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610B1 -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 Google Patents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610B1
KR101584610B1 KR1020150086412A KR20150086412A KR101584610B1 KR 101584610 B1 KR101584610 B1 KR 101584610B1 KR 1020150086412 A KR1020150086412 A KR 1020150086412A KR 20150086412 A KR20150086412 A KR 20150086412A KR 101584610 B1 KR101584610 B1 KR 10158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ation
defecator
plate
bowel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민
Original Assignee
오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민 filed Critical 오현민
Priority to KR102015008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610B1/ko
Priority to PCT/KR2016/006407 priority patent/WO20162045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는, 측벽에 둘러싸인 상태에서 애완동물이 안착하여 배설한 배변을 임시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배변판; 상기 배변판의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벽을 개방하거나 높이를 낮게 처리하여 형성된 유통부; 상기 측벽에 장착된 것으로, 측벽의 유통부를 통해 상기 배변판의 배변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배변 받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에 의하면, 배변판의 일 측면에 장착된 배변 받이로 배변을 수용하는 추가 공간을 용이하게 마련하면서 배변 처리 및 청소의 편리함과 간편함을 보장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WITH PEE CONTAINER}
본 발명은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네트 구조 내지 블록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배변판의 측면에 별도의 배변 받이를 장착함으로써, 배변을 치울 때 네트를 걷어내는 번거로움 없이 배변판을 들어 측면에 장착된 배변 받이가 하 측을 향하도록 기울이면 자연스럽게 배변 받이 측으로 배변(소변/대변)이 모이도록 하여 배변 받이에 모은 배변을 보다 편리하게 처리하여 청소는 물론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이란 명칭은 1983년 10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인간과 동물과의 관계'에 대한 심포지엄에서 동물 행동학의 아버지 K.로렌스 박사가 사람과 살아가는 동물들은 더 이상 장난감이 아니라 사람에게 여러 가지 혜택을 주는 더불어 살아가는 가치를 재인식하여 반려동물이라고 부르자고 주장한 것이 시초가 되어, 현재 애완동물이라는 명칭보다 존중의 의미를 부여하여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생각보다 많은 동물이 포함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주로 개, 고양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개/강아지의 경우 출생 후 2-3개월 이후부터 배변훈련을 하여 이로 인해 주인의 번거로움을 덜어주고 주거 환경의 쾌적함을 보장하는바, 배변훈련에 의하여 이용되는 배변 수단으로는 주인이 이용하는 실내 화장실도 있으나 주로 배변패드나 배변판이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배변패드는 상대적으로 적은 체적과 두께로서도 다량의 배변(주로, 소변)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성 재질, 예컨대 기저귀/생리대와 유사한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고, 배변판은 복수 개의 관통 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반려동물이 안착하여 배변을 볼 수 있는 네트와 이 네트 하부에 위치하여 관통 홈으로 흘러내린 배변을 임시 저장하는 배변 받이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네트 하부의 배변판에 배변이 모였을 때, 이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배변판을 180도 뒤집어 배변을 먼저 버려야 하는데 배변판 자체가 무거울 뿐 아니라 뒤집는 과정에서 배변이 사방으로 튀게 되어 배변을 버리는 과정이 생각보다 귀찮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따랐다.
