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854B1 - 반려동물용 배변판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배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854B1
KR102535854B1 KR1020220141212A KR20220141212A KR102535854B1 KR 102535854 B1 KR102535854 B1 KR 102535854B1 KR 1020220141212 A KR1020220141212 A KR 1020220141212A KR 20220141212 A KR20220141212 A KR 20220141212A KR 102535854 B1 KR102535854 B1 KR 102535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ation
tray
board
urin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요셉
Original Assignee
박요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요셉 filed Critical 박요셉
Priority to KR102022014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변 받이를 구비하여 반려동물이 대, 소변을 본 배변판을 화장실까지 들고 이동해서 대, 소변을 간편하게 변기에 부어 잔존물 없이 처리할 수 있고, 세척이 간편한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배변판 {Indoor potty system for a petdogs}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변 받이를 구비하여 반려동물이 대, 소변을 본 배변판을 화장실까지 들고 이동해서 대, 소변을 간편하게 변기에 부어 잔존물 없이 처리할 수 있고, 세척이 간편하며, 사용 환경에 따라 배변 받이를 제거하고 호스를 하수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예전에는 사람과 같이 생활하는 동물을 사람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기르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애완동물이라 불렀으나, 요즈음에는 동물이 사람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며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친밀감을 주는 친구, 가족과 같은 존재라는 뜻에서 반려동물이라고 하고, 가장 널리 키우는 반려동물은 개와 고양이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우는 개는 일정한 한 장소에서 배설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배설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신문지, 종이 상자 또는 고흡수성 합성수지로 제작된 배변판이다.
이러한 신문지, 종이 상자 및 배변판과 같은 곳에서 애견이 배설했을 때, 애견이 이를 발로 밟고 돌아다녀 주위의 실내 바닥이 지저분하게 되고, 많은 쓰레기가 발생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패드 상부에 소정 간격마다 무수한 돌기가 돌출되어 애견이 배변했을 때 고체 상태인 대변은 돌기 상부로 노출되고, 액체 상태인 소변은 각각의 돌기 사이의 홈에 저장되는 배변판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배변판을 청소할 때는 화장실까지 들고 가 180도 뒤집어 소변과 대변을 변기에 부어 처리하여야 한다.
이때, 배변판을 뒤집는 과정에서 소변이 튀어 주변을 오염시킬 수도 있고, 무거운 배변판을 뒤집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일측에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배변판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배변판(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변판(10)의 일측에 배변 받이(11)가 구성됨으로써, 배변판(10)의 대, 소변을 처리하기 위해 배변판(10)을 들어 세워 배변 받이(11)를 아래쪽으로 위치시켜서 배변 받이(11)로 대, 소변이 모이게 한 상태에서 배변판(10)을 들고 화장실로 이동하여 도 2와 같이 배변판(10)을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기울여서 변기에 배변 받이(11)의 대, 소변을 부어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배변판(10)은 배변판(10)이 세워져 배변 받이(11)가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기울여짐에 의해 대, 소변이 배변 받이(11)의 가장자리 쪽으로 모여서 가장자리 벽면을 타고 외부로 배출될 때 아래쪽에 위치하는 배변 받이(11)의 구조상 대, 소변이 타고 흘러나오는 배변 받이(11)의 가장자리 양측 벽이 배변 받이(11)의 바닥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배변판(10)을 세운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90도 이상 기울여야만 배변 받이(11)의 대, 소변이 부어지므로 무거운 배변판(10)을 기울이기가 매우 힘들다.
