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744B1 - 동물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동물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744B1
KR100939744B1 KR1020040045340A KR20040045340A KR100939744B1 KR 100939744 B1 KR100939744 B1 KR 100939744B1 KR 1020040045340 A KR1020040045340 A KR 1020040045340A KR 20040045340 A KR20040045340 A KR 20040045340A KR 100939744 B1 KR100939744 B1 KR 100939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granular material
animal
storage container
litt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1134A (ko
Inventor
마츠오다카유키
이케가미다케시
Original Assignee
유니참 팻케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참 팻케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참 팻케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1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의 청소를 간단히 행할 수 있고, 또한, 고양이모래(입상물)의 교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입상물 상에 배설된 뇨 등의 액체를 효율적으로 흡액 시트에 뇨를 이행시킬 수 있는 것인 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개구와 입상물이 흩뿌려 설치되는 액통과성의 저면부를 구비한 입상물 수납 용기와,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곳에 흡액 시트가 배치되는 흡액 시트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는 상기 흡액 시트에 대면하는 쪽에 연속 아치형의 액유도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물용 화장실{ANIMAL LITTER BOX}
도 1은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에 따른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전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동물용 화장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물용 화장실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입상물을 수납하는 입상물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a)는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저면부의 X-X' 단면, 및 Y-Y'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의 변형예의 X-X'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아치부에서의 액체의 이행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액유도부로부터 낙숫물형으로 적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흡액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두께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입상물 낙하 기구를 설치한 동물용 화장실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2는 입상물 낙하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동물용 화장실
2: 입상물 수납 용기
3: 흡액 시트 수용 용기
4: 커버
5: 입상물
6: 흡액 시트
21: 개구
23: 저면부
26: 개구부
27, 27': 잔교
28: 액유도부
29: 아치부
41: 주연부 프레임
42: 벽체
43: 개구
44, 44': 결합용 구멍
7: 입상물 낙하 기구
71: 입상물 제거 부재
72: 입상물 회수 용기
73: 상부판
73a: 관통 구멍
74, 74': 돌기
75: 평탄면부
76: 경사면부
본 발명은 실내에서 길러지는 고양이 등의 동물에게 사용하는 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장실의 청소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쓰레기로서 버려지는 고양이모래(animal litter)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길러지고 있는 고양이나 개 등의 동물용 화장실로서, 플라스틱제의 용기에 소위 고양이모래라고 불리는 입상물이 들어간 화장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고양이모래로서는 광물계의 제올라이트 혹은 강의 모래, 또는 뇨 등을 흡수하면 굳어지는 벤토나이트 혹은 분쇄 펄프 등을 굳혀 입상으로 성형한 셀룰로오스 입자 등이 있다. 고양이 등의 동물은 상기 화장실내에 들어가, 상기 고양이모래의 위에서 뇨나 변 등을 배설한다. 기르는 주인은 뇨나 변으로 더러워진 부분의 고양이모래를 변 등과 함께 삽(scoop) 등으로 떠서 용기내로부터 제거하고, 제거한 만큼 새로운 고양이모래를 보충한다.
그러나, 고양이 등은 배설후에 고양이모래를 발로 뒤섞기 때문에 뇨나 변으로 더러워지는 고양이모래의 양이 많아지고, 또한 더러워진 고양이모래가 확산되어, 더러워진 부분만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또한, 고양이모래로서 사용되는 상기 제올라이트나 강의 모래 등은 뇨를 흡수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벤토나이트나 셀룰로오스 입자는 뇨를 어느 정도 흡수하지만, 완전히 흡수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뇨는 고양이모래를 통해 용기의 저면에 고이기 쉽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기르는 주인은 1주간 또는 2주간에 한 번의 비율로 용기내의 고양이모래를 전부 버리고, 용기를 세정하여 말린 후, 이 용기에 새로운 고양이모래를 넣어 화장실을 청결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양이모래를 동물의 배설마다 버리거나, 또한 1, 2주간에 한번 전부 바꾸기 때문에 쓰레기가 되는 고양이모래의 양이 매우 많다. 고양이모래로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등의 광물계의 모래는 불연성이기 때문에 쓰레기로서 처리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을 해소한 것으로서 예컨대 특허 문헌 1(특허 공개 평10-229768호 공보)과 같은 동물용 화장실이 개발되어 있다. 이 동물용 화장실은 하부가 액투과 구조의 시트로 되어 있는 용기에 발수성의 입상물을 넣어, 이 용기의 하부 시트의 아래에는 지지체에 지지된 흡액 시트가 상기 하부 시트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뇨는 발수성의 입상물을 지나 용기의 하부를 통과하여 흡액 시트에 흡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용기내에 뇨가 남지 않기 때문에, 화장실의 청소는 하루에 한 번 흡액 시트를 바꾸는 것뿐이며, 또한 1, 2개월에 한번 입상물을 전부 바꾸면 좋아, 수고를 들이지 않고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예에 있어서는 이 용기의 하부 시트의 아래에는 지지체에 지지된 흡액 시트가 상기 하부 시트에 밀착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의 사용으로 흡액 시트에 뇨 등의 흡수량이 증가하면 입상물쪽으로 반대로 되돌아가, 입상물 전체를 더럽히게 된다. 또한, 흡액 시트를 하루 한 번은 교환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교환의 작업이 번거롭고, 쓰레기량도 많아진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장실의 청소를 간단히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고양이모래(입상물)의 교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입상물을 수납하는 입상물 수납 용기와, 뇨를 흡수하는 흡액 시트를 수용하는 흡액 시트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구조의 화장실로 하여,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의 흡액 시트에 면하는 쪽에 복수의 연속 아치형의 액유도부를 갖추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흡액 시트에 뇨를 이행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개구와 입상물이 흩뿌려 설치되는 액통과성의 저 면부를 구비한 입상물 수납 용기와,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곳에 흡액 시트가 배치되는 흡액 시트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는 상기 흡액 시트에 대면하는 측에 연속 아치형의 액유도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면부가 액통과 구조로 되어 있는 입상물 수납 용기에 다수의(소정량의) 입상물이 수납된다. 그리고, 이 입상물 상에 배설된 뇨가 입상물의 간극을 통과하여 액통과성의 저면부에서 아래쪽에 위치하는 흡액 시트로 적하하여, 흡액 시트에 흡수되게 되어 있다. 즉, 흡액 시트는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의 아래쪽에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마주 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양이 등의 동물이 입상물 상에 배설한 뇨는 액통과성의 저면부를 통과하여 저면부의 이면측(흡액 시트에 대면하는 쪽)으로 이행하고, 저면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대략 아치형의 액유도부를 따라서 효율적으로 모아지고, 아래쪽에 설치된 흡액 시트상에 적하하여, 흡수된다. 또한, 흡액 시트는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흡액 시트에 흡수된 뇨 등의 액체가 저면부측으로 반대로 되돌아가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반대로 되돌아간 액체로 입상물이 전체적으로 더러워진다고 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입상물을 교환하는 횟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수고를 들이지 않고 쓰레기의 양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액통과성의 저면부란, 예컨대, 입상물 상에 배설된 뇨 등의 액체가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의 상면(입상물과 접하는 면)으로부터 이면측(흡액 시트와 대면하는 쪽)으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 복수의 개구부가 메쉬형, 격자형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개구부는 저면부 상에 흩뿌려 설치되는 입상물이 통과하지 않도록 입상물의 크기보다도 작은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뇨 등의 액체를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고, 더구나 고양이 등의 동물이 올라가더라도 파손하지 않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을 위해서는 복수개의 개구부의 전체 개구가 저면부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개구율이라 함)은 25∼50%, 바람직하게는 40∼45%이 적합하다.
