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604B1 - 애완동물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604B1
KR101090604B1 KR1020060055385A KR20060055385A KR101090604B1 KR 101090604 B1 KR101090604 B1 KR 101090604B1 KR 1020060055385 A KR1020060055385 A KR 1020060055385A KR 20060055385 A KR20060055385 A KR 20060055385A KR 101090604 B1 KR101090604 B1 KR 10109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liquid
absorption sheet
liquid absorption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342A (ko
KR20060136312A (ko
Inventor
다케시 이케가미
다카유키 마츠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0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342A/ko
Publication of KR2006013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 투과성의 화장실 모래를 수납하는 화장실 수납 용기와, 흡수 시트를 수납하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로 이루어지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에서, 흡액 시트를 트레이로부터 추출하지 않고, 흡액 시트의 앞뒤 방향을 교체 가능하게 한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개구를 가지며 애완동물이 출입 가능한 화장실 본체로 이루어지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에서, 상기 화장실 본체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입상물로 구성되는 액 통과성의 화장실 모래를 수납하는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와, 이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 아래쪽에 배치된 상기 화장실 모래를 통과한 액체를 흡수하는 흡액 시트와, 이 흡액 시트를 수납하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상기 화장실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끌어내어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앞뒤의 위치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화장실{TOILET FOR PET}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실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화장실 본체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를 수납하여 세팅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3은 손잡이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흡액 시트 트레이에 흡액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화장실 본체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를 수납할 때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가 이 이상 안으로 압입되지 않게 맞물리게 하기 위한 스토퍼의 다른 변화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측면도이고 (B)는 내측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장실 본체
10: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
11: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
12: 측면 커버
13: 화장실 모래
14: 흡액 시트
15: 외측 트레이
16: 내측 트레이
102: 바닥면부
104: 개구부
105: 스토퍼
112a, 112a', 112b, 112b', 112c, 112d, 112d': 손잡이
113: 훅형(Hook) 물체
115: 절개부
121: 개구
본 발명은, 실내에서 기르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에게 사용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며, 특히 흡액 시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청결하면서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기르는 고양이나 개 등의 애완동물용 화장실로서, 플라스틱제 용기에 광물계의 제올라이트 또는 강의 모래, 또는 뇨 등을 흡수하면 굳어지는 벤토나이트, 분쇄 펄프 등을 굳혀 입상으로 성형한 셀룰로오스 입자 등의 소위 고양이 모 래라고 불리는 입상물로 이루어지는 화장실 모래가 들어있는 화장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은 상기 화장실 안에 들어가고, 상기 화장실 모래 위에 뇨나 변 등을 배설한다. 주인은 뇨나 변으로 더러워진 부분의 화장실 모래를 변 등과 함께 부삽 등으로 퍼서 용기 내로부터 제거하고, 제거한 만큼 새로운 화장실 모래를 보충한다.
그러나, 고양이 등은 배설 후에 화장실 모래를 발로 뒤섞기 때문에 뇨나 변으로 더러워지는 화장실 모래의 양이 많아지고, 또한 더러워진 화장실 모래가 확산되며, 더러워진 부분만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화장실 모래로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나 강의 모래 등은 뇨를 흡수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벤토나이트나 셀룰로오스 입자는 뇨를 어느 정도 흡수하지만, 완전히 흡수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뇨는 화장실 모래를 통해 용기의 바닥면에 고이기 쉽다. 이 고인 뇨가 증발하는 데 장시간이 걸리거나, 뇨의 불순물이 화장실 모래에 많이 부착되고, 냄새나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주인은 1주일 또는 2주일에 한번의 비율로 용기 내의 화장실 모래를 전부 버리고, 용기를 세정하여 말린 후, 이 용기에 새로운 화장실 모래를 넣어 화장실을 청결히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화장실 모래를 동물이 배설할 때마다 버리거나, 또한 1, 2주일에 한번 모두 바꾸기 때문에 쓰레기가 되는 화장실 모래의 양이 매우 많다. 화장실 모래로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등의 광물계 모래는 불연성이기 때문에 쓰레기로서 처리하기 어렵다.
