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115B1 - 애완동물용 용변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용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115B1
KR100967115B1 KR1020070112549A KR20070112549A KR100967115B1 KR 100967115 B1 KR100967115 B1 KR 100967115B1 KR 1020070112549 A KR1020070112549 A KR 1020070112549A KR 20070112549 A KR20070112549 A KR 20070112549A KR 100967115 B1 KR100967115 B1 KR 100967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rement
water collecting
unit
drain ho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414A (ko
Inventor
김우
Original Assignee
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 filed Critical 김우
Priority to KR102007011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1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대소변을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기르는 애완동물이 배설하는 대소변을 간편하고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대소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최소화하도록 하여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올라가 배설할 수 있도록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격자형태의 여과망이 구비되되, 일측으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수용구가 형성된 배설부와, 상기 배설부 내에 위치되어 여과망을 통해 인입된 배설물을 집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앙이 하부로 경사지게 요입형성되며, 요입형성된 중앙에 배설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구가 관통형성된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집수부를 통해 집수된 배설물을 수납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집수부의 배수구 상에 위치되어 배설물은 상기 수납부로 향하도록 하는 한편, 수납부에 저장된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악취차단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제공한다.
배설부, 집수부, 수납부, 악취차단부, 용변기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용변기 { STOOL FOR PET }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대소변을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기르는 애완동물이 배설하는 대소변을 간편하고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대소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최소화하도록 하여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우고 있는 개,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은 반복적인 훈련을 통하여 정해진 장소에서 배설하게 된다.
이렇게 정해진 장소에서 배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판재나 용기에 신문지, 모래 또는 패드 등이 수납된 용변기를 특정 장소에 비치하여 애완동물의 대소변시 반복적으로 볼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 장소에 배치된 용변기에 애완동물이 배설하면 이를 쉽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판재나 용기에 신문지, 모래 또는 패드를 이용한 용변 기는 애완동물이 배설을 했을 경우 이를 밟기 쉽고, 배설물을 밟은 상태에서 실내를 돌아다니게 되므로 인해 주위의 바닥이 매우 지저분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사각 프레임(2)에 흡수력이 강한 시트(3)의 네 변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애완동물이 상기 프레임(2)에 고정된 시트(3)에 올라가 배설하게 되면 프레임(2)에서 시트(3)를 분리하여 버릴 수 있도록 한 용변기(1)가 고안되었으며, 이러한 용변기(1)는 애완동물의 배설시 수분을 즉각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기를 최소화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용변기(1)는 사각 프레임(2)에 외부로 노출되게 시트(3)가 결합되어 있어 애완동물의 날카로운 발톱 등에 의해 쉽게 찢겨질 뿐만 아니라, 배설된 소변이 시트(3)에 흡수되어 색상이 표면에 그대로 노출되어 단 한번의 배설임에도 불구하고 오염 상태가 심한 것으로 착각하여 단시간 사용 후 시트를 교체하게 되는 비경제인 문제점과 함께,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애완동물이 대소변을 보았을 경우 물기를 최소화하기는 하였으나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는 없어 발바닥 등에 시트에서 묻어나온 대소변이 묻은 상태로 주위를 돌아다니게 되어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주위 바닥면을 오손시키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였다.
