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489U -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 Google Patents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489U
KR20140005489U KR2020130002887U KR20130002887U KR20140005489U KR 20140005489 U KR20140005489 U KR 20140005489U KR 2020130002887 U KR2020130002887 U KR 2020130002887U KR 20130002887 U KR20130002887 U KR 20130002887U KR 20140005489 U KR20140005489 U KR 201400054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retion
excretory
net
plat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혜지
Original Assignee
양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혜지 filed Critical 양혜지
Priority to KR2020130002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489U/ko
Publication of KR201400054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1Grids; Gratings; Slatted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Abstract

본 고안은 반려 동물용 배설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에서 사육하는 개나, 고양이, 미니돼지, 족제비 등과 같은 반려동물이 암, 수를 가리지않고 자유롭게 배설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수컷을 위한 배변판으로 통상 암컷이 사용하는 네트워크나 그물형태의 망(網)이 설치된 격자형상의 메인 배설부와; 배설부 결합부와; 망부와; 소변수납부로 구성되며; 상기 배설판은 측면 배설부가 구성되게 된다.
또한, 여기 측면에는 네트워크나 그물형태의 망이 설치된 측면 망부와 상기 메인 배설부 일측에 구조물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의 메인 배설부및 측면 배설부처럼 네트워크나 그물형태의 망이 설치된 중앙 배설부가 구성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중앙 배설부(160)는 사각형, 마름모형, 원뿔형,삼각형, 각형, 원형, 타원형, 장방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일종의 구조물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이를 결합하는 중앙 배설부 결합 부재와; 중앙 배설부 망부와 이를 고정하는 고정 홈과 고정 돌기가 구성되게 되어 반려동물의 배설 촉진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배설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성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Excretion of male and female combined with additional excretion of multiple plate}
본 고안은 반려견을 비롯한 애완 동물용 배설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에서 사육하는 반려동물의 배설을 수컷, 암컷 모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배설판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 예로 반려동물의 대명사인 강아지는 생후 2개월부터 소변 보는 자세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는데 암컷은 쪼그리고 앉아 소변을 보고, 수컷은 점점 자세를 들고 소변을 보기 시작한다.
그리고 수컷은 5-8개월이 되면 다리를 들고 소변을 보게 되는데 다리를 들고 소변을 보는 것은 교육이나 경험이 아니라, '호르몬'의 영향으로 테스토스테론이라는 남성 호르몬에 의해 이런 행동이 발현된다고 볼 수 있다.
암컷 강아지에게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투여하면, 암컷도 다리를 들고 소변을 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렇게 수컷은 사람들처럼 서서 다리를 들고 보고 암컷은 않아서 보는데 그 이유는 암컷과 수컷은 우선생식기의 위치부터가 매우 다르다.
암컷은 생식기가 뒤쪽에 항문 옆에 붙어있는 반면 수컷은 배 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암컷들은 다리를 좀 벌리고 엉거주춤하게 않은 채로 궁둥이를 좀 내려서 싼다.