이를 해소한 것으로서, 예컨대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와 같은 애완동물용 화장실이 개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바닥부가 줄기형의 물막이를 형성한 다이어프램으로 되어있는 용기에 입상물을 넣고, 바닥부 다이어프램의 아래에는 흡액 시트를 배치하는 서랍식 트레이가 설치되며, 뇨는 입상물을 지나 용기의 바닥부를 통과하여 흡액 시트에 흡수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바닥부가 액 투과 구조의 시트로 되어있는 용기에 내수성의 입상물을 넣고, 바닥부 시트 아래에는 지지체에 지지된 흡액 시트가 상기 바닥부 시트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뇨는 내수성의 입상물을 지나 용기 바닥부를 통과하여 흡액 시트에 흡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내에 뇨가 남지 않기 때문에 화장실 청소는 흡액 시트에 항균제나 고흡수성 수지를 넣음으로써 부패나 냄새의 발생을 막고 1주일에 1회 정도의 흡액 시트를 바꿀 뿐이며, 또한 1, 2 개월에 한번 입상물을 모두 바꾸면 좋고, 간단하게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08848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229768호 공보
그러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은 항상 정해진 장소에서 배뇨를 하기 때문에 정해진 일부분만 흡액 시트가 더러워지게 된다. 이 때문에, 이 흡액 시트의 앞뒤 위치를 교체하여 더러워져 있지 않은 부분을 애완동물이 배뇨하는 장소에 오도록 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참고로, 발명자들이 이 종류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사 용하고 있는 대상자에 관해서 조사한 바, 교체하여 사용한다는 대답은 37% 정도를 차지하였다).
이 트레이에 배치된 흡액 시트의 앞뒤의 위치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흡액 시트를 트레이로부터 추출하고, 그 앞뒤를 반전시켜 교체해야 하지만, 흡액 시트는 이미 뇨를 흡수하여 젖어 있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져 있고, 또한 강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흡액 시트의 취급이 곤란하며, 트레이로부터 흡액 시트를 추출하고, 앞뒤 방향의 방향을 바꿔 트레이에 재차 배치하는 데 시간이 요구된다. 최악의 경우에는 트레이 중에 감긴 상태에서 배치되어 버리고, 뇨가 새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흡액 시트의 취급시에 손이 더러워져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방으로부터 위쪽에 걸치는 개구를 마련하고, 화장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입상물로 구성되는 액 통과성 화장실 모래를 수납하는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와,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실 모래를 통과한 액체를 흡수하는 흡액 시트와, 흡액 시트를 수납하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로 이루어지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에서, 흡액 시트를 트레이로부터 추출하지 않고, 흡액 시트의 앞뒤 방향을 교체 가능하게 한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트레이를 화장실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끌어내어 분리 가능하게 하면서, 앞뒤의 위 치를 교체 가능하게 함으로써, 흡액 시트를 트레이로부터 추출하지 않고 앞뒤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화장실 본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로서, 상기 화장실 본체는, 그 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입상물로 구성되는 액 통과성 화장실 모래를 수납하는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와, 이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실 모래를 통과한 액체를 흡수하는 흡액 시트와, 이 흡액 시트를 수납하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를 포함하고, 이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상기 화장실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끌어내어 분리 가능하며, 또한 앞뒤의 위치가 교체 가능한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화장실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끌어내어 분리되고, 앞뒤의 위치를 교체하여 화장실 본체에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 내에 배치된 흡액 시트의 앞뒤도 교체된다. 이 때문에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배뇨 상태에 따라 한 쪽으로만 뇨 등의 액체를 흡수하고 있는 흡액 시트를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로부터 추출하지 않고 간단히 앞뒤 방향을 교체하며, 액체를 흡수하지 않은 부분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흡액 시트의 사용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흡액 시트를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로부터 추출하지 않고, 흡액 시트의 앞뒤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뇨를 흡수하여 젖어 있으며, 중량이 무거워지고, 또한 강성이 없어지는 흡액 시트를 취급하는 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흡액 시트를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로부터 추출하여 앞뒤를 바꿔 재차 트레이에 배치할 때에 주로 발생하는 감긴 상태에서의 부설로 뇨가 새어버린다는 문제점도 없고, 또한 손이 더러워질 우려도 없어 위생적이다.
여기서, 앞뒤 방향이란,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를 출납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방이란,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를 끌어내는 쪽을 말한다.
(2)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전방 및 후방에 손잡이를 포함하는 (1)기재의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및 후방에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를 앞뒤 교체하여 출납할 때에 손잡이를 쥐고 행할 수 있어 출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손잡이로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에 고정된 것이나 끈형 물체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을 부착하더라도 좋다. 판 스프링으로 함으로써 간단하게 수납, 끌어냄이 가능해진다.
