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346B1 - 화장용 도포구 - Google Patents

화장용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346B1
KR101099346B1 KR1020040012566A KR20040012566A KR101099346B1 KR 101099346 B1 KR101099346 B1 KR 101099346B1 KR 1020040012566 A KR1020040012566 A KR 1020040012566A KR 20040012566 A KR20040012566 A KR 20040012566A KR 101099346 B1 KR101099346 B1 KR 101099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eating
rubber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801A (ko
Inventor
야마토유이치
구리스겐지
Original Assignee
니시카와고무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카와고무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카와고무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6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27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 B29C44/5654Subdividing foamed articles to obtain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on multipl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5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microw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61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radio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09Cutt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29K2105/043Skinned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Domestic articles
    • B29L2031/7406Sponges; Cleaning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NBR폴리머와 유기과산화물 및 발포제를 사용하여, NBR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성 충전재로서 합성규산류를 1중량부에서 100중량부 첨가하고, 또한 충진재로서 각주(角柱)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경질탄산칼슘을 10중량부에서 200중량부 첨가한 배합고무를 연속압출기(5)에 의해서 압출성형하고, HA가열(6a)에 UHF가열(6b)을 병용함으로써 배합고무 전체를 가열하여 가황발포시켜, 균질한 기포상태의 두꺼운 스폰지(1b)를 작성하고, 이어서 통과로울(7a∼7d)을 통과하고, 얻은 원반(1c)을 재단 또는 펀칭 기(8)에 의해서, 소정형상으로 펀칭 또는/및 재단한 화장용 도포구이다.

Description

화장용 도포구{APPLICATOR FOR COSMETICS}
도 1은 제 1∼제 6 발명에 있어서의 고무발포재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압출재료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압출재료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압출재료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제 1, 제 7∼제 10 발명에 있어서의 스폰지퍼프를 제조하는 제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원반 및 스폰지퍼프에서 퍼프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폰지퍼프를 전자현미경으로 보았을 때의 모식도로, (A), (B), (C)는 각각 다른 기포의 균질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합고무 1a : 압출재료
1b : 가황고무, 두꺼운 스폰지 1c : 원반
2 : 소재 3 : 소재
4a∼4e : 스폰지퍼프 5 : 연속압출기
6 : 가교설비 6a : HA
6b : UHF 7a∼7d : 통과로울
8 : 재단 또는 타발기(打拔機)
본 발명은 사람의 피부표면에 화장품이나 화장수를 도포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장용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도포구란, 사람의 피부표면에 화장품이나 화장수를 도포하기 위한 도구이고, 화장용 스폰지퍼프, 아이섀도우 칩, 패팅 스폰지, 립스틱 도포구, 볼연지 도포구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화장용 도포구, 특히 화장용 스폰지퍼프에 사용되는 고무발포재로서, 통상,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3원공중합고무 (EPDM), 우레탄고무, 실리콘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장용 스폰지퍼프 등에 사용되는 고발포의 고무발포재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고무와 발포제, 가교제 등을 뒤섞은 혼합물을 금형내에 충전하고, 가압하에서 이것을 가열한 후, 압력을 제거하여 발포재를 얻는 방법, 고무라텍스에 가교제를 가하여 기계적으로 교반하여 기포를 내고, 이것을 금형내에 주입하여 가열하 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배치(batch)제조이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화장용 스폰지퍼프로서는, 고무라텍스 배합물을 기계적으로 발포하여 가황시키는 라텍스폼 퍼프가 있지만, 연속기포체에 제한되는 것, 제품근사의 통형상 금형이 다량으로 필요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고형고무에 발포제 등을 첨가하여, 금형내에 충전하고, 가압가열하여 발포재를 얻는 독립기포 스폰지퍼프가 있지만, 금형으로부터 추출한 고무시트를 제품근사형상으로 타발(打拔)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재료손실이 크고, 배치생산으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과제가 있다.
용매를 포함하는 우레탄 수지조성물을 압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기화시켜, 기포를 형성하는 우레탄 스폰지퍼프가 있지만 재료손실이 크고, 용매회수 등의 부하가 크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라텍스폼 퍼프, 독립기포 스폰지퍼프, 우레탄 스폰지퍼프 및 그 밖의 재료와의 복합품도 있지만, 복층성형이 어렵고, 후가공 등의 공정수가 많아지는 등의 과제가 있다.
또한, 화장품의 일종인 파운데이션에는, 파우더형과 리퀴드형이 있다. 파우더 파운데이션은 안료 등을 파라핀오일 등으로 굳힌 것이고, 또한 리퀴드 파운데이션은 안료 등의 고형물을 물이나 실리콘오일에 분산시킨 액체형상의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더 파운데이션에 사용하는 스폰지퍼프는, NBR(니트릴고무)이나 우레탄고무의 연속기포체로 만들고, 그 중에서도 NBR제 연속기포체인 것은, 라 텍스에 기계적으로 공기를 혼입시켜 발포시킨 것으로, 기포상태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흡수율은 500% 이상이다. 이 연속기포의 스폰지퍼프를 리퀴드타입 파운데이션에 사용해 보면, 퍼프에 파운데이션이 스며들어, 피부에 리퀴드 파운데이션이 부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실용상 리퀴드 파운데이션에는 적합하지 않다.