한국 등록 특허 제 1176411호는 배변판을 청소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나, 네트를 들어 배변판의 본체 부위를 자동으로 청소하기 때문에 이 부위를 청소하기 위한 부가적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로써 가격이 비싸진다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배변판을 주인/사용자가 청소할 때 간단한 동작으로 소변/대변을 일 측으로 모아 안정적이자 편리하게 외부로 버릴 수 있고 청소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배변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변판의 측면에 별도의 배변 받이를 장착하여 배변판에서 임시 수용한 배변을 청소할 때 배변받이로 편리하게 이동시켜 청소 및 수거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배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변 받이의 대향 측에 손잡이를 추가로 장착하여 배변 받이에 배변을 모을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변 받이가 배변판에 탈착 가능하거나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어 포장/운반 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사용 환경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네트 없는 블록 구조의 배변판을 제공하여 청소 및 운용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는, 측벽에 둘러싸인 상태에서 애완동물이 안착하여 배설한 배변을 임시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배변판; 상기 배변판의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벽을 개방하거나 높이를 낮게 처리하여 형성된 유통부; 상기 측벽에 장착된 것으로, 측벽의 유통부를 통해 상기 배변판의 배변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배변 받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변판은, 행렬 구조로 배열되는 것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 상기 블록 사이에서 상기 블록보다 좁은 폭과 너비로 형성된 것으로, 바닥면과 상기 블록의 외벽으로 둘러쌓인 공간인 배변로; 둘레부를 따라 일정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배변 받이가 장착된 부위에 상기 유통부를 구비한 측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배변 받이가 장착된 측벽의 대향 측에는, 손잡이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에 의하면,
1) 배변판의 일 측면에 장착된 배변 받이로 배변을 수용하는 추가 공간을 용이하게 마련하면서 배변 처리 및 청소의 편리함과 간편함을 보장할 수 있고,
2) 배변 받이가 배변판에서 접철 또는 탈착될 수 있어 포장 공간을 줄이거나 다양한 사용 환경을 확보할 수 있으며,
3) 네트가 없는 블록 구조의 배변판에 의해 반려동물의 보다 안정적인 안착 환경 및 배변 처리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배변 받이의 일 측에 형성된 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배변 받이에 수용된 배변을 용이하게 외부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배변 받이가 장착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변 받이가 배변판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변 받이가 배변판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변판이 블록 구조로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변판이 블록 구조로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변 받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배변 받이가 장착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배변 장치는 애완동물이 안착하여 배변을 보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판(100)과, 배변판(100)의 일 측면에 장착된 배변 받이(1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배변판(100)은 애완동물이 안착함과 동시에 애완동물의 배변(소변)을 임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구조를 포괄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 어떠한 구조도 본 발명의 배변판(100)에 포함되는 것이나 가장 보편적인 구조서 네트(150)와 본체(160)로 이루어진 구조를 도 1에서 예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배변판(100)은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애완동물이 안착하여 배변을 보는 네트(150)와, 네트(150)를 안착하는 받침 턱을 내주 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하여 네트(150)의 통공을 통해 낙하된 배변(소변)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한 본체(16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러한 배변판(100)은 공지의 구조를 따르기 때문에 구체적인 추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배변 받이(10)는 배변판(100)의 측벽(130)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에 걸쳐 장착이 된 것으로, 이 때 배변 받이(10)가 장착되는 본체의 측벽(130)은 다른 측벽(130)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거나 개방 상태로 이루어진 유통부(131)로 이루어져, 이를 매개로 배변판(100)을 기울임으로써 배변판(100) 내에 수용된 배변을 배변 받이(10)로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도록 처리된다.
더불어, 배변 받이(10)는 측벽(130)에 둘러싸여 배변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예를 들어 단면 구조가 C 구조를 비롯하여 V 구조 등의 입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후술하겠지만 탈착식 또는 접철식으로 이루어진 배변 받이(10)의 경우 펼쳤을 때 배변판(100)과의 높이를 맞추도록 하기 위해 평탄한 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배변 받이(10)가 형성된 배변판(100)의 측벽(130)의 대향 측벽(130)에는 손잡이(2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손잡이(20)는 사용자/주인이 이를 파지한 상태로 배변판(100)을 들어 배변 받이(10)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기울여서 배변판(100)에 수용된 배변을 배변 받이(10)로 유도하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후술하겠지만 접철식으로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접혀 있다가 사용 시에만 펴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결합부를 매개로 탈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배변판(100)에 수용된 배변을 버리기 위해 배변판(100)을 180도 뒤집거나 네트(150)를 들어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주인이 손잡이(20)를 잡고 본체의 배변을 수월하게 배변 받이(10)로 이동시킨 다음 외부로 유출할 수 있어 배변을 보다 수월하게 외부 처리할 수 있고 배변이 소변 뿐 아니라 대변까지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배변 받이(10)는 배변판(100)의 측벽(130) 중 유통부(131)의 바닥 부위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나 유통부(131)의 바닥 부위에 가이드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하여 배변 받이(10)의 부착 부위에는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 블록을 추가로 형성하여 배변 받이(10)가 배변판에 슬라이딩 결합 구조로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변 받이가 배변판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배변 받이가 배변판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른 실시예는 배변 받이(10)가 배변판(100)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배변 받이(10)와 배변판(100)이 일체적으로 결합된 경우 제품 포장은 물론 운반 시 불필요한 체적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변판(100)과 배변 받이(10) 각각의 결합 단 일 측에는 결합부(30)를 구비하여 이러한 결합부(30)를 매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합부(30)는 V 홈(31) 및 후크(32)로 이루어져 포장 시에는 이를 분리한 상태를 유지하되, 사용 시에는 V 홈(31)에 후크(32)를 끼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양자가 결합된 경우에는 특별히 분리를 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급적 분리가 쉽사리 이루어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하며,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결합 수단 중 후크를 제시한 것이다.
