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597Y1 - 애완동물용 변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597Y1
KR200385597Y1 KR20-2005-0007661U KR20050007661U KR200385597Y1 KR 200385597 Y1 KR200385597 Y1 KR 200385597Y1 KR 20050007661 U KR20050007661 U KR 20050007661U KR 200385597 Y1 KR200385597 Y1 KR 200385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d
grooves
sides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준
Original Assignee
오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준 filed Critical 오태준
Priority to KR20-2005-0007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5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1Grids; Gratings; Slatted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변기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크기가 임의로 가변되어질 수 있고, 용변시 애완동물들의 발에 소변이 묻어나는 것을 사전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애완동물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배수홈(41)을 구비한 보호대(40)와 상기 보호대(40)의 하부에 설치되는 패드(20)와 변기(30)로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30)는 하단에 다수의 절곡홈(31)이 형성되는 한편, 변기(30)를 구성하는 양면(32,33)의 경계부인 접철부(34)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홈(31)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하며, 양면의 양측에는 홈부(35)가 형성되고, 상기 변기(30)를 구성하는 양면(32,33)의 상부에는 패드(20)의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21)에 끼움장착 되도록 다수의 돌기(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은 소변은 보호대의 배수홈을 통해 아랫쪽 패드에 분리되게 되어 용변처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용변을 보는 애완동물의 발에는 소변이 묻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패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패드가 애완동물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변기의 중앙에 접철부를 형성시켜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변기{Pat toilet}
본 고안은 애완동물이 배설한 배설물을 수용하는 변기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애완동물의 성장에 맞도록 그 크기가 임의로 가변되는 가변형이고, 용변시 애완동물들의 발에 소변이 묻어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변기의 중앙에 접철부를 형성시켜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개,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이 사람들과 동일한 공간에서 함께 생활하면서 특정한 곳에만 애완동물이 용변을 볼 수 있게 유도하는 애완동물용 변기가 제안되었다.
종래에는 판 형태로 되어 그 내측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변기의 내측 바닥에 신문지 또는 물 세척이 가능한 별도의 수분흡수용 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수분흡수용 패드는 수분은 투과하도록 된 부직포와 수분이 투과할 수 없는 비닐 소재로 구성된 방수시트 사이에 항균, 방취, 수분 흡수 효과가 우수한 견면소재를 삽입하여 소변과 같은 수분을 모두 패드에 흡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용변을 모으는 별도의 패드만을 변기에서 분리되도록 들어내는 것으로 간편하게 용변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변기는 모양은 동일하면서 크기만을 달리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그 크기를 임의로 선택하는 선택형인 관계로 애완동물이 성장에 맞도록 수시로 변기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이 패드를 직접 밟고 올라선 상태로 용변을 보게되므로 용변중에 소변이 발에 묻어나 애완동물의 위생 및 청결 유지할 수 없고, 용변을 마친 애완동물 발에 소변이 묻어있는 상태로 실내를 돌아나닐 경우 소변에 의한 흔적(발자국)을 남기게 되고, 이들 흔적에는 심한 악취를 유발하게 되어 실내는 물론 주변공기를 크게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용변을 처리하기 위한 패드가 외부에 그냥 노출되는 노출형인 관계로 애완동물이 쉽게 입으로 물어 뜯거나 날카로운 발톱에 의해 훼손되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고안인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8262호(애완동물용 변기)를 출원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을 좀더 편리하게 조립 및 해체를 하기 위하여 변기의 구성을 새롭게 고안하여 좀더 개량된 애완동물용 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는 변기의 중앙에 접철부를 형성시켜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보호대와 상기 보호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패드와 변기로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는 하단에 다수의 절곡홈이 형성되는 한편, 변기를 구성하는 양면의 경계부인 접철부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홈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하며, 양면의 양측에는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변기를 구성하는 양면의 상부에는 패드의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에 끼움장착 되도록 다수의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변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의 접철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가 접철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보호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는, 변기에 애완동물이 용변을 보았을 경우에는 변기에서 보호대를 들어내면 보호대와 함께 소변이 분리된 배변만이 그 위에 남아 있어 배변만을 따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며, 수분을 포함한 소변은 모두 변기의 내측에 놓여진 패드에 흡수되어 있어 기존처럼 패드를 들어내어 이를 깨끗하게 세척후 건조된 패드를 변기의 내측에 깐다음 그 패드위에 보호대를 마저 덮어 씌우게 되면 패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대에 의해 가려진 상태로 놓여지게 되어 애완동물이 패드를 훼손하려는 사전 방지할 수 있는 종래의 본 고안인이 출원한 애완동물용 변기의 개량고안이다.
즉,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100)는 좀더 편리하게 조립 및 해체를 하기 위하여 변기(30)의 구성을 새롭게 고안한 것으로서, 도1과 도2a 및 도2b를 살펴보면다수의 배수홈(41)을 구비한 보호대(40)와 상기 보호대(40)의 하부에 설치되는 패드(20)와 변기(30)로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변기를 기본구조로 하며, 상기 변기(30)는 하단에 다수의 절곡홈(31)이 형성되는 한편, 변기(30)를 구성하는 양면(32,33)의 경계부인 접철부(34)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홈(31)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하며, 양면의 양측에는 홈부(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즉, 도4와 같이 본 고안의 변기(30)는 하부로 접철 가능하도록 하부에 접철부(34)가 형성되어 접철되게 함으로써 설치가 간단하며 또한 보관시에도 적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기(30)를 구성하는 양면(32,33)의 상부에는 패드(20)의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21)에 끼움장착 되도록 다수의 돌기(36)가 구비되어 패드(20)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어 패드의 이탈로 인한 애완동물의 오줌이 바닥에 새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변기는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의하여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변기의 중앙에 접철부를 형성시켜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고 보관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게 도니다.
또한, 변기를 구성하는 양면의 상부에는 패드의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에 끼움장착 되도록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어 패드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어 패드의 이탈로 인한 애완동물의 오줌이 바닥에 새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의 접철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가 접철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보호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변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패드 30 : 변기
31 : 절곡홈 32,33 : 양면
34 : 접철부 35 : 홈부
36 : 돌기 40 : 보호대
100 : 애완동물변기