또한, 배변판(10)을 기울여 변기에 대, 소변을 부어 처리한 후에도 배변 받이(11) 내부에 대, 소변이 잔존하는 경우가 많아 항상 별도로 후 세척을 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배변판(10)의 타측 상부에 손잡이(12)가 상향 - 배변판(10)을 눕힌 상태에서 상부 방향 - 으로 돌출되므로 배변판(10)으로 오르내리는 애견의 발이 손잡이(12)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손잡이(12)를 잡고 이동하여 부을 때 배변판(10) 표면의 대, 소변이 손에 묻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584610호,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310호, "애완동물 배변기"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75032호, "반려동물용 배변판" 문헌 4.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8859호, "반려견 배변장치" 문헌 5.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2240245호,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배변판의 일측에 배변 받이를 구성하되, 배변판을 세워 배변 받이가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조금만 기울여도 배변 받이의 가장자리로 대, 소변이 모여져 흘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배변 받이 내부의 대, 소변을 깨끗하게 부어 처리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세척이 매우 간편하고, 조금의 대, 소변이 잔존하지 않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고, 배변판을 세워서 자주 소변을 비우지 않고 배변판이 바닥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반려동물이 만들어내는 소변을 지속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몸체(110)에 소정 간격마다 종단 홈(113) 및 횡단 홈(114)이 형성되도록 돌부(112)가 돌출되고, 몸체(112) 전방에 저장부(121)가 구비된 배변 받이(120)가 체결수단으로 탈, 부착되도록 구성된 배변판(100)에 있어서, 상기 배변 받이(120)와 체결되는 몸체(110)의 전방 단부는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를 거쳐 타측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성형되고, 상기 배변 받이(120)는 상기 몸체(110)의 전방 단부와 체결되는 부분이 몸체(110)의 전방 단부와 체결되기 위해 안쪽으로 오목하게 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성형되어, 상기 배변판(100)이 세워진 상태에서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은 오목하게 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되어 있어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의 가장자리 양측에서의 접선과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의 중심부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횡단 홈(114)은 반려동물이 배변판(100)의 몸체(110) 후방에서 소변을 볼 때 소변이 몸체(110)의 후방에서 정체되지 않고 옆으로 퍼지면서 원활하게 빠르게 흘러내리도록 상기 몸체(110)의 후방으로 갈수록 횡단 홈(114)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반려동물이 몸체(110)에 올랐을 때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몸체(110)의 전방에는 횡단 홈(114) 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게 하여 돌부(112)의 길이가 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변 받이(120)의 측벽 상단에는 홈 형태의 배출홈(1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은 몸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된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전방에는 몸체(110)의 내, 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구(118)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8)는 마개(119)로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118)와 연결되는 호스(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에는 경사진 연장편(115)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115)이 하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면은 지면에 접하고 상면은 몸체(110)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제작된 손잡이(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116)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옵셋부(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배변판(100)이 세워진 상태에서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이 오목하게 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되어 있어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의 가장자리 양측에서의 접선과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의 중심부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배변판(100)을 세운 상태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조금만 기울여도(예를 들어 45° 이내) 배변 받이(120)의 가장자리 벽면을 통해 배변 받이(120) 내부의 대, 소변이 남김없이 깨끗하게 부어 배출, 처리할 수 있고, 그리고 배변 받이(120)를 몸체(110)로부터 탈, 부착이 가능하므로 배변 받이(120)를 분리하여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몸체(110)에 배출구(118)를 형성함으로써, 배변 받이(120)를 분리한 상태에서 배출구(118)에 호스(130)를 체결하여 사용하면 사용자가 자주 배변판(100)에 모여진 소변을 배출, 처리하는 작업할 필요 없이 배변판(100)의 소변이 호스(130)를 따라 하수구로 자동 배출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배변 받이가 구비된 배변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배변판의 배변 받이에 수납된 대, 소변을 부어 처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변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변판에서 배변 받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변판에서 배변 받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배변판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배변판을 기울여 배변 받이의 대, 소변을 부어 처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배변판에 호스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3을 기준으로 배변 받이(120)가 체결되는 부분을 "전방"이라하고, 몸체(110)에서 돌부(112)가 돌출된 방향을 "상향"이라 정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변판(1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변판(100)에서 배변 받이(12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변판(100)에서 배변 받이(12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변판(100)은 몸체(100)와 배변 받이(120)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몸체(110)와 배변 받이(120)를 체결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몸체(110)만 사용할 수 있다.
몸체(1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로 몸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다수의 돌부(112)가 상향 돌출된다.
