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310A - 애완동물용 용변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용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310A
KR20050087310A KR1020040013047A KR20040013047A KR20050087310A KR 20050087310 A KR20050087310 A KR 20050087310A KR 1020040013047 A KR1020040013047 A KR 1020040013047A KR 20040013047 A KR20040013047 A KR 20040013047A KR 20050087310 A KR20050087310 A KR 2005008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urine
container
pad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훈
Original Assignee
이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훈 filed Critical 이광훈
Priority to KR102004001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7310A/ko
Publication of KR2005008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3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소변의 흡수율이 좋게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부직포와, 하부에는 방수비닐과 그리고 중간부에는 항균, 방취효과가 높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포함한 견면부를 외주연을 열접착하여 구성된 패드와, 애완동물의 소변이 외부용기에 접촉하여 부식또는 이물질이 찌들지 않도록 얇은 합성수지(PE.PP.PET)로 구성된 보조용기와. 상기 보조용기가 수납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상면에는 그물형상의 받침대로 형성한 용변판을 구성하여 , 애완동물의 대소변의 분리제고 및 청소가 용이하며 또한 발에 묻지 않게 하며 소변의 빠른 흡수와 흡수된 소변에 의하여 발생하는 악취및 오염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간편하게 패드를 세척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용변기{Pet for bedpan}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애완동물(강아지 또는 고앙이등)의 소변 흡수율이 좋게 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부직포와, 하부에는 방수비닐과 그리고 중간부에는 항균, 방취효과가 높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포함한 견면부를 외주연을 열 접착하여 구성된 패드와, 애완동물의 소변이 외부용기에 접촉하여 부식 또는 이물질이 찌들지 않도록 얇은 합성수지(폴리에틸렌)로 구성된 보조용기와. 상기 보조용기가 수납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상면에는 그물형상으로 용변판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애완동물이 배변후 여러번 사용하여 버릴 때 까지 실내에 그대로 방치되어 공기중에 노출됨에 따라 각종세균이 번식됨은 물론 때에 따라서는 심한 악취까지 발생되어 집안의 위생 및 사람과 애완동물까지 모두의 건강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변후 사용되는 일회용 패드는 사용량이 1마리 기준하여 1일 최저 1장을 사용함으로서 발생되는 연간 쓰레기의 양은 국내 애견인구(1000만)대비 실내 사육견의 수가 300만리로 추정할 때 순수하게 패드만 사용하는 애완동물의수를 10%로 가정할 때 년간 1억장 이상의 일회용패드가 쓰레기로 발생되는 것이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비닐봉투까지 감안하면 실로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제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R), PET,등의 재질로 솜형태로 만들어 일정한 뚜께로 열압축하여 고탄력의 유지가 가능하고, 용변 특히 소변의 흡수율이 좋으며 물로 세척할 수 있는 패드를 구성한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의 소변이 외부용기에 접촉하여 부식 또는 이물질이 찌들지 않도록 얇은 합성수지(폴리에틸렌)로 구성된 보조용기와 상부에 그물망형태의 용변판을 구성한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분해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4는 열접착으로 패드를 구성한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a 부분을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은 용변기 본체이다, 상기 용변기(10)의 상부에는 용변판(20)과 중앙에는 패드(30)그리고 하부에는 외부용기(40)으로 구성한다
상기 용변판(20)의 외주연에 단턱(21)이 구성되고,내측에는 그물망형태로 받침대(22)를 구성하고 하단에는 다수개의 돌기부(23)를 구성하였으며, 외측에는 용변판(20)을 들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24)를 구성한다.
