 가설방법
KR200347093Y1 (ko) * 2003-12-24 2004-04-09 한국스틸폼주식회사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100792031B1 (ko) * 2006-10-23 2008-01-04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테두리 결속용 클램프
KR100737841B1 (ko) * 2007-03-13 2007-07-12 김창수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고정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025B1 (ko) * 2009-02-24 2010-01-06 주식회사 공간이동 스프링 탄성을 이용한 자동 체결형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9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2307943B1 (ko)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435948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100914717B1 (ko) 강화 노치플레이트
JP6068510B2 (ja) デッキプレート支持具とそれを用いたスラブ施工方法
KR101895306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KR100737841B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고정 클램프
KR100894808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120081456A (ko) 거푸집 조립체
KR101927760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KR101074171B1 (ko) 전산 볼트가 필요없는 일체형 복수 노치플레이트
JP2023096614A (ja) 型枠締結具
KR20150039954A (ko) 장선재에 간격 유지부재가 체결되는 거푸집 패널
KR20100001450U (ko) 기둥거푸집용 지지바 고정구
KR20020001480A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170498Y1 (ko) 건축용 횡보설치골조
KR100433700B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100935025B1 (ko) 스프링 탄성을 이용한 자동 체결형 클램프
JP6216683B2 (ja) 橋梁における下部構造物の橋座部材取付構造
KR100915461B1 (ko) 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체결형 클램프
KR200411005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연결장치
KR101548884B1 (ko) 체결부재 풀림방지 장치
KR200347093Y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