상기 돌부(112)는 애견의 발톱이 돌부 사이의 몸체 바닥(111)에 닿지 않을 정도로 몸체 바닥(111)에서 돌출되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부(112)와 몸체(110)의 측벽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돌부(112)를 구성함으로써, 돌부(112)와 입벽 사이를 통해 애견의 소변이 원활하게 유동하여 배변 받이(120)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몸체(110)의 후방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몸체(120)의 전방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몸체 바닥(111)은 몸체(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반려동물이 몸체(110)에서 소변을 보았을 때 소변이 경사진 몸체 바닥(111)을 따라 배변 받이(120) 쪽으로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몸체(110)의 전방측 몸체 바닥(111)은 양측으로부터 배출구(118)가 있는 가운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즉, 움푹한 형태로 몸체 바닥(1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 바닥(111)이 형성됨으로써, 반려동물이 배변판(100)에서 소변을 보면 소면이 기울어진 몸체 바닥(11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흘러내리고, 몸체(110)의 전방으로 흘러내린 소변은 가운데가 움푹하게 성형된 몸체 바닥(111)을 따라 배출구(118)로 모이며, 배출구(118)로 모인 소변은 이후 설명하는 마개(119)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몸체 바닥(111)으로부터 돌부(112)가 상향 돌출되는데, 돌부(112)는 몸체(110)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측 방향의 인접한 다른 돌부(112)와는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연속 형성됨으로써, 도 6 및 도 7과 같이 돌부(112)와 측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돌부(112) 사이에 종단 홈(113)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상기 각각의 돌부(112)에는 몸체(110)의 횡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횡단 홈(114)을 형성한다.
반려 동물이 배변판(100)에서 소변을 보면 소변이 기울어진 몸체 바닥(111)을 따라 종단 홈(113)에 의해 안내되어 소변이 몸체(110)의 전방으로 유동하는데, 소변이 상기 횡단 홈(114)을 따라 이웃한 종단 홈(113)으로 월류하여 이웃한 종단 홈(113)을 따라 유동하므로 소변이 빠르게 배변판(110)의 전방으로 유동한다.
또한, 소변이 종단 홈(113)을 따라 유동하다가 돌부(112)의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정체되는데, 돌부(112)에 소정 간격마다 횡단 홈(114)을 형성함으로써, 소변과 돌부(112) 사이의 마찰 면적으로 줄여 소변이 종단 홈(113)을 따라 원활하게 흘러내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횡단 홈(114)은 각각의 돌부(112)에 동일한 간격마다 형성할 수 있지만, 도 8과 같이 몸체(110)의 후방으로 갈수록 횡단 홈(114)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10)의 전방에는 배변 받이(120)가 체결되어 상향 돌출되므로 대부분의 반려동물은 배변판(100)의 몸체(110) 후방에서 소변을 본다. 따라서, 소변이 몸체(110)의 후방에서 정체되지 않고 옆으로 퍼지면서 원활하게 빠르게 흘러내리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110)의 전방에는 횡단 홈(114) 사이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는데, 이는 돌부(112)의 길이가 길게 하여 반려동물이 몸체(110)에 올랐을 때 좀 더 편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전방에는 배변 받이(120)가 탈, 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배변 받이(120)는 측 단면이 'ㄱ' 형태로 성형되고, 하부에 체결 돌기(124a)가 형성되며, 몸체(110)의 전방에는 체결 홈(124b)이 형성되는데, 배변 받이(120)의 체결 돌기(124a)를 몸체(110)의 체결 홈(124b)에 삽입함으로써 배변 받이(120)가 몸체(110)와 체결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체결 홈(124b)의 바닥에는 소정 개수의 천공된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변 받이(120)의 체결 돌기(124a)가 삽입되는 체결 홈(124b)은 장공의 홈 형태로 형성되는데, 사용 중 체결 홈(124b)에 소변이나 물이 삽입되어 고일 수 있으므로 체결 홈(124b)의 바닥에 소정 개수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체결 홈(124b)에 소변이나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변 받이(120)를 몸체(110)와 체결하면, 배변 받이(120)는 몸체(110)의 벽이 상향 연장된 후, 몸체(110) 내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된 형태로 배변 받이(110)가 구성됨으로써, 배변 받이(110) 내부에 공간 형태로 저장부(1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닥에 눕혀놓은 배변판(100) 위에 반려동물이 대, 소변을 본 상태에서 배변 받이(110)가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배변판(100)을 들어올려 세우면,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부터 시작하여 저장부(121)에 대, 소변이 채워진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변 받이(120)와 체결되는 몸체(110)의 전방 단부는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를 거쳐 타측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배변 받이(120)는 몸체(110)의 전방 단부와 체결되는 부분이 몸체(110)의 전방 단부와 체결되기 위해 안쪽으로 오목하게 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성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변판(100)을 세워서 배변 받이(120)를 아래쪽으로 위치시킨 상태가 되면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은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 양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성형된다.
즉, 몸체(110) 후단으로부터 저장부 바닥(122)의 가운데까지의 길이는 몸체(110) 후단으로부터 저장부 바닥(122)의 가장자리 양측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배변판(100)이 세워진 상태에서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은 오목하게 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되어 있어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의 가장자리 양측에서의 접선과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의 중심부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형성한다.