그에 반면 수컷들은 위쪽에 달려있는 생식기로 인하여 엉거주춤 앉아서 눈다면, 소변이 어느 각도로 나갈지도 모르고 자칫 앞다리에 맞게 될지도 모르며 지면에 싸게 되면 튀게 되니까 개들도 본능적으로 자신이 배설하기 편하고, 위생적인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최근 들어 강아지, 고양이, 미니돼지, 족제비, 햄스터, 이구아나 등 기타 다양한 종류의 반려동물을 사육하는 가정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특히 인간과 친화력이 강한 반려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애정이 날로 증가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우는 애견의 경우 일정한 한 장소에서 배설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배설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신문지, 종이상자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길들여 지지 않은 반려동물은 이불, 침대 등 실내 아무 곳에나 배설행위를 행하게 되고, 이에 실내에서 청결하고, 불편 없이 반려동물을 사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반복훈련에 의한 일정한 장소에서의 용변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시중에는 이러한 반려동물들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배설판이 판매되고 있는데 상기 배설판이 널빤지 형태로 되어있어 대부분 않아서 용변을 보는 암컷들을 위한 것으로 수컷이 용변을 보기에는 소변이 바깥으로 튀거나 자신의 발에 묻게 되므로 나가게 되어 배설을 꺼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 들어 혼자 지내는 인구나 실버세대의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서 이들이 키우는 반려동물, 특히 고양이나 강아지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한 마리가 아니라 다수의 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배설을 위한 각종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반려동물용 변기는, 일정 크기의 통을 설치하고, 그 통 안에서 반려동물이 배설을 하면, 통에 담긴 배설물을 버리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때 통 안의 배설물을 더욱 쉽고 용이하게 버릴 수 있도록 통 안에 일회용 시트 등을 마련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구조의 반려 동물용 변기의 경우 상기한바 대로 배설판이 널빤지 형태의 판상으로 되어있어 대부분 않아서 용변을 보는 암컷들을 위한 것으로 수컷이 용변을 보기에는 소변이 바깥으로 나가게 되어 배설을 꺼리는 문제점과 소변이 바깥으로 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반려동물용 배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이 배설을 하는 배설기에 수컷이 소변을 보기 용이하도록 일정형태의 다수의 기공이 설치된 타워 형태의 구조물을 상기 배설기 망부 위에 별도로 부착하여 수컷들도 편하게 소변을 볼 수 있는 기능성을 가진 배설기로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배설기에 관한 것으로 일실시 예에 의한 종래 동물용 배설기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먼저,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0391310호, 동 제0387068호, 동 제404340호 등으로 공개된 애완 동물용 배설기가 다수 개발되어 애견용 배설물처리 수단들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들 애완견의 배설물 처리기들은 애견의 소변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게 결합 부재를 형성한 망체와 상기 망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망체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애견의 소변을 모을 수 있게 하며
하부로 형성한 결합부 재가 원터치로 결합하는 상부만이 개구된 배설받침대로 이루어져 있었고 배설기의 기능성만을 추구한 기술들이었으며 본원에서처럼 수컷이 편하게 용변을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10-2011-0055911로 기술된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가 있는데 이는 배설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중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원과는 각별한 기술이라고 볼 수 있으며 본원에서처럼 암, 수의 반려 동물이 자유롭게 배설을 할 수 있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반려동물용 배설기들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일반 가정에서 사육하는 반려동물이 암, 수를 가리지않고 자유롭게 배설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수컷을 위한 일정형태의 구조물이 배설기 일측에 단턱이나 끼움식,벨크로, 자석 등으로 세워지므로 반려동물이 배설의 욕구를 느낄 때마다 암, 수가리지 않고 배설을 할 수 있는 편리한 반려동물용 배설판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반려동물의 암컷이나 수컷 모두가 배설판에서 편리하게 배설을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반려동물용 배설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용 배설판은, 망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컷이 배설을 볼 시에는 여기에 구조물을 부착하여 소변을 더욱 쉽고 외부에 튀지않게 위생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본원의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일반 가정에서 사육하는 반려동물의 암수 모두가 간단한 조작으로 하나의 배설판에서 배설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배설물을 청결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고, 견고하고 착탈식 구성으로 이루어져 분리이탈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청소 및 관리가 편리하며, 반려동물이 배설의 욕구를 느낄 때마다 스스로 배설판으로 이동하여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이며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의 암, 수와 관계없이 배설판에서 배설활동을 하도록 하는 배설 훈련의 학습효과도 매우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에 있어 종래의 일반적인 배설판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에 있어 종래의 수컷의 배설 패드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에 일실시 예에 있어 종래의 배설판을 나타낸 그림.
도 4는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의
일실시 예에 있어 측면배설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의
일실시 예에 있어 중앙 배설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의
일실시 예에 있어 동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의 상기 하였듯이 일반 가정이나 동물병원에서 사육하는 반려동물이 암, 수를 가리지않고 자유롭게 배설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수컷을 위한 배변판으로 통상 암컷이 사용하는 네트워크나 그물형태의 망(網)이 설치된 격자형상의 메인 배설부(40)와; 배설부 결합부(60)와; 망부(80)와; 소변수납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배설판은 측면 배설부(100)가 구성되고 여기 측면에는 네트워크나 그물형태의 망이 설치된 측면 망부(140)와 상기 메인 배설부(40)일측에 구조물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의 메인 배설부(40)및 측면 배설부(100)처럼 네트워크나 그물 형태의 소변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 망(網)이 설치된 중앙 배설부(160)가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배설부(160)는 사각형, 마름모형, 원뿔형,삼각형, 각형, 원형, 타원형, 장방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일종의 구조물 모양으로 되어있으며 이를 결합하는 중앙 배설부 결합 부재(180)와; 중앙 배설부 망부(200)와 이를 고정하는 고정 홈(220)과 고정 돌기(240)가 구성되게 된다.