Claims (2)

  1. 다수의 배수홈(41)을 구비한 보호대(40)와 상기 보호대(40)의 하부에 설치되는 패드(20)와 변기(30)로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30)는 하단에 다수의 절곡홈(31)이 형성되는 한편, 변기(30)를 구성하는 양면(32,33)의 경계부인 접철부(34)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홈(31)을 기준으로 접힘이 가능하며, 양면의 양측에는 홈부(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30)를 구성하는 양면(32,33)의 상부에는 패드(20)의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21)에 끼움장착 되도록 다수의 돌기(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변기.
KR20-2005-0007661U 2005-03-21 2005-03-21 애완동물용 변기 KR200385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61U KR200385597Y1 (ko) 2005-03-21 2005-03-21 애완동물용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661U KR200385597Y1 (ko) 2005-03-21 2005-03-21 애완동물용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597Y1 true KR200385597Y1 (ko) 2005-05-31

Family

ID=4368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661U KR200385597Y1 (ko) 2005-03-21 2005-03-21 애완동물용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5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516Y1 (ko) 2012-01-05 2012-07-18 방우영 애완 동물용 배설물 처리 장치
KR20220159168A (ko) 2021-05-25 2022-12-02 김용섭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516Y1 (ko) 2012-01-05 2012-07-18 방우영 애완 동물용 배설물 처리 장치
KR20220159168A (ko) 2021-05-25 2022-12-02 김용섭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4887B2 (ja) ペット用トイレ
US3949429A (en) Animal commode
US5355837A (en) Canine trainer and toilet station
US6418880B1 (en) Flush toilet for domestic pets
US6079363A (en) Portable canine waste station
KR100751225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US3757738A (en) Animal commode
KR200406304Y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US20060156992A1 (en) Device introduced in toilet for pets
US20100275853A1 (en) Pet Litter Receptacle
KR20180068265A (ko) 조립식 배변판 어셈블리
KR200385597Y1 (ko) 애완동물용 변기
KR101456368B1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KR200377774Y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200371785Y1 (ko) 애완동물용 변기
WO2022064954A1 (ja) 動物用トイレ及び動物用トイレセット
KR100547022B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KR200407235Y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연결구조.
KR20220076641A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KR200446370Y1 (ko) 야광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장치
KR102218017B1 (ko) 고양이 배변판
KR20210031342A (ko) 휴대성을 갖는 수세식 밀폐형 반려동물 배변판
KR200360422Y1 (ko) 애견용 배설물 받침
CN213306743U (zh) 猫咪冲水厕所
KR102535854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