(3) 상기 화장실 본체의 후방부는, 상기 손잡이가 접하는 부분에 개구부를 갖는 (2)기재의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실 본체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를 압입하였을 때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후방 손잡이가 화장실 본체의 후방부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한 형태로 수납된다. 이 때문에 후방의 손잡이에 방해되지 않고,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를 소정의 위치에 수용할 수 있다
(4)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전방으로 분리 가능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1)에 기재한 애완동물용 화장실.
손잡이를 분리 가능한 것으로 함으로써, 앞뒤를 교체하여 출납이 동일한 손잡이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전방 및 후방에 고정된 손잡이를 부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련된 구조가 된다. 또한, 화장실 본체에 대하여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수용이 좋다.
(5)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외측 트레이와, 이 외측 트레이 안에 수용된 내측 트레이를 포함하는 (1)기재의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외측 트레이 내부에 내측 트레이를 구비한 이중 구조로 되어 있고, 흡액 시트는 내측 트레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앞뒤를 교체하지 않고, 내측 트레이의 앞뒤를 교체함으로써, 흡액 시트의 앞뒤를 교체할 수 있다.
(6)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상기 흡액 시트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액 시트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에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를 빈번히 앞뒤의 교체를 행하더라도, 화장실 본체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를 세팅할 때의 흡액 시트의 부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수단으로서는, 흡액 시트 또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한쪽에 훅형 물체를 부착하고, 다른 한쪽에 루프재를 부착하며, 훅형 물체를 루프재에 결합시키는, 이른바 메카니컬 체결 수단이나,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에 절개부를 마련하여 이 절개부에 흡수 시트를 압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7)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메카니컬 체결 수단인 (6)기재의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수단이 흡액 시트 또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한쪽에 훅형 물체를 부착하고, 다른 한쪽에 루프재를 부착하며, 훅형 물체를 루프재에 결합시키는, 이른바 메카니컬 체결 수단이기 때문에 흡액 시트의 고정이나 분리가 원터치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8)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흡액 시트를 압입할 수 있는 절개부인 (6)기재의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내측 바닥면에 마련된 절개부에 흡액 시트의 일부를 압입함으로써 흡액 시트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흡액 시트의 고정이나 분리를 원터치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절개부는 예컨대 크로스형의 절개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오려낸 구멍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9) 상기 화장실 본체는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압입을 소정 위치에 규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화장실 본체에 압입되고, 최적 위치에 수납된다. 이 때문에 흡액 시트는 애완동물이 배설하는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10) 상기 화장실 본체는 상기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의 위쪽에 측면 커버를 더 포함하고, 이 측면 커버에는 전방으로부터 위쪽에 걸쳐 형성된 개구를 갖는 것 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애완동물은 배설할 때에 화장실 본체를 구성하는 측면 커버에 형성된 개구의 입구로 출입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예컨대, 개구의 입구에 화장실 모래 제거 부재를 설치하면 애완동물이 배설 후 화장실로부터 나올 때에 애완동물의 발가락 사이나 그 주변에 부착된 화장실 모래가 이 화장실 모래 제거 부재에 의해 제거되고, 화장실 모래가 방 안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이용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앞뒤의 위치를 교체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에 배치된 흡액 시트를 추출하지 않고, 흡액 시트의 앞뒤를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액 시트의 사용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손이 더러워지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불쾌감을 느끼지도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애완동물」이란, 개, 고양이, 토끼, 햄스터 등의 동물을 의미한다. 또한 「화장실 모래」란, 공, 회전 타원체,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입상물의 집합체를 의미하고, 내수성 실리카겔을 주원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란, 애완동물로부터 배설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모래를 통과 가능한 모든 수분을 포함한다. 또한 「액 통과」란, 액체가 화장실 모래의 어느 지 점을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상물 주위를 흘러가는 액이 많을수록 액 통과성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화장실은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장실 본체(1)가 전방으로부터 상측에 걸치는 개구(121)와, 다수의 입상물로 이루어지는 화장실 모래를 저장하는 상자형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와,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 아래쪽에 위치하여 추출 가능하게 내장된 흡액 시트를 수납하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와,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상부에 측면을 덮도록 하여 설치된 측면 커버(12)를 주요소로서 구성되어 있다.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바닥면부(102)는 복수의 구멍(103)을 갖고 있다. 이 구멍(103)은 다면체 또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실 모래(13)가 누락되지 않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바닥면부(102)의 상면에는 화장실 모래(13)를 소정량 깔아 층형으로 부설한다. 또한,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 내에 흡액 시트(14)를 부설한다.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는 출납 방향(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을 앞뒤 방향으로 한 경우의 전측과 후측이 대칭인 형상의 케이스이며, 앞벽(111a) 및 뒷벽(111b)에는 각각 손잡이(112a, 112a')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화장실 모래 수용 용기(10)의 깊이측(출납 방향의 후방측)의 측벽(101)에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를 수납한 경우에 후측 손잡이(112a')가 후방으로 비어져 나올수 있는 개구부(104)가 형성되어 있다[도 2의(C)참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는,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앞 벽(111a) 또는 뒷벽(111b) 중 어느 하나를 앞쪽으로 하더라도 출납 가능해진다. 또한,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은 수납된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를 정지시키고, 그 이상 안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이에 따라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가 최적 위치에 세팅된다.
