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357A - 동물용 흡수성 시트, 및, 동물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동물용 흡수성 시트, 및, 동물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357A
KR20240050357A KR1020247007480A KR20247007480A KR20240050357A KR 20240050357 A KR20240050357 A KR 20240050357A KR 1020247007480 A KR1020247007480 A KR 1020247007480A KR 20247007480 A KR20247007480 A KR 20247007480A KR 20240050357 A KR20240050357 A KR 20240050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animals
antibacterial agent
thicknes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야마모토
요시타카 슈토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4005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3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동물용 화장실(1)에 이용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40)에 있어서, 표면 시트(41)와 이면 시트(42)와 흡수체(50)를 가지고, 흡수체(50)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제 1 흡수층(51)과, 제 1 흡수층(51)보다도 두께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며, 액체 흡수성 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된 제 2 흡수층(52)을 가지고, 제 1 흡수층(51)은 항균제(60)를 포함하며, 제 1 흡수층(51)의 두께 방향의 일방측의 부위쪽이, 제 1 흡수층(51)의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항균제(60)의 밀도가 높은 것.

Description

동물용 흡수성 시트, 및, 동물용 화장실
본 발명은, 동물용 흡수성 시트, 및, 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고양이 등의 동물이 사용하는 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 배설물 받이부와, 배설물 받이부의 하측에 배치된 시트 수용부를 가지는 화장실이 알려져 있다. 배설물 받이부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공공(空孔)이 마련되며, 배설물로서의 체액(體液)은 공공을 통과하여, 시트 수용부로 유도된다. 시트 수용부에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가 수용되며, 체액은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흡수, 보지(保持)된다.
특허문헌 1에는, 투액성(透液性)의 표면 시트와, 불(不)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그들의 사이에 마련된 흡수체를 가지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흡수체(흡수성 코어)로서는, 펄프를 함유하는 상측 펄프층과, 상측 펄프층보다도 이면 시트측에 배치되며, 펄프를 함유하는 하측 펄프층을 가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20-188698호 공보
특허문헌 1에는, 상측 펄프층과 하측 펄프층의 사이에 분체상(粉體狀)의 항균제가 배치되어도 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처럼 함으로써, 체액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항균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흡수성 시트에 의해 보지하는 체액의 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측 펄프층의 펄프 섬유 사이에 체액이 남기 쉬우며, 그 체액에 항균제가 접촉하기 어렵다. 특히, 동물용 화장실에 사용되는 흡수성 시트는, 1주일 정도의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된다. 그 때문에, 상측 펄프층에서 균이 증식하여, 흡수성 시트에서 냄새가 발생하기 쉬워져 버린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흡수성 코어를 덮는 커버 시트와 표면 시트의 사이에 항균제가 배치되어도 된다고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초기에 배설되어서 상측 펄프층의 펄프 섬유 사이에 남은 체액에 많은 항균제가 접촉하여 사용되어, 후에 배설된 체액에 항균제가 접촉하기 어려워져, 흡수성 시트에서 냄새가 발생하기 쉬워져 버린다. 한편, 후에 배설된 체액도 항균제가 접촉하도록, 커버 시트와 표면 시트의 사이에 많은 항균제를 배치해버리면, 항균제에 의해 체액의 흡수 저해가 발생해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표면 시트의 가까이에 많은 항균제를 배치하면, 사용자(사육주 등)가 흡수성 시트를 화장실에 설치할 때에, 항균제로 유저의 손을 자극해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배설액의 냄새가 발생하기 어려우며, 배설액의 흡수성이 확보되고, 또한, 안전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 및, 당해 동물용 흡수성 시트를 설치 가능한 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바닥부에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상측 용기와,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과한 배설액을 받는 하측 용기를 가지는 동물용 화장실에 이용되며, 상기 하측 용기에 설치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액(液)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상기 동물용 흡수성 시트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가지고, 상기 흡수체는, 고(高)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제 1 흡수층과,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층보다도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며, 액체 흡수성 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된 제 2 흡수층을 가지고, 상기 제 1 흡수층은, 항균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일방측의 부위쪽이, 상기 제 1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상기 항균제의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확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설액의 냄새가 발생하기 어려우며, 배설액의 흡수성이 확보되고, 또한, 안전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 및, 당해 동물용 흡수성 시트를 설치 가능한 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동물용 화장실(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동물용 화장실(1)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은 동물용 흡수성 시트(4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A-A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표면 시트(41)에 있어서의 섬유 구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흡수성 시트(40)의 평면도이며, 도 6b는 동물용 화장실(1)이 구비하는 트레이(21)의 평면도이며, 도 6c는 상측 용기(10)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흡수성 시트(40)가 설치된 동물용 화장실(1)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하게 된다.