또한, 액유도부는 저면부의 개구부를 통과해 온 뇨 등의 액체를 효율적으로 저면부에서 흡액 시트측으로 적하시키기 위한 것으로, 흡액 시트측에서 저면부를 향하여 높아지는 원호형의 아치부가 복수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형의 아치부를 따라서 액체가 유도되어 아치부의 단부끼리 연속해 있는 선단 부분에 모아지고, 효율적으로 저면부로부터 적하하게 된다. 이 원호형의 아치부는 현의 길이가 6∼12 mm, 높이가 3∼5 mm의 원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치부의 형상은 원호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액체가 효율적으로 흡액 시트에 유도되는 형상이면 좋다.
또한, 저면부의 표면은 뇨 등의 액체가 접할 때 적절한 젖음성을 가지면, 액체가 상기 아치부를 따라서 유도되어 모이기 쉬워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입상물로서는 종래의 고양이모래를 이용하더라도 좋지만, 액통과율이 높고, 또한 흡액성이 있는 내수 실리카겔이 바람직하다. 이 입상물의 입도는 4∼10 mm, 바람직하게는 5∼8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6∼8 mm로 조정된 것이 적합하다. 또한, 수분율도 4∼15%, 바람직하게는 5∼10%인 것이 액체의 흡수 속도, 통과율의 관계로 부터 적합하다. 이러한 입상물을 사용함으로써 액통과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에 뇨 등의 액체가 남지 않고, 잔류 액체로부터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이 있기 때문에 소량의 뇨의 물방울이 입상물 표면에 남는 일이 없어 위생적이고, 보송보송한 감촉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변의 수분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변의 냄새가 입상물에 배어 버리는 일도 저감되게 된다.
흡액 시트로서는 부직포, 종이 혹은 시트형으로 한 솜 등의 흡액 시트, 흡수성 수지 혹은 실리카겔 등의 흡수성 물질, 또는 분쇄 펄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양이온 계면활성제 계의 「디데실디메틸암모늄아디페이트」 등의 항균제, 혹은 시트르산 등의 제균제를 배합하여, 뇨의 냄새나 부패를 방지하도록 한 흡액 시트로서, 보수량이 400 g/2000 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뇨면을 알 수 있도록 흡수면측을 착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뇨의 양이나 색으로 동물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백색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흡뇨면이란 뇨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쪽으로, 전술한 저면부에서 적하하는 액체를 받는 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이란 개, 고양이, 토끼, 햄스터 등의 소위 페트 외에, 호랑이, 사자 등의 새끼 등도 포함된다. 또한, 「액체」란 동물로부터 배설되는 것으로, 입상물을 통과할 수 있는 모든 수분을 포함한다. 또한 「액통과」란 액체가 입상물이 있는 지점을 통과하여 저면부의 이면측으로 이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젖음」이란 고체의 표면이 액체에 접할 때, 고체의 표면의 일부가 액 체/고체의 계면으로 치환되는 현상을 말하고, 「젖음성」이란 액체가 고체의 표면으로 퍼지는 퍼짐 용이성을 말한다. 또한, 「흩뿌려 설치함」이란 입상물을 저면부 상에 흩뿌려 층형으로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2) 상기 저면부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격자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입상물보다 작은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한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물이 배설한 뇨 등의 액체는 저면부의 개구부를 통해서 이면측으로 통과하게 되어,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에 남지 않게 된다. 또한, 저면부 상에 수납된 입상물은 개구부를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지는 일은 없다.
(3) 상기 개구부에 의해 저면부에서 차지하는 개구의 비율(개구율)은 상기 저면부의 면적의 2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한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물이 배설한 뇨 등의 액체를 개구부를 통하여 저면부의 이면측으로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고, 더구나 고양이 등의 동물이 올라가더라도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개구율이 25%보다 적으면 고양이 등의 동물이 배설한 뇨 등의 액체가 저면부를 통과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액체가 저면부로 퍼져 입상물 전체를 더럽힐 우려가 있다. 한편, 50%보다 크면 저면부의 강도가 낮아져 고양이 등의 동물이 올라갔을 때에 저면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4) 상기 저면부는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상물을 교환할 때에 저면부만을 제거하여 세정 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5) 상기 흡액 시트는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의 면적보다도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에서 적하하는 뇨 등의 액체는 확실히 흡액 시트의 상면에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마루 등을 더럽히는 일이 없다.
(6) 상기 흡액 시트 수용 용기는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의 아래쪽으로 출납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액 시트 수용 용기는 출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입상물 수납 용기를 제거하는 일없이 인출하여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뇨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포화 상태가 된 흡액 시트를 교환하는 등의 작업이 쉬워진다.
(7) 상기 동물용 화장실은 인출체를 수납할 수 있는 인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흡액 시트 수용 용기가 인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액 시트를 수용하는 흡액 시트 수용 용기가 인출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입상물 수납 용기를 제거하는 일없이 흡액 시트 수용 용기만을 집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액 시트 수용 용기의 저면에 부설된 흡액 시트가 뇨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포화 상태가 되어 교환할 때에 흡액 시트 수용 용기를 입상물 수납 용기로부터 인출하는 것만으로 교환할 수 있어, 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인출체이기 때문에 흡액 시트는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에 밀착하지 않게 되지만,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의 이면측(흡액 시트에 면하는 쪽)은 연속 아치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뇨 등의 액체가 효율적으로 흡액 시트측으로 이행된다.
