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653U -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 Google Patents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653U
KR20170002653U KR2020160000240U KR20160000240U KR20170002653U KR 20170002653 U KR20170002653 U KR 20170002653U KR 2020160000240 U KR2020160000240 U KR 2020160000240U KR 20160000240 U KR20160000240 U KR 20160000240U KR 20170002653 U KR20170002653 U KR 201700026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pedestal
pad
porous pad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오명섭
Original Assignee
김진형
오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형, 오명섭 filed Critical 김진형
Priority to KR2020160000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653U/ko
Publication of KR201700026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6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벽체가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을 갖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에는 용변을 여과하기 위하여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패드를 삽입하며, 상기 다공패드는 접어서 소독하거나 세척할 수 있도록 내열성 소재이면서 유연성 있게 움직임되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애완동물 용변기를 제작함으로써 하여 용변기에 잔존하는 유해균을 언제 어디서든지 쉽게 소독가능하고 세척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시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Pet Potty}
본 고안은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에 관한 것으로, 내열성 소재이면서 유연성 있게 움직임되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애완동물 용변기를 제작하여 용변기에 잔존하는 유해균을 언제 어디서든지 쉽게 소독가능하고 세척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우고 있는 개,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은 반복적인 훈련을 통하여 정해진 장소에 배설을 하는 교육을 하며, 이를 위하여 특정한 장소에 신문지를 깔거나 모래가 수납된 용변기를 비치하여 애완동물이 정해진 장소에 반복적으로 대소변을 볼 수 있도록 훈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문지나 모래 등을 이용한 방식은 대소변이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밟고 실내를 돌아다니면서 바닥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한 사각 프레임에 흡수력이 강한 시트를 올려 애완동물의 배설시 수분을 즉각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시트만 분리하여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 용변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시트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제작한 여과판을 시트 위에 올리는 방식이 제안되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용변기는 여과판을 프레임 상부에 올려둔 상태에서 락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판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배설물로 오염된 시트를 처리할 경우에는 락장치를 해제하고 여과판을 개방한 후 시트만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애완동물 용변기는 여과판에 배설물이 묻을 수밖에 없는데, 이를 소독하거나 세척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즉, 배변과 소변에는 많은 세균이 있기 때문에 쉽게 오염이 발생하므로 위생을 위하여 자주 소독해 주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판은 부피가 커서 세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독을 위해서는 고온으로 세척하거나 자외선 살균기 등에 넣어서 소독을 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과판 및 프레임은 부피가 커서 소독을 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이 없다.
특히, 플라스틱은 내열성이 비교적 떨어지기 때문에 소독시 변형의 우려가 있으며, 고온으로 세척할 때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 제품이 손상될 우려가 높다.
또한, 이렇게 표면이 손상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하다 보면 용변이 여과판 또는 프레임의 표면에 스며들면서 색상이 변형되므로 미관이 보기 좋지 않음은 물론, 오염물질이 항상 잔존하게 되므로 위생상 문제가 있다.
한편, 애완동물은 야간에도 움직이는 경우가 많은데, 애완동물이 이동중에 용변기를 밟으면서 여과판이 발톱과 마찰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플라스틱 소재는 성형 후 냉각하는 과정에서 재질의 특성상 수축이 발생하는데, 프레임이나 여과판과 같이 넓은 면적의 사출물은 냉각 중 미세한 뒤틀림이 발생하면서 변형되기 때문에 평활도가 유지되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용변기를 편평한 바닥에 올려놓고 사용한다 하더라도 애완동물이 용변기를 밟으면 덜그럭 거리는 소음이 발생한다.