이 때, 결합부(30)의 결합 부위 측에는 가림판(33)이 추가로 형성되어 이 결합 부위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손잡이(20) 역시 결합 홈과 결합 돌기로 이루어져 사용 시에 이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패스너를 통해 고정적으로 체결 결합시켜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한 결합 관계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배변 받이(10)는 라운딩부(11)와 평탄부(12)로 수용 공간의 구조(주로 수용 공간의 바닥 부위)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평탄부(12)는 라운딩지게 연장된 라운딩부(11) 사이에 이루어진 편평한 부위로서, 이러한 평탄부(12)로 인해 배변 받이(10)를 펼치거나 분리하였을 때 배변판(100)의 바닥 면과 마찬가지의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포장의 용이성, 포장 공간의 최소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배변 받이(10)와 배변판(100)의 면 접촉 부위에는 접철부(40)가 추가로 형성되어 배변판(100)에서 배변 받이(10)를 접철하거나 일정 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접철부(40)는 빈 공간이 없이 플렉시블한 성질로 이루어진 재질이 배변 받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변 받이(10)가 배변판(100)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거나 아니면 탈착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경첩으로 이루어지고 경첩의 주변은 누수 방지를 위해서 어느 하나의 접촉면이 다른 하나의 접촉면을 가릴 수 있는 가림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 나아가 경첩은 무한 회동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외력이 가해졌을 때 회동되는 스토퍼를 구비한 스토퍼 힌지(stopper hinge)로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무한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일정 각으로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배변 장치는 접철과 탈착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취하거나 아니면 동시에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변 받이(10)의 탈착식/접철식 구조에 의하여, 운반 및 포장 체적의 최소화를 추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 상태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변판이 블록 구조로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배변판이 블록 구조로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변판(100)은 공지의 네트와 본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네트를 본체에서 분리할 때 번거로움이 따를 뿐 아니라 애완동물이 네트 위로 올라가지 않으려는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배변판(100)의 개량 구조를 도 4, 5에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4,5에 따른 배변판(100)의 전체 외관은 반려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도록 일정 높이를 가진 입체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직육면체를 비롯하여 그 평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입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변판(100)은 반려동물이 발이 안착되는 안착판/지지판의 역할을 하는 블록(110)과, 블록(110)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의 바닥면(121)을 구비한 상태에서 블록(110) 사이에 형성된 배변로(120) 및, 둘레를 따라 블록(110)과 같거나 기타 일정 높이로 이루어진 측벽(13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록(110)은 배변로(120)의 바닥면(12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측을 향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그 상면은 기본적으로 평탄하게 이루어져 이에 반려동물이 안착됨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대변을 임시 보관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블록(110)의 평면 형상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서 언급하였듯이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블록(110)은 너비(X축)와 깊이(Y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행렬 구조로 이루어지고, 블록(110) 사이에 배변로(120)가 형성된다.
특히 블록(110)은 반려동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110)의 너비와 폭이 배변로(120)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져 공지의 네트 형태의 배변판과 같이 자칫 배변로(120) 사이로 반려동물의 발과 같은 신체 부위가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변로(120)는 블록(110)의 측벽 사이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블록(110)의 돌출 높이에 상응한 깊이를 가지며 하단에는 바닥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변로(120)는 반려동물의 배변, 특히 소변을 임시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반려동물이 소변을 보았을 때 이 소변을 임시적으로 보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이에 모아진 소변은 주인이 차후 버리는 과정으로 제거될 수 있다.