또한, 측면 배설부(100)와 중앙 배설부(160)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 돌기(240)의 후방 측에 형성된 결합 부재에는 상기 배설판들의 양측에 결합한 고정 홈(220)과 상기 배설판들의 후단이 각각 재치 안착 되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배설부(100)와 중앙 배설부(160)의 하부 일측에는 결합용 자석이나 벨크로, 나사 등으로 상기 측면 배설부(100)와 중앙 배설부(160)의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앙 배설부(160)는 크기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접철식이 가능하고
상기 중앙 배설부(160)일측면에는 상기 반려동물들이 입출 할 수 있는 도어(260)가 구성되는데 상기 도어(260)는 상기 반려동물이 배변욕구를 느끼거나 주인에게 신호를 보내게 되면 주인은 상기 중앙 배설부(160) 일측면에 설치된 도어(260)의 힌지(280)및 개폐부(300)를 동물이 밀어 열거나 아니면 주인이 열어주어서 상기 반려동물을 배변 하우징으로 들어오게 하고 반려동물은 사방이 밀폐된 자신의 공간에서 원하는 방향 어디에든 배변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메인 배설부(40)와 측면 배설부(100)와 중앙 배설부(160)의 망부 뒤편에는 소변의 바깥 유출을 막기 위하여 타측에 밀폐 부재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하부방향으로 배출시켜 소변수납부(120)에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반려동물의 주인은 상기 소변 수납부(120)에 모인 소변을 변기에 버리고 이를 세척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배설부(40)와 측면 배설부(100)의 형태는 반드시 사각형이 아닐 수도 있으며 원형이나 삼각형 마름모꼴이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중앙 배설부(160)의 구조 또한 반드시 전봇대처럼 타원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원형이나 사각형, 마름모형, 원뿔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구조물 형태로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의 특징은 사방이 막히고 도어(260)가 설치되는 측면 배설부(100)와 일정형태의 중앙 배설부(160) 구조물이 메인 배설부(40) 일측에 단턱이나 끼움식 자석이나 나사결합, 또는 벨크로 결합 등과 같은 탈 결합 방식으로 세워지므로 반려동물이 배설의 욕구를 느낄 때마다 암, 수 가리지 않고 배설을 할 수 있는 위생적이고 편리한 반려 동물용 배설판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에 있어 종래의 일반적인 배설판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에 있어 종래의 수컷의 배설 패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에 일실시 예에 있어 종래의 배설판을 나타낸 그림으로 이와 같이 종래의 배설판은 판상으로 되어있어 동물의 수컷이 배변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도 4는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본원의 배설판은 격자형상의 메인 배설부(40)와; 배설부 결합부(60)와; 망부(80)와; 소변수납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배설판은 측면 배설부(100)가 구성되고 측면에 격자형태의 망이 설치된 측면 망부(140)와 상기 메인 배설부(40)일측에 다양한 구조물 형태로 설치된 중앙 배설부(160)와 이를 결합하는 중앙 배설부 결합 부재(180)와; 중앙 배설부 망부(200)와 이를 고정하는 고정 홈(220)과 고정 돌기(240)와 도어(260)로 구성되며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하부방향으로 배출시켜 소변수납부(120)에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의
일실시 예에 있어 측면배설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배설판은 상기 메인 배설부(40)의 내부 일측에 배설부 결합부(60)에 의하여 결합하며 상기 메인 배설부(40)일측 측면 배설부(100)에 설치된 측면 망부(140)와 수직 형성되어 구조물 형태로 설치된 중앙 배설부(160)와 동물이 입출 하는 도어(260)와 이를 작동하는 상하 좌우로 유동하는 경첩인 힌지(280)와 상기 도어(260)를 열거나 닫는 개폐부(300)가 구성되며 중앙 배설부(160)는 사각형, 마름모형, 원뿔형, 각형, 원형, 타원형, 장방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의
일실시 예에 있어 중앙 배설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이 설치된 배설판의 일실시 예에 있어 동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배설판 본체(20)에 설치된 메인 배설부(40)와 측면 배설부(100)와 중앙 배설부(160)는 단턱식, 끼움식, 자석결합, 나사결합중 택일 된 어느 하나의 결합 부재를 갖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배설판 본체(20)에 설치된 메인 배설부(40)와 측면 배설부(100)와 중앙 배설부(160)에는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소변이 흐름이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형태의 망부가 설치되되; 반려동물의 소변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한 밀폐 부재가 상기 메인 배설부(40)와 측면 배설부(100)와 중앙 배설부(160)의 타측에