도 2는, 화장실 모래 수용 용기(10)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를 수납하여 세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의 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측 손잡이(112a')는 화장실 모래 수용 용기(10)로부터 후방측의 측벽에 마련된 개구부(104)로부터 후방으로 비어져 나오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의 깊이측은 화장실 모래 수용 용기(10)의 측벽(101)에 설치하는 형태로 화장실 모래 수용 용기(10)의 아래쪽에 수용되고 있다. 또한, 도 2(C)의 배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에는 손잡이(112a')가 비져나올 수 있는 크기로 개구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에 부착하는 손잡이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고정된 손잡이(112a, 112a')로 바꾸고, 예컨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것이더라도 좋다. 도 3(A)에 도시하는 손잡이(112b, 112b')는 끈형 물체로서, 앞벽(111a) 및 뒷벽(111b)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하는 손잡이(112c)는 한쪽 단을 거의 L자형 걸림 부분을 형성한 것으로, 이 걸림 부분을 앞벽(111a) 및 뒷벽(111b)에 걸어 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앞벽(111a) 및 뒷벽(111b)에 대하여 부착 ·분리 가능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를 끌어낼 때는 앞쪽이 되는 앞벽(111a) 또는 앞뒤 를 교체한 경우에 앞쪽이 되는 뒷벽(111b)에 손잡이(112c)를 부착하여 끌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앞뒤를 교체하더라도 양쪽에 부착 가능하다.
또한, 도 3(C)에 도시하는 손잡이(112d, 112d')는 판 스프링으로서, 앞벽(111a) 및 뒷벽(111b)에 부착되어 있다. 판 스프링으로 함으로써 통상은 조밀하게 수용되어 있고, 끌어낼 때에 스프링이 신장하여 손으로 쥐기 쉬운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간단히 수납, 끌어냄이 가능하다. 또한, 도 3(A)은 위에서 본 상태, 도 3(B)는 옆에서 본 상태, 도 3(C)은 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에는 흡액 시트(14)를 고정하기 위해,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고정 수단을 부착하고, 흡액 시트(14)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흡액 시트(14)를 빈번히 앞뒤 방향을 교체하더라도,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에 배치되어 있는 흡액 시트(14)의 부착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에 흡액 시트(1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의 바닥부의 거의 4 코너부분에서 거의 좌우 대칭이 되는 위치에 훅형 물체(113)를 부착한 것이고, 도시하지 않지만, 흡액 시트(14)의 이면에서 훅형 물체(11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된 루프재와 결합되어(메카니컬 체결 수단이라고 한다) 흡액 시트(14)가 고정된다. 또한, 흡액 시트(14)가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직포의 표면의 섬유질이 루프재의 역할을 다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 4(B)는 훅형 물체(113)를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의 앞벽(111a) 및 뒷벽(111b)에 거의 좌우 대칭이 되는 위치에 부착한 것으로, 도시하지 않지만, 흡액 시트(14)의 이면에서 훅형 물체(11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된 루프재와 메카니컬 체결되어 흡액 시트(14)가 고정된다. 이 구조는, 주연부에 흡수체를 갖지 않은 흡액 시트의 경우, 흡액 시트의 주연부를 절곡하여 세워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 4(C)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의 바닥부의 거의 4 코너부분에 × 표시의 절개부(115)를 마련한 것이고, 이 절개부(115)에 흡액 시트(14)를 압입함으로써 흡액 시트(14)가 고정된다. 이 절개부(115)는 × 표시의 절개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절개부 개수가 많은 것이라도 좋다. 또한, 오려내어진 구멍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 4(A), 도 4(B), 도 4(C)에서 상단은 평면도를, 하단은 측면도를 도시한다.