리퀴드 파운데이션에 사용하는 스폰지퍼프에는, 실리콘고무나 EPDM (에틸렌프로필렌고무)의 독립기포체의 스폰지퍼프와, 연속기포 스폰지에 피막을 붙인 스폰지퍼프 등이 있다. 독립기포 스폰지퍼프는, 프레스로 가열가압상태에서 발포시킨 것으로, 100㎛ 이하의 작은 기포로 이루어지고, 열반(熱盤)으로부터 열을 부여받기 때문에, 원반(原反)두께 30mm 이상은 제조 불가능하다. 흡수율 5% 이하이지만, 독립기포의 독특한 탄성감에 의해 감촉이 나쁘고, 또한 파우더 파운데이션에 사용하면, 기포가 작기 때문에, 파우더 파운데이션을 쓰기 어렵고, 또한 피부 위에서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실용상 파우더타입 파운데이션에는 적합하지 않다.
리퀴드타입 파운데이션에 사용하는 스폰지퍼프로, 연속기포 스폰지에 피막을 붙인 것은, 라텍스폼에 피막을 붙여 만들기 때문에, 기포의 외관이 찌그러져 있고, 사용시에 피막이 없는 측면으로부터 액체가 스며들어 손이 더러워지거나 액체가 안에 고여 비위생이거나, 또한 피막부가 뻣뻣해지거나 미끄러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연속압출가교발포에 의해, 생산성이 뛰어난 화장용 도포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더 파운데이션과, 리퀴드 파운데이션의 쌍방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용 도포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에 관한 화장용 도포구는, 배합고무를 소정형상으로 압출성형하고, 이것을 가열하고, 가황 또는 가교함에 의해 도포구 기재를 형성하고, 소정형상으로 타발(打拔) 또는/및 재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2 발명에 관한 화장용 도포구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2종의 배합고무를 일체로 복층(複層)으로 압출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3 발명에 관한 화장용 도포구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배합고무가 극성기를 가지는 폴리머를 주원료로 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4 발명에 관한 화장용 도포구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극성기를 가지는 폴리머가 NBR이고, 또한 NBR폴리머에 포함되는 아크릴로니트릴량이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5 발명에 관한 화장용 도포구는, 제 1∼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배합고무를 소정형상으로 압출성형하고, 마이크로파조사에 의해 가열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6 발명에 관한 화장용 도포구는, 제 1∼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화장용 도포구가 화장용 스폰지퍼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3 발명에 있어서 극성기를 갖는 폴리머를 원료로 하는 고무조성물은, (A)극성기함유 폴리머를 30∼100질량% 함유하는 폴리머 100질량부, (B)유기발포제 1∼ 30질량부, (C)가교제로서 유황 0.1∼5질량부 또는/및 유기과산화물 0.1∼10질량부로 이루어지고, 유기과산화물을 이용한 경우, 유기발포제(B)의 분해온도 T1과 유기과산화물(C)의 1분반감기온도 T2의 관계가 -20℃ ≤(T1-T2) ≤+30℃인 고무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A)의 극성기함유 폴리머는 NBR이 바람직하다. 유기발포제(B)의 분해온도 T1은 100∼210℃가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는 내금속(耐金屬)이온성 등으로부터 유기과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유기과산화물(C)의 1분반감기온도 T2는 100∼210℃가 바람직하다.
폴리머(A)는, 폴리머(A) 전량에 대하여 극성기함유 폴리머를 30∼100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50∼100중량%이다. 30중량% 미만이면, 마이크로파에 의한 충분한 발열이 얻어지지 않고, 균질하고 또한 충분한 발포, 가교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 극성기함유 폴리머 이외에 가하는 폴리머는 한정되지 않는다.
극성기함유 폴리머로서는, 분자내에 극성기를 갖는 것이다. 해당 극성기로서는 예를 들면 산소원자, 질소원자, 또는 유황원자 등을 갖는 관능기이고, 시아노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아미드기, 아세틸기, 에스테르기, 술폰기, 메르캅토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극성기를 갖는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고무, 아크릴고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 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불소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의 극성기함유 폴리머는 2종 이상의 블렌드물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중에서도, 극성의 크기, 내유성, 내마모성 등에 있어서 특징이 있는 NBR이 바람직하다.
유기발포제(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조디카르본아미드, 4,4'-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p-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 p-톨루엔술포닐아세톤히드라존, 히드라진카르본아미드, 아조비스이조부티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또, 납이나 아연화합물, 요소나 아민화합물, 그 외 염기성화합물 등의 발포조제(發泡助劑)는 상기 유기발포제의 분해온도를 제어하는 목적으로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유기발포제는 2종 이상 블렌드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 등의 무기발포제와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기발포제(B)의 함유량은, 폴리머(A) 100중량부에 대해서 1∼30중량부이다. 유기발포제(B)의 함유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발포도가 얻어지지 않아, 딱딱하고, 원하는 탄성이 얻어지지 않고, 또한 30중량부를 넘으면, 발포과다가 되어, 성형시에 갈라짐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유기발포제의 분해온도 T1은 10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 미만에서는, 가공시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고, 210℃를 넘으면 균질하고 또한 충분한 발포도가 얻어지기 어렵다.
유기과산화물(C)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테아로일퍼옥사 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4-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1,1-비스 (t-부틸퍼옥시)2-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헥실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t-헥실퍼옥시이소프로필모노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말레인산, t-부틸퍼옥시라우레이트,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모노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 2-에틸헥실모노카보네이트, t-헥실퍼옥시벤조에이트,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n-부틸-4,4-비스 (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디-t-부틸퍼옥시이소프탈레이트, α,α'비스(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 디쿠밀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t-부틸쿠밀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과산화물은, 2종 이상 블렌드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기과산화물(C)의 함유량은, 폴리머(A)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이다. 유기과산화물(C)의 함유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가교를 얻을 수 없어, 탄성이 떨어지거나, 물성강도 등의 제품특성이 취약한 것으로 되고, 또한 10중량부를 넘으면, 가교과다가 되어, 성형시에 갈라짐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유기과산화물의 1분반감기온도 T2는 100∼210℃가 바람직하다. 100℃ 미만에서는, 가공시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210℃를 넘으면, 균질하고 또한 충분한 발포, 가교도를 얻기 어렵다.