배변로(120)의 바닥면(121)은 일반적으로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나, 소변이 일 측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배를 부여, 즉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측벽(130)는 본 발명의 배변판(100)의 둘레 부위에서 일정 높이로 형성된 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배변로(120) 사이에 모아진 소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측벽(130)의 높이가 너무 높을 경우 반려동물이 쉽사리 배변판(100)에 진입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110)과 동일 높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보다 약간 더 높은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어느 특정 면의 측벽(130)이 다른 측벽보다 높이가 낮아 이 낮은 높이의 측벽(130)을 반려동물의 진입구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변 받이(10)가 장착된 측벽(130)은 다른 측벽(130)의 높이보다 낮거나 개방된 유통부(131)로 이루어져 이를 통해 배변 받이(10)를 향하여 소변/대변을 유통시킬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배변판(100)의 배면에는 리브가 행렬 구조로 추가 형성되어 배변판(100)이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변판(100)에 의하면, 공지의 네트 구조의 배변판(100)에서 통공 사이의 창살과 같이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거나 통공의 직경/면적이 넓어 반려동물의 발이 빠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블록(110)의 상면에 의한 안정적인 안착 또는 발판 공간을 제공하여 네트 구조의 배변판(100)보다 안정적이자 친숙하게 반려동물이 배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변 받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변 받이(10)는 그 일 측(배변 받이의 측면이나 바닥 면 중 어느 하나의 부위)에 관통공(5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5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51)(바람직하게는 나사산 방식으로 관통공에 밸브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배변 받이(10)에 수용된 배변을 밸브(51)의 개폐에 의하여 외부로 편리하게 유출시킬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4,5에 따른 블록 구조의 배변판(100)에서 블록(110)의 높이는 동일하게 유지하여 애완동물의 안착의 안정성은 보장하되 배변로(120)는 배변 받이(10)를 향해 경사진 슬로프(122)를 구비하여 유통부(131)로 배변을 흐르도록 하고, 배변 받이(10)는 상술한 스토퍼 힌지에 의해 펼쳐지도록 회전을 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이로써, 배변판(100)에 수용된 배변이 슬로프(122)를 따라 자연스럽게 배변 받이(10)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배변 받이(10)로 배변을 수집하기 위해 배변판(100)을 기울이는 등의 별도의 과정 없이 편리하게 청소 및 배변 처리를 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배변 받이 11: 라운딩부
12: 평탄부 20: 손잡이
30: 결합부 31: V 홈
32: 후크 40: 접철부
50: 관통공 51: 밸브
100: 배변판 110: 블록
120: 배변로 121: 바닥면
122: 슬로프 130: 측벽
131: 유통부 140: 손잡이
150: 네트 160: 본체

Claims (8)

  1.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로서,
    행렬 구조로 배열된 것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 사이에서 상기 블록보다 좁은 폭과 너비로 형성된 것으로, 바닥면과 상기 블록의 외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인 배변로 및, 둘레부를 따라 일정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배변 받이가 장착된 부위에 유통부를 구비한 측벽으로 구성되어, 애완동물이 안착아여 배설한 배변을 상기 배변로에 임시 수용하는, 배변판;
    상기 배변판의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벽을 개방하거나 높이를 낮게 처리하여 형성된 유통부;
    상기 측벽에 장착된 것으로, 측벽의 유통부를 통해 상기 배변판의 배변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배변 받이;로 구성되되,
    상기 배변로는,
    상기 유통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슬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 받이는,
    스토퍼 힌지에 의해 상기 배변판에 외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배변판에서 펼쳐진 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받이가 장착된 측벽의 대향 측에는,
    손잡이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받이는,
    결합부를 매개로 상기 배변판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받이는,
    스토퍼 힌지에 의해 상기 배변판에 외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받이는,
    일 측에서 관통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받이는.
