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641A - 애완동물용 배변판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배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641A
KR20220076641A KR1020200165338A KR20200165338A KR20220076641A KR 20220076641 A KR20220076641 A KR 20220076641A KR 1020200165338 A KR1020200165338 A KR 1020200165338A KR 20200165338 A KR20200165338 A KR 20200165338A KR 20220076641 A KR20220076641 A KR 20220076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present
pets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시현
Original Assignee
안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시현 filed Critical 안시현
Priority to KR102020016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641A/ko
Publication of KR20220076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기르는 애완동물이 배설하는 대소변을 간편하고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배설물을 밟은 애완동물의 발이 즉각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설물을 밟은 애완동물의 발이 즉각적으로 세척될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실내에 악취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배변판 {Toilet board for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기르는 애완동물이 배설하는 대소변을 간편하고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배설물을 밟은 애완동물의 발이 즉각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우고 있는 개,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은 반복적인 훈련을 통하여 정해진 장소에서 배설하게 된다.
이렇게 정해진 장소에서 배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판재나 용기에 신문지, 모래 또는 패드 등이 수납된 배변기를 특정 장소에 비치하여 애완동물의 대소변시 반복적으로 볼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 장소에 배치된 배변기에 애완동물이 배설하면 이를 쉽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판재나 용기에 신문지, 모래 또는 패드를 이용한 배변기는 애완동물이 배설을 했을 경우 이를 밟기 쉽고, 배설물을 밟은 상태에서 실내를 돌아다니게 되므로 인해 주위의 바닥이 매우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배설물을 밟은 애완동물의 발이 즉각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애완동물용 배변판을 연구·개발하게 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77774호 (2005.02.24)
본 발명은 배설물을 밟은 애완동물의 발이 즉각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배변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그릇 형상이고, 내부에는 세척수단(30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 안착되는 커버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커버부(200)의 탄성부재(220)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되, 소정의 수분을 함유하는 세척패드(3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200)는 판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격자형태의 여과망(211)이 형성된 커버몸체(210)와, 상기 커버몸체(210)의 하면에 결합되되,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판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설물을 밟은 애완동물의 발이 즉각적으로 세척될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실내에 악취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판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판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기르는 애완동물이 배설하는 대소변을 간편하고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배설물을 밟은 애완동물의 발이 즉각적으로 세척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판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판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배변판은 본체부(100)와, 커버부(200)와, 세척패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부(100)는 그릇 형상이고, 내부에는 후술할 세척수단(30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부분이다. 본체부(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하면에는 고무 등이 부착될 수 있다.
커버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애완동물(1)이 대소변을 보기 위하여 올라서는 부분이다. 커버부(200)는 커버몸체(210)와, 탄성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210)는 판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격자형태의 여과망(211)이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재(220)는 스프링과 같이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부분으로서, 커버몸체(210)의 하면에 결합된다.
세척패드(300)에 대해 설명한다. 세척패드(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커버부(200)의 탄성부재(220)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물티슈와 같이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의 상측에 애완동물(1)이 올라서게 되면, 애완동물(1)의 하중에 의해 탄성부재(220)가 수축됨으로써 커버몸체(210)의 여과망(211)이 세척패드(300)와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세척패드(300)에 포함된 수분이 여과망(211)의 관통공(211a)을 통과하여 애완동물(1)의 발바닥을 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1)이 배변과 동시에 발바닥의 세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본체부
200 : 커버부
210 : 커버몸체
211 : 여과망
211a : 관통공
220 : 탄성부재
300 : 세척패드
1 : 애완동물

Claims (1)

  1. 그릇 형상이고, 내부에는 세척수단(30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 안착되는 커버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커버부(200)의 탄성부재(220)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되, 소정의 수분을 함유하는 세척패드(3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200)는
    판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격자형태의 여과망(211)이 형성된 커버몸체(210)와,
    상기 커버몸체(210)의 하면에 결합되되,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배변판.
KR1020200165338A 2020-12-01 2020-12-01 애완동물용 배변판 KR20220076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338A KR20220076641A (ko) 2020-12-01 2020-12-01 애완동물용 배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338A KR20220076641A (ko) 2020-12-01 2020-12-01 애완동물용 배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41A true KR20220076641A (ko) 2022-06-08

Family

ID=8198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338A KR20220076641A (ko) 2020-12-01 2020-12-01 애완동물용 배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6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420U (ko) 2022-08-24 2024-03-05 이용운 애완동물 배변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774Y1 (ko) 2004-12-23 2005-03-16 이광훈 애완동물 배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774Y1 (ko) 2004-12-23 2005-03-16 이광훈 애완동물 배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420U (ko) 2022-08-24 2024-03-05 이용운 애완동물 배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4887B2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1090604B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US6418880B1 (en) Flush toilet for domestic pets
US3949429A (en) Animal commode
KR20060136312A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US3757738A (en) Animal commode
KR200484903Y1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JP3130588U (ja) ペット用トイレ
US20100275853A1 (en) Pet Litter Receptacle
KR20220076641A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KR200391310Y1 (ko) 애완동물 배변기
TW202007265A (zh) 寵物用馬桶裝置
JP3939211B2 (ja) ペット用トイレ
KR200377774Y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20120015841A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및 이를 구비한 애완동물용 변기
KR200407235Y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연결구조.
KR20180007995A (ko) 스마트기둥배변판
KR20140005489U (ko)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KR200446370Y1 (ko) 야광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장치
KR200360422Y1 (ko) 애견용 배설물 받침
JP2017212978A (ja) 猫用トイレ
KR102619188B1 (ko) 배변 훈련 장치
KR101586384B1 (ko) 고양이용 변기시트
KR20140123700A (ko) 기능성을 가진 애완동물의 배변판
KR200376969Y1 (ko) 애완동물의 배설물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