바닥부에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상측 용기와,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과한 배설액을 받는 하측 용기를 가지는 동물용 화장실에 이용되며, 상기 하측 용기에 설치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상기 동물용 흡수성 시트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가지고, 상기 흡수체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제 1 흡수층과,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층보다도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며, 액체 흡수성 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된 제 2 흡수층을 가지고, 상기 제 1 흡수층은, 항균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일방측의 부위쪽이, 상기 제 1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상기 항균제의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의 경계부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확산하고, 또한, 자유수(自由水)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보다 많은 항균제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액에 있어서의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흡수층의 표면측의 부위에 배치하는 항균제의 양을 적게 함으로써, 항균제에 의한 흡수 저해를 억제할 수 있어, 흡수성 시트의 흡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측으로의 항균제의 배어나옴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하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수층은,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제 2 흡수층이 가지는 액체 흡수성 섬유의 사이에 있어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항균제와 접촉할 수 있어,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측의 부위쪽이, 상기 제 2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일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상기 항균제의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의 경계부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확산하고, 또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보다 많은 항균제와 접촉할 수 있어,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흡수층의 이면측의 부위까지 침투해오는 배설액의 양은 적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항균제가 배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층이 포함하는 상기 항균제와, 상기 제 2 흡수층이 포함하는 상기 항균제 중 적어도 일방은 수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배설액이 항균제와 접촉하면, 배설액 내에 항균제가 용출(溶出)하여, 배설액 전체에 항균 작용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배설액에 대한 항균 효과가 높아져,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흡수성 시트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제 1 흡수층의 사이에, 액투과성의 중간 시트를 가지며, 상기 중간 시트의 이면에, 상기 제 1 흡수층이 가지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에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고흡수성 폴리머에 흡수되어 적어진다. 따라서, 표면 시트의 배설액에 있어서의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표면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흡수성 시트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제 1 흡수층의 사이에, 액투과성의 중간 시트를 가지며, 상기 중간 시트는,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중간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에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항균제와 접촉할 수 있어, 중간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흡수성 시트는, 상기 제 2 흡수층과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액투과성의 다른 중간 시트를 가지며, 상기 다른 중간 시트는,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다른 중간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에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항균제와 접촉할 수 있어, 다른 중간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평량을 28g/㎡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흡수층이 흡수한 배설액의 색이 표면 시트를 개재하여 시인되기 어려워(배설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색에 가깝게 되어), 유저가 배설액의 냄새를 의식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에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항균제와 접촉할 수 있어, 표면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측의 부위쪽이,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일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상기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표면 시트의 표면측에 있어서 배설액이 확산하고, 평면 방향으로 확산한 많은 배설액이 제 1 흡수층의 항균제와 접촉할 수 있어,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측의 부위쪽이,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일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상기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밀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표면 시트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하여 배설액이 재빠르게 침투하기 쉬우며, 그에 수반하여, 배설액이 제 1 흡수층(51)으로 이행되기 쉬워, 고흡수성 폴리머에 흡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사이에서, 자유수의 상태로 남는 배설액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표면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층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겹쳐진 부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보다 많은 배설액이 제 1 흡수층의 고흡수성 폴리머에 흡수 보지되어, 제 2 흡수층의 섬유 사이 등에 남는 배설액(자유수)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층은, 수감수성(水感受性)의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배설액이 제 1 흡수층에 침투하여, 수감수성의 향료와 접촉함으로써, 향료가 방출된다. 따라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배설된 배설액의 냄새를 향료에 의해 마스킹할 수 있어, 유저가 배설액의 냄새를 느끼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측의 부위쪽이, 상기 제 1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상기 항균제의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이러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의하면, 제 2 흡수층의 표면측(타방측)의 부위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확산하고, 또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보다 많은 항균제와 접촉할 수 있어,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흡수층의 표면측의 부위에 배치하는 항균제의 양을 적게 함으로써, 항균제에 의한 흡수 저해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표면 시트측으로의 항균제의 배어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를 설치 가능한 상기 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상측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이 마련된 영역의 면적은, 상기 동물용 흡수성 시트를 상기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흡수체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이러한 동물용 화장실에 의하면, 동물용 흡수성 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복수의 구멍이 마련된 영역의 전역(全域)이, 동물용 흡수성 시트의 흡수체와 겹치기 쉬워진다. 고로, 복수의 구멍을 통과한 배설액을, 항균제를 포함하는 흡수체에서 받을 수 있어, 동물용 화장실에 배설된 배설액에 의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및, 당해 동물용 흡수성 시트를 설치 가능한 동물용 화장실은, 예를 들면 실내에서 길러지는 고양이 등의 동물이 사용하는 것이다. 「동물」에는, 고양이, 개, 토끼, 햄스터 등의 소위 펫뿐만 아니라, 호랑이나 사자의 새끼 등도 포함된다.
<<동물용 화장실(1)의 기본 구성>>>
도 1은, 동물용 화장실(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동물용 화장실(1)의 분해 측면도이다. 동물용 화장실(1)은,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가진다. 전후 방향은, 동물용 화장실(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이며, 동물의 출입구가 마련되는 측을 전측으로 한다. 좌우 방향은, 동물용 화장실(1)의 폭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상하 방향은, 연직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동물용 화장실(1)은, 상측 용기(10)와, 하측 용기(20)와, 커버(30)를 가진다. 하측 용기(20)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40)를 설치 가능한 트레이(21)를 가진다. 이들 4개의 부재는, 서로 분해·조립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상측 용기(10)는, 상방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의 부재이며, 동물은 상측 용기(10)의 바닥부(11)의 상면에 배설을 행한다. 바닥부(11)는, 동물이 배설한 요(尿) 등의 배설액을 하방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구멍(12)(바닥부(1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한다.