(8) 상기 동물용 화장실은 동물의 출입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양이 등의 동물이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출입구 이외로부터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배설후에 분뇨에 입상물을 발로 찬 경우에 입상물이 밖으로 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커버로서는, 예컨대, 하부가 대략 구형인 주연부 프레임으로서, 상기 주연부 프레임의 세방면에 측벽이 세워져 설치되고, 나머지의 한쪽이 동물이 출입하는 개구가 형성된 프레임형의 것이 있다. 그리고, 측벽의 높이는 동물이 뛰어넘을 수 없을 정도, 및 동물이 분뇨에 입상물을 발로 찼을 때에 입상물이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서, 10 cm 이상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cm이다.
(9) 상기 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 입상물 낙하 기구가 상기 커버의 개구에 대면하는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한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양이 등의 동물은 개구의 입구에 설치한 입상물 낙하 기구의 위를 보행하여 동물용 화장실에 출입하게 되기 때문에 배설후 화장실로부터 나올 때에 동물의 발가락 사이나 그 주변에 부착된 입상물은 이 입상물 낙하 기구에 의해서 제거된다. 따라서, 이 때문에 입상물이 방 안에 흩뿌려지는 일이 없다. 또한, 화장실 본체와는 별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실을 청소할 때에는 입상물 낙하 기구 본체를 용이하게 추출하여 청소할 수 있어서, 번잡하지 않고, 수고도 저감된다.
(10) 상기 입상물 낙하 기구는 상부판이 메쉬 형상의 입상물 제거 부재와, 상기 입상물 제거 부재의 아래쪽에 설치된 입상물 회수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에 기재한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양이 등의 동물이 분뇨를 배설한 후, 발가락 사이나 그 주변에 입상물을 부착시킨 채로 화장실로부터 나오려고 할 때에 출입구의 개구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된 입상물 낙하 기구의 입상물 제거 부재의 위를 보행함으로써, 이 입상물 제거 부재에 의해서, 부착된 입상물이 떨어진다. 이 떨어진 입상물은 입상물 제거 부재의 상부판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져, 입상물 회수 용기에 회수된다. 이 때문에, 동물이 화장실의 밖으로 입상물을 가지고 나가지 않기 때문에 입상물이 방 안에 흩뿌려지는 일이 없다.
(11) 상기 입상물은 액체가 상기 입상물의 사이를 통과하는 액통과율과 액흡수성을 지니고, 최대 액흡수량이 자신의 중량의 0.3배 내지 4.0배이며, 3초당의 액흡수량이 상기 최대 액흡수량의 20% 내지 70%이며, 액통과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상물의 사이의 액통과율이 높기 때문에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에 뇨 등의 액체가 남지 않고, 냄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입상물 자체에 흡수성이 있기 때문에 소량의 뇨의 물방울이 입상물 표면에 남는 일도 없이 위생적이고, 보송보송한 감촉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변의 수분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변의 냄새가 입상물에 남는 일도 저감되게 된다.
(12) 상기 흡액 시트는 항균성 및 제균성을 갖는 항균 제균부를 갖고 있거나, 혹은, 항균성을 구비하는 항균부 및 제균성을 구비하는 제균부의 양방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균제 및 제균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뇨의 냄새나 부패를 막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에 따른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동물용 화장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물용 화장실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입상물을 수납하는 입상물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를 상면측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a는 도 5a에 도시하는 저면부(23)의 X-X' 단면, 도 6b는 저면부(23)의 Y-Y'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저면부의 변형예의 X-X'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다. 도 8a는 아치부에서의 액체의 이행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8b는 종래의 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의 액체의 이행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액유도부에서 낙숫물형으로 적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흡액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두께 방향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치수를 적절하게 조정해 둔다.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상물(5)을 수납하는 상자형의 입상물 수납 용기(2)와,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출납 가능하게 내장된 흡액 시트(6)를 수용하는 흡액 시트 수용 용기(3)와,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상부에 설치된 커버(4)를 주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저면부(23)의 상면에는 입상물(5)이 소정량 흩뿌려져 층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액 시트 수용 용기(3) 내에는 흡액 시트(6)가 부설되어 있다.
입상물 수납 용기(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이 출입하는 개구(21)를 지니고, 4개의 측벽(22)과 상기 측벽(22)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저면부(23)와 하부 프레임(2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입상물 수납 용기(2)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외 플라스틱 재료,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을 성형 가공하여 형성된다. 또한, 4개의 측벽(22) 중, 정면측의 측벽(22a)(도면의 좌측의 측벽)에는 저면부(23)의 아래쪽에 인출 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23)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부(26)를 갖는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입상물 수납 용기(2)에 일체화된 것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 가공되어 있다. 이 격자형을 형성하는 폭방향의 잔교(27)의 이면측, 즉 흡액 시트(6)와 면하는 측에는 연속 아치형의 액유도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액유도부(28)의 아치형상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치부(29)의 원호의 높이(h)가 4 mm 정도, 현의 길이(l)가 8 mm 정도의 원호이다. 또한, 이 아치형상으로서는 높이(h)가 3∼5 mm, 길이(l)가 6∼12 mm의 원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액체가 유도되기 쉬운 형상이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주형의 볼록부(30)를 갖는 것이라도 좋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 V자형을 이루더라도 좋다. 또한, 이 연속 아치형의 액유도부(28)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면부(23)의 짧은 방향의 잔교(27)에 형성되어 있지만, 긴 방향의 잔교(27')에 형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의 양방의 잔교(27, 27')에 형성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양방향의 잔교(27, 27')에 형성하면 액체의 유도가 보다 효율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더욱, 이 경우 양방향의 잔교(27, 27')이 교차하는 부분이 돌출하도록 함으로써 잔교(27, 27') 중 어느 하나로부터도 이 부분에 액체가 모여, 흡액 시트에 떨어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동물의 뇨 등의 액체는 도 2의 입상물(5)상에 배설되어, 저면부(23)를 통해 저면부(23)의 아래쪽에 설치된 흡액 시트(6)상에 적하한다. 입상물(5) 사이를 지나 저면부(23) 이면측의 아치부(29)로 이행한 동물의 뇨 등의 액체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의 아치를 따라서 아치부(29)끼리 연속함으로써 형성된 볼록부(30)에 효율적으로 모여, 큰 물방울(W)이 되어, 흡액 시트(6)상에 적하한다. 이 때문에, 배설된 뇨 등의 액체는 신속히 저면부(23)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한편, 종래의 것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부의 이면측에 본 발명과 같은 아치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면측으로 이행한 액체는 효율적으로 아래쪽으로 적하할 수 없고, 배설된 뇨 등의 액체가 저면부에 남을 우려가 있다. 또한, 액유도부(28)는 아치부(29)가 복수 연속한 것이기 때문에 액체는 저면부(23)의 이면측으로 이행할 때 이 액유도부(28)에 의해서 널리 분산되게 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액 시트(6)가 넓은 면적에 분산되어 액체가 떨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흡액 시트(6)의 액흡수 효율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평향되게 액체가 흡수되는 것에 의해 흡액 시트(6)의 어느 부분만이 포화상태가 되어, 흡액 시트(6)의 교환 시기를 짧게 하는 것이 방지된다.