또한 상기(A)∼(C) 이외에도, 통상 실시되고 있는 각종 배합제, 예를 들면, 노화방지제, 빛안정제, UV흡수제, 가공조제, 윤활제, 연화제, 가소제, 탈수제, 안료, 무기충전제, 가교조제, 및 가교촉진제 등을 가할 수 있다.
무기충전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마이카, 크소노트라이트(xonotlite), 침강성 황산바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충전제의 입자지름으로서는, 균질한 발포를 얻기 위해서, 평균입자지름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성분, 배합제의 첨가, 혼합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오픈로울, 벤버리믹서, 가압식 니더, 인터믹서, 압출기 등의 통상의 수지, 고무 뒤섞기에 적용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고무조성물의 발포방법으로서는, 기존의 상압(常壓)발포법, 형내(型內)발포법, 가압발포법(프레스발포법) 등 어느 것이나 적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고무조성물을 소정형상으로 압출성형하고, 이것을 가열하고, 가교함에 의해 발포시키는 방법이 적합하다. 가열하는 방법으로서는, 열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적외선 히터를 구비한 가열로에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이나, 용융염이나 가열한 글라스비즈를 채운 욕조내를 통과시키는 방법 등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파조사에 의해 압출한 고무조성물을 내부로부터 가열하여, 가교, 발포시키는 방법이 적합하다. 또한, 가열은 이들 복수의 방법을 병용할 수도 있다.
화장용 도포구의 제조방법의 별도의 형태로서, 적어도 2종의 배합고무를 일체로 복층으로 압출성형하고, 이것을 가열하여, 가교, 발포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고무조성물은, 발포가능한 고무조성물끼리더라도, 혹은 통상 의 비발포성 고무조성물과의 조합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비발포성 고무조성물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장용 도포구의 제조방법의 별도의 형태로서, 고무조성물을 소정형상으로 압출성형하고, 이것을 가열하고, 가교함에 의해 연속발포체를 형성하고, 이것을 소정형상으로 타발 또는/및 재단하여 이루어지는 고무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연속성형가능한 압출단면을 주사용면으로 하는 큰 단면으로 압출성형하고, 타발 또는/및 재단함에 의해 효율적으로 화장용 도포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제 6 발명은, 다량의 금형없이(이형구금(異形口金)만), 기본형상의 변경이 용이하고, 또한 의장성을 가진 복층재료의 동시성형이 가능하다. 또한, 대폭적인 재료손실과 성형공정수의 저감이 가능하고, 염가인 제품이 된다. 또한, 배합∼성형조건의 변량과 후가공에 의해, 적용하는 화장재료에 적합한 광범위한 기포구조(독립기포∼반연속기포, 연속기포), 기포지름, 경도를 갖는 것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구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선택에 의해,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구형상 수지융착 등을 사용한 표면개질이 가능하다.
제 1∼제 6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배합고무를 표층부도 중심부도 균일하게 가열할 수가 있고, 따라서 큰 단면이라도 균일한 기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압출성형으로 생산가능하므로, 스폰지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가 있어, 염가로 화장용 도포구를 제조할 수가 있다.
단면이 큰 스폰지막대를 제조하기 위해서, 제품을 제조할 때, 단면방향으로 재단할 수가 있다. 가공시에 폐각하는 부분도, 측면의 스킨면을 소량 제거하는 것 만으로, 발생하는 쓰레기도 적어 환경에 대한 부하도 작다.
또한, 가황성형 후 통과로울을 걸어, 독립기포의 일부와 연통화(連通化)시킴으로서 감촉성을 높일 수 있다.
제 7 발명에 관한 화장용 도포구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NBR폴리머와 유기과산화물 및 발포제를 사용하고, NBR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성 충전재로서 합성규산류를 1중량부에서 100중량부 첨가하고, HA가열에 UHF가열을 병용함으로써 배합고무 전체를 가열하여 가황발포시켜, 균질한 기포상태의 두꺼운 스폰지를 작성하고, 이어서 통과로울을 통과시켜, 얻은 원반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8 발명에 관한 화장용 도포구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NBR폴리머와 유기과산화물 및 발포제를 사용하고, NBR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충전재로서 각주(角柱)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경질탄산칼슘을 10중량부에서 200중량부 첨가하고, HA가열에 UHF가열을 병용함으로써 배합고무 전체를 가열하여 가황발포시켜, 균질한 기포상태의 두꺼운 스폰지를 작성하고, 이어서 통과로울을 통과시켜, 얻은 원반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9 발명에 관한 화장용 도포구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NBR폴리머와 유기과산화물 및 발포제를 사용하고, NBR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성 충전재로서 합성규산류를 1중량부에서 100중량부 첨가하고, 또한, 충전재로서 각주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경질탄산칼슘을 10중량부에서 200중량부 첨가하고, HA가열에 UHF가열을 병용함으로써 배합고무 전체를 가열하여 가황발포시켜, 균질한 기포상태 의 두꺼운 스폰지를 작성하고, 이어서 통과로울을 통과시켜, 얻은 원반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0 발명에 관한 화장용 도포구는, 제 7∼제 9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화장용 도포구가 화장용 스폰지퍼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파우더 파운데이션과 리퀴드 파운데이션의 쌍방에 내팽윤성을 가지는 NBR을 기재로서 선정하였다.