동물용 화장실(1)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측 용기(10)의 바닥부(11)에 고양이 모래 등의 입상물(粒狀物)(예를 들면, 제올라이트나 실리카겔, 펄프, 목재 등의, 소취 효과나 항균 효과를 가지는 입상물)을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상측 용기(10)의 바닥부(11)에는(후술의 도 6c를 참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 형상인 구멍(12)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복수 늘어서 있지만, 구멍(12)의 형상, 수, 크기, 배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상기의 입상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형상, 및,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입상물을 설치하지 않고 동물용 화장실(1)을 사용하여도 된다.
하측 용기(20)는, 상방이 개구된 대략 상자형의 부재이다. 동물용 화장실(1)의 사용 시에는, 하측 용기(20)는 상측 용기(10)의 하방으로 겹쳐서 조립되며, 상측 용기(10)를 지지한다. 하측 용기(20)는, 트레이(21)와, 트레이 수용부(22)를 가진다. 트레이(21)는, 하측 용기(20) 전벽부(23)의 하방에 마련된 개구부(23L)로부터, 전후 방향의 후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도 2의 파선부로 나타내어지는 트레이 수용부(22)에 수용된다. 트레이(21)는, 바닥이 얕은 평탄한 상자형 용기이며, 동물용 흡수성 시트(40)가 설치되는 시트 수용부(21R)를 가진다. 또한, 하측 용기(20)는 트레이(21)를 가지는 것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동물용 흡수성 시트(40)가 하측 용기(20)의 바닥부에 직접 설치되어도 된다.
커버(30)는, 개구부(31)와, 벽부(32)를 가진다. 상측 용기(10)의 상방에 커버(30)가 조립되면, 벽부(32)는, 상측 용기(10)의 좌우 양측부 및 후방부로부터 벽처럼 입설(立設)한다. 커버(30)에 의해, 배설물이나 고양이 모래 등의 입상물의 비산(飛散)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동물용 화장실(1)은 커버(30)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고양이 등의 동물은, 커버(30)의 개구부(31)로부터 동물용 화장실(1) 내에 진입하여, 상측 용기(10)의 바닥부(11) 상, 또는, 바닥부(11) 상에 설치된 고양이 모래 등의 입상물 상에 올라, 배설을 행한다. 요 등의 배설액은, 상측 용기(10)의 바닥부(11)가 구비하는 복수의 구멍(12)을 통과하여 하측 용기(20)에 낙하한다. 그리고, 배설액은, 하측 용기(20)의 트레이(21)에 설치되어 있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40)에 의해 흡수되어, 트레이(21) 내에 저류된다. 사용자(동물의 사육주 등)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40)를 정기적으로 교환함으로써, 동물용 화장실(1)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동물용 흡수성 시트(40)에 대하여>>
도 3은, 동물용 흡수성 시트(40)(이하, 「흡수성 시트」라고도 칭한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A-A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표면 시트(41)에 있어서의 섬유 구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흡수성 시트(4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 형상의 시트 부재이며,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동물의 배설물을 받는 배설면측(타방측)을 표면측이라고도 칭하고, 그 반대측인 비(非)배설면측(일방측)을 이면측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흡수성 시트(40)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수성 시트(40)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41)와, 흡수성 시트(4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면 시트(41)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42)와, 표면 시트(41)와 이면 시트(42)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50)를 가진다. 표면 시트(41)로서는, 부직포(예를 들면 에어스루 부직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면 시트(42)로서는, 수지 필름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흡수체(50)는, 표면 시트(41) 및 이면 시트(42)에 비하여, 평면 형상이 한층 작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0)보다도 외측의, 흡수성 시트(40)의 주연부(周緣部)에는, 표면 시트(41)와 이면 시트(42)가 접합된 접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43)에 있어서의 접합 방법으로서는, 접착제나 용착 등에 의한 접합을 예시할 수 있다. 접합부(43)에 의해 배설액의 배어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0)는, 제 1 흡수층(51)과,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1 흡수층(51)보다도 이면측에 위치하는 제 2 흡수층(52)과, 제 1 흡수층(51) 및 제 2 흡수층(52)을 덮는 커버 시트(53)를 가진다. 제 1 흡수층(51)은, 고흡수성 폴리머(50S)를 가진다. 제 2 흡수층(52)은, 액체 흡수성 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50S)가 포함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흡수성 섬유는 펄프 섬유(50P)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액체 흡수성 섬유는, 레이온 섬유나 코튼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섬유를, 단독 또는 조합시킨 것 등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흡수층(51)과 제 2 흡수층(52)을 합쳐서 「흡수층(51,52)」이라고도 칭한다.
커버 시트(53)는, 티슈나 부직포 등의 액투과성의 시트이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 시트(53)는, 제 1 흡수층(51)의 표면을 덮는 제 1 커버 시트(531)와, 제 2 흡수층(52)의 이면을 덮는 제 2 커버 시트(532)를 가진다. 또한, 제 2 커버 시트(532)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는, 흡수층(51,52)의 길이 방향의 측연(側緣)을 덮으면서, 제 1 커버 시트(531)의 표면 상에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져 있다. 단, 커버 시트(53)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 2 커버 시트(532)의 길이 방향의 단부가 표면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지 않아도 되고, 1매의 커버 시트로 흡수층(51,52)을 덮는 구성(즉 중간 시트와 다른 중간 시트가 1매의 시트인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흡수층(51,52)이 커버 시트로 덮여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시트(40)는, 동물용 화장실(1)에 설치되며, 1주일 정도의, 비교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며, 동물이 반복 배설을 행한다. 그 때문에, 흡수층(51,52)은, 1000g/㎡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g/㎡ 이상의 보수력(保水力)을 가지면 된다.