저면부(23)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26)의 크기(즉, 인접하는 잔교(27 또는 27')끼리의 간격)은 저면부(23)의 상면에 흩뿌려 설치되는 입상물(5)의 최소 치수보다 짧은 치수이며, 입상물(5)이 개구부(26)로부터 아래쪽으로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예컨대, 직경 4∼8 mm의 입상물(5)을 사용하는 경우, 짧은 변 길이는 3 mm 정도로 설정한다. 입상물(5)이 직경 5 mm이고 길이 7 mm의 원주형의 경우는 짧은 변 길이를 4 mm 정도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26)의 크기는 짧은 변 길이 2∼6 mm, 긴 변 길이 3∼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은 사용하는 입상물(5)의 크기에 의해서 적절하게 선정하면 좋다. 또한, 개구부(26)의 개구 면적을 토탈한 개구 비율(이하, 개구율이라 칭한다)은 저면부(23)의 면적의 25∼50%, 바람직하게는 40∼45% 이다. 25%보다 적으면 고양이 등의 동물이 배설한 뇨 등의 액체가 저면부(23)를 통과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액체가 저면부(23)의 입상물(5)측으로 퍼져 입상물 전체를 더럽힐 우려가 있다. 또한, 50%보다 크면 저면부(23)의 강도가 낮아져 고양이 등의 동물이 올라갔을 때에 저면부(23)를 파손할 우려가 있다.
저면부(23)는 표면 젖음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젖음성을 가지면 뇨 등의 액체가 저면부(23)에 접촉하면 적절히 퍼져 액유도부(28)의 아치부(29)를 따라 아치부(29)끼리 연속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볼록부(30)(짧은 방향의 잔교(27)과 긴 방향의 잔교(27')이 교차하는 부분)에 모이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서, 액체가 효율적으로 저면부(23)로부터 아래쪽으로 적하하게 된다. 이 표면 젖음성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는 내전방지제나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저면부(23)의 개구부(26)를 형성하는 잔교(27, 27')의 표면에 도포하거나, 혹은, 성형할 때에 플라스틱의 원료내에 이겨 넣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저면부(23)는 본 실시예에서는 입상물 수납 용기(2)에 일체화된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별체로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측벽(22) 내측의 소정의 위치에 저면부(23)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잔교를 사주(四周)에 걸쳐 설치하고, 이 유지 잔교에 저면부(23)를 실어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서 저면부(23)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것만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흡액 시트 수용 용기(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부(33)와 바닥판 부(33)의 주연에 세워 설치하는 세방면의 측판부(32)와 전방 판부(31)로 구성되는 인출형의 상자체이다. 흡액 시트 수용 용기(3)는 입상물 수납 용기(2)와 같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외 플라스틱 재료,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을 성형 가공하여 형성된다. 흡액 시트 수용 용기(3)는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입상물 수납 용기(2)에 형성된 인출 개구(25)로부터 출납 가능한 인출체로 되어 있다. 도 3의 이점 파선은 흡액 시트 수용 용기(3)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전방 판부(31)는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인출 개구(25)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치수로서 흡액 시트 수용 용기(3)를 입상물 수납 용기(2)에 수납한 경우에 인출 개구(25)를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흡액 시트(6)에 흡수된 뇨의 냄새가 밖으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바닥판부(33)는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저면부(23)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흡액 시트 수용 용기(3)에 수용되는 흡액 시트(6)는 그 크기가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저면부(23)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치수인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면부(23)로부터 적하하는 뇨 등의 액체는 확실히 흡액 시트(6)의 위에 떨어져 흡수되게 된다.