더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설판 본체(20)에는 격자 형상의 메인 배설부(40)인 제1 배설부와; 상기 배설판 본체(20)에 착탈 가능한 다양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측면 배설부(100)인 제2배설부와 상기 메인 배설부(40)일측에 구조물 형태로 설치된 일정 높이를 갖고 도어(260)가 사각형, 세모형, 라운드형, 원형, 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이루어진 포스트(기둥) 형태인 중앙 배설부(160)인 제3배설부가 구성되며 상기 배설부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망(網)부가 구성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설판 본체(20)에는 메인 배설부(40)인 제1배설부와 ;
측면 배설부(100)인 제2배설부와 중앙 배설부(160)인 제3 배설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설부가 탈 부착되는 것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원 고안은 이처럼 상기 배설판 본체(20)에 설치된 메인 배설부(40)와 측면 배설부(100)와 중앙 배설부(160)에는 격자 형태나 망부가 설치되며
상기 배설판 본체(2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 배설부(100)가 구성되며 상기 측면 배설부(100)일측에는 동물이 입출 하는 도어(260)부가 구성되게 되는 것으로 매우 편리하고 예의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아울러 본원 고안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반 가정에서 사육하는 반려동물의 암수와 상관없이 모두가 간단한 조작으로 하나의 배설판에서 배설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배설물을 청결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고, 착탈식 구성으로 이루어져 분리이탈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청소 및 관리가 편리하며 하나의 배설판의 구입으로 반려동물의 암, 수를 가리지않고 장기간에 걸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경제성이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시 비용이 들지않는 장점이 있다.
20: 배설판 본체 40: 배설부
60: 배설부 결합부 80: 망부
100: 측면 배설부 120: 측면 망부
140: 소변수납부 160: 중앙 배설부
180: 중앙 배설부 결합 부재 200: 중앙 배설부 망부
220: 고정 홈 240: 고정 돌기
260: 도어 280: 힌지
300: 개폐부

Claims (6)

  1. 배설판 본체(20)와; 그물 또는 격자형상의 메인 배설부(40)와; 배설부 결합부(60)와; 망부(80)와; 소변 수납부(120)로 구성된 반려동물의 배설판에 있어서,
    상기 배설판은 측면 배설부(100)가 구성되고 측면에 망이 설치된 측면 망부(140)
    와 상기 메인 배설부(40)일측에 구조물 형태로 설치된 중앙 배설부(160)와 이를 결합하는 중앙 배설부 결합 부재(180)와; 중앙 배설부 망부(200)와; 이를 고정하는 고정 홈(220)과; 고정 돌기(240)와; 도어(260)로 구성되며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하부방향으로 배출시켜 소변수납부(120)에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2. 배설판 본체(20)와; 격자형상의 메인 배설부(40)와; 배설부 결합부(60)와; 망부(80)와; 소변수납부(120)로 구성된 반려동물의 배설판에 있어서,
    상기 배설판은 상기 메인 배설부(40)의 내부 일측에 배설부 결합부(60)에 의하여 결합하며 상기 메인 배설부(40)일측 측면 배설부(100)에 설치된 측면 망부(140)와 수직 형성되어 구조물 형태로 설치된 중앙 배설부(160)와 소변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밀폐 부재와;
    상기 반려 동물이 입출 하는 도어(260)와 이를 작동하는 경첩인 힌지(280)와 상기 도어(260)를 열거나 닫는 개폐부(300)가 구성되되; 상기 중앙 배설부(160)는 사각형, 마름모형, 원뿔형,삼각형, 각형, 원형, 타원형, 장방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3. 청구항 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판 본체(20)에 설치된 메인 배설부(40)와 측면 배설부(100)및 중앙 배설부(160)는 단턱식, 끼움식, 자석결합, 나사 결합, 벨크로 결합 중 택일 된 어느 하나의 결합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판 본체(20)에 설치된 메인 배설부(40)와 측면 배설부(100)와 중앙 배설부(160)에는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소변이 흐름이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형태의 망부가 설치되며 상기 망부 바깥 측에는 소변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5. 배설판 본체(20)와; 격자형상의 메인 배설부(40)와; 배설부 결합부(60)와; 망부(80)와; 소변수납부(120)로 구성된 반려동물의 배설판에 있어서,