또한, 흡수성 시트(40)가 장기간에 걸쳐 사용됨으로써, 흡수성 시트(40)가 흡수한 배설액에 있어서 세균이 증식하기 쉬우며, 증식한 세균에 의해 배설액의 성분이 분해되어서, 냄새(악취)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고흡수성 폴리머(50S)에 보지되어 있지 않고, 펄프 섬유(50P)의 사이 등에 존재하는 배설액, 즉, 자유수의 상태인 배설액(자유롭게 움직이는 배설액)에 있어서, 세균이 증식하여, 냄새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제 1 흡수층(51)은 항균제(60)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추가로, 제 1 흡수층(51)의 두께 방향의 이면측(비배설면측)의 부위(51B)쪽이, 제 1 흡수층(51)의 두께 방향의 표면측(배설면측)의 부위(51S)에 비하여, 항균제(60)의 밀도(g/㎥)가 높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흡수층(51)을 두께 방향으로 이분하였을 때에, 표면측의 부위(51S)에 마련되어 있는 항균제(60)의 중량(g)보다도, 이면측의 부위(51B)에 마련되어 있는 항균제(60)의 중량(g)쪽이 많게 되어 있다.
제 1 흡수층(51)에서는, 배설액이 고흡수성 폴리머(50S)에 재빠르게 흡수 보지된다. 한편, 제 2 흡수층(52)은 펄프 섬유(50P)를 가지기 때문에, 제 1 흡수층(51)과 제 2 흡수층(52)의 경계부에 있어서, 배설액은 평면 방향으로 확산하기 쉽다. 따라서, 흡수체(50)를 평면 방향의 광범위에 걸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단, 펄프 섬유(50P)의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배설액은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기 쉬워, 세균의 증식에 의해 냄새가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제 1 흡수층(51)의 이면측의 부위(51B), 즉, 제 1 흡수층(51)과 제 2 흡수층(52)의 경계부에, 보다 많은 항균제(60)를 배치하면 된다. 그처럼 함으로써, 제 1 흡수층(51)과 제 2 흡수층(52)의 경계부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확산하고, 또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보다 많은 항균제(6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액에 있어서의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흡수성 시트(40)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시트(40)에 반복 배설이 행해짐에 따라, 배설액은, 흡수층(51,52)의 내부로 침투해 간다. 그 때문에, 제 1 흡수층(51)의 이면측의 부위(51B)에 많은 항균제(60)를 배치함으로써, 반복 배설되어서 흡수층(51,52)의 내부로 침투해 온 배설액이, 많은 항균제(60)와 접촉할 수 있다. 고로, 항균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어, 흡수성 시트(40)는 동물용 화장실(1)에 설치되는 흡수성 시트에 적합하다.
한편, 항균제(60)에 의해 배설액의 흡수 저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제 1 흡수층(51)의 표면측의 부위(51S)에 배치하는 항균제(60)의 양을 적게 함으로써, 반복 배설된 배설액을, 흡수층(51,52)의 내부로 침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시트(40)의 흡수성(흡수 가능량)을 확보할 수 있어, 동물용 화장실(1)에 설치하여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흡수층(51)의 표면측의 부위(51S)에 배치하는 항균제(60)의 양을 적게 함으로써, 표면 시트(41)측으로의 항균제(60)의 배어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동물용 화장실(1)에 흡수성 시트(40)를 설치할 때 등, 흡수성 시트(40)에 접촉하였을 때도, 항균제(60)로 유저를 자극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시트(40)는, 배설액의 냄새가 발생하기 어려우며, 배설액의 흡수성이 확보되고, 또한, 안전한 동물용 흡수성 시트이다.
또한, 제 1 흡수층(51)은, 고흡수성 폴리머(50S)로 구성되며, 펄프 섬유(50P)(액체 흡수성 섬유)를 가지지 않는다. 또한, 제 1 흡수층(51)은 펄프 섬유(50P)를 실질적으로 가지지 않는 것으로 하고 제 1 흡수층(51)에 섞여든 미량의 펄프 섬유(50P)는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제 1 흡수층(51), 특히, 제 2 흡수층(52)의 펄프 섬유(50P)와 접촉하지 않는 표면측의 부위(51S)에서는, 배설액이, 고흡수성 폴리머(50P)에 흡수 보지되어,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기 어렵다. 즉, 제 1 흡수층(51)의 표면측의 부위(51S)에서는, 배설액에서 세균이 증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면측의 부위(51B) 정도로 많은 항균제(60)를 배치하지 않더라도,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흡수층(51)뿐만 아니라, 제 2 흡수층(52)도 항균제(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처럼 함으로써, 제 2 흡수층(52)이 가지는 펄프 섬유(50P)의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항균제(6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액에 있어서의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흡수성 시트(40)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흡수층(52)의 두께 방향의 표면측의 부위쪽이, 제 2 흡수층(52)의 두께 방향의 이면측의 부위에 비하여, 항균제(60)의 밀도가 높으면 된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흡수층(52)을 두께 방향으로 이분하였을 때에, 표면측의 부위(52S)에 마련되어 있는 항균제(60)의 중량(g)쪽이, 이면측의 부위(52B)에 마련되어 있는 항균제(60)의 중량(g)보다도 많게 되어 있으면 된다.