커버(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대략 구형의 주연부 프레임(41)으로서, 상기 주연부 프레임(41)의 세방면에 벽체(42)가 세워 설치되고, 나머지 한쪽에 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커버 개구(43)가 형성된 프레임체이다. 커버(4)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외 플라스틱 재료,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을 성형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다. 주연부 프레임(41)은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상단부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상단부에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벽체(42)의 높이는 동물이 배설후에 분뇨에 발로 입상물(5)을 찬 경우에 이 입상물(5)이 밖으로 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동물이 출입구 이외로부터 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10 c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40 cm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화장실(1)은 커버(4)가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상부에 끼워 맞춰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 커버(4)는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입상물(5)로서는 최대 액흡수량이 자신의 중량의 0.3배 내지 4.0배, 단시간에서의 액흡수량이 자신의 중량의 0.1배 내지 1.5배이며, 단시간에서의 액흡수량이 최대 액흡수량의 20% 내지 70%이며, 액통과율이 70% 이상인 내수 실리카겔이 바람직하다. 이 입상물(5)의 입도는 4∼10 mm, 바람직하게는 5∼8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6∼8 mm로 조정된 원주형상 또는 구형인 것이다. 입도가 4 mm보다 작으면 입상물 사이의 공극이 작아지는 것, 표면적이 커지는 것,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저면부(23)의 개구부(26)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할 필요가 생기는 것 때문에 액통과율이 저하하여 입상물 수납 용기(2)내에 뇨가 많이 남게 되고, 냄새가 짧은 기간에 발생하여 버리는 원인이 된다. 한편, 10 mm보다 크면 고양이 등의 동물이 싫어하여 배뇨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분율도 4∼15%, 바람직하게는 5∼10%이다. 수분율이 4%보다도 낮으면 흡수 속도가 빨라지고, 액통과율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상물(5)을 사용함으로써 액통과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에 뇨 등의 액체가 남지 않고, 냄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흡수성이 있기 때문에 소량의 뇨의 물방울이 입상물 표면에 남는 일이 없어 위생적이고, 또한 보송보송한 감촉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변의 수분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변의 냄새도 저감되게 되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최대 흡수량은 입상물 100 g을 각각이 중첩되지 않는 사이즈의 메쉬 형상의 용기에 넣어, 생리식염수에 5분간 침수하고, 그 후, 용기를 끌어올려 여분의 수분을 충분히 없앤 후에, 입상물에 흡수되어 있는 액량을 측정하여 얻은 양이다. 또한, 단시간에서의 액흡수량은 동일하게 입상물 100 g을 각각이 중첩되지 않는 사이즈의 메쉬 형상의 용기에 넣어, 생리식염수에 3초간 침수하고, 그 후, 용기를 끌어올려 여분의 수분을 충분히 없앤 후에, 입상물에 흡수되어 있는 액량을 측정하여 얻은 양이다. 또한, 통과율은 폭 20 cm, 깊이 20 cm, 높이 5 cm의 하부가 개구율 50%로 설정한 용기(두께 5 mm, 개구부는 3×5 mm)에 입상물을 25 mm의 두께로 깔아, 생리식염수 20 ml를 뷰렛으로 5초간 적하하여, 상기 용기의 아래에 깐 흡액 시트가 흡수한 액량을 측정하여 얻은 값이다.
또한, 이 입상물(5)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수지나, 합성 제올라이트, 천연 제올라이트, 유리계 등의 무기계 재료로 형성된 외부 지름 치수가 2 mm 내지 4 mm 정도의 원주형상 또는 구형인 종래의 고양이모래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흡액 시트(6)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표면층(61)과, 액불투과성의 이면층(62)을 갖는다. 액투과성의 표면층(61)과 액불투과성의 이면층(62)과 의 사이에는 액흡수능을 갖는 상측 흡수층(63) 및 하측 흡수층(64)이 형성되어 있다. 액투과성의 표면층(61)은 백색이며, 액불투과성의 이면층(62)은 유색이다. 상측 흡수층(63)과 하측 흡수층(64)과의 사이에는 항균부(65)와 제균부(66)가 서로 접하여 형성된 항균 제균부(67)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흡수층(63) 및 하측 흡수층(64)은 모두 펄프 및 고흡수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상측 흡수층(63)과 액투과성의 표면층(61)에 의해서 상층 티슈(68)가 협지(挾持)되어 있고, 하측 흡수층(64)과 액불투과성의 이면층(62)에 의해서 하층 티슈(69)가 협지되어 있다. 상층 티슈(68) 및 하층 티슈(69)는 모두 백색이다. 그리고, 항균부(65)는, 예컨대, 양이온 계면활성제계의 항균제 『디데실디메틸암모늄아디페이트』 등의 항균성 부여 성분을 함유하여 형성되고, 제균부(66)는, 예컨대, pH 컨트롤제로서 안정성이 높은 시트르산 등의 제균성 부여 성분을 함유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흡액 시트(6)를 사용함으로써 뇨의 냄새나 부패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악취의 발생이 억제되는 동시에, 위생적이기 때문에 흡액 시트(6)의 교환 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흡액 시트(6)는 상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부직포나, 종이, 시트형으로 한 솜 등의 흡액 시트나, 흡수성 수지나, 실리카겔 등의 흡수성 물질, 분쇄 펄프 등의 통상에 사용되고 있는 동물용 흡액 시트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화장실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의 동물용 화장실(1)에 입상물 낙하 기구를 설치한 동물용 화장실(11)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12는 입상물 낙하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 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치수를 적절하게 조정해 둔다.
제2 실시형태의 동물용 화장실(11)은 전술한 도 1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상물 낙하 기구(7)를 설치한 것이다.
입상물 낙하 기구(7)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상물 수납 용기(2) 및 커버(4)의 전방(도면 중의 왼쪽 방향으로, 동물이 출입하는 쪽)에 커버(4)에 대하여 착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형태로 부착되어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4)의 3가지의 벽체 중, 마주 대하는 2개의 벽체(42)에 한 쌍의 결합용 구멍(44, 44')이 형성되는 동시에, 입상물 낙하 기구(7)의 입상물 제거 부재(71)에 한 쌍의 돌기(74, 74')가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그리고, 이 돌기(74, 74')를 커버(4)의 결합용 구멍(44, 44')에 감입함으로써 입상물 낙하 기구(7)가 커버(4)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부착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입상물 낙하 기구(7)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상물 제거 부재(71)와 상기 입상물 제거 부재(71)로 떨어진 모래(입상물)를 회수하는 입상물 회수 용기(72)로 구성된다. 그리고, 입상물 회수 용기(72)는 입상물 제거 부재(71)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입상물 낙하 기구(7)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외 플라스틱 재료,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판을 성형 가공하여 형성된다.
입상물 제거 부재(71)에는 하부에 상부판(73)이 설치되고, 상부판(73)에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73a)이 형성되어 메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73a)의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외 어느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그 배열도 메쉬형, 격자형 외 어느 하나의 배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더욱이, 그 크기도 고양이 등의 동물이 보행할 때에 관통 구멍(73a)에서 동물의 발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 이하이고, 입상물 등의 크기 이상이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5∼15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 정도이다.