그리고 프레임과 여과판을 체결 고정하기 위한 락수단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각각의 부속을 개별적으로 성형한 후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용변기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이 불편하며,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KR 100967115 B1 KR 200349850 Y1 KR 200354850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하고,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보관이 용이한 애완동물용 용변기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벽체가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을 갖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에는 용변을 여과하기 위하여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패드를 삽입하며, 상기 다공패드는 접어서 소독하거나 세척할 수 있도록 유연성 있게 움직임 되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쉽게 탈착 가능하고 부피를 줄여 소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와 다공패드에는 서로 대응하게 끼워 조립되는 끼움돌부와 끼움홈을 마련하여 끼움부에 의하여 받침대와 다공패드의 테두리 부분이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도록 하여 실리콘의 마찰계수를 이용하여 간편하고도 견고하게 끼워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용변기에 의하면, 애완동물 용변기를 오염물질로 인한 표면 손상 및 오염이 방지되므로 청결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을 이용하여 애완동물 용변기를 제작하여 용변기에 잔존하는 유해균을 언제 어디서든지 쉽게 소독가능하고, 균이 서식할 수 없는 실리콘을 사용하여 용변기를 제작하게 되므로 항균 작용으로 인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야간에도 애완동물이 보행 중 밟을 경우에도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굴곡진 바닥에 비치하는 경우에도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받침대가 바닥에 완전히 밀착되므로 용변기가 비치된 상태에서 전혀 유동되지 않고 비치된 장소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의 특성을 활용하여 끼움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받침대와 여과패드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여과패드의 분리도
도 4는 본 고안의 여과패드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외관도
도 5는 본 고안의 용변기가 바닥에 비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여과패드의 밑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받침대와 여과패드의 끼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 용변기는, 수납공간을 갖는 받침대(100)와,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용변을 여과하기 위한 다공패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와 다공패드의 사이에는 용변 내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습시트(3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00)는 바닥면(110)의 테두리를 따라 벽체(120)가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130)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수납공간에는 흡습시트와 다공패드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흡습시트의 상부에 다공패드가 안착되고 벽체(120)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게 수납된다.
상기 다공패드(200)는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이 올라가서 용변을 볼 때 용변 내의 수분(오줌 등)을 여과하여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복수의 구멍(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00)와 다공패드(200)는 내열성과 내 화학성이 매우 뛰어나고 유연성 있게 움직임 되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공패드(20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서 소독하거나 세척할 수 있으며, 그 부피를 매우 작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가정용 자외선 살균기를 이용하여 소독하거나 찜통 등을 이용하여 삶아서 간편하게 소독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살균기나 삶아서 고온으로 소독하고, 또한 화학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세정제를 사용하여 세척함에도 불구하고 실리콘 소재의 내열성 및 내 화학성이 높기 때문에 소재의 변형이 없음은 물론, 표면이 손상될 우려가 전혀 없다.
다공패드(200)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21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형제작시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육각형의 구멍이 반복 배열되어 가장 안정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벌집(허니콤) 구조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공패드(200) 중 일부는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막힌상태로 제작하여 그 표면에 상표나 제조사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 표시부에 문자나 로고, 이미지 등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실리콘에는 표면인쇄가 어렵기 때문에 문자나 로고, 이미지 등을 음각이나 양각 등에 의한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공패드(200)에는 다공패드가 받침대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공패드의 하부면이 받침대(100)의 바닥면 또는 흡습시트(300)가 내장되는 경우에는 흡습시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통기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멍(210)을 구획하는 격벽(220)의 하단에 하부로 돌출되게 간극조절돌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간극조절돌부(230)는 다공패드(200)의 하부면에 여러 개가 배열되어 다공패드의 하부면이 이격되어 통기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공패드의 상면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100)를 유연성 소재인 실리콘을 제작하면, 용변기가 비치된 상태에서 쉽게 움직임되지 않고 소음도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장소에 비치하는 경우에도 받침대가 바닥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유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크기를 크게 제작하여도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받침대(100)와 다공패드(200)를 모두 실리콘 소재로 제작하면서 서로 대응하게 끼움부(400)를 마련하면 받침대(100)에 다공패드(200)를 삽입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받침대(100)에는 끼움돌부(410)을 마련하고, 다공패드(200)에는 그 끼움홈과 대응하게 끼움홈(420)을 형성하여 간편하게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끼움부를 구비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상기 끼움부(400)는 끼움돌부(410)가 