덧붙여, 종래의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애완동물이 배설 후 여러번 사용하여 버릴 때까지 실내에 그대로 방치되어 공기중에 노출됨에 따라 각종세균이 번식됨은 물론 때에 따라서는 심한 악취까지 발생되어 집안의 위생 및 사람과 애완동물까지 모두의 건강이 나빠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의 날카로운 발톱 등에 의해 용변기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시간 사용을 하였을 경우에도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 동시에 별도의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위생적인 환경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의 배설물로부터 악취를 억제하고 배설물이 동물의 발이나 털에 묻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이며 쾌적한 환경을 연출하는 동시에 배설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올라가 배설할 수 있도록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격자형태의 여과망이 구비되되, 일측으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수용구가 형성된 배설부와, 상기 배설부 내에 위치되어 여과망을 통해 인입된 배설물을 집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앙이 하부로 경사지게 요입형성되며, 요입형성된 중앙에 배설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구가 관통형성된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집수부를 통해 집수된 배설물을 수납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집수부의 배수구 상에 위치되어 배설물은 상기 수납부로 향하도록 하는 한편, 수납부에 저장된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악취차단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부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말단에 다수의 지지대가 구비되어 상기 집수부의 요입형성된 배수구 상부에 이격되게 고정설치되는 샤프트가이드와, 일단이 상기 샤프트가이드 내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배수구의 말단에 위치되어 상기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이드 내에 위치된 상기 개폐샤프트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하는 스프링과, 상기 일단이 상기 여과망의 중앙 하부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샤프트와 접촉되는 가압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샤프트는 일단은 상기 샤프트가이드 내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구의 말단에 위치되되, 상기 샤프트가이드 내에 위치된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배수구의 말단에 위치되는 타단은 원주방향으로 확장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일단에는 상기 가압샤프트로부터 압력을 전달받는 가압노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부는 상기 집수부의 배수구상에 위치되어 배설물의 하중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 또는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배설부 상부에 격자형상의 여과망을 구비하여 애완동물의 배설시 배설물이 배설부 내에 마련된 수납부로 직하하여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용변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위생적이면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배설물은 수납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동시에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용변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악취차단부를 구비함으로써, 실내에 악취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용변기는 배설물이 최종적으로 수납되는 수납부를 서랍형태로 배설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수납부를 투명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배설물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배설물이 일정량 모여지게 되면 배설부에서 수납부만을 이탈시켜 청소함으로써, 배설물을 깔끔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바람직한 실 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용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의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사용된 개폐수단의 요부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100)는 크게 배설부(110), 집수부(120), 수납부(130) 그리고 악취차단부(140)를 포함한다.
배설부(11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이 올라가 배설할 수 있도록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애완동물이 올라섰을 경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목재 및 플라스틱과 같은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후술하는 집수부(120)와 수납부(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수용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설부(110)의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되되, 개방된 상면에는 단턱을 구비하여 애완동물의 배설시 대변은 걸러지고 소변은 직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격자형태의 여과망(114)이 안착 될 수 있도록 한다.