그처럼 함으로써, 제 1 흡수층(51)과 제 2 흡수층(52)의 경계부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확산하고, 또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보다 많은 항균제(6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액에 있어서의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흡수성 시트(40)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복 배설되어서 흡수층(51,52)의 내부로 침투해 온 배설액이, 제 2 흡수층(52)의 표면측에 배치된 많은 항균제(60)와 접촉할 수 있다. 고로, 흡수성 시트(40)의 항균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된다.
한편, 제 2 흡수층(52)의 이면측의 부위(52B)쪽이, 표면측의 부위(52S)에 비하여, 침투해오는 배설액의 양이 적다. 그 때문에, 제 2 흡수층(52)의 이면측의 부위(52B)에, 필요 이상으로 항균제(60)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흡수층(52)의 두께 방향의 표면측의 부위(52S)쪽이, 제 1 흡수층(51)의 두께 방향의 표면측의 부위(51S)에 비하여, 항균제(60)의 밀도가 높게 되어 있으면 된다. 이 경우에도, 제 2 흡수층(52)의 표면측의 부위(52S)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확산하고, 또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보다 많은 항균제(60)와 접촉할 수 있어, 흡수성 시트(40)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복 배설되어서 제 2 흡수층(52)에 침투해 온 배설액이, 많은 항균제(60)와 접촉할 수 있어, 항균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된다. 한편, 항균제(60)에 의해 배설액의 흡수 저해가 발생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표면 시트(41)측으로의 항균제(60)의 배어나옴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표면 시트(41)와 제 1 흡수층(5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커버 시트(531)(중간 시트)도, 항균제(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처럼 함으로써, 제 1 커버 시트(531)가 흡수한 배설액, 즉, 제 1 커버 시트(531)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에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항균제(6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커버 시트(531)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흡수층(52)과 이면 시트(4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커버 시트(532)(다른 중간 시트)도, 항균제(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처럼 함으로써, 제 2 커버 시트(532)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나, 제 2 흡수층(52)과 이면 시트(42)의 사이에 있어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항균제(6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시트(40)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시트(40)에서는, 제 1 흡수층(51)의 이면측의 부위(51B)로부터 제 1 커버 시트(531)에 걸쳐 항균제(6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흡수층(51)에서는, 두께 방향의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항균제(60)의 밀도가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흡수층(52)의 표면측의 부위(52S)로부터 제 2 커버 시트(532)에 걸쳐 항균제(6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흡수층(52)에서는, 두께 방향의 이면측을 향함에 따라 항균제(60)의 밀도가 작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흡수성 시트(40)는, 예를 들면, 제 2 커버 시트(532) 상에, 제 2 흡수층(52)을 적층한 후에, 항균제(60)를 용해시킨 액체를 도공하고, 그 후, 제 1 흡수층(51) 및 제 1 커버 시트(531)를 적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자재를 적층하는 순서나, 항균제(60)를 도공하는 순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흡수층(51)과 제 2 흡수층(52)의 사이에 항균제(60)를 도공하면 된다. 단, 항균제(60)의 배치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2 흡수층(52)이나 커버 시트(53)는 항균제(60)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흡수성 시트(4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항균제(60)의 밀도 구배가 없고, 항균제(60)의 밀도가 일정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층(51,52), 및, 커버 시트(53)가 구비하는 항균제(60)로서, 수용성의 항균제인 「제4급 암모늄염」을 적용한다. 단, 항균제(6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등의 다른 유기계 항균제나, Ag, Mn, Fe, Co, Ni, Cu, Zn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무기계 항균제나, 차잎이나 커피 추출 잔사(殘渣) 등의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항균 작용 물질이어도 되고, 또한,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항균제에는, 유기산이나 유기산염 등의 제균 작용 물질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흡수층(51), 제 2 흡수층(52), 제 1 커버 시트(531), 및, 제 2 커버 시트(532)가 각각 구비하는 항균제(60)를, 같은 종류의 항균제(60)(제4급 암모늄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부재가 구비하는 항균제(60)의 일부 또는 모두가 달라도 된다.
단, 제 1 흡수층(51)이 포함하는 항균제(60)와, 제 2 흡수층(52)이 포함하는 항균제(60)의 적어도 일방은,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시트(53)가 구비하는 항균제(60)도 수용성이면 된다. 그처럼 함으로써, 배설액이 항균제(60)와 접촉하면, 배설액 내에 항균제(60)가 용출하여, 배설액 전체에 항균 작용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배설액에 대한 항균 효과가 높아져, 흡수성 시트(40)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수용성의 항균제(60)란, 25℃의 이온 교환수 100g당에 대한 용해도가 20g 이상인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온성의 항균제를 들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41)도 항균제(7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처럼 함으로써, 표면 시트(41)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에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항균제(7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41)에 흡수된 배설액에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표면 시트(41)에서의 냄새를 경감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41)가 포함하는 항균제(70)의 종류와, 표면 시트(41) 이외의 부위(흡수층(51,52) 및 커버 시트(53))가 포함하는 항균제(60)의 종류를 다르게 하고 있다. 그처럼 함으로써, 각 부위에 적합한 항균제(60,70)를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닿는 표면 시트(41)가 포함하는 항균제(70)를, 안정성이 높은 은 이온으로 한다. 한편, 흡수층(51,52) 및 커버 시트(53)가 포함하는 항균제(60)를, 항균성이 높은 제4급 암모늄염으로 한다. 그처럼 함으로써, 항균성이 높고, 안전한 흡수성 시트(40)를 제공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면 시트(41)가 항균제(70)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고, 표면 시트(41)의 항균제가 다른 부위의 항균제와 같은 종류여도 된다.