전술과 같이,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은 개구부(104)가 형성되고, 손잡이(112a')가 뒤쪽에 비어져 나옴으로써,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1)의 뒷벽(111b)이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에 접하여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가 이 이상 안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이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 수단으로 되어 있다. 이 스토퍼 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것이더라도 좋다.
도 5는,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를 수납할 때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가 이 이상 안으로 압입되지 않게 정지시키기 위 한 스토퍼 수단의 다른 변화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에 손잡이(112a')를 수납할 수 있는 오목부(107)를 마련한 것으로, 손잡이(112a')가 오목부(107)에 수납됨으로써,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의 뒷벽(111b)이 접하여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가 이 이상 안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는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이 스토퍼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또한, 도 5(B)는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이 스토퍼의 역할을 다하고, 측벽(101)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의 후측 손잡이(112a')가 접하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가 이 이상 안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도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이 스토퍼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또한, 도 5(C)는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의 전방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가 최적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폭이 좁은 형상의 판형 스토퍼(105)를 출납 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후측의 손잡이(112a')의 양측에 설치한 것으로, 이들 스토퍼(105)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의 뒷벽(111b)이 접하여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가 이 이상 안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D)는 도 5(C)의 스토퍼(105)를 출납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후측의 손잡이(112a')의 양측에 설치한 것으로, 이들 스토퍼(105)에 흡액 시 트 수납 트레이(11)의 뒷벽(111b)이 접하여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가 이 이상 안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E)는 도 5(C) 및 (D)의 스토퍼(105)를 둥근 막대형의 것으로 한 것으로, 이들 스토퍼(105)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의 뒷벽(111b)이 접하여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가 이 이상 안으로 압입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F)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의 바닥부의 이면에 돌기(116)가 형성되어 있고, 한편,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측벽(101)에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를 출납 가능하게 개구되어 있으며,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바닥판(106)에 상기 돌기(116)가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부(108)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돌기(116)가 오목부(108)에 끼워 맞춰 최적 위치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가 정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의 바닥부의 이면에 형성된 돌기(116)와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10)의 바닥판(106)에 형성된 오목부(108)로 스토퍼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여기서, 최적 위치와 정지시킨다라는 것은 흡액 시트(14)가 화장실 모래 수용 용기(10)의 화장실 모래(13)를 통과한 액체를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 수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로서, 그 내부에 흡액 시트(14)를 직접적으로 배치하는 구조의 것으로 설명해 왔지만,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는 외측 트레이(15)의 내부에 도 6(B)에 도 시하는 내측 트레이(16)를 구비한 이중 구조의 것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내측 트레이(16)의 내부에 흡액 시트(14)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흡액 시트(14)의 앞뒤 교체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의 내측 트레이(16)의 앞뒤를 교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11)는 앞뒤를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한쪽으로부터의 출납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화장실에 의하면, 흡액 시트를 배치한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화장실 본체로부터 끌어내어 분리할 수 있고, 또한 앞뒤의 위치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흡액 시트의 앞뒤도 교체된다. 이 때문에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배뇨 상태에 따라 흡액 시트의 한 쪽으로만 뇨 등의 액체를 흡수하더라도, 흡액 시트를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로부터 추출하지 않고 간단히 앞뒤 방향을 교체하여 계속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흡액 시트의 사용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Claims (11)