또한, 미리 가교제·발포제를 이겨 넣고, 가열시에 동시에 가교/발포시킴으로써, 셀판보다 입자가 거친 스폰지를 형성 가능한 미라블(millable)타입 NBR을 사용하였다.
또한, 가황/발포후에 통과로울을 통과시켰다. 통과로울의 가감으로 연속기포/독립기포의 컨트롤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NBR 100중량부에 대하여, 합성규산류를 1중량부에서 100중량부 첨가함으로써, 통과로울시의 연통성을 높일 수 있었다.
UHF(Ultra High Frequency: 마이크로파)에 의한 고무의 가열을 채용하였다. 그리고 UHF 단독 또는 HA(Hot Air: 열풍) 병용에 의해 내부도 외부도 열이력을 균일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기포상태의 두꺼운 스폰지를 작성가능하게 되었다. EPDM(에틸렌프로필렌고무)·실리콘고무 등은 백색품의 UHF발열이 어렵게 되어 있지만, NBR에서는 가능한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프리발포로 하기 위해서는, 압출예비성형하여, 배합고무 내부상태를 균일하게 하는 것(에어내포 없음)이 필요하다. 여기서, 가열하여 가황발포시킬 때는 텐션을 걸지 않고 프리발포시키더라도 좋고, 텐션을 걸면서 발포시키더라도 좋다.
유황가교계가 아니라 유기과산화물에 의한 가교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사용중의 금속이온에 의한 변색을 저감할 수 있었다.
NBR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티타늄 25중량부 이상 첨가하여, 열노화방지제와 병용함에 의해 내구성(내광성, 내열성)을 높일 수 있었다.
가교제는 저온분해형과 고온분해형 과산화물 2가지를 병용함으로써, 최적의 가황과 발포 타이밍을 얻을 수 있었다.
합성규산류의 첨가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통과로울의 연과성이 나빠, 연속작업을 할 수 없다. 또한, 합성규산류의 첨가량이 100중량부를 넘으면, 화장용 도포구의 경도가 현저히 상승하여, 화장용 도포구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않는다. 또한, 통과로울의 연통성을 더욱 좋게 하고, 또한, 화장용 도포구에 적당한 경도를 갖게 한다고 하는 바람직한 합성규산류의 첨가량은 3∼10중량부이다.
합성규산류에 대해서 설명한다. 합성규산류에는, 합성규산과 합성규산염이 있다. 합성규산에는 무수규산과 함수규산이 있다. 합성규산염에는, 함수규산칼슘과 함수규산알루미늄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인 통과로울의 연통성향상을 위해서는, 합성규산류이면 특히 입자형태나 무수·함수 등의 종류는 상관없지만, 경제적으로 손에 넣기 쉽기 때문에, 함수규산이 바람직하다. 함수규산의 일례로서, 후술의 실시예에 기재하고 있는 닙시일 VN3을 들 수 있다.
각주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경질탄산칼슘에 대해서 설명한다. 경질탄산칼슘에는, 중량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이 있다. 경질탄산칼슘에는, 각주형상의 입 자형태를 가지는 것과, 방추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것이 있다. NBR에 충전재로서, 중질탄산칼슘이나 방추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경질탄산칼슘을 첨가한 경우는, 기포의 균질도가 나쁘고, 각주형상의 입자형태를 갖는 경질탄산칼슘을 첨가한 경우는, 기포의 균질도가 좋다. 중질탄산칼슘의 일례로서, 노베라이트 A를 들 수 있다. 방추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경질탄산칼슘의 일례로서, 백염화 CC를 들 수 있다. 각주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경질탄산칼슘의 일례로서 타마팔 TP-123을 들 수 있다.
제 8∼제 10 발명에 있어서는, 각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경질탄산칼슘 중에서도, 평균입자지름이 0.1∼0.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7, 제 9 및 제 10 발명에 관한 화장용 도포구는, NBR폴리머와 유기과산화물 및 발포제를 사용하고, NBR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합성규산류를 1중량부에서 100중량부 첨가하고, HA가열에 UHF가열을 병용함으로써 배합고무 전체를 가열하여 가황발포시켜, 균질한 기포상태의 두꺼운 스폰지를 작성하고, 이어서 통과로울을 통과시켜, 얻은 원반을 잘라내는 것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7∼제 10 발명의 실시품은, NBR폴리머와 유기과산화물 및 발포제를 사용하고, NBR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성 충전재로서 합성규산류를 1중량부에서 100중량부 첨가하거나, 또는/및 충전재로서 각주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경질탄산칼슘을 10중량부에서 200중량부 첨가하고, HA가열에 UHF가열을 병용함으로써 배합고무 전체를 가열하여 가황발포시켜, 균질한 기포상태의 두꺼운 스폰지를 작성하고, 이어서 통과로울을 통과시켜, 얻은 원반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이기 때문에, 독립기포와 연속기포의 중간에 있는 기포구조(흡수율 5%∼500%)로, 액체가 스며들기 어려워 감촉은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제 7∼제 10 발명의 실시예는 독립기포 도포구(=셀판)보다도 기포가 거칠고(〉100㎛) 또한 기포가 거의 균일하고 두꺼운 스폰지원반(30mm 이상)의 작성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
도 1∼도 4는 제 1∼제 6 발명을 나타내고, 5는 연속압출기, 6은 가교설비로 가열·가황을 하는 것이다. 8은 재단 또는 타발기, 1은 배합고무, 1a는 압출재료, 1b는 가황발포고무이고, 복수의 소재(2,3)가 함께 압출되는 경우도 있다. 단일소재일 때는 제품(4a)이 되고, 복수의 소재(2,3)일 때는 제품(4b)이 된다.