또한, 입상물 회수 용기(72)에는 입상물 수납 용기(2)의 주연부 프레임(42)상에 올려놓도록 설치하는 평탄면부(75)와, 상기 평탄면부(75)에 연접하는 경사면부(76)가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부(75)의 일부는 입상물 수납 용기(2)에 흩뿌려 설치되어 있는 입상물(5)의 상면에 올려놓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입상물 제거 부재(71)와 입상물 회수 용기(72)는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출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입상물 낙하 기구(7)를 설치하면 동물이 배설한 후, 동물용 화장실(11)로부터 나올 때에 입상물 낙하 기구(7)의 입상물 제거 부재(71)에 올라가는 것에 의해 관통 구멍(73a)에 의해서 동물이 균형을 잡으려고 본능적으로 발가락을 개방하여, 동물의 발가락 사이나 주변에 부착된 입상물이 제거되어 아래쪽에 설치된 입상물 회수 용기(72)에 떨어지게 된다. 또한, 떨어진 입상물(5)은 입상물 회수 용기(72)의 경사면부(76)를 미끄러 떨어져 한쪽에 모아져 회수되게 되고, 입상물(5)이 방 안에 흩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화장실에 관해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물론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취지에 적합한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화장실은 입상물을 수납하는 입상물 수납 용기와, 뇨를 흡수하는 흡액 시트를 수용하는 흡액 시트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구조로 하여,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의 흡액 시트에 면하는 쪽에 복수의 연속 아치형의 액유도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고양이 등의 동물이 입상물 상에 배설한 뇨는 액통과성의 저면부를 통과하여 저면부의 이면측(흡액 시트에 대면하는 쪽)으로 이행하고, 저면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연속 아치형의 액유도부를 따라서 효율적으로 한데 모아져, 아래쪽에 설치된 흡액 시트상에 적하하여 흡수되게 된다. 또한, 흡액 시트는 입상물 수납 용기의 저면부에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흡액 시트에 흡수된 뇨 등의 액은 저면부로 반대로 되돌아가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입상물이 전체적으로 더러워질 우려가 없기 때문에 입상물의 교환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수고를 들이지 않고 쓰레기의 양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저면부를 입상물 수납 용기와 별체로 함으로써 화장실을 청소할 때에는 화장실 본체로부터 벗겨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청소시의 수고가 보다 간단해진다.
더욱이, 커버를 동물용 화장실에 병설함으로써 화장실 본체내에 출입할 때에 동물을 입상물 낙하 기구상에 유도하여, 부착된 입상물을 제거하게 할 수 있어, 동물에게 부착된 입상물에 의해서 방 안이 더럽혀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상물 낙하 기구는 화장실 본체와 별체인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화장실을 청소할 때에는 화장실 본체로부터 벗겨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여, 청결하게 하는 것이 번잡하지 않고, 그 수고도 저감된다.

Claims (12)

  1. 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개구와 입상물이 흩뿌려 설치되는 액통과성의 저면부를 구비한 입상물 수납 용기와,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곳에 흡액 시트가 배치되는 흡액 시트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는 상기 흡액 시트에 대면하는 측에 상방향으로 향하는 원호형의 아치부가 복수 연속하여 형성된 액유도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격자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입상물보다 작은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의해 저면부에서 차지하는 개구의 비율(개구율)은 상기 저면부의 면적의 2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는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액 시트는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의 면적보다도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액 시트 수용 용기는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의 아래쪽으로 출납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화장실은 인출체를 수납할 수 있는 인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흡액 시트 수용 용기가 인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화장실은 동물의 출입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화장실에서 입상물 낙하 기구가 상기 커버의 개구에 대면하는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 낙하 기구는 상부판이 메쉬 형상의 입상물 제거 부재와, 상기 입상물 제거 부재의 아래쪽에 설치된 입상물 회수 용기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액체가 상기 입상물의 사이를 통과하는 액통과율과 액흡수성을 지니고,
    최대 액흡수량이 자신의 중량의 0.3배 내지 4.0배이며, 3초당의 액흡수량이 상기 최대 액흡수량의 20% 내지 70%이며,
    액통과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액 시트는 항균성 및 제균성을 갖는 항균 제균부를 갖고 있거나, 혹은, 항균성을 구비하는 항균부 및 제균성을 구비하는 제균부의 양방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KR1020040045340A 2003-06-20 2004-06-18 동물용 화장실 KR100939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77386 2003-06-20
JP2003177386A JP3939272B2 (ja) 2003-06-20 2003-06-20 動物用トイ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944A Division KR101126418B1 (ko) 2003-06-20 2006-03-13 동물용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134A KR20040111134A (ko) 2004-12-31
KR100939744B1 true KR100939744B1 (ko) 2010-02-04

Family

ID=334110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340A KR100939744B1 (ko) 2003-06-20 2004-06-18 동물용 화장실
KR1020060022944A KR101126418B1 (ko) 2003-06-20 2006-03-13 동물용 변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944A KR101126418B1 (ko) 2003-06-20 2006-03-13 동물용 변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994054B2 (ko)
EP (2) EP1488691B1 (ko)
JP (1) JP3939272B2 (ko)
KR (2) KR100939744B1 (ko)
CN (2) CN100418407C (ko)
AU (1) AU2004202680B2 (ko)
DE (1) DE602004012455T2 (ko)
ES (1) ES2303310T3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078U (ko) 2016-02-24 2017-09-01 강명구 반려동물용 변기
KR20190034469A (ko) 2017-09-23 2019-04-02 이다준 간편청소 고양이 화장실
KR20220164236A (ko) 2021-06-04 2022-12-13 김경준 고양이 자동 화장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435A1 (ja) * 2004-09-02 2006-03-09 Kao Corporation ペット用トイレ
US20080060585A1 (en) * 2004-10-18 2008-03-13 Garfield Lynn E Integrated litter box containment system
US7610877B2 (en) * 2004-10-18 2009-11-03 Lynn Ellen Garfield Litter box containment system
US20070169715A1 (en) * 2004-12-13 2007-07-26 Innovive Inc. Containment systems and components for animal husbandry
US7913649B2 (en) * 2005-01-08 2011-03-29 Lecavalier Katherine Litter box safety guard
US20060185607A1 (en) * 2005-01-08 2006-08-24 Lecavalier Katherine Litter box safety guard
US20060236949A1 (en) * 2005-04-21 2006-10-26 Hills Home Services, Inc. Pet waste receptacle
US7954455B2 (en) 2005-06-14 2011-06-07 Innovive, Inc. Cage cover with filter, shield and nozzle receptacle