또한, 흡수성 시트(40)를 구성하는 각 부(흡수층(51,52), 커버 시트(53), 표면 시트(41))가 항균제(60)를 포함하는 것의 확인, 및, 각 부에 있어서의 항균제(60)의 밀도의 비교는, 주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시트(40)로부터 대상 부위를 분리 또는 노출시켜서, 항균제(60)에 반응하는 지시약을 대상 부위에 적하(滴下)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항균제(60)로서 제4급 암모늄염을 적용하는 경우, BTB 용액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색의 변화에 의해, 대상 부위가 항균제(60)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BTB 용액을 적하하였을 때의 발색의 짙음의 차이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항균제(60)의 밀도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흡수층(51)의 표면(표면측의 부위(51S))와, 제 1 흡수층(51)의 이면(이면측의 부위(51B))에, 각각 BTB 용액을 적하한다. 그리고, 제 1 흡수층(51)의 이면쪽이 짙게 발색되었을 경우, 제 1 흡수층(51)의 이면측의 부위(51B)쪽이 표면측의 부위(51S)에 비하여 항균제(60)의 밀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41)와 제 1 흡수층(5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커버 시트(531)의 이면에, 제 1 흡수층(51)이 가지는 고흡수성 폴리머(50S)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면 시트(41)의 이면을 구성하는 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50S)가 얽혀 있으면 된다.
그처럼 함으로써, 표면 시트(41)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에서 자유수의 상태로 존재하는 배설액이, 고흡수성 폴리머(50S)에 흡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배설액은, 표면 시트(41)로부터 흡수층(51,52)으로 이행되기 쉬워, 표면 시트(41)에 배설액(자유수)이 남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표면 시트(41)의 배설액에 있어서의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표면 시트(41)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흡수층(51)은,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고흡수성 폴리머(50S)가 겹쳐진 부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50S)를 겹쳐서, 제 2 흡수층(52) 상에 다수의 고흡수성 폴리머(50S)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배설액이 고흡수성 폴리머(50S)에 흡수 보지된다. 따라서, 커버 시트(53)나 제 2 흡수층(52)의 섬유 사이에서 남는 배설액(자유수)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흡수성 시트(40)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자의 예의 연구의 결과, 표면 시트(41)의 평량이 28g/㎡보다도 낮은 경우, 표면 시트(41)의 광 선투과율이 높고, 흡수층(51,52)이 흡수한 배설액의 색이 표면 시트(41)를 개재하여 시인되기 쉬운 것을 알았다. 그래서, 표면 시트(41)의 평량을 28g/㎡ 이상으로 하여, 고평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처럼 함으로써, 흡수층(51,52)이 흡수한 배설액의 색이 표면 시트(41)를 개재하여 시인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유저가, 흡수성 시트(40)의 표면을 시인하였을 때에, 흡수성 시트(40)가 배설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색에 가깝다고 느끼기 쉬워, 배설액의 냄새가 의식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41)의 두께 방향의 표면측의 부위쪽이, 표면 시트(41)의 두께 방향의 이면측의 부위에 비하여, 표면 시트(41)를 구성하는 섬유의 밀도가 높으면 된다. 즉, 표면 시트(41)의 섬유가,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하여, 촘촘한 것으로부터 성기게 되어 있으면 된다.
그처럼 함으로써, 표면 시트(41)의 표면측에 있어서, 평면 방향으로 촘촘하게 펼쳐져 있는 섬유 사이에 배설액이 확산하고, 배설액은, 평면 방향으로 확산한 상태에서 제 1 흡수층(51)에 침투하여, 제 1 흡수층(51)의 항균제(60)와 접촉한다. 즉, 많은 배설액이 항균제(60)와 접촉할 수 있어, 배설액의 냄새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흡수층(51)에 평면 방향으로 확산하여 배치되어 있는 항균제(60)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는 반대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41)의 두께 방향의 표면측의 부위쪽이, 표면 시트(41)의 두께 방향의 이면측의 부위에 비하여, 표면 시트(41)를 구성하는 섬유의 밀도가 낮게 되어 있어도 된다. 즉, 표면 시트(41)의 섬유가,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하여 성긴 것으로부터 촘촘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그처럼 함으로써, 표면 시트(41)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하여 배설액이 재빠르게 침투하기 쉽다. 또한, 그에 수반하여, 배설액이 제 1 흡수층(51)으로 이행되기 쉬워, 고흡수성 폴리머(50S)에 흡수 보지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표면 시트(41)(특히 표면 시트(41)의 표면측의 부위)를 구성하는 섬유의 사이에서, 자유수의 상태로 남는 배설액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표면 시트(41)에서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단,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면 시트(4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섬유의 밀도차가 없어도 된다.