도 5∼도 7은, 제 1, 제 7∼제 10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5에 있어서, 5는 연속압출기, 6a는 HA, 6b는 UHF, 7a∼7e는 통과로울, 8은 재단 또는 타발기이다. 배합고무(1)는 연속압출기(5)에서 압출되어 압출재료(1a)가 되고, HA(6a)에서 외부가열되면서, UHF(6b)에서 내부가열되어, 가황발포고무(1b)가 되고, 통과로울(7a∼7e)에서 압연되어, 원반(1c)이 되어 재단 또는 타발기(8)로 잘려져서 스폰지퍼프(4c)가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 1∼제 6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하는 NBR폴리머의 품명과 그 아크릴로니트릴량(%)과 가황 또는 가교품의 색조관계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품명 주식회사 아크릴로니트릴량 ΔE 색조
N220S JSR(주) 41 13.18 갈색
N230S JSR(주) 35 6.37 황갈색
N240S JSR(주) 26 1.35 크림색
N250S JSR(주) 20 0 크림색
주: ΔE는 N250S를 기준으로 한 색조를 나타낸다.
사용하는 NBR폴리머의 아크릴로니트릴량이 30%를 넘으면, 가황 또는 가교품의 색조가 황갈색이나 갈색이 되어, 그대로는 눈으로 보아 더러운 색이 되고, 안료를 첨가하여 착색시키더라도 눈으로 보아 더러운 색이 남는다.
사용하는 NBR폴리머의 아크릴로니트릴량이 5% 미만이면, 얻어진 NBR의 내유성은 낮아지고, 화장용 도포구로서 실용상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에 의해, 사용하는 NBR폴리머의 아크릴로니트릴량은 5%∼30%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실용상 문제없는 레벨에서의 충분한 내유성을 갖고, 가황 또는 가교품의 색조는 크림색 등의 흰색을 띤 빛깔이 되어, 그대로도 눈으로 보아 깨끗하고, 안료를 첨가하여 착색시키더라도 눈으로 보아 아름다운 색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1]
<배합> 제조회사
N230SL(폴리머; NBR) JSR(주) 100
스테아린산 일본유지(주) 1
노베라이트 A(탄산칼슘) 닛토분화공업(주) 60
R650(산화티타늄) 사카이화학(주) 10
DIDP(가소제) 교와발효(주) 10
퍼헥사 3M-40(유기과산화물, 가교제) 일본유지(주) 3.0
네오셀본 N1000S (발포제) 에이와가세이(주) 5.0
VESTA-18(탈수제) 이노우에석회공업(주) 5.0
<예비성형>
φ50 고무압출기로 토출(吐出).
단면: 85 ×25(mm)
길이: 150(mm)
<가황·발포>
HA: 200℃
UHF: 0.5kw
가열시간: 3분 30초
<스폰지 특징>
발포품 치수: 70 ×45 ×230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발포품에 대하여, 2개의 로울간격을 10mm로 설정하고, 스폰지를 통과하면서 서서히 로울간격을 좁혀가서, 스폰지가 눌려 찌그러지기 직전이라고 판단한 시점에서 통과로울을 종료하였다.
상기에 의해 독립한 기포의 일부를 파괴한 후의 흡수율은 83%이었다.
표 2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항목 본 발명
스폰지퍼프
본 발명
스폰지퍼프
라텍스
스폰지퍼프
EPDM 독립기포
스폰지퍼프
기포구조 반연속포
(흡수율 12%)
반연속포
(흡수율 85%)
연속포만 독립포만
외관밀도(g/㎤) 0.19 0.18 0.1∼0.2 0.1∼0.2
25% 압축하중
(kPa)
28 10 5∼10 20∼25
인장강도(kPa) 400 380 60∼100 300∼500
신장(%) 350 360 200∼300 300∼500
내광성
Figure 112004007714298-pat00001
Figure 112004007714298-pat00002
Figure 112004007714298-pat00003
Figure 112004007714298-pat00004
Figure 112004007714298-pat00005
Figure 112004007714298-pat00006
Figure 112004007714298-pat00007
내금속이온성
Figure 112004007714298-pat00008
Figure 112004007714298-pat00009
Figure 112004007714298-pat00010
Figure 112004007714298-pat00011
Figure 112004007714298-pat00012
화장성·감촉
Figure 112004007714298-pat00013
Figure 112004007714298-pat00014
Figure 112004007714298-pat00015
Figure 112004007714298-pat00016
Figure 112004007714298-pat00017
Figure 112004007714298-pat00018
내유성
Figure 112004007714298-pat00019
Figure 112004007714298-pat00020
Figure 112004007714298-pat00021
Figure 112004007714298-pat00022
표 1 중,
Figure 112004007714298-pat00023
= 양호,
Figure 112004007714298-pat00024
= 가능,
Figure 112004007714298-pat00025
= 불가능이다.
내광성, 내금속이온성은 색조변화로 평가하였다.
제 8∼제 11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고무의 배합은 표 3과 같다.