JP4447517B2 (ja) 2005-06-27 2010-04-07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US8181601B2 (en) * 2005-07-11 2012-05-22 Oliver Clemens Robert Kratzer Pet litter box
NZ542641A (en) * 2005-09-27 2008-06-30 Fmfs Holdings Ltd Toileting device for a domestic animal
JP2007174942A (ja) * 2005-12-27 2007-07-12 Kao Corp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
US20100043717A1 (en) * 2006-03-29 2010-02-25 Ernest Walker Litter containment and disposal apparatus
GB2440403B (en) * 2006-07-27 2010-12-01 Charlotte Leona Copley Cat litter apparatus
JP5265890B2 (ja) 2007-06-29 2013-08-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501557B2 (ja) 2007-06-29 2014-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362966B2 (ja) * 2007-06-29 2013-12-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416891B2 (ja) 2007-06-29 2014-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650364B2 (ja) * 2007-07-11 2015-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排泄物処理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US8887667B2 (en) 2008-08-28 2014-11-18 Sara Maguire Litter box having support elements which support litter above a floor having a drain located therein
AT507854A1 (de) 2009-01-15 2010-08-15 Johann Ing Mag Wilflingseder Haustiertoilette
US20100242849A1 (en) * 2009-03-31 2010-09-30 Brent Alexander Newton Pet bedding
CA2717831A1 (en) * 2009-09-15 2011-03-15 Patricia Ann Tierney Pet litter box
JP5563293B2 (ja) * 2009-12-28 2014-07-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システムトイレ及びそれに用いる液透過パネル
JP5752898B2 (ja) * 2010-06-25 2015-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犬用システムトイレ
FR2964013B1 (fr) * 2010-09-01 2013-12-20 Sanidome Canin Sarl Toilettes domestiques canines mixtes
US8622023B1 (en) * 2010-09-15 2014-01-07 Patricia Ann Tierney Pet litter box
CA2814085C (en) 2010-10-11 2019-11-26 Innovive, Inc. Rodent containment cag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CN201930145U (zh) * 2010-11-25 2011-08-17 芜湖悠派生活用品有限公司 一次性超薄宠物尿片
CA2731737A1 (en) * 2011-02-14 2012-08-14 Patrick Beaudoin Animal litter
JP5379180B2 (ja) * 2011-03-31 2013-12-25 さおり 木村 ペット用トイレ
US9374977B2 (en) 2011-06-21 2016-06-28 Litter One, Llc Disposable and biodegradable litter system for animals
JP5943564B2 (ja) * 2011-07-13 2016-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便器
WO2013054836A1 (ja) * 2011-10-14 2013-04-18 花王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JP5899023B2 (ja) * 2012-03-29 2016-04-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動物用トイレ
JP6108450B2 (ja) * 2013-03-29 2017-04-05 大王製紙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US9750224B2 (en) * 2013-04-05 2017-09-05 Todd Kupka Pet training apparatus and waste receptacle
US20140318469A1 (en) * 2013-04-26 2014-10-30 Kevin Wade Beasley Indoor kennel
JP6173145B2 (ja) * 2013-06-06 2017-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CA2916310C (en) 2013-07-01 2022-04-19 Innovive, Inc. Cage rack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US9713315B2 (en) * 2013-11-02 2017-07-25 Robert Sweetman Reconfigurable cat litter bo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5159782A (ja) * 2014-02-28 2015-09-07 紀代子 大泉 小動物用トイレおよび排泄物処理用チップ体
US10842124B2 (en) 2014-07-25 2020-11-24 Innovive, Inc. Animal containment enrich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JP6275016B2 (ja) * 2014-10-31 2018-0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シートのカバー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ペット用トイレ
JP1537340S (ko) * 2015-02-27 2015-11-09
JP1531270S (ko) * 2015-02-27 2015-08-17
CA2930480A1 (en) * 2015-05-26 2016-11-26 Life-Science Innovations, Llc Stackable poultry container system and method
JP6482982B2 (ja) * 2015-07-31 2019-03-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USD804111S1 (en) 2015-09-28 2017-11-28 Litter One, Llc Biodegradable false bottom for litter box
USD782133S1 (en) * 2016-02-25 2017-03-21 Doskocil Manufacturing Company, Inc. Litter container
JP6684111B2 (ja) * 2016-02-29 2020-04-22 シャープ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US10820568B2 (en) 2016-10-28 2020-11-03 Innovive, Inc. Metabolic caging
JP6754287B2 (ja) * 2016-12-05 2020-09-09 花王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USD867689S1 (en) * 2017-07-20 2019-11-19 Doskocil Manufacturing Company, Inc. Litter pan
USD850029S1 (en) * 2017-08-23 2019-05-28 ModProducts, LLC Litter box
JP6706275B2 (ja) * 2018-02-28 2020-06-03 進展工業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CN108450342B (zh) * 2018-03-19 2020-12-29 宁波新禾休闲用品有限公司 一种应用于猫厕所中的盖体以及猫厕所
US11000007B2 (en) 2018-06-08 2021-05-11 Radio Systems Corporation Pet litter box
JP6854539B2 (ja) * 2018-08-03 2021-04-07 第一衛材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6704021B2 (ja) * 2018-08-08 2020-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USD870988S1 (en) 2018-10-18 2019-12-24 ModProducts, LLC Litter box
USD915693S1 (en) 2018-11-21 2021-04-06 Barth S. White Pet toilet
USD896450S1 (en) 2018-11-21 2020-09-15 Barth S White Pet toilet
JP6560468B1 (ja) * 2019-01-30 2019-08-14 株式会社ハチたま 動物用トイレ使用状況管理システム
EP3941190A4 (en) * 2019-03-20 2022-12-07 Four Paws Products, Ltd. DISPOSABLE ABSORBENT PAD AND METHOD OF DISPOSAL THEREOF
US11129356B2 (en) 2019-08-07 2021-09-28 David Klatt Nestable cat litter box
AU2020340241B2 (en) 2019-08-23 2023-11-23 Simply Paws Design, LLC Animal litter and litter box system
JP2021170997A (ja) * 2020-04-27 2021-11-01 株式会社大貴 動物用トイレ
KR102444829B1 (ko) 2020-05-18 2022-09-21 손명재 고양이 화장실
CN111516978B (zh) * 2020-05-30 2021-11-30 杨小杰 一种泌尿科用标本保存及检验装置