끼움홈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실리콘의 마찰계수를 이용하여 받침대와 다공패드가 강제 끼움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돌부(410)와 끼움홈(420)은 받침대와 다공패드의 테두리 부분에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서 용변기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원형 둘레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테두리부분에 끼움부를 형성하고,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각형의 네 모서리 부분에,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다각형의 각 모서리부분에 끼움부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410)는 끼움돌부를 끼움홈에 끼울 때 외경의 둘레가 수축되면서 강제로 끼워 삽입되도록 중공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부(410)의 상면에는 끼움돌부를 끼움홈에 삽입하여 고정할 때 끼움돌부의 상면이 끼움홈의 내입된 면에 밀착되어 진공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내입부(41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끼움돌부(410)를 끼움홈(420)에 강제 끼움으로 삽입하면 끼움돌부가 삽입되면서 끼움홈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그 상태에서 긴밀하게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끼움돌부가 끼움홈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받침대 110: 바닥면
120: 벽체 130: 수납공간
200: 다공패드 210: 구멍
220: 격벽 230: 간극조절돌부
300: 흡습시트
400: 끼움부 410: 끼움돌부
420: 끼움홈

Claims (6)

  1.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벽체가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을 갖는 받침대(100)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용변을 여과하기 위하여 복수의 구멍(210)이 형성된 다공패드(200)가 삽입되며, 상기 다공패드(200)는 접어서 소독하거나 세척할 수 있도록 유연성 있게 움직임 되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쉽게 탈착 가능하고 부피를 줄여 소독할 수 있는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패드(200)는 다공패드가 받침대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공패드의 하부면이 받침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통기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멍(210)을 구획하는 격벽(220)의 하단에 하부로 돌출되게 간극조절돌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와 다공패드(200)는 모두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받침대와 다공패드에는 서로 대응하게 끼움부(400)가 마련되어 체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400)는 실리콘의 마찰계수를 이용하여 받침대와 다공패드가 강제 끼움으로 고정되도록 받침대와 다공패드 중 어느 일측의 테두리 부분에 복수의 끼움홈(420)이 마련되고, 타측의 테두리 부분에는 끼움홈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복수의 끼움돌부(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부(410)는 외경의 둘레가 수축 가능하게 중공부(4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부(410)의 상면에는 끼움홈의 내벽에 밀착되어 진공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내입부(4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KR2020160000240U 2016-01-15 2016-01-15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KR201700026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40U KR20170002653U (ko) 2016-01-15 2016-01-15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40U KR20170002653U (ko) 2016-01-15 2016-01-15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53U true KR20170002653U (ko) 2017-07-25

Family

ID=5939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240U KR20170002653U (ko) 2016-01-15 2016-01-15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65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632A (ko) * 2019-10-22 2021-04-30 강태순 반려동물 배변판
KR102567237B1 (ko) * 2022-09-05 2023-08-16 주식회사 소울랩스 반려동물용 배변 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850Y1 (ko) 2004-02-26 2004-05-10 이광훈 애완동물용 용변기
KR200354850Y1 (ko) 2004-04-06 2004-06-30 이원규 애완동물용 용변기
KR100967115B1 (ko) 2007-11-06 2010-07-05 김우 애완동물용 용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850Y1 (ko) 2004-02-26 2004-05-10 이광훈 애완동물용 용변기
KR200354850Y1 (ko) 2004-04-06 2004-06-30 이원규 애완동물용 용변기
KR100967115B1 (ko) 2007-11-06 2010-07-05 김우 애완동물용 용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632A (ko) * 2019-10-22 2021-04-30 강태순 반려동물 배변판
KR102567237B1 (ko) * 2022-09-05 2023-08-16 주식회사 소울랩스 반려동물용 배변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436B2 (en)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US5630505A (en) Cover for toothbrush holder
US20040149608A1 (en) Storage device for bathroom implements
CN105072962A (zh) 具备杀菌除臭剂的密闭型马桶盖
KR200484903Y1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KR20170002653U (ko)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US6241091B1 (en) Decorative container for storing plunger
KR20160002642U (ko) 살균기 수저통
US7041261B2 (en) Sanitizing sponge container
KR102581203B1 (ko) 좌변기용 덮개
US20090238739A1 (en) Sanitizing and dampening container
KR200464353Y1 (ko)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US3867096A (en) Glass and toothbrush sterilization and supporting attachment
GB2501740A (en) Pet feeder with odour control means
US20220395148A1 (en) Infection reducing Toilet seat cover
KR101169305B1 (ko) 싱크대
KR101538436B1 (ko) 소독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는 일회용 변기커버
KR200219938Y1 (ko) 살균수저통을 구비한 식탁
KR20090058653A (ko) 살균탈취제가 수납 가능한 좌변기 덮개
GB2556862A (en) A lavatory device
KR20200111603A (ko) 애완 동물용 통풍매트
KR200301449Y1 (ko) 애완견용 집
JP3006069U (ja) 浴室用防カビ除菌具
KR200331014Y1 (ko) 착탈 가능한 매트를 구비하는 소독용 발판.
KR200360422Y1 (ko) 애견용 배설물 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