집수부(120)는 상기 수용구(112)를 통해 배설부(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여과망(114)을 통해 직하된 소변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앙이 하부로 경사지게 요입형성되며, 요입형성된 중앙에는 소변을 배수하는 배수구(122)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형성된 배수구(122)는 깔때기 형상과 같이,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납부(130)의 상부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부(130)는 상기 집수부(1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집수부(120)를 통해 집수된 배설물을 수납 저장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 상기 돌출 형성된 배수구(122)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납공(132)이 형성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덧붙여 상기 수납부(130)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내부에 모여지게 되는 배설물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납공(132)의 일측에는 연결부재에 의해 수납공(132)과 일체로 형성되는 덮개를 구비하여 모여진 배설물을 버리러 이동할 때 배설물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130)와, 상기 수납부(130)의 상부에 안착된 집수부(120)는 상기 배설부(110)에 형성된 수용구(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130)의 상면에는 상기 집수부(120)가 안정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130)의 테두리를 따라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배설부(110)의 수용구(112)에 인ㆍ출입시 용이하게 인ㆍ출입할 수 있도록 손잡이(134)가 구비되도록 하는 동시에, 하부에는 바퀴(미도시) 등과 같은 이동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130)의 상면 일측에는 집수부(120)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소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36)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136)는 수납부(130)에 배설물이 일정량 모여지면 모여진 배설물을 수납부(13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돌출형성된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별도의 뚜껑(138)에 의해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수납부(130)에 일정량의 소변이 모여지면 사용자가 수납부(130)에 구비된 손잡이(134)를 당겨 배설부(110)에서 수납부(130)를 인출한 후 배출구(136)를 막고 있는 뚜껑(138)을 오픈시켜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납부(130) 내에 모여진 배설물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배출구(136) 및 뚜껑(138)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여진 소변을 원활하게 버릴 수 있는 구조, 예컨대 손잡이(134)가 마련된 수납부(130)의 타측 끝단을 절개한 후 경첩 등과 같은 회동부재를 결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악취차단부(14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부(120)의 중앙 하부로 경사지게 요입형성된 배수구(122)에 위치되어 소변은 수납부(130)에 모여지도록 하는 동시에 수납부(130)에 모여진 소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구(122)의 상부에 이격되게 고정설치되는 샤프트가이드(142)와, 일단이 상기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배수구(122)의 말단에 위치되어 상기 배수구(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샤프트(144)와, 상기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된 개폐샤프트(144) 외주면에 끼워지는 스프링(146)과, 상기 개폐샤프트(144)를 가압하여 하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여과망(114)의 하부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가압샤프트(148)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가이드(142)는 상기 집수부(120)의 배수구(122)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지지대(142a)에 의해 배수구(122)와 이격되게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가이드(142)는 원통형상으로 상면이 개방된 형태이며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개폐샤프트(144)의 일단 및 스프링(146)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개폐샤프트(144)는 배설물은 수납부(130)에 저장되도록 하는 한편 수납부(130)에 저장된 소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배수 구(1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구(122)의 말단에 위치되되, 상기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된 일단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가압노브(144a)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배수구(122)의 타측 말단에 위치된 타단에는 원주방향으로 확장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구(122)를 밀폐 또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원주방향으로 확장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배수구(122)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샤프트(144)의 타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배설물의 잔존 없이 원활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되는 개폐샤프트(144) 외주면에는 스프링(146)을 구비한다.
상기 가압샤프트는 배설부(110)의 여과망(114) 하부 중앙에 고정결합되어 애완동물이 상기 배설부(110)에 올라갔을 경우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애완동물의 하중에 의해 가압샤프트(148)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개폐샤프트(144)의 일단에 결합된 가압노브(144a)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노브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완충 되면서 상기 배수구(122)를 밀폐하고 있는 개폐샤프트(144)를 하강시켜 배수구(122)에서 상기 개폐샤프트(144)를 이격시킴으로써, 배설물이 상기 수납부(140) 내로 직하되도록 한다.
한편, 애완동물이 배설부(110)로부터 내려오면 상기 스프링(1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개폐샤프트(144)가 상승하여 배수구(122)를 밀폐함으로써, 수납부(130)에 저장된 배설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용변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1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집수부(12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배수구(122)를 통해 악취차단부(140)의 개폐샤프트(144)를 삽입하여 개폐샤프트(144)의 일단이 집수부(120)에 고정설치된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된 개폐샤프트(144)의 일단을 통해 스프링(146)을 끼움 결합한 후 가압노브(144a)를 고정결합한다. 이때, 상기 개폐샤프트(144)는 외주면에 끼움결함되는 스프링(146)이 가압노브(144a)를 탄성지지하여 타측 말단이 상기 배수구(122)의 출구에 밀착되어 배수구(122)를 막게 된다.