표 3
품명 주식회사 중량부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3
비교예
4
NBR폴리머
N240S *1
JSR(주)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린산 니혼유지(주) 1 1 1 1 1
PEG#4000 니혼유지(주) 1 1 1 1 1
닙시일 VN3 *2 니혼실리카고교(주) 5 0 5 0 0
노베라이트 A 닛토분카고교(주) 72 0 0 72 0
타마팔 TP-123 오쿠다마고교(주) 0 72 72 0 0
백염화 CC 시로이시고교(주) 0 0 0 0 72
R-650 사카이카가쿠(주) 26 26 26 26 26
노클락 NS30 다이우치신코카가쿠
고교(주)
1 1 1 1 1
DIDP 교와발효(주) 20 20 20 20 20
나이퍼 BW *3 니혼유지(주) 2.5 2.5 2.5 2.5 2.5
퍼헥사 25B-40 *4 니혼유지(주) 2.5 2.5 2.5 2.5 2.5
네오셀본 N1000S *5 에이와가세이(주) 5.0 5.0 5.0 5.0 5.0
VESTA-18 이노우에석회고교(주) 5.0 5.0 5.0 5.0 5.0
주) *1 : NBR폴리머
*2 : 백색충전재
*3 : 저온형 가교제
*4 : 고온형 가교제
*5 : 발포제
표 3의 배합고무를 φ50 고무압출기로 압출하고, 단면 = 30 ×25mm, 길이 = 150mm의 미가황고무 기둥형상체를 만들었다.
상기 미가황고무 기둥형상체를 HA온도: 200℃; UHF출력: 0.5kw; 프리상태에서 가열가황발포시켜, 치수 = 70 ×45 ×230mm의 가황스폰지고무 기둥형상체를 만들었다.
상기 가황스폰지고무 기둥형상체를, 3mm 간격의 2축로울 사이에 n회 통과시켜, 전체를 균일하게 연통화(連通化)하여, 스폰지고무 원반을 만들었다.
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3, 4, 5의 스폰지고무 원반과 비교예 3, 4의 스폰지고무 원반과 종래의 라텍스(Lx 퍼프)(비교예 5) 및 단기포퍼프(비교예 6)의 비교는, 표 4와 같다. 실시예 3, 4, 5와 비교예 3, 4의 제조조건은, 통과로울 회수 n 이외는 동일하게 하였다.
표 4
항목 단위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Lx 퍼프
비교예 6
단기포퍼프
통과로울
회수
회수 5 20 5 20 20 - -
흡수율 % 370 290 450 300 300 500∼600 3∼5
외관밀도 g/㎤ 0.17 0.16 0.16 0.16 0.16 0.1∼0.2 0.1∼0.3
25%압축하중 kPa 21 17 19 18 20 5∼10 20∼25
인장강도 kPa 420 310 450 300 330 60∼100 300∼500
신장 % 300 290 310 300 320 200∼300 300∼500
내광성 -
Figure 112004007714298-pat00026
Figure 112004007714298-pat00027
Figure 112004007714298-pat00028
Figure 112004007714298-pat00029
Figure 112004007714298-pat00030
Figure 112004007714298-pat00031
Figure 112004007714298-pat00032
Figure 112004007714298-pat00033
Figure 112004007714298-pat00034
Figure 112004007714298-pat00035
Figure 112004007714298-pat00036
Figure 112004007714298-pat00037
Figure 112004007714298-pat00038
내금속
이온성
-
Figure 112004007714298-pat00039
Figure 112004007714298-pat00040
Figure 112004007714298-pat00041
Figure 112004007714298-pat00042
Figure 112004007714298-pat00043
Figure 112004007714298-pat00044
Figure 112004007714298-pat00045
Figure 112004007714298-pat00046
내유성 -
Figure 112004007714298-pat00047
Figure 112004007714298-pat00048
Figure 112004007714298-pat00049
Figure 112004007714298-pat00050
Figure 112004007714298-pat00051
Figure 112004007714298-pat00052
Figure 112004007714298-pat00053
화장성 -
Figure 112004007714298-pat00054
Figure 112004007714298-pat00055
Figure 112004007714298-pat00056
Figure 112004007714298-pat00057
Figure 112004007714298-pat00058
Figure 112004007714298-pat00059
Figure 112004007714298-pat00060
Figure 112004007714298-pat00061
Figure 112004007714298-pat00062
Figure 112004007714298-pat00063
Figure 112004007714298-pat00064
Figure 112004007714298-pat00065
Figure 112004007714298-pat00066
통과로울
연통성
-
Figure 112004007714298-pat00067
Figure 112004007714298-pat00068
Figure 112004007714298-pat00069
Figure 112004007714298-pat00070
Figure 112004007714298-pat00071
-
Figure 112004007714298-pat00072
기포의
균질성
-
Figure 112004007714298-pat00073
Figure 112004007714298-pat00074
Figure 112004007714298-pat00075
Figure 112004007714298-pat00076
Figure 112004007714298-pat00077
Figure 112004007714298-pat00078
Figure 112004007714298-pat00079

내광성, 내금속이온성, 내유성, 화장성에 있어서,
Figure 112004007714298-pat00080
= 양호;
Figure 112004007714298-pat00081
= 가능;
Figure 112004007714298-pat00082
= 불가능이다.
표 4에 있어서, 통과로울 회수가 1∼15회의 통과로울 연통성을
Figure 112004007714298-pat00083
로 표시하고, 15∼30회의 통과로울 연통성을
Figure 112004007714298-pat00084
로 표시하고, 기재가 찢어지는 등의 현상을 발생하여, 통과로울 불가능한 것은
Figure 112004007714298-pat00085
로 표시하였다.