  1. 화장실 본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로서,
    상기 화장실 본체는, 그 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입상물로 구성되는 액 통과성 화장실 모래를 수납하는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와,
    이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실 모래를 통과한 액체를 흡수하는 흡액 시트와,
    이 흡액 시트를 수납하고, 전방 및 후방에 손잡이를 포함하는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와,
    상기 화장실 본체의 후방부에서 상기 손잡이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상기 화장실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끌어내어 분리 가능하며, 또한 앞뒤의 위치가 교체 가능한 애완동물용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외측 트레이와, 이 외측 트레이 안에 수용된 내측 트레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는 상기 흡액 시트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훅형 물체와, 상기 흡액 시트의 이면에 배치된 루프재에 의해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흡액 시트를 압입할 수 있는 절개부인 애완동물용 화장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본체는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압입을 소정 위치에 규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본체는 상기 화장실 모래 수납 용기의 위쪽에 측면 커버를 더 포함하며, 이 측면 커버에는 전방부터 위쪽에 걸쳐 형성된 개구를 갖는 것인 애완동물용 화장실.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이용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흡액 시트 수납 트레이의 앞뒤의 위치를 교체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60055385A 2005-06-27 2006-06-20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1090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7472A JP4447517B2 (ja) 2005-06-27 2005-06-27 ペット用トイレ
JPJP-P-2005-00187472 2005-06-27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342A KR20070000342A (ko) 2007-01-02
KR20060136312A KR20060136312A (ko) 2007-01-02
KR101090604B1 true KR101090604B1 (ko) 2011-12-08

Family

ID=3756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385A KR101090604B1 (ko) 2005-06-27 2006-06-20 애완동물용 화장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80519B2 (ko)
JP (1) JP4447517B2 (ko)
KR (1) KR101090604B1 (ko)
CN (1) CN1891036B (ko)
AU (1) AU2006202677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780A (ko) 2019-12-11 2021-06-21 김남주 반려 동물 배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435A1 (ja) * 2004-09-02 2006-03-09 Kao Corporation ペット用トイレ
US20070084413A1 (en) * 2005-10-19 2007-04-19 Christine Oertel Easy access litter box
JP5265890B2 (ja) 2007-06-29 2013-08-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501557B2 (ja) * 2007-06-29 2014-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362966B2 (ja) 2007-06-29 2013-12-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US8191509B2 (en) * 2007-11-16 2012-06-05 Catherine E. Fountain Litter box with removable shield
JP5433281B2 (ja) * 2009-04-08 2014-03-05 花王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CA2717831A1 (en) * 2009-09-15 2011-03-15 Patricia Ann Tierney Pet litter box
JP5563293B2 (ja) * 2009-12-28 2014-07-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システムトイレ及びそれに用いる液透過パネル
JP5362645B2 (ja) * 2010-05-11 2013-12-11 伊藤 博 動物用トイレ
US8622023B1 (en) * 2010-09-15 2014-01-07 Patricia Ann Tierney Pet litter box
US9374977B2 (en) 2011-06-21 2016-06-28 Litter One, Llc Disposable and biodegradable litter system for animals
JP5943564B2 (ja) * 2011-07-13 2016-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便器
US20130192530A1 (en) * 2012-01-31 2013-08-01 Stewart Jeffrey LOVENVIRTH Pet litter box employing ultraviolet irradiation and reflective interior
KR200461110Y1 (ko) * 2012-05-02 2012-06-22 조철희 고양이용 용변기구
US9750224B2 (en) * 2013-04-05 2017-09-05 Todd Kupka Pet training apparatus and waste receptacle
JP2015204798A (ja) * 2014-04-22 2015-11-19 花王株式会社 ペット用シーツ及びそれを用いたペット用トイレシステム
US10588291B2 (en) 2014-05-20 2020-03-17 Grotown VI, LLC Animal waste disposal system
USD731716S1 (en) * 2014-05-20 2015-06-09 Grotown VI, LLC Animal waste disposal system
JP1531270S (ko) * 2015-02-27 2015-08-17
JP1537340S (ko) * 2015-02-27 2015-11-09
JP6418979B2 (ja) * 2015-03-02 2018-1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768200B1 (ja) 2015-03-02 2015-08-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768199B1 (ja) * 2015-03-02 2015-08-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747140B1 (ja) * 2015-03-02 2015-07-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6491942B2 (ja) * 2015-04-30 2019-03-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6491943B2 (ja) * 2015-04-30 2019-03-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USD804111S1 (en) 2015-09-28 2017-11-28 Litter One, Llc Biodegradable false bottom for litter box