이후, 전술한 봐와 같이 결합된 집수부(120)를 상기 수납부(13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수납부(130)에 형성된 배수구(122)에 상기 집수부(120)의 배수구(122) 및 배수구(122)의 출구를 막고 있는 개폐샤프트(144)의 말단이 삽입되도록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된 집수부(120)와 수납부(130)를 상기 배설부(110)에 형성된 수용구(112)에 삽입결합한 후 배설부(110)의 상부에 여과망(114)을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망(114)의 하부 중앙에는 가압샤프트(148)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된 가압노브(144a)와 접촉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10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설부(110)에 애완동물이 올라가면 애완동물의 하중에 의해 가압샤프트(148)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압노브(144a)를 가압함으로써, 개폐샤프트(144)가 하부로 향하게 되어 배수구(122)를 오픈시키게 된다. 즉, 애완동물이 배설부(110)에 올라가 배설하는 동안에는 배수구(122)와 개폐샤프트(144)가 이격되어 있어 소변이 수납부(130) 내로 직하되고, 배설을 마친 애완동물이 배설부(110)에서 내려오게 되면 스프링(14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샤프트(148)가 상승하게 되는 동시에 개폐샤프트(144)가 상승하여 배수구(122)의 출구를 막음으로써, 수납부(130)에 저장된 소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2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용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 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200)의 다른실시예는 도 2 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집수부(220)의 배수구(222)를 호퍼형으로 형성하고, 그 일측에 상기 배수구(2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악취차단부(23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애완동물용 용변기(200)는 배수구(222)를 호퍼형, 즉 내측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하고, 이렇게 좁아진 배수구(222)를 밀폐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게 설치되는 악취차단부(240)를 제외하고는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 차이점을 제외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에 따르면, 상기 애완동물용 용변기(200)의 다른실시예에 사용된 악취차단부(240)는 회동축(242), 덮개(244)를 포함하며, 상기 도 2 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집수부(220)의 중앙이 하부로 경사지게 요입형성되고, 요입형성된 중앙에는 소변을 배수하는 배수구(222)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200)는 상기 배수구(222)의 말단이 내측으로 점차 좁혀지는 호퍼형으로 형성되고, 이렇게 호퍼형으로 형성된 배수구(222)의 내부에 회동축(242)에 의해 덮개(244)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200)는 배설부(210)에 애완동물이 올라서서 배설을 할 경우 배설물이 여과망(214)을 통해 배설부(210) 내에 위치한 집수부(220)에 직하되게 된다. 이렇게 직하된 배설물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24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덮개(244)에 하중을 가하여 덮개(244)가 화살표 방향 또는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배설물이 덮개(244)를 거쳐 수납부(230)에 수납 저장된다. 덧붙여, 상기 덮개(244)는 배설물이 모두 수납부(230)에 저장되면 다시 배수구(222)를 밀폐하여 수납부(230)에 수납된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수납부(230)에 배설물이 일정량 모이게 되면 상기 배설부(210)에서 집수부(220) 및 수납부(230)를 인출한 후 수납부(230)에 구비된 뚜껑(238)을 열어 배출구(236)를 통해 배설물을 버리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변기는 실내에서 기르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깨끗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설부의 상부에 커버링수단(150)을 구비하여 보다 위생적이면서,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애완동물용 용변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의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사용된 악취차단부의 요부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도 7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커버링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200 : 용변기 110, 210 : 배설부
112 : 수용구 114, 214 : 여과망
120, 220 : 집수부 122, 222 : 배수구
130, 230 : 수납부 132 : 수납공
134 : 손잡이 136, 236 : 배출구
138, 238 : 뚜껑 140, 240 : 악취차단부
142 : 샤프트가이드 142a : 지지대
144 : 개폐샤프트 144a : 가압노브
146 : 스프링 148 : 가압샤프트
242 : 회동축 244 : 덮개

Claims (4)

  1. 애완동물이 올라가 배설할 수 있도록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격자형태의 여과망(114)이 구비되되, 일측으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수용구(112)가 형성된 배설부(110)와;
    상기 배설부(110) 내에 위치되어 여과망(114)을 통해 인입된 배설물을 집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앙이 하부로 경사지게 요입형성되며, 요입형성된 중앙에 배설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구(122)가 관통형성된 집수부(120)와;
    상기 집수부(1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집수부(120)를 통해 집수된 배설물을 수납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부(130)와;
    상기 집수부(120)의 배수구(122) 상에 위치되어 배설물은 상기 수납부(130)로 향하도록 하는 한편, 수납부(130) 내에 저장된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악취차단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차단부(140)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말단에 다수의 지지대(142a)가 구비되어 상기 집수부(120)의 요입형성된 배수구(122) 상부에 이격되게 고정설치되는 샤프트가이드(142)와;