이로 인해 배변판(100)을 세운 상태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조금만 기울여도(예를 들어 45° 이내) 배변 받이(120)의 가장자리 벽면을 통해 배변 받이(120) 내부의 대, 소변이 남김없이 깨끗하게 부어 배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배변 받이(120)의 양측 벽 상단에는 홈 형태로 배출홈(123)을 형성한다.
이는 배변판(100)을 세운 상태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기울여 배변 받이(120)의 가장자리 벽면을 통해 배변 받이(110)의 소변을 배출할 때 배변판(100)을 조금만 기울여도 라운드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저장부 바닥(122)을 따라 소변이 유도되어 배출홈(123)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잔존하지 않고 전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변판(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몸체(110)와 배변 받이(120)가 체결된 상태의 배변판(100)에 반려동물이 올라가 대, 소변을 보면 대변은 몸체(110)의 돌부(112) 상부에 위치하고, 소변은 돌부(112) 사이를 통해 몸체 바닥(111)으로 낙하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바닥(111)은 몸체(110)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은 경사진 몸체 바닥(111)을 따라 몸체(110)의 전방으로 흘러 이동한다.
이때, 소변의 양이 많더라도 돌부(112)의 횡단 홈(114)을 따라 옆으로 퍼지면서 빠르게 몸체(110) 전방으로 흘러내려,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121)로 모이게 된다.
배변판(100)의 대, 소변을 치울 때는 몸체(110)의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116)를 파지하여 바닥에 눕혀진 배변판(100)을 들어올린다.
이때, 손잡이(116)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편(115)을 통해 몸체(1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하면은 지면이 접하고 상면은 몸체(110)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제작된다.
손잡이(116)의 양측에는 몸체(110)의 폭보다 짧게 성형되어 형성된 공간 형태의 옵셋부(117)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옵셋부(117)에 손을 넣어 간편하게 손잡이(116)를 파지하여 배변판(100)을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연장편(115)은 경사지게 성형됨으로써, 반려동물의 소변이 연장편(115)에 묻더라도 흘러내려 사용자가 손잡이(116)를 잡을 때 소변이 손에 묻지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손잡이(116)를 파지하여 눕혀진 배변판(100)을 들어올리면 돌부(112) 상부의 대변이 배변 받이(110)로 굴러 이동하고, 돌부(112) 사이에 잔존하던 소변도 배변 받이(110)로 유동하여 저장부(121)에 수납된다.
이때, 도 4 및 도 8과 같이 몸체(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돌부(112)의 높이가 점아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대변을 보았을 때 대변이 경사진 돌부(112)를 따라 배변 받이(120)로 굴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배변판(100)을 조금만 들어올려도 대변이 경사진 돌부(112)를 따라 배변 받이(120)로 빠르게 굴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16)를 파지하여 화장실의 변기로 이동한 후 도 9와 같이 배변판(100)을 기울이면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121)에 수납된 대, 소변이 배변 받이의 측벽을 넘어 배출된다.
이때, 저장부 바닥(122)은 바닥의 중앙부로부터 배변 받이(120)의 양측 입벽 상단까지 라운드지게 성형됨으로써, 도 9와 같이 배변판(100)을 기울여 대변 받이(120)의 대, 소변을 배출할 때 배변판(100)을 조금만 기울여도 라운드 형태의 저장부 바닥(122)을 따라 저장부(121)의 대, 소변이 남김없이 전부 깨끗하게 배출된다.
또한, 배변 받이(120)의 측벽 상단에 홈 형태로 배출홈(123)이 형성됨으로써, 배변판(100)을 기울여 대, 소변을 배출할 때 상기 배출홈(123)을 통해 대, 소변이 모여 배출되므로 소변을 더욱 깔끔하게 배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122)은 도 8과 같이 배변판(100)의 상부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성형됨으로써, 배변판(100)을 들고 이동 후 배출할 때 배변 받이(120) 내부에 대, 소변이 잔존하지 않고 깔끔하게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 바닥(122)이 직각 형태와 같이 절곡된 부분이 있으면 배변판(100)을 기울여 배출할 때 그 절곡된 부분에 대, 소변의 잔존물이 남을 수 있고, 세척시에도 절곡된 부분을 깨끗하게 세척하기 어렵다. 따라서, 저장부 바닥(122)은 모든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배변판(100)의 다른 사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같이 배변 받이(120)를 체결하지 않은 몸체(110)만 화장실 바닥에 설치하고, 몸체(110)의 전방에 위치한 마개(119)를 열어 몸체(110)의 배출구(118)를 개방한다.