그리고 하부에는 일측부에 손잡이부(42)가 구성된 외부용기(40)에 삽입설치 되어 용변판으로부터 흐르는 용변이 외부용기의 주변에 접촉하여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얇은판의 형태로 상자모양을 구성한 보조용기(41)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 보조용기(41)에는 부직포로 상면(31)을 구성하고 하부에는 방수비닐로 하면(32)을 구성하고 중앙에는 항균, 방취효과가 높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포함한 견면부(33)를 하나로 구성하여 외주연부를 열 접착한 패드(30)를 구성하여 삽입설치하여 용변기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용변기의 상부에는 상기 외부용기(40)의 상면에 설치된 용변판(20)은, 용변판의 외주연에 구성된 단턱(21)에 의하여 패드(30)와 일정간격이 떨어진 상태로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애완동물이 용변판위에 올라서면 애완동물의 무게에 의하여 대부분 용변판(20)의 받침대(22)가 패드(30)와 접촉하게 되는데, 상기 용변판의 탄력과 받침대(22)의 하단에 구성된 다수개의 돌기에 의하여 하부에 설치된 패드(30)와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이 소변을 보면, 소변이 용변판의 받침대(22)가 일정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배변,벼뇨후 소변만 아래로 빠지며 패드(30)로 배출되고 따라서 소변은 남지않게되어 애완동물의 발에 묻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패드(30)의 상면(31)에 구성된 부직포에 의하여 소변(수분)을 흡수한다 흡수된 소변은 중앙부에 구성된 견변부(33)로 더욱 빠르게 흡수하고 여기에서 소변이 모여지게 되는 것이다 모여진 소변은 견변부(33)의 특성 즉 항균, 방취효과가 높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함유하였기 때문에 소변의 부패를 억제하여 세균발생 억제 및 악취제거를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면(32)를 방수비닐로 구성함으로서 외부로 소변이 유출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애완동물의 배뇨후 혹 패드(30)를 통과한 소변이 바닥에 고여 있게 되면 소변 찌꺼기가 남아 있게 도어 외부용기를 손상시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용기(41)를 삽입설치하여 배뇨 찌꺼기로 인한 외부용기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바닥을 일일이 닦아낼 수고를 덜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정기간이 지난 패드(30)는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데 간편하게 물로 세척한 후 배수시키면 소변성분이 물과 함께 배수된다 세척된 패드(30)는 통기성이 우수하여 완전 건조시키지 않아도 수분의 자연증발이 빠르기 때문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소변 흡수율이 좋게 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부직포와, 하부에는 방수비닐과 그리고 중간부에는 항균, 방취효과가 높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포함한 견면부를 외주연을 열접착하여 구성된 패드와, 애완동물의 소변이 외부용기에 접촉하여 부식 또는 이물질이 찌들지 않도록 얇은 합성수지(PE.PP.PET)로 구성된 보조용기와. 상기 보조용기가 수납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상면에는 그물형상의 받침대로 형성한 용변판을 구성하여 , 애완동물의 대소변의 분리제고 및 청소가 용이하며 또한 발에 묻지 않게 하며 소변의 빠른 흡수와 흡수된 소변에 의하여 발생하는 악취및 오염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간편하게 패드를 세척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분해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요부상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용변기. 20...용변판
21...단턱. 22...받침대.
23...돌기부 24...손잡이부.
30...패드 31...상면.
32...하면. 33...견면부.
40...외부용기 41...보조용기.