JP6322788B2 (ja) * 2015-12-02 2018-05-16 株式会社大貴 トイレ用敷材及びトイレ
CN106538399A (zh) * 2016-10-18 2017-03-29 谢晓帆 一种猫砂箱的使用方法
JP7017954B2 (ja) * 2018-03-08 2022-02-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CA3104448A1 (en) * 2018-06-19 2019-12-26 Spectrum Brands, Inc. Automated self-cleaning litter box having disposable recepticle and methods
CN109220824B (zh) * 2018-09-28 2021-01-08 惠州学院 一种宠物厕所
JP7234033B2 (ja) * 2019-05-20 2023-03-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7079752B2 (ja) 2019-05-20 2022-06-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の吸収性シート
JP6642909B1 (ja) * 2019-07-30 2020-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6642910B1 (ja) * 2019-11-08 2020-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7449674B2 (ja) * 2019-11-13 2024-03-14 株式会社大貴 動物用トイレ
KR20210073757A (ko) 2019-12-11 2021-06-21 오현경 소동물 먹이통 겸용 화장실
USD925838S1 (en) * 2020-09-17 2021-07-20 Shenzhen Chichenyun Network Technology Co., Ltd Pet enclosure
TWD217210S (zh) * 2021-08-11 2022-02-11 自力耕生股份有限公司 寵物排泄用之砂盆
US11793155B2 (en) 2021-12-10 2023-10-24 Kathy RUSCH Cat litter box system
KR102483068B1 (ko) * 2022-07-08 2022-12-29 송상호 애완동물 배변용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5277A (en) * 1967-04-26 1969-07-15 William A Edwards Animal commode
US4602593A (en) * 1985-05-10 1986-07-29 Gross Richard B Pet litter box
US5184574A (en) * 1990-12-20 1993-02-09 Kirk Robert C Cat litter box
US5193488A (en) * 1991-11-18 1993-03-16 Walton Robert W Cat waste elimination system
US5181480A (en) * 1991-12-13 1993-01-26 Sheila Dabolt Litter-box and litter dispensing hopper
US6209486B1 (en) * 1997-02-05 2001-04-03 Cynthia Reynolds Pet bed for incontinent animals
JP3708272B2 (ja) 1997-02-18 2005-10-19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AU2001238281A1 (en) * 2000-02-16 2001-08-27 Shinobu Kobayashi Sanitary pet path
US6408790B1 (en) * 2000-04-13 2002-06-25 Sara Barbara Maguire Animal litter box
US6450119B1 (en) * 2001-02-12 2002-09-17 Coastal Pet Products, Inc. System for holding a pad
JP3088484U (ja) 2002-03-08 2002-09-13 圭子 松岡 固まらない粒状物を使用する為のペット用便器
JP4395333B2 (ja) 2003-06-20 2010-01-06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ペットのトイレ用吸液シート
JP3676787B2 (ja) 2003-06-20 2005-07-27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こ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JP3939272B2 (ja) 2003-06-20 2007-07-04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4343822B2 (ja) 2004-12-16 2009-10-14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こ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JP3981123B2 (ja) 2005-01-27 2007-09-26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780A (ko) 2019-12-11 2021-06-21 김남주 반려 동물 배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342A (ko) 2007-01-02
US20060288948A1 (en) 2006-12-28
JP4447517B2 (ja) 2010-04-07
AU2006202677A1 (en) 2007-01-18
CN1891036B (zh) 2011-06-22
JP2007000124A (ja) 2007-01-11
AU2006202677B2 (en) 2012-02-16
US7380519B2 (en) 2008-06-03
CN1891036A (zh)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604B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060136312A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0939744B1 (ko) 동물용 화장실
JP3824887B2 (ja) ペット用トイレ
JP3981123B2 (ja) ペット用トイレ
JP3708272B2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0751225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JP6295365B1 (ja) 動物用トイレ
KR20120096572A (ko)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 및 그에 이용되는 액체 투과 패널
KR200406304Y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JP2010239914A (ja) ペット用トイレ
JP4455604B2 (ja) 動物用トイレ
JP2006101890A (ja) 動物用トイレ
KR200484639Y1 (ko) 반려동물용 화장실
KR200377774Y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20220076641A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JP3208974U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器
JP3640492B2 (ja) ペット用トイレ
JP2002000109A (ja) ペット用トイレ
FR2882627A1 (fr) Systeme a usage unique pour animaux pour les dejections
AU2006200718B2 (en) Animal toilet
KR200226909Y1 (ko) 애완견용 용변판
WO1994014315A1 (en) Cat waste elimination system
KR20050087310A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JP2002101781A (ja) ペット用汚物処理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