표 4에 있어서, 기포의 균질도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스폰지고무를 전자현미경으로 보았을 때, 중심부의 기포지름이 300㎛, 또한 바깥둘레부의 기포지름이 500㎛인 것을
Figure 112004007714298-pat00086
로 표시하였다(도 7(A)).
Figure 112004007714298-pat00087
는, 평균적으로 존재하는 기포지름에 대하여, 거의 모든 기포지름이 3배 이내에 들어가, 화장에 사용하기에 최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중심부의 기포지름이 200㎛, 또한 바깥둘레부의 기포지름이 700㎛인 것을
Figure 112004007714298-pat00088
로 표시하였다(도 7(B)).
Figure 112004007714298-pat00089
는 평균적으로 존재하는 기포지름에 대하여, 3 배 이상의 기포지름이 많이 존재하지만, 화장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중심부의 기포지름이 200∼300㎛이고, 또한 바깥둘레부의 기포지름이 3000∼5000㎛인 것(도 7(C))은, 평균적으로 존재하는 기포지름에 대하여, 10배 이상의 기포지름인 것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화장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
표 4로부터, 본 발명품은 파우더 파운데이션 및 리퀴드 파운데이션의 양쪽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속압출가교발포에 의해, 생산성이 뛰어나고, 또한 파우더 파운데이션과, 리퀴드 파운데이션의 쌍방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용 도포구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NBR폴리머와 유기과산화물 및 발포제를 사용하고, NBR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성 충전재로서 합성규산류를 1중량부에서 100중량부 첨가하고, HA가열에 UHF가열을 병용함으로써 배합고무 전체를 가열하여 가황발포시켜, 균질한 기포상태의 두꺼운 스폰지를 작성하고, 이어서 통과로울을 통과시켜, 얻은 원반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2. NBR폴리머와 유기과산화물 및 발포제를 사용하고, NBR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충전재로서 각주(角柱)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경질탄산칼슘을 10중량부에서 200중량부 첨가하고, HA가열에 UHF가열을 병용함으로써 배합고무 전체를 가열하여 가황발포시켜, 균질한 기포상태의 두꺼운 스폰지를 작성하고, 이어서 통과로울을 통과시켜, 얻은 원반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3. NBR폴리머와 유기과산화물 및 발포제를 사용하고, NBR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강성 충진재로서 합성규산류를 1중량부에서 100중량부 첨가하고, 또한, 충전재로서 각주형상의 입자형태를 가지는 경질탄산칼슘을 10중량부에서 200중량부 첨가하고, HA가열에 UHF가열을 병용함으로써 배합고무 전체를 가열하여 가황발포시켜, 균질한 기포상태의 두꺼운 스폰지를 작성하고, 이어서 통과로울을 통과시켜, 얻은 원반을 잘라내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용 도포구가 화장용 스폰지퍼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40012566A 2003-02-26 2004-02-25 화장용 도포구 KR101099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48851 2003-02-26
JPJP-P-2003-00048851 2003-02-26
JP2003084614 2003-03-26
JPJP-P-2003-00084614 2003-03-26
JPJP-P-2003-00426657 2003-12-24
JP2003426657A JP2004275743A (ja) 2003-02-26 2003-12-24 化粧用塗布具
JP2003430054A JP4163100B2 (ja) 2003-02-26 2003-12-25 化粧用塗布具
JPJP-P-2003-00430054 2003-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801A KR20040076801A (ko) 2004-09-03
KR101099346B1 true KR101099346B1 (ko) 2011-12-26

Family

ID=3287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566A KR101099346B1 (ko) 2003-02-26 2004-02-25 화장용 도포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40166303A1 (ko)
JP (2) JP2004275743A (ko)
KR (1) KR101099346B1 (ko)
CN (1) CN100512712C (ko)
FR (1) FR2851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1382C (zh) * 2004-09-23 2008-06-04 许智浚 一种多色粉扑的制造方法
JP4799896B2 (ja) * 2005-04-12 2011-10-26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化粧用スポンジパフ
JP5172221B2 (ja) * 2006-07-07 2013-03-27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化粧用スポンジパフの製造方法
JP5176138B2 (ja) * 2008-04-08 2013-04-03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スポンジゴム
JP4523984B2 (ja) * 2008-11-13 2010-08-11 大王製紙株式会社 耐溶剤性に優れた塗工紙
JP5559572B2 (ja) * 2010-03-08 2014-07-23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粘土状造形材料およびその架橋方法
JP4872016B1 (ja) * 2010-10-20 2012-02-08 株式会社イノアック技術研究所 化粧用塗布具
EP3093311B1 (en) * 2014-01-09 2019-08-14 Taiki Corp., Ltd. Rubber latex elastic foam body
US20170319440A1 (en) * 2014-10-22 2017-11-09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latex foam
KR101882197B1 (ko) * 2014-12-22 2018-07-26 (주)에스엔피월드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용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스폰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23103B1 (ko) * 2015-04-30 2021-11-1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전달력이 개선된 도포구
CN108276623A (zh) * 2018-02-28 2018-07-13 江门球牌化妆用品有限公司 一种nbr材料气垫海绵及其制造方法
CN108864489A (zh) * 2018-08-21 2018-11-23 珠海水丝新材料有限公司 一种网格状加强凝胶海绵膜体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7662A (en) * 1940-12-23 1943-04-27 Charles E Zimmerman Cosmetic applicator
US3803274A (en) * 1969-05-15 1974-04-09 K Nakashima Process for manufacturing foamed elastomeric materials having an interior foamed cellular structure covered with a non-foamed skin layer
US4061693A (en) * 1976-04-26 1977-12-06 Nippon Zeon Co. Ltd. Resin composition
DE2837117A1 (de) * 1977-08-30 1979-03-15 Shinetsu Chemical Co Gummizusammenstellung
NL7905944A (nl) * 1979-08-02 1981-02-04 Unilever Emery Werkwijze voor het vulcaniseren in het ultrahoog- frequent veld van een rubbermengsel dat de gebruike- lijke vulcanisatiemiddelen en toevoegsels bevat.