Claims (2)

  1.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있어서 부직포로 상면(31)을 구성하고 하부에는 방수비닐로 하면(32)을 구성하고, 내부중앙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R), PET,등의 재질로 솜형태로 만들어 일정한 뚜께로 열압축하여 고탄력의 유지가 가능하고 항균, 방취효과가 높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포함한 견면부(33)를 하나로 구성하여 외주연부를 열 접착한 패드(3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2. 1항에 있어서 외주연에 단턱(21)이 구성되고, 내측에는 그물망형태로 받침대(22)를 구성하고 하단에는 다수개의 돌기부(23)를 구성하였으며, 외측에는 손잡이부(24)를 구성한 용변판(20)을 구성하고 중앙에는 패드(30) 그리고 이의 하부에는 용변판으로 부터 흐르는 용변이 외부용기의 주변에 접촉하여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얇은판의 형태로 상자모양을 구성한 보조용기(41)를 외부용기(40)에 삽입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KR1020040013047A 2004-02-26 2004-02-26 애완동물용 용변기 KR20050087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047A KR20050087310A (ko) 2004-02-26 2004-02-26 애완동물용 용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047A KR20050087310A (ko) 2004-02-26 2004-02-26 애완동물용 용변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114U Division KR200349850Y1 (ko) 2004-02-26 2004-02-26 애완동물용 용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310A true KR20050087310A (ko) 2005-08-31

Family

ID=3727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047A KR20050087310A (ko) 2004-02-26 2004-02-26 애완동물용 용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73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506B1 (ko) * 2005-02-07 2006-08-08 허정림 용변훈련을 위한 애완동물용 배설물처리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5447U (ko) * 1987-12-29 1989-07-17
JPH02190126A (ja) * 1989-01-18 1990-07-26 Lion Corp ペット動物用吸収シート
JPH07111842A (ja) * 1993-10-21 1995-05-02 Ishizuka Glass Co Ltd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及びペット用トイレ
JPH1084805A (ja) * 1996-09-12 1998-04-07 Amiigo:Kk ペット用便器
JPH11332413A (ja) * 1998-03-24 1999-12-07 Uni Harts Kk ペットの排泄用シ―ト
KR200306175Y1 (ko) * 2002-12-16 2003-03-04 김기환 애완동물용 변기
JP2003092940A (ja) * 2001-09-25 2003-04-02 Akiko Nojiri ペットの尿吸収シート
KR200311648Y1 (ko) * 2003-02-12 2003-05-01 김창섭 애견용 화장실
KR20030053483A (ko) * 2003-04-04 2003-06-28 이광훈 애완동물용 용변기
JP2003235389A (ja) * 2002-02-15 2003-08-26 Nagayoshi Sato トイレマットを使用するペット用トイ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5447U (ko) * 1987-12-29 1989-07-17
JPH02190126A (ja) * 1989-01-18 1990-07-26 Lion Corp ペット動物用吸収シート
JPH07111842A (ja) * 1993-10-21 1995-05-02 Ishizuka Glass Co Ltd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及びペット用トイレ
JPH1084805A (ja) * 1996-09-12 1998-04-07 Amiigo:Kk ペット用便器
JPH11332413A (ja) * 1998-03-24 1999-12-07 Uni Harts Kk ペットの排泄用シ―ト
JP2003092940A (ja) * 2001-09-25 2003-04-02 Akiko Nojiri ペットの尿吸収シート
JP2003235389A (ja) * 2002-02-15 2003-08-26 Nagayoshi Sato トイレマットを使用するペット用トイレ
KR200306175Y1 (ko) * 2002-12-16 2003-03-04 김기환 애완동물용 변기
KR200311648Y1 (ko) * 2003-02-12 2003-05-01 김창섭 애견용 화장실
KR20030053483A (ko) * 2003-04-04 2003-06-28 이광훈 애완동물용 용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506B1 (ko) * 2005-02-07 2006-08-08 허정림 용변훈련을 위한 애완동물용 배설물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4887B2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0939744B1 (ko) 동물용 화장실
KR100751225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1090604B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US5193488A (en) Cat waste elimination system
JP3804772B2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具
US8776726B2 (en) Portable pet urine reservoir
US3949429A (en) Animal commode
JP3981123B2 (ja) ペット用トイレ
KR20060136312A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200406304Y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EP1781089A2 (en) Portable pet waste station
KR20210066409A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KR200493055Y1 (ko) 반려동물의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KR100967115B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KR200349850Y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KR20050087310A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JP2007174918A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0576603B1 (ko) 애완동물의 사료공급과 배설물 수집장치
KR100547022B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KR20220076641A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JP3083170U (ja) ペット用便器
US8196547B2 (en) Animal potty chair
JP2004313114A (ja) 人工芝を利用したペットのトイレ
KR200385597Y1 (ko) 애완동물용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