또한, 표면 시트(4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섬유 밀도의 차는, 주지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41)를 두께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확대 관찰한다. 확대 화상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41)를 두께 방향으로 2분한 영역이 각각 가지는 섬유를, 육안에 의해 비교하거나, 단위 면적당의 섬유(단면)의 수를 세서 비교하거나 하면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흡수층(51)은, 항균제(60)에 추가하여, 수감수성의 향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감수성의 향료란, 배설액(물)과 접촉함으로써 방출되는 향료이다. 예를 들면, 수용성의 마이크로 캡슐(막재(膜材))에 내포된 향료나, 구조물(예를 들면 시클로덱스트린)의 내부 공간에 포섭된 향료를 예시할 수 있다. 마이크로 캡슐은 직경 1~1000㎛ 정도의 크기이며, 수용성의 마이크로 캡슐의 소재로서는, 덱스트린이나 PVA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흡수층(51)에 배설액이 침투하여, 수감수성의 향료(80)가 배설액과 접촉하면, 향료가 방출된다. 따라서, 흡수성 시트(41)에 배설된 배설액의 냄새를 향료에 의해 마스킹할 수 있어, 유저가 배설액의 냄새를 느끼기 어려워진다.
향료는, 수감수성의 향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향료가 마이크로 캡슐에 내포되어 있거나,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섭되어 있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처럼 함으로써, 흡수성 시트(40)에 배설액이 배설되기까지의 사이에 향료가 휘발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흡수층(51)이 향료(수감수성의 향료(80))를 가지는 것에 한하지 않으며, 다른 자재(예를 들면 제 2 흡수층(52)이나 커버 시트(53)나 표면 시트(41))가 향료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단, 제 1 흡수층(51)이 향료를 가짐으로써, 예를 들면 표면 시트(41)에 향료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향료의 지속성이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제 2 흡수층(52)에 향료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향료가 흡수성 시트(40)의 외부로 방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제 1 흡수층(51)이 마이크로 캡슐을 가지는 것의 확인은, 대상 부위(제 1 흡수층(51))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상 부위가 향료를 가지는 것의 확인은, 향료가 방출된 대상 부위를, 예를 들면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이용하여 성분 해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향료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라벤더, 자스민, 그린허벌풍 향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흡수성 시트(40)는 향료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수감수성의 구조물(시클로덱스트린)이나 수용성의 마이크로 캡슐은, 향료가 아닌, 별도의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제(예를 들면 소취제 등)를 내포하고 있어도 된다.
<<흡수성 시트(40)를 설치 가능한 동물용 화장실(1)에 대하여>>
도 6a는, 흡수성 시트(40)의 평면도이며, 도 6b는, 동물용 화장실(1)이 구비하는 트레이(21)의 평면도이며, 도 6c는, 상측 용기(10)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흡수성 시트(40)가 설치된 동물용 화장실(1)(상측 용기(10) 및 하측 용기(20))의 평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성 시트(40)는 동물용 화장실(1)에 설치되어서 사용된다. 흡수성 시트(40)의 길이 방향이, 동물용 화장실(1)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고, 흡수성 시트(40)의 폭방향이, 동물용 화장실(1)의 좌우 방향에 대응하도록, 흡수성 시트(40)는 설치된다.
흡수성 시트(40)를 설치 가능한 동물용 화장실(1)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상측 용기(10)의 바닥부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12)이 마련된 영역(12R)(이하 「복수의 구멍 영역(12R)」이라고도 한다)의 면적은, 흡수성 시트(40)를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흡수체(50)의 면적보다도 작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a 및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0)의 길이 방향의 길이(L1)는, 복수의 구멍 영역(12R)의 전후 방향의 길이(L3)보다도 길고, 흡수체(50)의 폭방향의 길이(W1)는, 복수의 구멍 영역(12R)의 폭방향의 길이(W3)보다도 길면 된다.
그처럼 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시트(40)가 설치된 동물용 화장실(1)을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복수의 구멍 영역(12R)의 전역이, 흡수성 시트(40)의 흡수체(50)(사선부)와 겹치기 쉬워진다. 고로, 복수의 구멍 영역(12R)을 통과한 배설액을, 항균제(60)를 포함하는 흡수체(50)로 받을 수 있어, 동물용 화장실(1)에 배설된 배설액에 의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트레이(21)에 있어서의 시트 수용부(21R)의 면적은, 흡수성 시트(40)의 면적보다도 작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시트(40)의 길이 방향의 길이(L1')는, 시트 수용부(21R)의 전후 방향의 길이(L2)보다도 길고, 흡수성 시트(40)의 폭방향의 길이(W1')는, 시트 수용부(21R)의 폭방향의 길이(W2)보다도 길면 된다.