    일단이 상기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배수구(122)의 말단에 위치되어 상기 배수구(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샤프트(144)와;
    상기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된 상기 개폐샤프트(144)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는 스프링(146)과;
    상기 일단이 상기 여과망(114)의 중앙 하부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샤프트(144)의 일단과 접촉되는 가압샤프트(14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샤프트(144)는
    일단은 상기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구(122)의 말단에 위치되되, 상기 샤프트가이드(142) 내에 위치된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배수구(122)의 말단에 위치되는 타단은 원주방향으로 확장형성되되,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일단에는 상기 가압샤프트(148)로부터 압력을 전달받는 가압노브(144a)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4. 애완동물이 올라가 배설할 수 있도록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격자형태의 여과망(114)이 구비되되, 일측으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수용구(112)가 형성된 배설부(110)와;
    상기 배설부(110) 내에 위치되어 여과망(114)을 통해 인입된 배설물을 집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앙이 하부로 경사지게 요입형성되며, 요입형성된 중앙에 배설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구(122)가 관통형성된 집수부(120)와;
    상기 집수부(1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집수부(120)를 통해 집수된 배설물을 수납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부(130)와;
    상기 집수부(120)의 배수구(122) 상에 위치되어 배설물은 상기 수납부(130)로 향하도록 하는 한편, 수납부(130) 내에 저장된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악취차단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차단부(240)는
    상기 집수부(220)의 배수구(222)상에 위치되어 배설물의 하중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2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용변기.
KR1020070112549A 2007-11-06 2007-11-06 애완동물용 용변기 KR100967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549A KR100967115B1 (ko) 2007-11-06 2007-11-06 애완동물용 용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549A KR100967115B1 (ko) 2007-11-06 2007-11-06 애완동물용 용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414A KR20090046414A (ko) 2009-05-11
KR100967115B1 true KR100967115B1 (ko) 2010-07-05

Family

ID=4085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549A KR100967115B1 (ko) 2007-11-06 2007-11-06 애완동물용 용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653U (ko) 2016-01-15 2017-07-25 김진형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5486B1 (ja) * 2016-03-01 2017-10-18 株式会社無有 トイレ
EP3424312A4 (en) * 2016-03-01 2019-04-10 Daiki Co., Ltd. URINE STORAGE TANK AND TOILET
JP2024015549A (ja) * 2022-07-25 2024-02-06 株式会社大貴 動物用トイ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4368U (ja) * 1981-12-18 1983-06-27 日本クレア株式会社 実験動物用給水器
JPH03118038U (ko) * 1990-03-15 1991-12-05
KR20070042436A (ko) * 2005-10-18 2007-04-23 이명옥 애완동물용 배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4368U (ja) * 1981-12-18 1983-06-27 日本クレア株式会社 実験動物用給水器
JPH03118038U (ko) * 1990-03-15 1991-12-05
KR20070042436A (ko) * 2005-10-18 2007-04-23 이명옥 애완동물용 배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653U (ko) 2016-01-15 2017-07-25 김진형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414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8790B1 (en) Animal litter box
JP3824887B2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0751225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KR100939744B1 (ko) 동물용 화장실
CA1169308A (en) Litter box
US7434539B2 (en) Waste disposal system
US8225748B2 (en) Potty pole
US20060037548A1 (en) Litter-free pet waste collection system
AU2007201254B2 (en) Portable Toilet
KR200406304Y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WO2006011983A2 (en) Portable pet waste station
US20120118241A1 (en) Pet waste management system
KR100967115B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US10398124B2 (en) Cat litter process
JP2006204230A (ja) ペット用トイレ
CA2488827A1 (en) Collection device for depositing refuse for disposal
JP2010154830A (ja) 猫用水洗トイレ
KR20090028333A (ko) 탈취용 음식물 쓰레기통
JP2001346472A (ja) 金網及び尿貯め容器付きペット用トイレ
KR200349850Y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JP2004313114A (ja) 人工芝を利用したペットのトイレ
JP3083170U (ja) ペット用便器
KR20200065259A (ko) 애완동물 배변판
RU144723U1 (ru) Туалет для кошек с вертикальным входом
KR20050087310A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