그리고 개방된 배출구(118)에 도 9와 같이 호스(130)를 연결하고, 연결된 호스(130)의 끝 부분은 화장실의 하수구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배변판(100)에 반려동물이 소변을 보면 소변이 경사진 몸체 바닥(111)을 따라 몸체(110)의 전방으로 흘러내려 모이고, 몸체(110)의 전방으로 흘러내려 모인 소변은 배출구(118)를 통해 배출되어 호스(130)를 통해 하수구로 곧바로 배출 처리된다.
소변이 자동으로 하수구로 배출 처리되므로 사용자는 배변판(100)을 자주 들어 옮겨 배출 처리할 필요가 없고, 휴지로 몸체(110) 상부의 대변만 주어 변기에 버리기만 하면 오래동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배변판(100)을 들어 조금만 기울여도 배변 받이(120) 내부의 대, 소변이 남김 없이 깨끗하게 부어 배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배변 받이(120)를 몸체(110)로부터 탈, 부착이 가능하므로 배변 받이(120)를 분리하여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몸체(110)에 배출구(118)를 형성함으로써, 배출구(118)에 호스(130)를 체결하여 사용하면 사용자가 자주 배변판(100)을 배출, 처리하는 작업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대, 소변을 처리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배변판
110 : 몸체
111 : 몸체 바닥
112 : 돌부
113 : 종단 홈
114 : 횡단 홈
115 : 연장편
116 : 손잡이
117 : 옵셋부
118 : 배출구
119 : 마개
120 : 배변 받이
121 : 저장부
122 : 저장부 바닥
123 : 배출홈
124a : 체결 돌기
124b : 체결 홈

Claims (8)

  1. 몸체(110)에 소정 간격마다 종단 홈(113) 및 횡단 홈(114)이 형성되도록 돌부(112)가 돌출되고, 몸체(112) 전방에 저장부(121)가 구비된 배변 받이(120)가 체결수단으로 탈, 부착되도록 구성된 배변판(100)에 있어서,
    상기 배변 받이(120)와 체결되는 몸체(110)의 전방 단부는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를 거쳐 타측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성형되고,
    상기 횡단 홈(114)은 몸체(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횡단 홈(114)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짐으로써, 돌부(112)의 수평 방향 길이가 몸체(110) 전방으로 갈수록 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변 받이(120)는 상기 몸체(110)의 전방 단부와 체결되는 부분이 몸체(110)의 전방 단부와 체결되기 위해 안쪽으로 오목하게 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성형된 내주면과,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를 거쳐 타측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성형된 외주면을 갖는 저장부 바닥(122)을 구비하되,
    상기 저장부 바닥(122)의 내주면과 외주면의 각각은 상기 배변판(100)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배변판(100)을 좌우측 방향으로 기울였을 때 상기 저장부(121)에 모아진 동물의 대소변이 상기 배변 받이(120)의 가장자리를 통해 쏟아지게 하여 완전 배출되게 하는 구배를 갖도록 타원형으로 라운드지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용 배변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받이(120)의 측벽 상단에는 배변판(100)을 세운 상태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기울일 때 배변판(100)의 일측 가장자리로 대소변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홈 형태의 배출홈(1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받이(120)의 저장부 바닥은 몸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된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전방에는 몸체(110)의 내, 외부를 관통하는 배출구(118)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8)는 마개(119)로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8)와 연결되는 호스(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에는 경사진 연장편(115)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115)이 하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면은 지면에 접하고 상면은 몸체(110)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제작된 손잡이(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6)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옵셋부(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20220141212A 2022-10-28 2022-10-28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2535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212A KR102535854B1 (ko) 2022-10-28 2022-10-28 반려동물용 배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212A KR102535854B1 (ko) 2022-10-28 2022-10-28 반려동물용 배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854B1 true KR102535854B1 (ko) 2023-05-30

Family

ID=8652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212A KR102535854B1 (ko) 2022-10-28 2022-10-28 반려동물용 배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854B1 (ko)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310Y1 (ko) 2005-05-20 2005-08-01 전소영 애완동물 배변기
KR200425001Y1 (ko) * 2006-06-13 2006-08-28 김선호 애완동물용 배변용품
KR20070042436A (ko) * 2005-10-18 2007-04-23 이명옥 애완동물용 배변기