    상기 배설판 본체(20)에는 격자 형상의 메인 배설부(40)인 제1 배설부와 ;
    상기 배설판 본체(20)에 착탈 가능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측면 배설부(100)인
    제2배설부와 상기 메인 배설부(40)일측에는 도어(260)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260)는 사각형, 세모형, 라운드형, 원형, 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반려동물이 입출하는 도어(260)가 구성되며;
    또한 제3배설부는 구조물 형태로 설치된 일정 높이를 갖고 상기 메인 배설부(40)와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포스트 형태인 중앙 배설부(160)가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배설부들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망(網)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판 본체(20)에는 메인 배설부(40)인 제1배설부와 ;
    측면 배설부(100)인 제2배설부와 중앙 배설부(160)인 제3배설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설부가 상기 배설판 본체(20)일측에 탈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KR2020130002887U 2013-04-15 2013-04-15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KR201400054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87U KR20140005489U (ko) 2013-04-15 2013-04-15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887U KR20140005489U (ko) 2013-04-15 2013-04-15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89U true KR20140005489U (ko) 2014-10-23

Family

ID=5245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887U KR20140005489U (ko) 2013-04-15 2013-04-15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48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495A (ko) * 2015-01-23 2016-08-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배변 유도 장치
WO2019045357A1 (ko) * 2017-08-28 2019-03-07 이종은 폴딩형 애완동물용 배변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495A (ko) * 2015-01-23 2016-08-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배변 유도 장치
WO2019045357A1 (ko) * 2017-08-28 2019-03-07 이종은 폴딩형 애완동물용 배변판
KR20190024719A (ko) * 2017-08-28 2019-03-08 이종은 폴딩형 애완동물용 배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4887B2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1090604B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TW561022B (en) Flush toilet for domestic pets
US44374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cats to use a toilet bowl
KR20060136312A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1954771B1 (ko) 조립식 배변판 어셈블리
US20100275853A1 (en) Pet Litter Receptacle
JP2018023376A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装置
JP7039762B1 (ja) ペット用システムトイレ
US20040089243A1 (en) Flush toilet for a dog
KR20140005489U (ko) 복수의 배설부가 설치된 암수겸용 배설판
KR101827226B1 (ko) 가림막이 구비된 애견용 배변판 받침대
WO2015179497A1 (en) Combined pet litter box and cleaning sieve
KR20140123700A (ko) 기능성을 가진 애완동물의 배변판
KR20220076641A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KR20160038372A (ko) 기능성을 가진 애완동물의 배설판
JP3554979B2 (ja) ペットの尿吸収シート
US20080156276A1 (en) Portable den
KR200377774Y1 (ko) 애완동물 배변기
JP2001346472A (ja) 金網及び尿貯め容器付きペット用トイレ
KR20120015841A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및 이를 구비한 애완동물용 변기
KR100843626B1 (ko) 애완동물의 배변 수거장치
KR200424992Y1 (ko) 애완견용 배변판
JP4001155B2 (ja) 犬用携帯小便具
JP3026249U (ja) 便と尿が簡便かつ衛生的に処理できる使い捨て排泄用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