그처럼 함으로써, 트레이(21)에 흡수성 시트(40)를 설치하였을 때에, 시트 수용부(21R)의 평면 방향의 전역에 걸쳐 흡수성 시트(40)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21)가 받은 배설액은, 항균제(60)를 포함하는 흡수체(50)에 흡수되어, 동물용 화장실(1)에 배설된 배설액에 의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물용 화장실(1)에 있어서의 시트 수용부(21R)의 평면 형상과, 흡수성 시트(40) 및 흡수체(50)의 평면 형상을 같은 장방형으로 한다. 그처럼 함으로써, 트레이(21)의 시트 수용부(21R)의 광범위에 흡수체(50)를 배치하기 쉬워진다. 단, 상기에 한하지 않으며, 시트 수용부(21R)에 흡수성 시트(40)를 설치 가능하면, 평면 형상이 달라도 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이나 개량될 수 있는 것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동물용 화장실
10 상측 용기
11 바닥부
12 구멍
20 하측 용기
21 트레이
30 커버
31 개구부
40 (동물용)흡수성 시트
41 표면 시트
42 이면 시트
43 접합부
50 흡수체
51 제 1 흡수층
52 제 2 흡수층
531 제 1 커버 시트(중간 시트)
532 제 2 커버 시트(다른 중간 시트)
50P 펄프 섬유(액체 흡수성 섬유)
50S 고흡수성 폴리머
60 항균제
70 항균제
80 수감수성의 향료

Claims (15)

  1. 바닥부에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상측 용기와,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과한 배설액을 받는 하측 용기를 가지는 동물용 화장실에 이용되며, 상기 하측 용기에 설치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에 있어서,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상기 동물용 흡수성 시트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가지고,
    상기 흡수체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가지는 제 1 흡수층과,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층보다도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며, 액체 흡수성 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포함된 제 2 흡수층을 가지고,
    상기 제 1 흡수층은, 항균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일방측의 부위쪽이, 상기 제 1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타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상기 항균제의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수층은,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측의 부위쪽이, 상기 제 2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일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상기 항균제의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층이 포함하는 상기 항균제와, 상기 제 2 흡수층이 포함하는 상기 항균제 중 적어도 일방은 수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흡수성 시트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제 1 흡수층의 사이에, 액투과성의 중간 시트를 가지며,
    상기 중간 시트의 이면에, 상기 제 1 흡수층이 가지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흡수성 시트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제 1 흡수층의 사이에, 액투과성의 중간 시트를 가지며,
    상기 중간 시트는,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흡수성 시트는, 상기 제 2 흡수층과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액투과성의 다른 중간 시트를 가지며,
    상기 다른 중간 시트는,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평량을 28g/㎡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항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측의 부위쪽이,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일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상기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측의 부위쪽이,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일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상기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밀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층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가 겹쳐진 부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층은, 수감수성의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측의 부위쪽이, 상기 제 1 흡수층의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측의 부위에 비하여, 상기 항균제의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흡수성 시트.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물용 흡수성 시트를 설치 가능한 상기 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상측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이 마련된 영역의 면적은, 상기 동물용 흡수성 시트를 상기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흡수체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화장실.
KR1020247007480A 2021-09-08 2022-08-19 동물용 흡수성 시트, 및, 동물용 화장실 KR202400503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46280A JP2023039225A (ja) 2021-09-08 2021-09-08 動物用吸収性シート、及び、動物用トイレ
JPJP-P-2021-146280 2021-09-08
PCT/JP2022/031369 WO2023037844A1 (ja) 2021-09-08 2022-08-19 動物用吸収性シート、及び、動物用トイ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357A true KR20240050357A (ko) 2024-04-18

Family

ID=8550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480A KR20240050357A (ko) 2021-09-08 2022-08-19 동물용 흡수성 시트, 및, 동물용 화장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78306A1 (ko)
JP (1) JP2023039225A (ko)
KR (1) KR20240050357A (ko)
CN (1) CN117915766A (ko)
AU (1) AU2022344035A1 (ko)
WO (1) WO202303784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8698A (ja) 2019-05-20 2020-1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の吸収性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7553A (ja) * 1997-06-06 2007-02-15 Iris Ohyama Inc 吸水具
JP6001335B2 (ja) * 2012-05-31 2016-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折り畳み動物用排泄物処理シート
JP6799457B2 (ja) * 2016-12-19 2020-12-16 花王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シート及びそれを備えたペット用トイ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8698A (ja) 2019-05-20 2020-1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の吸収性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7844A1 (ja) 2023-03-16
EP4378306A1 (en) 2024-06-05
JP2023039225A (ja) 2023-03-20
AU2022344035A1 (en) 2024-03-21
CN117915766A (zh)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744B1 (ko) 동물용 화장실
EP1498028B1 (en) Liquid-absorbing sheet for animal litter box
CA2695832C (en) Excrement disposal sheet and animal toilet utilizing the same
JP5504148B2 (ja) ペット用トイレシート
WO2019092891A1 (ja) 動物用トイレ
KR20060136312A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JP4455604B2 (ja) 動物用トイレ
US20170367295A1 (en) Animal toilet
JP2006101890A (ja) 動物用トイレ
KR20240050357A (ko) 동물용 흡수성 시트, 및, 동물용 화장실
JP7449674B2 (ja) 動物用トイレ
JP2007037553A (ja) 吸水具
WO2024079978A1 (ja) 動物用トイレ
WO2016079882A1 (ja)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JP6280430B2 (ja) ペット用シーツ及びそれを用いたペット用トイレシステム
JP5483598B2 (ja) ペット用トイレシート
US10194634B2 (en) Animal excreta disposal sheet
JP3044091U (ja) ペット用シーツ
WO2024089984A1 (ja) 動物用トイレ
JP2015119654A (ja) ペット用トイレシート及びペット用トレイ
WO2023062916A1 (ja) 動物用トイレ
JP7148420B2 (ja) ネコ尿処理具及びネコ用トイレ
JP2008142006A (ja) ペット排泄用シート
JP2015204798A (ja) ペット用シーツ及びそれを用いたペット用トイレシステム
JPH1146609A (ja) 吸水具と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