US20100258056A1 (en) * 2009-04-09 2010-10-14 Hong Kee Seon Gizmo comfort station
KR101175052B1 (ko) * 2012-01-30 2012-08-17 천장호 애완동물 배변기
KR101584610B1 (ko) 2015-06-18 2016-01-22 오현민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JP5997239B2 (ja) * 2003-09-30 2016-09-28 ラジオ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自己清掃式動物用トイレ
KR20160124530A (ko) * 2015-04-20 2016-10-28 오현민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1931476B1 (ko) * 2018-09-20 2018-12-20 오현민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
KR20190018859A (ko) 2017-08-16 2019-02-26 김수경 반려견 배변장치
KR102014027B1 (ko) * 2018-04-20 2019-08-23 유종호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KR20190128819A (ko) * 2018-05-09 2019-11-19 안미경 애완동물 배변장치
KR20200065259A (ko) * 2018-11-30 2020-06-09 이용필 애완동물 배변판
KR102207968B1 (ko) * 2020-08-26 2021-01-25 오현민 연결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 날개부를 구비한 배변판
KR102240245B1 (ko) 2021-01-07 2021-04-13 김종덕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KR20210066409A (ko) * 2019-11-28 2021-06-07 조성경 반려동물용 배변판
KR20210093098A (ko) * 2020-01-17 2021-07-27 홍세일 반려동물용 배변판

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7239B2 (ja) * 2003-09-30 2016-09-28 ラジオ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自己清掃式動物用トイレ
KR200391310Y1 (ko) 2005-05-20 2005-08-01 전소영 애완동물 배변기
KR20070042436A (ko) * 2005-10-18 2007-04-23 이명옥 애완동물용 배변기
KR200425001Y1 (ko) * 2006-06-13 2006-08-28 김선호 애완동물용 배변용품
US20100258056A1 (en) * 2009-04-09 2010-10-14 Hong Kee Seon Gizmo comfort station
KR101175052B1 (ko) * 2012-01-30 2012-08-17 천장호 애완동물 배변기
KR101675032B1 (ko) 2015-04-20 2016-11-10 오현민 반려동물용 배변판
KR20160124530A (ko) * 2015-04-20 2016-10-28 오현민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1584610B1 (ko) 2015-06-18 2016-01-22 오현민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20190018859A (ko) 2017-08-16 2019-02-26 김수경 반려견 배변장치
KR102014027B1 (ko) * 2018-04-20 2019-08-23 유종호 반려동물용 배변장치
KR20190128819A (ko) * 2018-05-09 2019-11-19 안미경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931476B1 (ko) * 2018-09-20 2018-12-20 오현민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
KR20200065259A (ko) * 2018-11-30 2020-06-09 이용필 애완동물 배변판
KR20210066409A (ko) * 2019-11-28 2021-06-07 조성경 반려동물용 배변판
KR20210093098A (ko) * 2020-01-17 2021-07-27 홍세일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2207968B1 (ko) * 2020-08-26 2021-01-25 오현민 연결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 날개부를 구비한 배변판
KR102240245B1 (ko) 2021-01-07 2021-04-13 김종덕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726B2 (en) Portable pet urine reservoir
US5974601A (en) Small animal washing container
US44374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cats to use a toilet bowl
US5355837A (en) Canine trainer and toilet station
US3949429A (en) Animal commode
KR100751225B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US7584717B2 (en) Portable toilet
US3757738A (en) Animal commode
KR200406304Y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US20060156992A1 (en) Device introduced in toilet for pets
US11272683B2 (en) Arrangement for a puppy lavatory with discharge connected to the drain
US6119629A (en) Cat litter box
US10849309B2 (en) Combined pet litter box and cleaning sieve
KR102535854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WO2001076356A1 (en) Small animal litter tray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349801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KR20100121932A (ko) 배변유도가 용이한 고양이 화장실
KR102468558B1 (ko)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200377774Y1 (ko) 애완동물 배변기
JPH04119880U (ja) 小便器の尿飛沫防止具
KR20220076641A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KR20120015841A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및 이를 구비한 애완동물용 변기
JP2001346472A (ja) 金網及び尿貯め容器付きペット用トイレ
KR200298495Y1 (ko) 애완동물용 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