    라운딩지게 연장 형성된 라운딩부와, 상기 라운딩부 사이에 일직선으로 평탄하게 연장된 평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50086412A 2015-06-18 2015-06-18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158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12A KR101584610B1 (ko) 2015-06-18 2015-06-18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PCT/KR2016/006407 WO2016204532A1 (ko) 2015-06-18 2016-06-16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12A KR101584610B1 (ko) 2015-06-18 2015-06-18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610B1 true KR101584610B1 (ko) 2016-01-22

Family

ID=5530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412A KR101584610B1 (ko) 2015-06-18 2015-06-18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4610B1 (ko)
WO (1) WO201620453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195B1 (ko) 2016-07-22 2018-11-09 이창섭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KR101931476B1 (ko) 2018-09-20 2018-12-20 오현민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
KR20190018859A (ko) * 2017-08-16 2019-02-26 김수경 반려견 배변장치
KR20210093098A (ko) * 2020-01-17 2021-07-27 홍세일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2390454B1 (ko) * 2021-09-07 2022-04-22 오현민 탈부착이 가능한 측벽을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2535854B1 (ko) 2022-10-28 2023-05-30 박요셉 반려동물용 배변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1660B1 (en) * 2001-06-28 2002-06-11 Doug Wolff Self-cleaning cat liter box
US20020166510A1 (en) * 2001-05-14 2002-11-14 Russell Asbury Animal litter box
KR101039199B1 (ko) * 2011-02-21 2011-06-03 김용진 애완견의 배변 훈련기
US20140174369A1 (en) * 2011-08-30 2014-06-26 Spartel Engineering Toilet equipment for domestic animals, in particular for dog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034B1 (ko) * 2005-04-27 2006-07-13 김정돈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6510A1 (en) * 2001-05-14 2002-11-14 Russell Asbury Animal litter box
US6401660B1 (en) * 2001-06-28 2002-06-11 Doug Wolff Self-cleaning cat liter box
KR101039199B1 (ko) * 2011-02-21 2011-06-03 김용진 애완견의 배변 훈련기
US20140174369A1 (en) * 2011-08-30 2014-06-26 Spartel Engineering Toilet equipment for domestic animals, in particular for dog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195B1 (ko) 2016-07-22 2018-11-09 이창섭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KR20190018859A (ko) * 2017-08-16 2019-02-26 김수경 반려견 배변장치
KR101972224B1 (ko) * 2017-08-16 2019-04-24 김수경 반려견 배변장치
KR101931476B1 (ko) 2018-09-20 2018-12-20 오현민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
KR20210093098A (ko) * 2020-01-17 2021-07-27 홍세일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2349801B1 (ko) 2020-01-17 2022-01-10 홍세일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2390454B1 (ko) * 2021-09-07 2022-04-22 오현민 탈부착이 가능한 측벽을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2535854B1 (ko) 2022-10-28 2023-05-30 박요셉 반려동물용 배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4532A1 (ko)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610B1 (ko)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AU2006202677B2 (en) Pet litter box
KR100770600B1 (ko) 원숭이용 케이지
EP0781088B1 (en) Litter box for domestic animals
AU2008272354B2 (en) Animal litter box
US20160037744A1 (en) Device For Pets
US8230810B2 (en) Lift-assisted litter box system
US20080251026A1 (en) Portable canine urination/decfecation station
KR100979600B1 (ko) 실험동물의 건강상태 체크가 용이한 실험동물 사육용케이지
US10159214B2 (en) Easy clean animal litter box
US7487743B1 (en) Cat litter box apparatus
KR200484639Y1 (ko) 반려동물용 화장실
US7011042B2 (en) High walled litter box with litter return entry
US20060272590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US3688741A (en) Portable animal toilet
EP1274298B1 (en) Small animal litter tray
KR20160124530A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US6886291B1 (en) Minnow bucket with automatic minnow dispenser
US10849309B2 (en) Combined pet litter box and cleaning sieve
GB2589574A (en) Waste receptacle
KR200406289Y1 (ko) 도그용 케이지
US10905092B2 (en) Pet carrier including detachable litter box
US11224199B2 (en) Hygienic filter and disposal device
EP4068950A1 (en) Waste receptacle
US5803016A (en) Cleanable waste depository for small animal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5