JPS6173607A (ja) * 1984-09-20 1986-04-15 株式会社資生堂 化粧用パフ
JPS62179404A (ja) * 1986-02-01 1987-08-06 雪ケ谷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用塗布具
JPS62246312A (ja) * 1986-04-21 1987-10-27 中村 憲司 化粧用塗布具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983685A (en) * 1986-06-10 1991-01-0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thods for production of crosslinked rubber products
JPH0657777B2 (ja) * 1988-03-31 1994-08-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ゴム組成物
JPH053157Y2 (ko) * 1988-08-19 1993-01-26
JPH0365507U (ko) * 1989-10-31 1991-06-26
JPH04224831A (ja) * 1990-12-27 1992-08-14 Kinugawa Rubber Ind Co Ltd ゴム発泡体の製造方法
JPH0542554A (ja) * 1991-08-09 1993-02-2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ゴムの成形方法
JPH085989B2 (ja) * 1992-07-10 1996-01-24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パフ用基材の製造方法
JPH07114726B2 (ja) * 1993-03-31 1995-12-13 日本パフ株式会社 化粧用スポンジパフ
US5883144A (en) * 1994-09-19 1999-03-16 Sentinel Products Corp. Silane-grafted materials for solid and foam applications
JP3493079B2 (ja) * 1995-06-19 2004-02-03 東燃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微多孔膜の製造方法
FR2759262B1 (fr) * 1997-02-13 1999-03-19 Oreal Ensemble d'application pour produit de type rouge a levres
JPH11202463A (ja) * 1998-01-14 1999-07-30 Nitto Denko Corp 写真感光材料の搬送ローラ用クリーニングテープ
FR2780622B1 (fr) * 1998-07-03 2001-07-20 Oreal Applicateur pour produit delitescen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pplicateur et procede
JP2000256495A (ja) * 1999-03-05 2000-09-19 Mitsui Chemicals Inc 加硫ゴム発泡成形体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加硫ゴム発泡成形体
FR2792296B1 (fr) * 1999-04-16 2001-06-01 Oreal Capsule applicatrice et ensemble d'application equipe d'une telle capsule applicatrice
US6391931B1 (en) * 1999-04-28 2002-05-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Uniform small cell foams and a continuous process for making same
JP4278240B2 (ja) * 1999-08-26 2009-06-1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スポンジ及びそのスポンジを備えたスポンジロール
FR2804846B1 (fr) * 2000-02-16 2002-08-09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comportant une structure poreuse incorporant un agent biocide
JP2002128938A (ja) * 2000-10-25 2002-05-09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スポンジ成形用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およびシリコーンゴムスポンジ成形品の製造方法
JP4733257B2 (ja) * 2000-11-29 2011-07-27 株式会社東洋クオリティワン ゴム発泡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08829A1 (en) 2009-01-08
KR20040076801A (ko) 2004-09-03
FR2851432A1 (fr) 2004-08-27
JP2004305715A (ja) 2004-11-04
CN1524473A (zh) 2004-09-01
US20040166303A1 (en) 2004-08-26
JP2004275743A (ja) 2004-10-07
CN100512712C (zh) 2009-07-15
US7704437B2 (en) 2010-04-27
FR2851432B1 (fr) 2007-04-27
JP4163100B2 (ja)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437B2 (en) Applicator for cosmetics
EP3181620A1 (en) Microwave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063080B1 (en) Method of producing a porous product
CN100482723C (zh) 烯属热塑性弹性体发泡体和制备它的烯属热塑性弹性体组合物
CA2168737A1 (en) Plastic artic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A2267402A1 (en) Expandable synthetic resin composition, synthetic resin foam,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foam
CN108997647A (zh) 鞋底用减震片材及其制备工艺
US5134170A (en) Acrylic rubber composition
US6458863B1 (en) Vibration damping, resinous, open cell cellular bodies
JP3544542B1 (ja) 化粧用弾性セル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1555285B1 (en) Production method for a cosmetic applicator
JP3181549B2 (ja) ゴム発泡体シ−ル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0139143B1 (ko) 사출성형에 의한 신발 중창의 제조방법
JP3399845B2 (ja) 制振性樹脂連続気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546141B2 (ja) 制振性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H01502033A (ja) 低比重耐圧ゴム組成物
JP2002146074A (ja) Epdm系加硫発泡体
JPS6011937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発泡体の製造方法
JPS60179485A (ja) 水膨潤性止水材料の製造方法
KR101210794B1 (ko) 우수한 고온 신장률을 갖는 고배율 엘라스토머 발포체 조성물
JP2002146072A (ja) ゴム系加硫発泡組成物及びその発泡体
KR20040000085A (ko) 신발용 콜크폼과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80115913A (ko) 성형 폼의 제조방법
KR200350981Y1 (ko) 신발용 콜크스펀지
JP2004210822A (ja) 低硬度ゴム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