USD925838S1 (en) * 2020-09-17 2021-07-20 Shenzhen Chichenyun Network Technology Co., Ltd Pet enclosure
JP2022068900A (ja) * 2020-10-23 2022-05-11 株式会社大貴 動物用トイレ
USD963964S1 (en) * 2020-12-18 2022-09-13 Alia Short Litter box with pour spout and handles
US11793155B2 (en) 2021-12-10 2023-10-24 Kathy RUSCH Cat litter box system
KR20230143425A (ko) 2022-04-05 2023-10-12 주식회사 어바웃펫 반려동물 화장실
KR102534462B1 (ko) 2022-07-04 2023-05-18 박태룡 고양이 화장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484A (ja) * 1989-08-11 1991-04-12 Thomson Consumer Electron Inc テレビジョン装置用のスタンバイ/ラン組合せ電源と制御回路
JPH10229768A (ja) * 1997-02-18 1998-09-02 Uni Charm Corp ペット用トイレ
US20010009142A1 (en) 2000-01-14 2001-07-26 Kazuya Otsuji Absorbent mat for excreta treatment
JP2002034380A (ja) 2000-07-27 2002-02-05 Yoshiaki Yoshida 猫トイレ用猫の足の砂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8865A (en) * 1972-11-21 1974-06-25 S Sinclair Animal commode
FR2501963A1 (fr) * 1981-03-23 1982-09-24 Jobert Claude Litiere complete pour chats prete a l'emploi, jetable et son conditionnement
US4444148A (en) * 1981-08-24 1984-04-24 Cattus Limited Waste receptacles having odor barriers
US5184574A (en) * 1990-12-20 1993-02-09 Kirk Robert C Cat litter box
US5329879A (en) * 1991-11-18 1994-07-19 Walton Robert W Cat waste elimination system including anti-litter spreading and containment device and also including a device allowing walking kittens to safely enter a kitty litter box
US5353743A (en) * 1991-11-18 1994-10-11 Walton Robert W Urine collection device for pet animals
US5289800A (en) * 1991-11-18 1994-03-01 Walton Robert W Waste odor eliminator cover for a cat waste box
US5193488A (en) * 1991-11-18 1993-03-16 Walton Robert W Cat waste elimination system
US5293837A (en) * 1993-05-12 1994-03-15 Caldwell J Dean Litter box having shelf formed in side wall thereof supporting fine and coarse grid assembly
JP2766632B2 (ja) 1996-04-01 1998-06-18 ジョンソン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小動物用トイレ砂
IL118829A (en) * 1996-07-10 2001-08-08 Pets N People Ltd Litter apparatus
US5816195A (en) * 1997-02-03 1998-10-06 Flynn; John Debris containment system for use by animals and related method
US6109212A (en) * 1997-10-02 2000-08-29 Schacherbauer; Josephine Adjustable cat litter box accessory
US5983831A (en) * 1998-04-16 1999-11-16 Thompson; Nicole L. Cat litter box cleaning system
US6332429B1 (en) * 1999-03-04 2001-12-25 Theodore International Corporation Pet litter container
AU2001238281A1 (en) * 2000-02-16 2001-08-27 Shinobu Kobayashi Sanitary pet path
US6237534B1 (en) * 2000-06-15 2001-05-29 David Schwartz Litter box assembly
JP3824887B2 (ja) * 2000-06-28 2006-09-20 和子 山本 ペット用トイレ
CA2359247A1 (en) * 2001-10-18 2003-04-18 Vincent S. Thompson Multi purpose house for pets
US6510814B1 (en) * 2001-10-25 2003-01-28 Maria Vargas Cat litter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JP3804772B2 (ja) * 2001-12-21 2006-08-02 花王株式会社 ペット用排泄物処理具
JP3088484U (ja) * 2002-03-08 2002-09-13 圭子 松岡 固まらない粒状物を使用する為のペット用便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484A (ja) * 1989-08-11 1991-04-12 Thomson Consumer Electron Inc テレビジョン装置用のスタンバイ/ラン組合せ電源と制御回路
JPH10229768A (ja) * 1997-02-18 1998-09-02 Uni Charm Corp ペット用トイレ
US20010009142A1 (en) 2000-01-14 2001-07-26 Kazuya Otsuji Absorbent mat for excreta treatment
JP2002034380A (ja) 2000-07-27 2002-02-05 Yoshiaki Yoshida 猫トイレ用猫の足の砂除去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078U (ko) 2016-02-24 2017-09-01 강명구 반려동물용 변기
KR20190034469A (ko) 2017-09-23 2019-04-02 이다준 간편청소 고양이 화장실
KR20220164236A (ko) 2021-06-04 2022-12-13 김경준 고양이 자동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12455D1 (de) 2008-04-24
JP2005006605A (ja) 2005-01-13
ES2303310T3 (es) 2008-08-01
CN100455185C (zh) 2009-01-28
EP1719405A3 (en) 2006-11-15
EP1488691A2 (en) 2004-12-22
US6994054B2 (en) 2006-02-07
CN1839682A (zh) 2006-10-04
CN100418407C (zh) 2008-09-17
US20060124068A1 (en) 2006-06-15
CN1640246A (zh) 2005-07-20
JP3939272B2 (ja) 2007-07-04
EP1488691A3 (en) 2006-11-15
AU2004202680B2 (en) 2010-12-16
US7131396B2 (en) 2006-11-07
AU2004202680A1 (en) 2005-01-13
EP1719405B1 (en) 2008-03-12
KR20040111134A (ko) 2004-12-31
KR101126418B1 (ko) 2012-03-28
US20040261727A1 (en) 2004-12-30
KR20060036067A (ko) 2006-04-27
EP1488691B1 (en) 2012-01-25
DE602004012455T2 (de) 2009-04-23
EP1719405A2 (en)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744B1 (ko) 동물용 화장실
KR101090604B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060136312A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JP3708272B2 (ja) ペット用トイレ
JP3981123B2 (ja) ペット用トイレ
JP4455604B2 (ja) 動物用トイレ
JP3676787B2 (ja)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こ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KR100751225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CA3147445A1 (en) Animal litter and litter box system
KR20120096572A (ko)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 및 그에 이용되는 액체 투과 패널
JP2006101890A (ja) 動物用トイレ
JP3939211B2 (ja) ペット用トイレ
US20040163604A1 (en) Animal litter system
JP2001037363A (ja) ペット用運動装置
KR200349850Y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JPH10225243A (ja) ペット用トイレ
WO2024079978A1 (ja) 動物用トイレ
JP2005110691A (ja)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こ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JP3224824U (ja) ペット用トイレに用いる篩
JP2005237385A (ja)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こ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AU2006200718B2 (en) Animal toilet
KR20220077164A (ko) 자동 물세척 배변판
JPH01144911A (ja) 愛玩動物用の便器
KR20240050357A (ko) 동물용 흡수성 시트, 및, 동물용 화장실
KR20050087310A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